KR20140114645A -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114645A
KR20140114645A KR1020130029220A KR20130029220A KR20140114645A KR 20140114645 A KR20140114645 A KR 20140114645A KR 1020130029220 A KR1020130029220 A KR 1020130029220A KR 20130029220 A KR20130029220 A KR 20130029220A KR 20140114645 A KR20140114645 A KR 20140114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view screen
hyperlink
internet page
display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9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29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114645A/ko
Priority to US14/202,678 priority patent/US20140289597A1/en
Publication of KR20140114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464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2Use of codes for handling textual entities
    • G06F40/14Tree-structured documents
    • G06F40/143Markup, e.g. 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 [SGML] or Document Type Definition [DT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7Browsing optimisation, e.g. caching or content distill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에 연결된 사이트의 미리 보기 화면을 팝업 또는 서브 프레임에 표시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른 본 발명은,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으로서, 브라우저상에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페이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에 대한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 각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브라우저의 일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METHOD FOR DISPLAYING PREVIEW SCREEN OF HYPERLINKS}
본 발명은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에 연결된 인터넷 페이지의 미리 보기 화면을 팝업 또는 서브 프레임에 표시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브라우저에 표시된 페이지에서 하이퍼링크에 의하여 연결된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브라우저 화면을 갱신하거나 새로운 브라우저 탭을 생성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원하는 여러 개의 하이퍼링크에 연결된 인터넷 페이지를 보기 위해서는 매번 브라우저 화면을 갱신하거나 새로운 창의 생성에 의한 화면 전환 동작이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사용자가 하이퍼링크에 연결된 인터넷 페이지로부터 원래 표시되어있던 인터넷 페이지로 되돌아가기 위해서는, 이전 인터넷 페이지를 다시 로딩하거나 브라우저 탭을 이동해야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특히, 모바일 환경과 같이 제한된 자원을 이용하는 경우, 브라우저 화면을 갱신하거나 여러 개의 브라우저 탭을 생성하는 것은 가용성 측면에서 여러 가지 문제점을 낳게 된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이고 편리한 미리 보기 화면을 제공하는 것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하이퍼링크에 연결된 인터넷 페이지의 미리 보기 화면을 팝업 또는 복수 개의 서브 프레임에 표시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이퍼링크에 연결된 인터넷 페이지의 포커스 영역 또는 텍스트만으로 미리 보기 화면을 구성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은,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으로서, 브라우저상에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페이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에 대한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 각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브라우저의 일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서버로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에 의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인터넷 페이지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넷 페이지의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넷 페이지의 상기 특정 영역으로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로부터 텍스트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부분만으로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페이지의 가독성을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가동성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하이퍼링크의 url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url을 포함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상기 브라우저의 일 영역에 팝업, 화면 분할, 슬라이드 이동, 커튼 창, 서브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에 따라 상기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브라우저상의 일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각각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는, 화면 표시 모드가 가로 모드인지 또는 세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표시 모드에 따라 상기 브라우저의 여백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미리 보기 화면의 인터넷 페이지를 상기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로써, 브라우저상에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인터넷 페이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에 대한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을 감지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 각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브라우저의 일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에 의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인터넷 페이지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넷 페이지의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넷 페이지의 상기 특정 영역으로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로부터 텍스트 부분을 추출하고, 상기 텍스트 부분만으로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 페이지의 가독성을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가동성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하이퍼링크의 url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url을 포함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상기 브라우저의 일 영역에 팝업, 화면 분할, 슬라이드 이동, 커튼 창, 서브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에 따라 상기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라우저상의 일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각각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화면 표시 모드가 가로 모드인지 또는 세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화면 표시 모드에 따라 상기 브라우저의 여백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미리 보기 화면의 인터넷 페이지를 상기 브라우저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양한 방법으로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는, 화면의 갱신 또는 인터넷 페이지의 이동 없이 간단하고 빠르게 미리 보기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3은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를 포함하는 인터넷 페이지의 예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미리 보기 화면 생성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미리 보기 대상을 추출하는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인터넷 페이지의 html 코드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7은 인터넷 페이지의 일부 영역을 미리 보기 대상으로 추출한 경우의 미리 보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텍스트를 미리 보기 대상을 추출한 경우의 미리 보기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팝업 효과에 따라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1은 세로 모드에서 미리 보기 화면을 위한 서브 프레임을 구성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가로 모드에서 미리 보기 화면을 위한 서브 프레임을 구성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미리 보기 화면과 기존에 표시된 인터넷 페이지를 체인징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브라우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를 제어하기 위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브라우저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로써,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 노트 패드(Note Pad), 와이브로(Wibro) 단말, 타블렛 PC(Tablet PC), 컴퓨터, 멀티미디어 장치 등의 일반적인 전자 단말뿐만 아니라, 브라우저를 제공하는 모든 장치를 위하여 적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를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제어부(130), 저장부(140) 및 표시부(1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통신부(110)는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100)와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100)가 위치한 이동 통신 시스템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10)는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다른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10)는 WLAN(Wireless LAN), 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의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외부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통신부(11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서버로 인터넷 페이지에 관한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고, 서버로부터 인터넷 페이지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입력을 감지하고,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제어부(130)로 전달한다. 입력부(120)는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핑거 마우스, 휠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터치 센서, 근접 센서, 전자기 센서, 압력 센서 등을 포함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센서를 통하여 사용자의 터치 입력 또는 근접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패드 상에 센서가 필름 형태로 부착되거나, 패널 형태로 결합한 입력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전자기 센서를 이용하는 EMR(Electro Magnetic Resonance) 또는 EMI(Eletro Magnetic Interferenc) 방식의 입력 패드로 구성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후술할 표시부(150)와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입력 스크린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터치 센서를 구비하는 입력 패드를 포함하고 표시부(150)와 결합된 TSP(Touch Screen Panel)로 구성될 수 있다. 표시부(150)와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입력부(120)는 터치 스크린으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입력부(120)는 미리 보기 화면 표시의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입력부(120)는 표시된 미리 보기 화면에 대한 입력을 감지할 수도 있다.
입력부(120)는 감지된 입력의 위치, 입력 수단, 입력 형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위하여 각 구성 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브라우저에 표시된 하이퍼링크에 연결된 인터넷 페이지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고, 생성된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하여 미리 보기 화면 표시에 대응하는 요청이 감지되면, 요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 각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고, 브라우저의 일 영역에 생성된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서버로 요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에 의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인터넷 페이지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하고,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서버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로부터, 텍스트 부분만을 추출하거나, 인터넷 페이지의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여 텍스트 또는 특정 영역으로 구성된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인터넷 페이지의 가독성을 기초로 미리 보기 화면 생성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표시부(150)의 화면 표시 모드를 기초로, 미리 보기 화면을 위한 서브 프레임을 구성하여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의 보다 구체적인 동작에 대한 설명은 하기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저장부(140)는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100)를 위한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이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저장부(140)에 저장된 프로그램 또는 명령들을 수행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저장부(140)는 서버로부터 수신한 하이퍼링크에 대응하는 인터넷 페이지의 데이터를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40)는 하이퍼링크에 대응하여 생성된 미리 보기 화면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도 있다.
표시부(150)는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표시부(150)는 현재 구동 중인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에 대응하는 정보를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와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150)는 입력부(12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때, 터치 스크린으로 동작하는 표시부(150)는 입력 장치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부(150)는 제어부(130)의 제어에 따라,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한다. 표시부(150)는 팝업창 또는 서브 프레임에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100)가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의 제어 방법에서는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100)가 인터넷 페이지의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진, 동영상, 음원, 플래시 파일 등의 콘텐츠에 대한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는 경우 등 다양한 실시 예에 적용될 수 있다.
먼저, 제어부(130)는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210).
제어부(130)는 입력부(120)를 통한 사용자의 요청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서비스 등의 요청에 따라,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하기 위한 브라우저를 구동할 수 있다. 브라우저는 인터넷에 의하여 제공되는 모든 정보의 검색, 확인, 관리, 저장 및 인쇄 등을 가능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웹(Web) 브라우저 또는 왑(Wap) 브라우저일 수 있다. 브라우저는 컴퓨터 등 자원 용량이 큰 전자 장치를 위한 인터넷 익스플로러(Internet Explorer), 오페라(Opera), 파이어폭스(Firefox), 크롬(Chrome), 루나스케이프(Lunascape), 모질라(Mozila), 사파리(Safari) 등의 일반적인 브라우저이거나 모바일 환경에서 인터넷 기능을 지원하기 위한 웹킷(Webkit), 게코(Gecko) 등의 마이크로 브라우저(Micro Browser)일 수 있다. 구현하기에 따라, 브라우저는 웹 및 왑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거나 웹과 왑 모두를 지원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된 브라우저상에 사용자 또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서비스 등에 의하여 요청된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한다. 또는, 제어부(130)는 브라우저의 옵션에 따라 초기 화면으로 설정된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인터넷 페이지와 함께 브라우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메뉴, 아이콘 등을 함께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표시부(150)의 크기 및 해상도에 따라 인터넷 페이지의 일부 또는 전체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인터넷 페이지는 인터넷 서버로부터 통신부(110)를 통해 수신된 것으로, HTML(또는 XHTML), CSS, 자바스크립트, 플래시 등으로 작성된다. 인터넷 페이지는 웹 브라우저 또는 왑 브라우저 환경을 기반으로 작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웹 페이지 또는 왑 페이지로 구분될 수 있다.
인터넷 페이지는 적어도 하나의 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인터넷 페이지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하이퍼링크는 둘 이상의 인터넷 페이지를 연결하는 인터넷 페이지의 구성 요소로, 하이퍼링크의 선택을 통해 브라우저상에서 하이퍼링크에 의하여 연결된 인터넷 페이지를 볼 수 있다. 하이퍼링크는 인터넷 페이지 내에서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표시되며, 속성 정보로써 연결된 인터넷 페이지의 url을 갖는다. 사용자가 텍스트, 이미지 또는 동영상으로 표시된 하이퍼링크를 선택하면, 속성 정보에 입력된 url을 이용하여 하이퍼링크에 의하여 연결된 인터넷 페이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11, 12, 13 및 14)를 포함한 인터넷 페이지를 브라우저상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신문 기사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11, 12, 13 및 14)가 텍스트로 표시되어 있다.
제어부(130)는 표시된 인터넷 페이지의 url, 인터넷 페이지를 구성하는 콘텐츠(텍스트, 이미지, 동영상 등) 등을 저장부(140)에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인터넷 페이지에 포함된 하이퍼링크의 정보를 별도로 추출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20).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은 특정한 입력 수단 또는 입력 형태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보기 예를 들어,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은 스타일러스 펜이 하이퍼링크에 근접하게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하는 호버링 입력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은 하이퍼링크에 대한 사용자의 인체 또는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롱 프레스 터치 입력일 수 있다.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은 사용자의 인체(예를 들어, 손가락 등) 또는 스타일러스 펜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은 인터넷 페이지의 하이퍼링크에 대한 터치 입력, 근접 입력 또는 호버링 입력 중 어느 하나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은 하이퍼링크에 대한 클릭, 더블 클릭, 롱 프레스 또는 드래그 앤 드롭 입력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은 스타일러스 펜이 하이퍼링크에 근접하게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하는 호버링 입력일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은 하이퍼링크에 대한 사용자의 인체 또는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롱 프레스 터치 입력일 수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상술한 입력은 하이퍼링크에 대한 메뉴 표시 요청에 대응할 수 있다. 하이퍼링크에 대한 메뉴는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메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열기, 새 창으로 열기, url 복사하기 등의 메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은,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입력일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 표시를 위한 서브 프레임이 이미 표시되어 있는 경우, 상술한 입력은 특정한 서브 프레임에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요청에 대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한 하이퍼링크에 대한 터치 입력이 발생한 후, 특정한 서브 프레임으로 드래그 앤 드롭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입력은 특정한 하이퍼링크가 드래그 앤 드롭 된 서브 프레임에 특정한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요청에 대응할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은 둘 이상의 하이퍼링크에 대하여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이 둘 이상의 하이퍼링크에 대하여 멀티 터치 입력이 발생하는 경우, 스타일러스 펜에 구비되는 버튼을 클릭한 상태에서 연속적으로 하이퍼링크를 선택하는 경우 또는 메뉴, 단축키 등을 통하여 둘 이상의 하이퍼링크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로 진입하는 경우에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은 둘 이상의 하이퍼링크에 대하여 발생할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은, 입력 수단, 입력의 형태 등의 정보와 함께 설정되어 저장부(15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의 몇 가지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입력 수단에 의한 다양한 형태의 입력이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것으로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10)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표시부(150)를 통하여 브라우저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부(110)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표시부(150)는 브라우저가 표시된 상태에서 브라우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위치, 사용자 입력을 발생시킨 입력 수단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 입력의 유형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터치 입력, 근접 입력, 호버링 입력, 스타일러스 펜에 구비되는 버튼 등의 조작 상태 등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10) 또는 표시부(150)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를 기초로,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하이퍼링크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위치가 하이퍼링크가 표시된 위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 입력이 하이퍼링크가 표시된 위치에서 발생한 경우, 제어부(130)는 하이퍼링크에 대한 입력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10) 또는 표시부(150)로부터 수신한 제어 신호를 기초로 감지된 입력이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를 들어, 감지된 입력이 스타일러스 펜이 하이퍼링크에 근접하게 기 설정된 시간 이상 위치하는 호버링 입력인 경우, 제어부(130)는 입력이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는, 예를 들어, 감지된 입력이 하이퍼링크에 대한 사용자의 인체 또는 스타일러스 펜에 의한 롱 프레스 터치 입력인 경우, 제어부(130)는 입력이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이 발생함에 따라, 입력이 발생한 하이퍼링크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하이퍼링크에 의하여 연결된 인터넷 페이지의 url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감지된 하이퍼링크에 하이라이트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이 감지되지 않은 경우, 제어부(130)는 인터넷 페이지 표시 단계로 회귀하여,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제어부(130)는 기 설정된 주기에 따라 인터넷 페이지의 새로 고침을 수행하여, 갱신된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면,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30)는 입력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한다(230).
제어부(130)는 입력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에 의하여 연결된 인터넷 페이지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이벤트가 발생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한다(231).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이벤트는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의 감지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여기서,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은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감지될 수 있다. 또는,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이벤트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서비스에서 발생하는 요청에 의하여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이벤트는 표시된 인터넷 페이지의 줌인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의 감지에 의해서 발생할 수 있다. 일반적인 모바일 단말의 경우, 표시부(150)의 크기가 작아서 인터넷 페이지와 함께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더라도, 그 가독성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초기값에 의한 배율로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할 경우, 미리 보기 화면의 표시 동작을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 표시된 인터넷 페이지가 요청에 의하여 줌인 되는 경우, 인터넷 페이지의 가독성이 상대적으로 높아지기 때문에,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의 표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이벤트는 표시 중인 인터넷 페이지의 줌인 요청에 따라 발생할 수 있다. 인터넷 페이지의 줌인 요청에 대응하는 입력은, 예를 들어, 더블 클릭, 핀치 아웃 등의 입력으로 구성될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이벤트가 발생하지 않으면,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 생성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30)는 인터넷 페이지의 가독성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232).
상술한 바와 같이, 표시부(150)의 크기가 작거나 인터넷 페이지를 구성하는 텍스트 등의 크기가 작아 가독성이 떨어지는 경우, 브라우저상에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는 것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주고 비효율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표시된 인터넷 페이지의 가독성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 이상일 때에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표시된 인터넷 페이지의 가독성을 판단할 수 있다. 가독성은 현재 표시된 인터넷 페이지의 텍스트 크기, 확대/축소 비율, 표시부(150)의 크기, 해상도, 인터넷 페이지를 구성하는 여백의 크기 등을 기초로 판단될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가독성의 임계값은 사용자 또는 제조사에 의하여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임계값은 표시된 인터넷 페이지의 텍스트 크기, 확대/축소 비율, 표시부(150)의 크기, 해상도, 인터넷 페이지를 구성하는 여백의 크기를 나타내는 값으로 표현될 수 있다. 임계값은 표시부(150)의 크기, 해상도 등에 따라 실험적 또는 경험적으로 미리 보기 화면이 표시되었을 때, 인터넷 페이지 및 미리 보기 화면을 보는데 불편함이 없을 정도의 크기로 결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판단된 가독성 및 미리 설정된 임계값을 비교하여, 가독성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가독성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작은 경우, 제어부(130)는 본 발명에 따른 미리 보기 화면 생성 과정을 종료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가독성이 낮아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할 수 없다는 내용의 알림을 팝업창, 메시지, 이모티콘, 음성 알림, 경고음, 진동 등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가독성이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제어부(130)는 이벤트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의 url을 추출한다(233).
url은 인터넷에서 인터넷 페이지의 네트워크 경로를 표시하기 위한 논리 주소로써, http, ftp, mailto, file, gopher, telnet, news 등의 프로토콜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이벤트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의 url을 추출한다. 제어부(130)는 인터넷 페이지의 HTML(또는 XHTML), CSS 코드로부터 하이퍼링크의 속성 정보 중 url을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페이지가 HTML 코드에 의하여 작성된 경우, url은 하이퍼링크의 속성 정보 중 href 속성에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제어부(130)는 href 속성에 입력된 하이퍼링크의 url을 추출하고, 이를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이벤트가 복수의 하이퍼링크에 대하여 발생한 경우, 제어부(130)는 복수의 하이퍼링크에 대한 url을 각각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이벤트에 응답하여, url을 추출할 하이퍼링크를 선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이벤트가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우, 입력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를 url을 추출할 하이퍼링크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브라우저상에서 일정한 범위 내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를 url을 추출할 하이퍼링크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넷 페이지의 일부를 브라우저상에 표시한 경우, 제어부(130)는 표시된 일부에 포함된 하이퍼링크를 url을 추출할 하이퍼링크로 선택할 수 있다. 또는,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이벤트가 사용자 입력에 의하여 발생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입력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 및 그 주변의 일정 영역 내에 포함된 하이퍼링크를 url을 추출할 하이퍼링크로 선택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터넷 페이지에 나열된 복수의 하이퍼링크 중 하나의 하이퍼링크를 선택하여 연결된 인터넷 페이지를 확인하는 경우, 일반적으로는 사용자가 나머지 하이퍼링크를 선택하여 각각에 연결된 인터넷 페이지를 순차적으로 확인하는 상황을 예측할 수 있다. 이렇게 예측된 상황에 의해 사후 판단 시 영향을 받는 것을 이용가능성 휴리스틱(Availability Heuristic)이라 한다. 제어부(130)는 이용가능성 휴리스틱을 기반으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 및 사용자가 순차적으로 확인할 것으로 예측되는 주변의 일정 영역 내에 포함된 하이퍼링크를 url을 추출할 하이퍼링크로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11, 12, 13 및 14) 중 제2 하이퍼링크(12)의 입력에 의하여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30)는 제2 하이퍼링크(12)의 하단 두 번째 행까지 범위 내의 하이퍼링크를 url을 추출할 하이퍼링크로 선택할 수 있다. 도 3의 예에서, 제어부(130)는 제3 하이퍼링크(13) 및 제4 하이퍼링크(12)에 대한 url을 추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서버로 url을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한다(234).
제어부(130)는 수집된 적어도 하나의 url에 대응하는 인터넷 페이지의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는 임의의 인터넷 통신 프로토콜(예를 들어, http, ftp, mailto, file, gopher, telnet, news 등)에 대응하는 형태로 생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퍼링크의 url이 http를 따르는 경우, 제어부(130)는 요청 메시지로써 http 스펙에 정의된 request 메시지를 생성할 수 있다. 요청 메시지는 추출된 하이퍼링크의 url, url 프로토콜 버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가 복수의 하이퍼링크에 대한 url을 추출한 경우, 요청 메시지는 복수의 url을 포함하여 생성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생성된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한다. 제어부(130)는 요청 메시지를 통하여 서버로 해당 url에 대응하는 인터넷 페이지에 관한 데이터를 전송해줄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실시 예에서, 제2 하이퍼링크(12)에 대한 입력에 의하여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이벤트가 발생한 경우, 제어부(130)는 제2 하이퍼링크(12)의 url을 포함하는 요청 메시지를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서버로부터 인터넷 페이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235).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하여 서버로부터 요청 메시지에 대한 응답 메시지를 수신한다. 응답 메시지는 요청 메시지에 포함된 url에 대응하는 인터넷 페이지에 관한 정보로써, HTML(또는 XHTML), CSS, 자바스크립트 등의 코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가 해당 url에 대응하는 인터넷 페이지에 관한 데이터를 찾을 수 없는 경우, 응답 메시지는 검색 불가에 관한 오류 메시지를 포함할 수도 있다.
요청 메시지가 복수의 url을 포함하는 경우, 응답 메시지는 복수의 인터넷 페이지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부(130)는 수신된 응답 메시지에 포함된 인터넷 페이지에 관한 데이터를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에 저장된 인터넷 페이지에 관한 데이터는, 추후 미리 보기 화면으로부터 사용자가 해당 인터넷 페이지를 실질적으로 확인하고자 하는 경우, 추가 로드 없이 해당 인터넷 페이지를 브라우저상에 표시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대상(object)을 추출한다(236).
제어부(130)는 수신된 인터넷 페이지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미리 보기 화면에 보여질 포커스 영역, 미리 보기 대상을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인터넷 페이지의 일부 영역 또는 일부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미리 보기 대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인터넷 페이지의 상단 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미리 보기 대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인터넷 페이지의 body 영역 또는 메인 프레임 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미리 보기 대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이때, 추출되는 영역의 크기는 미리 보기 화면의 크기에 대응하여 결정될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의 크기는 표시부(150)의 크기, 해상도,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할 서브 프레임의 크기 등을 기초로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인터넷 페이지가 임의의 게시물(예를 들어, 뉴스, 블로그 포스트, 메일 등)을 포함하는 경우, 해당 게시물의 타이틀 및 본문 상단의 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미리 보기 대상으로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2 하이퍼링크(12)에 의하여 연결된 인터넷 페이지가 뉴스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뉴스의 제목 및 본문 상단의 일부 영역(20)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미리 보기 영역으로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수신된 인터넷 페이지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텍스트만을 미리 보기 대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이 이미지나 동영상 등을 포함하는 경우에,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미지 또는 동영상 로드를 위해 자원과 시간이 많이 소모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로드에 상대적으로 적은 자원과 시간이 소모되는 텍스트만을 미리 보기 대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수신된 인터넷 페이지에 관한 데이터가 인터넷 페이지의 HTML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제어부(130)는 HTML 코드의 title 및/또는 body 부분의 태그 부분을 제외한 텍스트 부분만을 미리 보기 대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30)는 중앙 프레임 영역의 HTML 코드 중에서 텍스트 부분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5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제2 하이퍼링크(12)에 의하여 연결된 인터넷 페이지의 HTML 코드 중, title 및 body 내에서 이미지 또는 자바 스크립트를 제외한 텍스트 부분, 즉 "30만원대 스마트폰 등장", "일부 온라인 휴대전화… " 부분을 미리 보기 대상으로 추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미리 보기 대상의 몇 가지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구현하기에 따라 제어부(130)는 다양한 미리 보기 대상을 추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추출된 미리 보기 대상에 관한 정보를 임시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부(140)에 저장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한다(237).
제어부(130)는 추출된 미리 보기 대상을 기초로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한다. 복수 개의 인터넷 페이지에 대하여 복수 개의 미리 보기 대상이 추출된 경우, 제어부(130)는 복수의 미리 보기 대상 각각에 대하여 복수 개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가 인터넷 페이지의 일부 영역 또는 일부 프레임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미리 보기 대상으로 추출한 경우, 제어부(130)는 추출된 일부 영역 또는 일부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이퍼링크(12)에 의하여 연결된 전체 인터넷 페이지 중 뉴스의 타이틀 및 본문 상단의 일부 영역(20)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미리 보기 대상으로 추출한 경우, 제어부(130)는 추출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뉴스의 타이틀 및 본문 상단의 일부 영역(20)으로 구성되는 제2 하이퍼링크(12)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가 수신된 인터넷 페이지에 관한 데이터로부터 텍스트만을 미리 보기 대상으로 추출한 경우, 제어부(130)는 추출된 텍스트로 구성되는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이퍼링크(12)에 의하여 연결된 인터넷 페이지의 HTML 코드에서 title 및 body 영역의 텍스트만을 추출한 경우, 제어부(13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출된 텍스트로 구성되는 제2 하이퍼링크(12)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은 미리 설정된 크기에 따라 생성될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의 크기는 표시부(150)의 크기, 해상도,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할 서브 프레임의 크기 등을 기초로 미리 설정된 크기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과정에 따라, 미리 보기 화면 생성이 완료되면,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한다(240).
제어부(130)는 생성된 미리 보기 화면을 브라우저의 일 영역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팝업, 화면 분할, 슬라이드 이동, 커튼 창, 서브 프레임 등의 효과에 따라 브라우저상의 일 영역에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복수의 하이퍼링크에 대한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이 발생하여, 복수의 미리 보기 화면이 생성된 경우, 제어부(130)는 특정한 배열, 위치에 따라 브라우저상에 복수의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실시 예에서, 제2 하이퍼링크(12) 하나에 대한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이 발생한 경우, 제어부(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성된 제2 하이퍼링크(12)의 미리 보기 화면(31)을 제2 하이퍼링크(12)의 주변 영역에 팝업 효과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제2 하이퍼링크(12)를 포함한 복수의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이 발생하거나, 이용가능성 휴리스틱을 기반으로 하여 제2 하이퍼링크(12) 주변 하이퍼링크에 대해 복수의 미리 보기 화면이 생성된 경우, 제어부(130)는 생성된 복수의 미리 보기 하면을 각각의 하이퍼링크 주변 영역에 팝업 효과에 따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브라우저의 일 영역에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서브 프레임을 구성하고, 서브 프레임에 생성된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표시부(150)의 화면 표시 모드를 판단한다(241).
제어부(130)는 표시부(150)의 화면 표시 모드가 세로 모드인지 또는 가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화면 표시 모드는 사용자의 설정 또는 자이로 센서 등에 의하여 감지된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100)의 회전 상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브라우저상에 서브 프레임을 구성한다(242).
제어부(130)는 판단된 화면 표시 모드에 따라 브라우저의 일부 영역에 미리 보기 화면을 위한 서브 프레임을 구성할 수 있다. 서브 프레임은 브라우저의 여백 영역에 구성될 수 있으며, 표시부(150)의 크기, 해상도, 미리 보기 화면의 수 등에 따라 임의의 형태, 배열,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실시 예에서, 복수 개의 하이퍼링크에 대한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이 감지되거나, 이용가능성 휴리스틱을 기반으로 복수 개의 하이퍼링크가 선택된 경우, 제어부(130)는 복수 개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할 수 있다. 화면 표시 모드가 세로 모드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30)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우저의 하단 일부 영역에 복수 개의 서브 프레임(31, 32, 33)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표시부(150)의 크기를 고려하여 복수 개의 서브 프레임(31, 32, 33)을 중첩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브라우저 하단 일부 영역에 서브 프레임을 구성함에 따라,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할 메인 프레임의 크기를 축소하여 조정할 수 있다. 또는, 화면 표시 모드가 가로 모드로 판단된 경우, 제어부(13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우저 우측(또는 좌측)의 여백 영역에 복수 개의 서브 프레임(31, 32, 33)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30)는 위에서 아래로 복수 개의 서브 프레임(31, 32, 33)을 순차 배열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부(130)는 서브 프레임 각각에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한다(243).
제어부(13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라우저상에 구성된 복수 개의 서브 프레임(31, 32, 33) 각각에 생성된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한다. 제어부(130)는 인터넷 페이지 내에서 하이퍼링크가 표시된 순서, 미리 보기 화면 요청이 감지된 하이퍼링크로부터의 표시된 거리 순서 등에 따라 구성된 서브 프레임에 미리 보기 화면을 배치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에 대응하는 하이퍼링크를 화살표, 하이라이트 그 밖의 인디케이터로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10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에 대한 미리 보기 화면을 텍스트 또는 인터넷 사이트의 일부 영역 등 다양한 대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100)는 팝업, 또는 화면 표시 모드에 따라 구성된 서브 프레임에 복수 개의 미리 보기 화면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한다.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250).
제어부(130)는 입력부(110)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표시부(150)를 통하여 브라우저상에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입력부(110) 또는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되는 표시부(150)는 브라우저가 표시된 상태에서 브라우저에 대한 사용자 입력이 감지되면, 이에 대응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제어부(130)로 전달할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사용자 입력이 감지된 위치, 사용자 입력을 발생시킨 입력 수단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 펜 등), 입력의 유형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터치 입력, 근접 입력, 호버링 입력, 스타일러스 펜에 구비되는 버튼 등의 조작 상태 등에 관한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입력부(110) 또는 표시부(150)로부터 전달된 제어 신호를 기초로, 감지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획득된 사용자 입력에 대한 정보를 기초로, 미리 보기 화면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부(130)는 사용자 입력이 발생한 위치가 미리 보기 화면이 표시된 위치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사용자 입력이 미리 보기 화면이 표시된 위치에서 발생한 경우,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에 대한 입력이 감지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에 대한 입력은, 예를 들어, 미리 보기 화면에 대한 더블 클릭, 미리 보기 화면에 대한 드래그 앤 드롭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미리 보기 화면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면,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에 대응하는 인터넷 페이지를 브라우저에 표시할 수 있다(260).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에 대응하는 인터넷 페이지를 브라우저상에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한다. 미리 보기 화면에 대응하는 인터넷 페이지는 상기의 서버로부터 인터넷 페이지에 관한 데이터를 수신하는 과정에서 미리 수신되어 저장부(150)에 저장된 데이터를 기초로 표시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기 위하여 이전에 수신된 인터넷 페이지에 관한 데이터를 이용하여, 추가적인 수신이나 로드 과정 없이 미리 보기 화면에 대응하는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에 대응하는 인터넷 페이지를, 브라우저의 중심 프레임, 즉 기존에 다른 인터넷 페이지가 표시된 프레임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서브 프레임(31, 32, 33) 중 어느 한 서브 프레임에 표시된 미리 보기 화면에 대한 입력이 발생한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보기 화면이 표시되어있던 서브 프레임(31)에 기존에 표시된 다른 인터넷 페이지의 미리 보기 화면(31`)을 표시할 수 있다. 동시에, 제어부(130)는 입력이 발생한 미리 보기 화면에 대응하는 인터넷 페이지를 기존의 다른 인터넷 페이지가 표시되어있던 위치에 표시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어부(130)는 입력이 감지된 미리 보기 화면에 대응하는 인터넷 페이지와 이전에 표시되어 있던 인터넷 페이지를 체인징하여, 사용자가 작업중이던 화면을 하나의 브라우저 내에서 동시에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에 대응하는 영역을 하이라이트로 표시하도록 표시부(15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30)가 전체 인터넷 페이지 중 일부 영역으로 구성된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여 표시한 경우, 제어부(130)는 미리 보기 화면을 구성한 인터넷 페이지의 일부 영역에 하이라이트를 적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하이라이트는 일부 영역에 대한 테두리, 음영, 강조 기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 110: 통신부
120: 입력부 130: 제어부
140: 저장부 150: 표시부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으로서,
    브라우저상에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인터넷 페이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에 대한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 각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브라우저의 일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서버로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에 의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인터넷 페이지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넷 페이지의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넷 페이지의 상기 특정 영역으로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로부터 텍스트 부분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부분만으로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인터넷 페이지의 가독성을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는 단계;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가동성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하이퍼링크의 url을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된 url을 포함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상기 브라우저의 일 영역에 팝업, 화면 분할, 슬라이드 이동, 커튼 창, 서브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에 따라 상기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브라우저상의 일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각각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는,
    화면 표시 모드가 가로 모드인지 또는 세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 표시 모드에 따라 상기 브라우저의 여백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미리 보기 화면의 인터넷 페이지를 상기 브라우저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11.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로써,
    브라우저상에 인터넷 페이지를 표시하는 표시부;
    상기 인터넷 페이지를 구성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에 대한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요청을 감지하는 입력부;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요청이 감지되면,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 각각에 대한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고, 상기 브라우저의 일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서버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통신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에 의해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인터넷 페이지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요청하는 요청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데이터를 이용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로부터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넷 페이지의 특정 영역에 대응하는 데이터를 추출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인터넷 페이지의 상기 특정 영역으로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로부터 텍스트 부분을 추출하고, 상기 텍스트 부분만으로 구성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인터넷 페이지의 가독성을 미리 설정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상기 비교 결과, 상기 가동성이 상기 미리 설정된 임계값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청에 대응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하이퍼링크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다른 하이퍼링크의 url을 추출하고, 상기 추출된 url을 포함한 상기 요청 메시지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
  17. 제11항에 있어서, 표시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상기 브라우저의 일 영역에 팝업, 화면 분할, 슬라이드 이동, 커튼 창, 서브 프레임 중 적어도 하나의 효과에 따라 상기 미리 보기 화면을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브라우저상의 일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구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을 각각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화면 표시 모드가 가로 모드인지 또는 세로 모드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화면 표시 모드에 따라 상기 브라우저의 여백 영역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브 프레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
  20.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미리 보기 화면에 대한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입력에 대응하는 미리 보기 화면의 인터넷 페이지를 상기 브라우저에 표시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장치.
KR1020130029220A 2013-03-19 2013-03-19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KR20140114645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220A KR20140114645A (ko) 2013-03-19 2013-03-19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US14/202,678 US20140289597A1 (en) 2013-03-19 2014-03-10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preview screen of hyperlink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9220A KR20140114645A (ko) 2013-03-19 2013-03-19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4645A true KR20140114645A (ko) 2014-09-29

Family

ID=51570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9220A KR20140114645A (ko) 2013-03-19 2013-03-19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40289597A1 (ko)
KR (1) KR20140114645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628A (ko) * 2018-04-05 2019-10-1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섬네일 이미지의 효율적 갱신 처리가 가능한 프레젠테이션 문서 편집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82146B1 (ko) * 2019-03-06 2020-02-27 최연우 로또복권 추천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2188297A1 (zh) * 2021-03-10 2022-09-15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请求处理方法、装置和介质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12446B2 (en) * 2013-03-15 2019-09-10 DISH Technologies L.L.C. Television content management with integrated third party interface
CN103353886B (zh) * 2013-06-28 2017-11-07 优视科技有限公司 预览网页的方法及系统
WO2015089819A1 (en) * 2013-12-20 2015-06-25 Orange Method for selecting an electronic content to be displayed on a display of an electronic device
US10320746B2 (en) * 2014-05-12 2019-06-11 Michael C. Wood Computer security system and method based on user-intended final destination
US9537811B2 (en) 2014-10-02 2017-01-03 Snap Inc. Ephemeral gallery of ephemeral messages
US9396354B1 (en) 2014-05-28 2016-07-19 Snapchat,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automated privacy protection in distributed images
US10528597B2 (en) 2014-09-28 2020-01-0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Graph-driven authoring in productivity tools
US10210146B2 (en) 2014-09-28 2019-02-19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ductivity tools for content authoring
US10402061B2 (en) * 2014-09-28 2019-09-0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Productivity tools for content authoring
US10284508B1 (en) * 2014-10-02 2019-05-07 Snap Inc. Ephemeral gallery of ephemeral messages with opt-in permanence
US9385983B1 (en) 2014-12-19 2016-07-05 Snapchat, Inc. Gallery of messages from individuals with a shared interest
US10311916B2 (en) 2014-12-19 2019-06-04 Snap Inc. Gallery of videos set to an audio time line
KR102371138B1 (ko) 2015-03-18 2022-03-10 스냅 인코포레이티드 지오-펜스 인가 프로비저닝
US11209972B2 (en) * 2015-09-02 2021-12-28 D&M Holdings, Inc. Combined tablet screen drag-and-drop interface
US11113022B2 (en) 2015-05-12 2021-09-07 D&M Holdings, Inc. Method, system and interface for controlling a subwoofer in a networked audio system
US10635299B2 (en) * 2016-06-10 2020-04-28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windows in split screen mode
CN106156274A (zh) * 2016-06-23 2016-11-23 北京金山安全软件有限公司 页面内容加载方法、装置及电子设备
CN107016010A (zh) * 2016-06-30 2017-08-04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超链接对象的处理方法和装置
US10783208B1 (en) * 2018-03-19 2020-09-22 Amazon Technologies, Inc. Server-side and client-side unfurling of resource locators
US11347756B2 (en) 2019-08-26 2022-05-31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ep command search within and across applications
US11900046B2 (en) * 2020-08-07 2024-02-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Intelligent feature identification and present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05514A1 (en) * 2002-06-28 2004-10-14 Microsoft Corporation Hyperlink preview utility and method
US20080022229A1 (en) * 2005-12-23 2008-01-24 Soujanya Bhumkar Methods and systems for enhancing internet experiences using previews
US7917507B2 (en) * 2007-02-12 2011-03-29 Microsoft Corporation Web data usage platform
JP4631925B2 (ja) * 2008-04-17 2011-02-16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US20090313100A1 (en) * 2008-06-11 2009-12-17 Yahoo! Inc. System and method for previewing search results
US8319800B2 (en) * 2010-03-22 2012-11-27 Google Inc. Systems and methods for displaying fixed-scale content on mobile devices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6628A (ko) * 2018-04-05 2019-10-15 주식회사 한글과컴퓨터 섬네일 이미지의 효율적 갱신 처리가 가능한 프레젠테이션 문서 편집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082146B1 (ko) * 2019-03-06 2020-02-27 최연우 로또복권 추천번호 제공 방법 및 장치
WO2022188297A1 (zh) * 2021-03-10 2022-09-15 北京搜狗科技发展有限公司 请求处理方法、装置和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40289597A1 (en) 2014-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114645A (ko) 하이퍼링크의 미리 보기 화면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US8307279B1 (en) Smooth zooming in web applications
US20110022957A1 (en) Web browsing method and web browsing device
US828607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fficiently displaying web contents
JP6130335B2 (ja) 情報表示プログラム、配信装置、情報表示方法および情報表示装置
US9298341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witching split view in portable terminal
US918956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user interface for internet service
US84480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portioned web pages in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20150227308A1 (en) User terminal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thereof
KR20140028029A (ko) 애플리케이션 타일용 프레젠테이션 포맷 기법
CN109388463B (zh) 平板电脑应用软件的分屏显示方法、存储介质及平板电脑
JP6255495B2 (ja) ブラウザリソースの表示方法及び装置、並びに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KR20140097820A (ko) 전자장치에서 웹페이지 내의 특정 객체의 속성을 조절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4149860A (ja) 携帯型多機能端末の情報表示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情報表示システム、並びに携帯型多機能端末
EP2437184A1 (en) Host apparatus and method of displaying content by the same
KR20140132938A (ko) 웹 페이지 표시 방법 및 그 장치
US20100251087A1 (en) Information browse apparatus
WO2014031011A1 (en) Website building tool
US20150254262A1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links
KR20190068092A (ko) 웹 브라우저 표시 장치 및 웹 브라우저 표시 방법
JP2014164736A (ja) ウェブページ閲覧装置及びプログラム
KR20110028041A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한 모바일 단말 및 그의 웹 페이지 드래그 방법
KR101313242B1 (ko) 웹페이지 제공방법 및 시스템
JP6577731B2 (ja) 端末装置、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7107290A (ja) 表示システム、表示端末、表示方法、および表示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