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206A - 키보드장치 - Google Patents

키보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206A
KR20190067206A KR1020197013261A KR20197013261A KR20190067206A KR 20190067206 A KR20190067206 A KR 20190067206A KR 1020197013261 A KR1020197013261 A KR 1020197013261A KR 20197013261 A KR20197013261 A KR 20197013261A KR 20190067206 A KR20190067206 A KR 201900672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threshold value
data
address
memo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0548B1 (ko
Inventor
타카토시 사토
유이치 토요사와
Original Assignee
토프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토프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토프레 코포레이션
Priority to KR10202270234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01212A/ko
Publication of KR20190067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0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0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G06F3/0238Programmable keyboar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02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input devi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2Input arrangements using manually operated switches, e.g. using keyboards or dials
    • G06F3/023Arrangements for converting discrete items of information into a coded form, e.g. arrangements for interpreting keyboard generated codes as alphanumeric codes, operand codes or instruction c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7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having a plurality of operating members associated with different sets of contacts, e.g. key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6/00Switches actuated by change of magnetic field or of electric field, e.g. by change of relative position of magnet and switch, by shield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11/00Coding in connection with keyboards or like devices, i.e. coding of the position of operated keys
    • H03M11/20Dynamic coding, i.e. by key scan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es That Are Operated By Magnetic Or Electric Field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여러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에 맞출 수 있는 응답성 좋은 키보드장치를 제공한다. 복수의 키(key)로 구성되며, 키-번지가 달린 키-군(10)과, 복수의 키의 각 키마다 키의 압하(押下) 유무를 결정하기 위한 역치데이터를 키-번지에 대응하는 메모리번지에 쓰기 및 읽기 가능한 메모리(13)와, 선택된 키-번지에 대응하는 키의 용량을 검출하는 키-용량검출부(15)와, 키-용량검출부에서 검출된 키의 용량을 전압으로 변환하는 용량전압변환부와, 선택된 키-번지에 대응하는 메모리내의 메모리번지의 역치데이터를 읽어내어 역치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16)와, 데이터변환부의 아날로그 데이터와 용량전압변환부의 전압을 비교하여 키의 압하 유무를 판단하는 압하판단부(18)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키보드장치
본 발명은 키(key)-군(群)의 각 키의 온(ON) 인식 위치를 가변할 수 있는 키보드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키보드장치에 있어서, 키 입력시의 키-·스트로크는 어떤 키에서도 일정하였다. 최근, 키보드의 니즈(needs)도 다양화되어, 예를 들어 게임 등을 전용으로 취급하는 게이머는, 게임 플레이 중 재빠른 조작이 필요하여, 키의 압하(押下; 누름) 스트로크를 짧게 하거나, 키의 온(ON) 인식 위치(키의 압하 유무를 결정하는 역치)를 통상보다 위로(얕게) 하는 것을 선호한다.
특허문헌1에는, 키의 압하 유무를 온 인식 위치로 변경할 수 있는 키-스위치를 사용한 정전용량식 키보드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1: 특개소62-144220호 공보
그러나, 게이머는 키-·스트로크가 다른 키보드를 게임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
또한, 특허문헌1에서는, 키보드의 모든 키에 대해 키-온 인식 위치를 일괄하여 변경할 수 밖에 없으며, 각 키마다 온 인식 위치를 변경할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각 키마다 온 인식 위치를 가변·조정하여, 하나의 키보드로 여러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에 맞출 수 있는 응답성 좋은 키보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키보드장치는, 복수의 키로 되어 키-번지가 달린 키-군(群)과, 상기 복수의 키의 각 키마다 상기 키의 압하 유무를 결정하기 위한 역치데이터를 상기 키-번지에 대응하는 메모리번지에 쓰기 및 읽기 가능한 메모리와, 선택된 상기 키-번지에 대응하는 상기 키의 용량을 검출하는 키-용량검출부와, 선택된 상기 키-용량검출부에서 검출한 상기 키의 용량을 전압으로 변환하는 용량전압변환부와, 선택된 상기 키-번지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리내의 메모리번지의 역치데이터를 읽어내어 상기 역치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와, 상기 데이터변환부의 아날로그 데이터와 상기 용량전압변환부의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키의 압하 유무를 판단하는 압하판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키보드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키의 각 키마다 키의 압하 유무를 결정하기 위한 역치데이터를 설정하고, 데이터변환부가 역치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고, 압하판단부가 데이터변환부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와 용량전압변환부로부터의 전압을 비교하여 키의 압하 유무를 판단한다. 즉, 키의 압하 유무를 판단하고 키의 압하 유무를 결정하는 역치를 변경함으로써 키의 온(ON) 인식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용자가 각 키마다 온 인식 위치를 가변·조정할 수 있고, 하나의 키보드로 여러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에 맞출 수 있는 응답성 좋은 키보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키보드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 1의 키보드장치의 통상 사용 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3은 실시예 1의 키보드장치의 사용자 역치 선택 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의 키보드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예 2의 키보드장치의 출하 시, 개별설정 시의 처리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키보드장치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의 키보드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키보드장치(1)는 정전용량(아날로그 값)의 변화에 따라 키의 압하 유무를 판단하고, 키의 압하 유무를 결정하는 역치를 변경함으로써 키의 온 인식 위치를 변경하는 것이다.
키보드장치(1)는 키-군(10), 키-·스캔검출부(11), 플래시·메모리(12), 랜덤액세스메모리(RAM)(13), 키-·스캔제어부(14), 키-용량검출부(15), C-V변환부(용량전압변환부)(16), 역치스캔부·D/A변환부(17), 압하판단부(18), 역치설정전환부(19), 키-·코드변환부(20), 통신제어부(21)를 구비하고 있다.
플래시·메모리(12), RAM(13), 키·스캔제어부(14), 역치스캔부·D/A변환부(17), 키-·코드변환부(20), 통신제어부(21)는 중앙처리장치(CPU)(2)내에 설치되어 있다.
키-군(10)은 전기회로적으로 (m행×n열)개의 키를 구비하고, 각 키에 대응하는 각 키-번지가 붙어 있다. 플래시·메모리(12)는 비휘발성 메모리이며, 키-군(10)의 (m행×n열)개의 키의 각각에 대하여, 키의 온 인식 위치에 대한 역치데이터(역치레벨)를 미리 저장한다. RAM(13)은 전원 기동 시에 플래시·메모리(12)에 기억된 각 키의 역치데이터를 읽어내어 각 키의 역치데이터를 각 키-번지에 대응하는 각 메모리번지에 저장한다.
키-·스캔제어부(14)는 키-군(10)에서 해당 키-번지를 선택하고, 선택된 해당 키-번지에 대응하는 메모리번지내의 역치데이터를 RAM(13)에서 검출한다. 키-·스캔검출부(11)는 키-군(10)을 상시 스캔하여 키-·스캔제어부(14)에서 선택된 키-번지를 검출한다. 키-용량검출부(15)는 키-·스캔검출부(11)에서 검출된 키-번지의 키의 용량을 검출한다.
C-V변환부(16)는 키-용량검출부(15)에서 검출된 키의 용량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압하판단부(18)에 출력한다. 역치스캔부·D/A변환부(17)는 키-·스캔제어부(14)에서 선택된 RAM(13)의 메모리번지에서 키의 디지털 역치를 읽어내고 디지털 역치를 아날로그 역치로 변환하여 압하판단부(18)에 출력한다.
압하판단부(18)는 C-V변환부(16)에서의 전압이 역치스캔부·D/A변환부(17)에서의 역치 이상이 되었을 경우에는 키-압하있음(키-온)라고 판단하고, 상기 전압이 상기 역치 미만인 경우에는 키-압하없음(키 오프)으로 판단하여, 키의 압하 유무 데이터를 역치설정전환부(19)에 출력한다.
역치설정전환부(19)는 통상시에는 압하판단부(18)에서의 키의 압하 유무 데이터를 키-코드변환부(20)에 출력하고, 키보드장치의 출하시, 개별설정시에는 압하판단부(18)에서의 키-온(ON) 시의 역치레벨을 역치스캔부·D/A변환부(17)를 통해 RAM(13)에 기록한다.
키-코드변환부(20)는 역치설정전환부(19)의 키에 대응하는 키-코드를 통신제어부(21)에 출력한다.
키보드장치(1)는 퍼스널컴퓨터(PC)(3)에 접속되고, PC(3)는 통신제어부(31), 역치제어부(32), HID(Human Interface Device)드라이버(33)를 갖는다. 통신제어부(31)는 키보드장치(1)내의 통신제어부(21)와 통신을 수행한다. 역치제어부(32)는 사용자가 역치를 선택한 경우, 선택된 역치를 통신제어부(31)를 통해 키보드장치(1)의 통신제어부(21)에 출력한다.
실시예 1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1의 키보드장치의 처리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전원 기동시, 역치 선택시, 역치의 편집 변경시의 처리를 설명한다.
전원 기동시, CPU(2)는 플래시·메모리(12)에 직전에 저장된 키-군(10)의 각 키의 온(ON) 인식 위치에 대한 역치데이터를 RAM(13)에 읽어낸다.
또한, 사용자가 다른 역치데이터를 선택한 경우에도, CPU(2)는 플래시·메모리(12)에 저장된 각 키의 온 인식 위치에 대한 역치데이터를 RAM(13)에 읽어낸다. 역치데이터로는 예를 들어, 키 스트로크를 얕게 하기 위한 작은 역치, 중간 정도의 스트로크를 위한 중간 역치, 깊은 스트로크를 위한 큰 역치를 예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3개의 역치 중 하나를 선택한다.
사용자가 임의로 선택한 역치 변경 데이터를 RAM(13)에 저장한 경우, CPU(2)는 RAM(13)내의 역치 변경 데이터를 플래시·메모리(12)의 역치저장영역(개별)에 기록한다. 또한, 사용자가 역치데이터를 편집하고 있는 경우, CPU(2)는 RAM(13)내에서만 역치데이터를 갱신하고, 저장명령을 내릴 때까지 플래시·메모리(12)로의 데이터의 갱신을 수행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통상 사용시의 동작을 도 2에 나타낸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플래시·메모리(12)의 역치저장영역의 역치데이터를 RAM(13)의 역치편집변경영역에 읽어내어, 키-번지 mjnk의 키-코드를 출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플래시·메모리(12)의 해당 키-번지 mjnk의 역치레벨이 m으로, RAM(13)에 출력한 예를 나타낸다.
우선, 키-·스캔제어부(14)는 키-군(10)에서 해당 키-번지를 선택한다(단계S11). 다음으로, 키-·스캔제어부(14)는 선택된 해당 키-번지에 대응하는 RAM(13)의 메모리번지의 역치데이터를 검출한다(단계S12).
다음으로, 키-스캔검출부(11)는 키-군(10)을 스캔하여 키-·스캔제어부(14)에서 선택된 해당 키-번지를 검출한다(단계S13). 나아가, 키-용량검출부(15)는 해당 키-번지의 키의 용량값을 검출한다(단계S14). C-V변환부(16)는 키-용량검출부(15)에서 검출된 해당 키의 용량값을 전압값 V1으로 변환한다(단계S15).
나아가, 역치스캔부·D/A변환부(17)는 키-·스캔제어부(14)에서 선택된 RAM(13)내의 메모리번지로부터 키의 디지털 역치레벨을 읽어내고(단계S16), 디지털 역치레벨 m을 분해능(分解能) y비트로 나누어 얻은 값에 전체 스팬 전압값 V를 곱함으로써 아날로그 역치전압값 V2=V*(m/y비트)를 산출하여, 압하판단부(18)에 출력한다(단계S17).
또한, 압하판단부(18)는 해당 키의 전압값 V1과 해당 키의 역치전압값 V2를 비교하여(단계S18), V1≥V2인 경우에는 해당 키의 온(ON) 신호를 출력한다(단계S19). V1≥V2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S11의 처리로 돌아가 단계S11~S18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으로, 역치설정전환부(19)는 압하판단부(18)로부터 키의 온오프 출력을 입력받고, 통상 사용시에는 키-코드변환부(20)에 해당 키의 온 신호를 통신제어부(21)를 통해 PC(3)에 출력한다. 키-코드변환부(20)는 해당 키를 코드 변환하고 키-코드를 통신제어부(21)를 통해 PC(3)에 출력한다(단계S20).
이와 같이, 실시예 1의 키보드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키의 각 키마다 키 압하 유무를 결정하기 위한 역치데이터를 설정하고, D/A변환부(17)가 역치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고, 압하판단부(18)가 D/A변환부(17)로부터의 아날로그 데이터와 C-V변환부(16)로부터의 전압을 비교하여 키의 압하 유무를 판단한다. 즉, 키 압하의 유무를 판단하고, 키 압하 유무를 결정하는 역치를 변경함으로써 키의 온 인식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각 키마다 온 인식 위치를 가변·조정할 수 있고, 하나의 키보드로 임의의 키에 대하여 얕은 스트로크, 깊은 스트로크 설정을 실현할 수 있어, 여러 종류의 애플리케이션에 맞는 응답성 좋은 키보드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키의 역치레벨을 각 키에 대하여 y비트(분해능) 단계로 세분화하고 있기 때문에, 모든 키를 일률적으로 역치 가변하는 방식에 비해, 원하는 키의 온 인식 위치를 자유롭게 설정 변경할 수 있어, 게임 등의 애플리케이션에서의 미묘한 키 조작 대응에 융통성이 늘어난다. 또한, 모든 키에 대해 개별적으로 키 온 인식 위치를 무단계(無段階)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플래시·메모리(12)에 역치를 기억하고 있기 때문에, 전원을 차단해도 새로운 역치를 갱신하지 않으면 역치는 기억된다. 또한, 키 구조가 잠재적으로 가지는 기계적, 전기적인 개체차이를 흡수하여 안정·고정밀의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더욱이, 정전용량형 키보드가 잠재적으로 가지는 정전용량의 개체차이를 유연하게 흡수할 수 있고 대응 가능해진다.
(사용자 역치 선택시의 처리)
다음으로, 도 3을 참조하면서 사용자 역치 선택시의 처리를 설명한다. 도 3은 사용자가 PC(3)에서 플래시·메모리(12)의 역치저장영역의 설정을 선택하고, 그 설정값을 RAM(13)의 역치편집변경영역에 읽어 들이고, 키-번지 mjnk의 키-코드를 출력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플래시·메모리(12)의 해당 키-번지 mjnk의 역치레벨이 k로 RAM(13)에 출력한 예를 나타낸다.
우선 PC(3)의 역치제어부(32)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역치는 통신제어부(31)를 통해 통신제어부(21)에 전송된다. 이 역치는 예를 들어, 키 스트로크를 얕게 하는 작은 역치, 중간 스트로크로 하기 위한 중간 역치, 깊은 스트로크로 하기 위한 큰 역치를 예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들 3개의 역치 중 하나를 선택한다.
통신제어부(21)는 선택된 역치에 따라 복수의 플래시·메모리(12-1~12-(n+1)) 중에서 선택된 역치를 갖는 플래시·메모리(12)를 선택한다(단계S11a). 다음으로, 통신제어부(21)는 선택된 플래시·메모리(12)의 모든 데이터를 RAM(13)에 읽어낸다(단계S12a).
다음으로, 키-스캔검출부(11)는 키-군(10)을 스캔하여 키-·스캔제어부(14)에서 선택된 해당 키-번지를 검출한다(단계S13). 또한 키-용량검출부(15)는 해당 키-번지의 키 용량값을 검출한다(단계S14). C-V변환부(16)는 키-용량검출부(15)에서 검출된 해당 키의 용량값을 전압값 V1으로 변환한다(단계S15).
나아가, 역치스캔부·D/A변환부(17)는 키-·스캔제어부(14)에서 선택된 RAM(13)내의 메모리번지로부터 키의 디지털 역치레벨을 읽어낸다(단계S16), 디지털 역치레벨 k를 분해능 y비트로 나누어 얻은 값에 전체 스팬 전압값 V를 곱함으로써 아날로그 역치전압값 V2=V*(k/y비트)를 산출하여 압하판단부(18)에 출력한다(단계S17).
나아가, 압하판단부(18)는 해당 키의 전압값 V1와 해당 키의 역치전압값 V2를 비교하고(단계S18), V1≥V2인 경우에는 해당 키의 온 신호를 출력한다(단계S19). V1≥V2가 아닌 경우에는 단계S11a의 처리로 돌아가, 단계S11a~S18의 처리를 반복한다.
다음으로, 역치설정전환부(19)는 압하판단부(18)로부터 키의 온오프 출력을 입력받고, 통상 사용시에는 키-코드변환부(20)에 해당 키의 온 신호를 출력한다. 키-코드변환부(20)는 해당 키를 코드로 변환하고, 키-코드를 통신제어부(21)를 통해 PC(3)에 출력한다(단계S20).
이에 따르면, 모든 키 각각에 대해 키의 역치를 사용자가 선택결정할 수 있다. 또한, 모든 키 각각에 키의 역치를 복수 기억할 수 있다.
실시예 2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키보드장치의 구성 블록도이다. 각각의 키는 구조적으로 개체차이가 있기 때문에, 같은 두께의 스페이서를 모든 키에 삽입하고 모든 키를 눌렀을 때, 어떤 키는 예를 들어, 3레벨, 다른 키는 2레벨과 같이 키마다 온 인식 위치가 다르다. 이에, 실시예 2의 키보드장치는 같은 두께의 스페이서를 모든 키에 삽입하고 모든 키를 눌렀을 때 키마다 온 인식 위치에 대응하는 역치를 구하고, 키 개체차이를 흡수하도록 한 것이다.
이 예에서는, 3가지 다른 두께를 갖는 스페이서의 각각에 대해 역치를 구한다. 예를 들면, 키를 1.5mm 스트로크로 하기 위한 두꺼운 스페이서, 예를 들어 키를 2.2mm 스트로크로 하기 위한 중간 두께의 스페이서, 예를 들어 키를 3.0mm 스트로크로 하기 위한 얇은 스페이서의 각각을 순서대로 키에 삽입하여 역치를 구한다.
실시예 2의 키보드장치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키보드장치에 대하여 역치레벨감산부(22)를 구비하고 있다. 역치레벨감산부(22)는, 스페이서를 모든 키에 삽입하여 전체 키를 눌렀을 때, 큰 역치레벨에서 작은 역치까지 순서대로 역치레벨을 감산하고, 감산된 역치레벨을 역치스캔부·D/A변환부(17)에 출력한다.
다음으로, 도 5에 도시된 플로우차트를 참조하여 실시예 2의 키보드장치의 출하시, 개별설정시의 처리를 설명한다. 여기에서는 해당 키-번지의 역치레벨 N은 x로, V2=V1이 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먼저, 역치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스페이서를 키보드에 삽입한다(단계S11b). 다음으로, RAM(13)내의 해당 키의 역치레벨 N을 N=y비트로 설정한다(단계S11c).
다음으로, 전체 키를 압하(押下)하여, 모든 키를, 역치레벨을 결정하기 위한 스페이서에 눌러 붙인다(押し付ける)(단계S12b). 다음으로, 키-스캔검출부(11)는 키-군(10)을 스캔하여 키-·스캔제어부(14)에서 선택된 해당 키-번지를 검출한다(단계S13). 나아가, 키-용량검출부(15)는 해당 키-번지의 키의 용량값을 검출한다(단계S14). C-V변환부(16)는 키-용량검출부(15)에서 검출된 해당 키의 용량값을 전압값 V1으로 변환한다(단계S15).
나아가, RAM(13)내의 해당 키-번지를 감지하고(단계S16a), 역치스캔부·D/A변환부(17)는 RAM(13)내의 해당 키-번지의 역치레벨을 읽어내고(단계S16c), 역치레벨 N을 D/A 변환하여 아날로그 역치전압값 V2=V*(1/y비트)를 산출하고, 아날로그 역치전압값 V2를 압하판단부(18)에 출력한다(단계S17a).
나아가, 압하판단부(18)는 해당 키의 전압 V1과 해당 키의 역치전압값 V2를 비교하고(단계S18a), V1=V2가 아닌 경우, 역치레벨감산부(22)는 RAM(13)내의 D/A값(역치레벨)을 하나 감산한다 (단계S16b). 또한, 역치의 초기값은 N이고, N=N-1의 감산 처리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단계S16a의 처리로 돌아가 단계S16a, 단계S16c, 단계S17a, 단계S18a, 단계S16b의 처리를 반복한다.
즉, 역치레벨감산부(22)는 RAM(13)내의 키의 역치레벨 N을 N, N-1, N-2, …, x, …3, 2, 1로 N을 1씩 감산해가서 역치레벨을 단계적으로 스캔하도록 하고, 역치전압 V2가 전압 V1의 값과 일치할 때까지 V2=V*(x/y비트)의 연산을 반복한다.
압하판단부(18)는, V1=V2이 된 경우, 역치설정전환부(19)는 전압 V1과 일치했을 때의 역치전압 V2에 대한 역치레벨 x를 스페이서의 역치레벨로서 RAM(13)내의 해당 키-어드레스에 역치레벨 x를 기억시킨다(단계S19b). 나아가, CPU(2)는 RAM(13)의 역치레벨 x를 플래시·메모리(12)의 역치저장영역 또는 역치저장영역(개별)의 해당 번지에 저장한다(단계S19c).
이와 같은 실시예 2의 키보드장치에 의하면, 같은 두께의 스페이서를 모든 키에 삽입하고, 모든 키를 눌렀을 때의 키마다의 온 인식 위치에 대응하는 역치를 구한다. 즉, 키마다, 키 개체차이를 흡수할 수 있는 역치로 할 수 있기에, 각각의 키에 구조적으로 개체차이가 있어도, 키 개체차이를 흡수할 수 있다. 또한, 모든 키에 개별적으로 단독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키 역치를 단독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 1, 2에서는 임의의 키의 키 온 인식 위치를 임의의 위치로 변경이 가능한 정전용량식의 키보드장치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정전용량식 키보드장치일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어, 아날로그식의 입력장치로서, 역치를 설정하고 키 압하의 유무(ON/OFF)를 출력가능한 키보드장치이면 된다.
1: 키보드장치
2: CPU
3: 퍼스널컴퓨터(PC)
10: 키-군(群)
11: 키·스캔검출부
12: 플래시·메모리
13: 랜덤액세스메모리(RAM)
14: 키-·스캔검출부
15: 키-용량검출부
16: C-V변환부
17: 역치스캔부·D/A변환부
18: 압하판단부
19: 역치설정전환부
20: 키-코드변환부
21, 31: 통신제어부
22: 역치레벨감산부
32: 역치제어부

Claims (5)

  1. 복수의 키(key)로 구성되며, 키-번지가 달린 키-군(群);
    상기 복수의 키의 각 키마다, 상기 키의 압하(押下) 유무를 결정하기 위한 역치데이터를 상기 키-번지에 대응하는 메모리번지에 쓰기 및 읽기 가능한 메모리;
    선택된 상기 키-번지에 대응하는 상기 키의 용량을 검출하는 키-용량검출부;
    상기 키-용량검출부에서 검출된 상기 키의 용량을 전압으로 변환하는 용량전압변환부;
    선택된 상기 키-번지에 대응하는 상기 메모리내의 메모리번지의 역치데이터를 읽어내어 상기 역치데이터를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는 데이터변환부; 및
    상기 데이터변환부의 아날로그 데이터와 상기 용량전압변환부의 전압을 비교하여 상기 키의 압하 유무를 판단하는 압하판단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키의 모든 키의 역치데이터가 저장되며, 기동 시에 상기 모든 키의 역치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기록하는 플래시·메모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역치를 선택하는 외부의 컴퓨터와 통신하는 통신제어부를 구비하고,
    상기 플래시·메모리는 복수 설치되며,
    상기 통신제어부는 상기 컴퓨터에 의해 선택된 상기 역치를 포함하는 상기 플래시·메모리를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플래시·메모리로부터 상기 역치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읽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플래시·메모리는 작업 저장 시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상기 역치데이터를 읽어내어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변환부의 아날로그 데이터와 상기 용량전압변환부의 전압이 일치하는 경우, 그 때의 상기 역치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기억시키는 처리를, 키마다 수행하는 역치설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보드장치.
KR1020197013261A 2016-10-19 2017-10-10 키보드장치 KR102420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7023472A KR20220101212A (ko) 2016-10-19 2017-10-10 키보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205083A JP6854107B2 (ja) 2016-10-19 2016-10-19 キーボード装置
JPJP-P-2016-205083 2016-10-19
PCT/JP2017/037289 WO2018074389A1 (ja) 2016-10-19 2017-10-10 キーボード装置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472A Division KR20220101212A (ko) 2016-10-19 2017-10-10 키보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206A true KR20190067206A (ko) 2019-06-14
KR102420548B1 KR102420548B1 (ko) 2022-07-13

Family

ID=6201854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261A KR102420548B1 (ko) 2016-10-19 2017-10-10 키보드장치
KR1020227023472A KR20220101212A (ko) 2016-10-19 2017-10-10 키보드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3472A KR20220101212A (ko) 2016-10-19 2017-10-10 키보드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671183B2 (ko)
EP (1) EP3531252A4 (ko)
JP (1) JP6854107B2 (ko)
KR (2) KR102420548B1 (ko)
CN (1) CN109804336A (ko)
TW (2) TWI756278B (ko)
WO (1) WO20180743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347238A1 (en) * 2020-10-15 2023-11-02 Hori Co., Ltd. Game machine controller
JP2024040755A (ja) 2022-09-13 2024-03-26 東プレ株式会社 キースイッチ装置及びキースイッチの制御方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4220A (ja) 1985-12-18 1987-06-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静電容量式キ−ボ−ドスイツチ
KR20040006940A (ko) * 2002-07-16 2004-01-24 강동철 박막 키보드 및 그 신호처리 방법
KR20140121735A (ko) * 2013-04-08 2014-10-16 이형태 빠른 입력이 가능한 qwerty 타입 소형 키보드
JP2015216611A (ja) * 2014-05-12 2015-12-03 東プレ株式会社 入力装置
KR20160032473A (ko) * 2014-09-16 2016-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4589B2 (ja) * 1995-11-20 2007-05-16 東プレ株式会社 操作装置
JPH09230983A (ja) * 1996-02-28 1997-09-05 Fuji Electric Co Ltd キー入力装置
TW504637B (en) * 2001-05-29 2002-10-01 Via Tech Inc Keyboard instruction reading device for notebook computer
US6684166B2 (en) * 2002-05-02 2004-01-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ressure sensitive keyboard
CN1245674C (zh) * 2003-07-10 2006-03-15 精拓科技股份有限公司 硬件扫描键盘阵列的装置及方法
US7256768B2 (en) * 2003-09-16 2007-08-14 Microsoft Corporation Computer keyboard with quantitatively force-sensing keys
US9246487B2 (en) * 2008-12-16 2016-01-26 Dell Products Lp Keyboard with user configurable granularity scales for pressure sensitive keys
JP6171998B2 (ja) * 2014-03-14 2017-08-02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入力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4980586B (zh) * 2015-06-26 2018-07-13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终端物理按键的控制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4220A (ja) 1985-12-18 1987-06-27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静電容量式キ−ボ−ドスイツチ
KR20040006940A (ko) * 2002-07-16 2004-01-24 강동철 박막 키보드 및 그 신호처리 방법
KR20140121735A (ko) * 2013-04-08 2014-10-16 이형태 빠른 입력이 가능한 qwerty 타입 소형 키보드
JP2015216611A (ja) * 2014-05-12 2015-12-03 東プレ株式会社 入力装置
KR20160032473A (ko) * 2014-09-16 2016-03-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43466A1 (en) 2019-08-08
TWI756278B (zh) 2022-03-01
EP3531252A4 (en) 2020-07-01
JP2018067134A (ja) 2018-04-26
KR102420548B1 (ko) 2022-07-13
TW201816552A (zh) 2018-05-01
KR20220101212A (ko) 2022-07-19
TW202221471A (zh) 2022-06-01
EP3531252A1 (en) 2019-08-28
WO2018074389A1 (ja) 2018-04-26
JP6854107B2 (ja) 2021-04-07
CN109804336A (zh) 2019-05-24
US10671183B2 (en) 2020-06-02
TWI787050B (zh) 2022-1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675329A (en) Method of obtaining a second function from keys on a keyboard using pressure differentiation
US8547115B2 (en) Touch sensing system, capacitance sensing circuit, and capacitance sensing method
US20070262885A1 (en) Compact alphanumeric keyboard
KR100997555B1 (ko) 문자 입력 장치
KR102420548B1 (ko) 키보드장치
JP4050762B2 (ja) タッチ・コントロール感応装置の判読方法
US8441448B2 (en) Word completion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US10121053B2 (en) Touch device and waking up method thereof
KR20170019588A (ko) 지문 감지 센서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JP2015216611A (ja) 入力装置
KR20090020293A (ko) 기능키 입력 장치 및 방법
TWI450130B (zh) 鍵擊事件發布方法及其電腦系統
JP7023395B2 (ja) キーボード装置
US20050057531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characters
KR100661000B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KR970002558A (ko) 콤팩트 키보드의 한글코드 입력장치
KR100532317B1 (ko) 한글입력장치및방법
KR100640815B1 (ko) 이동통신 단말기 및 음량 조절 방법
KR102128162B1 (ko) 개선된 문자 입력 키보드를 구비한 전자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문자 입력 방법
KR2007002941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키패드 장치 및 동작방법
KR200409431Y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US20180005778A1 (en) Keyboard assembly
KR20240036461A (ko) 키 스위치 장치 및 키 스위치의 제어 방법
KR100579656B1 (ko) 한글 입력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한글 입력 방법
CA2584097C (en) Word completion in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