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61000B1 -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61000B1
KR100661000B1 KR1020050117644A KR20050117644A KR100661000B1 KR 100661000 B1 KR100661000 B1 KR 100661000B1 KR 1020050117644 A KR1020050117644 A KR 1020050117644A KR 20050117644 A KR20050117644 A KR 20050117644A KR 100661000 B1 KR100661000 B1 KR 1006610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plates
portable electronic
input device
electronic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1176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선섭
Original Assignee
한상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열 filed Critical 한상열
Priority to KR10200501176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61000B1/ko
Priority to PCT/KR2006/005198 priority patent/WO2007066950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610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610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7Position sensing using the local deformation of sensor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two or more layers of sensing electrodes, e.g. using two layers of electrodes separated by a dielectric lay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06F3/0446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using a grid-like structure of electrodes in at least two directions, e.g. using row and column electr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3Construction or mounting of dials or of equivalent devices; Means for facilitating the use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1)는, 기판(10), 상기 기판(10)에 일정 간격의 행으로 인쇄된 다수의 제1 극판(20), 상기 제1 극판(20) 위에 피복되어 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두께가 가변되는 탄성층(30), 및 상기 제1 극판(20)과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열로 상기 탄성층(30) 위에 인쇄되어 상기 탄성층(30)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d)를 두고 상기 제1 극판(20)에 대해 격자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제2 극판(40)을 구비하는 센서부(2)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입력장치(1)는, 상기 제1 극판들(20)과 상기 제2 극판들(40)의 교차점들에서 압력에 의한 상기 거리(d)의 변화에 따라 정전용량의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상기 교차점들이 그물망 형태의 센싱포인트(S)를 형성하며, 상기 센싱포인트들(S)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전용량으로부터 상기 센싱포인트(S)의 위치와 가해진 압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CPU(110)에 전송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Input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가 적용되는 휴대전화기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입력장치의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센서부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센서부의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본 발명의 입력장치 2: 센서부
3: 컨트롤러 3A: 아날로그 멀티플렉서(AMUX)
3B: 정전용량 검출부 3C: A/D 변환기
3D: 제어부 3E: D/A 변환기
10: 기판 20: 제1 극판
30: 탄성층 40: 제2 극판
50: 보호층 60: 표시시트
S: 센싱포인트 100: 휴대용 전자장치(휴대전화기)
110: CPU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전화기와 같은 각종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로서 사용하기 적합한 입력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휴대전화기로 대표되는 휴대용 전자장치들에는 휴대전화기의 온/오프, 전화번호와 문자의 입력, 통화의 개시와 종료 등 휴대전화기의 사용에 관련된 각종 작동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휴대전화기의 용도가 전통적인 전화통화 용도로부터 인터넷 접속이나 문자전송 등 다양한 부가서비스의 용도로까지 확대됨에 따라 휴대전화기에는 보다 다양한 메뉴들이 탑재되기에 이르렀고, 더불어 각종 작동의 실행이 보다 다양하고 빈번해짐에 따라 입력장치의 조작 회수도 그만큼 더 증가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휴대전화기의 입력장치인 키패드에는 돔 스위치가 널리 사용되어 왔으나, 슬림화된 모델을 중심으로 돔 스위치 대신 정전용량 방식의 입력장치가 도입되기에 이르렀으며, 이런 정전용량 방식의 입력장치는 휴대전화기의 소형화에 바람직한 환경을 제공하면서 다양하게 응용되고 있다.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휴대전화기 등에 적용된 정전용량 방식의 입력장치는 기판 위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입력키에 대응하는 다수의 극판(동판)을 배치하여 이들 극판에 전압을 인가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사람의 손이 극판(즉, 손의 접촉을 검출하는 센싱포인트)에 접촉될 때 손과 극판 사이의 유전율에 따른 기생 정전용량을 감지하여 어떤 극판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하고, 판단된 입력신호를 휴대전화기의 CPU로 전송하여 해당 입력신호에 대응하는 작동이 실행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작동된다. 물론 휴대전화기에는 각각의 극판들에 어떤 작동이 대응되는지에 관한 적절한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다.
휴대용 전자장치가 소형화됨에 따라 키패드의 버튼 간격이 좁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버튼을 조작할 때 원하지 않은 인접한 다른 버튼이 조작되는 등의 오작동의 가능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 입력장치로서 정전용량 방식의 입력장치가 제공됨에 따라, 휴대용 전자장치의 소형화에 따른 오작동이 문제가 완화되게 되었다.
그러나 휴대전화기 등에 적용된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의 입력장치는, 손이 어떤 극판에 접촉 되었었는가 만을 판별할 수 있을 뿐이고 각각의 극판들이 단일의 작동만을 입력하는 시스템이므로, 지금까지의 휴대전화기에 있어서 정전용량 방식의 입력장치는 단지 선택메뉴의 위치를 이동하는 입력 기능만을 담당하고 이동된 메뉴에서의 필요한 작동을 입력하는 것은 기존의 돔 스위치를 이용하는 이중 구조가 적용되었으며, 따라서 돔 스위치 방식의 입력장치의 한계를 완전히 벗어났다고 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휴대용 전자장치에 적용된 입력장 치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극판(동판)에 대한 단순한 접촉과 비첩촉의 구별만으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접촉 압력의 크기에 따라 정전용량변화가 달라지는 현상으로부터 압력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입력신호가 생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되는 센싱포인트가 격자 상태의 그물망 형태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매우 다양하고 정교한 형태의 작동을 입력할 수 있는, 정전용량 방식의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에 일정 간격의 행으로 인쇄된 다수의 제1 극판, 상기 제1 극판 위에 피복되어 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두께가 가변되는 탄성층, 및 상기 제1 극판과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열로 상기 탄성층 위에 인쇄되어 상기 탄성층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를 두고 상기 제1 극판에 대해 격자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제2 극판을 구비하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입력장치는, 상기 제1 극판들과 상기 제2 극판들의 교차점들에서 압력에 의한 상기 거리의 변화에 따라 정전용량의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상기 교차점들이 그물망 형태의 센싱포인트를 형성하며, 상기 센싱포인트들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전용량으로부터 상기 센싱포인트의 위치와 가해진 압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휴대용 전자장치의 CPU에 전송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의 CPU로의 상기 입력신호의 전송은 컨트롤러에 실행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극판들과 상기 제2 극판들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신호 생성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아날로그 멀티플렉서(AMUX), 상기 AMUX에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압력이 가해진 센싱포인트의 정전용량을 검출하는 정전용량 검출부, 상기 정전용량 검출부에서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 및 상기 A/D 변환기에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센싱포인트의 위치와 가해진 압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2 극판 위에는 보호층이 피복되고, 상기 보호층 위에는 입력내용이 표시된 표시시트가 피복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의 구체예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아니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가 적용되는 휴대전화기의 블록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입력장치의 블록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센서부의 분해사시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의 센서부의 단면도이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1)는 휴대전화기, 엠피쓰리, PDA, PMP, 휴대용 게임기 등을 포함한 각종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입력장치로 적용되며, 이하에서는 대표적인 휴대용 전자장치인 휴대전화기(100)에 본 발명의 입력장치(1)가 적용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휴대전화기(100)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휴대전화기(10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는 CPU(110), 휴대전화기(100)의 사용에 관련된 각종 데이터와 명령을 입력하는 입력부(120, 1: 즉, 본 발명의 입력장치), 휴대전화기(100)의 사용에 관한 각종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니터(130), 휴대전화기(100)의 전반적인 작동에 관한 각종 프로그램과 입출력되는 각종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140), 안테나를 통해 기지국과 이동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안테나와 듀플렉서 등을 구비한 통신부(150), 통화를 위한 스피커와 마이크를 구비하는 오디오부(160), 및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17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고 할 수 있는바, 본 발명의 입력장치(1)는 상기 입력부(120)에 적용되는 입력장치이다.
이와 같은 구성의 휴대전화기(100)를 사용함에 있어서, 입력부(입력장치: 120, 1)를 이용하여 소정의 데이터와 명령을 입력하고, 모니터(130)를 통해 관련 정보를 모니터하고, 메모리(140)에 필요한 데이터들이 저장되며, 통신부(150)를 통해 이동통신이 실행되고, 이런 모든 작동은 CPU(110)에 의해 전반적으로 제어되며, 필요한 전원은 전원부(170)에서 공급된다.
이와 같이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입력부로 사용되는 본 발명의 입력장치(1)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센서부(2)와 컨트롤러(3)를 포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는 휴대전화기(100)에 특정 작동을 입력하기 위해 입력장치(1)에 가한 사용자의 조작(압력)을 검출하는 구성요소이고, 상기 컨트롤러(3)는 센서부(2)에 의해 검출된 검출신호로부터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휴대전화기 (100)의 CPU(110)에 전송하는 구성요소이다.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센서부(2)는, 기판(10), 제1 극판(20), 탄성층(30), 제2 극판(40), 보호층(50) 및 표시시트(60)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상기 기판(10)은 극판들(20, 40)을 격자 형상으로 프린팅 할 수 있는 예를 들어 회로기판(PCB 및 FPCB)과 같은 통상의 기판으로서, 입력장치(1)의 구성요소들을 지지하는 작용을 한다. 상기 기판(10)의 크기는 본 발명의 입력장치(1)가 적용되는 휴대용 전자장치(1)의 종류와 입력장치(1)의 크기 및 입력장치(1)에 의해 입력되는 입력내용의 종류 등에 따라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제1 극판(20)은 일반적인 정전용량용 센서에서 상하 평행하게 배치된 극판 중에 일측 극판에 대응하는 도전체로서 바람직하게 스트립 형상의 얇은 동판이 사용된다. 제1 극판(20)은 다수개가 일정한 간격으로 행으로 평행하게 배열되도록 기판(10)에 인쇄된다.
제1 극판(20)의 사이즈와 개수 및 인접한 극판(20) 사이의 간격 등은, 입력장치(1)가 사용되는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종류, 입력장치(1)의 장착에 허용되는 공간의 크기, 입력장치(1)에 요구되는 입력 작동의 종류, 입력장치(1)의 민감도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다.
제1 극판들(20) 위에는 탄성층(30)이 일정한 두께(d: 거리)로 피복된다. 탄성층(30)은 두 극판(20, 40) 사이에 존재하여 일종의 유전체로서 작용하면서 센서부(2)에 가해진 압력에 따라, 상기 두께(d)가 탄성적으로(복원성 있게) 가변되어, 이후에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1 극판(20)과 제2 극판(20) 사이의 거리(d)를 가변시킴으로써 각 교차점에 대응하는 센싱포인트들(S)의 정전용량이 누르는 압력에 따라 변화되도록 하는 작용을 한다.
탄성층(30)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올레핀계, PVC계, 폴리스틸렌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우레탄계, 폴리아미드계 등 널리 알려진 열가소성 탄성체(Thermoplastic Elastomer: TPE) 중에 본 발명에 적합한 TPE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2 극판(40)은 제1 극판(20)과 같이 예를 들어 스트립 형성의 동판으로서, 탄성층(30) 위에 제1 극판(20)과 같은 방식으로 인쇄되지만, 제1 극판(20)과는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열로 인쇄된다.
이와 같이 제1 극판(20)과 제2 극판(40)이 탄성층(30)을 사이에 서로 교차하게 인쇄됨에 따라, 제2 극판(40)은 탄성층(30)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d)를 두고 제1 극판(20)과 격자 형태의 그물망 구조로 배치되며, 양 극판들(20, 40)의 교차점들은 제1 극판(20)과 제2 극판(40)이 모두 위치하는 위치들로서, 이들 교차점들이 센서부(2)에서의 압력에 따른 정전용량의 변화를 일으켜는 센싱포인트(S)를 형성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손으로 센서부(2)의 특정위치를 가압하게 되면, 가압하는 위치의 아래에 존재하는 센싱포인트들(S)에서는 제2 극판(40)과 탄성층(30)이 가압되어 탄성층(30)이 수축하면서 제1 극판(20)과 제2 극판(40) 사이의 거리(d)가 가변(줄어들게) 되고, 이런 거리(d)의 변화에 따라 해당 센싱포인트(S)에서는 C=μA/d의 공식(여기에서 C는 정전용량, μ는 유전율, A는 면적, d는 극판 사이의 거리이다)에 해당하는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고, 이때 전전용량의 변화량은 누르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이후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탄성층(30)과 제2 극판(40)은 탄성층(30)의 탄성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종래 정전용량 방식의 입력장치는 손과 같은 도체를 접촉시켜야 기생 정전용량을 검출할 수 있지만, 본 발명의 입력장치(1)는 상기 거리(d)를 가변시킬 수 있는 압력을 가할 수 있는 것이라면 부도체로 가압하여도 되므로 손이 아닌 다른 부도체도구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센싱포인트들(S)의 간격(즉, 교차점의 간격)은 본 발명의 입력장치(1)가 사용되는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종류, 입력장치(1)의 장착에 허용되는 공간의 크기, 입력장치(1)에 요구되는 입력 작동의 종류, 입력장치(1)의 민감도 등에 따라 선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인접한 센싱포인트들(3) 사이의 거리가 1.5mm 내외 정도로 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아니한다.
보호층(50)은 제2 극판(40)을 보호하기 위한 층으로서, 예를 들어 폴리에스테르(polyester)로 형성할 수 있다. 보호층(50)은 제2 극판(40)을 보호할 수 있을 정도라면 가능한 한 얇게 형성하면 된다.
표시시트(60)는 본 발명의 입력장치(1)가 적용된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작동에 필요한 입력내용이 인쇄되어 있는 시트로서,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는 통상적으로 휴대전화기의 키패드의 입력키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0-9의 숫자, *, #, 상하좌우 이동, SAND, END 등의 휴대전화기용 입력내용(61)과, 예를 들어 휴대전화기 (100)로 게임을 할 때 조이스틱을 대신하여 사용할 수 있는 상하좌우의 방향표시 등의 게임용 입력내용(62)이 서로 중첩되게 표시된 예를 도시한 것이다.
표시시트(60)에 인쇄되는 입력내용(61, 62)은 본 발명의 입력장치(1)가 적용되는 휴대용 전자장치(100)에 필요한 입력내용의 종류 등에 따라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센싱포인트들(S)의 어느 센싱포인트가 어떤 입력내용에 대응하도록 할 것인가는 본 발명의 입력장치(1)의 용도와 기능에 맞게 센서부(2)의 회로와 휴대용 전자장치(100)에 탑재된 소프트웨어에 의해 배정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서 표시시트(60)에 중첩 인쇄된 휴대전화기용 입력내용(61)과 게임용 입력내용(62) 중 어느 입력내용이 실행되도록 선택할 것인가는 휴대전화기의 사용메뉴를 통화모드와 게임모드 중 어느 모드를 선택하였는지에 따라 프로그램에 의해 자동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상기 센서부(2)를 설명하면서 보호층(50)과 표시시트(60)를 기능적으로 분리된 구성으로 설명하였지만 보호층(50)과 표시시트(60) 중 하나를 생략하여 나머지가 생략된 것의 기능도 함께 실현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센서부(2)를 구성하는 극판들(20, 40)은 상기 컨트롤러(3)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컨트롤러(3)는 휴대전화기(100)의 CPU(110)의 명령에 따라 센서부(2)의 센싱포인트들(S)에서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전용량을 전압으로 변환하여 압력이 가해진 상기 센싱포인트(S)의 위치와 압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CPU(110)에 전송한다.
예를 들어 상기 컨트롤러(3)에 의해 상기 극판들(20, 40)에 정현파(사인파)를 전송하게 되면 센서부(2)의 센싱포인트들(S)에서 정전용량의 충전/방전이 일어나게 되고, 이때 센서부(2)에 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압력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가 없게 되므로 센서부(2)로부터는 컨트롤러(3)에 정해진 일정한 패턴의 정전용량 값에 대응하는 신호가 전송된다.
그러나 정현파가 전송되는 상태에서 센서부(2)의 특정 센싱포인트(들)에 압력이 가해지면, 해당 센싱포인트(S)의 극판(20, 40) 사이의 거리(d)가 가변되면서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하고 그 변화의 크기는 거리(d)의 가변량(즉, 압력의 크기)에 따라 다르게 된다. 따라서 정현파가 도달한 센싱포인트(S)가 어느 센싱포인트(S)인지를 검출하면서 정현파가 도달한 해당 센싱포인트(S)의 정전용량의 변화를 검출하면, 압력이 가해지고 있는 센싱포인트(S)의 위치와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컨트롤러(3)는 예를 들어 도2와 같이 구성할 수 있다. 도시된 구체예에 있어서, AMUX(3A: 아날로그 멀티플렉서)에서는 일정 시간간격으로 정현파를 발진하여 다중화 방식으로 센서부(2)의 각 극판(20, 40)으로 송신하고 각 극판(20, 40)을 통과한 정현파를 수신함으로써 각 센싱포인트들(S)에 대한 위치와 그 정전용량을 알 수 있는 신호를 수신한다.
즉, AMUX(3A)에는 모든 극판들(20, 40)이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있고 각 센싱포인트들(S)의 위치는 제1 극판들(20)과 제2 극판들(40)의 교차에 의해 그 위치가 특정되므로, AMUX(3A)의 작동으로 어떤 극판들에 정현파가 가해지고 있고 그때의 해당 센싱포인트(S)의 정전용량을 알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기능의 AMUX의 구체적인 구성은 널리 알려진 멀티플렉서 기술을 본 발명에 맞게 적용할 수 있으므로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AMUX(3A)에 수신된 신호는 다시 정전용량 검출부(3B)에 인가되어 정전용량 값이 측정되고 측정된 정전용량 값을 전압 값으로 변환함으로써 압력이 작용된 센싱포인트(S)의 위치와 작용된 압력의 크기를 알 수 있는 아날로그 신호를 생성하며, 이 아날로그 신호는 A/D 변환기(3C)에서 디지털 신호로 변환되어 제어부(3D)로 전송된다.
상기 제어부(3D)에서는 A/D 변환기(3C)로부터의 신호와 기준신호의 비교 등을 통해 센싱포인트(S)의 위치와 가해진 압력의 크기를 판독하여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입력신호는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CPU(110)로 전송되어 휴대용 전자장치(100)에 탑재된 프로그램에 따라 해당 신호에 대응하는 입력 작용이 실행된다.
CPU(110)로부터 입력장치(1)로의 명령신호는 제어부(3D)를 통해 수신되고 D/A 변환기(3E)를 통해 AMUX(3A)로 인가되어 정현파 발진 등이 실행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1)에 의하면, 누르는 압력의 크기에 따라 정전용량의 변화가 달라지므로, 종래의 입력장치에서와 같은 단순한 접촉/비접촉의 차이에 근거한 입력신호뿐만 아니라 누르는 힘의 차이에 따라 다른 작동이 입력되게 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할 수도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의 입력장치에 의하면, 누르는 압력의 세기를 게임에 있어서의 속도 의 증감 및 타격강도의 증감에 대응하여 입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장치(1)는 센싱포인트들(S)이 그물망 형태로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센싱포인트들(S)의 배치를 좌표처럼 인식하고 좌표에서 압력이 가해진 센싱포인트들(S)로부터 입력신호를 받아 처리함으로써 모니터(130)를 보면서 선, 글씨 및 그림을 그려 넣는 입력 작동도 실행할 수 있고, 이때 압력의 크기까지를 반영하면 선의 굵기를 조절할 수 있는 입력장치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장치(1)는 접촉/비접촉은 물론 압력의 크기를 검출할 수 있으므로 종래와 같이 정전용량 센서와 돔 스위치를 이중적으로 장착하지 아니하여도 되므로, 본 발명의 입력장치가 적용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소형화가 더욱 용이해 진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입력장치(1)는, 센싱포인트와 손 사이의 기생 전전용량의 검출을 이용한 것이 아니라, 센싱포인트에 가해지는 압력의 크기에 의한 정전용량의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고, 가장 큰 압력이 가해진 센싱포인트에 대응하는 입력 작동만이 입력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인접한 다른 버튼(센싱포인트)이 의도하지 않게 약하게 눌려지는 것으로 인하여 의도하지 않는 입력이 작동되는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입력장치(1)에 의하면, 센서부(2)에 2개의 손가락을 접촉시키고 손가락의 위치를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모니터(130)에 디스플레이 된 도형을 회전시키는 것과 같이, 여러 개의 센싱포인트를 동시에 눌러서 이에 대응하는 입력이 작동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며, 이와 같은 기능은 휴대용 전자장치(100)에 관 련 프로그램을 탑재함으로서 실현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는, 극판에 대한 단순한 접촉과 비첩촉의 구별만으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것이 아니라 접촉 압력의 크기에 따라 정전용량변화가 달라지는 현상으로부터 압력의 크기에 따라 다양한 입력신호가 생성되도록 함과 아울러 정전용량의 변화가 발생되는 센싱포인트가 격자 상태의 그물망 형태로 배치되도록 함으로써, 매우 다양한 형태의 입력 작동을 실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휴대용 전자장치의 소형화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Claims (3)

  1. 기판(10), 상기 기판(10)에 일정 간격의 행으로 인쇄된 다수의 제1 극판(20), 상기 제1 극판(20) 위에 피복되어 압력에 의해 탄성적으로 두께가 가변되는 탄성층(30), 및 상기 제1 극판(20)과 수직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열로 상기 탄성층(30) 위에 인쇄되어 상기 탄성층(30)의 두께에 해당하는 거리(d)를 두고 상기 제1 극판(20)에 대해 격자 형태로 배치된 다수의 제2 극판(40)을 구비하는 센서부(2)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극판들(20)과 상기 제2 극판들(40)의 교차점들에서 압력에 의한 상기 거리(d)의 변화에 따라 정전용량의 변화를 일으킴으로써 상기 교차점들이 그물망 형태의 센싱포인트(S)를 형성하며, 상기 센싱포인트들(S)의 정전용량을 측정하고 측정된 정전용량으로부터 상기 센싱포인트(S)의 위치와 가해진 압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입력신호를 생성하여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CPU(110)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전자장치(100)의 CPU(110)로의 상기 입력신호의 전송은 컨트롤러(3)에 실행되고,
    상기 컨트롤러(3)는, 상기 제1 극판들(20)과 상기 제2 극판들(40)에 연결되어 상기 입력신호 생성을 위한 신호를 송수신하는 멀티플렉서(3A), 상기 멀티플렉서(3A)에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압력이 가해진 센싱포인트(S)의 정전용량을 검출하 는 정전용량 검출부(3B), 상기 정전용량 검출부(3B)에서 수신된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기(3C), 및 상기 A/D 변환기(3C)에서 수신된 신호로부터 상기 센싱포인트(S)의 위치와 가해진 압력의 크기에 대응하는 상기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3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극판(40) 위에 피복된 보호층(50) 및 상기 보호층(50) 위에 피복되어 입력내용이 표시된 표시시트(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KR1020050117644A 2005-12-05 2005-12-05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KR1006610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644A KR100661000B1 (ko) 2005-12-05 2005-12-05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PCT/KR2006/005198 WO2007066950A1 (en) 2005-12-05 2006-12-05 Input devic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117644A KR100661000B1 (ko) 2005-12-05 2005-12-05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4265U Division KR200409431Y1 (ko) 2005-12-05 2005-12-05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661000B1 true KR100661000B1 (ko) 2006-12-22

Family

ID=378154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117644A KR100661000B1 (ko) 2005-12-05 2005-12-05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661000B1 (ko)
WO (1) WO2007066950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834B1 (ko) 2007-02-22 2007-12-27 (주)엠아이디티 정전용량식 입력장치
KR100894250B1 (ko) 2007-04-26 2009-04-21 한상열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
WO2009123388A1 (en) 2008-04-02 2009-10-08 Sang-Youl Han Capacitive touch screen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2733A (en) * 1992-06-08 1999-08-24 Synaptics, Inc. Stylus input capacitive touchpad sensor
US7151528B2 (en) * 1999-06-22 2006-12-19 Cirque Corporation System for disposing a proximity sensitive touchpad behind a mobile phone keypad
US7030860B1 (en) * 1999-10-08 2006-04-18 Synaptics Incorporated Flexible transparent touch sensing system for electronic devices
GB2367530B (en) * 2000-10-03 2003-07-23 Nokia Mobile Phones Ltd User interface device
KR20030018523A (ko) * 2001-08-30 2003-03-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의 키 패드 감지 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7834B1 (ko) 2007-02-22 2007-12-27 (주)엠아이디티 정전용량식 입력장치
KR100894250B1 (ko) 2007-04-26 2009-04-21 한상열 정전용량식 입력/표시 장치
WO2009123388A1 (en) 2008-04-02 2009-10-08 Sang-Youl Han Capacitive touch screen
US8169416B2 (en) 2008-04-02 2012-05-01 Hi-Dis Touchscreen Co., Ltd. Capacitive touch scre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7066950A1 (en) 2007-06-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1443E1 (en) Input device which allows button input operation and coordinate input operation to be performed in the same operation plane
US9143127B2 (en) Operation switch device
EP2165247B1 (en) Data input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3440040B (zh) 用于提供触感的方法和装置
JP4149930B2 (ja) 電子デバイスで使用する両面キーボード
US7312790B2 (en) Input apparatus for performing input operation corresponding to indication marks and coordinate input operation on the same operational plane
CN103080874B (zh) 触感提供装置
US20090138831A1 (en)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a user selection in a user interface
CN103038730B (zh) 触感提供装置和用于触感提供装置的控制方法
US20130100030A1 (en) Keypad apparatus having proximity and pressure sensing
WO2012105158A1 (ja) 電子機器
CN102203697B (zh) 小键盘装置
EP2584432A1 (en) Keypad apparatus having proximity and pressure sensing
KR100764568B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KR100661000B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KR100787834B1 (ko) 정전용량식 입력장치
KR200412587Y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KR200409431Y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KR101000540B1 (ko) 휴대장치용 입력장치
KR100764569B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KR200411463Y1 (ko) 휴대용 전자장치의 입력장치
KR20100120423A (ko) 휴대 단말기의 스마트 플루이드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0867607B1 (ko) 정전용량식 입력장치
KR100968856B1 (ko) 키 입력장치
KR102134805B1 (ko) 클릭감을 제공하는 포스 센서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1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204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