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7101A - 적양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적양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7101A
KR20190067101A KR1020180154786A KR20180154786A KR20190067101A KR 20190067101 A KR20190067101 A KR 20190067101A KR 1020180154786 A KR1020180154786 A KR 1020180154786A KR 20180154786 A KR20180154786 A KR 20180154786A KR 20190067101 A KR20190067101 A KR 201900671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nion
group
present
allergic rhinitis
red on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4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효열
Original Assignee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filed Critical 사회복지법인 삼성생명공익재단
Publication of KR20190067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71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2Allium, e.g. garden onion, leek, garlic or ch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0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 modulation effect on allergy and risk of allerg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양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적양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양한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의 완화, 억제, 또는 치료에 유용한 약학적 조성물, 또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적양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alleviating, inhibiting, or treating fine dust, sick house syndrome or allergic rhinitis comprising red onion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적양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적양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양한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의 완화, 억제, 또는 치료에 유용한 약학적 조성물, 또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환경 오염 물질은 소위 내분비계장애물질로 분류되어 있으며, 그 종류에는 다이옥신을 포함한 유기염소계물질, 농약, 프탈레이트, 벤조피렌, 펜타-노닐 페놀, 비스페놀 A, 중금속, 스티렌 다이머 및 트리머 등이 있다. 이들 물질들은 화학적으로 매우 안정하여 환경에 잔류하는 시간이 길며 생체 축적도가 높아 먹이사슬을 통하여 인체에까지 이르게 된다.
이 중 다이옥신은 염화탄화수소 화합물로 서로 비슷한 화학적 구조를 가지는 다이옥신류(polychlorinated dibenzo-p-dioxin; PCDD)와 퓨란류(polychlorinated dibenzofuran; PCDF)를 통상적으로 말하며, 치환되는 염소의 수에 따라 75종의 PCDD와 135종의 PCDF 이성질체가 존재한다.
주로 쓰레기 소각, 종이 또는 펄프의 표백과정, 플라스틱 제조, 유기 염소계 농약의 제조 등에서 배출 또는 생성 된다. 상온에서 무색의 결정성 고체이고 열화학적으로 안정하며 지방에 잘 녹기 때문에 생물체 안에 들어올 경우 지방 조직에 축적되는 성질을 갖는다. 인체에 미치는 영향으로는 생식 기능 장애, 유산, 태아의 비정상적 발달, 호르몬 조절 기능의 변화, 당뇨 발병, 면역체계의 이상, 암 유발 가능성 등이 있다.
미세먼지는 아황산가스, 질소 산화물, 납, 오존, 일산화 탄소 등으로 이루어지고 입자의 크기가 지름 10um 이하인 미세한 먼지이며 PM10이라 하고 입자의 지름이 2.5um 이하인 경우 초미세먼지, PM2.5 라고 부른다. 미세먼지의 자연적 발생 원인은 흙먼지, 바닷물에서 생기는 소금, 식물의 꽃가루 등이 있으며 인위적 발생 원인은 화석연료 등을 태울 때 생기는 매연, 자동차 배기가스, 건설 현장의 날림 먼지, 공장 내 분말 형태의 원자재, 부자재, 그리고 소각장 연기 등이 있다.
이러한 미세먼지는 입자의 지름이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1/5 내지 1/7배 정도로 매우 작아 인체의 비강, 구강, 기관지에서 걸러지지 않고 깊숙하게 침투된다. 상기의 유해 물질과 흡착된 형태로 몸 속에 들어와 기도, 폐, 심혈관, 뇌 등 각 기관의 염증반응을 유발하여 호흡기 질환, 심혈관계 질환들을 유발한다. 또한 2013년 10월에는 세계보건기구 산하 국제암연구소에 의해 1군 발암물질로 분류되기도 하였다.
다이옥신과 미세먼지에 포함된 다환방향족탄화수소(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 PAH)는 세포 내로 침투되어 공통적으로 아릴 하이드로카본 수용체(Aryl hydrocarbon receptor; AhR)를 활성화 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AhR 활성화 기전을 통해 세포 내 활성 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이 증가되고 AhR, ARNT 이종 이량체 복합체(heterodimer complex)가 핵 내 이명생물반응요소(xenobiotic response element; XRE)에 결합하여 다양한 염증 매개 인자, 멜라닌 합성 관련 전사인자인 작은 안구증 연관 전사 요소(Microphthalmia-associated transcription factor; Mitf), 주름 생성 관련 효소인 메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atrix metalloproteases; MMPs)의 발현을 증가시켜 피부에서는 피부염, 색소 과형성(기미, 주근깨 등), 주름 등을 일으키게 된다.
기존에 출시된 안티 폴루턴트 제품들은 전하를 이용하여 미세먼지의 피부 흡착을 막거나 피부 장벽을 강화시키는 원료를 사용하고 있었다. 이는 다이옥신이나 미세먼지와 같은 환경 오염 물질의 직접적인 작용 기전을 막는 것이 아닌 간접적인 보호 효과를 나타낸다. 환경 오염 물질이 피부에 직접 접촉되어 피부 세포에 영향을 줄 경우 이를 저해시키는 원료나 제품은 개발되지 않은 상황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의 완화, 억제, 또는 치료제를 개발하기 위해,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에 효력을 보일 가능성이 있는 50종 이상의 생약 및 민간약들을 대상으로 스크리닝하였으며, 이중 적양파(allium cepa)의 유의성 있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의 억제 활성을 발견하였고, 현재 사용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치료제보다 활성이 월등히 우수한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양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양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또는 억제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양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의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치료 유효량으로 이를 필요로 하는 대상에 투여하여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치료용도에 사용하는 적양파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적양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조성물은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및 치료 활성을 나타낸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적양파(Allium cepa)에는 퀘르세틴(quercetin)이란 플라보노이드(flavonoid) 성분이 다량 함유되어 있으며, 이 퀘르세틴은 항염, 항산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알레르기에 좋은 채소로 알려져 있는데, 미국의 연구기관에서 시행된 연구결과, 알레르기 반응에 있어 주요한 세포인 비만세포(mast cell)의 막 안정화(membrane stabilization)를 통하여 이러한 효능을 발휘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알레르기 비염은 콧물, 코막힘, 재채기를 주증상으로 하는 질환으로, 특정 알레르겐에 노출 후 Th1과 Th2 면역 반응 사이의 균형이 깨져 Th2 면역반응의 과발현으로 인하여 일어나게 된다. 이 경우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이 유리되게 되고 이는 알레르기 비염의 중요한 기전 중 하나이다. 알레르기 비염의 일반적인 치료는 지속적인 약물 투여이다. 대부분의 환자들은 매년 반복되는 비염 증상을 경구 항히스타민제 및 비강 국소 스테로이드제로 관리하게 된다. 현재까지 알레르기 비염을 완치시킬 수 있는 치료는 개발되지 않았으며, 소아, 임산부, 노인 등에서는 약물 사용이 제한되기도 한다.
본 발명은 적양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억제 활성을 갖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적양파는 착즙물, 용매 조추출물, 특정 용매 가용 추출물(용매 분획물) 및 용매 조추출물의 용매 분획물의 형태로 포함된 것일 수 있으며, 용액, 농축물 또는 분말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양파는 껍질, 뿌리, 줄기 및 잎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껍질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양파 착즙물은 적양파를 분쇄한 후 원심 분리 및 필터를 거쳐 고체 성분은 제거, 비강에 적용 할 수 있는 용액 상태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양파 추출물은 적양파를 물 및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하여 얻어진 조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양파 추출물은 용매 조추출물을 추가의 용매로 분획한 용매 분획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용매 조추출물에 에틸에테르, 아세트산에틸 및 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한 용매 분획물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적양파 추출물은 적양파를 물 및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용매 조추출물을 에틸에테르, 아세트산에틸 및 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한 용매 분획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적양파 착즙물 또는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내의 유효성분으로서의 적양파 착즙물 또는 추출물의 함량은 사용 형태 및 목적, 환자 상태, 증상의 종류 및 경중 등에 의하여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으며, 고형분 중량 기준으로 0.001 내지 99.9 중량%, 또는 0.1 내지 99.9 중량%,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0 중량%, 또는 0.1 내지 40 중량%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 다양한 경로로 투여될 수 있다. 투여 방식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식일 수 있으며, 예컨대, 경구, 피부, 정맥, 근육, 피하 등의 경로로 투여될 수 있으며, 이 외에도 비강에 투여하는 국소 분무의 형태를 띌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각각 통상의 방법에 따라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연고제, 현탁액, 에멀젼, 시럽, 에어로졸 등의 경구형 제형, 또는 경피제, 스프레이제, 좌제 및 멸균 주사용액의 형태의 비경구 제형 등으로 제형화하여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상기 혼합 추출물 이외에 약제학적으로 적합하고 생리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 등의 보조제를 추가로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제제화할 경우에는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사용할 수 있다. 경구투여를 위한 고형제제에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추출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 예를 들면, 전분, 칼슘카보네이트(calcium carbonate), 수크로스(sucrose) 또는 락토오스(lactose), 젤라틴 등을 섞어 조제될 수 있다. 또한 단순한 부형제 이외에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같은 윤활제들도 사용된다.
경구를 위한 제제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시럽제, 연고제 등이 해당되는데 흔히 사용되는 단순희석제인 물, 리퀴드 파라핀 이외에 여러 가지 부형제, 예를 들면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제제, 좌제, 경피제 등이 포함된다.
비수성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 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 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좌제의 제제로는 위텝솔(witepsol), 마크로골, 트윈(tween) 61, 카카오지, 라우린지, 글리세로제라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인간에게 적용하는 구체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투여될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투여방식과 표준 약제학적 관행(standard phamaceutical practice)을 고려하여 선택된 약제학적 담체와 혼합되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전분 또는 락토오즈를 함유하는 정제 형태로, 또는 단독 또는 부형제를 함유하는 캡슐 형태로, 또는 맛을 내거나 색을 띄게 하는 화학 약품을 함유하는 엘릭시르 또는 현탁제 형태로 경구, 구강 내 또는 혀 밑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액체 제제는 현탁제(예를 들면, 메틸셀룰로오즈, 위텝솔(witepsol)과 같은 반합성 글리세라이드 또는 행인유(apricot kernel oil)와 PEG-6 에스테르의 혼합물 또는 PEG-8과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의 혼합물과 같은 글리세라이드 혼합물)와 같은 약제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첨가제와 함께 제형화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 용량은 환자의 나이, 몸무게, 성별, 투여형태, 건강상태 및 질환 정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의사 또는 약사의 판단에 따라 일정 시간간격으로 1일 1회 내지 수회로 분할 투여할 수도 있다.
예컨대, 유효성분 함량을 기준으로 1일 투여량이 0.1 내지 500 ㎎/kg,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00 ㎎/kg일 수 있다. 상기한 투여량은 평균적인 경우를 예시한 것으로서 개인적인 차이에 따라 그 투여량이 높거나 낮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이 상기 투여 용량 미만이면 유의성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그 이상을 초과하는 경우 비경제적일 뿐만 아니라 상용량의 범위를 벗어나므로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우려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특히,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인체에 투여하는 경우 천연물의 일반적 특성에 비추어 볼 때 다른 합성 의약품에 비해 부작용의 염려가 없을 것으로 사료되며, 실제로 규격화된 생약 조성물에 대한 독성 시험 결과 생체에 아무런 영향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예는 적양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의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적양파는 착즙물, 용매 조추출물, 특정 용매 가용 추출물(용매 분획물) 및 용매 조추출물의 용매 분획물의 형태로 포함된 것일 수 있으며, 용액, 농축물 또는 분말 상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양파는 껍질, 뿌리, 줄기 및 잎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껍질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양파 착즙물은 적양파를 분쇄한 후 원심 분리 및 필터를 거쳐 고체 성분은 제거, 비강에 적용 할 수 있는 용액 상태로 제조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양파 추출물은 용매 조추출물을 추가의 용매로 분획한 용매 분획물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용매 조추출물에 에틸에테르, 아세트산에틸 및 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한 용매 분획물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상기 적양파 추출물은 적양파를 물 및 탄소수 1 내지 4개의 직쇄 또는 분지형 알코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로 추출한 용매 조추출물을 에틸에테르, 아세트산에틸 및 부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용매를 사용한 용매 분획물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은 각종 식품, 음료, 식품 첨가제 등일 수 있다.
상기 식품 조성물의 식품에 함유된 유효성분으로서의 함량은 식품의 형태, 소망하는 용도 등에 따라 적절하게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예컨대, 전체 식품 중량의 0.01 내지 15 중량%로 가할 수 있으며, 건강 음료 조성물은 100 ㎖를 기준으로 0.02 내지 10 g,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1 g의 비율로 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이 건강 음료인 경우에는 지시된 비율로 필수 성분으로서 상기 식품 조성물을 함유하는 것 외에 액체성분에는 특별한 제한점은 없으며,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의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의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이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조성물 100 ㎖당 일반적으로 약 1 내지 20g, 바람직하게는 약 5 내지 12g이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밖에 본 발명의 식품 조성물은 천연 과일 쥬스 및 과일 쥬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그렇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조성물 100 중량부 당 0 내지 약 2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예는 적양파 착즙물 또는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양파 착즙물의 제조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껍질을 포함한 적양파를 절단하고 물로 세척하여 협착물을 제거한 후 분쇄기를 통하여 적양파를 분쇄한 후 4℃에서 원심분리기를 이용 하여 용액만을 추출하여 모은다.
본 발명에 따른 적양파 추출물의 제조 과정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껍질을 포함한 적양파을 절단 및 세척 후 상기 적양파의 중량에 대하여 약 5 내지 20 부피배, 바람직하게는 7 내지 15 부피배의 추출용매로 환류 추출한다. 추출 후 여과하여 여과액을 모은다. 추출 온도는 특별한 제한은 없지만 40 내지 110℃,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90℃인 것이 좋다.
추출공정은 1회 또는 수회 반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예에서는 1차 추출 후 다시 재추출하는 방법을 채택할 수 있는데, 이는 생약추출물을 대량 생산하는 경우 효과적으로 여과를 한다 하더라도 생약 자체의 수분 함량이 높기 때문에 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1차 추출만으로는 추출효율이 떨어지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함이다. 또한, 각 단계별 추출효율을 검증한 결과 2차 추출에 의해 전체 추출량의 80 내지 90% 정도가 추출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의 일예에서, 추출공정을 2회 반복하는 경우, 상기 얻어진 잔사에 다시 추출용매, 약 5 내지 15 부피배, 바람직하게는 8 내지 12 부피배로 환류 추출한다.
추출 후 여과하고 이전에 얻어진 여과액과 합쳐서 감압농축을 하여 적양파 추출물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2차에 걸친 추출 및 각각의 추출 후 얻어진 여과액을 혼합함으로써 추출 효율을 높일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추출물이 추출 회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적양파 추출물 제조 시에 사용되는 용매의 양이 너무 적으면 교반이 어렵게 되고 추출물의 용해도가 낮아져 추출효율이 떨어지게 되고, 지나치게 많은 경우는 다음의 정제단계에서 사용되는 용매의 사용량이 많아져 경제적이지 못하여 취급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용매의 사용량은 상기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이와 같이 얻어진 여과된 추출물은 의약품 원료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잔존하는 저급 알코올의 함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농축물 총량의 약 10 내지 30배,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배, 보다 바람직하게는 약 20 중량배의 물로 1 내지 5회,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회 공비 농축하고 재차 동량의 물을 가하여 균질 하게 현탁시킨 후 동결건조하여 분말상태의 적양파 추출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추출 방법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모든 방법일 수 있으며, 예컨대, 냉침, 열수추출, 초음파 추출 또는 환류 냉각 추출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적양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적양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다양한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의 완화, 억제, 또는 치료에 유용한 약학적 조성물, 또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실험 프로토콜 및 각 군에 대한 설명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군의 증상점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군의 총 IgE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군의 난알부민 특이 IgE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군의 IL-4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군의 IL-5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군의 IL-10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군의 IL-13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군의 INF-r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군의 TNF-a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중격에 발현된 호산구의 개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추가 실험에 따른 각 군의 증상 점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추가 실험에 따른 각 군의 총 IgE 및 난알부민 특이 IgE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추가 실험에 따른 각 군의 IL-4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추가 실험에 따른 각 군의 IL-5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추가 실험에 따른 각 군의 IL-10을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추가 실험에 따른 각 군의 IL-13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추가 실험에 따른 각 군의 INF-r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추가 실험에 따른 각 군의 TNF-a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추가 실험에 따른 각 군의 COX-2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군의 호산구 침윤정도를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비교한 사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군의 호산구 침윤정도를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비교한 사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각 군의 호산구 침윤정도를 조직학적 분석을 통해 비교한 사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갑개에 발현된 호산구의 개수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적양파 착즙물 제조
적양파는 무안산으로 가락동 농수산시장에서 구입하였다. 껍질을 포함하여 적양파의 바깥 두 층만을 사용하여 이를 분쇄기에 넣어 분쇄 하였고, 이를 4°C 에서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4000rpm에서 15분 동안 원심분리하에 용액만을 추출하였다. 추출 후 70um 나일론 메쉬(BD Bioscience, CA, USA)를 이용하여 쥐어짜기를 하여 찌꺼기를 한번 더 제거 하였다.
실시예 2. 알레르기 비염의 동물모델 확립
실험동물은 Orient Bio에서 구매 한 6주령의 BALB/c 계의 젊은 암컷 흰쥐(17-18g) 를 사용하며, 12시간 간격으로 명암이 조절되는 멸균실에서 사육하며 물과 음식은 자유롭게 섭취하게 한다. 모든 동물은 도착 후 7일간의 적응기간을 거친 후 이상이 없는 것을 확인하고 실험하였다. 알레르기 모델의 확립을 위하여 실험 동물의 복강으로 25ug의 OVA (grade V; Sigma, MO, USA)와 1mg의 aluminium hydroxide (Sigma-Aldrich, MO, USA)를 200uL의 PBS에 희석시켜 0일, 7일, 14일의 3차례 주입 하였다.
실시예 3. 농도에 따른 알레르기 비염 효과 검정
알레르기 모델이 확립된 실험군을 두 군으로 나누어 한 군에는 OVA 100ug을 20uL의 PBS에희석시킨 용액과 함께 비강 내 양파즙을 적용하고, 다른 한 군에서는 OVA 100ug을 20uL의 PBS에희석시킨 용액과 함께 생리식염수를 1주일에 5차례씩 3주간 적용하였다. 양파즙은 농도를 20uL 와 40uL 두단계로 나누어 적용하여 농도에 따른 효과의 차이를 함께 분석하였다.
이외에도 알레르기 비염을 유발 하지 않은 마우스 (알레르기 모델 확립과 동일한 스케쥴로 복강 내 PBS만 주입)도 두 군으로 나누어 한 군에서는 생리식염수만을 적용하고, 다른 한 군에서는 양파즙을 적용하여 양파즙의 적용으로 인한 부작용 등을 파악하였다.
알레르겐의 노출 15분 후에 10분간의 관찰을 통하여 마우스의 재채기 횟수를 비교한 후 알레르기 증상의 정도를 비교하고 마지막 알레르겐의 노출 24시간 후에는 마우스를 전신마취 하에 희생시킨 후, 비점막의 조직 및 혈액을 채취하여 알레르기 및 염증과 관련된 싸이토카인 및 염색을 통한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혈액의 채취는 BD microstainer (BD Biosciences, CA, USA)를 이용하여 -20°C에서 보관 후에 분석 하였으며, Total IgE및 OVA-specific IgE는 ELISA kits를 이용 하여 분석 하였다 (mouse IgE ELISA kit (BD Biosciences, CA, USA), mouse OVA-specific IgE (MD bioproducts, Zurich, Switzerland)). Optical density의 값은 구하기 위해 450nm 파장에서 xMark Microplate reader(Bio-Rad)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염증성 싸이토카인은 real time PC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전신 마취 하 희생시킨 쥐의 머리를 절단 한 후 피부를 벗긴 후 뇌를 적출하였다. 비중격을 한쪽면으로 포함하도록 반으로 비강을 가른 후, 비중격을 포함 하지 않은 쪽의 비갑개 점막을 채취 하였다. 채취된 점막은 RNAlater 용액 (Ambion, TX, USA)에 저장하여 4°C에 보관하였다. Total RNA는 TRIZol reagent (Invitrogen, CA, USA)를 이용 하여 추출 하였으며, 1ug의 purified RNA는 SuperScriptTM VILOTM cDNA Synthesis Kit (Invitrogen, Carlsbad, CA, USA)를 이용 하여 cDNA로 reverse transcription 하였다. 7900HT Fast Real-Time System(Applied Biosystems, CA, USA)을 이용하여 TaqMan method로 q-RT-PCR로 시행하였다. Cytokine의 mRNA level을 측정하기 위해 TaqMan Gene Expression Assays를 사용하여 interleukin (IL)-4 (Mm 00445259_m1), IL-5 (Mm 000439646_m1), IL-10 (Mm 01288386_m1), IL-13 (Mm 00434204_m1),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Mm 00443258_m1), and interferon-gamma (IFN-γ) (Mm 01168134_m1)을 측정하였다.
3-1. 증상 점수 측정
Saline Onion(40) AR(OVA) OVA+onion(20) OVA+onion(40)
9 12 55 39 16
8 7 37 27 12
11 9 44 17 18
7 6 43 10 34
표 1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알레르기 모델 군에서 재채기의 횟수가 가장 빈번히 관찰 되며, 양파즙을 비강내 점적한 군에서 재채기의 횟수가 줄어드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양파즙 40uL을 적용 한 군에서 20uL 적용한 군에 비하여 증상의 발현이 더욱 억제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2. 총 IgE 측정
Saline Onion(40) AR(OVA) OVA+onion(20) OVA+onion(40)
0 0 242 2950 991
0 0 1857 1185 0
0 0 2677 237 298
0 740 2179 3010 1567
표 2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알레르기 모델 군에서 총 IgE 값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양파즙을 비강 내 점적한 경우 20uL을 적용한 군에서는 총 IgE의 수치가 여전히 높게 발현 되지만, 40uL을 적용 한 군에서는 총 IgE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3. 난알부민 특이 IgE 측정
Saline Onion(40) AR(OVA) OVA+onion(20) OVA+onion(40)
0 0 680 11187 972
0 0 4118 3872 583
0 0 5649 3290 423
0 0 8514 2090 2402
표 3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알레르기 모델 군에서 난알부민 특이 IgE 값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양파즙을 비강내 점적한 경우 20uL을 적용한 군에서는 난알부민 특이 IgE의 수치가 여전히 높게 발현 되지만, 40uL을 적용 한 군에서는 난알부민 특이 IgE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4. IL-4 측정
Saline Onion(40) AR(OVA) OVA+onion(20) OVA+onion(40)
0.31 1.89 46.88 26.98 11.73
0.04 2.66 48.87 29.94 19.74
1.00 1.02 34.94 42.46 13.90
0.30 0.17 45.76 47.08 76.96
표 4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알레르기 모델 군에서 IL-4의 값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양파즙을 비강내 점적한 군에서 IL-4의 값이 줄어드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양파즙 40uL을 적용 한 군에서 20uL 적용한 군에 비하여 IL-4의 발현이 더욱 억제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5. IL-5측정
Saline Onion(40) AR(OVA) OVA+onion(20) OVA+onion(40)
2.58 0.87 1.61 2.60 0.79
2.06 0.93 2.23 0.87 0.88
1.00 0.46 1.55 1.05 0.64
0.48 0.54 3.29 1.17 0.98
표 5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알레르기 모델 군에서 IL-5의 값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양파즙을 비강내 점적한 군에서 IL-5의 값이 줄어드는 것을 관찰 할 수 있었다. 또한 양파즙 40uL을 적용 한 군에서 20uL 적용한 군에 비하여 IL-4의 발현이 더욱 억제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6. IL-10 측정
Saline Onion(40) AR(OVA) OVA+onion(20) OVA+onion(40)
1.30 1.25 6.98 8.01 3.13
1.51 2.87 12.28 5.23 3.53
1 0.80 4.75 4.24 4.43
0.99 1.55 7.73 8.45 5.28
표 6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알레르기 모델 군에서 IL-10 값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양파즙을 비강내 점적한 경우 20uL을 적용한 군에서는 IL-10의 수치가 여전히 높게 발현 되지만 40uL을 적용 한 군에서는 IL-13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7. IL-13 측정
Saline Onion(40) AR(OVA) OVA+onion(20) OVA+onion(40)
7.54 1.86 25.07 32.92 23.46
1.61 2.06 38.69 21.39 12.77
1.00 1.08 25.65 24.00 19.58
0.65 1.56 34.92 37.63 20.42
표 7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알레르기 모델 군에서 IL-13 값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양파즙을 비강내 점적한 경우 20uL을 적용한 군에서는 IL-13의 수치가 여전히 높게 발현 되지만 40uL을 적용 한 군에서는 IL-13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8. INF-γ 측정
Saline Onion(40) AR(OVA) OVA+onion(20) OVA+onion(40)
1.58 0.67 2.33 1.73 0.70
1.44 1.56 3.24 1.39 1.60
1.00 1.06 2.78 2.15 1.46
0.45 1.05 1.60 2.77 0.78
표 8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알레르기 모델 군에서 INF-γ 값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양파즙을 비강내 점적한 경우 20uL을 적용한 군에서는 INF-γ 의 수치가 여전히 높게 발현 되지만 40uL을 적용 한 군에서는 INF-γ 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3-9. TNF-α 측정
Saline Onion(40) AR(OVA) OVA+onion(20) OVA+onion(40)
0.65 0.95 3.22 1.80 0.53
1.61 2.16 1.86 1.70 1.37
1.00 0.86 0.75 1.08 1.09
0.87 0.68 1.28 1.88 1.57
표 9에서 확인 할 수 있듯이, 알레르기 모델 군에서 TNF-α 값이 높게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양파즙을 비강내 점적한 경우 20uL을 적용한 군에서는 TNF-α 의 수치가 여전히 높게 발현 되지만 40uL을 적용 한 군에서는 TNF-α 의 발현이 억제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시예 4. 호산구 침윤도의 조직학적 분석
조직검사를 위하여 실험 동물의 비중격을 포함하여 절단된 부분을 4% 포름알데히드에 고정 하였으며 10% EDTA용액에 넣어 탈석회화를 진행 하였으며 이후 파라핀에 고정하였다. 이후 H&E 염색을 시행하였다. 호산구는 400배의 확대 하에 하비갑개에서 침윤도를 확인하였다.
알레르기 모델 군에서 호산구를 조직학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양파즙을 비강내 점적한 경우 호산구 발현의 정도가 줄어든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호산구 개수 측정
Saline Onion(40) AR(OVA) OVA+onion(20) OVA+onion(40)
0.00 0.00 92.00 184.00  
2.00 0.00 175.00   101.00
0.00   107.00 128.00
0.00 1.00 183.00 106.00 46.00
표 1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알레르기 모델 군에서 호산구를 조직학적으로 확인 할 수 있으며, 양파즙을 비강내 점적한 경우 호산구 발현의 정도가 줄어든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특히 20uL을 적용한 에 비하여 40uL을 적용 한 경우 호산구의 발현이 현저히 억제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6. 농도에 따른 알레르기 비염 효과 추가 검정
이후 생후 6 내지 7주령의 암컷 BALB/c 마우스를 하기의 그룹에 8마리씩 추가로 배분 하여 같은 실험을 진행 하였다.
Group A: Phosphate buffered saline(PBS)/PBS
Group C: 난알부민/난알부민
Group E: 난알부민/난알부민+양파즙 40uL.
알레르기 모델이 확립된 실험군을 두 군으로 나누어 한 군에는 OVA 100ug을 20uL의 PBS에희석시킨 용액과 함께 비강 내 양파즙을 적용하고, 다른 한 군에서는 OVA 100ug을 20uL의 PBS에희석시킨 용액과 함께 생리식염수를 1주일에 5차례씩 3주간 적용하였다. 이외에도 알레르기 비염을 유발 하지 않은 마우스 (알레르기 모델 확립과 동일한 스케쥴로 복강 내 PBS만 주입)도 생리식염수만을 적용하였다. 상기 세 군에 대하여 추가적인 실험을 진행 하였다.
알레르겐의 노출 15분 후에 10분간의 관찰을 통하여 마우스의 재채기 횟수를 비교한 후 알레르기 증상의 정도를 비교하고 마지막 알레르겐의 노출 24시간 후에는 마우스를 전신마취 하에 희생시킨 후, 비점막의 조직 및 혈액을 채취하여 알레르기 및 염증과 관련된 싸이토카인 및 염색을 통한 조직학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혈액의 채취는 BD microstainer (BD Biosciences, CA, USA)를 이용하여 -20C에서 보관 후에 분석 하였으며, Total IgE및 OVA-specific IgE는 ELISA kits를 이용 하여 분석 하였다 (mouse IgE ELISA kit (BD Biosciences, CA, USA), mouse OVA-specific IgE (MD bioproducts, Zurich, Switzerland)). Optical density의 값은 구하기 위해 450nm 파장에서 xMark Microplate reader(Bio-Rad)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염증성 싸이토카인은 real time PCR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전신 마취 하 희생시킨 쥐의 머리를 절단 한 후 피부를 벗긴 후 뇌를 적출하였다. 비중격을 한쪽면으로 포함하도록 반으로 비강을 가른 후, 비중격을 포함 하지 않은 쪽의 비갑개 점막을 채취 하였다. 채취된 점막은 RNAlater 용액 (Ambion, TX, USA)에 저장하여 4C에 보관하였다. Total RNA는 TRIZol reagent (Invitrogen, CA, USA)를 이용 하여 추출 하였으며, 1ug의 purified RNA는 SuperScriptTM VILOTM cDNA Synthesis Kit (Invitrogen, Carlsbad, CA, USA)를 이용 하여 cDNA로 reverse transcription 하였다. 7900HT Fast Real-Time System(Applied Biosystems, CA, USA)을 이용하여 TaqMan method로 q-RT-PCR로 시행하였다. Cytokine의 mRNA level을 측정하기 위해 TaqMan Gene Expression Assays를 사용하여 interleukin (IL)-4 (Mm 00445259_m1), IL-5 (Mm 000439646_m1), IL-10 (Mm 01288386_m1), IL-13 (Mm 00434204_m1), tumor necrosis factor-α (TNF-α) (Mm 00443258_m1), and interferon-gamma (IFN-γ) (Mm 01168134_m1)을 측정하였다.
6-1. 독성 반응 확인
도 2 내지 1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PBS/PBS+양파즙 군은 PBS/PBS군에 비하여 특별한 부작용이나 염증 반응이 나타나지 않아 양파즙의 투여가 독성 반응을 일으키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6-2. 양파즙의 효과 확인
또한,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양파즙 40uL투여군이, 양파즙 20uL 투여군에 비하여 더 확실한 알레르기 증상 조절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에 group A, C, E에 추가적으로 8마리씩 마우스를 배분하여 아래의 실험을 진행하였다.
6-3. 증상 점수
도 1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C군이 A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재채기 횟수가 높은 것을 확인 하였으며, E군에서 유의하게 C군에 비하여 재채기 횟수가 줄어드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6-4. 혈중 총 IgE 및 난알부민 특이 IgE 농도 확인
도 1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난알부민 특이 IgE 농도는 C군이 A군에 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 하였으며, E군에서 유의하게 C군에 비하여 낮은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6-5. qPCR 분석을 통한 싸이토카인의 mRNA분석
도 14 내지 20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IL-4, IL-5, IL-13, IL-10, IFN-γ 의 mRNA 발현이 C군에서 A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발현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E군에서 C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발현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TNF-α 와 COX-2 mRNA 발현은 C군에서 A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발현이 증가 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E군에서 C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발현이 감소하지는 않았다.
6-5-1. IL-4 측정
Saline AR(OVA) OVA+onion(40)
0.31 92.67 22.28
0.04 31.38 4.79
1.00 55.52 33.43
0.30 39.51 40.17
1.00 33.61 44.32
0.12 61.99 51.27
6-5-2. IL-5 측정
Saline AR(OVA) OVA+onion(40)
2.58 4.97 2.86
2.06 6.03 3.58
1.00 3.64 1.95
0.48 6.64 4.80
1.00 6.39 2.77
1.98 5.82 3.91
6-5-3. IL-13 측정
Saline AR(OVA) OVA+onion(40)
7.54 116.57 73.77
1.61 63.69 40.59
1.00 89.76 131.23
0.65 77.60 119.76
1.00 58.32 425.5
2.19 121.35 99.39
6-5-4. IL-10 측정
Saline AR(OVA) OVA+onion(40)
1.30 38.99 10.88
1.51 12.41 4.33
1.00 11.47 15.45
0.99 19.77 14.71
1.00 18.60 16.70
1.12 22.21 19.62
6-5-5. IFN-γ 측정
Saline AR(OVA) OVA+onion(40)
1.58 13.01 4.65
1.44 4.06 4.66
1.00 5.48 4.22
0.45 11.60 10.08
1.00 14.93 5.26
1.10 15.61 6.51
6-5-6. TNF-α 측정
Saline AR(OVA) OVA+onion(40)
0.65 7.07 1.39
1.61 2.58 1.16
1.00 0.96 3.90
0.87 3.02 1.93
1.0 7.79 2.29
0.99 1.80 3.51
6-5-7. COX-2 측정
Saline AR(OVA) OVA+onion(40)
2.97 6.16 4.87
2.28 8.40 2.91
1.76 6.53 7.28
0.65 4.53 3.55
1.00 4.07 3.95
1.23 10.09 3.82
6-6. 호산구 침윤도의 조직학적 분석
조직검사를 위하여 실험 동물의 비중격을 포함하여 절단된 부분을 4% 포름알데히드에 고정 하였으며 10% EDTA용액에 넣어 탈석회화를 진행 하였으며 이후 파라핀에 고정하였다. 이후 H&E 염색을 시행하였다. 호산구는 400배의 확대 하에 하비갑개에서 침윤도를 확인 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21 내지 24에 나타내었다.
도 21 내지 24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E군에서 C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발현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6-7. 호산구 개수 측정
Saline AR(OVA) OVA+onion(40)
0 178 22
0 59 11
0 95 18
0 66 46
0 140 36
도 24 및 표 18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E군에서 C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낮게 발현 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Claims (8)

  1. 적양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의 완화, 억제,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양파는 적양파의 착즙물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양파 착즙물은 껍질을 포함한 적양파를 착즙한 것인, 약학적 조성물.
  4.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비강 투여제로 제형화된 것인,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1일 투여량은 유효성분 함량 기준으로 0.1 내지 500mg/kg인 것인, 약학적 조성물.
  6. 적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개선용 식품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양파 추출물은 적양파의 착즙물인 것인, 식품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양파 착즙물은 껍질을 포함한 적양파를 착즙한 것인, 식품 조성물.
KR1020180154786A 2017-12-06 2018-12-04 적양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671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999 2017-12-06
KR20170166999 2017-12-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7101A true KR20190067101A (ko) 2019-06-14

Family

ID=668467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4786A KR20190067101A (ko) 2017-12-06 2018-12-04 적양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6710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590B1 (ko) 2020-01-30 2021-06-02 주식회사 엠제이블루밍알앤디 다시마 및 한방 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58590B1 (ko) 2020-01-30 2021-06-02 주식회사 엠제이블루밍알앤디 다시마 및 한방 약재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 개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96798B1 (en) Plectranthus amboinicus fraction having anti-arthritis activity
Rajpoot et al. Boerhaavia diffusa roots (Punarnava mool)–review as rasayan (rejuvenator/antiaging)
Shahwar et al. Hypoglycemic Activity of Ruellia tuberosa Linn (Acanthaceae) in Normal and Alloxan-Induced Diabetic Rabbits: Hypoglycemic Activity of Ruellia tuberosa Linn
KR102006738B1 (ko) 쥐꼬리망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호흡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JP2010500342A (ja) Eurycomalongifoliaの極性有機抽出物
KR101495117B1 (ko) 꾸지뽕나무 줄기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질환 치료용 조성물
ZA200506723B (en) Composition for treating hepatitis C
KR101839721B1 (ko) 바이칼레인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천식 또는 아토피 등의 알러지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NZ529466A (en) Water-soluble extract from plants of solanum genus, particularly S. incanum and S. nigrum, the preparation process thereof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inhibiting cancer/tumour cell growth
Adesina et al. Plants in respiratory disorders I-anti-asthmatics, a review
KR20230166068A (ko) 바이러스에 의한 감염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060092373A (ko) 소아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및 개선용 생약 조성물
KR20190067101A (ko) 적양파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미세먼지, 새집 증후군 또는 알레르기 비염 완화, 억제,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90043996A (ko) 국화 추출물 및 황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호흡기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101336094B1 (ko) 피부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087572B1 (ko) 아토피 피부염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Lin et al. Total phenolic contents in selected fruit and vegetable juices exhibit a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feron-γ, interleukin-5, and interleukin-2 secretions using primary mouse splenocytes
Soni et al. Traditional uses,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ical profile of Bambusa arudinacea Retz
KR20110095765A (ko) 현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알레르기 조성물
Anamika et al. Effect of the aqueous extract of Boerhaavia diffusa roots and leaves of hypoglycemic as well as immuno support activity
KR102588131B1 (ko) 쑥 및 삼백초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로 인한 뇌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291823B1 (ko) 새싹도라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산화 및 항염증용 조성물
KR101695166B1 (ko) 돌나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당뇨병 합병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kinpelu et al. Evaluation of anti-inflammatory and antisickling potentials of Archidium ohioense Schimp. ex Mull extracts
Abigail et al. Assessment of antihyperglycemic effect of nut fractions of vigna Subterranea on streptozotocin-induced diabetic ra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