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993A -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장치 - Google Patents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90066993A KR20190066993A KR1020170166940A KR20170166940A KR20190066993A KR 20190066993 A KR20190066993 A KR 20190066993A KR 1020170166940 A KR1020170166940 A KR 1020170166940A KR 20170166940 A KR20170166940 A KR 20170166940A KR 20190066993 A KR20190066993 A KR 2019006699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w
- lighting device
- housing
- roller
- convey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1/00—Supporting, suspending, or attaching arrangements for lighting devices; Hand grips
- F21V21/34—Supporting elements displaceable along a guid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장치를 목적하는 위치로 수평 이동시킬 시에 이동 가능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탄력적으로 물리적인 이동 제한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안내롤러와 전선롤러의 이중 롤러구조를 통해 조명장치의 수평 위치 이동시 전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연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일정 부분을 수용한 상태로 이송스크류와 나사결합함에 따라 이송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 우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함체와; 상기 이동함체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송스크류의 양측에는 이동함체가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진행을 간섭하는 스프링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스크류는 양측에 지지부에 의해 회전지지되되, 상기 지지부는 이송스크류의 양측에 각각 축설되어 회전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베어링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연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일정 부분을 수용한 상태로 이송스크류와 나사결합함에 따라 이송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 우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함체와; 상기 이동함체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송스크류의 양측에는 이동함체가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진행을 간섭하는 스프링부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이송스크류는 양측에 지지부에 의해 회전지지되되, 상기 지지부는 이송스크류의 양측에 각각 축설되어 회전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베어링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조명장치를 목적하는 위치로 수평 이동시킬 시에 이동 가능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탄력적으로 물리적인 이동 제한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안내롤러와 전선롤러의 이중 롤러구조를 통해 조명장치의 수평 위치 이동시 전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조명장치는 무대 또는 야외에 빛을 조명하고 다양한 연출을 유도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러한 조명장치는 상, 하방향으로 승하강이 이루어지도록 다양한 바텐 승하강장치가 구비되며, 좌, 우방향으로 이동을 위해 수평이동장치가 구비된다.
이러한 수평이동장치는 별도의 동력원 없이 작업자의 조작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동력원을 통해 구동제어하여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수평이동장치는 동력원의 구동 제어를 통해 정확한 위치 이송이 필요함은 물론 다양한 해결 과제가 요구되는데, 첫째로 사용자의 조작 미숙 또는 제어장치의 에러로 인해 좌, 우측 단부측에서 계속적인 이동이 이루어지는 경우 부하가 점차 증가하여 기기가 파손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 이동 제한 구성이 필요하며, 둘째로 조명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전선이 공급되는데, 조명장치의 좌, 우 이동시 전선이 수평이동장치의 다른 구성부와 간섭되거나 이동에 따른 경로 간섭에 의해 전선의 꼬임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이동 제한 요구와 전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장치 개선이 요구된다.
특히 이동 제한 구성에 있어서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전자 제어장치 구성을 통해 제한 구성이 마련되는 경우 정밀한 제어가 가능한 장점은 있으나, 장시간 사용에 따른 스위치의 에러 또는 파손이 발생하는 경우 이동 제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아 기기 전체가 파손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이동 제한 구성의 제안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조명장치를 목적하는 위치로 수평 이동시킬 시에 이동 가능위치를 벗어나지 않도록 탄력적으로 물리적인 이동 제한이 이루어지도록 하며 안내롤러와 전선롤러의 이중 롤러구조를 통해 조명장치의 수평 위치 이동시 전선의 꼬임을 방지할 수 있는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은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연에 나사선이 형성되는 이송스크류와; 상기 이송스크류의 일정 부분을 수용한 상태로 이송스크류와 나사결합함에 따라 이송스크류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 우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함체와; 상기 이동함체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송스크류의 양측에는 이동함체가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진행을 간섭하는 스프링부가 포함된다.
또한, 이송스크류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작동에 따라 스크류결합체는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되며, 상기 이송스크류의 정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스크류결합체가 스프링부를 압축하는 경우에는 더이상 진행하지 못하면서 정지한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이송스크류는 공회전되며,
상기 이송스크류가 역회전 되는 경우에는 스크류결합체는 원위치로 후진과 동시에 스프링부는 탄성력이 발생되면서 상기 스크류결합체를 순간적으로 밀어낼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여기서 상기 이송스크류는 양측에 지지부에 의해 회전지지되되, 상기 지지부는 이송스크류의 양측에 각각 축설되어 회전지지하는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을 수용하는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베어링하우징을 지지하는 지지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양측의 상기 지지판 사이에는 상기 수용함체의 롤러 접촉되어 수용함체를 지지하도록 하는 롤러지지판이 더 포함되며, 상기 이송스크류의 나사선은 양측 단부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격된 지점에서 중심측으로 일정방향성을 가지며 형성되되, 상기 이동함체가 일측으로 나사선을 따라 이동할 시 스프링부가 최대로 압축되더라도 이동함체가 상기 나사선과 일정부분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나사선의 형성 위치가 결정된다.
아울러 상기 일측 지지판에는 이송스크류의 상부 위치에서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안내롤러가 더 포함되며, 상기 안내롤러는 일단이 안내롤러가 설치되지 않은 타측 지지판에 고정되는 스프링부재를 권취하여 타단이 이송스크류의 중심측으로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스프링부재은 타단은 이송스크류 상부측에 위치하는 전선롤러하우징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전선롤러하우징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선을 권취하여 이동함체를 경유하여 조명장치로 전선이 위치되도록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별도의 전자적인 리미트 스위치 없이 물리적인 스프링부를 통해 이동 제한 구성이 가능하면서도 스프링부의 완충성을 통해 장치의 부하 발생을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안내롤러와 전선롤러의 이중 롤러구조를 통해 이동함체가 어느 위치로 이동하더라도 전선의 꼬임이 발생하지 않고 조명장치로 전원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C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D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함체가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함체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함체의 이동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부와 이동함체 간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의 B 부분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의 C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1의 D 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함체가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함체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함체의 이동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부와 이동함체 간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고 이를 참조하여 살펴본다.
먼저,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며,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 부분 확대도이고, 도 3은 도 1의 B 부분 확대도이며, 도 4는 도 1의 C 부분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1의 D 부분 확대도이다.
아울러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함체가 좌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이동함체가 우측으로 이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동함체의 이동롤러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 내지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프링부와 이동함체 간 동작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평이동장치(100)는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연에 나사선(11)이 형성되는 이송스크류(10)와, 상기 이송스크류(10)의 일정 부분을 수용한 상태로 이송스크류(10)와 나사결합함에 따라 이송스크류(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 우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함체(20)와, 상기 이동함체(30)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30)와, 상기 이송스크류(10)의 양측에는 이동함체(20)가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진행을 간섭하는 스프링부(40)와, 상기 이송스크류(10)의 양측에 설치되어 이송스크류(10)를 회전지지하는 지지부(5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송스크류(10)는 양측의 지지부(50)에 의해 회전지지되며, 별도의 동력발생장치와 동력전달장치를 통해 이송스크류(10)의 일측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이루어지며, 이러한 회전력에 의해 이송스크류(10)의 외연에 형성되는 나사선(11)의 동반회전에 따라 이송스크류(10) 상에 설치되는 이동함체(20)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이송스크류(10)의 나사선(11)은 이송스크류(10)의 양측 단부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격된 지점에서 중심측으로 일정방향성을 가지며 형성되는데, 이는 이동함체(20)가 일측 방향의 최단부측까지 이동시 별도의 리미트 스위치와 같은 이동 제한 구성이 없는 경우 계속적으로 이동하려 하기 때문에 부하에 따른 기기파손이 발생될 수 있다.
아울러 양측 이송스크류(10)의 나사선(11)이 형성되지 않은 위치에는 스프링부(40)가 이송스크류(10)의 외연에 배치되어 이동함체(20)의 단부측 이동을 완충하며 간섭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동함체(20)는 이송스크류(10)의 나사선(11)과 나사결합함에 따라 이송스크류(10)의 회전방향을 따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이동함체(20)는 나사선(11)과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는 육면체 형상의 스크류결합체(21)와, 상기 스크류결합체(21)를 외측을 커버하며 수직단면이 '' 형상의 길이방향을 가지는 2단절곡판(22)과, 상기 2단절곡판(22) 양측에 복수개 설치되는 이동롤러(23)와, 상기 2단절곡판(22) 및 이동롤러(23)를 일정부분 커버하며 수직단면이 '' 형상의 길이방향을 가지는 하부절곡판(24)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롤러(23)는 후술할 지지부(50)의 롤러지지판(54) 상에 안착되어 이동지지되며, 상기 하부절곡판(24)은 상기 롤러지지판(54)의 하부측을 감싸는 형태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조명장치(30)는 상기 이동함체(20)의 하부절곡판(24)으로부터 연장되는 조명지지브라켓(25)에 의해 고정지지되며, 조명장치(30)의 위치 이동 제어는 전술한 이송스크류(10)의 회전방향 및 속도 제어를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스프링부(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송스크류(10)의 양 단부측에 배치되어 이동함체(20)가 단부측으로 계속 이동하는 경우 지지부(50)와의 충격을 방지하고 부하의 증대를 최소화하도록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송스크류(10)의 나사선(11)이 형성되지 않는 길이와, 스프링부(40)의 최대 압축길이 및 이동함체(20)의 스크류결합체(21) 길이를 종합하여 일측 단부로 계속하여 이동함체(20)가 진행하려 하는 경우 스프링부(40)의 최대 압축길이 상황이 발생되는데, 이때 스크류결합체(21)의 반대측 일정길이와 이송스크류(10)의 나사선(11)은 나사결합이 진행되는 상태여야 한다.
즉 이동함체(20)가 제어에 의해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고자 할 때 스프링부(40)의 최대 압축길이시에 최소한의 스크류결합체(21)와 이송스크류(10)의 나사선(11) 간 나사결합 부위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 반대방향으로 이동이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또한 나사결합 부위가 너무 길게 형성되는 경우 계속적인 단부측으로의 이동함체(20) 이동이 발생되면 나사결합 길이가 길게 형성됨에 따른 이동 동력원이 증대되어 부하가 크게 발생되게 된다.
따라서,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부(40)의 최대 압축길이 상황에서 스크류결합체(21)와 이송스크류(10)의 나사선(11) 간 나사결합 부위는 최소한의 길이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일예로 5mm 내지 30mm 정도이다.
한편, 이송스크류(10)의 정회전 또는 역회전 작동에 따라 스크류결합체(21)는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이때, 이송스크류(10)의 정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스크류결합체(21)가 스프링부(40)를 도 10과 같이 압축하는 경우에는 더이상 진행하지 못하면서 정지한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이송스크류(10)는 공회전 될 수 있다.
그리고, 이송스크류(10)가 역회전 되는 경우에는 스크류결합체(21)는 원위치로 후진과 동시에 스프링부(40)는 도 11 및 도 12와 같이 탄성력이 발생되면서 상기 스크류결합체(21)를 순간적으로 밀어낼 수 있는 구성이다.
한편 상기 지지부(50)는 상기 이송스크류(10)를 지지하도록 구비되는데, 이러한 상기 지지부(50)는 이송스크류(10)의 양측에 각각 축설되어 회전지지하는 베어링(51)과, 상기 베어링(51)을 수용하는 베어링하우징(52)과, 상기 베어링하우징(52)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베어링하우징(52)을 지지하는 지지판(53)과, 양측의 상기 지지판(53) 사이에서 상기 수용함체(20)의 이동롤러(23)와 롤러 접촉되어 수용함체(20)를 지지하도록 하는 롤러지지판(54)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판(53)은 베어링하우징(52) 및 롤러지지판(54)을 지지하는 좌, 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이의 상부측에 각각 이와 대응하여 결합되는 고정지지판(53a)이 더 형성될 수 있다.
만일 지지판(53)이 별도의 지지프레임에 결합되는 경우 상기 고정지지지판(53a)이 구비될 필요가 없으나, 바텐지지봉(P)과 같은 지지수단에 본 발명에 따른 수평이동장치(100)가 지지되어야 하는 경우 도 1에서와 같이 고정지지판(53a)이 구비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이동함체(20)의 좌, 우 이동에 따라 조명장치(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선의 꼬임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전선 공급이 꼬임 발생없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전선 공급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전선 공급 구성은 상기 일측 지지판(53)에 이송스크류(10)의 상부 위치에서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안내롤러(60)와, 일단이 안내롤러(60)가 설치되지 않은 타측 지지판(53)에 고정되고 타단은 안내롤러(60)에 권취되어 이송스크류의 중심측으로 위치되는 스프링부재(61)와, 상기 스프링부재(61)의 타단이 고정결합되며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선을 권취하여 이동함체(20)를 경유하여 조명장치로 전선이 위치되도록 하는 전선롤러하우징(62)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안내롤러(60)와, 전선을 권취하여 조명장치(30)로 전선(W)을 공급하는 전선롤러하우징(62)의 전선롤러(62a)에 따라 적절한 텐션을 통해 안정적으로 전선(W)이 꼬임 없이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이송스크류
20 : 이동함체
30 : 조명장치 40 : 스프링부
50 : 지지부 60 : 안내롤러
100 : 수평이동장치
30 : 조명장치 40 : 스프링부
50 : 지지부 60 : 안내롤러
100 : 수평이동장치
Claims (7)
-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가능하도록 설치되며 외연에 나사선(11)이 형성되는 이송스크류(10)와;
상기 이송스크류(10)의 일정 부분을 수용한 상태로 이송스크류(10)와 나사결합함에 따라 이송스크류(10)의 회전 방향에 따라 좌, 우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동함체(20)와;
상기 이동함체(30)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빛을 조사하는 조명장치(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이송스크류(10)의 양측에는 이동함체(20)가 더이상 이동하지 못하도록 진행을 간섭하는 스프링부(40)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10)는 정회전 또는 역회전 작동으로 스크류결합체(21)를 전진 또는 후진시키되,
상기 이송스크류(10)의 정회전에 의해 이동하는 스크류결합체(21)가 스프링부(40)을 압축하는 경우에는 더이상 진행하지 못하면서 정지한 상태를 유지함과 아울러 상기 이송스크류(10)를 공회전시키고,
상기 이송스크류(10)가 역회전하는 경우에는 스크류결합체(21)는 원위치로 후진과 동시에 스프링부(40)는 탄성력이 발생되면서 상기 스크류결합체(21)를 순간적으로 밀어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10)의 나사선(11)은 양측 단부측으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일정 길이 이격된 지점에서 중심측으로 일정방향성을 가지며 형성되되, 상기 이동함체(20)가 일측으로 나사선을 따라 이동할 시 스프링부(40)가 최대로 압축되더라도 이동함체(20)가 상기 나사선(11)과 일정부분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나사선(11)의 형성 위치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스크류(10)는
양측에 지지부(50)에 의해 회전지지되되,
상기 지지부(50)는
이송스크류(10)의 양측에 각각 축설되어 회전지지하는 베어링(51)과, 상기 베어링(51)을 수용하는 베어링하우징(52)과, 상기 베어링하우징(52)의 하부측에 결합되어 베어링하우징(52)을 지지하는 지지판(53)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양측의 상기 지지판(53) 사이에는 상기 수용함체(20)의 롤러 접촉되어 수용함체(20)를 지지하도록 하는 롤러지지판(54)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 지지판(53)에는 이송스크류(10)의 상부 위치에서 수직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안내롤러(60)가 더 포함되며,
상기 안내롤러(60)는
일단이 안내롤러(60)가 설치되지 않은 타측 지지판(53)에 고정되는 스프링부재(61)를 권취하여 타단이 이송스크류의 중심측으로 위치되도록 하며, 상기 스프링부재(61)은 타단은 이송스크류(10) 상부측에 위치하는 전선롤러하우징(62)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롤러하우징(62)은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선을 권취하여 이동함체(20)를 경유하여 조명장치로 전선이 위치되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6940A KR102013446B1 (ko) | 2017-12-06 | 2017-12-06 |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166940A KR102013446B1 (ko) | 2017-12-06 | 2017-12-06 |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90066993A true KR20190066993A (ko) | 2019-06-14 |
KR102013446B1 KR102013446B1 (ko) | 2019-08-22 |
Family
ID=6684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166940A KR102013446B1 (ko) | 2017-12-06 | 2017-12-06 |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01344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23995B1 (ko) * | 2019-11-14 | 2020-06-17 | 김미연 | 위치변경가능 전기공사 조명 시스템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4754Y1 (ko) * | 1999-09-16 | 2000-03-15 | 주식회사영화스테이지엔지니어링 | 조명기구용 램프 받침대의 구조 |
KR20100037363A (ko) * | 2008-10-01 | 2010-04-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좌우구동 액츄에이터 장치 |
KR20160069330A (ko) * | 2014-12-08 | 2016-06-16 | 에스엘 주식회사 | 차량용 램프의 구동 장치 |
-
2017
- 2017-12-06 KR KR1020170166940A patent/KR10201344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174754Y1 (ko) * | 1999-09-16 | 2000-03-15 | 주식회사영화스테이지엔지니어링 | 조명기구용 램프 받침대의 구조 |
KR20100037363A (ko) * | 2008-10-01 | 2010-04-09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자동차용 헤드램프의 좌우구동 액츄에이터 장치 |
KR20160069330A (ko) * | 2014-12-08 | 2016-06-16 | 에스엘 주식회사 | 차량용 램프의 구동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013446B1 (ko) | 2019-08-2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207475B2 (en) | Wire feeding unit | |
JP2006015360A (ja) | アーク溶接ロボットのトーチケーブル処理構造 | |
CN114833426B (zh) | 一种电焊机 | |
JP2018086679A (ja) | 特にレーザー式管切断機のような管加工機において管を支持する支持装置、及びそのような支持装置を備える管加工機 | |
KR20190066993A (ko) | 조명장치의 수평이동장치 | |
JP2011067893A (ja) | 溶接ロボットにおけるワイヤ送給装置の設置構造 | |
US20110030202A1 (en) | Electrical cable wiring head device and electrical cable wiring apparatus | |
KR20150029963A (ko) | 케이블 이송장치 | |
WO2018221100A1 (ja) | ノズル旋回装置及び巻線機 | |
CN105541096B (zh) | 基板加工装置 | |
JP5233599B2 (ja) | 電線布線用ヘッド装置及び電線布線装置 | |
KR101395657B1 (ko) | 선재 테이핑 장치 | |
JP2007020791A (ja) | ミシンの糸調子装置 | |
JP2010149971A (ja) | 昇降装置 | |
JP2019102531A (ja) | 基板搬送装置および基板加工装置 | |
CN213129510U (zh) | 医学成像装置 | |
EP1270484A2 (en) | Apparatus for unwinding wire from reels with high inertia | |
KR20100012171A (ko) | 와이어 로프 유도장치 | |
CN208516332U (zh) | 一种分拣机器人用的小型皮带线 | |
JP2021075345A (ja) | 搬送装置 | |
JP2015131325A (ja) | ワイヤ供給機構、送給装置、アーク処理システム | |
CN105329701B (zh) | 自动送线器的送线控制装置 | |
JP2020015566A (ja) | 線状体引出し装置 | |
KR101629759B1 (ko) | 보빈공급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코일제조설비 | |
US11926513B2 (en) | Up-and-down driv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