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6465A - 화장품 제조 장치 - Google Patents

화장품 제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6465A
KR20190066465A KR1020170166191A KR20170166191A KR20190066465A KR 20190066465 A KR20190066465 A KR 20190066465A KR 1020170166191 A KR1020170166191 A KR 1020170166191A KR 20170166191 A KR20170166191 A KR 20170166191A KR 20190066465 A KR20190066465 A KR 201900664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vacuum
cosmetic
vacuum pressure
mo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61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6617B1 (ko
Inventor
김민수
김은석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61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6617B1/ko
Publication of KR20190066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6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66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66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말 형태의 제1 재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재료를 수용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에 수용된 상기 화장품 재료를 일측으로 배출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화장품 재료를 사전에 설정된 좌표값에 따라 몰드유닛으로 공급하는 충전부, 상기 몰드유닛에 밀폐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진공상태에서 상기 몰드유닛 내의 상기 화장품 재료를 제1 압착하는 제1 압착부, 상기 제1 압착부와 연결되어 제1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제1 진공발생부, 상기 몰드유닛에 밀폐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진공상태에서 상기 제1 압착부에 의해 제1 압착된 상기 화장품 재료를 제2 압착하는 제2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와 연결되어 제2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제2 진공발생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제조 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THE COSMETIC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화장품 제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메이크업에 사용되는 화장품으로 메이크업 베이스 및 파우더, 투웨이 케익, 파우더 팩트, 스킨 커버 등이 주로 이용된다. 이때, 상기한 바와 같은 메이크업용 화장품은 오일리 분말원료를 용기 내에 주입한 후 이를 프레스에 의해 가압 성형하여 만들어지는 것으로, 대부분 고형으로 압축되어 생산된다. 이때, 완성된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점도를 갖는 원료로부터 오일성분의 바인더를 제거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오일성분의 제거방법으로는 습식성형과정에 있어 원료를 가압성형하는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원료를 가압성형하는 방법은 진공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많은 공정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공정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화장품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말 형태의 제1 재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재료를 수용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에 수용된 상기 화장품 재료를 일측으로 배출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화장품 재료를 사전에 설정된 좌표값에 따라 몰드유닛으로 공급하는 충전부, 상기 몰드유닛에 밀폐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진공상태에서 상기 몰드유닛 내의 상기 화장품 재료를 제1 압착하는 제1 압착부, 상기 제1 압착부와 연결되어 제1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제1 진공발생부, 상기 몰드유닛에 밀폐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진공상태에서 상기 제1 압착부에 의해 제1 압착된 상기 화장품 재료를 제2 압착하는 제2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와 연결되어 제2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제2 진공발생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진공압과 상기 제2 진공압은 서로 다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진공압은 상기 제2 진공압보다 클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오일을 포함하는 제2 재료와 상기 제1 재료가 혼합된 상기 화장품 재료를 수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순차적으로 상기 몰드유닛을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利點)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는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 각각에 독립적인 진공압을 형성시킬 수 있는 제1 진공발생부와 제2 진공발생부를 구별하여 연결함으로써, 진공압 형성 과정에서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1)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화장품 제조 장치(1)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1)는 재료 공급 유닛(10) 및 가압 성형 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재료 공급 유닛(10)은 화장품 재료를 준비하고, 준비된 화장품 재료를 일정한 형상으로 형성하는 몰드 유닛(2)으로 공급하여 충전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재료 공급 유닛(10)은 저장부(110), 호퍼부(120) 및 충전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10)는 분말 형태의 제1 재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재료를 수용할 수 있다. 제1 재료는 콤팩트(Compact), 투웨이 케익(Two way cake), 파우더 파운데이션(Powder foundation), 블러셔(Blusher), 아이새도우(Eye shadow) 등 각종 분말 메이크업 화장품에 사용되는 재료일 수 있다.
이때, 저장부(110)는 오일(oil)을 포함하는 제2 재료를 이용하여 제1 재료를 혼합한 상태에서 가압성형공정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한 오일(oil)은 탈크, 이산화티탄, 마이카, 실리카, 나일론 분말, 폴리메칠매타크릴레이크, 세리사이트, 카올린, 이연화, 옥시염화비스머스 등과 같은 색상을 나타내기 위한 색소 및 이러한 성분들을 결합시키는 바인더로 작용할 수 있다. 상기한 바인더는, 실리콘계 오일류, 탄화수소계 오일류, 고급 지방산계 오일류, 고급알콜계 오일류, 에스테르계 오일류, 글리세라이드계 오일류, 라놀린계 오일류, 동물성계 오일류, 식물성계 오일류를 포함하는 그룹 중 선택된 하나 이상의 성분을 이용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제1 재료와 제2 재료를 혼합할 수 있는 교반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호퍼부(120)는 저장부(110)와 연결되며, 저장부(110)에 수용된 화장품 재료를 일측으로 배출할 수 있다. 호퍼부(120)는 일측에 형성된 재료배출구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 않았지만, 호퍼부(120)는 저장부(110)에 수용된 화장품 재료를 정해진 분량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제어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호퍼부(12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대량의 화장품 재료를 재료배출구을 통해 일정한 분량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화장품 재료의 밀도 편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충전부(130)는 호퍼부(120)로부터 제공되는 화장품 재료를 사전에 설정된 좌표값에 따라 몰드 유닛(2)으로 공급할 수 있다. 충전부(130)는 배출관(L1)을 통해 호퍼부(120)와 연결될 수 있다. 충전부(130)는 몰드 유닛(2)을 감지할 수 있는 감지센서를 구비할 수 있으며, 몰드 유닛(2)이 사전에서 설정된 위치에 도착하면 사전에 설정된 좌표값으로 충전노즐을 움직이면서 화장품 재료를 몰드 유닛(2)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한 좌표값은 몰드 유닛(2) 내에 화장품 재료를 특정한 무늬 또는 디자인 형태를 갖도록 설정된 좌표값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몰드 유닛(2) 내에 소용돌이 형상의 디자인 형태로 화장품 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가압 성형 유닛(20)은 압착과 동시에 화장품 재료 내의 오일 성분을 제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품을 완성하기 위해서는, 제1 재료와 오일을 포함하는 제2 재료를 혼합하여 점도를 갖는 화장품 재료로부터 오일성분의 바인더를 제거해주어야 하는데, 이러한 오일성분을 제거하는 방법으로 가압 성형 유닛(20)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가압 성형 유닛(20)은 제1 압착부(210), 제2 압착부(220), 제1 진공발생부(230) 및 제2 진공발생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압착부(210)는 몰드 유닛(2)에 밀폐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진공상태에서 몰드 유닛(2) 내의 화장품 재료를 제1 압착할 수 있다. 제1 압착부(210)는 제1 압착부(210)의 하부로 몰드 유닛(2)이 이송되면, 몰드 유닛(2) 형상에 대응되는 제1 펀치부(215)를 이용하여 화장품 재료를 압착시킬 수 있다. 제1 압착부(210)는 점도를 갖는 화장품 재료를 특정한 형상을 유지하며 화장품 재료 내에 포함된 대부분의 오일 성분을 흡입할 수 있다.
제1 압착부(210)는 제1 진공발생부(230)와 연결되어, 몰드 유닛(2)과 제1 펀치부(215) 사이의 진공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 진공발생부(230)는 사전에 설정된 제1 진공압을 형성하는 공압펌프일 수 있다. 제1 압착부(210)는 제1 진공압에 의해 화장품 재료로부터 상기한 오일 성분을 흡입하여 제거할 수 있다.
제2 압착부(220)는 몰드 유닛(2)에 밀폐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진공상태에서 제1 압착부(210)에 의해 제1 압착된 화장품 재료를 제2 압착할 수 있다. 제2 압착부(220)는 제2 압착부(220)의 하부로 몰드 유닛(2)이 이송되면, 몰드 유닛(2) 형상에 대응되는 제2 펀치부(225)를 이용하여 제1 압착된 화장품 재료를 제2 압착시킬 수 있다. 제2 압착부(220)는 제1 압착에 의해 형상이 잡힌 화장품 재료를 한번 더 압착시켜 완성된 제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압착공정이 2회 타정일 경우, 제2 압착부(220)는 제2 펀치부(225)를 이용하여 제1 압착된 화장품 재료를 두 번 압착시킬 수 있다.
제2 압착부(220)는 제2 진공발생부(240)와 연결되어, 몰드 유닛(2)과 제2 펀치부(225) 사이의 진공 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진공발생부(240)는 사전에 설정된 제2 진공압을 형성하는 공압펌프일 수 있다. 제2 진공발생부(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진공발생부(230)와 개별로 구비되어 제1 진공압과 다른 제2 진공압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1 진공발생부(230)에서 발생시키는 제1 진공압은 제2 진공발생부(240)에서 발생시키는 제2 진공압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제2 진공발생부(240)는 제1 진공발생부(230)에서 발생시키는 제1 진공압에 의존하는(dependent) 제2 진공압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압착하는 제1 진공압에 따라 제2 진공압이 결정될 수 있다. 이는, 제1 압착공정은 제1 진공압에 의해 오일을 대부분 제거하기 위한 것이며, 제2 압착공정은 화장품 재료의 형상을 좀 더 견고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2 진공압을 제1 진공압보다 더 크게 하여 화장품 재료 내의 오일을 과도하게 제거하는 것을 막기 위함이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1)는 제2 진공압을 제1 진공압보다 작게 함으로써, 화장품 재료의 밀도 또는 점도를 사전에 설정된 정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는 제1 압착부(210)와 연결되는 제1 진공발생부(230)와, 제2 압착부(220)와 연결되는 제2 진공발생부(240)를 분리하여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장품 제조 장치는 제1 연결관(L2) 및 제2 연결관(L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결관(L2)은 제1 압착부(210)와 제1 진공발생부(230)를 연결하며, 제2 연결관(L3)은 제2 압착부(220)와 제2 진공발생부(240)를 연결할 수 있다. 이때, 제1 연결관(L2)과 제2 연결관(L3)은 서로 분리되어 구비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1 압착부(210)에 진공상태를 제공하는 제1 진공발생부(230)와 제2 압착부(220)에 진공상태를 제공하는 제2 진공발생부(240)는 서로 간섭하지 않고 진공압을 형성할 수 있다.
한편, 화장품 제조 장치는 충전부(130), 제1 압착부(210) 및 제2 압착부(220)와 대응되는 위치로 순차적으로 몰드 유닛(2)을 이송시키는 이송부(30)를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송부(30)는 충전부(130)로부터 화장품 재료가 충전된 몰드 유닛(2)을 제1 압착부(210)로 이송시켜 제1 압착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한 후, 제2 압착부(220)로 이송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화장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몰드 유닛(2)을 마련할 수 있다(S100). 몰드 유닛(2)은 화장품 재료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를 구비할 수 있으며, 수용부는 완성된 제품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이송부(30)를 이용하여 몰드 유닛(2)을 충전부(130)의 하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몰드 유닛(2)이 이송되면, 충전부(130)는 이를 감지하고, 호퍼부(120)로부터 배출되는 화장품 재료를 몰드 유닛(2)으로 공급할 수 있다(S200). 이때, 충전부(130)는 몰드 유닛(2)에 공급되는 화장품 재료를 이용하여 특정한 형상의 무늬 또는 디자인을 갖는 제품을 형성하기 위하여, 사전에 설정된 좌표값으로 충전 노즐을 움직이면서 화장품 재료를 공급할 수 있다.
몰드 유닛(2)에 화장품 재료가 공급된 후, 이송부(30)를 이용하여 몰드 유닛(2)을 제1 압착부(210)의 하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제1 압착부(210)는 하부에 구비된 제1 펀치부(215)를 이용하여 몰드 유닛(2) 내의 화장품 재료를 압착시킴과 동시에, 제1 진공발생부(230)를 이용하여 발생된 제1 진공압으로 화장품 재료에서 오일을 흡입제거할 수 있다. 다시 말해, 화장품 재료를 제1 진공발생부(230)에 의해 형성된 제1 진공압으로 제1 압착할 수 있다(S300).
이후, 이송부(30)를 이용하여 몰드 유닛(2)을 제2 압착부(220)의 하부로 이송시킬 수 있다. 제2 압착부(220)는 하부에 구비된 제2 펀치부(225)를 이용하여 제1 압착된 화장품 재료를 제2 압착시킬 수 있다. 이때, 제2 압착부(220)는 화장품 재료를 제2 진공발생부(240)에 의해 형성된 제2 진공압으로 제2 압착할 수 있다(S400).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진공압은 상기한 제1 진공압과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제1 진공압이 3.0kgf/cm2이면, 제2 진공압은 1.5kgf/cm2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와 다른 진공압을 이용하여 공정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는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 각각에 독립적인 진공압을 형성시킬 수 있는 제1 진공발생부와 제2 진공발생부를 구별하여 연결함으로써, 진공압 형성 과정에서 공정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어 생산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하기의 표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와 비교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에 의해 생산된 생산성을 비교한 표이다. 여기서, 비교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는 하나의 진공발생부를 이용하여 제1 압착부와 제2 압착부에 진공압을 형성한다. 비교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는 진공발생부와 제1 압착부 및 제2 압착부를 연결하는 연결관이 "Y" 자 형태로 형성되어 하나의 진공발생부가 2개의 압착부에 연결될 수 있다.
  비교실시예 본 실시예
일일평균수량(개) 2,311 4,599
생산성(개/인시) 204 376
표 1을 참조하면, 하나의 진공발생부를 이용하는 비교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의 생산량이 약 1.5 배 내지 2배 정도 증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나의 진공발생부를 이용하여 제1 압착부 및 제2 압착부에 진공을 발생시키는 경우, 제1 압착부의 제1 진공압과 제2 압착부의 제2 진공압의 개별적인 제어가 힘들다. 제1 진공압과 제2 진공압을 형성하는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하므로, 안정적인 진공압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공정시간이 늘어날 수밖에 없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같이, 제1 압착부의 제1 진공압을 제1 진공발생부에 의해 제어하고, 제2 압착부의 제2 진공압을 제1 진공발생부와 다른 제2 진공발생부에 의해 제어함으로써, 각각 정해진 하나의 진공압으로만 제어하면 되므로 공정시간이 단축될 수 밖에 없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제조 장치는 제1 압착부와 제1 진공발생부를 제1 연결관을 통해 연결하고, 제2 압착부와 제2 진공발생부를 제1 연결관과 분리된 제2 연결관을 통해 연결함으로써, 밀폐력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진공압 형성 시 서로 간섭이 발생하지 않아 안정적인 진공상태를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화장품 제조 장치
2: 몰드 유닛
10: 재료 공급 유닛
20: 가압 성형 유닛
30: 이송부
110: 저장부
120: 호퍼부
130: 충전부
210: 제1 압착부
215: 제1 펀치부
220: 제2 압착부
225: 제2 펀치부
230: 제1 진공발생부
240: 제2 진공발생부

Claims (5)

  1. 분말 형태의 제1 재료를 포함하는 화장품 재료를 수용하는 저장부;
    상기 저장부와 연결되며, 상기 저장부에 수용된 상기 화장품 재료를 일측으로 배출하는 호퍼부;
    상기 호퍼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화장품 재료를 사전에 설정된 좌표값에 따라 몰드유닛으로 공급하는 충전부;
    상기 몰드유닛에 밀폐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진공상태에서 상기 몰드유닛 내의 상기 화장품 재료를 제1 압착하는 제1 압착부;
    상기 제1 압착부와 연결되어 제1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제1 진공발생부;
    상기 몰드유닛에 밀폐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진공상태에서 상기 제1 압착부에 의해 제1 압착된 상기 화장품 재료를 제2 압착하는 제2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와 연결되어 제2 진공압을 발생시키는 제2 진공발생부;를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공압과 상기 제2 진공압은 서로 다른, 화장품 제조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진공압은 상기 제2 진공압보다 큰, 화장품 제조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오일을 포함하는 제2 재료와 상기 제1 재료가 혼합된 상기 화장품 재료를 수용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부, 상기 제1 압착부 및 상기 제2 압착부와 대응되는 위치로 순차적으로 상기 몰드유닛을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화장품 제조 장치.
KR1020170166191A 2017-12-05 2017-12-05 화장품 제조 장치 KR1020066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191A KR102006617B1 (ko) 2017-12-05 2017-12-05 화장품 제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6191A KR102006617B1 (ko) 2017-12-05 2017-12-05 화장품 제조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6465A true KR20190066465A (ko) 2019-06-13
KR102006617B1 KR102006617B1 (ko) 2019-08-02

Family

ID=66847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6191A KR102006617B1 (ko) 2017-12-05 2017-12-05 화장품 제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661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543Y1 (ko) * 2003-01-17 2003-06-18 전영철 분말화장품 충진장치의 가압구
KR20060016587A (ko) * 2004-08-18 2006-02-22 화성화학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에 분말형 제품을 충전하는 장치
JP2012219067A (ja) * 2011-04-11 2012-11-12 Shiseido Co Ltd 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KR20120134068A (ko) * 2011-05-31 2012-12-11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 케어 또는 메이크업 조성물과 이들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6543Y1 (ko) * 2003-01-17 2003-06-18 전영철 분말화장품 충진장치의 가압구
KR20060016587A (ko) * 2004-08-18 2006-02-22 화성화학 주식회사 화장품 용기에 분말형 제품을 충전하는 장치
JP2012219067A (ja) * 2011-04-11 2012-11-12 Shiseido Co Ltd 固形粉末化粧料の製造方法
KR20120134068A (ko) * 2011-05-31 2012-12-11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 케어 또는 메이크업 조성물과 이들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6617B1 (ko) 2019-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2234B2 (en) Puff manufacturing method and puff manufactured thereby
EP1946737B1 (en) Apparatus for compacting powder
KR100662545B1 (ko) 오일리 메이크업 분말의 가압성형방법 및 그 성형장치
KR20110106511A (ko) 습식 파우더를 이용한 사이드 인젝션 방식의 다색 화장품 제조방법 및 그 장치
US4047864A (en) Apparatus for producing spherical articles
KR20190066465A (ko) 화장품 제조 장치
GB1224700A (en) Apparatus for producing press-moulded articles
US4061452A (en) Apparatus for producing spherical articles
KR20080050755A (ko) 다색 분할된 성형체의 조합으로 된 파우더 화장품의 제조방법
CN109226746A (zh) 一种高长径比棒材压制模具
CN205603193U (zh) 一种睫毛膏纤维灌装机
EP016664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olidifying a powdered cosmetic composition in an elongated hollow container
CN209987418U (zh) 一种眼影生产用压粉机
CN100410063C (zh) 有核成型品的制造方法
US20090257904A1 (en) Device and method for pressing a metal powder compact
US4401615A (en) Method of molding a perforated article
CN208758619U (zh) 一种粉末冶金高效挤出装置
CN109203183B (zh) 一种陶瓷锅胆的等静压成形方法及模具
JPS61176515A (ja) 固形粉末化粧料の成形法およびその装置
KR101836177B1 (ko) 화장용 함침부재 성형방법
CN214774194U (zh) 一种湿粉多孔压模
CN209452800U (zh) 一种高长径比棒材压制模具
KR20090087068A (ko) 충전 슈 및 분말의 충전 및 압축 방법
JPS62201811A (ja) 受皿入り多色化粧料の成型方法
JP2712894B2 (ja) 微細片の成形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