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522A - 차량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522A
KR20190065522A KR1020170164693A KR20170164693A KR20190065522A KR 20190065522 A KR20190065522 A KR 20190065522A KR 1020170164693 A KR1020170164693 A KR 1020170164693A KR 20170164693 A KR20170164693 A KR 20170164693A KR 20190065522 A KR20190065522 A KR 201900655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ultimedia
camera unit
camera
external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6483B1 (ko
Inventor
김세원
이상석
양우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4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483B1/ko
Publication of KR201900655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5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4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5Electro-mechanical devices, e.g. switch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차량 또는 차량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메모리가 구비된 외부 기기와 연결되도록 마련된 인터페이스부,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멀티미디어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부 중 하나를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카메라부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부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카메라부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 및 그 제어방법{VEHICL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차량 또는 차량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기본적인 주행 기능 외에도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공조 제어, 시트 제어, 조명 제어 등의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적인 기능을 포함한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오디오 장치와 비디오 장치 및 내비게이션 장치 등이 통합되어 하나의 시스템으로 구현된 장치로서, 라디오, CD(Compact Disk) 등의 오디오 서비스, DVD(Digital Versatile Disk) 등의 비디오 서비스와, 목적지 안내 기능과 같은 내비게이션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차량용 에이브이엔 장치(Audio Video Navigation; 이하, "AVN 장치"라 한다)가 차량 내에 구비된다.
일 측면은 차량 및 차량 주위의 영상을 촬영 및 저장하고,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차량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일 측면에 따른 차량은, 차량 또는 차량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메모리가 구비된 외부 기기와 연결되도록 마련된 인터페이스부;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멀티미디어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부 중 하나를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카메라부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부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카메라부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멀티미디어부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멀티미디어부는 이더넷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이더넷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부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상기 촬영된 영상을 범용 직렬 버스(USB)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카메라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범용 직렬 버스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부가 범용 직렬 버스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차량은 카메라부가 동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부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부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부 중 하나를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가 동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부에 대한 동작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위치부가 상기 멀티미디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연결을 유지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 및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이더넷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부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상기 외부 기기에 범용 직렬 버스(USB)를 통해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메라부가 동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부에 대한 동작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부가 동작하고,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부를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데이터를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부가 범용 직렬 버스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차량 및 그 제어방법에 따르면, 외부 기기와의 연결을 위한 추가적인 인터페이스가 필요하지 않아 설계상 편의가 증대될 수 있으며, 비용이 절감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4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데이터 전송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데이터 전송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같이, 차량의 일 실시예는 차량(1)의 외관을 형성하는 본체(10), 차량(1)을 이동시키는 차륜(21, 22), 차량(1)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키는 도어(14), 차량(1) 내부의 운전자에게 차량(1) 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전면 유리(17), 운전자에게 차량(1) 후방의 시야를 제공하는 사이드 미러(18, 19)를 포함한다.
차륜(21, 22)은 차량의 전방에 마련되는 전륜(21), 차량의 후방에 마련되는 후륜(22)을 포함하며, 전륜(21) 또는 후륜(22)은 후술할 구동장치로부터 회전력을 제공받아 본체(10)를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도어(14)는 본체(10)의 좌측 및 우측에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어 개방 시에 운전자가 차량(1)의 내부에 탑승할 수 있도록 하며, 폐쇄 시에 차량(1)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폐시킨다.
전면 유리(17)는 본체(10)의 전방 상측에 마련되어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윈드쉴드 글라스(Windshield Glass)라고도 한다.
또한, 사이드 미러(18, 19)는 본체(10)의 좌측에 마련되는 좌측 사이드 미러(18) 및 우측에 마련되는 우측 사이드 미러(19)를 포함하며, 차량(1) 내부의 운전자가 차량(1) 측면 및 후방의 시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내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1)은 운전자 등이 탑승하는 시트(110)와, 기어 박스(120), 센터페시아(130) 및 스티어링 휠(140) 등이 마련된 대시보드(150)(Dashboard) 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 박스(120)에는 차량(1) 변속을 위한 변속 레버(124)와, 차량(1)의 기능 수행을 제어하기 위한 다이얼 조작부(123)가 설치될 수 있다.
대시보드(150)에 마련된 스티어링 휠(140)은 차량(1)의 주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장치로, 운전자에 의해 파지되는 림(141) 및 차량(1)의 조향 장치와 연결되고 림(141)과 조향을 위한 회전축의 허브를 연결하는 스포크(142)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 예에 따라서 스포크(142)에는 차량(1) 내의 각종 장치, 일례로 오디오 장치 등을 제어하기 위한 조작 장치(142a, 142b)가 형성될 수 있다.
대시보드(150)에 마련된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244), 시계(132), 오디오 장치(133) 및 디스플레이(134) 등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센터페시아(130)에는 저장 장치를 포함하는 외부 기기가 유선 연결되는 멀티단자(127)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멀티단자(127)는 USB 포트, AUX 단자를 포함하고, SD 슬롯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커넥터 또는 케이블을 통해 외부 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 때, 외부 기기는 저장 장치, 사용자 단말, MP3 플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 장치는 카드형 메모리 및 외장형 하드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 기기에 포함되는 사용자 단말은 이동 통신 단말기로, 스마트 폰, 노트북, 태블릿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공조 장치(244)는 차량(1) 내부의 온도, 습도, 공기의 청정도,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여 차량(1)의 내부를 쾌적하게 유지한다. 공조 장치(244)는 센터페시아(130)에 설치되고 공기를 토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토출구(131a)를 포함할 수 있다. 센터페시아(130)에는 공조 장치(244) 등을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운전자 등의 탑승자는 센터페시아(130)에 배치된 버튼을 이용하여 공조 장치(244)를 제어할 수 있다.
시계(132)는 공조 장치(244)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이나 다이얼 주위에 마련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33)는 오디오 장치(133)의 기능 수행을 위한 다수의 버튼들이 마련된 조작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33)는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는 라디오 모드와 오디오 파일이 담긴 다양한 저장매체의 오디오 파일을 재생하는 미디어 모드를 제공할 수 있다. 오디오 장치(133)를 통해 생성되는 소리는 차량(1) 내부에 마련되는 스피커(16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34)는 운전자에게 차량(1)과 관련된 정보를 이미지, 또는 텍스트의 형태로 제공하는 UI(User Interface)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134)는 센터페시아(130)에 매립되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디스플레이의 설치 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디스플레이(134)는 차량(1)의 센터페시아(130)와 분리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34)는 내비게이션 장치(242)로도 활용될 수 있다.
내비게이션 장치(242)는 사용자에게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내비게이션 장치(242)는 차량(1)에 설치된 장치들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내비게이션 장치(242)에서 실행할 수 있는 부가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비게이션 장치(242)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에 대응될 수 있다. AVN 장치는 오디오, 비디오 및 내비게이션 기능을 통합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장치를 의미한다. AVN 장치는 내비게이션 장치(101)를 통해 오디오 화면, 비디오 화면 및 내비게이션 화면 중 적어도 하나를 선택적으로 표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1)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 또는 AVN 단말에서 실행할 수 있는 부가 기능과 관련된 화면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AVN 단말은 공조장치와 연동하여, 디스플레이(134)를 통해 공조장치의 제어와 관련된 각종 제어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차량(1)의 내부에는 음향을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16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차량(1)은 스피커(160)를 통해 오디오 기능, 비디오 기능, 내비게이션 기능 및 기타 부가 기능을 수행함에 있어 필요한 음향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내비게이션 장치(242)는 스피커(160)를 통해 차량(1) 내의 온도 등과 관련된 정보뿐만 아니라, 공조 장치(244)의 동작 상태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또한, 차량(1)은 사용자에게 차량(1) 주변의 시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카메라부(도 3, 2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특히, 카메라부(도 3, 210)는 차량(1) 내부 뿐만 아니라 차량(1) 주위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를 전송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카메라부(도 3, 210)는 차량(1)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본체(10)의 전방 및 사이드에 각각 설치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영상 데이터를 제공하는 카메라부(210),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하는 멀티미디어부(220), 외부 기기와 연결되도록 마련된 인터페이스부(250), 카메라부(210) 및 멀티미디어부(220) 중 적어도 하나를 인터페이스부(250)와 연결하는 스위치부(240) 및 차량(1) 내부 구성을 제어하는 제어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부(210)는 차량(1) 내부 및 차량(1) 주위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부(210)는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영상 데이터를 재생할 수도 있다.
또한, 카메라부(210)는 획득한 영상 데이터를 차량(1)의 다른 구성으로 전달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영상 데이터는 후술할 멀티미디어부(220)에서 재생될 수도 있으며, 외부 기기에 저장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부(220)는 사용자에게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라디오 기능을 제공하거나 미리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 및 영상 데이터가 포함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함으로써 멀티미디어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차량(1) 내부의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으며, 메모리가 구비된 외부 기기에 저장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부(220)는 전술한 오디오 장치(133), 디스플레이(134), 내비게이션 장치(242) 및 스피커(160)를 포함할 수 있으며, AVN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50)는 차량(1)의 내부 구성과 다양한 외부 기기가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 있으며, 차량(1)의 내부 구성과 외부 기기가 양방향 통신을 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인터페이스부(250)는 외부 기기를 연결할 수 있는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터페이스부(250)는 외부 기기를 차량(1)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전술한 멀티단자(127)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250)는 USB 포트를 포함할 수 있으며, USB 포트를 통해 외부의 저장 장치가 연결되는 경우,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를 통해 차량(1)과 외부의 저장 장치를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50)와 연결되는 스위치부(240)는 전술한 카메라부(210) 및 멀티미디어부(220) 중 적어도 하나를 인터페이스부(250)와 연결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위치부(240)는 인터페이스부(250)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일단과 카메라부(210)와 연결되는 케이블의 일단을 연결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부(240)는 인터페이스부(250)를 연결하는 케이블의 일단과 멀티미디어부(220)와 연결되는 케이블의 일단을 연결할 수도 있다.
스위치부(240)는 카메라부(210) 및 멀티미디어부(220) 중 적어도 하나가 인터페이스부(250)와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 데이터의 송수신을 위한 양방향 통신이 수행될 수 있도록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250)의 일단과 카메라부(210) 및 멀티미디어부(220) 중 적어도 하나의 일단이 연결되는 케이블은 USB 3.0 케이블일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부(210) 및 멀티미디어부(220)는 인터페이스부(250)에 연결되는 외부 기기와 USB 3.0 케이블을 통해 USB 3.0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어부(230)는 차량(1) 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이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에 따라 차량(1)의 다양한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카메라부(210)의 동작 여부 및 멀티미디어부(22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판단 결과에 따라 스위치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30)는 카메라부(210)의 동작을 명령하는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카메라부(210)의 동작을 직접 감지하여 카메라부(210)의 동작을 판단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별도로 마련된 입력부를 통해 카메라부(210)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카메라부(210)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 경우, 입력부는 AVN 단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134)를 통해 카메라부(210)의 동작과 관련된 명령을 입력 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230)는 멀티미디어부(220)가 미리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멀티미디어부(22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멀티미디어부(220)가 인터페이스부(250)에 연결된 외부 기기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멀티미디어부(22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제어부(230)는 카메라부(210)가 동작하는 경우, 멀티미디어부(22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으며, 멀티미디어부(220)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멀티미디어부(220)와 인터페이스부(250)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스위치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카메라부(210)가 멀티미디어부(220)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카메라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카메라부(210)가 이더넷을 통해 멀티미디어부(220)로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카메라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30)는 멀티미디어부(220)로 전송된 영상 데이터가 인터페이스부(250)에 연결된 외부 기기에 저장되도록 멀티미디어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230)는 멀티미디어부(220)가 전송된 영상 데이터를 범용 직렬 버스를 통해 외부 기기에 저장하도록 멀티미디어부(2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230)는 멀티미디어부(220)의 미리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재생 동작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저장할 수 있다.
반면, 멀티미디어부(220)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어부(230)는 카메라부(210)와 인터페이스부(250)가 연결되도록 스위치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스위치부(240)에 의한 카메라부(210)와 인터페이스부(250)의 연결을 통해, 제어부(230)는 카메라부(210)가 인터페이스부(250)에 연결된 외부 기기에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카메라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때, 카메라부(210)와 인터페이스부(250)를 연결하는 케이블이 USB 3.0 케이블인 경우, 제어부(230)는 카메라부(210)가 외부 기기에 영상 데이터를 범용 직렬 버스를 통해 전송하도록 카메라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부(230)는 멀티미디어부(220)를 거치지 않고도, 인터페이스부(250)와의 연결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카메라부(210)에서 곧바로 외부 기기에 복사할 수 있으며, 복사된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부(210)와 외부 기기를 연결하는 추가적인 인터페이스를 포함하지 않을 수 있으며, 기존 멀티미디어부(220)와 외부 기기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데이터 전송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4b는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데이터 전송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부(240)는 멀티미디어부(220)와 인터페이스부(250)가 연결되도록 a 위치에 있을 수 있다.
제어부(230)는 카메라부(210)가 동작하고, 멀티미디어부(220)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멀티미디어부(220)와 인터페이스부(250)의 연결이 유지되도록 스위치부(240)가 계속해서 a위치에 있도록 스위치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멀티미디어부(220)는 USB 케이블을 통해 외부 기기(260)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전송받아 계속해서 재생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외부 기기(260)로부터 인터페이스부(250)를 거쳐 USB 케이블을 통해 멀티미디어부(220)로 전송될 수 있으며, USB 3.0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도 4a에서, 범용 직렬 버스(USB)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구간은 굵은 도선으로 도시한 구간이다.
제어부(230)는 카메라부(210)가 영상 데이터를 멀티미디어부(220)로 전송하도록 카메라부(2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카메라부(210)와 멀티미디어부(220)는 버스 구조의 근거리통신망(LAN)을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부(21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는 이더넷을 통해 멀티미디어부(22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영상 데이터 전송을 위해 CSMA/CD(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영상 데이터의 전송은 이더넷 전송 속도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전송 속도는 100Mps 또는 1Gbps일 수 있다.
멀티미디어부(220)는 전송받은 영상 데이터를 인터페이스부(250)에 연결된 외부 기기(260)에 저장하여 카메라부(210)가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260)에 백업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부(220)는 USB 케이블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260)에 저장할 수 있으며, USB 3.0 통신이 이용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제어부(230)는 카메라부(210)가 동작하고, 멀티미디어부(220)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카메라부(210)와 인터페이스부(250)가 연결되도록 스위치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카메라부(210)와 인터페이스부(250)가 연결되도록 스위치부(240)가 b위치에 위치하도록 스위치부(240)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스위치부(240)에 의해 카메라부(210)와 외부 기기(260)는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연결될 수 있으며, 카메라부(21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는 USB 케이블을 통해 외부 기기(260)에 전송될 수 있다.
영상 데이터는 USB 3.0 통신을 통해 전송될 수 있으며, 전송 속도는 5Gbps일 수 있다. 도 4b에서, 범용 직렬 버스(USB)를 통한 데이터의 송수신이 이루어지는 구간은 굵은 도선으로 도시한 구간이다.
영상 데이터는 카메라부(210)에서 외부 기기(260)로 멀티미디어부(220)를 통하지 않고 기존의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외부 기기(260)로 전송되어 외부 기기(260)에 저장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제어방법의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외부 기기(260)를 인터페이스부(250)에 연결하는 경우(510), 차량(1)은 카메라부(210)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20).
구체적으로, 차량(1)은 카메라부(210)의 동작에 관한 사용자의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카메라부(21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고, 카메라부(210)의 동작을 직접 감지하여 카메라부(21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별도로 마련된 입력부를 통해 카메라부(210)에 대한 명령이 입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카메라부(21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카메라부(210)가 동작하는 경우, 차량(1)은 멀티미디어부(220)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530).
이 때, 차량(1)은 멀티미디어부(220)가 미리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멀티미디어부(22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차량(1)은 멀티미디어부(220)가 인터페이스부(250)에 연결된 외부 기기를 사용하는지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멀티미디어부(220)의 동작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부(220)가 동작하는 경우, 차량(1)은 멀티미디어부(220)와 인터페이스부(250)의 연결을 유지할 수 있으며(540), 카메라부(210)와 멀티미디어부(220) 간의 데이터 송수신은 이더넷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제어부(230)는 카메라부(210)가 촬영된 영상을 이더넷을 통해 멀티미디어부(220)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550), 이 때 이더넷을 통한 영상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100Mps 또는 1Gbps일 수 있다.
이더넷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전송받으면, 멀티미디어부(220)는 전송받은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멀티미디어부(220)는 범용 직렬 버스(USB)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저장할 수 있다(560).
이를 통해, 멀티미디어부(220)는 외부 기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동작을 유지하면서 동일한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카메라부(210)가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백업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멀티미디어부(220)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차량(1)은 카메라부(210)와 인터페이스부(250)를 연결할 수 있으며(560), 카메라부(210)와 인터페이스부(250)는 스위치부(240)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카메라부(210)와 인터페이스부(250)가 연결되면, 카메라부(210)에서 생성된 영상 데이터는 외부 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30)는 범용 직렬 버스(USB)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카메라부(210)에서 외부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580).
제어부(230)는 카메라부(210)가 영상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590), 이 때 영상 데이터는 멀티미디어부(220)를 거치지 않고 카메라부(210)에서 외부 기기로 직접 저장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카메라부(210)는 기존의 인터페이스부(250)를 통해 영상 데이터를 직접 외부 기기에 백업할 수 있으며, USB의 3.0을 이용하는 경우 최대 5Gbps의 전송 속도로 데이터를 외부 기기에 백업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부(210) 및 멀티미디어부(220)는 동시에 동작하는 경우에도 하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할 수 있으며, 추가적인 인터페이스가 필요하지 않아 비용이 절감될 수 있으며, 설계상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차량
210: 카메라부
220: 멀티미디어부
230: 제어부
240: 스위치부
250: 인터페이스부

Claims (16)

  1. 차량 또는 차량 주위의 영상을 촬영하는 카메라부;
    메모리가 구비된 외부 기기와 연결되도록 마련된 인터페이스부;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멀티미디어부;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부 중 하나를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카메라부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부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카메라부 또는 상기 멀티미디어부에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차량.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멀티미디어부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차량.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멀티미디어부는 이더넷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이더넷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부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차량.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부를 제어하는 차량.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상기 촬영된 영상을 범용 직렬 버스(USB)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하도록 상기 멀티미디어부를 제어하는 차량.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인터페이스부가 상기 카메라부와 연결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차량.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차량.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차량.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범용 직렬 버스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부가 범용 직렬 버스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상기 카메라부를 제어하는 차량.
  10. 카메라부가 동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부가 동작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부의 동작 여부에 따라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부 중 하나를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가 동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부에 대한 동작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부 및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스위치부가 상기 멀티미디어부와 상기 인터페이스부의 연결을 유지하도록 상기 스위치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 및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이더넷을 통해 상기 멀티미디어부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상기 외부 기기에 범용 직렬 버스(USB)를 통해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부가 동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부에 대한 동작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상기 카메라부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는지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상기 외부 기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재생하는 경우,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하는 단계는,
    상기 카메라부가 동작하고,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부를 상기 인터페이스부와 연결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영상 데이터를 상기 카메라부로부터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상기 외부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부가 상기 인터페이스부에 연결된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멀티미디어부가 동작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부가 범용 직렬 버스를 통해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차량의 제어방법.
KR1020170164693A 2017-12-02 2017-12-02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5364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693A KR102536483B1 (ko) 2017-12-02 2017-12-02 차량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693A KR102536483B1 (ko) 2017-12-02 2017-12-02 차량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522A true KR20190065522A (ko) 2019-06-12
KR102536483B1 KR102536483B1 (ko) 2023-05-26

Family

ID=668459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693A KR102536483B1 (ko) 2017-12-02 2017-12-02 차량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48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1852A (ko) * 2004-05-24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 및 그의 통신방법
KR20090058078A (ko) * 2007-12-04 2009-06-0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30052854A (ko) * 2011-11-14 2013-05-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블랙박스 연동 avn 시스템
KR20140128827A (ko) * 2013-04-29 2014-11-06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43219A (ko) * 2015-10-13 2017-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1852A (ko) * 2004-05-24 2005-11-2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 및 그의 통신방법
KR20090058078A (ko) * 2007-12-04 2009-06-09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차량용 에이브이 시스템 및 제어 방법
KR20130052854A (ko) * 2011-11-14 2013-05-23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블랙박스 연동 avn 시스템
KR20140128827A (ko) * 2013-04-29 2014-11-06 팅크웨어(주) 차량용 영상 처리 장치 및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70043219A (ko) * 2015-10-13 2017-04-2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6483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7351B2 (ja) ナビゲーション装置
US9842565B2 (en) Controller for in-vehicle ethernet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1145909B1 (en) Audio system and its contents reproduction method, audio apparatus for a vehicle and its contents reproduction method, computer program product and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JP4972875B2 (ja) 再生装置、再生方法
US10091577B2 (en) Audio device
US20160110148A1 (en) Motor vehicle infotainment system having a separate display unit
US11330059B2 (en) Head unit of a vehicle, a vehicle having same, and a method of controlling a vehicle
CN107783930B (zh) 用于usb附件的usb通信控制方法
CN107783928B (zh) 用于usb主机的usb通信控制方法
KR102388426B1 (ko) 차량, 차량의 제어 방법 및 차량용 오디오 장치
MX2008011447A (es) Adaptador portatil y software para el uso con una unidad de pantalla de visualizacion de datos.
US20090097505A1 (en) Multiplexing Network System And Digital Information Transferring Method
US20170181208A1 (en) Vehicle entertainment unit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CN112511812B (zh) 一种车载影音控制系统及方法
JP2010013054A (ja) 車載用電子装置、メディアソース選択方法およびメディアソース選択プログラム
CN112644406A (zh) 一种车载投影系统和车辆
KR20160067507A (ko) 차량
JP2023181327A (ja) 自動車用ドライビングレコーダ
KR102536483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060044214A1 (en) Touch panel video display system for vehicles
US20130238185A1 (en) Car video device enabling wireless transmission to and from portable communication device
KR102485285B1 (ko) 차량 및 그 제어방법
US20160092391A1 (en) Interface apparatus, vehicle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JP2005170138A (ja) 車載用後席ディスプレイ装置
CN103236267A (zh) 车载多媒体主机直控外置功放加均衡器整合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