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60067507A - 차량 - Google Patents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60067507A
KR20160067507A KR1020140172994A KR20140172994A KR20160067507A KR 20160067507 A KR20160067507 A KR 20160067507A KR 1020140172994 A KR1020140172994 A KR 1020140172994A KR 20140172994 A KR20140172994 A KR 20140172994A KR 20160067507 A KR20160067507 A KR 20160067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unit
vehicle
control unit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29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53163B1 (ko
Inventor
장민수
이성주
허세영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729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3163B1/ko
Priority to US14/938,533 priority patent/US20160159281A1/en
Publication of KR20160067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7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31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31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2Loop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04L12/4604LAN interconnection over a backbone network, e.g. Internet, Frame Relay
    • H04L12/4616LAN interconnection over a LAN backbon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76Network utilisation, e.g. volume of load or congestion lev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9/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independent of the application payload and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H04L69/04Protocols for data compression, e.g. ROHC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복수의 입력부, 상기 센서부에서 수신된 정보 및 상기 입력부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되는 상기 이벤트를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부 및 상기 복수의 센서부, 상기 복수의 입력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출력부에서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이더넷 프로토콜을 통해 링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이더넷 백본망을 포함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차량{vehicle}
본 발명은 보다 넓은 대역폭을 가지는 이더넷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의 백본망을 구비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차량의 고급화 및 다기능화에 따라, 차량에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이하, AVM, Around View Monitoring) 시스템이 탑재되고 있다.
AVM 시스템은 차량의 사방에 장착된 카메라를 통해 차량 주변의 영상을 획득하고, 차량의 주차시, 운전자가 힘들게 뒤를 돌아보거나 주위를 살피지 않고도 실내에 장착된 표시장치를 통해 차량의 주변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또한,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기 주변의 영상을 합성하여 마치 차량의 위에서 보는 것과 같은 어라운드 뷰(around view)를 제공하기도 한다. 이러한 어라운드 뷰 모니터링 시스템을 이용하여, 운전자는 차량 주변의 상황을 한 눈에 파악하고 안전하게 주차를 하거나, 좁은 길을 지날 수 있다.
AVM 시스템에 구비되는 카메라는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점점더 고화질의 영상을 획득하게 된다. 이경우, 영상 데이터 교환시, 차량 네트워크에 과부하가 걸리는 것은 필연적이다. 따라서, AVM 시스템에서, 고화질의 영상을 처리하는 기술에 대한 연구가 요구된다.
한편, 최근 차량에 다양한 전장품이 도입되고 있으며, 영상 관련 전장품과 같이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을 필요로 하는 전장품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센서를 이용하는 전장품 간의 센서 퓨전도 필수적인 기술이 되어가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CAN 통신의 경우, 전송 가능한 데이터 용량의 한계로 인하여 대용량의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하며, 이는 전장품 간의 센서 퓨전을 어렵게 하는 요소로 작용하고 있다.
캔통신을 이용한 자동차 고장진단 네트워크 시스템 및 방법: 공개번호 10-2013-0065353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보다 넓은 대역폭을 가지는 이더넷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차량의 백본망을 구비하는 차량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각종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복수의 입력부, 상기 센서부에서 수신된 정보 및 상기 입력부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180), 상기 제어부(180)에서 수신되는 상기 이벤트를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부 및 상기 센서부, 상기 입력부, 상기 제어부(180) 및 상기 출력부에서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이더넷 프로토콜을 통해 링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이더넷 백본망을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포함되는 상기 이더넷 백본망은, 복수의 이더넷 백본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이더넷 백본망은, 기능별로 구분된 상기 센서부, 상기 입력부, 상기 제어부(180), 상기 출력부의 통신을 위한 복수의 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이더넷 백본망 각각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센서부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출력부는 AVN(Audio Video Navigation)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이더넷 백본망은, 제1 이더넷 백본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이더넷 백본망을 통해, 상기 제어부(180), 상기 복수의 카메라, 상기 AVN이 연결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포함되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더넷 백본망을 통해, 교환되는 데이터가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포함되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교환되는 데이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복수의 센서부, 상기 복수의 입력부, 상기 복수의 출력부에서 서로 교환되는 데이터를 스케일링하거나 압축하여 교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포함되는 상기 복수의 센서부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출력부는 AVN(Audio Video Navigation)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교환되는 데이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복수의 카메라 및 상기 AVN에서 교환되는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링하거나 압축하여 교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에 포함되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MJPEG, H.264 또는 H.265 방식을 이용하여 압축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획득되는 고화질의 영상을 압축하고, 압축된 데이터를 차량 네트워크를 통해 교환하므로, 고화질의 AVM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가변적으로, 화질을 조정할 수 있어, 차량 네트워크에 부하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은, 이더넷 백본망을 이용하여, 대용량의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차량에 부착되는 복수의 카메라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2의 복수의 카메라에 촬영된 이미지에 기반한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예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및 프로세서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백본망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백본망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부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차량은, 동력원으로서 엔진을 구비하는 내연기관 차량, 동력원으로서 엔진과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하이브리드 차량, 동력원으로서 전기 모터를 구비하는 전기 차량 등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차량의 좌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좌측, 즉, 운전석측을 의미하고, 차량의 우측은 차량의 주행 방향의 우측, 즉, 보조석측을 의미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기술되는 AVM 모듈은,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고, 복수의 카메라에서 촬영된 복수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특히, 차량을 기준으로 한 탑 뷰(top view) 또는 버드 아이 뷰(bird eye view)를 제공하는 장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AVM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에 대해 기술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데이터의 교환은 차량 통신 망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차량 통신 망은 CAN이 바람직하다. 실시예에 따라, 차량 통신 망은 이더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구축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하는 차량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차량(10)은, 동력원에 의해 회전하는 바퀴(20FR,20FL,20RL,..), 차량(10)의 진행 방향을 조절하기 위한 스티어링 휠(30), 및 차량(10)에 장착되는 복수의 카메라(110a,110b,110c,110d)를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편의상 좌측 카메라(110a)와, 전방 카메라(110d)만 도시된다.
복수의 카메라(110a,110b,110c,110d)는, 차량의 속도가 소정 속도 이하인 경우, 또는 차량이 추진하는 경우, 활성화되어, 각각 촬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획득되는, 이미지는, 제어부(도 4의 180) 또는 프로세서(도 5의 280) 내에서 신호 처리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차량에 부착되는 복수의 카메라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복수의 카메라에 촬영된 이미지에 기반한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예시한다.
도 3는 도 2의 복수의 카메라에 촬영된 이미지에 기반한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예시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카메라(110a,110b,110c,110d)는, 각각 차량의 좌측, 후방, 우측, 및 전방에 배치될 수 있다.
특히, 좌측 카메라(110a)와 우측 카메라(110c)는, 각각 좌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와 우측 사이드 미러를 둘러싸는 케이스 내에 배치될 수 있다.
한편, 후방 카메라(110b)와 전방 카메라(110d)는, 각각 트렁크 스위치 부근 및 앰블럼 또는 앰블럼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110a,110b,110c,110d)에서 촬영된 각각의 복수의 이미지는, 차량(10) 내의 제어부(도 4의 180) 등에 전달되고, 제어부(도 4의 180)는, 복수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생성한다.
도 3은 어라운드뷰 이미지(810)의 일예를 예시한다. 어라운드뷰 이미지(810)는, 좌측 카메라로부터(110a)의 제1 이미지 영역(110ai), 후방 카메라(110b)로부터의 제2 이미지 영역(110bi), 우측 카메라(110c)로부터의 제3 이미지 영역(110ci), 전방 카메라(110d)로부터의 제4 이미지 영역(110di)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복수의 카메라로부터, 어라운드 뷰 이미지 생성시, 각 이미지 영역 사이의 경계 부분이 발생한다. 이러한 경계 부분은 이미지 블렌딩(blending) 처리하여 자연스럽게 표시될 수 있도록한다.
한편, 복수의 영상 각각의 경계에는 경계선(111a, 111b, 111c, 111d)이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차량(10)은 복수의 카메라(110a, 110b, 110c, 110d), 제1 입력부(120), 출력부(130), 제1 통신부(140), 디스플레이 장치(200), 제1 메모리(160) 및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카메라는 제1 내지 제4 카메라(110a, 110b, 110c, 11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10a)는 차량 좌측방 주변 영상을 획득한다. 제2 카메라(110b)는 차량 후방 주변 영상을 획득한다. 제3 카메라(110c)는 차량 우측방 주변 영상을 획득한다. 제4 카메라(110d)는 차량 전방 주변 영상을 획득한다.
제1 내지 제4 카메라(110a, 110b, 110c, 110d)에서 각각 획득한 복수의 영상들은 제어부(180)에 전달된다.
한편, 제1 내지 제4 카메라(110a, 110b, 110c, 110d)는 각각 렌즈 및 이미지 센서(예를 들면, CCD 또는 CMOS)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렌즈는, 광각이 180°이상인 어안 렌즈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입력부(1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2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다이얼, 슬라이더 스위치, 클릭 휠 등, 외부로부터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부(12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은 제어부(180)로 전달된다.
출력부(130)는 제어부(180)에서 처리된 정보를 출력한다. 출력부(130)는 음향 출력부 및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따라, 각종 정보를 화면으로 표시한다.
한편, 출력부(130)에 포함되는 디스플레이는, 차량 내부 전면의 클러스터(cluster) 또는 HUD(Head Up Display)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한편, 터치 패드가 출력부(130)에 포함된 디스플레이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제1 입력부(120) 및 출력부(130)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40)는 외부 전자기기와 통신을 수행한다. 제1 통신부(140)는 외부 서버, 주변 차량, 외부 기지국 등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제1 통신부(140)는 외부 전자기기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통신 모듈은 공지의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제1 통신부(140)는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 모듈을 통해, 탑승자의 휴대 단말기 등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도 있다. 제1 통신부(140)는 어라운드 뷰 화면을 탑승자의 휴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1 통신부(140)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명령을 제어부(180)에 전달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압축된 영상을 해제하여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AVN(Audio Video Navigation)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대한 구성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메모리(160)는 차량(1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1 메모리(160)는 차량(1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차량(1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메모리(16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메모리(16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메모리(16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EEP-ROM 은 제어부(180)의 동작 중, 제어부(180)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소거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제어장치의 전원이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 디바이스일 수 있다.
한편, 제1 메모리(160)는 복수의 카메라(110a, 110b, 110c, 110d)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차량(10)의 충돌이 감지되는 경우, 복수의 카메라(110a, 110b, 110c, 110d)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차량(1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차량(10) 제어를 위해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제1 메모리(160) 내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및/또는 명령어들의 집합들을 실행 또는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메모리(160)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복수의 카메라(110a, 110b, 110c, 110d)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 전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각종 필터 또는 히스토그램 이쿼라이제이션(Histogram Equalization) 등을 이용하여 영상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한편, 이러한 영상의 전처리는 반드시 필요한 절차는 아니며, 영상의 상태나 영상 처리 목적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전처리된 복수의 영상을 기초로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어라운드 뷰 영상은 탑뷰 영상일 수 있다. 제어부(180)에서 전처리된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어라운드 뷰 영상으로 전환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어라운드 뷰 영상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룩업테이블(LUT, Look Up Table)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어라운드 뷰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룩업테이블은 합성 영상의 한 픽셀이 4개의 원래의 영상의 어떤 픽셀과 대응되는지 관계를 저장한 테이블이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좌측 카메라로부터(110a)의 제1 이미지, 후방 카메라(110b)로부터의 제2 이미지, 우측 카메라(110c)로부터의 제3 이미지, 전방 카메라(110d)로부터의 제4 이미지를 기초로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한다. 이때,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 사이에 중복되는 영역, 제2 이미지와 제3 이미지 사이에 중복되는 영역, 제3 이미지와 제4 이미지 사이에 중복되는 영역, 제4 이미지와 제1 이미지 사이에 중복되는 영역을 각각 블렌딩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제1 이미지와 제2이미지 사이의 경계, 제2 이미지와 제3 이미지 사이의 경계, 제3 이미지와 제4 이미지 사이의 경계, 제4 이미지와 제1 이미지 사이의 경계 각각에 경계선을 생성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어라운드 뷰 영상에 가상의 차량 이미지를 오버레이(overlay)한다. 즉, 어라운드 뷰 영상은 차량(10)에 장착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차량 주변 영상에 기초하여 생성되었기 때문에, 차량(10)이미지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제어부(180)를 통해, 가상의 차량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탑승자가 어라운드 뷰 영상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제어부(180)는, 어라운드 뷰 이미지 기초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어라운드 뷰 이미지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어라운드 뷰 이미지에 가상의 주차선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80)는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기초로, 차량의 예측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수행은 반드시 필요한 절차는 아니며, 영상의 상태나 영상 처리 목적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제어부(180)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압축한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가상의 차량이미지가 오버레이되기 이전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가상의 차량이미지 가 오버레이된 이후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이전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180)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이후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단순 기법(simple compression techniques), 보간 기법(interpolative techniques), 예측 기법(predictive techniques), 변환 기법(transform coding techniques), 통계적 기법(statistical coding) 손실 압축 및 비손실 압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에서 압축하는 어라운드 뷰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표준에 기초하여 어라운드 뷰 영상 압축을 수행 수 있다. 가령, 어라운드 뷰 영상이 정지 영상인 경우,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GIP(Graphics Interchange Format)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어라운드 뷰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MJPEG, Motion JPEG 2000, MPEG-1, MPEG-2, MPEG-4, MPEG-H Part2/HEVC, H.120, H.261, H.262, H.263, H.264, H.265, H.HEVC, AVS, Bink, CineForm, Cinepak, Dirac, DV, Indeo, Microsoft Video 1, OMS Video, Pixlet, ProRes 422, RealVideo, RTVideo, SheerVideo, Smacker, Sorenson Video, Spark, Theora, Uncompressed, VC-1, VC-2, VC-3, VP3, VP6, VP7, VP8, VP9, WMV, XEB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위에 상술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각각의 방식 외에도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압축할 수 있는 방식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복수의 카메라(110a, 110b, 110c, 110d)로부터 수신되는 고화질의 영상을 저화질로 스케일링할 수 있다.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스케일링 제어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제어부(180)는 원 영상에 스케일링을 수행한다. 가령, 이더넷 통신망의 부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원 영상에 스케일링을 수행한다. 이후에, 제어부(180)는 스케일링된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제2 입력부(220), 제2 통신부(240), 디스플레이부(250), 음향 출력부(255), 제2 메모리(260) 및 프로세서(2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입력부(2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제2 입력부(220)는 터치 패드, 물리적 버튼, 다이얼, 슬라이더 스위치, 클릭 휠 등, 외부로부터 입력을 받아들일 수 있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입력부(22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은 제어부(180)로 전달된다.
제2 통신부(240)는, 외부 전자기기와 통신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통신부(240)는 방송사 서버와 연결되어, 방송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통신부(240)는 교통 정보 제공 서버와 연결되어 TPEG(Transport Protocol Experts Group)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0)는, 프로세서(27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250)는 프로세서(27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터치 패드가 디스플레이부(250)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제2 입력부(220)로서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255)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2 메모리(2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제2 메모리(26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2 메모리(260)는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메모리(260)는 하나 이상의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 플래시 메모리 장치, 또는 기타 비휘발성 고상 메모리 장치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고, 판독 가능한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메모리(260)는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EEP-ROM 은 프로세서(280)의 동작 중, 프로세서(280)에 의해 정보의 기입 및 소거가 행해질 수 있다. EEP-ROM은 제어장치의 전원이 오프되어 전력 공급이 정지되어도, 내부에 기억되어 있는 정보가 소거되지 않고 유지되는 기억 디바이스일 수 있다.
프로세서(28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내의 각 유닛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80)는 디스플레이 장치(20) 제어를 위해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해 제2 메모리(260) 내에 저장된 다양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 및/또는 명령어들의 집합들을 실행 또는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80)는 제2 메모리(260)에 저장된 정보에 기반하여 신호를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280)는, 영상 압축부(360)에서 수신한 압축 데이터를 해제한다. 이때, 압축 해제부(390)는 압축 영상부(360)에서 수행되었던 압축과정의 역과정을 통해, 해제한다.
프로세서(280)는 해제된 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한다.
한편,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서(280)는, 압축 해제된 어라운드 뷰 영상에 가상의 차량 이미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80)는 어라운드 뷰 영상에 가상의 차량 이미지를 오버레이(overlay)한다. 다음, 프로세서(280)는 해제된 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전제어부(180)(310),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부(320), 차량 이미지 생성부(340), 어플리케이션부(350) 및 영상 압축부(3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제어부(180)(310)는 복수의 카메라(110a, 110b, 110c, 110d)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 전처리를 수행한다. 전제어부(180)(310)는 각종 필터 또는 히스토그램 이쿼라이제이션(Histogram Equalization) 등을 이용하여 영상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한편, 이러한 영상의 전처리는 반드시 필요한 절차는 아니며, 영상의 상태나 영상 처리 목적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부(320)는, 전처리된 복수의 영상을 기초로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한다. 여기서, 어라운드 뷰 영상은 탑뷰 영상일 수 있다. 전제어부(180)(310)에서 전처리된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어라운드 뷰 영상으로 전환한다. 실시예에 따라,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부(320)는,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어라운드 뷰 영상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부(320)는 룩업테이블(LUT, Look Up Table)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어라운드 뷰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룩업테이블은 합성 영상의 한 픽셀이 4개의 원래의 영상의 어떤 픽셀과 대응되는지 관계를 저장한 테이블이다.
예를 들면,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부(320)는, 좌측 카메라로부터(110a)의 제1 이미지, 후방 카메라(110b)로부터의 제2 이미지, 우측 카메라(110c)로부터의 제3 이미지, 전방 카메라(110d)로부터의 제4 이미지를 기초로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한다. 이때,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부(320)는 제1 이미지와 제2 이미지 사이에 중복되는 영역, 제2 이미지와 제3 이미지 사이에 중복되는 영역, 제3 이미지와 제4 이미지 사이에 중복되는 영역, 제4 이미지와 제1 이미지 사이에 중복되는 영역을 각각 블렌딩 처리할 수 있다.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부(320)는 제1 이미지와 제2이미지 사이의 경계, 제2 이미지와 제3 이미지 사이의 경계, 제3 이미지와 제4 이미지 사이의 경계, 제4 이미지와 제1 이미지 사이의 경계 각각에 경계선을 생성할 수 있다.
차량 이미지 생성부(340)는, 어라운드 뷰 영상에 가상의 차량 이미지를 오버레이(overlay)한다. 즉, 어라운드 뷰 영상은 차량(10)에 장착된 복수의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차량 주변 영상에 기초하여 생성되었기 때문에, 차량(10)이미지를 포함하지는 않는다. 차량 이미지 생성부(340)를 통해, 가상의 차량 이미지를 제공함으로써, 탑승자가 어라운드 뷰 영상을 직관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한다.
어플리케이션부(350)는, 어라운드 뷰 이미지 기초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부(350)는 어라운드 뷰 이미지 기초로, 오브젝트를 검출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부(350)는 어라운드 뷰 이미지에 가상의 주차선을 생성할 수 있다. 또는 어플리케이션부(350)는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기초로, 차량의 예측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어플리케이션 수행은 반드시 필요한 절차는 아니며, 영상의 상태나 영상 처리 목적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영상 압축부(360)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압축한다. 실시예에 따라, 영상 압축부(360)는 가상의 차량이미지가 오버레이되기 이전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영상 압축부(360)는 가상의 차량이미지 가 오버레이된 이후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영상 압축부(360)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기 이전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영상 압축부(360)는 각종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된 이후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압축부(360)는 단순 기법(simple compression techniques), 보간 기법(interpolative techniques), 예측 기법(predictive techniques), 변환 기법(transform coding techniques), 통계적 기법(statistical coding) 손실 압축 및 비손실 압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영상 압축부(360)에서 압축하는 어라운드 뷰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영상 압축부(360)는 표준에 기초하여 어라운드 뷰 영상 압축을 수행 수 있다. 가령, 어라운드 뷰 영상이 정지 영상인 경우,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GIP(Graphics Interchange Format)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어라운드 뷰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MJPEG, Motion JPEG 2000, MPEG-1, MPEG-2, MPEG-4, MPEG-H Part2/HEVC, H.120, H.261, H.262, H.263, H.264, H.265, H.HEVC, AVS, Bink, CineForm, Cinepak, Dirac, DV, Indeo, Microsoft Video 1, OMS Video, Pixlet, ProRes 422, RealVideo, RTVideo, SheerVideo, Smacker, Sorenson Video, Spark, Theora, Uncompressed, VC-1, VC-2, VC-3, VP3, VP6, VP7, VP8, VP9, WMV, XEB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위에 상술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각각의 방식 외에도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압축할 수 있는 방식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스케일링(scaling)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케일링부(미도시)는 복수의 카메라(110a, 110b, 110c, 110d)로부터 수신되는 고화질의 영상을 저화질로 스케일링할 수 있다. 가령,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사용자 입력에 의해, 스케일링 제어 명령이 수신되는 경우, 스케일링부(미도시)는 원 영상에 스케일링을 수행한다. 가령, 이더넷 통신망의 부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스케일링부(미도시)는 원 영상에 스케일링을 수행한다. 이후에, 영상 압축부(360)는 스케일링된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스케일링부(미도시)는 전제어부(180)(310) 이전, 전제어부(180)(310)와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부(320) 사이,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부(320)와 차량 이미지 생성부(340) 사이, 차량이미지 생성부(340)와 어플리케이션부(350) 사이, 어플리케이션부(350)와 영상 압축부(360) 사이 중 어느 한 곳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복수의 카메라(110a, 110b, 110c, 110d)로부터 각각의 영상을 수신한다(S610).
제어부(180)는 수신된 복수의 영상 각각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한다(S620). 다음, 제어부(180)는 전처리 수행된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고(S630), 탑뷰로 전환하여(S640),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라,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부(320)는,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어라운드 뷰 영상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부(320)는 룩업테이블(LUT, Look Up Table)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어라운드 뷰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룩업테이블은 합성 영상의 한 픽셀이 4개의 원래의 영상의 어떤 픽셀과 대응되는지 관계를 저장한 테이블이다.
다음, 제어부(180)는 어라운드 뷰 영상에 가상의 차량 이미지를 생성한다(S650).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어라운드 뷰 영상에 가상의 차량 이미지를 오버레이(overlay)한다.
다음, 제어부(180)는 어라운드 뷰 영상에 대한 압축을 수행한다(S660). 한편, 실시예에 따라, 영상 압축부(360)는 가상의 차량이미지가 오버레이되기 이전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영상 압축부(360)는 가상의 차량이미지 가 오버레이된 이후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180)는 압축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한다(S670).
다음, 프로세서(280)는 압축된 데이터를 해제한다(S680). 여기서, 프로세서(280)는 압축 해제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 해제부(390)는 영상 압축부(360)에서 수신한 압축 데이터를 해제한다. 이때, 압축 해제부(390)는 압축 영상부(360)에서 수행되었던 압축과정의 역과정을 통해, 해제한다.
다음, 프로세서(280)는 해제된 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한다(S690).
도 7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및 프로세서의 상세 블럭도이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수행 순서에 차이가 있다. 이하, 도 7a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전제어부(180)(310),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부(320) 및 영상 압축부(3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80)는 압축 해제부(310), 차량 이미지 생성부(340) 및 어플리케이션부(350)을 포함할 수 있다.
전제어부(180)(310)는 복수의 카메라(110a, 110b, 110c, 110d)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에 전처리를 수행한다. 이후에,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부(320)는, 전처리된 복수의 영상을 기초로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한다. 영상 압축부(360)는 어라운드 뷰 영상을 압축한다.
압축 해제부(390)는 영상 압축부(360)에서 수신한 압축 데이터를 해제한다. 이때, 압축 해제부(390)는 압축 영상부(360)에서 수행되었던 압축과정의 역과정을 통해, 해제한다.
차량 이미지 생성부(340)는, 압축이 해제된 어라운드 뷰 영상에 가상의 차량 이미지를 오버레이(overlay)한다. 어플리케이션부(350)는, 어라운드 뷰 이미지 기초로, 각종 어플리케이션을 수행한다.
도 7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동작을 설명하는 플로우차트이다.
제2 실시예는 제1 실시예와, 수행 순서에 차이가 있다. 이하, 도 7b를 참조하여, 제1 실시예와의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제어부(180)는 복수의 카메라(110a, 110b, 110c, 110d)로부터 각각의 영상을 수신한다(S710).
제어부(180)는 수신된 복수의 영상 각각에 대해 전처리를 수행한다(S720). 다음, 제어부(180)는 전처리 수행된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고(S730), 탑뷰로 전환하여(S740), 어라운드 뷰 영상을 생성한다. 실시예에 따라,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부(320)는, 전처리 과정을 거치지 않은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어라운드 뷰 영상으로 전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어라운드 뷰 영상 생성부(320)는 룩업테이블(LUT, Look Up Table)을 이용하여 복수의 영상을 합성하여, 어라운드 뷰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룩업테이블은 합성 영상의 한 픽셀이 4개의 원래의 영상의 어떤 픽셀과 대응되는지 관계를 저장한 테이블이다.
다음, 제어부(180)는 어라운드 뷰 영상에 대한 압축을 수행한다(S750). 한편, 실시예에 따라, 영상 압축부(360)는 가상의 차량이미지가 오버레이되기 이전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영상 압축부(360)는 가상의 차량이미지 가 오버레이된 이후의 어라운드 뷰 영상을 압축할 수 있다.
다음, 제어부(180)는 압축된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한다(S760).
다음, 프로세서(280)는 압축된 데이터를 해제한다(S770). 여기서, 프로세서(280)는 압축 해제부(390)를 포함할 수 있다. 압축 해제부(390)는 영상 압축부(360)에서 수신한 압축 데이터를 해제한다. 이때, 압축 해제부(390)는 압축 영상부(360)에서 수행되었던 압축과정의 역과정을 통해, 해제한다.
다음, 프로세서(280)는 어라운드 뷰 영상에 가상의 차량 이미지를 생성한다(S780). 구체적으로, 프로세서(280)는 어라운드 뷰 영상에 가상의 차량 이미지를 오버레이(overlay)한다.
다음, 프로세서(280)는 해제된 데이터에 기초한 영상을 표시한다(S790).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프로세서(280)는 어라운드 뷰 이미지(810)를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250)는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280)는, 디스플레이부(250)를 통해, 수신되는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어라운드 뷰 이미지의 해상도를 조절할 수 있다. 가령, 고화질 화면 아이콘(820)에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280)는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되는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고화질로 변경할 수 있다. 이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카메라(110a, 110b, 110c, 110d)에 수신되는 복수의 고화질 영상 그대로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저화질 화면 아이콘(830)에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경우, 프로세서(280)는 디스플레이부(250)에 표시되는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저화질로 변경할 수 있다. 이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카메라(110a, 110b, 110c, 110d)에 수신되는 복수의 영상에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하여, 데이터의 양을 감소시킨후,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어라운드 뷰 화면에서 소정 영역만 고화질로 표시하는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예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프로세서(280)는 디스플레이부(250)에 어라운드 뷰 이미지(810)를 표시한다. 어라운드 뷰 이미지(810)가 표시된 상태에서, 프로세서(280)는 제1 영역(910)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한다. 여기서, 제1 영역(910)은 제4 카메라(110d)를 통해 획득되는 제4 이미지에 대응하는 영역일 수 있다.
제1 영역(910)에 대한 터치 입력이 수신되는 경우, 프로세서(280)는 어라운드 뷰 이미지를 축소하여 디스플레이부(250) 일 영역(920)에 표시한다. 프로세서(280)는 제4 카메라(110d)를 통해 획득되는 제4 이미지를 원 영상 그대로 디스플레이부(250)의 일 영역(930)에 표시한다. 프로세서(280)는 제4 이미지를 고화질로 표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백본망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차량(10)은 복수의 센서부, 복수의 입력부,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180), 복수의 출력부 및 이더넷 백본망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센서부는, 카메라, 초음파 센서, 레이더, 라이더, GPS, 속도 감지 센서, 기울기 감지 센서, 배터리 센서, 연료 센서, 스티어링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요 센서(yaw sensor), 자이로 센서(gyro sens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입력부는, 스티어링 휠, 가속 페달, 브레이크 페달, 각종 버튼, 터치 패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출력부는, 공조 구동부, 윈도우 구동부, 램프 구동부, 조향 구동부, 브레이크 구동부, 에어백 구동부, 동력원 구동부, 서스펜션 구동부, AVN(Audio Video Navigation) 장치, 오디오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180)는 ECU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다음, 도 10을 참조하면, 차량(10)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백본망(100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더넷 백본망(100)은 복수의 센서부, 복수의 입력부, 제어부(180) 및 복수의 출력부에서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이더넷 프로토콜을 통해, 링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네트워크 망이다.
이더넷(ethernet)은 네트워크 기술로, OSI모델의 물리 계층에서 신호화 배선,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MAC(media access control) 패킷과 프로토콜의 형식을 정의한다.
이더넷은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 with Collision Detection) 을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더넷 백본망을 사용하려는 모듈은 현재 이더넷 백본망 위에 흐르고 있는 데이터가 있는지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현재 흐르고 있는 데이터가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값은 데이터 통신이 원활할 수 있게 하는 임계값을 의미할 수 있다. 만약, 현재 이더넷 백본망에 흐르는 데이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모듈은 데이터를 전송하지 않고 기다린다. 만약, 이더넷 백본망에 흐르는 데이터가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상기 모듈은 바로 데이터 전송을 시작한다.
만약, 여러 모듈에서 동시에 데이터 전송을 시작해, 충돌이 발생하고, 이더넷 백본망에 흐르는 데이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최소 패킷 시간 동안 전송을 계속해, 다른 모듈이 충돌을 탐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후에, 임의 시간 동안 대기 후에, 다시 반송파를 감지하고, 이더넷 백본망에 흐르는 데이터가 기준값보다 작은 경우, 데이터 전송을 다시 시작할 수 있다.
한편, 이더넷 백본방은 이더넷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더넷 스위치는 전이중 통신방식(full duplex)를 지원하고, 이더넷 백본망에서 데이터 교환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더넷 스위치는 데이터를 필요로 하는 모듈에만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동작될 수 있다. 즉, 이더넷 스위치는 각 모듈의 고유한 MAC 주소를 기억하고 있고, 이 주소를 통해 어떤 데이터가 어디로 전송되어야 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링 네트워크는 네트워크 토폴로지(network topology)의 한 방법으로 각각의 노드는 양 옆의 두 노드와 연결하여 전체적으로 고리와 같이 하나의 연속된 길을 통해 통신을 하는 망 구성 방식이다. 데이터는 노드에서 노드로 이동을 하게 되며, 각각의 노드는 패킷을 처리할 수 있다. 각 노드에는 각 모듈이 연결되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모듈은 복수의 센서부, 복수의 입력부, 제어부(180) 및 복수의 출력부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더넷 백본망을 통해, 각 모듈이 연결되는 경우, 각각의 모듈은 서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예를 들어, AVM(around view monitoring) 모듈이 AVN(audio vidoe navigation) 모듈에 영상을 출력하기 위해, 이더넷 백본망(1000)을 통해,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 이더넷 백본망(1000)에 올라와 있는 영상 데이터는 AVN 모듈 이외의 모듈에서도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VM 모듈에서 획득한 영상을 AVM 화면을 출력하는 용도외에 블랙박스의 용도로도 활용할 수 있다.
예를들면, 이더넷 백본망(1000)의 각 노드에는 제어부(180), AVM 모듈(1011), AVN 모듈(1012), BSD 모듈(1013, Blind Spot Detection), 전방 카메라 모듈(1014), V2X 통신부(1015), AEB 모듈(1016, Auto Emergency Brake), SCC 모듈(1017, Smart Cruise Control), SPAS 모듈(1018, Smart Parking Assis System)이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듈은 이더넷 백본망(1000)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백본망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더넷 백본망(1110)은 복수의 서브 이더넷 백본망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서브 이더넷 백본망은 기능별로 구분된 복수의 센서부, 복수의 입력부, 제어부(180), 복수의 출력부의 각각의 기능별 통신을 위한 복수의 링 네트워크를 형설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이더넷 백본망 각각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더넷 백본망(1100)은 제1 서브 이더넷 백본망(1110), 제2 서브 이더넷 백본망(1120) 및 제3 서브 이더넷 백본망(113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내지 제3 서브 이더넷 백본망을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더 많은 서브 이더넷 백본망을 포함하거나, 더 적은 서브 이더넷 백본망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서브 이더넷 백본망(1110)의 각 노드에는 제어부(180), V2X 통신부(1112), BSD 모듈(1113), AEB 모듈(1114), SCC 모듈(1115), AVN 모듈(1116), AVM 모듈(1117)이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듈은 제1 서브 이더넷 백본망(1110)를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센서부는, 복수의 카메라(110a, 110b, 110c, 110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카메라는 AVM 모듈에 포함되는 카메라(110a, 110b, 110c, 110d)일 수 있다. 복수의 출력부는 AVN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AVN 모듈은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디스플레이 장치(200)일 수 있다. 제1 서브 이더넷 백본망을 통해, 제어부(180), 복수의 카메라(110a, 110b, 110c, 110d) AVN 모듈이 서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이더넷 백본방(1110)은 제1 이더넷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1 서브 이더넷 백본망(1110)은 다른 서브 이더넷 백본망(1120, 1130)과 연결가능하게 하는 제1 게이트 웨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서브 이더넷 백본망(1120)의 각 노드에는 현가 모듈(1121), 조향 모듈(1122), 제동 모듈(1123)이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듈은 제2 서브 이더넷 백본망(1120)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2 서브 이더넷 백본망(112)은 제2 이더넷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2 서브 이더넷 백본망(1120)은 다른 서브 이더넷 백본망(1110, 1130)과 연결가능하게 하는 제2 게이트 웨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서브 이더넷 백본망(1130)의 각 노드에는 동력 전달 모듈(1131) 및 동력 생산 모듈(1132)이 연결될 수 있다. 각각의 모듈은 제3 서브 이더넷 백본망(1130)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고,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제3 서브 이더넷 백본망(1130)은 제3 이더넷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제3 서브 이더넷 백본망(1130)은 다른 서브 이더넷 백본망(1110, 1120)과 연결가능하게 하는 제3 게이트 웨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이더넷 백본망을 포함함으로써, 이더넷 백본망에 걸릴 수 있는 부하를 경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부하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동작을 설명하는데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어부(180)는 이더넷 백본망(1000, 1100)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S1210). 예를 들면, 제어부(180)는 이더넷 백본망(1000, 1100)을 통해, 교환되는 데이터의 양을 감지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이더넷 백본망(1000, 1100)을 통해, 교환되는 데이터가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한다(S1220).
만약, 이더넷 백본망(1000, 1100)을 통해, 교환되는 데이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제어부(180)는 복수의 센서부, 상기 복수의 입력부, 상기 복수의 출력부에서 서로 교환되는 데이터를 스케일링하거나 압축하여 교환할 수 있다(S1230).
예를 들어, 복수의 센서부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출력부는 AVN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더넷 백본망을 통해, 상기 교환되는 데이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카메라 및 상기 AVN모듈에서 교환되는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링하거나 압축하여 교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단순 기법(simple compression techniques), 보간 기법(interpolative techniques), 예측 기법(predictive techniques), 변환 기법(transform coding techniques), 통계적 기법(statistical coding) 손실 압축 및 비손실 압축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에서 압축하는 어라운드 뷰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다. 제어부(180)는 표준에 기초하여 어라운드 뷰 영상 압축을 수행 수 있다. 가령, 어라운드 뷰 영상이 정지 영상인 경우,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 GIP(Graphics Interchange Format)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가령, 어라운드 뷰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MJPEG, Motion JPEG 2000, MPEG-1, MPEG-2, MPEG-4, MPEG-H Part2/HEVC, H.120, H.261, H.262, H.263, H.264, H.265, H.HEVC, AVS, Bink, CineForm, Cinepak, Dirac, DV, Indeo, Microsoft Video 1, OMS Video, Pixlet, ProRes 422, RealVideo, RTVideo, SheerVideo, Smacker, Sorenson Video, Spark, Theora, Uncompressed, VC-1, VC-2, VC-3, VP3, VP6, VP7, VP8, VP9, WMV, XEB 중 어느 하나의 방식에 의해, 압축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위에 상술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각각의 방식 외에도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을 압축할 수 있는 방식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복수의 카메라(110a, 110b, 110c, 110d)로부터 수신되는 고화질의 영상을 저화질로 스케일링할 수 있다.
만약, 이더넷 백본망(1000, 1100)을 통해, 교환되는 데이터가 기준값 미만인 경우, 제어부(180)는 정상적인 방식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S1240).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 : 차량
110 : 카메라
120 : 제1 입력부
130 : 출력부
140 : 제1 통신부
160 : 제1 메모리
180 : 제어부
200 : 디스플레이 장치
220 : 제2 입력부
240 : 제2 통신부
250: 디스플레이부
255 : 음향 출력부
260 : 제2 메모리
280 : 프로세서

Claims (7)

  1. 각종 상태를 감지하는 복수의 센서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복수의 입력부;
    상기 센서부에서 수신된 정보 및 상기 입력부에서 수신되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를 처리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수신되는 상기 이벤트를 출력하는 복수의 출력부; 및
    상기 복수의 센서부, 상기 복수의 입력부, 상기 제어부 및 상기 복수의 출력부에서 서로 데이터를 교환하도록, 이더넷 프로토콜을 통해 링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이더넷 백본망;을 포함하는 차량.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더넷 백본망은,
    복수의 서브 이더넷 백본망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이더넷 백본망은, 기능별로 구분된 상기 복수의 센서부, 상기 복수의 입력부, 상기 제어부, 상기 복수의 출력부의 각각의 기능별 통신을 위한 복수의 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상기 복수의 서브 이더넷 백본망 각각은 서로 연결되는 차량.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부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출력부는 AVN(Audio Video Navigation)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서브 이더넷 백본망은, 제1 서브 이더넷 백본망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서브 이더넷 백본망을 통해, 상기 제어부, 상기 복수의 카메라, 상기 AVN 모듈이 데이터를 교환하는 차량.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더넷 백본망을 통해, 교환되는 데이터가 기준값 이상인지 판단하는 차량.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더넷 백본망을 통해, 상기 교환되는 데이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복수의 센서부, 상기 복수의 입력부, 상기 복수의 출력부에서 서로 교환되는 데이터를 스케일링하거나 압축하여 교환하는 차량.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부는, 복수의 카메라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출력부는 AVN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더넷 백본망을 통해, 상기 교환되는 데이터가 기준값 이상인 경우,
    상기 복수의 카메라 및 상기 AVN모듈에서 교환되는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링하거나 압축하여 교환하는 차량.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 데이터를 MJPEG, H.264 또는 H.265 방식을 이용하여 압축하는 차량.
KR1020140172994A 2014-12-04 2014-12-04 차량 KR1022531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994A KR102253163B1 (ko) 2014-12-04 2014-12-04 차량
US14/938,533 US20160159281A1 (en) 2014-12-04 2015-11-11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2994A KR102253163B1 (ko) 2014-12-04 2014-12-04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7507A true KR20160067507A (ko) 2016-06-14
KR102253163B1 KR102253163B1 (ko) 2021-05-18

Family

ID=56191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2994A KR102253163B1 (ko) 2014-12-04 2014-12-04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53163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78367A (zh) * 2017-12-07 2018-04-06 上海太鼎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车辆通用总线控制系统及汽车
CN109278634A (zh) * 2018-10-15 2019-01-29 刘贵华 一种汽车仿音装置
CN109334570A (zh) * 2018-10-30 2019-02-15 杭州鸿泉物联网技术股份有限公司 智能渣土车管理系统及智能渣土车
KR20200002706A (ko) * 2018-06-29 2020-01-08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자동차 용례를 위한 전력 및 데이터 센터(pdc)
CN110799982A (zh) * 2017-06-06 2020-02-14 智加科技公司 用于自动驾驶车辆中的以物体为中心的立体视觉的方法和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9777A (ko) * 2012-11-30 2014-06-10 ㈜베이다스 차량용 스마트 운전 보조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9777A (ko) * 2012-11-30 2014-06-10 ㈜베이다스 차량용 스마트 운전 보조 시스템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99982A (zh) * 2017-06-06 2020-02-14 智加科技公司 用于自动驾驶车辆中的以物体为中心的立体视觉的方法和系统
US11790551B2 (en) 2017-06-06 2023-10-17 Plusai, Inc. Method and system for object centric stereo in autonomous driving vehicles
CN107878367A (zh) * 2017-12-07 2018-04-06 上海太鼎汽车工程技术有限公司 一种车辆通用总线控制系统及汽车
KR20200002706A (ko) * 2018-06-29 2020-01-08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자동차 용례를 위한 전력 및 데이터 센터(pdc)
KR20210047290A (ko) * 2018-06-29 2021-04-29 앱티브 테크놀러지스 리미티드 자동차 용례를 위한 전력 및 데이터 센터(pdc)
US11380107B2 (en) 2018-06-29 2022-07-05 Aptiv Technologies Limited Power and data center (PDC) for automotive applications
CN109278634A (zh) * 2018-10-15 2019-01-29 刘贵华 一种汽车仿音装置
CN109334570A (zh) * 2018-10-30 2019-02-15 杭州鸿泉物联网技术股份有限公司 智能渣土车管理系统及智能渣土车
CN109334570B (zh) * 2018-10-30 2024-03-08 杭州鸿泉物联网技术股份有限公司 智能渣土车管理系统及智能渣土车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3163B1 (ko) 2021-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60159281A1 (en)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2253163B1 (ko) 차량
EP4280013A1 (en) Controller system and control method
JP4765649B2 (ja) 車両用映像処理装置、車両周囲監視システム並びに映像処理方法
US20070131755A1 (en) Left/right side direction switching mechanism of traveling data recorder for vehicle
JP7095697B2 (ja) 生成装置および生成方法、並びに、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H11348659A (ja) 車載画像表示装置
KR102288950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WO2021244591A1 (zh) 行车辅助设备、方法、车辆及存储介质
JPWO2018034209A1 (ja) 撮像装置と撮像方法
JP5064201B2 (ja) 画像表示システム及びカメラ出力制御方法
JP2008207627A (ja) 車載撮像システム、撮像装置及び表示制御装置
CN104554057A (zh) 基于视觉的集成车载影音娱乐功能的主动安全系统
CN113872838B (zh) 车载控制系统及方法、视频数据及音频数据的处理方法
CN116614538A (zh) 一种无人车控制系统和方法、数据传输方法
KR102300651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JP2006148327A (ja) 画像生成装置
JPWO2020031696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映像音声出力システム
CN215599528U (zh) 一种自动驾驶汽车远程控制驾驶系统
JPH10119671A (ja) 車両用情報入出力装置、車両用情報管理装置、車両用情報多重伝送システム、車両情報処理方法および記憶媒体
US20140362214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signal
WO2020137398A1 (ja) 操作制御装置、撮像装置、操作制御方法
CN112389326A (zh) 一种实现分屏显示的电子外后视镜控制系统、方法及汽车
JP2004216984A (ja) 車載カメラシステム
WO2020031696A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映像音声出力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