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11852A - 복수의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 및 그의 통신방법 - Google Patents

복수의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 및 그의 통신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11852A
KR20050111852A KR1020040036759A KR20040036759A KR20050111852A KR 20050111852 A KR20050111852 A KR 20050111852A KR 1020040036759 A KR1020040036759 A KR 1020040036759A KR 20040036759 A KR20040036759 A KR 20040036759A KR 20050111852 A KR20050111852 A KR 20050111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unit
communication
devices
external device
interface meth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36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보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367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50111852A/ko
Publication of KR2005011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1852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복수의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 및 그의 통신방법이 제공된다.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는, 외부기기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단자, 제1 디바이스에 마련되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한 제1 통신부, 제2 디바이스에 마련되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한 제2 통신부, 연결단자와 상기 제1 통신부를 연결하고 연결단자와 제2 통신부를 연결하는 스위칭부 및 제1 및 제2 디바이스 중 동작할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디바이스 선택부를 포함하며, 제1 디바이스가 선택되어 동작하면 제1 통신부도 동작하여 스위칭부 및 연결단자를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해지며, 제2 디바이스가 선택되어 동작하면 제2 통신부도 동작하여 스위칭부 및 연결단자를 통해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해진다. 이에 의해,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복합기기를 구현함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들의 통신 인터페이스장치들과 그에 사용되는 구동프로그램을 변경 없이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되므로, 복합기기의 개발이 더욱 용이해진다.

Description

복수의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 및 그의 통신방법{Combination apparatus combinaing plural devices and communication methood thereof}
본 발명은 복합기기 및 그의 통신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고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한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하나로 통합된 복합기기 및 그의 통신방법에 관한 것이다.
복합기기란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들을 2개 이상 통합하여 하나로 구현한 기기이다. 복합기기의 예로서, 모바일폰/디지털카메라 복합기기, 모바일폰/MP3플레이어 복합기기 등을 들 수 있다.
복합기기는 여러 디바이스들을 하나의 케이스에 구현하여야 하는 관계로 인해, 제품의 부피가 커지게 마련이다. 따라서, 복합기기 개발시에는 그 부피를 최소화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로 부곽되며, 이는 복합기기가 휴대용 기기인 경우에 더욱 대두되는 문제이다.
또한, 복합기기는 여러 디바이스들이 통합되어 그 기능이 복잡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손쉽게 그 기능들을 사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야 한다.
이하에서, 복합기기의 부피를 줄이고 그 사용법을 단순화하기 위한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한 디바이스들의 블럭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제1/제2 디바이스(10, 20)는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디비이스들로서, 외부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각각 제1/제2 통신부(12, 22) 및 제1/제2 연결단자(14, 24)를 구비한다.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를 통합하여 하나의 복합기기로 구현시에는 부피감소와 사용법 단순화를 위해, 디바이스들(10, 20)의 공통 구성요소인 통신부(12, 22)와 연결단자(14, 24)를 하나로 통합시키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
도 2a는 도 1의 제1/제2 디바이스(10, 20)를 하나로 통합한 복합기기의 블럭도이다. 도 2a를 참조하면, 복합기기의 연결단자(40)는 하나로 구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는 공통된 하나의 연결단자(40)를 통해 외부기기와 데이터 통신한다.
복합기기의 연결단자를 하나로 구현하면, 제품의 부피가 줄어든다. 또한, 제1 디바이스(10) 또는 제2 디바이스(20)와 외부기기를 연결할 경우, 디바이스 종류에 따라 연결단자를 선택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사용법이 단순해진다.
여기서, 외부기기와 통신하는 주체는 제1 통신부(12)이다. 제1 디바이스(10)와 외부기기가 통신하는 경우에는, 제1 통신부(12)가 연결단자(40)를 통해 외부기기와 직접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반면에, 제2 통신부(22)는 외부기기와 직접 통신할 수 없다. 따라서, 제2 디바이스(20)와 외부기기의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1 통신부(12)가 제2 통신부(22)와 외부기기의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하여야 한다.
한편, 도 2b에는 도 1의 제1/제2 디바이스(10, 20)를 하나로 통합한 복합기기의 다른 예를 도시하였다. 도 2a와 달리, 도 2b의 복합기기는 연결단자(40) 외에 통신부(30)도 하나로 구현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복합기기의 통신부(30)가 하나로 구현되었기 때문에, 제품의 부피와 생산원가를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통신부(30)는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30)는 제1 디바이스(10)와 외부기기간의 데이터 송수신 또는 제2 디바이스(20)와 외부기기간의 데이터 송수신을 담당한다.
그러나,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는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며, 외부기기와의 통신방식이 다를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2a나 도 2b와 같은 복합기기는 제품 개발단계에서 많은 어려움을 드러내는데,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2a와 같이 복합기기를 구현하려면, 제1 통신부(12)에 '제2 통신부(22)의 기능'을 추가시키거나, 제1 통신부(12)에 '제2 통신부(22)와 외부기기를 중계하기 위한 기능'을 추가시켜야 한다.
또한, 도 2b와 같이 복합기기를 구현하려면, 제1 통신부(12)와 제2 통신부(22)의 기능이 통합된 별개의 통신부(30)를 개발하여야 한다.
따라서, 여러개의 디바이스들을 하나로 통합하여 복합기기를 구현하는 경우에, 각각의 디바이스에 마련된 통신부들을 그대로 이용할 수 없다. 따라서, 어느 디바이스의 통신부가 다른 디바이스의 통신부의 기능을 통합 수행하거나, 양 통신부의 기능을 모두 수행할 수 있는 별개의 통신부를 새로 개발하여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하나로 통합될 제1 디바이스(10)와 제2 디바이스(20)가 전혀 별개의 기기여서 그 기능이 전혀 다름을 고려한다면, 디바이스들의 기능을 통합하는 통신부를 구현하는 어려움은 더욱 큰 부담으로 작용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고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한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하나로 통합됨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들이 설계변경 없이 그대로 이용될 수 있도록 한 복합기기 및 그의 통신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는, 외부기기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단자;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한 제1 통신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한 제2 통신부; 상기 연결단자와 상기 제1 통신부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단자와 상기 제2 통신부를 연결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동작할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디바이스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선택되어 동작하면 상기 제1 통신부도 동작하여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해지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선택되어 동작하면 상기 제2 통신부도 동작하여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통신부는 USB 인터페이스방식, IEEE 1394 인터페이스방식, RS-232 인터페이스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부는 USB 1.1 인터페이스방식에 따라 통신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USB 2.0 인터페이스방식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는 각각 정보통신기기, 촬영기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이동식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와 외부기기의 통신방법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동작할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선택되어 동작하면,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마련된 제1 통신부도 동작하여, 상기 제1 통신부가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선택되어 동작하면,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마련된 제2 통신부도 동작하여, 상기 제2 통신부가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통신부는 USB 인터페이스방식, IEEE 1394 인터페이스방식, RS-232 인터페이스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부는 USB 1.1 인터페이스방식에 따라 통신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USB 2.0 인터페이스방식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는 각각 정보통신기기, 촬영기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이동식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는, 외부기기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단자;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한 제1 통신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한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통신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연결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스위칭동작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통신부는 USB 인터페이스방식, IEEE 1394 인터페이스방식, RS-232 인터페이스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통신부는 USB 1.1 인터페이스방식에 따라 통신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USB 2.0 인터페이스방식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는 각각 정보통신기기, 촬영기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이동식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와 외부기기의 통신방법은,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할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마련된 제1 통신부와 상기 외부기기가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마련된 제2 통신부와 상기 외부기기가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통신부는 USB 인터페이스방식, IEEE 1394 인터페이스방식, RS-232 인터페이스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통신부는 USB 1.1 인터페이스방식에 따라 통신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USB 2.0 인터페이스방식에 따라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는 각각 정보통신기기, 촬영기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이동식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통합된 복합기기의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복합기기는 제1 디바이스(110), 제2 디바이스(120), 디바이스 선택부(130), 스위칭부(140) 및 외부기기 연결단자(150)를 구비한다.
제1/제2 디바이스(110, 120)는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며, 외부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제1/제2 통신부(115, 125)를 구비한다. 여기서, 제1/제2 통신부(115, 125)는 디바이스 통합을 위해 별도로 설계변경되지 않음은 물론, 통합전에 사용되는 구동프로그램을 그대로 사용한다. 제1 통신부(115)는 제1 디바이스(110)와 외부기기의 데이터 통신을 담당하며, 제2 통신부(125)는 제2 디바이스(120)와 외부기기의 데이터 통신을 담당한다.
한편, 제1/제2 통신부(115, 125)와 외부기기의 통신방식은 어느 것이라도 무방하다. 구체적으로, 제1/제2 통신부(115, 125)와 외부기기는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방식이나, IEEE 1394 인터페이스방식, RS-232 인터페이스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외부기기와 통신할 수 있는 디바이스라면, 어느 것이라도 제1/제2 디바이스(110, 120)가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제2 디바이스(110, 120)로서 정보통신기기, 촬영기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이동식 저장매체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정보통신기기에는 모바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등이 있고, 촬영기기에는 디지털카메라, 디지털캠코더 등이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플레이어에는 동영상플레이어, MP3플레이어와 콤포넌트와 같은 오디오 플레이어 등이 있고, 이동식 저장매체에는 카드리더기가 있다. 복합기기는 언급한 디바이스들을 2개 이상 선택하고, 이들을 통합함으로서 구현된다.
또한, 복합기기에 연결되는 외부기기 역시, 복합기기와 통신가능한 기기라면 어느 것이라도 적용가능하다. 따라서, 외부기기로서 PC나 프린터 외에도 앞서 언급된 디바이스들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디바이스 선택부(130)는 제1/제2 디바이스(110, 120) 중 동작할 디바이스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이다.
도 3에서, 디바이스 선택부(130)는 복합기기상에 별도로 마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디바이스 선택부(130)는 제1/제2 디바이스(110, 120) 중 어느 하나에 마련되는 것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만약, 디바이스 선택부(130)가 제1 디바이스(110)에 마련된 경우, 디바이스 선택부(130)를 통해 '제1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제1 디바이스(110)가 동작하게 된다. 하지만, 디바이스 선택부(130)를 통해 '제2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제1 디바이스(110)는 제2 디바이스(120)로 동작신호를 전달하여, 제2 디바이스(120)가 동작되도록 한다.
스위칭부(140)는 제1 통신부(115)와 외부기기 연결단자(150)를 연결하여, 제1 통신부(115)와 외부기기의 통신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스위칭부(140)는 제2 통신부(125)와 외부기기 연결단자(150)를 연결하여, 제2 통신부(125)와 외부기기의 통신경로를 제공한다.
스위칭부(140)는 스위칭동작에 의해, 제1/제2 통신부(115, 125) 중 어느 하나가 연결단자(150)에 연결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하지만, 본 실시예에서, 스위칭부(1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제2 통신부(115, 125)가 외부기기 연결단자(150)에 항시 연결되도록 함으로서, 통신경로를 제공하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외부기기 연결단자(150)는 복합기기상에서 하나로 통합 구현된다. 외부기기 연결단자(150)에는 외부기기가 연결된다.
복합기기와 외부기기의 통신방법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복합기기 동작시, 제1/제2 디바이스(110, 120) 중 어느 하나만이 동작하는데, 동작될 디바이스의 종류는 디바이스 선택부(130)에서의 선택에 따른다. 디바이스 선택부(130)에서 '제1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제1 디바이스(110)만 동작하며, '제2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제2 디바이스(120)만 동작한다.
제1 디바이스(110)가 동작하면, 그에 구비된 제1 통신부(115)만이 동작가능하다. 즉, 제1 통신부(115)만이 스위칭부(140)와 외부기기 연결단자(150)를 통해 외부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디바이스(110)가 선택되면, 제1 디바이스(110)만이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반면에, 제2 디바이스(120)가 동작하면, 그에 구비된 제2 통신부(125)만이 동작가능하다. 즉, 제2 통신부(125)만이 스위칭부(140)와 외부기기 연결단자(150)를 통해 외부기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2 디바이스(120)가 선택되면, 제2 디바이스(120)만이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한 구체적인 이해를 위해, 이하에서는 디지털갬코더(Digital Camcoder : Digital Video Camera, 이하, 'DVC'로 약칭한다.)와 디지털카메라 DSC(Digital Still Camera, 이하, 'DSC'로 약칭한다.)가 통합된 복합촬영기기를 예로 들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DVC와 DSC가 하나로 통합된 복합촬영기기의 블럭도이다. 도 3과 도 5를 비교하면, 제1 디바이스(110)는 DVC(210)로, 제2 디바이스(120)는 DSC(220)로, 디바이스 선택부(130)는 모드선택부(230)로, 스위칭부(140)는 MUX(Multiplexer)(240)로, 외부기기 연결단자(150)는 USB 연결단자(250)로, 외부기기를 PC로 구현하였음을 알 수 있다.
DVC(210)는 동영상을 촬영/저장하는 디바이스로서, 동영상을 촬영하는 DVC 촬영부(211), 동영상을 신호처리하고 압축/신장하는 DVC 신호처리부(213), 동영상을 저장/재생하는 데크부(215), DVC(2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DVC 제어부(217), DVC 통신부(219)를 구비한다.
DVC 통신부(219)는 DVC(210)와 PC의 데이터 통신을 담당하는데, 복합촬영기기 구현에 따른 설계변경이나 구동프로그램의 변경은 필요로 하지 않는다.
DSC(220)는 정지영상을 촬영/저장하는 디바이스로서, 정지영상을 촬영하는 DSC 촬영부(221), 정지영상을 신호처리하고 압축/신장하는 DSC 신호처리부(223), 정지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카드(225), DSC(22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DSC 제어부(227), DSC 통신부(229)를 구비한다.
DSC 통신부(229)는 DSC(210)와 PC와 데이터 통신을 담당한다. DSC 통신부(229)는 복합촬영기기 구현에 따른 설계변경이나 구동프로그램의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점에서는 DVC 통신부(219)와 공통된다.
DVC 통신부(219)와 DSC 통신부(229)는 USB 통신방식에 의해 PC와 통신을 수행한다. 하지만, 양자가 수행하는 USB 통신방식의 버전은 서로 달라도 무방하다. 즉, DVC 통신부(219)는 USB 1.1버전에 의할 수 있고, DSC 통신부(229)는 USB 2.0버전에 의할 수 있으며, DVC(210)와 DSC(220)가 하나의 복합촬영기기로 통합되었다고 해서, 양자의 버전을 일치시킬 필요가 없다. 후술하겠지만, 이는 DVC 통신부(219)와 DSC 통신부(229)가 각각 별도로 PC에 연결되어 통신하도록 복합촬영기기를 구현하였음에 기인한다.
모드선택부(230)는 'DVC'모드와 'DSC'모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장치이다. 'DVC'모드는 DVC(210)를 이용하여 촬영/재생동작을 수행하는 모드이며, 'DSC'모드 DSC(220)를 이용하여 촬영/재생동작을 수행하는 모드이다.
MUX(240)는 DVC 통신부(219)와 USB 연결단자(250)를 연결하여, DVC 통신부(219)와 PC의 통신경로를 제공한다. 또한, MUX(240)는 DSC 통신부(229)와 USB 연결단자(250)를 연결하여, DSC 통신부(2S9)와 PC의 통신경로를 제공한다. MUX(240)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스위칭부(140)가 적용될 수 있다.
USB 연결단자(250)는 복합촬영기기상에서 하나로 통합 구현된다. USB 연결단자(250)에는 PC가 연결된다.
이하에서는, 복합촬영기기와 PC의 통신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복합촬영기기는 DVC(210)와 DSC(220)가 통합되어 있으므로, 동작될 어느 하나를 모드선택부(230)를 통해 선택해야 한다(S310). S310단계에서 'DVC'모드가 선택되면(S320), DVC(210)가 동작하여 촬영/재생 등을 수행한다(S330). 이때, DSC(220)는 동작하지 않는다.
DVC(210)만 동작하기 때문에 그에 구비된 DVC 통신부(219)는 동작가능하지만, DSC(220)에 구비된 DSC 통신부(229)는 동작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DVC 통신부(219)는 MUX(240)와 USB 연결단자(250)를 통해 PC와 통신할 수 있다(S340). 구체적으로 DVC 통신부(219)는 DVC 촬영부(211)에서 촬영되는 동영상을 PC로 전송할 수 있으며, 데크부(215)에서 재생되는 동영상을 PC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S310단계에서 'DSC'모드가 선택되면(S350), DSC(220)가 동작하여 촬영/재생 등을 수행한다(S360). 이때, DVC(210)는 동작하지 않는다.
DSC(220)만 동작하기 때문에 그에 구비된 DSC 통신부(229)는 동작가능하지만, DVC(210)에 구비된 DVC 통신부(219)는 동작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DSC 통신부(229)는 MUX(240)와 USB 연결단자(250)를 통해 PC와 통신할 수 있다(S370). 구체적으로 DSC 통신부(219)는 메모리카드(225)에 저장된 영상파일을 PC로 전송할 수 있으며, PC로부터 전송되는 영상파일을 메모리카드(225)에 저장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실시예들에서는, 복합기기에서 통합된 복수의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만이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것으로 구현하였다. 즉, 도 3(도 5)에서는, 제1 디바이스(DVC)와 제2 디바이스(DSC) 중 어느 하나만이 동작되는데, 동작될 디바이스는 디바이스 선택부(모드선택부)에 의해 선택되었다.
그러나, 복합기기에 통합되는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만이 동작하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여러개가 동작하도록 복합기기를 구현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지털캠코더/MP3플레이어가 통합된 복합기기에 있어서, 디지털캠코더를 PC카메라로 사용하고, MP3플레이어를 이용하여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이때, 디지털캠코더와 MP3플레이어 모두가 동작하여야 한다. 다만, 현재 PC와 통신하는 디바이스는 디지털캠코더뿐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구현될 수 있는 복합기기를 도 7에 도시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복합기기와 도 3에 도시된 복합기기를 비교하면, 디바이스 선택부(130)가 생략되었고, 대신 스위칭 제어부(160)가 추가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복합기기의 스위칭부(145)는 스위칭 제어부(160)의 제어에 의해, 제1 통신부(115)와 제2 통신부(125) 중 어느 하나를 외부기기 연결단자(150)와 연결한다는 점에서, 도 4에 도시된 스위칭부(140)와 다르다.
따라서, 제1 디바이스(110)가 외부기기와 통신하여야 하는 경우(또는, 선택된 경우), 스위칭 제어부(160)는 스위칭부(140)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여, 제1 통신부(115)와 외부기기 연결단자(150)가 연결되도록 한다. 또한, 제2 디바이스(120)가 외부기기와 통신하여야 하는 경우(또는, 선택된 경우), 스위칭 제어부(160)는 스위칭부(140)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여, 제2 통신부(125)와 외부기기 연결단자(150)가 연결되도록 한다.
지금까지, 본 실시예들에서는 복합기기로서 2개의 디바이스가 통합된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이며, 따라서 통합되는 디바이스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복합기기에 통합되는 디바이스의 개수가 3개 이상인 경우에는 스위칭부의 구조를 변경함으로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고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한 복수의 디바이스들을 통합하여 하나의 복합기기를 구현함에 있어서, 각 디바이스들의 통신 인터페이스장치들과 그에 사용되는 구동프로그램을 변경 없이 그대로 이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합기기의 개발이 더욱 용이해진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한 디바이스들의 블럭도,
도 2a 및 도 2b는 도 1의 디바이스들을 하나로 통합한 종래의 복합기기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통합된 복합기기의 블럭도,
도 4는 도 3의 스위칭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DVC와 DSC가 하나로 통합된 복합촬영기기의 블럭도,
도 6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DVC와 DSC가 하나로 통합된 복합촬영기기의 통신방법의 설명에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디바이스들이 통합된 복합기기의 블럭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제1 디바이스 115 : 제1 통신부
120 : 제2 디바이스 125 : 제2 통신부
130 : 디바이스 선택부 140 : 스위칭부
150 : 외부기기 연결단자 160 : 스위칭 제어부

Claims (17)

  1.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에 있어서,
    외부기기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단자;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한 제1 통신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한 제2 통신부;
    상기 연결단자와 상기 제1 통신부를 연결하고, 상기 연결단자와 상기 제2 통신부를 연결하는 스위칭부;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동작할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디바이스 선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선택되어 동작하면 상기 제1 통신부도 동작하여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해지며,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선택되어 동작하면 상기 제2 통신부도 동작하여 상기 스위칭부 및 상기 연결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통신부는 USB 인터페이스방식, IEEE 1394 인터페이스방식, RS-232 인터페이스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USB 1.1 인터페이스방식에 따라 통신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USB 2.0 인터페이스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는 각각 정보통신기기, 촬영기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이동식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
  5.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와 외부기기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동작할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선택되어 동작하면,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마련된 제1 통신부도 동작하여, 상기 제1 통신부가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선택되어 동작하면,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마련된 제2 통신부도 동작하여, 상기 제2 통신부가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통신부는 USB 인터페이스방식, IEEE 1394 인터페이스방식, RS-232 인터페이스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USB 1.1 인터페이스방식에 따라 통신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USB 2.0 인터페이스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는 각각 정보통신기기, 촬영기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이동식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9.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에 있어서,
    외부기기가 연결될 수 있는 연결단자;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한 제1 통신부;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마련되며,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한 제2 통신부; 및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통신부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연결단자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가능하도록 스위칭동작하는 스위칭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부의 스위칭동작을 제어하는 스위칭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통신부는 USB 인터페이스방식, IEEE 1394 인터페이스방식, RS-232 인터페이스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USB 1.1 인터페이스방식에 따라 통신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USB 2.0 인터페이스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
  13.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는 각각 정보통신기기, 촬영기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이동식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기기.
  14. 각기 다른 기능을 수행하는 제1 및 제2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와 외부기기의 통신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디바이스 중 상기 외부기기와 통신할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제1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상기 제1 디바이스에 마련된 제1 통신부와 상기 외부기기가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디바이스가 선택되면, 상기 제2 디바이스에 마련된 제2 통신부와 상기 외부기기가 연결되도록 스위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통신부는 USB 인터페이스방식, IEEE 1394 인터페이스방식, RS-232 인터페이스방식 중 어느 하나에 따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부는 USB 1.1 인터페이스방식에 따라 통신하고,
    상기 제2 통신부는 USB 2.0 인터페이스방식에 따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17.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 디바이스는 각각 정보통신기기, 촬영기기,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이동식 저장매체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방법.
KR1020040036759A 2004-05-24 2004-05-24 복수의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 및 그의 통신방법 KR20050111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759A KR20050111852A (ko) 2004-05-24 2004-05-24 복수의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 및 그의 통신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36759A KR20050111852A (ko) 2004-05-24 2004-05-24 복수의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 및 그의 통신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1852A true KR20050111852A (ko) 2005-11-29

Family

ID=372868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36759A KR20050111852A (ko) 2004-05-24 2004-05-24 복수의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 및 그의 통신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5011185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522A (ko) * 2017-12-02 2019-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277153B1 (ko) 2021-04-20 2021-07-14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엘에이에스 코팅 시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5522A (ko) * 2017-12-02 2019-06-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그 제어방법
KR102277153B1 (ko) 2021-04-20 2021-07-14 보성포리테크 주식회사 엘에이에스 코팅 시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50107120A1 (en) Mobile storage device with wireless bluetooth module attached thereto
EP2767886A1 (en) Electronic equipment and program
JP2002101226A (ja) 撮像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並びに通信装置及び方法、並びに記憶媒体
EP1207680A2 (en) Image sensing device
EP1484916A2 (en) Camera Apparatus
CN1530958B (zh) 视频、音频数据记录和重放设备
US20090213242A1 (en) Image capture module and applications thereof
US7594045B2 (en) Memory control apparatus for digital signal processing
US20040246346A1 (en) Photograph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setting compression format and method thereof
JP4529411B2 (ja) 情報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通信方法
KR20050111852A (ko) 복수의 디바이스가 통합된 복합기기 및 그의 통신방법
US20070186063A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KR100919978B1 (ko) 통신 상태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지털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
US20020037747A1 (en) Image apparatus
JP4574077B2 (ja) 通信システム、無線通信装置、及び撮像装置
KR20020014251A (ko) 화상 통신 휴대폰
KR100420681B1 (ko) 휴대폰을 이용한 영상과 음향의 합성 및 송신방법과 이를구현한 휴대폰
US7310114B2 (en) Picture storage device
KR20110116710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다수의 외장 메모리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US20070054509A1 (en) Apparatus containing multifunctional input and output jack and method using the same
EP1420588B1 (en) Communication terminal with TV telephone function
JP3581144B2 (ja) 静止画カメラ
US20050240710A1 (en) Host connectable device capable of selecting mode using menu displayed automatically upon connecting to host device and method thereof
KR20040063671A (ko) 복합 영상 및 음성정보 기록/재생장치
JP2017199392A (ja) 電子機器およ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