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5362A - 특히 고압 펌프용 오버 플로우 밸브, 그리고 고압 펌프 및 연료 분사 시스템 - Google Patents

특히 고압 펌프용 오버 플로우 밸브, 그리고 고압 펌프 및 연료 분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5362A
KR20190065362A KR1020197012832A KR20197012832A KR20190065362A KR 20190065362 A KR20190065362 A KR 20190065362A KR 1020197012832 A KR1020197012832 A KR 1020197012832A KR 20197012832 A KR20197012832 A KR 20197012832A KR 20190065362 A KR20190065362 A KR 201900653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housing
overflow valve
high pressure
pressure pump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무차파 파트다코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653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53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9/00Pumps specially adapted for fuel-injection and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F02M57/00, e.g. rotary cylinder-block type of pumps
    • F02M59/44Details, components part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59/02 - F02M59/42; Pumps having transducers, e.g. to measure displacement of pump rack or piston
    • F02M59/46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9/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 B01D29/11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stationary during filtration, e.g. pressure or suction filters, not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27/00; Filtering elements therefor with bag, cage, hose, tube, sleeve or like filtering elements
    • B01D29/13Supported filter elements
    • B01D29/15Supported filter elements arranged for inward flow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308Made of at least two different materials, e.g. metal and plast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23Valves in the fuel supply and return system
    • F02M37/0029Pressure regulator in the low pressure fuel syste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11Constructional details; Manufacturing or assembly of elements of fuel systems; Materials therefor
    • F02M37/0041Means for damping pressure puls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7/00Apparatus or systems for feeding liquid fuel from storage containers to carburettors or fuel-injection apparatus; Arrangements for purifying liquid fue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7/0047Layout or arrangement of systems for feeding fuel
    • F02M37/0052Details on the fuel return circuit; Arrangement of pressure regul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31Valve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valves, e.g. special valve member details, valve seat details, valve housing details
    • F02M63/004Sliding valves, e.g. spool valves, i.e. whereby the closing member has a sliding movement along a seat for opening and clo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63/00Other fuel-injection apparatus having pertinent characteristic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M39/00 - F02M57/00 or F02M67/00; 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or of interest apart from, the apparatus of groups F02M39/00 - F02M61/00 or F02M67/00; Combination of fuel pump with other devices, e.g. lubricating oil pump
    • F02M63/0012Valves
    • F02M63/0031Valves characterized by the type of valves, e.g. special valve member details, valve seat details, valve housing details
    • F02M63/005Pressure relief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16Sealing of fuel 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26Fuel-injection apparatus with elastically deformable elements other than coil sp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27Fuel-injection apparatus with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0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 F02M2200/8046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the manufacture involving injection moulding, e.g. of plastic or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80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 F02M2200/8061Fuel injection apparatus manufacture, repair or assembly involving press-fit, i.e. interference or friction f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200/00Details of fuel-injection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M2200/90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F02M2200/9015Elastomeric or plastic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밸브 바디(1)와; 이 밸브 바디(1)의 축 방향 보어(2) 내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5)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단부 측 주입 개구(4)의 방향으로 작동되는 밸브 피스톤(3);을 포함하는, 특히 연료 분사 시스템 내 고압 펌프용 오버 플로우 밸브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주입 개구(4) 앞에는 필터 장치(6)가 놓여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필터 장치(6)는 하나 이상의 통합된 필터 패브릭(8)을 갖는 플라스틱 하우징(7)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이와 같은 오버 플로우 밸브를 갖는 연료 분사 시스템용 고압 펌프, 및 상응하는 고압 펌프를 갖는 연료 분사 시스템과도 관련이 있다.

Description

특히 고압 펌프용 오버 플로우 밸브, 그리고 고압 펌프 및 연료 분사 시스템
본 발명은, 청구항 1의 전제부의 특징부들을 갖는 연료 분사 시스템 내, 특히 커먼 레일 분사 시스템 내 고압 펌프용 오버 플로우 밸브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오버 플로우 밸브를 갖는 고압 펌프와도 관련이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펌프를 갖는 연료 분사 시스템이 명시된다.
전술된 유형의 오버 플로우 밸브는, 고압 펌프의 주입 영역에서 압력 조절 또는 압력 제한을 위해 이용된다. 주입 압력이 사전 설정된 한계 값을 초과하면, 연료를 주입 영역으로부터 귀환 영역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오버 플로우 밸브가 개방된다.
종래 기술에 공지된 오버 플로우 밸브는, 예를 들어 공개 공보 DE 10 2013 200 050 A1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오버 플로우 밸브는, 축 방향 보어에 의해 관통된, 하우징 내에 수용된 밸브 바디를 포함한다. 밸브 피스톤이 축 방향 보어 내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밸브 피스톤의 축 방향 이동을 통해서는 복수의 원주 측 제어 개구들과 단부 측 주입 개구의 연결이 생성될 수 있다. 밸브 피스톤의 이동은, 주입 개구의 방향으로 밸브 피스톤에 부하를 가하는 스프링의 스프링력과 반대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주입 개구는 여러 개의 부분으로 구현된 여과망 또는 필터에 의해서 덮이며, 이 여과망 또는 필터는 필터 패브릭, 외부 바스켓 및 밸브 피스톤용 스톱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필터 패브릭은, 모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밸브 바디의 원주 그루브 내부에 맞물리는 환상의 외부 바스켓을 통해 밸브 바디에 고정된다. 필터 패브릭과 밸브 바디 사이에는 스톱 플레이트가 삽입되어 있다.
공지된 오버 플로우 밸브의 필터의 모자 형상으로 형성된 필터 패브릭은 비교적 불안정하다는 단점을 갖고 있다. 휨의 경우에 필터 패브릭은 안쪽으로 구부러지는데, 이와 같은 상황은 결과적으로 유동 횡단면을 감소시킨다. 더 나아가서는, 필터 패브릭이 밸브 피스톤과 접촉하여, 밸브 피스톤이 필터 패브릭을 손상시킬 정도로, 필터 패브릭이 심하게 변형될 수도 있다. 이로써, 필터는 자신의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필터가 여러 개의 부분으로 구현됨으로써, 필터의 제조 및 조립도 또한 복잡하다.
전술된 종래 기술로부터 출발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자신의 안정성과 관련하여 개선되었고, 간단하면서도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 가능한 필터 장치를 갖는, 특히 분사 시스템의 특히 고압 펌프용 오버 플로우 밸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특징부들을 갖는 오버 플로우 밸브가 제안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로부터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오버 플로우 밸브를 갖는 고압 펌프와, 상응하는 고압 펌프를 갖는 연료 분사 시스템이 명시된다.
제안된 오버 플로우 밸브는, 밸브 바디, 및 이 밸브 바디의 축 방향 보어 내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단부 측 주입 개구의 방향으로 작동되는 밸브 피스톤을 포함한다. 주입 개구 앞에는 바람직하게 밸브 바디와 연결된 필터 장치가 놓여 있으며, 이 필터 장치는 본 발명에 따라 하나 이상의 통합된 필터 패브릭을 갖는 플라스틱 하우징을 포함한다.
필터 패브릭을 플라스틱 하우징 내부에 통합함으로써, 필터 장치는 단 하나의 부품에 의해서 실현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오버 플로우 밸브의 조립이 간소해진다. 또한, 통합된 필터 패브릭을 갖는 플라스틱 하우징도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황은, 특히 제조가 사출 성형 방식에 의해서 이루어지는 경우에 적용된다. 이때, 필터 패브릭은 플라스틱 하우징의 플라스틱으로 압출 성형될 수 있다. 플라스틱 하우징이 필터 패브릭을 안정화시킴으로써, 결과적으로 필터 패브릭은 덜 변형되는 경향을 갖는다. 또한, 필터 패브릭은, 밸브 피스톤과 접촉되지 않는 방식으로 플라스틱 하우징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 필터 장치의 플라스틱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관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관 형상은, 플라스틱 하우징에 높은 형태 강도 및 이로써 안정성을 부여해준다. 또한, 관 형상은, 바람직하게 마찬가지로 원형의 횡단면 형상을 갖는 오버 플로우 밸브의 밸브 바디와 필터 장치의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하우징은 부분 원주 영역에 걸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 형상 리세스를 갖는 파이프 섹션을 구비하고, 상기 윈도우 형상 리세스 내에는 필터 패브릭이 삽입되어 있다. 다시 말해, 필터 패브릭은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 외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부로 관류된다. 이와 같은 배열 상태에서는, 밸브 피스톤이 필터 패브릭과 접촉 하게 되는 상황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필터 패브릭의 손상 위험이 저하된다.
더욱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하우징은, 이 플라스틱 하우징을 밸브 바디와 강제 결합식으로 그리고/또는 형상 결합식으로 연결하는 파이프 섹션을 구비한다. 파이프 섹션을 통한 연결은 간단한 방식으로 실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연결은 플러그-인 연결, 클램핑 연결, 프레싱 연결, 나사 연결 및/또는 래칭 연결일 수 있다. 연결을 위해 이용되는 파이프 섹션은, 바람직하게 외부에서 밸브 바디의 단부 섹션 상에 배치되어 있는 플라스틱 하우징의 단부 섹션이다. 다시 말해, 플라스틱 하우징은 밸브 바디를 적어도 섹션 방식으로 둘러싼다. 밸브 바디와 플라스틱 하우징의 강제 결합식의 연결을 생성하기 위하여, 파이프 섹션을 수용하는 밸브 바디의 단부 섹션은 연결을 위해 이용되는 파이프 섹션의 영역에 플라스틱 하우징에 대한 가압 과잉 크기 부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내부 원주 측에서 플라스틱 하우징에는 그리고/또는 외부 원주 측에서 밸브 바디에는, 상호 뒤에서 결합하여 대안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 형상 결합을 야기하는 기하학적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형상 결합을 생성하기 위해, 플라스틱 하우징은 또한 밸브 바디 상에 나사 결합될 수도 있다. 이 목적을 위해서는, 결합을 위해 이용되는 플라스틱 하우징의 파이프 섹션에 내부 스레드가 제공될 수 있고, 밸브 바디의 상응하는 단부 섹션에 외부 스레드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개선예에서는, 플라스틱 하우징이 외부 원주 측에 배열된 그리고 적어도 부분 원주 영역에 걸쳐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밀봉 컨투어를 구비하며, 이 밀봉 컨투어가 탄성 변형 및/또는 소성 변형 가능한 것이 제안된다. 변형 가능한 밀봉 컨투어가 고압 펌프의 주입 영역을 밀봉하기 위해 고압 펌프의 귀환 영역으로부터 삽입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밀봉 링의 도움에 의한 추가 밀봉이 생략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부품의 수가 더욱 줄어들 수 있고, 이와 같은 상황은 비용 절감의 효과를 낳는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라, 밀봉 컨투어는 밀봉 립으로서, 바람직하게는 환상의 밀봉 립으로서 구현되어 있다. 플라스틱 하우징이 사출 성형 부품인 경우에는, 밀봉 립이 일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밀봉 립의 외경은, 바람직하게 오버 플로우 밸브가 고압 펌프의 하우징 보어 내부로 삽입될 때에 밀봉 립이 탄성 변형되도록 그리고/또는 소성 변형되도록 치수 설계되었다. 이를 통해서는, 밀봉 효과를 증가시키는, 보어 벽에 대한 밀봉 립의 압축 응력에 도달하게 된다. 밀봉 립의 변형 가능성을 보증하기 위하여, 밀봉 립은 예를 들어 원형의 또는 쐐기 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개선적인 조치로서, 밀봉 컨투어가 바이패스 유동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원주 방향으로 중단된 상태로 구현되어 있는 것이 제안된다. 다시 말해, 오버 플로우 밸브가 삽입되어 있는 고압 펌프의 주입 영역이 바이패스 유동 채널을 통해 귀환 영역과 연결되어 있다. 바이패스 유동 채널은 냉각 흐름 바이패스로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 하우징이, 바람직하게 바이패스 유동 채널의 영역에 배열되어 있고 그리고/또는 바이패스 유동 채널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외부 원주 측 평탄부를 갖는 것이 제안된다. 예를 들어, 평탄부가 밀봉 컨투어의 중단된 영역에 인접할 수 있거나, 밀봉 컨투어를 중단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이를 통해서는 냉각 흐름 바이패스로서 이용 가능한 바이패스 유동 채널이 형성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보완적으로, 플라스틱 하우징은, 플라스틱 하우징의 축 방향으로 진행하는 바이패스 채널 내부로 개방되어 있는 반경 방향 보어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냉각 흐름이 플라스틱 하우징의 벽 내부에서 안내된다. 반경 방향 보어 내에서는 그리고/또는 바이패스 채널 내에서는, 바이패스 채널을 통한 유출을 조절하기 위하여 스로틀 지점이 형성될 수 있다. 바이패스 채널 내부로 개방되어 있는 반경 방향 보어가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하우징의 평탄부 영역에 배열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상기 반경 방향 보어로는 반경 방향 외부로부터 유입이 이루어질 수 있다.
플라스틱 하우징의 외부 원주 측 평탄부는, 또한 플라스틱 하우징의 단부 측 개구 앞에 놓여 있는 공간과, 플라스틱 하우징을 둘러싸는 환형 공간을 연결하기 위해서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부로 삽입된 필터 패브릭이 휘어져 있는 경우에는, 단부 측 개구가 하나 이상의 원주 측의 윈도우 형상 리세스를 통과하는 주입구를 대체할 수 있다. 입자가 오버 플로우 밸브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바람직하게 플라스틱 하우징의 단부 측 개구 내부에도 마찬가지로 필터 패브릭이 삽입되어 있다. 이 필터 패브릭이 바람직하게는 원주 측에 배열된 필터 패브릭의 메시 폭보다 큰 메시 폭을 가짐으로써, 결과적으로 그 내부에 응집된 파라핀을 포함하는 연료에 대한 투과성이 보장된다. 예를 들어, 단부 측에 배열된 필터 패브릭의 메시 폭은 400 ㎛일 수 있고, 원주 측에 배열된 필터 패브릭의 메시 폭은 200 ㎛일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필터 장치는, 상이한 크기의 메시 폭을 갖는 필터 패브릭이 그 내부에 통합되어 있는 플라스틱 하우징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버 플로우 밸브가 바람직하게는 고압 펌프 내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또한 이와 같은 오버 플로우 밸브를 갖는 연료 분사 시스템용의, 특히 커먼 레일 분사 시스템용의 고압 펌프도 제안된다. 이 경우, 오버 플로우 밸브는 고압 펌프의 하우징 보어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압입되어 있거나 나사 결합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오버 플로우 밸브의 밸브 바디는 바람직하게, 하우징 보어에 대한 가압 과잉 크기 부분을 갖거나 외부 스레드를 구비한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고압 펌프를 갖는 연료 분사 시스템, 특히 커먼 레일 분사 시스템이 명시된다. 이 경우에, 고압 펌프 내부에 삽입된 본 발명에 따른 오버 플로우 밸브는 압력 조절 및/또는 압력 제한의 목적으로 고압 펌프의 주입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오버 플로우 밸브는, 한 편으로는 주입 영역과 연결되어 있고, 다른 한 편으로는 연료 분사 시스템의 귀환 영역과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이들 도면 중,
도 1은 연료 분사 시스템의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2는 고압 펌프의 하우징 보어 내부에 나사 결합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오버 플로우 밸브의 개략적인 종단면을 도시하고,
도 3은 도 2의 오버 플로우 밸브의 필터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을 도시하며,
도 4는 도 2의 오버 플로우 밸브의 필터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고,
도 5는 고압 펌프의 하우징 보어 내부에 삽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오버 플로우 밸브의 개략적인 종단면을 도시하며,
도 6은 도 5의 오버 플로우 밸브의 필터 장치의 개략적인 종단면을 도시하고,
도 7은 도 5의 오버 플로우 밸브의 필터 장치의 사시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8은 도 7의 필터 장치의 일 변형예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1에 따른 연료 분사 시스템은, 연료를 필터(100)를 통해 연료 탱크(200)로부터 연료 이송 펌프(300)를 이용하여 연료 라인(400)을 거쳐, 여기에서 반경 방향 피스톤 펌프로서 형성된 고압 펌프(500)로 이송한다.
연료 분사 시스템은, 또한 계량 유닛(600) 및 고압 저장기(700)를 포함하고, 고압 저장기는 레일로서도 지칭되고, 연료를 내연 기관의 연소실 내부로 분사하는, 본 도면에 더 이상 도시되어 있지 않은 분사 밸브들과 재차 연결된다.
계량 유닛(600)은, 연료 이송 펌프(300)로부터 고압 펌프(500)로의 연료 주입을 필요에 따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연료 이송 펌프(300)로부터 계량 유닛(600)으로의 공급 라인 내에는 오버 플로우 밸브(800)가 배열되어 있으며, 이 오버 플로우 밸브는, 계량 유닛(600)이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폐쇄된 상태에서는 고압 펌프(500)에 도달할 수 없는, 연료 이송 펌프(300)로부터 지나치게 많이 이송된 연료를 제어하기 위해서 그리고 귀환 라인(900)을 통해 연료 탱크(200) 내부로 재순환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연료 이송 펌프(300), 계량 유닛(600) 및 오버 플로우 밸브(800)는 연료 분사 시스템의 저압 회로에 할당되어 있다. 그와 달리, 고압 펌프(500) 및 고압 저장기(700)는 고압 회로에 할당되어 있다.
오버 플로우 밸브(800)는, 연료 이송 펌프(300)로부터 이송되는 연료를 공급하기 위해 밸브 바디(1)에 형성된 주입 개구(4), 및 귀환 라인(900)과 연결된 귀환 채널(24)을 구비한다.
도 2에 상세하게 도시되어 있고, 본 도면에 더 이상 도시되어 있지 않은 연료-고압 펌프의 하우징 보어(17) 내부로 삽입된 오버 플로우 밸브(800)는, 고압 펌프의 주입 영역 내에서 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또는 압력을 제한하기 위해 이용된다. 이 목적을 위해, 오버 플로우 밸브는, 축 방향 보어(2) 및 축 방향 보어(2) 내에서 왕복으로 운동 가능한 밸브 피스톤(3)을 갖는 밸브 바디(1)를 구비하며, 이 경우 밸브 피스톤은 스프링(5)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주입 개구(4)의 방향으로 작동된다. 이 목적을 위해, 스프링(5)은, 한 편으로는 밸브 피스톤(3)에 지지되어 있고, 다른 한 편으로는 축 방향 보어(2) 내부로 압입된 폐쇄 마개(22)에 지지되어 있다. 폐쇄 마개(22)의 압입 깊이에 걸쳐서, 스프링(5)의 스프링력 및 이로써 오버 플로우 밸브의 개방 압력이 설정될 수 있다. 주입 개구(4)의 영역에서 밸브 피스톤(3)에 개방 압력을 초과하는 주입 압력이 인가되면, 밸브 피스톤(3)은 스프링(5)의 스프링력과 반대로 이동되고, 원주 측에 배열된 제어 개구들(21)과 주입 개구(4)의 연결을 생성한다. 제어 개구들(21)이, 밸브 바디(1)를 둘러싸는 환형 공간(21) 내부로 개방되어 있고, 이 환형 공간 내부로 귀환 채널(24)이 개방되어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제어량이 귀환부에 공급될 수 있다.
주입 개구(4)를 통해 유해 입자가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2의 오버 플로우 밸브는 실질적으로 관 형상의 플라스틱 하우징(7)을 갖는 필터 장치(6)를 구비하고, 플라스틱 하우징은 주입 개구(4)의 영역에서 밸브 바디(1)의 단부 섹션을 향해 가압된다. 그와 동시에, 플라스틱 하우징(7)의 파이프 섹션(11) 내에 형성되어 있고(특히 도 2 참조) 밸브 바디(1)의 환상 융기부(25)가 그 내부에 결합되는 환형 그루브(18)를 통해서는 형상 결합에 도달하게 된다.
플라스틱 하우징(7)을 밸브 바디(1)와 연결하는 파이프 섹션(11)에는, 축소된 외경을 가짐으로써 하우징 보어(17) 내부에서 또 다른 환형 공간(26)을 제한하는 파이프 섹션(9)이 연결된다. 환형 공간(26) 내에서는 주입 압력이 우세하다. 환형 공간(26)을, 귀환 채널(24)이 내부로 개방되어 있는 환형 공간(23)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외부 원주 측에서 플라스틱 하우징(7)의 파이프 섹션(11)에는 환상 밀봉 립 형태의 밀봉 컨투어(12)가 형성되어 있으며(특히 도 4 참조), 이들 밀봉 컨투어가 반경 방향 압축 응력하에서 하우징 보어(17)의 벽에 접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를 통해 밀봉에 도달하게 된다.
환형 공간(26)을 제한하는 플라스틱 하우징(7)의 파이프 섹션(9)은, 둘레에 걸쳐 균일하게 분포 배열된 복수의 윈도우 형상 리세스(10)를 구비하며, 이 리세스 내에 필터 패브릭(8)이 삽입되어 있다. 필터 패브릭(8)이 오버 플로우 밸브의 작동 중에 반경 방향 외부로부터 반경 방향 내부로 관류됨으로써, 결과적으로 이를 통해서는 입자의 유입이 방지된다. 필터 패브릭(8)이 플라스틱 하우징(7)에 의해 보강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필터 패브릭은 매우 안정적으로 되고, 특히 변형 경향을 갖지 않게 된다. 또한, 필터 패브릭(8)이 밸브 피스톤(3)과 접촉하게 될 위험도 존재하지 않는다. 밸브 피스톤(3)의 최종 위치를 규정하기 위하여, (도 2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톱 플레이트(20)가 플라스틱 하우징(7) 내부에 통합될 수 있다. 그러나 비용을 줄이기 위해, 이와 같은 스톱 플레이트(20)는 생략될 수도 있다.
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오버 플로우 밸브에서도 배제될 수 없는 사실은, 필터 패브릭(8)이 휨 현상으로 인해 막힌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 오버 플로우 밸브의 기능을 유지하기 위하여, 필터 장치(6)의 플라스틱 하우징(7)은 단부 측 리세스(16)를 구비하고, 이 리세스 내부에 마찬가지로 필터 패브릭(8)이 삽입되어 있다(특히 도 4 참조). 단부 측에 배열된 필터 패브릭(8)이, 원주 측에 배열된 필터 패브릭(8)보다 훨씬 더 큰 메시 폭을 가짐으로써, 결과적으로 그 필터 패브릭은 덜 강한 휨 경향을 갖게 되고, 주입 개구(4)의 방향으로 필터링 된 바이패스를 가능하게 한다. 바이패스를 통한 유출을 스로틀링하기 위하여, 플라스틱 하우징(7)은 원주 측 평탄부(13) 및 단부 측 그루브(19)를 구비하고(특히 도 4 참조), 이들 평탄부 및 그루브는 플라스틱 하우징(7)의 단부 측 리세스(16)와 환형 공간(26)의 연결부 내부에서 하나 이상의 스로틀 지점을 형성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오버 플로우 밸브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여준다. 이 오버 플로우 밸브는, 특히 필터 장치가, 필터링 된 바이패스를 갖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2의 오버 플로우 밸브와 상이하다. 또한, 플라스틱 하우징은 파이프 섹션(11)을 통해 밸브 바디(1)에 단순히 가압된다.
하지만, 필터링 된 바이패스 대신에, 바이패스 채널(15)이, 밀봉 컨투어들(12)을 우회하기 위해 또는 환형 공간들(23과 26)을 연결하기 위해 플라스틱 하우징(7)의 벽 내부에 제공되어 있다. 이 목적을 위해, 바이패스 채널(15)은 반경 방향 보어(14)를 통해 환형 챔버(26)와 연결되어 있고, 밀봉 컨투어들(12) 건너편에서 리세스(27)를 통해 재차 플라스틱 하우징(7)으로부터 배출된다(특히 도 5 및 도 7 참조). 반경 방향 보어(14)의 유입 가능성을 개선하기 위하여, 반경 방향 보어는 원주 측 평탄부(13)의 영역에 배열되어 있다. 특히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여기에서도 플라스틱 하우징(7) 내부에 스톱 플레이트(20)가 통합되어 있지만, 스톱 플레이트는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다.
도 8에는, 도 5에 도시된 오버 플로우 밸브용의 약간 변형된 필터 장치(6)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평탄부(13)가 플라스틱 하우징(7)의 파이프 섹션(11)의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됨으로써, 결과적으로 평탄부(13)는 하우징 보어(17)의 벽과 함께, 환형 공간(23과 26)을 연결하는 바이패스 채널을 형성하게 된다. 그에 따라, 내부에 놓여 있는 바이패스 채널(15), 반경 방향 보어(14) 및 리세스(27)가 생략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생략 가능성은 비용 절감 효과를 낳는다.

Claims (14)

  1. 특히 연료 분사 시스템 내 고압 펌프용 오버 플로우 밸브이며, 상기 오버 플로우 밸브는 밸브 바디(1)와; 밸브 바디(1)의 축 방향 보어(2) 내에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스프링(5)의 스프링력에 의해서 단부 측 주입 개구(4)의 방향으로 작동되는 밸브 피스톤(3);을 포함하며, 주입 개구(4) 앞에 필터 장치(6)가 놓여 있는, 오버 플로우 밸브에 있어서,
    필터 장치(6)는 하나 이상의 통합된 필터 패브릭(8)을 갖는 플라스틱 하우징(7)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플로우 밸브.
  2. 제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하우징(7)은 실질적으로 관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플로우 밸브.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하우징(7)은, 부분 원주 영역에 걸쳐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윈도우 형상 리세스(10)를 갖는 파이프 섹션(9)을 구비하고, 상기 윈도우 형상 리세스 내에는 필터 패브릭(8)이 삽입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플로우 밸브.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하우징(7)은, 상기 플라스틱 하우징을 밸브 바디(1)와 강제 결합식으로 그리고/또는 형상 결합식으로 연결하는 파이프 섹션(11)을 구비하며, 바람직하게 상기 연결은 플러그-인 연결, 클램핑 연결, 프레싱 연결, 나사 연결 및/또는 래칭 연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플로우 밸브.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하우징(7)은 외부 원주 측에 배열된 그리고 적어도 부분 원주 영역에 걸쳐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밀봉 컨투어(12)를 구비하며, 상기 밀봉 컨투어가 탄성 변형 및/또는 소성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플로우 밸브.
  6. 제5항에 있어서, 밀봉 컨투어(12)는, 바람직하게 일체로 사출 성형된 그리고/또는 원형의 또는 쐐기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밀봉 립으로서 구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플로우 밸브.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밀봉 컨투어(12)는, 바이패스 유동 채널을 형성하기 위해 원주 방향으로 중단된 상태로 구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플로우 밸브.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하우징(7)은 하나 이상의 외부 원주 측 평탄부(13)를 갖고, 상기 평탄부는 바람직하게 바이패스 유동 채널의 영역에 배열되어 있고/있거나 바이패스 유동 채널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플로우 밸브.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하우징(7)은, 플라스틱 하우징(7)의 축 방향으로 진행하는 바이패스 채널(15) 내부로 개방되어 있는 반경 방향 보어(14)를 구비하며, 바람직하게 반경 방향 보어(14)는 평탄부(13)의 영역에 배열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플로우 밸브.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하우징(7) 내부에는 상이한 크기의 메시 폭을 갖는 필터 패브릭(8)이 통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플로우 밸브.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필터 장치(6)는 밸브 바디(1)와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버 플로우 밸브.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오버 플로우 밸브를 갖는, 특히 연료 분사 시스템용의, 특히 커먼 레일 분사 시스템용의 고압 펌프.
  13. 제12항에 있어서, 오버 플로우 밸브는 고압 펌프의 하우징 보어(17) 내부에 삽입되어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압입되어 있거나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압 펌프.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오버 플로우 밸브(800)를 갖는, 연료 분사 시스템, 특히 커먼 레일 분사 시스템.
KR1020197012832A 2016-10-10 2017-09-22 특히 고압 펌프용 오버 플로우 밸브, 그리고 고압 펌프 및 연료 분사 시스템 KR2019006536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19631.6 2016-10-10
DE102016219631.6A DE102016219631A1 (de) 2016-10-10 2016-10-10 Überströmventil, insbesondere für eine Hochdruckpumpe, sowie Hochdruckpumpe und Kraftstoffeinspritzsystem
PCT/EP2017/073993 WO2018069020A1 (de) 2016-10-10 2017-09-22 Überströmventil, insbesondere für eine hochdruckpumpe, sowie hochdruckpumpe und kraftstoffeinspritzsyste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5362A true KR20190065362A (ko) 2019-06-11

Family

ID=60001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832A KR20190065362A (ko) 2016-10-10 2017-09-22 특히 고압 펌프용 오버 플로우 밸브, 그리고 고압 펌프 및 연료 분사 시스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190065362A (ko)
CN (1) CN109844298B (ko)
DE (1) DE102016219631A1 (ko)
WO (1) WO201806902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107346B4 (de) 2019-03-22 2023-04-13 Thomas Magnete GmbH Filter zur Anwendung bei Ventilen zum Schutz vor Partikeln und Verfahren zum Zusammenbau einer Ventilhülse mit einem Filter
IT202200002849A1 (it) * 2022-02-16 2023-08-16 Bosch Gmbh Robert Gruppo pompa di alimentazione di carburante ad un motore a combustione interna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59800317D1 (de) * 1998-06-16 2000-11-30 Ford Global Tech Inc Stabförmiger Rohrfilter für Fluid-Leitungen, insbesondere in Brennkraftmaschinen
JP2000240529A (ja) * 1999-02-19 2000-09-05 Aisan Ind Co Ltd 燃料分配管用リリーフバルブ
IT247260Y1 (it) * 1999-09-21 2002-05-13 Elasis Sistema Ricerca Fiat Perfezionamento di un'elettrovalvola per la regolazione dellapressione di alimentazione di combustibile ad un motore acombustione
IT1319838B1 (it) * 2000-02-15 2003-11-03 Elasis Sistema Ricerca Fiat Perfezionamenti di un'elettrovalvola per la regolazione dellapressione di alimentazione di combustibile ad un motore a combustione
DE102005022738A1 (de) * 2005-05-18 2006-11-23 Schaeffler Kg Druckventil für eine Kraftstoffeinspritzvorrichtung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07052665A1 (de) * 2007-11-05 2009-05-07 Robert Bosch Gmbh Kraftstoffüberströmventil für eine Kraftstoffeinspritzeinrichtung und Kraftstoffeinspritzeinrichtung mit Kraftstoffüberströmventil
DE102013200050A1 (de) 2013-01-03 2014-07-03 Robert Bosch Gmbh Überströmventil für eine Kraftstoffpumpe
DE102013201897A1 (de) * 2013-02-06 2014-08-07 Robert Bosch Gmbh Ventil zum Zumessen von Fluid
DE102013225812A1 (de) * 2013-12-13 2015-06-18 Robert Bosch Gmbh Brennstoffeinspritzventil
CN205117564U (zh) * 2015-11-17 2016-03-30 罗伯特·博世有限公司 燃油喷射系统及其低压油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69020A1 (de) 2018-04-19
CN109844298A (zh) 2019-06-04
CN109844298B (zh) 2021-11-16
DE102016219631A1 (de) 2018-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48580B2 (en) Check valve
US7871251B2 (en) High-pressure pump for feeding fuel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297941B2 (en) Fuel pump
JP4842361B2 (ja) 高圧燃料ポンプ
EP1813845A1 (en) High-pressure pump for feeding fuel to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1923910B1 (ko) 유체의 스위칭 또는 계량을 위한 밸브 장치
KR101857376B1 (ko) 자동차용 펌프 배열 및 시스템
KR20170081650A (ko) 내연 기관의 연료 시스템용 고압 연료 펌프
US20070079878A1 (en) Pressure limiting valve
KR20160093017A (ko) 연료 분사 밸브
KR20190065362A (ko) 특히 고압 펌프용 오버 플로우 밸브, 그리고 고압 펌프 및 연료 분사 시스템
CN106232978A (zh) 高压燃料供给泵
US20140147314A1 (en) Piston pump for delivering fluids, and corresponding assembly process for a piston pump
KR20130103496A (ko) 유체 흐름을 스로틀하기 위한 장치 및 유체 송출용 피스톤 펌프
CN110832188B (zh) 高压燃料泵
US20150292457A1 (en) Valve Device
KR102299585B1 (ko) 내연기관용 연료 시스템의 피스톤 펌프, 특히 연료 펌프
JP4815455B2 (ja) 燃料ポンプ
US20100192924A1 (en) Valve for Fuel Devices
EP3023628B1 (en) A fuel flow limiting valve for large internal combustion engines
CN104594973A (zh) 一种带止回阀的滤清器
CN109790807B (zh) 节流元件、高压泵、燃料喷射系统的低压回路
KR20170045682A (ko) 릴리프 밸브 일체형 엔진 블럭
EP0890733A1 (en) Snubber valve
CN214887426U (zh) 高压泵的活塞导件