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870A - 관로구 방수 장치 - Google Patents

관로구 방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870A
KR20190064870A KR1020170164152A KR20170164152A KR20190064870A KR 20190064870 A KR20190064870 A KR 20190064870A KR 1020170164152 A KR1020170164152 A KR 1020170164152A KR 20170164152 A KR20170164152 A KR 20170164152A KR 20190064870 A KR20190064870 A KR 201900648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bber
waterproofing
wall
water
c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1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2714B1 (ko
Inventor
김종필
이정철
김형준
김동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전력공사
한우테크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력공사, 한우테크 (주) filed Critical 한국전력공사
Priority to KR10201701641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2714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27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27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5/00Cable fittings
    • H02G15/013Sealing means for cable inlets

Landscapes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로구 방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조임판과 제2 조임판 사이에 방수부가 위치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 내벽은 물과 접촉하면 팽창하는 제1 고무로 이루어지고, 외벽은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제2 고무로 이루어진 이중 고무체로 형성되어 방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도록 개선된 관로구 방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관로구 방수 장치{A WATER PROOFING DEVICE OF THE PIPE ROAD FOR THE CABLES}
본 발명은 통신선 및 전력선의 관로구 방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관로구 방수 장치의 방수부에 이중 고무체를 적용하여 우수한 탄성 복원력으로 방수 성능을 향상할 수 있도록 개선된 관로구 방수 장치에 관한 것이다.
관로구 방수 장치는 맨홀, 핸드홀, 전력구 등과 같은 지중 구조물 내부에 지중케이블이 시설되는 관로구(송배전용 파이프)에서 관로를 통과하는 케이블을 고정하고, 외부로부터 물이나 유동성 물질 등의 침투 및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시설하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관로구 방수 장치는 다수의 케이블을 고정하는 케이블 고정부(100)와, 케이블 고정부를 감싸는 단단한 재질의 2개의 조임판(200, 300)을 구비하고, 2개의 조임판 사이에는 압력에 의해 변형이 가능한 탄성력을 가진 방수판(230, 330)을 설치하며, 2개의 조임판을 볼트 등으로 체결하여 방수판을 가압함으로써 방수 효과를 얻게 된다.
그러나 상기 방수판의 재질이 일반 합성고무로 구성되어 있어,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탄성력이 상실되며, 이로 인해 내구성, 내후성이 약해져서 구조상 변형이 발생하여 방수효과가 저하되고 지중 구조물 내에 물이 침투 유입되어 누수 현상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이와 같은 관로구 방수 장치의 방수판의 불량에 따른 누수 현상으로 인해 지중배선 맨홀의 침수 및 침수 맨홀을 매년 청소 점검 공사(양수 작업) 시행으로 인력 및 비용이 낭비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8933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한 본 발명은 관로구 방수 장치의 불량으로 인한 누수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방수판의 재질을 일반 합성고무에서 고탄성 고무 및 수팽창 고무를 이중으로 적용함으로써 유입되는 물에 의해 수팽창 고무가 팽창되어 더욱더 밀착 구조를 가짐에 따라 관로구의 방수효율이 향상으로 인해 관로구 측으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효과적으로 차단하는 할 수 있도록 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팽창 고무 외주면을 탄성 회복력이 향상된 고탄성 고무로 감싸 물에 의해 팽창된 수팽창 고무를 다시 원상으로 회복되도록 하며, 관로구 방수 장치의 내구성을 유지할 수 있는 관로구 방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제시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1 조임판(110)과 제2 조임판(120) 사이에 제1 방수부(130)가 위치한 관로구 방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부(130)는 내벽 및 외벽의 이중벽 구조이고, 상기 내벽은 제1 고무, 상기 외벽은 제2 고무로 형성된 관로구 방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방수부(130)에서 외벽을 이루는 제2 고무는 제2 상부고무와 제2 하부고무로 분리되고, 상기 제2 상부고무와 제2 하부고무 사이에는 제1 고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제2 상부고무와 제2 하부고무는 상부 길이와 하부길이가 동일하다.
상기 제1 고무의 재질은 물과 접촉하면 팽창하는 특성을 지닌 수팽창 고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제2 고무의 재질은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고탄성 고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3 조임판(210)과 제4 조임판(220) 사이에 제2 방수부(230)가 위치한 관로구 방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수부(230)는 내벽 및 외벽의 이중벽 구조이고, 상기 내벽은 제1 고무, 상기 외벽은 제2 고무로 형성된 관로구 방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방수부(230)에서 외벽을 이루는 제2 고무는 제2 상부고무와 제2 하부고무로 분리되고, 상기 제2 상부고무와 제2 하부고무의 사이에는 제1 고무가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상부고무와 제2 하부고무는 상부 길이와 하부 길이가 동일하다.
한편, 여기서 설명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에 사용되는 제2 방수부의 제1 고무 및 제2 고무 재질의 종류는 앞서 설명한 관로구 방수 장치에서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지중구조물 내 관로구 방수 장치의 불량으로 인한 물의 유입 및 침투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수 및 내구성 우수한 반영구적 방수 장치 설치로 맨홀 내부설비 최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지중구조물 내 침수 예방으로 별도의 청소점검에 소모되는 인력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관로구 방수 장치를 간략하게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 장치의 구성을 간략하게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 장치를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 장치를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며, 이러한 실시예는 일례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 제2 등과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으나,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포함한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한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관로구 방수 장치는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본 발명의 관로구 방수 장치는 크게 3개의 케이블(C)을 각각 독립된 관통구 지점에서 지지하기 위한 케이블 지지부(100), 상기 케이블 지지부의 외주면의 일부를 감싸는 케이블 고정부(200) 및 상기 케이블 지지부(100)와 케이블 고정부(200)를 고정하는 고정 수단(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케이블 지지부(100)의 구성을 살펴보면, 원통 형상을 가지고 한 쌍의 제1 조임판(110), 제2 조임판(120)과, 상기 한 쌍의 조임판(110, 120) 사이에 신축성을 가지는 제1 방수부(130)가 배치되어 이루어지며, 이 케이블 지지부(100)를 이루는 제1, 제2 조임판(110, 120) 및 제1 방수부(130)의 외주면에는 케이블이 안착될 수 있도록 고정하고자하는 케이블(C)의 개수만큼 케이블 홈(111, 112, 113)이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
케이블 고정부(200)는 한 쌍의 제3 조임판(210), 제4 조임판(220)과, 이 한 쌍의 조임판(210, 220)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방수부(230)로 구성되며, 이는 상기 케이블 지지부(100)에 형성된 제1, 제2 조임판(110, 120) 및 제1 방수부(130)와 서로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이 케이블 고정부(200)는 두 개 이상으로 분리되는 반원 형상으로 분할될 수 있으며, 분할된 부분들이 상기 케이블 지지부(100)를 둘러싸는 원통형의 관 형상으로 오므리거나 벌어질 수 있도록 일 측 단부가 힌지 결합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케이블 고정부(200)에는 상기 케이블 지지부(100)에 형성된 케이블 홈(111, 112, 113)에 대응하여 케이블이 수용될 수 있는 크기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케이블 고정부(200)의 내측면에 일정 깊이로 둥글게 패인 케이블 홀(211, 212, 213)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관로구 방수 장치의 케이블 지지부(100)와 케이블 고정부(200)는 볼트 및 너트의 고정 수단에 의해 제1, 제2 방수부(130, 23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의 조임판(110, 120, 210, 220)에 형성된 볼트와 체결되는 체결홀에 끼워져 서로 압착되어 고정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3개의 케이블을 삽입 고정할 수 있도록 3개의 케이블 구멍으로 구성하며, 또한 3개의 볼트 및 너트를 갖도록 구성하였으나, 이와 같은 케이블 또는 고정 수단인 볼트와 너트의 개수는 당업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도 3 내지 도 6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관로구 방수 장치의 제1, 제2 방수부(130, 230)는 이종으로 신축성 있는 고무 재질로 내벽 및 외벽의 이중벽 구조를 구성하여 관로구의 내측면 및 케이블의 외측면을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어 확실한 방수 효과를 얻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체적으로 제1, 제2 방수부(130, 230)의 내벽은 물과 접촉하면 팽창하는 특성을 지닌 수팽창 고무재인 제1 고무(410)로 형성되고, 상기 내벽의 수팽창 고무재를 둘러싸는 외벽은 탄성복원력을 가지는 고탄성 고무재인 제2 고무(420)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물'은 특별한 언급이 없으면 우수, 수도, 강물, 해수, 지하수, 하수, 상수 또는 이들을 포함하는 액체 상태인 것으로 상기 수팽창 고무재를 팽창시킬 수 있는 것을 모두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며, 순수한 물(H2O)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님을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당업자에게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도 5에서 나타낸 것과 같이, 상기 외벽을 이루는 제2 고무는 제2 상부고무(421)와 제2 하부고무(422)로 분리되고, 상기 제2 상부고무(421)와 제2 하부고무(422) 사이에는 수팽창 고무재인 제1 고무가 형성된 적층 형태로 배치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상부고무와 제2 하부고무의 각각의 상부 길이와 하부길이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제2 방수부(130, 230)의 외벽에 구성되는 제1 고무는 상기 제2 상부고무와 제2 하부고무의 높이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형성된 제1, 제2 방수부(130, 230)에 형성된 이종의 고무 소재로 내벽에 형성된 수팽창 고무재는 물 흡수에 의해 팽창되는 성질로 인해 관로구에 유입되는 물을 흡수하여 팽창됨으로써 케이블과 관로구 방수 장치의 틈새를 상기 제1, 제2 방수부(130, 230)를 매개로 밀폐되어,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차단한다.
상기 수팽창 고무재로는 물을 흡수하여 팽창하고 그에 따라 부피가 증가될 수 있는 소재인 것이면 어느 것이나 사용가능하다.
제1, 제2 방수부(130, 230)의 외벽 영역에 형성된 고탄성 고무재인 제2 고무는 상기 내벽에 형성된 상기 수팽창 고무재의 외측면을 둘러싸여 형성되며, 이는 수팽창 고무재의 팽창과 함께 팽창할 수 있고, 상기 제1, 제2 방수부(130, 230)가 일정한 모양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이를 다시 원 상태의 형태로 되돌릴 수 있는 탄력성이 있는 소재이며, 또한 제2 고무는 내구성 및 내후성이 우수한 고탄성 고무재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발생되는 방수판의 구조상 변형이 적은 특성이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나타낸 것과 같이, 제1, 제2 방수부(130, 230)의 외벽 영역의 고탄성 고무재로 제2 상부고무(421)와 제2 하부고무(422) 사이에 형성된 수팽창 고무재인 제1 고무가 형성된 구성은 만약 케이블이 통과되는 케이블 홈에 물이 유입되었을 경우, 케이블을 둘러싸는 외벽 영역에 중간 부위에 형성된 수탄성 고무재의 제1 고무가 유입된 물을 흡수하여 팽창함으로써 추가적인 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더욱더 케이블의 외측면을 견고하게 밀착 고정함에 따라 확실한 방수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이 고탄성 고무 및 수팽창 고무를 이중으로 포함하는 방수부가 형성된 본 발명의 관로구 방수 장치는 관로구를 통과하는 케이블 사이의 틈을 확실히 밀폐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방수 및 내구성, 내후성이 우수한 방수 장치를 구성함으로써, 지중구조물 내 내부설비를 최적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C : 케이블
B : 볼트
N : 너트
100 : 케이블 지지부
110 : 제1 조임판
111, 112, 113 : 케이블 홈
120 : 제2 조임판
130 : 제1 방수부
200 : 케이블 고정부
211, 212, 213 : 케이블 홀
210 : 제3 조임판
220 : 제4 조임판
230 : 제2 방수부
300 : 고정 수단
410 : 제1 고무
420 : 제2 고무
421 : 제2 상부고무
422 : 제2 하부고무

Claims (10)

  1. 제1 조임판(110)과 제2 조임판(120) 사이에 제1 방수부(130)가 위치한 관로구 방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방수부(130)는 내벽 및 외벽의 이중벽 구조이고, 상기 내벽은 제1 고무, 상기 외벽은 제2 고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무는 제2 상부고무와 제2 하부고무로 분리되고,
    상기 제2 상부고무와 제2 하부고무의 사이에는 제1 고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고무와 제2 하부고무는 상부 길이와 하부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무의 재질은 수팽창 고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무의 재질은 고탄성 고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
  6. 제3 조임판(210)과 제4 조임판(220) 사이에 제2 방수부(230)가 위치한 관로구 방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2 방수부(230)는 내벽 및 외벽의 이중벽 구조이고,
    상기 내벽은 제1 고무, 상기 외벽은 제2 고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무는 제2 상부고무와 제2 하부고무로 분리되고,
    상기 제2 상부고무와 제2 하부고무의 사이에는 제1 고무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부고무와 제2 하부고무는 상부 길이와 하부 길이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무의 재질은 수팽창 고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무의 재질은 고탄성 고무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로구 방수 장치.
KR1020170164152A 2017-12-01 2017-12-01 관로구 방수 장치 KR1024927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152A KR102492714B1 (ko) 2017-12-01 2017-12-01 관로구 방수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152A KR102492714B1 (ko) 2017-12-01 2017-12-01 관로구 방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870A true KR20190064870A (ko) 2019-06-11
KR102492714B1 KR102492714B1 (ko) 2023-01-31

Family

ID=668471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152A KR102492714B1 (ko) 2017-12-01 2017-12-01 관로구 방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2714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4315A (ja) * 1993-12-24 1995-07-21 Osaka Bosui Constr Co Ltd ケーブル管路口の防水工法
KR200319133Y1 (ko) * 1998-07-16 2003-08-19 주수영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KR20030084251A (ko) * 2002-04-26 2003-11-01 김창만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KR20090048933A (ko) 2007-11-12 2009-05-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동작 방법
KR100918257B1 (ko) * 2009-06-03 2009-09-21 (주) 주암전기통신 관로구 방수 장치
KR101777819B1 (ko) * 2017-02-20 2017-09-26 김연진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84315A (ja) * 1993-12-24 1995-07-21 Osaka Bosui Constr Co Ltd ケーブル管路口の防水工法
KR200319133Y1 (ko) * 1998-07-16 2003-08-19 주수영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KR20030084251A (ko) * 2002-04-26 2003-11-01 김창만 통신 및 전력케이블 배선용 관의 방수장치
KR20090048933A (ko) 2007-11-12 2009-05-15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플래시 메모리 소자의 동작 방법
KR100918257B1 (ko) * 2009-06-03 2009-09-21 (주) 주암전기통신 관로구 방수 장치
KR101777819B1 (ko) * 2017-02-20 2017-09-26 김연진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92714B1 (ko) 2023-01-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PI0715622A2 (pt) sistema para vedaÇço dinÂmica de pelo menos um conduto, atravÉs do qual se estende um tubo ou cabo
CN207116660U (zh) 天线出线口防水密封结构
KR20190064870A (ko) 관로구 방수 장치
KR101647820B1 (ko) 해중 터널 단위체의 밀봉 연결 구조
KR20220090683A (ko) 이음관 방수용 장치
KR20110009750A (ko)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CN212691126U (zh) 一种市政排水管用连接件
KR100592139B1 (ko) 파형지중관 방수장치
KR20110052980A (ko) 수로 이음부 누수방지장치
KR0167436B1 (ko) 매설관의 내부보수용 패킹링
KR100203205B1 (ko) 다목적댐의 종장형 2단수문의 광폭압축방수장치
KR20090132071A (ko) 방수부재 및 이를 이용한 방수구조물, 방수공법
KR102475769B1 (ko) 유니언 너트를 보호하는 클램프
KR20170139377A (ko) 콘크리트 케이스 관 연결장치
KR100714907B1 (ko) 케이블 관로방수장치
KR100684917B1 (ko) 맨홀의 관 접속장치
KR100666481B1 (ko) 케이블 관체의 방수장치
KR200272133Y1 (ko) 지수용 패킹링
KR101557645B1 (ko) 건축물용 전기 및 통신 케이블 방수관
KR100736709B1 (ko) 분기관 연결구
KR100694246B1 (ko) 맨홀의 지수단관과 지중매설관의 접속구조
KR102527091B1 (ko) 지중구조물 관로구용 배전배관 조립식 실링구
KR200337975Y1 (ko) 투-아치형 터널의 중앙 벽체 상부의 배수처리용 배수관설치 구조
KR101738342B1 (ko) 제수 밸브의 플랜지 접합 구조체
KR200319133Y1 (ko) 통신 또는 전력케이블수용관로의 단부폐쇄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