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7819B1 -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 - Google Patents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7819B1
KR101777819B1 KR1020170022049A KR20170022049A KR101777819B1 KR 101777819 B1 KR101777819 B1 KR 101777819B1 KR 1020170022049 A KR1020170022049 A KR 1020170022049A KR 20170022049 A KR20170022049 A KR 20170022049A KR 101777819 B1 KR101777819 B1 KR 101777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dapter
cable
pipe
hole
cond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2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진
홍성희
Original Assignee
김연진
홍성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연진, 홍성희 filed Critical 김연진
Priority to KR10201700220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78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7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78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4Sealing to form a firebreak dev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00Devices for use where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pass through walls or partitions
    • F16L5/02Sealing
    • F16L5/08Sealing by means of axial screws compressing a ring or sleev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3/00Installation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protective tubing therefor in or on buildings, equivalent structures or vehicles
    • H02G3/22Installations of cables or lines through walls, floors or ceilings, e.g. into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Installation Of Indoor Wi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벽의 홀과 같은 곳에서 요구하는 방수, 기밀, 방화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한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를 제공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제작된 몸체, 상기 몸체에 관통 형성되는 어뎁터삽입부, 상기 어뎁터삽입부에 삽입되며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중앙에는 상기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통과하기 위한 구멍이 형성된 어뎁터 및 상기 단위몸체의 전, 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 체결되며 상기 단위몸체의 전, 후면을 가압하여 상기 단위몸체 및 상기 어뎁터를 탄력적으로 압착시키는 전, 후면 가압판으로 구성하며, 상기 어뎁터는 상기 어뎁터사입홈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 구성하여 상기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가진 직경크기에 대응하는 구멍을 가진 어뎁터로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것을 기술적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Apparatus for sealing cable hole}
본 발명은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에 관련되는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양한 직경 크기를 가진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을 효과적으로 실링 처리하여 상기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벽의 홀과 같은 곳에서 요구하는 방수, 기밀, 방화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한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 산업계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 관통부의 방수, 기밀, 방화에 대해 단순히 하나의 조건을 만족시키거나 두 가지 이상 조건의 만족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대부분 실리콘, 패드, 폼과 같은 실링수단을 사용하는 데, 이들은 모두 방수, 기밀, 방화의 요구조건을 만족시키기에는 한계가 있다.
근래에는 선박이나 해양구조물에서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통해 화염이나 침입수가 전파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멀티 케이블 트랜시트가 사용되며, 멀티 케이블 트랜시트에는 다양한 외경을 가지는 케이블 또는 파이프에 대응할 수 있도록, 멀티 케이블 트랜시트의 적층형 인서트블록 시트는 점착성 고무 시트와 난연성 시트가 교대로 부착되어 적층되고, 케이블 또는 파이프의 외경에 맞추어 적층된 시트를 박리함으로써 케이블 또는 파이프와 인서트블록 사이에 기밀유지가 가능하며, 이러한 멀티 케이블 트랜시트의 적층형 인서트블록 시트는 일정량 이상의 외력이 작용할 때 발생하는 영구변형의 한계를 증가시키기위하여 고무 조성물에 황이나 유기과산화물 등의 가교제를 혼입하여 망상구조를 형성한 가교형 고무 조성물을 사용한다.
한편, 상기한 멀티 케이블 트랜시트와 관련한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06-0110320 호(명칭: 케이블 또는 파이프용 안내-통과 수단)(이하, 선행기술이라 칭함)를 예로 들 수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케이블 또는 파이프를 둘러싸는 적어도 하나의 밀봉 모듈이 내부에 배치되는 외부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밀봉 모듈은 길이방향으로 분할되고, 실제 케이블 또는 파이프에 그의 덕트 영역을 적용하기 위한 벗길 수 있는(박리가능한) 시트(peelable sheets)가 설치되며, 상기 밀봉 모듈 및 적절한 하나 이상의 다른 인접하는 모듈은, 밀봉이 달성되는 방식으로 압축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에 의하여, 적어도 하나의 확장 유닛과 함께 상기 프레임의 개구를 메우게 되는 안내-통과 수단에 있어서, 상기 밀봉 모듈은 두 개의 절반부로 분할하기 위한 분할 절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분할 절단부는 밀봉 모듈의 길이방향 또는 그의 덕트의 장축에 대하여 경사지게 이루어지고, 벗길 수 있는 시트의 두께에 따른 기울기를 가지며, 이에 따라 실제 케이블 또는 파이프에 상기 밀봉 모듈의 적용시, 모듈 중 하나의 절반부는 제 1 시기동안 180° 회전될 수 있어 밀봉 모듈을 통해 원뿔 덕트를 형성함과 동시에 모듈 절반부들 사이에서 경사 갭이 형성되고, 모듈 절반부들이 갭의 좁은 단부에 서로 도달할 때까지, 실제 케이블 또는 파이프에 밀봉 모듈이 적용된 후, 하나의 절반부는 제 2 시기 동안 180°역으로 회전될 수 있어, 확장 유닛의 작동 후 상기 밀봉모듈과 상기 프레임을 통해 진행하는 상기 케이블 또는 파이프에 대하여 완전 밀봉과 함께 정확한 수치를 갖는 균일한 갭이 이루어지는 것을 요지로 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사용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유발한다.
첫 번째로, 선행기술을 벽 관통부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사각형의 홀(Hole)을 가공하여야 하며, 사각으로 가공된 홀과 프레임 설치 부분에 대한 밀봉 방법 또한 별도로 강구되어야 한다.
두 번째로, 전용 확장유닛이 필요함에 따라 구성품이 복잡해지며, 전용 확장 유닛이 설치되는 공간은 활용을 못해 버려지게 되고, 무엇보다도 전체 시스템의 비용이 증가하며 무리한 확장시 전체 시스템이 프레임에서 이탈할 수도 있다.
세 번째로, 밀봉유닛은 여러 겹의 시트가 설치되어 있는 구조로, 여러 겹의 시트 제작을 위한 별도의 장비가 필요하며, 특히 시트를 밀봉유닛에 견고히 설치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시트는 케이블 또는 파이프와 결합시 쉽게 벗겨져 버려지게 되어 불필요한 자원소모를 유발하게 된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청 공개특허공보 공개번호 제 10-2006-0110320 호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몸체에 체결구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구에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의 다양한 직경에 대응하는 체결구멍을 가진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어뎁터를 분리 가능하게 결합 구성하여 다양한 직경 크기를 가진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을 효과적으로 실링 처리하여 상기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의 관통부에 요구하는 방수, 기밀, 방화 조건을 충족시키도록 한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에 설치되는 홀 실링장치에 있어서, 볼트가 통과되는 볼트공과, 걸림홈이 형성되는 2분할된 어뎁터삽입부와, 상기 2분할된 어뎁터삽입부가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몸체; 중앙에는 상기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통과되는 통공과, 외면에는 상기 2분할된 어뎁터삽입부의 걸림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어뎁터; 상기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통과되는 관통공과, 볼트가 통과되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와, 어뎁터의 전, 후면을 가압하되,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의 전, 후면보다 크고 다른 하나는 상기 몸체의 전, 후면보다 작은 전, 후면 가압판; 상기 몸체가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는 단위몸체;와 상기 전, 후면 가압판이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는 단위전, 후면 가압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통공을 갖는 어뎁터는 분할되고 상기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가진 직경크기에 대응하는 통공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 몸체는 분리판을 사이에 두고 동일한 구조로 하여 복수개를 배치한 상태에서 전, 후면 가압판으로 가압 고정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각 단위몸체에 형성된 어뎁터삽입부에 어뎁터(20)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므로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1)을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고, 어뎁터와 어뎁터삽입부에는 각 돌기와 걸림홈을 형성하여 어뎁터가 헛돌거나 슬립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어뎁터 통공 크기를 다양하게 제작하여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의 크기에 맞는 어뎁터(20)로 쉽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후면 가압판은 탄성재질의 몸체와 어뎁터의 후면을 가압하면서 누르게 되고, 몸체의 크기보다 큰 전면 가압판은 벽체에 고정된 상태로 몸체와 어뎁터를 받치게 되므로, 가압된 탄성재질의 몸체와 어뎁터가 벽체의 홀 방향은 물론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 방향으로도 팽창하게 되어, 몸체는 벽의 홀에 꽉 끼워지고 어뎁터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을 꽉 물게 되므로, 본 발명의 홀 실링장치는 벽체의 홀이나 슬리브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데 따른 기밀성, 방수성 및 방화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전, 후면 가압판을 조이는 과정에서, 몸체보다 작은 후면 가압판(40) 쪽으로는 몸체가 벽체의 홀에 완전히 압착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되는 홀 실링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1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직경이 작은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에 맞추어 실링장치의 어뎁터가 교체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8은 도 7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후술 될 상세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이루기 위해 본 발명에 있어 대표적인 실시 예를 제시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으로 제시될 수 있는 다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에서 설명으로 대체한다.
본 발명에서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의 직경 크기에 맞추어 홈 내경에 겹겹히 적층되어 있는 시트를 떼어내는 방식으로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을 홀에 밀봉시키는 방식이 아니라, 상기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끼워지는 몸체의 구멍에 내경의 직경이 서로 다르게 제작된 어뎁터를 선택적으로 끼워넣은 다음, 상기 어뎁터의 내경으로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을 끼워넣는 방식으로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을 홀에 밀봉시키도록 한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 관통부 실링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실시 예 1}
도 1은 본 발명의 제 1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 관통부 실링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는 몸체(10), 어뎁터(20), 전, 후면 가압판(30, 40)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상기 몸체(10)는 적어도 하나 이상,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는 서로 동일한 구조를 가진 3개의 단위몸체(12)로 분할 구성된 상태에서 각 단위몸체(12)를 서로 맞대었을 때,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1)이 관통하는 벽의 홀(H) 형상에 대응하도록 정면상으로 원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제작한다.
상기 각 단위몸체(12)의 내면에는 2분할된 어뎁터삽입부(14)가 각각 함몰 형성되고, 상기 2분할된 어뎁터삽입부(14)에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1)의 외경을 감싸는 어뎁터(20)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단위몸체(12)의 2분할된 어뎁터삽입부(14)는 이웃하는 다른 단위몸체(12)와 서로 맞대여 졌을 때, 각 단위몸체(12)의 2분할된 어뎁터삽입부(14)는 어뎁터(20)가 삽입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단위몸체(12)로 이루어진 몸체(10)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제작하여 전, 후면 가압판(30, 40)의 가압력이 작용하면 탄력적으로 수축하며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1)의 외경을 탄력적으로 압착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어뎁터(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단위몸체(12)의 2분할된 어뎁터삽입부(14)에 삽입되어, 벽의 홀(H)을 관통하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1)의 외경을 감싸 방수, 기밀, 방화시킬 목적으로 제공되는 수단이다. 상기 어뎁터(20)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돌기(24)를 돌출 형성하고, 상기 어뎁터삽입부(14)의 내면에는 상기 돌기(24)가 걸려지기 위한 걸림홈(16)을 형성하여, 상기 어뎁터삽입부(14)에 삽입된 어뎁터(20)가 헛돌거나 슬립되지 않도록 걸림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상기 어뎁터(20)의 내면에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1)이 통과하기 위한 통공(22)이 형성되는 데, 상기 어뎁터(20)의 통공(22) 크기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1)이 가진 다양한 직경 크기에 대응하도록 다양하게 제작하여,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1)의 직경크기에 맞는 통공(22)을 가진 어뎁터(20)로 교체시켜가며 사용토록 한다.
상기한 어뎁터(20)는 다양한 재질로 제작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탄력성을 가진 재질로 제작하여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1)의 외경을 감싼 상태에서 전, 후면 가압판(30, 40)의 가압력이 작용하면 상기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1)의 외경에 탄력적으로 압착되며 기밀, 방수 및 방화 성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전, 후면 가압판(30, 40)은 원형을 이루는 3개 단위몸체(12)의 몸체(10)와 어뎁터(20)의 전면 및 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상기 전, 후면 가압판(30, 40)을 조임수단으로 조여 몸체(10)와 어뎁터(20)를 가압시키는 것으로, 상기 전, 후면 가압판(30, 40)은 어느 하나가 상기 몸체(10)의 전, 후면보다 크고, 다른 하나는 상기 몸체(10)의 전, 후면보다 작은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전면 가압(30)은 몸체(10)의 전, 후면보다 크고, 후면 가압판(40)은 몸체(10)의 전, 후면보다 작은 것으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전, 후면 가압판(30, 40) 및 단위몸체(12)에는 서로 연결하여 통하는 볼트공(18, 32, 42)이 관통 형성되어 볼트(50)가 관통한 상태에서 너트(52) 체결되며, 단위몸체(12)로 이루어진 몸체(10)의 전면에는 상기 몸체(10)보다 큰 전면 가압판(30)이 몸체(10)의 전면을 덮은 상태로 벽체에 고정되고, 몸체(10)의 후면에는 상기 몸체(10)보다 작은 후면 가압판(40)이 밀착 설치된다. 상기 볼트공(18, 32, 42)에 관통된 볼트(50)와 너트(52)를 체결하여 단위몸체(12)의 전, 후면을 가압하게 되면, 몸체(10)의 크기보다 작은 후면 가압판(40)은 탄성력을 가진재질로 이루어진 몸체(10)와 어뎁터(20)의 후면을 가압하게 되고, 몸체(10)의 크기보다 큰 전면 가압판(30)은 벽체에 고정된 상태에서 후면 가압판(40)의 가압에 의하여 전면방향으로 밀리는 몸체(10)를 받쳐주게 된다. 따라서 전, 후면 가압판(30,40)에 의해 가압된 탄성재질의 몸체(10)와 어뎁터(20)는 벽체의 홀(H) 방향은 물론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 방향으로도 팽창하게 되고, 그 팽창하는 몸체는 벽의홀(H)에 꽉 끼워지고 어뎁터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을 꽉 물게 되므로, 본 발명의 홀 실링장치는 벽체의 홀이나 슬리브에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데 따른 기밀성, 방수성 및 방화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발생하게 된다. 또한 전, 후면 가압판(30, 40)을 조이는 과정에서, 몸체(10)보다 작은 후면 가압판(40) 쪽으로는 몸체(10)가 벽체의 홀(H)에 완전히 압착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작업의 정확성을 기할 수 있다.
{실시 예 2}
도 5는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와 도 6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같이 탄성력을 가진 3개의 단위몸체(112)로 분할 구성된 상태에서 각 단위몸체(112)를 서로 맞대었을 때,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1)이 관통하는 벽의 홀(H) 형상에 대응하도록 정면상으로 원형의 형상을 이루도록 제작된 몸체(110), 상기 각 단위몸체(112)의 내면에 함몰 형성되며 단위몸체(112)가 서로 맞대여 졌을 때 어뎁터(120)가 삽입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어뎁터삽입부(114), 상기 어뎁터삽입부(114)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며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몸체(110)를 관통하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1)의 외경을 감싸는 어뎁터(120) 및 서로 맞대여진 상기 단위몸체(112)의 전, 후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볼트(150) 및 너트(152) 체결되며 상기 단위몸체(112)의 전, 후면을 가압하여 상기 단위몸체(112) 및 상기 단위몸체(112)의 어뎁터삽입부(114)에 삽입되어 있는 어뎁터(120)를 탄력적으로 압착시켜 기밀, 방수 및 방화 성능을 높이도록 하는 전, 후면 가압판(130, 140)으로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어뎁터(120)의 내면에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1)이 통과하기 위한 구멍(122)이 형성되는 데, 상기 어뎁터(120)의 구멍(122) 크기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1)이 가진 다양한 직경 크기에 대응하도록 다양하게 제작하여,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1)의 직경 크기에 맞는 구멍을 가진 어뎁터(120)로 교체시켜가며 사용토록 한다.
특히, 제 2실시 예의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는 상기 어뎁터(120)의 구멍(122) 내면을 따라 요철 형태의 엠보싱부(126)를 형성하고, 상기 엠보싱부(126)는 전, 후면 가압판(130, 140)이 단위몸체(112)를 가압하여 엠보싱부(126)가 탄력적으로 수축되는 과정에서 상기 엠보싱부(126)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1)의 외면에 압착되는 과정에서 요철 형상이 일그러지며 엠보싱부 (126) 사이의 틈이 없어지게 되는 데, 이때의 엠보싱부(126) 사이에 틈이 없어질 때의 상황이 완전한 가압상태가 되는 것임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작업의 정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실시 예 3}
도 7은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정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과 도 8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와 달리 몸체(210)를 단위몸체로 분할하지 않고, 하나의 원형 형상으로 제작하고, 상기 몸체(210)의 중앙에 하나의 어뎁터삽입부(214)를 천공하고, 상기 어뎁터삽입부(214)에 상기 몸체(210)를 관통하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1)의 외경을 감싸게 되는 어뎁터(220)를 분리 가능하게 삽입하며, 상기 몸체(210)의 전, 후면에 전, 후면 가압판(230, 240)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250) 및 너트(252) 체결하여 상기 몸체(210)의 전, 후면을 가압하여 상기 어뎁터(220)가 상기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1)의 외경에 압착되도록 구성한다.
제 3실시 예에서의 몸체(210) 및 어뎁터(220) 역시 전, 후면 가압판(230, 240)의 가압에 의해 탄력적으로 수축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가진 재질로 제작함이 바람직하다.
{실시 예 4}
도 9는 본 발명의 제 4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는 전술한 제 1실시 예의 어뎁터가 삽입된 몸체를 동일한 구조로 하여 복수개, 본 발명에서는 3개의 제 1 내지 제 3몸체(310, 320, 330)를 배치하고, 각 제 1 내지 제 3몸체(310, 320, 330)의 사이 사이에는 분리판(340)을 삽입한 상태에서 이들 3개의 제 1내지 제 3몸체(310, 320, 330)들중 양측에 배치되는 제1몸체(310)와 제 3몸체(330)의 외면에 전, 후면 가압판(340, 350)을 밀착시킨 상태에서 볼트 및 너트(360, 370) 체결을 통해 3개의 제 1 내지 제 3몸체(310, 320, 330)를 전, 후면 가압판(340, 350)으로 가압 고정토록 한다.
상기와 같이 몸체를 3개 이상 배치한 것은 다양한 성능 확보를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몸체를 배치할 경우 제 1몸체(310)는 방수기능을 가진 재질, 그리고 제 2몸체(320)는 방화기능을 가진 재질, 그리고 마지막 제 3몸체(330)는 방수기능을 가진 재질로 성형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제 1몸체(310)는 방화기능을 가진 재질, 제 2몸체(320)는 방수기능을 가진 재질, 그리고 제 3몸체(330)는 방화기능을 가진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제 1몸체(310)는 방수기능을 가진 재질, 제 2몸체(320)는 EMI 감쇄기능을 가진 재질, 그리고 제 3몸체(330)는 방화기능을 가진 재질로 제작할 수 있다.
{실시 예 5}
도 10은 본 발명의 제 5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는 전술한 제 4실시 예와 같이 3개의 제 1 내지 제 3몸체(410, 420, 430)로 구성하고, 그 재질 역시 다양한 성능 확보를 구현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방수, 방화 및 EMI 감쇄기능을 가진 재질로 제작하되, 상기 제 1 내지 제 3몸체(410, 420, 430)에 삽입된 어뎁터의 구멍 내주면을 따라 요철 형태의 엠보싱부를 형성한 것에 차이를 가진다.
{실시 예 6}
도 11은 본 발명의 제 6실시 예에 따른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의 구성을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는 전술한 제 4실시 예와 같이 3개의 제 1 내지 제 3몸체(510, 520, 530)로 구성하고, 그 재질 역시 다양한 성능 확보를 구현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방수, 방화 및 EMI 감쇄기능을 가진 재질로 제작하되, 상기 제 1 내지 제 3몸체(510, 520, 530)에 삽입된 어뎁터의 개수를 단일 개수로 한정한 것에 특징을 가진다.
10: 몸체 12: 단위몸체
14: 어뎁터삽입부 20: 어뎁터
22: 통공 30: 전면가압판
40: 후면가압판 50: 볼트

Claims (6)

  1.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에 설치되는 홀 실링장치에 있어서,
    볼트가 통과되는 볼트공과,
    걸림홈이 형성되는 2분할된 어뎁터삽입부와,
    상기 2분할된 어뎁터삽입부가 하나 이상 함몰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몸체;
    중앙에는 상기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통과되는 통공과,
    외면에는 상기 2분할된 어뎁터삽입부의 걸림홈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는 탄성재질의 어뎁터;
    상기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통과되는 관통공과,
    볼트가 통과되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상기 몸체와 어뎁터의 전, 후면을 가압하되, 어느 하나는 상기 몸체의 전, 후면보다 크고 다른 하나는 상기 몸체의 전, 후면보다 작은 전, 후면 가압판;
    상기 몸체가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는 단위몸체;와
    상기 전, 후면 가압판이 두 개 이상으로 분할되는 단위전, 후면 가압판;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공을 갖는 어뎁터는 분할되고 상기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가진 직경크기에 대응하는 통공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
  3. 삭제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어뎁터의 내면에는 요철형태의 엠보싱부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분리판을 사이에 두고 동일한 구조로 하여 복수개를 배치한 상태에서 전, 후면 가압판으로 가압 고정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
KR1020170022049A 2017-02-20 2017-02-20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 KR1017778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049A KR101777819B1 (ko) 2017-02-20 2017-02-20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22049A KR101777819B1 (ko) 2017-02-20 2017-02-20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77819B1 true KR101777819B1 (ko) 2017-09-26

Family

ID=600369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2049A KR101777819B1 (ko) 2017-02-20 2017-02-20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781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870A (ko) * 2017-12-01 2019-06-11 한국전력공사 관로구 방수 장치
KR20200074773A (ko) * 2018-12-17 2020-06-25 조용만 밀핀을 이용한 사출금형의 공기 및 탄화가스 배출장치
KR102242815B1 (ko) * 2021-02-08 2021-04-21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케이블 패킹장치
KR102394896B1 (ko) * 2021-09-17 2022-05-09 주식회사 일등인터내셔널 관로구 실링 시스템 및 그의 설치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9700A (ja) * 2005-12-21 2009-05-14 ロックステック アクティエボラーグ 挿入ケーブル、コンジット、あるいは、パイプの封止装置
KR101162963B1 (ko) * 2012-03-22 2012-07-06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분리 배선 가능한 전기 배선관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519700A (ja) * 2005-12-21 2009-05-14 ロックステック アクティエボラーグ 挿入ケーブル、コンジット、あるいは、パイプの封止装置
KR101162963B1 (ko) * 2012-03-22 2012-07-06 (주) 희림종합건축사사무소 건축물의 분리 배선 가능한 전기 배선관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4870A (ko) * 2017-12-01 2019-06-11 한국전력공사 관로구 방수 장치
KR102492714B1 (ko) * 2017-12-01 2023-01-31 한국전력공사 관로구 방수 장치
KR20200074773A (ko) * 2018-12-17 2020-06-25 조용만 밀핀을 이용한 사출금형의 공기 및 탄화가스 배출장치
KR102237599B1 (ko) * 2018-12-17 2021-04-07 조용만 밀핀을 이용한 사출금형의 공기 및 탄화가스 배출장치
KR102242815B1 (ko) * 2021-02-08 2021-04-21 주식회사 스마트파워 수배전반, 분전반, 접속반, 제어반의 케이블 패킹장치
KR102394896B1 (ko) * 2021-09-17 2022-05-09 주식회사 일등인터내셔널 관로구 실링 시스템 및 그의 설치방법
WO2023042967A1 (ko) * 2021-09-17 2023-03-23 주식회사 일등인터내셔널 관로구 실링 시스템 및 그의 설치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77819B1 (ko) 케이블, 파이프 또는 도관이 관통하는 홀 실링장치
US6149164A (en) Sealing arrangement relating to cable and pipe transits
KR101714801B1 (ko) 파이프 또는 케이블 리드 관통체의 편심 부재
AU2010260550B2 (en) EMC protected compression unit and a sealing system comprising such compression unit
WO2009013798A1 (ja) 密封構造、電子機器、密封方法、ガスケ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GB2043816A (en) Connector fitting
RU180659U1 (ru) Устройство кабельной проходки
JP3192145U (ja) 多重気密防水防引張のケーブル固定コネクタ
EP3271981B1 (en) Seal
EP2348240A1 (en) Sealing system
EP3007290B1 (en) Insert block half
KR101557023B1 (ko) 콤파운드와 패킹을 이용한 기밀 고정구조를 갖는 케이블 실링장치
CN211018121U (zh) 一种电气工程用缆线保护装置
KR100855895B1 (ko) 케이블 통로, 파이프 관통구용 슬리브
US20020149157A1 (en) Sealing gasket for cables
CN109155513B (zh) 镶件半部和包括两个所述镶件半部的镶块
CA2475871C (en) Cable sealing for a plug connector
CN218992606U (zh) 一种圆形膨胀可变径式电缆、管道贯穿密封装置
CN202797816U (zh) 用于缆材、线材或管材的密封装置或转接装置的元件
RU159446U1 (ru) Прижим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абельного перехода
CN211720156U (zh) 一种用于电缆竖井的阻隔防火结构
CN203082373U (zh) 建筑物线缆孔洞缝隙防渗漏封隔装置
RU180944U1 (ru) Средство ввода для прокладки труб и кабелей
CN217789244U (zh) 一种电缆穿隔防水组件
CN216530318U (zh) 一种防漏式电缆密封模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