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806A -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 - Google Patents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806A
KR20190064806A KR1020170164017A KR20170164017A KR20190064806A KR 20190064806 A KR20190064806 A KR 20190064806A KR 1020170164017 A KR1020170164017 A KR 1020170164017A KR 20170164017 A KR20170164017 A KR 20170164017A KR 20190064806 A KR20190064806 A KR 2019006480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p
pad plate
knuckle
elastic force
fix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9543B1 (ko
Inventor
송기배
오윤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701640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95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648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8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9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9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2Braking members; Mounting thereof
    • F16D65/04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2Bands, shoes or pads; 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for axially-engaging brakes, e.g. disc brakes
    • F16D65/095Pivots or supporting members therefor
    • F16D65/097Resilient means interposed between pads and supporting members or other brak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동 시 디스크 가압을 위해 차체에 고정된 너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는 패드 플레이트에 구비된 클립에 있어서, 상기 패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너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는 제동 시 상기 패드 플레이트가 관성에 의해 상기 너클에 충돌 시 충격량을 상쇄하도록 탄성력을 인가하는 클립이 구비되는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Clip for pad plate}
본 발명은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장착되는 디스크 브레이크는 주행 중의 자동차를 감속하거나 정지, 또는 정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장치로써, 휠과 함께 회전하는 원판형의 디스크를 양측에서 마찰패드로 강하게 압박하여 제동력을 얻는 장치이다.
디스크 브레이크에는 제동 시 디스크를 양측에서 압박하기 위해서 마찰패드가 부착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와 작동유압이 공급되면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를 밀어주는 캘리퍼 하우징이 구비된다.
또한, 디스크 브레이크에는 이러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가 서로 일정간격 이격된 상태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하는 캐리어가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인데, 최근 차량 부품의 경량화 추세에 맞게 캐리어를 삭제하고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와 캘리퍼 하우징을 차체에 고정된 너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직접 고정하는 방식도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와 캘리퍼 하우징이 너클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직접 고정되는 방식은 차량 전진 또는 후진 과정에서 급속한 제동이 이루어지는 상황에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차량 전진 또는 후진 시 너클,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 및 캘리퍼 하우징은 차량의 운동 방향과 동일한 방향의 관성을 갖고 이동하게 되는데, 차량의 급제동 시 이러한 부품 간에 상대적인 운동이 발생하게 되고, 결국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 자체 무게에 따른 관성에 의해 패드 플레이트가 너클의 슬라이딩부에 충돌하면서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이에 대한 문제 해결이 시급한 실정이다.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급제동 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가 차체에 고정된 너클과 상대 운동하는 과정에서 너클의 슬라이딩부에 충돌 시 충격량을 상쇄할 수 있는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패드 플레이트에 클립을 조립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패드 플레이트와 클립이 조립된 상태에서 너클에 조립하는 경우에 클립이 가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은, 제동 시 디스크 가압을 위해 차체에 고정된 너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는 패드 플레이트에 구비된 클립에 있어서, 상기 패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너클에 슬라이딩 운동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는 제동 시 상기 패드 플레이트가 관성에 의해 상기 너클에 충돌 시 충격량을 상쇄하는 클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클립에는 상기 패드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너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지지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립에는 상기 클립의 고정을 위해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는 고정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패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몸체부가 지지되는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대향되는 타측면과, 상기 일측면과 상기 타측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타측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고정부에는 상기 연결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부에는 상기 타측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지지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클립 조립 시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 고정부에는 상기 연결면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보조 지지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탄성지지부에는 캘리퍼 조립 시 상기 너클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너클을 안내하는 보조 가이드부재가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클립에는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모따기면에 지지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지지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에는 캘리퍼 조립 시 상기 너클을 안내하는 가이드면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에 의하면 차량 급제동 시 한 쌍의 패드 플레이트가 차체에 고정된 너클과 상대 운동하는 과정에서 클립이 너클의 슬라이딩부에 탄성력을 인가하여 패드 플레이트가 너클의 슬라이딩부에 충돌 시 충격량을 상쇄하여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에 의하면 패드 플레이트에 클립을 조립하는 경우 뿐만 아니라 패드 플레이트와 클립이 조립된 상태에서 캘리퍼를 너클에 조립하는 경우에 클립이 가이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도록 가이드면과 가이드부재를 형성하며, 이를 통해 패드 플레이트의 조립성이 향상될 뿐만 아니라 조립 과정에서 클립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너클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패드 플레이트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패드 플레이트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 플레이트의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패드 플레이트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8은 I-I 부분의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너클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패드 플레이트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패드 플레이트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차량 제동 시 디스크 가압을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플레이트(10)가 구비되며, 이러한 패드 플레이트(10)에는 디스크 가압 시 마찰력을 제공하는 마찰패드(11)가 부착된다.
패드 플레이트(1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차체에 고정된 너클(3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직접 고정되며, 이를 위해 패드 플레이트(10)에는 걸림부(12)가 형성되고, 너클(30)에는 패드 플레이트(1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너클 핑거(31)가 형성된다. 이러한 걸림부(12)는 패드 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걸림부(12)에는 급제동 시 패드 플레이트(10)가 관성에 의해 너클(30)에 충돌 시 충격량을 상쇄하는 클립(20)이 구비된다.
또한, 이러한 클립(20)은 패드 플레이트(10)가 장착된 캘리퍼가 관성에 의해 너클(30)에 충돌 시 충격량을 상쇄한다.
이러한 클립(20)은 전진 또는 후진 이동 과정에서 급제동 시 패드 플레이트(10)의 이동 방향이 달라질 수 있으므로 패드 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 양단에 형성된 걸림부(12)에 모두 클립(20)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 따른 클립(2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플레이트(10)의 일측면(13)에 지지되는 몸체부(100)와 너클(30)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몸체부(100)에서 연장되는 탄성지지부(200)가 형성된다.
몸체부(100)는 판재를 패드 플레이트(10)의 걸림부(12) 형상에 맞게 절단하여 제조한다. 이때, 몸체부(100)는 패드 플레이트(10)의 슬라이딩 과정에서 너클(30)에 간섭되지 않는 형상이면 걸림부(12)의 형상과 상이하게 절단하여 제조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몸체부(100) 제조를 위해 판재를 절단할 때 탄성지지부(200)와 후술할 고정부(300)가 연장 형성될 수 있도록 절단하게 되며, 이러한 절단 공정 이후 판재를 절곡하여 탄성지지부(200)와 고정부(300)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절곡된 탄성지지부(200)와 고정부(300)는 재질의 특성으로 인해 판 스프링으로 기능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고정부(300)는 클립(20)이 패드 플레이트(10)의 걸림부(12)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며, 고정부(300)가 패드 플레이트(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이탈을 방지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 플레이트(10)에는 몸체부(100)가 지지되는 일측면(13)과, 이러한 일측면(13)에 대향되며 마찰패드(11)가 부착되는 타측면(14)과, 전술한 일측면(13)과 타측면(14)을 연결하는 연결면(15)이 형성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부(300)는 패드 플레이트(10)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클립(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되는데, 고정부(300)가 탄성력을 인가하는 위치에 따라 제1 고정부(310)와 제2 고정부(320)로 구분된다.
제1 고정부(310)는 몸체부(100)에서 연장되어 패드 플레이트(10)의 연결면(15)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클립(20)을 고정하며, 이를 위해 제1 지지부재(311)가 구비된다.
또한, 제2 고정부(320)는 몸체부(100)에서 연장되어 패드 플레이트(10)의 연결면(15)을 거쳐 타측면(14)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클립(20)을 고정하며, 이를 위해 제2 지지부재(321)가 구비된다.
즉, 제2 고정부(320)는 패드 플레이트(10)의 일측면(13)에서 조립이 시작되어 연결면(15)을 거쳐 타측면(14)까지 감싸면서 탄성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클립(20)을 고정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구성하면 클립(20)이 패드 플레이트(10)의 타측면(14)에서 일측면(13)을 향하는 방향(폭 방향)이나 일 걸림부(12)에서 타 걸림부(12)를 향하는 방향(길이 방향)으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제2 고정부(320)가 탄성력을 인가하지 못하는 방향(높이 방향)에 대해서는 제1 고정부(310)가 탄성력을 인가하여 클립(20)의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립(20) 고정을 위해 패드 플레이트(10) 탄성력을 인가하는 위치에 따라 제1 고정부(310)와 제2 고정부(320)로 구분하게 되는데, 이와 같이 탄성력의 인가 위치를 상이하게 구성한 것은 클립(20) 조립 시 제1 고정부(310)와 제2 고정부(320)의 조립이 동시에 이루어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클립(20)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3을 참조하여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클립(20)은 패드 플레이트(10)의 일측면(13)에서 조립이 시작된다. 이때, 제2 고정부(320)가 우선적으로 패드 플레이트(10)의 일측면(13)에 맞닿게 되며, 제2 고정부(320)가 인가하는 탄성력보다 큰 힘이 가해질 경우 제2 고정부(320)가 탄성 변형하면서 패드 플레이트(10)에 조립이 된다. 이후 클립(20)의 조립이 계속 진행되면서 제1 고정부(310)가 패드 플레이트(10)의 일측면(13)에 맞닿게 되며, 제1 고정부(310)가 인가하는 탄성력보다 큰 힘이 가해질 경우 제1 고정부(310)가 탄성 변형하면서 패드 플레이트(10)에 조립되는 것이다.
즉, 제1 고정부(310)와 제2 고정부(320)가 패드 플레이트(10)에 동시에 맞닿게 구성된 경우에는 제1 고정부(310)와 제2 고정부(320)가 각각 인가하는 탄성력의 합보다 큰 힘을 인가해야 조립이 가능하지만, 제1 고정부(310)와 제2 고정부(320)가 패드 플레이트(10)에 맞닿는 순서를 다르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적은 힘을 인가해서도 효과적으로 클립(20)을 조립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300)에는 클립(20) 조립 시 패드 플레이트(10)를 안내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되며, 이러한 가이드면은 제1 고정부(310)에 형성되는 제1 가이드면(312)과 제2 고정부(320)에 형성되는 제2 가이드면(322)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가이드면(312)과 제2 가이드면(322)은 작은 힘으로도 패드 플레이트(10)와의 조립 위치에 클립(20)에 위치하도록 안내하며, 인가되는 힘이 증가함에 따라 패드 플레이트(10)가 제1 가이드면(312)과 제2 가이드면(322)을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제1 고정부(310)와 제2 고정부(320)가 탄성 변형하면서 조립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고정부(320)는 몸체부(100)에서 연장되어 패드 플레이트(10)의 연결면(15)을 거쳐 타측면(14)을 감싸면서 탄성력을 인가하는 방식으로 클립(20)을 고정하게 된다. 즉, 제2 고정부(320)에 구비된 제2 지지부재(321)는 클립(20)이 패드 플레이트(10)의 폭 방향을 따라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클립(20)을 고정하게 된다.
아울러 제2 고정부(320)는 패드 플레이트(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유격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위해 제2 고정부(320)에는 패드 플레이트(10)의 연결면(15)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보조 지지부재(323)가 더 구비된다.
패드 플레이트(10)에 클립(20)이 조립된 이후에는 클립(20)이 조립된 패드 플레이트(10)를 너클(30)에 조립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클립(20)에 형성된 탄성지지부(200)가 너클(30)에 탄성력을 인가하기 위해 상호 맞닿게 된다. 이러한 탄성지지부(200)에는 가이드부재(210)가 형성되어 작은 힘으로도 패드 플레이트(10)가 너클(30) 조립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하며, 인가되는 힘이 증가함에 따라 너클(30)이 가이드부재(210)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탄성지지부(200)가 탄성 변형하면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가이드부재(210)는 탄성지지부(200)의 탄성력 인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이러한 탄성지지부(200)는 패드 플레이트(10)가 장착된 캘리퍼가 너클(30)에 조립되는 경우에도 전술한 기능을 수행한다.
패드 플레이트(10)를 너클(30)에 조립하는 경우 또는 패드 플레이트(10)가 장착된 캘리퍼를 너클(30)에 조립하는 경우 조립이 용이하도록 가이드부재(210)에도 너클(30)을 안내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조 가이드부재(220)를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보조 가이드부재(2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성지지부(200)의 탄성력 인가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절곡되도록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드 플레이트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이 패드 플레이트에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8은 I-I 부분의 단면도이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클립(20’)은 패드 플레이트(10)의 모따기면(16)에 지지되는 몸체부(100’)와, 이러한 몸체부(100’)에서 연장되며 걸림부(12)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지지부(200’)가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탄성지지부(200’)가 형성될 경우 클립(20’)이 이탈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 급제동으로 인해 패드 플레이트(10)가 너클(30)의 슬라이딩부에 충돌하는 경우 패드 플레이트(10)와 너클(30) 사이에서 댐핑 역할을 수행하여 충격량을 상쇄함으로써 소음이 발생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몸체부(100’)에는 캘리퍼 조립 시 상기 너클(30)을 안내하는 가이드면(110’)이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면(110’)이 형성될 경우 캘리퍼를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0 : 패드 플레이트 11 : 마찰패드
12 : 걸림부 20, 20’ : 클립
30 : 너클 31 : 너클 핑거
100, 100’ : 몸체부 200, 200’ : 탄성지지부
210 : 가이드부재 220 : 보조 가이드부재
300 : 고정부 310 : 제1 고정부
311 : 제1 지지부재 312 : 제1 가이드면
320 : 제2 고정부 321 : 제2 지지부재
322 : 제2 가이드면 323 : 보조 지지부재

Claims (11)

  1. 제동 시 디스크 가압을 위해 차체에 고정된 너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고정되는 패드 플레이트에 구비된 클립에 있어서,
    상기 패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너클에 슬라이딩 운동하는 걸림부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에는 제동 시 상기 패드 플레이트가 관성에 의해 상기 너클에 충돌 시 충격량을 상쇄하는 클립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에는 상기 패드 플레이트에 지지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너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에는 상기 클립의 고정을 위해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는 고정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플레이트에는 상기 몸체부가 지지되는 일측면과, 상기 일측면에 대향되는 타측면과, 상기 일측면과 상기 타측면을 연결하는 연결면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부는 상기 연결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고정부와, 상기 타측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에는 상기 연결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1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상기 제2 고정부에는 상기 타측면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제2 지지부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에는 상기 클립 조립 시 상기 패드 플레이트를 안내하는 가이드면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부에는 상기 연결면에 탄성력을 인가하도록 보조 지지부재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
  8. 제2에 있어서,
    상기 탄성지지부에는 캘리퍼 조립 시 상기 너클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가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
  9. 8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에는 상기 너클을 안내하는 보조 가이드부재가 적어도 하나 이상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에는 상기 패드 플레이트의 모따기면에 지지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걸림부에 탄성력을 인가하는 탄성지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부에는 캘리퍼 조립 시 상기 너클을 안내하는 가이드면이 연장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
KR1020170164017A 2017-12-01 2017-12-01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 KR102519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017A KR102519543B1 (ko) 2017-12-01 2017-12-01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017A KR102519543B1 (ko) 2017-12-01 2017-12-01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806A true KR20190064806A (ko) 2019-06-11
KR102519543B1 KR102519543B1 (ko) 2023-04-07

Family

ID=66847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017A KR102519543B1 (ko) 2017-12-01 2017-12-01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954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47Y2 (ja) * 1987-01-20 1994-03-02 トキコ株式会社 デイスクブレ−キ
KR100437207B1 (ko) * 2000-07-18 2004-06-23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마모감지장치
KR20130036392A (ko) * 2011-10-04 2013-04-12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브레이크
KR20130084031A (ko) * 2012-01-16 2013-07-24 주식회사 만도 패드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
JP2016050601A (ja) * 2014-08-29 2016-04-11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8347Y2 (ja) * 1987-01-20 1994-03-02 トキコ株式会社 デイスクブレ−キ
KR100437207B1 (ko) * 2000-07-18 2004-06-23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 브레이크의 패드마모감지장치
KR20130036392A (ko) * 2011-10-04 2013-04-12 주식회사 만도 디스크브레이크
KR20130084031A (ko) * 2012-01-16 2013-07-24 주식회사 만도 패드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
JP2016050601A (ja) * 2014-08-29 2016-04-11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19543B1 (ko) 2023-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84676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US20140374202A1 (en) Disc Brake Pad Guideway and Disc Brake equipped with such a Guideway
JP6564947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170010547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1908011B1 (ko) 차량용 디스크브레이크
US5381875A (en) Disc brake assembly
KR20180060337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70139762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90064806A (ko) 패드 플레이트용 클립
KR102249396B1 (ko) 브레이크 장치용 브레이크 패드
KR20170030813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20160141434A (ko) 디스크 브레이크
JP2015010624A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
KR20150128273A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771004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0502515B1 (ko) 디스크 브레이크와 패드심
JP6149273B2 (j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130084031A (ko) 패드 스프링 및 이를 구비한 디스크 브레이크
KR100760847B1 (ko) 디스크 브레이크
KR101958797B1 (ko) 패드 스프링
KR100771009B1 (ko) 차량용 디스크 브레이크
KR20180075959A (ko) 자동차용 캘리퍼 브레이크의 브레이크 패드 조립체
KR20150103437A (ko) 차량용 캘리퍼 브레이크
KR20160113786A (ko) 전동 브레이크의 이동너트 회전방지장치
KR20160141435A (ko) 디스크 브레이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