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601A - 내연 기관의 실린더 블록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의 실린더 블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601A
KR20190064601A KR1020197011543A KR20197011543A KR20190064601A KR 20190064601 A KR20190064601 A KR 20190064601A KR 1020197011543 A KR1020197011543 A KR 1020197011543A KR 20197011543 A KR20197011543 A KR 20197011543A KR 20190064601 A KR20190064601 A KR 20190064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portion
crankshaft
bearing wall
bearing
bear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9332B1 (ko
Inventor
잔 그레비엥
볼커 애브라함
프랭크 위트
마르코 피터센
폴 믈리나르츠크
Original Assignee
캐터필라 모토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터필라 모토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filed Critical 캐터필라 모토렌 게엠베하 운트 코. 카게
Publication of KR20190064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6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93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93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7/0043Arrangements of mechanical drive elements
    • F02F7/0053Crankshaft bearings fitted in the crankca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7/0095Constructing engine cas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46Brasses; Bushes; Linings divided or split, e.g. half-bearings or rolled slee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9/00Bearings for crankshafts or connecting-rods; Attachment of connecting-rods
    • F16C9/02Crankshaft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00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 F16M1/02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for reciprocating engines or similar machines
    • F16M1/021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for reciprocating engines or similar machines for housing crank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MFRAMES, CASINGS OR BED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NOT SPECIFIC TO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PROVIDED FOR ELSEWHERE; STANDS; SUPPORTS
    • F16M1/00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 F16M1/02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for reciprocating engines or similar machines
    • F16M1/021Frames or casings of engines, machines or apparatus; Frames serving as machinery beds for reciprocating engines or similar machines for housing crankshafts
    • F16M1/025Assembling bearings in casings, e.g. having anchor bol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2200/00Manufacturing
    • F02F2200/06Cas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FCYLINDERS, PISTONS OR CASINGS, FOR COMBUSTION ENGINES; ARRANGEMENTS OF SEALINGS IN COMBUSTION ENGINES
    • F02F7/00Casings, e.g. crankcases or frames
    • F02F7/0002Cylinder arrangements
    • F02F7/0007Crankcases of engines with cylinders in l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60/00Engines or pumps
    • F16C2360/22Internal combustion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ylinder Crankcase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Shafts, Cranks, Connecting Bars, And Related Bearings (AREA)

Abstract

엔진(100)의 실린더 블록(102)이 제공된다. 실린더 블록(102)은 하나 이상의 원통형 보어(114)를 정의하는 주조 본체(112)를 포함한다. 실린더 블록(102)은 주조 본체(112) 내에 형성된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을 또한 포함한다.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은 베어링 캡(138)과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엔진(100)의 크랭크축(11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개구(139)를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실린더 블록(102)은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 상에 주조된 모따기한 어깨부(180)를 더 포함한다.

Description

내연 기관의 실린더 블록
본 개시는 내연 기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내연 기관의 실린더 블록에 관한 것이다.
내연 기관용 실린더 블록은 크랭크 축을 포함하는 내연 기관의 다양한 구성 요소를 수용한다. 일반적으로, 실린더 블록은 단일 유닛으로서 주조되고 크랭크축을 장착하기 위해 별도로 가공된다. 예를 들어, 일부 응용 분야에서, 실린더 블록의 밑면 부분은 베어링 표면, 및 크랭크축을 지지하는 베어링 부재을 수용하기 위한 함몰부를 형성하도록 가공된다. 베어링 캡은 베어링 부재를 함몰부 내에 유지하기 위해 베어링 표면에서 실린더 블록에 체결된다. 실린더 블록의 밑면 부분은 접근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실린더 블록을 가공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 된다. 또한, 실린더 블록의 밑면 부분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특수한 공구 및/또는 설비가 필요할 수 있다. 이는 내연 기관의 전체 제조 시간과 총 원가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내연 기관의 작동 중에 크랭크축에 부하가 가해져 실린더 블록으로 전달되는데, 이는 실린더 블록에서 응력 집중을 초래할 수 있다. 이는 실린더 블록에 피로 균열을 생성하여 내연 기관의 고장을 초래할 수 있다.
미국 특허번호 제9,011,012호(이하 '012 특허'로서 칭함)는 베어링 캡 및 베어링 캡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베어링 캡은 실린더 블록의 벌크헤드에 볼트로 체결되어 크랭크 축을 지지한다. 한 쌍의 측면 각각에는 베어링 캡과 크랭크 축 사이의 연결면을 크랭크 축의 횡 방향으로 확대시키는 한 쌍의 돌출부가 형성된다. 한 쌍의 보강부는 상단면과 한 쌍의 돌출부 사이에 위치하고, 한 쌍의 측면으로부터 크랭크 축의 횡 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 길이는 한 쌍의 돌출부의 돌출 길이보다 작다. 따라서, 내연 기관의 작동 중에 크랭크 축에 의해 생성된, 베어링 캡과 벌크 헤드 사이의 연결부에 대한 응력이 감소된다. 그러나, 이러한 베어링 캡 조립체의 제조는 복잡하고 시간 소모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서, 엔진의 실린더 블록이 제공된다. 실린더 블록은 하나 이상의 원통형 보어를 정의하는 주조 본체(cast body)를 포함한다. 실린더 블록은 주조 본체 내에 형성된 크랭크축 베어링 벽을 또한 포함한다. 크랭크축 베어링 벽은, 엔진의 크랭크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개구를 정의하도록 베어링 캡과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실린더 블록은 크랭크축 베어링 벽 상에 주조된 모따기한(chamfered) 어깨부를 더 포함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양태에서, 엔진이 제공된다. 엔진은 실린더 헤드 및 실린더 헤드와 맞물리는 주조 본체를 포함한다. 주조 본체는 하나 이상의 원통형 보어를 정의한다. 엔진은 주조 본체 내에 형성된 크랭크축 베어링 벽을 또한 포함한다. 크랭크축 베어링 벽은, 크랭크축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개구를 정의하도록 베어링 캡과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크랭크축 베어링 벽은 베어링 캡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길이 방향 결합부를 포함한다. 크랭크축 베어링 벽은 제1 길이 방향 결합부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 방향 결합부를 또한 포함한다. 제1 측 방향 결합부는 베어링 캡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블록은 크랭크축 베어링 벽 상에 주조된 제1 모따기한(chamfered) 어깨부를 더 포함한다. 제1 모따기한 어깨부는 제1 길이 방향 결합부와 제1 측 방향 결합부 사이에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 및 양태들은 다음의 설명 및 첨부 도면들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엔진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크랭크축 베어링 벽을 갖는 엔진의 실린더 블록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베어링 캡과 결합된 크랭크축 베어링 벽을 갖는 실린더 블록의 정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크랭크 베어링 벽(136) 및 베어링 캡의 분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제1 모따기한 어깨부를 도시하는 실린더 블록의 일부의 정면도이다.
이제,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예시를 참조하여 특정 실시예 또는 특징을 상세히 기술할 것이다. 가능한 경우, 상응하거나 유사한 참조 번호는 동일하거나 상응하는 부분을 지칭하도록 도면 전반에 걸쳐 사용될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엔진(100)의 부분 단면도를 도시한다. 엔진(100)은 다기통 내연 기관(multi-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엔진(100)은 단기통 내연 기관(single-cylinder internal combustion engine)일 수 있다. 또한, 엔진(100)은 액체 연료나 기체 연료 중 하나 이상에 의해 추진될 수 있는 불꽃-점화식 내연 기관 또는 압축-점화식 내연 기관일 수 있다. 이러한 연료는, 가솔린, 디젤, 천연 가스, 석유 가스, 및 바이오 연료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엔진(100)은 고속도로용 트럭이나 자동차, 일반도로용 트럭이나 기계, 토목 공사 장비, 제너레이터 및 펌프와 같은 임의의 기계에 동력을 공급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엔진(100)은 실린더 블록(102), 실린더 블록(102)의 상단(106)에 결합된 실린더 헤드(104), 및 실린더 블록(102)의 하단(110)에 결합된 오일 팬(108)을 포함할 수 있다. 실린더 블록(102)은 하나 이상의 원통형 보어(114, 이들 중 하나는 도 1에 도시됨)를 정의하는 주조 본체(112)(cast body)를 포함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주조 본체(112)는 직렬로 구성된 6개의 원통형 보어(114)(도 2에 도시됨)를 정의한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주조 본체(112)는,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 직렬 구성, V-형 구성, 및 방사형 구성과 같은 임의의 구성으로 배치된 더 적거나 더 많은 수의 원통형 보어(114)를 정의할 수 있다.
실린더 블록(102)의 상단(106)에서, 실린더 헤드(104)는 함께 원통형 보어(114) 각각을 덮도록 캐스트 몸체(112) 상에 장착됨으로써, 각각의 원통형 보어(114) 내에 주 연소 챔버(미도시)를 정의한다. 실린더 블록(102)의 하단(110)에서, 주조 본체(112)는 오일 팬(108)과 맞물려 엔진(100)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윤활 및/또는 냉각과 관련된 유체를 저장할 수 있다.
설명을 위해, 본 구현예에서는 원통형 보어(114) 중 하나를 통하는 엔진(100)의 단면도가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본원에서 제공된 보어(114)에 대한 설명은 엔진(100)의 다른 원통형 보어(114)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보어(114)는 엔진(100)의 피스톤(116)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 구현예에서, 원통형 보어(114)는 피스톤(116)과 함께 실린더 슬리브(cylinder sleeve) 또는 실린더 라이너(cylinder liner, 미도시)를 수용할 수도 있다. 피스톤(116)은 원통형 보어(114) 내에서 왕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크랭크 축(118)에 연결된다. 원통형 보어(114) 내에서, 피스톤(116)의 슬라이딩 운동이 크랭크 축(118)의 회전 운동을 일으키도록 피스톤(116)은 연결 로드(120)을 통해 크랭크축(118)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크랭크축(118)은, 부분적으로 캐스트 몸체(112)에 의해 정의되고 부분적으로 오일 팬(108)에 의해 정의된 캐비티(122) 내에서 회전 운동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실린더 블록(102)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구현예에서, 실린더 블록(102)의 주조 본체(112)는 일체형 주물(one-piece casting)일 수 있다. 주조 본체(112)는 주철, 알루미늄, 마그네슘, 및 이들의 합금을 포함하되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주조 본체(112)는 이로부터 원통형 보어(114)가 연장되는 상단 벽(126), 및 캐비티(122)를 부분적으로 정의하는 한 쌍의 측벽(128)을 포함한다. 주조 본체(112)는 전방 벽(130) 및 전방 벽(130)과 대향하는 후방 벽(132)을 더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전방 벽(130)은 엔진(100)의 플라이휠 하우징(미도시)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후방 벽(132)은 엔진(100)의 변속기 하우징(미도시)과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캐비티(122) 내에서 크랭크축(118)을 지지하기 위해, 복수의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이 주조 본체(112) 내에 형성된다. 도 2에는 하나의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만이 도시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크랭크축 베어링 벽들(136)은, 실린더 블록(102)이 단일 구조를 갖도록 주조 본체(112)와 일체식으로 형성된다.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은 한 쌍의 측벽(128) 사이에서 연장되고, 주조 본체(112)의 길이를 따라 길이 방향으로 서로 이격된다. 일 구현예에서,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은 복수의 원통형 보어(114)를 분할하기 위해 상단 벽(126)까지 수직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은 원통형 보어(114)를 분할하는 격벽(미도시)에 추가로 주조 본체(112) 내에 형성된 독립 연장 부재일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베어링 캡(138)과 결합된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을 보여주는, 실린더 블록(102)의 일부의 전방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을 위해, 복수의 크랭크축 베어링 벽들(136) 중 하나의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만이 본원에서 설명된다. 그러나, 본 개시는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도 주조 본체(112)의 다른 크랭크축 베어링 벽들(136)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은 베어링 캡(138)과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크랭크축(11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개구(139)를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은 크랭크축(118)의 저널(144)(도 1에 도시됨)이 유지되는 베어링 표면(142)을 갖는 만곡부(140)를 포함한다. 일 구현예에서, 베어링 표면(142)은 저널(144)을 유지하기 위한 베어링 인서트(미도시)를 수용하도록 가공될 수 있다. 또 다른 구현예에서, 베어링 표면(142)은 저널(144)과 직접 맞물리도록 가공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베어링 표면(142)은 반원형 프로파일을 갖는다. 일 구현예에서, 베어링 캡(138)이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에 결합될 때, 베어링 캡(138)의 베어링 표면(143)과 함께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의 베어링 표면(142)은 저널(144)을 수용하기 위한 원형 개구(139)를 정의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구현예에 따른,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 및 베어링 캡(138)의 분해도를 도시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 상에 베어링 캡(138)을 장착하기 위해서,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은 제1 길이 방향 결합부(146), 및 제1 길이 방향 결합부(146)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 방향 결합부(148)를 포함한다. 제1 길이 방향 결합부(146) 및 제1 측 방향 결합부(148)는 베어링 캡(138)과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제1 길이 방향 결합부(146)는 베어링 캡(138)의 제1 맞물림면(15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1 수평 가공면(150)(도 5에 도시됨)을 포함한다. 제1 측 방향 결합부(148)는 베어링 캡(138)의 제2 맞물림면(156)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1 수직 가공면(154)을 포함한다. 또한, 제1 길이 방향 결합부(146)와 제1 측 방향 결합부(148) 각각은, 베어링 캡(138)을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과 결합시키는 제1 세트의 체결 부재(160)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세트의 구멍(158)을 포함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제1 길이 방향 결합부(146) 및 제1 측 방향 결합부(148)가 각각 하나의 구멍(158)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1 길이 방향 결합부(146) 및 제1 측 방향 결합부(148) 각각에는 하나보다 많은 구멍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구현예에서, 제1 길이 방향 결합부(146) 및 제1 측 방향 결합부(148) 중 하나는 제1 세트의 구멍(158)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제1 길이 방향 결합부(146)와 제1 측 방향 결합부(148)의 제1 세트의 구멍(158)은 제1 세트의 체결 부재(160) 각각의 나사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나사 구멍일 수 있다.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은 또한 제2 길이 방향 결합부(162) 및 제2 길이 방향 결합부(162)로부터 연장되는 제2 측 방향 결합부(164)를 포함한다. 제2 길이 방향 결합부(162) 및 제2 측 방향 결합부(164)는 베어링 캡(138)과 결합되어, 크랭크축(11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개구(139)를 정의하도록 구성된다. 일 구현예에서, 제1 및 제2 길이 방향 결합부(146, 162)는 만곡부(140)에 대해 서로 대향하여 대칭적으로 위치되고, 제1 및 제2 측 방향 결합부(148, 164)는 만곡부(140)에 대해 서로 대향하여 대칭적으로 위치된다.
제2 측 방향 결합부(164)는 제1 수평 가공면(150)에 대향하는 베어링 표면(142)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 수평 가공면(166)을 포함한다. 제2 수평 가공면(166)은 베어링 캡(138)의 제3 맞물림면(168)과 맞물리도록 구성된다. 또한, 제2 측 방향 결합부(164)는 베어링 캡(138)의 제4 맞물림면(172)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제2 수직 가공면(170)을 포함한다.
제2 길이 방향 결합부(162) 및 제2 측 방향 결합부(164)의 각각은, 베어링 캡(138)을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과 결합시키는 제2 세트의 체결 부재(176)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세트의 구멍(174)을 포함한다. 도시된 구현예에서는 제2 길이 방향 결합부(162) 및 제2 측 방향 결합부(164)가 각각 하나의 구멍(158)을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2 길이 방향 결합부(162) 및 제2 측 방향 결합부(164) 각각에는 하나보다 많은 구멍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다양한 구현예에서, 제2 길이 방향 결합부(162) 및 제2 측 방향 결합부(164) 중 하나는 제2 세트의 구멍(158)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구현예에서, 제2 길이 방향 결합부(162)와 제2 측 방향 결합부(164)의 제2 세트의 구멍(174)은 체결 부재(176) 각각의 나사 부분과 맞물리도록 구성된 나사 구멍일 수 있다.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은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 상에 주조된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를 더 포함한다.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는 제1 길이 방향 결합부(146)와 제1 측 방향 결합부(148) 사이에 형성된다. 일 구현예에서, 제2 모따기한 어깨부(182)도 제2 길이 방향 결합부(162)와 제2 측 방향 결합부(164) 사이에서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 상에 주조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 및 제2 모따기한 어깨부(182)는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 및 제2 모따기한 어깨부(182)는 각각 제1 모따기한 표면(184) 및 제2 모따기한 제2 표면(18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따기한 표면(184)은 제1 수평 가공면(150) 및 제1 수직 가공면(154)에 대해 접할(tangential) 수 있다. 또한, 제2 모따기한 표면(186)은 제2 수평 가공면(166) 및 제2 수직 가공면(170)에 대해 접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를 보여주는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의 일부분에 대한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설명을 위해, 아래 본원에서는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만이 설명되지만, 본원에서 제공된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의 설명은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도 제2 모따기한 어깨부(182)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는 미리 정의된 반경('R')을 갖는 실질적으로 볼록한 형상을 갖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는 다양한 반경을 갖는 임의의 다른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는 그의 길이를 따라가며 변하는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구현예에서,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는 반원 형상을 갖는다. 또한, 실질적으로 볼록한 형상 또는 미리 정의된 반경('R')은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 크랭크축(118), 및 주조 본체(112)의 다양한 구조적 파라미터, 작동 파라미터 및 기하학적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미리 정의된 반경('R')은 51 mm 미만이다. 본 구현예에서는, 미리 정의된 반경('R')이 51 mm 미만이지만, 미리 정의된 반경('R')은 본 개시의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도 대안적으로 51 mm보다 더 클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는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과 베어링 캡(138) 사이의 간격('C')을 정의한다. 일 구현예에서,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는,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과 베어링 캡(138) 사이의 간격('C')가 미리 정의된 반경('C')에 상응하도록, 미리 정의된 반경('R')을 갖는다.
도시된 구현예에서는,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 및 제2 모따기한 어깨부(182)가 서로 동일한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제2 모따기한 어깨부(182)는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와 상이한 치수, 기하학적 형상 및/또는 구조적 특징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모따기한 어깨부(182)는 미리 정의된 반경('R')보다 크거나 같은 반경을 가질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모따기한 어깨부(182)는 제1 모따기한 양의 어깨부(180)의 형상과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개시는, 크랭크축(118)이 베어링 캡(138)을 사용해 실린더 블록(102) 상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임의의 내연 기관에 관한 것이다. 엔진(100)의 실린더 블록(102)은 임의의 유형의 주조 공정에 의해 만들어질 수 있다. 주조되는 동안, 실린더 블록(102)의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은 실린더 블록(102)의 주조 본체(112)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주조되는 동안,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 및 제2 모따기한 어깨부(182)도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 내에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린더 블록(102)이 일체식 주물로서 제조될 수 있으므로, 다른 가공 및/또는 제조 작업을 거치지 않을 수 있어, 실린더 블록(102)의 제조 시간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 및 제2 모따기한 어깨부(182)는 베어링 캡(138)과의 표면 접촉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을 주어,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에서의 응력 집중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와 제2 모따기한 어깨부(182)의 치수는 엔진(100)의 베어링 캡(138)의 특정 요건들에 기초하여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따기한 양의 어깨부(180)의 미리 정의된 반경('R') 및 제2 모따기한 어깨부(182)의 반경은, 베어링 캡(138)의 유형, 크기, 및 치수에 기초하여 달라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이한 유형의 크랭크축(118)을 장착하기 위해서, 제1 수평 가공면(150), 제2 수평 가공면(166), 제1 수직 가공면(154), 및 제2 수직 가공면(170) 중 하나 이상이 적절하게 가공되어 상이한 유형의 베어링 캡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유형의 크랭크축을 장착하기 위한 실린더 블록(102)을 생산할 수 있는 유연성이 제조업자에게 부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양태들은 상기 양태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개시된 기계, 시스템 및 방법을 변형함으로써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주를 벗어나지 않고도 다양한 추가 양태들이 고려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이러한 양태들은 청구범위 및 그 균등물에 기초하여 결정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Claims (16)

  1. 엔진(100)의 실린더 블록(102)으로서, 상기 실린더 블록(102)은:
    하나 이상의 원통형 보어(114)를 정의하는 주조 본체(112);
    상기 주조 본체(112) 내에 형성된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으로서, 베어링 캡(138)과 착탈식으로 결합되어, 상기 엔진(100)의 크랭크축(11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개구(139)를 정의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 및
    상기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 상에 주조된 모따기한 어깨부(180)를 포함하는, 실린더 블록(102).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한 어깨부(180)는 상기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과 상기 베어링 캡(138) 사이의 간격(C)을 정의하는, 실린더 블록(102).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한 어깨부(180)는, 상기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과 상기 베어링 캡(138) 사이의 클리어런스(C)가 상기 미리 정의된 반경(R)에 상응하도록, 미리 정의된 반경(R)을 가지는, 실린더 블록(102).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 정의된 반경(R)은 51 mm 미만인, 실린더 블록(102).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따기한 어깨부(180)는 반원 형상을 갖는, 실린더 블록(102).
  6. 제1항에 있어서,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은:
    엔진(100)의 크랭크축(11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개구(139)를 정의하도록 베어링 캡(138)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길이 방향 결합부(146); 및
    제1 길이 방향 결합부(146)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 방향 결합부(148)로서, 베어링 캡(138)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측 방향 결합부(148)를 포함하되, 제1 길이 방향 결합부(146)와 제1 측 방향 결합부(148) 사이에 모따기한 어깨부(180)가 형성되는, 실린더 블록(102).
  7. 제6항에 있어서,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은:
    엔진(100)의 크랭크축(11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개구(139)를 정의하도록 베어링 캡(138)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길이 방향 결합부(162); 및
    제2 길이 방향 결합부(162)로부터 연장되는 제2 측 방향 결합부(164)로서, 베어링 캡(138)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측 방향 결합부(164)를 포함하되, 제2 길이 방향 결합부(162)와 제2 측 방향 결합부(164) 사이에 모따기한 어깨부(182)가 형성되는, 실린더 블록(102).
  8. 제7항에 있어서, 제1 길이 방향 결합부(146) 및 제1 측 방향 결합부(148)의 각각은 베어링 캡(138)을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과 결합시키는 제1 세트의 체결 부재(160)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세트의 구멍(158)을 포함하며, 제2 길이 방향 결합부(162)와 제2 측 방향 결합부(164)의 각각은 베어링 캡(138)을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과 결합시키는 제2 세트의 체결 부재(176)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세트의 구멍(174)을 포함하는, 실린더 블록(102).
  9. 실린더 헤드(104);
    실린더 헤드(104)와 맞물리는 주조 본체(112)로서, 하나 이상의 원통형 보어(114)를 정의하는 주조 본체(112); 및
    주조 본체(112) 내에 형성되는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으로서, 크랭크축(118)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개구(139)를 형성하도록 베어링 캡(138)과 착탈식으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을 포함하는 엔진으로서,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은:
    베어링 캡(138)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길이 방향 결합부(146);
    제1 길이 방향 결합부(146)로부터 연장되는 제1 측 방향 결합부(148)로서, 베어링 캡(138)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1 측 방향 결합부(148); 및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 상에 주조되는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로서, 제1 길이 방향 결합부(146)와 제1 측 방향 결합부(148)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를 포함하는, 엔진(100).
  10. 제9항에 있어서,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는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과 베어링 캡(138) 사이의 간격(C)을 정의하는, 엔진(100).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 모따기한 어깨부(180)는,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과 베어링 캡(138) 사이의 간격(C)이 미리 정의된 반경(R)에 상응하도록, 미리 정의된 반경(R)을 갖는, 엔진(100).
  12. 제11항에 있어서, 미리 정의된 반경(R)은 51 mm 미만인, 엔진(100).
  13. 제9항에 있어서, 모따기한 어깨부(180)는 반원 형상을 갖는, 엔진(100).
  14. 제9항에 있어서, 제1 길이 방향 결합부(146) 및 제1 측 방향 결합부(148)의 각각은 베어링 캡(138)을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과 결합시키는 제1 세트의 체결 부재(160)를 수용하기 위한 제1 세트의 구멍(158)을 포함하는, 엔진(100).
  15. 제9항에 있어서,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은:
    엔진(100)의 크랭크축(118)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기 위한 개구(139)를 정의하기 위해 베어링 캡(138)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길이 방향 결합부(162); 및
    제2 길이 방향 결합부(162)로부터 연장되는 제2 측 방향 결합부(164)로서, 베어링 캡(138)과 결합되도록 구성된 제2 측 방향 결합부(164)를 포함하되, 제2 길이 방향 결합부(162)와 제2 측 방향 결합부(164) 사이에 제2 모따기한 어깨부(182)가 형성되는, 엔진(100).
  16. 제15항에 있어서, 제2 길이 방향 결합부(162)와 제2 측 방향 결합부(164)의 각각은 베어링 캡(138)을 크랭크축 베어링 벽(136)과 결합시키는 제2 세트의 체결 부재(176)를 수용하기 위한 제2 세트의 구멍(174)을 포함하는, 엔진(100).
KR1020197011543A 2016-10-17 2017-10-13 내연 기관의 실린더 블록 KR1023993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617546.5A GB2554945A (en) 2016-10-17 2016-10-17 Cylinder block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GB1617546.5 2016-10-17
PCT/EP2017/076256 WO2018073133A1 (en) 2016-10-17 2017-10-13 Cylinder block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601A true KR20190064601A (ko) 2019-06-10
KR102399332B1 KR102399332B1 (ko) 2022-05-18

Family

ID=57680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543A KR102399332B1 (ko) 2016-10-17 2017-10-13 내연 기관의 실린더 블록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181070B2 (ko)
EP (1) EP3526462B1 (ko)
KR (1) KR102399332B1 (ko)
CN (1) CN109831918A (ko)
GB (1) GB2554945A (ko)
WO (1) WO201807313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779779A (zh) * 2018-12-26 2019-05-21 丰疆智慧农业股份有限公司 发动机及其组装方法
US10837357B1 (en) * 2019-07-23 2020-11-17 Achates Power, Inc. Main bearings of opposed-piston engines with two crankshafts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7498A (en) * 1962-09-13 1964-01-14 Int Harvester Co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028162A1 (de) * 2000-06-07 2001-12-20 Volkswagen Ag Kurbelgehäuse
CN101135277A (zh) * 2007-09-29 2008-03-0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的主轴承座结构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36631C2 (de) * 1971-07-22 1983-11-24 M.A.N. Maschinenfabrik Augsburg-Nürnberg AG, 8900 Augsburg Mehrzylindrige Hubkolbenbrennkraftmaschine mit hängender Lagerung der Kurbelwelle
CH620023A5 (ko) * 1977-06-17 1980-10-31 Sulzer Ag
US5107809A (en) 1991-05-28 1992-04-28 Kia Motors Corporation Engine block and bearing assembly
US5509387A (en) 1994-04-14 1996-04-23 General Motors Corporation Bearing cap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158402A (en) * 1997-10-03 2000-12-12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Engine block structure in multi-cylinder engine
DE19838745A1 (de) 1998-08-26 2000-03-09 Daimler Chrysler Ag Gleitlager mit einem Lagerstuhl und einem Lagerdeckel
JP3599178B2 (ja) 2000-12-04 2004-12-0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V型多気筒エンジン
EP1384008B1 (en) 2001-05-01 2006-07-19 GKN Sinter Metals Inc. Surface densification of powder metal bearing caps
JP4134689B2 (ja) 2002-11-14 2008-08-2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リンダブロックとクランクキャップとの組み付け方法
JP2007100122A (ja) 2005-09-30 2007-04-19 Fuji Heavy Ind Ltd 金属基複合材形成用鉄系プリフォーム及びジャーナル部構造
JP5340697B2 (ja) 2008-11-12 2013-11-13 大同メタル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用すべり軸受およびすべり軸受装置
US8251590B2 (en) * 2009-05-29 2012-08-28 Cummins Intellectual Properties, Inc. Anti-rotation bearing assembly and bearing
US20110048367A1 (en) 2009-09-02 2011-03-03 International Engine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Crankcase and main bearing cap construction
JP5884266B2 (ja) 2010-12-27 2016-03-15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ベアリングキャップ及びラダーフレーム
JP5701732B2 (ja) * 2011-10-11 2015-04-15 ダイハツディーゼル株式会社 内燃機関の軸受構造
JP6113573B2 (ja) * 2013-05-08 2017-04-12 Nok株式会社 センターベアリングサポート
DE102014205599A1 (de) * 2014-03-26 2015-10-01 Robert Bosch Gmbh Kühlhülse für ein Lager und Lager mit Kühlhülse
JP6340027B2 (ja) * 2016-03-30 2018-06-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クランクシャフトの支持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17498A (en) * 1962-09-13 1964-01-14 Int Harvester Co Internal combustion engine
DE10028162A1 (de) * 2000-06-07 2001-12-20 Volkswagen Ag Kurbelgehäuse
CN101135277A (zh) * 2007-09-29 2008-03-05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发动机的主轴承座结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11775A1 (en) 2019-07-11
US11181070B2 (en) 2021-11-23
WO2018073133A1 (en) 2018-04-26
EP3526462B1 (en) 2023-09-13
EP3526462A1 (en) 2019-08-21
KR102399332B1 (ko) 2022-05-18
GB2554945A (en) 2018-04-18
GB201617546D0 (en) 2016-11-30
CN109831918A (zh) 2019-05-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038560B1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50211438A1 (en) Piston with oil reservoir
KR102399332B1 (ko) 내연 기관의 실린더 블록
US20150059682A1 (en) Double welded steel piston with full skirt
US7975601B2 (en) Engine cylinder liner
GB2485542A (en) Composite cylinder block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90005085A (ko) 하나의 링 그루브가 하나의 링 캐리어를 포함하는 두 개의 링 그루브를 구비한 내연 기관용 피스톤
JP2021134892A (ja) 2気筒内燃機関
US7036479B2 (en) Cylinder block for engine
US11199156B2 (en) Bearing cap, internal combustion engin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8770170B2 (en) Bedplate assembly and method
KR100414712B1 (ko) 엔진
JP7464345B2 (ja) モノブロック式内燃機関
JP2006070795A (ja) 内燃機関
JP4645478B2 (ja) 多気筒内燃機関の複リンク式ピストン−クランク機構及びその圧縮比調整方法。
KR20180106712A (ko) 엔진의 실린더 블록
US20210341056A1 (en) Systems, Devices, and/or Methods for Improving Engine Efficiency
JP2021067206A (ja) エンジン構造
KR100218888B1 (ko) 엔진의 실린더블럭 하부에 조립되는 하부 케이스와 크랭크축 베어링캡의 일체식 조립구조
KR101672084B1 (ko) 엔진 블록 배열체 및 프레팅 방지 방법
JP4396390B2 (ja) シリンダブロック構造及びその製造方法
JPH04234550A (ja) エンジンのブロック構造
JP2019108855A (ja) 多気筒エンジン
KR20000004411U (ko) 엔진의 파괴 분할형 메인 베어링 캡 결합장치
JP2015102040A (ja) ベアリングビ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