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4192A - 기능성 유체 조성물 - Google Patents

기능성 유체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4192A
KR20190064192A KR1020170163561A KR20170163561A KR20190064192A KR 20190064192 A KR20190064192 A KR 20190064192A KR 1020170163561 A KR1020170163561 A KR 1020170163561A KR 20170163561 A KR20170163561 A KR 20170163561A KR 20190064192 A KR20190064192 A KR 201900641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functional fluid
formula
monoami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35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5279B1 (ko
Inventor
박재윤
박현진
이홍기
한용희
Original Assignee
극동제연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극동중앙연구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극동제연공업 주식회사, 주식회사 극동중앙연구소 filed Critical 극동제연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35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5279B1/ko
Priority to US15/874,525 priority patent/US20190161700A1/en
Priority to PCT/KR2018/014544 priority patent/WO2019107842A1/ko
Publication of KR201900641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41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5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5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4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49/1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149/1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 condensation reaction being involv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 C10M105/08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05/1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05/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 C10M105/08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containing oxygen
    • C10M105/1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105/14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base-material being a non-macromolecular organic compound containing oxygen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polyhydrox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33/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33/04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133/06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33/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 C10M133/02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n 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 containing nitrogen having a carbon chain of less than 30 atoms
    • C10M133/38Heterocyclic nitrogen compounds
    • C10M133/44Five-membered ring containing nitrogen and carbo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1/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the additive being a mixture of a macromolecular compound and a non-macromolecular compound,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169/00Lubricating compositions characterised by containing as components a mixture of at least two types of ingredient selected from base-materials, thickeners or additives,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each of these compounds being essential
    • C10M169/0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 C10M169/044Mixtures of base-materials and additives the additives being a mixture of non-macromolecular an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02Hydroxy compounds
    • C10M2207/021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10M2207/0215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7/00Organic non-macromolecular hydrocarbon compounds containing hydrogen, carbon and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7/02Hydroxy compounds
    • C10M2207/023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10M2207/026Hydroxy compounds having hydroxy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with tertiary alk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10M2209/104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of alkylene oxides containing two carbon atoms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09/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xy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09/10Macromolecular compounds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10M2209/103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 C10M2209/108Polyethers, i.e. containing di- or higher polyoxyalkylene groups ether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02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 C10M2215/04Amines, e.g. polyalkylene polyamines; Quaternary amines having amino groups bound to acyclic or cyclo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26Amin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5/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5/30Heterocyc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17/00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17/06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functionalisation op polymers with a nitrogen containing compound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MLUBRICATING COMPOSITIONS; USE OF CHEMICAL SUBSTANCES EITHER ALONE OR AS LUBRICATING INGREDIENTS IN A LUBRICATING COMPOSITION
    • C10M2227/00Organic non-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atoms of el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10M2203/00, C10M2207/00, C10M2211/00, C10M2215/00, C10M2219/00 or C10M2223/00 as ingredients in lubricant compositions
    • C10M2227/06Organic compounds derived from inorganic acids or metal salts
    • C10M2227/061Esters derived from boron
    • C10M2227/0615Esters derived from boron used as base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30/00Specified physical or chemical properties which is improved by the additive characterising the lubricating composition, e.g. multifunctional additives
    • C10N2030/12Inhibition of corrosion, e.g. anti-rust agents or anti-corros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N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C10M RELATING TO LUBRICATING COMPOSITIONS
    • C10N2040/00Specified use or application for which the lubricating composition is intended
    • C10N2040/08Hydraulic fluids, e.g. brake-fluids
    • C10N2240/08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Preventing Corrosion Or Incrustation Of Metals (AREA)
  • Lubric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글리콜류를 기재로 하는 기능성 유체 조성물로서, 모노아민계 소음저감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유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글리콜류를 기재로 하고 화학식 1로 나타낸 모노아민계 소음저감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유체 조성물은 우수한 소음 저감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능성 유체 조성물은 소음저감제로 모노아민계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서 금속 부식방지제로서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트리아졸계 화합물로 구성되는 금속 부식방지제를 사용한 경우에도 우수한 금속 부식방지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기능성 유체 조성물 {Functional Fluid Compositions}
본 발명은 기능성 유체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글리콜류를 기재로 하는 기능성 유체조성물로서, 모노아민계 소음저감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유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브레이크액으로서 유용한 기능성 유체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자동차용 브레이크액은 용제로서 글리콜 에테르 화합물만 사용된 3종(DOT-3) 타입 브레이크액과, 보론 에스테르 화합물이 약 30~60 중량% 더 첨가된 4종(DOT-4) 타입 브레이크액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상기 DOT-3 타입의 브레이크액은 저분자 물질인 글리콜에테르 화합물만 사용함으로써 장시간 사용시 대기 중의 수분을 흡수하여 습윤 비점(wet boiling point)이 낮아지면서 증기 폐쇄(vapor lock) 현상을 야기시켜 제동불능 사고를 일으킬 위험이 있고, 장기 금속 부식방지 능력이 약한 단점이 있다. 또한, DOT-4 타입 브레이크액은 보론 에스테르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평형 환류 끓는점 (equilibrium reflux boiling point)과 습윤 비점이 높아 상기 DOT-3 타입에 비해 안전도가 높다. 그러나, DOT-4 타입 브레이크액은 보론 에스테르계 화합물이 수분과 접촉시 가수분해를 일으키며 붕산이 석출됨에 따라 브레이크액으로서의 물성을 저하시키고 이물질을 발생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에 DOT-4 타입 브레이크액은 붕산석출을 방지하기 위해 아민 또는 실란계 타입의 안정제를 첨가하여 사용되고 있다(한국공개특허 제10-2004-0023917호). 그러나 이러한 안정제를 추가로 더 포함함으로써 브레이크 장치내의 마스터실린더가 작동할 때 소음이 크게 증가되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
또한 일본공개특허 제2013-227380호에는 불소 화합물을 함유하는 브레이크액이 윤활성 향상을 통한 스틱 슬립의 발생 방지에 효과가 있다고 기재되어 있지만 친유성기를 가진 불소 화합물은 친수성을 가진 글리콜 에테르 용제와 혼합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능성 유체 조성물에 대한 개발을 위하여 예의 노력한 결과,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아민계 소음저감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유체 조성물이 소음 저감효과가 우수할 뿐만 아니라 금속 부식방지 효과도 우수한 것을 실험적으로 확인 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글리콜류를 기재로 하는 기능성 유체 조성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낸 모노아민계 소음저감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유체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X 및 Y는 1 이상의 정수이고, R은 H 또는 CH3 이며,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낸 화합물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600 이상이다.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글리콜류를 기재로 하는 기능성 유체 조성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낸 모노아민계 소음저감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유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2
상기 화학식 1에서 X 및 Y는 1 이상의 정수이고, R은 H 또는 CH3 이며,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낸 화합물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600 이상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글리콜류 기재는 글리콜 화합물과 붕산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한다.
상기 글리콜 화합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것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글리콜 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합한 글리콜 화합물은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폴리알킬렌글리콜 또는 글리콜에테르이다.
상기 글리콜에테르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것도 이용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메틸에테르 및 이들의 혼합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적합한 글리콜에테르는 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메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부틸에테르이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이다.
상기 붕산에스테르 화합물은 흡습에 의한 비등점 강하를 방지하기 위해 사용되며, 상기 붕산에스테르 화합물은 기능성 유체 조성물 전체 중량 100%에 대하여 30 내지 60 중량%의 함량 범위로 포함시킨다. 이때 붕산에스테르 화합물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 미만이면 목적 효과를 달성할 수 없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면 제조원가 상승 및 붕산(Boric Acid)이 석출될 염려가 있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글리콜류 기재는 폴리알킬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티르 및 붕산에스테르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글리콜 화합물과 붕산에스테르 화합물을 포함하는 글리콜류 기재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기능성 유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20-99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40-99 중량%,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60-99 중량%, 보다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70-99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85-99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모노아민계 소음저감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3
상기 화학식 1에서 X 및 Y는 1 이상의 정수이고, R은 H 또는 CH3 이며,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낸 화합물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600 이상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600 이상 2000 이하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2000 이하이다.
본 명세서에서 화학식 1로 나타낸 화합물이 가질 수 있는 서로 다른 분자량(M) 중 임의로 선택된 하나의 화합물의 분자량(
Figure pat00004
)은 R이 H인 경우 다음의 계산식 1에 의해 계산될 수 있고, R이 CH3인 경우 다음의 계산식 2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계산식 1]
Figure pat00005
[계산식 2]
Figure pat00006
상기 계산식 1 및 2에서 X 및 Y는 1 이상의 정수이다.
한편, 화학식 1로 나타낸 화합물의 중량평균 분자량(Weight averaged molecular weight, Mw)은 다음의 계산식 3에 의해 계산될 수 있다.
[계산식 3]
Figure pat00007
상기 계산식 2에서
Figure pat00008
는 임의의 분자량 Mi를 갖는 화합물들의 총 개수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소음저감제로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아민계 화합물은 기능성 유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5-5.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2-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금속 부식방지제, 산화방지제 중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금속 부식방지제는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것도 이용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 이용되는 부식방지제는 트리아졸계 화합물, 아민계 화합물 또는 이의 혼합물이다.
상기 트리아졸계 화합물은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트리아졸을 포함하며, 트리아졸 유도체, 벤조트리아졸 유도체 및 톨루트리아졸 유도체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벤조트리아졸 유도체로서 구체적으로는 N,N-비스(2-에틸헥실)-4-메틸-1 H-벤조트리아졸-1-메틸아민, N,N-비스(2-에틸헥실)-5-메틸-1 H-벤조트리아졸-1-메틸아민, 옥틸 1 H벤조트리아졸, 디터셔리부틸화 1 H벤조트리아졸, 1H-1,2,3-트리아졸, 2H-1,2,3-트리아졸, 1H-1,2,4-트리아졸, 4H-1,2,4-트리아졸, 1-(1', 2'-디-카르복시에틸) 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메틸 페닐) 벤조트리아졸, 1H-1,2,3-트리아졸, 2H-1,2,3-트리아졸, 1H-1,2,4-트리아졸, 4H-1,2,4-트리아졸, 벤조트리아졸, 톨릴트리아졸, 카르복시벤조트리아졸, 3-아미노-1,2,4-트리아졸, 클로로벤조트리아졸, 니트로 벤조트리아졸, 아미노벤조트리아졸, 시크로헤키사노〔1, 2-d〕트리아졸, 4,5,6,7-테트라하이드록시톨릴트리아졸,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에틸 벤조트리아졸, 나프토트리아졸, 1-[N,N-비스(2-에틸헥실)아미노메틸]벤조트리아졸, 1-[N,N-비스(2-에틸헥실) 아미노메틸]톨릴트리아졸, 1-[N,N-비스(2-에틸헥실) 아미노메틸]카르복시벤조트리아졸, 1-[N,N-비스( 디-(에탄올)-아미노메틸]벤조트리아졸, 1-[N,N-비스( 디-(에탄올)-아미노메틸]톨릴트리아졸, 1-[N,N-비스( 디-(에탄올)-아미노메틸]카르복시벤조트리아졸, 1-[N,N-비스(2-하이드록시프로필) 아미노메틸]카르복시벤조트리아졸, 1-[N,N-비스(1-부틸) 아미노메틸]카르복시벤조트리아졸, 1-[N,N-비스(1-옥틸) 아미노메틸]카르복시벤조트리아졸, 1-(2', 3'-디-히드록시 프로필) 벤조트리아졸, 1-(2', 3'-디-카르복시에틸) 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tert-부틸 페닐) 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디-tert-아밀 페닐) 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4'-오크트키시페닐) 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ert-부틸 페닐) 벤조트리아졸,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6-카르복실산, 1-나 오일 벤조트리아졸, 1,2,4-트리아졸-3-올, 3-아미노-5-페닐-1,2,4-트리아졸, 3-아미노-5-헵틸-1,2,4-트리아졸, 3-아미노-5-(4-이소프로필-페닐)-1,2,4-트리아졸, 5-아미노-3-메르캅토-1,2,4-트리아졸, 3-아미노-5-(p.tert-부틸 페닐)-1,2,4-트리아졸,5-아미노-1,2,4-트리아졸-3-카르복실산, 1,2,4-트리아졸-3-카르복시아미드, 4-아미노우라졸, 1,2,4-트리아졸-5-온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머캡토벤조트리아졸, 톨리트리아졸, 옥틸트리아졸, 데실트리아졸, 도데실트리아졸 등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것을 포함하는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및 머캡토베노트리아졸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에 있어서, 금속 부식방지제로서 트리아졸 화합물의 함량은 기능성 유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3.0 중량% 이다.
상기 아민계 화합물은 알칸올 아민, 알킬아민, 고리형 아민으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알칸올 아민 화합물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모노메탄올아민, 디메탄올아민, 트리메탄올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미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노프로판올아민, 디프로판올아민, 트리프로판올아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등이 있고, 알킬아민 화합물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디부틸 아민, 트리부틸 아민, 디사이클로헥실 아민, 사이클로헥실 아민 및 그 염, 피페라진, n-프로필아민, 이소프로필아민, n-부틸아민, 이소부틸아민, sec-부틸아민, tert-부틸아민, n-펜틸아민, n-헥실아민, n-헵틸아민, n-옥틸아민, 2-에틸헥실아민, n-노닐아민, n-데실아민, 2-프로필헵틸 아민, n-운데실아민, n-도데실아민, n-트리데실아민, 이소트리데실아민, n-테트라데실아민, n-펜타데실아민, n-헥사데실아민, n-헵타데실아민, n-옥타데실아민, n-노나데실아민, n-에이코실-아민, 디-(n-헥실)아민, 디-(n- 헵틸)아민, 디-(n-옥틸)아민, 디-(2-에틸헥실)아민, 디-(n-노닐)아민, 디-(n-데실)아민, 디-(2-프로필헵틸)아민, 디-(n-운데실)아민, 디-(n-도데실)아민, 디-(n-트리데실)아민, 디-(iso트리데실)아민, 디-(n-테트라데실)아민, 디-(n-펜타데실)아민, 디-(n-헥사데실)아민, 디-(n-헵타데실)아민, 디-(n-옥타데실)-아민, 디-(n-노나데실)아민, 디-(n-에이코실)아민, n-헥실메틸아민, n-헵틸-메틸아민, n-옥틸메틸아민, (2-에틸헥 실)메틸아민, n-노닐메틸아민, n-데실메틸아민, (2-프로필헵틸)메틸아민, n-운데실메틸아민, n-도데실-메틸아민, n-트리데실메틸아민, 이소트리데실메틸아민, n-테트라데실메틸아민, n-펜타데실메틸아민, n-헥사데실메틸아민, n-헵타데실메틸아민, n-옥타-데실메틸아민, n-노나데실메틸아민, n-에이코실메틸아민, 디-(n-노닐)아민, 디-(n-데실)아민, 디-(2-프로필헵틸)아민, 디-(n-운데실)아민, 디-(n-도데실)아민, 디-(n-트리데실)아민, 디-(iso트리데실)아민, 디-(n-테트라데실)아민, 디-(n-펜타데실)아민, 디-(n-헥사데실)아민, 디-(n-헵타데실)아민, 디-(n-옥타데실)-아민, 디-(n-노나데실)아민, 디-(n-에이코실)아민, n-헥실메틸아민, n-헵틸-메틸아민, n-옥틸메틸아민, (2-에틸헥 실)메틸아민, n-노닐메틸아민, n-데실메틸아민, (2-프로필헵틸)메틸아민, n-운데실메틸아민, n-도데실-메틸아민, n-트리데실메틸아민, 이소트리데실메틸아민, n-테트라데실메틸아민, n-펜타데실메틸아민, n-헥사데실메틸아민, n-헵타데실메틸아민, n-옥타-데실메틸아민, n-노나데실메틸아민, n-에이코실메틸아민 등이 있고, 고리형 아민 화합물로는 모르폴린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메틸아민, 디부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시클로헥실아민 등 중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것이 포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실아민 및 디부틸아민의 혼합물이다.
본 발명의 조성에 있어서, 금속 부식방지제로서 아민계 화합물의 함량은 기능성 유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3.0 중량% 이다.
한편, 금속 부식방지제의 함량이 적으면 부식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고, 그 함량이 많으면 브레이크 시스템 내의 마스터실린더 작동시 소음이 크게 발생될 수 있다. 상기 금속 부식방지제는 트리아졸계 화합물 0.1-1.5 중량%와 아민계 화합물 0.5-2.5 중량% 를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있어서 상기에서 설명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디아민계 소음저감제는 우수한 소음저감을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금속 부식방지 효과도 동시에 나타내고 있으므로, 본 발명의 기능성 유체 조성물에 포함되는 금속 부식방지제는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고 트리아졸계 화합물만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금속 부식방지제가 트리아졸계 화합물만으로 구성되는 경우에 금속 부식방지제로서 트리아졸 화합물의 함량은 기능성 유체 조성물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0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5-5.0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5-3.0 중량% 이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있어서, 산화방지제는 산화방지를 목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페놀계, 아민계, 유황계, 인계 등 당업계에 공지된 어떠한 것도 이용할 수 있고, 페놀계 산화방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2,6-디-tert-부틸-p-크레졸, 2,6-디-tertiary-부틸-4-sec-부틸 페놀, 비스페놀 A, 디부틸 하이드록시아니솔, 4,4'-부틸리덴비스-(6-t-부틸-3-메틸페놀), 디부틸 하이드록시 톨루엔 등이 있고, 퀴놀인 산화방지제로 트리메틸 디하이드로 퀴놀린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3,5-디(tert-부틸)-4-히드록시톨루엔(BHT)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산화방지제는 기능성 유체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0.1-2.0 중량% 범위로 포함되며, 산화방지제의 함량이 적으면 산화방지 효과를 얻을 수 없고, 그 함량이 많으면 브레이크 시스템 내의 마스터실린더 작동시 소음이 크게 발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a) 본 발명은 글리콜류를 기재로 하는 기능성 유체 조성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나타낸 모노아민계 소음저감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유체 조성물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9
상기 화학식 1에서 X 및 Y는 1 이상의 정수이고, R은 H 또는 CH3 이며,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낸 화합물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600 이상이다.
(b) 본 발명의 기능성 유체 조성물은 소음저감제로 모노아민계 화합물을 사용함으로써, 우수한 소음 저감효과가 있다. 또한, 아민계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트리아졸계 화합물로 구성되는 금속 부식방지제를 사용한 경우에도 우수한 금속 부식방지 효과가 있다.
도 1은 소음 테스트 기기의 구성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2는 실시예 및 실험예 1에서 소음에 대한 음파형태 및 음압레벨(데시벨)을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및 실험예 2에서 소음에 대한 음파형태 및 음압레벨(데시벨)을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실시예 및 실험예 3에서 소음에 대한 음파형태 및 음압레벨(데시벨)을 분석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및 실험예 1.
(1) 기능성 유체 조성물 제조
실시예 1-1 ~ 1-5 및 비교예 1-1 ~ 1-4 의 기능성 유체 조성물은 하기 표 1-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과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표 1-1]
Figure pat00010
한편, 상기 모노아민계 소음저감제는 분자량 600 Mw 의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아민계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1
상기 R이 H인 화합물과 CH3인 화합물의 몰비(mol ratio)는 9:1 이였다.
(2) 소음 테스트 및 금속부식성 시험
소음 테스트를 위하여 도 1과 같은 소음 테스트 기기를 제작하여 브레이크 페달을 반복 작동/리턴하면서 소음 정도를 평가하였다.
도 1의 사진으로 첨부된 소음 테스트 기기는 차량 운전석의 일측에 구비된 브레이크 페달의 작동에 의해 제동력을 발생하는 배력장치와; 상기 배력장치로부터 증폭된 힘을 전달받아 브레이크액압을 발생하는 마스터실린더와; 상기 마스터실린더에서 발생된 브레이크액압에 의해 차량의 제동을 이루기 위해 전,후륜에 각각 설치된 휠실린더와; 상기 마스터실린더로 브레이크액의 공급 및 상기 휠실린더로 부터 리턴되는 브레이크액을 저장하는 오일저장탱크;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상기 브레이크액은 기능성 유체 조성물을 의미한다.
상기 소음 테스트 기기를 이용하여 소음 정도를 측정하였으며, 소음 정도는 하기 표 1-2의 평가기준에 의하여 채점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3에 나타내었다. 또한. 소음에 대한 음파형태 및 음압레벨(데시벨)을 분석하여(음향분석프로그램, WavwLab) 도 2에 나타내었다.
한편, 금속부식성은 KS M 2141의 5.5항 시험법에 따라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1-3에 나타내었다.
[표 1-2]
Figure pat00012
[표 1-3]
Figure pat00013
실시예 및 실험예 2.
(1) 기능성 유체 조성물 제조
실시예 2-1 ~ 2-5 및 비교예 2-1 ~ 2-4 의 기능성 유체 조성물은 하기 표 2-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과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표 2-1]
Figure pat00014
한편, 상기 모노아민계 소음저감제는 분자량 1000 Mw 의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아민계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5
상기 R이 H인 화합물과 CH3인 화합물의 몰비(mol ratio)는 3:19 였다.
(2) 소음 테스트 및 금속부식성 시험
소음 테스트 및 금속부식성 시험은 실시예 및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기준에 의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2-2에 나타내었다. 한편, 소음에 대한 음파형태 및 음압레벨(데시벨)을 분석하여(음향분석프로그램, WavwLab) 도 3에 나타내었다.
[표 2-2]
Figure pat00016
실시예 및 실험예 3.
(1) 기능성 유체 조성물 제조
실시예 3-1 ~ 3-5 및 비교예 3-1 ~ 3-4 의 기능성 유체 조성물은 하기 표 3-1에 나타낸 바와 같은 성분과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표 3-1]
Figure pat00017
한편, 상기 모노아민계 소음저감제는 분자량 2,000 Mw 의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아민계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8
상기 R이 H인 화합물과 CH3인 화합물의 몰비(mol ratio)는 10:31 이였다.
(2) 소음 테스트 및 금속부식성 시험
소음 테스트 및 금속부식성 시험은 실시예 및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 및 기준에 의하여 수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표 3-2에 나타내었다. 한편, 소음에 대한 음파형태 및 음압레벨(데시벨)을 분석하여(음향분석프로그램, WavwLab) 도 4에 나타내었다.
[표 3-2]
Figure pat00019
참고적으로, KS M2141의 5.5항 시험법에 따른 금속부식성 평가방법을 보면 다음과 같다.
(1) 부식성 시험방법
표면의 자국이 없도록 320A 실리콘카바이드로 연마된 표면적 25.5㎠인 금속시험편(주석 합금 철, 강, 알루미늄, 주철, 황동, 구리)을 준비한다. 각각의 금속편의 무게를 0.1㎎까지 측정한 다음 볼트로 조립하여 서로 전기적 접촉이 되게 한다.
조립된 금속편과 표준 SBR컵 각 1개씩을 475㎖ 용량의 유리병에 넣고 증류수가 5vol% 섞인 브레이크액을 400㎖ 채운다. 지름 (0.8±0.1)㎜의 환기구멍이 있는 주석 도금된 철 뚜껑으로 유리병을 꽉 닫고 100±2℃의 오븐에 120±2시간 동안 넣어둔다.
병을 상온에서 60~90분간 방랭하고 즉시 금속편을 꺼낸 다음, 물로 씻어내어 하나씩 95% 에탄올을 적신 헝겊으로 닦는다. 금속편에 부식이나 팬 자국이 있는가를 조사한다.
한편, 부식성 시험에 사용되는 금속 시험편 및 브레이트액 시험용 컵에 대한 것은 하기 표 4 및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다.
[표 4]
Figure pat00020
[표 5]
Figure pat00021
(2) 부식성 평가방법
상기 부식성 시험방법에 따라 브레이크액을 시험하였을 때 시험편의 무게를 0.1mg 단위로 측정하여 계산식 4에 따라 변화량(㎎/㎠)을 계산한다.
무게 변화는 하기 표 7에 나타난 기준값 이상의 부식성을 나타내면 안된다. 금속편의 바깥 접촉면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을 정도로 패이거나 거칠게 되어 있어서는 안된다. 다만, 얼룩이 지거나 탈색되는 것은 허용된다.
브레이크액/물의 혼합액은 시험이 끝났을 때 (23±5)℃에서 굳어지지 않아야 하며, 결정체 모양의 침전물이 형성되어 유리병의 벽이나 금속편의 표면에 달라붙어서는 안 된다. 이 혼합물은 0.1부피% 이상의 침전물을 함유하지 않아야 하며, 이 혼합물의 pH는 7.0 이상 11.5 이하이어야 한다.
[계산식 4]
Figure pat00022
[표 6]
Figure pat00023

Claims (7)

  1. 글리콜류를 기재로 하는 기능성 유체 조성물로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모노아민계 소음저감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유체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pat00024

    상기 화학식 1에서 X 및 Y는 1 이상의 정수이고, R은 H 또는 CH3 이며,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낸 화합물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600 이상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로 나타낸 화합물의 중량평균 분자량은 600 이상 2000 이하인 기능성 유체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모노아민계 소음저감제를 0.05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기능성 유체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모노아민계 소음저감제를 0.1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기능성 유체 조성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화학식 1의 모노아민계 소음저감제를 0.2 내지 5.0 중량% 포함하는 기능성 유체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금속 부식방지제, 산화방지제 중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포함하는 기능성 유체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부식방지제는 아민계 금속 부식방지제를 포함하지 않는 트리아졸계 금속 부식방지제인 기능성 유체 조성물.
KR1020170163561A 2017-11-30 2017-11-30 기능성 유체 조성물 KR102405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561A KR102405279B1 (ko) 2017-11-30 2017-11-30 기능성 유체 조성물
US15/874,525 US20190161700A1 (en) 2017-11-30 2018-01-18 Functional fluid compositions
PCT/KR2018/014544 WO2019107842A1 (ko) 2017-11-30 2018-11-23 기능성 유체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3561A KR102405279B1 (ko) 2017-11-30 2017-11-30 기능성 유체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4192A true KR20190064192A (ko) 2019-06-10
KR102405279B1 KR102405279B1 (ko) 2022-06-07

Family

ID=66634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3561A KR102405279B1 (ko) 2017-11-30 2017-11-30 기능성 유체 조성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190161700A1 (ko)
KR (1) KR102405279B1 (ko)
WO (1) WO2019107842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965A (ko) * 1983-08-05 1985-04-10 오비탈 엔진 캄파니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연료분사 방법 및 장치
US20130023455A1 (en) * 2011-06-30 2013-01-24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Lubric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etheramines
KR20140143823A (ko) * 2012-04-04 2014-12-17 더루우브리졸코오포레이션 미분쇄 장치용 베어링 윤활제
CN106118821A (zh) * 2016-06-27 2016-11-16 辽宁道博精细化学品生产有限公司 一种醇醚硼酸酯型dot4制动液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83937A (en) * 1981-09-21 1983-05-17 Cincinnati Milacron Inc. Aqueous functional fluid compositions
US5464549A (en) * 1991-12-12 1995-11-07 Ethyl Corporation Oil soluble dispersants suitable for use in fuels and lubricants
US6916768B2 (en) * 2003-02-20 2005-07-12 Chevron U.S.A. Inc. Low noise grease gelling agents
KR101466146B1 (ko) * 2011-11-04 2014-11-28 극동제연공업 주식회사 트리아졸과 티아디아졸을 포함하는 브레이크액 조성물
KR101449156B1 (ko) * 2012-12-10 2014-10-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50001965A (ko) * 1983-08-05 1985-04-10 오비탈 엔진 캄파니 프로프라이어터리 리미티드 연료분사 방법 및 장치
US20130023455A1 (en) * 2011-06-30 2013-01-24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Lubricating Compositions Containing Polyetheramines
KR20140143823A (ko) * 2012-04-04 2014-12-17 더루우브리졸코오포레이션 미분쇄 장치용 베어링 윤활제
CN106118821A (zh) * 2016-06-27 2016-11-16 辽宁道博精细化学品生产有限公司 一种醇醚硼酸酯型dot4制动液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107842A1 (ko) 2019-06-06
US20190161700A1 (en) 2019-05-30
KR102405279B1 (ko) 2022-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20066B2 (en) Fluid composition having enhanced heat transfer efficiency
JP5158722B2 (ja) ブレーキ液
CA1139090A (en) Poly (alkylene oxide) compositions
WO2013065903A1 (ko) 트리아졸과 티아디아졸을 포함하는 브레이크액 조성물
KR100630848B1 (ko) 카복실산 및 시클로헥센산 부식 방지제를 포함하는 부동액 조성물
KR20130038358A (ko) 저점도 기능성 유체
JP5480285B2 (ja) 低粘度機能性流体
KR20150008189A (ko) 신규 저점성도 기능성 유체 조성물
JP2016113609A (ja) 自動車用ブレーキ液組成物
EP0750033B1 (en) Hydraulic fluid composition
US6339050B1 (en) Brake fluid composition for an automobile
FI82950C (fi) Korrosionsfoerhindrande vaermeoeverfoeringskomposition.
KR20190064192A (ko) 기능성 유체 조성물
US9175238B2 (en) Brake fluid composition comprising tartaric acid and imidazole
KR20190064191A (ko) 기능성 유체 조성물
KR20040081459A (ko) 모노프탈아미드의 암모늄염을 함유하는 엔진의 런-인시기용 수성 냉매
WO2015000063A1 (en) Use of charged cellulose nanocrystals for corrosion inhibition and a corrosion inhibiting composition comprising the same
KR101458630B1 (ko) 타르타릭산과 이미다졸을 포함하는 브레이크액 조성물
KR101449156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액 조성물
JP7157247B2 (ja) 低粘度機能性流体組成物
WO2010053639A1 (en) Low viscosity functional flui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