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3604A -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 Google Patents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3604A
KR20190063604A KR1020170162512A KR20170162512A KR20190063604A KR 20190063604 A KR20190063604 A KR 20190063604A KR 1020170162512 A KR1020170162512 A KR 1020170162512A KR 20170162512 A KR20170162512 A KR 20170162512A KR 20190063604 A KR20190063604 A KR 201900636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cket
plug
clip
hot water
socke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25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10981B1 (ko
Inventor
이용석
손승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Priority to KR10201701625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0981B1/ko
Priority to US16/117,883 priority patent/US11168822B2/en
Publication of KR201900636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36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0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0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2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hooks, pawls or other movable or insertable locking members
    • F16L37/14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 F16L37/142Joints secured by inserting between mating surfaces an element, e.g. a piece of wire, a pin, a chain where the securing element is inserted tangentiall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2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 A47C21/04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ventilating or cooling with active means, e.g. by using air blowers or liquid pump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084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combined with automatic lock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56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for double-walled or multi-channel pipes or pipe assemblies
    • F24H9/122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HFLUID HEATERS, e.g. WATER OR AIR HEATERS, HAVING HEAT-GENERATING MEANS, e.g. HEAT PUMPS, IN GENERAL
    • F24H9/00Details
    • F24H9/1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 F24H9/1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eaters to circulation pipes for water hea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8HEAT EXCHANGE IN GENERAL
    • F28FDETAILS OF HEAT-EXCHANGE AND HEAT-TRANSFER APPARATUS, OF GENERAL APPLICATION
    • F28F3/00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Assemblies of plate-like or laminated elements
    • F28F3/12Elements constructed in the shape of a hollow panel, e.g. with chan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7/0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 F16L37/08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 F16L37/10Couplings of the quick-acting type in which the connection between abutting or axially overlapping ends is maintained by locking members using a rotary external sleeve or ring on one pa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Quick-Acting Or Multi-Walled Pip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수의 플러그의 평행도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라도 플러그와 소켓이 정상적으로 조립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는, 온수가 급수 및 환수되는 복수의 호스에 연결되고, 분리형 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소켓과, 상기 복수의 소켓의 외측에 유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소켓을 자유도를 갖도록 지지하는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Connector assembly for hose connection of hot water mat}
본 발명은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온수의 급수 및 환수를 위해 매트 측에 구비된 복수의 호스와 온수순환기 측에 구비된 복수의 호스를 상호 연결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수매트는 물을 가열하여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순환기와, 상기 온수순환기에서 가열된 온수를 열원으로 하여 난방이 이루어지는 매트로 구성된다.
상기 온수순환기와 매트에는 온수를 급수 및 환수하기 위한 복수의 호스가 연결되며, 온수순환기 측과 매트 측에 구비된 복수의 호스를 상호 연결하거나 분리하기 위한 용도로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가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매트 측 호스에 연결된 소켓과, 온수순환기 측 호스에 연결되며 상기 소켓에 착탈되는 플러그를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의 외측면에는 소켓과 플러그의 조립시 소켓의 내측면에 압착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오링 등의 실링부재가 결합된다.
이러한 커넥터 조립체와 관련된 선행기술의 일례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473859호에는 복수의 소켓과 복수의 플러그가 각각 일체형 구조로 이루어진 온수순환기용 원터치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조인트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복수의 소켓과 복수의 플러그를 각각 일체형 구조로 구성할 경우, 제작공차 또는 조립공차에 의해 복수의 플러그의 평행도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는 복수의 소켓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플러그를 삽입시켜 조립함에 있어서, 소켓과 플러그가 나란한 방향으로 조립되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에서 조립되므로, 플러그의 외측면에 결합되는 실링부재의 기울어진 측과 그 반대측 간에 압착되는 정도가 균일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실링부재의 압착 정도가 적은 측에서는 소켓의 내측면과의 사이에 틈이 생겨 누수 현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복수의 플러그의 평행도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라도 플러그와 소켓이 정상적으로 조립되어 누수를 방지할 수 있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는, 온수가 급수 및 환수되는 복수의 호스에 연결되고, 분리형 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소켓과, 상기 복수의 소켓의 외측에 유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소켓을 자유도를 갖도록 지지하는 클립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클립은, 상기 복수의 소켓의 상부 외측면 둘레에 구비되는 상부 클립과, 상기 복수의 소켓의 하부 외측면 둘레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클립과 체결되는 하부 클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상부 클립에는 상기 복수의 소켓의 상부 외측면을 유격을 두고 지지하는 상부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클립에는 상기 복수의 소켓의 하부 외측면을 유격을 두고 지지하는 하부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켓의 외측면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클립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유격을 두고 삽입되는 지지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클립과 상기 소켓의 상부를 덮는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클립과 상기 소켓의 하부를 덮으며 상기 상부 커버와 체결되는 하부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켓의 일측부는 상기 하부 커버의 일측부에 형성된 통공의 내측에 유격을 두고 거치될 수 있다.
상기 상부 클립과 상기 상부 커버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착탈식으로 상호 끼움결합되는 제1착탈홈과 제1착탈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클립과 상기 하부 커버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착탈식으로 상호 끼움결합되는 제2착탈홈과 제2착탈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켓에는 온수가 급수 및 환수되는 복수의 호스에 연결되는 복수의 플러그가 착탈식으로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소켓과 플러그의 조립시에는 상기 플러그에 걸림되고, 상기 소켓과 플러그의 분리시에는 상기 플러그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분리 및 결속 수단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분리 및 결속 수단은,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소켓을 관통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의 일측부가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록킹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는 상기 복수의 소켓이 자유도를 가지며 지지되도록 상기 소켓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유격을 두고 삽입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가 상향 이동되면, 상기 통공의 하측에 위치하는 록킹부의 하단부가 상기 플러그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되어 상기 소켓과 플러그가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누름부가 하향 이동되면, 상기 록킹부의 하단부가 상기 걸림홈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소켓과 플러그가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누름부에는 상방향 이동시 상기 소켓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형성된 걸림턱과 걸림되어 상기 누름부의 상방향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름부는 상방향 이동시 상부 커버에 걸림되어 상방향 이동 범위가 제한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부의 하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소켓과 플러그의 조립시 상기 플러그의 외측면이 상기 경사면을 타고 이동된 후에 상기 록킹부의 하단부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소켓에는 온수가 급수 및 환수되는 복수의 호스에 연결되는 복수의 플러그가 착탈식으로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플러그와 소켓의 조립시, 상기 플러그와 접속되는 소켓은 자유도에 의해 상기 플러그와 나란한 방향으로 변위되어 정렬 상태로 조립되는 것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에 의하면, 복수의 소켓을 분리형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소켓이 유격 범위 내에서 자유도를 갖도록 구성함으로써, 복수의 플러그의 평행도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라도 평행도가 틀어진 플러그에 대응하여 조립되는 소켓은 평행도가 틀어진 플러그와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되어 조립되므로, 플러그 측에 결합된 실링부재의 전체 영역이 소켓의 내측면에 균일한 정도로 압착되어 누수를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의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도 1의 정면도,
도 6은 도 1의 배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8은 (a) 하부 클립과 하부 커버 간의 결합 구조와, (b) 상부 클립과 상부 커버 간의 결합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9는 소켓에 상부 및 하부 클립과 분리 및 결속 수단이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평면도,
도 11은 도 2의 A-A 선을 따르는 단면도로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결합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2는 도 4의 B-B 선을 따르는 단면도로서, 제1커넥터와 제2커넥터가 분리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3은 도 5의 C-C 선을 따르는 단면도로서, 플러그의 평행도가 틀어진 경우에도 소켓과 플러그가 정상 조립되어 누수가 방지되는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4는 도 10의 D-D 선을 따르는 단면도로서, 소켓몸체와 상부 및 하부 클립 간에 유격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15는 도 10의 E-E 선을 따르는 단면도로서, 소켓몸체와 분리 및 결속 수단 간에 유격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명세서에서‘일측’은 플러그를 향하는 방향(도 11과 도 12를 기준으로 좌측)을 의미하고,‘타측’은 소켓을 향하는 방향(도 11과 도 12를 기준으로 우측)을 의미한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이하,‘커넥터 조립체’로 약칭함)(1)는, 온수매트의 매트(미도시됨) 측에 연결되는 제1커넥터(1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커넥터(100)의 일측에는 온수매트의 온수순환기(미도시됨) 측에 연결되는 제2커넥터(200)가 착탈식으로 조립된다.
상기 제1커넥터(100)와 제2커넥터(100)에는 온수매트의 매트와 온수순환기를 순환하는 온수의 급수 및 환수를 위한 복수의 호스(미도시됨)가 연결된다.
상기 제1커넥터(100)는, 분리형 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소켓(110;110a,110b,110c), 상기 소켓(110)의 상부와 하부에 소정의 유격(G1,G2, 도 14 참조)을 두고 조립되는 상부 클립(120)과 하부 클립(130), 상기 상부 클립(120)과 하부 클립(130)이 조립된 소켓(110)의 상부와 하부를 덮는 상부 커버(150)와 하부 커버(160), 상기 상부 커버(150)의 일측부에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소켓(110)과 플러그(210)의 조립시에는 상기 플러그(210)에 걸림되고, 상기 소켓(110)과 플러그(210)의 분리시에는 상기 플러그(210)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며, 상기 소켓(100)과 소정의 유격(G3, 도 15 참조)을 두고 조립되는 분리 및 결속 수단(170)을 포함한다.
상기 제2커넥터(200)는 플러그 몸체(211,213)에 의해 일체형 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플러그(210;210a,210b,210c)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상기 소켓(110)은 분리형으로 사출 성형된 제1소켓(110a)과 제2소켓(110b) 및 제3소켓(110c)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소켓(110b)은 온수순환기에서 매트 측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급수관(미도시됨)에 연결되고, 상기 제1소켓(110a)과 제3소켓(110c)은 매트에서 온수순환기 측으로 온수가 환수되는 제1 및 제2 온수 환수관(미도시됨)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소켓(110)의 개수와 온수 급수관 및 온수 환수관에 연결되는 구성은 보일러의 구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7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소켓(110)은 외형을 이루는 소켓몸체(111)를 포함한다. 상기 소켓몸체(111)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플러그(210)의 제2플러그 몸체(213)가 삽입되는 통공(112)이 형성된다. 상기 소켓몸체(111)의 일측 상부에는 후술되는 분리 및 결속 수단(170)의 록킹부(172)가 승강 가능하도록 상하 방향으로 가이드홈(113)이 형성된다. 상기 분리 및 결속 수단(170)은 상기 가이드홈(113)의 내측에 소정의 유격(G3, 도 15 참조)을 두고 삽입된다.
상기 가이드홈(113)의 일측으로 소켓몸체(111)의 상부에는 후술되는 탄성부재(140)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지지홈(114)이 형성되고, 상기 소켓몸체(111)의 타측 상부와 하부에는 후술되는 상부 클립(120)과 하부 클립(130)에 형성된 지지홈(133)에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돌기(115)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지지돌기(115)는 상기 지지홈(133)의 내측에 소정의 유격을 두고 삽입되어 소켓(110)의 위치 이탈이 방지되도록 지지하게 된다.
상기 소켓몸체(111)의 타측단에는 온수의 급수 및 환수를 위한 복수의 호스에 삽입되는 호스 삽입관(119)이 결합된다.
상기 소켓몸체(111)의 내부공간(111b)에는 온수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개폐부재(116)가 구비된다. 상기 소켓몸체(111)의 내측면에는 내측으로 소정길이 돌출된 걸림턱(111a)이 형성되고, 상기 개폐부재(116)의 타측부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턱(111a)에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117)가 결합된다. 상기 개폐부재(116)의 일측단에는 플랜지 형상의 걸림부(116a)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부(116a)와 걸림턱(111a)에 양단이 지지되는 탄성부재(118)가 구비된다. 상기 개폐부재(116)의 일측단은 소켓몸체(111)의 내부공간(111b)과 연통되도록 개구되고, 개폐부재(116)의 일측부 영역에는 온수의 소통을 위한 개구부(116b)가 형성된다.
상기 개폐부재(116)에 의한 유로의 개폐 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상부 클립(120)과 하부 클립(130)은 분리형 구조의 복수의 소켓(110;110a,110b,110c)을 자유도를 갖도록 동시에 지지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상부 클립(120)에는 소켓(110)의 상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상부 지지홈(121)과, 하부 클립(130)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123)가 관통하는 체결공(12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클립(130)에는 소켓(110)의 하부와 대응되는 형상의 하부 지지홈(131)과, 상기 체결공(122)에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체결부재(123)가 체결되는 체결돌기(132)와, 상기 소켓몸체(111)에 형성된 지지돌기(115)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지지홈(133)이 형성된다. 상부 클립(120)에도 하부 클립(130)에 형성된 지지홈(133)과 대응하는 지지홈(미도시됨)이 형성된다.
상기 소켓(110)은 상부 클립(120)의 상부 지지홈(121)과 하부 클립(130)의 하부 지지홈(131) 내에 소정의 유격을 두고 구비된다. 즉, 상기 소켓(110)은 플러그(210)와 조립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그 자중에 의해 하부 클립(130) 상에 거치된 상태로 위치하게 된다.
상기 상부 커버(150)와 하부 커버(160)는, 소켓몸체(111)와, 그 외측면 둘레에 결합된 상부 클립(120)과 하부 클립(130), 분리 및 결속 수단(170)을 지지함과 아울러 사용자의 그립감과 외관미을 향상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상부 커버(150)는 소켓(110)의 상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상부 커버(150)의 일측부에는 분리 및 결속 수단(170)이 승강 가능하도록 개구부(151)가 형성되고, 상부 커버(150)의 하단부에는 하부 커버(16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166)가 결합되는 복수의 체결구(152)와, 상부 클립(120)과의 끼움결합을 위한 제1착탈돌기(154)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 커버(150)의 타측면에는 상기 호스삽입관(119)에 연결되는 복수의 호스가 관통하는 통공(155)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커버(160)는 소켓(110)의 일측면과 하부를 감싸는 형태로 형성되고, 하부 커버(160)의 일측면에는 상기 소켓(110)에 형성된 통공(112)과 대응하는 위치에 통공(161)이 형성된다. 상기 통공(161)의 내측에는 소켓(110)의 일측부(111c)가 유격(G, 도 3 참조)을 두고 거치되며, 상기 유격(G)에 의해 소켓(110)을 유격(G)의 범위내에서 외력의 작용시 회전 및 변위 가능한 자유도를 갖도록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하부 커버(160)의 타측면에는 상기 호스삽입관(119)에 연결되는 복수의 호스가 관통하는 통공(162)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커버(160)의 바닥면 상에는 하부 클립(130)과의 끼움결합을 위한 제2착탈돌기(163)와, 상부 커버(150)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부재(166)가 관통되는 복수의 체결구(164)가 형성된다. 또한, 하부 커버(160)의 일측면에는 플러그(210)에 형성된 삽입돌기(213c, 도 12 참조)가 수용되는 삽입구(165)가 형성된다. 상기 삽입돌기(213c)와 삽입구(165)는 플러그(210)의 오조립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도 8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상부 클립(120)의 상면에는 상부 커버(150)에 형성된 제1착탈돌기(154)가 삽입되어 착탈식으로 끼움결합되는 제1착탈홈(124)이 형성된다. 도 8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하부 클립(130)의 저면에는 하부 커버(160)에 형성된 상기 제2착탈돌기(163)가 삽입되어 착탈식으로 끼움결합되는 제2착탈홈(134)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부 클립(120)과 상부 커버(150), 하부 클립(130)과 하부 커버(160)가 착탈식으로 조립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소켓(110)과 상부 및 하부 클립(120,130)이 조립된 조립체를 상부 커버(150)와 하부 커버(160)에 간편하게 착탈식으로 조립하거나 분리할 수 있다.
이 경우, 소켓(110)의 일측부(111c)를 하부 커버(160)의 일측부에 형성된 통공(161)의 내측에 위치시킨 후에, 상기 하부 클립(130)에 형성된 제2착탈홈(134)에 하부 커버(160)에 형성된 제2착탈돌기(163)를 끼움결합시키고, 상기 상부 클립(120)에 형성된 제1착탈홈(124)에 상부 커버(150)에 형성된 제1착탈돌기(154)를 끼움결합시켜, 소켓(110)과 상부 및 하부 클립(120,130)이 조립된 조립체를 상부 커버(150)와 하부 커버(160)에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상기 분리 및 결속 수단(170)은, 사용자가 원터치 방식으로 누름으로써 소켓(110)과 플러그(210)를 간편하게 분리 및 결속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소켓(110)과 플러그(210)의 조립시에는 상기 플러그(210)에 걸림되고, 상기 소켓(110)과 플러그(210)의 분리시에는 상기 플러그(210)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구성된다. 이를 위한 구성으로, 상기 분리 및 결속 수단(170)은, 누름부(171)와, 상기 누름부(170)에서 하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소켓(110)에 형성된 가이드홈(113)을 관통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록킹부(172)를 포함한다. 상기 록킹부(172)에는 플러그(210)의 일측부가 관통하도록 통공(173)이 형성되고, 상기 통공(173)의 하측에 위치하는 록킹부(173)의 하단부에는 경사면(17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누름부(171)는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탄성부재(140)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탄성부재(140)의 양단은 각각 소켓몸체(111)에 형성된 지지홈(114)과 누름부(141)의 저면에 의해 지지된다.
도 15를 참조하면, 상기 누름부(171)에는 상방향 이동시 상기 소켓(110)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홈(113)에 형성된 걸림턱(113a)과 걸림되어 상기 누름부(171)의 상방향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단차(172a)가 형성된다.
도 7과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누름부(171)의 상단에는 단차부(175)가 형성되고, 상부 커버(150)의 하단부에는 상기 단차부(175)에 걸림되어 상기 누름부(171)의 상방향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걸림부(153)가 형성된다.
상기 분리 및 결속 수단(170)의 작용은 후술한다.
일실시예로, 상기 플러그(210)는 일체형으로 형성된 제1플러그(210a)와 제2플러그(210b) 및 제3플러그(210c)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플러그(210b)는 온수순환기에서 매트 측으로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급수관(미도시됨)에 연결되고, 상기 제1플러그(210a)와 제3플러그(210c)는 매트에서 온수순환기 측으로 온수가 환수되는 제1 및 제2 온수 환수관(미도시됨)에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플러그(210)의 개수와 온수 급수관 및 온수 환수관에 연결되는 구성은 보일러의 구성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도 7과 도 11 및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플러그(210)는 외형을 이루며 일측부에 위치하는 제1플러그 몸체(211)와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플러그 몸체(211)에 결합되는 제2플러그 몸체(213)를 포함한다. 상기 제1플러그 몸체(211)의 일측부에는 온수의 급수 및 환수를 위한 복수의 호스에 삽입되는 호스삽입관(212)이 형성된다. 상기 제2플러그 몸체(213)의 타측부 외측면에는 실링부재 결합홈(214)이 형성되고, 상기 실링부재 결합홈(214)에는 소켓(110)과 플러그(210)의 조립시 소켓(110)의 내측면에 밀착되어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실링부재(220)가 결합된다.
상기 제2플러그 몸체(213)의 내측에는 제1플러그 몸체(211)의 내부공간(211b)과 연결되는 온수의 유로를 개폐하기 위한 슬리브관(230)이 구비된다.
상기 제2플러그 몸체(213)의 내측면에는 걸림턱(213a)이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관(230)의 일측부 외측면에는 상기 걸림턱(213a)에 밀착되어 수밀을 유지하기 위한 실링부재(240)가 결합된다. 상기 제1플랜지 몸체(211)의 내측면에는 걸림턱(211a)이 형성되고, 상기 슬리브관(230)의 일측부 외주면에는 플랜지 형상의 걸림부(231)가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211a)과 걸림부(231)에 양단이 지지되는 탄성부재(250)가 구비된다. 상기 슬리브관(230)의 타측단은 개구되고, 슬리브관(230)의 타측부 영역에는 온수의 소통을 위한 개구부(230b)가 형성된다. 소켓(110)과 플러그(210)가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슬리브관(230)의 타측단은 제2플러그 몸체(213)의 타측단보다 타측으로 소정 길이 돌출되어 위치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슬리브관(230)에 의한 유로의 개폐 작용은 후술하기로 한다.
이하, 도 11과 도 12를 참조하여, 소켓(110)과 플러그(210)가 분리 및 결속되는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도 12를 참조하면, 소켓(110)과 플러그(21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소켓몸체(111)의 내측에 구비된 개폐부재(116)는 탄성부재(118)의 탄성력에 의해 일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가 되며, 이때 개폐부재(116)에 결합된 실링부재(117)는 소켓몸체(111)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111a)에 밀착되어 소켓몸체 내부공간(111b)과 호스삽입구 내부공간(119a) 사이에 유체 소통이 차단되어, 호스삽입관(119) 내부의 온수가 제1커넥터(100)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소켓(110)과 플러그(210)가 분리된 상태에서는, 제2플러그 몸체(213)의 내측에 구비된 슬리브관(230)은 탄성부재(250)의 탄성력에 의해 타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압된 상태가 되며, 이때 슬리브관(230)에 결합된 실링부재(240)는 제2플러그 몸체(213)의 내측면에 형성된 걸림턱(213a)에 밀착되어 제1플러그 몸체 내부공간(211b)과 슬리브관 내부공간(230a) 사이에 유체 소통이 차단되어, 호스삽입관(212) 내부의 온수가 제2커넥터(200)의 외부로 누수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소켓(110)과 플러그(210)를 조립하는 경우, 소켓(110)의 일측부에 형성된 통공(161,112)을 통하여 플러그(210)의 제2플러그 몸체(213)를 타측 방향으로 삽입한다. 이때, 제2플러그 몸체(213)의 외측면은 소켓몸체(111)의 내측면을 따라 삽입된다. 제2플러그 몸체(213)의 타측단에서 타측으로 돌출된 위치에 있는 슬리브관(230)의 타측단이 개폐부재(116)의 일측단에 형성된 걸림부(116a)의 일측면에 접촉하기 시작한 시점부터 제2플러그 몸체(213)를 타측으로 더욱 밀어넣게 되면, 소켓(110)의 개폐부재(116)는 슬리브관(230)의 삽입 방향인 타측으로 밀려나게 되고, 플러그(210)의 슬리브관(230)은 개폐부재(116)의 반발력에 의해 일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때, 개폐부재(116) 둘레의 탄성부재(118)와 슬리브관(230) 일측의 탄성부재(250)는 압착된 상태가 되고, 개폐부재(116)에 결합된 실링부재(117)는 걸림턱(111a)의 타측으로 이격되며, 슬리브관(230)에 결합된 실링부재(240)는 걸림턱(213)의 일측으로 이격된다.
상기 제2플러그 몸체(213)가 소켓몸체(111)의 내측으로 삽입되면, 분리 및 결속 수단(170)의 록킹부(172)의 하단부에 형성된 경사면(174)이 제2플러그 몸체(213)에 닿게 되어 하방향으로 가압되고, 이에 따라 누름부(171)와 록킹부(172)도 함께 하향 이동하게 되며, 록킹부(172)의 하단부가 제2플러그 몸체(213)의 걸림홈(213b)과 대응되는 위치까지 제2플러그 몸체(213)가 삽입되면, 탄성부재(118)의 탄성력에 의해 분리 및 결속 수단(170)의 하단부가 상향 이동되어 걸림홈(213b)에 걸림되므로 소켓(110)과 플러그(210)가 조립되어 록킹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11에서 화살표시는 온수의 유동경로를 나타낸 것이다.
이와 같이 소켓(110)과 플러그(210)가 조립된 상태에서, 소켓(110)과 플러그(21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사용자가 분리 및 결속 수단(170)의 누름부(171)를 원터치 방식으로 아래로 누르게 되면, 록킹부(172)의 하단부가 걸림홈(213b)의 하측으로 빠져나오게 되고, 이때 탄성부재(118,250)의 복원력에 의해 플러그(210)는 일측 방향으로 밀려나게 되어 플러그(210)를 소켓(110)의 외측으로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하,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플러그(210)의 평행도가 틀어진 경우에도 소켓(110)과 플러그(210)가 정상 조립되어 누수가 방지되는 작용을 설명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플러그(210)의 평행도가 틀어진 경우란, 복수의 플러그(210a,210b,210c) 중 일부의 플러그(210c)가 평행한 방향(L)을 기준으로 일측 방향(L1)으로 소정 각도(θ) 경사진 상태를 의미한다. 이와 같이 복수의 플러그(210a,210b,210c)의 평행도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는, 플러그(210)를 온수순환기에 볼트 등의 체결부재에 의해 조립할 때 복수의 체결지점에서의 체결 강도가 일정치 않아 일부의 플러그에 변형이 발생하는 조립공차에 기인하거나, 플러그(210)의 제작공차에 기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110)의 소켓몸체(111)의 외측면과 상부 및 하부 클립(120,130)의 내측면 사이에 소정의 유격(G1,G2)이 형성되도록 구성하고,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몸체(111)의 가이드홈(113)과 분리 및 결속 수단(170)의 록킹부(172)의 외측면 사이에 소정의 유격(G3)이 형성되도록 구성함과 아울러 전술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몸체(111)의 일측부(113d)가 하부 커버(160)의 일측부에 형성된 통공(161)의 내측에 유격(G)을 가지며 위치하도록 구성함으로써, 분리형으로 형성된 복수의 소켓(110;110a,110b,110c)이 각각의 자유도를 갖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자유도’란 상기 유격(G1,G2,G3)의 범위 내에서 소켓(110)이 전방위로 소정 각도 회전 및 변위 가능한 것을 의미한다.
즉, 상기 플러그(210)가 소켓(1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조립되는 경우, 플러그(210)의 제2몸체부(213)가 소켓몸체(111)의 내부공간(111b)으로 삽입되어 소켓몸체(111)의 내측면과 접촉되면서 소켓(210)에 힘을 작용하게 되며, 이때 소켓(210)은 외력의 작용시 상기 유격(G,G1,G2,G3)의 범위 내에서 회전 및 변위 가능한 상태에 있으므로, 상기 플러그(210)가 삽입되면서 작용하는 힘의 방향으로 회전 및 변위되어 플러그(210)의 삽입방향과 나란한 방향이 되도록 정렬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소켓(110)을 분리형으로 형성하고, 각각의 소켓(110a,110b,110c)에 자유도를 부여함으로써, 상기 복수의 플러그(210)의 평행도가 상호 일치하지 않는 경우에도, 평행도가 틀어진 플러그(210c)에 대응하여 조립되는 소켓(110c)은 상기 자유도에 의해 상기 평행도가 틀어진 플러그(210c)와 나란한 방향으로 자동적으로 정렬되어 상기 실링부재(220)의 전체 영역이 소켓몸체(111)의 내측면에 균일한 정도로 압착되므로 누수 현상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벗어남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자명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실시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커넥터 조립체 100 : 제1커넥터
110 : 소켓 111 : 소켓몸체
112 : 통공 113 : 가이드홈
113a : 걸림턱 114 : 지지홈
115 : 지지돌기 116 : 개폐부재
117 : 실링부재 118 : 탄성부재
119 : 호스삽입관 120 : 상부 클립
121 : 상부 지지홈 122 : 체결공
123 : 체결부재 124 : 제1착탈홈
130 : 하부 클립 131 : 하부 지지홈
132 : 체결돌기 133 : 지지홈
134 : 제2착탈홈 140 : 탄성부재
150 : 상부 커버 151 : 개구부
152 : 체결구 153 : 걸림부
154 : 제1착탈돌기 160 : 하부 커버
161,162 : 통공 163 : 제2착탈돌기
164 : 체결구 165 : 삽입구
166 : 체결부재 170 : 분리 및 결속 수단
171 : 누름부 172 : 록킹부
172a : 단차 173 : 통공
174 : 경사면 175 : 단차부
200 : 제2커넥터 210 : 플러그
211 : 제1플러그 몸체 212 : 호스삽입관
213 : 제2플러그 몸체 214 : 실링부재 삽입홈
220 : 실링부재 230 : 슬리브관
240 : 실링부재 250 : 탄성부재
G,G1,G2,G3 : 유격

Claims (16)

  1. 온수가 급수 및 환수되는 복수의 호스에 연결되고, 분리형 구조로 형성된 복수의 소켓;
    상기 복수의 소켓의 외측에 유격을 두고 구비되어, 상기 복수의 소켓을 자유도를 갖도록 지지하는 클립;
    을 포함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기 복수의 소켓의 상부 외측면 둘레에 구비되는 상부 클립과, 상기 복수의 소켓의 하부 외측면 둘레에 구비되며 상기 상부 클립과 체결되는 하부 클립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클립에는 상기 복수의 소켓의 상부 외측면을 유격을 두고 지지하는 상부 지지홈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 클립에는 상기 복수의 소켓의 하부 외측면을 유격을 두고 지지하는 하부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외측면에는 지지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클립에는 상기 지지돌기가 유격을 두고 삽입되는 지지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클립과 상기 소켓의 상부를 덮는 상부 커버와,
    상기 하부 클립과 상기 소켓의 하부를 덮으며 상기 상부 커버와 체결되는 하부 커버를 더 포함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의 일측부는 상기 하부 커버의 일측부에 형성된 통공의 내측에 유격을 두고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클립과 상기 상부 커버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착탈식으로 상호 끼움결합되는 제1착탈홈과 제1착탈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클립과 상기 하부 커버에는, 대응되는 위치에 착탈식으로 상호 끼움결합되는 제2착탈홈과 제2착탈돌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는 온수가 급수 및 환수되는 복수의 호스에 연결되는 복수의 플러그가 착탈식으로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소켓과 플러그의 조립시에는 상기 플러그에 걸림되고, 상기 소켓과 플러그의 분리시에는 상기 플러그와의 걸림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는 분리 및 결속 수단을 더 포함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및 결속 수단은, 누름부와, 상기 누름부에서 연장형성되어 상기 소켓을 관통하여 승강 가능하도록 구비되며 상기 플러그의 일측부가 관통하는 통공이 형성된 록킹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는 상기 복수의 소켓이 자유도를 가지며 지지되도록 상기 소켓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유격을 두고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가 상향 이동되면, 상기 통공의 하측에 위치하는 록킹부의 하단부가 상기 플러그의 외측면에 형성된 걸림홈에 걸림되어 상기 소켓과 플러그가 조립된 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누름부가 하향 이동되면, 상기 록킹부의 하단부가 상기 걸림홈의 외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소켓과 플러그가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누름부에는 상방향 이동시 상기 소켓의 일측에 형성된 가이드홈에 형성된 걸림턱과 걸림되어 상기 누름부의 상방향 이동 범위를 제한하는 단차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부는 상방향으로 탄성력을 받도록 탄성부재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누름부는 상방향 이동시 상부 커버에 걸림되어 상방향 이동 범위가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록킹부의 하단부에는 경사면이 형성되어, 상기 소켓과 플러그의 조립시 상기 플러그의 외측면이 상기 경사면을 타고 이동된 후에 상기 록킹부의 하단부가 상기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걸림홈에 걸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켓에는 온수가 급수 및 환수되는 복수의 호스에 연결되는 복수의 플러그가 착탈식으로 삽입되어 조립되고,
    상기 플러그와 소켓의 조립시, 상기 플러그와 접속되는 소켓은 자유도에 의해 상기 플러그와 나란한 방향으로 변위되어 정렬 상태로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KR1020170162512A 2017-11-30 2017-11-30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KR102110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512A KR102110981B1 (ko) 2017-11-30 2017-11-30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US16/117,883 US11168822B2 (en) 2017-11-30 2018-08-30 Connector assembly for hose connection of hot water m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2512A KR102110981B1 (ko) 2017-11-30 2017-11-30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3604A true KR20190063604A (ko) 2019-06-10
KR102110981B1 KR102110981B1 (ko) 2020-05-14

Family

ID=66634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2512A KR102110981B1 (ko) 2017-11-30 2017-11-30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168822B2 (ko)
KR (1) KR10211098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96104B2 (en) * 2019-10-07 2023-10-24 Hyundai Motor Company Quick connector structure for automobiles
CN113451844A (zh) * 2020-03-25 2021-09-28 锐可医疗科技(苏州)有限公司 连接装置和具有其的连接器以及热交换设备
US11293576B2 (en) * 2020-08-31 2022-04-05 Caremed Supply Inc. Gas supply connector
KR102586682B1 (ko) * 2021-02-18 2023-10-11 주식회사 코아비스 퀵 커넥터
USD1001247S1 (en) * 2021-05-24 2023-10-10 Kpr U.S., Llc Fluid connector
USD1001248S1 (en) * 2021-05-24 2023-10-10 Kpr U.S., Llc Fluid connector
USD1013162S1 (en) * 2021-05-24 2024-01-30 Kpr U.S., Llc Fluid connector
USD999883S1 (en) * 2021-05-24 2023-09-26 Kpr U.S., Llc Fluid connecto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7421U (ko) * 2010-01-20 2011-07-27 주식회사 하이원이엔지 엑셀파이프 연결용 클램프장치
KR20120104391A (ko) * 2009-12-23 2012-09-20 노드슨 코포레이션 수형 베이어닛 커넥터
KR200477271Y1 (ko) * 2015-01-23 2015-05-27 이현정 온수매트의 연결관 결합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71878B2 (en) * 2002-04-12 2005-03-29 Cool Systems, Inc. Make-break connector for heat exchanger
US7464966B2 (en) * 2004-06-30 2008-12-16 Tokai Rubber Industries, Inc. Through-panel fixing device for piping member
US7731244B2 (en) * 2007-09-12 2010-06-08 Coolsystems, Inc. Make-brake connector assembly with opposing latches
US9388929B2 (en) * 2009-12-09 2016-07-12 Nordson Corporation Male bayonet connector
US9534721B2 (en) * 2013-10-31 2017-01-03 Nordson Corporation High pressure fluid conduit connector components and connector assembly
KR200473859Y1 (ko) 2014-02-24 2014-08-07 김창건 온수순환기용 원터치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조인트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104391A (ko) * 2009-12-23 2012-09-20 노드슨 코포레이션 수형 베이어닛 커넥터
KR20110007421U (ko) * 2010-01-20 2011-07-27 주식회사 하이원이엔지 엑셀파이프 연결용 클램프장치
KR200477271Y1 (ko) * 2015-01-23 2015-05-27 이현정 온수매트의 연결관 결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0981B1 (ko) 2020-05-14
US20190162345A1 (en) 2019-05-30
US11168822B2 (en) 2021-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63604A (ko)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JP5054930B2 (ja) 急速継手用の冗長ラッチ/確認機構
US7331330B2 (en) Device to attach a fuel return line to a fuel injector and device to suction fuel from a fuel injector
US8256801B2 (en) Coupling device for media conduits
EP2085677A1 (en) Joint member of pipe joint
JP2014513255A (ja) 再使用可能な圧入式リテーナー
JP2021060114A5 (ko)
CN207094002U (zh) 可拆卸的快速连接装置
JP2008537081A (ja) リリースクリップ
JP4324695B2 (ja) 流体継手
KR102180711B1 (ko) 파이프용 다기능 조인트 세트
JP6466149B2 (ja) プラグカバー
KR200485608Y1 (ko) 3웨이 밸브의 분리가 가능한 온수매트
KR200396604Y1 (ko) 농업용 분기관 연결구
JP5567902B2 (ja) クイックファスナの外れ防止構造
CN210372401U (zh) 连接组件及空调器
KR20200000958U (ko) 퀵 커넥터 어셈블리
JPH11190483A (ja) 流体用のプラグ継手
RU2742227C1 (ru) Соединитель
JP5357854B2 (ja) 継手装置
KR102663718B1 (ko) 파이프 삽입위치 확인이 가능한 탈착식 배관연결 접속구
KR102672610B1 (ko) 온수분배기용 관연결구
CN212616942U (zh) 一种管道快插接头的卡接结构
US11982382B2 (en) Quick connector with bracket retainer
CN205978738U (zh) 新型结构燃气自吸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