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3859Y1 - 온수순환기용 원터치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조인트 - Google Patents
온수순환기용 원터치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조인트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473859Y1 KR200473859Y1 KR2020140001425U KR20140001425U KR200473859Y1 KR 200473859 Y1 KR200473859 Y1 KR 200473859Y1 KR 2020140001425 U KR2020140001425 U KR 2020140001425U KR 20140001425 U KR20140001425 U KR 20140001425U KR 200473859 Y1 KR200473859 Y1 KR 200473859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t water
- water discharge
- circulation
- circulating
- hos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3/00—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 F16L33/22—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 F16L33/223—Arrangements for connecting hoses to rigid members; Rigid hose connectors, i.e. single members engaging both hoses with means not mentioned in the preceding groups for gripping the hose between inner and outer parts the sealing surfaces being pressed together by means of a member, e.g. a swivel nut, screwed on or into one of the joint part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47C21/048—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for he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7/00—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 F16L17/0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 F16L17/03—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 F16L17/032—Joints with packing adapted to sealing by fluid pressure with sealing rings arranged between outer surface of pipe and inner surface of sleeve or socket having annular axial lips the sealing rings having only one l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목적은 온수순환기에 배설된 결합부재와 온수매트의 호스측에 배설된 결합부재를 원터치로 각각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온수순환기에 배설된 결합부재와 온수매트에 배설된 결합부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원터치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조인트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온수순환기에 배설된 결합부재와 온수매트의 호스측에 배설된 결합부재를 원터치로 각각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온수순환기에 배설된 결합부재와 온수매트에 배설된 결합부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원터치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조인트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널리 알려진 온수보일러 호스 연결커넥터로서는 공개실용신안 공보 제20-2008-0002733호(공개일자 2008년 07월 21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개실용신안 공보 제20-2008-0002733호에 개시되어 있는 온수보일러 호스 연결커넥터는 일측에 중앙에 소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호스가 연결 가능하도록 톱니형상의 환형돌기가 형성된 체결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체결부의 내측에는 상기 소통공이 중앙으로 연장관통된 상태의 안착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그 후방에는 안착공이 형성되어 있으며 타측 외주면 끝단 양측에는 절개된 상태의 착탈부가 형성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의 안착돌기에 안착된 상태로 결합되어 있는 슬라이딩수단과, 중공상태로서 내주면 하측에는 단턱(31)이 구비되어 있고 외주면 상측에는 패킹이 체결가능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 외주부에는 연장판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연장판 상면 양측에는 착탈돌기가 구비되어 있고 그 하단에는 중앙으로 끼움부가 일체로 구비된 제2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과 고정 결합되도록 형성된 것으로 중앙에 유통공이 형성되어 있고 그 외주면에는 호스가 연결 가능하도록 톱니형상의 환형돌기가 형성된 결합부가 일체로 구비되어 있고 상기 결합부의 내측에는 상기 유통공이 중앙으로 연장 관통된 상태의 착지부가 구비되어 있고 그 사방에는 유동방지돌기가 그 후방에는 착지공이 형성되어 있는 제3 하우징과, 상기 제2 하우징과 제3 하우징 내측에 연하여 결합되어 상기 제1 하우징과 제2 하우징의 착탈에 의해 피스톤운동을 하는 유체개폐수단이 결합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온수보일러 호스 연결커넥터는 한쌍의 온수배출구와 온수순환매트를 순환하면서 온도가 떨어진 물을 물탱크로 배출하는 결합조인트를 온수매트쪽의 호스 양단을 각각 결합하여 사용하였으나, 결합작업이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온수순환기에 배설된 결합부재와 온수순환매트에 배설된 결합부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고, 또한 결합작업이 불편함에 따라 작업수율을 향상시킬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온수보일러 호스 연결커넥터는 구조가 복잡하고, 구조가 복잡함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없다는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온수순환기에 배설된 결합부재와 온수매트의 호스측에 배설된 결합부재를 원터치로 각각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온수순환기에 배설된 결합부재와 온수순환매트에 배설된 결합부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는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는 온수순환기의 온수배출호스의 온수배출구에 접속되어 온수순환기의 히터에서 가열된 온수가 도입되는 제1 온수도입관에서 받아 제1 온수배출관에서 배출하는 제1 온수배출유니트와; 상기 제1 온수배출유니트의 제1 온수배출관이 끼워지며, 상기 제1 온수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온수가 도입되는 제2 온수도입관에서 받아 제2 온수배출관에서 온수매트의 온수순환호스의 온수도입구로 배출하는 제2 온수배출유니트와; 온수매트의 상기 온수순환호스를 순환함에 따라 온도가 떨어진 순환수를 순환수배출구를 통해 제1 순환수도입관에서 받아 제1 순환수배출관에서 배출하는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와; 상기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의 제1 순환수배출관 내에 끼워지며, 상기 제1 순환수배출관에서 배출되는 순환수를 제2 순환수도입관에서 받아 제2 순환수배출관에서 온수순환기의 순환수도입호스의 순환수도입구를 통해 도입하여 물탱크로 배출하는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와; 상기 제1 온수배출관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과 상기 제2 순환수도입관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 내에 배설되어 상기 제1 온수배출유니트와 제2 온수배출유니트 및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와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 사이를 통해서 수분의 누출을 차단하는 제1 및 제2 O-링과; 상기 제2 온수배출유니트의 제2 온수도입관 및 상기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의 제1 순환수배출관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온수도입관에 각각 형성된 상부 및 하부 관통공에 각각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제1 순환수배출관에 각각 형성된 상부 및 하부 관통공에 끼워져서 상기 제1 온수배출유니트의 제1 온수배출관 및 상기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의 제2 순환수도입관을 각각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1 수직판에 관통공 및 제2 수직판에 관통공이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수직판에 설치된 탄성판을 각각 구비한 버튼과; 상기 제2 온수배출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원형돌기에 온수매트의 온수순환호스의 온수도입구가 끼워지고, 상기 제1 순환수도입관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원형돌기에 각각 끼워진 온수매트에 배설된 온수순환호스의 순환수배출구가 끼워진 온수순환호스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온수배출유니트의 제2 온수배출관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에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의 제1 순환수도입관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한쌍의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에 의하면, 온수순환기에 배설된 결합부재와 온수매트의 호스측에 배설된 결합부재를 원터치로 각각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온수순환기에 배설된 결합부재와 온수매트에 배설된 결합부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고,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는 등의 여러 가지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의 저면을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에 적용되는 버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의 저면을 분해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저면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종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에 적용되는 버튼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면 사시도이다.
이하,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에 관하여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는 도시하지 않은 온수순환기의 온수배출호스(1)의 온수배출구(1a)에 접속되어 온수순환기의 히터에서 가열된 온수가 도입되는 제1 온수도입관(11)에서 받아 제1 온수배출관(12)에서 배출하는 제1 온수배출유니트(10)와; 상기 제1 온수배출유니트(10)의 제1 온수배출관(12)이 끼워지며, 상기 제1 온수배출관(12)에서 배출되는 온수가 도입되는 제2 온수도입관(21)에서 받아 제2 온수배출관(22)에서 도시하지 않은 온수매트의 온수순환호스(30)의 온수도입구(30a)로 배출하는 제2 온수배출유니트(20)와; 온수매트의 상기 온수순환호스(30)를 순환함에 따라 온도가 떨어진 순환수를 순환수배출구(30b)를 통해 제1 순환수도입관(41)에서 받아 제1 순환수배출관(42)에서 배출하는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와; 상기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의 제1 순환수배출관(42) 내에 끼워지며, 상기 제1 순환수배출관(42)에서 배출되는 순환수를 제2 순환수도입관(51)에서 받아 제2 순환수배출관(52)에서 도시하지 않은 온수순환기의 순환수도입호스(81)의 순환수도입구(81a)를 통해 도입하여 도시하지 않은 물탱크로 배출하는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50)와; 상기 제1 온수배출관(12)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12a)과 상기 제2 순환수도입관(51)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51a) 내에 배설되어 상기 제1 온수배출유니트(10)와 제2 온수배출유니트(20) 및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와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50) 사이를 통해서 수분(또는 온수와 순환수)의 누출을 차단하는 제1 및 제2 O-링(13,54 ; 실링부재라고도 한다)과; 상기 제2 온수배출유니트(20)의 제2 온수도입관(21) 및 상기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의 제1 순환수배출관(42)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온수도입관(21)에 각각 형성된 상부 및 하부 관통공(21a,21b)에 각각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제1 순환수배출관(42)에 각각 형성된 상부 및 하부 관통공(42a,42b)에 끼워져서 상기 제1 온수배출유니트(10)의 제1 온수배출관(12) 및 상기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50)의 제2 순환수도입관(51)을 각각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1 수직판(61)에 관통공(61a) 및 제2 수직판(62)에 관통공(62a)이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수직판(61,62)에 설치된 탄성판(64a,64b)을 각각 구비한 버튼(60)과; 상기 제2 온수배출관(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원형돌기(22b)에 온수매트의 온수순환호스(30)의 온수도입구(30a)가 끼워지고, 상기 제1 순환수도입관(41)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원형돌기(41b)에 각각 끼워진 온수매트에 배설된 온수순환호스(30)의 순환수배출구(30b)가 끼워진 온수순환호스(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온수배출유니트(20)의 제2 온수배출관(22)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22a)에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의 제1 순환수도입관(41)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41a)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한쌍의 덮개(70,71)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버튼(60)에는 상기 제1 온수배출유니트(10)의 제1 온수배출관(12)이 관통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되도록 제1 수직판(61)에 관통공(6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50)의 제2 순환수도입관(51)이 관통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되도록 제2 수직판(62)에 관통공(62a)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온수도입관(11)은 그 외주면에 온수배출호스(1)의 온수도입구(1a)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다수의 원형돌기(1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순환수배출관(52)은 그 외주면에 순환수도입호스(81)의 순환수도입구(81a)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다수의 원형돌기(52a)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서 미설명부호 11a는 상기 온수배출호스(1) 내에 상기 제1 온수도입관(11)이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제1 온수도입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원형돌기이고, 52a는 상기 순환수도입호스(81) 내에 제2 순환수배출관(52)이 견고하게 끼워지도록 상기 제2 순환수배출관(52)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원형돌기이고, 53은 상기 제1 온수도입관(11)과 상기 제2 순환수배출관(52)을 견고하게 결합함과 동시에, 상기 제1 온수배출관(12)과 상기 제2 순환수도입관(51)을 견고하게 결합하는 한쌍의 결합부재이다.
미설명부호 55a, 55b는 본 고안의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를 도시하지 않은 온수순환기의 온수배출호스(1)의 온수배출구(1a)와 순환수도입호스(81) 내에 제1 온수도입관(11)과 제2 순환수배출관(52)을 용이하게 끼울수 있도록 상기 한쌍의 결합부재(53) 사이의 상부 및 하부에 일체적으로 각각 돌출형성된 돌기이다.
65는 상기 버튼(60)을 눌렀(압압하였)을 경우에, 상기 버튼(60)의 하부에 설치된 탄성판(64a,64b)이 상부로 휘면서 미끌어져서 상기 버튼(60)을 하강시키고, 상기 버튼(60)의 누름을 해제하였을 상기 탄성판(64a,64b)의 복원력에 의해 상기 버튼(60)을 원위치시키는 한쌍의 경사돌기이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의 작용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한쌍의 결합부재(53) 사이의 상부 및 하부에 일체적으로 각각 돌출형성된 돌기(55a, 55b)를 잡고, 제1 온수도입관(11)의 외주면에 돌출형성된 원형돌기(11a)를 제1 온수배출유니트(10)를 구성하는 제1 온수도입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형돌기(11a)를 도시하지 않은 온수순환기의 온수배출호스(1)의 온수배출구(1a) 내로 끼워넣어서 상기 제1 온수도입관(11)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형돌기(11a)를 상기 온수배출호스(1)의 온수배출구(1a)와 결합시킴과 동시에,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50)를 구성하는 제2 순환수배출관(52)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형돌기(52a)를 순환수도입호스(81)의 순환수도입구(81a) 내로 끼워넣어서 상기 제2 순환수배출관(52)과 상기 순환수도입호스(81)를 결합시킨다.
다음에, 제1 온수배출유니트(10)를 구성하는 제1 온수배출관(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홈(12a) 내에 한쌍의 제1 O-링(13)을 끼움과 동시에, 상기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50)의 제2 순환수도입관(51)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홈(51a) 내에 한쌍의 제2 O-링(54)을 끼운 후에, 버튼(60)에 일체적으로 돌출형성된 제1 수직판(61)을 제2 온수배출유니트(20)를 구성하는 제2 온수도입관(21)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및 하부 관통공(21a,21b) 내에 각각 끼움과 동시에, 상기 버튼(60)에 일체적으로 돌출형성된 제2 수직판(62)을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를 구성하는 제1 순환수배출관(42)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 상부 및 하부 관통공(42a,42b) 내에 각각 끼우면서 상기 버튼(60)을 한쌍의 경사돌기(65) 상에 재치시킨다.
그 후, 도시하지 않은 온수순환매트의 온수순환호스(30)의 온수도입구(30a)를 덮개(70)에 형성된 관통공(부호 생략) 내에 끼우고, 상기 온수순환호스(30)의 온수도입구(30a)를 상기 제2 온수배출유니트(20)를 구성하는 제2 온수배출관(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형돌기(22b)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덮개(70)의 암나사부(70a)를 상기 제2 온수배출관(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22a)에 나사결합시켜서 상기 제2 온수배출관(22)과 상기 온수순환호스(30)의 온수도입구(30a)가 이탈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시키고, 또한 상기 온수순환호스(30)의 순환수배출구(30b)를 덮개(71)에 형성된 관통공(부호 생략) 내에 끼운 후, 상기 온수순환호스(30)의 순환수배출구(30b)를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를 구성하는 제1 순환수도입관(41)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형돌기(41b)에 끼움과 동시에, 상기 덮개(71)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71a)를 상기 제1 순환수 도입관(41)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41a)에 나사결합시켜서 상기 제1 순환수 도입관(41)과 상기 온수순환호스(30)의 순환수배출구(30b)가 이탈되지 않도록 견고하게 결합시킨다.
이에 따라 도시하지 않은 온수순환기의 온수배출호스(1)에서 배출되는 온수를 제1 온수배출유니트(10)의 제1 온수도입관(11)을 통해 온수가 도입되면 제1 온수배출관(1)을 통해서 제2 온수배출유니트(20)의 제2 온수도입관(21)을 통해서 제2 온수배출유니트(20) 내에 온수가 도입되어 제2 온수배출관(22)을 통해서 온수순환매트의 온수순환호스(30)에 도입된다.
상기 온수순환호스(30)에 도입된 온수는 온수순환호스(30)를 순환하면서 온도가 떨어진 순환수는 상기 온수순환호스(30)의 순환수배출구(30b)에서 배출되어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의 제1 순환수도입관(41)을 통해 도입되어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의 제1 순환수배출관(42)에서 배출된다.
상기 제1 순환수배출관(42)에서 배출되는 순환수는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50)의 제2 순환수도입관(51)에 도입되어 제2 순환수배출관(52)을 통해서 순환수도입호스(81)에 도입되어 도시하지 않은 물탱크로 배출한다.
이때, 상기 제1 온수배출유니트(10)의 제1 온수배출관(12)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홈(12a) 내에는 한쌍의 제1 O-링(13)이 배설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온수배출유니트(10)의 제1 온수배출관(12)과 상기 제2 온수배출유니트(20)의 제2 온수배출관(21)이 결합되어 있어도 상기 제1 온수배출유니트(10)와 상기 제2 온수배출유니트(20) 사이에서는 온수가 누출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50)의 제2 순환수도입관(51)의 외주면에 형성된 오목홈(51a) 내에 한쌍의 제2 O-링(54)이 배설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50)의 제2 순환수도입관(51)과 상기 제1 순환수배출관(42)이 결합되어 있어도 상기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50)와 상기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 사이에서는 순환수가 누출되지 않는다.
상기 제2 온수배출유니트(20)의 제2 온수배출관(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22a)에 덮개(7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70a)가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2 온수배출유니트(20)의 제2 온수배출관(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형돌기(22b)에 결합된 상기 온수순환호스(30)의 온수도입구(30a)가 이탈되지도 않으며, 또한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의 제1 순환수도입관(41)의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41a)에 상기 덮개(71)의 내주면에 형성된 암나사부(71a)가 나사결합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의 제1 순환수도입관(41)의 외주면에 형성된 원형돌기(41b)에 상기 온수순환호스(30)의 순환수배출구(30b)에 결합된 상기 온수순환호스(30)의 순환수배출구(30b)가 이탈되지도 않는다.
또한, 상기 제2 온수배출유니트(20)의 제2 온수도입관(21)의 상부 및 상기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의 제1 순환수배출관(42)의 상부에는 버튼(60)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기 버튼(60)을 누르면 상기 버튼(60)의 제1 수직판(61)에 형성된 관통공(61a)이 상기 제2 온수도입관(21)의 관통공(부호생략)과 동심원을 이루고, 또한 상기 버튼(60)의 제2 수직판(62)에 형성된 관통공(62a)이 상기 제1 순환수배출관(42)의 관통공(부호생략)과 동심원을 이루므로, 상기 제2 온수배출유니트(20)의 제2 온수도입관(21)의 관통공(부호생략) 내로 상기 제1 온수배출유니트(10)의 제1 온수배출관(12)을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온수배출관(12)의 관통공(부호생략)내에 끼워진 상기 제1 온수배출유니트(10)의 제1 온수배출관(12)을 용이하게 빼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의 제1 순환수배출관(42)의 관통공(부호생략) 내로 상기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50)의 제2 순환수도입관(51)을 용이하게 끼워넣을 수 있으며, 또한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의 제1 순환수배출관(42) 내에 끼워진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50)의 제2 순환수도입관(51)을 상기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의 제1 순환수배출관(42)으로부터 용이하게 빼낼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온수순환기에 배설된 결합부재와 온수매트의 호스측에 배설된 결합부재를 원터치로 각각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온수순환기에 배설된 결합부재와 온수매트에 배설된 결합부재를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으며, 제조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구조가 간단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상기 설명에 있어서, 특정 실시예를 들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본 고안의 개념을 이탈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여러가지로 설계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이와 같이 설계변경하는 것도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포함되는 것은 물론이다.
1 : 온수배출호스 1a : 온수배출구
10 : 제1 온수배출유니트 11 : 제1 온수도입관
11a : 원형돌기 12 : 제1 온수배출관
12a : 오목홈 13 : 제1 O-링
20 : 제2 온수배출유니트 21 : 제2 온수도입관
21a : 상부 관통공 21b : 하부 관통공
22 : 제2 온수배출관 22a : 숫나사부
22b : 원형돌기 30 : 온수순환호스
30a: 온수도입구 30b : 순환수배출구
40 :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 41 : 제1 순환수도입관
41a : 숫나사부 41b : 원형돌기
42: 제1 순환수배출관 42a : 상부 관통공
42b : 하부 관통공 50 :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
51 : 제2 순환수도입관 51a : 오목홈
52 : 제2 순환수배출관 52a : 원형돌기
54 : 제2 O-링 55a, 55b : 돌기
60 : 버튼 61 : 제1 수직판
61a : 관통공 62 : 제2 수직판
62a : 관통공 64a : 탄성판
64b : 탄성판 65 : 경사돌기
70,71 : 덮개 70a,71a : 암나부
81 : 순환수도입호스 81a : 순환수도입구
10 : 제1 온수배출유니트 11 : 제1 온수도입관
11a : 원형돌기 12 : 제1 온수배출관
12a : 오목홈 13 : 제1 O-링
20 : 제2 온수배출유니트 21 : 제2 온수도입관
21a : 상부 관통공 21b : 하부 관통공
22 : 제2 온수배출관 22a : 숫나사부
22b : 원형돌기 30 : 온수순환호스
30a: 온수도입구 30b : 순환수배출구
40 :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 41 : 제1 순환수도입관
41a : 숫나사부 41b : 원형돌기
42: 제1 순환수배출관 42a : 상부 관통공
42b : 하부 관통공 50 :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
51 : 제2 순환수도입관 51a : 오목홈
52 : 제2 순환수배출관 52a : 원형돌기
54 : 제2 O-링 55a, 55b : 돌기
60 : 버튼 61 : 제1 수직판
61a : 관통공 62 : 제2 수직판
62a : 관통공 64a : 탄성판
64b : 탄성판 65 : 경사돌기
70,71 : 덮개 70a,71a : 암나부
81 : 순환수도입호스 81a : 순환수도입구
Claims (3)
- 온수순환기의 온수배출호스(1)의 온수배출구(1a)에 접속되어 온수순환기의 히터에서 가열된 온수가 도입되는 제1 온수도입관(11)에서 받아 제1 온수배출관(12)에서 배출하는 제1 온수배출유니트(10)와;
상기 제1 온수배출유니트(10)의 제1 온수배출관(12)이 끼워지며, 상기 제1 온수배출관(12)에서 배출되는 온수가 도입되는 제2 온수도입관(21)에서 받아 제2 온수배출관(22)에서 온수매트의 온수순환호스(30)의 온수도입구(30a)로 배출하는 제2 온수배출유니트(20)와;
온수매트의 상기 온수순환호스(30)를 순환함에 따라 온도가 떨어진 순환수를 순환수배출구(30b)를 통해 제1 순환수도입관(41)에서 받아 제1 순환수배출관(42)에서 배출하는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와;
상기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의 제1 순환수배출관(42) 내에 끼워지며, 상기 제1 순환수배출관(42)에서 배출되는 순환수를 제2 순환수도입관(51)에서 받아 제2 순환수배출관(52)에서 온수순환기의 순환수도입호스(81)의 순환수도입구(81a)를 통해 도입하여 물탱크로 배출하는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50)와;
상기 제1 온수배출관(12)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12a)과 상기 제2 순환수도입관(51)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된 오목홈(51a) 내에 배설되어 상기 제1 온수배출유니트(10)와 제2 온수배출유니트(20) 및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와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50) 사이를 통해서 수분의 누출을 차단하는 제1 및 제2 O-링(13,54)과;
상기 제2 온수배출유니트(20)의 제2 온수도입관(21) 및 상기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의 제1 순환수배출관(42)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2 온수도입관(21)에 각각 형성된 상부 및 하부 관통공(21a,21b)에 각각 끼워짐과 동시에, 상기 제1 순환수배출관(42)에 각각 형성된 상부 및 하부 관통공(42a,42b)에 끼워져서 상기 제1 온수배출유니트(10)의 제1 온수배출관(12) 및 상기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50)의 제2 순환수도입관(51)을 각각 착탈가능하게 지지하도록 제1 수직판(61)에 관통공(61a) 및 제2 수직판(62)에 관통공(62a)이 각각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제1 및 제2 수직판(61,62)에 설치된 탄성판(64a,64b)을 각각 구비한 버튼(60)과;
상기 제2 온수배출관(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원형돌기(22b)에 온수매트의 온수순환호스(30)의 온수도입구(30a)가 끼워지고, 상기 제1 순환수도입관(41)의 외주면에 형성된 다수의 원형돌기(41b)에 각각 끼워진 온수매트에 배설된 온수순환호스(30)의 순환수배출구(30b)가 끼워진 온수순환호스(30)의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온수배출유니트(20)의 제2 온수배출관(22)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22a)에 나사결합됨과 동시에, 상기 제1 순환수배출유니트(40)의 제1 순환수도입관(41) 외주면에 형성된 숫나사부(41a)에 각각 나사결합되는 한쌍의 덮개(70,71)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60)에는 상기 제1 온수배출유니트(10)의 제1 온수배출관(12)이 관통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되도록 제1 수직판(61)에 관통공(61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순환수배출유니트(50)의 제2 순환수도입관(51)이 관통하여 결합되거나 또는 분리되도록 제2 수직판(62)에 관통공(62a)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온수도입관(11)은 그 외주면에 온수배출호스(1)의 온수도입구(1a)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다수의 원형돌기(11a)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 순환수배출관(52)은 그 외주면에 순환수도입호스(81)의 순환수도입구(81a)가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다수의 원형돌기(52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 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 조인트.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1425U KR200473859Y1 (ko) | 2014-02-24 | 2014-02-24 | 온수순환기용 원터치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조인트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0140001425U KR200473859Y1 (ko) | 2014-02-24 | 2014-02-24 | 온수순환기용 원터치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조인트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4236U KR20140004236U (ko) | 2014-07-09 |
KR200473859Y1 true KR200473859Y1 (ko) | 2014-08-07 |
Family
ID=519875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20140001425U KR200473859Y1 (ko) | 2014-02-24 | 2014-02-24 | 온수순환기용 원터치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조인트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473859Y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10981B1 (ko) | 2017-11-30 | 2020-05-14 |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용 커넥터 조립체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2696B1 (ko) | 2005-04-13 | 2007-11-02 | 윤수백 |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 |
KR20080045919A (ko) * | 2006-11-21 | 2008-05-26 | 주식회사 씨엔텍엠제이보일러 | 온수용 온열기구의 퀵 커넥터 |
KR101015609B1 (ko) | 2010-04-12 | 2011-02-17 | 텐진 대화 일렉트릭 머신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 파이프 조인트 어셈블리를 구비한 온수 보일러 시스템 |
KR101337930B1 (ko) | 2013-03-18 | 2013-12-09 | 텐진 대화 일렉트릭 머신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 개폐밸브를 구비한 조인트 어셈블리 |
-
2014
- 2014-02-24 KR KR2020140001425U patent/KR200473859Y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72696B1 (ko) | 2005-04-13 | 2007-11-02 | 윤수백 | 온수매트의 호스 연결구조 |
KR20080045919A (ko) * | 2006-11-21 | 2008-05-26 | 주식회사 씨엔텍엠제이보일러 | 온수용 온열기구의 퀵 커넥터 |
KR101015609B1 (ko) | 2010-04-12 | 2011-02-17 | 텐진 대화 일렉트릭 머신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 파이프 조인트 어셈블리를 구비한 온수 보일러 시스템 |
KR101337930B1 (ko) | 2013-03-18 | 2013-12-09 | 텐진 대화 일렉트릭 머신너리 컴퍼니 리미티드 | 개폐밸브를 구비한 조인트 어셈블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40004236U (ko) | 2014-07-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RU2016132854A (ru) | Соединитель сменного комплекта одноразово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 |
CN104172910A (zh) | 包括密封控制模块的烧水壶 | |
WO2016045575A1 (zh) | 电热水壶 | |
KR200473859Y1 (ko) | 온수순환기용 원터치방식을 채용한 호스연결조인트 | |
CN109237174A (zh) | 一种快速拔插接头 | |
CN212415481U (zh) | 一种器具耦合器抽水装置以及器具耦合器 | |
CN212438273U (zh) | 一种器具耦合器抽水装置以及器具耦合器 | |
KR200461970Y1 (ko) | 주방 배수 가이드용 연결구 | |
US9579594B2 (en) | External filter seal | |
CN106361141A (zh) | 一种自密封泉涌式电热水壶温控装置 | |
KR20150066743A (ko) | 보일러 연료관의 배관밸브 | |
WO2022048005A1 (zh) | 一种器具耦合器抽水装置 | |
US20150272823A1 (en) | Pressurized manifold and jet system for a spa | |
CN219069940U (zh) | 一种水汽分离器 | |
WO2015136500A1 (en) | Connection kit for connecting a heating radiator to a plumbing system | |
CN216060218U (zh) | 烹饪器具的进气装置和烹饪器具 | |
CN204015960U (zh) | 一种快速冷却的压力烹饪装置 | |
CN220187117U (zh) | 集成接头及包含其的热水器 | |
CN220981029U (zh) | 一种软管结构 | |
WO2022048006A1 (zh) | 一种器具耦合器抽水装置以及器具耦合器 | |
CN217408455U (zh) | 一种具有水箱的蒸烤箱 | |
JP5468786B2 (ja) | 分岐栓 | |
KR20130072850A (ko) | 정수기 배수호스의 연결구조 | |
KR101252240B1 (ko) | 냉온수기 | |
CN214484201U (zh) | 烹饪器具的分离装置和具有其的烹饪器具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G15R | Request for early opening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0816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50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