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2394A - 화장품 조성물 제조를 위한 포도나무 눈물의 신 사용 - Google Patents

화장품 조성물 제조를 위한 포도나무 눈물의 신 사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2394A
KR20190062394A KR1020197007190A KR20197007190A KR20190062394A KR 20190062394 A KR20190062394 A KR 20190062394A KR 1020197007190 A KR1020197007190 A KR 1020197007190A KR 20197007190 A KR20197007190 A KR 20197007190A KR 20190062394 A KR20190062394 A KR 201900623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vine
tears
seed
flow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갸브리엘라 아이아스
Original Assignee
갸브리엘라 아이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갸브리엘라 아이아스 filed Critical 갸브리엘라 아이아스
Publication of KR20190062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3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A61K8/986Milk; Derivatives thereof, e.g. but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장품 조성물 제조를 위해 :
· 꽃이나 식물 또는 해초의 집합체가 처음으로 적셔진 포도나무 눈물과
· 앞서 언급된 꽃이나 식물 또는 해초의 집합체가 포도나무 눈물에 처음 적셔지고 난 뒤에 잠긴 식물성 기름
을 포함한, 앞서 언급된 꽃이나 식물 또는 해초의 집합체를 포도나무 눈물 혹은 식물성 기름에 적신 후 으깬 것이 선택적으로 들어간 혼합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며,
상기 조성물은 포도씨의 폴리페놀을 함유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화장품 조성물 제조를 위한 포도나무 눈물의 신 사용
본 발명은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포도나무 눈물의 신 용도에 관한 것이다.
수세기에 걸쳐, 대중 약제는 통칭 "포도나무의 눈물"이라고 불리는 포도나무 수액에 온갖 효능을 부여해 왔으며, 이것은 특히 안구 질환을 치료하는데 사용되었다.
장미 등의 꽃은 그 비할 데 없는 특성으로 인해 수많은 화장품에 사용되었다. 제비꽃 같은 다른 꽃들은 주로 향수 제조에 사용되는 대신 피부에 주는 효능은 적었다.
식물성 기름들은 화장품에 꼭 필요한 것이 되었다. 식물성 기름들은 불포화 지방산이 풍부하여 피부에 잘 침투하고, 지질막을 재형성하여 피부를 보호하며, 좋은 피부결을 만들고 피부에 광채와 탄력을 준다. 유기체와 부조화를 이루지 않고 우리 피부의 수분 공급과 보호에 탁월한 역할을 한다.
오늘날에는 수많은 화장용 크림이 존재하지만 이것은 때때로 탄성과 탄력이 부족한 성숙한 피부에는 부적절하기도 하다. 어떤 크림들은 피부에 부정적인 영향을 주기도 하며 물집, 붉은 반점, 가려움 혹은 피부 경련 등을 유발하기도 한다.
하여 앞서 언급된 불편함을 보완해줄 수 있는 화장품 조성물을 획득하는 것이 실제로 필요시 되고 있다.
출원인은 포도나무 눈물과 특정 꽃 혹은 식물의 조합이 화장품 조성물의 특성을 개선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의외의 방법으로 확인하였다. 실제로, 이 두 요소의 시너지 작용은 주름살 제거, 흔적 완화, 항산화 작용, 미백, 피로 회복, 자연 콜라겐 형성 및 피부 탄성과 탄력 증진과 같은 효능이 있다.
이 발명의 목적은 화장품 조성물에 개선된 특성 및 이러한 화장품 조성물 획득에 필요한 수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리하여 화장품 조성물 제조를 위한 포도나무 눈물과 식물성 기름을 주성분으로 하는 혼합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혼합물을 포함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기도 하다.
첫 번째 견지로, 본 발명은 화장품 조성물 제조를 위해,
·꽃이나 식물 또는 해초의 집합체가 처음으로 적셔진 포도나무 눈물과
·앞서 언급된 꽃이나 식물 또는 해초의 집합체가 포도나무 눈물에 처음 적셔지고 난 뒤에 잠긴 식물성 기름
을 포함한, 앞서 언급된 꽃이나 식물 또는 해초의 집합체를 포도나무 눈물 혹은 식물성 기름에 적신 후 으깬 것이 선택적으로 들어간 혼합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우리는 잘린 포도나무의 가지 끝에서 흐르며 포도나무 뿌리계의 기능 회복에 관련된 물질을 "포도나무 눈물"로 명명한다. 포도나무 눈물은 일 년에 한 번, 특히 태양의 온도가 100°C 이상인 3월에 나타난다. 포도나무 눈물은 일 년 중 약 열흘동안 흐른다.
우리는 같은 꽃들의 묶음이나 같은 식물들의 묶음, 또는 같은 꽃과 같은 식물들의 묶음의 혼합물을 "꽃이나 식물의 집합체"라고 명명한다. 이 꽃 혹은 식물들의 집합체는 이 꽃 혹은 식물들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로 구성될 수 있다.
우리는 채유식물, 다시 말해 씨, 열매 혹은 과실에 지질이 포함된 식물에서 추출한 유지를 "식물성 기름"이라고 명명한다.
우리는 앞서 언급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졌던 꽃이나 식물의 집합체를 찧어서 얻은 물질을 "수성 추출물"이라고 명명한다.
우리는 앞서 언급된 식물성 기름에 적셔졌던 꽃이나 식물의 집합체를 찧어서 얻은 물질을 "유성 추출물"이라고 명명한다.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상기 화장품 조성물이 포도씨의 폴리페놀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앞서 언급된 꽃이나 식물의 집합체의 꽃이나 식물이,
짚신나물속(Agrimonia eupatoria) ; 가새풀(Alchemilla vulgaris) ; 그린 아니스(Pimpinella anisum) ; 안틸리스(Anthyllis vulneraria) ; 흰 쑥(Artemisia herba-alba)
Figure pct00001
아르니카(Arnica montana) ; 산사나무꽃(Crataegus oxyacantha) ; 분꽃(Mirabilis jalapa) ; 수레국화, 혹은 앉은 좁쌀풀(Centaurea cyanus) ; 병꽃나무속의 소관목 ;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 동백꽃(Camellia sinensis) ; 카밀레(Anthemis nobilis)
Figure pct00002
병풀(Centella asiatica) ; 에키네시아(Echinacea purpurea) ; 들장미나무
Figure pct00003
오갈피나무 ; 플루메리아(Plumeria alba) ; 시계꽃; 양골담초(Cytisus scoparius) ; 향나무(Juniperus conlmunis) ; 연필향나무 ; 용담속 (Gentiana lutea) ; 펠라르고늄 로자그룹 ; 펠라르고늄 ; 컴프리(Symphytum officinale) ; 접시꽃(Althaea officinalis) ; 하마멜리스(Hamamelis virginiana) ; 하이비스커스 ; 꼬시래기 혹은 바다 스파게티 (Himanthalia elongata) ; 떡쑥 ; 붓꽃 (Iris florentina) ; 야향화 (Nyctantes arbor-tristis) ; 재스민 (Jasminum officinale) ; 말리화, 혹은 아라비아 재스민 ; 황수선화 ; 광대수염 (Lamium album) ; 월계수 ; 라벤더 ; 메도우폼 (Limnanthes blanc) ; 라일락 ; 연꽃 ; 흰꽃루피너스 (Lipinus albus) ; 백합 ; 꽃박하 (Origanum majorana) ; 마로니에 혹은 칠엽수 (Aesculus hippocastanus) ; 당아욱 (Malva sylvestris) ; 물레나물속 (Hypericum perforatum) ; 미모사 (Mimosa tenuiflora) ; 모링가속 (Moringa oleifera) ; 은방울꽃 ; 수선화 ; 백련 (Nymphea alba) ; 오렌지나무의 꽃과 과육 (Citrus amara) ; 덴드로비움 팔레놉시스 (Dendrobium phalaenopsis) ; 흰 난초 ; 팔마로사 (Cymbopogon martini) ; 복사꽃 (Prunus persica) ; 센티드제라늄 (Pelargonium graveolens) ; 로즈제라늄 (Pelargonium capitatum) ; 사과꽃 ; 매화꽃 ; 뜸부기 (Pelvetia canaliculata) ; 삼색제비꽃 ; 일일초 (Vinca rosea) ; 작약 ; 플란타고 (Plantago ovata) ; 쇠비름 (Portulaca oleracea) ; 쇠뜨기 (Equisetum arvense) ; 흰꽃 조팝나무 (Spiraea ulmaria) ; 주교 장미나무 (Rosa gallica); 다마스크 장미 ; 사향장미 ; 사프란 (Crocus sativus) ; 비누풀 (Saponaria officinalis) ; 클라리세이지 ; 범의귀 (Saxifraga sarmentosa) ; 황금 (Scutellaria baicalensis) ; 딱총나무 (Sambucus nigra) ; 피나무 꽃 (Tilia platyphyllos) ; 보리수 꽃 (Tilia cordata) ; 해바라기 (Helianthus annuus) ; 월하향 (Polianthes tuberosa) ; 쥐오줌풀 (Valeriana officinalis) ; 바닐라꽃 ; 브라질 바닐라꽃(Vanilla planifolia) ; 레몬버베나 (Aloysia citrodora) ; 제비꽃 ; 일랑일랑 (Cananga odorata) ; 양담쟁이 ; 서양톱풀 ; 컴프리 ; 양버들 ; 세이지 ; 질경이 ; 우엉 ; 니그리텔라 루브라 ; 서양자두 ; 산자나무꽃 혹은 이 꽃들의 혼합물이나,
혹은 다음의 해초 : Ascophyllum nodusum ; Laminaria ; Fucus vesiculosum ; Chondrus crispus ; Lithotamnium calcareum ; Alsidinum helminthocorton ; Diginea simplex ; criste marine 혹은 이 해초들의 혼합물 가운데서 선택되어지며 이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앞서 언급된 제비꽃이나 장미, 특히 다마스크 장미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어 있는 꽃들의 집합체 혹은 이 꽃들의 혼합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감편도유, 바오밥나무씨오일, 양구슬냉이오일, 사차인치오일, 호호바오일, 헤이즐넛오일, 호동씨오일, 안디로바오일, 산딸기씨오일, 아르간오일, 보리지오일, 대마유, 선인장유, 밀배아유, 캐슈넛오일, 딸기씨오일, 사향장미오일, 아보카도오일, 산자나무오일, 달맞이꽃유, 살구씨오일, 마카다미아오일, 호동씨오일, 선옹초오일, 멀구슬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모노이오일, 파파야오일, 홍화유, 쌀겨유, 호박씨유, 데이지오일, 바바수유, 카렌듈라오일, 동백유, 페키오일, 프라칵시오일, 로즈힙오일, 해바라기씨유, 코파이바유 혹은 이 오일들의 혼합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다음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포도나무 눈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
벤질 알코올, 부탄올, 초산 부틸, 카르바크롤, 캐리오필렌베타 산화물, 1,8-시네올, 쿠민알데히드, 1,2-크실롤, 아세트산, 아세트산에틸, 파르네신베타, 파르네솔베타, 헥산올, 1-헥센-3-올, 헥실아세트산, 장뇌, 미리스트산, 옥타놀, 팔미트산, 팔미트산 메틸에스테르, 피넨알파, 프로판올, 사비넨, 스테아르산, 테르피네올알파, 테르피놀렌, 초산 테르피닐, 테트라데칸, 티몰, 트리데칸, 1,2,3 트리메틸벤젠, 사포닌.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포도나무 눈물과 식물성 기름 사이의 무게 비율이 0.08에서 16까지 다양한 사용에 관한 것이다.
이 비율은 특히 0,10 ; 0,20 ; 0,30 ; 0,40 ; 0,50 ; 0,6 ; 0,7 ; 0,8 ; 0,9 ; 1 ; 1,5 ; 2 ; 2,5 ; 3 ; 3,5 ; 4 ; 4,5 ; 5 ; 5,5 ; 6 ; 6,5 ; 7 ; 7,5 ; 8 ; 8,5 ; 9 ; 9,5 ; 10 ; 10,5 ; 11 ; 11,5 ; 12 ; 12,5 ; 13 ; 13,5 ; 14 ; 14,5 ; 15 ; 15,5 혹은 16 으로 가능하다.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앞서 언급된 꽃이나 식물들의 집합체의 꽃이나 식물들이 생화 및 싱싱한 식물 혹은 건조화 및 건조된 식물, 혹은 이 꽃과 식물들의 혼합물일 수 있으며 이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두 번째 견지로, 본 발명은 앞서 언급된 꽃이나 식물 또는 해초의 집합체를 포도나무 눈물 혹은 식물성 기름에 적신 후 으깬 것이 선택적으로 들어간
·꽃이나 식물 또는 해초의 집합체가 처음으로 적셔진 포도나무 눈물과
·앞서 언급된 꽃이나 식물 또는 해초의 집합체가 포도나무 눈물에 처음 적셔지고 난 뒤에 잠긴 식물성 기름
의 혼합물을 포함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포도씨의 폴리페놀을 함유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짚신나물속(Agrimonia eupatoria) ; 가새풀(Alchemilla vulgaris) ; 그린 아니스(Pimpinella anisum) ; 안틸리스(Anthyllis vulneraria) ; 흰 쑥(Artemisia herba-alba)
Figure pct00004
아르니카(Arnica montana) ; 산사나무꽃(Crataegus oxyacantha) ; 분꽃(Mirabilis jalapa) ; 수레국화, 혹은 앉은 좁쌀풀(Centaurea cyanus) ; 병꽃나무속의 소관목 ;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 동백꽃(Camellia sinensis) ; 카밀레(Anthemis nobilis)
Figure pct00005
병풀(Centella asiatica) ; 에키네시아(Echinacea purpurea) ; 들장미나무
Figure pct00006
오갈피나무 ; 플루메리아(Plumeria alba) ; 시계꽃; 양골담초(Cytisus scoparius) ; 향나무(Juniperus conlmunis) ; 연필향나무 ; 용담속 (Gentiana lutea) ; 펠라르고늄 로자그룹 ; 펠라르고늄 ; 컴프리(Symphytum officinale) ; 접시꽃(Althaea officinalis) ; 하마멜리스(Hamamelis virginiana) ; 하이비스커스 ; 꼬시래기 혹은 바다 스파게티 (Himanthalia elongata) ; 떡쑥 ; 붓꽃 (Iris florentina) ; 야향화 (Nyctantes arbor-tristis) ; 재스민 (Jasminum officinale) ; 말리화, 혹은 아라비아 재스민 ; 황수선화 ; 광대수염 (Lamium album) ; 월계수 ; 라벤더 ; 메도우폼 (Limnanthes blanc) ; 라일락 ; 연꽃 ; 흰꽃루피너스 (Lipinus albus) ; 백합 ; 꽃박하 (Origanum majorana) ; 마로니에 혹은 칠엽수 (Aesculus hippocastanus) ; 당아욱 (Malva sylvestris) ; 물레나물속 (Hypericum perforatum) ; 미모사 (Mimosa tenuiflora) ; 모링가속 (Moringa oleifera) ; 은방울꽃 ; 수선화 ; 백련 (Nymphea alba) ; 오렌지나무의 꽃과 과육 (Citrus amara) ; 덴드로비움 팔레놉시스 (Dendrobium phalaenopsis) ; 흰 난초 ; 팔마로사 (Cymbopogon martini) ; 복사꽃 (Prunus persica) ; 센티드제라늄 (Pelargonium graveolens) ; 로즈제라늄 (Pelargonium capitatum) ; 사과꽃 ; 매화꽃 ; 뜸부기 (Pelvetia canaliculata) ; 삼색제비꽃 ; 일일초 (Vinca rosea) ; 작약 ; 플란타고 (Plantago ovata) ; 쇠비름 (Portulaca oleracea) ; 쇠뜨기 (Equisetum arvense) ; 흰꽃 조팝나무 (Spiraea ulmaria) ; 주교 장미나무 (Rosa gallica); 다마스크 장미 ; 사향장미 ; 사프란 (Crocus sativus) ; 비누풀 (Saponaria officinalis) ; 클라리세이지 ; 범의귀 (Saxifraga sarmentosa) ; 황금 (Scutellaria baicalensis) ; 딱총나무 (Sambucus nigra) ; 피나무 꽃 (Tilia platyphyllos) ; 보리수 꽃 (Tilia cordata) ; 해바라기 (Helianthus annuus) ; 월하향 (Polianthes tuberosa) ; 쥐오줌풀 (Valeriana officinalis) ; 바닐라꽃 ; 브라질 바닐라꽃(Vanilla planifolia) ; 레몬버베나 (Aloysia citrodora) ; 제비꽃 ; 일랑일랑 (Cananga odorata) ; 양담쟁이 ; 서양톱풀 ; 컴프리 ; 양버들 ; 세이지 ; 질경이 ; 우엉 ; 니그리텔라 루브라 ; 서양자두 ; 산자나무꽃 혹은 이 꽃들의 혼합물이나,
혹은 다음의 해초 : Ascophyllum nodusum ; Laminaria ; Fucus vesiculosum ; Chondrus crispus ; Lithotamnium calcareum ; Alsidinum helminthocorton ; Diginea simplex ; criste marine 혹은 이 해초들의 혼합물 가운데서 선택되어진 앞서 언급된 꽃이나 식물의 집합체의 꽃이나 식물이 들어간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앞서 언급된 제비꽃이나 장미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어 있는 꽃들의 집합체 혹은 이 꽃들의 혼합물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앞서 언급된 제비꽃이나 장미, 특히 다마스크 장미를 포함하거나 이들로 구성되어 있는 꽃들의 집합체 혹은 이 꽃들의 혼합물이 들어간 상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앞서 언급된 꽃이나 식물들의 집합체의 꽃이나 식물들이 생화 및 싱싱한 식물 혹은 건조화 및 건조된 식물, 혹은 이 꽃과 식물들의 혼합물이 들어간 상기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감편도유, 바오밥나무씨오일, 양구슬냉이오일, 사차인치오일, 호호바오일, 헤이즐넛오일, 호동씨오일, 안디로바오일, 산딸기씨오일, 아르간오일, 보리지오일, 대마유, 선인장유, 밀배아유, 캐슈넛오일, 딸기씨오일, 사향장미오일, 아보카도오일, 산자나무오일, 달맞이꽃유, 살구씨오일, 마카다미아오일, 호동씨오일, 선옹초오일, 멀구슬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모노이오일, 파파야오일, 홍화유, 쌀겨유, 호박씨유, 데이지오일, 바바수유, 카렌듈라오일, 동백유, 페키오일, 프라칵시오일, 로즈힙오일, 해바라기씨유, 코파이바유 혹은 이 오일들의 혼합물이 들어간 상기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포도나무 눈물과 식물성 기름 사이의 무게 비율이 0.08에서 16까지 다양한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 비율은 특히 0,10 ; 0,20 ; 0,30 ; 0,40 ; 0,50 ; 0,6 ; 0,7 ; 0,8 ; 0,9 ; 1 ; 1,5 ; 2 ; 2,5 ; 3 ; 3,5 ; 4 ; 4,5 ; 5 ; 5,5 ; 6 ; 6,5 ; 7 ; 7,5 ; 8 ; 8,5 ; 9 ; 9,5 ; 10 ; 10,5 ; 11 ; 11,5 ; 12 ; 12,5 ; 13 ; 13,5 ; 14 ; 14,5 ; 15 ; 15,5 혹은 16 으로 가능하다.
또 다른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제비꽃이 처음으로 적셔진 62%의 포도나무 눈물과
·상기 제비꽃이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22%의 살구씨유
혹은
·제비꽃이 처음으로 적셔진 52%의 포도나무 눈물과
·상기 제비꽃이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31%의 살구씨유
혹은
·제비꽃이 처음으로 적셔진 52%의 포도나무 눈물과
·상기 제비꽃이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32%의 살구씨유
혹은
·제비꽃이 처음으로 적셔진 51%의 포도나무 눈물과
·상기 제비꽃이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31%의 살구씨유
혹은
·제비꽃이 처음으로 적셔진 49%의 포도나무 눈물과
·상기 제비꽃이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40%의 살구씨유
혹은
·제비꽃이 처음으로 적셔진 46%의 포도나무 눈물과
·상기 제비꽃이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36%의 살구씨유
혹은
·제비꽃이 처음으로 적셔진 45%의 포도나무 눈물과
·상기 제비꽃이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35%의 살구씨유
혹은
·제비꽃이 처음으로 적셔진 10%의 포도나무 눈물과
·상기 제비꽃이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10%의 살구씨유
혹은
·제비꽃이 처음으로 적셔진 20%의 포도나무 눈물과
·상기 제비꽃이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6%의 살구씨유
가 포함된 상기 혼합물이 들어간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80%, 특히 10% 에서 80%, 더 자세히는 15% 에서 75%, 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70%, 더더더욱 자세히는 40% 에서 60%의 포도나무 눈물과,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60%, 특히 10% 에서 60%, 더 자세히는 15% 에서 50%, 더더욱 자세히는 25% 에서 40%, 더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35%의 식물성 기름과,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2% 에서 8%, 특히 5%의 유화제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서로 혼합하지 않는 두 종의 액체 사이의 에멀젼 형성을 용이하게 하는 모든 화합물을 "가용화제" 혹은 "유화제" 라고 명명한다.
이 발명에 따르면 유화제는 되도록이면 자연 유화제, 특히 레시틴, 라놀린 그리고 더욱 특별히는 밀랍 중에서 선택되어진다.
이 유화제는 지방알코올이나 지방산과 결합이 가능하다.
이 화장품 조성물은 흔히 화장품에 사용되는 모든 보조제와 첨가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 화장품 조성물은 방부제, 특히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화장품 조성물은 비타민, 특히 비타민A, B, C, D, E, 그 중에서도 특히 비타민 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혹은 80% 의 포도나무 눈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해 5%, 10%, 15%, 20%, 25%, 30%, 35%, 40%, 45%, 50%, 55% 혹은 60%의 식물성 기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해 2%, 3%, 4%, 5%, 6%, 7% 혹은 8%의 유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다음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포도나무 눈물이 들어간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벤질 알코올, 부탄올, 초산 부틸, 카르바크롤, 캐리오필렌베타 산화물, 1,8-시네올, 쿠민알데히드, 1,2-크실롤, 아세트산, 아세트산에틸, 파르네신베타, 파르네솔베타, 헥산올, 1-헥센-3-올, 헥실아세트산, 장뇌, 미리스트산, 옥타놀, 팔미트산, 팔미트산 메틸에스테르, 피넨알파, 프로판올, 사비넨, 스테아르산, 테르피네올알파, 테르피놀렌, 초산 테르피닐, 테트라데칸, 티몰, 트리데칸, 1,2,3 트리메틸벤젠, 사포닌.
또 다른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포도나무 눈물,
·상기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식물성 기름,
·밀랍을 포함한 상기 혼합물이 들어간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80%, 특히 10% 에서 80%, 더 자세히는 15% 에서 75%, 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70%, 더더더욱 자세히는 40% 에서 60%의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포도나무 눈물과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60%, 특히 10% 에서 60%, 더 자세히는 15% 에서 50%, 더더욱 자세히는 25% 에서 40%, 더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35%의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식물성 기름,
상기 식물성 기름은 감편도유, 바오밥나무씨오일, 양구슬냉이오일, 사차인치오일, 호호바오일, 헤이즐넛오일, 호동씨오일, 안디로바오일, 산딸기씨오일, 아르간오일, 보리지오일, 대마유, 선인장유, 밀배아유, 캐슈넛오일, 딸기씨오일, 사향장미오일, 아보카도오일, 산자나무오일, 달맞이꽃유, 살구씨오일, 마카다미아오일, 호동씨오일, 선옹초오일, 멀구슬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모노이오일, 파파야오일, 홍화유, 쌀겨유, 호박씨유, 데이지오일, 바바수유, 카렌듈라오일, 동백유, 페키오일, 프라칵시오일, 로즈힙오일, 해바라기씨유, 코파이바유 혹은 이 오일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 되어진다.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의 비율로 밀랍을 포함한 상기 혼합물이 들어간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80%, 특히 10% 에서 80%, 더 자세히는 15% 에서 75%, 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70%, 더더더욱 자세히는 40% 에서 60%의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포도나무 눈물,
상기 포도나무 눈물은 벤질 알코올, 부탄올, 초산 부틸, 카르바크롤, 캐리오필렌베타 산화물, 1,8-시네올, 쿠민알데히드, 1,2-크실롤, 아세트산, 아세트산에틸, 파르네신베타, 파르네솔베타, 헥산올, 1-헥센-3-올, 헥실아세트산, 장뇌, 미리스트산, 옥타놀, 팔미트산, 팔미트산 메틸에스테르, 피넨알파, 프로판올, 사비넨, 스테아르산, 테르피네올알파, 테르피놀렌, 초산 테르피닐, 테트라데칸, 티몰, 트리데칸, 1,2,3 트리메틸벤젠, 사포닌을 포함한다.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60%, 특히 10% 에서 60%, 더 자세히는 15% 에서 50%, 더더욱 자세히는 25% 에서 40%, 더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35%의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식물성 기름,
상기 식물성 기름은 감편도유, 바오밥나무씨오일, 양구슬냉이오일, 사차인치오일, 호호바오일, 헤이즐넛오일, 호동씨오일, 안디로바오일, 산딸기씨오일, 아르간오일, 보리지오일, 대마유, 선인장유, 밀배아유, 캐슈넛오일, 딸기씨오일, 사향장미오일, 아보카도오일, 산자나무오일, 달맞이꽃유, 살구씨오일, 마카다미아오일, 호동씨오일, 선옹초오일, 멀구슬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모노이오일, 파파야오일, 홍화유, 쌀겨유, 호박씨유, 데이지오일, 바바수유, 카렌듈라오일, 동백유, 페키오일, 프라칵시오일, 혹은 코파이바유, 로즈힙오일, 해바라기씨유, 혹은 이 오일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 되어진다.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의 비율로 밀랍을 포함한 상기 혼합물이 들어간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80%, 특히 10% 에서 80%, 더 자세히는 15% 에서 75%, 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70%, 더더더욱 자세히는 40% 에서 60%의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포도나무 눈물과
상기 포도나무 눈물은 벤질 알코올, 부탄올, 초산 부틸, 카르바크롤, 캐리오필렌베타 산화물, 1,8-시네올, 쿠민알데히드, 1,2-크실롤, 아세트산, 아세트산에틸, 파르네신베타, 파르네솔베타, 헥산올, 1-헥센-3-올, 헥실아세트산, 장뇌, 미리스트산, 옥타놀, 팔미트산, 팔미트산 메틸에스테르, 피넨알파, 프로판올, 사비넨, 스테아르산, 테르피네올알파, 테르피놀렌, 초산 테르피닐, 테트라데칸, 티몰, 트리데칸, 1,2,3 트리메틸벤젠, 사포닌을 포함한다.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60%, 특히 10% 에서 60%, 더 자세히는 15% 에서 50%, 더더욱 자세히는 25% 에서 40%, 더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35%의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식물성 기름,
상기 식물성 기름은 감편도유, 바오밥나무씨오일, 양구슬냉이오일, 사차인치오일, 호호바오일, 헤이즐넛오일, 호동씨오일, 안디로바오일, 산딸기씨오일, 아르간오일, 보리지오일, 대마유, 선인장유, 밀배아유, 캐슈넛오일, 딸기씨오일, 사향장미오일, 아보카도오일, 산자나무오일, 달맞이꽃유, 살구씨오일, 마카다미아오일, 호동씨오일, 선옹초오일, 멀구슬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모노이오일, 파파야오일, 홍화유, 쌀겨유, 호박씨유, 데이지오일, 바바수유, 카렌듈라오일, 동백유, 페키오일, 프라칵시오일, 혹은 코파이바유, 로즈힙오일, 해바라기씨유, 혹은 이 오일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 되어진다.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의 비율의 밀랍과
· 0.001% 에서 0.01%의 다음의 식물들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염료들의 혼합물을 포함한 상기 혼합물이 들어간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 Hedera helix; Alchillea millefolium; Symphytum officinale; Populus nigra; Salvia officinalis; Plantago major; Arctium lappa; Nigritella rubra; Prunus spinosa.
또 다른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80%, 특히 10% 에서 80%, 더 자세히는 15% 에서 75%, 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70%, 더더더욱 자세히는 40% 에서 60%의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포도나무 눈물과
상기 포도나무 눈물은 벤질 알코올, 부탄올, 초산 부틸, 카르바크롤, 캐리오필렌베타 산화물, 1,8-시네올, 쿠민알데히드, 1,2-크실롤, 아세트산, 아세트산에틸, 파르네신베타, 파르네솔베타, 헥산올, 1-헥센-3-올, 헥실아세트산, 장뇌, 미리스트산, 옥타놀, 팔미트산, 팔미트산 메틸에스테르, 피넨알파, 프로판올, 사비넨, 스테아르산, 테르피네올알파, 테르피놀렌, 초산 테르피닐, 테트라데칸, 티몰, 트리데칸, 1,2,3 트리메틸벤젠, 사포닌을 포함한다.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60%, 특히 10% 에서 60%, 더 자세히는 15% 에서 50%, 더더욱 자세히는 25% 에서 40%, 더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35%의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식물성 기름,
상기 식물성 기름은 감편도유, 바오밥나무씨오일, 양구슬냉이오일, 사차인치오일, 호호바오일, 헤이즐넛오일, 호동씨오일, 안디로바오일, 산딸기씨오일, 아르간오일, 보리지오일, 대마유, 선인장유, 밀배아유, 캐슈넛오일, 딸기씨오일, 사향장미오일, 아보카도오일, 산자나무오일, 달맞이꽃유, 살구씨오일, 마카다미아오일, 호동씨오일, 선옹초오일, 멀구슬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모노이오일, 파파야오일, 홍화유, 쌀겨유, 호박씨유, 데이지오일, 바바수유, 카렌듈라오일, 동백유, 페키오일, 프라칵시오일, 혹은 코파이바유, 로즈힙오일, 해바라기씨유, 혹은 이 오일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 되어진다.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의 비율의 밀랍과
· 0.001% 에서 0.01%의 으깬 들장미나무 열매 마른 분말과/혹은 으깬 들장미나뭇잎 마른 분말을 포함한 상기 혼합물이 들어간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80%, 특히 10% 에서 80%, 더 자세히는 15% 에서 75%, 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70%, 더더더욱 자세히는 40% 에서 60%의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포도나무 눈물과
상기 포도나무 눈물은 벤질 알코올, 부탄올, 초산 부틸, 카르바크롤, 캐리오필렌베타 산화물, 1,8-시네올, 쿠민알데히드, 1,2-크실롤, 아세트산, 아세트산에틸, 파르네신베타, 파르네솔베타, 헥산올, 1-헥센-3-올, 헥실아세트산, 장뇌, 미리스트산, 옥타놀, 팔미트산, 팔미트산 메틸에스테르, 피넨알파, 프로판올, 사비넨, 스테아르산, 테르피네올알파, 테르피놀렌, 초산 테르피닐, 테트라데칸, 티몰, 트리데칸, 1,2,3 트리메틸벤젠, 사포닌을 포함한다.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60%, 특히 10% 에서 60%, 더 자세히는 15% 에서 50%, 더더욱 자세히는 25% 에서 40%, 더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35%의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식물성 기름,
상기 식물성 기름은 감편도유, 바오밥나무씨오일, 양구슬냉이오일, 사차인치오일, 호호바오일, 헤이즐넛오일, 호동씨오일, 안디로바오일, 산딸기씨오일, 아르간오일, 보리지오일, 대마유, 선인장유, 밀배아유, 캐슈넛오일, 딸기씨오일, 사향장미오일, 아보카도오일, 산자나무오일, 달맞이꽃유, 살구씨오일, 마카다미아오일, 호동씨오일, 선옹초오일, 멀구슬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모노이오일, 파파야오일, 홍화유, 쌀겨유, 호박씨유, 데이지오일, 바바수유, 카렌듈라오일, 동백유, 페키오일, 프라칵시오일, 혹은 코파이바유, 로즈힙오일, 해바라기씨유, 혹은 이 오일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 되어진다.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의 비율의 밀랍과
· 0.001% 에서 0.01%의 다음의 식물들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염료들의 혼합물과 : Hedera helix; Alchillea millefolium; Symphytum officinale; Populus nigra; Salvia officinalis; Plantago major; Arctium lappa; Nigritella rubra; Prunus spinosa
· 0.001% 에서 0.01%의 으깬 들장미나무 열매 마른 분말과/혹은 으깬 들장미나뭇잎 마른 분말을 포함한 상기 혼합물이 들어간 화장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62%의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22%의 살구씨유
혹은
·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52%의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31%의 살구씨유
혹은
·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52%의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32%의 살구씨유
혹은
·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51%의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31%의 살구씨유
혹은
·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49%의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40%의 살구씨유
혹은
·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46%의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36%의 살구씨유
혹은
·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45%의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35%의 살구씨유
혹은
·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10%의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10%의 살구씨유
혹은
·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20%의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6%의 살구씨유
와 5%의 유화제, 특히 밀랍이 포함된 상기 혼합물이 들어간 조성물에 관한 것이며, 상기 포도나무 눈물은 다음의 성분들을 포함한다 : 벤질 알코올, 부탄올, 초산 부틸, 카르바크롤, 캐리오필렌베타 산화물, 1,8-시네올, 쿠민알데히드, 1,2-크실롤, 아세트산, 아세트산에틸, 파르네신베타, 파르네솔베타, 헥산올, 1-헥센-3-올, 헥실아세트산, 장뇌, 미리스트산, 옥타놀, 팔미트산, 팔미트산 메틸에스테르, 피넨알파, 프로판올, 사비넨, 스테아르산, 테르피네올알파, 테르피놀렌, 초산 테르피닐, 테트라데칸, 티몰, 트리데칸, 1,2,3 트리메틸벤젠, 사포닌.
또 다른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은 낙타유와/또는 살균 소독된 낙타 오줌, 말 젖, 당나귀 젖, 양 젖, 혹은 염소젖을 포함한다.
또 다른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 꽃이나 식물 혹은 해초의 집합체를 포도나무 눈물에 담그는 것 ;
· 앞서 언급된 1단계로부터 얻은 상기 꽃이나 식물 혹은 해초의 집합체를 식물성 기름에 담그는 것 ;
· 꽃이나 식물 혹은 해초의 집합체의 꽃이나 식물 혹은 해초를 으깨는 것 ;
3 단계는 선택적이거나 1 단계에 이어서 혹은 2단계에 이어지며,
이러한 과정을 포함하는 포도나무 수액과 식물성 기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한 화장품 조성물의 준비 과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 꽃이나 식물 혹은 해초의 집합체를 포도나무 눈물에 담그는 것;
· 사전에 포도나무 수액에 잠겨진 꽃이나 식물 혹은 해초의 집합체의 꽃이나 식물 혹은 해초를 으깨는 것과 액체 추출물을 얻는 것;
· 2 단계에서 얻은 앞서 언급된 액체 추출물과 상기 식물성 기름을 혼합하는 것;
의 과정을 포함하는 포도나무 수액과 식물성 기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한 화장품 조성물의 준비 과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 꽃이나 식물 혹은 해초의 집합체를 포도나무 눈물에 담그는 것 ;
· 앞서 언급된 1단계로부터 얻은 상기 꽃이나 식물 혹은 해초의 집합체를 식물성 기름에 담그는 것 ;
· 2 단계로부터 얻은 꽃이나 식물 혹은 해초의 집합체의 꽃이나 식물 혹은 해초를 으깨는 것과 유성 추출물을 얻는 것 ;
의 과정을 포함하는 포도나무 수액과 식물성 기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한 화장품 조성물의 준비 과정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특정 구현 방식에서 이 발명은
· 꽃이나 식물 혹은 해초의 집합체를 포도나무 눈물에 담그는 것 ;
· 앞서 언급된 1단계로부터 얻은 상기 꽃이나 식물 혹은 해초의 집합체를 식물성 기름에 담그는 것 ;
· 1 단계에서 얻은 포도나무 수액과 2 단계에서 얻은 식물성 기름을 혼합하는 것 ;
의 과정을 포함하는 포도나무 수액과 식물성 기름을 주성분으로 하는 한 화장품 조성물의 준비 과정에 관한 것이다.
도 1 : UV 크로마토그램 : 포도나무 눈물 표본의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프로필
탐지기 : PAD 측정 범위 : 190 ~ 700mm
도 2 : MS 크로마토그램 : 포도나무 눈물 표본의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프로필
탐지기 : MS 측정 범위 : 100~1200m/z
이 측정들은 UHPLC Acquity H-Class, PDA, ELSD, MS 를 이용해 실현되었다.
도 3 : 화장품 조성물 사용 전의 55세 여성 실험자의 안면 사진(왼쪽 사진) 과 화장품 조성물 사용 이후의 사진(오른쪽 사진).
도 4 : 화장품 조성물 사용 전의 56세 여성 실험자의 안면 사진(왼쪽 사진) 과 화장품 조성물 사용 이후의 사진(오른쪽 사진).
도표 1: 결과 요약 표
Figure pct00007

세 가지 혼합물은 포도나무 눈물 표본안에서 입증될 수 있었다. 첫 번째 혼합물(C1)은 소량 존재하며, 그 구조에 대해 더 알아낼 수 있는 특성을 나타내지는 않는다. 두 번째 혼합물(C2)은 다량이나 식물과 같은 특징을 보이지 않는다. 세 번째 혼합물(C3)은 식물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C3의 자외선 스펙트럼은 그 자신을 페놀성 화합물 계열에 속하게 하게 보이는 대규모의 전자 비재편화를 보인다. 다량의 C3(168 g/mol)는 이것을 페놀성 화합물 계열에 속하게 하는 것에 더욱 확증을 주는 그 크기와 머무른 시간의 유사성 때문에 유극분자와 상관 관계를 갖는다.
화장품 조성물 예시
예시 1  : 데이 크림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 "L'Ame de vie - violettes"(생명의 영혼 - 제비꽃)
I/
A - 제비꽃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제비꽃을 담근 살구씨 오일 32%
A - 밀랍 5%
B -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제비꽃을 적신 포도나무 눈물 52%
C - 로열 젤리 10%
C - 콜라겐 1 %
C - 히알루론산1 %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6%
C - 비타민 E 0.4%
II/
A - 제비꽃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제비꽃을 담근 살구씨 오일 20-60%
A - 밀랍 2-8 %
B -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제비꽃을 적신 포도나무 눈물 30-70%
C- 로열젤리 7-14%
C - 콜라겐 0.1 - 4%
C - 히알루론산0.1 - 4%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1 - 3%
C - 비타민 E 0.1-3%
상기 기재된 공식에 0.01% 비율로 기린혈을 추가할 수 있다.
III/ 제조
A 단계의 성분들은 모두 하나의 용기에 모아 담는다. B 단계의 성분들은 또 다른 용기에 모아 담는다. 이 두 단계의 성분들은 다시 중탕기에 옮겨서 온도가 70°C 에 이를 때까지 수 분 간 놓는다. 중탕기에서 꺼낸 후 크림이 흰 색이 되고, 등질화되며 진해질 때까지 멈추지 않고 힘차게 저으며 B단계의 성분을 A단계의 성분에 점차적으로 옮겨 붓는다. 그 뒤 이 두 단계의 성분들이 들어있는 용기를 찬물 깊이 담구고 에멀젼이 매끈해 질 때까지 수 분 간 힘차게 저어주는 것이 좋다. 그 뒤 C단계의 성분들을 더하고 모두 함께 섞는다. 이 조합물의 pH는 약 6-6.5이다.
이 같은 제조법이 2에서 16번 예시에까지 적용된다.
예시 2 : 나이트 크림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 "L'Ame de vie - violettes"(생명의 영혼 - 제비꽃)
I/
A - 제비꽃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제비꽃을 담근 살구씨 오일 36%
A - 밀랍 5%
B -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제비꽃을 적신 포도나무 눈물 46%
C- 로열 젤리 10%
C - 콜라겐 1 %
C - 히알루론산1 %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6%
C - 비타민 E 0.4%
II/
A - 제비꽃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제비꽃을 담근 살구씨 오일 20-60%
A- 밀랍 2-8 %
B-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제비꽃을 적신 포도나무 눈물 25-75%
C- 로열젤리 17-14%
C - 콜라겐 0.1 - 4%
C - 히알루론산0.1 - 4%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1 - 3%
C - 비타민 E 0.1-3%
예시 3 : 데이 크림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 "L'Ame de vie - roses de Damas"(생명의 영혼 - 다마스크 장미)
I/
A - 다마스크 로즈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다마스크 장미를 담근 살구씨 오일 32%
A- 밀랍 5%
B- 다마스크 로즈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다마스크 장미를 적신 포도나무 눈물 52%
C- 로열 젤리 10%
C - 콜라겐 1 %
C - 히알루론산1 %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6%
C - 비타민 E 0.4%
II/
A - 다마스크 장미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다마스크 장미를 담근 살구씨 오일 20-60%
A- 밀랍 2-8 %
B-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다마스크 장미를 적신 포도나무 눈물 25-75%
C- 로열젤리 7-14%
C - 콜라겐 0.1 - 4%
C - 히알루론산0.1 - 4%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1 - 3%
C - 비타민 E 0.1-3%
예시 4 : 나이트 크림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 "L'Ame de vie - roses de Damas"(생명의 영혼 - 다마스크 장미)
I/
A - 다마스크 로즈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다마스크 장미를 담근 살구씨 오일 32%
A- 밀랍 5%
B- 다마스크 로즈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다마스크 장미를 적신 포도나무 눈물 52%
C- 로열 젤리 10%
C - 콜라겐 1 %
C - 히알루론산1 %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6%
C - 비타민 E 0.4%
II/
A - 다마스크 장미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다마스크 장미를 담근 살구씨 오일 20-60%
A- 밀랍 2-8 %
B-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다마스크 장미를 적신 포도나무 눈물 25-75%
C- 로열젤리 17-14%
C - 콜라겐 0.1 - 4%
C - 히알루론산0.1 - 4%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1 - 3%
C - 비타민 E 0.1-3%
예시 5 : 데이 크림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 " Force de vie - violettes "(생명의 힘 - 제비꽃)
I/
A - 제비꽃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제비꽃을 담근 살구씨 오일 31%
A- 밀랍 5%
B-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제비꽃을 적신 포도나무 눈물 52%
C- 로열 젤리 10%
C - 콜라겐 1 %
C - 히알루론산1 %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6%
C - 비타민 E 0.4%
II/
A - 제비꽃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제비꽃을 담근 살구씨 오일 20-60%
A- 밀랍 2-8 %
B-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제비꽃을 적신 포도나무 눈물 30-70%
C- 로열젤리 7-14%
C - 콜라겐 0.1 - 4%
C - 히알루론산0.1 - 4%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1 - 3%
C - 비타민 E 0.1-3%
예시 6 : 나이트 크림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 " Force de vie - violettes "(생명의 힘 - 제비꽃)
I/
A - 제비꽃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제비꽃을 담근 살구씨 오일 36%
A- 밀랍 5%
B-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제비꽃을 적신 포도나무 눈물 46%
C- 로열 젤리 10%
C - 콜라겐 1 %
C - 히알루론산1 %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6%
C - 비타민 E 0.4%
II/
A - 제비꽃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제비꽃을 담근 살구씨 오일 20-60%
A- 밀랍 2-8 %
B-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제비꽃을 적신 포도나무 눈물 25-75%
C- 로열젤리 17-14%
C - 콜라겐 0.1 - 4%
C - 히알루론산0.1 - 4%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1 - 3%
C - 비타민 E 0.1-3%
예시 7 : 데이 크림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 "Force de vie - roses de Damas"(생명의 힘 - 다마스크 장미)
I/
A - 다마스크 로즈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다마스크 장미를 담근 살구씨 오일 32%
A- 밀랍 5%
B- 다마스크 로즈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다마스크 장미를 적신 포도나무 눈물 52%
C- 로열 젤리 10%
C - 콜라겐 1 %
C - 히알루론산1 %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6%
C - 비타민 E 0.4%
II/
A - 다마스크 장미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다마스크 장미를 담근 살구씨 오일 20-60%
A- 밀랍 2-8 %
B-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다마스크 장미를 적신 포도나무 눈물 30-70%
C- 로열젤리 7-14%
C - 콜라겐 0.1 - 4%
C - 히알루론산0.1 - 4%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1 - 3%
C - 비타민 E 0.1-3%
예시 8 : 나이트 크림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 "Force de vie - roses de Damas"(생명의 힘 - 다마스크 장미)
I/
A - 다마스크 로즈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다마스크 장미를 담근 살구씨 오일 36%
A- 밀랍 5%
B- 다마스크 로즈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다마스크 장미를 적신 포도나무 눈물 46%
C- 로열 젤리 10%
C - 콜라겐 1 %
C - 히알루론산1 %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6%
C - 비타민 E 0.4%
II/
A - 다마스크 장미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다마스크 장미를 담근 살구씨 오일 20-60%
A- 밀랍 2-8 %
B-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다마스크 장미를 적신 포도나무 눈물 25-75%
C- 로열젤리 17-14%
C - 콜라겐 0.1 - 4%
C - 히알루론산0.1 - 4%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1 - 3%
C - 비타민 E 0.1-3%
예시 9 : 데이 크림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 "L'Ame de vie - violettes"(생명의 영혼 - 제비꽃)
I/
A - 제비꽃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제비꽃을 담근 살구씨 오일 31%
D - 밀랍 5%
E -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제비꽃을 적신 포도나무 눈물 51%
F - 로열 젤리 10%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6%
C - 비타민 E 0.4%
II/
A - 제비꽃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제비꽃을 담근 살구씨 오일 20-60%
A - 밀랍 2-8%
B -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제비꽃을 적신 포도나무 눈물 30-70%
C - 로열젤리 7-14%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1 - 3%
C - 비타민 E 0.1-3%
예시10 : 나이트 크림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 "L'Ame de vie - violettes"(생명의 영혼 - 제비꽃)
I/
A - 제비꽃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제비꽃을 담근 살구씨 오일 35%
G - 밀랍 5%
H -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제비꽃을 적신 포도나무 눈물 45%
I - 로열 젤리 10%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6%
C - 비타민 E 0.4%
II/
A - 제비꽃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제비꽃을 담근 살구씨 오일 20-60%
A - 밀랍 2-8 %
B -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제비꽃을 적신 포도나무 눈물 25-75%
C- 로열젤리 17-14%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1 - 3%
C - 비타민 E 0.1-3%
Exemple 11 : 데이 크림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 "L'Ame de vie - roses de Damas"(생명의 힘 - 다마스크 장미)
I/
A - 다마스크 로즈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다마스크 장미를 담근 살구씨 오일 31%
A- 밀랍 5%
B- 다마스크 로즈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다마스크 장미를 적신 포도나무 눈물 51%
C- 로열 젤리 10%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6%
C - 비타민 E 0.4%
II/
A - 다마스크 장미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다마스크 장미를 담근 살구씨 오일 20-60%
A- 밀랍 2-8 %
B-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다마스크 장미를 적신 포도나무 눈물 30-70%
C- 로열젤리 7-14%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1 - 3%
C - 비타민 E 0.1-3%
예시 12 : 나이트 크림을 위한 화장품 조성물 : "L'Ame de vie - roses de Damas"(생명의 힘 - 다마스크 장미)
I/
A - 다마스크 로즈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다마스크 장미를 담근 살구씨 오일 35%
A- 밀랍 5%
B- 다마스크 로즈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다마스크 장미를 적신 포도나무 눈물 45%
C- 로열 젤리 10%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6%
C - 비타민 E 0.4%
II/
A - 다마스크 장미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다마스크 장미를 담근 살구씨 오일 20-60%
A- 밀랍 2-8 %
B-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다마스크 장미를 적신 포도나무 눈물 25-75%
C- 로열젤리 17-14%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1 - 3%
C - 비타민 E 0.1-3%
예시 13 : 페이스 밀크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 "L'Ame de vie - violettes"(생명의 영혼 - 제비꽃)
I/
A - 제비꽃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제비꽃을 담근 살구씨 오일 22%
A- 밀랍 5%
B-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제비꽃을 적신 포도나무 눈물 62%
C- 로열 젤리 10%
C- 콜라겐 1%
C- 히알루론산 1%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6%
C - 비타민 E 0.4%
II/
A - 제비꽃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제비꽃을 담근 살구씨 오일 10-50%
A- 밀랍 2-8%
B-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제비꽃을 적신 포도나무 눈물 40-80%
C- 로열 젤리 7-14%
C- 콜라겐 0.1-4%
C- 히알루론산 0.1-4%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1-3%
C - 비타민 E 0.1-3%
예시14 : 바디 밀크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 "L'Ame de vie - violettes"(생명의 영혼 - 제비꽃)
I/
A - 제비꽃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제비꽃을 담근 살구씨 오일 22%
A- 밀랍 5%
B-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제비꽃을 적신 포도나무 눈물 62%
C- 로열 젤리 10%
C- 콜라겐 1%
C- 히알루론산 1%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6%
C - 비타민 E 0.4%
II/
A - 제비꽃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제비꽃을 담근 살구씨 오일 10-50%
A- 밀랍 2-8%
B-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제비꽃을 적신 포도나무 눈물 40-80%
C- 로열 젤리 17-14%
C- 콜라겐 0.1-4%
C- 히알루론산 0.1-4%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1-3%
C - 비타민 E 0.1-3%
예시 15 : 페이스 밀크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 "L'Ame de vie - roses de Damas"(생명의 영혼 - 다마스크 장미)
I/
A - 다마스크 로즈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다마스크 장미를 담근 살구씨 오일 22%
A- 밀랍 5%
B- 다마스크 로즈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다마스크 장미를 적신 포도나무 눈물 62%
C- 로열 젤리 10%
C - 콜라겐 1 %
C - 히알루론산1 %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6%
C - 비타민 E 0.4%
II/
A - 다마스크 장미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다마스크 장미를 담근 살구씨 오일 10-50%
A- 밀랍 2-8 %
B-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다마스크 장미를 적신 포도나무 눈물 40-80%
C- 로열젤리 7-14%
C - 콜라겐 0.1 - 4%
C - 히알루론산0.1 - 4%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1 - 3%
C - 비타민 E 0.1-3%
예시 16 : 바디 밀크를 위한 화장품 조성물 : "L'Ame de vie - roses de Damas"(생명의 영혼 - 다마스크 장미)
I/
A - 다마스크 로즈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다마스크 장미를 담근 살구씨 오일 22%
A- 밀랍 5%
B- 다마스크 로즈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다마스크 장미를 적신 포도나무 눈물 62%
C- 로열 젤리 10%
C - 콜라겐 1 %
C - 히알루론산1 %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6%
C - 비타민 E 0.4%
II/
A - 다마스크 장미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다마스크 장미를 담근 살구씨 오일 20-60%
A- 밀랍 2-8 %
B-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다마스크 장미를 적신 포도나무 눈물 25-75%
C- 로열젤리 17-14%
C - 콜라겐 0.1 - 4%
C - 히알루론산0.1 - 4%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1 - 3%
C - 비타민 E 0.1-3%
예시 17 : 포도나무 덩굴손을 주성분으로 한 화장품 조성물 : 포도나무의 힘 - " L'
Figure pct00008
me de vigne"(포도나무의 영혼)
A - 포도나무 덩굴손 즙 혹은 ≪ 포도나무 수염 ≫ 100%
"포도나무의 수염"이라고도 불리는 포도나무 덩굴손은 다른 수많은 덩굴 식물들과 같이 받침대에 매달린 뒤 목질화 될 수 있게 해 주는 포도나무의 잔가지의 기관에 해당한다.
싱싱한 포도나무 수염들은 즙을 짜내기 위해 으깨지고, 짜내지고 여과된다.
예시 18 : 제비꽃 프레셔스 오일  - "L'Ame de vie"(생명의 영혼)
I/
- 제비꽃 오일: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제비꽃을 담근 살구씨 오일 99%
- 비타민 E 1 %
II/ 제조
살구씨 오일 1L 를 중탕기에 담고 70°C 에서 2시간 동안 제비꽃 250g과 함께 둔다. 이 꽃은 포도나무 눈물에 12시간 동안 사전에 적셔진 것이다. 이 오일 용액이 차가워지고 나면 꽃의 활성 생산물 또한 포함하고 있는 기름을 추출하기 위해 꽃을 짜낸다.
예시 19 : 다마스크 장비 프레셔스 오일 - "L'Ame de vie"(생명의 영혼) 
I/
- 다마스크 장미 오일: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다마스크 장미를 담근 살구씨 오일 99%
- 비타민 E 1 %
예시 20 :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L'Ame de vie"(생명의 영혼) 
I/
- 사전에 제비꽃을 적신 포도나무 눈물 99%
- 비타민 E 1 %
II/ 제조
제비꽃 250g 을 12시간 동안 1L 의 포도나무 눈물에 담근다. 그 뒤 꽃의 모든 활성 생산물과 포도나무 눈물을 추출하기 위해 꽃을 짜낸다.
예시 21 : 다마스크 장미 프레셔스 세럼 - "L'Ame de vie"(생명의 영혼) 
I/
- 사전에 다마스크 장미를 적신 포도나무 눈물 99%
- 비타민 E 1 %
예시 22 :
I/
A - 제비꽃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제비꽃을 담근 살구씨 오일 32%
A- 밀랍 5%
B-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제비꽃을 적신 포도나무 눈물 52%
C- 로열 젤리 10%
C- 콜라겐 1%
C- 히알루론산 1%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6%
C - 비타민 E 0.4%
II/ 제조
제비꽃 250g 을 1L의 포도나무 눈물에 12시간 동안 담가 둔다. 그 뒤 1L의 살구씨 오일 안에 2시간 동안 넣어두기 위해 포도나무 눈물에서 제비꽃을 꺼낸다. 꽃들은 그 뒤 으깬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오일 추출물은 C단계 성분들과 함께 섞는다.
예시 23 :
예시 22번에서의 제조법을 다마스크 장미에 적용한다.
예시 24 :
I/
A - 제비꽃 프레셔스 오일 : 사전에 포도나무 눈물에 적신 제비꽃을 담근 살구씨 오일 32%
A- 밀랍 5%
B- 제비꽃 프레셔스 세럼 : 사전에 제비꽃을 적신 포도나무 눈물 52%
C- 로열 젤리 10%
C- 콜라겐 1%
C- 히알루론산 1%
C - 코스메가드 혹은 제오가드 0.6%
C - 비타민 E 0.4%
II/ 제조
제비꽃 250g 을 1L의 포도나무 눈물에 12시간 동안 담가 둔다. 그 뒤 꽃들은 으깬다. 이렇게 해서 얻어진 오일 추출물은 A단계 및 C단계 성분들과 함께 섞는다.
예시 25 : 예시 24번에서의 제조법을 다마스크 장미에 적용한다.
예시 26 : 화장품 조성물의 효과 입증
I/
본 발명에 의하면 이 화장품 조성물은 55세 여성 실험자에게 테스트 되었다. 이 화장품 조성물의 효과를 밝히기 위해 실험자는 화장용 크림 사용 전에 사진(도 3)을 찍었고(왼쪽 사진), 3개월 간 하루 두 번 크림을 사용한 뒤 사진을 찍었다(오른쪽 사진). 실험자는 피부에 화장품 조성물을 사용하고 난 후, 홍조가 눈에 띄게 연해지고 피부톤이 훨씬 밝고 일정해 졌으며 주름이 확연히 줄어든 것이 관찰되었다.
II/
같은 절차가 56세 여성 실험자에게도 적용되었다(도 4).
우리는 화장품 조성물 사용 뒤 피부톤이 밝아지고 주름이 옅어지며 눈 밑 그늘이 훨씬 눈에 덜 띄게 되었다는 사실을 다시 한 번 입증하였다.

Claims (19)

  1. 화장품 조성물로서, 포도씨의 폴리페놀을 함유하지 않는 화장품 조성물의 제조를 위한,
    · 꽃이나 식물 또는 해초의 집합체가 처음으로 적셔진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꽃이나 식물 또는 해초의 집합체가 포도나무 눈물에 처음 적셔지고 난 뒤에 잠긴 식물성 기름
    을 포함하며, 상기 꽃이나 식물 또는 해초의 집합체를 포도나무 눈물 혹은 식물성 기름에 적신 후 으깬 것이 선택적으로 들어간 혼합물의 사용.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꽃이나 식물 또는 해초의 집합체의 꽃이나 식물 혹은 해초가 다음 중에서 선택되며:
    짚신나물속(Agrimonia eupatoria) ; 가새풀(Alchemilla vulgaris) ; 그린 아니스(Pimpinella anisum) ; 안틸리스(Anthyllis vulneraria) ; 흰 쑥(Artemisia herba-alba)
    Figure pct00009
    아르니카(Arnica montana) ; 산사나무꽃(Crataegus oxyacantha) ; 분꽃(Mirabilis jalapa) ; 수레국화, 혹은 앉은 좁쌀풀(Centaurea cyanus) ; 병꽃나무속의 소관목 ;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 동백꽃(Camellia sinensis) ; 카밀레(Anthemis nobilis)
    Figure pct00010
    병풀(Centella asiatica) ; 에키네시아(Echinacea purpurea) ; 들장미나무
    Figure pct00011
    오갈피나무 ; 플루메리아(Plumeria alba) ; 시계꽃; 양골담초(Cytisus scoparius) ; 향나무(Juniperus conlmunis) ; 연필향나무 ; 용담속 (Gentiana lutea) ; 펠라르고늄 로자그룹 ; 펠라르고늄 ; 컴프리(Symphytum officinale) ; 접시꽃(Althaea officinalis) ; 하마멜리스(Hamamelis virginiana) ; 하이비스커스 ; 꼬시래기 혹은 바다 스파게티 (Himanthalia elongata) ; 떡쑥 ; 붓꽃 (Iris florentina) ; 야향화 (Nyctantes arbor-tristis) ; 재스민 (Jasminum officinale) ; 말리화, 혹은 아라비아 재스민 ; 황수선화 ; 광대수염 (Lamium album) ; 월계수 ; 라벤더 ; 메도우폼 (Limnanthes blanc) ; 라일락 ; 연꽃 ; 흰꽃루피너스 (Lipinus albus) ; 백합 ; 꽃박하 (Origanum majorana) ; 마로니에 혹은 칠엽수 (Aesculus hippocastanus) ; 당아욱 (Malva sylvestris) ; 물레나물속 (Hypericum perforatum) ; 미모사 (Mimosa tenuiflora) ; 모링가속 (Moringa oleifera) ; 은방울꽃 ; 수선화 ; 백련 (Nymphea alba) ; 오렌지나무의 꽃과 과육 (Citrus amara) ; 덴드로비움 팔레놉시스 (Dendrobium phalaenopsis) ; 흰 난초 ; 팔마로사 (Cymbopogon martini) ; 복사꽃 (Prunus persica) ; 센티드제라늄 (Pelargonium graveolens) ; 로즈제라늄 (Pelargonium capitatum) ; 사과꽃 ; 매화꽃 ; 뜸부기 (Pelvetia canaliculata) ; 삼색제비꽃 ; 일일초 (Vinca rosea) ; 작약 ; 플란타고 (Plantago ovata) ; 쇠비름 (Portulaca oleracea) ; 쇠뜨기 (Equisetum arvense) ; 흰꽃 조팝나무 (Spiraea ulmaria) ; 주교 장미나무 (Rosa gallica); 다마스크 장미 ; 사향장미 ; 사프란 (Crocus sativus) ; 비누풀 (Saponaria officinalis) ; 클라리세이지 ; 범의귀 (Saxifraga sarmentosa) ; 황금 (Scutellaria baicalensis) ; 딱총나무 (Sambucus nigra) ; 피나무 꽃 (Tilia platyphyllos) ; 보리수 꽃 (Tilia cordata) ; 해바라기 (Helianthus annuus) ; 월하향 (Polianthes tuberosa) ; 쥐오줌풀 (Valeriana officinalis) ; 바닐라꽃 ; 브라질 바닐라꽃(Vanilla planifolia) ; 레몬버베나 (Aloysia citrodora) ; 제비꽃 ; 일랑일랑 (Cananga odorata) ; 양담쟁이 ; 서양톱풀 ; 컴프리 ; 양버들 ; 세이지 ; 질경이 ; 우엉 ; 니그리텔라 루브라 ; 서양자두 ; 산자나무꽃 혹은 이 꽃들의 혼합물이나,
    혹은 Ascophyllum nodusum ; Laminaria ; Fucus vesiculosum ; Chondrus crispus ; Lithotamnium calcareum ; Alsidinum helminthocorton ; Diginea simplex ; criste marine 혹은 이 해초들의 혼합물,
    꽃들의 집합체는 특히 제비꽃 혹은 장미, 그 중에서도 다마스크 장미 혹은 이 꽃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이것들도 구성되는, 사용.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기름은 다음 중 선택되는, 사용:
    감편도유, 바오밥나무씨오일, 양구슬냉이오일, 사차인치오일, 호호바오일, 헤이즐넛오일, 호동씨오일, 안디로바오일, 산딸기씨오일, 아르간오일, 보리지오일, 대마유, 선인장유, 밀배아유, 캐슈넛오일, 딸기씨오일, 사향장미오일, 아보카도오일, 산자나무오일, 달맞이꽃유, 살구씨오일, 마카다미아오일, 호동씨오일, 선옹초오일, 멀구슬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모노이오일, 파파야오일, 홍화유, 쌀겨유, 호박씨유, 데이지오일, 바바수유, 카렌듈라오일, 동백유, 페키오일, 프라칵시오일, 로즈힙오일, 해바라기씨유, 코파이바유 혹은 이 오일들의 혼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나무 눈물과 식물성 기름의 무게 비율이 0.08 에서 16까지 다양한, 사용.
  5. · 꽃이나 식물 또는 해초의 집합체가 처음으로 적셔진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꽃이나 식물 또는 해초의 집합체가 포도나무 눈물에 처음 적셔지고 난 뒤에 잠긴 식물성 기름
    의 혼합물로서, 상기 꽃이나 식물 또는 해초의 집합체를 포도나무 눈물 혹은 식물성 기름에 적신 후 으깬 것이 선택적으로 들어간 혼합물을 포함하며,
    포도씨의 폴리페놀을 함유하지 않는 화장품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꽃이나 식물 또는 해초의 집합체의 꽃이나 식물 또는 해초는 다음 중에서 선택되며:
    짚신나물속(Agrimonia eupatoria) ; 가새풀(Alchemilla vulgaris) ; 그린 아니스(Pimpinella anisum) ; 안틸리스(Anthyllis vulneraria) ; 흰 쑥(Artemisia herba-alba)
    Figure pct00012
    아르니카(Arnica montana) ; 산사나무꽃(Crataegus oxyacantha) ; 분꽃(Mirabilis jalapa) ; 수레국화, 혹은 앉은 좁쌀풀(Centaurea cyanus) ; 병꽃나무속의 소관목 ; 금잔화(Calendula officinalis) ; 동백꽃(Camellia sinensis) ; 카밀레(Anthemis nobilis)
    Figure pct00013
    병풀(Centella asiatica) ; 에키네시아(Echinacea purpurea) ; 들장미나무
    Figure pct00014
    오갈피나무 ; 플루메리아(Plumeria alba) ; 시계꽃; 양골담초(Cytisus scoparius) ; 향나무(Juniperus conlmunis) ; 연필향나무 ; 용담속 (Gentiana lutea) ; 펠라르고늄 로자그룹 ; 펠라르고늄 ; 컴프리(Symphytum officinale) ; 접시꽃(Althaea officinalis) ; 하마멜리스(Hamamelis virginiana) ; 하이비스커스 ; 꼬시래기 혹은 바다 스파게티 (Himanthalia elongata) ; 떡쑥 ; 붓꽃 (Iris florentina) ; 야향화 (Nyctantes arbor-tristis) ; 재스민 (Jasminum officinale) ; 말리화, 혹은 아라비아 재스민 ; 황수선화 ; 광대수염 (Lamium album) ; 월계수 ; 라벤더 ; 메도우폼 (Limnanthes blanc) ; 라일락 ; 연꽃 ; 흰꽃루피너스 (Lipinus albus) ; 백합 ; 꽃박하 (Origanum majorana) ; 마로니에 혹은 칠엽수 (Aesculus hippocastanus) ; 당아욱 (Malva sylvestris) ; 물레나물속 (Hypericum perforatum) ; 미모사 (Mimosa tenuiflora) ; 모링가속 (Moringa oleifera) ; 은방울꽃 ; 수선화 ; 백련 (Nymphea alba) ; 오렌지나무의 꽃과 과육 (Citrus amara) ; 덴드로비움 팔레놉시스 (Dendrobium phalaenopsis) ; 흰 난초 ; 팔마로사 (Cymbopogon martini) ; 복사꽃 (Prunus persica) ; 센티드제라늄 (Pelargonium graveolens) ; 로즈제라늄 (Pelargonium capitatum) ; 사과꽃 ; 매화꽃 ; 뜸부기 (Pelvetia canaliculata) ; 삼색제비꽃 ; 일일초 (Vinca rosea) ; 작약 ; 플란타고 (Plantago ovata) ; 쇠비름 (Portulaca oleracea) ; 쇠뜨기 (Equisetum arvense) ; 흰꽃 조팝나무 (Spiraea ulmaria) ; 주교 장미나무 (Rosa gallica); 다마스크 장미 ; 사향장미 ; 사프란 (Crocus sativus) ; 비누풀 (Saponaria officinalis) ; 클라리세이지 ; 범의귀 (Saxifraga sarmentosa) ; 황금 (Scutellaria baicalensis) ; 딱총나무 (Sambucus nigra) ; 피나무 꽃 (Tilia platyphyllos) ; 보리수 꽃 (Tilia cordata) ; 해바라기 (Helianthus annuus) ; 월하향 (Polianthes tuberosa) ; 쥐오줌풀 (Valeriana officinalis) ; 바닐라꽃 ; 브라질 바닐라꽃(Vanilla planifolia) ; 레몬버베나 (Aloysia citrodora) ; 제비꽃 ; 일랑일랑 (Cananga odorata) ; 양담쟁이 ; 서양톱풀 ; 컴프리 ; 양버들 ; 세이지 ; 질경이 ; 우엉 ; 니그리텔라 루브라 ; 서양자두 ; 산자나무꽃 혹은 이 꽃들의 혼합물이나,
    Ascophyllum nodusum ; Laminaria ; Fucus vesiculosum ; Chondrus crispus ; Lithotamnium calcareum ; Alsidinum helminthocorton ; Diginea simplex ; criste marine 혹은 이 해초들의 혼합물;
    꽃들의 집합체는 특히 제비꽃 혹은 장미, 그 중에서도 다마스크 장미 혹은 이 꽃들의 혼합물을 포함하거나 이것들로 구성되는, 화장품 조성물.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의 꽃이나 식물의 집합체의 꽃이나 식물은, 생화 혹은 싱싱한 식물, 건조화 또는 건조된 식물, 또는 이 꽃과 식물들의 혼합물인, 화장품 조성물.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식물성 기름은 다음 중에서 선택되는, 화장품 조성물:
    감편도유, 바오밥나무씨오일, 양구슬냉이오일, 사차인치오일, 호호바오일, 헤이즐넛오일, 호동씨오일, 안디로바오일, 산딸기씨오일, 아르간오일, 보리지오일, 대마유, 선인장유, 밀배아유, 캐슈넛오일, 딸기씨오일, 사향장미오일, 아보카도오일, 산자나무오일, 달맞이꽃유, 살구씨오일, 마카다미아오일, 호동씨오일, 선옹초오일, 멀구슬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모노이오일, 파파야오일, 홍화유, 쌀겨유, 호박씨유, 데이지오일, 바바수유, 카렌듈라오일, 동백유, 페키오일, 프라칵시오일, 로즈힙오일, 해바라기씨유, 코파이바유 혹은 이 오일들의 혼합물.
  9. 제5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나무 눈물과 식물성 기름의 무게 비율이 0.08 에서 16까지 다양한, 화장품 조성물.
  10. 제5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다음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 제비꽃이 처음으로 적셔진 62%의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제비꽃이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22%의 살구씨유
    혹은
    · 제비꽃이 처음으로 적셔진 52%의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제비꽃이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31%의 살구씨유
    혹은
    · 제비꽃이 처음으로 적셔진 52%의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제비꽃이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32%의 살구씨유
    혹은
    · 제비꽃이 처음으로 적셔진 51%의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제비꽃이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31%의 살구씨유
    혹은
    · 제비꽃이 처음으로 적셔진 49%의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제비꽃이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40%의 살구씨유
    혹은
    · 제비꽃이 처음으로 적셔진 46%의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제비꽃이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36%의 살구씨유
    혹은
    · 제비꽃이 처음으로 적셔진 45%의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제비꽃이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35%의 살구씨유
    혹은
    · 제비꽃이 처음으로 적셔진 10%의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제비꽃이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10%의 살구씨유
    혹은
    · 제비꽃이 처음으로 적셔진 20%의 포도나무 눈물과
    · 상기 제비꽃이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6%의 살구씨유
    여기서, 상기 퍼센티지는 조성물의 총 무게에 대한 표시임.
  11. 제5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80%, 특히 10% 에서 80%, 더 자세히는 15% 에서 75%, 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70%, 더더더욱 자세히는 40% 에서 60%의 포도나무 눈물과,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60%, 특히 10% 에서 60%, 더 자세히는 15% 에서 50%, 더더욱 자세히는 25% 에서 40%, 더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35%의 식물성 기름과,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2% 에서 8%, 특히 5%의 유화제를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12. 제5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도나무 눈물은 다음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벤질 알코올, 부탄올, 초산 부틸, 카르바크롤, 캐리오필렌베타 산화물, 1,8-시네올, 쿠민알데히드, 1,2-크실롤, 아세트산, 아세트산에틸, 파르네신베타, 파르네솔베타, 헥산올, 1-헥센-3-올, 헥실아세트산, 장뇌, 미리스트산, 옥타놀, 팔미트산, 팔미트산 메틸에스테르, 피넨알파, 프로판올, 사비넨, 스테아르산, 테르피네올알파, 테르피놀렌, 초산 테르피닐, 테트라데칸, 티몰, 트리데칸, 1,2,3 트리메틸벤젠, 사포닌.
  13. 제5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다음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포도나무 눈물,
    · 상기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식물성 기름,
    · 밀랍.
  14. 제5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다음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80%, 특히 10% 에서 80%, 더 자세히는 15% 에서 75%, 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70%, 더더더욱 자세히는 40% 에서 60%의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포도나무 눈물과,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60%, 특히 10% 에서 60%, 더 자세히는 15% 에서 50%, 더더욱 자세히는 25% 에서 40%, 더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35%의 식물성 기름,
    여기서, 상기 식물성 기름은 상기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감편도유, 바오밥나무씨오일, 양구슬냉이오일, 사차인치오일, 호호바오일, 헤이즐넛오일, 호동씨오일, 안디로바오일, 산딸기씨오일, 아르간오일, 보리지오일, 대마유, 선인장유, 밀배아유, 캐슈넛오일, 딸기씨오일, 사향장미오일, 아보카도오일, 산자나무오일, 달맞이꽃유, 살구씨오일, 마카다미아오일, 호동씨오일, 선옹초오일, 멀구슬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모노이오일, 파파야오일, 홍화유, 쌀겨유, 호박씨유, 데이지오일, 바바수유, 카렌듈라오일, 동백유, 페키오일, 프라칵시오일, 로즈힙오일, 해바라기씨유, 코파이바유 혹은 이 오일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됨,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의 밀랍.
  15. 제5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다음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80%, 특히 10% 에서 80%, 더 자세히는 15% 에서 75%, 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70%, 더더더욱 자세히는 40% 에서 60%의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포도나무 눈물
    여기서, 상기 포도나무의 눈물은: 벤질 알코올, 부탄올, 초산 부틸, 카르바크롤, 캐리오필렌베타 산화물, 1,8-시네올, 쿠민알데히드, 1,2-크실롤, 아세트산, 아세트산에틸, 파르네신베타, 파르네솔베타, 헥산올, 1-헥센-3-올, 헥실아세트산, 장뇌, 미리스트산, 옥타놀, 팔미트산, 팔미트산 메틸에스테르, 피넨알파, 프로판올, 사비넨, 스테아르산, 테르피네올알파, 테르피놀렌, 초산 테르피닐, 테트라데칸, 티몰, 트리데칸, 1,2,3 트리메틸벤젠, 사포닌을 포함함,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60%, 특히 10% 에서 60%, 더 자세히는 15% 에서 50%, 더더욱 자세히는 25% 에서 40%, 더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35%의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식물성 기름
    여기서, 상기 식물성 기름은 감편도유, 바오밥나무씨오일, 양구슬냉이오일, 사차인치오일, 호호바오일, 헤이즐넛오일, 호동씨오일, 안디로바오일, 산딸기씨오일, 아르간오일, 보리지오일, 대마유, 선인장유, 밀배아유, 캐슈넛오일, 딸기씨오일, 사향장미오일, 아보카도오일, 산자나무오일, 달맞이꽃유, 살구씨오일, 마카다미아오일, 호동씨오일, 선옹초오일, 멀구슬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모노이오일, 파파야오일, 홍화유, 쌀겨유, 호박씨유, 데이지오일, 바바수유, 카렌듈라오일, 동백유, 페키오일, 프라칵시오일, 로즈힙오일, 해바라기씨유, 코파이바유 혹은 이 오일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됨,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의 밀랍.
  16. 제5항 내지 제1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다음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80%, 특히 10% 에서 80%, 더 자세히는 15% 에서 75%, 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70%, 더더더욱 자세히는 40% 에서 60%의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포도나무 눈물
    여기서, 상기 포도나무의 눈물은: 벤질 알코올, 부탄올, 초산 부틸, 카르바크롤, 캐리오필렌베타 산화물, 1,8-시네올, 쿠민알데히드, 1,2-크실롤, 아세트산, 아세트산에틸, 파르네신베타, 파르네솔베타, 헥산올, 1-헥센-3-올, 헥실아세트산, 장뇌, 미리스트산, 옥타놀, 팔미트산, 팔미트산 메틸에스테르, 피넨알파, 프로판올, 사비넨, 스테아르산, 테르피네올알파, 테르피놀렌, 초산 테르피닐, 테트라데칸, 티몰, 트리데칸, 1,2,3 트리메틸벤젠, 사포닌을 포함함,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60%, 특히 10% 에서 60%, 더 자세히는 15% 에서 50%, 더더욱 자세히는 25% 에서 40%, 더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35%의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식물성 기름,
    여기서, 상기 식물성 기름은 감편도유, 바오밥나무씨오일, 양구슬냉이오일, 사차인치오일, 호호바오일, 헤이즐넛오일, 호동씨오일, 안디로바오일, 산딸기씨오일, 아르간오일, 보리지오일, 대마유, 선인장유, 밀배아유, 캐슈넛오일, 딸기씨오일, 사향장미오일, 아보카도오일, 산자나무오일, 달맞이꽃유, 살구씨오일, 마카다미아오일, 호동씨오일, 선옹초오일, 멀구슬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모노이오일, 파파야오일, 홍화유, 쌀겨유, 호박씨유, 데이지오일, 바바수유, 카렌듈라오일, 동백유, 페키오일, 프라칵시오일, 로즈힙오일, 해바라기씨유, 코파이바유 혹은 이 오일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됨,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의 밀랍,
    · 0.001% 에서 0.01%의 다음의 식물들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염료들의 혼합물 : Hedera helix ; Alchillea millefolium ; Symphytum officinale ;Populus nigra ; Salvia officinalis ; Plantago major ; Arctium lappa ;Nigritella rubra ; Prunus spinosa.
  17. 제5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다음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80%, 특히 10% 에서 80%, 더 자세히는 15% 에서 75%, 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70%, 더더더욱 자세히는 40% 에서 60%의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포도나무 눈물
    여기서, 상기 포도나무의 눈물은: 벤질 알코올, 부탄올, 초산 부틸, 카르바크롤, 캐리오필렌베타 산화물, 1,8-시네올, 쿠민알데히드, 1,2-크실롤, 아세트산, 아세트산에틸, 파르네신베타, 파르네솔베타, 헥산올, 1-헥센-3-올, 헥실아세트산, 장뇌, 미리스트산, 옥타놀, 팔미트산, 팔미트산 메틸에스테르, 피넨알파, 프로판올, 사비넨, 스테아르산, 테르피네올알파, 테르피놀렌, 초산 테르피닐, 테트라데칸, 티몰, 트리데칸, 1,2,3 트리메틸벤젠, 사포닌을 포함함,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60%, 특히 10% 에서 60%, 더 자세히는 15% 에서 50%, 더더욱 자세히는 25% 에서 40%, 더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35%의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식물성 기름,
    여기서, 상기 식물성 기름은 감편도유, 바오밥나무씨오일, 양구슬냉이오일, 사차인치오일, 호호바오일, 헤이즐넛오일, 호동씨오일, 안디로바오일, 산딸기씨오일, 아르간오일, 보리지오일, 대마유, 선인장유, 밀배아유, 캐슈넛오일, 딸기씨오일, 사향장미오일, 아보카도오일, 산자나무오일, 달맞이꽃유, 살구씨오일, 마카다미아오일, 호동씨오일, 선옹초오일, 멀구슬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모노이오일, 파파야오일, 홍화유, 쌀겨유, 호박씨유, 데이지오일, 바바수유, 카렌듈라오일, 동백유, 페키오일, 프라칵시오일, 로즈힙오일, 해바라기씨유, 코파이바유 혹은 이 오일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됨,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의 밀랍,
    · 0.001% 에서 0.01%의 으깬 들장미나무 열매 마른 분말과/혹은 으깬 들장미나뭇잎 마른 분말.
  18. 제5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다음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80%, 특히 10% 에서 80%, 더 자세히는 15% 에서 75%, 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70%, 더더더욱 자세히는 40% 에서 60%의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적셔진 포도나무 눈물
    여기서, 상기 포도나무의 눈물은: 벤질 알코올, 부탄올, 초산 부틸, 카르바크롤, 캐리오필렌베타 산화물, 1,8-시네올, 쿠민알데히드, 1,2-크실롤, 아세트산, 아세트산에틸, 파르네신베타, 파르네솔베타, 헥산올, 1-헥센-3-올, 헥실아세트산, 장뇌, 미리스트산, 옥타놀, 팔미트산, 팔미트산 메틸에스테르, 피넨알파, 프로판올, 사비넨, 스테아르산, 테르피네올알파, 테르피놀렌, 초산 테르피닐, 테트라데칸, 티몰, 트리데칸, 1,2,3 트리메틸벤젠, 사포닌을 포함함.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 에서 60%, 특히 10% 에서 60%, 더 자세히는 15% 에서 50%, 더더욱 자세히는 25% 에서 40%, 더더더욱 자세히는 30% 에서 35%의 제비꽃 혹은 장미가 처음으로 포도나무 눈물에 적셔진 뒤에 잠겼던 식물성 기름,
    여기서, 상기 식물성 기름은 감편도유, 바오밥나무씨오일, 양구슬냉이오일, 사차인치오일, 호호바오일, 헤이즐넛오일, 호동씨오일, 안디로바오일, 산딸기씨오일, 아르간오일, 보리지오일, 대마유, 선인장유, 밀배아유, 캐슈넛오일, 딸기씨오일, 사향장미오일, 아보카도오일, 산자나무오일, 달맞이꽃유, 살구씨오일, 마카다미아오일, 호동씨오일, 선옹초오일, 멀구슬기름, 참기름, 올리브유, 모노이오일, 파파야오일, 홍화유, 쌀겨유, 호박씨유, 데이지오일, 바바수유, 카렌듈라오일, 동백유, 페키오일, 프라칵시오일, 로즈힙오일, 해바라기씨유, 코파이바유 혹은 이 오일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됨,
    · 조성물의 총 무게에 비하여 5%의 밀랍,
    · 0.001% 에서 0.01%의 다음의 식물들 중 최소한 하나 이상의 염료들의 혼합물 : Hedera helix ; Alchillea millefolium ; Symphytum officinale ;Populus nigra ; Salvia officinalis ; Plantago major ; Arctium lappa ;Nigritella rubra ; Prunus spinosa,
    · 0.001% 에서 0.01%의 으깬 들장미나무 열매 마른 분말과/혹은 으깬 들장미나뭇잎 마른 분말.
  19. 제5항 내지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낙타유와/또는 살균 소독된 낙타 오줌, 말 젖, 당나귀 젖, 양 젖, 혹은 염소젖을 포함하는, 화장품 조성물.
KR1020197007190A 2016-10-06 2017-10-03 화장품 조성물 제조를 위한 포도나무 눈물의 신 사용 KR201900623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6/01453 2016-10-06
FR1601453A FR3057165B1 (fr) 2016-10-06 2016-10-06 Nouvelle utilisation de pleurs de vigne pour la preparation de compositions cosmetiques
PCT/FR2017/000182 WO2018065682A1 (fr) 2016-10-06 2017-10-03 Nouvelle utilisation de pleurs de vigne pour la preparation de compositions cosmetiqu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394A true KR20190062394A (ko) 2019-06-05

Family

ID=581626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7190A KR20190062394A (ko) 2016-10-06 2017-10-03 화장품 조성물 제조를 위한 포도나무 눈물의 신 사용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20190336436A1 (ko)
EP (1) EP3522992A1 (ko)
JP (1) JP2019530754A (ko)
KR (1) KR20190062394A (ko)
CN (1) CN109803638A (ko)
CA (1) CA3038753A1 (ko)
FR (1) FR3057165B1 (ko)
WO (1) WO2018065682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784A1 (ko) * 2020-11-30 2022-06-02 엘리케이파크 주식회사 선인장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7427B2 (en) 2020-04-29 2023-07-25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s and methods
CN111991337B (zh) * 2020-09-25 2022-05-31 湖北省麦诗特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美白淡斑、抗氧化功效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28486C2 (de) * 1982-07-30 1996-10-24 Hans Thomm Haarwuchsmittel
FR2686019B1 (fr) * 1992-01-10 1994-06-17 Perez Adrien Composition de seve et d'extrait vegetal.
JPH05255060A (ja) * 1992-03-11 1993-10-05 Eikoudou:Kk 化粧料
JPH1045564A (ja) * 1996-05-22 1998-02-17 Mercian Corp 化粧料
FR2772613B1 (fr) * 1997-12-19 2003-05-09 Oreal Utilisation du phloroglucinol dans une composition cosmetique
JP2002226322A (ja) * 2001-01-31 2002-08-14 Masumi Kinoshita 化粧品原料及び皮膚用化粧品
JP2003137761A (ja) * 2001-10-31 2003-05-14 Nippon Barrier Free:Kk 皮膚化粧料及びその製造方法
FR2844715B1 (fr) * 2002-09-20 2007-04-27 Af Consulting Composition pour des soins de la peau, et contenant un ou des oligomeres de resveratrol, en particulier de l'epsilone-viniferine, et ou certains de leurs derives
FR2989270B1 (fr) * 2012-04-12 2016-12-30 Soc La Biochimie Appliquee Composition cosmetique cutanee anti-age contenant des activateurs de l'aconitase mitochondriale
CN103989601B (zh) * 2014-05-29 2016-05-11 皖南医学院 一种焕颜保湿嫩肤面霜及其制备方法
FR3022771B1 (fr) * 2014-06-30 2018-09-07 L'oreal Composition cosmetique comprenant des silices et des huiles non siliconee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4784A1 (ko) * 2020-11-30 2022-06-02 엘리케이파크 주식회사 선인장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20076577A (ko) * 2020-11-30 2022-06-08 엘리케이파크 주식회사 선인장오일 발효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38753A1 (fr) 2018-04-12
CN109803638A (zh) 2019-05-24
FR3057165A1 (fr) 2018-04-13
WO2018065682A8 (fr) 2019-04-18
FR3057165B1 (fr) 2019-06-28
US20190336436A1 (en) 2019-11-07
WO2018065682A1 (fr) 2018-04-12
JP2019530754A (ja) 2019-10-24
EP3522992A1 (fr) 2019-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5222B1 (ko) 해양심층수를 이용한 금은화 및 찔레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세정용 세안제, 바디클렌저, 크렌징 겔 및 샴프
CN103263372B (zh) 一种天然花瓣和采用该天然花瓣的化妆品
WO2018036357A1 (zh) 一种桃胶面膜的制备方法
WO2018036356A1 (zh) 一种桃胶面膜
CN108186439A (zh) 一种海盐滋养洗发膏及其制备方法
KR102286908B1 (ko)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피부 크림 화장용 조성물
KR20190062394A (ko) 화장품 조성물 제조를 위한 포도나무 눈물의 신 사용
CN105662918A (zh) 头皮发根护理精华露及其制备方法
WO2018036358A1 (zh) 一种桃胶面膜
CN107913227A (zh) 含小黄姜的无硅油护发素及其制备工艺
CN108245454A (zh) 一种含有天然抗氧化成分的温和洁面膏及其制备方法
KR102165559B1 (ko) 여드름 개선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101498609B1 (ko) 한방약초농축액을 이용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천연 한방 바디로션 조성물
KR20190142007A (ko) 피부 트러블 예방 및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E60120744T2 (de) Mittel gegen feetgewebe enthaltend knoblauch zwiebelgewächse
KR20170003073A (ko) 칼라테라피에센스 마스크팩
KR102286909B1 (ko) 천연추출복합물을 함유하는 세럼형 화장용 조성물
KR102165566B1 (ko) 피부 탄력 효과가 우수한 화장료 조성물
KR20070028816A (ko) 아토피성 피부로 인한 피부 건조함 및 가려움증에 피부보습 및 피부 진정을 위한 한약재, 향료를 첨가한 크림 및비누 조성물
KR20220113722A (ko) 석류 추출물 및 작약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5997645A (zh) 一种多重保湿卸妆乳及其制备方法
RU2109506C1 (ru) Средство для ухода за кожей
RU2786433C1 (ru) Косметическое средство для регенерации кожи
KR102293602B1 (ko) 마스카라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Patil Phytochemical and in-vitro evaluation of formulated polyherbal hair condition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