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443A - Oled 조명 장치 - Google Patents

Oled 조명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443A
KR20190061443A KR1020170159846A KR20170159846A KR20190061443A KR 20190061443 A KR20190061443 A KR 20190061443A KR 1020170159846 A KR1020170159846 A KR 1020170159846A KR 20170159846 A KR20170159846 A KR 20170159846A KR 20190061443 A KR20190061443 A KR 20190061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electrode
pad
light emitting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8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6966B1 (ko
Inventor
이규황
송태준
김철호
이환건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598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6966B1/ko
Priority to CN201811245490.6A priority patent/CN109842977B/zh
Priority to US16/197,301 priority patent/US10770674B2/en
Priority to JP2018218646A priority patent/JP6751745B2/ja
Priority to EP18207732.1A priority patent/EP3490021B1/en
Priority to TW107142445A priority patent/TWI716776B/zh
Publication of KR20190061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4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6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69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30/0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 H10K30/20Organic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comprising organic-organic junctions, e.g. donor-acceptor junc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10K50/814Anodes combined with auxiliary electrodes, e.g. ITO layer combined with metal lines
    • H01L51/424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H01L51/5203
    • H01L51/5253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4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8Terminals, e.g. bond pad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1/0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71/80Manufacture or treatment specially adapted for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using temporary substrat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9Organic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신뢰성 향상 및 비용 절감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OLED 조명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는 인캡슐레이션층이 버퍼층 상의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의 전면에 배치됨에 따라, 버퍼층의 비활성 영역에 배치되는 패드가 인캡슐레이션층과 접합되기 때문에 인캡슐레이션층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는 COF 테이프가 부착된 FPCB 기판과 비아 전극 간의 탭 실장 시, COF 테이프가 패드와 직접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패드와 접속되는 비아 전극, 특히 인캡슐레이션층 상에 배치되는 비아 전극의 접속 단자부에 접촉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는 비아 전극의 접속 단자부가 COF 테이프를 매개로 FPCB 기판과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짐에 따라, 비아 전극과 접속되는 패드로 외부로부터의 신호가 인가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OLED 조명 장치{LIGHT APPARATU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본 발명은 OLED 조명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신뢰성 향상 및 비용 절감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OLED 조명 장치에 관한 것이다.
현재, 조명 장치로는 형광등이나 백열등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이 중, 백열등은 연색지수가 좋으나 에너지효율이 매우 낮고, 형광등은 에너지효율은 좋으나 연색지수가 낮으며, 수은을 함유하고 있어 환경오염 문제가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형광등이나 백열등을 대체할 수 있는 조명 장치로 발광다이오드(LED)가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발광다이오드는 무기물 발광물질로 구성되며, 청색 파장대에서 발광효율이 가장 높고, 적색과 시감도가 가장 높은 색인 녹색 파장대역으로 갈수록 발광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적색발광다이오드, 녹색발광다이오드 및 청색발광다이오드를 조합하여 백색광을 발광하는 경우, 발광효율이 낮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적색발광다이오드, 녹색발광다이오드 및 청색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발광피크(peak)의 폭이 좁기 때문에 색연색성도 저하된다는 문제도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적색발광다이오드, 녹색발광다이오드, 청색발광다이오드를 조합하는 방식 대신에, 청색발광다이오드와 황색컬러의 형광체를 조합하여 백색광을 출력하는 조명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발광다이오드가 제안되는 이유는 발광효율이 낮은 녹색발광다이오드를 사용하는 것보다 효율이 높은 청색발광다이오드만을 사용하고 나머지 색은 청색광을 받아 황색광을 발산하는 형광물질을 이용하는 방법이 더 효율적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청색 발광다이오드와 황색컬러의 형광체를 조합하여 백색광을 출력하는 조명장치의 경우에도 황색(옐로우) 광을 발광하는 형광물질 자체가 발광효율이 좋지 않기 때문에, 조명장치의 발광효율을 향상시키는 데에 한계가 있었다.
이와 같이, 발광효율이 저하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기발광물질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하는 OLED 조명 장치가 제안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유기발광소자는 무기발광소자에 비해 녹색 및 적색의 발광효율이 상대적으로 양호하다. 또한, 유기발광소자는 무기발광소자에 비해 청색, 적색, 녹색의 발광피크(peak)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색연색성이 향상되어 발광장치의 광이 좀더 태양광과 유사하게 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신뢰성 향상 및 비용 절감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는 OLED 조명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는 기판을 제거하는 대신 버퍼층의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 전체에 인캡슐레이션층을 확대하여 배치시켰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는 인캡슐레이션층을 관통하는 비아 전극을 통하여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유기발광소자의 신뢰성 향상 및 비용 절감 효과를 동시에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는 버퍼층 상의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의 전면에 배치되어, 제2 전극과 패드를 덮는 인캡슐레이션층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는 비활성 영역의 인캡슐레이션층을 관통하여, 패드에 접속된 비아 전극을 갖는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의 비아 전극은 비활성 영역의 인캡슐레이션층, 패드 및 버퍼층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패드에 접속된 관통부와, 비활성 영역의 인캡슐레이션층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부에 접속된 접속 단자부를 갖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는 인캡슐레이션층이 버퍼층 상의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의 전면에 배치됨에 따라, 버퍼층의 비활성 영역에 배치되는 패드가 인캡슐레이션층과 접합되기 때문에 인캡슐레이션층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는 COF 테이프가 부착된 FPCB 기판과 비아 전극 간의 탭 실장 시, COF 테이프가 패드와 직접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패드와 접속되는 비아 전극, 특히 인캡슐레이션층 상에 배치되는 비아 전극의 접속 단자부에 접촉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는 비아 전극의 접속 단자부가 COF 테이프를 매개로 FPCB 기판과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짐에 따라, 비아 전극과 접속되는 패드로 외부로부터의 신호가 인가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는 인캡슐레이션층이 버퍼층 상의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의 전면에 배치됨에 따라, 버퍼층의 비활성 영역에 배치되는 패드가 인캡슐레이션층과 접합되기 때문에 인캡슐레이션층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는 COF 테이프가 부착된 FPCB 기판과 비아 전극 간의 탭 실장 시, COF 테이프가 패드와 직접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패드와 접속되는 비아 전극, 특히 인캡슐레이션층 상에 배치되는 비아 전극의 접속 단자부에 접촉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 결과,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는 비아 전극의 접속 단자부가 COF 테이프를 매개로 FPCB 기판과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짐에 따라, 비아 전극과 접속되는 패드로 외부로부터의 신호가 인가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는 버퍼층의 비활성 영역에 배치되는 패드가 인캡슐레이션층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탭 실장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버퍼층의 하부에 배치되던 투명 PI 재질의 기판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기판 제거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는 버퍼층 하부에 배치되던 기판이 제거됨에 따라 350℃를 초과하는 고온 공정에서 보조배선, 유기발광소자 등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유기발광소자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는 SiOx나 SiNx 등과 같은 무기층으로 구성된 버퍼층이 350℃를 초과하는 고온 공정에 노출됨에 따라 강도 및 경도가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따른 OLED 조명 장치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100)는 기판(110) 상에 버퍼층(115)이 배치되고, 버퍼층(115) 상에 유기발광소자(E)가 배치된다.
유기발광소자(E)는 버퍼층(115) 상에 배치된 제1 전극(130)과, 제1 전극(130) 상에 적층된 유기발광층(140)과, 유기발광층(140) 상에 적층된 제2 전극(150)을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의 OLED 조명 장치(100)에서는 유기발광소자(E)의 제1 전극(130)과 제2 전극(150)에 신호가 인가됨에 따라 유기발광층(140)이 발광함으로써 기판(110) 전체적으로 광을 출력하게 된다.
이때, 기판(110) 상에는 보조배선(120)이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된다. 이러한 보조배선(120)은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재질로 구성되어 기판(110)의 전체 영역에 배치되는 제1 전극(130)에 균일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대면적의 OLED 조명장치(100)에서 균일한 휘도로 발광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보조배선(120)은 버퍼층(115)과 제1 전극(130) 사이에 배치되어, 제1 전극(130)과 직접 접촉되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전극(130)은 ITO와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로 이루어져 발광되는 광을 투과한다는 장점을 가지지만, 금속에 비해 전기저항이 매우 높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대면적의 OLED 조명 장치(100)를 제작하는 경우, 투명 도전물질의 큰 저항으로 인해 넓은 활성 영역(AA)으로 인가되는 전류의 분포가 고르지 않게 되며, 이러한 불균일한 전류분포는 대면적 OLED 조명 장치(100)의 균일한 휘도의 발광을 불가능하게 한다.
보조배선(120)은 기판(110) 전체에 걸쳐 얇은 폭의 매트릭스 형상, 메쉬 형상, 육각형 형상, 팔각형 형상, 원형상 등으로 배치되어 기판(110) 전체의 제1 전극(130)에 균일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대면적 OLED 조명장치(100)에서 균일한 휘도의 발광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보조배선(120)이 제1 전극(130)의 하부에 배치되지만, 보조전극(120)이 제1 전극(13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보조배선(120)은 Al, Au, Cu, Ti, W, Mo 및 Cr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배선(120)은 단층 구조로 구성되거나, 또는 2층 이상의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조배선(120)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기판(110)을 복수의 화소 단위로 구획할 수 있다. 즉, 보조배선(120)은 제1 전극(130)에 비해 저항이 매우 낮으므로, 실질적으로 제1 전극(130)의 전압은 제1 패드(172)를 통해 제1 전극(130)으로 직접 인가되는 것이 아니라 보조배선(120)을 통하여 인가된다. 따라서, 제1 전극(130)이 기판(110)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지만, 보조배선(120)에 의해 제1 전극(130)이 복수의 화소로 구획된다.
이러한 보조배선(120)은 대략 30 ~ 70㎛의 폭을 가질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사용되는 금속의 종류, 조명 장치(100)의 면적, 화소의 크기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또한, 기판(110)에는 제1 전극(130) 및 제2 전극(150)과 각각 접속되어 외부로부터 전압이 인가되는 패드(170)가 배치된다. 이를 위해, 패드(170)는 제1 전극(130)에 접속되는 제1 패드(172)와, 제2 전극(150)에 접속되는 제2 패드(17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패드(172) 및 제2 패드(174)는 제1 연결배선(176) 및 제2 연결배선(178)을 통하여 제1 전극(130) 및 제2 전극(150)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1에서는 패드(170)가 기판(110)의 일변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그 위치 및 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즉, 패드(170)는 기판(110)의 양변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배치되거나, 기판(110)의 4변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패드(170)는 보조배선(120)과 동일층에 배치되며, 보조배선(12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패드 전극(170a)과, 패드 전극(170a) 상에 적층되며, 제1 전극(130)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진 패드 전극단자(170b)를 가질 수 있다.
제1 전극(130) 상부에는 보호층(125)이 적층된다. 이러한 보호층(125)은 보조배선(120)을 덮도록 제1 전극(130) 상부에 배치된다.
보조배선(120)은 불투명한 금속으로 구성되므로, 보조배선(120)이 형성되는 영역으로는 광이 출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제1 전극(130) 상에는 보조배선(120)이 위치하는 상부에만 보호층(125)을 구비하고, 보조배선(120)이 배치되지 않는 위치에는 보호층(125)이 배치되지 않도록 하여, 화소의 발광 영역에서만 광이 발광하여 출력되도록 한다.
또한, 보호층(125)은 보조배선(12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보조배선(120)에 의한 단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이후에 적층되는 유기발광층(140) 및 제2 전극(150) 등이 단선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보호층(125)은 SiOx나 SiNx 등과 같은 무기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층(125)은 포토아크릴과 같은 유기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무기층 및 유기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 전극(130) 및 보호층(125)의 상부에는 유기발광층(140)과 제2 전극(150)이 차례로 배치된다.
유기발광층(140)은 백색광을 출력하는 유기발광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발광층(140)은 청색 유기발광층, 적색 유기발광층 및 녹색 유기발광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청색발광층과 황색-녹색발광층을 포함하는 탠덤(tandem)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유기발광층(140)이 상기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유기발광소자(E)는 유기발광층(140)에 전자 및 정공을 각각 주입하는 전자주입층 및 정공주입층과, 주입된 전자 및 정공을 유기발광층으로 각각 수송하는 전자수송층 및 정공수송층과, 전자 및 정공과 같은 전하를 생성하는 전하생성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층(140)은 정공수송층과 전자수송층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를 각각 수송받아 결합시킴으로써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발광하는 물질로서, 형광이나 인광에 대한 양자효율이 좋은 물질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물질로는 예를 들어, 8-히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 착물 (Alq3), 카르바졸 계열 화합물, 이량체화 스티릴(dimer ized styryl) 화합물, BAlq, 10-히드록시벤조 퀴놀린-금속 화합물, 벤족사졸과 벤즈티아졸 및 벤즈이미다졸 계열의 화합물, 폴리(p-페닐렌비닐렌)(PPV)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전극(150)은 Ca, Ba, Mg, Al, Ag과 같은 금속 또는 이들의 합금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기판(110)의 비활성 영역(NAA)에는 제2 전극(150)과 접속되어 제2 전극(150)에 전압을 인가하는 제2 패드(174)가 구비된다.
제1 전극(130), 유기발광층(140) 및 제2 전극(150)은 유기발광소자(E)를 구성한다. 이때, 제1 전극(130)이 유기발광소자(E)의 애노드(anode)이고, 제2 전극(150)이 캐소드(cathode)로서, 제1 전극(130)과 제2 전극(150)에 전압이 인가되면, 제2 전극(150)으로부터 전자가 유기발광층(140)으로 주입되고 제1 전극(130)으로부터 정공이 유기발광층(140)으로 주입되어, 유기발광층(140) 내에는 여기자(exciton)가 생성된다. 이 여기자가 소멸(decay)함에 따라 유기발광층(140)의 LUMO(Lowest Unoccupied Molecular Orbital)와 HOMO(Highest Occupied Molecular Orbital)의 에너지 차이에 해당하는 광이 발생하게 되어 기판(110) 방향으로 광을 발산하게 된다.
한편, 도 3은 도 2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기발광소자(E)가 구비된 기판(110) 상의 활성 영역(AA)에는 유기발광소자(E)의 제2 전극(150)을 덮는 인캡슐레이션층(160)이 적층된다.
이러한 인캡슐레이션층(160)은 접착층(162)과, 접착층(162) 상에 배치된 기재층(16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기발광소자(E)가 구비된 기판(110)의 활성 영역(AA)에는 접착층(162) 및 기재층(164)을 포함하는 인캡슐레이션층(160)이 배치되어, 기재층(164)이 접착층(162)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OLED 조명 장치(100)를 밀봉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접착층(162)으로는 광경화성 접착제 또는 열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기재층(164)은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물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재층(164)의 재질로는 PET(Polyethyleneterephtalate)와 같은 고분자 물질이 적용되거나, 또는 알루미늄 호일, Fe-Ni 합금, Fe-Ni-Co 합금 등의 금속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인캡슐레이션층(160)을 기판(110) 상의 활성 영역(AA)만을 덮도록 배치시킨 것은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되는 패드(170)를 노출시키고, 패드(170)를 FPCB 기판(300)과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FPCB 기판(300)을 통한 외부 신호를 패드(170)를 통하여 제1 전극(130) 및 제2 전극(150)에 각각 인가하기 위함이다.
이에 따라, 기판(110) 상의 활성 영역(AA)에 배치된 유기발광소자(E)는 인캡슐레이션층(160)에 의해 밀봉되고, 기판(110) 상의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된 패드(170)는 외부로 노출된다. 이와 같이, 인캡슐레이션층(160)의 외측으로 노출된 패드(170)는 COF 테이프(305)를 매개로 FPCB 기판(300)과 접속된다.
이때, FPCB 기판(300)은 COF 테이프(305)를 매개로 한 탭 실장 공정에 의해 패드(170)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 패드(170)가 배치되는 기판(110)의 비활성 영역(NAA)은 인캡슐레이션층(160)이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버퍼층(115) 하부의 기판(110)이 패드(17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100)는 플렉서블한 고분자 물질로 이루어진 기판(110)을 반드시 필요로 하게 된다.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100)는 유기발광물질로 이루어진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하기 때문에 무기발광소자에 비해 녹색 및 적색의 발광효율이 좋을 뿐만 아니라, 청색, 적색, 녹색의 발광피크(peak)의 폭이 상대적으로 넓기 때문에 색연색성이 향상되어 태양광과 유사하게 되는 장점을 갖는다.
다만,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100)는 플렉서블한 특성을 발휘하기 위해, 기판(110)의 재질로 플라스틱과 같이 휘어질 수 있는 연성의 투명한 고분자 물질로 제작하고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캐리어 글래스(10) 상에서 제작된 후, 레이저를 조사하는 방식으로 캐리어 글래스(10)로부터 기판(110), 즉 OLED 조명 장치(100)를 박리시키게 된다. 이때, 레이저 조사를 통한 박리를 위해, 캐리어 글래스(10)와 기판(110) 사이에는 실리콘 재질의 희생층(5)이 배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100)의 경우, 기판(110)의 재질로 플렉서블한 특성을 갖는 고분자 물질 중에서도 내열성이 우수한 PI(polyimide) 재질의 필름을 이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PI 필름은 다른 고분자 물질에 비하여 상당히 고가인 관계로 제조 비용을 상승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또한, PI 필름의 경우, PI의 내열 온도에 의해 350℃를 초과하는 온도에서는 PI 필름에 손상을 야기시킬 우려가 있기 때문에 350℃ 미만의 온도에서 보조배선, 유기발광소자(E) 등을 형성하기 위한 공정이 진행될 수 밖에 없는 공정 조건의 제약으로 유기발광소자(E)의 신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에서는 기판을 제거하는 대신 버퍼층의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 전체에 인캡슐레이션층을 확대하여 배치시키고, 인캡슐레이션층을 관통하는 비아 전극을 통하여 패드와 전기적으로 접속시키는 것에 의해 유기발광소자의 신뢰성 향상 및 비용 절감 효과를 동시에 도모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선을 따라 절단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200)는 버퍼층(215), 보조배선(220), 유기발광소자(E), 패드(270), 인캡슐레이션층(260) 및 비아 전극(280)을 포함한다.
버퍼층(215)은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NAA)을 갖는다. 이러한 버퍼층(215)은 하부로부터 침투되는 수분 및 공기를 차단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버퍼층(215)은 SiOx나 SiNx 등과 같은 무기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200)는 버퍼층(215) 하부에 배치되던 기판이 제거됨에 따라 제조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350℃를 초과하는 고온 공정에서 보조배선(220), 유기발광소자(E) 등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유기발광소자(E)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SiOx나 SiNx 등과 같은 무기층으로 구성된 버퍼층(215)이 350℃를 초과하는 고온 공정에 노출됨에 따라 강도 및 경도가 개선될 수 있다.
보조배선(220)은 버퍼층(215) 상의 활성 영역(AA)에 배치된다. 이러한 보조배선(220)은 버퍼층(215)의 활성 영역(AA) 전체에 얇은 폭의 매트릭스 형상, 메쉬 형상, 육각형 형상, 팔각형 형상, 원형상 등으로 배치되어 제1 전극(230)에 균일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대면적 OLED 조명 장치(200)에서 균일한 휘도의 발광이 가능하게 한다.
이때, 보조배선(220)이 제1 전극(230)의 하부에 배치되지만, 보조배선(220)이 제1 전극(230)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보조배선(220)은 Al, Au, Cu, Ti, W, Mo 및 Cr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배선(220)은 단층 구조로 구성되거나, 또는 2층 이상의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보조배선(220)은 매트릭스 형상으로 배치됨으로써 버퍼층(215)을 복수의 화소 단위로 구획할 수 있다. 즉, 보조배선(220)은 제1 전극(230)에 비해 저항이 매우 낮으므로, 실질적으로 제1 전극(230)의 전압은 제1 패드(272)를 통해 제1 전극(230)으로 직접 인가되는 것이 아니라 보조배선(220)을 통하여 인가된다. 따라서, 제1 전극(230)이 버퍼층(215)의 전체에 걸쳐 형성되지만, 보조배선(220)에 의해 제1 전극(230)이 복수의 화소로 구획된다.
이러한 보조배선(220)은 대략 30 ~ 70㎛의 폭을 가질 수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사용되는 금속의 종류, OLED 조명 장치(200)의 면적, 화소의 크기 등과 같은 다양한 요인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유기발광소자(E)는 보조배선(220)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유기발광소자(E)는 보조배선(220) 상에 배치되어 보조배선(220)과 직접 연결된 제1 전극(230)과, 제1 전극(230) 상에 적층된 유기발광층(240)과, 유기발광층(240) 상에 적층된 제2 전극(250)을 갖는다.
유기발광층(240)은 백색광을 출력하는 유기발광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발광층(240)은 청색 유기발광층, 적색 유기발광층 및 녹색 유기발광층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청색발광층과 황색-녹색발광층을 포함하는 탠덤(tandem)구조로 구성될 수도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유기발광층(240)이 상기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구조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면으로 나타내지는 않았지만, 유기발광소자(E)는 유기발광층(240)에 전자 및 정공을 각각 주입하는 전자주입층 및 정공주입층과, 주입된 전자 및 정공을 유기발광층으로 각각 수송하는 전자수송층 및 정공수송층과, 전자 및 정공과 같은 전하를 생성하는 전하생성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유기발광층(240)은 정공수송층과 전자수송층으로부터 각각 정공과 전자를 각각 수송받아 결합시킴으로써 가시광선 영역의 광을 발광하는 물질로서, 형광이나 인광에 대한 양자효율이 좋은 물질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유기물질로는 예를 들어, 8-히드록시-퀴놀린 알루미늄 착물 (Alq3), 카르바졸 계열 화합물, 이량체화 스티릴(dimer ized styryl) 화합물, BAlq, 10-히드록시벤조 퀴놀린-금속 화합물, 벤족사졸과 벤즈티아졸 및 벤즈이미다졸 계열의 화합물, 폴리(p-페닐렌비닐렌)(PPV) 등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200)는 제1 전극(230) 및 유기발광층(240) 사이에 배치되어, 보조배선(220)을 덮는 보호층(225)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층(225)은 제1 전극(230) 상에서 보조배선(22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보조배선(220)에 의한 단차를 감소시킨다. 이에 따라, 보호층(225) 상에 적층되는 유기발광층(240) 및 제2 전극(250) 등이 단선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적층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보호층(225)은 SiOx나 SiNx 등과 같은 무기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층(225)은 포토아크릴과 같은 유기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무기층 및 유기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패드(270)는 제1 전극(230) 및 제2 전극(250)에 각각 연결되며,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된다. 즉, 패드(270)는 제1 전극(230) 및 제2 전극(250)과 각각 접속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압을 인가 받는다. 이를 위해, 패드(270)는 제1 전극(230)에 접속되는 제1 패드(272)와, 제2 전극(250)에 접속되는 제2 패드(274)를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패드(272) 및 제2 패드(274)는 제1 연결배선(276) 및 제2 연결배선(278)을 통하여 제1 전극(230) 및 제2 전극(250)에 각각 전기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패드(270)가 버퍼층(215)의 일변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그 위치 및 수는 다양한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즉, 패드(270)는 버퍼층(215)의 양변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배치되거나, 버퍼층(215)의 4변 가장자리 영역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이때, 패드(270)는 보조배선(220)과 동일층에 배치되며, 보조배선(220)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패드 전극(270a)과, 패드 전극(270a) 상에 적층되며, 제1 전극(230)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진 패드 전극단자(270b)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패드 전극단자(270b)는 패드 전극(270a)의 상면 및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패드 전극(270a)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 인캡슐레이션층(260)은 버퍼층(215) 상의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NAA)의 전면에 배치되어, 제2 전극(250)과 패드(270)를 덮는다. 즉, 인캡슐레이션층(260)은 패드(270) 및 유기발광소자(E)를 구비한 버퍼층(215)의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NAA) 모두를 덮도록 배치되어, 버퍼층(215)과 동일한 면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인캡슐레이션층(260)이 버퍼층(215) 상의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NAA)의 전면에 배치됨에 따라, 버퍼층(215)의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되는 패드(270)가 인캡슐레이션층(260)과 접합되기 때문에 인캡슐레이션층(26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버퍼층(215) 하부에 배치되던 기판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러한 인캡슐레이션층(260)은 접착층(262)과, 접착층(262) 상에 배치된 기재층(26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기발광소자(E)가 구비된 버퍼층(215)의 활성 영역(AA)에는 접착층(262) 및 기재층(264)을 포함하는 인캡슐레이션층(260)이 배치되어, 기재층(264)이 접착층(262)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OLED 조명 장치(200)를 밀봉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접착층(262)으로는 광경화성 접착제 또는 열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기재층(264)은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물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재층(264)의 재질로는 PET(Polyethyleneterephtalate)와 같은 고분자 물질이 적용되거나, 또는 알루미늄 호일, Fe-Ni 합금, Fe-Ni-Co 합금 등의 금속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비아 전극(280)은 비활성 영역(NAA)의 인캡슐레이션층(260)을 관통하여, 패드(270)에 접속된다.
이러한 비아 전극(280)은 관통부(280a) 및 접속 단자부(280b)를 갖는다.
비아 전극(280)의 관통부(280a)는 비활성 영역(NAA)의 인캡슐레이션층(260), 패드(270) 및 버퍼층(215)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패드(2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비아 전극(280)의 관통부(280a)는 패드(270)의 중앙 부분에서 측면 접촉 방식으로 패드(2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비아 전극(280)의 접속 단자부(280b)는 비활성 영역(NAA)의 인캡슐레이션층(260) 상부에 배치되어, 비아 전극(280)의 관통부(280a)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비아 전극(280)의 접속 단자부(280b)는 인캡슐레이션층(260)의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이러한 비아 전극(280)으로는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물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비아 전극(280)의 재질로는 Ag, Al, Cu 및 Au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페이스트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은 도 5의 B 부분을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로, 도 5와 연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200)는 버퍼층(215) 하부에 배치되어, 버퍼층(215)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29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버퍼층(215) 하부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290)은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보호 필름(290)은 유기발광소자(E)를 형성한 이후에 버퍼층(215)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고온 공정에 노출될 염려가 없기 때문에 고가의 PI 필름을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보호 필름(290)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200)는 인캡슐레이션층(260)이 버퍼층(215) 상의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NAA)의 전면에 배치되고, 비아 전극(280)이 비활성 영역(NAA)의 인캡슐레이션층(260)을 관통하여, 패드(2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때,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패드(170)가 배치되는 기판(110)의 비활성 영역(NAA)에는 인캡슐레이션층(160)이 배치되지 않기 때문에 패드(17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기판(110)을 반드시 필요로 하였다.
이와 달리,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인캡슐레이션층(260)이 버퍼층(215) 상의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NAA)의 전면에 배치됨에 따라, 버퍼층(215)의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되는 패드(270)가 인캡슐레이션층(260)과 접합되기 때문에 인캡슐레이션층(26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COF 테이프(305)가 부착된 FPCB 기판(300)과 비아 전극(280) 간의 탭 실장 시, COF 테이프(305)가 패드(270)와 직접 접촉되는 것이 아니라, 패드(270)와 접속되는 비아 전극(280), 특히 인캡슐레이션층(260) 상에 배치되는 비아 전극(280)의 접속 단자부(280b)에 접촉되어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비아 전극(280)과 FPCB 기판(300) 간의 전기적 연결은 비아 전극(280)의 접속 단자부(280b)와 COF 테이프(305) 간을 탭 실장 방식으로 실장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아 전극(280)의 접속 단자부(280b)는 COF 테이프(305)를 매개로 FPCB 기판(300)과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짐에 따라, 비아 전극(280)과 접속되는 패드(270)로 외부로부터의 신호가 인가될 수 있게 된다.
이 결과, 버퍼층(215)의 비활성 영역(NAA)에 배치되는 패드(270)가 인캡슐레이션층(260)에 의해 안정적으로 고정된 상태에서 탭 실장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버퍼층(215)의 하부에 배치되던 고가의 투명 PI 재질의 기판을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기판 제거에 따른 비용 절감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버퍼층(215) 하부에 배치되던 기판이 제거됨에 따라 350℃를 초과하는 고온 공정에서 보조배선(220), 유기발광소자(E) 등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으므로 유기발광소자(E)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SiOx나 SiNx 등과 같은 무기층으로 구성된 버퍼층(215)이 350℃를 초과하는 고온 공정에 노출됨에 따라 강도 및 경도가 개선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의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낸 공정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희생층(5)을 구비하는 캐리어 기판(10) 상에 버퍼층(215)을 형성한다. 이때, 버퍼층(215)으로 SiOx나 SiNx 등과 같은 무기물을 이용할 시에는 스퍼터링 증착 방식으로 증착하여 형성하고, 포토아크릴과 같은 유기물을 을 이용할 시에는 스핀 코팅 방식으로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버퍼층(215) 상의 활성 영역(AA)에 보조배선(220)을 형성한다. 이러한 보조배선(220)은 버퍼층(215)의 활성 영역(AA) 전체에 얇은 폭의 매트릭스 형상, 메쉬 형상, 육각형 형상, 팔각형 형상, 원형상 등으로 형성되어, 후속 공정으로 제조되는 제1 전극(230)에 균일한 전압이 인가되도록 하여 대면적 OLED 조명장치에서 균일한 휘도의 발광이 가능하게 한다.
이를 위해, 보조배선(220)은 Al, Au, Cu, Ti, W, Mo 및 Cr 중 선택된 1종 또는 2종 이상의 합금 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조배선(220)은 단층 구조로 구성되거나, 또는 2층 이상의 복층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보조배선(220) 상에 제1 전극(230)을 형성한 후, 제1 전극(230) 상에 보호층(225)을 형성한다. 이때, 제1 전극(230)은 활성 영역(AA) 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전극(230)으로는 ITO와 같은 투명한 도전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보호층(225)은 제1 전극(230) 상에서 보조배선(220)을 둘러싸도록 형성되어 보조배선(220)에 의한 단차를 감소시킨다. 이러한 보호층(225)은 SiOx나 SiNx 등과 같은 무기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층(225)은 포토아크릴과 같은 유기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무기층 및 유기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층(225) 및 제1 전극(230) 상에 유기발광층(240)을 형성한 후, 유기발광층(240) 상에 제2 전극(250)을 형성한다. 이때, 유기발광층(240)은 증발증착법에 의해 증착하여 형성될 수 있고, 제2 전극(250)은 스퍼터링법에 의해 증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제2 전극(250)이 형성된 버퍼층(215)의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NAA) 전체를 덮는 인캡슐레이션층(260)을 형성한다. 이때, 인캡슐레이션층(260)은 열 압착 방식에 의해 유기발광소자(E)가 형성된 버퍼층(215)과 합착될 수 있다.
이러한 인캡슐레이션층(260)은 접착층(262)과, 접착층(262) 상에 배치된 기재층(26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유기발광소자(E)가 구비된 버퍼층(215)의 활성 영역(AA)에는 접착층(262) 및 기재층(264)을 포함하는 인캡슐레이션층(260)이 배치되어, 기재층(264)이 접착층(262)에 의해 부착됨으로써 OLED 조명 장치를 밀봉시킬 수 있게 된다.
이때, 접착층(262)으로는 광경화성 접착제 또는 열경화성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다. 기재층(264)은 외부로부터의 수분이나 공기가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배치시키는 것으로, 이러한 기능을 수행할 수만 있다면 어떠한 물질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기재층(264)의 재질로는 PET(Polyethyleneterephtalate)와 같은 고분자 물질이 적용되거나, 또는 알루미늄 호일, Fe-Ni 합금, Fe-Ni-Co 합금 등의 금소 물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인캡슐레이션층(260)을 활성 영역(AA) 및 비활성 영역(NAA)의 전체에 배치됨에 따라 비활성 영역(NAA)의 버퍼층(215)까지 안정적으로 부착하는 것이 가능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버퍼층(215) 하부에 배치되던 기판을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된다.
다음으로, 희생층(5)을 구비한 캐리어 기판(10)의 하부에서 레이저를 조사하여 버퍼층(215)으로부터 희생층(5)을 구비한 캐리어 기판(10)을 박리시킨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활성 영역(NAA)의 인캡슐레이션층(260), 패드(270) 및 버퍼층(215)을 관통하는 관통 홀(TH)을 형성한다. 이러한 관통 홀(TH)은 인캡슐레이션층(260) 상부에서 버퍼층(215) 방향으로 마이크로 펀칭을 실시하는 것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관통 홀(TH)은 패드(270)의 중앙 부분을 관통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나, 패드(270)의 가장자리 부분을 관통시킬 수도 있다. 관통 홀(TH)에 의해, 패드(270) 중앙 부분의 내측 측면이 외부로 노출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 홀(도 9의 TH)이 형성된 버퍼층(215)의 하부에 보호필름(290)을 부착한다. 이때, 버퍼층(215) 하부에 배치되는 보호 필름(290)은 반드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보호 필름(290)은 유기발광소자(E)를 형성한 이후에 버퍼층(215)의 하부에 부착되는 것으로서, 고온 공정에 노출될 염려가 없기 때문에 고가의 PI 필름을 이용할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보호 필름(290)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재질이 이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관통 홀 내에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 페이스트를 충진하고, 경화시켜 비아 전극(280)을 형성한다. 금속 페이스트로는 Ag, Al, Cu 및 Au 중 선택된 1종 이상이 이용될 수 있다.
이러한 비아 전극(280)은 비활성 영역(NAA)의 인캡슐레이션층(260)을 관통하여, 패드(270)에 접속된다.
이때, 비아 전극(280)은 관통부(280a) 및 접속 단자부(280b)를 갖는다.
비아 전극(280)의 관통부(280a)는 비활성 영역(NAA)의 인캡슐레이션층(260), 패드(270) 및 버퍼층(215)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패드(270)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에 따라, 비아 전극(280)의 관통부(280a)는 패드(270)의 중앙 부분에서 측면 접촉 방식으로 연결된다.
비아 전극(280)의 접속 단자부(280b)는 비활성 영역(NAA)의 인캡슐레이션층(260) 상부에 배치되어, 비아 전극(280)의 관통부(280a)에 접속된다. 이에 따라, 비아 전극(280)의 접속 단자부(280b)는 인캡슐레이션층(260)의 상부에 배치되어, 외부로 노출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아 전극(280)을 FPCB 기판(300)과 접속시킨다. 이에 따라, FPCB 기판(300)으로부터의 외부 신호가 비아 전극(280)을 통하여 패드(270)에 인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비아 전극(280)과 FPCB 기판(300) 간의 전기적 연결은 비아 전극(280)의 접속 단자부(280b)와 COF 테이프(305) 간을 탭 실장 방식으로 실장하는 것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비아 전극(208)의 접속 단자부(280b)는 COF 테이프(305)를 매개로 FPCB 기판(300)과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짐에 따라, 비아 전극(280)과 접속되는 패드(270)로 외부로부터의 신호가 인가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통상의 기술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변형을 가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과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범주 내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200 : OLED 조명 장치 215 : 버퍼층
220 : 보조배선 225 : 보호층
230 : 제1 전극 240 : 유기발광층
250 : 제2 전극 260 : 인캡슐레이션층
262 : 접착층 264 : 기재층
270 : 패드 270a : 패드 전극
270b : 패드 전극단자 280 : 비아 전극
280a : 비아 전극의 관통부 280b : 비아 전극의 접속 단자부
E : 유기발광소자 AA : 활성 영역
NAA : 비활성 영역

Claims (10)

  1.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을 갖는 버퍼층;
    상기 버퍼층 상의 활성 영역에 배치된 보조배선;
    상기 보조배선 상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배선과 연결된 제1 전극과, 상기 제1 전극 상에 적층된 유기발광층 및 제2 전극을 갖는 유기발광소자;
    상기 제1 전극 및 제2 전극에 각각 연결되며, 상기 비활성 영역에 배치된 패드;
    상기 버퍼층 상의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의 전면에 배치되어, 상기 제2 전극과 패드를 덮는 인캡슐레이션층; 및
    상기 비활성 영역의 인캡슐레이션층을 관통하여, 상기 패드에 접속된 비아 전극;
    을 포함하는 OLED 조명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버퍼층 상의 적어도 일변 가장자리에 배치된 OLED 조명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는
    상기 보조배선과 동일층에 배치되며, 상기 보조배선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진 패드 전극과,
    상기 패드 전극 상에 적층되며, 상기 제1 전극과 동일 물질로 이루어진 패드 전극단자를 포함하는 OLED 조명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전극단자는
    상기 패드 전극의 상면 및 측면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패드 전극의 상면 및 측면을 감싸도록 배치된 OLED 조명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캡슐레이션층은
    상기 패드 및 유기발광소자를 구비한 버퍼층의 활성 영역 및 비활성 영역 모두를 덮도록 배치되어, 상기 버퍼층과 동일한 면적을 갖는 OLED 조명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 전극은
    상기 비활성 영역의 인캡슐레이션층, 패드 및 버퍼층을 관통하도록 배치되어, 상기 패드에 접속된 관통부; 및
    상기 비활성 영역의 인캡슐레이션층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관통부에 접속된 접속 단자부;
    를 포함하는 OLED 조명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 전극은
    Ag, Al, Cu 및 Au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페이스트인 OLED 조명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비아 전극은
    상기 접속 단자부 상에 부착되는 COF 테이프를 매개로 FPCB 기판과 접속되는 OLED 조명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OLED 조명 장치는
    상기 제1 전극 및 유기발광층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보조배선을 덮는 보호층; 및
    상기 버퍼층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버퍼층을 보호하는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OLED 조명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 필름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lene terephthalate, PET),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PEN), 폴리에스테르(Polyester: P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및 폴리에테르설폰(Polyethersulfone: PES)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재질을 포함하는 OLED 조명 장치.
KR1020170159846A 2017-11-28 2017-11-28 Oled 조명 장치 KR102406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846A KR102406966B1 (ko) 2017-11-28 2017-11-28 Oled 조명 장치
CN201811245490.6A CN109842977B (zh) 2017-11-28 2018-10-24 Oled照明装置
US16/197,301 US10770674B2 (en) 2017-11-28 2018-11-20 OLED lighting apparatus
JP2018218646A JP6751745B2 (ja) 2017-11-28 2018-11-21 Oled照明装置
EP18207732.1A EP3490021B1 (en) 2017-11-28 2018-11-22 Oled lighting apparatus
TW107142445A TWI716776B (zh) 2017-11-28 2018-11-28 Oled發光裝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846A KR102406966B1 (ko) 2017-11-28 2017-11-28 Oled 조명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443A true KR20190061443A (ko) 2019-06-05
KR102406966B1 KR102406966B1 (ko) 2022-06-08

Family

ID=644567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846A KR102406966B1 (ko) 2017-11-28 2017-11-28 Oled 조명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770674B2 (ko)
EP (1) EP3490021B1 (ko)
JP (1) JP6751745B2 (ko)
KR (1) KR102406966B1 (ko)
CN (1) CN109842977B (ko)
TW (1) TWI71677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16563B1 (ko) * 2017-05-22 2021-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금속으로 형성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533660B1 (ko) * 2018-07-04 2023-05-1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00141764A (ko) * 2019-06-11 2020-1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장치
US11871625B2 (en) 2020-03-27 2024-01-09 Boe Technology Group Co., Ltd. Display substrate, preparation method thereof, and display apparatu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4201A (ko) * 2012-05-04 2013-11-1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제작 방법
JP2015220090A (ja) * 2014-05-16 2015-12-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7776A (ko) * 2007-11-08 2009-05-13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FR2965407A1 (fr) * 2010-09-27 2012-03-30 Saint Gobain Procédé de connexion(s) électrique(s) d'un dispositif a diode électroluminescente organique encapsule et un tel dispositif oled
WO2012115466A2 (ko) 2011-02-25 2012-08-30 주성엔지니어링(주) 발광 장치
US9659085B2 (en) * 2012-12-28 2017-05-2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etecting anomalies in behavioral network with contextual side information
KR101372914B1 (ko) 2013-03-15 2014-03-12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Oled 조명장치
KR102625606B1 (ko) 2013-05-21 2024-01-17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전자 기기 및 카메라
DE102013111422A1 (de) * 2013-10-16 2015-04-30 Osram Oled Gmbh Optoelektronisches Bauelement, Kontaktiervorrichtung und optoelektronische Baugruppe
KR101597220B1 (ko) 2013-12-02 2016-02-24 코닝정밀소재 주식회사 조명용 유기발광장치
KR102271659B1 (ko) * 2014-08-29 2021-06-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패널 내장형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4393009B (zh) * 2014-11-23 2017-02-01 北京工业大学 包含硅通孔的高可靠性影像传感器封装
KR20160083641A (ko) 2014-12-31 2016-07-12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 발광소자
KR102410524B1 (ko) * 2015-07-03 2022-06-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455318B1 (ko) * 2015-10-30 2022-10-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2089340B1 (ko) * 2016-08-31 2020-03-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터치 센서를 가지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N106505089B (zh) * 2016-10-31 2019-11-05 上海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器件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24201A (ko) * 2012-05-04 2013-11-13 가부시키가이샤 한도오따이 에네루기 켄큐쇼 발광 장치 제작 방법
JP2015220090A (ja) * 2014-05-16 2015-12-07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90021A1 (en) 2019-05-29
US20190165297A1 (en) 2019-05-30
KR102406966B1 (ko) 2022-06-08
US10770674B2 (en) 2020-09-08
CN109842977B (zh) 2021-04-16
TWI716776B (zh) 2021-01-21
CN109842977A (zh) 2019-06-04
EP3490021B1 (en) 2023-06-28
JP2019102447A (ja) 2019-06-24
TW201926758A (zh) 2019-07-01
JP6751745B2 (ja) 2020-09-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751745B2 (ja) Oled照明装置
US10559773B2 (en) Lighting apparatus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164211B2 (en) Lighting apparatus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KR20230069901A (ko)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10418571B2 (en) Lighting apparatus using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US10714451B2 (en) Tiling structure type light apparatus for 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CN108123059B (zh) 使用有机发光装置的照明设备及其制造方法
KR102661550B1 (ko)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5158372A (ja) エレクトロルミネセンス素子及び照明装置
US10497891B2 (en) Lighting apparatus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
US10910585B2 (en) OLED lighting apparatus having a double layered electrode
KR102422061B1 (ko) Oled 조명 장치
TWI702588B (zh) 有機發光二極體發光裝置
KR102459222B1 (ko) Oled 조명 장치
KR102657037B1 (ko) 유기발광소자를 이용한 조명장치의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00082502A (ko) 조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