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914B1 - Oled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Oled 조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914B1
KR101372914B1 KR1020130028190A KR20130028190A KR101372914B1 KR 101372914 B1 KR101372914 B1 KR 101372914B1 KR 1020130028190 A KR1020130028190 A KR 1020130028190A KR 20130028190 A KR20130028190 A KR 20130028190A KR 101372914 B1 KR101372914 B1 KR 101372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rganic layer
substrate
oled lighting
heat
light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8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운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28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91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7Arrangements for heating or cooling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H10K50/846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comprising getter material or desicca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애노드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 전극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유기층, 상기 유기층을 밀봉하도록 상기 기판과 합착되며, 상기 유기층과 대향하는 면에 홈이 형성된 봉지기판, 상기 홈에 형성되어 상기 유기층에서 생성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 모듈 및 상기 홈을 충진하는 게터충진제;를 포함하되, 상기 열전달 모듈은, 상기 유기층에서 생성된 열을 수평 방향으로 분산하는 수평 메탈 와이어부와 상기 유기층에서 생성된 열을 수직 방향으로 전도하는 수직 메탈 기둥부로 이루어지는 OLED 조명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유기층에서 발생된 열을 전도에 의해 봉지유리로 전달하므로 우수한 방열효과를 갖는다

Description

OLED 조명장치 {OLED LIGHTING DEVICE}
본 발명은 OLED 조명장치 기술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봉지기판의 내측 홈에 형성된 열 전달모듈을 통해 유기층에서 발생된 열을 수평 방향으로 분산하고, 수직 방향으로 전달할 뿐 아니라 봉지 기판 상부에 투명 방열박막층을 형성하여 외부로의 복사에 의한 열방사를 증대시킬 수 있는 OLED 조명장치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기 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는 형광성 유기화합물에 전류가 흐르면 빛을 내는 전계발광 현상을 이용하여 스스로 빛을 내는 자체발광형 발광소자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애노드 전극으로 주입된 정공과 캐소드 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가 유기 발광층에서 결합하여 엑시톤을 형성하고, 엑시톤이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발광하는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OLED는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소자의 부피와 무게를 줄일 수 있게 되며, 낮은 전압에서 구동이 가능하고 넓은 시야각과 빠른 응답속도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OLED 기술은 크게 평판 디스플레이(Flat Panel Display)와 평판 조명(Flat Panel Lighting) 기술로 나뉜다. 특히 OLED 조명은 투명(transparency), 유연(flexibility), 면 발광(surface emission), 초슬림(ultra slim) 특성으로 인해 향후 LED 조명과 함께 조명시장을 주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면 발광 특성은 우수한 열 분산 효과를 보인다. OLED 조명장치에서 방열기술은 LED처럼 고휘도 조명을 구현하기 위해 필요하며 또한 열 발생이 많은 투명 OLED 조명을 구현하기 위해서도 필요하다. 이때, OLED 소자 구동시 발생하는 열로 인해 유기물의 퇴화 및 유기물과 전극 사이의 계면특성 저하 등을 일으켜 OLED 소자의 안정성 및 수명이 단축되고 불균일한 효율 감소로 화상 품질이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방열기술은 OLED 소자 핵심요소 기술 중 하나인 OLED 소자를 외부에서 유입되는 산소나 수분으로부터 보호하는 봉지기술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즉, OLED 봉지기술은 OLED 면광원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효과적으로 방출할 수 있는 방열기능을 동시에 갖추어야 한다. 또한, 투명 OLED 조명을 위해서는 투명한 방열 봉지기술이 필요하다.
도 1은 종래의 OLED 조명장치의 개략적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OLED 조명장치는 기판(10), 상기 기판(10) 상에 형성된 유기층(20), 내측에 홈이 형성되어 상기 유기층(20)을 밀봉하도록 상기 기판(10)과 합착되는 봉지기판(50), 상기 봉지기판(50)의 내측 홈에 형성되어 수분을 흡수하는 게터 시트(40) 및 상기 기판(10)과 봉지기판(50)을 합착하는 레진(60)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봉지기판(50) 내측 홈에는 N2 가스와 같은 비활성 기체가 존재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비활성 기체로 인해 열전도 특성이 저하되게 된다. 즉, 유기층(20)에서 발생되는 열은 N2 가스로 채워진 공기층(30)을 복사(radiation)를 통해 봉지기판(50)으로 전달되게 되는데, 이러한 복사에 의한 열전달은 온도차의 4승에 비례하게 되어 효과적인 열방출이 불가능한 문제점을 내포하고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봉지기판 내측 홈에 열전달 모듈을 형성하고 게터충진제로 충진함으로써, 발열원인 유기층과 봉지기판 사이에서 전도에 의한 열전달이 가능한 OLED 조명장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봉지기판 상부에 투명 방열박막층을 형성함으로써, 봉지기판에 전도된 열을 외부로 방출시 복사에 의한 열방사를 증가시키는 OLED 조명장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OLED 조명장치는,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애노드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 전극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유기층; 상기 유기층을 밀봉하도록 상기 기판과 합착되며, 상기 유기층과 대향하는 면에 홈이 형성된 봉지기판; 상기 홈에 형성되어 상기 유기층에서 생성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 모듈; 및 상기 홈을 충진하는 게터충진제;를 포함하되, 상기 열전달 모듈은, 상기 유기층에서 생성된 열을 수평 방향으로 분산하는 수평 메탈 와이어부와 상기 유기층에서 생성된 열을 수직 방향으로 전도하는 수직 메탈 기둥부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O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메탈 와이어부는, 복수의 종배선과 횡배선으로 이루어진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O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 메탈 기둥부는, 상기 복수의 종배선과 횡배선의 교차영역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O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모듈은, Al, Cu, Ag, Au, Mo, Cr, Ni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O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봉지기판 상에 형성되어 복사에 의한 열방사를 증가시키는 투명 방열박막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O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투명 방열박막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열전달 모듈에 의해 전달된 열을 수평 방향으로 분산하는 Ag 나노 와이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O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모듈과 접촉되도록 상기 유기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열전달 모듈과 유기층과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O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메탈 와이어부의 두께 또는 폭은, 100㎛ 내지 20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O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직 메탈 기둥부의 폭은, 0.2mm 내지 1.5mm 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O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방열박막층의 두께는, 0.5㎛ 내지 1㎛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O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메탈 와이어부는, 상기 유기층을 향하는 상기 수직 메탈 기둥부의 끝단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O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수평 메탈 와이어부의 양 끝단은, 상기 기판과 상기 봉지기판 사이로부터 상기 봉지기판의 외부까지 평탄면으로 연장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봉지기판 내측 홈에 열전달 모듈을 형성하고 게터충진제로 충진함으로써 복사가 아닌 전도에 의해 유기층에서 발생된 열을 봉지기판으로 전달시켜 방열 효과를 향상시키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봉지기판 상부에 형성된 투명 방열박막층을 통해 투명도를 유지하면서 봉지기판에 전도된 열을 복사에 의해 외부로 방사시켜 방열성이 증대되는 효과를 가지게 된다.
아울러, 봉지기판과 투명 방열박막층 사이에 Ag 나노 와이어를 형성함으로써, 봉지기판에 전달된 열을 수평방향으로 분산시켜 투명 방열박막층에서의 방사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OLED 조명장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봉지기판 합착 전의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도 2에서의 A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봉지기판 합착 전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도 4에서의 B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도 4에서의 C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Ag 나노 와이어가 형성된 봉지기판의 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각 용어의 의미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도 2는 봉지기판 합착 전의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도 2에서의 A부분을 확대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OLED 조명장치는 기판(110), 상기 기판(110) 상에 순차 형성된 유기층(120)과 버퍼층(130), 상기 유기층(120)을 밀봉하도록 상기 기판(110)과 합착되는 봉지기판(140), 상기 봉지기판(140) 내측 홈에 형성된 열전달모듈(150) 및 상기 홈을 충진하는 게터충진제(16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기판(110)은 발광된 빛이 투과할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의 다양한 기판을 사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유리, 석영, 세라믹 등으로 이루어진 글라스 기판이나, 아크릴 계열, 폴리이미드 계열, 폴리아닐린 계열의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유기층(120)은 기판 상에 순차적으로 형성된 애노드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 전극을 포함한다. 애노드 전극은 정공 주입 및 발광된 빛을 투과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는 전극으로 본 발명의 일례로 기판(110) 상에 통상적으로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로 코팅된다. 하지만, 애노드 전극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전극을 형성할 수 있는 ZnO, ZnO:B, ZnO:Al, ZnO:H, SnO2, SnO2:F, 인듐아연산화물(Indium Zinc Oxide, IZO), 인듐 산화물(Indium Oxide), 주석 산화물(Tin Oxide), 인듐주석아연산화물(Indium Tin Zinc Oxide, ITZO) 또는 그라핀(Graphene) 등의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은 발광층과 정공 주입층(hole-injection layer, HIL), 정공 수송층(hole-transporting layer, HTL), 전자 수송층(electron-transporting layer, ETL) 및 전자 주입층(electron-injection layer, EIL)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다중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전술한 층들 중에 발광층을 제외한 나머지 층들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 있다. 유기 발광층이 전술한 모든 층들을 포함할 경우, 정공 주입층이 정공 주입 전극인 애노드 전극 상에 배치되고, 그 위로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이 차례로 적층된다. 또한, 유기 발광층은 필요에 따라 다른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기 발광층은 마이크로 캐비티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공진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캐소드 전극은 전자 주입 역할 및 유기발광층으로부터 발광된 빛을 반사시키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전극으로 낮은 일함수를 가지는 금속, 합금, 전기 전도성 화합물 및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유기층(120) 상부, 보다 구체적으로는 캐소드 전극 상부에는 열전달 모듈(150)과 유기층(120)과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기 위해 버퍼층(130)이 형성된다.
봉지기판(140)은 유기층(120)으로 대기 중의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에폭시 레진(190)을 통해 기판(110) 본체와 합착 밀봉되어 유기층(120)을 커버한다. 봉지기판(140)은 글라스 기판 또는 아크릴 계열, 폴리이미드 계열, 폴리아닐린 계열의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이때, 봉지기판(140)의 내측에는 유기층(120)이 형성된 기판(110)의 발광 영역에 대응하도록 홈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봉지기판(140)은 에폭시 레진(190)을 통해 기판(110)과 합착하면서도 유기층(120)과는 안정적으로 이격되어 유기층(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봉지기판(140)의 내측 홈에는 열전달 모듈(150)이 형성되며, 게터충진제(160)로 상기 홈이 충진된다.
종래의 OLED 조명장치는 봉지기판의 내부에 존재하는 N2 가스 등의 비활성 기체로 인해 복사에 의해 유기층에서 발생된 열이 봉지기판으로 전달되어 효과적인 열방출을 구현하기 힘들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열전달 모듈(150)을 통해 봉지기판(140)과 유기층(120) 사이의 열 전달을 복사가 아닌 전도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하여 OLED 조명장치의 방열효과를 극대화하고자 한다.
열전달 모듈(150)은 상기 봉지기판(110)의 내측 홈에 수평 메탈 와이어부(151)와 수직 메탈 기둥부(15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수평 메탈 와이어부(151)는 상기 유기층(120)에서 발생된 열을 수평 방향으로 분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복수의 종배선과 횡배선으로 이루어진 격자(grid)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수평 메탈 와이어부(151)의 두께 또는 폭은 개구율을 확보하여 투과도를 높이기 위해 100㎛ 내지 200㎛ 일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200㎛ 의 범위에서 형성될 수 있다.
수직 메탈 기둥부(152)는 상기 버퍼층(130)과 접촉되어 상기 유기층(120)에서 발생된 열을 수직 방향으로 전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상기 수평 메탈 와이어부(151)의 종배선과 횡배선의 교차점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수직 메탈 기둥부(152)의 단면은 도 3에서와 같이 원형일 수도 있지만,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 타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직 메탈 기둥부(152)의 폭은 대면적 패널의 경우 충격에 의해 봉지기판(140)이 깨지거나, 처지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0.2mm 내지 1.5 mm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직 메탈 기둥부(152)의 두께는 봉지기판(110) 내측에 형성된 홈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그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열전달 모듈(150), 즉, 수평 메탈 와이어부(151)와 수직 메탈 기둥부(152)는 사출을 통해 용이하게 제조가 가능하며, 재료로는 열전도도가 높은 Al, Cu, Ag, Au, Mo, Cr, Ni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게터충진제(160)는 봉지기판(110) 내측 홈에 존재하는 N2 가스 등의 비활성 기체를 제거하고 수분을 흡수할 뿐 아니라, 상기 열전달 모듈(150)과 같이 유기층(120)에서 발생된 열을 전도에 의해 봉지기판(140)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CaO, BaO, Ba 합금(alloy), 지르코늄 그라파이트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게터충진제(160)는 상기 봉지기판(110) 내측에 형성된 홈에 액상 게터(getter)를 충진하고, 이후 상기 열전달모듈(150)인 수평 메탈 와이어부(151)와 수직 메탈 기둥부(152)를 배치시킨 후 상기 액상 게터를 열 또는 UV 경화하여 형성한다. 이때, 상기 게터충진제(160)의 두께는 상기 수직 메탈 기둥부의 두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발열원인 유기층(120)에서 생성된 열은 상기 열전달 모듈(150)과 게터충진제(160)를 통해 전도에 의해 상기 봉지기판(140)으로 전달되어 방열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이렇게 열전달 모듈(150)과 게터충진제(160)에 의해 전달된 열은 봉지기판(140)의 외부 표면에서 대류(convection)와 복사(radiation)에 의해 열이 외부로 방출된다. 봉지기판(140) 특히, 글라스 기판은 자연대류하에서 복사 능력을 나타내는 방사율이 0.83 정도로 낮은 편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봉지기판(140) 상부에 복사에 의한 열방사를 증가시키기 위해 투명 방열박막층(180)을 코팅하여 형성한다. 상기 투명 방열박막층(180)은 방사율과 투과율이 높은 방열박막층으로서 용액공정으로 코팅이 가능하며 열경화 또는 UV 경화가 가능한 PMMA(방사율 0.9) 나 아크릴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투명 방열박막층(180)의 두께가 두꺼우면 열전도도가 낮아지므로 두께를 0.5㎛ 내지 1㎛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면적 OLED 조명 광원이나 투명 OLED 조명 광원의 경우 열이 국부적으로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평으로의 열분산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상기 고분자물질의 열전도도 높여야 하므로, 이를 위해 금속, SiC 나 AlN 등과 같은 세라믹 재료, CNT 나 그라파이트 등과 같은 탄소섬유재료를 충진제(filler)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4는 봉지기판 합착 전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것이며, 도 5 및 도 6은 도 4에서의 B 부분 및 C 부분의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및 도 3에서 상술한 구성요소 중 중복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도 2 및 도 3의 기판(110), 유기층(120), 버퍼층(130), 봉지기판(140), 투명 방열박막층(180)의 구성요소와 동일하지만, 열전달모듈(150)에 구성상 차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장치는 열전달 모듈(150)에 의해 전달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기 위해 유기층(120)을 향하는 수직 메탈 기둥부(152)의 끝단에 수평 메탈 와이어부(151)를 형성하며, 수평 메탈 와이어부(151)의 양 끝단(153)은 격자가 아닌 평탄면으로 형성되되, 기판(110)과 봉지기판(140) 사이에서부터 봉지기판(140)의 외부까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 메탈 와이어부(152)의 양 끝단(153)은 투명 방열박막층(180)과 접촉할 수도 있으며, 접촉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때, 봉지기판(140)과 수평 메탈 와이어부(151)에서의 양 끝단(153) 평탄면은 에폭시 레진(195)을 경화하여 접착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직 메탈 기둥부(152)의 끝단과 수평 메탈 와이어부(151), 보다 구체적으로는 종배선과 횡배선의 교차점이 접촉하고, 수평 메탈 와이어부(151)의 양 끝단(153)이 평탄면으로 형성되어 봉지기판(140) 외부까지 연장 형성됨으로써, 열전달 모듈(150)에 의해 전달되는 열 중에서 일부가 외부로 직접 방출이 가능하여 방열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도 7은 Ag 나노 와이어가 형성된 봉지기판의 요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OLED 조명장치는 봉지기판(140)과 투명 방열박막층(180) 사이에 Ag 나노 와이어(170)를 형성할 수 있다(기판, 유기층, 버퍼층은 미도시).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투과도와 열전도도가 높은 Ag 나노 와이어(170)를 용액공정으로 봉지기판(140) 상부에 코팅하여 형성하고, 이후 투명 방열박막층(180)을 코팅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봉지기판(140)과 투명 방열박막층(180) 사이에 Ag 나노 와이어(170)를 형성함으로써, 봉지기판(140)에 전달된 열은 Ag 나노 와이어(170)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분산되며, 이후 투명 방열박막층(180)에 의해 외부로 열이 방사되게 된다.
도 7에서처럼, 봉지기판(140)을 소자와 별도로 제작 가능하며, 이후 에폭시 레진(190)에 의해 소자의 기판(110)과 합착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기술적 사상의 범주를 일탈함 없이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적절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그러한 모든 적절한 변형 및 수정과 균등물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10, 110: 기판
20, 120: 유기층
30: 공기층
40: 게터 시트
50, 140: 봉지기판
60, 190, 195; 에폭시 레진
130: 버퍼층
150: 열전달 모듈
151: 수평 메탈 와이어부
152: 수직 메탈 기둥부
160: 게터충진제
170: Ag 나노 와이어
180: 투명 방열박막층

Claims (12)

  1. 기판;
    상기 기판 상에 애노드 전극,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 전극이 순차적으로 형성된 유기층;
    상기 유기층을 밀봉하도록 상기 기판과 합착되며, 상기 유기층과 대향하는 면에 홈이 형성된 봉지기판;
    상기 홈에 형성되어 상기 유기층에서 생성된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 모듈; 및
    상기 홈을 충진하는 게터충진제;를 포함하되,
    상기 열전달 모듈은,
    상기 유기층에서 생성된 열을 수평 방향으로 분산하는 수평 메탈 와이어부와 상기 유기층에서 생성된 열을 수직 방향으로 전도하는 수직 메탈 기둥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조명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수평 메탈 와이어부는,
    복수의 종배선과 횡배선으로 이루어진 격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조명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직 메탈 기둥부는,
    상기 복수의 종배선과 횡배선의 교차영역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조명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모듈은,
    Al, Cu, Ag, Au, Mo, Cr, Ni 중 하나 이상의 물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조명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봉지기판 상에 형성되어 복사에 의한 열방사를 증가시키는 투명 방열박막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조명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봉지기판과 상기 투명 방열박막층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열전달 모듈에 의해 전달된 열을 수평 방향으로 분산하는 Ag 나노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조명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전달 모듈과 접촉되도록 상기 유기층 상에 형성되어 상기 열전달 모듈과 유기층과의 전기적 단락을 방지하는 버퍼층을 더 포함하는 OLED 조명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수평 메탈 와이어부의 두께 또는 폭은,
    100㎛ 내지 2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조명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직 메탈 기둥부의 폭은,
    0.2mm 내지 1.5mm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조명장치.
  10.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투명 방열박막층의 두께는,
    0.5㎛ 내지 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조명장치.
  11.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평 메탈 와이어부는,
    상기 유기층을 향하는 상기 수직 메탈 기둥부의 끝단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조명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수평 메탈 와이어부의 양 끝단은,
    상기 기판과 상기 봉지기판 사이로부터 상기 봉지기판의 외부까지 평탄면으로 연장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OLED 조명장치.
KR1020130028190A 2013-03-15 2013-03-15 Oled 조명장치 KR101372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190A KR101372914B1 (ko) 2013-03-15 2013-03-15 Oled 조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8190A KR101372914B1 (ko) 2013-03-15 2013-03-15 Oled 조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914B1 true KR101372914B1 (ko) 2014-03-12

Family

ID=5064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8190A KR101372914B1 (ko) 2013-03-15 2013-03-15 Oled 조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91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6786A (zh) * 2014-03-13 2015-09-16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薄膜封装器件
US10770674B2 (en) 2017-11-28 2020-09-08 Lg Display Co., Ltd. OLED lighting apparatus
US11133484B2 (en) 2017-11-28 2021-09-28 Lg Display Co., Ltd. OLED lighting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56160A (ja) 2004-11-30 2006-06-15 Optrex Corp 有機elパネル
JP2008504653A (ja) 2004-06-24 2008-02-14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熱伝導性材料を備えたoledディスプレイ
KR20120048822A (ko) * 2010-11-08 2012-05-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118335A (ko) * 2011-04-18 2012-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조명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04653A (ja) 2004-06-24 2008-02-14 イーストマン コダック カンパニー 熱伝導性材料を備えたoledディスプレイ
JP2006156160A (ja) 2004-11-30 2006-06-15 Optrex Corp 有機elパネル
KR20120048822A (ko) * 2010-11-08 2012-05-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120118335A (ko) * 2011-04-18 2012-10-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조명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16786A (zh) * 2014-03-13 2015-09-16 中国科学院苏州纳米技术与纳米仿生研究所 薄膜封装器件
US10770674B2 (en) 2017-11-28 2020-09-08 Lg Display Co., Ltd. OLED lighting apparatus
US11133484B2 (en) 2017-11-28 2021-09-28 Lg Display Co., Ltd. OLED lighting apparatu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02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5744022B2 (ja) 封止光電子デバイス及びその製造方法
US9876190B2 (en) Organic light-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KR101084246B1 (ko) 유기 발광 조명 장치
KR20070020206A (ko) 열 전도성 후면판을 갖는 oled 디스플레이
CN104538420A (zh) 柔性oled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101827551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805150B1 (ko) 균질의 온도 분포를 갖는 유기 발광 디바이스
KR20110021260A (ko) 유기 발광 조명 장치
US8405119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apparatus
JP5638924B2 (ja) 有機発光素子
KR101015843B1 (ko) 유기 발광 조명 장치
KR20110039839A (ko) 유기 발광 조명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1372914B1 (ko) Oled 조명장치
CN109842977B (zh) Oled照明装置
KR101197758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20140065174A (ko) 방열층을 가지는 oled용 봉지필름
US20160126486A1 (en) Process for producing an optoelectronic component and optoelectronic component
KR101377966B1 (ko) 유기 전계 발광소자 조명 장치
JP5452266B2 (ja) 発光装置
JP5058521B2 (ja) フレキシブル発光体及びそれに用いるフレキシブル基板
KR100680805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794646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100658346B1 (ko) 유기전계발광소자를 구비한 디스플레이패널
JP2011249117A (ja) 有機el素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