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61330A -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61330A
KR20190061330A KR1020170159597A KR20170159597A KR20190061330A KR 20190061330 A KR20190061330 A KR 20190061330A KR 1020170159597 A KR1020170159597 A KR 1020170159597A KR 20170159597 A KR20170159597 A KR 20170159597A KR 20190061330 A KR20190061330 A KR 201900613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gmented reality
marker
reality device
image
smart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5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43995B1 (ko
Inventor
김윤상
고준호
Original Assignee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한국기술교육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595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43995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3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3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439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439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1Acquiring end-user identification, e.g. using personal code sent by the remote control or by inserting a ca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5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 H04N21/4753End-user interface for inputting end-user data, e.g. 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 [PIN], preference data for user identification, e.g. by entering a PIN or passwor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765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 H04N5/77Interface circuits between an apparatus for recording and another apparatus between a recording apparatus and a television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7/00Indexing scheme for image analysis or image enhancement
    • G06T2207/30Subject of image; Context of image processing
    • G06T2207/30204Mark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된다. 렌즈 초점에 맺힌 사물을 영상 촬영하는 카메라(10);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20); 고유 식별 가능한 마커를 표시하는 표시부(30); 스마트폰과 무선 연결되는 통신부(40); 및 통신부(40)를 통해 로그인 인증 요청되면 요청된 인증 데이터에 표시된 마커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포함되어 있으면 저장된 영상을 통신부(40)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따라서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 저장된 영상을 스마트폰에서 확인할 수 있고,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 표시된 마커를 인식해서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와 통신해서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 저장된 영상을 다운로드하는 장점이 있고, 스마트폰이 처음 마커를 인식하면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두번 이상 인식하면 비밀번호를 확인해서 영상을 수신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AUGMENTING REALITY DEVICE PROVIDING VIDEO CAPTURE AND MARKER FUNCTION AND METHOD OF PROVIDING AUGMENTED REALITY SERVICE USING IT}
본 발명은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 저장된 영상을 스마트폰에서 확인 가능한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자물쇠는 남산 공원에서 연인 간에 추억을 새기는 기념품으로 사용된다. 다리 난간에 자물쇠를 채움으로써 연인 간에 사랑을 다짐하고, 영원한 사랑으로 이끌어 주기 위한 이정표로 삼고자 한다. 추억을 소중히 여기는 연인에게 자물쇠는 서로 간의 관계를 더욱 돈독하게 만들어 가는데 작은 선물이다. 그러나 자물쇠는 단지 잠금 또는 풀림이라는 단순한 동작만이 가능하고, 여러 자물쇠 중 자신만의 자물쇠를 식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자물쇠가 가지는 추억의 선물을 최대한 살리면서 연인간의 영상 또한 담을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이 좋을 것이다.
등록번호: 10-1740178, 증강현실을 이용한 다중 요소 인증 방법 및 시스템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폰이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 표시된 마커 인식을 통해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와 통신하여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 저장된 영상을 스마트폰에서 확인하는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렌즈 초점에 맺힌 사물을 영상 촬영하는 카메라(10);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20); 고유 식별 가능한 마커를 표시하는 표시부(30); 스마트폰과 무선 연결되는 통신부(40); 및 통신부(40)를 통해 로그인 인증 요청되면 요청된 인증 데이터에 표시된 마커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포함되어 있으면 저장된 영상을 통신부(40)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제어부(50)를 포함다.
또한, 잠금 또는 풀림이 가능한 전자 자물쇠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50)가 전자 자물쇠의 잠금 또는 풀림 상태에 따라 표시부(30)에 마커 또는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처음 마커를 인식한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또한, 두 번 이상 마커를 인식한 스마트폰은 입력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를 판단하여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비밀번호를 확인한다.
또한, 제어부(50)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비밀번호를 확인한 경우 스마트폰으로 저장된 영상을 전송하고,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카메라(10)가 렌즈 초점에 맺힌 사물을 영상 촬영하는 단계; 메모리(20)가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 표시부(30)가 고유 식별 가능한 마커를 표시하는 단계; 통신부(40)가 스마트폰과 무선 연결되는 단계; 및 통신부(40)를 통해 로그인 인증 요청되면 제어부(50)가 요청된 인증 데이터에 표시된 마커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포함되어 있으면 저장된 영상을 통신부(40)를 통해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전자 자물쇠가 잠금 또는 풀림이 가능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제어부(50)가 전자 자물쇠의 잠금 또는 풀림 상태에 따라 표시부(30)에 마커 또는 영상을 표시한다.
또한, 처음 마커를 인식한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두 번 이상 마커를 인식한 스마트폰은 입력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를 판단하여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제어부(50)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비밀번호를 확인한 경우 스마트폰으로 저장된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및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을 이용할 경우에는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 저장된 영상을 스마트폰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 표시된 마커를 인식해서 인증에 성공하면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와 통신해서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 저장된 영상을 다운로드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스마트폰이 처음 마커를 인식하면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두번 이상 인식하면 비밀번호를 확인해서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동작 시나리오를 보인 동작 흐름도이다.
도 2는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3은 스마트폰과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간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도 4는 스마트폰의 영상 제공 동작을 설명한 예시도이다.
도 5는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6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 동작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는 고유의 식별 가능한 마커가 표시되어 있고,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스마트폰은 마커를 인식하여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 로그인하고 로그인 성공하면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한다.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영상을 표시한다. 다른 실시예로,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는 GPS 모듈을 탑재하여 위치 정보를 스마트폰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스마트폰은 위치 정보를 표시하고 사용자가 위치 정보를 보고 해당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를 찾는데 활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마커와 위치 정보를 사용하여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를 식별할 수 있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는 특정 장소에 설치되어 걸쇠로 잠겨 있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가 잠겨 있는 경우, 저전력 모드로 동작하며 스마트폰의 패킷을 기다리는 모드로 동작한다.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마커를 처음 인식할 때와 두 번 이상 인식할 때를 구분하여 동작한다. 마커가 처음 인식될 때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두 번 이상 인식될 때는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가 비밀번호를 확인한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는 비밀번호 인증 외에 얼굴 인식 또는 지문 인식의 생체 인식 인증을 이용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 비밀번호로 로그인 인증되고,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로부터 영상을 수신하여 표시한다.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영상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스마트폰은 마커 인식을 통해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영상을 확인하는 것이다.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마커를 저장하고, 저장된 마커를 이용하여 마커 인식을 처리한다. 스마트폰은 마커가 동일하더라도 서로 다른 비밀번호를 통해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를 구별할 수 있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는 촬영 버튼, 영상 보기 버튼을 통해 주변 영상을 촬영하고, 엘씨디 화면을 통해 촬영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스마트폰과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는 무선 연결되며 마커 인증을 통해 무선 채널을 연결하고, 데이터 통신한다.
도 1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AR 장치)의 동작 시나리오를 보인 동작 흐름도이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가 영상 촬영 종료시까지 카메라(10)를 통해 영상을 촬영하고 저장한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가 렌즈 초점에 맺힌 영상을 카메라(10)로 촬영하고 메모리(20)에 영상을 저장한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가 특정 장소에 설치된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는 고유의 식별 가능한 마커를 가지고 관광지 또는 기념지와 같은 특정 장소에 설치된다.
스마트폰(스마트폰 App)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마커를 인식한다.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 표면에 표시된 마커를 인식한다.
스마트폰이 처음 마커를 인식하면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마커를 처음 인식하면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 비밀번호 설정 단계에 진입한다. 스마트폰은 입력된 비밀번호를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 비밀번호로 설정한다.
스마트폰이 두 번 이상 마커를 인식하면 입력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비밀번호를 확인한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는 입력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를 비교하여 비밀번호를 확인한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가 비밀번호를 확인하면 스마트폰으로 저장된 영상을 전송한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는 비밀번호 확인 절차를 성공하면 스마트폰으로 메모리(20)에 저장된 영상을 전송한다.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 저장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도 2는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를 보인 예시도이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는 자물쇠 형상의 증강현실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 상단에는 설치를 위한 걸쇠(60)가 보인다. 걸쇠(60)는 잠금 또는 해제되어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가 특정 장소에 설치될 수 있게 한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 전면에는 카메라(10) 렌즈(11)가 보이고 마커(12)가 위치한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는 촬영 기능을 가지고, 식별 가능한 마커(12)를 가진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 옆면에는 영상 촬영 버튼(32), 영상 삭제 버튼(33), 이전 영상 보기 버튼(34)이 보인다. 영상 촬영 버튼(32)이 눌리면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는 촬영을 개시하고, 영상 삭제 버튼(33)이 눌리면 영상을 삭제하고, 이전 영상 보기 버튼(34)이 눌리면 이전 영상을 표시한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 후면에는 엘씨디 패널(31)이 보인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는 엘씨디 패널(31)을 통해 영상을 표시한다.
도 3은 스마트폰(스마트폰 App)과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AR 장치)간의 메시지 흐름도이다.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마커를 인식한다. 스마트폰은 마커를 인식하고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로부터 비밀번호 설정을 요청받는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가 스마트폰으로 비밀번호 설정을 요청한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는 스마트폰의 마커 처음 인식을 수신하면 비밀번호 설정을 스마트폰에 요청한다.
스마트폰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비밀번호를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한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는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마커를 두 번 이상 인식한다. 스마트폰이 마커를 두 번 이상 인식하면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로부터 비밀번호 확인을 요청받는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는 스마트폰으로 비밀번호 확인을 요청한다.
스마트폰은 비밀번호를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로 전송한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는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스마트폰으로 저장된 영상을 전송한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는 비밀번호 확인에 성공하면 메모리(20)에 저장된 영상을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스마트폰은 영상 수신을 완료함을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로 통지한다.
도 4는 스마트폰의 영상 제공 동작을 설명한 예시도이다.
스마트폰은 마커 인식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스마트폰은 마커 인식을 개시한다.
마커가 처음 인식되면 스마트폰은 비밀번호 설정 화면을 표시한다.
마커가 두 번 이상 인식되면 스마트폰은 비밀번호 입력 화면을 표시한다.
스마트폰은 비밀번호를 확인하고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로부터 수신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도 5는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카메라(10)는 렌즈 초점에 맺힌 사물을 영상 촬영한다.
메모리(20)는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표시부(30)는 고유 식별 가능한 마커를 표시한다.
통신부(40)는 무선 연결된다.
제어부(50)는 통신부(40)를 통해 로그인 인증 요청되면 요청된 인증 데이터에 표시된 마커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포함되어 있으면 저장된 영상을 통신부(40)를 통해 스마트폰으로 전송한다.
전자 자물쇠는 잠금 또는 풀림이 가능하다.
제어부(50)가 전자 자물쇠의 잠금 또는 풀림 상태에 따라 표시부(30)에 마커 또는 영상을 표시한다.
처음 마커를 인식한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두 번 이상 마커를 인식한 스마트폰은 입력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를 판단하여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비밀번호를 확인한다.
제어부(50)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비밀번호를 확인한 경우 스마트폰으로 저장된 영상을 전송하고,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도 6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 동작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 동작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메모리(20),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메모리(20),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그램 메모리(20)에 저장된 데이터를 살펴보면, 프로그램 메모리(20)는 카메라(10)가 렌즈 초점에 맺힌 사물을 영상 촬영하는 단계(S61); 메모리(20)가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S62); 표시부(30)가 고유 식별 가능한 마커를 표시하는 단계(S63); 통신부(40)가 스마트폰과 무선 연결되는 단계(S64); 및 통신부(40)를 통해 로그인 인증 요청되면 제어부(50)가 요청된 인증 데이터에 표시된 마커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포함되어 있으면 저장된 영상을 통신부(40)를 통해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S65)를 포함한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는 프로세서에 의해 프로그램 메모리(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이러한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에서 실행되는 절차를 시계열 순으로 설명한다.
카메라(10)가 렌즈 초점에 맺힌 사물을 영상 촬영한다.
메모리(20)가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표시부(30)가 고유 식별 가능한 마커를 표시한다.
통신부(40)가 스마트폰과 무선 연결된다.
통신부(40)를 통해 로그인 인증 요청되면 제어부(50)가 요청된 인증 데이터에 표시된 마커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포함되어 있으면 저장된 영상을 통신부(40)를 통해 클라이언트로 전송한다.
전자 자물쇠가 잠금 또는 풀림이 가능하다.
제어부(50)가 전자 자물쇠의 잠금 또는 풀림 상태에 따라 표시부(30)에 마커 또는 영상을 표시한다.
처음 마커를 인식한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비밀번호를 설정한다.
두 번 이상 마커를 인식한 스마트폰은 입력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를 판단하여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비밀번호를 확인한다.
제어부(50)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비밀번호를 확인한 경우 스마트폰으로 저장된 영상을 전송하고,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카메라 11: 카메라 렌즈
12: 마커 20: 메모리
30: 표시부 31: 엘씨디 패널
32: 영상 촬영 버튼 33: 영상 삭제 버튼
34: 이전 영상 보기 버튼 40: 통신부
50: 제어부

Claims (10)

  1. 렌즈 초점에 맺힌 사물을 영상 촬영하는 카메라(10);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메모리(20);
    고유 식별 가능한 마커를 표시하는 표시부(30);
    스마트폰과 무선 연결되는 통신부(40);
    상기 통신부(40)를 통해 로그인 인증 요청되면 요청된 인증 데이터에 표시된 마커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포함되어 있으면 저장된 영상을 상기 통신부(40)를 통해 상기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제어부(50)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잠금 또는 풀림이 가능한 전자 자물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가 전자 자물쇠의 잠금 또는 풀림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부(30)에 마커 또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처음 마커를 인식한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두 번 이상 마커를 인식한 스마트폰은 입력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를 판단하여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가 상기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비밀번호를 확인한 경우 상기 스마트폰으로 저장된 영상을 전송하고,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
  6. 카메라(10)가 렌즈 초점에 맺힌 사물을 영상 촬영하는 단계(S61);
    메모리(20)가 촬영된 영상을 저장하는 단계(S62);
    표시부(30)가 고유 식별 가능한 마커를 표시하는 단계(S63);
    통신부(40)가 스마트폰과 무선 연결되는 단계(S64); 및
    상기 통신부(40)를 통해 로그인 인증 요청되면 제어부(50)가 요청된 인증 데이터에 표시된 마커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판단하고 포함되어 있으면 저장된 영상을 상기 통신부(40)를 통해 클라이언트로 전송하는 단계(S65)를 포함하는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전자 자물쇠가 잠금 또는 풀림이 가능한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50)가 상기 전자 자물쇠의 잠금 또는 풀림 상태에 따라 상기 표시부(30)에 마커 또는 영상을 표시하는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처음 마커를 인식한 스마트폰은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비밀번호를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두 번 이상 마커를 인식한 스마트폰은 입력된 비밀번호와 설정된 비밀번호를 판단하여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50)가 상기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의 비밀번호를 확인한 경우 상기 스마트폰으로 저장된 영상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스마트폰은 상기 잠금 기능을 가지는 증강현실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70159597A 2017-11-27 2017-11-27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439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597A KR102043995B1 (ko) 2017-11-27 2017-11-27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597A KR102043995B1 (ko) 2017-11-27 2017-11-27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330A true KR20190061330A (ko) 2019-06-05
KR102043995B1 KR102043995B1 (ko) 2019-11-12

Family

ID=668447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597A KR102043995B1 (ko) 2017-11-27 2017-11-27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439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116A (ko) * 2019-08-12 2019-08-21 주식회사 캔디커뮤니케이션 증강현실 기반 코딩교육 옴니에듀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0651A (ja) * 2009-02-06 2010-08-19 Sharp Corp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100138863A (ko) * 2010-12-14 2010-12-3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카메라 탑재 단말기에서 코드에 대응하는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JP2014127051A (ja) * 2012-12-26 2014-07-07 Kotobuki Kikaku:Kk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利用者端末用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
KR101740178B1 (ko) 2016-02-18 2017-05-2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다중 요소 인증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80651A (ja) * 2009-02-06 2010-08-19 Sharp Corp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KR20100138863A (ko) * 2010-12-14 2010-12-31 에스케이씨앤씨 주식회사 카메라 탑재 단말기에서 코드에 대응하는 증강현실과 개인화된 콘텐츠를 제공하는 방법
JP2014127051A (ja) * 2012-12-26 2014-07-07 Kotobuki Kikaku:Kk コンテンツ提供システム、コンテンツ提供方法、利用者端末用コンテンツ提供プログラム、およびコンテンツ管理プログラム
KR101740178B1 (ko) 2016-02-18 2017-05-25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증강현실을 이용한 다중 요소 인증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8116A (ko) * 2019-08-12 2019-08-21 주식회사 캔디커뮤니케이션 증강현실 기반 코딩교육 옴니에듀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43995B1 (ko) 2019-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62613B2 (en) Pairing management method, recording medium, and terminal apparatus
US9288830B2 (en) Electronic device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another device
US11062015B2 (en) Authentication management metho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wearable device, and computer program
US10931836B2 (en) Communication system, image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WO2017092441A1 (zh) 名片信息获取方法及装置
US20230199491A1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101722028B1 (ko) 가변 키패드를 이용한 본인 인증 방법 및 시스템
US20220417359A1 (en) Remote control device,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program
US20150296118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US11838685B2 (en) Secure video visitation system
KR100725771B1 (ko) 휴대용 단말기용 얼굴 인식 및 인증 장치 및 방법
JP2007233609A (ja) 認証装置、認証システムおよび認証方法
KR101433079B1 (ko) 지문등록 시스템의 출입통제 단말기의 지문등록 방법
KR20190061330A (ko) 영상 촬영 및 마커 기능을 제공하는 증강현실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강현실 서비스 제공 방법
JP7475692B2 (ja) 認証装置、認証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67609B2 (ja) 本人認証システム
WO2023047800A1 (ja) 認証装置、認証方法、認証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2014059753A (ja) 情報端末装置および画面情報共有システム
JP2008167075A (ja) 撮像機能付き無線携帯端末装置
JP2006120116A (ja) 認証装置と認証方法、ならびにそれを実現するプログラム
KR20080001040A (ko) 정지 영상을 이용한 신원 확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