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15555A -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비스 통신 시스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비스 통신 시스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15555A
KR20190015555A KR1020197000646A KR20197000646A KR20190015555A KR 20190015555 A KR20190015555 A KR 20190015555A KR 1020197000646 A KR1020197000646 A KR 1020197000646A KR 20197000646 A KR20197000646 A KR 20197000646A KR 20190015555 A KR20190015555 A KR 201900155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communication
identificati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rminal
reque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6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히로 아사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ublication of KR201900155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5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7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based on the identity of the terminal or configuration, e.g. MAC address, hardware or software configuration or device fingerpr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1Access control lists [AC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controlling access to devices or network resources
    • H04L63/104Grouping of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2Pre-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04W12/068Authentication using credential vaults, e.g. password manager applications or one time password [OTP]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통신 단말기들 간의 통신 시작 제어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로그인 프로세스에 사용되는 모드 관리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며, 통신 소스의 단말기 ID와 통신 파트너의 단말기 ID가 공통 사용자 ID를 포함하는 경우 통신 시작을 허용함으로써, 어드레스 리스트를 구축하는 것에 신경쓰지 않고서 보안이 확보된 후 통신 시작을 제어할 수 있다.

Description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비스 통신 시스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비스 통신 시스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통신 단말기를 사용함으로써 인터넷을 통해 서버로부터 다양한 서비스의 제공을 받기 위해, 사용자는 로그인 인증에 사용되는 단말기 식별 정보(예를 들어, 단말기 ID(Identification)) 및 패스워드를 미리 서버에 등록한다.
또한, 서비스를 사용함으로써 복수의 통신 단말기들 사이에 통신이 수행될 때, 사용자가 통신하고자 의도치 않은 다른 사용자가 예를 들어 통신을 시작하려는 요청을 송신하여 통신에 마음대로 참여하려고 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사용자는 통신을 시작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단말기들을 관리하는 어드레스 리스트에 단말기 식별 정보를 미리 등록한다(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15-201827호 참조).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15-201827호
사용자가 예를 들어 자신의 통신 단말기 중 선택된 통신 단말기가 자신의 통신 단말기 중 다른 통신 단말기를 원격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하도록, 서비스를 사용함으로써 자신의 복수의 통신 단말기들이 서로 통신하게 하려고 할 때, 통신 단말기들 각각에 관련하여 서버에서의 단말기 식별 정보의 등록 및 어드레스 리스트에서의 단말기 식별 정보의 등록이 필요하다. 이는, 서비스를 받는 사용자 자신의 통신 단말기들의 수가 증가하면, 서버에 단말기 식별 정보를 등록하고 어드레스 리스트에 단말기 식별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의 작업을 증가시킨다는 문제를 초래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통신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제공되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로그인 요청에 따라, 주어진 통신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해 주어진 단말기 식별 정보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관리 유닛으로서, 상기 주어진 단말기 식별 정보는 상기 주어진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데에 사용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관리 유닛;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제2 단말기와 통신을 시작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상기 통신을 시작하라는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관리 유닛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할 경우,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시작하라는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시작하라는 요청을 송신하지 않는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서비스를 받는 통신 단말기들의 수가 증가하더라도, 서버에 단말기 식별 정보를 등록하고 어드레스 리스트에 단말기 식별 정보를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 작업의 증가를 막는 것이 가능하다는 효과를 달성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도면이다.
도 2a는 촬영 디바이스(shooting device)의 좌측 표면의 도면이다.
도 2b는 촬영 디바이스의 정면도이다.
도 2c는 촬영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촬영 디바이스의 사용을 예시한 이미지의 도면이다.
도 4는 촬영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의 도면이다.
도 5는 통신 단말기의 하드웨어 구성의 도면이다.
도 6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의 하드웨어 구성의 도면이다.
도 7은 서비스 통신 시스템의 각각의 기능의 각각의 블록도를 포함하는 서비스 통신 시스템의 도면이다.
도 8은 모드 관리 테이블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9a는 단말기 ID의 구성 패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b는 단말기 ID의 다른 구성 패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9c는 단말기 ID의 또다른 구성 패턴을 예시한 도면이다.
도 10a는 인증 시스템이 갖는 인증 관리 테이블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10b는 다른 인증 시스템이 갖는 인증 관리 테이블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10c는 또다른 인증 시스템이 갖는 인증 관리 테이블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인증 프로세스를 예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12는 인증자 선택 화면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를 예시한다.
도 13은 인증 프로세스를 예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14는 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및 통신 파트너의 관리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15a는 요청 결과 화면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를 예시한다.
도 15b는 요청 결과 화면의 다른 예시적인 디스플레이를 예시한다.
도 16은 원격 동작을 시작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17은 원격 동작이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18a는 요청 결과 화면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이다.
도 18b는 요청 결과 화면의 다른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이다.
도 19는 로그아웃 프로세스를 예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20a는 로그아웃 화면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를 예시한다.
도 20b는 로그아웃 화면의 다른 예시적인 디스플레이를 예시한다.
도 21은 변형예 1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2는 변형예 1의 인증 프로세스를 예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23은 변형예 2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4는 변형예 2의 인증 프로세스를 예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기재될 것이다.
실시예의 전체 구성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통신 시스템의 전체 구성의 도면이다. 도 1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통신 시스템(1)은 복수의 통신 단말기들(3a, 3b, 및 3c), 복수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5a 및 5b), 복수의 인증 시스템(7a, 7b, 및 7c), 및 촬영 디바이스(shooting device)(10)를 구비하며, 이들은 인터넷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9)를 통해 서로 통신하는 것이 가능하다.
촬영 디바이스(10)는, 예를 들어 풍경을 촬상함으로써 전방위(omnidirectional)/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는, 예를 들어 디지털 카메라이다. 통신 단말기(3a)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다. 통신 단말기(3a)는, 블루투스(상표)와 같은 단거리 무선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촬영 디바이스(10)와 통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3a)는 촬영 디바이스(10)에 촬영을 시작하라는 명령을 송신하고, 그에 따라 촬영 디바이스(10)는 통신 단말기(3a)에 이미지 데이터 및 오디오 데이터와 같은, 촬영을 통해 얻은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송신할 수 있다. 촬영 디바이스(10)는 독립적으로 통신 네트워크(9)를 사용할 수 없으며, 따라서 통신 단말기(3a)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9)에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통신 단말기(3b)는 예를 들어 개인용 컴퓨터이다. 통신 단말기(3c)는 예를 들어 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이다.
단순한 설명을 위해, 도 1은 3개의 통신 단말기(3a, 3b 및 3c), 2개의 서비스 제공 시스템(5a 및 5b), 3개의 인증 시스템(7a, 7b 및 7c) 및 단일 촬영 디바이스(10)를 예시하고 있지만, 단말기와 시스템의 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지는 기재에 있어서, 통신 단말기(3a, 3b 및 3c) 중의 선택된 통신 단말기가 “통신 단말기(3)”로 지칭될 것이고, 서비스 제공 시스템(5a 및 5b) 중의 선택된 서비스 제공 시스템이 “서비스 제공 시스템(5)”으로 지칭될 것이다. 또한, 인증 시스템(7a, 7b 및 7c) 중의 선택된 인증 시스템이 “인증 시스템(7)”으로 지칭될 것이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5) 및 인증 시스템(7)은 단일 컴퓨터를 사용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거나 복수의 컴퓨터를 사용함으로써 구성될 수 있다. 촬영 디바이스(10)는 어떠한 전방위/파노라마 이미지도 생성하지 않는 일반적인 디지털 카메라일 수 있다.
통신 단말기(3)는 스마트폰, 개인용 컴퓨터 또는 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와 같은 예시적인 이동 단말기이지만, 통신 단말기(3)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동 단말기 뿐만 아니라, 데스크톱 PC 또는 서버와 같은 정보 처리 단말기가 통신 단말기(3)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대안으로서, 통신 단말기(3)는 복사기나 프린터와 같은 사무용 기기, 에어컨디셔너나 TV 세트와 같은 가정용 전자 제품, 전자 부품, 또는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나 내시경과 같은 의료용 기기일 수 있다.
촬영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방법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3을 참조하여, 촬영 디바이스(10)를 사용하는 방법이 기재될 것이다.
우선, 도 2a, 도 2b, 및 도 2c를 참조하여, 촬영 디바이스(10)의 외관이 기재될 것이다. 도 2a는 촬영 디바이스의 좌측 표면의 도면이고, 도 2b는 촬영 디바이스의 정면도이고, 도 2c는 촬영 디바이스의 평면도이다. 촬영 디바이스(10)는 전방위/파노라마(360도) 이미지의 바탕이 되는 촬영 이미지를 얻기 위한 디지털 카메라이다.
도 2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촬영 디바이스(10)는 사람이 한 손으로 촬영 디바이스(10)를 잡을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다. 도 2a, 도 2b, 및 도 2c에 예시된 바와 같이, 촬영 디바이스(10)의 상단부에 이미징 디바이스(103a)가 전면 상에(앞쪽) 제공되고 이미징 디바이스(103b)가 후면 상에(뒷쪽) 제공된다. 도 2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셔터 버튼과 같은 동작 유닛(115)이 촬영 디바이스(10)의 전면 상에 제공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촬영 디바이스(10)의 사용이 기재될 것이다. 도 3은 촬영 디바이스의 사용을 예시한 이미지의 도면이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촬영 디바이스(10)는 사용자가 손으로 잡고 사용자 주변의 풍경이나 물체를 이미징하도록 사용된다. 이 경우, 도 2a, 도 2b, 및 도 2c에 예시된 이미징 디바이스(103a) 및 이미징 디바이스(103b)는 사용자 주변의 풍경이나 물체를 이미징하며, 그리하여 2개의 반구 이미지를 획득한다.
실시예의 하드웨어 구성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촬영 디바이스(10), 통신 단말기(3),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하드웨어 구성이 아래에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촬영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구성
우선, 도 4를 참조하여, 촬영 디바이스(10)의 하드웨어 구성이 기재될 것이다. 도 4는 촬영 디바이스(10)의 하드웨어 구성의 도면이다. 촬영 디바이스(10)는 다음 설명에 따르면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를 사용한 전방위 촬영 디바이스이지만, 3개 또는 그 이상의 이미징 디바이스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촬영 디바이스(10)는 반드시 전방위 촬영 전용인 디바이스인 것은 아니다. 촬영 디바이스(10)의 기능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구현하도록, 선택적인 전방위 촬영 유닛이 예를 들어 보통의 디지털 카메라 또는 스마트폰에 부착될 수 잇다.
도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촬영 디바이스(10)는 이미징 유닛(101), 이미지 프로세싱 유닛(104), 이미징 제어 유닛(105), 마이크로폰(108), 사운드 프로세싱 유닛(109), CPU(Central Processing Unit)(111), ROM(Read Only Memory)(112),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113),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114), 동작 유닛(115), 네트워크 I/F(116), 통신 유닛(117), 및 안테나(117a)를 포함한다.
이미징 유닛(101)은, 각각이 180도 이상의 시야각을 갖는, 각각 반구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한 와이드 렌즈(어안 렌즈)(102a 및 102b) 및 각자의 와이드 렌즈와 연관되어 제공되는 2개의 이미징 디바이스(103a 및 103b)를 포함한다. 이미징 디바이스(103a 및 103b)의 각각은, 어안 렌즈를 사용함으로써 얻은 광학 이미지를 전자 신호의 이미지 데이터로 변환하고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는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센서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센서와 같은 이미지 센서; 이미지 센서의 수평 또는 수직 동기 신호 및 픽셀 클럭을 생성하는 타이밍 생성 회로; 및 이미징 디바이스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커맨드 및 파라미터가 설정되어 있는 레지스터 그룹을 포함한다.
이미징 유닛(101)의 이미징 디바이스(103a 및 103b)는 병렬 I/F 버스를 통해 이미지 프로세싱 유닛(104)에 접속된다. 반면에, 이미징 유닛(101)의 이미징 디바이스(103a 및 103b)는 (I2C 버스와 같은) 직렬 I/F 버스를 통해 이미징 제어 유닛(105)에 더 접속된다. 이미지 프로세싱 유닛(104) 및 이미징 제어 유닛(105)이 버스(110)를 통해 CPU(111)에 접속된다. 또한, ROM(112), SRAM(113), DRAM(114), 동작 유닛(115), 네트워크 I/F(116), 통신 유닛(117), 및 전자 나침반(118) 등이 버스(110)에 접속된다.
이미지 프로세싱 유닛(104)은, 병렬 I/F 버스를 통해 이미징 디바이스(103a 및 103b)로부터 출력되는 이미지 데이터를 로딩하고 각자의 이미지 데이터 세트에 대해 소정의 프로세싱을 수행하며, 그 다음 메르카토르(Mercator) 이미지의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이미지 데이터 세트에 대해 합성(synthesizing)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이미징 제어 유닛(105)은 일반적으로 마스터 디바이스로서 이미징 제어 유닛(105)을 사용하고 슬래이브 디바이스로서 이미징 디바이스(103a 및 103b)를 사용하며, 예를 들어 I2C 버스를 사용함으로써 이미징 디바이스(103a 및 103b)의 레지스터 그룹에 커맨드를 설정한다. 이미징 제어 유닛(105)은 CPU(111)로부터 필요한 커맨드 등을 수신한다. 이미징 제어 유닛(105)은 I2C 버스를 사용함으로써 또한 이미징 디바이스(103a 및 103b)의 레지스터 그룹의 상태 데이터 등을 로딩하고, 상태 데이터 등을 CPU(111)에 송신한다.
이미징 제어 유닛(105)은 동작 유닛(115)의 셔터 버튼이 눌리는 타이밍에 이미지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이미징 디바이스(103a 및 103b)에 명령한다. 촬영 디바이스로서 사용될 촬영 디바이스에 따라, 촬영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에 의해 구현되는 비디오 이미지 디스플레이에 대응하는 기능 또는 미리보기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이미지 데이터는 주어진 프레임 레이트(프레임/초)로 연속적으로 이미징 디바이스(103a 및 103b)로부터 출력된다.
아래에 기재되는 바와 같이, 이미징 제어 유닛(105)은 또한, CPU(111)와 협력하여 이미지 데이터 세트가 이미징 디바이스(103a 및 103b)로부터 출력되는 타이밍을 동기시키는 동기 제어 유닛으로서 기능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 디바이스(10)에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공되어 있지 않지만, 디스플레이 유닛이 제공될 수도 있다.
마이크로폰(108)은 사운드를 사운드(신호) 데이터로 변환한다. 사운드 프로세싱 유닛(109)은 I/F 버스를 통해 마이크로폰(108)으로부터 출력되는 사운드 데이터를 로딩하고 사운드 데이터에 대해 소정의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CPU(111)는 촬영 디바이스(10)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고 필요한 프로세스를 실행한다. ROM(112)은 CPU(111)에 대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SRAM(113) 및 DRAM(114)은 CPU(111)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 프로세싱 중인 데이터를 저장하는 작업 메모리이다. 특히, DRAM(114)은 이미징 프로세싱 유닛(104)에 의해 처리되고 있는 데이터 및 처리된 메르카토르 이미지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동작 유닛(115)은 다양한 동작 버튼, 전원 스위치, 셔터 버튼, 및 디스플레이와 동작 기능 둘 다를 갖는 터치 패널의 총칭이다. 사용자는 다양한 촬영 모드 및 촬영 조건을 입력하도록 동작 버튼을 동작시킨다.
네트워크 I/F(116)는 예를 들어 SD 카드와 같은 외부 매체 및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페이스하는 인터페이스 회로(예컨대, USB I/F)의 총칭이다. 네트워크 I/F(116)는 유선인지 무선인지에 관계없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일 수 있다. DRAM(114)에 저장된 메트카토르 이미지 데이터는 네트워크 I/F(116)를 통해 외부 매체에 기록되거나, 또는 필요할 때 네트워크 I/F로서의 역할을 하는 네트워크 I/F(116)를 통해 통신 단말기(3)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에 전송된다.
통신 유닛(117)은, 촬영 디바이스(10)에 제공되는 안테나(117a)를 통해 WiFi(wireless fidelity) 또는 NFC와 같은 단거리 무선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통신 단말기(3a)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통신 단말기(3a)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에 통신 유닛(117)을 사용함으로써 또한 메르카토르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전자 나침반(118)은 지구의 자기(magnetism)로부터 촬영 디바이스(10)의 배향 및 경사(롤 각도)를 계산하고 배향-경사 정보를 출력한다. 배향-경사 정보는 Exif에 따른 예시적인 관련 정보(메타 데이터)이고, 촬영 이미지에 대한 이미지 보정과 같은 이미지 프로세싱에 사용된다. 관련 정보는 촬영 날짜 및 이미지 데이터의 데이터 용량과 같은 각각의 타입의 데이터를 포함한다.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구성
도 5는 스마트폰의 하드웨어 구성의 도면이다.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스마트폰으로서의 역할을 하는 통신 단말기(3a)는 CPU(301), ROM(302), RAM(303), EEPROM(304), CMOS 센서(305), 가속도-배향 센서(306), 매체 I/F(308) 및 GPS 수신기(309)를 포함한다.
그 중에 CPU(301)는 스마트폰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ROM(302)은 CPU(301) 또는 IPL을 구동하는 데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RAM(303)은 CPU(301)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된다. 스마트폰 프로그램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가 CPU(301)의 제어 하에 EEPROM(304)으로부터 판독되거나 EEPROM(304)에 기록된다. CMOS 센서(305)는 CPU(301)의 제어 하에 물체를 이미징하고 그에 따라 이미지 데이터를 얻는다. 가속도-배향 센서(306)는, 지자기(geomagnetism)를 검출하는 전자 자기 나침반 또는 자이로(gyro) 나침반, 및 가속도 센서와 같은 다양한 센서를 포함한다. 매체 I/F(308)는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기록 매체(306)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 또는 기록(저장)을 제어한다. GPS 수신기(309)는 GPS 위성으로부터 GPS 신호를 수신한다.
스마트폰은, 장거리 통신 회로(311), 장거리 통신 회로(311)의 안테나(311a), 카메라(312), 이미징 디바이스 I/F(313), 마이크로폰(314), 스피커(315), 사운드 입력-출력 I/F(316), 디스플레이(317), 외부 디바이스 접속 I/F(318), 단거리 통신 회로(319), 단거리 통신 회로(319)의 안테나(319a), 및 터치 패널(321)을 더 포함한다.
그 중에 장거리 통신 회로(311)는, 안테나(311a) 및 통신 네트워크(9)를 통해 다른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회로이다. 카메라(312)는 CPU(301)의 제어 하에 물체를 이미징함으로써 이미지 데이터를 얻는 내장형 이미징 유닛의 한 유형이다. 이미징 디바이스 I/F(313)는 카메라(312)의 구동을 제어하는 회로이다. 마이크로폰(314)은 사운드가 입력되는 내장형 집음기의 한 유형이다. 사운드 입력/출력 I/F(316)는 CPU(301)의 제어 하에 마이크로폰(314)과 스피커(315) 사이의 사운드 신호의 입력 및 출력을 처리하는 회로이다. 디스플레이(317)는 액정 디스플레이 또는 유기 EL 디스플레이와 같이 물체의 이미지 및 다양한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의 한 유형이다. 외부 디바이스 접속 I/F(318)는 다양한 외부 디바이스들을 접속시키는 인터페이스이다. 단거리 통신 회로(319)는 NFC 또는 블루투스와 같은 통신 회로이다. 터치 패널(321)은 사용자가 디스플레이(317)를 누를 때 스마트폰을 동작시키는 입력 유닛의 한 유형이다.
스마트폰은 버스 라인(310)을 포함한다. 버스 라인(310)은 도 5에 예시된 CPU(301)를 포함하는 컴포넌트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데이터 버스 및 어드레스 버스를 포함한다.
PC, 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의 각각의 하드웨어 구성
도 6을 참조하여, PC, 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 각각의 각 하드웨어 구성이 기재될 것이다. 도 6은 PC, 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의 각각의 하드웨어 구성의 도면이다. PC, 차 내비게이션 디바이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인증 시스템은 컴퓨터이고, 따라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구성이 기재될 것이며 다른 구성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은,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CPU(501); IPL과 같은 CPU(501)를 구동시키는 데 사용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502); CPU(501)의 작업 영역으로서 사용되는 RAM(503); 서비스 제공 시스템(5)에 대한 프로그램과 같은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HD(504); HD(504)에 대해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판독 또는 기록하는 것을 제어하는 HDD(Hard Disk Drive)(505); 플래시 메모리와 같은 기록 매체(506)에 대한 데이터의 판독 또는 기록을 제어하는 매체 드라이브(507); 커서, 메뉴, 윈도우, 텍스트 및 이미지와 같은 다양한 유형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508); 통신 네트워크(9)를 사용함으로써 데이터를 통신하기 위한 네트워크 I/F(509); 텍스트, 숫자 값 및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복수의 키들을 포함한 키보드(511); 다양한 명령을 선택 및 실행하며, 처리될 대상을 선택하고, 커서를 이동시키는 마우스(512); 예시적인 탈착가능한 기록 매체로서의 역할을 하는 CD-ROM(Compact Disc Read Only Memory)(513)에 대한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의 판독 또는 기록을 제어하는 CD-ROM 드라이브(514); 및 도 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에 열거된 컴포넌트들을 전기적으로 접속시키기 위한 데이터 버스와 어드레스 버스를 포함한 버스 라인(510)을 포함한다.
각각의 프로그램이 실시예에 따라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저장되어 있는 CD-ROM과 같은 기록 매체를 국내에 또는 국외에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실시예의 기능적 구성
실시예의 기능적 구성이 기재될 것이다. 도 7은 서비스 통신 시스템의 기능 블록들의 도면이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회로를 사용함으로써 아래에 열거된 각각의 기능을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싱 회로”는 전자 회로로 구현되는 프로세서에서와 같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함으로써 각각의 기능을 실행하도록 프로그램된 프로세서,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및 종래의 회로 모듈을 포함한다.
통신 단말기의 기능적 구성
도 7은 통신 단말기(3)의 예로서 통신 단말기(3a)의 기능적 구성을 예시한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3a)는 송신기-수신기(31), 수락(accepting) 유닛(32),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3), 지정(specifying) 유닛(37), 단거리 통신 유닛(38) 및 저장-판독 유닛(39)을 포함한다. 유닛의 각각은, 도 5에 예시된 컴포넌트 중의 임의의 컴포넌트가, EEPROM(304)으로부터 RAM(303)으로 로딩되는 통신 단말기(3a)에 대한 프로그램에 따라 CPU(301)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 동작하게 함으로써 구현되는 기능 또는 유닛이다.
통신 단말기(3a)는 도 5에 예시된 ROM(302), RAM(303) 및 EEPROM(304)으로 구축되는 저장 유닛(3000)을 포함한다.
통신 단말기(3a)의 각각의 기능의 구성
도 7을 참조하여, 통신 단말기(3a)의 각각의 기능의 각각의 구성이 더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통신 단말기(3a)의 송신기-수신기(31)는 주로, 도 5에 예시된 CPU(301)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 그리고 장거리 통신 회로(311)에 의해 구현되고, 통신 네트워크(9)를 통해 서비스 제공 시스템(5) 및 인증 시스템(7)에 대해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송신 및 수신한다.
수락 유닛(32)은 주로 도 5에 예시된 CPU(301)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 그리고 터치 패널(321)에 의해 구현된다. 수락 유닛(32)은 사용자의 동작을 수락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3)는 주로 도 5에 예시된 CPU(301)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 구현된다.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3)는 디스플레이(317)로 하여금 주어진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통신 단말기(3a)의 경우에, OpenGL ES(Open Graphics Library for Embedded Systems)가 사용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3)는 데이터가 전방위/파노라마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를 커버하는 방식으로 촬영 디바이스(10)로부터 전송된 메트카토르 이미지 데이터를 첨부한다.
지정 유닛(37)은 주로 도 5에 예시된 CPU(301)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 구현되고, 지정 유닛(37)은 단말기 ID를 형성하는 코드 중에 사용자 ID(인증될 부분)를 지정한다.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ID는 예시적인 단말기 식별 정보이다. 단말기 식별 정보는 단말기 ID 뿐만 아니라 단말기의 제품 번호 등을 포함한다.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ID는 예시적인 사용자 식별 정보이다. 사용자 식별 정보는 사용자 ID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이름 및 일본 국내 식별 번호에 기초한 마이 넘버(my number)를 포함한다.
단거리 통신 유닛(38)은 도 5에 예시된 CPU(301)로부터 커맨드에 따라 그리고 단거리 통신 회로(319)를 사용함으로써 통신을 수행한다.
저장-판독 유닛(39)은 주로 도 5에 예시된 CPU(301)에 의해 수행된 프로세스에 따라 구현된다. 저장-판독 유닛(39)은 저장 유닛(3000)에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 유닛(3000)으로부터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판독한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기능적 구성
도 6 및 도 7 내지 도 9c를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각각의 기능의 각각의 구성이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은 송신기-수신기(51), 인증 유닛(52), 서치(searching) 유닛(53), 결정 유닛(54), 삭제 유닛(55) 및 저장-판독 유닛(59)을 포함한다. 유닛의 각각은, 도 6에 예시된 컴포넌트 중의 임의의 컴포넌트가, HD(504)로부터 RAM(503)으로 로딩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5)에 대한 프로그램에 따라 CPU(501)로부터 발행되는 커맨드에 따라 동작하게 함으로써 구현되는 기능 또는 절차이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은 도 6에 예시된 RAM(503) 및 HD(504)로 구축되는 저장 유닛(5000)을 포함한다. 저장 유닛(5000)은 통신 단말기(3) 또는 인증 시스템(7)으로부터 전송된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 유닛(5000)에서는, 모드 관리 DB(5001)가 구축된다. 모드 관리 DB(5001)는 아래에 기재될 모드 관리 테이블을 포함한다. 모드 관리 테이블은 아래에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모드 관리 테이블
도 8은 모드 관리 테이블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모드 관리 테이블에서는, 통신 단말기(3)를 식별하기 위한 단말기 ID, 통신 단말기(3)의 통신 모드를 나타내는 통신 모드 정보, 및 통신 단말기(3)의 IP 어드레스가 서로 연관되고 관리된다. 통신 모드는 온라인 모드 및 오프라인 모드를 포함한다. 또한, 온라인으로 될 차례가 오프라인 모드에 추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도 8에서, “오프라인(1)”은 첫 번째로 온라인이 될 가능성을 나타내고, “오프라인(2)”은 두 번째로 온라인이 될 가능성을 나타낸다. 도 8에서 IP 어드레스는 IPv4의 단순화된 모드를 나타낸다. IP 어드레스는 IPv6일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은 통신 단말기(3)로부터 로그인 요청을 수신할 때 모드 관리 테이블에 요청의 소스를 나타내는 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ID를 포함하는 새로운 기록(record)을 추가하는 반면에,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은 통신 단말기(3)로부터 로그아웃 요청을 수신할 때 모드 관리 테이블로부터 요청의 소스를 나타내는 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ID를 포함하는 기록을 삭제한다.
도 9a, 도 9b, 및 도 9c는 예시적인 단말기 ID로서 전자 메일 어드레스를 나타내며, 이의 각각은 인증될 부분 및 인증되지 않을 부분으로 구성된다. 인증될 부분은,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 인증 시스템(7)에 의해 사용자 ID로서 사용되는 부분이다. 인증되지 않을 부분은,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 인증 시스템(7)에 의해 사용되지 않은 부분이다.
도 9a는 단말기 ID의 제1 패턴을 예시한다. 제1 패턴에서 인증될 부분은 계정 이름 “asai”, 호스트 이름 “myhost”, 및 도메인 이름의 전자(former) 부분 “ricoo.com”으로 구성된다. 반면에, 인증되지 않을 부분은 도메인 이름의 후자(letter) 부분 “thetal”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아래에 기재될 지정 유닛(37)은 “/”에 의해 인증될 부분과 인증되지 않을 부분을 서로 구분한다.
도 9b는 제1 패턴을 예시하는데, 여기에서는 인증되지 않을 부분이 도 9a에서와는 상이하다. 다르게 말하자면, 도 9a에 예시된 단말기 ID 및 도 9b에 예시된 단말기 ID는 동일한 인증될 부분을 가지며, 따라서 ID는 동일 ID로서 간주되고 인증이 수행된다.
도 9c는 단말기 ID의 제2 패턴을 예시한다. 제2 패턴에서 인증될 부분은 계정 이름을 나타내는 전자 부분 “asai”로 구성된다. 반면에, 인증되지 않을 부분은 계정 이름에서의 후자 부분 “theta2”, 호스트 이름 “myhost”, 및 도메인 이름 “ricoo.com”으로 구성된다. 이 경우에, 아래에 기재될 지정 유닛(37)은 “+”를 사용함으로써 인증될 부분과 인증되지 않을 부분 간에 구분한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각각의 기능의 구성
도 7을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각각의 기능의 각각의 구성이 아래에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송신기-수신기(51)는 주로 도 6에 예시된 CPU(501)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 그리고 네트워크 I/F(509)에 의해 구현된다. 송신기-수신기(51)는 통신 네트워크(9)를 통해 통신 단말기(3) 또는 인증 시스템(7)에 대해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한다.
인증 유닛(52)은 주로 도 6에 예시된 CPU(501)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 구현되고, 예를 들어 암호화된 토큰을 해독하고 해독한 토큰을 인증한다.
서치 유닛(53)은 주로 도 6에 예시된 CPU(501)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 구현된다. 예를 들어, 서치 유닛(53)은, 제1 단말기(ID)에 포함된 사용자 ID와 동일한 사용자 ID를 포함하는 제2 단말기 ID와 연관되며 온라인 모드를 나타내는 통신 모드 정보 세트의 수에 대해, 모드 관리 테이블을 서치한다.
결정 유닛(54)은 주로 도 6에 예시된 CPU(501)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 구현된다. 예를 들어, 결정 유닛(54)은, 서치 유닛(53)에 의해 서치된, 온라인 모드를 나타내는 통신 모드 정보 세트의 수가 주어진 수보다 더 작은지 여부를 결정한다. 주어진 수는 예를 들어 10이다. 이 경우에, 동일 사용자는 최대 10개의 자신의 통신 단말기들이 서로 통신하게 할 수 있다.
삭제 유닛(55)은 주로 도 6에 예시된 CPU(501)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 구현된다. 예를 들어, 특정 통신 단말기인 통신 단말기(3)로부터의 로그아웃 요청의 수신에 따라, 삭제 유닛(55)은 모드 관리 테이블에서 특정 통신 단말기(3)를 식별하는 특정 단말기 ID를 포함하는 기록을 삭제한다. 예를 들어, 특정 통신 단말기(3)로부터의 로그아웃 요청의 수신에 따라, 삭제 유닛(55)은, 특정 통신 단말기(3)를 식별하는 특정 단말기 ID가, 통신 파트너 관리 테이블에서 통신의 소스인 통신 단말기로서 관리되고 있는 기록을 삭제한다.
저장-판독 유닛(59)은 주로 도 6에 예시된 CPU(501)로부터의 커맨드에 따라 구현된다. 저장-판독 유닛(59)은 저장 유닛(5000)에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 유닛(5000)으로부터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판독한다.
인증 시스템(7)의 기능적 구성
도 7 및 도 10을 참조하여, 인증 시스템(7)의 기능적 구성이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인증 시스템(7)은 송신기-수신기(71), 인증 유닛(72) 및 저장-판독 유닛(79)을 포함한다. 유닛의 각각은, 도 6에 예시된 컴포넌트 중의 임의의 컴포넌트가, HD(504)로부터 RAM(503)으로 로딩되는 인증 시스템(7)에 대한 프로그램에 따라 CPU(501)로부터 발행되는 커맨드에 따라 동작하게 함으로써 구현되는 기능 또는 절차이다.
인증 시스템(7)은 도 6에 예시되어 있는 RAM(503) 및 HD(504)로 구축되는 저장 유닛(7000)을 포함한다. 저장 유닛(7000)은 통신 단말기(3) 또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5)으로부터 전송된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한다.
또한, 인증 관리 DB(7001)가 저장 유닛(7000)에서 구축된다. 인증 관리 DB(7001)는 아래에 기재될 인증 관리 테이블을 포함한다. 테이블은 아래에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인증 관리 테이블
도 10a는 인증 시스템(7a)이 갖는 인증 관리 테이블을 예시한 개략도이고, 도 10b는 인증 시스템(7b)이 갖는 인증 관리 테이블을 예시한 개략도이고, 도 10c는 인증 시스템(7c)이 갖는 인증 관리 테이블을 예시한 개략도이다.
인증 관리 테이블의 각각은 단말기 ID에서의 사용자 ID(인증될 부분) 및 패스워드를 서로 연관시켜 저장하고 관리한다.
인증 시스템(7)의 각각의 기능의 구성
도 7을 참조하여, 인증 시스템(7)의 각각의 기능의 각각의 구성이 아래에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인증 시스템(7)의 송신기-수신기(71)는 주로 도 6에 예시된 CPU(501)로부터 발행된 커맨드에 따라 그리고 네트워크 I/F(509)에 의해 구현된다. 송신기-수신기(71)는 통신 네트워크(9)를 통해 통신 단말기(3) 및 서비스 제공 시스템(5)에 대해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송신하고 수신한다.
인증 유닛(72)은 주로 도 6에 예시된 CPU(501)로부터 발행된 커맨드에 따라 구현된다. 인증 유닛(72)은 인증 요청을 전송하는 통신 단말기가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유효한 권한을 갖는지 여부를 결정함으로써 ID를 인증한다.
저장-판독 유닛(79)은 주로 도 6에 예시된 CPU(501)로부터 발행된 커맨드에 따라 구현된다. 저장-판독 유닛(79)은 저장 유닛(7000)에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 유닛(7000)으로부터 다양한 유형의 데이터(또는 정보)를 판독한다.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또는 동작
도 1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스 또는 동작이 기재될 것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인증 프로세스를 예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12는 인증자(authenticator) 선택 화면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를 예시한다.
도 11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3)의 송신기-수신기(31)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5)에 로그인 요청을 송신한다(단계 S21). 요청은 통신 단말기(3)의 단말기 ID를 포함한다. 그 때에, 송신기-수신기(31)는 통신 단말기(3)의 IP 어드레스를 송신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송신기-수신기(51)는 로그인 요청 및 통신 단말기(3)의 IP 어드레스를 수신한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결정 유닛(54)은, 단계 S21에서 수신된 단말기 ID가 모드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22). 단말기 ID가 관리되고 있지 않는 경우가 아래에 기재될 것이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송신기-수신기(51)는 통신 단말기(3)에 인증자 선택 화면의 데이터를 송신한다(단계 S23). 따라서, 통신 단말기(3)의 송신기-수신기(31)는 인증자 선택 화면의 데이터를 수신한다.
통신 단말기(3)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3)는 디스플레이(317)로 하여금 도 12에 예시된 인증자 선택 화면(s1)을 디스플레이하게 한다(단계 S24). 도 12는 통신 단말기(3b)로서의 역할을 하는 예시적인 PC 화면을 예시한다. 인증자 선택 화면(s1) 상에, 단말기 ID 입력 필드(b1), 패스워드 입력 필드(b2), 및 로그인 요청(인증 요청)을 위한 로그인 버튼(b3)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또한, 인증자 선택 화면(s1) 상에, 인증 시스템(7a, 7b, 및 7c)을 선택하기 위한 인증 시스템 선택 버튼(a1, a2, 및 a3)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사용자가 입력 필드(b1)에 자신의 단말기 ID를 입력하고, 입력 필드(b2)에 자신의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인증 시스템 선택 버튼(a1, a2, 및 a3) 중의 원하는 것을 누르고, 로그인 버튼(b3)을 누르면, 수락 유닛(32)이 각각의 입력 및 선택을 수락한다(단계 S25). 인증 시스템 선택 버튼(a1, a2, 및 a3)은 각각의 인증 시스템(7)의 URL과 미리 연관되어 있음을 유의하자.
지정 유닛(37)은 수락 유닛(32)에 의해 수락되는 단말기 ID의 코드에서 사용자 ID(인증될 부분)를 지정한다(단계 S26). 그 때에, 지정 유닛(37)은 미리 결정된 규칙에 따라 사용자 ID를 지정한다(단계 S26). 예를 들어, 단말기 ID가 도 9a 또는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은 경우에, “com” 후에 “/” 앞의 부분이 사용자 ID로서 인식된다.
그 다음, 송신기-수신기(31)는 수락 유닛(32)에 의해 수락되는 선택 버튼에 따른 인증 시스템(7)의 URL에 따라 인증 시스템(7)에 ID(여기에서는, 사용자 ID)를 인증하라는 요청을 송신한다(단계 S27). 인증 요청은 단계 S26에서 지정되는 사용자 ID 및 단계 S25에서 수락되는 패스워드를 포함한다. 그 때에, 송신기-수신기(31)는 단말기의 IP 어드레스를 송신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송신기-수신기(51)는 IP를 인증하라는 요청 및 통신 단말기(3)의 IP 어드레스를 수신한다.
다음으로, 인증 시스템(7)의 저장-판독 유닛(79)은, 단계 S27에서 수신되는 사용자 ID(인증될 부분) 및 패스워드의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인증될 부분 및 패스워드의 동일 조합에 대해 인증 관리 테이블을 서치한다. 서치 결과를 사용함으로써, 인증 유닛(72)은 인증을 수행한다(단계 S28). 동일 조합이 관리되고 있을 경우, 인증 유닛(72)은, 통신 단말기(3)의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5)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유효한 사용자임을 결정하고, 동일 조합이 관리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통신 단말기(3)의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5)으로부터 서비스를 받을 수 있는 유효한 사용자가 아니라고 결정한다.
도 1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인증 시스템(7)의 인증 유닛(72)은 토큰(송신 권한)을 암호화한다(단계 S41). 그 다음, 송신기-수신기(71)는 단계 S27에서 수신되는 통신 단말기(3)의 IP 어드레스에 따라 통신 단말기(3)에 ID를 인증한 결과를 송신한다(단계 S42). 인증 결과는, 통신 단말기(3)가 유효한지 여부를 나타내고, 단계 S41에서 암호화된 토큰을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3)의 송신기-수신기(31)는 사용자를 인증한 결과를 수신한다. 사용자가 유효한 권한을 갖는 경우가 아래에 기재될 것이다.
통신 단말기(3)의 송신기-수신기(31)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5)에 세션 확립 요청을 송신한다(단계 S43). 세션 확립 요청은 단말기 ID 및 단계 S42에서 수신되는 암호화된 토큰을 포함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송신기-수신기(51)는 세션 확립 요청을 수신한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인증 유닛(52)은 단계 S43에서 수신되는 암호화된 토큰을 해독한다(단계 S44).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인증 유닛(52) 및 인증 시스템(7)의 인증 유닛(72)은 미리 공통 키(또는 공용 키)를 가지며, 따라서 인증 유닛(52)은 토큰을 해독할 수 있다.
인증 유닛(52)은 해독한 토큰에 기초하여 토큰을 인증한다(단계 S45). 그 다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은 통신 단말기(3)의 통신 모드 및 통신 파트너를 관리한다(단계 S46). 도 14를 참조하여, 통신 단말기(3)의 통신 모드 및 통신 파트너의 관리가 기재될 것이다. 도 14는 통신 단말기의 통신 모드 및 통신 파트너의 관리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우선, 서치 유닛(53)은, 온라인 모드를 나타내며, 통신의 소스인 통신 단말기(3)의 단말기 ID에 포함된 사용자 ID의 것과 동일한 사용자 ID를 포함하는 다른 단말기 ID와 연관되는 통신 모드 정보 세트의 수에 대해 서치를 수행한다(단계 S46-1). 결정 유닛(54)은 온라인 모드를 나타내는 통신 모드 정보 세트의 수가 주어진 수(예를 들어, 10)보다 더 작은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46-2). 온라인 모드를 나타내는 통신 모드 정보 세트의 수가 주어진 수보다 더 작을 경우(YES), 저장-판독 유닛(59)은, 통신의 소스인 통신 단말기(3)의 단말기 ID, “온라인” 모드를 나타내는 통신 모드 정보, 및 통신의 소스인 통신 단말기(3)의 IP 어드레스를 서로 연관시켜 관리한다(단계 S46-3). 그 다음, 저장-판독 유닛(59)은 저장 유닛(5000)으로부터 미리 저장된 "서비스 제공 화면”의 데이터를 출력한다(단계 S46-4).
단계 S46-2에서, 온라인 모드를 나타내는 통신 모드 정보 세트의 수가 주어진 수보다 더 작지 않을 경우(NO), 즉 주어진 수 이상일 경우, 서치 유닛(53)에 의한 서치 결과에 따라, 저장-판독 유닛(59)은, 통신의 소스인 통신 단말기(3)의 단말기 ID, “오프라인”을 나타내는 통신 모드 정보, 및 통신의 소스인 통신 단말기(3)의 IP 어드레스를 서로 연관시켜 관리한다(단계 S46-5). 그 다음, 저장-판독 유닛(59)은 저장 유닛(5000)으로부터 미리 저장된 "대기 모드 화면”의 데이터를 출력한다(단계 S46-6).
여기에서 도 13이 다시 참조될 것이다. 그 다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송신기-수신기(51)는 통신 단말기(3)에 단계 S43에서의 요청의 결과를 나타내는 요청 결과 정보를 송신한다(단계 S47). 통신 단말기(3)의 송신기-수신기(31)는 요청 결과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 단말기(3)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3)는 통신 단말기(3)(여기에서는, 통신 단말기(3b))의 디스플레이(508)로 하여금 요청 결과 정보에 포함된 화면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게 한다(단계 S48). 이 경우에, 요청 결과 정보가 서비스 제공 화면의 데이터를 포함할 경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3)는 디스플레이(508)가 도 15a에 예시된 서비스 제공 화면(s2)을 디스플레이하게 한다. 서비스 제공 화면(s2)은 서비스의 제공을 받는 것이 가능함을 나타낸다. 화면은 예로서, 사용자 자신의 또다른 통신 단말기(3)를 원격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나타내는 서비스의 내용을 나타낸다. 서비스 제공 화면(s2) 상에, 원격으로 동작될 또다른 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ID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 필드(b21) 및 사용자가 입력 필드(b21)에 단말기 ID를 입력한 후에 실제로 서비스를 시작하라는 요청을 행하기 위한 "서비스 시작 요청” 버튼(b2)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반면에, 요청 결과 정보가 대기 모드 화면의 데이터를 포함할 경우,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3)는 도 15b에 예시된 대기 모드 화면(s3)을 디스플레이한다. 대기 모드 화면(s3)은, 통신의 소스이며 로그인 요청을 발행한 통신 단말기(3)가 서비스를 받을 수 없고 대기 모드에 있음을 나타낸다. 화면은 예로서, 사용자 자신의 또다른 통신 단말기(3)를 원격으로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하지 않으며 원격 동작이 가능할 때까지 대기 모드가 유지됨을 나타내는 서비스의 내용을 나타낸다. 또한, 서비스 제공 화면(s3) 상에, 사용자가 원격으로 동작될 또다른 통신 단말기의 단말기 ID를 입력하는 것을 막도록 마스킹된 입력 필드(b31) 및 사용자가 체크한 후에 서비스 제공 화면(s3)을 닫기 위한 “OK” 버튼(b32)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통신 단말기(3b)가 통신 단말기(3a)를 원격으로 동작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한 원격 동작 서비스가 예시적인 서비스 제공으로서 기재될 것이다. 도 16은 원격 동작 프로세스를 예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1에 예시된 통신 단말기(3a 및 도 3b)는 동일 사용자가 소유한 통신 단말기이다. 통신 단말기(3a 및 3b)의 단말기 ID는 통신 파트너 관리 테이블에서 통신의 소스인 단말기 ID 및 통신하는 것이 가능한 통신 파트너의 단말기 ID로서 관리되고, 통신 단말기(3a 및 3b)는, 통신 단말기(3a)가 통신 단말기(3b)에 대해 원격 동작을 시작할 수 있거나 또는 통신 단말기(3b)가 통신 단말기(3a)에 대해 원격 동작을 시작할 수 있는 모드에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3a 및 3b) 간에 상이한 단말기 ID를 사용함으로써 서비스의 제공을 독립적으로 받을 수 있을 때에도, 인증 시스템(7)은 사용자 ID(여기에서는 “asai@myhost.ricoo.com”) 및 패스워드(여기에서는, “aaaa”)의 동일 조합을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인증을 수행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복수의 인증 설정을 위해 통신 단말기(3a 및 3b)의 각각에 대하여 단말기 ID 및 패스워드를 등록할 필요가 없다.
통신 단말기(3b)의 사용자가 도 15a에 예시된 입력 필드(b21)에 원격으로 동작될 통신 단말기(3a)의 단말기 ID를 입력하고 “서비스 시작 요청” 버튼(b22)을 누르면, 통신 단말기(3b)의 수락 유닛(32)은 원격으로 동작될 단말기의 지정 및 원격 동작 시작 요청을 수락한다(단계 S61). 통신 단말기(3b)는 촬영 디바이스(10)가 여기에서의 예시적인 원격 동작으로서 촬영을 시작하게 하도록 통신 단말기(3a)에 요청한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3b)의 송신기-수신기(31)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5)에 통신 시작 요청(여기에서는, 원격 동작 시작 요청)을 송신한다(단계 S62). 시작 요청은, 통신의 소스(여기에서는, 원격 동작의 소스)인 통신 단말기(3b)의 단말기 ID, 및 통신 파트너(여기에서는, 원격 동작될 단말기)인 통신 단말기(3a)의 단말기 ID를 포함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송신기-수신기(51)는 통신 시작 요청을 수신한다.
그 다음,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은, 원격 동작이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수행한다(단계 S63). 도 17을 참조하여, 원격 동작이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가 상세하게 기재될 것이다. 도 17은 원격 동작이 이용가능한지 여부를 결정하는 프로세스를 예시한 흐름도이다.
도 17에 예시된 바와 같이, 서치 유닛(53)은, 단계 S62에서 수신된 단말기 ID인, 통신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하는 통신 단말기(3a)의 단말기 ID를 사용함으로써, 모드 관리 테이블(도 8 참조)을 서치한다(단계 S63-1). 결정 유닛(54)은, 통신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하는 통신 단말기(3a)의 단말기 ID가 모드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되고 있는지 여부를 더 결정한다(단계 S63-2). 결정 유닛(54)이, 통신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하는 통신 단말기(3a)의 단말기 ID가 모드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되고 있다고 결정할 경우(YES), 결정 유닛(54)은 통신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하는 통신 단말기(3a)의 단말기 ID에 대응하는 통신 모드 정보가 모드 관리 테이블(도 8 참조)에서 “온라인”으로서 관리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63-3). 결정 유닛(54)이, 통신 모드 정보가 “온라인”으로서 관리된다고 결정할 경우(YES), 결정 유닛(54)은 통신의 소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통신 단말기(3b)의 단말기 ID 및 통신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하는 통신 단말기(3a)의 단말기 ID가 동일 사용자 ID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단계 S63-4). 결정 유닛(54)이 단말기 ID가 동일 사용자 ID를 포함한다고 결정할 경우(YES), 도 16을 다시 참조하며 단계 S65의 프로세스로 진행한다.
반면에, 상기 기재된 단계 S63-2에서, 결정 유닛(54)이, 통신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하는 통신 단말기(3a)의 단말기 ID가 모드 관리 테이블에서 관리되고 있지 않다고 결정할 경우(NO), 저장-판독 유닛(59)은 저장 유닛(50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신-불가능 화면(여기에서는, 원격 동작 불가능 화면)의 데이터를 출력한다(단계 S63-5). 마찬가지로, 단계 S63-3에서, 결정 유닛(54)이, 통신 모드 정보가 “온라인"으로서 관리되지 않는다고, 다르게 말하자면 “오프라인”으로서 관리된다고 결정할 경우(NO), 또는 단계 S63-4에서 결정 유닛(54)이 단말기 ID가 동일 사용자 ID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결정할 경우(NO), 저장-판독 유닛(59)은 저장 유닛(5000)에 미리 저장되어 있는 통신-불가능 화면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이 경우에, 도 16을 다시 참조하는데, 송신기-수신기(51)는, 요청 결과 화면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통신이 통신 단말기(3b)에 대해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요청 결과 정보를 송신한다(단계 S64). 따라서, 통신 단말기(3b)의 송신기-수신기(31)는 요청 결과 정보를 수신한다. 이 경우에, 아래에 더 기재될 단계 S71에서, 통신 단말기(3b)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3)는 도 18a에 예시된 바와 비슷한 원격 동작 불가능 화면(s4)을 디스플레이한다.
프로세스가 단계 S65의 프로세스로 진행될 경우가 아래에 기재될 것이다.
도 16에 예시된 바와 같이, 단계 S62에서 수신된 단말기 ID인, 통신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하는 통신 단말기(3a)의 단말기 ID를 사용함으로써 모드 관리 테이블을 서치함으로써, 저장-판독 유닛(59)은 통신 단말기(3a)의 대응하는 IP 어드레스를 판독한다(단계 S65). 그 다음, 송신기-수신기(51)는 단계 S65에서 판독되는 IP 어드레스가 나타내는 통신 단말기(3a)에 통신 시작 요청(여기에서는, 원격 동작 시작 요청)을 송신한다(단계 S66). 통신 시작 요청은 송신 소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통신 단말기(3b)의 단말기 ID 및 통신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하는 통신 단말기(3a)의 단말기 ID를 포함한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3a)의 송신기-수신기(31)는 통신 시작 요청을 수신한다.
통신 단말기(3a)의 단거리 통신 유닛(38)은 촬영 디바이스(10)가 물체 또는 풍경의 이미징을 시작하게 하도록 원격 동작을 준비한다(단계 S67). 따라서, 통신 단말기(3a)의 송신기-수신기(31)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5)에 통신 시작 요청의 요청 결과(여기에서는, 준비 완료됨)를 송신한다(단계 S68). 따라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송신기-수신기(51)는 요청 결과를 수신한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5)에서, 저장-판독 유닛(59)은 미리 저장 유?(5000)에 저장되어 있는 통신 이용가능 화면(여기에서는, 원격 동작 가능 화면)의 데이터를 출력한다. 그 다음, 송신기-수신기(51)는, 통신 이용가능 화면의 데이터를 포함하며 단계 S62에서 송신 소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통신 단말기(3b)에 대해 통신이 이용가능함을 나타내는 요청 결과 정보를 송신한다(단계 S70). 따라서, 통신 단말기(3b)의 송신기-수신기(31)는 요청 결과 정보를 수신한다.
통신 단말기(3b)에서,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3)는 도 18b에 예시된 바와 비슷한 원격 동작 가능 화면(a5)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71).
도 18a에 예시된 원격 동작 불가능 화면(s4)은, 통신 파트너로서의 역할을 하는 통신 단말기(3a)가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가 아니기 때문에 통신이 이용가능하지 않음을 나타낸다. 원격 동작 불가능 화면(s4) 상에, 사용자가 체크한 후에 원격 동작 불가능 화면(s4)을 닫기 위한 “OK” 버튼(b42)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반면에, 도 18b에 예시된 원격 동작 가능 화면(s5)은, 통신 단말기(3a)가 통신의 소스인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이기 때문에, 통신이 이용가능함을 나타낸다. 원격 동작 가능 화면(s5) 상에, 원격 동작을 실제로 시작하기 위한 “원격 동작 시작” 버튼(b52)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사용자가 “원격 동작 시작” 버튼(b52)을 누르면, 예를 들어, 통신 단말기(3a)는 예를 들어 촬영을 시작하거나 종료하도록 촬영 디바이스(10)에 대한 원격 동작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19,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5)에 로그아웃 요청을 발행하기 위해 통신 단말기(3)에 의해 수행되는 프로세스가 기재될 것이다. 도 19는 로그아웃 프로세스를 예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도 20a 및 도 20b는 로그아웃 화면의 각각의 예시적인 디스플레이이다.
도 19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통신 단말기(3)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3)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로그아웃 요청 화면(s6) 상의 “로그아웃” 버튼(b62)을 누르면, 수락 유닛(32)은 로그아웃 요청을 수락한다(단계 S81).
송신기-수신기(31)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5)에 로그아웃 요청을 송신한다(단계 S82). 로그아웃 요청은 통신의 소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통신 단말기(3)의 단말기 ID를 포함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송신기-수신기(51)는 로그아웃 요청을 수신한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삭제 유닛(55)은 모드 관리 테이블(도 8 참조)에서 통신의 소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통신 단말기(3)의 단말기 ID를 포함하는 기록을 삭제한다(단계 S83). 또한, 삭제 유닛(55)에 의해 삭제된 기록에서의 단말기 ID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ID와 동일한 사용자 ID를 포함하는 또다른 단말기 ID와 연관된 통신 모드 정보가 오프라인 모드를 나타낼 경우, 저장-판독 유닛(59)은 모드 관리 테이블에서 통신 모드 정보를 "오프라인"에서 “온라인”으로 변경하고 통신 모드 정보를 관리한다(단계 S84). 이 경우에, 삭제 유닛(55)에 의해 삭제된 기록에서의 단말기 ID에 포함되어 있는 사용자 ID와 동일한 사용자 ID를 포함하는 다른 단말기 ID와 연관된 통신 모드 정보 세트가 오프라인 모드를 나타내는 다른 통신 단말기들이 복수 개 있을 경우, 저장-판독 유닛(59)은, 송신기-수신기(51)가 다른 복수의 통신 단말기들의 통신 모드 정보 세트를 수신하는 오름차순에 따라 통신 모드 정보를 온라인으로 변경한다. 예를 들어, 도 8에 예시된 모드 관리 테이블의 경우에, 주어진 단말기 ID를 포함하는 기록이 삭제될 경우, 주어진 단말기 ID의 것과 동일한 사용자 ID를 포함하는 또다른 단말기 ID와 연관된 오프라인(1)이 온라인으로 변경된다. 동일 사용자 ID의 단말기 ID를 포함하는 기록이 삭제될 경우, 단말기 ID의 것과 동일한 사용자 ID를 포함하는 또다른 단말기 ID와 연관된 오프라인(2)이 온라인으로 변경된다. 저장-판독 유닛(59)은 오프라인(1)을 온라인으로 변경할 수 있고 또한 온라인(2)을 온라인(1)으로 앞당기게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송신기-수신기(51)는 송신 소스로서의 역할을 하는 통신 단말기(3)에 로그아웃 완료 통지를 송신한다(단계 S85). 따라서, 통신 단말기(3)의 송신기-수신기(31)는 로그아웃 완료 통지를 수신한다. 그 다음, 통신 단말기(3)의 디스플레이 컨트롤러(33)는 통신 단말기(3)의 디스플레이(317)(508)로 하여금 도 20b에 예시된 바와 비슷한 로그아웃 완료 화면(s7)을 디스플레이하게 한다(단계 S86). 또한, 로그아웃 완료 화면(s7) 상에, 사용자가 체크한 후에 로그아웃 완료 화면(s7)을 닫기 위한 “OK” 버튼(b72)이 디스플레이되어 있다.
실시예의 주요 효과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기 ID는 사용자 ID(인증될 부분) 및 인증되지 않을 부분을 포함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인증될 부분 및 패스워드의 조합을 등록하면, 사용자가 대응하는 인증될 부분들이 서로 상이한 복수의 통신 단말기들을 사용할 때에도 각각의 통신 단말기에 관련하여 등록할 필요가 없으며, 이는 서비스를 통신하기 위해 등록할 사용자의 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효과를 이끌어낸다.
또한, 통신 단말기들 간의 통신 시작에 대한 제어에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은 로그인 프로세스에 사용된 모드 관리 테이블(도 8 참조)을 사용하여, 통신의 소스인 단말기 ID와 통신 파트너의 단말기 ID가 공통 사용자 ID를 포함할 경우 통신을 시작하는 것을 허용한다(단계 S63-4 참조). 따라서, 어드레스 리스트를 작성하는 데 신경쓰는 일 없이 보안이 확보된 후 통신을 시작하는 것을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며, 이는 어드레스 리스트에 등록하기 위한 사용자의 작업 증가를 막을 수 있다는 효과를 이끌어낸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결정 유닛(54)은, 통신 파트너의 단말기 ID가 모드 관리 테이블(도 8 참조)에서 관리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통신 파트너의 단말기 ID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고 결정될 경우 통신을 시작하는 것을 허용하지 않는다(단계 S63-2 참조). 따라서, 단계 S63-3 이후의 프로세스를 생략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는 통신을 시작하라는 요청에 신속하게 응답할 수 있다는 효과를 이끌어낸다.
또한,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은 동일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들 중에서도 주어진 수의 통신 단말기들 간에만 통신을 허용한다(S46-2 및 S46-3 참조). 따라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작업을 감소시키고 사용자들 간의 공정성(equitability) 보장(예를 들어, 특정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을 점유하는 것을 막음)을 간단하게 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많은 수의 자신의 통신 단말기들(3)로 서비스를 받기 위해 많은 수의 자신의 통신 단말기들을 서비스 제공 시스템(5)에 로그인시켜 많은 수의 세션이 생성될 가능성이 있지만, 주어진 수의 단말기들 간에만 통신이 허용되고, 따라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기(3)로부터 로그아웃 요청을 수신하면,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은 모드 관리 테이블(도 8 참조)로부터 통신 단말기(3)의 단말기 ID를 포함하는 기록을 삭제하고 “온라인” 대기 모드에 있는 동일 사용자의 단말기 ID의 통신 모드를 “오프라인”으로부터 "온라인”으로 변경한다(단계 S84 참조). 따라서, 사용자가 서비스 제공 시스템(5)에 “오프라인”으로부터 “온라인”으로 변경하라는 요청을 행할 필요가 없으며, 따라서 프로세스의 사용자의 작업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변형예 1
도 21 및 도 22을 참조하여, 실시예의 변형예 1이 기재될 것이다. 도 21은 변형예 1의 통신 단말기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2는 변형예 1의 인증 프로세스의 일부를 예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상기 기재된 실시예에서는 통신 단말기(3)가 단계 S28에서 단말기 ID에서 사용자 ID(인증될 부분)를 지정하는 반면에, 변형예 1에서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이 단계 S128에서 단말기 ID에서 사용자 ID를 지정한다.
도 21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 1에서, 지정 유닛(57)을 포함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이 존재한다. 지정 유닛(57)은 지정 유닛(37)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이 경우에, 지정 유닛(37)을 포함하지 않는 통신 단말기(3')가 존재하고 도 7에 예시된 바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인증 시스템(7)이 존재한다. 도 21에서, 도 7에서와 동일한 기능은 도 7에서과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되고, 이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22를 참조하여, 변형예 1의 프로세스 또는 동작이 기재될 것이다. 변형예 1에서, 상기 기재된 실시예의 단계 S21 내지 S25, S41 내지 S48, S61 내지 S71, 및 S81 내지 S86의 것과 동일한 프로세스 또는 동작이 수행되고, 따라서 단계 S26 및 S27의 변형예가 기재될 것이다.
도 22에 예시된 바와 같이, 통신 단말기(3')의 송신기-수신기(31)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5')에 ID(여기에서는, 단말기 ID)를 인증하라는 요청을 송신한다(단계 S126). 인증 요청은 통신 단말기(3')의 단말기 ID, 단계 S25에서 수락되는 패스워드, 및 선택된 인증 시스템의 URL을 포함한다. 그 때에, 송신기-수신기(31)는 또한 단말기의 IP 어드레스를 송신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송신기-수신기(51)는 IP를 인증하라는 요청 및 통신 단말기(3')의 IP 어드레스를 수신한다.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지정 유닛(57)은 단말기 ID 중에 사용자 ID(인증될 부분)를 지정한다(단계 S127). 송신기-수신기(31)는 단계 S126에서 수신된 URL에 의해 지정되는 인증 시스템(7)에 ID(여기에서는, 사용자 ID)를 인증하라는 요청을 송신한다(단계 S128). ID를 인증하라는 요청은, 단계 S127에서 지정되는 사용자 ID, 단계 S25에서 수락되는 패스워드, 및 단계 S126에서 수신되는 단말기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인증 시스템(7)의 송신기-수신기(71)는 ID를 인증하라는 요청을 수신한다. 그 다음, 도 11에 예시된 단계 S28 이후에서와 동일한 프로세스 또는 동작이 수행될 것이다.
도 13의 단계 S42에서와 같이 인증 시스템(7)의 송신기-수신기(71)가 통신 단말기(3')에 ID를 인증한 결과를 송신할 경우, 단계 S128에서 수신되는 단말기의 IP 어드레스가 어드레스로서 사용된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형예 1은 상기 기재된 실시예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달성한다.
변형예 2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여, 실시예의 변형예 2가 기재될 것이다. 도 23은 변형예 2의 인증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 24는 변형예 2의 인증 프로세스의 일부를 예시한 시퀀스 차트이다.
상기 기재된 실시예에서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이 단계 S28에서 단말기 ID에서 인증될 부분을 빼내는 반면에, 변형예 2에서는 단계 S228에서 인증 시스템(7')이 단말기 ID에서 인증될 부분을 빼낸다.
실시예에서 통신 단말기(3)가 단계 S28에서 단말기 ID에서 사용자 ID(인증될 부분)를 지정하는 반면에, 변형예 2에서는 인증 시스템(7')이 단계 S228에서 단말기 ID의 사용자 ID를 지정한다.
도 2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변형예 2에는 지정 유닛(77)을 포함하는 인증 시스템(7')이 존재한다. 지정 유닛(77)은 지정 유닛(57)의 기능과 동일한 기능을 갖는다. 이 경우에, 지정 유닛(37)을 포함하지 않는 통신 단말기(3')가 존재하고 도 7에 예시된 바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이 존재한다. 도 23에서, 도 7에서와 동일한 기능은 도 7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로 표시될 것이고, 이의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24를 참조하여, 변형예 2의 프로세스 또는 동작이 기재될 것이다. 변형예 2에서, 상기 기재된 실시예의 단계 S21 내지 S25, S41 내지 S48, S61 내지 S71, 및 S81 내지 S86에서와 동일한 프로세스 또는 동작이 수행되고, 따라서 단계 S26 및 S27의 변형예가 기재될 것이다.
도 24에 예시된 바와 같이 그리고 단계 S126과 마찬가지로, 통신 단말기(3')의 송신기-수신기(31)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5')에 ID(여기에서는 단말기 ID)를 인증하라는 요청을 송신한다(단계 S226). 인증 요청은 통신 단말기(3')의 단말기 ID, 단계 S25에서 수락되는 패스워드, 및 선택된 인증 시스템의 URL을 포함한다. 송신기-수신기(31)는 또한 단말기의 IP 어드레스를 송신한다. 따라서, 서비스 제공 시스템(5')의 송신기-수신기(51)는 IP를 인증하라는 요청 및 통신 단말기(3')의 IP 어드레스를 수신한다.
송신기-수신기(51)는 인증 시스템(7')에 ID(여기에서는, 단말기 ID)를 인증하라는 요청을 송신한다(단계 S227). ID를 인증하라는 요청은, 단계 S25에서 수락되는 단말기 ID 및 패스워드, 및 단계 S226에서 수신되는 단말기의 IP 어드레스를 포함한다. 따라서, 인증 시스템(7')의 송신기-수신기(71)는 ID를 인증하라는 요청을 수신한다.
인증 시스템(7')의 지정 유닛(77)은 단말기 ID에서 사용자 ID(인증될 부분)를 지정한다(단계 S228). 그 다음, 도 11에 예시된 S28 이후의 프로세스 또는 동작이 수행될 것이다.
도 13의 단계 S42에서와 같이 인증 시스템(7')의 송신기-수신기(71)가 통신 단말기(3')에 ID를 인증한 결과를 송신할 경우, 단계 S227에서 수신된 단말기의 IP 어드레스가 어드레스로서 사용된다.
상기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변형예 2에 따르면, 실시예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가 달성된다.
1 서비스 통신 시스템
3 통신 단말기
3a 통신 단말기
3b 통신 단말기
3c 통신 단말기
5a 서비스 제공 시스템
5b 서비스 제공 시스템
7a 인증 시스템
7b 인증 시스템
7c 인증 시스템
9 통신 네트워크
10 촬영 디바이스
31 송신기-수신기
32 수락 유닛
33 디스플레이 컨트롤러
37 지정 유닛
38 단거리 통신 유닛
39 저장-판독 유닛
51 송신기-수신기(예시적인 수신기, 예시적인 송신기)
52 인증 유닛
53 서치 유닛(예시적인 서치 유닛)
54 결정 유닛(예시적인 결정 유닛)
55 삭제 유닛(예시적인 삭제 유닛)
59 저장-판독 유닛
71 송신기-수신기
72 인증 유닛
77 지정 유닛
5000 저장 유닛
5001 모드 관리 DB(예시적인 관리 유닛)
7001 인증 관리 DB

Claims (14)

  1. 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통신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로그인 요청에 따라, 주어진 통신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해 주어진 단말기 식별 정보를 관리하도록 구성된 관리 유닛으로서, 상기 주어진 단말기 식별 정보는 상기 주어진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데에 사용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상기 관리 유닛;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제2 단말기와 통신을 시작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도록 구성된 수신기; 및
    상기 통신을 시작하라는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관리 유닛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할 경우,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시작하라는 요청을 송신하도록 구성된 송신기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시작하라는 요청을 송신하지 않는 것인, 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통신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닛은,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 결정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송신기는, 상기 결정 유닛에 의한 결정 결과에 따라, 상기 통신을 시작하라는 요청을 송신하거나 상기 통신을 시작하라는 요청을 송신하지 않는 것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관리 유닛에서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가 관리되고 있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관리 유닛에서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가 관리되고 있지 않다고 상기 결정 유닛이 결정할 경우, 상기 송신기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시작하라는 요청을 송신하지 않는 것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닛은, 상기 주어진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주어진 통신 단말기가 온라인 또는 오프라인 통신 모드에 있음을 나타내는 통신 모드 정보를 서로 연관시켜 관리하고,
    상기 관리 유닛에서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통신 모드 정보가 온라인 통신 모드에 있다고 상기 결정 유닛이 결정할 경우,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관리 유닛에서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된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상기 통신 모드 정보가 오프라인 통신 모드에 있다고 상기 결정 유닛이 결정할 경우, 상기 결정 유닛은,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결정하지 않는 것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로그인 요청 및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다른 단말기 식별 정보 세트와 연관된 통신 모드 정보 세트 중에 온라인 통신 모드를 나타내는 통신 모드 정보 세트의 수에 대하여 상기 관리 유닛을 서치(search)하는 서치 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서치 유닛에 의한 서치의 결과로서 상기 온라인 통신 모드를 나타내는 통신 모드 정보 세트의 수가 주어진 수보다 더 작을 경우, 상기 관리 유닛은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온라인 통신 모드를 나타내는 통신 모드 정보를 서로 연관시켜 관리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서치 유닛에 의한 서치의 결과로서 상기 온라인 통신 모드를 나타내는 통신 모드 정보 세트의 수가 상기 주어진 수 이상일 경우, 상기 관리 유닛은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 및 상기 오프라인 통신 모드를 나타내는 통신 모드 정보를 서로 연관시켜 관리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기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로그아웃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수신기에 의한 상기 로그아웃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관리 유닛에서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기록(record)을 삭제하도록 구성된 삭제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닛에서 상기 삭제된 기록에서의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또 다른 단말기 식별 정보 세트와 연관된 통신 모드 정보가 오프라인 통신 모드를 나타낼 경우, 상기 관리 유닛은 상기 통신 모드 정보를 오프라인 통신 모드로부터 온라인 통신 모드로 변경하고 상기 통신 모드 정보를 관리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관리 유닛에서 상기 삭제된 기록에서의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다른 단말기 식별 정보 세트와 연관된 통신 모드 정보 세트가 오프라인 통신 모드를 나타내는 다른 통신 단말기가 복수개 존재할 경우, 상기 관리 유닛은, 상기 다른 통신 단말기의 상기 통신 모드 정보 세트가 상기 수신기에 의해 수신되는 오름차순에 따라 상기 통신 모드 정보 세트를 온라인 통신 모드로 변경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단일 컴퓨터 또는 복수의 컴퓨터에 의해 구축되는 것인, 서비스 제공 시스템.
  11. 서비스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서비스 제공 시스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및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를 포함하는 서비스 통신 시스템.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단말기 또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 정보 처리 단말기, 사무용 기기, 가정용 전자 제품, 전자 부품, 또는 의료 기기인 것인, 서비스 통신 시스템.
  13. 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로그인 요청에 따라, 주어진 통신 단말기를 식별하기 위해 주어진 단말기 식별 정보를 관리하는 관리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주어진 단말기 식별 정보는 상기 주어진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하는 데에 사용되는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제1 통신 단말기로부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는 제2 단말기와 통신을 시작하라는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통신을 시작하라는 요청의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관리 유닛에 의해 관리되고 있는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할 경우,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시작하라는 요청을 송신하는 단계를 실행하고,
    상기 제2 단말기 식별 정보가 상기 제1 단말기 식별 정보에 포함된 사용자 식별 정보와 동일한 사용자 식별 정보를 포함하지 않을 경우, 상기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와 통신을 시작하라는 요청을 송신하지 않는 프로세스를 포함하는 것인, 통신 단말기의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통신 단말기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의해 실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14.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에 있어서,
    컴퓨터로 하여금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각각의 유닛으로서 기능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97000646A 2016-07-15 2017-07-10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비스 통신 시스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KR2019001555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140782 2016-07-15
JP2016140782A JP6688485B2 (ja) 2016-07-15 2016-07-15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授受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PCT/JP2017/025077 WO2018012444A1 (en) 2016-07-15 2017-07-10 Service providing system, service communicating system,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555A true KR20190015555A (ko) 2019-02-13

Family

ID=59388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646A KR20190015555A (ko) 2016-07-15 2017-07-10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비스 통신 시스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0834595B2 (ko)
EP (1) EP3485623A1 (ko)
JP (1) JP6688485B2 (ko)
KR (1) KR20190015555A (ko)
CN (1) CN109479054B (ko)
WO (1) WO201801244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30311382A1 (en) * 2012-05-21 2013-11-21 Klaus S. Fosmark Obtaining information for a payment transaction
CN109658683B (zh) * 2017-10-12 2022-06-10 北京嘀嘀无限科技发展有限公司 交通服务类型选择方法及装置
GB2587799B (en) 2019-09-25 2023-10-25 Trw Ltd A Gearbox assembly and worm shaft assembly therefore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017600D0 (en) * 1990-08-10 1990-09-26 British Aerospace An assembly and method for binary tree-searched vector quanisation data compression processing
EP1780654A4 (en) * 2004-07-21 2008-12-24 Sony Corp COMMUNICATION SYSTEM, CONTENT PROCESSING DEVICE, COMMUNICA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US8561147B2 (en) * 2005-04-19 2013-10-15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of remote access to a local network
JP2007006248A (ja) 2005-06-24 2007-01-11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リモートアクセス方法、およびリモートアクセスシステム
US20100121954A1 (en) * 2008-11-13 2010-05-13 Zheng Yang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Using User ID-Based Domain Name
JP5999873B2 (ja) 2010-02-24 2016-09-28 株式会社リコー 伝送システム、伝送方法、及びプログラム
GB2487090A (en) * 2011-01-10 2012-07-11 Nec Corp Obtaining user consent for provision of location related data in association with measurement of communication conditions
JP6076248B2 (ja) * 2011-05-20 2017-02-08 日本放送協会 放送通信連携システム、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サーバー、および、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サーバーにおけるアプリケーション管理方法
JP6079174B2 (ja) 2011-12-27 2017-02-15 株式会社リコー 通信管理システム、通信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メンテナンスシステム
JP6136174B2 (ja) * 2012-10-05 2017-05-31 株式会社リコー 通信システム及び通信方法
EP2750325A3 (en) 2012-12-28 2016-05-11 Ricoh Company, Ltd.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recording medium storing communication control program
JPWO2014132303A1 (ja) * 2013-02-27 2017-02-02 日本電気株式会社 通信システム、通信装置、通信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50120348A (ko) * 2013-02-28 2015-10-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근접 서비스 제공을 위한 그룹 통신 방법 및 장치
WO2014158222A1 (en) 2013-03-29 2014-10-02 Citrix Systems, Inc. Data management for an application with multiple operation modes
EP2979416B1 (en) 2013-03-29 2019-06-19 Citrix Systems, Inc. Data management for an application with multiple operation modes
CN104284298B (zh) * 2013-07-08 2018-07-20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一种群组通信中的资源控制方法及组通信服务器
JP6318553B2 (ja) 2013-11-06 2018-05-09 株式会社リコー 管理装置、伝送端末、伝送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伝送方法
JP6398343B2 (ja) * 2014-03-31 2018-10-03 株式会社リコー 通信管理システム、通信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75682B2 (ja) * 2014-04-30 2018-08-22 株式会社リコー 通信管理システム、通信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361268B2 (ja) 2014-04-30 2018-07-25 株式会社リコー 通信管理システム、通信管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409438B2 (ja) 2014-09-19 2018-10-24 株式会社リコー セッション制御システム、通信端末、通信システム、セッション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432623B2 (en) 2014-09-24 2016-08-30 Ricoh Company, Ltd. Communication terminal, display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US10163138B2 (en) 2014-09-29 2018-12-25 Ricoh Company, Ltd. Communication management system,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medium
CN105530682B (zh) * 2014-09-30 2019-06-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终端接入方法及相关设备
US10425418B2 (en) 2014-10-07 2019-09-24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mmunications method, and system
JP6593008B2 (ja) * 2014-10-07 2019-10-23 株式会社リコー 情報処理装置、通信方法、プログラム、システム
JP6465118B2 (ja) * 2014-11-26 2019-02-06 株式会社リコー 制御システム、通信端末、制御装置、通信システム、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557976B2 (ja) * 2015-01-09 2019-08-14 株式会社リコー 伝送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伝送方法、プログラム
WO2016132011A1 (en) * 2015-02-16 2016-08-25 Nokia Technologies Oy Service discovery
US9832184B2 (en) * 2015-12-15 2017-11-28 Bank Of America Corporation Controls and administration of privileged accounts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479054B (zh) 2022-01-11
JP6688485B2 (ja) 2020-04-28
CN109479054A (zh) 2019-03-15
WO2018012444A1 (en) 2018-01-18
US10834595B2 (en) 2020-11-10
JP2018011275A (ja) 2018-01-18
US20190166499A1 (en) 2019-05-30
EP3485623A1 (en) 2019-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43603A1 (en) Wireless network access method, apparatus, device, equipment and system
CN109905318B (zh) 设备控制方法、装置及存储介质
CN108833607B (zh) 物理地址获取方法、装置及可读介质
US11025603B2 (en) Service providing system, service delivery system,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CN110826103A (zh) 基于区块链的文档权限处理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09479054B (zh) 服务提供系统、服务通信系统、服务提供方法和记录介质
US11128623B2 (en) Service providing system, service delivery system,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US11076010B2 (en) Service providing system, service delivery system, service providing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CN111198922B (zh) 基于区块链的游戏资源管理方法及装置
WO2017094774A1 (ja) 制御システム、通信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638808B2 (ja)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サービス授受システム、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79416B2 (ja) 仲介端末、通信システム、入力システム、仲介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053955A (ja) 方法、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認証サーバ、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CN112905986A (zh) 权限认证方法、装置、系统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13328970A (zh) 接入电子设备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