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928A -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 - Google Patents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928A
KR20190058928A KR1020170156358A KR20170156358A KR20190058928A KR 20190058928 A KR20190058928 A KR 20190058928A KR 1020170156358 A KR1020170156358 A KR 1020170156358A KR 20170156358 A KR20170156358 A KR 20170156358A KR 20190058928 A KR20190058928 A KR 201900589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umper
vehicle bumper
fixing
round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6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1731B1 (ko
Inventor
황성일
Original Assignee
황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일 filed Critical 황성일
Priority to KR10201701563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731B1/ko
Publication of KR201900589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9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7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7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6Chambers, containers, or receptacles
    • F26B25/14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 F26B25/18Chambers, containers, receptacles of simple construction mainly open, e.g. dish, tray, pan, r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2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baking
    • B05D3/0254After-trea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범퍼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범퍼의 도장 후 열건조를 함에 있어서 자동차 범퍼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키며, 자동차의 범퍼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를 설명하면, 평행하게 이격 마련되는 한쌍의 환봉이 지면에 평행하게 마련되는 바디프레임부, 상기 환봉의 사이에 수직하게 마련되되, 상기 환봉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 마련되어, 상기 환봉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 지면에 평행하 바형태로 마련되되, 한쌍의 상기 지지프레임부로부터 연결 마련되는 고정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범퍼 거치대는, 환봉으로 형성된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자동차 범퍼와 접촉되는 부위가 최소화되어서 자동차 범퍼의 열건조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고, 자동차 범퍼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의 자동차 범퍼 거치대로 형성되어 자동차 범퍼의 도장과정 중 열처리 공정에서 범퍼의 변형을 방지 할 수 있고, 자동차 범퍼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게, 길이 및 절곡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된 자동차 범퍼 거치대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진 자동차 범퍼를 모두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Vehicle bumper holder for drying}
본 발명은 자동차 범퍼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 범퍼의 도장 후 열건조를 함에 있어서 자동차 범퍼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키며, 자동차의 범퍼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범퍼는 차체의 앞뒤에 설치하는 완충 부속장치로서, 주행 시에 사고가 나거나 다른 물체들에 부딪혀 긁히는 등의 크고 작은 흡집이 생기기 쉽다. 이러한 이유로 사람들이 자동차 범퍼를 수리하거나 교체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면서 자동차 범퍼를 도장하는 일도 많이 발생한다. 자동차 범퍼를 도장할 때에는 도료 도포 후 열건조 과정을 거치는데, 이 때 열이 자동차 범퍼에 잘 전달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생겨 자동차 범퍼의 건조가 잘 되지 않는 부분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으며 강한 열에 의해 자동차 범퍼의 형태가 변형될 수 도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일본 공개 특허 제 2002-292320 '개구부의 보조 마스킹 부재'는, 육면체 형상의 환봉 프레임 구조로서 상기 환봉 프레임 상부에 자동차 범퍼를 올려둔 채 열건조를 과정을 거치면서 열전달이 용이하게 되도록 구성된 기술이다.
하지만 상기 선행 기술의 경우, 관통된 부분을 통해 열의 순환이 잘 되도록 구성되어 자동차 범퍼에 열 전달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지만, 자동차 범퍼의 형태를 잡아줄 수 없기 때문에 자동차 범퍼를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없으며, 자동차 범퍼의 변형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선행 기술의 다양한 문제점을 극복하여, 자동차 범퍼와 접촉되는 부위를 최소화되게 하여 자동차 범퍼 도장 후 열건조 처리 시에 열건조 효율이 증대되도록 자동차 범퍼를 거치 시키며, 자동차 범퍼를 열 건조 할 때 자동차 범퍼 형태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자동차 범퍼 건조용 거치대의 개발 및 상용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JP 2002-292320 A
본 발명은 상기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 범퍼와 접촉되는 부위가 최소화되어서 자동차 범퍼의 열건조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자동차 범퍼의 도장과정 중 열처리 공정에서 범퍼의 변형을 방지 할 수 있는 자동차 범퍼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진 자동차 범퍼를 모두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는 자동차 범퍼 거치대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를 설명하면, 평행하게 이격 마련되는 한쌍의 환봉이 지면에 평행하게 마련되는 바디프레임부, 상기 환봉의 사이에 수직하게 마련되되, 상기 환봉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 마련되어, 상기 환봉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 지면에 평행하 바형태로 마련되되, 한쌍의 상기 지지프레임부로부터 연결 마련되는 고정프레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범퍼 거치대는,
1) 환봉으로 형성된 프레임으로 형성되어 자동차 범퍼와 접촉되는 부위가 최소화되어서 자동차 범퍼의 열건조 효율을 극대화 할 수 있는 것이다.
2) 자동차 범퍼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태의 자동차 범퍼 거치대로 형성되어 자동차 범퍼의 도장과정 중 열처리 공정에서 범퍼의 변형을 방지 할 수 있는 것이다.
3) 자동차 범퍼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게, 길이 및 절곡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형성된 자동차 범퍼 거치대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진 자동차 범퍼를 모두 간편하게 거치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범퍼 거치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부 형상을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부의 각도 변화를 표현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탄성부를 표현한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좌우 길이 변화를 표현한 정면도.
도 6는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 프레임의 결합도 및 분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각 도면의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를 설명하기에 앞서 방향 용어를 먼저 정의하고자 한다. 자동차 범퍼의 정면이 향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고 정의하고, 자동차 범퍼의 정면에서 좌우 방향의 양 면을 양 측면이라고 정의하겠다. 본 발명의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는 자동차 범퍼의 전방에 배치된다. 그리고 자동차 범퍼를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킨 후 자동차 범퍼의 열건조 처리 과정 등에서 용이하게 이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도 1은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를 설명하면, 평행하게 이격 마련되는 한쌍의 환봉이 지면에 평행하게 마련되는 바디프레임부(100), 상기 환봉의 사이에 수직하게 마련되되, 상기 환봉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 마련되어, 상기 환봉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200), 지면에 평행하 바형태로 마련되되, 한쌍의 상기 지지프레임부로부터 연결 마련되는 고정프레임부(3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는, 자동차 범퍼 도장 후 열건조 처리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각 구성들은 열에 잘 견딜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는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의 각 구성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상기 바디프레임부(100)는, 평행하게 이격 마련되는 한쌍의 환봉이 지면에 평행하게 마련된다.
상기 바디프레임부(100)는, 자동차 범퍼가 올려질 수 있도록 형성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프레임부(100)는, 정면부(110) 및 측면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정면부(110)는, 상기 환봉의 가운데 형성되어, 자동차 범퍼의 정면이 거치될 수 있게 마련된다.
다음으로, 상기 측면부(120)는, 상기 정면부의 양측에 마련되되, 후방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마련어, 자동차 범퍼의 좌우 방향 양 면이 거치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정면부(110)는 자동차 범퍼의 정면이 거치되게 하는 것으로, 좌우 방향으로 길게 배치되어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된 한 쌍의 환봉(111,112)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환봉(111,112)은 자동차 범퍼 정면의 형태와 대응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자면, 자동차 범퍼 정면의 곡면과 대응되는 곡선을 가진 환봉(111,11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측면부(120: 120a, 120b)는 자동차 범퍼의 좌우 방향 양 면이 거치되게 하는 것으로, 정면부(110)의 양 단에서 자동차 범퍼의 양 측면을 향하여 연장된 프레임을 의미한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한 쌍의 측면부(120: 120a, 120b)는 정면부(11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환봉(111,112) 양 단에서부터 후방으로 절곡되어 연장된다.
정면부(110)와 한쌍의 측면부(120: 120a, 12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바디프레임부(100)는 자동차 범퍼가 거치될 시에 자동차 범퍼의 무게를 지탱하지 못하여 형상이 변형되거나, 상하 방향보다 좌우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바디프레임부(100)의 형상이 뒤틀리는 등의 변형이 생길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자동차 범퍼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없는 문제점이 생길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프레임부(100)는, 탄성부(105)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105)는, 상기 바디프레임부(100)로부터 연장 마련되고, 상기 바디프레임부(100)의 정면을 향해 탄성력을 가지는 탄성부재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탄성부(105)는, 복수개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탄성부(105)는, 상기 바디프레임부(100)에 차량의 범퍼를 거치 시, 효과적으로 거치시키기 위한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차량의 범퍼를 상기 바디프레임부(100)에 거치 시, 제각각의 형태에 의해 모두 안정적으로 거치시키기 어려우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구성된다.
상기 탄성부(105)는, 상기 바디프레임부(100)로부터 정면을 향해 복수개 형성되고, 차량의 범퍼는 상기 탄성부(105)를 향해 내측면이 닿는 형태로 거치된다.
이때, 각기 다른 형태의 내측면을 형성하고 있는 차량의 범퍼는 복수개 형성되는 상기 탄성부(105)에 의해 지지되는 접점을 최대화 할 수 있어 안정적인 거치가 가능하다.
이때, 상기 탄성부(105)는, 길이조절부(106) 및 회동조절부(107)가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길이조절부(106)는, 상기 탄성부(105)의 일측에 제어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탄성부(105)의 길이를 제어할 수 있는 구성이다.
이를 통해, 차량 범퍼의 내측에 높낮이 차이가 큰 경우, 상기 탄성부(105)의 길이를 대략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차량 범퍼의 내측을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동조절부(107)는, 상기 탄성부(105)의 일측에 제어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탄성부(105)의 단부가 향하는 방향을 조절할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동조절부(107)는, 힌지로 구성되어, 상기 회동조절부(107)의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해, 기설정된 각도로 상기 탄성부(105)를 회동시킬 수 있다.
특히, 상기 회동조절부(107)는, 상기 바디프레임부(100)의 측면부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측면부(120)는, 선택적으로 상기 바디프레임부(100)의 후방으로 회동가능하게 구성되므로, 상기 측면부(120)가 회동 시, 상기 탄성부(105)의 단부가 향하는 방향을 상기 차량의 범퍼를 용이하게 받치기 위한 방향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상기 지지프레임부(200)는, 상기 환봉의 사이에 수직하게 마련되되, 상기 환봉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 마련되어, 상기 환봉을 지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바디프레임부(100)를 견고히 지지하기 위해, 지지프레임부(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프레임부(200)는, 상기 환봉의 사이에 수직하게 마련되되, 상기 환봉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 마련되어, 상기 환봉을 지지할 수 있게 마련된다.
상기 지지프레임부(200)는, 바디프레임부(100)의 형상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한 쌍으로 구성되며, 정면부(110)에서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고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또한 지지프레임부(200)은 자동차 조명등을 위치시키기 위해 빈자리로 마련해 둔 위치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지지프레임부(200)의 구성으로는 크게 상하지지봉(210), 제 1 지지부(220), 제 2 지지부(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지지프레임부(200)의 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하지지봉(210)은, 평행한 쌍으로 이격 마련되되, 상기 환봉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된다.
상기 상하지지봉(210: 210a, 210b)은 상기 지지프레임부(200)에서 기둥과 같은 기능을 한다.
상기 상하지지봉(210: 210a, 210b)은 상하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한 쌍의 봉 형태로, 정면부(110) 양단에서 후방으로 이격 배치되며 서로 좌우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상하지지봉(210: 210a, 210b)의 양 단에서 제 1 지지부(220: 221a, 222a, 221b, 222b)와 제 2 지지부(230: 231a, 232a, 231b, 232b)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지지부(220)는, 일단부가 상기 환봉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환봉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마련되어 상기 상하지지봉(210)에 연결되어 지지한다.
상기 제 2 지지부(230)는, 일단부가 상기 환봉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환봉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마련되어 상기 상하지지봉(210)에 연결되되, 일단부가 상기 제 1 지지부(220)로부터 이격 마련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된 상기 상하지지봉(210)을 좌측 상하지지봉(210a), 좌측 상하지지봉(210a)의 상단에서 형성된 제 1 지지부(220)를 좌측 상부 제 1 지지부(221a), 좌측 상하지지봉(210a)의 하단에서 형성된 제 1 지지부(220)를 좌측 하부 제 1 지지부(222a), 좌측 상하지지봉(210a)의 상단에서 형성된 제 2 지지부(230)를 좌측 상부 제 2 지지부(231a), 좌측 상하지지봉(210a)의 하단에서 형성된 제 2 지지부(230)를 좌측 하부 제 2 지지부(232a)로 정의하고, 우측에 형성된 상하지지봉(210)을 우측 상하지지봉(210b), 우측 상하 지지부(210b)의 상단에서 형성된 제 1 지지부(220)를 우측 상부 제 1 지지부(221b), 우측 상하 지지부(210b)의 하단에서 형성된 제 1 지지부(220)를 우측 하부 제 1 지지부(222b), 우측 상하지지봉(210b)의 상단에서 형성된 제 2 지지부(230)를 우측 상부 제 2 지지부(231b), 우측 상하지지봉(210b)의 하단에서 형성된 제 2 지지부(230)를 우측 하부 제 2 지지부(232b)로 정의한다.
상기 제 1 지지부(220)는 각 상하지지봉(210) 마다 한 쌍으로 형성되며, 상하지지봉(210)의 양 단에서 한 쌍의 환봉(111,112)을 향하여 연장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봉을 의미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된 상기 제 1 지지부(220)를 설명하면, 좌측 상부 제 1 지지부(221a)는 좌측 상하지지봉(210a)의 상단에서 정면부(120)를 구성하는 한 쌍의 환봉(111, 112) 중 상부에 배치되는 환봉(111)을 향하여 연장되어 결합되고, 좌측 하부 제 1 지지부(222a)는 좌측 상하지지봉(210a)의 하단에서 정면부의 하부에 배치되는 환봉(112)을 향하여 연장되어 결합된다. 우측에 형성된 한 쌍의 제 1 지지부(221b, 222b) 또한 좌측에 형성된 제 1 지지부(221a, 222a)와 대칭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제 2 지지부(230)에 대해 설명하면, 제 2 지지부(230)는 각 상하지지봉(210) 마다 한 쌍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하지지봉(210)의 양 단에서 한 쌍의 측면부 각각을 향하여 연장되어 결합되는 한 쌍의 봉을 의미한다.
도 1을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된 제 2 지지부(230)를 설명하면, 좌측 상부 제 2 지지부(231a)는 좌측 상하지지봉(210a)의 상단에서 측면부의 상단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어 결합되고, 좌측 하부 제 2 지지부(232a)는 좌측 상하지지봉(210a)의 하단에서 측면부의 하단 프레임을 향하여 연장되어 결합된다.
그리고 우측에 형성된 제 2 지지부(231b, 232b) 또한 좌측에 형성된 제 2 지지부(231a, 232a)와 대칭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 2 지지부(230)는 상기 상하지지봉 양 단에서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측면부로 연장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지지프레임부(200)는 한 쌍의 상하지지봉(210: 210a, 210b)중 각각을 기준으로, 한 쌍의 제 1 지지부(220)와 제 2 지지부(230)에 의해 상기 바디프레임부(100)의 상단과 하단이 견고히 지지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지지부(220)와 제 2 지지부(230)는 한 쌍으로 구성되는 것 이외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상기 고정프레임부(300)는, 지면에 평행하 바형태로 마련되되, 한쌍의 상기 지지프레임부(200)로부터 연결 마련된다.
상기 고정프레임부(300)의 구성은 크게 고정바(310)와 고정핀(3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고정바(310)와 고정핀(320)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상기 고정바(310)는 바디프레임부(100)에 올려지는 자동차 범퍼가 걸릴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바(310)는 상기 고정핀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고정바(310)는 좌우 방향으로 연장된 봉 형태로, 한 쌍의 상기 상하지지봉(210)을 좌우 방향으로 연결하여 한 쌍의 상하지지봉(210)에 양 단이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바(310)의 후방면에는 자동차 범퍼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핀(320)이 형성되며 고정핀(320)이 후방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상기 고정핀(320)은 고정바(310)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자동차 범퍼에 고정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상기 고정바(31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었지만, 고정바(310)의 형태는 원통형 봉, 직육면체형 봉, 판형 부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측면부(120)의 형상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측면부(120: 120a, 120b)를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측면부(120: 120a, 120b)의 형상을 알아보기 쉽게 설명하기 위해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한 쌍의 측면부(120: 120a, 120b)는 자동차 범퍼의 정면에 비해 자동차 범퍼 좌우 방향의 양면이 넓은 면적으로 형성되는 경우와 자동차 범퍼 열처리 과정에서 열 변형이 되는 것에 제한하기 위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서로 상하 방향으로 이격되는 거리가 후방으로 갈수록 증가하게 배치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정면부(110)를 기준으로 좌측에 형성된 측면부(120a)는 좌측으로 연장될수록 상하 방향의 이격 거리가 증가되고, 정면부(110)를 기준으로 우측에 형성된 측면부(120b)는 우측으로 연장될수록 상하 방향의 이격 거리가 증가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측면부(120: 120a, 120b)는 자동차 범퍼의 좌우 방향 양 면을 안정적으로 거치시킬 수 있다.
도 3은 한 쌍의 측면부(120)가 각도 조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설명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도 3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바디프레임부(100)을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바디프레임부(100)은 차종에 따라 자동차 범퍼의 형상이 상이할 수 있는데, 자동차 범퍼의 형상에 제약을 최소화하며 자동차 범퍼를 안정적으로 거치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정면부(110)와 한 쌍의 측면부(120: 120a, 120b) 간의 절곡된 각도에 변화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정면부(110)와 측면부(120: 120a, 120b)가 서로 회동이 가능하게 힌지(130: 130a, 130b, 130c, 130d)로 결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힌지(130: 130a, 130b, 130c, 130d)가 설치되는 위치는 정면부(110)의 양 단으로, 정면부(110)와 측면부(120: 120a, 120b)가 절곡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는 정면부(110)의 좌우 방향 길이와 고정바(310)의 좌우 방향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정면부(110)와 고정바(310)가 좌우로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설명한 것으로, 이하에서는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겠다.
한 쌍의 환봉(111, 112)은 정면부(110)를 구성하는 것으로, 제 1 환파이프(111a,112a)와 제 2 환파이프(111b,112b)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환파이프(111a,112a)는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환파이프(111b,112b)는 제 1 환파이프(111a,112a)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제 1 환파이프(111a,112a)의 중공인 내부로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환봉(111, 112)의 좌우 방향 길이가 조절되면 고정바(310)의 좌우 방향 길이 또한 조절 가능하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고정바(310)는 제 1 고정파이프(310a)와 제 2 고정파이프(310b)로 구성될 수 있다. 제 1 고정파이프(310a)는 중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 고정파이프(310b)는 제 1 고정파이프(310a)보다 직경이 작게 형성되어 제 1 고정파이프(310a)의 중공인 내부로 제 2 고정파이프(310b)가 삽입되어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설치 될 수 있다.
환봉(111, 112)과 고정바(310)의 좌우 길이가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되면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는 다양한 크기과 형상의 자동차 범퍼를 거치시킬 수 있다.
도 5는 고정프레임부(300)의 고정핀(320)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로, 이하에서는 도 5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핀(320)을 설명하겠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핀(320)은 제1 고정부재(321)와 제2 고정부재(322)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321)는 고정바(310)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부재이고, 제2 고정부재(322)는 제1 고정부재(321)의 후방 단부에서 하측으로 연장되는 부재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핀(320)은 제2 고정부재(322)를 추가하여 형성하여 자동차 범퍼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은 고정핀(320)이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을 나타낸 결합도 및 분해도이다.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고정프레임부(300)을 설명하겠다.
고정프레임부(300)은 고정핀(320)이 고정바(310)에서 좌우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핀(320)이 좌우로 이동되면서 자동차 범퍼의 형상에 따라 고정핀(320)이 자동차 범퍼를 고정시키기 위해 위치되는 지점이 변화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서, 고정프레임부(300)은 고정 나사(330)를 추가로 구성할 수 있다. 또한 고정바(310)는 후방면에 좌우 방향으로 길게 함몰된 슬릿(311)이 형성될 수 있고 고정핀(320)은 고정 나사(330)가 나사결합될 천공(321a)을 추가로 형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고정핀(320)의 상부에 전후 방향으로 천공을 형성하여 고정 나사(330)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 나사(330)는 천공(321a)에 결합되되 단부가 천공(321a)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로 구성되어야 한다. 고정 나사(330)가 천공(321a)에 결합되고, 외부로 돌출된 단부는 슬릿(311)의 내면에 밀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핀(320)과 고정바(310)는 고정 나사(3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면 필요에 따라 슬릿(311)을 따라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는 자동차 범퍼를 열건조 과정에 사용하는 것 이외에도 자동차 범퍼 도장 과정에서 사용되거나 자동차 범퍼를 보관할 때 사용되는 등 다양하게 이용될 수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의 구성 및 작용을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표현하였지만 이는 예를 들어 설명한 것에 불과하여 본 발명의 사상이 상기 설명 및 도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바디프레임부
105 : 탄성부
106 : 길이조절부
107 : 회동조절부
110: 정면부
111: 상부 환봉
112: 하부 환봉
111a, 112b: 제 1 환파이프
111b, 112b: 제 2 환파이프
120: 측면부
120a: 좌측 측면부
120b: 우측 측면부
130a, 130b,130c 130d: 힌지
200: 지지프레임부
210: 상하지지봉
210a: 좌측 상하지지봉
210b: 우측 상하지지봉
220: 제 1 지지부
221a: 좌측 상부 제 1 지지부
222a: 좌측 하부 제 1 지지부
221b: 우측 상부 제 1 지지부
222b: 우측 하부 제 1 지지부
230: 제 2 지지부
231a: 좌측 상부 제 2 지지부
232a: 좌측 하부 제 2 지지부
231b: 우측 상부 제 2 지지부
232b: 우측 하부 제 2 지지부
300: 고정프레임부
310: 고정바
310a: 제 1 고정파이프
310b: 제 2 고정파이프
311: 슬릿
320: 고정핀
321: 제1 고정부재
321a: 천공
322: 제2 고정부재
330: 고정 나사

Claims (7)

  1. 평행하게 이격 마련되는 한쌍의 환봉이 지면에 평행하게 마련되는 바디프레임부;
    상기 환봉의 사이에 수직하게 마련되되, 상기 환봉의 중심을 기준으로 양측에 이격 마련되어, 상기 환봉을 지지하는 지지프레임부;
    지면에 평행하 바형태로 마련되되, 한쌍의 상기 지지프레임부로부터 연결 마련되는 고정프레임부;을 포함하고,
    상기 바디프레임부는,
    정면을 향해 탄성력을 형성하는 탄성부;가 복수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부는,
    상기 환봉의 가운데 형성되는 정면부; 및
    상기 정면부의 양측에 마련되되, 후방으로 힌지 회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측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는,
    선택적으로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는 길이조절부; 및
    선택적으로 힌지 회동 및 고정을 통해 상기 단부가 향하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회동조절부;가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측면부는, 외측방향으로 향할수록 상기 환봉 사이의 거리가 넓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프레임부는,
    평행한 쌍으로 이격 마련되되, 상기 환봉에 수직한 방향으로 마련되는 상하지지봉;
    일단부가 상기 환봉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환봉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마련되어 상기 상하지지봉에 연결되어 지지하는 제 1 지지부;
    일단부가 상기 환봉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환봉으로부터 후방으로 연장 마련되어 상기 상하지지봉에 연결되되, 일단부가 상기 제 1 지지부로부터 이격 마련되는 제 2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프레임부는,
    일측으로 돌출 형성되어, 차량 범퍼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는 고정핀;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프레임부는,
    수직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마련되는 제 1 환파이프; 및
    수직 중심을 기준으로 타측에 마련되는 제 2 환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환파이프는, 상기 제 1 환파이프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환파이프 내부로 수용 가능하게 마련되고,
    상기 고정프레임부는,
    수직 중심을 기준으로 일측에 마련되는 제 1 고정파이프; 및
    수직 중심을 기준으로 타측에 마련되는 제 2 고정파이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고정파이프는, 상기 제 1 고정파이프보다 작은 직경으로 마련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 1 고정파이프 내부로 수용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범퍼를 위한 거치대.
KR1020170156358A 2017-11-22 2017-11-22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 KR1020017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358A KR102001731B1 (ko) 2017-11-22 2017-11-22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6358A KR102001731B1 (ko) 2017-11-22 2017-11-22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928A true KR20190058928A (ko) 2019-05-30
KR102001731B1 KR102001731B1 (ko) 2019-07-18

Family

ID=666757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6358A KR102001731B1 (ko) 2017-11-22 2017-11-22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73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40548A (zh) * 2022-09-26 2022-12-30 文安县振宇木业有限公司 一种木板用干燥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510A (ko) * 1996-08-30 1998-06-05 양재신 범퍼 도장용 컨베이어 대차의 어태치먼트
JP2002292320A (ja) 2001-03-30 2002-10-08 Daihatsu Motor Co Ltd 開口部の補助マスキング部材
JP2003103206A (ja) * 2001-09-28 2003-04-08 Honda Motor Co Ltd 樹脂製バンパ用塗装治具、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部品の塗装方法
JP2011183914A (ja) * 2010-03-08 2011-09-22 Toyota Auto Body Co Ltd バンパー用塗装冶具
KR20140121112A (ko) * 2013-04-05 2014-10-15 이상모 범퍼 도장용 지그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7510A (ko) * 1996-08-30 1998-06-05 양재신 범퍼 도장용 컨베이어 대차의 어태치먼트
JP2002292320A (ja) 2001-03-30 2002-10-08 Daihatsu Motor Co Ltd 開口部の補助マスキング部材
JP2003103206A (ja) * 2001-09-28 2003-04-08 Honda Motor Co Ltd 樹脂製バンパ用塗装治具、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部品の塗装方法
JP2011183914A (ja) * 2010-03-08 2011-09-22 Toyota Auto Body Co Ltd バンパー用塗装冶具
KR20140121112A (ko) * 2013-04-05 2014-10-15 이상모 범퍼 도장용 지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540548A (zh) * 2022-09-26 2022-12-30 文安县振宇木业有限公司 一种木板用干燥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731B1 (ko)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112012B1 (en) Vehicular radiator supporting apparatus
US5707450A (en) Apparatus for holding a vehicle body part
ES2531733T3 (es) Bastidor
US20070022950A1 (en) Autocycle universal stand
KR102001731B1 (ko) 차량 범퍼 건조를 위한 거치대
US11760429B2 (en) Adjustable spare tire carrier
JP6293783B2 (ja) 自動車のクレードルのための連結装置
KR20140056293A (ko) 스프링용 홀더
CA2894165A1 (en) Wheel lift
CN111601735B (zh) 一种用于在车辆中悬挂灯的装置
MXPA04011519A (es) Dispositivo para el enderezamiento de las laminas de superficie de un vehiculo.
CN110916350A (zh) 一种画板支架
US3778016A (en) Article mount
JP4551595B2 (ja) 樹脂製バンパ用塗装治具、およびそれを使用する部品の塗装方法
KR20180037383A (ko) 자동차 범퍼 거치대
EP0999905A1 (en) Vehicle repairing devices
US6018879A (en) Vehicular wheel alignment tool
US3895838A (en) Tailgate mount
CN211139234U (zh) 一种新能源汽车防撞保护杆
US4011626A (en) Means for positioning a longitudinal bearing
KR0177467B1 (ko) 범퍼 도장용 컨베이어 대차의 어태치먼트
AU2017100448A4 (en) the article to be painted
KR101842530B1 (ko) 사슬형 밴드, 각도 조절이 가능한 안내판 거치장치 및 이들을 이용한 지주용 안내판 설치장치
SU1110584A1 (ru) Стенд дл сборки пространственных рамных конструкций
CN213034434U (zh) 一种轻便型夹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