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8544A -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8544A
KR20190058544A KR1020197011303A KR20197011303A KR20190058544A KR 20190058544 A KR20190058544 A KR 20190058544A KR 1020197011303 A KR1020197011303 A KR 1020197011303A KR 20197011303 A KR20197011303 A KR 20197011303A KR 20190058544 A KR20190058544 A KR 201900585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paste
rough
image
insp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3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93051B1 (ko
Inventor
토모노리 하시다테
켄 미즈키
유우키 나카지마
Original Assignee
닛폰 스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폰 스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폰 스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585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85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30Fish eggs, e.g. caviar; Fish-egg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70Comminuted, e.g. emulsified, fish products; Processed products therefrom such as pastes, reformed or compressed produc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4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 B07C5/342Sorting according to other particular properties according to optical properties, e.g. colou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4Fluorescence; Phosphorescence
    • G01N21/6486Measuring fluorescence of biological material, e.g. DNA, RNA, cel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5Investigating moving fluids or granular soli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Zo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장치(10)는 어란 페이스트를 얇게 편 상태에서 이송하는 유로(70)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72)와, 유로 형성부(72)의 윗면(72a) 및 아랫면(72b)에 설치되어, 소정의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된 적어도 2개의 피촬상영역(56, 58)과, 적어도 2개의 피촬상영역(56, 58)을 촬상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촬상처리를 실시하는 적어도 2개의 촬상부(50, 60)와, 검사처리를 실시하는 검사부(40)와, 유로 형성부(72)의 이송방향(100)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제거처리를 실시하는 제거부(8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장치
본 발명은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란 가공품으로는 명란젓, 연어알젓, 연어알, 말린 청어알, 날치알, 캐비어, 대구알 등의 염지된 가공식품들이 정기적으로 섭취되고 있다. 염지된 명란젓은 명태의 난소를 소금에 절인 가공식이다. 원료란의 신선도, 성숙도, 크고 작음이 품질에 큰 영향을 미치며, 가장 신선한 것은 전체가 불투명한 핑크색이다. 성숙란(마코, 산란직전의 난소)은 난소가 정상으로 발달하여 불투명하며, 난소는 둥그스름한 모양을 띠고 폭신하고 부드러운 모양인 것이 상급품으로 알려졌다. 크고 작음의 구별은 많은 경우, 대중소의 3단계로 중량에 의해 구분되는데, 어장, 계절 등에 따라서 다소 차이가 있다. 품질은 연한 분홍색으로 광택이 있고, 알이 팽팽한 느낌이 있는 것, 알 입자가 파손되지 않은 것이 좋다. 수입품의 대부분은 냉동 어란이고, 이것은 명태의 난소를, 품질, 대소별 크기, 신선도 별로 분류해서 블록 형태로 동결한 것이다. 거의 국내의 가공 공장에서 염장처리되어 명란젓, 매운 명란젓, 명란젓 페이스트 등의 제품이 된다.
종래, 명란젓 페이스트 등의 어란 페이스트에 대해서, 이물질, 특히 고래회충 같은 기생충의 존재를 제거하기 위해 이물질의 제거작업이 실시되고 있다. 이러한 기생충은 냉동처리에 의해서 사멸하고 있으나 어란 페이스트 속의 이물질이 되기 때문에 제거작업이 필요하게 된다. 예를 들면, 고래회충 등의 몇 가지 기생충은 소정 파장의 가시광 또는 자외선을 조사했을 때 형광되는 특성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통상적으로 제거작업에서는 어란 페이스트에 자외선을 조사하면서 작업원에 의해 육안으로 판별과 해당 부분 제거가 실시된다.
그러나, 장시간 자외선을 보는 것은 인체에 바람직하지 않고, 또 눈으로 보는 것에 의해 판별할 수 있는 고래회충 같은 선충의 굵기는 작업원마다 다르지만 가느다란 것이어도 0.4mm~0.7mm정도이다.
또, 이물질의 제거방법에 대해서는 그물 모양의 쟁반 구조체(mesh-shaped tray structure)를 이용하는 방법(특허문헌 2 참조)등이 있다. 그러나, 고래회충 같은 선충은 어란의 크기와 거의 같은 굵기의 것이 존재하기 때문에, 그물을 통과하는 경우가 있어, 이 방법으로는 확실히 제거하는 것이 어렵다.
일본 특표평04-502962호 공보 일본 특개2014-68619호 공보
본 발명은 어란 페이스트의 이물질을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 중 적어도 일부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이하의 양태 또는 적용예로 실현할 수 있다.
[적용예 1]
본 적용예에 관한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은,
어란 페이스트를 이송하는 유로의 전체 폭에 걸쳐서 설치된 적어도 2개의 피촬상영역을 투과하여 어란 페이스트에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동시에, 상기 피촬상영역을 통과하는 어란 페이스트의 화상을 촬영(촬상)하는 촬상처리와,
상기 촬상처리에 의해 촬영된 화상에 근거하여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에 의해 형광하는 이물질의 유무를 판정하는 검사처리와,
상기 검사처리에 의해 이물질이 있다고 판정된 부분을 어란 페이스트로부터 제거하는 제거처리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상기 피촬상영역은 상기 유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용예 2]
상기 적용예에 관한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어란 페이스트에 사용되는 어란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피촬상영역에서의 상기 유로의 높이를 1.4mm~15mm 사이로 조정할 수 있다.
[적용예 3]
상기 적용예에 관한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피촬상영역에서의 상기 유로의 높이는, 어란 페이스트에 있어서의 어란 최대 직경을 초과하는 높이이고 또한 최소직경의 2배 미만으로 상기 유로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적용예 4]
상기 적용예에 관한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사처리는 선모양의 형상을 갖는 이물질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적용예 5]
상기 적용예에 관한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검사처리는 상기 유로에서의 어란 페이스트의 이송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하나 또는 복수의 피(被)검사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피검사영역마다 이물질의 유무를 판정하며,
상기 제거처리는 이물질이 있다고 판정된 피검사영역의 어란 페이스트를 제거할 수 있다.
[적용예 6]
본 적용예에 관한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장치는,
상기 적용예에 관한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에 이용하는 제조 장치로서,
어란 페이스트를 얇게 편 상태로 이송하는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와,
상기 유로 형성부의 윗면과 아랫면에 설치되어 소정의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상기 피촬상영역과,
적어도 2개의 피촬상영역을 촬상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촬상처리를 실시하는 적어도 2개의 촬상부와,
상기 검사처리를 실시하는 검사부와,
상기 유로 형성부에서의 상기 이송방향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거처리를 실시하는 제거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적용예 7]
본 적용예에 관한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장치는,
어란 페이스트를 얇게 편 상태로 이송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와,
상기 유로 형성부의 윗면과 아랫면에 설치되어 소정의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된 적어도 2개의 피촬상영역과,
적어도 2개의 상기 피촬상영역을 촬상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피촬상영역을 통과하는 어란 페이스트의 영상을 촬상하는 적어도 2개의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영상에 근거하여,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에 의해 형광하는 이물질의 유무를 판정하는 검사부와,
상기 유로 형성부의 이송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부에서 이물질이 있다고 판정된 부분을 어란 페이스트로부터 제거하는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어란 페이스트의 이물질을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제거하는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장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제 1 촬상부, 제 2 촬상부 및 제거부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제 1 촬상부, 제 2 촬상부 및 제거부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유로 및 제거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도 6은 촬상된 어란 페이스트 속의 고래회충을 나타내는 영상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도면을 이용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형태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성의 모든 것이 본 발명의 필수구성요건인 것은 아니다.
일실시형태에 관한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은, 어란 페이스트를 이송하는 유로의 전체 폭에 걸쳐서 설치된 적어도 2개의 피촬상영역을 투과하여 어란 페이스트에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동시에, 상기 피촬상영역을 통과하는 어란 페이스트의 영상을 촬상하는 촬상처리와, 상기 촬상처리에 의해 촬상된 영상에 근거하여,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에 의해 형광하는 이물질의 유무를 판정하는 검사처리와, 상기 검사처리에 의해 이물질이 있다고 판정된 부분을 어란 페이스트로부터 제거하는 제거처리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상기 피촬상영역은 상기 유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실시형태에 관한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장치는, 어란 페이스트를 얇게 편 상태로 이송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와, 상기 유로 형성부의 윗면과 아랫면에 설치되어 소정의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된 적어도 2개의 피촬상영역과 적어도 2개의 상기 피촬상영역을 촬상 가능한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피촬상영역을 통과하는 어란 페이스트의 영상을 촬상하는 적어도 2개의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영상에 근거하여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에 의해 형광하는 이물질의 유무를 판정하는 검사부와, 상기 유로 형성부에 있어서의 이송방향의 하류측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부에서 이물질이 있다고 판정된 부분을 어란 페이스트로부터 제거하는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1. 어란 페이스트
어란(생선알) 페이스트는 대구알 또는 명란 등의 어란 알 입자의 집합물이다. 어란 페이스트는 알 입자만이어도 좋고, 예를 들면 약간의 조미액이 포함되어 있어도 좋다. 어란 페이스트는 어란으로부터 난낭막(卵囊膜)을 제거하여 알 입자만으로 한 것으로, 어란이 대구알인 경우에는 연어알(barako) 또는 대구알 페이스트 등으로 불린다. 조미액이 포함되는 것으로는 파스타나 주먹밥용으로 양념된 어란 소스, 어란 페이스트로 불리는 것을 예로 들 수 있다.
어란 페이스트로 이용되는 어란류로는 대구알, 연어알, 연어알젓, 말린 청어알, 날치알, 상어알(캐비어)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대구알(pollock roe)의 성분은 수분 67%, 단백질 26%, 지방질 1.5%, 회분(灰分) 1.5% 등으로 이루어진다. 사용하는 원란(原卵)은 형태를 불문한다. 생대구알, 냉동 대구알, 염대구알, 냉동 염대구알 중 어느 형태여도 좋다. 연어알젓이 잘게 조각난 것이 이크라(roe of the salmon)이고, 생 이크라는 수분 53%, 단백질 25%, 지방 15%, 기타 성분 7%로 이루어지는 액상 조성물을 비교적 질긴 난막으로 둘러쌓여 이루어진 구체(球體)로, 어종에 따라 난소입자(卵巢粒), 색채와 광택이 다르다. 사용하는 연어알젓은 어종을 가리지 않는다. 홍연어는 난소의 형태가 편평하고 알 입자는 작으며 색채와 광택은 선홍색이다. 흰연어는 난소의 형태가 약간 둥글고 알입자는 크며 색채와 광택은 황적색이다. 곱사연어는 난소의 형태는 길쭉하고 알 입자 수가 적고 색채와 광택은 황적색이다. 은연어는 난소의 형태는 편평하고 홍연어와 비슷하며 알입자는 작고 색은 홍연어보다 약간 자주색 빛을 띠고 있다. 왕연어는 난소의 형태는 크고 알 입자는 흰연어와 마찬가지로 크다. 색은 약간 칙칙한 황적색이다. 원료 연어알젓은 형태를 불문한다. 생연어알젓, 냉동 생연어알젓, 염장 연어알젓, 냉동 염장 연어알젓 중 어느 형태여도 좋다. 연어알젓에서 이크라를 만들려면, 예를 들면 포화식염수로 3~5분 교반한 후에 소쿠리에 문질러 비벼서 이크라로 만든다.
2.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장치의 개요
도 1을 이용해서,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에 이용하는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장치(10)(이하, 간단히 "어란 페이스트 제조장치"라 한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어란 페이스트 제조장치(10)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과 같이, 어란 페이스트 제조장치(10)는, 원료인 어란 페이스트를 투입하는 투입부(20)와, 어란 페이스트에서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전처리부(30)와, 전처리된 어란 페이스트의 영상을 촬상하는 제 1 촬상부(50) 및 제 2 촬상부(60)와, 전처리된 어란 페이스트의 영상을 검사하는 검사부(40)와, 이물질을 제거하는 제거부(80)와,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제품)를 빼내는 제품 인출부(90)를 포함한다.
투입부(20)로부터 투입된 어란 페이스트는, 제 1 펌프(22)에 의해 전처리부 (30)에 접속된 제 1 관로(24)로 보내진다. 제 1 펌프(22)는 어란을 으깨지 않고 어란 페이스트를 이송하는 펌프이며, 예를 들면 모노 펌프(mohno pump) 등을 이용한다. 제 1 관로(24)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송된 어란 페이스트는 전처리부(30)에 보내진다.
전처리부(30)는, 스트레이너(32)와, 제 2 펌프(34)와, 제 2 관로(36)를 포함한다. 전처리부(30)에 보내진 어란 페이스트는 스트레이너(32)에서 이물질이 제거된다. 스트레이너(32)는 소정 크기의 어란이 통과 가능한 크기의 구멍을 다수 구비하여, 그 구멍을 통과한 어란 페이스트가 제 2 펌프(34)에 투입되어 그 구멍을 통과할 수 없는 이물질이 어란 페이스트 제조장치(10)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제 2 펌프(34)는 제 2 관로(36)로 어란 페이스트를 보내고, 제 2 관로(36)는 유로(70)에 접속된다. 제 2 펌프(34)는 제 1 펌프(22)와 같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 1 촬상부(50)및 제 2 촬상부(60)는, 제 2 관로(36)가 접속하는 유로(70)의 상하에 배치된다. 제 2 관로(36)로부터 유로(70)에 보내진 어란 페이스트는 유로(70)에서 얇게 펴져서 이송방향(100)으로 이송되어 제 1 촬상부(50)및 제 2 촬상부(60)에 의해 운송중인 어란 페이스트의 영상이 상하방향에서 촬상된다.
검사부(40)는 제 1 촬상부(50)및 제 2 촬상부(60)에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검사부(40)는 영상 처리부(42)와, 판정부(44)와, 표시부(46)와, 신호출력부(48)를 포함한다. 판정부(44)는 영상 처리부(42)에서 생성된 검사 영상에서의 이물질 유무를 판정한다. 판정부(44)에서 이물질이 있다고 판정되면, 신호출력부(48)는 제거부(80)에 불량품 신호를 출력한다.
제거부(80)는 불량품 신호를 수신하여 어란 페이스트를 제거부(80)에서 제거하는 지령을 출력하는 제거부용 제어부(86)를 포함한다. 제거부(80)는 판정부(44)에서 이물질이 없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어란 페이스트를 제품 인출부(90)로 인도하고, 이물질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제거부용 제어부(86)의 지령에 따라 이물질이 포함되는 어란 페이스트의 대상 범위를 어란 페이스트 제조장치(10) 밖으로 배출한다.
제품 인출부(90)는 판정부(44)에서 이물질이 없다고 판정된 어란 페이스트를 모아, 제품으로서 후공정 예를 들면 포장(봉지에 넣기) 등을 실시한다.
3. 제 1 촬상부 및 제 2 촬상부
도 1~도 4를 이용하여 제 1 촬상부(50), 제 2 촬상부(60) 및 제거부(80)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는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제 1 촬상부(50), 제 2 촬상부(60) 및 제거부(80)의 측면도이고, 도 3은 일부를 단면으로 나타내는 제 1 촬상부(50), 제 2 촬상부(60) 및 제거부(80)의 측면도이며, 도 4는 유로(70) 및 제거부(80)의 평면도이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어란 페이스트 제조장치(10)는 유로(70)의 상방에 배치되는 제 1 촬상부(50)와, 유로(70)의 하방에 배치되는 제 2 촬상부(60)를 포함한다. 적어도 2개의 촬상부(제 1 촬상부(50)및 제 2 촬상부(60))는 후술하는 적어도 2개 피촬상영역(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을 촬상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여 촬상처리를 수행한다. 2개의 촬상부(제 1 촬상부(50) 및 제 2 촬상부)에는 피촬상영역(제 1 피촬상영역(56)및 제 2 피촬상영역(58))을 통과하는 어란 페이스트의 화상을 촬상한다. 제 1 촬상부(50)는 제 1 조사부(52) 및 제 1 센서(54)를 포함하고, 제 2 촬상부(60)는 제 2 조사부(62) 및 제 2 센서(64)를 포함한다.
제 1 조사부(52) 및 제 2 조사부(62)는 어란 페이스트에 대해서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조사한다.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조사함으로써 이물질을 드러나게 하여 어란과 이물을 판별하기 위해서이다. 이물질을 드러나게 만드는 파장은 대상으로 하는 이물질에 따라 다르지만, 고래회충의 경우에는 가시광선인 380nm~450nm와 자외선인 315nm~380nm 파장을 조사하여 형광을 발하게 한다. 화상에 의해 판별하기 때문에(강한 형광을 발하기 쉬운) 자외선이 더 바람직하다. 제 1 조사부(52)는 유로(70)의 상방에 배치하고, 제 1 검사창(75)에 대해서 소정의 각도 예를 들면 45°로 소정의 광을 조사한다. 제 2 조사부(62)는 유로(70)의 하방에 배치하고, 제 2 검사창(76)에 대하여 소정의 각도 예를 들면 45°로 소정의 광을 조사한다.
제 1 센서(54) 및 제 2 센서(64)는 어란 페이스트 안의 고래회충을 촬상 가능한 것으로, 예를 들면 라인센서 카메라 또는 에어리어센서 카메라를 사용할 수 있다. 어란 페이스트를 얇게 편 상태에서 고속 이송하기 때문에, 처리 능력의 높이에서 라인센서 카메라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인센서 카메라는 CCD소자가 한줄로 늘어선 것을 채용할 수 있다. 제 1 센서(54) 및 제 2 센서(64)는 유로(70)의 폭(D) 전체에 대해서 촬상할 수 있다. 이는 검사 누락을 없앨 수 있기 때문이다. 제 1 센서 (54)는 제 1 조사부(52)로부터의 조사에 의해서 발광한 이물질이 제 1 피촬상영역(56)을 통과할 때 촬상한다. 제 2 센서(64)는 제 2 조사부(62)로부터의 조사에 의해서 발광한 이물질이 제 2 피촬상영역(58)을 통과할 때 촬상한다. 제 1 센서(54) 및 제 2 센서(64)는 제 1 조사부(52)및 제 2 조사부(62)의 광(光) 내, 이물질에 정반사된 빛을 놓아줘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광을 받는 확산반사방식으로 촬상한다. 이물질과 어란 표면의 확산반사의 차이에 의해 이물질을 검출하기 위해서이다.
4. 유로
도 1~도 4와 같이, 유로(70)는 어란 페이스트를 이송하는 영역이다. 유로 형성부(72)는 어란 페이스트를 얇게 편 상태에서 이송하는 유로(70)를 형성한다. 유로(70)는 유로 형성부(72)의 제 1 개구(73)와 유로 형성부(72)의 제 2 개구(74)의 사이에 형성된다. 제 1 개구(73)는 제 2 관로(36)의 일단에 접속하고, 제 2 개구(74)는 제거부(80) 측에 개구하며, 제 1 개구(73)로부터 제 2 개구(74)로 이송 방향(100)에 어란 페이스트를 이송한다.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에서의 유로(70)는 도 2에 나타내는 높이(H)를 가지며, 도 4에 나타내는 폭 (D)을 갖는다. 유로(70)는 제 1 개구(73)에서 폭(D)에 박막상으로 넓어지기 때문에 높이(H)는 폭(D)보다 작다.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은 유로 형성부(72)의 윗면(72a) 및 아랫면(72b)에 설치되어, 소정의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된다.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은 유로(70)의 폭(D)에 걸쳐서 형성된다. 2개의 피촬상영역을 설치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3개소 이상으로 해도 좋다. 유로 형성부(72)는 그 윗면(72a)에 제 1 검사창(75)과 아랫면(72b)에 제 2 검사창(76)을 포함한다. 제 1 검사창(75) 및 제 2 검사창(76) 중 적어도 일부를 제 1 촬상부(50) 및 제 2 촬상부(60)에 의해서 촬영하는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으로 하기 위해서이다. 제 1 검사창(75) 및 제 2 검사창(76)은 유로(70)의 폭(D)에 걸쳐서 형성된다. 본 실시형태의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은 후술하는 것처럼 라인센서를 채용하고 있으므로, 도 4에서 파선으로 나타내는 제 2 피촬상영역(58)과 같이 직선 형상이다.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은 유로(70)를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유로의 다른 면을 통과하는 이물질을 확실히 촬영하기 위해서이다. 종래와 같이 육안에 의한 수작업에서는 어란 페이스트를 위에서 보고 판단할 뿐이었기 때문에 어란의 아래에 있어서 보이지 않는 이물질을 발견하기가 어려웠지만, 유로(70)의 상하에서 이물을 검사함으로써 이물질을 보다 확실하게 발견할 수 있다.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은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다.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이 이송방향(100)에서의 완전히 같은 위치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도 좋고, 이송방향(100) 전후의 다른 위치에서 서로 대향하여 배치되어도 좋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유로 형성부(72)가 수평면 상에 얇게 넓어지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이 유로 형성부(72)의 윗면(72a) 및 아랫면(72b)에 있으면 좋다. 윗면(72a) 측을 통과하는 이물질도 아랫면(72b) 측을 통과하는 이물질도 촬상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고래회충 같은 선 형상의 이물질은 어란에 비해 길기 때문에, 이물질 중 적어도 일부가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나타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은 이송방향(100)에서의 가까운 위치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란 페이스트가 상하로 유동함으로써 이물질의 촬상 누락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또, 제 1 검사창(75) 및 제 2 검사창(76)은 이송방향(100) 전후의 다른 위치에 배치하고, 제 1 검사창(75) 및 제 2 검사창(76)을 투과한 광이 반사하는 유로 형성부(72)의 아랫면(72b) 측의 면 및 윗면(72a) 측의 면은 금속 광택을 가지는 금속판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로(70)을 통과하는 어란 페이스트 속의 기포가 금속판에서 반사되어 고휘도(헐레이션)로 되고, 고휘도 부분을 기포로서 화상 처리로 판별하여 이물질로 인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금속판 대신에 아크릴판 등의 광을 투과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그 경우에는 기포 부분을 광이 투과하는 것으로 저휘도(흑색) 부분을 기포로서 화상 처리로 판별하면 좋다.
제 1 검사창(75) 및 제 2 검사창(76)은 제 1 조사부(52) 및 제 2 조사부(62)에서 출사된 광을 투과하며 또한 이물질이 드러나게 하는 형광을 투과하는 재질이다. 제 1 검사창(75)및 제 2 검사창(76)은 유리 또는 아크릴 수지를 채용할 수 있다. 유로 형성부(72)가 금속제이기 때문에, 소정의 광을 투과하는 제 1 검사창(75) 및 제 2 검사창(76)을 설치했으나, 유로 형성부(72) 전체가 소정의 광을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으면, "창"을 설치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유로 형성부(72) 전체가 소정의 광을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제 1 검사창(75) 및 제 2 검사창(76)에는 제 1 촬상부(50) 및 제 2 촬상부(60)가 이물질을 촬상하는 영역을 가상적으로 "창"으로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유로 형성부(72)는 유로(70)의 폭을 형성하는 홈을 갖는 바닥부재(78)와, 바닥부재(78)의 홈 위를 덮는 뚜껑부재(77)를 포함한다. 도 4에서는 유로(70)의 폭(D)의 변화를 알 수 있도록 뚜껑부재(77)를 생략하여 나타내고 있다. 유로(70)는 제 1 개구(73)로부터 제 1 검사창(75) 및 제 2 검사창(76)의 앞에서 폭(D)이 되고, 제 2 개구(74)까지 같은 폭(D)을 유지한다. 제 1 검사창(75) 및 제 2 검사창(76)을 통과한 어란 페이스트가 유로(70)의 폭방향에서의 위치를 바꾸지 않고 제거부(80)까지 도달시키기 위해서이다.
유로 형성부(72)는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에서의 유로(70)의 높이(H)를 조절이 가능하다. 높이(H)를 조절하기 위한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뚜껑부재(77)와 바닥부재(78)의 사이에 스페이서를 넣는 방법이나, 홈의 깊이가 다른 복수의 바닥부재(78)를 교환하는 방법 등이 있다. 높이(H)는 검사 대상이 되는 어란 페이스트로 이용하는 어란의 종류에 따라서 1.4mm~15mm 사이로 조정할 수 있다. 어란의 종류에 따라서 어란의 알지름(알의 직경)이 다르기 때문에, 검사 효율 향상과 이물질 발견의 확실성의 향상 때문이다. 유로(70)의 높이가 1.4mm 미만에서는 식용 어란으로 이용되고 있는 비교적 작은 어란(대구알 등)에서도 순조롭게 통과시키기가 어렵다. 유로(7)의 높이를 1.4mm 이상으로 함으로써 유로(70)에서의 어란 페이스트의 유속을 실용적인 범위까지 올림으로써 검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식용 어란으로 이용되고 있는 비교적 큰 어란(연어알 등)에서도 유로(70)의 높이가 15mm 이하로 대응할 수 있다. 즉, 큰 연어알을 이용해도 어란 페이스트의 유속을 실용적인 범위까지 올릴 수 있고, 또한 이물질이 연어알의 그림자에 가려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을 통과하는 것으로 이물질 검출의 확실성이 향상된다.
도 2 및 도 3과 같이 이송방향(100)의 유로(70) 전역에서 높이(H)로 통일해도 좋다. 또, 제 1 검사창(75) 및 제 2 검사창(76)을 구성하는 부재를 유로 형성부(72)에 대해서 교환함으로써,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에서의 유로(70)의 높이(H)를 조정해도 좋다. 교환 작업이 쉽게 되기 때문이다.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에서의 유로(70)의 높이(H)는 검사 대상이 되는 어란 페이스트에 있어서의 어란의 최대직경을 초과하는 높이고, 또한 최소직경의 2배 미만으로 유로(70)의 높이(H)를 조절할 수 있다. 높이(H)가 어란의 최대직경을 초과하는 것이라면 유로(70) 내에서 어란 페이스트를 이송할 수 있다. 높이(H)가 어란의 최소직경의 2배 미만이면 제 1 피촬상영역(56) 또는 제 2 피촬상영역(58)에서 이물질을 보다 확실히 촬상할 수 있다. 즉, 어란 2개 분의 높이가 아니면 이물질이 어란에 의해 상하에서 사이에 끼어 보이지 않게 되는 경우가 없고, 이물질이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의 어느 한쪽을 통과하게 되어 이물질을 촬상할 수 있다는 것이다. 높이(H)를 어란의 최소직경의 2배 미만으로 함으로써 이물질을 간과하는 확률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식용 어란으로서 이용되고 있는 어란의 알지름은 대략 표 1과 같다. 따라서, 구체적으로는 연어알은 높이(H)를 9mm~15mm 정도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알 지름이 2mm 이하의 기타 어란에서는 1mm~5mm, 보다 바람직하게는 1.4mm~3mm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어란 자체 크기의 불균형이 큰 경우, 어란 자체를 크기로 구분하고서 본 발명의 방법으로 함으로써, 효과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어종 어란 알지름
연어 연어알, 이크라 7mm~8mm
명태 명태알 1.2mm~2mm
날치 날치알 1.5mm~2mm
대구 대구알 1mm
시샤모 시샤모알 1.5mm
5. 검사부
검사부(40)는 검사 처리를 실시한다. 도 1~도 4와 같이 검사부(40)는 제 1 촬상부(50)의 제 1 센서(54) 및 제 2 촬상부(60)의 제 2 센서(64)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근거하여,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에 의해 발광하는 이물질의 유무를 판정한다.종래와 같이 작업원의 육안에 의한 수작업에 비해 확실하고 효율적으로 이물질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검사부(40)의 화상 처리부(42), 판정부(44) 및 신호 출력부(48)는 각 기능을 실현하는 제어 프로그램의 명령을 실행하는 CPU, 제어 프로그램을 격납한 ROM, 제어 프로그램을 전개하는 RAM, 제어 프로그램 및 각종 데이터를 격납하는 메모리 등의 기억장치 등을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46)는 제 1 센서(54) 및 제 2 센서(64)에서 촬상된 또는 화상 처리부(42)에서 생성된 화상을 표시한다.
화상 처리부(42)는 제 1 촬상부(50)의 제 1 센서(54) 및 제 2 촬상부(60)의 제 2 센서(64)에 의해 촬상된 화상에 적당한 화상 처리를 하여 검사 화상을 생성한다. 검사 화상은 제 1 검사창(75) 및 제 2 검사창(76)에 설치된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에서의 유로(70)를 흐르는 어란 페이스트의 화상이다. 화상 처리로서는 예를 들면, 농담값 히스토그램, 톤 곡선에 의한 농담변환, 감마 변환, S자 톤 커브에 의한 변환, 농담의 반전 또는 두 값화(二値化) 처리 등의 농담 변환과 선형 필터링, 평활화 필터 처리, 메디안 필터링, 에지 강조 또는 선명하게 등의 공간 필터링 등을 이물질의 모양과 특성에 맞게 적절히 채택할 수 있다. 화상 처리부 42는 검사 화상으로 각 화소의 명암에 따라서 여러 계조로 표현된 그레이 스케일의 농담 화상이나 이치화 처리(二値化處理)를 해서 얻어지는 단색(흑백)의 이치 화상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제 1 조사부(52) 및 제 2 조사부(62)의 광에 의해 발광한 이물질은 검사 화상에서 하얗게 되며, 어란 부분은 까맣게 된다.
검사부(40)는 특히 선모양의 형상을 갖는 이물질의 유무를 판정한다. 이물질은 어란에 혼입되는 기생충일 수 있으며, 예를 들면 고래회충일 수 있다. 고래회충은 소정의 자외선에 의해 발광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고래회충 같은 이물질은 전처리부(30)의 스트레이너(32) 구멍을 통과하는 경우가 있으므로, 검사부(40)에서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정부(44)는 화상 처리부(42)에서 생성된 검사 화상에서의 이물질 유무를 판정한다. 판정방법으로서는 예를 들어 검사 화상에서의 소정 허용치 이상의 밝기의 화소를 검출체로 하고, 그 검출체의 연속하는 면적을 기준으로 판정하는 방법, 해당 검출체의 연속하는 길이를 기준으로 판정하는 방법, 검출체와 미리 준비한 패턴과의 매칭으로 판정하는 방법 등을 이물질의 형상이나 특성에 따라 적당히 채용할 수 있다. 이물질이 있다고 판정된 검사 화상은 표시부(46)에 표시된다. 또, 판정부(44)에서 이물질이 있다고 판정되면 신호 출력부(48)는 제거부(80)에 불량품 신호를 출력한다.
검사 처리는 유로(70)에서의 어란 페이스트 이송방향(10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예를 들면 1 또는 복수의 피검사영역을 설정하고, 피검사영역 별로 이물질의 유무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판정부(44)가 검사 화상에 대해서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로(70)에서의 어란 페이스트의 이송방향(10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피검사영역으로서 가상적인 제 1 피검사영역(79a)~제 5 피검사영역(79e)을 설정한다. 도 4에서는 제 1 피검사영역(79a)~제 5 피검사영역(79e)을 제 2 검사창(76) 상에 가상적으로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판정부(44)가 검사 화상에서의 제 1 피검사영역(79a)~제 5 피검사영역(79e)마다 이물질의 유무를 판정한다. 여기에서는 검사 화상을 폭(D) 방향으로 5등분한 제 1 피검사영역(79a)~제 5 피검사영역(79e)으로 했으나, 유로(70)의 폭(D)이 좁은 경우에는 1개의 피검사영역으로 해도 좋고, 제거부(80)의 구성에 따라 2이상의 피검사영역으로 해도 좋다. 개개의 피검사영역을 작게 함으로써 이송방향(100)의 하류에 있는 제거부(80)에서 제 1 피검사영역(79a)~제 5 피검사영역(79e)에 대응하는 제 1 승강판(82a)~제 5 승강판(82e)을 작동시켜서 제거하는 어란 페이스트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6. 제거부
도 1~도 4와 같이 제거부(80)는 유로 형성부(72)의 이송방향(100)에서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제거 처리를 실시한다. 제거부(80)는 제 2 개구(74)에 인접하여 설치된다. 제거부(80)는 승강판(82)과 배출로(84)와 제거부용 제어부(86)를 포함한다.
제거부(80)는 검사부(40)에 의해 이물질을 가지고 있다고 판정된 부분을 어란 페이스트에서 제거한다. 따라서, 제 1 촬상부(50) 및 제 2 촬상부(60)에 의해 확실하게 이물질을 촬상하여 검사부(40)에서 효율적으로 이물질의 유무를 판정함으로써 제거부(80)에 의해서 이물질을 확실하고 또한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승강판(82)은 제 1 승강판(82a)~제 5 승강판(82e)을 포함한다. 제 1 승강판(82a)~제 5 승강판(82e)은 제 1 피검사영역(79a)~제 5 피검사영역(79e)에 대응하여 설치된다. 즉, 제 1 피검사영역(79a)에서 촬상된 어란 페이스트의 부분은 이송방향(100)에 따라서 반송되어 제 1 승강판(82a) 상에 이른다. 제 2 피검사영역(79b)~제 5 피검사영역(79e)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제 2 승강판(82b)~제 5 승강판(82e)에 대응한다.
제 1 승강판(82a)~제 5 승강판(82e)은 각각 제거부용 제어부(86)의 지령에 의해 도 2 및 도 3과 같이 제 2 개구(74) 측이 승강한다.
제거부(80)는 제 1 피검사영역(79a)~제 5 피검사영역(79e)의 내, 판정부(44)에서 이물질을 가진다고 판정된 피검사영역의 어란 페이스트를 제거한다. 예를 들면, 판정부(44)가 제 1 피검사영역(79a)에서 이물질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 신호 출력부(48)는 제거부용 제어부(86)에 대하여 불량품 신호를 출력한다. 제거부용 제어부(86)는 제 1 승강판(82a)의 제 2 개구(74)측을 상승시켜서 제 3도에 나타내는 상태를 소정기간 유지한다. 소정기간은 적어도 이물질이 제 1승강판(82a)에 도달하기 전부터 이물질이 배출로(84)에 낙하할 때까지의 시간이다. 소정기간은 어란 페이스트가 이송하는 속도로부터 구할 수 있다.
이물질이 있다고 판정된 부분의 어란 페이스트는 제 1 승강판(82a)의 하방에 있는 배출로(84)로 낙하한다. 배출로(84)에 낙하한 어란 페이스트는 폐기된다. 또, 이물질이 있다고 판정되지 않은 어란 페이스트는 제 2 승강판(82b)~제 5 승강판(82e)의 위를 미끄러져 제품 인출부(90)에 낙하한다. 소정기간이 경과하면 제 1 승강판(82a)은 하강하여 도 2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어란 페이스트는 제 1 승강판(82a)~제 5 승강판(82e)의 위를 미끄러져서 제품 인출부(90)에 모아진다.
유로(70)가 수평면 상에 넓어지도록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제 1 피촬상영역 (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을 통과한 어란 페이스트는 이송방향(10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거의 이동하지 않고 승강판(82)에 이송된다. 제 1 피검사영역(79a)~제 5 피검사영역(79e)과 같은 폭으로 제 1 승강판(82a)~제 5 승강판(82e)이 배치되기 때문에, 예를 들어 제 1 피검사영역(79a)을 통과한 이물질은 제 1 승강판(82a)에 이송되게 된다. 유로(70)를 수평면 이외에 넓어지도록 설치할 경우에는 이물질이 이송방향(100)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유로(70)의 이송방향(100)에 따라서 제 1 피검사영역(79a)~제 5 피검사영역(79e)으로부터 제 1 승강판(82a)제 5 승강판(82e)까지 연장되는 판을 설치해도 좋다.
또, 2개의 피검사영역이 인접하는 부분, 예를 들면 제 1 피검사영역(79a)과 제 2 피검사영역(79b)과의 사이에 이물질이 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제 1 승강판(82a) 및 제 2 승강판(82b)을 위로 올리면 좋다. 이물질을 확실히 제거하기 위해서이다.
이와 같이 승강판(82)을 복수의 제 1 승강판(82a)~제 5 승강판(82e)으로 구성함으로써, 제품이 될 수 있는 어란 페이스트를 낭비하여 제거하는 일 없이, 이물질이 존재하는 소량의 어란 페이스트에 한해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 1 승강판(82a)~제 5 승강판(82e) 대신에, 1장의 승강판(82)으로 해도 좋다. 그 경우에는 판정부(44)에서의 처리도 제 1 피검사영역(79a)~제 5 피검영역(79e)으로 나누어 판정하지 않아도 좋으므로 판정부(44)의 처리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거부(80)는 이물질이 혼입된 어란을 외부로 꺼낼 수 있는 방법이라면 어떤 방법을 채용해도 좋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이 혼입된 영역의 어란을 낙하시켜서 제거하는 것이라도 좋으며, 이물질이 존재하는 부분을 흡인하는 방법으로 제거하는 것이라도 좋다.
7.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도 1~도 5를 이용하여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도 5는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이하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이라고 한다)을 설명하는 플로차트이다.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은 어란 페이스트를 이송하는 유로(70)의 전체 폭에 걸쳐서 설치된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을 투과하여 어란 페이스트에 가시광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동시에,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을 통과하는 어란 페이스트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처리와, 촬상처리에 의해서 촬상된 화상에 근거하여,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에 의해서 발광하는 이물질의 유무를 판정하는 검사처리와, 검사처리에 의해서 이물질을 가진다고 판정된 부분을 어란 페이스트로부터 제거하는 제거처리를 포함한다. 또, 이물질을 가진다고 판정되지 않은 어란 페이스트에 대해서는 제품으로서 제품 인출부(90)로 이송되는 제품이송처리가 실행된다.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은 유로(70)을 사이에 두고 배치된다.
도 5와 같이 촬상처리는 S10~S30의 처리를 실시하고, 검사처리는 S40의 처리를 실시하며, 제품이송처리는 S50의 처리를 실시하고, 제거처리는 S60의 처리를 실시한다.
S10: 제 1 조사부(52) 및 제 2 조사부(62)로부터 예를 들면 자외선을 조사한다. 어란 페이스트 안의 이물질을 여기(勵起)시켜 형광을 발하기 위해서이다. 제 1 조사부(52) 및 제 2 조사부(62)에 대해서는 상기 3에서 설명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20: 제 1 촬상부(50) 및 제 2 촬영부(60)에 있어서 제 1 센서(54) 및 제 2 센서(64)가 제 1 피촬상영역(56) 및 제 2 피촬상영역(58)의 어란 페이스트를 촬상한다. 제 1 센서(54) 및 제 2 센서(64)에 대해서는 상기 3에서 설명하는 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S30:화상 처리부(42)가 촬상된 화상에 소정의 처리를 하여 검사 화상을 생성한다. 판정부(44)에서 이물질의 유무를 확실히 판정하기 위해서이다.
S40:판정부(44)가 검사처리를 개시하여 검사 화상에서의 이물질 유무를 판정한다. 검사처리는 검사 화상 중에 자외선으로 형광을 발한 소정 형상의 이물질을 검출하는 것으로 실시한다. 예를 들어, 검사처리는 선 모양의 형상을 갖는 이물질(예를 들면 고래회충)의 유무를 판정할 수 있다. 고래회충 같이 선 모양은 스트레이너(32)를 통과할 가능성이 있어 쉽게 제거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검사처리에서 이물질이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신호 출력부(48)가 불량품 신호를 제거부용 제어부(86)로 출력한다. 이물질이 있다고 판정된 부분을 제거부(80)에서 제품으로부터 제거하기 위해서이다.
S50:검사처리에 의해서 이물질을 갖는다고 판정되지 않은 어란 페이스트를 제품으로 이송한다. 제품인 어란 페이스트는 유로 형성부(72)의 제 2 개구(74)로부터 배추되어, 승강판(82)의 윗면을 흘러내려서 제품 인출부(90)에 모아진다(도 2).
S60:검사처리에 의해서 이물질을 갖는다고 판정된 부분을 제품으로 하는 어란 페이스트에서 제거한다. 구체적으로는 제거부(80)에 있어서 제거부용 제어부(86)의 지령에 의하여, 승강판(82)을 상승시키고 이물질을 갖는 부분을 배출로(84)에 낙하시켜서 제품 인출부(90)로의 혼입을 방지한다. 이물질을 포함하여 제거하는 어란 페이스트를 적게 하여 낭비를 줄이기 위해, 검사처리는 유로(70)의 어란 페이스트의 이송방향(100)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복수의 피검사영역(제 1 피검사영역(79a)~제 5 피검사영역(79e))을 설정하여 제 1 피검사영역(79a)~제 5 피검사영역(79e)마다 이물질의 유무를 판정해도 좋다. 그 경우, 제거처리는 이물질을 갖는다고 판정된 피검사영역의 어란 페이스트를 제거한다. 제거부(80)에 대해서는 상기 6에서 설명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1
도 1~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 어란 페이스트 제조장치(10) 및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대구알(알지름 약 1mm)의 어란 페이스트로부터 고래회충을 제거하는 실험을 실시했다.
제 1 조사부(52) 및 제 2 조사부(62)는 365nm의 파장을 갖는 자외선을 제 1 검사창(75) 및 제 2 검사창(76)에 대해 45도로 조사했다. 유로(70)의 폭(D)은 160mm에서 실시했다. 제 1 센서(54) 및 제 2 센서(64)는 라인센서 카메라로, 제 1 검사창(75) 및 제 2 검사창(76)의 연직방향에서 촬상했다. 유로(70)에서의 어란 페이스트의 유속은 60m/min~70m/min이었다.
화상 처리부(42)에서 생성된 화상 내, 이물질이 있다고 판정된 부분을 확대하여 도 6에 나타냈다. 화상에는 어란 페이스트 속에 고래회충을 확인할 수 있었다. 판정부(44)에서 이물질로 판정된 고래회충은 가장 가는 것으로 0.2mm(길이는 약 5mm)였다. 도 6에서의 각 화상에서 선 모양의 흰색 부분이 고래회충이다. 고래회충은 보통 나선 모양이지만, 유로(70)를 이동할 때 이송방향(100)으로 잡아늘려져서 도 6에 나타내는 상태가 되었다고 생각된다.
제품 인출부(90)에서 어란 페이스트를 육안으로 검사한 결과, 고래회충은 발견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추가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실시형태로 설명한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예를 들면, 기능, 방법 및 결과가 동일한 구성, 혹은 목적 및 효과가 동일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의 본질적이지 않은 부분을 대체한 구성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과 동일한 작용효과를 보이는 구성 또는 동일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구성에 공지기술을 부가한 구성을 포함한다.
10…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장치(어란 페이스트 제조장치), 20…투입부, 22…제 1 펌프, 24…제 1 관로, 30…전처리부, 32…스트레이너, 34… 제 2 펌프, 36…제 2 관로, 40…검사부, 42…화상 처리부, 44…판정부, 46…표시부, 48…신호 출력부, 50…제 1 촬상부, 52…제 1 조사부, 54…제 1 센서, 56…제 1 피촬영영역, 58…제 2 피촬영영역, 60…제 2 촬상부, 62…제 2 조사부, 64…제 2 센서, 70…유로, 72…유로 형성부, 72a…윗면, 72b…아랫면, 73…제 1 개구, 74…제 2 개구, 75…제 1 검사창, 76…제 2 검사창, 77…뚜껑부재, 78…바닥부재, 79a~79e…제 1 피검사영역~제 5 피검사영역, 80…제거부, 82…승강판, 82a~82e…제 1 승강판~제 5 승강판, 84…배출로, 86…제거부용 제어부, 90…제품 인출부, 100…이송방향, D…유로의 폭, H…유로의 높이

Claims (7)

  1. 어란 페이스트를 이송하는 유로의 전체 폭에 걸쳐서 설치된 적어도 2개의 피촬상영역을 투과하여 어란 페이스트에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조사하는 동시에, 상기 피촬상영역을 통과하는 어란 페이스트의 화상을 촬상하는 촬상처리와,
    상기 촬상처리에 의해서 촬상된 화상에 근거하여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에 의해서 형광하는 이물질의 유무를 판정하는 검사처리와,
    상기 검사처리에 의해서 이물질을 갖는다고 판정된 부분을 어란 페이스트에서 제거하는 제거처리를 포함하며,
    상기 2개의 피촬상영역은 상기 유로를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어란 페이스트에 이용하는 어란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피촬상영역에서의 상기 유로의 높이를 1.4mm~15mm 사이로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피촬상영역에서의 상기 유로의 높이는 어란 페이스트에서의 어란의 최대직경을 초과하는 높이이며, 또한 최소직경의 2배 미만으로 상기 유로의 높이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4. 제1항~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에서,
    상기 검사처리는 선 모양의 형상을 가지는 이물질의 유무를 판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5. 제1항~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에서,
    상기 검사처리는 상기 유로에서의 어란 페이스트의 이송방향으로 직교하는 방향에 1 또는 복수의 피검사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피검사영역마다 이물질의 유무를 판정하며,
    상기 제거처리는 이물질을 갖는다고 판정된 피검사영역의 어란 페이스트를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6. 제1항~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에 이용하는 제조장치에 있어서,
    어란 페이스트를 얇게 편 상태에서 이송하는 상기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와,
    상기 유로 형성부의 윗면과 아랫면에 설치되어 소정의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된 적어도 2개의 상기 피촬상영역과,
    적어도 2개의 상기 피촬영영역을 촬상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촬상처리를 실시하는 적어도 2개의 촬상부와,
    상기 검사처리를 실시하는 검사부와,
    상기 유로 형성부에서의 이송방향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상기 제거처리를 실시하는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장치.
  7. 어란 페이스트를 얇게 편 상태에서 이송하는 유로를 형성하는 유로 형성부와,
    상기 유로 형성부의 윗면과 아랫면에 설치되어 소정의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을 투과하는 재질로 형성된 적어도 2개의 피촬상영역과,
    적어도 2개의 피촬상영역을 촬상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여 상기 피촬상영역을 통과하는 어란 페이스트의 화상을 촬상하는 적어도 2개의 촬상부와,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화상에 근거하여 가시광선 또는 자외선에 의해서 형광하는 이물질의 유무를 판정하는 검사부와,
    상기 유로 형성부의 이송방향의 하류 측에 설치되어 상기 검사부에서 이물질을 갖는다고 판정된 부분을 어란 페이스트에서 제거하는 제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장치.
KR1020197011303A 2016-09-20 2017-09-13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장치 KR10249305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82842 2016-09-20
JPJP-P-2016-182842 2016-09-20
PCT/JP2017/032986 WO2018056134A1 (ja) 2016-09-20 2017-09-13 異物が除去された魚卵ペーストの製造方法及び異物が除去された魚卵ペーストの製造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8544A true KR20190058544A (ko) 2019-05-29
KR102493051B1 KR102493051B1 (ko) 2023-01-31

Family

ID=616903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303A KR102493051B1 (ko) 2016-09-20 2017-09-13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54083B2 (ko)
EP (1) EP3516968B1 (ko)
JP (1) JP6967518B2 (ko)
KR (1) KR102493051B1 (ko)
CN (1) CN109688837B (ko)
DK (1) DK3516968T3 (ko)
WO (1) WO201805613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148A (ko) * 2020-10-22 2022-04-29 (주)레이텍 레이저 검사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131059A1 (de) * 2018-12-05 2020-06-10 SIKA Dr. Siebert & Kühn GmbH & Co. KG Strömungsmessverfahren und Strömungsmessvorrichtung zur optischen Strömungsmessung
JP7250545B2 (ja) * 2019-02-05 2023-04-03 アヲハタ株式会社 食品検査装置
DE102021133092A1 (de) * 2021-12-14 2023-06-15 Krones Aktiengesellschaft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Inspizieren eines fließfähigen, Fremdkörper enthaltenen Produkts
CN115097096B (zh) * 2022-08-22 2022-12-13 天津美腾科技股份有限公司 避障检测系统及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2962A (ja) 1988-10-19 1992-05-28 ルメテック、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肉中の虫類の検出方法
JP2004333897A (ja) * 2003-05-08 2004-11-2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US20070238147A1 (en) * 2006-03-24 2007-10-11 Nippon Suisan Kaisha, Ltd. Method of detecting foreign matter
JP2014068619A (ja) 2012-10-01 2014-04-21 Taiyo Seisakusho Co Ltd 撹拌式自動魚卵加工装置
KR20150008413A (ko) * 2012-05-21 2015-01-22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살균 장치
KR20150123521A (ko) * 2014-04-25 2015-11-04 주식회사 퓨리존 살균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2241A (ja) * 1985-02-22 1986-08-26 株式会社 あじかん 魚介類の卵中における寄生虫などの異物分離装置および方法
JPH01249181A (ja) 1988-03-31 1989-10-04 Tdk Corp チップ部品自動外観選別機における部品仕分け方法
JPH0622478B2 (ja) * 1990-05-29 1994-03-30 俊朗 畑中 魚卵における夾雑物の除去方法とその除去装置
US5375177A (en) * 1991-09-27 1994-12-20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of identifying and characterizing a valid object by color
US6058209A (en) * 1991-09-27 2000-05-02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Method for resolving redundant identifications of an object
US5448652A (en) * 1991-09-27 1995-09-05 E. 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Adaptive display system
US5335791A (en) 1993-08-12 1994-08-09 Simco/Ramic Corporation Backlight sorting system and method
US5510133A (en) * 1994-11-21 1996-04-23 Keeping And Mackay Limited (K. & M.) Process for preparing foodstuffs based on reformed and cured herring roe
JP3617751B2 (ja) * 1997-03-12 2005-02-09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放射線画像の照射野認識方法および装置
US6271022B1 (en) * 1999-03-12 2001-08-07 Biolog, Inc. Device for incubating and monitoring multiwell assays
CA2399120A1 (en) 2000-02-11 2001-08-16 Beat Koch Optical connector for simultaneously connecting a plurality of fiber optical cables and adapter for said connector
US7319031B2 (en) * 2002-11-27 2008-01-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ounting platform for biological growth plate scanner
US7298885B2 (en) * 2002-11-27 2007-11-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Biological growth plate scanner with automated image processing profile selection
JP2007286041A (ja) * 2006-03-24 2007-11-01 Nippon Suisan Kaisha Ltd 異物の検出方法
JP5449997B2 (ja) * 2009-11-09 2014-03-19 株式会社マルハニチロ水産 魚卵熟度判定装置及び魚卵熟度判定方法
MX2013000102A (es) * 2010-06-30 2013-03-18 3M Innovative Properties Co Sistema y metodos de deteccion microbiana.
US8921067B2 (en) * 2013-02-04 2014-12-3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Method and culture device for detecting yeasts and molds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502962A (ja) 1988-10-19 1992-05-28 ルメテック、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肉中の虫類の検出方法
JP2004333897A (ja) * 2003-05-08 2004-11-2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
US20070238147A1 (en) * 2006-03-24 2007-10-11 Nippon Suisan Kaisha, Ltd. Method of detecting foreign matter
KR20150008413A (ko) * 2012-05-21 2015-01-22 엔오케이 가부시키가이샤 살균 장치
JP2014068619A (ja) 2012-10-01 2014-04-21 Taiyo Seisakusho Co Ltd 撹拌式自動魚卵加工装置
KR20150123521A (ko) * 2014-04-25 2015-11-04 주식회사 퓨리존 살균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3148A (ko) * 2020-10-22 2022-04-29 (주)레이텍 레이저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154083B2 (en) 2021-10-26
EP3516968B1 (en) 2023-05-10
EP3516968A4 (en) 2020-05-13
EP3516968A1 (en) 2019-07-31
KR102493051B1 (ko) 2023-01-31
JPWO2018056134A1 (ja) 2019-06-27
JP6967518B2 (ja) 2021-11-17
CN109688837B (zh) 2022-08-09
CN109688837A (zh) 2019-04-26
DK3516968T3 (da) 2023-07-31
US20190200657A1 (en) 2019-07-04
WO2018056134A1 (ja)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8544A (ko)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방법 및 이물질이 제거된 어란 페이스트의 제조장치
CN104871175B (zh) 对食品质量进行评分和控制
CN111684268B (zh) 食品检验辅助系统、食品检验辅助装置和计算机程序
CN106872465B (zh) 基于机器视觉的禽类受精蛋检测筛选装置
WO2019151393A1 (ja) 食品検査システム、食品検査プログラム、食品検査方法および食品生産方法
Misimi et al. Computer vision‐based sorting of Atlantic salmon (Salmo salar) fillets according to their color level
Arivazhagan et al. External and internal defect detection of egg using machine vision
US6433293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cting dirt as present on articles, for example eggs
Wold et al. Rapid nondestructive determination of edible meat content in crabs (Cancer pagurus) by near-infrared imaging spectroscopy
ÖZLÜOYMAK Development of a UV-based imaging system for real-time detection and separation of dried figs contaminated with aflatoxins
JP5455409B2 (ja) 異物選別方法および異物選別設備
Kunjulakshmi et al. Development of portable, non-destructive freshness indicative sensor for Indian Mackerel (Rastrelliger kanagurta) stored under ice
García-Alegre et al. Eggshell defects detection based on color processing
JP2022132878A (ja) 卵検査装置および卵検査方法
Pau Fish quality control by computer vision
Al-Rahbi et al. Back propagation neural network (BPNN) to detect surface crack on dates using RGB images
Wang et al. Research on the evaluation method of eggshell dark spots based on machine vision
CN111257339B (zh) 一种基于机器视觉的皮蛋裂纹在线检测方法及检测装置
CN114463327A (zh) 电子产品内衬包装水印缺陷的多节拍成像检测设备与方法
Udayakumar Visible light imaging
KR20100034718A (ko) 선박 밸러스트 워터 미생물 영상처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625717B1 (ko) 비전 계란 선별 시스템
JP3390052B2 (ja) 海苔原藻中の異物検出及び除去装置
HF et al. Vision Applications in the Fishing and Fish Product Industries
Mindoro et al. Automatic Visual Detection of Fresh Poultry Egg Quality Inspection using Image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