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648A - 신축덕트 - Google Patents

신축덕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648A
KR20190057648A KR1020170154838A KR20170154838A KR20190057648A KR 20190057648 A KR20190057648 A KR 20190057648A KR 1020170154838 A KR1020170154838 A KR 1020170154838A KR 20170154838 A KR20170154838 A KR 20170154838A KR 20190057648 A KR20190057648 A KR 201900576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ipe
circumferential surface
side tube
wi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48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허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엠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엠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엠티
Priority to KR1020170154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7648A/ko
Publication of KR201900576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6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6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 F24F13/072Outlets for directing or distributing air into rooms or spaces, e.g. ceiling air diffuser of elongated shape, e.g. between ceiling pan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45Manufacturing or assembly of air ducts; Method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Joints Allowing Movement (AREA)

Abstract

신축덕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덕트는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서로 텔레스코픽 연결된 일측관과 하나 이상의 연결관과 타측관을 포함하여 높은 내열성 및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Description

신축덕트{EXPANSION DUCT}
본 발명은 신축덕트에 관한 것으로, 발화성 및 내식성이 높은 유체가 통과되거나 빈번한 신축 및 진동이 가해지는 등의 악조건에 사용될 수 있도록 내구성이 향상된 신축덕트에 관한 것이다.
신축덕트는 온도변화에 의한 팽창 및 수축이 발생되거나, 각종 기구에서 발생되는 진동, 바람이나 지진 등의 자연력에 의해 발생되는 기계적인 변위 등이 일어나는 장소에 설치된 관로를 서로 연결하여 유체가 외부로 누설되지 않고 유동되도록 하는 데에 주로 사용된다.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신축덕트는 주로 벨로우즈 형상을 갖는 것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벨로우즈 형상의 신축덕트는 합성수지, 섬유를 직조한 직물 또는 합성수지와 직물의 복합소재 등으로 제조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현재 자동차 부품, 건축자재 등에는 고강도강판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고강도강판으로는 냉연강판에 도금을 하여 제조한 아연도금강판, 초고강도 알루미늄도금강판 등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냉연강판의 도금공정은 최대 섭씨 600도에 이르는 고온에서 행해지는 동시에 다량의 진동이 발생되는 등 가혹한 조건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합성수지 또는 직물 등으로 제조된 벨로우즈 형상의 덕트가 냉연강판의 도금공정과 같이 고온인 동시에 많은 진동이 발생되는 환경에 적용될 경우에는 급속한 노후화에 따라 밀폐성이 단기간에 저하되는 경우가 많다.
냉연강판의 도금공정에 사용되는 물질 중에는 대기에 노출되었을 때 발화성을 갖거나 유독성을 갖는 것이 많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조건에서도 장기간 사용할 수 있도록 내열성 및 내식성 등 높은 내구성을 갖는 신축덕트의 제공이 절실히 필요한 실정이다.
또한, 벨로우즈 형상의 덕트에 형성된 다수의 주름에는 이송유체에 포함된 수분이나 강산성 화합물 등이 누적되고 그 하중에 의해 덕트가 중력방향으로 처지는 변형이 발생되거나 부식에 의해 천공이 형성되며, 이로 인해 벨로우즈 형상의 덕트의 기능이 상실되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고자 대한민국특허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68634호에는 외통 내에 벨로우즈가 구비된 내통을 갖는 신축이음이 제공된 바 있으나, 상술한 바와 같이 고온이면서 빈번한 기계적 진동이 가해지는 환경에서는 벨로우즈의 수명이 연장되는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우며, 벨로우즈의 주름 내에 이송 유체가 누적될 가능성을 배제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내식성 및 내열성 등 내구성이 높은 신축덕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축덕트 내부에 이송 유체가 누적되는 것을 방지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신축덕트의 제조에 다양한 소재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축덕트는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일측관, 일측관에 상응하는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타측관, 일측관에 상응하는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일측은 일측관의 타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타측에는 타측관의 일측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형상으로 일측관 및 타측관 사이를 텔레스코픽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 일측관의 타단부 및 연결관의 타단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외측와이퍼, 일측관의 타단부 및 연결관의 타단부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고정브라켓, 타측관의 일단부 및 연결관의 일단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보강판, 타측관의 중심방향과 타측관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돌출된 쐐기 형상의 내측블레이드가 형성되고 보강판의 일면에 각각 안착되는 복수의 내측와이퍼, 보강판에 결합되고 내측와이퍼의 내측블레이드를 제외한 부분이 보강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패널 및 일단부는 보강판의 타면에 의해 지지되고, 내주면은 타측관의 일단부 외주면 및 상기 연결관의 일단부 외주면을 감싸며,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링 형상을 갖는 복수의 외측가이드를 포함하되, 외측와이퍼에는 일측관의 중심방향과 일측관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돌출된 쐐기 형상의 외측블레이드 및 일측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외측와이퍼는 외측블레이드를 제외한 부분이 고정브라켓 내에 안착되고, 일측관은,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중공관 형태의 일측관본체 및 일측플랜지를 포함하고, 일측관본체 및 일측플랜지 사이에는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링 형상의 밀폐부재가 삽입되고, 밀폐부재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씰이 삽입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축덕트는 일측관본체, 밀폐부재 및 일측플랜지를 종방향으로 동시에 관통하는 복수 개의 밀폐용 볼트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축덕트의 타단부는 외측와이퍼에 의해 지지되고, 외주면은 일측관의 타단부 내주면 및 연결관의 타단부 내주면을 감싸며,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링 형상을 갖는 복수의 내측가이드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축덕트는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요성을 갖는 복수의 롤링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롤링가이드는, 연결관이 하나일 경우, 일측관의 내주면과 연결관의 외주면 사이 및 연결관의 내주면과 타측관의 외주면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연결관이 복수일 경우, 일측관의 내주면과 복수의 연결관 중 일측관과 연결된 것의 외주면 사이, 복수의 연결관 중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 및 복수의 연결관 중 타측관과 연결된 것의 내주면과 타측관의 외주면 사이에 각각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축덕트의 롤링가이드는 압축된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부재의 표면을 실리콘 또는 불소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 직조물로 감싼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신축덕트가 텔레스코픽 연결구조를 갖도록 하여 사용 환경에 적합한 소재를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내식성 및 내열성 등 적합한 내구성을 갖는 신축덕트를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텔레스코픽 연결구조를 이루는 구성요소의 연결부 사이가 밀폐성을 갖도록 함으로써 이송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되고 이송 유체가 신축덕트 내에 누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덕트가 단축된 상태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신축덕트가 신장된 상태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일측관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제1 연결관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타측관의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덕트의 종단면도
도 7은 도 6에 A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
도 8은 도 6에 B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
도 9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외측가이드 및 내측가이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10 및 도 11은 롤링가이드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
도 12는 일측관본체와 일측플랜지가 맞닿는 곳을 확대한 종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덕트(1)가 단축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도 1에 도시된 신축덕트(1)가 신장된 상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덕트(1)에는 일측관(10), 타측관(20), 연결관(30, 40) 및 외측와이퍼(17, 37, 47)가 포함된다. 그리고, 신축덕트(1)에는 일측플랜지(12), 타측플랜지(22), 고정로드(50) 및 고정부재(51, 5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일측관(10), 타측관(20) 및 연결관(30, 4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덕트(1)가 길이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될 수 있도록 서로 텔레스코픽 연결(telescopic joint)된다.
여기서 텔레스코픽 연결이란, 복수의 중공관 형태의 구성요소 중 어느 하나의 일측이 다른 하나의 타측 내로 삽입되고 삽입된 부분은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며, 이러한 연결이 상기 복수의 중공관 형태의 구성요소 간에 연쇄적으로 이루어진 것을 말한다. 즉, 상기 구성요소들의 연쇄적 연결에 의해 형성된 연결체의 전체적인 길이가 신장 또는 단축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텔레스코픽 연결의 대표적인 예로는, 사용할 때에는 길이를 신장시키고 휴대할 때에는 길이를 단축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단안망원경이나 안테나 등을 들 수 있다.
그러므로, 신축덕트(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축된 상태로 운반 및 보관될 수 있고, 설치 및 사용 시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장될 수 있다. 그리고,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신축덕트(2)가 사용 중일 때에는 신장 및 단축이 반복될 수 있다.
일측플랜지(12)는 일측관(10)의 일단부에 결합되고, 타측플랜지(22)는 타측플랜지(22)의 타단부에 결합된다.
일측플랜지(12) 및 타측플랜지(22)는 도시되지 않은 관로에 신축덕트(1)를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플랜지(12) 및 타측플랜지(22)에는 결합을 위한 체결공(122, 222) 및 관로를 유동하는 유체의 통과를 위한 통공(도 3의 121, 221)이 각각 형성된다.
일측관(10)은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의 횡단면이 팔각형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고, 타측관(20) 및 연결관(30, 40)의 횡단면도 일측관(10)에 상응하여 팔각형 형상의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아울러, 일측관(10), 타측관(20) 및 연결관(30, 40)의 용이하게 텔레스코픽 연결될 수 있도록 일측관(10), 연결관(30, 40) 및 타측관(20)의 순서로 그 직경이 점차 감소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측관(10), 타측관(20) 및 연결관(30, 40)의 횡단면은 팔각형 외에 필요에 따라 원형, 타원형, 팔각형 외의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할 수 있다. 횡단면의 형상은 신축덕트(1)가 사용될 환경조건, 즉 신축덕트(1)에 주로 가해지는 하중이나 진동의 방향에 따라 신축덕트(1)의 전반적인 구조적 강도가 높아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고정로드(50)는 신축덕트(1)를 운반할 경우 단축된 상태가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운반수단의 적재공간이 절약되도록 하고 운반효율이 높아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신축덕트(1)의 운반 과정에서 과도하게 단축되는 것을 방지하여 신축덕트(1)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고정로드(50)의 일단은 일측플랜지(12)의 체결공(122)에 결합되도록 하고, 고정로드(50)의 타측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재(52)가 고정되도록 한다. 그 다음 신축덕트(1)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축되도록 하여 고정로드(50)의 타단이 타측플랜지(22)의 체결공(222)을 관통하도록 하면, 타측플랜지(22)의 일면이 고정부재(52)에 의해 지지되어 신축덕트(1)가 과도하게 단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아울러, 체결공(222)을 관통하여 돌출된 고정로드(50)의 타단부에 고정부재(51)를 고정되도록 하면, 타측플랜지(22)의 타면이 고정부재(51)에 의해 지지되어 단축된 상태의 신축덕트(1)가 운반 중 발생하는 흔들림 등에 의해 임의로 신장되는 것이 방지되므로, 신축덕트(1)가 파손되거나 다른 적재물과 충돌하는 등의 문제가 방지될 수 있다.
고정로드(50)의 수는 필요에 따라 가감될 수 있고, 설치되는 위치 또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운반 중 발생되는 흔들림 등에 의해 일측플랜지(12) 및 타측플랜지(22)에 힘이 가해질 경우에는 일측플랜지(12) 및 타측플랜지(22)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가급적 다수의 고정로드(50)가 대칭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고정로드(50)에 의한 지지력이 고르게 분산되도록 함으로써 일측플랜지(12) 및 타측플랜지(22)의 변형이 방지되도록 할 수 있다.
외측와이퍼(17, 37, 47)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연결관(30, 40)을 제1 연결관(30) 및 제2 연결관(40)이라 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일측 및 타측, 제1 및 제2 등으로 방향에 따라 구성요소를 구분하는 것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들의 방향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님을 밝힌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덕트(1)가 단축된 상태의 종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일측관(10), 제1 연결관(30), 제2 연결관(40) 및 타측관(20)이 순차적으로 텔레스코픽 연결되고, 일측관(10)의 일단부에는 일측플랜지(12)가 결합되며, 타측관(20)의 타단부에는 타측플랜지(22)가 결합된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일측관(10), 제1 연결관(30), 타측관(20) 및 다른 구성요소들의 결합구조를 설명한다.
도 3에는 도 1에 도시된 일측관(1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신축덕트(1)에는 외측와이퍼(17), 고정브라켓(18) 및 내측가이드(19)가 더 포함된다. 일측관(10)에는 일측관본체(11)가 포함되고, 일측플랜지(12)는 일측관본체(11)의 일측에 결합되며, 외측와이퍼(17), 고정브라켓(18) 및 내측가이드(19)는 일측관본체(11)의 타측에 결합된다.
일측관본체(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팔각형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중공관으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하나의 평판 형상의 판재를 절곡한 후 맞닿은 양변을 용접하는 방법, 복수의 평판 형상의 판재를 팔각형으로 배치한 후 인접한 양변을 용접하는 방법 등 다양한 방법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압출 방법을 이용하거나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일측관본체(11)가 이음매 없이 형성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측플랜지(12)는 일측관본체(11)의 일단부에 용접에 의해 결합되거나 볼트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신축덕트(1)가 사용되는 과정에서 일측관본체(11)의 일단 및 일측플랜지(12)의 타면 사이로 이송유체의 누설이 발생되지 않도록 일측관본체(11)의 일단 및 일측플랜지(12)의 타면 사이의 밀폐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결합방법이 선택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도 12와 같이 일측관본체(11)와 일측플랜지(12)가 결합될 수 있다. 일측관본체(11)와 일측플랜지(12) 사이에는 밀폐부재(111)가 위치되고, 일측관본체(11), 밀폐부재(111) 및 일측플랜지(12)는 순차적으로 결합되며, 용접을 통한 결합으로 3개의 구성요소가 견고히 결합될 수 있다.
밀폐부재(111)는 어느 하나의 재질에 국한되지 않으나, 일 예로, 방수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며,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링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일측관본체(11), 밀폐부재(111) 및 일측플랜지(12)는 밀폐용 볼트(112)에 의해 동시에 관통된다. 밀폐용 볼트(112)는 일측관본체(11), 밀폐부재(111) 및 일측플랜지(12)를 종방향으로 동시에 관통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로 인해, 일측관본체(11), 밀폐부재(111) 및 일측플랜지(12)의 결합성이 증대되며, 어느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리되려고 하더라도 밀폐용 볼트(112)가 축을 고정하고 있어 완전히 분리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밀폐부재(111)의 내측면을 따라 홈(1111)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홈(1111)에는 씰(1112)이 삽입된다. 씰(1112)은 오링(o-ring)일 수 있으나, 어느 하나의 구성에 국한되지 않는다. 씰(1112)을 통해 밀폐성이 증대되는 장점이 있다.
일측플랜지(12)의 중간부분에 형성된 통공(12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관본체(11)의 횡단면 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할 수도 있고,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팔각형을 제외한 다각형과 같이 상이한 형상을 갖도록 할 수도 있다.
다만,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이송유체와 함께 제거되어야 할 이물질이 이송되는 경우, 통공(121)은 작은 직경의 통공을 다수 형성한 타공판 형상의 것으로 대체되거나 통공(121)에 메시(mesh)와 같은 거름수단이 지지될 수 있는 지지리브 등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이물질이 걸러지도록 할 수도 있다.
외측와이퍼(17)는 일측관본체(11)의 타단부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고,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18)에 의해 지지되며 일측관본체(11)에 결합될 수도 있다. 다만, 외측와이퍼(17)는 탄성을 갖도록 제조될 수 있는데, 이럴 경우 외측와이퍼(17)가 일측관본체(11)에 직접 결합되도록 하면 결합강도가 낮아질 수 있으므로 고정브라켓(18)에 의해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내측가이드(19)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을 갖는데, 그 횡단면은 일측관본체(11)의 횡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내측가이드(19)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 8에는 도 6에 B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8을 함께 참조하면, 외측와이퍼(17)에는 쐐기 형상의 외측블레이드(173)가 돌출 형성된다. 외측블레이드(173)는 일측관본체(11)의 중심방향 및 일측관본체(11)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돌출된다. 즉, 외측블레이드(173)가 돌출되는 방향은 외측와이퍼(17)가 배치된 위치에서 일측관본체(11)의 가상의 중심선에 수선의 발을 내리는 방향 및 일측관본체(11)의 길이방향 중 타단을 향하는 방향 사이의 방향을 향한다.
그리고, 외측와이퍼(17)에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관본체(11)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174)가 형성된다.
여기서, 외측와이퍼(17)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은 일측관본체(11)의 타단부 내로 삽입된 형상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일측관본체(11)의 타단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형상으로 배치된다. 외측블레이드(173) 및 걸림돌기(174)는 외측와이퍼(17) 중 일측관본체(11)의 타단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부분에 각각 형성된다.
고정브라켓(18)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분은 일측관본체(11)의 타단부 내로 삽입된 형상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부분은 일측관본체(11)의 타단부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형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고정브라켓(18)은 외측와이퍼(17) 중 외측블레이드(173)를 제외한 부분을 감싸는 형상으로 배치되는데, 고정브라켓(18)에는 걸림돌기(174)가 삽입되는 홈이 형성되어 외측와이퍼(17)가 고정브라켓(18)에 밀착되며 안착된다.
일측관본체(11)의 타단부에는 고정부재(181)가 결합되는 고정공이 형성되며, 고정브라켓(18) 및 외측와이퍼(17)는 상기 고정공에 삽입되며 결합된 고정부재(181)에 의해 일측관본체(11)에 고정 결합된다.
여기서, 고정브라켓(18)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일측관본체(11)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도시된 바와 같이 분리 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부재(181)를 사용하여 결합되도록 하면 신축덕트(1)를 사용하는 중 외측블레이드(173)가 마멸 등에 손상되었을 경우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다.
내측가이드(19)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관본체(11)의 타단부 내에 배치되는데, 내측가이드(19)의 외주면은 일측관본체(11)의 타단부 내주면을 감싸고, 내측가이드(19)의 타단부는 외측와이퍼(17)의 일단부에 의해 지지된다.
도 4에는 도 1에 도시된 제1 연결관(3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신축덕트(1)에는 보강판(33), 내측와이퍼(34), 고정패널(35), 외측가이드(36), 외측와이퍼(37), 고정브라켓(38) 및 내측가이드(39)가 더 포함된다.
제1 연결관(30)에는 제1 연결관본체(31)가 포함되고, 제1 연결관본체(31)의 일측에는 보강판(33), 내측와이퍼(34), 고정패널(35) 및 외측가이드(36)가 결합되며, 제1 연결관본체(31)의 타측에는 외측와이퍼(37), 고정브라켓(38) 및 내측가이드(39)가 결합된다.
제1 연결관본체(31), 외측와이퍼(37), 고정브라켓(38) 및 내측가이드(39)의 구조와 연결관계는 도 3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측관본체(11), 외측와이퍼(17), 고정브라켓(18) 및 내측가이드(19)에 상응하므로, 제1 연결관본체(31), 외측와이퍼(37), 고정브라켓(38) 및 내측가이드(39)에 대한 설명은 일측관본체(11), 외측와이퍼(17), 고정브라켓(18) 및 내측가이드(19)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보강판(33), 내측와이퍼(34), 고정패널(35) 및 외측가이드(36)는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에는 도 6에 A로 표시된 부분의 확대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4 및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제1 연결관본체(31)의 일단부에는 보강판(33)이 결합된다.
보강판(33)은 도시된 바와 같이 중간부분에 통공(331)이 형성되고 가장자리 부분에 복수의 결합공(332)이 형성된 평판 형상을 갖는다. 이때, 보강판(33)의 외각선 형상 및 통공(331)의 형상은 제1 연결관본체(31)의 횡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강판(33)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면이 제1 연결관본체(31)의 일단에 용접 등의 방법으로 결합되는데, 보강판(33)은 그 가장자리 부분 중 일부분이 제1 연결관본체(31)의 외주면보다 다소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내측와이퍼(34)는 보강판(33)의 일면에 안착된다.
내측와이퍼(34)의 중간부분에는 통공(341)이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 부분에는 복수의 결합공(342)이 형성된다. 내측와이퍼(34)의 외각선은 보강판(33)과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내측와이퍼(34)는 외측와이퍼(17)와 마찬가지로 탄성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내측와이퍼(34)의 외측 가장자리부분에는 쐐기 형상의 내측블레이드(343)가 돌출 형성되는데, 내측블레이드(343)가 돌출되는 방향은 제1 연결관본체(31)의 중심방향과 제1 연결관본체(31)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의 사이 방향을 향할 수 있다.
즉, 내측블레이드(343)는 내측와이퍼(34)로부터 제1 연결관본체(31)의 가상의 중심선에 내리는 수선의 발 방향 및 제1 연결관본체(31)의 길이방향 중 제1 연결관본체(31)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패널(35)은 내측와이퍼(34)가 보강판(33)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패널(35)은 보강판(33)의 내측블레이드(343)를 제외한 일면 부분에 안착되도록 형성된다.
고정패널(35)의 중심부분에는 통공(351)이 형성되고, 그 가장자리 부분에는 복수의 결합공(352)이 형성된다. 고정패널(35)의 외각선은 보강판(33)과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결합부재(353)는 고정패널(35)의 결합공(352) 및 내측와이퍼(34)의 결합공(342)을 관통하여 보강판(33)의 결합공(332)에 고정 결합되며, 내측와이퍼(34) 및 고정패널(35)은 결합부재(353)에 의해 보강판(33)에 결합된다.
참고로, 보강판(33)의 결합공(332), 내측와이퍼(34)의 결합공(342) 및 고정패널(35)의 결합공(352)은 상응하는 위치에 상응하는 수가 형성되며, 결합부재(353)는 한 개만 대표로 도시되었으나 모든 결합공(332, 342, 352)에 결합부재(353)가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외측가이드(36) 도시된 바와 같이 링 형상을 갖는데, 그 횡단면은 제1 연결관본체(31)의 횡단면에 상응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외측가이드(36)는 원형, 타원형 또는 다각형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외측가이드(36)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연결관본체(31)의 일단부에 배치되는데, 외측가이드(36)의 내주면은 제1 연결관본체(31)의 일단부 외주면을 감싸고, 외측가이드(36)의 일단부는 보강판(33)의 타면 중 제1 연결관본체(31)의 외주면보다 돌출된 부분에 의해 지지된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신축덕트(1)에는 보강판(43), 내측와이퍼(44), 고정패널(45), 외측가이드(46), 외측와이퍼(47), 고정브라켓(48), 내측가이드(49) 및 결합부재(453)가 더 포함된다.
제2 연결관(40)에는 제2 연결관본체(41)가 포함되고, 제2 연결관본체(41)의 일측에는 보강판(43), 내측와이퍼(44), 고정패널(45) 및 외측가이드(46)가 결합되며, 제2 연결관본체(41)의 타측에는 외측와이퍼(47), 고정브라켓(48) 및 내측가이드(49)가 결합된다.
제2 연결관본체(41), 외측와이퍼(47), 고정브라켓(48) 및 내측가이드(49)의 구조와 연결관계는 도 3 및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 일측관본체(11), 외측와이퍼(17), 고정브라켓(18) 및 내측가이드(19)에 상응하므로, 제2 연결관본체(41), 외측와이퍼(47), 고정브라켓(48) 및 내측가이드(49)에 대한 설명은 일측관본체(11), 외측와이퍼(17), 고정브라켓(18) 및 내측가이드(19)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도 5에 도 1에 도시된 타측관(20)의 분해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신축덕트(1)에는 보강판(23), 내측와이퍼(24), 고정패널(25), 외측가이드(26) 및 결합부재(253)가 더 포함된다.
타측관(20)에는 타측관본체(21)가 포함되고, 타측본체(21)의 일측에는 보강판(23), 내측와이퍼(24), 고정패널(25) 및 외측가이드(26)가 결합되며, 타측관본체(21)의 타측에는 타측플랜지(22)가 결합된다.
타측관본체(21), 보강판(23), 내측와이퍼(24), 고정패널(25) 및 외측가이드(26)의 구조와 연결관계는 도 4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 연결관본체(31), 보강판(33), 내측와이퍼(34), 고정패널(35) 및 외측가이드(36)에 상응하므로, 타측관본체(21), 보강판(23), 내측와이퍼(24), 고정패널(25) 및 외측가이드(26)에 대한 설명은 제1 연결관본체(31), 보강판(33), 내측와이퍼(34), 고정패널(35) 및 외측가이드(36)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하기로 한다.
한편, 도 7을 참조하면, 텔레스코픽 연결된 일측관본체(11), 제1 연결관본체(31), 제2 연결관본체(41) 및 타측관본체(21)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이때, 일측관본체(11)의 내측에 배치된 제1 연결관본체(31)에 결합된 내측와이퍼(34)의 내측블레이드(343)는 일측관본체(11)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신축덕트(1)가 신축되는 과정에서 일측관본체(11)의 내주면 및 제1 연결관본체(31)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이송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내측와이퍼(34)에 의한 밀폐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내측블레이드(343)는 일측관본체(11) 내면에 의해 다소 가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관본체(31)의 내주면과 제2 연결관본체(41)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밀폐하는 내측와이퍼(44) 및 제2 연결관본체(41)의 내주면과 타측관본체(21)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밀폐하는 내측와이퍼(24)도 상술한 내측와이퍼(34)와 상응하는 구성 및 효과를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을 참조하면, 텔레스코픽 연결된 일측관본체(11), 제1 연결관본체(31), 제2 연결관본체(41) 및 타측관본체(21)가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있다.
일측관본체(11)의 타단부에 결합된 외측와이퍼(17)는 외측블레이드(173)가 제1 연결관본체(31)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일측관본체(11)의 내주면 및 제1 연결관본체(31)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하여 이송유체가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외측와이퍼(17)에 의한 밀폐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외측블레이드(173)는 제1 연결관본체(31)의 외주면에 의해 다소 가압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연결관본체(31)의 내주면과 제2 연결관본체(41)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밀폐하는 외측와이퍼(37) 및 제2 연결관본체(41)의 내주면과 타측관본체(21)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밀폐하는 외측와이퍼(47)도 상술한 외측와이퍼(17)와 상응하는 구성 및 효과를 가지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따라서, 신축덕트(1)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와이퍼(24, 34, 44) 및 외측와이퍼(17, 37, 47)에 의해 이송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여기서, 신축덕트(1)에는 외측와이퍼(17, 37, 47) 또는 내측와이퍼(24, 34, 44)만 구비될 수도 있고, 더욱 높은 밀폐효과를 얻기 위하여 외측와이퍼(17, 37, 47) 및 내측와이퍼(24, 34, 44)가 동시에 구비될 수도 있다.
외측와이퍼(17, 37, 47) 및 내측와이퍼(24, 34, 44)는 실리콘 고무와 같이 탄성을 가지면서도 내열성, 내후성, 내식성 등이 높은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내측블레이드(343, 443, 543) 및 외측블레이드(173, 373, 473)에는 신축덕트(1)의 신장 및 단축에 따라 빈번하게 마찰력이 가해지므로, 마찰이 일어나는 부분의 마찰저항이 감소되는 동시에 밀폐성이 향상될 수 있도록 내열성 및 점도가 높은 윤활재가 도포될 수 있다.
참고로, 이러한 성질의 윤활재로는 실리콘을 기재로 하는 그리스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신축덕트(1)가 신축됨에 따라 윤활재가 내측블레이드(343, 443, 543) 및 외측블레이드(173, 373, 473)로부터 소실될 수 있는데, 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내측블레이드(343, 443, 543) 및 외측블레이드(173, 373, 473)의 마찰이 일어나는 부분에는 도시되지 않은 밀폐홈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
밀폐홈은 상기 마찰이 일어나는 부분에 선형으로 함입된 형상을 갖는데, 마찰이 일어나는 방향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으로 형성되어야 하며, 마찰이 일어나는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참고로, 이러한 밀폐홈이 다수 개 형성되도록 하면 라비린스 효과(labylinth effect)에 의해 윤활재의 소실이 최소화되는 동시에 내측블레이드(343, 443, 543) 및 외측블레이드(173, 373, 473)의 밀폐성 또한 향상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덕트(1)는 이송유체의 유독성이 높은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참고로, 이송유체에 유독물이 포함된 경우에는 현장에서 근무 중인 작업자 등의 안전을 위해 이송유체의 누설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하여 외측와이퍼(17, 37, 47)에 상기 유독물과 반응하면 색상이 변화되는 시약이 포함되도록 하여 제조하면 유독물이 누설되는 과정에서 외측블레이드(173, 373, 473)의 색상이 변화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 할 수 있으므로, 최대한 신속히 대피를 행할 수 있다.
도 9에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외측가이드(36) 및 내측가이드(19)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외측가이드(36) 및 내측가이드(19)는 일측관본체(11)의 내주면 및 제1 연결관본체(31)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양단에 각각 배치된다.
신축덕트(1)가 신장되면, 즉 일측관본체(11) 및 제1 연결관본체(31)가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을 향하여 상대적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면, 일측관본체(11)의 타단부 및 제1 연결관본체(31)의 일측이 근접되고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측관본체(11) 및 제1 연결관본체(31)가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더 이동되면, 외측가이드(36) 및 내측가이드(19)가 서로 충돌하게 된다. 이때, 외측가이드(36) 및 내측가이드(19)가 탄성을 갖도록 제조되면 일측관본체(11) 및 제1 연결관본체(31)로 전달되는 충격이 상당히 감소될 수 있다.
즉, 외측가이드(36) 및 내측가이드(19)는 이와 같이 신축덕트(1)가 작동되는 과정에서 신축덕트(1)의 신장 가능한 범위의 한계까지 신장되는 경우를 상정하고 이때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따라서, 외측가이드(36) 및 내측가이드(19)는 내열성, 내후성, 내식성 및 내충격성 등이 높으면서 탄성을 갖는 소재로 제조될 수 있는데, 이러한 소재로는 실리콘 고무를 들 수 있다.
아울러, 외측가이드(36) 및 내측가이드(19)는 경우에 따라 일측관본체(11)의 내주면 및 제1 연결관본체(31)의 외주면을 지지하는 기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신축덕트(1)가 하중이 작용되는 방향에 수직하게 배치된 상태로 사용되는 경우, 즉 신축덕트(1)의 길이방향이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된 경우, 하중이나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등에 의해 신축덕트(1)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직한 방향의 외력이 가해질 수 있다.
이럴 경우 일측관본체(11)의 길이방향 및 제1 연결관본체(31)의 길이방향이 상기 외력에 의해 서로 어긋나게 될 수 있는데, 이때 외측가이드(36)가 일측관본체(11)의 내주면에 접하게 되거나 내측가이드(19)가 제1 연결관본체(31)의 외주면에 각각 접하며 지지하게 되면서 일측관본체(11) 및 제1 연결관본체(31)의 어긋남이 최소화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므로, 외측가이드(36) 및 내측가이드(19)는 신축덕트(1)의 길이방향과 나란하지 않은 방향의 외력이 가해질 경우 신축덕트(1)가 길이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변형되는 것이 최소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효과는 신축덕트(1)의 구경이 큰 경우, 즉 그 구성요소들의 하중이 커질수록 높게 나타날 수 있다.
따라서, 외측가이드(36) 및 내측가이드(19)의 상기 지지효과에 의해 신축덕트(1)의 구조적인 내구성이 향상되므로, 본 실시예는 신축덕트(1)가 연결해야 하는 거리가 멀거나, 신축덕트(1)에 가해지는 진동의 방향이 그 길이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빈번하게 발생되는 선박이나 해양플랜트 등에도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연결관본체(31)의 내주면과 제2 연결관본체(41)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양단에 배치된 외측가이드(46)와 내측가이드(39) 및 제2 연결관본체(41)의 내주면과 타측관본체(21)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된 공간의 양단에 배치된 외측가이드(26)와 내측가이드(49) 또한 상술한 외측가이드(36) 및 내측가이드(19)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참고로, 신축덕트(1)에는 외측가이드(26, 36, 46) 및 내측가이드(19, 39, 49)가 모두 구비되거나, 외측가이드(26, 36, 46) 또는 내측가이드(19, 39, 49)가 일부만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0 및 도 11에는 롤링가이드(6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롤링가이드(60)는 원형 횡단면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롤링가이드(60)는 전체적으로 링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며, 가요성을 갖도록 이루어진다.
롤링가이드(60)는 일측관본체(11)의 내주면 및 제1 연결관본체(31)의 외주면에 동시에 접촉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덕트(1)가 신장되는 방향으로 작동될 때, 즉 일측관본체(11) 및 제1 연결관본체(31)가 도 10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는 롤링가이드(60)가 도 10에 곡선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된다.
이 과정에서 롤링가이드(60)는 일측관본체(11)의 내주면과 제1 연결관본체(31)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지지하는 동시에, 일측관본체(11)의 내주면과 제1 연결관본체(31) 사이에 형성된 공간 사이를 밀폐한다.
아울러,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측관본체(11) 및 제1 연결관본체(31)가 화살표로 표시한 방향으로 더욱 이동되었을 때 외측와이퍼(17)의 일단부 및 보강판(33) 타면 사이에 개재되면서 외측와이퍼(17) 및 보강판(33) 사이의 충돌 시 발생되는 충격을 감소시키는 작용을 한다.
따라서, 롤링가이드(60)는 상술한 바와 같은 외측가이드(26, 36, 46) 및 내측가이드(19, 39, 49) 대신 적용될 수 있는 동시에 외측와이퍼(17)와 내측와이퍼(34)의 밀폐효과를 보완하는 작용을 할 수 있으며, 외측가이드(26, 36, 46) 및 내측가이드(19, 39, 49)와 함께 적용될 경우에는 신축덕트(1)의 최대 신장 시 외측가이드(26, 36, 46) 또는 내측가이드(19, 39, 49)에 의한 완충효과 및 신축덕트(1)에 길이방향과 나란하지 않은 외력이 작용할 경우의 지지효과가 보강될 수 있다.
반대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신축덕트(1)가 단축되는 방향으로 작동될 때, 즉 일측관본체(11) 및 제1 연결관본체(31)가 도 10에 화살표로 표시된 방향으로 이동될 때에는 롤링가이드(60)가 도 11에 곡선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회전된다.
그러므로, 롤링가이드(60)는 신축덕트(1)의 신장 및 단축과 무관하게 지지효과 및 밀폐효과를 얻을 수 있다.
롤링가이드(60)는 내열성, 내마모성, 내후성, 내식성 등을 가져야 하므로, 압축된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링 형상 부재의 표면을 실리콘 또는 불소수지가 코팅된 리섬유 직조물로 감싼 것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덕트(1)는 그 구성요소를 스테인리스와 같은 내구성이 높은 소재로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으며, 이송유체가 그 내부에 누적되지 않는 등의 특징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신축덕트(1)는 연결관(30, 40)이 두 개인 경우를 상정한 것으로, 신축덕트(1)가 연결해야 하는 거리에 따라 그 수가 가감될 수 있다.
즉, 신축덕트(1)가 연결해야 할 거리가 짧을 경우에는 제1 연결관(30) 또는 제2 연결관(40) 중 어느 하나만 이용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에는 제1 연결관(30) 및 제2 연결관(40) 외에 도시되지 않은 연결관이 추가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신축덕트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 신축덕트 10: 일측관
11: 일측관본체 111: 밀폐부재
1111: 오링 홈 1112: 오링
112: 밀폐용 볼트 12: 일측플랜지
121: 통공 122: 체결공
17: 외측와이퍼 173: 외측블레이드
174: 걸림돌기 18: 고정브라켓
181: 고정부재 19: 내측가이드
20: 타측관 21: 타측관본체
22: 타측플랜지 221: 통공
222: 체결공 23: 보강판
231: 통공 232: 결합공
24: 내측와이퍼 241: 통공
242: 결합공 243: 내측블레이드
25: 고정패널 251: 통공
252: 결합공 253: 결합부재
26: 외측가이드 30: 제1 연결관
31: 제1 연결관본체 33: 보강판
331: 통공 332: 결합공
34: 내측와이퍼 341: 통공
342: 결합공 343: 내측블레이드
35: 고정패널 351: 통공
352: 결합공 353: 결합부재
36: 외측가이드 37: 외측와이퍼
371: 외측블레이드 372: 걸림돌기
38: 고정브라켓 381: 고정부재
39: 내측가이드 40: 제2 연결관
41: 제2 연결관본체 43: 보강판
431: 통공 432: 결합공
44: 내측와이퍼 441: 통공
442: 결합공 443: 블레이드
45: 고정패널 451: 통공
452: 결합공 453: 결합부재
46: 외측가이드 47: 외측와이퍼
473: 블레이드 474: 걸림돌기
48: 고정브라켓 481: 고정부재
49: 내측가이드 50: 고정로드
51, 52: 고정부재 60: 롤링가이드

Claims (5)

  1.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일측관;
    상기 일측관에 상응하는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타측관;
    상기 일측관에 상응하는 형상의 횡단면을 갖고, 일측은 상기 일측관의 타측에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며 타측에는 상기 타측관의 일측이 그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형상으로 상기 일측관 및 상기 타측관 사이를 텔레스코픽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연결관;
    상기 일측관의 타단부 및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외측와이퍼;
    상기 일측관의 타단부 및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에 각각 결합된 복수의 고정브라켓;
    상기 타측관의 일단부 및 상기 연결관의 일단부에 각각 설치된 복수의 보강판;
    상기 타측관의 중심방향과 상기 타측관의 일단을 향하는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돌출된 쐐기 형상의 내측블레이드가 형성되고 상기 보강판의 일면에 각각 안착되는 복수의 내측와이퍼;
    상기 보강판에 결합되고 상기 내측와이퍼의 상기 내측블레이드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보강판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복수의 고정패널;및
    일단부는 상기 보강판의 타면에 의해 지지되고, 내주면은 상기 타측관의 일단부 외주면 및 상기 연결관의 일단부 외주면을 감싸며,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링 형상을 갖는 복수의 외측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외측와이퍼에는 상기 일측관의 중심방향과 상기 일측관의 타단을 향하는 방향 사이의 방향으로 돌출된 쐐기 형상의 외측블레이드 및 상기 일측관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돌기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외측와이퍼는 상기 외측블레이드를 제외한 부분이 상기 고정브라켓 내에 안착되고,
    상기 일측관은,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중공관 형태의 일측관본체 및 일측플랜지를 포함하고,
    상기 일측관본체 및 상기 일측플랜지 사이에는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형상의 횡단면을 갖는 링 형상의 밀폐부재가 삽입되고,
    상기 밀폐부재의 내측면을 따라 형성된 홈에 씰이 삽입된
    신축덕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측관본체, 상기 밀폐부재 및 상기 일측플랜지를 종방향으로 동시에 관통하는 복수 개의 밀폐용 볼트;를 더 포함하는
    신축덕트.
  3. 제2항에 있어서,
    타단부는 상기 외측와이퍼에 의해 지지되고, 외주면은 상기 일측관의 타단부 내주면 및 상기 연결관의 타단부 내주면을 감싸며, 원형 또는 타원형 또는 다각형 링 형상을 갖는 복수의 내측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신축덕트.
  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링 형상으로 형성되고 가요성을 갖는 복수의 롤링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복수의 상기 롤링가이드는,
    상기 연결관이 하나일 경우, 상기 일측관의 내주면과 상기 연결관의 외주면 사이 및 상기 연결관의 내주면과 상기 타측관의 외주면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연결관이 복수일 경우, 상기 일측관의 내주면과 복수의 상기 연결관 중 상기 일측관과 연결된 것의 외주면 사이, 복수의 상기 연결관 중 서로 연결된 한 쌍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 및 복수의 상기 연결관 중 상기 타측관과 연결된 것의 내주면과 상기 타측관의 외주면 사이에 각각 배치된
    신축덕트.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롤링가이드는
    압축된 유리섬유로 이루어진 링 형상의 부재의 표면을 실리콘 또는 불소수지가 코팅된 유리섬유 직조물로 감싼 것인
    신축덕트.
KR1020170154838A 2017-11-20 2017-11-20 신축덕트 KR2019005764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838A KR20190057648A (ko) 2017-11-20 2017-11-20 신축덕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4838A KR20190057648A (ko) 2017-11-20 2017-11-20 신축덕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648A true KR20190057648A (ko) 2019-05-29

Family

ID=66673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4838A KR20190057648A (ko) 2017-11-20 2017-11-20 신축덕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7648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77195B1 (ko) 가요성 접속기 및 이를 포함하는 가요성 접속기 조립체
CA2602945A1 (en) Articulate connection piece for tubes
US2937036A (en) High temperature telescopic joint with heat insulating and radiating means
KR20190031405A (ko) 신축 이음관 조립체
KR101765530B1 (ko) 신축덕트
EP1607668A2 (de) Kältemittelleitung für Klimaanlagen
KR20190057648A (ko) 신축덕트
KR101041028B1 (ko) 확장제한부재를 갖는 벨로우즈형 고압 유연 배관부
KR20140001443A (ko) 익스펜션 조인트의 타이로드
RU2367838C1 (ru) Угловой армированный резиновый компенсатор
KR102300164B1 (ko) 신축거리 확인이 가능한 지시계 부착형 신축관
WO2015019691A1 (ja) 伸縮可撓管及び伸縮可撓管の組立方法
RU2285856C1 (ru) Компенсатор
JP2013133857A (ja) 補修伸縮可撓継手
ITTO20100533A1 (it) Giunto di disaccoppiamento per tubazioni di scarico di motori endotermici
JP4871112B2 (ja) 伸縮管漏水防止装置
KR101256888B1 (ko) 건축용 배관의 익스펜션 조인트
JP2004324769A (ja) 伸縮可撓管の移動規制装置
CN212377511U (zh) 一种高压联动膨胀节
JP2003014179A (ja) 変位吸収用配管継手
KR200151434Y1 (ko) 지하 매설용 신축관
KR101572440B1 (ko) 배관 추력 발생을 방지하는 신축 이음 장치
RU1788381C (ru) Компенсатор дл трубопровода
KR200344488Y1 (ko) 벨로우즈형 신축동관 연결구조
CN219809600U (zh) 一种高补偿性金属波纹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