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7438A -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 Google Patents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7438A
KR20190057438A KR1020197014364A KR20197014364A KR20190057438A KR 20190057438 A KR20190057438 A KR 20190057438A KR 1020197014364 A KR1020197014364 A KR 1020197014364A KR 20197014364 A KR20197014364 A KR 20197014364A KR 20190057438 A KR20190057438 A KR 201900574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tion
engagement
region
profile
windshiel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43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앤드레스 체오체
Original Assignee
엘카메트 쿤스트스토프테크닉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카메트 쿤스트스토프테크닉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엘카메트 쿤스트스토프테크닉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574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743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60J10/32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integral U-shaped re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30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 B60J10/34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adhesives
    • B60J10/35Sea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fastening means using adhesives using adhesive tapes, e.g. double-sided ta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Seal Device For Vehicle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10)에 관한 것으로,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10)는 프로파일 재료(14)로 제조되며, 자동차의 앞유리(18)의 에지 영역(42)에 대한 결합을 생성하기 위한 제1 결합 영역(16) 및 앞유리(18)에 인접한 부분에 대한 결합을 생성하기 위한 제2 결합 영역(20)을 갖는 프로파일 스트립(12)을 포함하며, 제1 결합 영역(16)은 프로파일 재료(14)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 섹션(58)을 가지며, 프리 표면 섹션(58)은 금속으로 제조된 추가 요소(62)의 표면(60)에 의해 또는 추가 요소(62)의 코팅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PROFILE STRIP ARRANGEMENT}
본 발명은 프로파일 재료로 이루어지며 차량의 앞유리 에지 영역에 대한 결합을 생성하기 위한 제1 결합 영역과 자동차 앞유리에 인접한 부분에 대한 결합을 생성하기 위한 제2 결합 영역을 갖는 프로파일 스트립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profile strip arrangement)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타입의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는 예컨대, 독일 실용신안 DE 20 2008 013 133 U1에 공지되어 있다. 이 출원은 앞유리의 이면에 프로파일 스트립을 부착시켜 단순하고, 신속하며, 비용 효율적인 결합을 생성하는 결합 스트립의 사용을 목적으로 한다. 결합 스트립의 일예가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12 112 663 A1에 개시된 종류의 양면 접착 테이프이다.
다른 개량품이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08 003 252 A1에 개시되어 있다. 이 출원은 가능한 뻑뻑한 결합을 생성하기 위해 프로파일 스트립과 앞유리 사이의 양면 접착 테이프 뿐만 아니라 자유 유동 상태에 있는 동안 적용되는 접착 섹션을 이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다른 개량품이 독일 특허 출원 DE 10 2012 112 674 A1에 개시되어 있다. 이 출원은 양면 접착 테이프가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양면 접착 테이프가 정면 에지 영역에서 추가적인 접착 비드(bead)에 완전히 부착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술한 구성들은 실제 적용에서 고비용인 것으로 판명되었다. 지금까지의 배경에 따라, 본 발명은 비용 효율적으로 생산될 수 있는 방식으로 전술한 타입의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를 개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은 제1 결합 영역이 프로파일 재료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표면 섹션을 가지며, 그에 따라 프리 표면 섹션(free surface section)이 금속으로 제조된 추가 요소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거나 또는 추가 요소의 코팅의 표면에 의해 형성되는 본 발명에 따라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프로파일 재료가 없는 표면 섹션이 제1 결합 영역에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공지된 방법에서는, 프로파일 재료는 플라스틱 재료, 예컨대, 폴리 염화 비닐(PVC), 폴리 염화 비닐과 폴리(아크릴로니트릴-코-부타디엔-코-스티렌) (PVC/ABS)의 혼합물, 또는 폴리프로필렌(PP)이다. 특히, 폴리프로필렌은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들에서 견고하고 내구성이 있는 것으로 입증되었다. 그러나 프로파일 재료는 앞유리에 완전한 접착을 생성하거나, 그 사이에 있는 레이어들을 결합할 때 어떠한 최적의 특성도 갖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라, 프로파일 재료가 없는 표면 섹션의 영역에, 다른 재료로 제조된 표면이 제공된다. 이 다른 재료로 제조된 상기 표면의 캐리어는 금속으로 제조된 추가 요소(additional element)이다.
추가 요소는 특히, 제1 결합 영역의 적어도 일부 섹션들에 배치된 평평한 바디이다.
본 발명에 따라, 추가 요소는 금속, 특히 강철, 강 합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금속 추가 요소는 프로파일 재료보다 더 양호한 접착 특성을 나타낸다.
추가 요소의 표면은 프로파일 재료가 없는 표면 섹션의 영역에 배치된 표면일 수 있다. 그러나, 유사하게 추가 요소는 코팅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파일 재료가 없는 표면 섹션은, 코딩 재료로 이루어지고 추가 요소에 의해 지지되는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이 코딩은 예컨대, 보호층 또는 결합층일 수 있다.
프로파일 스트립의 제1 결합 영역과 앞유리의 에지 영역 사이의 간단하고 강한 결합을 달성하기 위해, 제1 결합 영역은 앞유리의 에지 영역의 내측부(inside)와 접하는 하부 결합 섹션을 가지며, 및/또는 제1 결합 영역은 앞유리의 에지 영역의 측면부(face)와 접하는 측면 결합 섹션을 가지며, 및/또는 제1 결합 영역은 앞유리의 에지 영역의 외측부(outside)와 접하는 상부 결합 섹션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프리 표면 섹션은 하부 결합 섹션 상에 및/또는 측면 결합 섹션 상에 및/또는 상부 결합 섹션 상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앞유리의 에지 영역의 내측부와 접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결합 섹션이 제공된다. 이 하부 결합 섹션은 프로파일 스트립과 앞유리의 에지 영역의 내측부 사이에서 비교적 큰 표면적을 갖는 견고한 결합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추가로 또는 선택적으로, 프리 표면 섹션은 제1 결합 영역의 측면 결합 섹션 상에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결합 영역의 상부 결합 섹션은 앞유리의 에지 영역에 프로파일 스트립의 소위 U 형상의 결합을 갖는 프로파일 스트립의 경우 특히 제공된다. U 형상의 결합에서, 하부 결합 섹션 뿐 아니라 측면 결합 섹션 및 상부 결합 섹션이 존재하며, 그에 따라 하부 결합 섹션 및 상부 결합 섹션은 "U"의 다리들을 형성하며, 앞유리의 에지 영역을 둘러싼다.
프로파일 스트립과 앞유리 사이의 특별히 간단하고 콤팩트한 결합 옵션은 프리 표면 섹션이 앞유리의 에지 영역을 마주보는 경우 생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는 앞유리에 인접한 부분, 특히 물받이 커버의 래칭(latching)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제2 결합 영역에서 U 형상 또는 V 형상의 프로파일을 갖는 수용 공간을 갖는 프로파일 스트립들에 대해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제2 결합 영역들은 예컨대, 유럽 특허 출원 EP 2 123 497 A1에 개시되어 있다.
추가 요소는 프리 표면 섹션에서 단독으로 연장하는 제1 결합 영역에만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상대적으로 작고 제조가 쉬운 추가 요소는 프로파일 재료와 앞유리 사이의 완전한 접착을 위한 더 양호한 전제조건을 생성하기 위해 충분하다.
그러나, 추가 요소의 하면 및 상면은 추가 요소의 일부 섹션의 영역에서 프로파일 재료로 덮여 있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추가 요소는 추가 요소가 프로파일 스트립의 프로파일 재료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일부 영역을 갖는다.
전술한 일부 섹션은 특히, 추가 요소의 자유 단부 및/또는 제2 결합 영역을 마주보는 추가 요소의 일 섹션일 수 있다. 결과적으로, 추가 요소는 프로파일 재료로부터의 분리에 대응하여 최적으로 보호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프로파일 스트립은 제1 결합 영역과 제2 결합 영역을 서로 연결하는 중앙 섹션을 가지며, 추가 요소는 중앙 섹션의 영역에서 특별히 천공의 형태로 개구들을 갖는다. 이는 프로파일 스트립의 프로파일 재료에 대한 추가 요소의 더 최적화된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추가 요소는 프로파일 스트립을 뻣뻣하게 하는 보강 삽입체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보강 삽입체는 금속 특히, 강철, 강철 합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포일(foil) 또는 시트(sheet)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결합 영역에서 보강 삽입체의 표면을 노출시킴으로써 추가 요소로서 보강 삽입체를 사용하는 것은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의 특히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제1 결합 영역과 앞유리 사이의 완전한 접착을 생성하기 위해 프리 표면 섹션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앞유리의 에지 영역에 접착 결합을 생성하기 위한 접착 섹션에 의해 덮여져 있다. 이후 앞유리의 에지 영역에 결합되기 위해 접착 섹션은 추가 요소의 표면 상에 적용되는 자유-유동(free-flowing) 접착 재료일 수 있다.
접착 섹션은 양면 접착 테이프의 형태를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프로파일 재료를 갖지 않는 표면 섹션의 창의적인(inventive) 노출에 의해, 접착 테이프가 이 영역에서 사용될 수 있는데, 그 접착 성질은 추가 요소의 표면 및 앞유리의 에지 영역에서 최적화될 필요가 있지만, 프로파일 스트립의 프로파일 재료에 대한 접착의 측면에서 최적화될 필요는 없다. 이는 간단하고 비싸지 않은 접착 테이프의 사용을 허용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타입의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가 비용 효율적으로 제조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목적은 프로파일 스트립과 추가 요소가 서로 독립적으로 제조된 후 서로 결합하여 특히, 서로 접착되고 또는 서로 가압되어 달성된다.
이 목적은 또한 프로파일 스트립의 재료가 압출 성형되고, 추가 요소가 프로파일 재료의 압축 성형중 도입되어 프로파일 재료가 적어도 어떤 섹션에서 추가 요소에 결합될 때 프로파일 재료가 굳어지는 방식으로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실시예들 및 이점들은 이미 부분적으로 상술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전술한 설명이 이하의 추가사항과 함께 참조된다.
이들 부분들의 결합에 후속하는 서로 독립적인 프로파일 스트립 및 추가 요소의 제조는 추가 요소가 프리 표면 섹션에서 독점적으로 연장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에 특히 더 적합하다.
만약 추가 요소가 프로파일 스트립의 압출 성형 중에 도입되면, 추가 요소는 특히, 금속 재료로 만들어진 프로파일된 연속 압출물(continuous extrudate)이며, 그에 따라, 연속 압출물은 프로파일 재료와 함께 압출 성형 다이를 통과하며, 추가 요소 및 프로파일 스트립은 연속적인 프로세스에 따라 서로 함께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과 장점은 바람직한 실시예의 이하 설명 및 도시된 도면들에 의해 나타난다.
도 1은 추가 요소를 갖는 프로파일 스트립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의 제1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2는 접착 섹션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도 1에 따른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를 나타낸다.
도 3은 앞유리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도 2에 따른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를 나타낸다.
도 4는 보강 삽입체의 형태로 적어도 추가 요소를 포함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는 나타낸다.
도 5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의 보강 삽입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8은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U 형상의 구성을 갖는 제1 결합 섹션을 갖는 프로파일 스트립을 갖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의 다른 실시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6 뿐만 아니라 도 8 및 9에 도시된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들은 전체적으로 참조부호 10에 의해 지시된다.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10)들 각각은 프로파일 재료(14)로 제조된 프로파일 스트립(12)을 포함한다. 프로파일 재료(14)는 플라스틱 예컨대, 폴리 염화 비닐(PVC), 폴리 염화 비닐과 폴리(아크릴로니트릴-코-부타디엔-코-스티렌)(PVC/ABS)의 혼합물, 또는 특히 폴리프로필렌(PP)이다.
프로파일 스트립들(12) 각각은 앞유리(18)(도 3 및 도 4 참조)에 대한 결합을 생성하기 위한 제1 결합 영역(16) 및 앞유리(18)에 인접한 부분 특히, 물받이 커버(water tray cover)에 프로파일 스트립(12)을 결합시키기 위한 제2 결합 영역(20)을 갖는다. 이들 부분들은 예컨대, 유럽 특허 출원 2 123 497 A1에 개시되어 있으며, 앞유리에 인접한 부분이 프로파일 스트립(120)에 부착될 수 있도록 제2 결합 영역(20)의 U 형상의 또는 V 형상의 수용 영역(22)으로 래칭(latch)시키는 래칭 요소들을 갖는다.
프로파일 스트립들(12) 각각은 제1 결합 영역(16)과 제2 결합 영역(20)을 연결시키기 위한 중앙 섹션(24)을 갖는다.
프로파일 스트립(12)은 프로파일 재료(14)와 다른 재료로 제조된 추가의 기능적 섹션들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기능적 섹션들은 예컨대, 제2 결합 영역(20)을 차량 일부 상에서 지지하는 지지 섹션(26)일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제2 결합 영역(20)과 연관된 래칭 요소(28)일 수 있다. 또한, 앞유리에 대해 그리고 앞유리에 인접한 부분에 대해 단단히 밀봉된 접촉을 생성하는 역할을 하는 밀봉 요소(30)일 수 있다.
프로파일 스트립(12)은 제1 결합 영역(16)과 제2 결합 영역(20) 사이의 연장부를 따라 보강 삽입체(32)로 보강될 수 있다. 보강 삽입체 (32)는 특히, 강철, 강철 합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 프로파일된 평평한 바디(profiled flat body)이다.
보강 삽입체는 하나의 결합 영역(16 또는 20)과 단독으로 또는 독점적으로 관련될 수도 있는데, 도 9를 참조하면 보강 삽입체들(34, 36)이 예시되어 있다.
또한, 밀봉 요소(30)가 제공된 경우, 유사하게 밀봉 요소(30)가 붙어 있는 프로파일 스트립(12)의 캐리어 섹션(38)은 보강 삽입체(40)로 보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앞유리(18)가 자동차에 설치될 때, 프로파일 스트립(120)의 제1 결합 영역(16)과 서로 접하는 부분이 하부 에지 영역(42)이다. 에지 영역(42)은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외측부(44), 측면부(face)(46), 및 내측부(48)를 포함한다.
프로파일 스트립(120)의 제1 결합 영역(16)은 적어도, 앞유리(18)의 에지 영역(42)의 내측부(48)과 서로 접하는 하부 결합 세션(50)을 갖는다. 앞유리(18)의 에지 영역(42)의 측면부(46)와 서로 접하는 측면 결합 섹션(52)을 추가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도 4 및 도 9 참조).
또한, 도 9를 참조하면, 앞유리(18)의 에지 영역(42)의 외측부(44)와 서로 접하는 상부 결합 섹션(54)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결합 영역(16)에서, 프로파일 스트립들(12)은 프로파일 재료(14)가 없는 표면 섹션(58)을 갖는다. 표면 섹션(58)은 추가 요소(62)의 표면(60)에 의해 형성되거나, 그렇지 않다면 프로파일 재료(14) 대신에, 추가 요소(62)의 코팅의 표면에 의해 형성된다.
앞유리(18)의 에지 영역(42)이 제1 결합 영역(16)에 또는 그 위에 배열된 상태에서, 표면(60)은 에지 영역(42)과 마주보고 있다. 표면(60)이 하부 결합 섹션(50) 상에 제공되면, 표면(60)은 앞유리의 에지 영역(42)의 내측부(48)와 마주보게 된다(도 1 내지 6 및 도 8 참조). 표면(60)이 측면 결합 섹션(52) 상에 배열되면, 표면(60)은 앞유리(18)의 에지 영역(42)의 측면부(46)와 마주보게 된다(도 4 및 도 9 참조). 표면(60)이 상부 결합 섹션(54) 상에 배열되면(도 9 참조), 표면(60)은 앞유리(18)의 에지 영역(42)의 외측부(44)와 마주보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따른 추가 요소(62)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들(10)의 보강 삽입체들(32, 40)과는 별도로 제공되고 보강 삽입체들(32, 40)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추가 요소이다. 추가 요소(62)는 프리 표면 섹션(58)에서 단독으로 연장한다.
추가 요소(62)는 특히 평평한 평면 요소이다. 평평한 요소는 금속 재료 특히, 강철, 강철 합금,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제조된다. 추가 요소(62)는 그 자체적으로 그렇지 않으면 추가 요소(62)의 코팅이 표면(60)을 형성할 수 있다.
추가 요소(62)와 앞유리(18)의 에지 영역(42) 사이의 완전한 부착을 위해, 접착 섹션(64)이 특히 양면 접착 테이프(66)의 형태로 제공된다. 접착 테이프(66)는 서로 마주보는 접착면들 갖는다. 제1 접착면은 추가 요소(62)의 표면(60)과 서로 접하고, 제1 접착면과 대향하는 제2 접착면은 앞유리(18)의 에지 영역(42)의 내측면(48)과 서로 접한다.
프로파일 스트립(12)은 어떠한 보강 삽입체들(32, 40)도 갖지 않을 수 있다. 만약 적어도 하나의 보강 삽입체(32, 40)가 제공되면, 이러한 보강 삽입체(32 및/또는 40)는 추가 요소(62)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프로파일 스트립(12)은 별도로 제공된 추가 요소(62)를 가지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장치들은 도 4 내지 6, 도 8, 및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프로파일 스트립(12)의 재료(14)에 내장되는 보강 삽입체(32)가 제공된다(도 4 참조). 표면 섹션(58)에서, 보강 삽입체(32)의 또는 보강 삽입체(32)의 코팅의 표면(60)이 노출되며, 그에 따라 보강 삽입체(32)의 또는 보강 삽입체(32)의 코딩의 표면에는 접착 섹션(64)이 특히, 양면 접착 테이프(66)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보강 삽입체(32)의 자유 단부(68)의 상면 및 하면은 프로파일 재료(14)에 의해 덮여져 있으며, 그에 따라 보강 삽입체(32)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프로파일 스트립(12)의 프로파일 재료(14)에 고정된다. 이는 제2 결합 영역(20)을 마주보고 있는 보강 삽입체(32)의 섹션(70)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적용한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프로파일 재료(14)의 두께는 단면 방향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결합 섹션(50)의 연장부를 따라 변화한다.
유사하게, 결합 섹션(50)의 재료 두께는 변화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동시에 보강 삽입체(32)가 도 5,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추가 요소로서 채용된다.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추가 요소(62)를 형성하는 보강 삽입체(32)는 직선 평면(straight plane)을 따라 연장하며, 이 영역에서 일 측면 상에서 프로파일 재료(14)에 의해 덮여져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프로파일 재료(14)에 보강 삽입체(32)의 고정을 개선하기 위해 보강 삽입체(32)는 천공들(72)을 가지도록 제공될 수 있으며, 그 결과 프로파일 재료(14)가 보강 삽입체(32)로 침투할 가능성이 만들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천공들(72)은 프로파일 스트립(12)의 중앙 섹션(24)과 관련된다.
추가 요소를 형성하는 보강 삽입체(32)가 프로파일 스트립(12)의 재료(14)에 고정되는 다른 바람직한 방법은 도 8을 참조하면, 보강 삽입체(32)의 적어도 자유 단부(68) 및/또는 일 섹션(70)의 하면 및 상면이 프로파일 재료(14)로 덮여지는 것이다. 이 경우, 보강 삽입체(32)가 자유 단부(68)로부터 섹션(70)까지 그 전체 연장부를 따라 전체적으로 프로파일 재료(14)에 매립되지 않고, 프리 표면 섹션(58)의 영역에서 하면 상에서만 프로파일 재료(14)로 덮여 있도록 추가 요소(62)가 생성될 수 있다. 보강 삽입체(32)는 자유 단부(68)와 섹션(70) 사이의 그 연장부를 따라 상승부(elevation)를 가지며, 하면에 대향하는 보강 삽입체(32)의 상면은 프로파일 재료(14)가 없는 표면(60)을 형성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보강 삽입체(32)는 바람직하게 양면 접착 테이프(66)의 배치에 도움을 주는 영역 또는 양면 접착 테이프(66)가 접착되는 영역에서 추가 요소(62)를 형성한다.
도 9를 참조하면, 보강 삽입체(34)가 결합 섹션들(50, 52, 및/또는 54)의 전체 연장부를 따라 프로파일 재료(14)가 없는 표면(60)을 형성할 수도 있다. 그러므로, 예로서, 측면 결합 섹션(52)은 프로파일 재료(14)가 전혀 없으며, 접착 섹션(64)의 배치에 도움이 된다. 이러한 경우, 보강 삽입체(34)는 프로파일 스트립(12)의 적어도 하나의 인접 섹션에, 예컨대, 하부 결합 섹션(50) 및/또는 상부 결합 섹션(54)에 매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Claims (10)

  1. 프로파일 재료(14)로 제조되며, 자동차의 앞유리(18)의 에지 영역(42)에 대한 결합을 생성하기 위한 제1 결합 영역(16) 및 상기 앞유리(18)에 인접한 부분인 물받이 커버 형태의 구성요소에 대한 결합을 생성하기 위한 제2 결합 영역(20)을 갖는 프로파일 스트립(12)을 포함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10)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영역(16)은 상기 프로파일 재료(14)가 없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 표면 섹션(58)을 가지며,
    상기 프리 표면 섹션(58)의 적어도 일부 영역은 상기 앞유리(18)의 상기 에지 영역(42)에 대한 접착 결합을 생성하기 위한 양면 접착 테이프(66)의 형태로 접착 섹션(64)에 의해 덮여져 있고,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2)은 보강체(32,34,36,40)에 의해 보강되며,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2)의 제1 결합 영역(16)의 상기 프리 표면 섹션(58)은 금속으로 제조된 추가 요소(62)의 표면(60)에 의해 또는 상기 추가 요소(62)의 코팅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1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영역(16)은 상기 앞유리(18)의 상기 에지 영역(42)의 내측부(48)와 접하는 하부 결합 섹션(50)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리 표면 섹션(58)은 상기 하부 결합 섹션(50)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10).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영역(16)은 상기 앞유리(18)의 상기 에지 영역(42)의 외측부(44)와 접하는 상부 결합 섹션(54)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리 표면 섹션(58)은 상기 상부 결합 섹션(54)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10).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영역(16)은 상기 앞유리(18)의 상기 에지 영역(42)의 측면부(46)와 접하는 측면 결합 섹션(52)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리 표면 섹션(58)은 상기 측면 결합 섹션(52)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10).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결합 영역(20)은 상기 물받이 커버의 래칭 요소를 수용하기 위한 U 형상 또는 V 형상의 프로파일을 갖는 수용 공간(22)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10).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요소(62)는 상기 프리 표면 섹션(58)에서 단독으로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10).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요소의 상면 및 하면은 상기 추가 요소의 일부 섹션의 영역에서 프로파일 재료(14)에 의해 덮여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10).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일부 섹션은 상기 추가 요소의 자유 단부(68) 및/또는 상기 제2 결합 영역(20)을 마주보고 있는 상기 추가 요소의 섹션(70)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10).
  9.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 스트립(12)은 상기 제1 결합 영역(16)과 상기 제2 결합 영역(20)을 서로 연결하는 중앙 섹션(24)을 가지며, 상기 추가 요소는 상기 중앙 섹션(24)의 영역 내에서 천공들(72)의 형태로 개구들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10).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표면 섹션(58)은 상기 앞유리(18)의 상기 에지 영역(42)과 마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10).
KR1020197014364A 2016-03-16 2017-03-07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KR2019005743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160642.1A EP3219529B1 (de) 2016-03-16 2016-03-16 Profilleistenanordnung
EP16160642.1 2016-03-16
PCT/EP2017/055352 WO2017157726A1 (de) 2016-03-16 2017-03-07 Profilleistenanordnu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097A Division KR20180115338A (ko) 2016-03-16 2017-03-07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7438A true KR20190057438A (ko) 2019-05-28

Family

ID=5558710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097A KR20180115338A (ko) 2016-03-16 2017-03-07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KR1020197014364A KR20190057438A (ko) 2016-03-16 2017-03-07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9097A KR20180115338A (ko) 2016-03-16 2017-03-07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1) US10525808B2 (ko)
EP (1) EP3219529B1 (ko)
JP (1) JP6514833B2 (ko)
KR (2) KR20180115338A (ko)
CN (1) CN108778808B (ko)
ES (1) ES2676053T3 (ko)
MX (1) MX367464B (ko)
PL (1) PL3219529T3 (ko)
TR (1) TR201807761T4 (ko)
WO (1) WO20171577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788846B2 (ja) * 2017-08-31 2020-11-25 豊田合成株式会社 ガラスラン
DE102019127378A1 (de) * 2019-10-10 2021-04-15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Leistenanordn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DE102019007253A1 (de) 2019-10-18 2021-04-22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Elektrifizierte Leistenanordnung
MY191799A (en) * 2020-06-02 2022-07-15 Qinhuangdao Great Wall Glass Ind Co Ltd Automobile air-inlet grille sealing strip with soft hollow structure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143384B (it) * 1981-02-12 1986-10-22 Comind Spa Azienda Ages Perfezionamento ai sistemi di collegamento dei cristalli fissi di veicoli in genere particolarmente autovetture
US4505965A (en) * 1981-07-10 1985-03-19 Wolfgang Zipperle Rain protective molding for automobiles
DE3140366C2 (de) * 1981-10-10 1985-02-14 Metzeler Kautschuk GmbH, 8000 Münch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Einbauteils, bestehend aus einer Scheibe und einem Dichtungs- und Halterahmen
DE3708889A1 (de) * 1987-03-19 1988-09-29 Happich Gmbh Gebr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rofilleiste aus gummi od. dgl. sowie profilleiste
DE102005025163B4 (de) * 2005-06-01 2014-02-13 Webasto Ag Herstellungsverfahren für eine Verschlussanordnung für eine Fahrzeugöffnung
DE102008003252A1 (de) 2008-01-04 2009-07-16 Rehau Ag + Co Scheibenanordnung
DE202008006986U1 (de) 2008-05-23 2009-10-01 Elkamet Kunststofftechnik Gmbh Profilelement zum Verbinden einer Fahrzeugscheibe mit einem Wasserkasten
DE202008013133U1 (de) 2008-10-02 2010-02-25 Rehau Ag + Co Scheibenabdichtung
DE102009010015A1 (de) * 2009-02-21 2010-08-26 Henniges Automotive Gmbh & Co. Kg Autoglasscheibe mit auf den Rand aufgeklebtem Leistenteil
DE102012112674A1 (de) 2012-12-19 2014-06-26 Rehau Ag + Co Profilelement zum Anschluss eines Anbauteils an eine Fahrzeugscheib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Profilelements
DE102012112663A1 (de) 2012-12-19 2014-06-26 Rehau Ag + Co. Abdichtungsprofil zum Anschluss eines Anbauteils an eine Fahrzeugscheibe sowie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Abdichtungsprofils
DE202014106204U1 (de) * 2014-12-22 2015-03-10 Rehau Ag + Co Abdichtungsanordnung für eine Fahrzeugscheib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19529B1 (de) 2018-05-23
MX2018011007A (es) 2018-11-22
MX367464B (es) 2019-08-19
US20190016201A1 (en) 2019-01-17
ES2676053T3 (es) 2018-07-16
TR201807761T4 (tr) 2018-06-21
JP2019509931A (ja) 2019-04-11
CN108778808B (zh) 2019-07-26
WO2017157726A1 (de) 2017-09-21
JP6514833B2 (ja) 2019-05-15
PL3219529T3 (pl) 2018-10-31
US10525808B2 (en) 2020-01-07
KR20180115338A (ko) 2018-10-22
CN108778808A (zh) 2018-11-09
EP3219529A1 (de) 2017-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7438A (ko) 프로파일 스트립 장치
US7040063B2 (en) Use of a window glass comprising a profiled bead for installing it in an opening
JP5367723B2 (ja) 窓ガラス構造
EP0668178B1 (en) Structure for attachment of weather strip
JP2007513016A (ja) プラスチック製パネル
KR20180011174A (ko) 추가의 중합체 테이프를 구비한 클립 체결을 위한 프로파일링된 스트립을 포함하는 적층 글레이징 및 프로파일링된 스트립
JP2005238986A (ja) モール取付構造及びモール取付用クリップ並びにモール
US20110179628A1 (en) Method for arranging and fastening a decorative strip in the region of a motor vehicle window
EP0122720B1 (en) Sealing member
US4563141A (en) Apparatus for making an elongated composite article
US4502259A (en) Trim strip with positioning leg
US10752100B2 (en) Profile strip arrangement
US10597868B2 (en) Sealing strip for sealing joints between elements, and method for producing a sealing strip
JP2007030557A (ja) 自動車用ウエザストリップ
KR101182627B1 (ko) 부각구조와 알루미늄층으로 이루어진 박판 장식 스트립과그 제조방법
JP2000296738A (ja) 自動車用装飾モールおよびその取付構造
US20120148779A1 (en) Integrated foam tape
EP1582412B1 (en) A protective element for the bodies of commercial vehicles
JP5217678B2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のダクト構造
JP2015101272A (ja) モール
CN218703497U (zh) 汽车门槛总成
JP2673332B2 (ja) 木口被覆用縁材
JP4192758B2 (ja) 車両用アンダースポイラー
JP3238622B2 (ja) エッジ保護材
JP2018062225A (ja) 車両用ピラーガーニッシュ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