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6393A -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 Google Patents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6393A
KR20190056393A KR1020197010672A KR20197010672A KR20190056393A KR 20190056393 A KR20190056393 A KR 20190056393A KR 1020197010672 A KR1020197010672 A KR 1020197010672A KR 20197010672 A KR20197010672 A KR 20197010672A KR 20190056393 A KR20190056393 A KR 201900563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ne
sleeve
suspension device
fixture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6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리스토프 슐츠
Original Assignee
크리스토프 슐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크리스토프 슐츠 filed Critical 크리스토프 슐츠
Publication of KR201900563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63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686Plugs, i.e. elements forming interface between bone hole and implant or fastener, e.g. screw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4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with expandable anchors or anchors having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3Dow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09Instruments for applying suture anch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1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having a suture-receiving opening, e.g. lateral ope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27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having anchoring barbs or pins extending outwardly from the anchor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38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slotted, i.e. having a longitudinal slot for enhancing their elasti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with a threaded shaft, e.g. screw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01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 A61B2017/0464Suture anchors, buttons or pledgets, i.e. means for attaching sutures to bone, cartilage or soft tissue; Instruments for applying or removing suture anchors for soft tiss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56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B17/58Surgical instruments or methods for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osteosynthesis, e.g. bone plates, screws, setting implements or the like
    • A61B17/68Internal fixation devices, including fasteners and spinal fixators, even if a part thereof projects from the skin
    • A61B17/84Fasteners therefor or fasteners being internal fixation devices
    • A61B17/86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 A61B2017/8655Pins or screws or threaded wires; nuts therefor with special features for locking in the bo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eurology (AREA)
  • Rheumat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 Prostheses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체의 상측 표면(12, 32) 상에, 팽창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 보어(14)의 개구(13)를 구비하는, 헤드(11, 31) 및, 헤드(11, 31)의 저면(15, 35)에 인접하는, 뼈 내에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팽창 맞춤못(expansion dowel)으로서 설계되는, 슬리브(16, 36)를 갖는,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10, 30)에 관한 것이다.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는, 상기 헤드(11, 31)가, 슬리브(16, 36)를 지나 외향으로 돌출하는 칼라(18, 38)를 구비하고, 상기 칼라는 바람직하게, 봉합사의 부착을 위한 구멍들(19)을 구비하며 그리고, 자체의 외주면 상에, 이식물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20, 4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본 발명은, 동시적인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bone anchor and suspension device)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특히 견봉쇄골 관절(acromioclavicular joint: AC 관절)의 손상에 대한 치료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팔꿈치 관절에서 이두박근 힘줄의 찢어짐, 무릎의 십자 인대의 2차적 파열, 발목 관절에서의 인대 결합(syndesmosis)의 파열의 경우에, 다른 뼈, 인대 및 관절의 손상에 대한 치료를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에 관한 것이다.
어깨에 직접적으로 작용하는 강한 힘을 수반하는 사고, 특히 스포츠 사고가 종종, 짧게 AC 관절로 지칭되는, 견봉쇄골 관절의, 즉 견봉(acromion)과 쇄골(clavicle) 사이의 연결부의, 손상으로 이어진다. 타박상 또는 낮은 수준의 인대 찢어짐과 같은 AC 관절의 경미한 손상은, 비-수술적 조치에 의해 성공적으로 치료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더욱 심각한 손상의 경우에, 이러한 접근법은 종종, 특히, 오훼쇄골 인대들(coracoclavicular ligaments)의, 즉 쇄골과 오훼골(coracoid) 사이의 인대들(견갑골의 오훼골 프로세스)의, 완전한 찢어짐에 의해 특징지어지는 손상들, 또는 특정 골절을 수반하는 AC 관절의 손상들에서, 부적절하다. 이러한 경우에, 쇄골의 외측 단부의 수직 또는 수평 불안정성의 결과로서 영구적으로 감소된 기능으로 이어지는, 그러한 손상의 가능성이 존재한다면, 외과적 치료가 필요하다. 그러한 불안정성의 심각성의 정도는, 토씨(Tossy) 분류에 따라, 또는, 보다 정확하게, 로크우드(Rockwood) 분류에 따라, 분류된다. 따라서, 타입 III(토씨)의 또는 타입 IIIB-IV(로크우드)의 손상들이, 외과적으로 치료된다.
견봉쇄골 관절의 새로운 손상들은, 즉 외상(trauma)으로부터 2 내지 3주 미만의 기간이 경과되었을 때, 일반적으로 수작업으로 감소되며 그리고, 플레이트나 와이어들에 의해, 또는 특수 봉합사, 소위 봉합사 긴장 임플란트(suture tension implants)에 의해, 유지된다.
다른 가능한 합병증들에 부가하여, 플레이트 또는 와이어들을 동반하는 안정화는, 임플란트를 제거하기 위해, 치료의 종료 시에, 2차적 개입(intervention)이 요구된다는, 일반적인 단점을 갖는다. 대조적으로, 소위 봉합사 긴장 임플란트 또는 봉합사 고정 임플란트는, 신체 내의 제자리에 남겨질 수 있다. 이러한 봉합사 긴장 임플란트의 도움을 동반하는 쇄골의 정확한 위치의 안정화를 위해, 여러 개의 연속적인 보어 채널들 또는 구멍들이, 일반적으로 쇄골 내로 그리고 또한 오훼골 내로 양자 모두에 가공되고, 그러한 채널들을 통해, 봉합사(fastening suture)가, 당겨지며, 그리고 이어서, 제품에 의존하여, 쇄골 내의 보어 채널들의 상측 표면 상의 그리고 오훼골 내의 보어 채널들의 저면 상의, 유지 버튼들 또는 플레이트들 상에 고정된다. 만성적인 불안정성의 경우, 임플란트는, 쇄골과 오훼골 사이에 고리와 같이 배치되거나 또는 특수하게 제공된 보어 채널들 내에 스크루들에 의해 클램핑되는, 해부학적 재건을 위한, 인공 인대에 의해 또는 힘줄[예를 들어, 무릎 관절의 영역으로부터의, 반힘줄근 힘줄(semitendinosus tendon) 또는 박근 힘줄(gracilis tendon)]에 의해, 보완되어야만 한다. 양자 모두의 처치는, 최종 분석에서, 다양한 접근들이, 고정구의 위치를 테스트하기 위해, 이식물(grafts)을 당기기 위해 그리고 그것을 고정하기 위한 등, 오훼골 아래에서 이루어져야만 하기 때문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며 그리고 상응하게 합병증에 걸리기 쉽다.
이러한 현대의, 유연한 고정 및 서스펜션 방법의 수많은 단점이, 공지되어 있다. 보어 채널들의 증가된 두께 또는 증가된 개수는, 특히 오훼골에서의, 골절로 이어질 수 있다. 결과적으로, 환자들에게, 피부 아래에, 특히 쇄골의 상부에, 놓이도록 매듭을 묶음에 의해,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뼈 터널의 확대가 종종 관찰된다. 더불어, 힘줄 띠들(tendon slings)이, 뼈(쇄골 및 오훼골)를 통해 보일 수 있다. 접합부들(버튼들, 매듭들, 등)은, 뼈 껍질(bone shell)을 뚫을 수 있고, 스크루 고정구들이, 빠져 나올 수 있으며, 그리고 움직일 수 있다.
이것의 직접적인 결과는 종종, 수술 결과의 상실이며, 그리고 많은 경우에, 수술이 종종 반복되어야만 한다. 그러한 후속 수술들은, 추가적 보어들을 요구하며, 그리고 그에 따라, 더욱 더 복잡하며 그리고 그에 따라, 더욱 합병증에 걸리기 쉽다.
미국 특허출원 US 2001/051807 A1은, 특히 관절경 어깨 수술에서의, 뼈에 대한 무봉합 연조직 고정을 위한, 생체 흡수성, 삽관 가능한 팽창형 조직 고정구를 설명한다. 고정구는, 리브 형성 샤프트(ribbed shaft) 및, 연조직을 뼈에 고정하기 위해 자체의 저면에 여러 개의 미늘(barb)을 구비하는, 헤드를 갖도록 제공된다. 고정구의 샤프트는, 고정구의 말단부로부터 연장되는 종방향 슬롯에 의해, 적어도 2개의 다리로 분할된다. 고정구가 조직을 통해 그리고 뼈 내로 설치된 이후에, 맞춤못이, 종방향 슬롯들을 개방시킴에 의해 샤프트의 다리들을 축 방향으로 벌리기 위해, 삽관된 샤프트의 기단부 내로 삽입되고, 그로 인해 뼈 내에 고정구를 고정하도록 한다. US 2001/051807 A1의 조직 고정구는, 뼈의 외부에 대해 조직을 고정하기에 적합하지만, 예를 들어, 봉합 와이어 소재 및/또는 이식 조직 소재가, 쇄골 내에 제공되는 뼈 채널을 통해 가이드 되어야만 하며 그리고 뼈 고정구에 의해 고정되어야만 하는, AC-불안정성의 경우에, 고정을 위해 적합하지 않다.
동일한 제한들이, 미국 특허 US 5,782,865에 설명되는 바와 같은, 팽창형 톱니 형성 뼈 고정구를 사용할 때, 확인된다.
DE 694 00 714 T2에 대응하는, 유럽 특허출원 EP 0 611 551 A1은, 봉합사 고정구 삽입 도구와 맞물리게 되는 봉합사 고정구 조립체를 포함하는, 봉합사 고정구 설치 시스템(suture anchor installation system)을 설명한다. 봉합사 고정구 조립체는, 뼈 내의 사전 천공된 구멍 내로의 삽입을 위한 2-피스형 봉합사 고정구 및, 자체에 고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수술용 바늘을 구비하는, 적어도 하나의 봉합사를 특징으로 한다. 2-피스형 봉합사 고정구는, 셋팅 핀의 근위 이동에 대응하여 팽창 가능한 미늘 형성 다리들을 구비하는 맞물림 부재 내부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맞물리는, 셋팅 핀을 포함한다. 셋팅 핀은, 상기 핀의 측면들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2개의 봉합사 수용 슬롯을 갖도록 제공된다. 봉합사 고정구 삽입 도구는, 몸체 부분 및 말단측으로 연장되는 샤프트 부분을 구비한다. 샤프트 부분의 말단부 상의 환형 구역이, 봉합사 고정구 맞물림 부재의 다리들과 맞물린다. 샤프트 부분 내의 채널이, 봉합사를 수용하기 위해 몸체 부분 내의 채널과 정렬된다. 봉합사 고정구 삽입 도구의 몸체 부분 상에 위치하게 되는 바늘-구속 조립체들이, 봉합사에 부착되는 수술용 바늘 또는 바늘들과 맞물린다. EP 0 611 551 A1의 봉합사 고정구 설치 시스템 또한, 이식 소재 등을 적절하게 그리고 동시적으로 증대시키도록, 이식 소재를 뼈 채널들을 통해 가이드 하는데 그리고 이식 소재를 고정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해 해소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 설명된 문제점들을 갖지 않으며 그리고, 합병증에 걸리기 덜 쉬운 방식으로, 견봉쇄골 관절의 급성 및 만성 불안정성에 대한, 또한 뒤따르는 경우들에서의, 더 간단하고 더 빠른 치료를 허용하는, 다용도의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를 이용 가능하게 만드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는, 상이한 수술 기법들(관절경, 내시경, 국소-절개, 또는 절개)에서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의도된다.
이러한 기술적 과제는,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에 의해 해소된다.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유리한 개선예들이, 종속 청구항들의 대상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자체의 상측 표면 상에,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원통형의 팽창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 보어의 개구를 구비하는, 헤드 및, 상기 헤드의 저면에 인접하는, 뼈 내에 뼈 고정구를 고정하기 위한 팽창 맞춤못으로서 설계되는, 슬리브를 갖는,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로서,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는, 상기 헤드가 상기 슬리브를 지나 외향으로 돌출하는 칼라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에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칼라는, 자체의 외주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뼈 내에 이식물들 또는 봉합사들을 고정하기 위해, 팽창 맞춤못의 방식으로 뼈 내에 고정될 수 있는, 뼈 고정구들은, 다른 정형외과적 적용들로부터 공지된다. 그러나, 공지된 뼈 고정구들 중의 어느 것도, 뼈 내에 매립되는 슬리브를 지나 외향으로 돌출하며 그리고 자체의 외주면 상에 리세스를 갖도록 제공되는, 플레이트-형 칼라를 갖는 헤드를 구비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내에 제공되는 칼라는 유리하게, 뼈를 통해 하방으로 당겨지는 봉합사의 경우에, 당김에 대항하는 접합부(abutment)를 제공한다. 또한, 뼈 상에 지탱되는 칼라는,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배향이, 팽창 맞춤못-형 슬리브에 의한 고정 이전에, 정밀하게 달성되도록, 횡방향 기울어짐(lateral tilting)에 대항하여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를 안정화하는 역할을 한다. 칼라는 매우 평면형일 수 있으며, 그리고 적절한 경우, 표면에서 둥글게 말려서, 심지어, 피부 바로 아래에, 예를 들어 쇄골 상에, 놓이도록 뼈 내로 도입되는 경우에도, 환자에게 불편함을 야기하지 않는다.
중앙 보어는 바람직하게,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헤드 및 슬리브를 통해 연장되는, 연속적인 보어로서 설계된다.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를 통한 이러한 통로는 또한, 예를 들어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가, 지원 수단으로서 처음부터 적용될 수 있는, 가이드 와이어를 통해 뼈 보어 채널(bone bore channel)로 가이드되는 것을 가능하도록 한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와이어에 의해, 적절한 치수의 구멍이, 정확하게 천공될 수 있으며, 그리고 팽창 맞춤못은, 이식물과 함께 또는 이식물 없이, 정밀 맞춤 상태로 도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를 도입할 때, 그에 따라, 더 이상 내시경 또는 그 밖의 것에 의해 처치를 시각적으로 모니터링 할 필요가 절대적으로 없다. 더불어, 수술의 위험 및 비용이 개입의 지속 시간과 더불어 증가하기 때문에, 의학적 그리고 또한 재무적 관점 양자 모두에서 매우 중요한, 상당한 시간적 절약이, 존재한다.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외주면 상에 제공되는 리세스들은, 이식물이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플레이트-형 칼라에 의해 손상될 어떠한 위험도 없는 가운데, 이식물, 예를 들어 자가-힘줄 이식물(auto-tendon graft) 또는 동종-힘줄 이식물(allo-tendon graft)이, 이러한 리세스를 통해, 뼈 보어 채널 내로 가이드되며 그리고 그곳에 고정되는 것을 허용한다.
특정 적용에 의존하여, 팽창 맞춤못에 의한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고정은 이미, 확실한 접합 기능을 제공하여, 칼라가 이러한 경우들에서 단지 슬리브의 외주면을 지나 약간만 돌출하면 되도록 한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봉합사는, 뼈 보어 채널의 내벽과 슬리브의 외벽 사이에서, 슬리브의 클램핑 기능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더불어, 팽창 장치는 또한, 봉합사에 대한 고정 가능성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봉합사는 또한,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칼라에서도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칼라는, 예를 들어 감소된 견봉쇄골 관절을 안정화하도록 봉합사 긴장 임플란트를 생성하기 위해 요구됨에 따른, 봉합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을 갖는다. 이러한 종류의 여러 개의 구멍은 바람직하게,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칼라 내에 제공되며 그리고 중앙 보어의 개구를 둘러싼다. 이러한 종류의 4개의 구멍이 봉합사들을 위해 칼라 내에 제공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봉합사들을 수용하기 위한 구멍들 그리고 또한 이식물들을 위한 리세스들이 칼라 내에 제공되는, 하나의 실시예에서, 봉합사들의 고정 및 이식물의 고정은 특히 유리하게, 하나의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특수한 설계 때문에,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는, 위로부터의 단일 접근이 쇄골 그리고 또한 오훼골 양자 모두에서 봉합사들을 고정하는데 충분하도록, 견봉쇄골 관절의 안정화에서 위로부터 오훼골 또는 쇄골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더불어, 본 발명의 장치는, 단일 설계의 장치가, 특히 팽창 맞춤못으로서 장치의 슬리브를 사용할 때, 뼈 고정구로서, 또는 서스펜션 장치로서 사용될 수 있기 때문에, "동시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이다. 제1 사용 유형(고정구)은, 상향 변형(upward strain)이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상에 작용할 때, 예를 들어 장치가 AC 불안정 수술 도중에 오훼골 내의 뼈 보어 구멍 내로 삽입될 때, 바람직하다. 제2 사용 유형(서스펜션 장치)은, 하향 변형이 장치 상에 작용할 때, 예를 들어 AC 불안정 수술 도중에 쇄골의 뼈 채널 내에 놓일 때, 바람직하다. 서스펜션 장치로서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할 때, 종종 팽창 장치를 사용할 필요가 없다. 대신에,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는, 장치의 슬리브의 외경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는 내경을 갖는, 뼈 채널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들에서, 슬리브의 팽창은 종종 요구되지 않는다. 대신에, 하향 변형이 봉합사들 및/또는 이식물에 의해 가해질 때, 뼈 구멍의 내경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 장치의 헤드가, 그에 따라 장치가 뼈 채널 내로 추가로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뼈의 외측 표면 상에 접경할 것이다.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뼈 채널 내로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슬리브의 저면의 둘레 에지는, 경사질 수 있다.
봉합사들이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칼라 상에 고정됨과 더불어,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에 의해 채워지는, 오훼골 내의 단일 뼈 보어 구멍으로의 가능한 감소 때문에, 터널 확장, 드릴링, 등에 의해 야기되는 골절에 대해 실질적으로 적은 위험이 존재한다. 이는 또한, 쇄골 내로의 드릴링에 적용되고, 이때, 봉합사들은, 맞춤못과 뼈 사이에서 팽창되고, 쇄골 아래에서 매듭지어 지며, 그리고 짧아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피부 아래에서 느껴질 수 있는 고정 매듭들(fastening knots)에 의해 야기되는 자극을 경험하는, 상황을 회피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를 동반하면, 오훼골 또는 쇄골 둘레의 고리로서 이식물을 배치할 필요가 없으며 그리고 대신에, 이식물은, 봉합사들의 적용을 동반하는 하나의 단계에서, 뼈 보어 채널 또는 구멍 내에, 즉 뼈 내부에, 놓일 수 있으며,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팽창 맞춤못-형 슬리브에 의해, 뼈 보어 채널의 내벽과 슬리브의 외벽 사이에 고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식물은, 고정구의 헤드의 저면과 뼈의 표면 사이의 뼈의 상면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는, 그에 따라, 급성 AC 관절 불안정의 안정화 그리고 또한 만성 불안정의 조합되고 증대된 생물학적 (또는 비-생물학적) 안정화 양자 모두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는, 통상적인 절개 수술 기법에 의해서뿐만 아니라, 관절경, 내시경, 또는 국소-절개 수술 기법에 의해서도 또한,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를 동반하면, 합병증을 최소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드물게 합병증이 있는 경우에도, 뼈 고정구는, 원통형 팽창 장치가 중앙 보어로부터 먼저 제거될 때, 뼈 보어 채널로부터 다시 쉽게 제거될 수 있다. 더불어, 본래의 뼈 보어 채널은, 대부분의 경우에 다른 보어를 형성할 필요가 없도록, 다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헤드는, 자체의 저면 상에, 헤드의 저면과 인접한 슬리브 사이에 배열되는 융기부(ledge)를 갖도록 제공된다. 중앙 보어의 종방향 축에 수직으로 측정되는, 융기부의 직경은, 헤드의 직경보다 작으며, 따라서, 융기부는,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헤드의 저면과 슬리브 사이에, 계단-형 이음부를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슬리브의 내부 직경은, 슬리브가 원통형 팽창 장치의 도입 시 자체의 외주면을 증가시키도록, 자체의 하단부를 향해 좁아진다.
슬리브의 하단부 또는 전체로서 슬리브는, 원추형 전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요구되는 치수에 의존하여, 슬리브는, 그의 헤드 바로 이후에, 실질적으로 일정한 직경을 가지며 그리고 슬리브의 외부 직경이 자체의 하단부를 향해 좁아지는 곳인 원추형 단부 부분과 인접하게 되는, 원통형 목부를 구비할 수 있다.
하단부 및 상단부가 본 맥락에서 언급되는 경우, 하단부는, 뼈 내로 가공되는 보어 채널 내로 지향되는,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단부를 의미하는 반면,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칼라를 갖는 헤드의 상단부는, 보어 채널 상에서 지탱된다.
칼라의 영역에서 및/또는 슬리브의 영역에서,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중앙 보어는 바람직하게, 원통형 팽창 장치가 그 내부에 나사 체결될 수 있는, 암나사를 구비한다. 이 경우에, 원통형 팽창 장치는, 특히 바람직하게, 칼라 또는 슬리브 내로, 적절한 경우 가역적으로, 나사 체결되는, 스크루로서 설계된다.
자체의 하단부에서, 슬리브는, 특히 바람직하게, 슬리브의 적어도 2개의 날개를 한정하는, 적어도 2개의 종방향 슬릿을 구비한다. 원통형 팽창 장치가, 도입될 때, 예를 들어 나사 체결되어 들어갈 때, 이러한 날개들은, 외향으로 힘을 받게 되며 그리고 그에 따라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를 뼈 보어 채널 내에서 확고하게 클램핑한다. 특히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슬리브의 하단부가 4개의 날개를 갖도록, 4개의 종방향 슬릿이, 슬리브 내에 제공된다. 이러한 변형예에서, 팽창 장치의 도입의 결과로서 보어 채널 상에 작용하는 힘들이, 더욱 균일하게 분배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슬리브의 외측 표면은, 부드럽고, 즉 평평하고 주름이 없으며, 그에 따라, 예를 들어 재수술의 경우에, 본 발명의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용이한 제거 또는 교체를 허용하도록 한다. 특히 부드러운 외측 표면의 경우에, 슬리브 내에 제공되는 이웃하는 슬릿들이 상이한 길이를 갖는다면, 유리하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팽창 장치를 도입하는 것은,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가 뼈 채널 내부에 더욱 확고하게 끼워지는 것을 허용하도록, 날개들의 기울어진 외향 이동을 야기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기울어진 날개들은, 팽창 장치의 삽입 도중에,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회전을 방지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날개들은 또한, 상이한 길이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는 유리하게, 생체 적합성 재료로, 특히, 생체 적합성 금속 또는 생체 적합성 금속 합금, 생체 적합성 플라스틱 또는 생체 적합성 복합재료로 이루어진다.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는, 특히 바람직하게, 플라스틱으로, 특히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생체 적합성 플라스틱 재료로 이루어진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는, 그에 따라, 자기 공명 진단 또는 화상 처치들에서 위험을 나타내지 않는다. 더불어, 비-흡수성 재료를 사용하는 것은, 재수술의 경우에, 고정구의 추출을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일반적인 치수들은, 견봉쇄골 관절의 치료를 위해 사용될 때, 밀리미터의 범위 이내에 놓인다. 그에 따라, 슬리브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4 내지 15 mm, 바람직하게 4-10 mm이며, 그리고 그의 외부 직경은 3 내지 6 mm이다. 칼라의 높이는, 일반적으로, 1-2 mm이며, 그리고 외부 직경은, 일반적으로 4 내지 8 mm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상에 한정된 바와 같은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및 팽창 장치를 포함하는, 정형외과적 고정 시스템에 관련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르면, 팽창 장치는, 대응하는 봉합사들을 위해 칼라들 내에 구멍들을 갖는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가 사용되어야만 할 필요가 없도록, 봉합사들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할 수 있다.
팽창 장치는, 예를 들어, 못(nail)과 같이 설계될 수 있으며, 그리고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중앙 보어 내로 박히게 될 수 있다. 그러나, 팽창 장치는, 특히 바람직하게, 스크루, 특히, 각각 뼈로부터의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용이한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그러브 스크루(grub screw), 즉 두드러진 스크루 헤드를 갖지 않는 나사형성 핀, 또는 피질골 스크루(cortical screw)이다. 그러브 스크루가,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가 쇄골의 상측 표면 상에 고정될 때의 경우인, 스크루의 어떤 부분도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헤드의 상측 표면 위로 돌출하도록 의도되지 않을 때, 특히 바람직하다. 다른 변형예에서, 스크루는, 예를 들어,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가, 하단부에서, 밖으로 당김에 대한 여전히 더 큰 저항을 획득하도록 하기 위해, 팽창 맞춤못의 방식의 클램핑 기능 때문뿐만 아니라 피질골 스크루에 의해서 또한, 대향하는 피질층 내에 고정되는, 부가적인 이점을 갖는,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가 오훼골 내에 고정될 때, 피질골 스크루 또는 다공질 스크루(cancellous screw)일 수 있다. 다른 옵션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를, 팽창 요소로서 통상적인 스크루 고정구들과, 조합하는 것이 또한 고려될 수 있으며, 이는, 더 넓은 사용 범위를 허용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시스템은, 더불어, 보어 구멍들의 형성 및 직접적인 시각적 확인 없는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적용을 허용하는, 가이드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 시스템의 팽창 장치는, 바람직하게, 티타늄 또는 PEEK로 이루어지며, 그리고 중실형 또는 중공형(삽관형)일 수 있다. 팽창 장치로서 역할을 하는 일반적인 스크류들은, 비록 이것이 확장된 지시에 관하여 그리고 개별적인 임플란트의 전체 크기에 관련하여 가변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하지만, 2.7 mm 내지 3.5 mm의 직경을 갖는다. 손목에서의 고정구는, 예를 들어, 무릎 관절에서의 고정구가 감당되어야만 하는 더 큰 힘 때문에 더 강하게 이루어져야만 함에 따라, 무릎 관절에서의 고정구보다 훨씬 더 작다. 그러브 스크루들은 일반적으로, 최대 15mm의 길이이지만 본 발명의 장치 너머로 연장되지 않아야 하는 반면, 피질골 스크루들은 일반적으로, 개별적인 크기에 의존하여, 더 길다.
사용되는 봉합사들은 바람직하게, 예를 들어,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의 복수-가닥 코어를 폴리에스테르 및 UHMWPE의 꼬인 슬리브(braided sleeve)와 함께 갖는, 봉합사인, Arthrex 사로부터의 FiberWire®와 같은, 가변 직경의 초-강력 봉합 재료로 이루어진다. AC 수술에서, 최대 #5(USP 지정) 또는 더욱 두꺼운 봉합사 직경들이, 본 발명의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와 더불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들에 도시되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기초하여, 이하에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사시 투시 평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도 1의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사시 투시 저면도를 도시하며;
도 3은 도 1 및 도 2로부터의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비-투시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4는 도 1 내지 도 3으로부터의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비-투시 평면도를 도시하며;
도 5는 도 1 내지 도 4로부터의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변형예에 대한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6은 90만큼 회전된 도 5의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다른 측면도를 도시하며;
도 7은, 도 1 내지 도 4의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도움을 동반하는, 급성 견봉쇄골 관절 불안정의 안정화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하고;
도 8은, 도 1 내지 도 4의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도움을 동반하는, 만성 견봉쇄골 관절 불안정의 안정화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하며;
도 9는 오훼골 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고정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하며; 그리고
도 10은 도 5 및 도 6의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를 사용하는 도 7과 유사한 도면을 도시한다.
도 1에,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제1 실시예가, 전체적으로 참조 부호 '10'으로 지시된다. 이하에서, 간결함을 위해, 본 발명의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는, 간단히 "뼈 고정구"로 지칭될 것이다.
뼈 고정구(10)는, 헤드(11)를 구비하고, 헤드의 상측 표면(12) 상에서, 뼈 고정구(10)의 종방향 축을 따라 연장되는 중앙 보어(14)의 개구(13)가 식별 가능하다. 헤드(11)의 저면(15)은, 뼈 내에 뼈 고정구를 결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그리고 슬리브와 뼈 보어 사이에 이식물 또는 봉합사들을 고정하기 위한 팽창 맞춤못으로서 설계되는, 슬리브(16)와 인접하게 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팽창 장치(도 1에 도시되지 않음)가, 개구(13)를 통해 보어(14) 내로 삽입되고, 슬리브(16)를, 적어도 그의 하단부(17)에서, 밖으로 확장시키며, 그리고 그로 인해, 뼈 고정구를 뼈 내에 뚫려 있는 보어 채널 또는 구멍 내에 고정한다. 헤드(11)는 더불어, 슬리브(16)를 지나 외향으로 돌출하는, 즉 자체의 외주면 상의 적어도 일부 위치에서 슬리브(16)의 외부 직경보다 더 큰 외부 직경을 갖는, 플레이트-형 칼라(18)를 구비한다. 슬리브를 지나 돌출하는 헤드(11)의 칼라(18)의 저면(15)은, 그에 따라, 그에 의해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가, 뼈의 보어 채널을 둘러싸는 뼈 표면 상에서, 지탱될 수 있는 것인, 지탱 표면을 형성한다. 슬리브(16)를 지나 외향으로 돌출하는 칼라(18) 내에, 봉합사들이 쇄골과 같은 뼈의 후속적인 안정화를 위해 배열될 수 있으며 그리고 이식물이 고정구에 고정될 수 있는 곳인, 구멍들(19)이, 형성된다. 더불어, 칼라(18)의 외주면은, 서로 반대편에 놓이며 그리고 그러한 구역에서 칼라의 외부 직경은 감소하지만 여전히 적어도 슬리브(16)의 외부 직경과 동일한, 2개의 오목 리세스(20)를 갖도록 제공된다. 리세스들(20)은, 이후에 뼈 보어 채널 내로 가이드되며 그리고, 팽창 맞춤못으로서 작용하는 슬리브(16)에 의해 고정될 수 있거나, 또는 뼈 표면 상에 고정되도록 고정구에 나사 체결되어 고정되는, 이식물들의, 예를 들어 힘줄의, 후속적인 통과를 가능하게 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중앙 보어(14)는, 뼈 고정구를 완전히 관통한다. 달리 표현하면, 헤드(11)의 상측 표면(12) 상의 위쪽 개구(13)에 부가하여, 보어(14)는, 슬리브(16)의 저면(21) 상에 아래쪽 개구(22)를 또한 형성한다. 보어(14)의 내부 직경은, 자체의 상단부로부터 자체의 하단부로 좁아진다. 달리 표현하면, 도시된 예에서, 위쪽 개구(13)의 직경은, 아래쪽 개구(22)의 직경보다 더 크다. 팽창 장치의 삽입에 의해, 슬리브(16)의 외주면은, 그에 따라, 팽창 장치가 보어(14) 내로 더 멀리 도입될수록, 크기가 증가된다. 자체의 하단부(17)에서, 슬리브(16) 자체가 또한, 원추형으로 좁아지고, 즉 그의 외부 직경이, 감소한다.
스크루가 종종, 팽창 장치로서 사용되며, 그리고 보어(14) 내로 나사 체결될 수 있다. 스크루가 뼈 고정구보다 더 단단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경우, 나사 체결되어 들어감에 따라, 보어(14)의 내측 표면 내로 대응하는 나사를 절삭하는, 자동 태핑 스크루가, 사용될 수 있다. 칼라(18) 및/또는 슬리브(16)의 영역에서, 보어는 바람직하게, 팽창 장치 내에서 나사 체결하기 쉽도록 하는, 앞서 도입되는 나사를 구비한다. 간결함을 위해, 이러한 암나사는, 도시된 예에서 예시되지 않는다.
뼈 고정구의 도시된 실시예에서, 4개의 종방향 슬릿(23)이, 슬리브(16)의 하단부(17)의 영역 내에 형성되며, 그리고 이들은, 슬리브(16)의 하단부(17)를, 보어(14) 내로의 팽창 장치의 삽입 시, 외향으로 접힐 수 있는(팽창 날개들) 그리고 그로 인해 뼈 보어 채널 내에서의 뼈 고정구의 필요한 고정을 보장하는, 4개의 날개(24)로 분할한다.
도 2는,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동일한 요소들을 지시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도 1로부터의 뼈 고정구(10)를 다른 사시도로 도시한다.
도 3의 측면도는, 특히, 종방향 슬릿(23) 및 2개의 날개(24)를 특히 분명하게 도시한다. 여기에서 역시, 동일한 참조 부호들이,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다시 사용된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은 동일한 참조 부호들은, 도 4의 평면도에서 다시 한번 사용된다. 도 4는, 특히, 위쪽 개구(13)가 아래쪽 개구(22)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는 것을,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도 6의 도면이 도 5의 도면에 대해 90도만큼 회전되는 가운데, 도 1 내지 도 4의 뼈 고정구의 변형예에 대한 측면도들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4의 뼈 고정구의 특징부들에 대응하는, 또는 유사한 기능들을 실행하는, 도 5 및 도 6의 뼈 고정구의 특징부들은, 20만큼 증가된 동일한 참조 부호들로 지시되며 그리고 다시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제2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참조 부호 '30'으로 지시된다. 뼈 고정구(30)는, 헤드(31)를 구비하고, 헤드의 상측 표면(32) 상에 중앙 보어의 개구가 위치한다(개구 및 보어는 도 5 및 도 6의 도면들에서 가시적이지 않음). 헤드(31)의 저면(35) 상에, 융기부(45)가 제공되며, 그리고 융기부(45)의 저면(46)은, 또한 뼈 내에 뼈 고정구를 결과적으로 고정하기 위한 그리고 슬리브와 뼈 보어 사이에 이식물 또는 봉합사들을 고정하기 위한 팽창 맞춤못으로서 설계되는, 슬리브(36)와 인접하게 된다. 융기부(45)의 직경은, 헤드(31)의 직경보다 더 작으며, 따라서 헤드(31)의 칼라(38)는, 융기부(45) 너머로 횡방향으로 연장된다. 그에 따라, 뼈 고정구(30)가 그 내부로 삽입되는 뼈 보어 채널 또는 구멍의 폭에 의존하여, 뼈 고정구는, 뼈의 외측 표면 상에서, 융기부(45)의 저면(46)에 의해, 또는 헤드(31)의 칼라(38)의 저면(35)에 의해, 안착될 수 있다. 첫 번째 경우에, 칼라(38)의 저면(35) 및 뼈의 외측 표면 사이에 제공되는 계단-형 간극은, 예를 들어, 이식 소재를 손상시킬 위험 없이, 이식물이 뼈 고정구 둘레에서 가이드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5 및 도 6으로부터 취해질 수 있는 것과 같이, 슬리브 내에 제공되는 인접하는 슬릿들(43a, 43b)은, 뼈 보어 채널 내부에 뼈 고정구를 더욱 확고하게 끼우기 위해 팽창 장치의 삽입 시 날개들(44)의 기울어진 외향 이동을 야기하도록, 상이한 길이를 갖는다.
도 1 내지 도 4의 뼈 고정구와 유사하게, 도 5 및 도 6의 뼈 고정구의 헤드(31)는, 자체의 외주면 상에 리세스들(40)을 갖도록 제공된다. 유사하게, 융기부(45)의 외주면은, 적절하게 정렬되는 리세스들(47)을 갖도록 제공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슬리브(36)의 저면(41)은, 추가로, 그루브(48)를 갖도록 제공된다. 그에 따라, 이식 소재가, 리세스들(40, 47)을 통해 하방으로 가이드되고, 그루브(48)를 통해 뼈 고정구의 반대편 측부로 통과되며, 그리고 뼈 고정구의 반대편 측부에 제공되는 상이한 리세스들(40, 47)을 통해 상방으로 가이드될 수 있다.
도 7은, 견봉(101)을 쇄골(102)에 연결하는 견봉쇄골 관절(100)의 급성 불안정을 안정화하기 위한,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뼈 고정구의 사용을 도시하는 개략도이다. 쇄골(102)과 오훼골(103) 사이의 인대들의 파열에 뒤따라, 견봉 및 쇄골의 간헐적 안정화가, 관절 관통 키르쉬너 와이어(K-와이어)(110)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나중에, 봉합사 고정이, 예를 들어, 오훼골(103) 내로 뚫리게 되는, 반드시 연속적이어야만 하는 것은 아닌, 뼈 보어 구멍(108)에 의해, 유효해진다. 뼈 고정구(10c)가, 위로부터 이러한 보어 내로 삽입된다. 보어 구멍(108)의 깊이는, 대략 슬리브 길이에 대응하며, 말하자면 대략 6 mm이다. 유사하게, 연속적인 뼈 보어 채널들(106a, 106b)이, 쇄골(102) 내로 뚫리게 된다. 봉합사들(104)이, 뼈 고정구(10c) 상에 고정되며, 그리고 쇄골 내의 보어들(106a, 106b)을 통해, 개별적으로 쇄골(102)의 보어 채널들(106a, 106b) 내로 위로부터 삽입되는, 뼈 고정구들(10a, 10b)의 헤드들로 가이드된다. 봉합사들(104)은, 개별적으로 고정구들(10a, 10b)의 헤드 위로 가이드되며, 그리고 고정구들(10a, 10b)의 반대편 측면들 상에서 다시 채널들(106a, 106b)을 통해 하방으로 가이드된다. 마지막으로, 봉합사들은, 쇄골이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는 그리고 자체의 단부들이 매듭(111)으로 함께 매듭지어 지도록 하는, 길이로 맞춰진다. 또한 도 7로부터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의 설계로 인해, 고정 봉합사들 또는 이식 소재를 함께 묶기 위해 요구되는 매듭(또는 매듭들)은, 쇄골 아래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리고 그에 따라, 어께 구역에서 환자의 피부를 자극하지 않는다. 예에서, 뼈 고정구들(10a, 10b)의 헤드들(11a, 11b)은, 쇄골(102)의 위쪽 표면 상에 안착되고, 따라서 고정구들(10a, 10b) 상에 봉합사들(104)에 의해 가해지는 하향 변형은, 고정구들을 제자리에 유지하기에 충분하다. 그에 따라, 이러한 실시예에서, 팽창이, 뼈 고정구들(10a, 10b)에 대해 요구되지 않는다. 그러나, 상향 변형이, 뼈 고정구(10c) 상에 가해진다. 그에 따라, 팽창 장치가, 오훼골(103) 내에 뼈 고정구를 고정하도록, 뼈 고정구(10c)를 팽창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뼈 고정구(10c)는, 피질골 스크루(109)가 팽창 장치로서 사용되는 경우, 더욱 더 확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질골 스크루(109)는, 보어 구멍(108)의 바닥 너머로 대부분의 오훼골 내로 연장된다.
도 8은 만성 견봉쇄골 관절 불안정의 안정화에 대한 개략도를 도시한다. 처치는 실질적으로, 도 7의 처치에 대응한다. 봉합사들(104)에 의한 고정에 부가하여, 이 경우에, 추가적인 안정화가, 개별적으로 쇄골(102) 및 오훼골(103) 내로 삽입되어 있는 뼈 고정구들(10a, 10b, 10c)에 의해 뼈 보어들 내에 고정되는, 마찬가지로 개략적으로 도시되는 이식물(105)을 통해, 예를 들어, 자가-힘줄 또는 동종-힘줄을 통해, 유효화되었다. 제시된 예에서, 참조 부호 '107'로 개략적으로 지시되는, 그러브 스크루들이, 피질골 스크루(109)가 뼈 고정구(10c)를 팽창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가운데, 뼈 고정구들(10a, 10b)을 팽창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도 7 및 도 8의 예들에서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동일한 뼈 고정구가, 봉합사들(104) 및/또는 이식물(105)에 의해 가해지는 변형이 하방으로 작용하는, 쇄골(102)(즉, 뼈 고정구들(10a, 10b))에서, 또는 상방으로 작용하는 변형을 동반하는 오훼골(103)(뼈 고정구(10c))에서,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 오훼골(103) 내에서의 본 발명에 따른 뼈 고정구(10c)의 도입 및 고정이, 3개의 단계로 개략적으로 도시된다. 먼저, 단계 (a)에서, 비-연속적인 뼈 보어 구멍(108)이, 오훼골(103) 내로 가공된다. 이어서, 단계 (b)에서, 뼈 고정구(10c)가, 그의 헤드 상에 고정되는 봉합사들(104)과 함께 그리고 이식물들로 역할을 하는 힘줄(105)과 함께, 뼈 보어 구멍(108) 내로 도입된다. 단계 (c)에서, 피질골 스크루(109)가, 뼈 고정구(10c)의 날개들(24)이 외향으로 벌어지도록 그리고 뼈 보어 구멍(108) 내에 뼈 고정구를 고정하도록, 뼈 고정구(10c) 내로 나사 체결된다. 도시된 예에서, 피질골 스크루(109)는, 뼈 고정구의 슬리브보다 더 길고, 그에 따라 자체의 하단부에 의해 오훼골 내로 그리고 대향하는 피질층 밖으로 돌출한다. 뼈 고정구(10c)는 그에 따라, 팽창 날개들(24)에 의해 그리고 또한 피질골 스크루(109)에 의해, 이중으로 고정된다.
도 10은 도 8과 유사하지만 도 5 및 도 6의 뼈 고정구(30)를 사용하는 도면을 도시한다. 도시된 실시예로부터 확인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뼈 고정구들(30a, 30b)은, 융기부(45)의 외경보다 크지만 헤드(31)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갖는, 쇄골(102) 내에 제공되는 뼈 채널들(106) 내로 삽입된다. 결과적으로, 뼈 고정구들(30a, 30b)의 융기부(45)는, 뼈 채널(106) 내로 삽입된다. 대조적으로, 오훼골(103) 내에 제공되는 뼈 보어 구멍(108)의 내경은, 융기부(45)의 외경보다 작으며, 따라서, 융기부(45)는, 오훼골의 외측 표면 상에 안착된다. 제시된 예에서, 힘줄(105)이, 뼈 보어 구멍(108) 내로 삽입되지 않는 대신, 헤드(31)의 저면과 오훼골(103)의 외측 표면 사이에 고정된다.
10, 10a, 10b: 제1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11, 11a, 11b: 헤드 12: 헤드의 상측 표면
13: 위쪽 개구 14: 보어
15: 헤드의 저면 16: 슬리브
17: 슬리브의 하단부 18: 칼라
19: 구멍 20: 리세스
21: 슬리브의 저면 22: 아래쪽 개구
23: 종방향 슬릿 24: 슬리브의 날개
30, 30a, 30b, 30c: 제2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31: 헤드 32: 헤드의 상측 표면
35: 헤드의 저면 36: 슬리브
37: 슬리브의 하단부 38: 칼라
40: 헤드 내의 리세스 41: 슬리브의 저면
42: 아래쪽 개구 43a, 43b: 종방향 슬릿들
44: 슬리브의 날개 45: 융기부
46: 융기부의 저면 47: 융기부 내의 리세스
48: 슬리브의 저면 내의 그루브 49: 경사진 에지
100: 견봉쇄골 관절 101: 어깨 높이/견봉
102: 쇄골 103: 오훼골
104: 봉합사 105: 이식물/힘줄
106a, 106b: 쇄골 내의 뼈 채널 107: 팽창 장치(그러브 스크루)
108: 오훼골 내의 뼈 보어 구멍 109: 팽창 장치(피질골 스크루)
110: 관절 관통 키르쉬너 와이어(K-와이어)
111: 매듭

Claims (13)

  1.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10, 30)로서,
    자체의 상측 표면(12, 32) 상에, 팽창 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중앙 보어(14)의 개구(13)를 구비하는, 헤드(11, 31), 및
    뼈 내에 상기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팽창 맞춤못으로서 설계되는 슬리브(16, 36)로서, 상기 헤드(11, 31)의 저면(15, 35)에 인접하는 것인, 슬리브
    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11, 31)는, 상기 슬리브(16, 36)를 지나 외향으로 돌출하는 칼라(18, 38)를 구비하고, 상기 칼라(18, 36)는, 자체의 외주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리세스(20, 40)를 구비하는 것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칼라(18, 38)는, 봉합사를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구멍(19, 39)을 구비하는 것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31)는, 자체의 저면(35) 상에, 상기 헤드(31)의 저면(35)과 인접한 상기 슬리브(36) 사이에 배열되는, 융기부(45)를 갖도록 제공되는 것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4. 제 1항 내지 제 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슬리브(16, 36)의 내부 직경은, 슬리브의 하단부(17, 37)를 향해 좁아지는 것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6, 36)의 하단부(17, 37)는, 원추형 전체 형상을 갖는 것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어(14, 34)는, 상기 칼라(18, 38)의 영역 및/또는 상기 슬리브(16, 36)의 영역 내에 암나사를 구비하는 것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7. 제 1항 내지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16, 36)는, 자체의 하단부(17, 37)에, 상기 슬리브(16, 36)의 적어도 2개의 날개(24, 44)를 한정하는, 적어도 2개의 종방향 슬릿(23; 43a, 43b)을 구비하는 것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8. 제 1항 내지 제 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10, 30)는, 생체 적합성 재료로, 특히, 생체 적합성 금속 또는 금속 합금, 생체 적합성 플라스틱 또는 생체 적합성 복합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는,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10. 정형외과적 고정 시스템으로서,
    제 1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10, 30) 및 팽창 장치(107, 109)를 포함하는 것인, 정형외과적 고정 시스템.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장치(107, 109)는, 봉합사들(104)을 고정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인, 정형외과적 고정 시스템.
  12. 제 10항 또는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 장치(107, 109)는, 스크루, 특히 그러브 스크루(107) 또는 피질골 스크루(109)인 것인, 정형외과적 고정 시스템.
  13. 제 10항 내지 제 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시스템은, 가이드 와이어를 더 포함하는 것인, 정형외과적 고정 시스템.
KR1020197010672A 2016-09-16 2017-09-11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KR201900563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117490.4 2016-09-16
DE102016117490.4A DE102016117490A1 (de) 2016-09-16 2016-09-16 Orthopädischer Knochenanker
PCT/EP2017/072722 WO2018050589A1 (en) 2016-09-16 2017-09-11 Orthopaedic bone anchor and suspens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6393A true KR20190056393A (ko) 2019-05-24

Family

ID=59930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672A KR20190056393A (ko) 2016-09-16 2017-09-11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369360B2 (ko)
EP (1) EP3512437B1 (ko)
JP (1) JP2019528877A (ko)
KR (1) KR20190056393A (ko)
CN (1) CN109715082A (ko)
AU (1) AU2017326418A1 (ko)
CA (1) CA3035840A1 (ko)
DE (1) DE102016117490A1 (ko)
WO (1) WO201805058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167961A1 (en) * 2020-11-30 2022-06-02 Chad M. FERGUSON Dynamic tensioning devices for orthopedic compression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84468B (en) * 1980-09-25 1984-06-06 South African Inventions Surgical implant
US5354298A (en) 1991-03-22 1994-10-11 United States Surgical Corporation Suture anchor installation system
US5380334A (en) * 1993-02-17 1995-01-10 Smith & Nephew Dyonics, Inc. Soft tissue anchors and systems for implantation
WO1997007743A1 (en) * 1995-08-25 1997-03-06 Grotz R Thomas Stabilizer for human joints
US5725541A (en) * 1996-01-22 1998-03-10 The Anspach Effort, Inc. Soft tissue fastener device
FR2753368B1 (fr) 1996-09-13 1999-01-08 Chauvin Jean Luc Cage d'osteosynthese expansive
US6099530A (en) * 1998-04-09 2000-08-08 Smith & Nephew, Inc. Soft-tissue intra-tunnel fixation device
US6575976B2 (en) 2000-06-12 2003-06-10 Arthrex, Inc. Expandable tissue anchor
AU2003217285A1 (en) 2002-02-25 2003-09-09 Graphion Technologies Usa, Llc Expandable fastener with compressive grips
US8128670B2 (en) * 2005-04-15 2012-03-06 Biodynamics Llc Surgical expansion fasteners
JP4251197B2 (ja) 2005-11-29 2009-04-08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ロボット制御装置及びロボットシステム
US8771352B2 (en) * 2011-05-17 2014-07-08 Biomet Sports Medicine,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tibial fixation of an ACL graft
US20100262185A1 (en) * 2009-04-10 2010-10-14 Suspension Orthopaedic Solutions,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aperture fixation by securing flexible material with a knotless fixation device
US10092284B2 (en) * 2011-06-23 2018-10-09 DePuy Synthes Products, Inc. Suture anchor system and method
WO2013071234A1 (en) 2011-11-11 2013-05-16 Venture Md Transosseous attachment instrument and anchor
US9259217B2 (en) * 2012-01-03 2016-02-16 Biomet Manufacturing, Llc Suture Button
JP6342332B2 (ja) * 2012-01-24 2018-06-13 シンセス・ゲーエムベーハーSynthes GmbH 圧迫ねじシステム
EP2676621B1 (en) * 2012-06-18 2015-04-22 Biedermann Technologies GmbH & Co. KG Bone Anch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216456A1 (en) 2019-07-18
BR112019004802A2 (pt) 2019-06-04
JP2019528877A (ja) 2019-10-17
EP3512437A1 (en) 2019-07-24
US11369360B2 (en) 2022-06-28
CA3035840A1 (en) 2018-03-22
EP3512437B1 (en) 2021-04-28
DE102016117490A1 (de) 2018-03-22
WO2018050589A1 (en) 2018-03-22
AU2017326418A1 (en) 2019-03-14
CN109715082A (zh) 2019-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178989B2 (en) Surgical suture system, tissue restraints, and tissue anchors
US1012379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ttaching the labrum to the acetabulum including the provision and use of a novel suture anchor system
EP0705567B1 (en) Expanding suture anchor
CA2383809C (en) Suture anchor
EP1386585B1 (en) Suture anchor system
US6273890B1 (en) Intra-articular tendon sling fixation screw
JP4346882B2 (ja) 吸収性の骨アンカー
US8845686B2 (en) Surgical suture system
US9060762B2 (en) Reattachment of tissue to base tissue
US20060161159A1 (en) PEEK ribbed suture anchor
US20140128921A1 (en) Bone plate with suture holes for soft tissue reattachments on the diaphyseal region of the plate
US20030088272A1 (en) Tissue repair system
US20080281422A1 (en) Arthroscopic knotless technique for collagen patch fixation
JP2002525157A (ja) 生体吸収可能な外科用ネジ及びワッシャ装置
JP2011512947A (ja) 腱−骨の修復のための固定可能縫合糸アンカープレートおよび方法
JP2004351205A (ja) 組織固定装置
KR20190056393A (ko) 정형외과적 뼈 고정구 겸 서스펜션 장치
US1042645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attaching the labrum to the acetabulum, including the provision and use of a novel suture anchor system
BR112019004802B1 (pt) Dispositivo de ancoragem e suspensão ósseas ortopédico, e, sistema de fixação ortopédico
JP2015500685A (ja) 靱帯ネジ取付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