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5427A -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 Google Patents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5427A
KR20190055427A KR1020170152131A KR20170152131A KR20190055427A KR 20190055427 A KR20190055427 A KR 20190055427A KR 1020170152131 A KR1020170152131 A KR 1020170152131A KR 20170152131 A KR20170152131 A KR 20170152131A KR 20190055427 A KR20190055427 A KR 2019005542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con
gateway
signal
mobil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21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순구
정철오
Original Assignee
박순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순구 filed Critical 박순구
Priority to KR10201701521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5427A/ko
Publication of KR201900554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542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Fixing By Use Of Radio Wave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분산 배치되어 상호 간에 비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다수의 비콘 게이트웨이를 통해 소정 범위의 통신 서비스 커버리지를 형성 후 해당 통신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추적대상의 현재 위치정보를 비교적 정확하게 서비스 요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미아찾기, 차량 추적, 병원이나 산업 현장 등에서의 특정 장비 위치 파악 등 위치 추적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은, 이동형 비콘이 그 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콘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단계와, 분산 설치된 다수의 비콘 게이트웨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비콘 게이트웨이에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가 그 식별정보를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에 포함시켜 통신망을 통해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가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의 전송 신호로부터 비콘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식별정보에 따라 비콘 게이트웨이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가 검출된 비콘 게이트웨이의 위치정보를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에 비콘 신호를 무선 송출한 해당 이동형 비콘의 식별정보와 연계시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형 비콘의 현재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서비스 요청 단말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의 전송 신호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식별정보와 연계된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를 최종적으로 수신한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의 위치정보를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POSITION TRACKING METHOD AND SYSTEM USING BEACON NETWORK}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분산 배치되어 상호 간에 비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다수의 비콘 게이트웨이를 통해 소정 범위의 통신 서비스 커버리지를 형성 후 해당 통신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추적대상의 현재 위치정보를 비교적 정확하게 서비스 요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미아찾기, 차량 추적, 병원이나 산업 현장 등에서의 특정 장비 위치 파악 등 위치 추적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 가능한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자 기기의 제조 기술 및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 등으로 인해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노트북 컴퓨터 등 휴대형 컴퓨터를 사용하는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추세에 발맞춰 해당 기기들을 통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받으려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경향은 최근 보다 편리한 생활을 영위코자 하거나 보다 효율적인 업무 처리를 원하는 추세에 따라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예를 들면, 최근 홈 네트워크 기반의 유비쿼터스 시스템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데, 이러한 홈 네트워크 기반 유비쿼터스 시스템을 통해 제공될 수 있는 서비스 형태로써, 거주자의 움직임에 따라 자동으로 가전제품의 전원이 온/오프 되거나, 거주자가 노인 등 가족과 떨어져 홀로 지내는 경우 해당 거주자의 움직임을 추적하여 불의의 사고가 발생한 경우 이를 가족이나 구급 센터에 자동으로 연락되게 하는 형태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시스템을 구현하려면 물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추적하는 장치가 갖추어져야 하는데, 현재 물체의 위치를 추적하는 일반적인 기술은 센서에 의해 물체에 대한 역학적 상태 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기초로 물체의 위치를 추적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센서를 통해 감지되는 물체에 대한 역학적 상태 정보에는 잡음이 포함되는 경우가 많아, 물체의 위치를 정확하게 추적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또한 최근들어 위성을 이용한 위치확인시스템(GPS:Global Positioning System)이나 무선인식기술(RFID: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을 이용하여 위치를 계산하는 기술 등이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GPS 정보는 오차 범위가 다소 크기 때문에 위치 측정 결과의 정확성을 보장받기 어려운 측면이 있고, 또한 무선인식기술은 태그를 부착한 대상 객체를 셋 이상의 리더기에서 동시에 인식하여 각 리더기와 태그 간의 거리를 측정 후 이를 삼각측량함으로써 해당 대상 객체의 위치를 추적하는 것이므로, 태그의 위치 추적을 위해 반드시 셋 이상의 리더기로부터 태그가 인식되어야 하고 따라서 태그가 세 리더기를 통한 특정 리딩 영역을 벗어날 경우 태그의 위치 추적이 불가능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084798호(2011.11.21.공고),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한국 공개특허 제10-2011-0071408호(2011.06.29.공개), “비콘 기반의 관심 이동체 위치추적 방법”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분산 배치되는 동시에 각각의 위치정보가 원거리의 서버에 사전 저장된 비콘 게이트웨이 및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비콘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이동형 비콘을 통해 해당 이동형 비콘이 장착된 추적 대상의 현재 위치정보가 비교적 정확히 획득되어 해당 이동형 비콘 및 그를 장착한 추적 대상의 위치를 확인코자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도록 하는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분산 배치되어 상호 간에 비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다수의 비콘 게이트웨이를 통해 소정 범위의 통신 서비스 커버리지를 형성 후 해당 통신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추적대상의 현재 위치정보를 비교적 정확하게 서비스 요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미아찾기, 차량 추적, 병원이나 산업 현장 등에서의 특정 장비 위치 파악 등 위치 추적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되어 비교적 정확한 위치추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은, 이동형 비콘이 그 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콘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단계와, 분산 설치된 다수의 비콘 게이트웨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비콘 게이트웨이에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와,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가 그 식별정보를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에 포함시켜 통신망을 통해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가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의 전송 신호로부터 비콘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식별정보에 따라 비콘 게이트웨이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가 검출된 비콘 게이트웨이의 위치정보를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에 비콘 신호를 무선 송출한 해당 이동형 비콘의 식별정보와 연계시켜 저장하는 단계와, 상기 이동형 비콘의 현재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서비스 요청 단말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와,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의 전송 신호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식별정보와 연계된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를 최종적으로 수신한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의 위치정보를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형 비콘이 그 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콘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별로 각 비콘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는 단계와,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상기 이동형 비콘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단계와,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상기 이동형 비콘의 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는 단계가 각 단계의 순서에 관계없이 선행될 수 있고, 상기 이동형 비콘의 현재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서비스 요청 단말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에는,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가 그 식별정보를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시키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가 그 식별정보를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에 포함시켜 통신망을 통해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에는,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가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대한 신호 전송시마다 전송되는 신호에 전송 시 현재시간의 정보를 포함시키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의 전송 신호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식별정보와 연계된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를 최종적으로 수신한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의 위치정보를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에는,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사전 설정되거나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 설정되는 기준에 따라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의 위치정보가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의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신호를 전송한 최종 시간으로부터 역순으로 복수의 위치정보가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에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산 설치된 다수의 비콘 게이트웨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비콘 게이트웨이에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에는,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들이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망 구조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를 수신한 비콘 게이트웨이의 송출 신호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른 비콘 게이트웨이를 통해 무선 중계된 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에 전송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망 구조로 연결된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들에 의해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가 무선 중계되는 과정은,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 게이트웨이 망을 통해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가 무선 중계되는 과정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망 구조로 연결된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들에 의해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가 무선 중계되는 과정은,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비콘 게이트웨이 망을 통해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가 무선 중계되는 과정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시스템은, 추적 대상에 부착되어 상기 추적 대상과 함께 이동되고 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콘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이동형 비콘과,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 수신에 따른 해당 신호에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며, 분산 설치되는 비콘 게이트웨이와, 상기 이동형 비콘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에 전송 후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의 전송에 따른 결과로써 상기 이동형 비콘의 현재 위치정보를 외부의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는 서비스 요청 단말기와,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가 각각의 비콘 게이트웨이별로 매핑되어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그와 연계되는 상기 이동형 비콘의 식별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고,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서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 및 이동형 비콘의 식별정보를 각각 검출 후 검출된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에 따라 매핑되어 저장된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위치정보를 해당 이동형 비콘과 연계하여 저장하며,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의 전송 시 해당 이동형 비콘의 현재 위치정보로써 해당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를 최종 수신한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의 위치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에 전송하는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형 비콘은 악세사리형 또는 카드형의 몸체에 비콘 태그가 부착된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 수신에 따른 해당 신호의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대한 전송 시마다 해당 신호에 그 전송 시의 현재 시간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는 다수의 비콘 게이트웨이가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되는 망 형태로 이루어져 어느 하나의 비콘 게이트웨이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신호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른 비콘 게이트웨이를 통해 무선 중계되어 통신망을 통해 상기 비콘 서비스 서버에 전송될 수 있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분산 배치되는 동시에 각각의 위치정보가 원거리의 서버에 사전 저장된 비콘 게이트웨이 및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비콘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이동형 비콘을 통해 해당 이동형 비콘이 장착된 추적 대상의 현재 위치정보가 비교적 정확히 획득되어 해당 이동형 비콘 및 그를 장착한 추적 대상의 위치를 확인코자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분산 배치되어 상호 간에 비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다수의 비콘 게이트웨이를 통해 소정 범위의 통신 서비스 커버리지를 형성 후 해당 통신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추적대상의 현재 위치정보를 비교적 정확하게 서비스 요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미아찾기, 차량 추적, 병원이나 산업 현장 등에서의 특정 장비 위치 파악 등 위치 추적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되어 비교적 정확한 위치추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비콘 게이트웨이별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가 각 비콘 게이트웨이별로 매핑되어 저장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이동형 비콘 및 그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서비스요청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은, 단계(S110)에서, 이동형 비콘(110)이 그 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콘 신호를 무선 송출한다.
단계(S120)에서, 비콘 게이트웨이(120)가 이동형 비콘(110)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여기서 비콘 게이트웨이(120)는 복수로써 분산 설치된다. 따라서 이동형 비콘(110)의 비콘 신호는 분산 설치된 다수의 비콘 게이트웨이(120) 중 해당 이동형 비콘(110)의 비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반경 내의 비콘 게이트웨이(120)를 통해 수신되며, 이때 이동형 비콘(110)의 비콘 신호를 수신하는 비콘 게이트웨이(120)는 하나일 수 있고 경우에 따라 둘 이상일 수도 있다.
또한 단계(S120)에서, 비콘 게이트웨이(120)들이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망 구조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짐에 따라, 이동형 비콘(110)의 비콘 신호를 수신한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송출 신호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른 비콘 게이트웨이(120)를 통해 무선 중계된 후 통신망을 통해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전송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비콘 게이트웨이(120)들이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망 구조로 연결됨에 있어서, 각각의 비콘 게이트웨이(120)들이 유선을 통해 망 구조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 예에서는 비콘 게이트웨이(120)들이 블루투스 기반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망 구조로 연결되고, 이에 따라 이동형 비콘(110)의 비콘 신호가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 게이트웨이 망을 통해 무선 중계된 후 통신망을 통해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전송되는 것을 예로 하였다. 또한 이렇게 이동형 비콘(110)의 비콘 신호를 무선 중계하기 위한 블루투스 기반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은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기반인 것일 수 있다.
단계(S130)에서, 이동형 비콘(110)의 비콘 신호를 수신한 비콘 게이트웨이(120)는 비콘 신호의 수신에 따른 해당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전송하되, 이 과정에서 비콘 게이트웨이(120)는 그 식별정보를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대한 전송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여기서, 비콘 게이트웨이(120)는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대한 신호 전송 시마다 전송되는 신호에 전송 시 현재시간의 정보를 포함시키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단계(S140)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비콘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서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식별정보를 검출 후 이렇게 검출되는 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위치정보를 검출한다. 즉, 단계(S110) 이전에,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비콘 게이트웨이(120)별로 각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는 단계가 선행된다. 이에 따라, 단계(S140)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전송 신호로부터 검출되는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식별정보에 따라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위치정보를 검출한다.
그리고 도 2는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비콘 게이트웨이(120)별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가 각 비콘 게이트웨이(120)별로 매핑되어 저장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폰(150)을 통해 비콘 게이트웨이(120)별 위치정보가 획득되어 이렇게 획득된 위치정보가 스마트폰(150)을 통해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전송되어 저장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비콘 게이트웨이(120)별 위치정보가 획득되어 이렇게 획득된 위치정보가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제공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전자기기 및 그 운용 기술이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또한, 스마트폰(15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을 운용하는 측의 관리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일 것이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210)에서, 스마트폰(150)이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위치를 지도상에서 파악하며, 또한 스마트폰(150)은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설정값을 생성하여 등록한다.
단계(S220)에서, 스마트폰(150)은 통신망을 통해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접속하여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ID를 등록한다.
단계(S230)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스마트폰(150)으로부터 전송된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ID가 정확하게 전송되었는지 스마트폰(150)으로부터 확인받는다.
단계(S240)에서, 스마트폰(150)은 단계(S210)에서 획득된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위치정보 및 단계(S210)에서 생성한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설정값을 통신망을 통해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전송한다.
단계(S250)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단계(S240)을 통해 전송된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위치정보 및 설정값을 각각 저장하여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120)를 등록시킨다.
단계(S260)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스마트폰(150)에 전송한다.
그리고 상술한 단계(S210) 내지 단계(S260)의 과정이 비콘 게이트웨이(120)별로 이루어져 모든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대한 등록이 이루어진다.
다시 도 1로 돌아가서, 단계(S150)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단계(S140)을 통해 검출되는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위치정보를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120)에 비콘 신호를 송출한 이동형 비콘(110)의 식별정보와 연계시켜 저장한다. 즉, 단계(S150)을 통해 검출되는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위치정보는 이동형 비콘(110)의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정보로써 기능한다. 또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단계(S140)을 통해 검출되는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위치정보를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120)에 비콘 신호를 송출한 이동형 비콘(110)의 식별정보와 연계시켜 저장하는 과정에서 단계(S130)의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신호 전송 시의 현재시간 정보를 함께 저장한다.
단계(S160)에서,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로부터 이동형 비콘(110)의 현재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통신망을 통해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전송된다. 그리고 단계(S160)에서,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는 그 식별정보를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대한 전송 신호에 포함시켜 전송한다.
단계(S170)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의 전송 신호로부터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의 식별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의 식별정보와 연계된 이동형 비콘(110)의 비콘 신호를 최종적으로 수신한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위치정보를 검출한다.
단계(S180)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단계(S170)을 통해 검출된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위치정보를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한다. 즉,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에서 요청한 이동형 비콘(110)의 위치정보를 해당 이동형 비콘(110)의 비콘 신호를 최종 수신한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위치정보를 통해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단계(S180)에는,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사전 설정되거나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를 통해 실시간으로 설정되는 기준에 따라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위치정보가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신호를 전송한 최종 시간으로부터 역순으로 복수의 위치정보가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에 전송되는 과정이 포함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의 사용자는 이동형 비콘(110)의 현재 위치로부터 이전의 이동동선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단계(110) 내지 단계(180)의 진행을 위해서, 단계(S110)의 이동형 비콘(110)이 그 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콘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단계 이전에,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이동형 비콘(110) 및 그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및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의 식별정보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이동형 비콘(110)의 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는 단계가 각 단계의 순서에 관계없이 선행될 수 있다.
이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먼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이동형 비콘 및 그 사용자의 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 예에서는 스마트폰(150)을 통해 이동형 비콘 및 그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등록되는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동형 비콘(110) 및 그 사용자의 식별정보가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제공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전자기기 및 그 운용 기술이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계(S310)에서, 스마트폰(150)을 통해 이동형 비콘의 ID가 통신망을 통해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전송된다.
단계(S320)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스마트폰(150)으로부터 전송된 이동형 비콘의 ID가 정확하게 전송되었는지 스마트폰(150)으로부터 확인받는다.
단계(S330)에서, 스마트폰(150)을 통해 이동형 비콘(110)의 사용자 ID 및 해당 이동형 비콘(110)의 정보가 통신망을 통해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전송된다.
단계(S340)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스마트폰(150)을 통해 전송된 이동형 비콘(110)의 사용자 ID 및 이동형 비콘(110)의 정보를 저장하여 해당 이동형 비콘(110) 및 사용자의 등록을 완료한다.
단계(S350)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이동형 비콘(110) 및 그 사용자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스마트폰(150)에 전송한다.
다음은 도 4를 참조하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서비스요청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과정을 보인 흐름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 예에서는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가 스마트폰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는 태블릿 PC나 노트북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도 있으며, 또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통신망을 통해 접속하여 식별정보 등의 정보 제공을 통한 등록 후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이동형 비콘(110)에 대한 실시간 위치정보를 수신 후 수신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단말기가 사용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먼저, 단계(S410)에서,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를 통해 사용자 ID가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전송되어 등록된다.
단계(S420)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ID가 정확하게 전송되었는지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로부터 확인받는다.
단계(S430)에서,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를 통해 사용자의 개인정보가 전송된다.
단계(S440)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를 통해 전송된 사용자의 개인정보를 저장하여 등록한다.
단계(S450)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의 등록이 완료되었음을 알리는 신호를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에 전송한다.
그리고 단계(S410)에서는,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를 통해 사용자의 ID 및 해당 사용자와 연계되기 위한 이동형 비콘(110)의 식별정보가 함께 전송되고, 이에 따라 단계(S440)에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사용자의 ID 및 해당 사용자의 개인정보 그리고 해당 사용자와 연계되기 위한 이동형 비콘(110)의 식별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시스템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시스템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시스템은 이동형 비콘(110), 비콘 게이트웨이(120),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동형 비콘(110)은 추적 대상에 부착되어 상기 추적 대상과 함께 이동되는 것으로서, 여기서 추적 대상이라 함은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의 사용자가 필요 시 현재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대상을 말하며, 이러한 추적 대상으로는 사람 및 애완동물 그리고 차량 및 각종 장비 등 각종 생명체 및 유형의 물체 등을 포함하는 포괄적인 개념이다. 그리고 이동형 비콘(110)은 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콘 신호를 무선 송출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이동형 비콘(110)의 비콘 신호가 블루투스 기반의 신호이며, 특히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신호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는 배터리의 수명에 거의 영향을 끼치지 않는 저전력의 장점이 있는바, 이러한 특성 등을 고려하여 이동형 비콘(110)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로써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기반의 신호를 사용한 것일 뿐, 이동형 비콘(110)에서 송출되는 비콘 신호로는 다양한 종류의 신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이동형 비콘(110)이 악세사리형 또는 카드형의 몸체에 비콘 태그가 부착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콘 게이트웨이(120)는 이동형 비콘(110)의 비콘 신호 수신에 따른 해당 신호에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통신망을 통해 비콘 서비스 서버(130)에 전송한다. 여기서, 비콘 게이트웨이(120)는 이동형 비콘(110)의 비콘 신호 수신에 따른 해당 신호의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대한 전송 시마다 해당 신호에 그 전송 시의 현재 시간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비콘 게이트웨이(120)는 다수의 비콘 게이트웨이(120)가 분산 설치되는 것으로서,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설치 숫자 및 이에 기반한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통신 범위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시스템의 서비스 커버리지가 정해질 것이다.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는 이동형 비콘(110)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에 전송하고, 이러한 서비스 요청 신호의 전송 결과로써 이동형 비콘(110)의 현재 위치정보를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는다.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가 각각의 비콘 게이트웨이(120)별로 매핑되어 저장되는 동시에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의 식별정보 및 그와 연계되는 이동형 비콘(110)의 식별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된다. 또한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비콘 게이트웨이(120)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서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식별정보 및 이동형 비콘(110)의 식별정보를 각각 검출 후 검출된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식별정보에 따라 매핑되어 저장된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위치정보를 해당 이동형 비콘(110)과 연계하여 저장한다.
이에 따라,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130)는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로부터 서비스 요청 신호의 전송 시 해당 이동형 비콘(110)의 현재 위치정보로써 해당 이동형 비콘(110)의 비콘 신호를 최종 수신한 비콘 게이트웨이(120)의 위치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서비스 요청 단말기(140)에 전송한다.
한편, 비콘 게이트웨이는 다수의 비콘 게이트웨이가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되는 망 형태로 이루어져 어느 하나의 비콘 게이트웨이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신호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른 비콘 게이트웨이를 통해 무선 중계되어 통신망을 통해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전송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은, 분산 배치되는 동시에 각각의 위치정보가 원거리의 서버에 사전 저장된 비콘 게이트웨이 및 자유롭게 이동하면서 비콘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이동형 비콘을 통해 해당 이동형 비콘이 장착된 추적 대상의 현재 위치정보가 비교적 정확히 획득되어 해당 이동형 비콘 및 그를 장착한 추적 대상의 위치를 확인코자하는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게 한다.
또한 분산 배치되어 상호 간에 비콘 신호의 송수신이 가능한 다수의 비콘 게이트웨이를 통해 소정 범위의 통신 서비스 커버리지를 형성 후 해당 통신 서비스 커버리지 내에 위치한 추적대상의 현재 위치정보를 비교적 정확하게 서비스 요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어, 미아찾기, 차량 추적, 병원이나 산업 현장 등에서의 특정 장비 위치 파악 등 위치 추적을 목적으로 하는 다양한 서비스에 적용되어 비교적 정확한 위치추적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0 : 이동형 비콘 120 : 비콘 게이트웨이
130 :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 140 : 서비스 요청 단말기
150 : 스마트폰 160 : AP

Claims (11)

  1. 이동형 비콘이 그 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콘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단계;
    분산 설치된 다수의 비콘 게이트웨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비콘 게이트웨이에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단계;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가 그 식별정보를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에 포함시켜 통신망을 통해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가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의 전송 신호로부터 비콘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식별정보에 따라 비콘 게이트웨이의 위치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가 검출된 비콘 게이트웨이의 위치정보를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에 비콘 신호를 무선 송출한 해당 이동형 비콘의 식별정보와 연계시켜 저장하는 단계;
    상기 이동형 비콘의 현재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서비스 요청 단말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의 전송 신호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식별정보와 연계된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를 최종적으로 수신한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의 위치정보를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비콘이 그 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콘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별로 각 비콘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는 단계;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상기 이동형 비콘의 식별정보가 저장되는 단계;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의 식별정보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상기 이동형 비콘의 식별정보와 매핑되어 저장되는 단계가 각 단계의 순서에 관계없이 선행되며,
    상기 이동형 비콘의 현재 위치정보를 요청하는 신호가 서비스 요청 단말기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전송되는 단계에는,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가 그 식별정보를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신호에 포함시키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가 그 식별정보를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에 포함시켜 통신망을 통해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전송하는 단계에는,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가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대한 신호 전송시마다 전송되는 신호에 전송 시 현재시간의 정보를 포함시키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가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의 전송 신호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의 식별정보를 검출 후 검출된 식별정보와 연계된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를 최종적으로 수신한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의 위치정보를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에 통신망을 통해 전송하는 단계에는,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사전 설정되거나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를 통해 실시간 설정되는 기준에 따라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의 위치정보가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의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신호를 전송한 최종 시간으로부터 역순으로 복수의 위치정보가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에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산 설치된 다수의 비콘 게이트웨이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비콘 게이트웨이에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가 수신되는 단계에는,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들이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망 구조로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를 수신한 비콘 게이트웨이의 송출 신호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른 비콘 게이트웨이를 통해 무선 중계된 후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에 전송되는 과정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망 구조로 연결된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들에 의해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가 무선 중계되는 과정은, 블루투스 기반의 비콘 게이트웨이 망을 통해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가 무선 중계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망 구조로 연결된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들에 의해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가 무선 중계되는 과정은,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비콘 게이트웨이 망을 통해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가 무선 중계되는 과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8. 추적 대상에 부착되어 상기 추적 대상과 함께 이동되고 식별정보가 포함된 비콘 신호를 무선 송출하는 이동형 비콘;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 수신에 따른 해당 신호에 식별정보를 포함시켜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에 전송하며, 분산 설치되는 비콘 게이트웨이;
    상기 이동형 비콘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서비스 요청 신호를 통신망을 통해 외부의 서버에 전송 후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의 전송에 따른 결과로써 상기 이동형 비콘의 현재 위치정보를 외부의 서버로부터 통신망을 통해 제공받는 서비스 요청 단말기;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 및 위치정보가 각각의 비콘 게이트웨이별로 매핑되어 저장되는 동시에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의 식별정보 및 그와 연계되는 상기 이동형 비콘의 식별정보가 매핑되어 저장되고,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로부터 전송되는 신호에서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 및 이동형 비콘의 식별정보를 각각 검출 후 검출된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의 식별정보에 따라 매핑되어 저장된 해당 비콘 게이트웨이의 위치정보를 검출하여 검출된 위치정보를 해당 이동형 비콘과 연계하여 저장하며,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로부터 상기 서비스 요청 신호의 전송 시 해당 이동형 비콘의 현재 위치정보로써 해당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를 최종 수신한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의 위치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상기 서비스 요청 단말기에 전송하는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형 비콘은 악세사리형 또는 카드형의 몸체에 비콘 태그가 부착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시스템.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는 상기 이동형 비콘의 비콘 신호 수신에 따른 해당 신호의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대한 전송 시마다 해당 신호에 그 전송 시의 현재 시간정보를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시스템.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게이트웨이는 다수의 비콘 게이트웨이가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BLE, Bluetooth Low Energy) 기반의 근거리 통신 프로토콜을 통해 연결되는 망 형태로 이루어져 어느 하나의 비콘 게이트웨이로부터 무선 송출되는 신호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다른 비콘 게이트웨이를 통해 무선 중계되어 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치추적 서비스 서버에 전송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시스템.
KR1020170152131A 2017-11-15 2017-11-15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KR2019005542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131A KR20190055427A (ko) 2017-11-15 2017-11-15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2131A KR20190055427A (ko) 2017-11-15 2017-11-15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5427A true KR20190055427A (ko) 2019-05-23

Family

ID=666811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2131A KR20190055427A (ko) 2017-11-15 2017-11-15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5427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801B1 (ko) 2019-11-06 2021-04-13 (주)인사이트테크 비콘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비콘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
KR20210062155A (ko) * 2019-11-21 2021-05-31 (주)비이인터렉티브 비콘 신호를 이용한 이동체의 감지 장치
KR20220002079A (ko)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대림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현장 관리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71408A (ko) 2009-12-21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콘 기반의 관심 이동체 위치추적 방법
KR101084798B1 (ko) 2009-07-08 2011-11-21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4798B1 (ko) 2009-07-08 2011-11-21 삼성전기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위치 추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71408A (ko) 2009-12-21 2011-06-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비콘 기반의 관심 이동체 위치추적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9801B1 (ko) 2019-11-06 2021-04-13 (주)인사이트테크 비콘을 이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및 비콘을 이용한 위치 추적 방법
KR20210062155A (ko) * 2019-11-21 2021-05-31 (주)비이인터렉티브 비콘 신호를 이용한 이동체의 감지 장치
KR20220002079A (ko) * 2020-06-30 2022-01-06 주식회사 대림 건설현장용 가설통신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설현장 관리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3794B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system and related operating methods
US1103743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monitored individual violation instruction
US7689001B2 (en) Method for recognizing location using built-in camera and device thereof
US20110291886A1 (en) method for marking locations of associated peripheral devices
US11089438B2 (en) Locating tracking device by user-guided trilateration
US20150327214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wer Efficient Tracking
US2013021741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location of wireless access point
KR100511555B1 (ko) 알에프아이디(rfid)를 이용한 객체 위치 인식 장치 및그 방법
JP2005189225A (ja) 位置識別子コードの構造とこれを用いた位置情報の獲得方法及びその位置基盤サービスシステム
EP3432553A1 (en) Method and system for positioning a beacon device
EP3092830B2 (en) Feedback in a positioning system
KR101628265B1 (ko) 블루투스 비콘을 활용한 콜 서비스 시스템
KR20190055427A (ko) 비콘 네트워크를 이용한 위치추적 서비스 방법
US201901742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cating a Device
WO2018221515A1 (ja) 位置測定用の端末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システム
TWI580989B (zh) 接取點、定位系統以及其定位方法
US11412348B2 (en) Electronic devices with location coordinates obtained from mobile devices
JP2004297334A (ja) 位置情報測定端末装置、および無線タグによる位置情報測定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EP3373025A1 (en) System for creating radio wave state map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190141663A1 (en) Portable-device-locating system that uses room-level motion sensors and rssi measurements to determine precise room-location
JP2007194801A (ja) 端末位置情報の統合システム
JP2017228952A (ja) 携帯通信端末、携帯通信端末の位置特定方法、プログラム
KR101831250B1 (ko) 고정단말과 이동단말을 이용한 위치기반서비스 운용 시스템 및 그 방법
Callaghan et al. Internal location based services using wireless sensor networks and RFID technology
JP6508579B1 (ja) 捜索支援システム、及び管理装置、発信装置、中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