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4183A - 잉크가 주입되고 매립된 폴리머 구성요소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잉크가 주입되고 매립된 폴리머 구성요소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4183A
KR20190054183A KR1020197013720A KR20197013720A KR20190054183A KR 20190054183 A KR20190054183 A KR 20190054183A KR 1020197013720 A KR1020197013720 A KR 1020197013720A KR 20197013720 A KR20197013720 A KR 20197013720A KR 20190054183 A KR20190054183 A KR 201900541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needle
polymeric component
bladder element
pre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3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4259B1 (ko
Inventor
더빈 에이 제임스
Original Assignee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filed Critical 나이키 이노베이트 씨.브이.
Publication of KR201900541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41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42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42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95/00Shoe-finishing machines
    • A43D95/14Shoe-finishing machines incorporating marking, printing, or embossing apparatu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27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from a material having special colour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A43B1/0072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made at least partially of transparent or translucent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14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 constructive form
    • A43B13/18Resilient soles
    • A43B13/20Pneumatic soles filled with a compressible fluid, e.g. air, ga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00Machines for cutting, ornamenting, marking or otherwise working up shoe part blanks
    • A43D8/16Ornamentation
    • A43D8/22Ornamentation by embossing or prin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3/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 B41J3/407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or mark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constructed for marking on special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1/00Marking textile materials; Marking in combination with metering or inspecting
    • D06H1/003Marking textile materials; Marking in combination with metering or inspecting by passing a needle through the layers, e.g. with a marking fluid flowing through the needl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1/00Marking textile materials; Marking in combination with metering or inspecting
    • D06H1/02Marking by printing or analogous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3/04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Copolymers of ethylene
    • B29K2023/086EVOH, i.e. ethylene vinyl alcohol copolym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1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moulded material or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 B29K2105/0085Co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479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variation in thickness
    • Y10T428/24612Composite web or sheet
    • Y10T428/2462Composite web or sheet with partial filling of valleys on outer surfa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628Nonplanar uniform thickness materi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802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coating, impregnation or bond [e.g., artwork, printing, retouched photograph, etc.]
    • Y10T428/24851Intermediate layer is discontinuous or differential
    • Y10T428/24868Translucent outer layer
    • Y10T428/24876Intermediate layer contains particulate material [e.g., pigment, et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신발류 물품(12)과 같은 물품은 제1 표면, 제2 표면, 및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의 두께를 포함한다. 물품은 잉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의 폴리머 구성요소 내에 매립되도록, 제1 표면을 통해 상기 두께 미만인 예정된 깊이로 폴리머 구성요소 내로 주입된다. 폴리머 구성요소는 다수의 층을 포함한다. 잉크는 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층 내에 매립된다. 물품을 제조하기 위한 방법은 잉크가 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층 내에 매립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에 있도록, 제1 표면을 통해 상기 두께 미만인 예정된 깊이로 폴리머 구성요소 내로 잉크를 주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잉크가 주입되고 매립된 폴리머 구성요소 및 그 제조 방법{POLYMERIC COMPONENT WITH INJECTED, EMBEDDED I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본 발명은 신발류 물품(article of footwear)용과 같은 폴리머 구성요소 및 폴리머 구성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신발류 물품, 운동복, 스포츠 장비, 및 운동에 관련된 다른 구성요소는 종종 폴리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제조업자는 때때로 폴리머 구성요소의 표면 상에 인쇄하는 것 또는 폴리머 구성요소에 그래픽 이미지를 부착하는 것 등에 의해 폴리머 구성요소 상에 디자인, 로고(logo), 또는 다른 그래픽 이미지를 포함한다. 폴리머 구성요소의 사용 수명 전체에 걸쳐 그래픽 이미지의 내구성을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신발류 물품과 같은 물품은 제1 표면, 제2 표면, 및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의 두께를 갖는 폴리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물품은 잉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에서 폴리머 구성요소 내에 매립되도록, 제1 표면을 통해 상기 두께 미만인 예정된 깊이로 폴리머 구성요소 내로 주입된 잉크를 갖는다. 폴리머 구성요소는 다수의 층을 포함한다. 잉크는 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층 내에 매립된다. 잉크가 이 방식으로 주입된 상태로, 잉크에 의해 제공된 그래픽 이미지는 내구성이 있고, 구성요소의 외부면이 닳게 될 때에도 제거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교시의 일 양태에서, 폴리머 구성요소는 실질적으로 투명 재료일 수도 있고, 잉크는 그래픽 이미지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폴리머 구성요소 내에 주입될 수도 있다. 일 예에서, 잉크는 색상을 가질 수도 있어, 잉크에 의해 형성된 채색 그래픽 이미지를 폴리머 구성요소에서 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다수의 색상의 잉크가 사용된다.
폴리머 구성요소의 다수의 층 중 하나의 층은 캐비티 내에 보유된 유체에 대해 불투과성인 배리어층일 수도 있다. 배리어층은, 배리어층이 유체에 대해 불투과성으로 유지되고 주입된 잉크에 의해 또는 잉크를 주입하는 프로세스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예정된 깊이 이상의 깊이로 폴리머 구성요소 내에 위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폴리머 구성요소의 다수의 층은 제1 표면을 형성하는 제1 층 및 제2 표면을 형성하는 제2 층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배리어층은 제1 층과 제2 층 사이에 있을 수도 있다. 제1 층의 두께는 적어도 잉크가 주입되는 예정된 깊이만큼 크다. 이에 따라, 잉크는 배리어층 내로 주입되지 않고, 잉크를 주입하는 데 사용된 니들은 배리어층을 관통하거나 손상시키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층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이고, 배리어층은 에틸렌 및 비닐 알코올의 코폴리머이다.
폴리머 구성요소는 신발류 물품의 구성요소일 수도 있지만, 이것으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폴리머 구성요소는 벽의 제2 표면에 의해 경계 형성된 내부 캐비티를 밀봉하는 블래더(bladder) 요소와 같은, 신발류 물품의 블래더 요소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블래더 요소는 내부 캐비티 내에 유체를 보유하는 유체 충전 블래더 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블래더 요소의 내부 캐비티 내에 보유된 "유체"는 질소 또는 공기와 같은 기체이다. 이와 같이, "유체 충전 블래더 요소"는 질소 또는 공기와 같은 기체로 충전된 블래더 요소이다. 대안적으로, 폴리머 구성요소는 신발류 물품의 다른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폴리머 구성요소는 제1 표면으로부터 그리고 폴리머 구성요소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하는 천공 구멍을 가질 수도 있다. 천공 구멍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잉크로 충전될 수도 있다. 천공 구멍은 잉크를 주입하는 주입 니들에 의해, 주입 니들에 의한 잉크의 주입에 앞서 폴리머 구성요소를 천공하는 천공 니들에 의해, 또는 양자 모두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천공 구멍은 제1 표면으로부터 그리고 폴리머 구성요소를 통해 부분적으로 연장한다. 예를 들어, 배리어층을 갖는 실시예에서, 천공 구멍은 배리어층 내로 연장하지 않는다. 천공 구멍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주입된 잉크로 충전된다. 잉크는 천공 구멍 내에서 완전히 건조되고 제1 표면으로 연장하지 않을 수도 있고, 주입시에 초기에 제1 표면 상으로 천공 구멍 외부로 연장할 수 있고, 제1 표면으로부터 와이핑될 수 있다.
잉크는 폴리머 구성요소의 만곡부 내로, 폴리머 구성요소의 실질적으로 편평부 내로, 또는 양자 모두로 주입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잉크가 폴리머 구성요소의 상이한 영역에서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폴리머 구성요소의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로 연장하는 깊이로 폴리머 구성요소 내에 매립되도록 폴리머 구성요소의 상이한 영역 내에 잉크를 주입함으로써, 하나 이상의 부가의 그래픽 이미지가 제공될 수도 있다.
신발류 물품은 만곡된 외부면을 갖는 제1 층, 만곡된 내부면을 갖는 제2 층, 및 제1 층과 제2 층 사이의 적어도 하나의 배리어층을 갖는 폴리머 블래더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폴리머 블래더 요소는 만곡된 내부면에 의해 경계 형성된 내부 캐비티를 밀봉한다. 배리어층은 캐비티 내에 수용된 유체에 대해 불투과성이다. 잉크는, 잉크가 폴리머 구성요소 내에 그래픽 이미지를 제공하도록 그리고 배리어층의 불투과성이 잉크의 주입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도록 배리어층 내로 연장하지 않는 예정된 깊이로 만곡된 외부면과 배리어층 사이에서 제1 층 내에 주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배리어층은 교번하는 폴리우레탄의 층과, 에틸렌 및 비닐 알코올의 코폴리머를 포함하는 층을 갖는 층상 멤브레인이다. 비한정적인 일 예에서, 폴리머 구성요소는 0.065 인치 이상의 두께를 갖고, 잉크의 깊이는 적어도 0.015 인치이다.
물품 제조 방법은, 다수의 층을 포함하고 제1 표면, 제2 표면, 및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의 두께를 갖는 폴리머 구성요소 내로 잉크를 주입하는 것을 포함한다. 주입은, 잉크가 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층 내에 매립되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1 표면과 제2 표면 사이에 있도록 하는 상기 두께 미만인 예정된 깊이에서 제1 표면을 통해 이루어진다.
물품 제조 방법은, 니들이 폴리머 구성요소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도록 폴리머 구성요소 내로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삽입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잉크는 이어서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통해 폴리머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 내로 폴리머 구성요소 내로 주입된다. 잉크는 폴리머 구성요소의 부분 내의 그래픽 이미지로서 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층 내에 매립될 수도 있다.
선택적으로, 니들의 삽입 속도는 제어된 속도 또는 예정된 속도일 수도 있다. 니들의 삽입은 폴리머 구성요소에 대한 니들의 제어된 압력 또는 예정된 압력으로 행해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니들로부터 잉크의 유량은 제어된 유량 또는 예정된 유량일 수도 있다.
물품 제조 방법은 폴리머 구성요소 내에 예정된 패턴을 천공하는 것과, 그 후에 예정된 패턴을 천공한 후에 잉크를 주입하는 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삽입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잉크를 주입하는 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니들은 천공된 예정된 패턴 내에 삽입될 수도 있다. 다른 비한정적인 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니들은 제1 직경을 가질 수도 있고,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삽입하기 전의 예정된 패턴의 천공은 제1 직경보다 큰 제2 직경을 갖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니들을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잉크를 주입하는 데 사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니들은 잉크 등을 주입할 때 그리고 예정된 패턴 등에 따라 폴리머 구성요소를 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폴리머 구성요소 내의 천공 개구는 적어도 하나의 잉크로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충전된다. 물품 제조 방법은 잔여 잉크가 단지 천공 개구 내에만 있도록 폴리머 구성요소의 표면으로부터 임의의 잉크를 와이핑 제거할 수도 있다.
이 물품 제조 방법 하에서, 다수의 색상의 잉크가 단일의 또는 다수의 그래픽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주입될 수 있고, 다수의 색상은 예를 들어 동일한 니들에 의해 순차적으로, 또는 예를 들어 폴리머 구성요소의 상이한 부분에서 상이한 니들에 의해 동시에 주입될 수도 있다.
폴리머 구성요소가 블래더 요소인 실시예에서, 물품 제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삽입하기 전 또는 후에 공기 또는 질소와 같은 유체로 블래더 요소를 팽창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품 제조 방법은 제어기의 타이머 등을 통해, 잉크를 주입한 후에 예정된 잉크 건조 시간이 경과되었는지를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물품 제조 방법은 예정된 잉크 건조 시간이 경과된 후에 폴리머 구성요소를 이동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잉크는 이어서 폴리머 구성요소가 이동된 후에 동일한 또는 상이한 니들을 통해 폴리머 구성요소의 상이한 영역에서 폴리머 구성요소 내로 주입될 수 있다.
물품 제조 방법은 잉크가 주입되는 동안, 지그로 폴리머 구성요소를 유지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기는 이어서 잉크가 주입된 후에 예정된 잉크 건조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폴리머 구성요소는 단지 예정된 잉크 건조 시간이 경과된 후에만 지그로부터 제거된다.
물품 제조 방법은 폴리머 구성요소가 신발류 물품용 블래더 요소인 실시예에서와 같이, 폴리머 구성요소를 열성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블래더 요소는 몰드 조립체 내에서 열성형될 수도 있다. 물품 제조 방법 하에서, 블래더 요소가 열성형된 후에 예정된 냉각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제어기에 의해 결정될 수도 있다. 열성형된 블래더 요소는 이어서 예정된 냉각 시간이 경과된 후에 몰드 조립체로부터 제거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니들은 블래더 요소 내에 삽입될 수도 있고, 블래더 요소가 지그 내에 배치될 때 등에 잉크가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통해 주입된다.
폴리머 구성요소 상에 그래픽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가 지지 프레임을 포함할 수도 있다. 폴리머 구성요소를 유지하도록 구성된 지그는 지지 프레임에 연결될 수도 있다. 니들이 지지 프레임에 의해 작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폴리머 구성요소를 천공하고 폴리머 구성요소 내로 잉크를 주입하도록 이동 가능하다. 잉크는, 폴리머 구성요소가 지그로 유지될 때에 폴리머 구성요소 상에 그래픽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예정된 깊이로 주입된다. 부가의 니들이 프레임에 의해 작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폴리머 구성요소를 천공하고 폴리머 구성요소 내로 잉크를 주입하여 폴리머 구성요소가 지그로 유지될 때에 폴리머 구성요소 상에 부가의 그래픽 이미지를 형성하도록 이동 가능할 수도 있다.
장치는 제어기 및 제어기와 니들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액추에이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제어기는, 폴리머 구성요소 내로의 니들의 삽입 속도와 폴리머 구성요소 내로의 니들의 삽입 압력 중 적어도 하나를 설정하는 저장된 알고리즘을 가질 수도 있다. 제어기의 저장된 알고리즘은 니들이 폴리머 구성요소를 천공하는 예정된 패턴을 포함할 수도 있다.
장치는 잉크가 그로부터 니들로 공급되는 니들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된 잉크 소스를 포함할 수도 있다. 유동 밸브가 잉크 소스로부터 니들을 통과하는 잉크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작동 가능할 수도 있다. 유동 밸브는 제어기에 의해 제어될 수도 있다.
도 1은 그래픽 이미지를 갖는 신발류 물품용 폴리머 블래더 요소의 실시예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2는 그래픽 이미지를 형성하게 하기 위해 블래더 요소의 만곡부 내로 잉크를 주입하는 니들의 도 1의 라인 2-2에서 취한 개략 파단 부분 단면도이다.
도 3은 블래더 요소의 그래픽 이미지를 위한 예정된 패턴의 윤곽을 천공하기 위해 로봇 아암에 의해 제어된 천공 니들의 개략 파단 사시도이다.
도 4는 윤곽 내에 그래픽 이미지를 위한 예정된 패턴을 천공하는 천공 니들의 다발(cluster)의 개략 파단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블래더 요소를 열성형하는 몰드 조립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천공 니들이 예정된 패턴을 윤곽화하는 동안, 블래더 요소를 유지하는 지그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7은 천공 니들의 다발이 예정된 패턴을 천공하는 동안, 블래더 요소를 유지하는 지그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8은 주입 니들이 잉크를 블래더 요소 내로 주입하는 동안, 블래더 요소를 유지하는 지그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9는 블래더 요소가 회전된 후에 블래더 요소를 유지하는 지그, 및 다른 그래픽 이미지를 형성하기 위해 잉크를 주입하는 주입 니들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0은 팽창되는 블래더 요소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1은 그래픽 이미지를 형성하게 하기 위해 블래더 요소의 편평부 내로 잉크를 주입하는 니들의 도 1의 라인 11-11에서 취한 개략 파단 부분 단면도이다.
도 12는 다수의 주입 니들이 잉크를 블래더 요소 내로 주입하는 동안, 블래더 요소를 유지하는 지그의 개략 측면도이다.
도 13은 잉크로 충전된 천공 개구를 도시하고 있고 와이핑 도구를 가상선으로 도시하고 있는, 잉크 주입 후에 블래더 요소의 부분의 개략 파단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 내지 도 13의 블래더 요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이다.
단수 표현, "적어도 하나" 및 "하나 이상"은 적어도 하나의 아이템이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도록 상호교환 가능하게 사용되는데, 문맥상 명백히 달리 나타내지 않으면 복수의 이러한 아이템이 존재할 수도 있다. 첨부된 청구범위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서 파라미터(예를 들어, 양 또는 조건)의 모든 수치값은 "약"이 수치값 앞에 실제로 나타나건 나타나지 않건 간에, 모든 경우에 용어 "약"에 의해 수식되어 있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약"은, 언급된 수치값이 어느 정도 경미한 부정확성(값의 정확성에 대한 약간의 근사치를 가짐, 대략적으로 또는 적당하게 값에 근접함; 거의)을 허용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약"에 의해 제공된 부정확성이 이 일반적인 의미로 당 기술 분야에서 달리 이해되지 않으면, "약"은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에 이러한 파라미터를 측정하고 사용하는 일반적인 방법으로부터 발생할 수도 있는 적어도 변동을 나타낸다. 게다가, 범위의 개시는 범위 내의 모든 값 및 다른 분할된 범위를 특정하게 개시하는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용어 "포함하는", "구비하는" 및 "갖는"은 포괄적인 것이고, 따라서 언급된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를 상술하지만,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 단계, 동작, 요소, 또는 구성요소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단계, 프로세스, 및 동작의 순서는 가능할 때에 변경될 수도 있고, 부가의 또는 대안적인 단계가 채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또는"은 연계된 열거된 아이템의 임의의 하나의 그리고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용어 "~중 임의의 하나"는 언급된 아이템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여, 언급된 아이템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중 임의의 하나"는 언급된 청구항 "중 임의의 하나"를 포함하여, 첨부된 청구범위의 언급된 청구항의 임의의 가능한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당 기술 분야의 숙련자들은 "위", "아래", "상향", "하향", "상부", "하부" 등과 같은 용어가 도면을 위해 기술적으로 사용되고, 청구범위에 의해 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에 대한 한정을 표현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상기 특징 및 장점과, 다른 특징 및 장점은 첨부 도면과 관련하여 취할 때에 본 개시의 개념을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모드의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즉시 명백하다.
유사한 도면 부호가 다수의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있는 도면을 참조하면, 도 1은 신발류 물품(12)용 폴리머 구성요소(10)의 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본 명세서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폴리머 구성요소(10)는 잉크가 벽(13) 내에 매립되도록 잉크가 니들을 통해 그 내로 주입되는 벽(13)을 갖는다. 잉크는 벽(13)의 외부면에 도포되기보다는 벽(13) 내에 매립되기 때문에 닳음 및 마모에 저항성이 있는 그래픽 이미지(15)를 형성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 "벽"은 폴리머 구성요소의 임의의 중실부이고, 제1 및 제2 대향 표면에 의해 경계 형성된다. 벽은 평면형 또는 편평형 형상일 필요는 없다.
더 구체적으로,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폴리머 구성요소(10)는 유체 충전된 블래더 요소이고, 본 명세서에 이와 같이 칭한다. 유체 충전된 블래더 요소(10)는 블래더 요소(10)와 대응하는 크기의 인간 발의 대응 부분들 아래에 놓이도록 구성된 뒤꿈치부(14), 중간발부(16), 및 앞발부(18)를 갖기 때문에, 전체 길이 블래더 요소로서 구성된다. 블래더 요소(10)는 신발류 물품(12)의 하나 이상의 중창(midsole) 또는 겉창(outsole) 층에 의해 지지되고 고정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폴리머 구성요소는 갑피(upper)에 도포된 인서트 또는 플레이트와 같은 신발류 물품의 다른 폴리머 구성요소, 의복 물품의 완충 구성요소 또는 다른 폴리머 구성요소, 휴대 가방의 완충된 스트랩, 또는 스포츠 볼과 같은 스포츠 장비의 폴리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블래더 요소(10)는 상부 시트(22) 및 하부 시트(24)로부터 도 5에 도시되어 있는 몰드 조립체(20) 내에서 열성형된다. 일단 열성형되면, 시트(22, 24)는 그 사이에 유체 충전된 내부 캐비티(28)를 형성하도록 주연 플랜지(26)에서 서로 접합된다. 블래더 요소(10)는 질소, 공기, 또는 다른 기체와 같은 유체를 탄성적으로 보유할 수 있는 다양한 폴리머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블래더 요소(10)용 폴리머 재료의 예는 열가소성 우레탄, 폴리우레탄, 폴리에스터, 폴리에스터 폴리우레탄, 및 폴리에테르 폴리우레탄을 포함한다. 더욱이, 블래더 요소(10)는 폴리머 재료를 포함하는 상이한 재료의 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블래더 요소(10)는, 참조에 의해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미국 특허 제6,082,02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된 압축 유체에 대해 불투과성인 에틸렌 및 비닐 알코올의 코폴리머(EVOH)의 하나 이상의 배리어층과 하나 이상의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층을 갖는 박막으로부터 형성된다. 블래더 요소(10)는 또한 참조에 의해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미첼(Mitchell)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5,713,141호 및 제5,952,06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에틸렌-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의 교번하는 층을 포함하는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층은 에틸렌-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및 에틸렌-비닐 알코올 코폴리머 및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리그라인드 재료(regrind material)를 포함할 수도 있다. 블래더 요소(10)는 또한 참조에 의해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봉크(Bonk)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082,025호 및 제6,127,02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기체 배리어 재료 및 엘라스토머 재료의 교번하는 층을 포함하는 가요성 마이크로층 멤브레인일 수도 있다. 블래더 요소(10)를 위한 부가의 적합한 재료는 참조에 의해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루디(Rud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183,156호 및 제4,219,945호에 개시되어 있다. 블래더 요소(10)를 위한 다른 적합한 재료는 루디(Rudy)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36,029호 및 제5,042,17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결정질 재료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필름, 및 봉크(Bonk)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6,013,340호, 제6,203,868호, 및 제6,321,465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폴리에스터 폴리올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을 포함하고, 이들 미국 특허는 참조에 의해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블래더 요소(10)를 위한 재료를 선택하는 데 있어서, 인장 강도, 신장 특성, 피로 특성, 동적 계수, 및 손실 탄젠트와 같은 엔지니어링 특성이 고려될 수 있다. 블래더 요소(10)를 형성하는 데 사용된 재료의 시트의 두께는 이들 특성을 제공하도록 선택될 수 있다.
블래더 요소(10)는 탄성이고, 압축의 레벨을 선택하는 등에 의해 조정될 수 있는 완충 및 가요성을 제공한다. 인장 부재 및/또는 보강 구조체는 참조에 의해 전체 내용이 본 명세서에 포함되는 루디(Rudy)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4,906,502호 및 스위가트(Swigart)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8,061,060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원하는 응답성을 제공하기 위해 블래더 요소(10)와 일체화될 수 있다.
도 2는 벽(13)을 형성하는 하부 시트(24)의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시트(24)는 잉크(34)의 주입을 수용하도록 위치설정하기 위해 도 1에 대해 도 2에 대략 90도 회전되어 있다. 하부 시트(24)는 다수의 층을 갖는다. 예시의 목적으로, 벽(13)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제1 층(30),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제2 층(32), 및 제1 및 제2 층(30, 32) 사이의 배리어층(33)을 갖는 3층 블래더 요소로서 도시되어 있다. 제1 층(30)은 블래더 요소(10)의 외부면인 제1 표면(40)을 갖기 때문에 외부층이라 칭할 수도 있고, 제2 층(32)은 블래더 요소의 내부면인 제2 표면(42)을 갖기 때문에 내부층이라 칭할 수도 있다. 외부면(40)은 블래더 요소(10) 상에 노출되고, 내부면(42)은 내부 캐비티(28)에 접경한다. 시트(22)는 유사한 층(30, 32, 33)을 갖는다.
배리어층(33)은 캐비티(28) 내의 유체에 대해 불투과성인 에틸렌-비닐 알코올 코폴리머를 포함하여, 유체가 배리어층(33)을 통해 통과할 수 없고 캐비티(28) 내에 보유되게 된다. 일 실시예에서, 배리어층(33)은 교번하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의 층 및 에틸렌-비닐 알코올 코폴리머의 층을 갖는 층상 멤브레인일 수 있다.
도 2는 니들(36)에 의한 잉크(34)의 주입을 도시하고 있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잉크(34)는 도 1의 그래픽 이미지(15)를 제공하는 방식으로 벽(13)의 제1 영역(38) 내에 주입된다.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제1 영역(38)은 또한 블래더 요소(10)의 만곡부(38)라 칭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잉크(34)는 도 1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블래더 요소(10)의 편평부(38A) 내로 주입되어, 그래픽 이미지(15A)를 생성할 수 있다. 만곡부(38) 및 편평부(38A)에 주입된 잉크(34)는 동일한 또는 상이한 색상일 수도 있다. 동일한 니들(36)이 순차적인 방식으로 양 부분(38, 38A)에서와 같은 다수의 부분에서 잉크(34)를 주입하는 데 사용될 수도 있고, 상이한 니들(36)이 상이한 부분(38, 38A)에서 잉크(34)를 주입하기 위해 사용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에 부분(38, 38A)에서의 잉크의 주입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행해질 수도 있다. 다수의 잉크 주입 니들(36)이 사용되면, 이들은 단일의 니들(36), 또는 도 4의 니들(44)과 유사한 니들(36)의 다발일 수도 있다. 도 12는 부분(38, 38A)에서 잉크를 동시에 주입하는 다수의 단일 니들(36)을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2를 재차 참조하면, 양 시트(22, 24)의 층(30, 32, 33)은 실질적으로 투명 재료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때, 구성요소는 적어도 일부 광이 그를 통해 통과하게 하여, 이에 의해 그를 통한 가시성을 허용하도록 충분히 투명할 때 "실질적으로 투명"하다. 실질적으로 투명한 아이템은 반투명일 수도 있고, 선명할 수도 있고, 색깔이 있는 색상을 가질 수도 있다. 그러나, 잉크(34)는 착색된다. 제1 영역(38) 및 그래픽 이미지(15)는 따라서 색상을 갖는 것으로 나타날 것이다. 영역(38A) 및 그래픽 이미지(15A)도 또한 도 9 및 도 10과 관련하여 설명된 그래픽 이미지(115)에서와 같이, 또한 색상을 가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착색 잉크는 흑색 잉크, 백색 잉크, 및 모든 다른 색상의 잉크를 포함한다. 상이한 색상의 잉크가 하나 이상의 니들(36)을 사용하여 순차적인 방식으로 시트(24) 내로 주입되어 제1 이미지(15)를 형성할 수도 있고, 상이한 색상의 잉크가 다수의 니들(36)을 사용하여 동시 방식으로 시트(24) 내로 주입될 수도 있다.
잉크(34)는 외부층(30) 내에 매립되고, 단순히 외부면(40)에 도포되지 않는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외부면(40)과 내부면(42) 사이의 시트(24)의 두께(T)는 적어도 0.065 인치이지만, 다른 두께 범위가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니들(36)은 제1 층(30)의 두께(D3) 이하의 예정된 깊이(D)로 외부면(40)을 통해 외부층(30)으로 삽입된다. 일 실시예에서, 예정된 깊이(D)는 0.015 인치이지만, 다른 깊이 범위가 다른 실시예에서 적용될 수도 있다. 배리어층(33)은 깊이(D3)에서 시작하도록 폴리머 구성요소(10) 내에 위치된다. 달리 말하면, 배리어층(33)은 제1 층(30)에 맞접하고(abut), 제1 층(30)과 배리어층(33)의 계면은 깊이(D3)에 있다. 니들(36)은 단지 예정된 깊이(D)로만 삽입되기 때문에, 배리어층(33)은 니들(36)에 의해, 니들(36)을 통해 주입된 잉크(34)에 의해, 또는 잉크(34)를 주입하는 프로세스에 의해 영향을 받거나 손상되지 않는다. 배리어층(33)은 따라서 캐비티(28) 내에 보유된 유체에 대해 불투과성으로 유지된다.
도 13은, 제1 층(30)이 니들(36) 및/또는 니들(44)의 삽입에 의해 생성된 복수의 천공 구멍(41)을 갖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천공 구멍(41)은 예정된 깊이(D)로만 연장되어, 천공 구멍의 어느 것도 깊이(D3)를 넘어 연장하지 않게 된다. 주입된 잉크(34)는 천공 구멍(41)을 충전한다. 잉크가 건조된 후에 표면(40) 상에 잉크(34)는 전혀 존재하지 않는다. 이는 건조시에 구멍(41) 내로 약간 내향으로 수축하는 잉크(34)에 기인할 수도 있다. 부가적으로, 일부 잉크(34)가 개구(41) 내로의 잉크(34)의 주입 후에 표면(40) 상에 있으면, 가상선으로 도시되어 있는 와이핑 도구(43)가 화살표(A1)로 나타낸 바와 같이, 표면(40)을 가로질러 이동될 수 있어, 잉크(34) 건조에 앞서 표면(40)으로부터 임의의 과잉의 잉크(34)를 흡수하여 와이핑한다. 이에 따라, 잉크(34)는 층(30)의 천공 구멍(41) 내에 수용된다. 잉크(34)가 건조될 때에 층(30) 내에 비교적 깊게 매립됨으로써, 그래픽 이미지(15)는 영역(38) 내의 외부면(40)이 닳게 되더라도 남아 있게 되므로, 매우 내구성이 있을 것이다.
도 3 내지 도 7은 도 2, 도 8, 도 9,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니들(36)로 잉크(34)를 주입하기 전에 블래더 요소(10)를 제조하는 데 있어서 선택적 예비 단계를 도시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도 1의 그래픽 이미지(15)의 경계와 일반적으로 일치하는 윤곽(46)을 천공하는 프로세스에서의 천공 니들(44)을 도시하고 있다. 천공 니들(44)은 본 명세서에서 또한 제2 니들이라 칭한다. 천공 니들(44)은 도 2의 주입 니들(36)의 직경(D1)보다 큰 직경(D2)을 갖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천공 니들(44)은 주입 니들(36)보다 더 작은 직경 또는 동일한 크기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천공 윤곽(46)은 잉크(34)의 주입 전에 벽(13)에 천공될 수도 있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전체 예정된 천공 패턴(48)의 부분이다. 도 4에서, 천공 니들(44)의 다발(50)은 윤곽(46) 내의 예정된 패턴(48)의 천공을 완료하는 데 사용된다. 천공 니들(44)의 다발(50)을 사용하는 것은 단지 하나의 천공 니들(44)을 사용하는 것과 비교하여, 예정된 천공 패턴(48)을 생성하는 데 요구되는 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을 돕는다. 그러나, 예정된 천공 패턴(48)은 대신에 천공 윤곽(46)을 생성하는 데 사용된 도 3의 동일한 천공 니들(44)과 같은, 단일의 니들(44)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니들(44) 또는 니들(44)의 다발(50)에 의한 예정된 패턴(48)의 사전 천공은 특히 니들(44) 또는 니들의 다발의 직경(D2)이 니들(36)의 직경(D1)보다 크면, 니들(36)의 요구된 삽입력을 감소시킬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잉크는 예정된 패턴의 임의의 사전 천공 없이 그래픽 이미지(15)를 생성하기 위해 예정된 패턴에 따라 니들(36)에 의해 주입될 수 있다.
도 3은 블래더 요소(10)와 같은, 폴리머 구성요소 상에 그래픽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51)의 부분을 도시하고 있다. 니들(44)은 로봇 아암(54)에 의해 유지된 니들 하우징(52)에 의해 지지된다. 로봇 아암(54)은 액추에이터(56)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니들(44)은 하우징(52)에 의해 지지된 액추에이터(59)에 의해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양 액추에이터(56, 59)는 천공 윤곽(46)을 형성하도록 일련의 이동에 관한 저장된 알고리즘, 및 제어된 니들 삽입 깊이, 및 선택적으로 제어된 삽입 속도, 및 삽입력(또는 삽입 압력)에 따라 전자 제어기(58)의 제어 하에서 이동된다. 액추에이터(56)는 프레임(57)에 의해 지지된다. 액추에이터(56, 59)는 저장된 알고리즘에 따라 수직으로, 수평으로, 그리고 회전식으로 이동하도록 전기식으로, 유압식으로, 또는 공압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추에이터(59)는 니들(44)에 접속된 전기자를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여기되는 전자기 코일일 수도 있고, 또는 액추에이터(59)는 전기 전력식 회전자일 수도 있다. 임의의 적합한 로봇 시스템이 제어된 방식으로 니들(44)을 이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로봇 아암(54), 액추에이터(56, 59), 및 제어기(58)는 단지 이러한 시스템의 일 예이다. 선택적으로, 힘 센서와 같은, 니들(44)의 삽입 압력을 지시하는 파라미터를 감지하는 것이 가능한 센서(45)가 삽입 압력을 감지하기 위해 액추에이터(59) 및 니들(44)과 작동 가능하게 통신하여 하우징(52)에 의해 지지될 수도 있다. 센서(45)는 또한 제어기(58)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센서 신호를 제어기(58)에 송신한다. 신호가 삽입 압력이 너무 큰 것을 나타내면, 제어기(58)는 액추에이터(59)에 의해 니들(44)에 인가된 힘을 조정함으로써 삽입 압력을 조정한다. 대안적으로, 액추에이터(59)는 이 방식으로 제어기(58)로의 삽입 압력의 피드백으로 제어되는 대신에, 니들(44)의 예정된 삽입 압력과 상관된 예정된 하향력을 인가하도록 간단히 제어될 수 있다.
도 4는 로봇 아암(154)에 의해 유지된 니들 하우징(152)에 의해 지지된 천공 니들(44)의 다발(50)을 갖는 대안적인 장치(151)를 도시하고 있다. 센서(45)를 포함하는 도 3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는 바와 같은 액추에이터(59)가 하우징(152)에 의해 지지된다. 로봇 아암(154)은 액추에이터(156)에 의해 이동 가능하고, 니들(44)은 천공 윤곽(46) 내에 예정된 천공 패턴(48)의 나머지 천공부를 형성하기 위해 일련의 이동에 관한 저장된 알고리즘에 따라 전자 제어기(158)의 제어 하에서 액추에이터(59)에 의해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액추에이터(59, 156)는 니들 삽입 깊이, 및 선택적으로 제어된 삽입 속도, 및 삽입력(또는 삽입 압력)을 제어하는 저장된 알고리즘에 따라 수직으로, 수평으로, 그리고 회전식으로 이동하도록 전기식으로, 유압식으로, 또는 공압식으로 작동될 수 있다. 액추에이터(156)는 프레임(57)에 의해 지지된다. 임의의 적합한 로봇 시스템이 니들(44)의 다발(50)을 이동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고, 로봇 아암(154), 액추에이터(59, 156) 및 제어기(158)는 이러한 시스템의 단지 일 예일 뿐이다.
도 5 내지 도 10은 도 14의 흐름도에 도시되어 있는 일 예시적인 제조 방법(200)의 순서로 다양한 프로세스를 도시하고 있다. 방법(200)은 몰드 조립체(20) 내에서 폴리머 구성요소(10)를 열성형하는 단계 202로 시작한다. 도시되어 있는 실시예에서, 폴리머 구성요소는 상부 시트(22) 및 하부 시트(24)로부터 열성형된 블래더 요소(10)이다. 몰드 조립체(20)는 블래더 요소(10)의 형상을 형성하기 위해 원래 편평한 시트(22, 24)의 열성형을 허용하는 몰드 캐비티(63)를 형성하도록 함께 폐쇄되도록 구성된 제1 몰드 도구(60) 및 제2 몰드 도구(62)를 갖는다. 다른 몰드 캐비티가 본 발명의 교시의 범주 내에서 사용될 수도 있다. 몰드 조립체(20)에 작동 가능하게 접속된 제어기의 알고리즘에 의해 액세스된 타이머에 의해 단계 204에서 결정되는 것과 같이 예정된 냉각 시간이 경과된 후에, 열성형된 블래더 요소(10)는 단계 206에서 몰드 조립체(20)로부터 제거된다. 선택적으로, 단계 207에서, 블래더 요소(10)의 내부 캐비티(28)는 천공 및/또는 잉크 삽입에 앞서 유체로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팽창될 수도 있다. 대안적으로, 블래더 요소(10)의 팽창은 잉크 주입 프로세스 후에 발생할 수도 있다. 잉크 주입 전에 블래더 요소(10)를 팽창시키는 것은, 블래더 요소(10)의 외부면(40)이 그래픽 이미지(15)의 설정 전에, 임의의 곡률을 포함하여, 그 최종의 의도된 형상이 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블래더 요소(10)가 완전히 팽창되면 니들(36, 44)을 외부층(30) 내로 삽입하는 데 더 큰 니들 삽입력이 요구될 수도 있다. 잉크 삽입 후에 블래더 요소(10)의 일부 또는 전부의 팽창을 행하는 것은 니들(36 또는 44)의 더 낮은 삽입력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열성형 후에, 블래더 요소(10)는 선택적 주입전 천공, 및 잉크 주입을 위해 준비된다. 단계 208에서, 블래더 요소(10)는 도 6에 도시되어 있는 장치(51)의 지그(64) 내에 배치된다. 지그(64)는 블래더 요소(10)를 유지하여 이에 의해 블래더 요소(10)와, 천공 니들(44), 니들 하우징(52) 및 로봇 아암(54)을 포함하는 천공 조립체 사이의 정확한 위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클램프 또는 다른 기구를 사용한다. 지그(64)는 프레임(57)에 대해 고정된다. 선택적 단계 210이 이어서 시작되고, 여기서 예정된 패턴(48)이 블래더 요소(10)의 벽(13)에 천공된다. 단계 210은, 예정된 패턴(48)의 윤곽(46)이 깊이(D3) 이하의 예정된 깊이에서, 그리고 선택적으로 제어된 삽입 속도, 및 삽입력(또는 삽입 압력)으로 제1 천공 니들(44)로 천공되는 서브단계 212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7은 단계 210을 수행하는 니들(44)의 다발(50)을 갖는 대안적인 장치(151)를 도시하고 있다.
서브단계 214에서, 예정된 패턴(48)의 상이한 각각의 부분은 연속적으로 또는 동시에 천공될 수도 있다. 서브단계 216에서, 부분들이 연속적으로 천공되면, 천공 니들(44), 지그(64), 또는 양자 모두는 천공 니들(44)과 블래더 요소(10)를 적절하게 정렬하도록 상이한 각각의 부분의 천공부들 사이에서 이동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예시적인 예정된 패턴(48)의 상이한 각각의 부분의 천공은 예시적인 예정된 패턴(48)의 "A", "B", 및 "C"일 수도 있다. 다수의 니들(44) 또는 니들(44)의 다발이 도 12의 니들(36) 및 하우징(352)과 관련하여 예시된 바와 유사한 방식으로, 프레임(57) 상에 상이한 하우징에 의해 지지되면, 예정된 패턴의 부분의 천공, 또는 심지어 상이한 그래픽 이미지의 상이한 예정된 패턴의 천공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블래더 요소(10)는 이어서 블래더 요소(10) 상에 그래픽 이미지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351) 내에 유지된다. 장치(351)는 잉크 주입 니들(36), 및 잉크 소스(360)로부터 니들(36)에 잉크가 공급되게 하도록 구성된 니들 하우징(352)을 포함하는 잉크 주입 조립체(300)와 정렬된 동일한 또는 상이한 지그(6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로봇 아암(354)은 예정된 알고리즘에 따라 액추에이터(356)를 이동시키는 제어기(358)에 의해 제어되고, 니들(36)은 제어된 니들 삽입 깊이(D)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제어된 예정된 삽입 속도, 및 삽입력(또는 삽입 압력)으로 단계 218에서 벽(13) 내에 니들(36)을 삽입하기 위해 전자 제어기(358)의 제어 하에서 액추에이터(59)에 의해 개별적으로 이동 가능하다. 도 2의 예정된 깊이(D)는 단계 220에서, 니들(36)이 배리어층(33)을 손상시키지 않고 외부층(30) 내로 잉크(34)를 주입하는 것을 보장한다. 단계 220에서의 잉크의 주입은 잉크의 제어된 유량 및/또는 예정된 유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2는 잉크 공급 도관(68)에 유동 밸브(66)를 더 포함하는 장치(351A)를 도시하고 있다. 유동 밸브(66)는 예로서, 제어기(358)의 제어 하에서, 잉크(34)의 유량을 예정된 유량이 되도록 조절할 수도 있고, 유량을 제어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다수의 잉크 주입 조립체(300)는 단계 218에서 동시에 제어될 수 있어 그래픽 이미지(15) 및 그래픽 이미지(15A)와 같은 다수의 그래픽 이미지를 형성한다. 동일한 또는 상이한 색상의 잉크가 니들(36)에 공급될 수 있도록 다수의 잉크 소스(360, 360A)가 사용될 수도 있다. 필요하다면, 외부면(40) 상의 임의의 과잉의 잉크(34)는 도 13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표면(40)에 잉크(34)가 없는 것을 보장하도록 단계 221에서 와이핑될 수 있다.
잉크(34)의 주입 후에, 제어기(358)는 예정된 잉크 건조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를 단계 222에서 결정한다. 결정은 영역(38)에 잉크를 주입하는 것을 완료한 후에 니들(36)이 벽(13)으로부터 마지막에 후퇴된 후에 타이머를 시작하는 제어기(358)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선택적으로, 1개보다 많은 그래픽 이미지가 블래더 요소(10) 상에 요구되면, 블래더 요소(10)는 단계 222의 예정된 시간이 경과된 후에 단계 224에서 이동될 수 있다. 이는 블래더 요소(10)의 상이한 영역(70)이 잉크 주입 니들(36)에, 그리고 예정된 패턴의 천공이 잉크 주입에 앞서 수행되면 천공 니들(44) 또는 천공 니들(44)의 다발(50)에 액세스 가능하도록, 도 9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동일한 또는 상이한 지그(164) 내에 블래더 요소(10)를 재위치설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른 예정된 패턴이 이어서 깊이(D3) 이하에서, 그리고 선택적으로 단계 212 및 214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제어된 삽입 속도 및 삽입력(또는 삽입 압력)으로, 단계 226에서 영역(70)에서 천공될 수 있다. 잉크 주입 니들(36)은 이어서 단계 228에서 영역(70)에서 블래더 요소(10) 내에 삽입될 수 있고, 잉크(34)는 예정된 깊이(D)로 그리고 선택적으로 단계 218 및 220과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제어된 삽입 속도, 삽입력(또는 삽입 압력), 및 잉크 유량으로, 단계 230에서 블래더 요소(10) 내에 니들(36)을 통해 주입될 수 있다.
도 9는 도 10의 부가의 그래픽 이미지(115)를 생성하기 위해 영역(70)에서 블래더 요소(10)의 벽 내로 잉크를 주입하는 니들(36)을 도시하고 있다. 그래픽 이미지(115)는 안쪽측에 있는 그래픽 이미지(15)와는 일반적으로 반대측에, 블래더 요소(10)의 바깥쪽측에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블래더 요소(10)의 바깥쪽측과 같은 신발류 물품용 구성요소의 바깥쪽측은 신발류 물품의 착용자의 발의 외측 영역과 대응하는 측(즉, 착용자의 발의 다섯째 발가락에 더 근접한 측)이다. 다섯째 발가락은 통상적으로 새끼발가락이라 칭한다. 신발류 물품용 구성요소의 안쪽측은 신발류 물품이 착용되는 발의 내측 영역과 대응하는 측(즉, 착용자의 발의 제1 지에 더 근접한 측)이다. 제1 지는 통상적으로 엄지발가락이라 칭한다.
단계 232에서, 이어서 예정된 잉크 건조 시간이 경과되었는지 여부가 결정된다. 결정은, 알고리즘에 따라, 영역(70)에 잉크를 완전히 삽입한 후에 니들(36)이 블래더 요소(10)로부터 후퇴된 후에 제어기(358)의 저장된 알고리즘에서 타이머를 시작하는 제어기(358)에 의해 행해질 수도 있다. 블래더 요소(10)는 이어서 단계 234에서 지그(64)로부터 제거된다.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선택적으로, 단계 207에서 블래더 요소(10)의 팽창은 잉크 주입 단계(220, 230) 후에 발생할 수 있다. 도 10은 블래더 요소(10)가 열성형 단계(202)에서 블래더 요소(10)의 부분으로서 형성되는 튜브(74)를 통해 블래더 요소(10)와 유체 연통하는 압축 공기 또는 다른 기체의 소스(72)에 의해 팽창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튜브(74)는 이어서 팽창된 블래더 요소(10)의 압축을 유지하도록 트리밍되고 플러깅될 수 있다.
본 개시를 수행하기 위한 최선의 모드가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가 속하는 분야의 숙련자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주 내에서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다양한 대안적인 디자인 및 실시예를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설명에 포함되거나 첨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모든 요지는 한정적으로서가 아니라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해석되어야 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10: 폴리머 구성요소 12: 신발류 물품
13: 벽 15: 그래픽 이미지
20: 몰드 조립체 22: 상부 시트
24: 하부 시트 28: 캐비티
30: 제1 층 32: 제2 층
33: 배리어층 34: 잉크
36: 주입 니들 38: 영역
40: 외부면 42: 내부면
44: 천공 니들 46: 천공 윤곽

Claims (19)

  1. 물품 제조 방법으로서,
    다수의 층들을 포함하고 두께를 갖는 폴리머 구성요소 내로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삽입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은 상기 니들이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도록 상기 두께 미만인 깊이까지 이루어지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삽입하는 것;
    잉크가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의 일부에 그래픽 이미지로서 상기 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층에 매립되도록 상기 삽입된 니들을 통해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 내로 잉크를 주입하는 것;
    제어기를 통해 상기 주입 후 예정된 잉크 건조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상기 예정된 잉크 건조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만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를 이동시키는 것; 및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를 이동시킨 후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통해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의 다른 영역에서 잉크를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 내로 주입하는 것
    을 포함하는 물품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몰드 조립체 내에서 신발류 물품용 블래더 요소로서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를 열성형하는 것;
    상기 블래더 요소의 열성형 후에 제어기를 통해 예정된 냉각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예정된 냉각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만 상기 몰드 조립체로부터 상기 열성형된 블래더 요소를 제거하는 것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삽입하는 것은 상기 몰드 조립체로부터 상기 열 성형된 블래더 요소를 제거하는 것 후에 이루어지는 것인 물품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를 유체로 팽창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물품 제조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은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 내로 잉크를 주입하는 것 전에 이루어지는 것인 물품 제조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은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 내로 잉크를 주입하는 것 후에 이루어지는 것인 물품 제조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은 상기 니들의 제어된 또는 예정된 삽입 속도로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은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에 대한 상기 니들의 제어된 또는 예정된 압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 내로 잉크를 주입하는 것은 예정된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물품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 내로 잉크를 주입하는 것은 다수의 색상의 잉크를 연속적으로 주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물품 제조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 동안에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를 지그에 유지시키는 것; 및
    상기 예정된 잉크 건조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만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를 지그로부터 제거하는 것
    을 더 포함하는 물품 제조 방법.
  11. 물품 제조 방법으로서,
    다수의 층들을 포함하고 두께를 갖는 폴리머 구성요소 내로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삽입하는 것으로서, 상기 삽입은 상기 니들이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를 완전히 관통하지 않도록 상기 두께 미만인 깊이까지 이루어지는 것인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삽입하는 것;
    잉크가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의 일부에 그래픽 이미지로서 상기 층들 중 적어도 하나의 층에 매립되도록 상기 삽입된 니들을 통해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 내로 잉크를 주입하는 것; 및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를 유체로 팽창시키는 것
    을 포함하는 물품 제조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몰드 조립체 내에서 신발류 물품용 블래더 요소로서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를 열성형하는 것;
    상기 블래더 요소의 열성형 후에 제어기를 통해 예정된 냉각 시간이 경과하였는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 및
    상기 예정된 냉각 시간이 경과한 경우에만 상기 몰드 조립체로부터 상기 열성형된 블래더 요소를 제거하는 것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니들을 삽입하는 것은 상기 몰드 조립체로부터 상기 열 성형된 블래더 요소를 제거하는 것 후에 이루어지는 것인 물품 제조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은 상기 니들의 제어된 또는 예정된 삽입 속도로 이루어지는 것인 물품 제조 방법.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은 상기 폴리머 구성요소에 대한 상기 니들의 제어된 또는 예정된 니들의 압력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물품 제조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은 상기 니들로부터의 상기 잉크의 제어된 또는 예정된 유량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물품 제조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은 예정된 패턴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물품 제조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주입은 다수의 색상의 잉크를 순차적으로 주입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인 물품 제조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은 상기 주입 전에 이루어지는 것인 물품 제조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은 상기 주입 후에 이루어지는 것인 물품 제조 방법.
KR1020197013720A 2014-06-09 2015-05-28 잉크가 주입되고 매립된 폴리머 구성요소 및 그 제조 방법 KR1020342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299,274 US9427048B2 (en) 2014-06-09 2014-06-09 Polymeric component with injected, embedded ink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US14/299,274 2014-06-09
PCT/US2015/032958 WO2015191299A1 (en) 2014-06-09 2015-05-28 Polymeric component with injected, embedded i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ame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027A Division KR101979862B1 (ko) 2014-06-09 2015-05-28 잉크가 주입되고 매립된 폴리머 구성요소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4183A true KR20190054183A (ko) 2019-05-21
KR102034259B1 KR102034259B1 (ko) 2019-10-18

Family

ID=5352524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3720A KR102034259B1 (ko) 2014-06-09 2015-05-28 잉크가 주입되고 매립된 폴리머 구성요소 및 그 제조 방법
KR1020167035027A KR101979862B1 (ko) 2014-06-09 2015-05-28 잉크가 주입되고 매립된 폴리머 구성요소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35027A KR101979862B1 (ko) 2014-06-09 2015-05-28 잉크가 주입되고 매립된 폴리머 구성요소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427048B2 (ko)
EP (2) EP3556240B1 (ko)
KR (2) KR102034259B1 (ko)
CN (3) CN109016873B (ko)
MX (1) MX2016016089A (ko)
WO (1) WO201519129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06815B2 (en) * 2014-01-30 2017-07-18 Nike, Inc. Paint fixture for shoe portions
US9636905B2 (en) * 2014-07-28 2017-05-02 8372683 Canada, Inc. Device and method for identifying a change in a predetermined condition
US10327506B2 (en) 2015-04-08 2019-06-25 Nike, Inc. Article with overlay secured to bladder element over imag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article
CN107404976B (zh) 2015-04-08 2021-08-24 耐克创新有限合伙公司 包括具有图像的囊状元件的物品以及制造该物品的方法
US9974360B2 (en) * 2015-04-08 2018-05-22 Nike,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 bladder element with an etched feature and article having a bladder element with an etched feature
WO2016164554A1 (en) 2015-04-08 2016-10-13 Nike Innovate C.V. Method of manufacturing a bladder element with an impression of etched area of mold assembly and article having bladder element with impression
ES1223180Y (es) * 2018-12-10 2019-04-10 Mora Eddi Drammeh Elemento tatuable para ornamentar objetos de moda o decoracion
KR20210048191A (ko) * 2019-10-23 2021-05-03 (주)아셈스 무늬 품질 및 내구성이 향상된 3차원 형상의 아웃솔 및 이를 포함하는 신발
EP4157009A2 (en) * 2020-05-31 2023-04-05 NIKE Innovate C.V. Post production laser modification of an article of footwear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7892A (ja) * 1987-09-25 1989-06-21 Salomon Sa 物品の装飾方法
US20060213084A1 (en) * 2005-03-23 2006-09-28 Scales Cheryl D Footwear inser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KR20070111964A (ko) * 2006-05-18 2007-11-22 주식회사 파이컴 폴리머 마스크의 수리 방법
US20070287316A1 (en) * 2006-05-16 2007-12-13 Francois Rodriguez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plates, applicable for covering floors or walls, conductive plate and inject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258775A (en) 1956-01-30 1966-06-28 Munz Otto John Three-dimensional volumetric drawing, data representation and recording systems
US3405213A (en) 1956-01-30 1968-10-08 Munz Otto John Method for three-dimensional imprinting a thermoplastic object
US3057098A (en) 1958-07-07 1962-10-09 Phillips Petroleum Co Printing thermoplastics
US3563782A (en) 1969-07-31 1971-02-16 Gamco Inc Writing surface and ink composition for marking thereon
US4183156A (en) 1977-01-14 1980-01-15 Robert C. Bogert Insole construction for articles of footwear
US4219945B1 (en) 1978-06-26 1993-10-19 Robert C. Bogert Footwear
JPS6235847A (ja) * 1985-08-09 1987-02-16 Seiko Epson Corp 液滴ジエツト記録装置
US4719825A (en) * 1986-03-24 1988-01-19 Lahaye Peter G Metering needle assembly
US4906502A (en) 1988-02-05 1990-03-06 Robert C. Bogert Pressurizable envelope and method
MY106949A (en) * 1988-02-05 1995-08-30 Rudy Marion F Pressurizable envelope and method
US4936029A (en) 1989-01-19 1990-06-26 R. C. Bogert Load carrying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barrier material for control of diffusion pumping
US5042176A (en) 1989-01-19 1991-08-27 Robert C. Bogert Load carrying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barrier material for control of diffusion pumping
CN1153479A (zh) * 1994-07-20 1997-07-02 美中美容国际有限公司 永久性颜料注射器的整体针头
US5952065A (en) 1994-08-31 1999-09-14 Nike, Inc. Cushioning device with improved flexible barrier membrane
AU712542B2 (en) 1995-06-07 1999-11-11 Nike Ihm, Inc. Membranes of polyurethane based materials including polyester polyols
US6013340A (en) 1995-06-07 2000-01-11 Nike, Inc. Membranes of polyurethane based materials including polyester polyols
US6082025A (en) 1998-09-11 2000-07-04 Nike, Inc. Flexible membranes
US6127026A (en) 1998-09-11 2000-10-03 Nike, Inc. Flexible membranes
CN2384214Y (zh) * 1999-04-26 2000-06-21 中国刑事警察学院 注液振动器
US6743556B2 (en) * 2001-08-09 2004-06-01 Creo Srl Method for accurate placement of fluid materials on a substrate
US6837951B2 (en) 2001-11-26 2005-01-04 Nike, Inc. Method of thermoforming a bladder structure
US6790391B2 (en) 2002-03-07 2004-09-14 Nike International, Ltd. Composition for clear gas barrier laminates
FR2847433B1 (fr) 2002-11-25 2005-02-25 Salomon Sa Procede de decoration d'une chaussure de ski
FR2848574B1 (fr) 2002-12-13 2005-02-25 Berluti Procede pour realiser un decor sur du cuir
US7448734B2 (en) * 2004-01-21 2008-11-11 Silverbrook Research Pty Ltd Inkjet printer cartridge with pagewidth printhead
US20070063368A1 (en) * 2004-02-23 2007-03-22 Nike, Inc. Fluid-filled bladder incorporating a foam tensile member
US7622014B2 (en) 2005-07-01 2009-11-24 Reebok International Ltd. Method for manufacturing inflatable footwear or bladders for use in inflatable articles
US7685743B2 (en) 2006-06-05 2010-03-30 Nike, Inc. Article of footwear or other foot-receiving device having a fluid-filled bladder with support and reinforcing structures
BRPI0603484B1 (pt) 2006-06-19 2017-11-28 Plugt Indústria E Comércio Eireli Label manufacturing process for a micro-injection system
JP2008126536A (ja) 2006-11-21 2008-06-05 Mitsubishi Engineering Plastics Corp 成形品及びその射出成形方法
US20080136886A1 (en) * 2006-12-06 2008-06-12 Chao-Hsiung Yen Method for printing images on textile fabric
US8348371B2 (en) 2009-11-10 2013-01-08 Converse Inc. Utilizing a printer to customize apparel in a retail facility
FR2958066B1 (fr) * 2010-03-26 2012-04-13 Bertin Camille Piece anatomique a peau artificielle pour le tatouage
WO2012048500A1 (en) * 2010-10-14 2012-04-19 Linkz Technology Limited Ultraviolet marking
CN102431120A (zh) * 2011-11-10 2012-05-02 郭传滨 一种模内注塑成型的汽车标牌及装饰条的制造方法
US9072678B2 (en) * 2013-03-14 2015-07-07 Pathak Holdings Llc Methods for local drug delivery by microinjection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57892A (ja) * 1987-09-25 1989-06-21 Salomon Sa 物品の装飾方法
US20060213084A1 (en) * 2005-03-23 2006-09-28 Scales Cheryl D Footwear insert and method of producing same
US20070287316A1 (en) * 2006-05-16 2007-12-13 Francois Rodriguez Method for manufacturing conductive plates, applicable for covering floors or walls, conductive plate and injecting machine
KR20070111964A (ko) * 2006-05-18 2007-11-22 주식회사 파이컴 폴리머 마스크의 수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813827B (zh) 2021-06-22
WO2015191299A1 (en) 2015-12-17
KR20170010796A (ko) 2017-02-01
EP3556240B1 (en) 2021-05-12
KR102034259B1 (ko) 2019-10-18
EP3556240A1 (en) 2019-10-23
US9427048B2 (en) 2016-08-30
EP3151695A1 (en) 2017-04-12
CN106715132A (zh) 2017-05-24
EP3151695B1 (en) 2019-06-26
MX2016016089A (es) 2017-03-28
CN109016873A (zh) 2018-12-18
CN106715132B (zh) 2018-10-26
CN109016873B (zh) 2020-07-10
US20150351499A1 (en) 2015-12-10
KR101979862B1 (ko) 2019-05-20
CN108813827A (zh) 201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79862B1 (ko) 잉크가 주입되고 매립된 폴리머 구성요소 및 그 제조 방법
US11234486B2 (en) Unified punch inflation and sealing tool
EP4140350A1 (en) Cushioning article with tensile compon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cushioning article
CN106998852B (zh) 一种鞋类制品以及制造该鞋类制品的方法
KR102626678B1 (ko) 홈이 진 플랜지를 갖는 블래더를 구비하는 신발류 스트로벨 및 제조 방법
EP3194885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cushioning components
KR20210014163A (ko) 블래더와 인장 구성요소를 구비한 신발류 스트로벨 및 제조 방법
EP3606370B1 (en) Method for welding a chamber
US10624421B2 (en) Method for unified inflation and sealing
US10556359B2 (en) Unified punch inflation and sealing tool
CN113854703B (zh) 焊接腔室的系统和方法
CN117500403A (zh) 用于气囊和鞋类的多层膜
CN117580478A (zh) 用于气囊和鞋类的多层膜
CN116471956A (zh) 用于气囊和鞋类的多层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