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626A -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 - Google Patents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626A
KR20190053626A KR1020170149705A KR20170149705A KR20190053626A KR 20190053626 A KR20190053626 A KR 20190053626A KR 1020170149705 A KR1020170149705 A KR 1020170149705A KR 20170149705 A KR20170149705 A KR 20170149705A KR 20190053626 A KR20190053626 A KR 201900536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block
mixture
stick
cosmetic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2809B1 (ko
Inventor
조예나
Original Assignee
조예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예나 filed Critical 조예나
Priority to KR1020170149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2809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6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6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2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28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23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with self-contained cover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6Appliances specially adapted for applying pasty paint, e.g. using roller, using a bal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6Solid or semisolid forms
    • A61K8/0229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04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lips
    • A61Q1/06Lipstic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06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2040/0025Details of lipstick or like casing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2Preparation or application process involves sonication or ultrason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4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lyophilisation, 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7Application Devices; Containers; Packag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립스틱; 컨실러; 스틱 파운데이션; 스틱 섀도; 브로우 또는 아이라이너; 등의 다양한 종류와, 레드 컬러; 코랄 컬러; 말린 장미; 오렌지 등의 다양한 색상의 스틱형화장품이 탑재되고, 또한 동일한 색상(color)을 갖거나 또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블럭을 다단으로 손쉽게 착탈결합하여 이루어진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으로서,
블럭 화장품에 최적화되도록 항균, 보습 기능성이 뛰어나고 보존 및 유통기간이 긴 스틱형화장품을 조성하고, 이와 같이 조성된 스틱형화장품을 내구성 및 항균성이 뛰어난 블럭에 탑재하여 단층블럭을 이룬 후, 상기 단층블럭을 다색·다단으로 결합시켜 블럭결합체를 이루고, 상기 블럭결합체를 투명 케이스에 탑재함으로써 완성되는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MULTICOLOR AND MULTISTAGE STACK-TYPE BLOCK COSMETICS}
본 발명은 립스틱; 컨실러; 스틱 파운데이션; 스틱 섀도; 브로우 또는 아이라이너; 등의 다양한 종류와, 레드 컬러; 코랄 컬러; 말린 장미; 오렌지 등의 다양한 색상의 스틱형화장품이 탑재되고, 또한 동일한 색상(color)을 갖거나 또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블럭을 다단으로 손쉽게 착탈결합하여 이루어진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으로서,
블럭 화장품에 최적화되도록 항균, 보습 기능성이 뛰어나고 보존 및 유통기간이 긴 스틱형화장품을 조성하고, 이와 같이 조성된 스틱형화장품을 내구성 및 항균성이 뛰어난 블럭에 탑재하여 단층블럭을 이룬 후, 상기 단층블럭을 다색·다단으로 결합시켜 블럭결합체를 이루고, 상기 블럭결합체를 투명 케이스에 탑재함으로써 완성되는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과 관련하여,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27210(등록일자 2001.04.02)의 '착탈 다단 회전식 화장품 케이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04004(등록일자 2007.03.29)의 '다단식 화장품 용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6-0003132(공개일자 2016.09.20)의 '회전 개폐가 가능한 다단 화장품 용기';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50786(공개일자 2017.05.11)의 '미니 블럭 화장품';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75948(등록일자 2017.09.01)의 '회전 개폐가 가능한 다단 화장품 케이스';에 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종래 기술에 개시되어 있는 기술들 중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27210(등록일자 2001.04.02)의 '착탈 다단 회전식 화장품 케이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04004(등록일자 2007.03.29)의 '다단식 화장품 용기';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6-0003132(공개일자 2016.09.20)의 '회전 개폐가 가능한 다단 화장품 용기';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75948(등록일자 2017.09.01)의 '회전 개폐가 가능한 다단 화장품 케이스';는 전체적으로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바와 달리 기술 구성이 복잡하고, 이에 따른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는 문제를 갖고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스틱형화장품에 적용하기에 부적합하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50786(공개일자 2017.05.11)의 '미니 블럭 화장품'은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바와 같이 블럭형 결합구조를 이루고 있기는 하나, 속이 빈 몸통(10)에 화장품을 탑재하여 이루어지는 구조를 이루고 있어, 몸통(10) 상부로 돌출되어 있는 일부의 화장품 외에 몸통 하부에 채워져 있는 화장품을 이용하기 어려운 구조를 이루고 있어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스틱형화장품 용도로 사용하기에 부적합하고, 또한 사용하는 화장품의 양보다 버려지는 화장품의 양이 많은 비효율적인 구조이다.
그리고 상기 공개특허는 블록간의 결합구조를 이루고 있어, 블록 내에 탑재되어 있는 화장품을 외부에서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원하는 색상의 화장품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블록을 일일이 빼서 확인하여야 하는 사용상의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개특허는 본 발명에서 제시하고자 하는 블럭 결합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점에서는 유사하나, 립스틱 등의 스틱형화장품 용도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고 사용 편의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27210(등록일자 2001.04.02)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704004(등록일자 2007.03.29)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 20-2016-0003132(공개일자 2016.09.20)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50786(공개일자 2017.05.1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75948(등록일자 2017.09.01)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775948(등록일자 2017.09.01)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발명으로서,
다양한 색상을 갖는 블럭 단위로 스틱형화장품을 탑재하되, 상기 블럭을 동일한 색상 또는 색상별로 다단으로 결합시켜 스틱형화장품을 효율적, 경제적 및 편의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하고, 다색·다단으로 결합된 블럭 내의 스틱형화장품의 종류, 색상 및 잔량을 블럭 별로 분리하지 않더라도 외부에서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블럭 결합에 의해 일체를 이룬 블럭결합체의 일부가 유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또한 화장품 블럭의 자석 및 착탈식 결합에 의하거나 또는 외부 충격에 의하더라도 쉽게 파손되지 않고, 또한 청결성을 유지할 수 있도록 내구성, 내오염성 및 항균성이 뛰어난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화장품 블럭에 최적화되도록 천연추출물에 의한 항균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유통 및 보존기간이 늘어나고, 청결하며, 천연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보습특성을 강화하여 화장품의 기능성을 높이며, 천연추출물에 의한 약리효과를 제공하면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는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단 및 하단 테두리를 따라 결합부재가 형성되고, 다양한 색상을 갖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상의 블럭몸체와,
상기 블럭몸체의 상단 중심부에 형성되되, 상기 블럭몸체 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중공의 돌출부와,
상기 중공의 돌출부에 탑재되는 스틱형화장품과,
상기 블럭몸체의 하단에 형성되어 다른 단층블럭의 돌출부에 탑재되는 스틱형화장품이 인입되는 결합홈부를 포함하여 단층블럭을 이루고,
상기 단층블럭을 다단으로 결합하여 일체를 이루되, 동일한 색상을 갖는 단층블럭을 다단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단층블럭을 색상별로 결합하여 일체를 이루고, 최상단 단층블럭의 스틱형화장품을 보호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보호캡을 포함하여 블럭결합체를 이루고,
상기 블럭결합체가 내부에 탑재되는 투명케이스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은 다음의 효과를 갖는다.
첫째. 스틱형화장품이 탑재되어 있는 각각의 블럭을 자석 또는 착탈식으로 손쉽게 결합 및 분리할 수 있고, 또한 블럭 내에 수용되어 있는 스틱형화장품의 종류, 색상 및 잔량을 블럭을 일일이 분리하지 않더라도 외부에서 간편하게 식별이 가능하도록 구성됨에 따라 사용편의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는다.
둘째. 다양한 색상을 갖는 각각의 블럭 여러개를 다양한 순서의 다단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다양한 색상 조합에 의한 다채로운 색상 표현이 가능하여 높은 심미감과 사용의 재미를 줄 수 있다.
셋째. 단층 블럭의 중공의 돌출부에 스틱형화장품을 끼워 넣음으로써 스틱형화장품을 손쉽게 탑재할 수 있고, 별도의 승하강수단이 구비되지 않더라도 돌출 고정형의 스틱형화장품을 경제적,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넷째. 블럭을 다단으로 결합시켜 이루어진 일체의 블럭결합체를 수용하기 위한 별도의 케이스를 구비함으로써, 휴대성, 사용안전성 및 보관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을 갖는다.
다섯째. 단층 블럭의 블럭간의 착탈결합이 빈번하게 이루어지거나, 착탈시 손에서 떨어져 지면과의 충돌 등 외부 충격에 의하더라도 쉽게 깨지지 않도록 내구성이 강하고, 또한 단층 블럭간의 착탈결합이 이루어지는 틈 등에 의해 오염되거나 또는 쉽게 지저분해지지 않도록 내오염성 및 항균특성을 갖는다.
여섯째. 블럭 화장품에 최적화되도록 천연추출물에 의한 항균 기능을 강화함으로써 유통 및 보존기간이 늘어나고, 청결하며, 천연추출물에 의한 항산화, 보습특성을 강화하여 화장품의 기능성을 높이며, 천연추출물에 의한 약리효과를 제공하면서 피부에 자극을 주지 않고 향을 발산하는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형태에 따른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의 결합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2형태에 따른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의 결합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예 따른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을 구성하는 단층블럭의 측단면도 및 이의 결합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예에 따른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을 구성하는 단층블럭의 측단면도 및 이의 결합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예에 따른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을 구성하는 단층블럭의 측단면도 및 이의 결합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4예에 따른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을 구성하는 단층블럭의 측단면도 및 이의 결합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을 구성하는 단층블럭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을 구성하는 단층블럭의 배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형태에 따른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으로서, 여러 색상을 갖는 블럭을 색상별로 다단 결합시킨 사례를 보인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1형태에 따른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으로서, 여러 색상을 갖는 블럭을 색상별로 다단 결합시킨 사례를 보인 다른 예시도.
본 발명에 따른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의 기술 구성을 도면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1)은 립스틱; 컨실러; 스틱 파운데이션; 스틱 섀도; 브로우 또는 아이라이너; 등의 다양한 종류와, 레드 컬러; 코랄 컬러; 말린 장미; 오렌지 등의 다양한 색상의 스틱형화장품이 탑재되어 있으면서 또한 다양한 색상을 갖는 블럭을 다단으로 손쉽게 착탈결합하여 이루어진 다단식 블럭 화장품으로서,
상단 및 하단 테두리를 따라 결합부재(101a)가 형성되고, 다양한 색상을 갖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상의 블럭몸체(101)와,
상기 블럭몸체(101)의 상단 중심부에 형성되되, 상기 블럭몸체(101) 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중공의 돌출부(102)와,
상기 중공의 돌출부(102)에 탑재되는 스틱형화장품(103)과,
상기 블럭몸체(101)의 하단에 형성되어 다른 단층블럭의 돌출부에 탑재되는 스틱형화장품이 인입되는 결합홈부(104)를 포함하여 단층블럭(10)을 이루고,
상기 단층블럭(10)을 다단으로 결합하여 일체를 이루되, 동일한 색상을 갖는 단층블럭(10)을 다단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단층블럭(10)을 색상별로 결합하여 일체를 이루고, 최상단 단층블럭(10)의 스틱형화장품(103)을 보호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보호캡(201)을 포함하여 블럭결합체(20)를 이루고,
상기 블럭결합체(20)가 내부에 탑재되는 투명케이스(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2는 블럭몸체(101)에 형성되는 확인창(101b) 유무에 따른 형태를 구분하여 도시한 것으로서, 도 1은 확인창(101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1)을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확인창(101b)이 구비되지 않은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1)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1)은 단층블럭(10)을 동일 또는 다양한 색상의 블럭을 이용하여 다단 적층 결합시켜 일체의 블럭결합체(20)를 이루고,
상기 블럭결합체(20)를 투명케이스(30)에 탑재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단층블럭(10)은 상단 및 하단 테두리를 따라 결합부재(101a)가 형성되고, 다양한 색상을 갖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상의 블럭몸체(101)와,
상기 블럭몸체(101)의 상단 중심부에 형성되되, 상기 블럭몸체(101) 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중공의 돌출부(102)와,
상기 중공의 돌출부(102)에 끼워 넣어 탑재되는 스틱형화장품(103)과,
상기 블럭몸체(101)의 하단에 형성되어 다른 단층블럭의 돌출부에 탑재되어 있는 스틱형화장품이 인입되는 결합홈부(10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 내지 도 6은 단층블럭(10) 형태에 따라 구분하여 도시한 것이다. 그리고 도 7 및 8은 단층블럭(10)의 정면과 배면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3은 본 발명의 제1예 따른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을 구성하는 단층블럭의 측단면도 및 이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3은 블럭몸체(101)에 확인창(101b)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서, 결합부재(101a)가 N극 S극의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도시하고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예에 따른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을 구성하는 단층블럭의 측단면도 및 이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블럭몸체(101)에 확인창(101b)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재(101a)가 N극 S극의 자석으로 이루어진 것임을 도시하고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3예에 따른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을 구성하는 단층블럭의 측단면도 및 이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5는 도 3은 블럭몸체(101)에 확인창(101b)이 구비되어 있지 않으면서, 결합부재(101a)가 돌기와 홈에 의한 착탈식 결합부임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4예에 따른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을 구성하는 단층블럭의 측단면도 및 이의 결합단면도이다. 도 4는 블럭몸체(101)에 확인창(101b)이 형성되어 있고, 결합부재(101a)가 돌기와 홈에 의한 착탈식 결합부임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도 3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블럭몸체(101)의 상단과 하단에는 단층블럭(10) 간의 다단 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결합부재(101a)가 형성되며, 이때 결합부재(101a)는 돌기와 홈으로 이루어져 착탈식 결합을 이루거나 또는 자석으로 이루어져 N극과 S극의 자기결합을 이룰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상기 결합부재(101a)는 체결방식에 따라 돌기와 홈; 자석 외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101)의 일측면에 투명 또는 반투명 확인창(101b)이 구비됨으로써 사용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다.
상기 확인창(101b)을 구비하지 않고 제품을 구성할 수도 있으나, 사용편의성이 떨어지는 이유로 인해 상기 확인창(101b)을 블럭몸체(101)의 일측면에 구비함으로써, 블럭화장품 내에 수용되어 있는 스틱형화장품의 종류, 색상 및 잔량을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통해 사용자는 사용하고자 하는 스틱형화장품의 종류, 색상을 손쉽게 선별할 수 있고 또한 잔량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일일이 블럭을 분리하여 확인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을 덜 수 있다.
상기 블럭몸체(101)의 상단에는 스틱형화장품을 탑재하기 위한 중공의 돌출부(102)가 형성된다. 상기 중공의 돌출부(102)는 스틱형화장품을 끼워 넣어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내부 직경이 스틱형화장품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또는 미소의 차이로 크게 형성한다. 이와 같은 결합구조는 구조가 단순하면서도 스틱형화장품을 손쉽게 탑재할 수 있고 거의 전량을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스틱형화장품(103) 및 확인창(101b)을 제외한 블럭몸체(101)는 전체적으로 사출 성형에 의해 제작되는 것으로서, 내구성 및 향 발산 기능을 부여하여 사출성형한 후, 외면에 항균코팅처리하여 완성되는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실리콘(Silico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폴리스테렌(Poly styrene, PS),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 80 ~ 95 wt%와,
유리섬유(Glass fiber), 탄소섬유(Carbon fiber),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강화재(Reinforcement) 2 ~ 7 wt%와,
네놀리(Neroli), 라벤더(Lavender), 로즈(Rose), 로즈마리(Rosemary),버가못(Bergamot), 샌달우드(Sandalwood), 유칼립투스(Eucalyptus), 제라늄(Geranium),카모마일 저먼(Chamomile, German), 카모마일 로먼(Chamomile, Roman), 타임(Thyme), 티트리(Tea tree), 페퍼민트(Peppermint), 파인(Pine), 프랑킨센스(Frankincense)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엔센셜 오일 0.1 ~ 3.0 wt%의 혼합물을 사출온도 280 ~ 310 ℃, 사출속도 20 ~ 40 mm/min, 사출압력 55 ~ 115 Kgf/㎠ 및 금형온도 65 ~ 95 ℃의 조건에서 사출성형하여 내구성 및 향 발산 기능을 갖는 단층블럭(10)을 제조하고,
상기 단층블럭(10)의 외면에 항균코팅처리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항균코팅처리는 광개시제(Photoinitiator) 2.0 ~ 8.5 wt%와, 모노머(Monomer) 52.0 ~ 65.0 wt%와, 올리고머(Oligomer) 25.0 ~ 40.0 wt%와, 첨가제(Additives) 0.2 ~ 1.5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 wt%의 제1조성물 60.0 ~ 96.0 wt%; 4가 암모늄의 수용성 대전방지제 5.0 ~ 25.0 wt%; 은나노 항균제 0.1 ~ 3.0 wt%:를 1,500 ~ 1,800 rpm으로 20 ~ 40 분 동안 배합하여 항균코팅액을 조성한 후,
상기 항균코팅액을 상기 단층블럭(10)의 외면에 도포하여 자외선 조사량 1.0 ~ 3.0 kW, 경화속도 1.0 ~ 2.0 m/min의 조건에서 UV경화시켜 이루어진다.
상기 광개시제(Photoinitiator)는 자외선 광원으로부터 에너지를 흡수하여 광중합반응을 개시시키는 작용을 하는 것으로서, 구체적인 예로는 벤자이온알킬에테르(benzionalkylether), 벤조페논(Benzophenone), 벤질디메틸케탈(Benzyldimethylkatal), 1,1-디클로로 아세토페논(1,1-dichloro-acetophenone) 중 선택되는 어느 1종을 사용한다.
상기 모노머(Monomer)는 올리고머의 반응성 희석제로 사용되어 수지 배합물의 작업성을 부여하고, 자외선 조사에 의해서 자신도 중합되어 고분자간의 가교제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모노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아크릴기가 각각 1개, 2개, 6개인 2-hydroxyl methylacrylate, 1,6-hexanediol diacrylate 및 dipentaerythritol hexaacrylate이다.
상기 올리고머(Oligomer)는 수지의 물성을 결정하는 베이스 수지로서, 중합반응에 의해 고분자 결합을 형성한 경화 피막의 물성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 올리고머의 구체적인 예로는 bisphenol A epoxy diacrylate이다.
상기 첨가제에는 표면개선제, 기포 방지를 위한 소포제, 점도를 증가시키는 위한 증점 분산제, 코팅액의 광택을 없애거나 줄여주는 소광제 등이 첨가된다. 구체적인 예로는,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디메틸 폴리실옥산, 향료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단층블럭(10)에 대한 구체적인 제조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90.0 wt%와,
유리섬유(Glass fiber), 탄소섬유(Carbon fiber),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를 동 중량비유로 혼합하여 조성된 강화재(Reinforcement) 7.0 wt%와,
라벤더(Lavender) 오일 3.0 wt%의 혼합물을 사출온도 280 ~ 310 ℃, 사출속도 20 ~ 40 mm/min, 사출압력 55 ~ 115 Kgf/㎠ 및 금형온도 65 ~ 95 ℃의 조건에서 사출성형하여 단층블럭(10)을 제조한다. 이와 같이 제조된 단층블럭(10)은 높은 내구성을 갖으며 향을 발산한다.
그리고 상기 제조된 단층블럭(10)의 외면에 항균코팅처리함으로써 완성된다.
이때 항균코팅처리는 광개시제(Photoinitiator) 6.5 wt%와, 모노머(Monomer) 62.5 wt%와, 올리고머(Oligomer) 30.0 wt%와, 첨가제(Additives) 1.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 wt%의 제1조성물 85.0 wt%;
4가 암모늄의 수용성 대전방지제 14.0 wt%;
은나노 항균제 1.0 wt%:를 1,600 rpm으로 30 분 동안 배합하여 항균코팅액을 조성한 후, 상기 항균코팅액을 상기 단층블럭(10)의 외면에 분사 도포하여 자외선 조사량 3.0 kW, 경화속도 2.0 m/min의 조건에서 UV경화시켜 코팅을 완성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코팅처리된 단층블럭(10)은 내열, 내오염 및 항균 특성을 갖는다.
상기 스틱형화장품(103)은 블럭몸체(101)의 상단에 돌출 형성되어 있는 중공의 돌출부(102)에 끼워 넣음으로써 탑재되는 것으로서, 블럭형 화장품에 최적화될 수 있도록 청결성, 보존성 및 보습성을 강화하여 조성된 것이다.
상기 스틱형화장품(103)은 천연추출물을 0.1 ~ 10 wt%를 첨가하여 항균성, 보습성, 항산화 및 향 발산 기능을 가지며, 또한 천연추출물에 의한 약리효과 및 피부안전성을 갖는다.
상기 천연추출물은 산초추출물과 자몽씨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1천연추출물(a) 10 ~ 80 wt%와,
황금추출물과 민들레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2천연추출물(b) 10 ~ 80 wt%와,
티트리잎추출물(Tea Tree Leaf Extract)(c) 1.0 ~ 15 wt%와,
벚꽃추출물(Prunus Serrulata Flower Extract)(d) 1.0 ~ 15 wt%와,
아세로라추출물(Acerola Extract)(e) 1.0 ~ 15 wt%와,
마치현추출물(Portulaca Oleracea Extract)(f) 1.0 ~ 15 wt%와,
로얄젤리(Royal Jelly)(g) 0.5 ~ 2 wt%와,
마돈나백합꽃추출물(Lilium Candidum Flower Extract)(h) 1.0 ~ 15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천연추출물이다.
또한 상기 천연추출물은
라즈베리추출물(Raspberry Extract)(i) 1.0 ~ 10 wt%;
빌베리열매/잎추출물(Vaccinium Myrtillus Fruit/Leaf Extract)(j) 1.0 ~ 10 wt%;
딸기추출물(Strawberry Fruit Extract)(k) 1.0 ~ 10 wt%;를 더 포함하여 조성될 수 있다.
상기 제1천연추출물(a)은 산초추출물과 자몽씨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되어 스틱형화장품(103)에 항균 특성을 부여한다.
상기 산초추출물은 산초와 메탄올을 1 : 5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물을 상온에서 22 ~ 26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고,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58 ~ 63 ℃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산초 500 g와 메탄올(methanol) 5 L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12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한다.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 No. 2)로 여과하고, 62 ℃,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500 ㎖의 추출물을 수득한 후 동결건조한다.
상기 자몽씨 추출물은 자몽씨와 에탄올을 1 : 5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60 ~ 62 ℃의 온도 조건에서 2 ~ 3 시간 동안 환류냉각시킨 다음 10,000×g에서 20 ~ 40 분간 원심분리하고,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 후 동결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몽씨 500g과 에탄올 5 L를 혼합하여 60 ℃에서 2 시간 동안 환류냉각시킨 다음 10,000×g에서 30 분간 원심분리한다. 상등액을 여과한 후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2 mPA의 조건에서 6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500 ㎖의 추출물을 수득한 후 동결건조한다.
상기 제2천연추출물(b)은 황금추출물과 민들레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되어 스틱형화장품(103)에 보습특성을 부여한다.
상기 황금추출물은 황금과 메탄올을 1 : 4 ~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성한 후, 상기 혼합물을 65 ~ 75℃에서 20 ~ 30 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추출물을 4 ~ 6 분 동안 3,500 ~ 4,5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건조시킨 황금을 미분쇄한 후, 황금 미분말 500 g과 60 % 에탄올 2 L 를 혼합하여, 72 ℃에서 15 시간 동안 환류추출한다. 추출액을 3,500 rpm으로 10 분간 원심분리한 후, 상층액을 얻어 필터페이퍼(Whatman No 3. filterpaper)로 여과한다.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62 ℃,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여 500 ㎖의 추출물을 수득한 후 동결건조한다.
상기 민들레 추출물은 민들레 분말과 증류수를 1 : 5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진탕배양기(shaking incubator)에서 24 ~ 28 ℃, 30 ~ 60 시간 동안 160 rpm의 조건에서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추출물을 여과한 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민들레를 잎과 뿌리로 나누어 균질기로 파쇄하여 분말 제조하고, 민들레 분말 500 g과 증류수 5 L를 혼합한 후, 진탕배양기(shaking incubator)에서 26 ℃, 50 시간 동안 160 rpm의 조건에서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추출물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 No. 4)로 여과하고, 62 ℃, 0.2 mPA의 조건에서 5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여 500㎖의 추출물을 수득한 후 동결건조한다.
상기 티트리잎추출물은 티트리잎과 증류수를 1 : 5 ~ 2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고, 동일 추출과정을 2 ~ 4회 반복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티트리잎 500 g을 증류수 5 L에 첨가하여 100 ℃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한다. 동일 과정을 3회 반복하여 추출물을 수득한다. 수득한 추출물은 필터페이퍼(Whatman No.2)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500㎖의 티트리잎 추출물을 수득한 후 동결건조한다.
상기 벚꽃추출물은 벚꽃과 증류수를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에서 2 ~ 4 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되, 동일한 추출과정을 2 ~ 4회 반복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여과한 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동결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벚꽃(Prunus Serrulata Flower) 500 g을 증류수 7 L에 첨가한 후, 100 ℃에서 3시간 동안 환류추출한다. 동일한 추출과정을 2회 반복한다. 수득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Whatman No.2)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여 500㎖의 추출물을 수득한 후 동결건조한다.
상기 아세로라추출물은 아세로라와 증류수를 1 : 5 ~ 2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에서 2 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것을 동결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아세로라 500 g을 증류수 5 L에 첨가하여 100 ℃에서 2시간 동안 열수추출한다. 수득한 추출물은 필터페이퍼(Whatman No.2)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500㎖의 아세로라 추출물을 수득한 후 동결건조한다.
상기 마치현추출물은 마치현과 증류수를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환류추출기에서 끓기 시작한 시점에서부터 2 ~ 4 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동결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마치현 500 g을 증류수 20 L에 첨가한 후, 환류추출기에서 끓기 시작한 시점에서부터 3 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여과(Whatman No. 2)한 후 여액을 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여 500㎖의 추출물을 수득한 후 동결건조한다.
상기 마돈나백합꽃추출물은 마돈나백합 꽃과 증류수를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에서 2 ~ 4 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되, 동일한 추출과정을 2 ~ 4회 반복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여과한 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동결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마돈나백합꽃(Lilium Candidum Flower) 500 g을 증류수 7 L에 첨가한 후, 100 ℃에서 3시간 동안 환류추출한다. 동일한 추출과정을 2회 반복한다. 수득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Whatman No.2)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여 500㎖의 추출물을 수득한 후 동결건조한다.
상기 라즈베리추출물은 라즈베리와 증류수를 1 : 2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에서 50 ~ 80 분 동안 열수추출하고, 추출물을 여과한 여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라즈베리 500 g을 증류수 3 L에 첨가하여 100 ℃에서 80분 동안 열수추출한다. 수득한 추출물은 필터페이퍼(Whatman No.2)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500㎖의 라즈베리 추출물을 수득한 후 동결건조한다.
상기 빌베리열매/잎추출물은 동결건조한 빌베리(bilberry) 열매와 잎을 동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하고, 분쇄한 빌베리와 메탄올을 1 : 2 ~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25 ~ 35 ℃에서 5 시간 동안 초음파분해(sonication)하여 추출하고, 동일한 추출과정을 2회 반복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동결건조한 빌베리(Bilberry) 열매와 잎을 250g씩 혼합하여 분쇄하고, 분쇄한 빌베리(Bilberry) 500 g을 80 % 메탄올 3 L에 첨가하여 30 ℃에서 5 시간 동안 초음파분해(sonication)하여 추출한다. 동일한 추출과정을 2회 반복 수행한다. 수득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Whatman No.2)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500㎖ 빌베리열매/잎추출물을 수득한 후 동결건조한다.
상기 딸기추출물은 딸기 열매를 분쇄한 후, 분쇄한 딸기와 에탄올을 1: 2 ~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40 ~ 50 ℃에서 2 ~ 3 시간 동안 초음파분해(sonication)하여 추출하고, 동일한 추출과정을 2회 반복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한 것을 사용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분쇄한 딸기 열매 500 g을 95 % 에탄올 2 L에 첨가한 후, 45 ℃에서 3 시간 동안 초음파분해(sonication)하여 추출한다. 동일한 추출과정을 2회 반복 수행한다. 수득한 추출물을 필터페이퍼(Whatman No.2)로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rotary vacuum evaporator)로 농축하여 500㎖의 추출물을 수득한 후 동결건조한다.
상기 스틱형화장품은 컨실러, 스틱형 섀도, 립스틱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으나, 구체적인 예로서 립스틱과 스틱형 섀도를 제시한다.
상기 스틱형화장품의 립스틱은,
세레신 왁스(Ceresin wax) 5.0 ~ 9.0 wt%;
칸델릴라왁스(Candelilla Wax) 5.0 ~ 9.0 wt%;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Microcrystalline wax) 1.0 ~ 3.0 wt%;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triisostearate) 12.0 ~ 25.0 wt%;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Dipentaerythrityl hexahydroxystearate/hexastearate/hexarosinate) 2.0 ~ 8.0 wt%;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Diisostearyl Malate) 5.0 ~ 15.0 wt%;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1.5 ~ 5.5 wt%;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0.01 ~ 2.0 wt%;
유동파라핀(Liquid paraffin) 또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45.0 ~ 55.0 wt%;
산초추출물과 자몽씨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1천연추출물 10 ~ 80 wt%와, 황금추출물과 민들레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2천연추출물 10 ~ 80 wt%와, 티트리잎추출물(Tea Tree Leaf Extract) 1.0 ~ 15 wt%와, 벚꽃추출물(Prunus Serrulata Flower Extract) 1.0 ~ 15 wt%와, 아세로라추출물(Acerola Extract) 1.0 ~ 15 wt%와, 마치현추출물(Portulaca Oleracea Extract) 1.0 ~ 15 wt%와, 로얄젤리(Royal Jelly) 0.5 ~ 2 wt%와, 마돈나백합꽃추출물(Lilium Candidum Flower Extract) 1.0 ~ 15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천연추출물 0.1 ~ 1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세레신 왁스(Ceresin wax)는 가루로 된 화장품 원료들을 서로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정제나 케이크 형태로 압축하는 과정 또는 압축 후에 점착성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비수용성 점증제로 화장품의 점도를 조절하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칸델릴라왁스(Candelilla Wax)는 노랑의 비즈타입 또는 플레이크타입의 고체로서, 칸델릴라 나무 줄기에서 얻어지는 왁스를 정제한 것이다. 윤택이 뛰어나, 주로 립글로스를 만들 때 사용한다.
상기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Microcrystalline wax)는 화장품에서 서로 섞이지 않는 다른 성분들의 불안정한 유화 상태를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한다.
또한 비수용성 점증제로 화장품의 점도를 조절하고, 화장품의 수분과 유분을 분산함으로 물질의 농도를 희석하거나 물리적인 성질을 용이하게 한다.
상기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triisostearate)는 스킨컨디셔닝, 유화제, 립스틱 기재용 유제로 사용되는 것으로서, 안료의 분산성 및 색소 용해성에 영향을 미친다.
상기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Dipentaerythrityl hexahydroxystearate/hexastearate/hexarosinate)는 립스틱, 립글로스용 에스테르오일이다.
상기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는 5,7,7-트리메칠-2-(1,3,3,-트리메칠부틸)-옥탄올과 말레익애씨드의 디에스텔로 되어 있는 성분이다. 피부를 부드럽게 유연화시키고, 컨디셔닝을 부여하여 활력 있는 피부 관리에 도움을 준다.
상기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는 프로필렌글라이콜과 이산화탄소의 환상에스텔로 되어 있는 유기화합물로서, 화장품에서 용제, 점도감소제로 사용된다.
상기 유동파라핀(Liquid paraffin)은 화학식 C10H12O3으로서 n-프로필알코올과 p-하이드록시벤조익애씨드의 에스터 성분이다. 화장품에 향을 부여하고, 화장품의 변질을 유발하는 외부 물질의 활성을 억제하여 화장품의 안정화 및 보존제 용도로 활용된다.
상기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은 야자유 등으로 만들어진 지방산에서 Caprylic Acid과 Capric Acid을 분획하고, 사익 분획된 지방산을 Glycerin과 반응시켜 만든 합성 Triglycerid이다. 불포화지방산을 함유하지 않아 산화안정성이 매우 우수하고, 피부에 대한 안전성도 우수하여 화장품에 많이 사용된다.
상기 립스틱의 스틱형화장품에 대한 구체적인 조성예는 다음의 실시예 1과 같다.
세레신 왁스(Ceresin wax) 6.0 wt%;
칸델릴라왁스(Candelilla Wax) 6.0 wt%;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Microcrystalline wax) 2.0 wt%;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triisostearate) 17.0 wt%;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Dipentaerythrityl hexahydroxystearate/hexastearate/hexarosinate) 6.0 wt%;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Diisostearyl Malate) 8.5 wt%;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3.5 wt%;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1.0 wt%;
유동파라핀(Liquid paraffin) 또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47.0 wt%;
산초추출물과 자몽씨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1천연추출물 45.0 wt%와, 황금추출물과 민들레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2천연추출물 45.0 wt%와, 티트리잎추출물(Tea Tree Leaf Extract) 2.0 wt%와, 벚꽃추출물(Prunus Serrulata Flower Extract) 2.0 wt%와, 아세로라추출물(Acerola Extract) 2.0 wt%와, 마치현추출물(Portulaca Oleracea Extract) 2.0 wt%와, 로얄젤리(Royal Jelly) 1.0 wt%와, 마돈나백합꽃추출물(Lilium Candidum Flower Extract) 1.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천연추출물 3.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다음으로 스틱형화장품의 예로서, 스틱형 아이섀도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상기 스틱형 아이섀도는,
탈크(Talc) 12.0 ~ 18.0 wt%;
디메치콘(Dimethicone) 5.0 ~ 10.0 wt%;
실리카(Silica) 0.1 ~ 1.5 wt%;
칼슘소듐보로실리케이트(Calcium Sodium Borosilicate) 2.0 ~ 7.0 wt%;
나일론-12(Nylon-12) 2.0 ~ 8.0 wt%;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1.5 ~ 5.5 wt%;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0.1 ~ 3.5 wt%;
메칠파라벤(Methylparaben) 0.1 ~ 0.8 wt%;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0.01 ~ 0.12 wt%;
아이런옥사이드(Iron Oxides) 0.5 ~ 3.0 wt%;
틴옥사이드(Tin Oxide) 0.1 ~ 0.9 wt%;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3.0 ~ 9.0 wt%;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0.05 ~ 0.8 wt%;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0.5 ~ 5.5 wt%;
마이카(Mica) 2.5 ~ 12.5 wt%;
산초추출물과 자몽씨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1천연추출물 10 ~ 80 wt%와, 황금추출물과 민들레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2천연추출물 10 ~ 80 wt%와, 티트리잎추출물(Tea Tree Leaf Extract) 1.0 ~ 15 wt%와, 벚꽃추출물(Prunus Serrulata Flower Extract) 1.0 ~ 15 wt%와, 아세로라추출물(Acerola Extract) 1.0 ~ 15 wt%와, 마치현추출물(Portulaca Oleracea Extract) 1.0 ~ 15 wt%와, 로얄젤리(Royal Jelly) 0.5 ~ 2 wt%와, 마돈나백합꽃추출물(Lilium Candidum Flower Extract) 1.0 ~ 15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천연추출물 0.1 ~ 1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상기 탈크(Talc)는 마그네슘을 주성분으로 하는 무른 성질의 점토 광물을 분쇄하여 얻은 활석 성분으로 미세한 결정과 치밀도를 가져 매끄러운 감촉을 표현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성분이다. 피부를 보호하고 매끈하게 가꾸는데 도움을 주며, 화장품에 사용되는 분말 성분이 수분을 흡수할 경우 수분에 의해 엉키거나 덩어리가 생성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원료로 사용된다.
상기 디메치콘(Dimethicone)은 선형의 실록산폴리머를 완전히 메칠화하여 얻은 혼합물 성분으로서, 얇은 막을 형성하여 피부를 보호하고 피부 속 수분의 증발을 차단하여 피부 보습력을 유지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실리카(Silica)는 실록산과 실란류의 무기산화물로 이산화규소, 규산무수물이라고도 불리며 규소와 산소의 결합체이다. 화장품에 사용되는 분말 성분이 수분을 흡수할 경우 수분에 의해 엉키거나 덩어리가 생성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칼슘소듐보로실리케이트(Calcium Sodium Borosilicate)는 빛을 산란시켜 특유의 효과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폴리쉬 리무버, 립 플럼퍼, 립 트리트먼트, 매니큐어, 아이섀도우, 립스틱, 아이라이너, 마스카라, 립글로즈 등에 사용된다.
상기 나일론-12(Nylon-12)은 아미드 결합에 의해 연결된 반복 단위로 이루어지는 중합체이다. 피부에 부드러운 느낌을 제공하고, 화장품의 점도를 조절하거나 투명도를 감소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상기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는 피부에 얇은 피막을 형성하여 피부를 매끈하게 감싸 보호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화장품의 사용성 개선과 진줏빛 광택 효과를 낸다.
상기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은 색조화장품에 매끄러운 텍스처를 부여해주는 것으로서, 향상된 흡착력과 매끄러운 텍스쳐를 제공한다.
상기 메칠파라벤(Methylparaben)은 화학식 C8H8O3인 메칠알코올 및 p-하이드록시벤조익애씨드의 에스터 성분이다. 화장품에 향을 부여하며, 화장품의 변질을 유발하는 외부 물질의 활성을 억제하여 화장품의 안정화 및 보존제 역할을 한다. 또한 자동 산화에 의한 화장품의 변질, 부패 등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은 화학식 C10H12O3로서, n-프로필알코올과 p-하이드록시벤조익애씨드의 에스터 성분이다. 화장품에 향을 부여하고, 화장품의 변질을 유발하는 외부 물질의 활성을 억제하여 화장품의 안정화 및 보존제의 역할을 한다.
상기 아이런옥사이드(Iron Oxides)는 화장품에 자연의 색상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틴옥사이드(Tin Oxide)는 무기산화물 성분으로서, 화장품의 수분과 유분을 분산함으로 물질의 농도를 희석하거나 물리적인 성질을 용이한다. 그리고 피부 위 각질을 제거하여 피부를 매끄럽게 하는 기능을 갖는다.
상기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는 이산화티타늄이라고도 하며 자연의 금홍석, 예추석, 판티탄석에서 얻어지는 광물성 성분으로 백색 파우더 성상을 갖는다. 피부톤을 보정하거나, 물리적 자외선 차단제 용도로 사용된다.
상기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는 비닐디메칠폴리실록산으로 가교된 디메칠폴리실록산의 공중합체 성분이다. 비수용성 점증제로 화장품의 점도를 조절하며 화장품에 높은 발림성과 실키한 감촉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피부 광택을 개선하고 피부를 부드럽게 한다.
상기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는 5,7,7-트리메칠-2-(1,3,3,-트리메칠부틸)-옥탄올과 말레익애씨드의 디에스텔로 되어 있는 성분으로서, 피부를 부드럽게 유연화시키고, 피부에 컨디셔닝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마이카(Mica)는 천연에서 나는 함수알루미늄포타슘실리케이트 성분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퍼짐성과 차단력이 있어 부드럽게 발려 피부를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고, 화장품에 색상을 부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스틱형 아이섀도 화장품에 대한 구체적인 조성예는 다음의 실시예 2와 같다.
탈크(Talc) 15.0 wt%;
디메치콘(Dimethicone) 11.8 wt%;
실리카(Silica) 3.5 wt%;
칼슘소듐보로실리케이트(Calcium Sodium Borosilicate) 5.0 wt%;
나일론-12(Nylon-12) 9.0 wt%;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8.5 wt%;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3.5 wt%;
메칠파라벤(Methylparaben) 1.2 wt%;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0.5 wt%;
아이런옥사이드 (Iron Oxides) 3.0 wt%;
틴옥사이드(Tin Oxide) 1.0 wt%;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10.0 wt%;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1.5 wt%;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7.5 wt%;
마이카(Mica) 15.5 wt%;
산초추출물과 자몽씨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1천연추출물 45.0 wt%와, 황금추출물과 민들레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2천연추출물 45.0 wt%와, 티트리잎추출물(Tea Tree Leaf Extract) 2.0 wt%와, 벚꽃추출물(Prunus Serrulata Flower Extract) 2.0 wt%와, 아세로라추출물(Acerola Extract) 2.0 wt%와, 마치현추출물(Portulaca Oleracea Extract) 2.0 wt%와, 로얄젤리(Royal Jelly) 1.0 wt%와, 마돈나백합꽃추출물(Lilium Candidum Flower Extract) 1.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천연추출물 3.5 wt%;의 혼합으로 조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은 사용편의성, 내오염 및 항균특성과, 블럭화장품에 적합한 스틱형화장품을 제공함으로써 소비자의 사용만족도를 높일 수 있고, 또한 다양한 색상의 표현이 가능하고 향을 발산하는 기능을 통해 높은 심미감을 줄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크다.
1: 다단식 블럭 화장품
10: 단층블럭 20: 블럭결합체
30: 투명케이스 101: 블럭몸체
102: 돌출부 103: 스틱형화장품
104: 결합홈부

Claims (7)

  1. 상단 및 하단 테두리를 따라 결합부재(101a)가 형성되고, 다양한 색상을 갖는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상의 블럭몸체(101)와,
    상기 블럭몸체(101)의 상단 중심부에 형성되되, 상기 블럭몸체(101) 보다 직경이 작은 원통형 또는 다각통형상으로 이루어진 중공의 돌출부(102)와,
    상기 중공의 돌출부(102)에 탑재되는 스틱형화장품(103)과,
    상기 블럭몸체(101)의 하단에 형성되어 다른 단층블럭의 돌출부에 탑재되는 스틱형화장품이 인입되는 결합홈부(104)를 포함하여 단층블럭(10)을 이루고,
    상기 단층블럭(10)을 다단으로 결합하여 일체를 이루되, 동일한 색상을 갖는 단층블럭(10)을 다단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서로 다른 색상을 갖는 단층블럭(10)을 색상별로 결합하여 일체를 이루고, 최상단 단층블럭(10)의 스틱형화장품(103)을 보호하는 투명 또는 반투명의 보호캡(201)을 포함하여 블럭결합체(20)를 이루고,
    상기 블럭결합체(20)가 내부에 탑재되는 투명케이스(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
  2. 청구항 1에 있어서,
    단층블럭(10)의 블럭몸체(101)는 일측면에 투명 또는 반투명 확인창(101b)이 구비되어 결합홈부(104)에 인입되어 있는 스틱형화장품의 종류와 잔량을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
  3. 청구항 1에 있어서,
    단층블럭(10)은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PC), 실리콘(Silicone), 폴리비닐클로라이드(Polyvinylchloride, PVC), 폴리스테렌(Poly styrene, PS), 폴리프로필렌(Polypropylene, PP),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수지 80 ~ 95 wt%와,
    유리섬유(Glass fiber), 탄소섬유(Carbon fiber),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강화재(Reinforcement) 2 ~ 7 wt%와,
    네놀리(Neroli), 라벤더(Lavender), 로즈(Rose), 로즈마리(Rosemary),버가못(Bergamot), 샌달우드(Sandalwood), 유칼립투스(Eucalyptus), 제라늄(Geranium),카모마일 저먼(Chamomile, German), 카모마일 로먼(Chamomile, Roman), 타임(Thyme), 티트리(Tea tree), 페퍼민트(Peppermint), 파인(Pine), 프랑킨센스(Frankincense) 중 선택되는 어느 1종 또는 2종 이상의 엔센셜 오일 0.1 ~ 3.0 wt%의 혼합물을 사출온도 280 ~ 310 ℃, 사출속도 20 ~ 40 mm/min, 사출압력 55 ~ 115 Kgf/㎠ 및 금형온도 65 ~ 95 ℃의 조건에서 사출성형하여 내구성 및 향 발산 기능을 갖는 단층블럭(10)을 제조하고,
    상기 단층블럭(10)의 외면에 항균코팅처리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항균코팅처리는 광개시제(Photoinitiator) 2.0 ~ 8.5 wt%와, 모노머(Monomer) 52.0 ~ 65.0 wt%와, 올리고머(Oligomer) 25.0 ~ 40.0 wt%와, 첨가제(Additives) 0.2 ~ 1.5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 wt%의 제1조성물 60.0 ~ 96.0 wt%; 4가 암모늄의 수용성 대전방지제 5.0 ~ 25.0 wt%; 은나노 항균제 0.1 ~ 3.0 wt%:를 1,500 ~ 1,800 rpm으로 20 ~ 40 분 동안 배합하여 항균코팅액을 조성한 후,
    상기 항균코팅액을 상기 단층블럭(10)의 외면에 도포하여 자외선 조사량 1.0 ~ 3.0 kW, 경화속도 1.0 ~ 2.0 m/min의 조건에서 UV경화시켜 이루어지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
  4.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틱형화장품은 화장품 전체 중량에 대해 천연추출물이 0.1 ~ 10 wt%로 첨가되어 조성된 것으로서,
    상기 천연추출물은,
    산초와 메탄올을 1 : 5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혼합물을 상온에서 22 ~ 26 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추출하고,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58 ~ 63 ℃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한 후 동결건조한 산초추출물 1.0 ~ 99.0 wt%와,
    자몽씨와 에탄올을 1 : 5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60 ~ 62 ℃의 온도 조건에서 2 ~ 3 시간 동안 환류냉각시킨 다음 10,000×g에서 20 ~ 40 분간 원심분리하고,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 후 동결건조한 자몽씨 추출물 1.0 ~ 99.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제1천연추출물(a) 10 ~ 80 wt%;
    황금과 메탄올을 1 : 4 ~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혼합물을 조성한 후, 상기 혼합물을 65 ~ 75℃에서 20 ~ 30 시간 동안 환류추출하고, 추출물을 4 ~ 6 분 동안 3,500 ~ 4,500 rpm으로 원심분리하여 수득한 상층액을 필터페이퍼(filter paper)로 여과하고, 여과한 추출물을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한 황금추출물 1.0 ~ 99.0 wt%와,
    민들레 분말과 증류수를 1 : 5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진탕배양기(shaking incubator)에서 24 ~ 28 ℃, 30 ~ 60 시간 동안 160 rpm의 조건에서 추출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추출물을 여과한 후, 0.1 ~ 0.3 mPA의 조건에서 5 ~ 7 시간 동안 감압농축기(vacuum rotation evaporator)로 감압농축하고, 동결건조기(Freeze dryer)를 이용하여 2 ~ 4 일 동안 건조한 민들레 추출물 1.0 ~ 99.0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제2천연추출물(b) 10 ~ 80 wt%;
    티트리잎과 증류수를 1 : 5 ~ 2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에서 3시간 동안 열수추출하고, 동일 추출과정을 2 ~ 4회 반복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한 티트리잎추출물(Tea Tree Leaf Extract)(c) 1.0 ~ 15 wt%;
    벚꽃과 증류수를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에서 2 ~ 4 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되, 동일한 추출과정을 2 ~ 4회 반복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여과한 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동결건조한 벚꽃추출물(Prunus Serrulata Flower Extract)(d) 1.0 ~ 15 wt%;
    아세로라와 증류수를 1 : 5 ~ 2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에서 2 시간 동안 열수추출한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것을 동결건조한 아세로라추출물(Acerola Extract)(e) 1.0 ~ 15 wt%;
    마치현과 증류수를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환류추출기에서 끓기 시작한 시점에서부터 2 ~ 4 시간 동안 가열하여 추출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여과한 후 여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동결건조한 마치현추출물(Portulaca Oleracea Extract)(f) 1.0 ~ 15 wt%;
    로얄젤리(Royal Jelly)(g) 0.5 ~ 2 wt%;
    마돈나백합 꽃과 증류수를 1 : 5 ~ 30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에서 2 ~ 4 시간 동안 환류 추출하되, 동일한 추출과정을 2 ~ 4회 반복하여 추출물을 수득하고, 수득한 추출물을 여과한 후 감압농축기로 농축하여 동결건조한 마돈나백합꽃추출물(Lilium Candidum Flower Extract)(h) 1.0 ~ 15 wt%;를 혼합(a+b+c+d+e+f+g+h)하여 100wt%로 조성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
  5. 청구항 4에 있어서,
    천연추출물은,
    라즈베리와 증류수를 1 : 2 ~ 15 중량비로 혼합한 후, 100 ℃에서 50 ~ 80 분 동안 열수추출하고, 추출물을 여과한 여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한 라즈베리추출물(Raspberry Extract)(i) 1.0 ~ 10 wt%;
    동결건조한 빌베리(bilberry) 열매와 잎을 동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분쇄하고, 분쇄한 빌베리와 메탄올을 1 : 2 ~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25 ~ 35 ℃에서 5 시간 동안 초음파분해(sonication)하여 추출하고, 동일한 추출과정을 2회 반복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한 빌베리열매/잎추출물(Vaccinium Myrtillus Fruit/Leaf Extract)(j) 1.0 ~ 10 wt%;
    딸기 열매를 분쇄한 후, 분쇄한 딸기와 에탄올을 1: 2 ~ 15 중량비로 혼합하여 40 ~ 50 ℃에서 2 ~ 3 시간 동안 초음파분해(sonication)하여 추출하고, 동일한 추출과정을 2회 반복하여 수득한 추출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감압농축기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한 딸기추출물(Strawberry Fruit Extract)(k) 1.0 ~ 10 wt%;를 더 첨가하여 조성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
  6. 청구항 1에 있어서,
    스틱형화장품은
    세레신 왁스(Ceresin wax) 5.0 ~ 9.0 wt%;
    칸델릴라왁스(Candelilla Wax) 5.0 ~ 9.0 wt%;
    마이크로크리스탈린왁스(Microcrystalline wax) 1.0 ~ 3.0 wt%;
    폴리글리세릴-2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Polyglyceryl-2 triisostearate) 12.0 ~ 25.0 wt%;
    디펜타에리스리틸헥사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헥사스테아레이트/헥사로지네이트(Dipentaerythrityl hexahydroxystearate/hexastearate/hexarosinate) 2.0 ~ 8.0 wt%;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 (Diisostearyl Malate) 5.0 ~ 15.0 wt%;
    프로필렌카보네이트(Propylene carbonate) 1.5 ~ 5.5 wt%;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0.01 ~ 2.0 wt%;
    유동파라핀(Liquid paraffin) 또는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라이드(Caprylic/Capric Triglyceride) 45.0 ~ 55.0 wt%;
    산초추출물과 자몽씨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1천연추출물 10 ~ 80 wt%와, 황금추출물과 민들레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2천연추출물 10 ~ 80 wt%와, 티트리잎추출물(Tea Tree Leaf Extract) 1.0 ~ 15 wt%와, 벚꽃추출물(Prunus Serrulata Flower Extract) 1.0 ~ 15 wt%와, 아세로라추출물(Acerola Extract) 1.0 ~ 15 wt%와, 마치현추출물(Portulaca Oleracea Extract) 1.0 ~ 15 wt%와, 로얄젤리(Royal Jelly) 0.5 ~ 2 wt%와, 마돈나백합꽃추출물(Lilium Candidum Flower Extract) 1.0 ~ 15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천연추출물 0.1 ~ 10 wt%;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립스틱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
  7. 청구항 1에 있어서,
    탈크(Talc) 12.0 ~ 28.0 wt%;
    디메치콘(Dimethicone) 5.0 ~ 20.0 wt%;
    실리카(Silica) 0.1 ~ 5.5 wt%;
    칼슘소듐보로실리케이트(Calcium Sodium Borosilicate) 2.0 ~ 12.0 wt%;
    나일론-12(Nylon-12) 2.0 ~ 15.0 wt%;
    폴리메칠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1.5 ~ 10.5 wt%;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Magnesium Stearate) 0.1 ~ 6.5 wt%;
    메칠파라벤(Methylparaben) 0.1 ~ 2.8 wt%;
    프로필파라벤(Propylparaben) 0.01 ~ 1.0 wt%;
    아이런옥사이드 (Iron Oxides) 0.5 ~ 6.0 wt%;
    틴옥사이드(Tin Oxide) 0.1 ~ 2.0 wt%;
    티타늄디옥사이드(Titanium Dioxide) 3.0 ~ 15.0 wt%;
    디메치콘/비닐디메치콘크로스폴리머(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0.05 ~ 2.8 wt%;
    디이소스테아릴말레이트(Diisostearyl Malate) 0.5 ~ 10.5 wt%;
    마이카(Mica) 2.5 ~ 22.5 wt%;
    산초추출물과 자몽씨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1천연추출물 10 ~ 80 wt%와, 황금추출물과 민들레 추출물의 혼합으로 조성된 제2천연추출물 10 ~ 80 wt%와, 티트리잎추출물(Tea Tree Leaf Extract) 1.0 ~ 15 wt%와, 벚꽃추출물(Prunus Serrulata Flower Extract) 1.0 ~ 15 wt%와, 아세로라추출물(Acerola Extract) 1.0 ~ 15 wt%와, 마치현추출물(Portulaca Oleracea Extract) 1.0 ~ 15 wt%와, 로얄젤리(Royal Jelly) 0.5 ~ 2 wt%와, 마돈나백합꽃추출물(Lilium Candidum Flower Extract) 1.0 ~ 15 wt%의 혼합으로 조성된 100wt%의 천연추출물 0.1 ~ 10 wt%;의 혼합으로 조성되는 스틱형 아이섀도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









KR1020170149705A 2017-11-10 2017-11-10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 KR1019828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705A KR101982809B1 (ko) 2017-11-10 2017-11-10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705A KR101982809B1 (ko) 2017-11-10 2017-11-10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626A true KR20190053626A (ko) 2019-05-20
KR101982809B1 KR101982809B1 (ko) 2019-05-27

Family

ID=66678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705A KR101982809B1 (ko) 2017-11-10 2017-11-10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280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5068A (zh) * 2021-06-25 2021-09-24 安徽亦宣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铅笔式眉笔笔芯及其制备方法
WO2023233414A1 (en) * 2022-06-04 2023-12-07 Renee Cosmetics Private Limited Lipstick with a push and pop mechanis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320Y1 (ko) 2021-10-12 2023-10-10 유성조 교체 가능한 다단식 화장품 수납함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708A (ja) * 1992-12-15 1994-08-23 Kamaya Kagaku Kogyo Co Ltd リップ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ップの製法
KR200227210Y1 (ko) 2000-11-13 2001-06-15 김영일 착탈 다단 회전식 화장품 케이스
KR200262423Y1 (ko) * 2001-08-16 2002-03-18 김문희 멀티피스 립스틱케이스
JP2002262933A (ja) * 2001-02-24 2002-09-17 Motodesign Consulting Inc 口紅ケース
KR100704004B1 (ko) 2006-03-02 2007-04-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다단식 화장품 용기
KR101009480B1 (ko) * 2010-10-13 2011-01-19 보성환경이엔텍 주식회사 촉매 탈취제 및 이를 이용한 촉매형 탈취블럭
KR20130074807A (ko) * 2011-12-16 2013-07-05 최홍락 서사향을 함유하는 화장품
KR20140059449A (ko) * 2012-11-08 2014-05-16 (주)아모레퍼시픽 에멀젼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101413219B1 (ko) * 2011-11-23 2014-06-30 이찬봉 열차단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 및 기능성 필름
KR20150103138A (ko) * 2012-12-27 2015-09-09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31684A (ko) * 2014-09-12 2016-03-23 주식회사 큐인터내셔널 여러 가지 형태의 브러쉬가 내장되어 사용자가 선택 사용할 수 있는 화장용 브러쉬
KR20160003132U (ko) 2015-03-05 2016-09-20 (주)아모레퍼시픽 회전 개폐가 가능한 다단 화장품 용기
KR20170020538A (ko) * 2014-07-11 2017-02-22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화장품 조성물
JP2017052706A (ja) * 2015-09-07 2017-03-16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顆粒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20170050786A (ko) 2015-10-31 2017-05-11 서경아 미니 블럭 화장품
KR101775948B1 (ko) 2015-12-10 2017-09-08 (주)아모레퍼시픽 회전 개폐가 가능한 다단 화장품 케이스

Patent Citation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33708A (ja) * 1992-12-15 1994-08-23 Kamaya Kagaku Kogyo Co Ltd リップ容器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ップの製法
KR200227210Y1 (ko) 2000-11-13 2001-06-15 김영일 착탈 다단 회전식 화장품 케이스
JP2002262933A (ja) * 2001-02-24 2002-09-17 Motodesign Consulting Inc 口紅ケース
KR200262423Y1 (ko) * 2001-08-16 2002-03-18 김문희 멀티피스 립스틱케이스
KR100704004B1 (ko) 2006-03-02 2007-04-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다단식 화장품 용기
KR101009480B1 (ko) * 2010-10-13 2011-01-19 보성환경이엔텍 주식회사 촉매 탈취제 및 이를 이용한 촉매형 탈취블럭
KR101413219B1 (ko) * 2011-11-23 2014-06-30 이찬봉 열차단 및 항균 효과를 가지는 수지 조성물 및 기능성 필름
KR20130074807A (ko) * 2011-12-16 2013-07-05 최홍락 서사향을 함유하는 화장품
KR20140059449A (ko) * 2012-11-08 2014-05-16 (주)아모레퍼시픽 에멀젼 바인더 조성물,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들의 제조방법
KR20150103138A (ko) * 2012-12-27 2015-09-09 가부시기가이샤하야시바라 안티에이징용 피부 외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20538A (ko) * 2014-07-11 2017-02-22 마리 케이 인코포레이티드 화장품 조성물
KR20160031684A (ko) * 2014-09-12 2016-03-23 주식회사 큐인터내셔널 여러 가지 형태의 브러쉬가 내장되어 사용자가 선택 사용할 수 있는 화장용 브러쉬
KR20160003132U (ko) 2015-03-05 2016-09-20 (주)아모레퍼시픽 회전 개폐가 가능한 다단 화장품 용기
JP2017052706A (ja) * 2015-09-07 2017-03-16 一丸ファルコス株式会社 顆粒を含有する化粧料組成物
KR20170050786A (ko) 2015-10-31 2017-05-11 서경아 미니 블럭 화장품
KR101775948B1 (ko) 2015-12-10 2017-09-08 (주)아모레퍼시픽 회전 개폐가 가능한 다단 화장품 케이스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425068A (zh) * 2021-06-25 2021-09-24 安徽亦宣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铅笔式眉笔笔芯及其制备方法
CN113425068B (zh) * 2021-06-25 2023-04-25 安徽亦宣金属科技有限公司 一种铅笔式眉笔笔芯及其制备方法
WO2023233414A1 (en) * 2022-06-04 2023-12-07 Renee Cosmetics Private Limited Lipstick with a push and pop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809B1 (ko) 2019-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809B1 (ko) 다색·다단식 블럭 화장품
JP6270159B2 (ja) 少なくとも1種のアルコキシシランを含む化粧学的組成物
JP3753294B2 (ja) 角度依存性色材と単色色材とを組合せて含有するメークアップ用キット
JP5877892B2 (ja) リップスティック
CN102791245B (zh) 复合物颗粒、组合物和方法
CN103371930B (zh) 油基化妆用化妆制品
TWI739880B (zh) 具有改善敷塗特性以及成形性的壓粉化妝品組成物
KR100318658B1 (ko) 신규한 안료를 함유하는 화장품용 조성물
JPH1171237A (ja) ポリサッカリドアルキルエーテルで濃化された芳香族オイルを含有するツヤのある組成物
ES2599029T3 (es) Compuestos de cera-resina ternaria y cuaternaria para su uso en preparados cosméticos y farmacéuticos
US20200268637A1 (en) Ultrafine Polyhydroxyalkanoates
US20080044366A1 (en) Compositions for application to the skin, to the lips, to the nails, and/or to hair
CN107580491A (zh) 用于减轻皮肤瑕疵外观的光学活化体系
KR20090054540A (ko) 지속성이 우수하고 묻어나지 않는 유중수형 메이크업화장료 조성물
JP7235824B2 (ja) 油性メーキャップ化粧料
ES2657234T3 (es) Escamas de perlita revestidas
CN107580492A (zh) 稳定核黄素的方法
KR20190011065A (ko)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TW201132358A (en) Clear or translucent composition
CN107635542A (zh) 制备光学活化体系的方法
CN104185657B (zh) 树脂组合物和配合有该树脂组合物的化妆品
ES2944538T3 (es) Composiciones para esmalte de uñas
FR2999421A1 (fr) Composition cosmetique contenant des pigments naturels blancs a couvrance elevee.
JP2006089409A (ja) 固型粉末メーキャップ化粧料の製造方法
JP2021155361A (ja) 繊維含有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