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503A - 훼스너 체결장치 - Google Patents

훼스너 체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503A
KR20190053503A KR1020170149454A KR20170149454A KR20190053503A KR 20190053503 A KR20190053503 A KR 20190053503A KR 1020170149454 A KR1020170149454 A KR 1020170149454A KR 20170149454 A KR20170149454 A KR 20170149454A KR 20190053503 A KR20190053503 A KR 201900535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stener
moving block
fastening
present
hold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01382B1 (ko
Inventor
김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서연이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서연이화
Priority to KR1020170149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01382B1/ko
Publication of KR201900535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5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013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013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3/00Elements for body-finishing, identifying, or decorating; Arrangements or adaptations for advertising purposes
    • B60R13/02Internal Trim mouldings ; Internal Ledges; Wall liners for passenger compartments; Roof liners
    • B60R13/0206Arrangements of fasteners and clip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inner vehicle liners or mould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6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 F16B5/0607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 F16B5/0621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clamps or clips joining sheets or plates to each other in parallel relationshi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Vehicle Interior And Exterior Ornaments, Soundproofing, And Insu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훼스너가 안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안착된 훼스너를 밀어내도록 상기 홀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을 이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훼스너 체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훼스너 체결장치{Apparatus for joining fastner}
본 발명은 훼스너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으로 훼스너가 체결될 수 있도록 하는 훼스너 체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훼스너(fastner)는 고정용 철물을 총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훼스너는 자동차에서도 많이 사용되는데, 자동차의 패널에 다른 부품을 상호 결합하는데 사용된다.
자동차에 사용되는 훼스너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265710호(2002.02.08) 등에 개시되어 있다.
종래의 자동차용 훼스너는, 자동차 내장재 제품을 생산하기 위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훼스너를 도어트림에 체결하거나 가체결한뒤 망치를 사용하여 체결하는 방식이었다.
그러나, 수작업으로 훼스너를 체결할 경우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망치를 사용하는 도중 작업자의 실수로 인해 훼스너의 외관이나 훼스너의 주변부분을 파손 또는 변형시키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65710호(2002.02.08)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수작업으로 진행되었던 훼스너 체결작업을 자동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훼스너 체결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훼스너 체결장치는, 훼스너가 안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안착된 훼스너를 밀어내도록 상기 홀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을 이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홀더부는, 제1홀더부재와 제2홀더부재가 이격설치되어 구성될수 있다.
또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1 및 제2홀더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롤러와, 일단이 상기 이동블록과 결합되고 상기 회전롤러의 외륜에 지지되는 작동스트링과, 상기 작동스트링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작동스트링을 인출하는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이동블록은,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돌출부는, 탄성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돌출부의 돌출높이는, 상기 훼스너가 체결되는 체결부의 형상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훼스너 체결장치는, 도어트림 지그에서 복수개의 훼스너 체결위치마다 각각 설치되고, 상기 훼스너 체결장치마다 상기 작동스트링이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가 상기 작동스트링을 인출할 때 상기 훼스너의 체결작업이 한번에 완료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훼스너 체결장치는, 이동된 상기 이동블록을 원위치시키는 복귀수단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으로 훼스너를 체결시키는 훼스너 체결장치를 제공함으로써 훼스너 체결작업 효율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수작업시 발생되었던 훼스너의 외관이나 주변부의 파손이나 변형을 방지하여 자동차 내장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훼스너 체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훼스너 체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훼스너 체결장치의 체결 작동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훼스너 체결장치를 설치한 도어트림 지그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 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훼스너 체결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훼스너 체결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훼스너 체결장치의 체결 작동을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훼스너 체결장치(100)는, 훼스너(150)가 안착되는 홀더부(120)와, 홀더부(120)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블록(110)과, 이동블록(110)을 이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한다.
훼스너(150)는, 자동차 내장재 부품(미도시)에 형성된 끼움홀에 끼워지고, 상측에서 패널(미도시)이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홀더부(120)는, 훼스너(150)가 끼워져서 안착되도록 안착부가 구비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4각판형의 제1홀더부재(121) 및 제2홀더부재(123)가 서로 이격설치되어 이격공간을 통해 훼스너(150)가 삽입되도록 한다.
이동블록(110)은, 육면체로 형성되고 하측부분이 홀더부(120)와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이동블록(110)은 홀더부(120)를 따라 전방으로 이동되면서 홀더부(120)의 전방에 안착된 훼스너(150)를 전방으로 밀어내도록 구성된다.
상기 이동블록(110)에는, 보다 효과적으로 훼스너(150)를 밀어내도록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1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돌출부(111)는, 훼스너(150)와 충돌시 충격을 흡수하고 훼스너(150)의 손상을 방지하도록 탄성소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돌출부(111)의 돌출높이는, 훼스너(150)가 체결되는 체결부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게 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 훼스너(150)는, 자동차 내장재 부품의 끼움홀(미도시)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끼워지는 끼움홀(미도시)의 길이만큼 훼스너(150)가 이동되면 체결이 완료되므로, 돌출부(111)의 돌출높이도 훼스너(150)가 이동되어야 되는 길이에 대응되도록 설계한다.
한편, 본 발명의 훼스너 체결장치(100)은, 작동부를 포함하여 이동블록(110)을 전진 이동시키게 된다.
작동부는, 제1 및 제2홀더부재(121,123)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롤러(140)와, 일단이 이동블록(110)과 결합되는 작동스트링(130)과, 작동스트링(130)을 인출하는 구동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작동스트링(130)은, 일단이 이동블록(110)과 연결되고 타단은 구동부(미도시)와 연결되어 구동부(미도시)에서 장력을 발생시키면 작동스트링(130)이 그 힘을 전달하여 이동블록(110)이 이동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스트링(130)에 작용하는 장력의 방향을 변경하도록 회전롤러(140)을 구비한다.
회전롤러(1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스트링(130)이 화살표 방향으로 당겨지며 장력이 발생하고, 작동스트링(130)이 회전롤러(140)의 외륜에 지지되면서 방향을 180도 전환하면서 인출될 수 있도록 한다.
구동부(미도시)는, 작동스트링(130)을 잡아당기는 장력을 발생시키는 수단으로서 선형왕복운동을 제공하는 리니어 모터 등 다양한 구동수단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훼스너 체결장치(100)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훼스너(150)를 홀더부(120)에 끼워넣어 체결을 준비한다.
다음으로, 도 3의 (c) 및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훼스너 체결장치(100)을 동작시켜 작동스트링(130)이 이동블록(110)을 잡아당김으로서 이동블록(110)이 전진이동하고 이동블록(110)의 돌출부(111)가 훼스너(150)를 홀더부(120) 전방으로 밀어내면서 훼스너(150)가 체결위치로 이동되게 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스트링(130)이 화살표 방향(후방)으로 당겨지며 장력이 발생하고, 발생한 장력은 회전롤러(140)를 지나면서 방향이 바뀌어 연결된 이동블록(110)을 화살표 방향(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이동블록(110)이 전진하며 훼스너(150)를 밀어내며 체결이 완료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훼스너 체결장치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방으로 이동되어 훼스너 체결작업을 완료한 이동블록(110)을 후방의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수단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복귀수단(미도시)은, 이동블록(110)에 모터(미도시) 등의 구동수단을 설치하여 저장된 위치(원위치)로 이동시키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귀수단(미도시)이 포함되면 훼스너 체결작업후 수작업으로 이동블록(110)을 복귀시키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체결작업을 자동화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훼스너 체결장치를 설치한 도어트림 지그를 도시한 것이다.
도어트림 지그(200)에는, 복수개의 훼스너 체결위치(210)가 포함된다.
또한, 도어트림 지그(200)에는, 상기 훼스너 체결위치(210)마다 본 발명의 훼스너 체결장치(100)을 설치할 수 있도록 복수개의 거치부(220)가 구비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훼스너 체결장치(100)가 도어트림 지그(200)에 설치된 다음, 구동부(135)에서 작동스트링(130)을 화살표 방향으로 잡아당기면 각각의 훼스너 체결장치(100)의 이동블록(110)에 연결된 작동스트링(130)들이 모두 장력이 발행하면서 모든 훼스너 체결장치(100)의 이동블록(110)들이 모두 전진하면서 훼스너 체결작업이 한번에 완료되게 된다.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훼스너 체결장치(100)은, 종래 수작업으로 진행되었던 훼스너 체결작업을 이동블록(110)이 이동하면서 자동으로 수행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작업효율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훼스너 체결장치
110: 이동블록
120: 홀더부
130: 작동스트링
135: 구동부
140: 회전롤러
150: 훼스너

Claims (8)

  1. 훼스너가 안착되는 홀더부;
    상기 홀더부에 안착된 훼스너를 밀어내도록 상기 홀더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이동블록; 및
    상기 이동블록을 이동시키는 작동부;를 포함하는, 훼스너 체결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홀더부는,
    제1홀더부재와 제2홀더부재가 이격설치되어 구성되는, 훼스너 체결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작동부는,
    상기 제1 및 제2홀더부재 사이에 설치되는 회전롤러와,
    일단이 상기 이동블록과 결합되고 상기 회전롤러의 외륜에 지지되는 작동스트링과,
    상기 작동스트링의 타단이 연결되어 상기 작동스트링을 인출하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훼스너 체결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동블록은,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출부가 구비되는, 훼스너 체결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탄성소재로 구성되는, 훼스너 체결장치.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의 돌출높이는,
    상기 훼스너가 체결되는 체결부의 형상에 따라 결정되는, 훼스너 체결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훼스너 체결장치는,
    도어트림 지그에서 복수개의 훼스너 체결위치마다 각각 설치되고,
    상기 훼스너 체결장치마다 상기 작동스트링이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가 상기 작동스트링을 인출할 때 상기 훼스너의 체결작업이 한번에 완료되도록 구성되는, 훼스너 체결장치.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훼스너 체결장치는,
    이동된 상기 이동블록을 원위치시키는 복귀수단을 더 포함하는, 훼스너 체결장치.
KR1020170149454A 2017-11-10 2017-11-10 훼스너 체결장치 KR1020013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454A KR102001382B1 (ko) 2017-11-10 2017-11-10 훼스너 체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454A KR102001382B1 (ko) 2017-11-10 2017-11-10 훼스너 체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503A true KR20190053503A (ko) 2019-05-20
KR102001382B1 KR102001382B1 (ko) 2019-07-18

Family

ID=666786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454A KR102001382B1 (ko) 2017-11-10 2017-11-10 훼스너 체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01382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723A (ja) * 1993-04-01 1994-10-11 Toyota Motor Corp スティック移送装置
JPH1149334A (ja) * 1997-07-28 1999-02-23 Mitsubishi Motors Corp ボルト供給選別装置
KR200265710Y1 (ko) 2001-11-19 2002-02-25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스너
KR200452625Y1 (ko) * 2008-11-21 2011-03-09 한일이화주식회사 패스너 조립장치
JP2014000628A (ja) * 2012-06-18 2014-01-09 Honda Motor Co Ltd サークリップ組付装置及びサークリップ組付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5723A (ja) * 1993-04-01 1994-10-11 Toyota Motor Corp スティック移送装置
JPH1149334A (ja) * 1997-07-28 1999-02-23 Mitsubishi Motors Corp ボルト供給選別装置
KR200265710Y1 (ko) 2001-11-19 2002-02-25 한일이화주식회사 자동차용 파스너
KR200452625Y1 (ko) * 2008-11-21 2011-03-09 한일이화주식회사 패스너 조립장치
JP2014000628A (ja) * 2012-06-18 2014-01-09 Honda Motor Co Ltd サークリップ組付装置及びサークリップ組付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01382B1 (ko) 2019-07-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59425B2 (en) Display installation apparatus and multi-display having the same
JP5923379B2 (ja) 車両用パネルクランプ装置
JP2017070734A (ja) スライドレールキット用の取付部材
CN110102665B (zh) 一种具有连续供给功能的汽车挡泥板加工装置
KR20180060570A (ko) 자동차용 사이드미러의 자동 나사체결장치
CN204053323U (zh) 夹具
KR102001382B1 (ko) 훼스너 체결장치
US20150367467A1 (en) Servo-driven tool unclamping system for a machine tool
CN106001376A (zh) 飞机层叠加强结构边缘松动铆钉拆除装置
EP2965861A1 (en) Servo-driven tool unclamping system for a machine tool
KR20180002027A (ko) 그로멧 확장기
KR101567230B1 (ko) 헤밍용 그리퍼
KR20190014815A (ko) 클립이송삽입장치
KR100968718B1 (ko) 롤러 헤밍 장치
US7204118B2 (en) Hemming tool die assembly
JP2010120537A (ja) 車両用シェード装置
US4176541A (en) Hammer device attachment
CN210281124U (zh) 双驱动焊接装置和焊接设备
JP6759890B2 (ja) 取付装置及びスピーカーグリルの製造方法
KR101860885B1 (ko) 리벳장치용 앤빌부 어셈블리
JP5785652B1 (ja) 建具用枠体の取付金具
CN109605009A (zh) 一种可换向的自动装配设备
KR20170011498A (ko) 사출성형기의 형체장치
JP6311083B1 (ja) カム装置
WO2017212518A1 (ja) 樹脂成形体の取付け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