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3094A - 액체 추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액체 추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3094A
KR20190053094A KR1020180132398A KR20180132398A KR20190053094A KR 20190053094 A KR20190053094 A KR 20190053094A KR 1020180132398 A KR1020180132398 A KR 1020180132398A KR 20180132398 A KR20180132398 A KR 20180132398A KR 20190053094 A KR20190053094 A KR 201900530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air passage
tank
controller
communicatively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23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3741B1 (ko
Inventor
메튜 차바나 주니어 어니스트
포스터 리차드
앤더슨 스탠리
터스트라 크리스토퍼
발렌틱 잔
마 친타오
Original Assignee
러그 닥터,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러그 닥터, 엘엘씨 filed Critical 러그 닥터,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1900530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30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30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 A47L11/302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by suction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23Recovery tank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04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hand-driven
    • A47L11/08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hand-driven with rotating tools
    • A47L11/085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hand-driven with rotating tools with supply of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02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 A47L11/20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 A47L11/201Floor surfacing or polishing machines combined with vacuum cleaning devices with supply of cleaning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29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 A47L11/292Floor-scrubb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means for taking-up dirty liquid having rotary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34Machines for treating carpets in position by liquid, foam, or vapour, e.g. by steam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02Installations of electric equipment
    • A47L11/4008Arrangements of switches, indicator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1Regulation of the cleaning machine by electric means; Control systems and remote control system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13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 A47L11/4016Contaminants collecting devices, i.e. hoppers, tank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collecting fl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1Roll shaped surface tre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36Parts or details of the surface treating tools
    • A47L11/4044Vacuuming or pick-up tools; Squeege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75Handles; lev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3Liquid supply reservoirs; Preparation of the agents, e.g. mix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1/00Machines for cleaning floors, carpets, furniture, walls, or wall coverings
    • A47L11/40Parts or details of machin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L11/02 - A47L11/38, or not restricted to one of these groups, e.g. handles, arrangements of switches, skirts, buffers, levers
    • A47L11/408Means for supplying cleaning or surface treating agents
    • A47L11/4088Supply pumps; Spraying devices; Supply condui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28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 A47L5/30Suction cleaners with handles and nozzles fixed on the casings, e.g.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with driven dust-loosening tools, e.g. rotating brush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09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with means mounted on the nozzle; nozzles specially adapted for the recovery of liqui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004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e up liquids, e.g. wet or dry vacuum cleaners
    • A47L7/0023Recovery tanks
    • A47L7/0028Security means, e.g. float valves or level switches for preventing overflow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2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with driven tools for special purpo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09Carrying-vehicles; Arrangements of trollies or wheels; Means for avoiding mechanical obstacl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61Dust-loosening tools, e.g. agitators, brushes
    • A47L9/0488Combinations or arrangements of several tools, e.g. edge clean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36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characterised by the parts which are controlled
    • A47L9/2842Suction motors or blow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57User input or output elements for control, e.g. buttons, switches or display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28Installation of the electric equipment, e.g. adaptation or attachment to the suction cleaner; Controlling suction cleaners by electric means
    • A47L9/2894Details related to signal transmission in suction clean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32Handles
    • A47L9/325Handles for wheeled suction cleaners with steering ha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 Jet Pumps And Other Pumps (AREA)

Abstract

장치는 본체, 제1 탱크 및 제2 탱크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전면, 후면, 상부면 및 하부면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또한 제1 유체 출력부, 제1 공기 통로, 제2 공기 통로 및 제3 공기 통로를 포함한다. 노즐은 상기 본체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상기 노즐은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근접한 제4 공기 통로와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근접한 제5 공기 통로를 포함한다. 상기 제5 공기 통로는 상기 제4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노즐은 상기 제1 공기 통로와 상기 제5 공기 통로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본체에 부착된다. 상기 장치는 또한 상기 본체와 연결된 핸들, 진공 모터, 유체 펌프 및 상기 유체 펌프 및/또는 상기 진공 모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액체 추출 장치 및 방법{LIQUID EX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본 발명은 액체 추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장치 제조업체 및 서비스 제공업체는 소비자에게 가치와 편리함을 제공할 수 있는 세척 시스템을 개발하는데 끊임없이 도전하고 있다. 종래 바닥 세척 시스템은 종종 소비자를 위협하고 제한된 유연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액체 추출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본체의 전면, 후면, 상부면 및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
제1 유체 출력부;
제1 공기 통로;
상기 제1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공기 통로; 및
제3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근접한 제4 공기 통로 및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근접한 제5 공기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5 공기 통로는 상기 제4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기 통로와 상기 제5 공기 통로는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노즐,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유체 커플링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 상기 베이스 부분과 연결되는 샤프트; 및 상기 베이스 부분에 대향하는 샤프트의 단부에 있는 그립 부분을 포함하는 핸들,
상기 베이스 부분 위에 있고,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용기; 및
상기 제1 유체 커플링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유체 커플링을 포함하는 제1 탱크,
상기 본체 위에 있고,
상기 제1 용기로부터 분리된 제2 용기;
상기 제2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6 공기 통로; 및
상기 제3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7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제2 탱크,
상기 제3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입구를 갖는 상기 핸들의 베이스 부분에서의 진공 모터,
상기 제1 유체 커플링 및 상기 제1 유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본체에서의 유체 펌프, 및
상기 진공 모터 및 상기 유체 펌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탱크에 함유된 유체가 상기 제1 유체 출력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유체 펌프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1 공기 통로를 통해 기체, 잔해, 액체 또는 유체의 일부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2 탱크로 유입하기 위해 상기 진공 모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상기 본체에서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제1 유체 출력부;
제1 공기 통로;
상기 제1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공기 통로; 및
제3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제4 공기 통로 및 제5 공기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5 공기 통로는 상기 제4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기 통로 및 상기 제5 공기 통로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노즐,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유체 커플링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
상기 베이스 부분과 연결된 샤프트; 및
상기 베이스 부분에 대향하는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있는 그립 부분;을 포함하는 핸들,
상기 베이스 부분 위에 있고,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용기; 및
상기 제1 유체 커플링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유체 커플링;을 포함하는 제1 탱크,
상기 본체 위에 있고,
상기 제1 용기로부터 분리된 제2 용기;
상기 제2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6 공기 통로; 및
상기 제3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7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제2 탱크,
상기 제3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입구를 갖는 진공 모터,
상기 제1 유체 커플링 및 상기 제1 유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유체 펌프, 및
상기 진공 모터 및 상기 유체 펌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유체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제1 탱크에 수용된 유체가 상기 제1 유체 출력부로 공급되게 하고, 상기 진공 모터를 작동시켜 기체, 잔해, 액체 또는 유체의 일부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공기 통로를 통해 상기 제2 탱크로 유입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탱크는 상기 제6 공기 통로로부터 상기 제2 탱크의 상기 제2 용기의 내부 부분으로 연장되는 공기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도관은 각각이 상기 제2 탱크의 상기 제2 용기의 내부 부분을 상기 제6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흐름 경로 및 제3 흐름 경로로 분기하는 제1 흐름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하우징;
제1 유체 출력부;
제1 공기 통로;
상기 제1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공기 통로; 및
제3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제4 공기 통로 및 제5 공기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5 공기 통로는 상기 제4 공기 통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기 통로 및 상기 제4 공기 통로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노즐,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유체 커플링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
상기 베이스 부분과 연결되는 샤프트; 및
상기 베이스 부분에 대향하는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있는 그립 부분을 포함하는 핸들,
상기 베이스 부분 위에 있고,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용기; 및
상기 제1 유체 커플링과 통신 가능하게 연겨뢴 제2 유체 커플링;을 포함하는 제1 탱크,
상기 본체 위체 있고,
상기 제1 용기로부터 분리된 제2 용기;
상기 제2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6 공기 통로; 및
상기 제3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7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제2 탱크,
상기 제3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입구를 갖는 진공 모터;
상기 제1 유체 커플링 및 상기 제1 유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체 펌프;
상기 진공 모터 및 상기 유체 펌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유체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제1 탱크에 함유된 유체가 상기 제1 유체 출력부로 공급되게 하고, 상기 진공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제1 공기 통로를 통해 상기 제2 탱크로 기체, 잔해, 액체 또는 유체의 일부 중 하나 이상을 유입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
교반기,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상기 교반기가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교반기 모터, 및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모드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가 제1 위치에 있고 전력이 상기 컨트롤러에 공급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교반기가 움직이도록 하고 상기 유체 제어 스위치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유체의 흐름을 야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가 제2 위치에 있고 전력이 상기 컨트롤러에 공급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교반기가 정지되게 하고 상기 유체 제어 스위치의 위치와 무관하게 소정의 속도로 유체를 상기 제2 유체 출력부로 공급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양태들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가장 잘 이해된다. 산업에서 표준 관행에 따르면, 다양한 특징들이 일정한 비율로 그려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제로, 다양한 특징의 치수는 설명의 명료함을 위해 임의적으로 증가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도 1은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일부 실시 형태 따른 장치의 하부면 사시도이다.
도 3은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4는 일부 실시 형태에 따라 탱크가 제거된 장치의 상부면 사시도이다.
도 5는 일부 실시 형태에 따라, 탱크 및 노즐이 제거된 장치의 상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세척 유체 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회수 탱크의 사시도이다.
도 8은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카펫 세척 노즐의 측면도이다.
도 9는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경질 표면 노즐의 측면도이다.
도 10은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액세서리 부착물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의 개략도이다.
도 12는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유체 유동 시스템의 다이어그램이다.
도 13은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14는 일 실시 형태가 구현되거나 이에 의해 구현되는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기반 시스템의 기능 블록도이다.
하기의 본 개시는 제공된 주제의 상이한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많은 다른 실시 형태 또는 실시예를 제공한다. 본 개시를 간단히 하기 위해 구성 요소 및 장치의 특정 실시예가 하기에 설명된다. 이들은 물론 단지 예시일뿐 제한하려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기 설명에서 제2 특징에 대한 또는 이상의 제1 특징의 위치는 제1 특징 및 제2 특징이 직접 연결되는 실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추가 특징이 제1 및 제2 특징 사이에 있을 수 있는 실시 형태를 포함할 수 있어, 제1 및 제2 특징이 직접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다양한 예에서 참조 번호 및/또는 문자를 반복할 수 있다. 이러한 반복은 단순함과 명료함을 목적으로 하며, 설명된 다양한 실시 형태들 및/또는 구성들 간의 관계를 그 자체로 영향을 주지는 않는다.
또한, "밑에(beneath)", "아래에(below)", "하부에(lower)", "위에(above)", "상부에(upper)" 등과 같은 공간적으로 관련된 용어는 도면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다른 구성(들) 또는 특징(들)에 대한 하나의 구성 또는 특징의 관계를 기술하기 위한 설명의 편리함을 위해 본 발명에서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관련된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방향뿐만 아니라 사용 또는 작동 중인 장치의 상이한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장치는 달리 배향될 수도 있고(90도 또는 다른 방향으로 회전됨), 본 발명에서 사용된 공간적으로 관련된 설명은 이에 따라 유사하게 해석될 수 있다.
종래 액체 추출 장치는 종종 크고, 부피가 크며, 소비자가 통상적으로 작동 및 취급이 곤란한 위협한 세척 시스템이다. 종래 세척 시스템은 세척 시스템의 구성 요소가 소비자에 의해 어떻게 조작될 수 있는지에 대해 종종 제한되어 운송, 조작성 및 공급을 어렵게 한다.
도 1은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100)의 사시도이다. 장치(100)는 본체(101), 노즐(103), 핸들(105), 세척 유체 탱크(107) 및 회수 탱크(109)를 포함한다. 장치(100)는 액체 추출 세척 시스템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장치(100)는 장치(100)가 위치되는 표면을 세척하도록 구성된다. 장치(100)는 조립된 상태로 도시된다.
본체(body, 101)는 전면(front side, 101a), 후면(back side, 101b), 상부면(top side, 101c) 및 하부면(bottom side, 101d)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sidewall)을 포함한다. 제1 유체 출력부(first fluid output, 201)(도 2)는 본체(101)의 하부면(101d)에 있다. 본체(101)는 제1 공기 통로(111) 및 제1 공기 통로(first air passage, 11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공기 통로(113)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통로(111)와 제2 공기 통로(113)는 제1 공기 통로(111)와 제2 공기 통로(113)를 연결하는 채널을 갖는 커플러(coupler, 115)의 단부에서 개구부(opening)이다. 커플러(115)는 본체(101)의 하나 이상의 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커플러(115)는 제1 공기 통로(111)가 제2 공기 통로(113)보다 본체(101)의 하부면(101d)에 더 근접하도록 형성된다. 제3 공기 통로(117)는 본체(101)의 상부면(101c)에 있다.
노즐(nozzle, 103)은 본체(101)의 전면(101a)과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노즐(103)은 본체(101)의 하부면(101d)에 근접한 제4 공기 통로(119) 및 본체(101)의 상부면(101c)에 근접한 제5 공기 통로(121)를 포함한다. 제5 공기 통로(121)는 노즐(103) 내의 채널에 의해 제4 공기 통로(119)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노즐(103)은 제1 공기 통로(111)와 제5 공기통로(121)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본체(101)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노즐(103)은 본체(101)에 부착되어 제1 공기 통로(111)와 제5 공기 통로(121)가 노즐(103)로부터 커플러(115)로의 공기 흐름을 용이하게 하도록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노즐(103)은 제4 공기 통로(119)에 인접한 스키드 부분(skid portion, 803) 및 스키드 부분(803)에 대향하는 노즐의 측면 상에 적어도 하나의 휠(wheel, 805)(도 8)을 포함하고, 제4 공기 통로(119)는 스키드 부분(803)과 적어도 하나의 휠(805) 사이에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노즐(103)은 제4 공기 통로(119)를 둘러싸는 스퀴지(squeegee, 903)(도 9)를 포함하고, 노즐(103)은 제4 공기 통로(119)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스퀴지(903)의 기저부로부터 연장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노즐(103)은 본체(101)에 개별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 노즐 세트에 포함된 제1 노즐 또는 제2 노즐 중 하나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노즐 세트 중 하나의 노즐은 노즐(801)(도 8)과 같은 카펫 세척 노즐(carpet cleaning nozzle)이고, 노즐 세트 중 다른 노즐은 노즐(901)(도 9)과 같은 경질 표면 노즐(hard surface nozzle)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장치(100)는 본체(101)의 하부면(101a)에 대향하는 표면을 효과적으로 세척하기 위한 장치(100)의 성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본체(101)의 하부면(101a)에 대향하는 표면 유형에 기초하여 노즐(801) 또는 노즐(901)과 같은 특정 노즐(103)을 선택적으로 부착할 수 있다.
핸들(handle, 105)은 본체(101)와 연결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핸들(105)은 핸들(105)이 본체(101)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또는 본체(101)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위치와 본체(101)가 위치하는 표면 사이의 다른 위치에 있을 수 있도록 본체(10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핸들(105)은 베이스 부분(base portion, 123), 샤프트(shaft, 125) 및 그립 부분(grip portion, 127)을 포함한다. 베이스 부분(123)은 제1 유체 출력부(201)(도 2)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유체 커플링(401)(도 4)을 포함한다. 샤프트(125)는 베이스 부분(123)과 연결된다. 그립 부분(127)은 베이스 부분(123)에 대향하는 샤프트(125)의 단부에 있다.
핸들(105)은 제1 축(129)을 중심으로 본체(101)에 대해 회전하고, 제1 축(129)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축(129) 및 제2 축(131)은 핸들(105)이 본체(101) 및 핸들(105)의 그립 부분(127)과 연결되는 지점(point)으로부터 연장되는 핸들(105)의 길이를 따라 서로 옮겨진(displaced) 다른 평면에 있다. 두개의 다른 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장치(100)가 핸들(105)을 젖힘으로써 이동하는 동안 핸들(105)은 장치(100)를 조종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체(101)는 보관 위치에서 본체(101)에 대해 핸들(105)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핸들 고정 기구(handle locking mechanism)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보관 위치는 핸들(105)이 장치(100)가 위치되는 표면과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실질적으로 수직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핸들 고정 기구는 핸들(105)이 보관 위치에서 제1 축(129) 및 제2 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핸들 고정 기구는 핸들(105)이 보관 위치로부터 해제될 때 핸들(105)이 제1 축(129) 및 제2 축(131)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그립 부분(127)은 트리거(trigger, 133)를 포함한다. 샤프트(125)는 트리거(133)로부터 핸들(105)의 베이스 부분(123)까지 연장되는 기계적 연결부(mechanical linkage, 135)를 갖는다. 유체 펌프(fluid pump, 137)는 제1 유체 커플링(401), 제1 유체 출력부(201) 및 핸들(105) 내의 액추에이터(actuator)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유체 펌프(137)는 핸들(105)의 베이스 부분(123) 내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유체 펌프(137)는 본체(101) 내에 수용된다. 기계적 연결부(135)는 트리거(133)의 작동에 기초하여 액추에이터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유체 펌프(137)는 트리거(133)의 작동 및 기계적 연결부(135)와 액추에이터 사이의 접촉에 기초하여 유체가 제1 유체 출력부(201)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기계적 연결부(135)는 샤프트(125)의 직선 길이를 따라 내부로 이동할 수 있는 샤프트를 포함하여, 트리거(133)의 작동으로 기계적 연결부(135)가 샤프트(125)의 직선 길이를 따라 이동하여 액추에이터와 접촉되게 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트리거(133)는 트리거(133)의 작동에 기초하여 유체 펌프(137)가 제1 유체 출력부(201)로 유체를 공급하게 하는 전기 연결부에 의해 액추에이터 또는 유체 펌프(137)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세척 유체 탱크(107) 및 회수 탱크(recovery tank, 109) 각각은 본체(101)의 대응 부분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세척 유체 탱크(107)는 베이스 부분(123) 위에 있다. 세척 유체 탱크(107)는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세척 유체 탱크 용기(cleaning fluid tank vessel, 139) 및 제1 유체 커플링(first fluid coupling, 401)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2 유체 커플링(601)(도 6)을 포함한다.
회수 탱크(109)는 본체(101) 위에 있다. 회수 탱크(109)는 세척 유체 탱크 용기(139)로부터 분리된 회수 탱크 용기(141)를 포함한다. 회수 탱크(109)는 또한 제2 공기 통로(113)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6 공기 통로(701)(도 7) 및 제3 공기 통로(117)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7 공기 통로(703)(도 7)를 포함한다.
진공 모터(143)는 핸들(105)의 베이스 부분(123)에 있다. 진공 모터(143)는 제3 공기 통로(117)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입구(inlet) 및 베이스 부분(123)의 측면 중 하나 이상으로 배출하는 출구(outlet) 또는 본체(101)에 있는 배기구(vent)를 갖는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진공 모터(143)의 입구는 베이스 부분(123)으로부터 본체(101)까지 연장되는 호스를 통해 제3 공기 통로(117)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제1 유체 커플링(401)은 호스 내의 튜브를 통해 제1 유체 출력부(20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유체 커플링(401)은 진공 모터(143) 및 제3 공기 통로(117)를 연결하는 호스의 외측 튜브를 통해 제1 유체 출력부(20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진공 모터(143) 및 제3 공기 통로(117)를 연결하는 호스는 실질적으로 핸들(105) 및 본체(101) 내부에 있어, 진공 모터(143) 및 제3 공기 통로(117)를 연결하는 호스는 노출로부터 제한되고 진공 모터(143) 및 제3 공기 통로(117)를 연결하는 호스를 손상시킬 수 있는 외부 요소로부터 보호한다.
컨트롤러(controller, 145)는 본체(101)에 포함된다. 컨트롤러(145)는 진공 모터(143) 및 유체 펌프(137)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컨트롤러(145)는 유체 펌프(137)를 작동시켜 세척 유체 탱크(107)에 포함된 유체가 제1 유체 출력부(201)로 공급되고, 진공 모터(143)를 작동시켜 제1 공기 통로(111)를 통해 기체, 잔해, 액체 또는 유체의 일부 중 하나 이상을 회수 탱크(109)로 유입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본체(101) 내에 수용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본체(101) 외측에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베이스 부분(123) 내에 수용된다.
컨트롤러(145)는 프로세서(processor) 및 메모리(예를 들어, 도 14의 칩셋(chipset, 1400))를 갖는 칩셋(chipset)을 포함한다. 컨트롤러(145)는 유체 펌프(137) 또는 진공 모터(143) 중 하나 이상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에 포함된 메모리는 이에 저장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명령어(instruction)를 가지고, 컨트롤러(145)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유체 펌프(137) 및/또는 진공 모터(143)를 켜거나(turn on) 끄게(turn off) 한다. 디폴트 작동 상태(default operative state)에서, 진공 모터(143)는 진공 모터(143)의 입구로 공기를 유입하고 진공 모터(143)의 출구로부터 공기를 배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진공 모터(143)가 역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되어, 진공 모터(143)가 진공 모터(143)의 출구로 공기를 유입하고 진공 모터(143)의 입구로부터 공기를 배출한다.
본체(101)는 선택적으로 컨트롤러(14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헤드라이트(headlight, 147)를 포함한다. 본체(101)가 헤드라이트(147)를 포함하는 경우, 컨트롤러(145)는 시스템 전력 스위치, 광 제어 스위치, 유체 방출 또는 교반기 제어 스위치, 또는 다른 적절한 스위치, 또는 켜질 컨트롤러(145), 진공 모터(143) 또는 장치(100)의 다른 적절한 구성 요소의 작동에 기초하여 헤드라이트(147)를 켜거나 끄도록 구성된다.
장치(100)는 복수의 선택 가능한 위치 중 하나에 있도록 구성된 유체 제어 스위치(fluid control switch, 149)를 포함한다. 컨트롤러(145)는 세척 유체 탱크(107)에 함유된 유체가 유체 제어 스위치(149)의 위치에 기초한 속도로 제1 유체 출력부(201)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유체 제어 스위치가 제1 위치에 있는 경우, 컨트롤러(145)는 유체 펌프(137)가 분당 갤런(GPM) 또는 다른 적절한 단위로 측정되는 제1 유속으로 세척 유체를 공급하게 한다. 유체 제어 스위치가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컨트롤러(145)는 유체 펌프(137)가 제1 유속보다 큰 분당 갤런(GPM) 또는 다른 적절한 단위로 측정되는 제2 유속으로 세척 유체를 공급하게 한다. 유체 제어 스위치가 제3 위치에 있는 경우, 컨트롤러(145)는 유체 펌프(137)가 제1 유속 및 제2 유속보다 큰 분당 갤런(GPM) 또는 다른 적절한 단위로 측정되는 제3 유속으로 세척 유체를 공급하게 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선택된 유속은 장치(100)의 작동 모드에 대응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유속은 경질 표면 모드와 관련되고, 제2 유속은 빠른 건조 카펫 세척 모드와 관련되며, 제3 유속은 집중 세척 카펫 세척 모드와 관련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더 낮은 유속은 제1 유체 출력부(201)로부터 본체(101)의 하부면(101d)에 대향하는 표면 위로 배출되는 유체의 양을 적게 한다. 배출되는 유체의 양은 건조 시간 또는 본체(101)의 하부면(101d)에 대향하는 표면이 제1 유체 출력부(201)로부터 배출되는 세척 유체에 의해 흡수되는 물의 양에 영향을 미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유체 제어 스위치(149)는 본체(101)의 상부면(101c)에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유체 제어 스위치(149)는 베이스 부분(123) 또는 핸들(105)의 그립 부분(127)에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체(101)는 제1 유체 커플링(401)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유체 출력부(509)(도 5)를 갖는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유체 출력부(509)는 노즐(103)이 본체(101)에 부착되는 경우 노즐(103)에 의해 덮혀지는 위치에서 본체(101)의 전면(101a)에 있다. 제2 유체 출력부(509)는 노즐(103)이 본체(101)로부터 분리되는 경우 노출된다. 제1 공기 통로(111) 및 제2 유체 출력부(509)는 액세서리 유체 커플링(accessory fluid coupling) 및 액세서리 커넥터 공기 통로(accessory connector air passage)를 포함하는 액세서리 커넥터(1001)(도 10)와 결합되도록 구성된다.
세척 유체 탱크(107)는 세척 유체 탱크 용기(139)의 상부에 세척 유체 탱크 고정 기구(cleaning fluid tank locking mechanism, 151)를 갖는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세척 유체 탱크 고정 기구(151)는 세척 유체 탱크(107)를 베이스 부분(123)과 샤프트(125)에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래치(latch), 후크(hook) 또는 다른 적절한 패스너(fastner)를 포함한다. 샤프트(125)는 세척 유체 탱크 고정 기구(151)의 일부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고정 후크(lock hook, 153)를 갖는다. 세척 유체 탱크 고정 기구(151)는 베이스 부분(123)과 샤프트(125) 사이의 고정된 위치로부터 세척 유체 탱크(107)의 제거를 허용하도록 세척 유체 탱크 고정 기구(151)를 해제하도록 구성된 버튼, 스위치 또는 다른 적절한 구조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회수 탱크(109)가 위치되는 본체(101) 일부의 높이는 본체(101)와 회수 탱크(109) 전체 높이가 감소되도록 최소화된다. 감소된 높이는 가구(furniture)와 같은 물체 주위와 아래에서 장치(100)를 조작하는 사용자의 능력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유체 펌프(137), 진공 모터(143), 컨트롤러(145), 또는 장치(100)의 다른 적절한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이 핸들(105)의 베이스 부분(123)에 수용되어 본체(101) 및 회수 탱크(109)의 전체 높이를 최소화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유체 펌프(137), 진공 모터(143), 컨트롤러(145) 또는 장치(100)의 다른 적절한 구성 요소 중 하나 이상은 회수 탱크(109)가 위치되는 본체(101) 부분의 높이를 가능한한 최소화하여 후면(101b)에 근접하게 본체(101)에 위치된다.
사용시에, 본체(101)의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는 세척 유체 탱크(107) 내에 수용된 세척 유체가 본체(101)가 위치되는 표면 위로 배출되도록 하고, 기체, 잔해, 액체 또는 유체의 일부 중 하나 이상을 본체(101)가 위치되는 표면으로부터 회수 탱크(109)로 유입되게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형태는 장치(100)와 같은 액체 추출 장치를 작동, 운반 또는 작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 신뢰도를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장치(100)는 노즐(103), 작동 모드, 액세서리 부착물 및/또는 사용자가 원하는 세척 깊이 및 건조 시간 뿐만 아니라, 장치(100)를 사용하여 세척된 표면의 유형에 상응하는 유체 유속과 조합하여 장치(100)를 쉽게 재구성함으로써 다른 유형의 표면을 세척하기 위해 장치(100)를 사용하는 유연성을 사용자에게 추가로 제공한다.
도 2는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100)의 하부면 사시도이다. 하나 이상의 제1 유체 출력부(201)는 본체(101)의 하부면(101d)에 있다. 하나 이상의 제1 유체 출력부(201)는 제트, 분사 노즐, 또는 유체를 배출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구조물을 포함한다. 제1 유체 출력부(201)는 제1 유체 커플링(401)으로부터 제1 유체 출력부(201)까지 연장되는 유체 흐름 경로(fluid flow path)를 통해 제1 유체 커플링(401)(도 4)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1 유체 출력부(201)는 세척 유체 탱크(107)로부터 수신된 세척 유체를 출력하도록 구성되어 세척 유체 탱크(107)에 저장된 세척 유체를 본체(101) 외부 표면으로 분배(distribution)를 용이하게 한다.
교반기(agitator, 203)는 본체(101)의 하부면(101d)에 있다. 교반기 모터(agitator motor, 205)는 컨트롤러(145)(도 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컨트롤러(145)로부터 수신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교반기(203)가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적어도 두개의 휠(207a-207d)("휠(들)(207)"로 통칭함)은 본체(10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휠(207)은 적어도 두개의 휠(207)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표면 위에서 본체(101) 하부면(101d)의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교반기(203)는 교반기 모터(20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교반기(203)는 회전 브러시(rotary brush)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교반기(203)는 교반기(203)와 접촉하는 본체(101)의 하부면(101d) 아래의 표면을 충격(disturbing), 스위핑(sweeping) 또는 교반할 수 있는 스핀 브러시, 다른 적절한 유형의 브러시 또는 다른 적절한 구조물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교반기(203)는 다수의 강모(bristle), 스퀴지, 하나 이상의 블레이드 또는 다른 적합한 지형물(topography) 또는 물질을 포함한다. 교반기 모터(205)는 교반기(203)의 유형, 교반기 모터(205)에 공급될 전력 또는 컨트롤러(145)에 의한 출력된 명령어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교반기(203)가 회전 또는 움직이게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교반기 모터(205)는 교반기(203)가 제4 공기 통로(119)를 향한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교반기 모터(205)는 교반기(203)가 본체(101)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장치(100)는 장치(100) 아래 표면의 전방 및 후방 세척을 용이하게 함으로써 사용자 조작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 또는 교반기 모터(205) 중 하나 이상은 세척 유체가 제1 유체 출력부(201)로부터 배출되지 않는다는 결정에 기초한 제1 방향 및 세척 유체가 제1 유체 출력부(201)로부터 배출된다는 결정에 기초한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으로 교반기(203)가 움직이도록 구성되어, 장치(100)의 작동성 및 세척 성능을 향상시킨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휠(207c, 207d)은 교반기(203)가 본체(101) 아래의 표면과 접촉하는 물의 양을 최대화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본체(101) 아래 표면의 유형에 기초하여 휠(207c, 207d)의 높이가 조절되게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본체(101) 아래 표면의 감지된 유형에 기초하여 교반기(203)가 본체(101) 아래의 표면에 깊게 침투해야 하는지, 본체(101) 아래의 표면에 약하게 접촉해야 하는지, 또는 본체(101) 아래 표면과 접촉하지 않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교반기 모터(205)는 본체(101)의 하부면(101d)에 대해 교반기(203)의 높이를 조절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교반기 모터(205)가 본체(101) 하부면(101d)에 대해 교반기(203)의 높이를 조절하거나 교반기 모터(205)가 본체(101) 아래의 감지된 유형에 기초하여 교반기(203)를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이 야기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체(101)의 하부면(101d)에 대한 교반기(101)의 높이는 수동으로 조절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체(101)의 하부면(101d)에 대해 교반기(203) 또는 휠(207c, 207d) 중 하나 이상의 높이가 고정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이동 센서(movement sensor, 209)는 컨트롤러(14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이동 센서(209)는 본체(101)가 이동하는 방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이동 센서(209)는 적어도 하나의 휠(207)의 회전 방향을 감지하도록 구성된 회전 센서, GPS 장치, 자이로스코프(gyroscope) 또는 컨트롤러(145)가 이동 센서(209)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본체의 이동 방향을 결정할 수 있는 데이터를 수집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절한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교반기 모터(205)로 하여금 교반기(203)가 본체(101)의 이동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교반기 모터(205)로 하여금 교반기(203)가 휠(207)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본체(101)의 감지된 이동 방향에 기초하여, 교반기 모터(205)로 하여금 본체(101)가 전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본체(101)의 전면(101a)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리고 본체(101)가 후방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본체(101)의 후면(101b)을 향하는 방향으로 교반기(203)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본체(101)의 하부면(101d)은 본체(101)의 하나 이상의 측벽에 의해 형성된 교반기 공동(agitator cavity, 211)을 갖는다. 교반기 공동(211)은 교반기(203)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교반기(203)의 제1 부분이 교반기 공동(211) 내에 있고, 교반기(203)의 제2 부분이 본체(101)로 이격되는 방향으로 노출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유체 출력부(201)는 교반기 공동(211) 내부에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유체 출력부(201)는 교반기 공동(211) 내에 위치하여, 교반기(203)가 제1 유체 출력부(201)와 본체(101) 아래의 표면 사이에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유체 출력부(201)는 교반기 공동(211) 내부에 위치하여 제1 유체 출력부(201)로부터 배출되는 세척 유체로 교반기(203)를 적신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유체 출력부(201)는 제1 유체 출력부(201)로부터 배출되는 세척 유체를 본체(101) 아래의 표면으로 직접적인 적용을 용이하게 하는 위치에서 교반기 공동(211) 내부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유체 출력부(201)는 제1 유체 출력부(201)로부터 배출되는 세척 유체를 본체(101) 아래의 표면으로 직접적인 적용을 용이하게 하는 위치에서 교반기 공동(211) 외측에 위치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체(101)는 본체(101) 상의 하나 이상의 위치에 구비된 하나 이상의 제1 유체 출력부(201)를 갖는다.
교반기 공동(211)은 제4 공기 통로(119), 또는 제1 공기 통로(119) 또는 노즐(103) 내의 흐름 경로와 연결되는 교반기 공동(211)을 형성하는 본체(101)의 측벽을 통과하는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것으로부터 자유롭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교반기(203)가 회전 브러시인 경우, 교반기(203)는 적어도 하나의 브러시 롤 커버(brush roll cover, 213)에 의해 교반기 공동(211)에 장착되도록 구성된다. 브러시 롤 커버(213)는 본체(101)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브러시 롤 커버(213)는 교반기(203)가 교반기 공동(211) 내에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방식으로 교반기(203)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브러시 롤 커버(213)는 교반기(203)가 교반기 공동(211)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하는 방식으로 교반기(203)를 지지하도록 구성되어 교반기(203)는 교반기(203)를 통과하거나 교반기(203)가 회전하도록 구성된 차축(axle)을 갖는 것으로부터 자유롭다.
각각의 휠(207a-207d)은 본체(101)와 독립적으로 연결되어 각각의 휠(207)이 대응 회전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휠(207a, 207b)은 대응하는 차축(215a, 215b) 및 핀 패스너(217a, 217b)에 의해 본체(101)와 독립적으로 연결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휠(207a, 207b)은 휠(207a)로부터 휠(207b)까지 연장되는 단일 차축에 각각 부착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단일 차축에 부착되는 경우, 휠(207a, 207b) 각각은 단일 차축 주위에서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휠(207c 및 207d)은 휠(207c)에서 휠(207d)까지 연장되는 단일 대응하는 차축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단일 차축에 부착되는 경우, 휠(207c, 207d) 각각은 단일 차축 주위에서 독립적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휠(207a, 207b)은 휠(207c, 207d)보다 지름이 크다. 휠(207a, 207b)은 휠 (207a 또는 207b) 중 적어도 하나와 접촉하는 본체(101) 아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게 본체(101)의 하부면(101d)을 분리하도록 구성되어 표면 위로 본체(101)의 이동 및 교반기(203)와 본체(101) 아래 표면 사이의 접촉을 촉진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휠(207c, 207d)은 제4 공기 통로(119)를 둘러싸는 노즐(103)의 일부와 본체(101) 아래의 표면 사이의 접촉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지름을 갖는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휠(207c, 207d)이 각각 회전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차축은 적어도 하나의 높이 조절기(height adjuster, 219)와 연결된다. 높이 조절기(219)는 본체(101)의 하부면(101d)에 대해 휠(207c, 207d)을 올리거나 낮추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높이 조절기(219)는 휠(207c, 207d)을 적어도 두개의 미리 결정된 위치 중 하나로 이동시키고 고정되게 조작되도록 구성된 수동 조절 부재(manual adjustment member)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높이 조절기(219)는 컨트롤러(14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모터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본체(101)의 하부면(101d)에 대해 적어도 두개의 미리 설정된(preset) 위치 중 선택된 하나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높이 조절기(219)가 휠(207c 및 207d)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표면 감지 센서(surface detection sensor, 221)는 컨트롤러(14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본체(101)의 하부면(101d)에 있다. 표면 감지 센서(221)는 본체(101)의 하부면(101d)과 본체(101) 아래 표면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거리 센서(distance sensor)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표면 감지 센서(221)는 본체(101)의 지리학적 위치를 감지하도록 구성되고, 컨트롤러(145)는 본체(101)의 감지된 위치에 기초하여 본체(101) 아래 표면의 유형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표면 감지 센서(221)는 포토-아이(photo-eye); 광 센서; 본체(101) 아래의 표면이 경질 표면 또는 카펫인지를 확인하도록 구성된 플로우-타입 감지기, 하나 이상의 경질 표면(예를 들어, 경목, 세라믹, 리놀륨, 층상 바닥재 또는 다른 적절한 물질) 또는 적층 높이의 카펫 또는 직조-유형의 카펫; 또는 본체(101) 아래 표면의 유형이 식별될 수 있는 것에 기초하여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유형의 센서이다. 이러한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표면 감지 센서(221)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결정된 표면 유형에 기초하여 높이 조절기(219)가 휠(207c 및 207d)의 위치를 변경하게 함, 본체(101) 아래 표면의 유형을 나타내는 경고가 출력되게 함, 휠(207c 및 207d)의 높이가 본체(101) 아래 표면의 감지된 유형에 대해 허용 가능한 것 또는 휠(207c 및 207d)의 높이가 본체(101) 아래 표면의 감지된 유형에 기초하여 조절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내는 휠(207c 및 207d)의 높이 상태가 출력되게 함, 또는 노즐(103)의 유형이 본체(101) 아래 표면의 감지된 유형에 대해 허용 가능한 것 또는 노즐(103)의 유형이 본체(101) 아래 표면의 감지된 유형에 기초하여 변경되어야 하는 것을 나타내는 본체(101)에 부착된 노즐(103) 유형의 상태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 중 적어도 하나가 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체(101)의 하나 이상의 측면은 사용자가 장치(100)를 제공하는 것에 접근을 용이하게 하도록 하나 이상의 신속-해제 패널(quick-release panel)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신속-해제 패널 중 적어도 하나는 하나 이상의 패스너에 의해 본체(101)의 다른 부분과 연결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패스너는 종래의 스크류드라이버(screwdriver), 일자 드라이버(flathead screwdriver), 필립스 헤드 드라이버(Philips head screwdriver), 육각-스크류 드라이버(hex-head screw driver), 톡스-헤드 스크류 드라이버(torx-head screw driver), 또는 다른 적절한 유형의 스크루 드라이버 헤드를 사용하여 조이고 풀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패스너에 의해 본체(101)와 연결되는 모든 신속-해제 패널은 동일한 유형의 패스너에 의해 연결되어 본체(101) 및 이에 수용된 구성 요소에 대한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도 3은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장치(100)의 측면도이다. 모드 선택 스위치(mode selection switch, 301)는 컨트롤러(145)(도 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모드 선택 스위치(301)가 제1 위치에 있고 전력이 컨트롤러(145)에 공급되면, 컨트롤러(145)는 교반기(203)를 움직이게 하고 유체 제어 스위치(149)(도 1)의 위치에 기초한 유속에서 세척 유체를 제1 유체 출력부(201)로 공급되게 하도록 구성된다. 모드 선택 스위치(301)가 제2 위치에 있고 전력이 컨트롤러(145)에 공급되면, 컨트롤러(145)는 교반기(203)를 정지시키고, 유체 제어 스위치(301)의 위치와 무관한 소정의 유속으로 세척 유체를 제2 유체 출력부(501)(도 5)로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모드 선택 스위치(301)는 3개의 선택 가능한 위치 중 하나로 이동 가능하다. 모드 선택 스위치(301)가 제1 위치, 제2 위치, 또는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 이외의 제3 위치 중 하나로 이동되면, 컨트롤러(145)는 소정의 시간만큼 유체 펌프(137)(도 1 )의 작동을 지연시키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 형태에서, 사용자가 모드 선택 스위치(301)를 제1 위치 또는 제2 위치로 우연히 이동되게 하는 경우 세척 유체가 세척 유체 탱크(107)로부터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컨트롤러(145)는 1초에서 10초의 범위 또는 다른 적절한 지연(delay) 기간으로 유체 펌프(137)의 작동이 지연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자석(magnet, 303)은 세척 유체 탱크(107) 내부에 있다. 자석(303)은 세척 유체 탱크(107) 내에 수용된 유체의 양에 기초하여 부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자석(303)은 부유 케이지(float cage, 305) 내부에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자석(303)은 세척 유체 탱크(107) 내에서 완전히 자유롭게 이동한다. 베이스 부분(123)은 자석(303)과 관련된 자기장에 기초하여 자석(303)과 센서(413)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 센서(413)(도 4)를 포함한다. 컨트롤러(145)는 자석(303)과 센서(413)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세척 유체 탱크(107) 내에 수용된 세척 유체의 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세척 유체 탱크(107) 내에 수용된 세척 유체의 양이 소정의 양 이하로 하는 결정에 기초하여 경고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핸들(105)은 임의의 전력 코드를 감쌀 수 있는 후크(309a, 309b)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후크(309a 또는 309b)는 핸들(105)에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어, 후크(309a 및 309b)를 감싸는 코드가 후크(309a 또는 309b)의 위치에 기초하여 지면을 향해 떨어지게 한다.
핸들(105)은 U-조인트, 로커(rocker), 볼 또는 본체(101)에 대해 핸들(105)의 다중 회전을 허용하는 다른 적절한 커플링에 의해 본체(101)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핸들(105)은 본체(101)에 대한 단일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핸들(105)은 본체(101)에 대해 고정된 위치에서 핸들(105)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핸들 고정 기구(handle locking mechanism)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핸들 고정 기구는 잠금 장치(detent lock), 핀(pin), 링(ring) 또는 본체(101)에 대해 제1 축(129) 및/또는 제2 축(131)을 중심으로 핸들(105)의 회전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제한하도록 구성된 본체(101) 상의 다른 적절한 구조물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슬롯(slot)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핸들 고정 기구는 잠금 장치, 핀, 링 또는 슬롯과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절한 구조물 또는 본체(101)에 대해 제1 축(129) 및/또는 제2 축(131)을 중심으로 핸들(105)의 회전을 적어도 일시적으로 제한하도록 본체(101) 상의 다른 적절한 고정 부재(locking member)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적어도 소정의 힘으로 핸들(105)을 당기는 것은 핸들(105)이 본체(101)에 대해 고정-상태로부터 해제되도록 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핸들 고정 기구는 핸들(105)의 단부가 약 5 lbf 내지 약 25 lbf의 범위의 힘에 의해 본체(10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당겨지면 핸들(105)을 고정-상태로부터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핸들 고정 기구는 해제 페달(release pedal), 스위치, 버튼, 또는 본체(101)에 대해 고정-상태로부터 핸들(105)을 해제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절한 장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핸들(105)은 베이스 부분(123)과 핸들(105)이 본체(101)의 후면(101b)과 연결되는 지점 사이에서 캐리 핸들(carry handle, 311)을 갖는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핸들(105)은 상부(315) 및 하부(317)를 갖는다. 핸들(105)의 상부(315)는 기계적 연결부(mechanical linkage, 135)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핸들(105)의 상부(315) 및 하부(317) 각각은 기계적 연결부(135)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핸들(105)의 적어도 상부(315)는 하부(317)와 연결되는 임의의 전기적 구성 요소 또는 전기적 연결부 또는 상부(315)의 외측에서 장치(100)의 임의의 다른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것으로부터 자유롭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하부(317) 또는 베이스 부분(123) 중 하나는 유체 펌프(137)(도 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액추에이터(actuator, 319)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319)는 유체 펌프(137)가 제1 유체 출력부(201)에 세척 유체를 공급하도록 트리거(133)와 액추에이터(319) 사이에서 기계적 연결부(135) 또는 전기적 연결부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핸들(105)은 상부(315) 상에 보조 후크(auxiliary hook , 321)를 갖는다. 보조 후크(321)는 핸들(105)을 따라 장치(100)와 관련된 전력 코드의 일부를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핸들(105)의 상부(315)를 따라 전력 코드를 보유하는 것은 예를 들어 전력 코드의 얽힘(tangling) 또는 사용자가 전력 코드에 걸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장치(100)를 작동시키는 사용자의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을 돕는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체(101)는 교반기 공동(211)(도 2)에 인접한 본체(101)의 하나 이상의 측벽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측면 브러시(323)를 갖는다. 선택적인 측면 브러시(323)는 본체(100)의 하부면(101d)에 대향하는 표면 상에 잔해를 흩어놓는 것을 돕도록 형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측면 브러시(323)는 고정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측면 브러시(323)는 본체(101)로부터 이동, 회전 또는 이격되어 연장되는 것 중 하나 이상이 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하나 이상의 측면 브러시(323)가 본체(101)로부터 이격되어 연장 및/또는 선택된 작동 모드에 기초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이동 가능 또는 연장 가능한 측면 브러시(323)는 가구 아래, 방의 모서리, 바닥판(floor board), 캐비넷 아래 또는 접근하기 어려운 다른 장소와 같이 접근하기 어려운 장소에서 사용자가 장치(100)를 작동하는 것을 돕는다.
도 4는 일부 실시 형태에 따라, 세척 유체 탱크(107)(도 1) 및 회수 탱크(109)(도 1)가 제거된 장치(100)의 상부면의 사시도이다. 제1 유체 커플링(401)은 베이스 부분(base portion, 123)의 상부면에 있다. 베이스 부분(123)은 세척 유체 탱크(107)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탱크 시트(tank seat, 403)를 포함한다. 제1 탱크 시트(403)는 제1 유체 커플링(401)을 포함한다. 핸들(105)은 세척 유체 탱크 고정 기구(151)(도 1)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고정 후크(405)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체(101)는 본체(101)의 외부에 하나 이상의 조명(light, 407)을 갖는다. 조명(407)은 컨트롤러(14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에 의해 출력된 경보는 세척 유체 탱크(107) 내에 수용된 유체의 양이 소정의 양 이하인 결정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조명(407)이 켜지게 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에 의해 출력된 경보는 회수 탱크(109) 내에 수용된 유체의 양이 소정의 양 이상인 결정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조명(407)이 켜지게 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에 의해 출력된 경보는 교반기(203)(도 2)가 고장(jam)인 결정에 기초하여 하나 이상의 조명(407)이 켜지게 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엑추에이터(203)가 고장인 결정에 기초하여 진공 모터(143)(도 1)가 정지되도록 구성된다.
유체 펌프(137)(도 1)는 튜브(409)에 의해 제1 유체 커플링(401)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튜브(409)가 연장되는 브리지(bridge, 411)가 본체(101) 내부에 있다. 브리지(411)는 핸들(105)의 위치와 무관하게, 튜브(409)가 유체 펌프(137)와 제1 유체 커플링(401) 사이에서 만곡되는 최소 반경을 유지하도록 구성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3차원 구조물이다. 튜브(409)의 최소 곡률 반경을 유지함으로써, 브리지(411)는 튜브를 통과하는 유체 흐름을 차단할 수 있는 튜브(409) 내에서 꼬이는 것(kinking)을 방지한다.
제1 유체 커플링(401)은 세척 유체 탱크(107)의 제2 유체 커플링(601)(도 6)이 조립시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컵-형상의 리셉터클(receptacle)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유체 커플링(401)은 세척 유체 탱크(107)를 유체 펌프(137)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기 위해 세척 유체 탱크(107)의 제2 유체 커플링(601)으로 삽입되거나 결합되도록 구성된 니플(nipple) 또는 다른 적절한 구조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유체 커플링(401)은 세척 유체 탱크(107)의 제2 유체 커플링(601)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핀을 포함하여 세척 유체 탱크(107)의 제2 유체 커플링(601) 내의 밸브가 개방되도록 하고, 세척 유체 탱크(107) 내에 수용된 세척 유체를 세척 유체 탱크(107)로부터 제1 유체 커플링(401)으로 유출되게 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유체 커플링(401)에 포함된 핀은 제1 유체 커플링(401)의 하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전기적 접촉부여서, 전기 접촉부는 세척 유체 탱크(107)의 제2 유체 커플링(601)과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전기 접촉부는 제1 유체 커플링(401)의 하부면으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고 제1 유체 커플링(401)의 하부면에 대해 핀의 높이보다 낮은 높이로 연장되어, 제2 전기 접촉부는 핀이 결합하도록 구성된 세척 유체 탱크(107)의 제2 유체 커플링(601)의 영역 외측에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하나 이상의 핀 또는 제2 전기 접촉부를 사용하여 감지된 세척 유체 탱크(107) 또는 제1 유체 커플링(401)에서의 용량에 기초하여 세척 유체 탱크(107)에서 세척 유체의 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핀과 제2 전기 접촉부 사이의 공간에서 세척 유체를 통해 만들어진, 핀과 제2 전기 접촉부 사이의 전기 연결부가 파손된 것의 결정에 기초하여 세척 유체 탱크(107)가 비워지는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베이스 부분(123)은 센서(413)를 포함한다. 센서(413)는 세척 유체 탱크(107)에 포함된 자석과 관련된 자기장에 기초하여 자석(303)(도 3)과 같은 세척 유체 탱크(107)에 포함된 자석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145)는 자석(303)과 센서(413)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세척 유체 탱크(107) 내에 수용된 세척 유체의 양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본체(101)는 회수 탱크(109)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2 탱크 시트(415)를 포함한다. 제2 탱크 시트(415)는 제3 공기 통로(117)를 포함하는 본체(101)의 상부면(101c)에서의 영역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탱크 시트(415)는 회수 탱크(109), 제2 공기 통로(113) 및 제3 공기 통로(117) 사이에서 통신 가능한 연결을 용이하도록 회수 탱크(109)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도록 구성된 본체(101)의 상부면에서의 오목 영역(recessed region)이다.
도 5는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세척 유체 탱크(107)(도 1), 회수 탱크(109)(도 1) 및 노즐(103)(도 1)이 제거된 장치(100)의 상부면의 사시도이다. 본체(101)는 본체(101)의 전면(101a)에 노즐 수용 영역(nozzle reception area, 501)을 포함한다. 노즐 수용 영역(501)은 노즐(103)이 부착되면 노즐(103)의 일부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오목부(recess, 503)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오목부(503)는 노즐(103)의 후면에 포함된 상방향 후크(upward-facing hook)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노즐이 본체에 부착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오목부(503)는 노즐(103)의 후면에서 후크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장치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이동되는 경우 노즐(103)이 본체(101)의 전면(101a)에 고정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체(101)의 전면(101a)은 노즐(103)의 노즐 고정 기구에 포함된 이동형 후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고정 오목부(locking recess, 505)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고정 오목부(505)는 제1 공기 통로(111) 위에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고정 오목부(505)는 본체(101)에서 서로 다른 위치에 있다. 예를 들어, 제1 공기 통로(111) 위에 있는 경우, 하나 이상의 오목부(503), 고정 오목부(505) 및 노즐(103)은 본체(101)로의 노즐(103)의 부착을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노즐(103)의 후면에서의 후크가 우선 하나 이상의 오목부(503)에 장착되는 경우 노즐(103)은 노즐(103)의 이동 가능한 후크가 노즐(103)을 본체(101)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 오목부(505)로 삽입될 때까지 고정 오목부(505)를 향해 회전할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전면(101a)은 노즐(103)이 휠을 포함하면 노즐(103)의 후면에서 휠을 수용하도록 각각 구성된 하나 이상의 개구부(507)를 갖는다. 예를 들어, 노즐(801)(도 8)은 노즐(801)이 본체(101)에 부착될 때 개구부(507)와 정렬하도록 이의 후면에 휠(807)(도 8)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체(101)는 본체(101)의 전면(101a)에서 제2 유체 출력부(509)를 포함한다. 제2 유체 출력부(509)는 제1 유체 커플링(401)으로부터 제2 유체 출력부(509)까지 연장되는 유체 흐름 경로를 통해 제1 유체 커플링(401)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유체 출력부(509)는 액세서리 부착물(1001)(도 10)과 같은 액세서리 부착물이 제2 유체 출력부(509)와 연결되지 않으면 밀봉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공기 통로(111)와 제2 유체 출력부(509)는 함께 세척 유체의 공급 및 부착된 액세서리로의 흡입을 용이하도록 액세서리 부착물 커플러(1003)(도 3)와 같은 액세서리 부착물 커플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액세서리 리셉터클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공기 통로(111) 또는 제2 유체 출력부(509) 중 하나 이상은 마찰 맞춤(friction fitting)에 의해 액세서리 부착물 커플러를 수용하고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체(101)의 전면(101a)은 제1 공기 통로(111) 및 제2 유체 출력부(509)로 액세서리 부착물을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기 위해 액세서리 부착물 고정 기구(7007)(도 7)와 같은 액세서리 부착물 고정 기구와 상호 작용하도록 구성되는 측벽을 갖는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공기 통로(111) 및 제2 유체 출력부(509)에 의해 형성된 액세서리 부착물 리셉터클은 부착된 액세서리의 간단한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단일 플러그형(plug type) 액세서리 부착물 커플러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체(101)는 액세서리 부착물 커플러에 포함되거나 액세서리 부착물 커플러와 연결된 대응 전기 커플링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액세서리 전기 접촉부(511)를 포함하여, 부착된 액세서리에 전력 공급을 용이하게 한다.
도 6은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세척 유체 탱크(107)의 사시도이다. 세척 유체 탱크(107)는 세척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세척 유체 탱크 용기(139), 제2 유체 커플링(601), 캡(cap, 603), 세척 유체 탱크 고정 기구(151) 및 그립 커버(grip cover, 605)를 포함한다.
세척 유체 탱크 용기(139)는 이의 공동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을 포함한다. 세척 유체 탱크 용기(139)는 액체, 고체, 물, 세제, 기체 또는 이들의 조합 물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정 부피의 세척 유체를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세척 유체 탱크 용기(139)의 하나 이상의 측벽은 폴리머, 금속, 유리, 복합 물질, 또는 소정 부피의 세척 유체를 보유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세척 유체 탱크 용기(139)의 하나 이상의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투명 물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세척 유체 탱크 용기(139)의 하나 이상의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불투명 물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세척 유체 탱크 용기(139)의 하나 이상의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평면도로부터 세척 유체 탱크 용기(139) 내에 폐기물을 숨길 수 있는 반면, 일부 광이 세척 유체 탱크 용기ㅏ(139)를 통과 할 수 있는 반투명 물질을 포함하여, 이에 수용된 세척 유체의 부피는 세척 유체 탱크 용기(139) 외부로부터 볼 수 있다.
제2 유체 커플링(601)은 베이스 부분(123)(도 1)에서 제1 유체 커플링(401)(도 4)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제2 유체 커플링(601)은 세척 유체 탱크(107)로부터 베이스 부분(123)의 제1 유체 커플링(401)으로 세척 유체의 흐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베이스 부분(123)에서 제1 유체 커플링(401)과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유체 커플링(601)은 베이스 부분(123)의 제1 유체 커플링(401)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제2 유체 커플링(601)은 그립 커버(605)에 대향하는 세척 유체 탱크 용기(139)의 측면에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유체 커플링(601)은 세척 유체 탱크 용기(139)로부터 이격되게 연장된다.
캡(603)은 세척 유체 탱크 용기(139)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제2 유체 커플링(601)은 캡(603)에 포함된다. 캡(603)은 세척 유체가 용기(139)로 유입되는 세척 유체 탱크 용기(139)의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된다.
제2 유체 커플링(601)이 베이스 부분(123)의 제1 유체 커플링(401)과 연결되지 않으면 제2 유체 커플링(601)은 세척 유체가 세척 유체 탱크 용기(139)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유체 커플링(601)은 제1 유체 커플링(401)과 연결시 개방되도록 구성된 밸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유체 커플링(601)은 베이스 부분(123)에서 제1 유체 커플링과 연결시 개방될 수 있는 서로 다른 적절한 유형의 밸브 또는 시일(seal)을 포함한다.
세척 유체 탱크(601)는 베이스 부분(123) 및 샤프트(125)(도 1)에 세척 유체 탱크(107)를 분리 가능하게 고정하도록 구성된 세척 유체 탱크 고정 기구(151)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그립 커버(605)는 세척 유체 탱크 용기(139)의 상부면에 부착된 플레이트(plate)이다. 그립 커버(605)는 세척 유체 탱크 고정 기구(151)의 일부 위에 있고, 그립 커버(605)의 플레이트가 세척 유체 탱크 용기(139)로부터 이격되도록 위치되어, 사용자에 의해 붙잡을 수 있는 갭을 남겨 세척 유체 탱크(107)를 보유한다.
도 7은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회수 탱크(109)의 사시도이다. 회수 탱크(109)는 액체, 고체, 기체, 또는 세척 유체 탱크(107)(도 1)로부터 출력된 세척 유체의 일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회수 탱크 용기(141)를 포함한다. 회수 탱크(109)는 제2 공기 통로(113)(도 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6 공기 통로(701) 및 제3 공기 통로(117)(도 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제7 공기 통로(703)를 포함한다.
회수 탱크 용기(141)는 이에 공동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을 포함한다. 회수 탱크 용기(141)는 액체, 고체, 기체 또는 세척 유체의 일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정 부피의 조성물을 보유하도록 구성된다. 회수 탱크 용기(409)의 하나 이상의 측벽은 폴리머, 금속, 유리, 복합 물질, 또는 액체, 고체, 또는 세척 유체의 일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소정 부피의 조성물을 보유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물질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회수 탱크 용기(141)의 하나 이상의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투명 물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회수 탱크 용기(141)의 하나 이상의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불투명 물질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회수 탱크 용기(141)의 하나 이상의 측벽 중 적어도 하나의 측벽은 평면도로부터 회수 탱크 용기(141) 내의 폐기물을 숨길 수 있는 반면 일부 광이 회수 탱크 용기(141)를 통과하게 하는 반투명 물질을 포함하여, 이에 수용된 조성물의 부피가 회수 탱크 용기(141)의 외부로부터 볼 수 있다.
회수 탱크(109)는 제6 공기 통로(701)로부터 회수 탱크 용기(141)의 내부 부분으로 연장되는 공기 도관(air conduit, 705)을 포함한다. 공기 도관(705)은 제2 흐름 경로(709)와 제3 흐름 경로(711)로 분기하는 제1 흐름 경로(707)를 포함하고, 각각은 회수 탱크 용기(141)의 내부를 제6 공기 통로(70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한다.
제1 흐름 경로(707), 제2 흐름 경로(709) 및 제3 흐름 경로(711)는 회수 탱크 용기(141)의 내부에 있는 하나 이상의 회수 탱크 용기(141)의 측벽에 의해 형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흐름 경로(709) 및 제3 흐름 경로 각각의 단부는 회수 탱크 용기(141)의 내부 측벽을 향한다. 제2 흐름 경로(709) 및 제3 흐름 경로(711) 각각이 끝나는 회수 탱크 용기(141)의 내부 측벽은 액체, 고체, 제2 흐름 경로(709) 및 제3 흐름 경로(711)를 통해 회수 탱크 용기(141)로 유입된 유체의 흐름 방향을 전환한다. 회수 탱크 용기(141)의 내부 중앙 부분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종결됨으로써, 제2 흐름 경로(709) 및 제3 흐름 경로(711)는 액체, 고체, 기체 또는 회수 탱크 용기(141)로부터 유입된 유체의 일부가 회수 탱크 용기(141)의 내부 중앙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흐름을 향하게 하기 때문에 회수 탱크 용기(141) 내부에서 거품의 발생 또는 발생된 거품의 양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흐름 경로(707), 제2 흐름 경로(709) 및 제3 흐름 경로(711)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은 제1 흐름 경로(707)로부터 수신된 공기 흐름(712)을 두개의 분리된 흐름으로 분할하여, 회수 탱크 용기(141)의 단일 영역으로 흐르는 공기의 양을 감소시키고 회수 탱크(109) 내부에서 거품을 방지하거나 발생된 거품의 양을 줄일 수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회수 탱크(109)는 회수 탱크 용기(141) 내부에 스토퍼(stopper, 713)를 포함한다. 액체, 고체, 기체 또는 회수 탱크 용기(141)에 의해 수용된 유체 조성물의 일부의 부피에 대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제7 공기 통로(703)로의 공기 흐름을 막기 위해 스토퍼(713)는 제7 공기 통로(703) 또는 제7 공기 통로로 유도하는 도관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밀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스토퍼(713)는 컬럼(column, 715)의 단부에서 개구부(717)를 향하여 또는 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컬럼(715)를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되는 부유 장치를 포함한다. 개구부(717)는 컬럼(715) 내부의 채널(719)에 의해 제7 공기 통로(703)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스토퍼(713)는 액체, 고체, 기체 또는 회수 탱크(141)에 의해 수용된 유체 조성물의 일부의 부피에 기초하여 개구부 방향으로 상승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스토퍼(713)는 회수 탱크 용기(141)에 의해 수용된 조성물의 깊이 또는 진공 모터(143)(도 1)에 의해 제7 공기 통로(703)를 통한 공기의 흡입력 중 하나 이상에 기초하여 개구부(717) 또는 제7 공기 통로(703) 중 하나 이상을 실질적으로 밀봉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절한 구조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스토퍼(713)는 컨트롤러(145)(도 1)에 의해 감지 가능한 깊이 표시기(depth indicator)를 포함한다. 스토퍼(713)의 깊이 표시기는 센서, 전기 접촉부, 또는 컨트롤러(14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구성된 다른 적절한 장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스토퍼(713)가 제7 공기 통로(703)를 실질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위치에 있는지 또는 회수 탱크 용기(141) 내에 수용된 조성물의 깊이를 나타내는 회수 탱크 용기(141)의 하부로부터 이격되어 미리 결정된 거리에 있는지를 감지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본체(101)의 컨트롤러는 스토퍼(713)가 제7 공기 통로(703)를 실질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위치에 있는지 또는 스토퍼(713)가 회수 탱크 용기(141)의 하부로부터 이격되어 미리 결정된 거리에 있는지의 결정에 기초하여 회수 탱크가 가득찬 것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진공 모터(143)가 꺼지거나 회수 탱크(109)가 가득찬 것을 나타내는 경고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스토퍼(713) 또는 컬럼(715)은 회수 탱크 용기(141)의 하부면에서 캡(721)을 통해 분리 가능하다. 제7 공기 통로(703)는 캡(721)을 통과한다. 캡(721)은 제3 공기 통로(117)를 둘러싸는 오목 영역과 결합하도록 구성되어, 회수 탱크(109)가 제2 탱크 시트(415)(도 4)에 있는 경우 제7 공기 통로(703)와 제3 공기 통로(117)의 통신 가능한 연결을 용이하게 한다.
회수 탱크(109)는 회수 탱크 용기(141)의 하나 이상의 측벽에 의해 형성된 회수 탱크(109)의 상부면에서 드레인 개구부를 폐쇄하도록 구성된 드레인 캡(drain cap, 723)을 포함한다.
회수 탱크(109)는 회수 탱크 용기(141)에 부착된 핸들(725)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핸들(725)은 회수 탱크 용기(141)와 일체로 형성된다.
도 8은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카펫 청소 노즐(801)의 측면도이다. 노즐(801)은 노즐(103)(도 1)로서 사용될 수 있다. 노즐(801)은 제4 공기 통로(119), 제5 공기 통로(121), 스키드 부분(803), 적어도 하나의 휠(805), 노즐 후크(807) 및 노즐 고정 기구(809)를 포함한다. 제4 공기 통로(119)는 노즐(801) 내부에서 채널(811)을 통해 제5 공기 통로(12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노즐 고정 기구(809)는 고정 오목부(505)(도 5)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이동 가능한 후크(813)를 포함한다. 이동 가능한 후크(813)는 본체(101)(도 1)에 부착시 노즐(801)의 삽입, 고정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변형 가능하거나 스프링-장착된 것 중 하나 이상이다. 노즐 고정 기구(809)는 본체(101)로부터 노즐(801)의 해제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동 가능한 후크(813)가 연장된 위치로부터 변형되거나 후퇴하도록 노즐(801)의 상부면에 해제 부재(release member)를 포함한다.
스키드 부분(803) 및 하나 이상의 휠(805)은 카펫 표면 위로 노즐(801) 및 본체(101)의 이동을 촉진하도록 구성되어, 카펫 표면으로부터 제4 공기 통로 내지 제4 공기 통로(121) 및 회수 탱크(109)(도 1)로 유체 및/또는 잔해의 추출이 용이하다.
도 9는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경질 표면 노즐(901)의 측면도이다. 노즐 (901)은 노즐(103)(도 1)로서 사용될 수 있다. 노즐(901)은 제4 공기 통로(119), 제5 공기 통로(121), 스퀴지(903), 노즐 후크(905) 및 노즐 고정 기구(907)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스퀴지(903)는 제4 공기 통로(121)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스퀴지(903)의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구조물(909)을 포함한다. 제4 공기 통로(119)는 노즐(801) 내부의 채널(911)을 통해 제5 공기 통로(12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노즐 고정 기구(907)는 고정 오목부(505)(도 5)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이동 가능한 후크(913)를 포함한다. 이동 가능한 후크(913)는 본체(101)(도 1)에 부착될 때 노즐(901)의 삽입, 고정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변형 가능하거나 스프링-장착된 것 중 하나 이상이다. 노즐 고정 기구(909)는 본체(101)로부터 노즐(901)의 해제 및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이동 가능한 후크(913)가 연장 위치로부터 변형되거나 후퇴되도록 노즐(901)의 상부면에 해제 부재를 포함한다.
스퀴지(903) 및 제4 공기 통로(119)로부터 이격되게 연장되는 구조물(909)은 장치(100)가 제4 공기 통로(119)를 방향으로 위치되는 경질 표면에 세척 유체 및/또는 잔해를 유입 또는 밀어 내기를 촉진하도록 구성되어 유체 및/또는 잔해를 경질 표면으로부터 제4 공기 통로(119) 내지 제5 공기 통로(121) 및 회수 탱크(109) (도 1)로의 추출을 용이하게 한다.
도 10은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액세서리 부착물(1001)의 사시도이다. 액세서리 부착물(1001)은 액세서리 커플러(1003) 및 진공 호스(1007)와 진공 호스(1007) 내부의 유체 라인을 통해 액세서리 커플러(1003)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브러시 헤드(1005)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유체 라인은 진공 호스(1007) 외부에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유체 라인은 진공 호스(1007) 외부에 있다. 액세서리 커플러(1003)는 제1 공기 통로(111)(도 5) 및 제2 유체 출력부(501)(도 5)로 삽입되도록 구성된다. 액세서리 커플러(1003)는 액세서리 공기 통로(1009) 및 제1 공기 통로(111)와 제2 유체 출력부(501)와 각각 결합하도록 구성된 액세서리 유체 커플링(1011)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액세서리 커플러(1003)는 압력-맞춤(press-fit)에 의해 제1 공기 통로(111) 및/또는 제2 유체 출력부(501)에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액세서리 커플러(1003)는 본체(101)에 액세서리 커플러(1003)를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액세서리 고정 기구(1013)를 포함한다. 액세서리 고정 기구(1013)는 제1 공기 통로(111)를 둘러싸거나 근처에서 대응하는 오목부 또는 측벽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이동 가능한 후크(1015)를 포함한다. 이동 가능한 후크(1015)는 본체(101)(도 1)에 부착될 때 액세서리 커플러(1003)의 삽입, 고정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변형 가능하거나 스프링-장착된 것 중 하나 이상이다. 액세서리 고정 기구(1013)는 이동 가능한 후크(1015)가 연장된 위치로부터 변형되거나 후퇴되도록 액세서리 커플러(1003)의 하나의 측벽에 적어도 하나의 해제 부재를 포함하여 본체(101)로부터 액세서리 부착물(1001)의 해제 및 제거가 용이하다.
사용시, 모드 선택 스위치(301)(도 3)가 액세서리 부착물(1001)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모드와 대응하는 위치에 있고, 액세서리 부착물 커플러(1003)가 제2 유체 출력부(501)와 결합되면, 유체가 액세서리 부착물(1001)로 공급된다. 유체가 진공 호스(1007) 내부 또는 외부에 있는 유체 라인으로 입력된다. 브러시 헤드(1005)는 액세서리 트리거(1009)가 작동되고 세척 유체가 유체 라인에 있는 경우 세척 유체가 브러시 헤드(1005)에서 액세서리 유체 출력부(1019)로부터 배출되게 야기하는 액세서리 트리거(1017)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유체 해제 밸브를 갖는다.
브러시 헤드(1005)는 강모(1021)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강모(1021)는 고정되어 있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액세서리 부착물(1001)은 강모(1021)가 이동하도록 구성된 모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액세서리 커플러(1003)는 브러시 헤드(1005)에서의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해 선택적인 전기 접촉부(511)(도 5)와 연결되도록 구성된 모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액세서리 전기 접촉부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브러시 헤드(1005)는 강모(1021)에 추가하여 또는 대신에 스핀 브러시(spin bruch)를 포함한다.
도 11은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제어 시스템(1100)의 개략도이다. 제어 시스템(1100)은 장치(100)(도 1)에 포함된다. 제어 시스템(1100)에서, 컨트롤러(145)는 유체 펌프(137), 진공 모터(143), 선택적인 헤드라이트(147), 유체 제어 스위치(149), 교반기 모터(205), 모드 선택 스위치(301), 하나 이상의 표시기 조명(407), 선택적인 액세서리 전기 접촉부(511) 및 센서 패키지(sensor package, 110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컨트롤러(145)는 모드 선택 스위치(301)의 위치에 기초하여 진공 모터(143)를 켜거나 꺼지게 하도록 구성된다. 모드 선택 스위치(301)는 적어도 두개의 위치 중 하나에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모드 선택 스위치(301)는 적어도 3개의 위치 중 하나에 있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장치(100)는 모드 선택 스위치(301)와는 별도로 전력 스위치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모드 선택 스위치(301)는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지정하기 위한 스위치에 추가로 전력 스위치로서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145)는 모드 선택 스위치(301)의 위치에 기초하여 교반기 모터(205)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하거나 교반기 모터(205)에 명령어를 출력하도록 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이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액추에이터(319)(도 3)는 트리거(133)(도 1)가 작동될 때, 컨트롤러(145)는 교반기 모터(145)가 교반기(203)(도 2)를 이동시키도록 컨트롤러(14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모드 선택 스위치(301)의 위치에 기초하여 선택적인 액세서리 전기 접촉부(511)에 전력이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모드 선택 스위치(301)는 3개의 위치 중 하나에 있도록 구성된다. 제1 위치에서, 장치(100)는 꺼진다. 제2 위치에서, 진공 모터(143)는 켜지고, 교반기 모터(205)는 켜질 수 있고, 유체 펌프(137)는 유체 제어 스위치(149)의 위치에 기초하여 세척 유체를 제1 유체 출력부(201)(도 2)로 공급되게 한다. 제3 위치에서, 진공 모터(143)는 켜지고, 교반기 모터(205)는 꺼지며, 유체 펌프(137)는 유체 제어 스위치(149)의 위치와 무관한 미리 결정된 속도로 세척 유체가 제2 유체 출력부(501)로 공급되게 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모드 선택 스위치(301)의 위치 및 핸들(105)에 포함된 트리거(133)의 작동에 기초하여 제1 유체 커플링(401)을 통해 세척 유체 탱크(107)(도 1)로부터 제1 유체 출력부(201)까지 유체가 흐르도록 구성된다. 대응 위치에서 모드 선택 스위치를 가지면서 트리거(133)의 작동에 기초하여, 컨트롤러(145)는 유체 펌프(137)가 세척 유체 탱크(107)로부터 세척 유체를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표시기 조명(407)은 컨트롤러(14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교반기 상태 표시기를 포함한다. 교반기 모터(205)는 컨트롤러(14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교반기 이동 센서를 포함한다. 컨트롤러(145)는 교반기(203)가 교반기 이동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여 이동하는지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145)는 교반기 모터(205)에 전력이 공급되는 것을 중지하게 하는 것, 교반기(203)가 이동하지 않는 결정에 기초하여 교반기 상태 표시기를 작동시키게 하는 것 또는 진공 모터(143)에 공급되는 전력을 중단하게 하는 것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표시기 조명(407)은 컨트롤러(14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세척 유체 탱크 상태 표시기를 포함한다. 컨트롤러(145)는 센서(413)(도 4)로부터 수신된 하나 이상의 데이터에 기초하여 세척 유체 탱크(107)에서의 세척 유체의 부피 또는 제1 유체 커플링(401)을 통해 세척 유체 탱크(107)에서의 세척 유체를 통한 전기 전도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145)는 세척 유체 탱크(107)에 포함된 세척 유체의 부피에 기초하여 탱크 상태 표시기가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세척 유체 탱크(107)에서의 세척 유체의 부피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컨트롤러(145)는 탱크 상태 표시 조명을 켜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세척 유체 탱크(107)에서의 세척 유체의 부피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컨트롤러(145)는 탱크 상태 표시기 조명을 끄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표시기 조명(407)은 컨트롤러(14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회수 탱크 상태 표시기(recovery tank status indicator)를 포함한다. 컨트롤러(145)는 스토퍼(713)(도 7)에 포함된 센서로부터 수신된 데이터에 기초하거나 막힘 또는 스토퍼(713)가 제7 공기 통로(703)(도 7)를 적어도 실질적으로 밀봉하는 것을 나타내는 진공 펌프(143)가 응력 하에 있는 결정에 기초하여 회수 탱크(109)에서의 유체 및/또는 잔해의 부피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컨트롤러(145)는 회수 탱크(109)에 포함된 유체 및/또는 잔해의 부피에 기초하여 회수 탱크 상태 표시기가 작동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회수 탱크(109)에 포함된 유체 및/또는 잔해의 부피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컨트롤러(145)는 탱크 상태 표시기 조명이 켜지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회수 탱크(109)에 포함된 유체 및/또는 잔해의 부피가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 컨트롤러(145)는 탱크 상태 표시기 조명을 끄도록 구성된다.
표시기 조명(407)은 장치(100)를 작동하는 사용자가 장치(100)의 문제 또는 작동 상태를 신속하고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도록 장치(100)에 구비되어, 장치(100)를 작동시키는 사용자의 능력에 대한 사용자의 신뢰도를 증가시키고, 장치(100)가 세척 유체로 채워져야 하는지, 비워졌는지, 공급되었는지, 또는 표시기 조명에 의해 유발될 수 있는 다른 적절한 작동이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식별하는데사용자의 확신을 증가시킨다.
센서 패키지(1101)는 센서(413), 위치 센서, GPS, 자이로스코프 또는 컨트롤러(145)에 의해 처리될 장치의 위치 또는 이동 방향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수집하기에 적합한 다른 센서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도 12는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유체 흐름 시스템(1200)의 다이어그램이다. 유체 흐름 시스템(1200)은 제1 유체 커플링(401), 유체 펌프(137), 제1 유체 출력부(201) 및 제2 유체 출력부(501)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복수의 유체 흐름 경로(1201a-1201g)를 포함한다.
예로서, 유체 흐름 경로(1201a-1201g)는 제1 유체 커플링(401), 3-방향 커넥터(1205), 유체 펌프(137), 제1 유체 출력부(201), 제2 유체 출력부(501) 및 체크 밸브(1215)를 통신 가능하게 연결한다. 각각의 유체 흐름 경로(1201a-1201g)는 튜브, 호스, 파이프, 노즐, 밸브, 유체 커플러 또는 유체가 이동할 수 있는 것을 통한 다른 적절한 것 중 하나 이상을 함한다.
유체 펌프(137)는 컨트롤러(145)(도 1)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용시, 유체 펌프(137)는 세척 유체가 유체 흐름 경로(1201b)로부터 유입되게 한다. 유체 흐름 경로(1201b)로부터 유입된 세척 유체는 제1 유체 커플링(401), 유체 흐름 경로(1201a) 및 3-방향 커넥터(1205)를 통해 세척 유체 탱크(107)(도 1)로부터 직접적으로 유입된 세척 유체 또는 세척 유체 탱크(107)로부터 유입되고 유체 흐름 경로(1201b, 1201c, 1201e, 1201f 및 1201g)를 통해 순환되며 3개의 3-방향 커넥터(1205)에 의해 수신되는 세척 유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세척 유체 탱크(107)로부터 유입된 세척 유체는 유체 펌프(137)의 입구로 유입되어 유체 펌프(137)의 출구로부터 유체 흐름 경로(1201c)로 배출된다.
제1 작동 모드에서, 컨트롤러(145)는 흐름 제어 스위치(149)의 위치에 기초한 속도에서 유체 펌프(137)가 유체를 유체 공급 라인(1201c)으로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제2 작동 모드에서, 컨트롤러(145)는 유체 펌프(137)가 흐름 제어 스위치(149)의 위치와 관계없는 속도로 유체를 유체 공급 라인(1201c)에 공급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유체 흐름 시스템(1200)은 유체 흐름 경로(1201c)와 유체 흐름 경로(1201d 및 1201e) 사이의 접합부(junction)에 선택적 유체 전환기(fluid diverter, 127)를 포함한다. 포함되는 경우, 유체 전환기(1217)는 컨트롤러(14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어 유체가 유체 흐름 경로(1201d)로 흐르게 하여 유체 펌프(137)에 의해 출력된 세척 유체가 제1 작동 모드에서 제1 유체 출력부(201)로부터 배출되고, 유체를 유체 흐름 경로(1201e)로 흐르게 하여 유체 펌프(137)에 의해 출력된 세척 유체가 제2 작동 모드에서 제2 유체 출력부(501)로 공급되게 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유체 흐름 시스템(1200)은 컨트롤러(14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유체 펌프(137)와 제1 유체 출력부(201) 사이에 위치되는 선택적 제어 가능 밸브(1219)를 포함한다. 포함되는 경우, 제어 가능 밸브(1219)는 유체 펌프(137)에 의해 출력된 유체를 유체 공급 라인(1201e)에 흐르게 하도록 유체 흐름 통로(fluid flow passage, 1201d)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구성되어, 유체가 제1 작동 모드에서 제1 유체 출력부(201)로 공급되고, 제2 작동 모드에서 제1 유체 출력부(201)로 공급되는 것이 차단된다.
제2 유체 출력부(501)의 입구(1213a)는 유체 흐름 경로(1201e)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2 유체 출력부(501)의 유체 시스템 출구(1213b)는 유체 흐름 경로(1201f)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용시, 제2 유체 출력부(501)가 외부 액세서리와 연결되지 않으면, 제2 유체 출력부(501)는 세척 유체가 유체 흐름 경로(1201e)로부터 유체 흐름 경로(1201f)까지 흐르도록 구성된다. 제2 유체 출력부(501)가 외부 액세서리와 연결되는 경우, 제2 유체 출력부(501)는 제2 유체 출력부(501)로부터 제2 유체 출력부(501)를 통해 본체와 연결되는 액세서리 부착물 커플러(1003)(도 10)와 같은 액세서리 부착물 커플러로 세척 유체가 흐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체크 밸브(1215)의 입구는 유체 흐름 경로(1201f)를 통해 유체 시스템 출구(1213b)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체크 밸브(1215)의 출구는 유체 흐름 경로(1201g)를 통해 3-방향 커넥터(1205)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사용시, 제2 유체 출력부(501)가 액세서리 부착물과 연결되지 않고, 유체 전환기(1217)가 유체 흐름 경로(1201e)로 흐름을 전환하거나 제어 가능한 밸브(1219)가 제1 유체 출력부(201)로의 유체 흐름을 차단하는 경우, 유체 펌프(137)에 의해 출력된 세척 유체는 유체 흐름 경로(1201f)로 흐르게 한다. 임계 압력이 위반되는 지점까지 유체 흐름 경로(1201f)에서 압력이 형성되면, 체크 밸브(1215)가 개방되어 세척 유체가 유체 흐름 경로(1201g)로 흐르게 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유체 출력부(501)가 액세서리와 연결되는 경우, 체크 밸브(1215)는 제2 유체 출력부(501)가 제2 유체 출력부(501)를 통해 부착된 액세서리 커플러로 세척 유체를 흐르게 하는 지점까지 유체 흐름 경로(1201f) 내에서 압력이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부착된 액세서리가 액세서리에 의해 세척 유체가 출력되지 않는 상태에 있다면, 임계 압력에 도달할 때까지 유체 흐름 경로(1201f)에 압력이 계속해서 형성된다. 액세서리 유체 커플링(accessory fluid coupling)에 부착된 액세서리로 임계 압력이 도달하면, 체크 밸브(1215)가 개방되어 세척 유체가 유체 흐름 경로(1201g)로 흐르게 한다.
3-방향 커넥터(1205)는 유체 흐름 경로(1201a) 및 유체 흐름 경로(1201g)로부터 세척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3-방향 커넥터는 유체 흐름 경로(1201a), 유체 흐름 경로(1201g) 또는 이의 혼합으로부터 유체 흐름 경로(1210b)로 수신된 유체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3-방향 커넥터(1205)는 밸브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3-방향 커넥터는 예를 들어 유체 펌프(137)에 기인한 유체 흐름 경로(1201g)에서의 압력 또는 3-방향 커넥터(1205)에 대해 세척 유체 탱크(107)에서의 세척 유체의 상대 높이에 의해 야기되는 유체 흐름 경로(1201a)에서의 압력에 의존하여, 예를 들어 유체 펌프(137)가 세척 유체 탱크(107)로부터 직접적으로 유입된 세척 유체를 수신하는지, 세척 유체 탱크(107)로부터 유입된 재순환된 세척 유체를 수신하는지 또는 이의 조합을 수신하는지 여부를 용이하게 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체크 밸브(1215)는 3-방향 커넥터(1205)에 포함되고, 유체 흐름 경로(1201f, 1201g)는 제2 유체 출력부(501)와 3-방향 커넥터(1205) 사이의 중간 구성 요소를 갖지 않는 연속적인 경로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2 유체 출력부(501)는 유체 전환기, 밸브 또는 액세러리와 연결되는 제2 유체 출력부(501)에 기초하여 입구(1213a)로부터 제2 유체 출력부(501)까지 유체 흐름을 향하게 하도록 구성된 다른 적절한 구조물을 포함하여, 부착된 액세서리 커플러로의 유체 흐름이 체크 밸브(1215)로부터의 배압(back pressure)에 좌우되지 않는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유체 펌프(137)는 적어도 유체 흐름 경로(1201c)에서의 유체 압력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큰 경우에 꺼지도록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유체 흐름 시스템(1200)은 재순환 루프(recirculation loop)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유체 흐름 시스템(1200)은 유체 흐름 경로(1201b, 1201f 및 1201g), 3-방향 커넥터(1205), 유체 시스템 출력부(1213b) 및 체크 밸브(1215)를 포함하지 않으며, 제1 유체 커플링(401)은 유체 흐름 경로(1201a)에 의해 유체 펌프(137)와 연결된다.
도 13은 일부 실시 형태에 따른 방법(1300)의 순서도이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방법(1300) 중 하나 이상의 단계들은 장치(100)(도 1) 또는 칩셋(1400)(도 14)에 포함된 프로세서에 의해 구현된다.
단계(1301)에서, 컨트롤러는 제1 작동 위치, 제2 작동 위치 또는 제3 작동 위치에 있는 모드 선택 스위치에 기초하여 진공 모터에 전력을 공급하게 한다.
단계(1303)에서, 제1 탱크에 의해 수용된 유체는 제2 작동 위치 또는 제3 작동 위치에 있는 스위치에 기초하여 제1 탱크로부터 유입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제1 탱크에 수용된 유체의 양이 미리 결정된 임계값보다 작으면 표시기 조명이 켜진다.
단계(1305)에서, 제1 탱크로부터 유입된 유체는 유체 흐름 제어 스위치의 위치 및/또는 모드 선택 스위치의 위치에 대응하는 속도로 유체 펌프에 의해 출력된다.
단계(1307)에서, 모드 선택 스위치가 제2 위치에 있으면, 제1 탱크로부터 유입된 유체는 제1 탱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유체 출력부로부터 배출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교반기가 이동하도록 구성된 교반기 모터는 모드 선택 스위치가 제2 위치에 있으면 작동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는 모드 선택 스위치가 제2 위치에 있고 유체 방출 트리거가 작동되는 경우 교반기 모터가 교반기를 움직이도록 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는 교반기 모터가 작동되고 모드 선택 스위치가 제2 위치에 있는 동안 교반기 모터가 교반기를 움직일 수 있는지 여부, 예를 들어 교반기가 고장인 것을 감지한다. 교반기가 움직일 수 없는 경우, 컨트롤러는 모드 선택 스위치가 제2 위치에 있는 동안 제1 탱크로부터 유체를 유입하는 교반기 모터, 진공 모터 또는 유체 펌프가 작동되지 않게 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컨트롤러는 교반기 모터가 교반기를 움직일 수 없도록 하는 감지에 기초하여 표시기 조명을 켜지게 한다.
단계(1309)에서, 제1 탱크로부터 유입된 유체는 모드 선택 스위치가 제3 위치에 있으면 제1 탱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유체 출력부로부터 배출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액세서리 커플러가 제2 유체 출력부에 부착되지 않으면 제2 유체 출력부가 폐쇄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유체 커플링이 제2 유체 출력부에 부착되고 및/또는 모드 선택 스위치가 제3 위치에 있는 것의 결정에 기초하여 제2 유체 출력부와 관련된 전기 접촉부로 전력이 공급된다.
단계(1311)에서, 모드 선택 스위치가 제3 위치에 있고 제2 유체 출력부가 폐쇄되는 경우, 제1 탱크로부터 유입된 유체는 선택적으로 유체 펌프의 제1 탱크 측으로 재순환된다.
단계(1313)에서 진공 모터는 기체, 잔해, 액체 또는 유체의 일부 중 하나 이상이 제1 탱크와 분리된 제2 탱크로 유입되게 한다.
도 14는 실시 형태가 구현되거나 그에 의해 구현되는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기반 시스템(1400)의 기능 블록도이다.
프로세서-기반 시스템(1400)은 장치(100)와 같은 유체 추출 시스템이 본 발명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동작하도록 프로그램되고, 예를 들어, 버스(1401), 프로세서(1403) 및 메모리(1405)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프로세서-기반 시스템(1400)은 단일 "시스템 온 칩(system on a chip)"으로서 구현된다. 프로세서-기반 시스템(1400) 또는 이의 일부는 액체 추출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하나 이상의 단계를 수행하기 위한 매커니즘을 구성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프로세서-기반 시스템(1400)은 프로세서-기반 시스템(1400)의 구성 요소 사이에서 정보 및/또는 명령어를 전송하기 위한 버스(1401)와 같은 통신 매커니즘(communication mechanism)을 포함한다. 프로세서(1403)는 예를 들어, 메모리(1405)에 저장된 실행 및 처리 정보를 위한 명령어를 얻도록 버스(1401)와 연결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프로세서(1403)는 또한 하나 이상의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또는 하나 이상의 주문형 집적 회로(ASIC)와 같은 특정 처리 기능 및 작업(task)을 수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특별화된 구성 요소를 동반한다. DSP는 일반적으로 프로세서(1403)와 독립적으로 실시간으로 실제 신호(예를 들어, 사운드)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유사하게, ASIC은 보다 범용 프로세서에 의해 쉽게 수행되지 않는 특별화된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 가능하다. 본 발명에 기술된 기능을 수행하는 것을 돕는 다른 특별화된 구성 요소는 선택적으로 하나 이상의 필드 프로그램 가능한 게이트 어레이(FPGA), 하나 이상의 컨트롤러 또는 하나 이상의 다른 특수 목적 컴퓨터 칩을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프로세서(또는 다중 프로세서)(1403)는 액체 추출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것과 관련하여 메모리(1405)에 저장된 명령어 세트에 의해 지정된 바와 같은 정보에 대한 연산 세트를 수행한다. 명령어의 실행은 프로세서가 지정된 기능을 수행하게 한다.
프로세서(1403) 및 동반 구성 요소는 버스(1401)를 통해 메모리(1405)와 연결된다. 메모리(1405)는 실행되는 경우 본 발명에서 설명된 단계를 수행하여 액체 수출 시스템을 작동하는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기 위한 동적 메모리(예를 들어, RAM, 자기 디스크, 기록 가능한 광학 디스크 등) 및 정적 메모리(예를 들어, ROM, CD-ROM 등)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메모리(1405)는 또한 단계들의 실행에 관련되거나 단계들의 실행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한다.
하나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 임의 접근 메모리(RAM) 또는 임의의 다른 동적 저장 장치와 같은 메모리(1405)는 액체 추출 시스템을 작동시키기 위한 프로세서 명령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한다. 동적 메모리는 시스템(1400)에 의해 이에 저장된 정보가 변경되도록 한다. RAM은 메모리 어드레스라 불리는 위치에 저장된 정보 단위가 인접한 어드레스의 정보와 독립적으로 저장되고 검색되도록 한다. 메모리(1405)는 또한 프로세서 명령어의 실행 동안 임시 값들을 저장하기 위해 프로세서(1403)에 의해 사용된다. 다양한 실시 형태들에서, 메모리(1405)는 시스템(1400)에 의해 변경되지 않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정적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 버스(1401)에 연결된 판독 전용 메모리(ROM) 또는 임의의 다른 정적 저장 장치이다. 일부 메모리는 전원이 끊어지면 이에 저장된 정보가 손실되는 휘발성 저장 장치로 구성된다. 일부 실시 형태에서, 메모리(1405)는 시스템(1400)이 꺼지거나 그렇지 않으면 전력이 끊어지더라도 지속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자기 디스크, 광학 디스크 또는 플래시 카드와 같은 비-휘발성(영구) 저장 장치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computer-readable medium)"라는 용어는 실행을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세서(1403)에 정보를 제공하는데 관여하는 임의의 매체를 지칭한다. 이러한 매체는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예를 들어, 비-휘발성 매체, 휘발성 매체)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많은 형태를 취한다. 비-휘발성 매체는 예를 들어 광학 또는 자기 디스크를 포함한다. 휘발성 매체는 예를 들어 동적 메모리를 포함한다.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의 일반적인 형태는 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플렉시블 디스크, 하드 디스크, 자기 테이프, 다른 자기 매체, CD-ROM, CDRW, DVD, 다른 광학 매체, 펀치 카드, 종이 테이프, 광학 마크 시트, 구멍 패턴 또는 다른 광학적으로 인식 가능한 표식을 갖는 다른 물리적 매체, RAM, PROM, EPROM, FLASH-EPROM, EEPROM, 플래시 메모리, 다른 메모리 칩 또는 카트리지, 또는 컴퓨터가 판독할 수 있는 또 다른 메체를 포함한다. 컴퓨터-판독 가능 저장 매체라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를 지칭하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본체, 노즐, 핸들, 제1 탱크, 제2 탱크, 진공 모터, 유체 펌프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체는 본체의 전면, 후면, 상부면 및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을 포함한다. 본체는 또한 제1 유체 출력부, 제1 공기 통로, 제1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공기 통로 및 제3 공기 통로를 포함한다. 노즐은 본체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노즐은 본체의 하부면에 근접한 제4 공기 통로와 본체의 상부면에 근접한 제5 공기 통로를 포함한다. 제5 공기 통로는 제4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노즐은 제1 공기 통로와 제5 공기 통로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본체에 부착된다. 핸들은 본체와 연결된다. 핸들은 제1 유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유체 커플링를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 베이스 부분에 연결된 샤프트 및 베이스 부분과 대향하는 샤프트의 단부에 있는 그립 부분을 포함한다. 제1 탱크는 베이스 부분 위에 있다. 제1 탱크는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용기 및 제1 유체 커플링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유체 커플링을 포함한다. 제2 탱크는 본체 위에 있다. 제2 탱크는 제1 용기로부터 분리된 제2 용기, 제2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6 공기 통로 및 제3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7 공기 통로를 포함한다. 진공 모터는 핸들의 베이스 부분에 있다. 진공 모터는 제3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입구를 갖는다. 유체 펌프는 본체에 있다. 유체 펌프는 제1 유체 커플링 및 제1 유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컨트롤러는 본체에 있다. 컨트롤러는 진공 모터 및 유체 펌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컨트롤러는 유체 펌프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제1 탱크에 함유된 유체가 제1 유체 출력부로 공급되게 한다. 컨트롤러는 또한 제1 공기 통로를 통해 제2 탱크로 기체, 잔해, 액체 또는 유체의 일부 중 하나 이상을 유입하기 위해 진공 모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는 본체, 노즐, 핸들, 제1 탱크, 제2 탱크, 진공 모터, 유체 펌프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체는 하우징, 제1 유체 출력부, 제1 공기 통로, 제1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공기 통로 및 제3 공기 통로를 포함한다. 노즐은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노즐은 제4 공기 통로 및 제5 공기 통로를 포함한다. 제5 공기 통로는 제4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노즐은 제1 공기 통로와 제5 공기 통로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하우징에 부착된다. 핸들은 본체와 연결된다. 핸들은 제1 유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유체 커플링를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 베이스 부분에 연결된 샤프트 및 베이스 부분에 대향하는 샤프트의 단부에 있는 그립 부분을 포함한다. 제1 탱크는 베이스 부분 위에 있다. 제1 탱크는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용기 및 제1 유체 커플링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유체 커플링을 포함한다. 제2 탱크는 본체 위에 있다. 제2 탱크는 제1 용기로부터 분리된 제2 용기를 포함한다. 제2 탱크는 또한 제2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6 공기 통로 및 제3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7 공기 통로를 포함한다. 진공 모터는 제3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입구를 갖는다. 유체 펌프는 제1 유체 커플링 및 제1 유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컨트롤러는 진공 모터 및 유체 펌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컨트롤러는 유체 펌프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제1 탱크에 함유된 유체가 제1 유체 출력부로 공급되게 한다. 컨트롤러는 또한 제1 공기 통로를 통해 제2 탱크로 기체, 잔해, 액체 또는 유체의 일부 중 하나 이상을 유입하기 위해 진공 모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제2 탱크는 제6 공기 통로로부터 제2 탱크의 제2 용기의 내부 부분까지 연장되는 공기 도관을 포함한다. 공기 도관은 제2 흐름 경로 및 제3 흐름 경로로 분기하는 제1 흐름 경로를 포함하고, 각각은 제2 탱크의 제2 용기의 내부 부분을 제6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양태는 본체, 노즐, 핸들, 제1 탱크, 제2 탱크, 진공 모터, 유체 펌프 및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체는 하우징, 제1 유체 출력부, 제1 공기 통로, 제1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공기 통로 및 제3 공기 통로를 포함한다. 노즐은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다. 노즐은 제4 공기 통로 및 제5 공기 통로를 포함한다. 제5 공기 통로는 제4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노즐은 제1 공기 통로와 제5 공기 통로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하우징에 부착된다. 핸들은 본체와 연결된다. 핸들은 제1 유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1 유체 커플링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 베이스 부분에 연결된 샤프트, 베이스 부분에 대향하는 샤프트의 단부에 있는 그립 부분을 포함한다. 제1 탱크는 베이스 부분 위에 있다. 제1 탱크는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용기 및 제1 유체 커플링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유체 커플링을 포함한다. 제2 탱크는 본체 위에 있다. 제2 탱크는 제1 용기로부터 분리된 제2 용기, 제2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6 공기 통로 및 제3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7 공기 통로를 포함한다. 진공 모터는 제3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입구를 갖는다. 유체 펌프는 제1 유체 커플링 및 제1 유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컨트롤러는 진공 모터 및 유체 펌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다. 컨트롤러는 유체 펌프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제1 탱크에 함유된 유체가 제1 유체 출력부로 공급되게 하고, 진공 모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제1 공기 통로를 통해 기체, 잔해, 액체 또는 유체의 일부 중 하나 이상을 제2 탱크로 유입되도록 한다. 장치는 추가로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교반기 및 교반기 모터를 포함한다. 교반기 모터는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교반기가 움직이도록 구성된다. 장치는 추가로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모드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한다. 모드 선택 스위치가 제1 위치에 있고 컨트롤러에 전력이 공급되면, 컨트롤러는 교반기를 이동시키고 유체 제어 스위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유체의 흐름을 유발하도록 구성된다. 모드 선택 스위치가 제2 위치에 있고, 전력이 컨트롤러로 공급되면, 컨트롤러는 교반기를 정지시키고, 유체 흐름 스위치의 위치와 무관한 소정의 속도로 유체가 제2 유체 출력부에 공급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내용은 당업자가 본 발명의 양태를 더 잘 이해할 수 있도록 여러 실시 형태의 특징을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당업자는 본 발명에서 제공된 실시 형태들의 동일한 목적을 수행하고 및/또는 동일한 장점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공정 및 구조물을 설계 또는 변경하기 위한 기초로서 본 발명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당업자는 이러한 동등한 구성이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변경, 대체 및 변형될 수 있음을 인지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몇몇 실시 형태의 특징이 전술한 설명 및 청구 범위 사이의 특정 조합으로 표현되지만, 일부 실시 형태와 관련하여 논의된 특징 또는 단계는 임의의 조합 또는 순서로 배치될 수 있다.

Claims (20)

  1. 본체의 전면, 후면, 상부면 및 하부면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측벽;
    제1 유체 출력부;
    제1 공기 통로;
    상기 제1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공기 통로; 및
    제3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본체의 하부면에 근접한 제4 공기 통로 및 상기 본체의 상부면에 근접한 제5 공기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5 공기 통로는 상기 제4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기 통로와 상기 제5 공기 통로는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본체에 부착되는 노즐,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유체 커플링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 상기 베이스 부분과 연결되는 샤프트; 및 상기 베이스 부분에 대향하는 샤프트의 단부에 있는 그립 부분을 포함하는 핸들,
    상기 베이스 부분 위에 있고,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용기; 및
    상기 제1 유체 커플링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유체 커플링을 포함하는 제1 탱크,
    상기 본체 위에 있고,
    상기 제1 용기로부터 분리된 제2 용기;
    상기 제2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6 공기 통로; 및
    상기 제3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7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제2 탱크,
    상기 제3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입구를 갖는 상기 핸들의 베이스 부분에서의 진공 모터,
    상기 제1 유체 커플링 및 상기 제1 유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본체에서의 유체 펌프, 및
    상기 진공 모터 및 상기 유체 펌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탱크에 함유된 유체가 상기 제1 유체 출력부로 공급되도록 상기 유체 펌프를 작동시키며, 상기 제1 공기 통로를 통해 기체, 잔해, 액체 또는 유체의 일부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2 탱크로 유입하기 위해 상기 진공 모터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상기 본체에서의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복수의 선택 가능한 위치들 중 하나에 있도록 구성된 유체 제어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제1 탱크에 수용된 유체가 상기 유체 제어 스위치의 위치에 기초한 속도로 상기 제1 유체 출력부에 공급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체 커플링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유체 출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 통로 및 상기 제2 유체 출력부는 액세서리 유체 커플링 및 액세서리 커넥터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액세서리 커넥터와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체 출력부는 상기 노즐이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2 유체 출력부가 노출되도록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되는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교반기;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상기 교반기를 움직이도록 구성된 교반기 모터; 및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모드 선택 스위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가 제1 위치에 있고 전력이 상기 컨트롤러에 공급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교반기가 움직이게 하고 상기 유체 제어 스위치의 위치에 기초하여 유체의 흐름을 유발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가 제2 위치에 있고 전력이 상기 컨트롤러에 공급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교반기를 정지시키고 상기 유체 제어 스위치의 위치와 무관한 소정의 속도로 유체를 상기 제2 유체 출력부에 공급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액추에이터가 고장인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진공 모터를 정지시키도록 구성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핸들은 제1 축을 중심으로 상기 본체에 대해 회전하고 상기 제1 축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2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8.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 대해 상기 핸들을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핸들 고정 기구를 더 포함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트리거;
    상기 트리거로부터 상기 핸들의 베이스 부분까지 연장되는 샤프트 내부의 기계적 연결부;
    상기 제1 유체 커플링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체 펌프; 및
    상기 유체 펌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액추에이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계적 연결부는 상기 트리거의 작동에 기초하여 상기 액추에이터와 접촉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유체 펌프는 상기 트리거의 작동 및 상기 기계적 연결부와 상기 액추에이터 사이의 접촉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유체 출력부에 유체가 공급되도록 구성되는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탱크는 상기 제6 공기 통로로부터 상기 제2 탱크의 상기 제2 용기의 내부로 연장되는 공기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도관은 각각이 상기 제2 탱크의 제2 용기의 내부 부분을 상기 제6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흐름 경로 및 제3 흐름 경로로 분기하는 제1 흐름 경로를 포함하는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제4 공기 통로에 인접한 스키드 부분 및 상기 스키드 부분에 대향하는 상기 노즐의 측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4 공기 통로는 상기 스키드 부분과 적어도 하나의 휠 사이에 있는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제4 공기 통로를 둘러싸는 스퀴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제4 공기 통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퀴지의 기저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구조체를 갖는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본체에 개별적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된 노즐 세트에 포함된 제1 노즐 또는 제2 노즐 중 하나이고,
    상기 제1 노즐은 상기 제4 공기 통로에 인접한 스키드 부분과 상기 스키드 부분에 대향하는 상기 노즐의 측면에서의 적어도 하나의 휠을 포함하고, 상기 제4 공기 통로는 상기 스키드 부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휠 사이에 있으며,
    상기 제2 노즐은 상기 제4 공기 통로를 둘러싸는 스퀴지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제4 공기 통로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상기 스퀴지의 기저부로부터 연장되는 복수의 구조물을 갖는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튜브에 의해 상기 제1 유체 커플링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상기 본체에서의 유체 펌프; 및
    상기 튜브가 연장되는 브리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브리지는 상기 튜브가 상기 핸들의 위치와 무관하게 상기 유체 펌프와 상기 제1 유체 커플링 사이에서 만곡되는 최소 반경을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탱크의 용기 내부에 있는 자석 -상기 자석은 상기 제1 탱크의 용기 내에 수용된 유체의 양에 기초하여 부유하도록 구성됨-; 및
    상기 핸들의 상기 베이스 부분 내부에 있는 센서 -상기 센서는 상기 자석과 관련된 자기장에 기초하여 상기 자석과 상기 센서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구성됨-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트롤러는 소정의 양 이하인 상기 제1 탱크의 용기 내에 수용된 유체의 양에 기초하여 경보가 출력되도록 구성되는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상기 본체의 외부에 있는 조명을 더 포함하고,
    상기 경고는 상기 제1 탱크의 용기 내에 수용된 유체의 양이 소정의 양 이하라는 결정에 기초하여 상기 조명이 켜지도록 하는 것을 포함하는 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 모터의 입구는 호스를 통해 상기 제3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체 커플링은 상기 호스 내부의 튜브를 통해 상기 제1 유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장치.
  1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 통로 및 상기 제2 공기 통로는 상기 본체의 하나 이상의 측벽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된 커플러의 단부 상에 있는 장치.
  19. 하우징;
    제1 유체 출력부;
    제1 공기 통로;
    상기 제1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공기 통로; 및
    제3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제4 공기 통로 및 제5 공기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5 공기 통로는 상기 제4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기 통로 및 상기 제5 공기 통로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노즐,
    상기 본체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유체 커플링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
    상기 베이스 부분과 연결된 샤프트; 및
    상기 베이스 부분에 대향하는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있는 그립 부분;을 포함하는 핸들,
    상기 베이스 부분 위에 있고,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용기; 및
    상기 제1 유체 커플링과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유체 커플링;을 포함하는 제1 탱크,
    상기 본체 위에 있고,
    상기 제1 용기로부터 분리된 제2 용기;
    상기 제2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6 공기 통로; 및
    상기 제3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7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제2 탱크,
    상기 제3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입구를 갖는 진공 모터,
    상기 제1 유체 커플링 및 상기 제1 유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유체 펌프, 및
    상기 진공 모터 및 상기 유체 펌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유체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제1 탱크에 수용된 유체가 상기 제1 유체 출력부로 공급되게 하고, 상기 진공 모터를 작동시켜 기체, 잔해, 액체 또는 유체의 일부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제1 공기 통로를 통해 상기 제2 탱크로 유입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탱크는 상기 제6 공기 통로로부터 상기 제2 탱크의 상기 제2 용기의 내부 부분으로 연장되는 공기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공기 도관은 각각이 상기 제2 탱크의 상기 제2 용기의 내부 부분을 상기 제6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흐름 경로 및 제3 흐름 경로로 분기하는 제1 흐름 경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0. 하우징;
    제1 유체 출력부;
    제1 공기 통로;
    상기 제1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2 공기 통로; 및
    제3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하우징에 분리 가능하게 부착되고, 제4 공기 통로 및 제5 공기 통로를 포함하며, 상기 제5 공기 통로는 상기 제4 공기 통로로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제1 공기 통로 및 상기 제4 공기 통로가 실질적으로 정렬되도록 상기 하우징에 부착되는 노즐,
    상기 본체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유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1 유체 커플링을 포함하는 베이스 부분;
    상기 베이스 부분과 연결되는 샤프트; 및
    상기 베이스 부분에 대향하는 상기 샤프트의 단부에 있는 그립 부분을 포함하는 핸들,
    상기 베이스 부분 위에 있고,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제1 용기; 및
    상기 제1 유체 커플링과 통신 가능하게 연겨뢴 제2 유체 커플링;을 포함하는 제1 탱크,
    상기 본체 위체 있고,
    상기 제1 용기로부터 분리된 제2 용기;
    상기 제2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6 공기 통로; 및
    상기 제3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제7 공기 통로;를 포함하는 제2 탱크,
    상기 제3 공기 통로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된 입구를 갖는 진공 모터;
    상기 제1 유체 커플링 및 상기 제1 유체 출력부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유체 펌프;
    상기 진공 모터 및 상기 유체 펌프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유체 펌프를 작동시켜 상기 제1 탱크에 함유된 유체가 상기 제1 유체 출력부로 공급되게 하고, 상기 진공 모터를 작동시켜 상기 제1 공기 통로를 통해 상기 제2 탱크로 기체, 잔해, 액체 또는 유체의 일부 중 하나 이상을 유입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컨트롤러,
    교반기,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컨트롤러로부터 수신된 명령어에 기초하여 상기 교반기가 움직이도록 구성되는 교반기 모터, 및
    상기 컨트롤러와 통신 가능하게 연결되는 모드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가 제1 위치에 있고 전력이 상기 컨트롤러에 공급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교반기가 움직이도록 하고 상기 유체 제어 스위치의 위치를 기초로 하여 유체의 흐름을 야기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모드 선택 스위치가 제2 위치에 있고 전력이 상기 컨트롤러에 공급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러는 상기 교반기가 정지되게 하고 상기 유체 제어 스위치의 위치와 무관하게 소정의 속도로 유체를 상기 제2 유체 출력부로 공급되게 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KR1020180132398A 2017-11-09 2018-10-31 액체 추출 장치 및 방법 KR10208374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5/808,265 US20190133398A1 (en) 2017-11-09 2017-11-09 Liquid extraction apparatus and method
US15/808,265 2017-11-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3094A true KR20190053094A (ko) 2019-05-17
KR102083741B1 KR102083741B1 (ko) 2020-04-20

Family

ID=63709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2398A KR102083741B1 (ko) 2017-11-09 2018-10-31 액체 추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90133398A1 (ko)
EP (1) EP3482668B1 (ko)
JP (1) JP6789267B2 (ko)
KR (1) KR102083741B1 (ko)
CN (1) CN109758053B (ko)
CA (1) CA3012999C (ko)
PL (1) PL3482668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9288659A1 (en) * 2018-06-22 2021-01-21 Bissell Inc. Apparatus for cleaning a surface
CN115299815A (zh) * 2019-01-11 2022-11-08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清洁器具及其控制方法
WO2021042861A1 (zh) * 2019-09-04 2021-03-11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清洗机、清洁设备及其控制、信息显示方法及存储介质
EP3841940A1 (en) * 2019-12-23 2021-06-30 Koninklijke Philips N.V. Determining a start-up operation mode of a wetting system of a cleaning device
AU2020430093A1 (en) * 2020-02-20 2022-10-06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Floor cleaner
WO2021216911A1 (en) * 2020-04-24 2021-10-28 Techtronic Cordless Gp Floor cleaner with full tank indicator
US20240148209A1 (en) * 2021-03-11 2024-05-09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Surface cleaner
CN113796794A (zh) * 2021-09-28 2021-12-17 深圳市杉川机器人有限公司 一种洗地装置
CN113796801A (zh) * 2021-09-28 2021-12-17 深圳市杉川机器人有限公司 一种地面清洗机
CN113796796A (zh) * 2021-09-28 2021-12-17 深圳市杉川机器人有限公司 一种地刷和洗地机
CN113796797A (zh) * 2021-09-28 2021-12-17 深圳市杉川机器人有限公司 一种地面清洗装置
CN113796793A (zh) * 2021-09-28 2021-12-17 深圳市杉川机器人有限公司 一种地面清洗系统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084B1 (ko) * 2003-03-31 2011-08-01 비쎌 홈케어, 인크. 얼룩 청소 장치
US20150245757A1 (en) * 2014-02-28 2015-09-03 Rug Doctor, LLC Liquid Extraction Cleaning Device and Method
US20160066513A1 (en) * 2014-09-10 2016-03-10 Emerson Paul Gray Landscaping material maintenance
US9629513B2 (en) * 2010-12-15 2017-04-25 Rug Doctor, LLC Floor cleaning machine
US9717386B2 (en) * 2014-02-28 2017-08-01 Rug Doctor, LLC Liquid extraction clean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39833B2 (ja) * 1992-05-29 2001-03-05 アマノ株式会社 洗浄水の残量と使用可能時間を表示する機能を備えた床面洗浄機
JP2586498Y2 (ja) * 1993-04-30 1998-12-09 アマノ株式会社 床面洗浄機用スイッチ装置
US5784755A (en) * 1996-01-18 1998-07-28 White Consolidated Industries, Inc. Wet extractor system
JP3568837B2 (ja) * 1999-09-30 2004-09-22 アマノ株式会社 床面洗浄清掃機
JP3518460B2 (ja) * 2000-01-12 2004-04-12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湿式画像形成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US6536071B2 (en) * 2001-01-12 2003-03-25 Royal Appliance Mfg. Co. Tank mounting of carpet extractor
US6681442B2 (en) * 2001-05-21 2004-01-27 The Hoover Company Apparatus and method for cleaning a surface
US6685778B2 (en) * 2001-10-25 2004-02-03 The Kegel Company, Inc. Lane dressing supply system for bowling lane maintenance machines
US20040134016A1 (en) * 2003-01-10 2004-07-15 Royal Appliance Manufacturing Company Suction wet jet mop
US7159271B2 (en) * 2003-09-29 2007-01-09 Electrolux Home Care Products Ltd. Wet extractor cleaning device fluid tank arrangement
JP2006006464A (ja) * 2004-06-23 2006-01-12 Kenji Jitsuhara スキージ
US7987552B2 (en) * 2004-11-17 2011-08-02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Floor care appliance with a plurality of cleaning modes
GB2449391B (en) * 2005-02-17 2009-04-22 Bissell Homecare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with cleaning fluid supply
US20060190132A1 (en) * 2005-02-18 2006-08-24 Christopher John Morse Autonomous surface cleaning robot for dry cleaning
GB2437229A (en) * 2005-04-07 2007-10-17 Tennant Co Hard and soft floor surface cleaner
KR100662642B1 (ko) * 2005-06-22 2007-01-02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물청소 기능을 갖는 진공청소기
JP4907332B2 (ja) * 2006-12-26 2012-03-28 アマノ株式会社 床面洗浄機用洗浄水タンク装置
DE102007040958A1 (de) * 2007-08-30 2009-03-05 Miele & Cie. Kg Upright-Staubsauger
US20090165822A1 (en) * 2007-09-24 2009-07-02 Kintz Ronald P Extraction cleaning apparatus
US7824456B1 (en) * 2008-07-29 2010-11-02 Monson Clifford L Extractor
AU2010241499B2 (en) * 2009-11-25 2014-05-22 Bissell Inc. Pivoting extractor nozzle
KR101291202B1 (ko) * 2010-09-30 2013-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업라이트형 진공청소기
US9717389B2 (en) * 2012-05-29 2017-08-01 Bissell Homecare, Inc. Extraction cleaner
US9737187B2 (en) * 2014-02-04 2017-08-22 Techtronic Floor Care Technology Limited Extractor cleaning machine
US9307881B2 (en) * 2014-03-12 2016-04-12 Techtronic Industries Co. Ltd. Extractor cleaning machine
EP2946713A1 (en) * 2014-05-05 2015-11-25 Fimap S.P.A. Floor scrubbing machine
AU2016101525A4 (en) * 2015-09-14 2016-09-29 Bissell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AU2016101847B4 (en) * 2015-10-28 2022-02-17 Bissell Inc. Surface cleaning apparatus
CN106214080A (zh) * 2016-07-25 2016-12-14 宁波德昌电机制造有限公司 一种地毯清洗机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53084B1 (ko) * 2003-03-31 2011-08-01 비쎌 홈케어, 인크. 얼룩 청소 장치
US9629513B2 (en) * 2010-12-15 2017-04-25 Rug Doctor, LLC Floor cleaning machine
US20150245757A1 (en) * 2014-02-28 2015-09-03 Rug Doctor, LLC Liquid Extraction Cleaning Device and Method
US9717386B2 (en) * 2014-02-28 2017-08-01 Rug Doctor, LLC Liquid extraction cleaning device
US20160066513A1 (en) * 2014-09-10 2016-03-10 Emerson Paul Gray Landscaping material maintenan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L3482668T3 (pl) 2022-12-12
CN109758053B (zh) 2021-04-06
EP3482668B1 (en) 2022-07-27
EP3482668A1 (en) 2019-05-15
KR102083741B1 (ko) 2020-04-20
CA3012999C (en) 2020-06-30
JP2019107436A (ja) 2019-07-04
US20190133398A1 (en) 2019-05-09
CN109758053A (zh) 2019-05-17
JP6789267B2 (ja) 2020-11-25
CA3012999A1 (en) 2018-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53094A (ko) 액체 추출 장치 및 방법
KR102083731B1 (ko) 액체 추출 장치 및 방법
US10433695B2 (en) Robot cleaner
KR20190032237A (ko) 액체 추출 장치 및 방법
EP3563742B1 (en) Cleaner
EP3750466B1 (en) Autonomous floor cleaner with carry handle
ES2399595T3 (es) Robot autónomo de limpieza de superficies para una limpieza en seco y en mojado
US10682035B2 (en) Vacuum cleaner and water cleaning device
US20100236018A1 (en) Cleaning appliance having multiple functions
US9723964B2 (en) Floor cleaning machine
JP2007037628A (ja) 水石けん吐出装置
JP2007175122A (ja) 湿式電気掃除機
BR202015012813U2 (pt) equipamento lava jato pneumático
JP6444703B2 (ja) 水栓
KR0140281Y1 (ko) 자동차 사이드 미러의 오물제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