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756A -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756A
KR20190052756A KR1020170148436A KR20170148436A KR20190052756A KR 20190052756 A KR20190052756 A KR 20190052756A KR 1020170148436 A KR1020170148436 A KR 1020170148436A KR 20170148436 A KR20170148436 A KR 20170148436A KR 20190052756 A KR20190052756 A KR 20190052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electronic
parking brake
inflection point
di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8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81479B1 (ko
Inventor
조치훈
정민규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8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1479B1/ko
Priority to US16/107,588 priority patent/US10870422B2/en
Priority to CN201811079230.6A priority patent/CN109760660B/zh
Publication of KR20190052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14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14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60T17/221Procedure or apparatus for checking or keeping in a correct functioning condition of brake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ower brake systems not covered by groups B60T8/00, B60T13/00 or B60T15/00, or presenting other characteristic features
    • B60T17/18Safety devices; Monitoring
    • B60T17/22Devices for monitoring or checking brake systems; Signal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8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 B60T7/085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hand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travel,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8/00Arrangements for adjusting wheel-braking force to meet varying vehicular or ground-surface conditions, e.g. limiting or varying distribution of braking force
    • B60T8/17Using electrical or electronic regulation means to control braking
    • B60T8/171Detecting parameters used in the regulation; Measuring values used in the reg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2270/00Further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T2270/40Failsafe aspects of brake control systems
    • B60T2270/406Test-mode; Self-diagn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0Driver ala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alves And Accessory Devices For Braking Systems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 Braking Systems And Boos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자제어장치(ECU)가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중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모터의 기동 전류 발생 후 무부하 구간을 거쳐 하중 발생 구간에서 상승하기 시작한 전류의 기울기가 변화되는 전류 변곡점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상기 검출한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과 기 설정된 기준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상 다를 경우,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중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AULT OF ELECTRONIC PARKING BRAKE}
본 발명은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자식 DIH(Drum In Hat) 파킹 브레이크의 과하중 및 내구로 인한 피스톤내의 스프링이 파손되거나 탄성을 상실하는 기계적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스프링에 의한 모터의 전류값 및 변곡점 이동을 감지하고 이를 고장으로 인지하여 경고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브레이크 시스템(Break System)은 주행하는 자동차를 감속 및 정지시킴과 동시에 주차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자동차를 감속 및 정지시킬 때 사용하는 주 브레이크(Foot Brake)와 주차시킬 때 사용되는 주차 브레이크(Parking Brake)로 구분된다.
상기 주 브레이크는 그 구조에 따라 디스크 브레이크와 드럼 브레이크로 구분되는데, 최근에는 자동차의 후륜에도 드럼 브레이크가 아닌 디스크 브레이크가 많이 사용됨에 따라, 주차 브레이크는 디스크 브레이크와 별도로 드럼 구조로 구비되며, 이를 위하여 DIH(Drum In Hat) 주차 브레이크가 구비된다.
한편 전자식 디아이에이치(eDIH : Electronic Drum In Hat)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전자식 주차브레이크(EPB) 일종으로서, 전자식 주차브레이크(EPB)는 보통 작동 방식에 따라 캘리퍼 방식 MOC와 드럼 구조의 eDIH 타입으로 나뉜다.
상기 DIH는 드럼 구조의 주차 전용 브레이크를 의미하고, 기존 케이블로 작동되는 기계식에서 전자 제어식 모터 구조로 바꾼 것이 eDIH이며, 차 중량이 크고 적재 용량이 많아 큰 제동력이 요구되는 트럭이나 버스 등 대형차에 주로 적용된다.
도 1은 기존의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eDIH)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예시도로서, 이러한 구조의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eDIH)는 액츄에이터(즉, 모터)에서 발생된 동력을 기어로 배력하여 웜샤프트를 통해 웜기어에 전달하고, 웜기어는 볼트 스크류를 회전시켜 볼트와 너트의 회전-직진운동 변환을 통해 너트에 연결된 피스톤을 이동시켜 DIH의 슈를 확장시켜 파킹력을 발생시킨다.
다시 말해,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전기기계식 액츄에이터(즉, 모터)의 회전 운동을 웜샤프트와 웜휠을 통해 전달되고, 웜휠에 의해 회전된 볼트 스크류가 피스톤 내의 너트부에 압축되어 장착된 스프링에 하중을 전달, 피스톤을 가압하여 슈를 확장시켜 작동력을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이 DIH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에서 파킹은 슈가 회전하면서 디스크와 슈와의 마찰에 의해 파킹력을 발생하는데, 이때 슈의 회전으로 인하여 피스톤과 슈의 간극이 생기면서 피스톤의 하중이 떨어지는 하중강하가 발생한다. 이때 피스톤내의 스프링(미도시)이 압축된 만큼의 하중이 다시 발생하면서 토크 발생 시 하중강하를 보상하는 역할을 한다.
그런데 이때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과하중 및 내구로 인해 피스톤내의 스프링(미도시)이 파손되거나 탄성을 상실하는 기계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3-0067170호(2013.06.21. 공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제어 방법)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서, 전자식 DIH(Drum In Hat) 파킹 브레이크의 과하중 및 내구로 인한 피스톤내의 스프링이 파손되거나 탄성을 상실하는 기계적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스프링에 의한 모터의 전류값 및 변곡점 이동을 감지하고 이를 고장으로 인지하여 경고를 출력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은, 전자제어장치(ECU)가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중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모터의 기동 전류 발생 후 무부하 구간을 거쳐 하중 발생 구간에서 상승하기 시작한 전류의 기울기가 변화되는 전류 변곡점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상기 검출한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과 기 설정된 기준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상 다를 경우,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중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상 다를 경우의 하나로서, 상기 검출된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이 기준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중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기준 변곡점의 전류값은,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시 발생하는 액츄에이터의 전류값이 스프링의 압축력에 해당하는 전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상기 검출한 전류 변곡점의 도달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전류 변곡점의 도달시간을 기 설정된 기준 전류 변곡점의 도달시간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전류 변곡점의 도달시간을 비교한 결과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상 다를 경우,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 중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류 변곡점의 도달시간은, 상기 모터의 기동 전류 발생 후 무부하 구간을 거쳐 전류가 상승하기 시작하는 하중 발생 구간의 시작 시점부터 상기 상승하기 시작한 전류의 기울기가 변화되는 시점인 전류 변곡점까지 도달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류 변곡점의 도달시간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상 다를 경우의 하나로서, 상기 검출된 전류 변곡점의 도달시간이 기준 전류 변곡점의 도달시간보다 단축될 경우,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중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은, 전자제어장치(ECU)가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조건 해제 시 작동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작동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전자제어장치(ECU)는 마찰재의 마모에 의해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전자제어장치(ECU)는 상기 증가된 작동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라이닝이 마모되어 라이닝과 디스크 간극(Gap) 조정이 필요하다는 알람이나 경고 메시지를 운전자 단말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작동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증가하는 경우, 마찰재의 마모 이외의 브레이크의 부품의 에러에 의해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전자제어장치(ECU)는 상기 감소된 작동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부품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알람이나 경고 메시지를 운전자 단말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작동시간은,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가 기 지정된 목표 전류값으로 상승하기 시작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해제 시의 작동시간은,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가압력을 해제하는 구간(a구간), 가압력의 해제가 완료되어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피스톤이 토크 플레이트에 닿기 전까지 무부하로 회전하는 구간(b구간), 상기 피스톤이 토크 플레이트에 닿고 다시 스프링을 재 압축함으로써 전류가 상승하여 기준 전류값에 도달하는 구간(c구간) 중 상기 a구간과 b구간을 합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른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장치는,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중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모터의 기동 전류 발생 후 무부하 구간을 거쳐 하중 발생 구간에서 상승하기 시작한 전류의 기울기가 변화되는 전류 변곡점을 검출하는 전자제어장치(ECU);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제어장치(ECU)는 상기 검출한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과 기 설정된 기준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상 다를 경우,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중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전자식 DIH(Drum In Hat) 파킹 브레이크의 과하중 및 내구로 인한 피스톤내의 스프링이 파손되거나 탄성을 상실하는 기계적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스프링에 의한 모터의 전류값 및 변곡점 이동을 감지하고 이를 고장으로 인지하여 경고를 출력함으로써 브레이크 고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기존의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eDIH)의 개략적인 구조를 보인 예시도.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시 정상인 경우와 고장이 있는 경우의 전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를 보인 예시도.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시 고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해제 시 정상인 경우와 고장이 있는 경우의 전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를 보인 예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해제 시 고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및 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시 정상인 경우와 고장이 있는 경우의 전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를 보인 예시도이다.
도 2의 (a)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에 전자제어장치(ECU, 미도시)로부터 파킹 신호가 입력되면, 액츄에이터(즉, 모터)가 구동되어 기동 전류를 발생하고(도 1 (a)의 X1구간), 슈와 디스크의 간극에 해당하는 구간(X2구간)에서 모터의 무부하로 회전하게 된다.
그 이후로 하중발생 구간(X3구간)에서는 스프링(즉, 피스톤내의 스프링) 압축하중 이하로 강성 기울기(즉, 강성 기울기는 탄성변형 영역에서의 기울기로서, 여기서 탄성변형 영역이란, 힘이 제어 됐을 때 원래 모양으로 돌아가는 변형 영역을 의미함)를 가지면서 피스톤 하중이 증가하게 되고, 스프링 압축력에 해당하는 피스톤 하중에 도달하는 A점에 도달하면 스프링 압축을 시작하고, 스프링 강성에 해당하는 기울기로 피스톤 하중이 증가한다. 이때 스프링의 강성 변화로 전류 기울기가 변화하고 A점에서 전류 변곡점을 가지게 된다.
이후 목표 하중값(즉, 목표 피스톤 하중값)에 해당하는 전류값(C점)에 도달하면, 상기 전자제어장치(ECU, 미도시)는 상기 모터의 전원을 해제함으로써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가 볼트 스크류와 너트의 잠김에 의해 락킹(Locking)되어 피스톤 하중을 유지하여 파킹을 실시하게 된다.
그런데 만약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중 피스톤내의 스프링에 과하중이나 내구성에 의해 스프링의 탄성이 떨어지거나 상실되어 스프링의 압축력이 감소한 경우,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중발생시 스프링 압축력에 해당하는 전류가 A에서 B로 감소하여 하중발생 구간(X3구간)이 짧아지고, 피스톤 하중 증가구간(또는 스프링 압축구간)(X4구간)에서는 스프링의 탄성 저하나 상실로 인해 시스템 강성으로 하중발생을 하기 때문에 전류 발생 기울기가 커져 가파르게 증가한다.
이와 같은 현상(즉, 전류 발생 기울기가 커져 가파르게 증가하는 현상)이 발생하면 스프링의 압축력 감소로 인하여 토크 발생 시 하중강하 현상이 발생했을 때 상기 감소된 스프링의 압축력만큼만 하중을 발생하거나 또는 하중 발생이 없어져 목표 제동 토크를 발생시키지 못하여 차량이 파킹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따라서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킹 시 발생하는 상기 액츄에이터(모터)의 전류값이 스프링의 압축력에 해당하는 전류값인 A점 보다 낮게 발생하고, 전류의 변곡점 및 기울기가 기존(미리 설정된 전류의 변곡점 및 기울기)에 비해 지정된 특정 비율보다 크게 변화된 경우, 상기 전자제어장치(ECU, 미도시)가 이를 감지하여(즉,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 변화를 감지하여)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 시스템을 고장 상황(fail 상황)으로 인지하여, 작동력(즉, 목표 피스톤 하중값에 해당하는 전류값(C점))을 기존 C점(즉, 미리 지정된 전류값)보다 지정된 특정 비율 이상으로 높게 올려(즉, 증가시켜) 파킹 토크를 유지 할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경고등(미도시)을 점등한다.
도 3은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시 고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제어장치(ECU, 미도시)는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중 발생하는 전류(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고(S101), 상기 검출된 전류의 변곡점(즉, 모터의 기동 전류 발생 후 무부하 구간을 거쳐 하중 발생 구간에서 상승하기 시작한 전류의 기울기가 변화되는 전류 변곡점)을 검출한다(S102).
다음 상기 검출된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이 기준 전류 변곡점(예 : 도 2의 A점)의 전류값과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상 다르면(예 : 검출된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이 기준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보다 작으면)(S103의 아니오), 다시 말해 기준 변곡점의 전류값(예 : 도 2의 A점)(즉, 파킹 시 발생하는 액츄에이터(모터)의 전류값이 스프링의 압축력에 해당하는 전류값)보다 상기 검출된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이 작은 경우 상기 전자제어장치(ECU, 미도시)는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 중 고장(fail)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S105).
또한 상기 검출된 전류 변곡점의 도달시간(즉, 도 2에서 하중발생 구간(X3구간)의 시간)이 기준 전류 변곡점(예 : 도 2의 A점)의 도달시간과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상 다르면(예 : 검출된 전류 변곡점의 도달시간이 기준 전류 변곡점의 도달시간보다 단축되면)(S104의 아니오), 상기 전자제어장치(ECU, 미도시)는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 중 고장(fail)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S105).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해제 시 정상인 경우와 고장이 있는 경우의 전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한 그래프를 보인 예시도이다.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는 파킹 해제 시 슈의 가압력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액츄에이터(즉,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피스톤을 당긴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모터의 위치를 알 수 없으므로 피스톤을 초기 위치로 가져다 놓기 위하여 다음의 제어방법을 수행한다.
예컨대 도 4의 (a)를 참조하면, a구간은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가압력을 해제하는 구간이고, 가압력의 해제가 완료된 b구간은 피스톤이 토크 플레이트에 닿기 전까지 무부하로 회전하는 구간이며, c구간은 피스톤이 토크 플레이트에 닿고 다시 스프링을 재 압축함으로써 전류가 상승하는 구간이다. 이때 상기 전자제어장치(ECU, 미도시)는 상기 전류값을 감지하여 기준 전류 K값에 도달했을 때 초기위치로 인지하고 모터의 회전을 멈춰 초기위치를 확인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가 정상이라면 작동조건 해제 시 작동시간 a+b가 발생하고, 상기 전자제어장치(ECU, 미도시)는 이 해제시간을 모니터링하면서 전류 재상승 발생구간(c 구간)(또는 초기위치 확인 구간)에서 목표 전류 K값으로 상승되는지 확인한다.
그리고 상기 확인 결과에 따라, 만약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조건 해제 시 작동시간(즉, 도 4에서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가 목표 전류 K값으로 상승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이 a+b+b' 로서,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되지 않은 특정 시간(b')만큼 더 추가되거나, 또는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조건 해제 시 작동시간(즉, 도 4에서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가 목표 전류 K값으로 상승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이 a+a'로서,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지정된 시간(b)보다 더 짧은 시간(a')으로 단축될 경우, 상기 전자제어장치(ECU, 미도시)는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를 고장 상태(Fail 상태)로 인식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해제 시 고장을 감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자제어장치(ECU, 미도시)는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조건 해제 시 작동시간(즉, 도 4에서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가 목표 전류 K값으로 상승하기 시작할 때까지의 시간)을 검출하고(S201), 상기 검출된 작동시간이 상기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a+b)보다 증가(a+b+b')하는 경우(S202의 예), 마찰재의 마모에 의해 고장(fail)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S203).
이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장치(ECU, 미도시)는 상기 증가된 작동시간(a+b+b')에서 추가 작동시간(b')에 대응하여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라이닝이 마모되어 라이닝과 디스크 간극(Gap) 조정이 필요하다는 알람(경고 메시지)을 운전자(예 : 운전자 단말)에게 출력한다(S206).
또한 상기 검출된 작동시간이 상기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준(a+b)보다 감소(a+a')하는 경우(S204의 예), 브레이크의 부품에 통상적(예 : 마찰재의 마모)이지 않은 에러가 발생하여 고장(fail) 상태가 발생한 것으로 인식한다(S205).
이에 따라 상기 전자제어장치(ECU, 미도시)는 상기 감소된 작동시간(a+a')에서 부족한 해제시간(a')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부품의 이상 발생을 나타내는 알람(경고 메시지)을 운전자(예 : 운전자 단말)에게 출력한다(S206).
상기와 같이 본 실시예는 전자식 DIH(Drum In Hat) 파킹 브레이크의 과하중 및 내구로 인한 피스톤내의 스프링이 파손되거나 탄성을 상실하는 기계적 문제가 발생하였을 때 스프링에 의한 모터의 전류값 및 변곡점 이동을 감지하고 이를 고장으로 인지하여 경고를 출력함으로써 브레이크 고장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사고를 미리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실시예는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에 위치센서를 사용하지 않고도 피스톤내의 스프링에 의한 모터의 전류값 및 변곡점 이동을 감지하여 제어를 수행함으로 위치센서에 대한 원가절감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Claims (13)

  1. 전자제어장치(ECU)가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중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모터의 기동 전류 발생 후 무부하 구간을 거쳐 하중 발생 구간에서 상승하기 시작한 전류의 기울기가 변화되는 전류 변곡점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상기 검출한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과 기 설정된 기준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상 다를 경우,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중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상 다를 경우의 하나로서, 상기 검출된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이 기준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보다 작을 경우,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중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변곡점의 전류값은,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시 발생하는 액츄에이터의 전류값이 스프링의 압축력에 해당하는 전류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상기 검출한 전류 변곡점의 도달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검출한 전류 변곡점의 도달시간을 기 설정된 기준 전류 변곡점의 도달시간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전류 변곡점의 도달시간을 비교한 결과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상 다를 경우,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 중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변곡점의 도달시간은,
    상기 모터의 기동 전류 발생 후 무부하 구간을 거쳐 전류가 상승하기 시작하는 하중 발생 구간의 시작 시점부터 상기 상승하기 시작한 전류의 기울기가 변화되는 시점인 전류 변곡점까지 도달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 변곡점의 도달시간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상 다를 경우의 하나로서, 상기 검출된 전류 변곡점의 도달시간이 기준 전류 변곡점의 도달시간보다 단축될 경우, 상기 전자제어장치(ECU)가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중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7. 전자제어장치(ECU)가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작동조건 해제 시 작동시간을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작동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증가하는 경우, 상기 전자제어장치(ECU)는 마찰재의 마모에 의해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전자제어장치(ECU)는 상기 증가된 작동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라이닝이 마모되어 라이닝과 디스크 간극(Gap) 조정이 필요하다는 알람이나 경고 메시지를 운전자 단말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된 작동시간이 기 설정된 기준보다 증가하는 경우, 마찰재의 마모 이외의 브레이크의 부품의 에러에 의해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에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단계 이후,
    상기 전자제어장치(ECU)는 상기 감소된 작동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부품에 이상이 발생했음을 나타내는 알람이나 경고 메시지를 운전자 단말에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시간은,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가 기 지정된 목표 전류값으로 상승하기 시작하는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해제 시의 작동시간은,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모터를 역방향으로 구동시켜 가압력을 해제하는 구간(a구간), 가압력의 해제가 완료되어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피스톤이 토크 플레이트에 닿기 전까지 무부하로 회전하는 구간(b구간), 상기 피스톤이 토크 플레이트에 닿고 다시 스프링을 재 압축함으로써 전류가 상승하여 기준 전류값에 도달하는 구간(c구간) 중 상기 a구간과 b구간을 합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13.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중 모터에 인가되는 전류를 검출하고, 상기 모터의 기동 전류 발생 후 무부하 구간을 거쳐 하중 발생 구간에서 상승하기 시작한 전류의 기울기가 변화되는 전류 변곡점을 검출하는 전자제어장치(ECU);를 포함하며,
    상기 전자제어장치(ECU)는 상기 검출한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과 기 설정된 기준 전류 변곡점의 전류값을 비교하여 기 설정된 오차범위 이상 다를 경우, 상기 전자식 DIH 파킹 브레이크의 파킹 작동 중 고장이 발생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장치.

KR1020170148436A 2017-11-09 2017-11-09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및 장치 KR1019814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436A KR101981479B1 (ko) 2017-11-09 2017-11-09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및 장치
US16/107,588 US10870422B2 (en) 2017-11-09 2018-08-21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fail of electronic parking brake
CN201811079230.6A CN109760660B (zh) 2017-11-09 2018-09-17 用于检测电子驻车制动器的故障的方法和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8436A KR101981479B1 (ko) 2017-11-09 2017-11-09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756A true KR20190052756A (ko) 2019-05-17
KR101981479B1 KR101981479B1 (ko) 2019-05-23

Family

ID=66326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8436A KR101981479B1 (ko) 2017-11-09 2017-11-09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870422B2 (ko)
KR (1) KR101981479B1 (ko)
CN (1) CN1097606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3372B1 (ko) * 2017-08-08 2022-06-28 주식회사 만도 차량의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N112406839B (zh) * 2019-08-23 2022-02-18 上海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iBooster制动系统的安全控制方法及装置
CN110758369A (zh) * 2019-11-08 2020-02-07 广州赛特智能科技有限公司 无人驾驶刹车系统及其安全检测方法
US20220032894A1 (en) * 2020-07-30 2022-02-03 Mando Corporation Electronic parking brak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20046718A (ko) * 2020-10-07 2022-04-1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동식 주차브레이크의 제어방법
CN114274939B (zh) * 2021-12-23 2023-01-31 上海易咖智车科技有限公司 一种epb电机工作状态监控方法、装置、vcu及存储介质
US11841058B2 (en) 2022-01-14 2023-12-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to determine brake pad wea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137U (ko) * 1997-12-23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제동장치
KR20140026035A (ko) * 2012-08-24 2014-03-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케이블 풀러형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50145553A (ko) * 2014-06-20 2015-12-30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933962C2 (de) * 1999-07-20 2003-01-30 Knorr Bremse System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Überwachung elektromechanischer Zuspannvorrichtung für Fahrzeugbremsen
KR100377946B1 (ko) * 2000-07-15 2003-03-29 한국과학기술원 덴드리머를 이용한 단분자막의 제조방법
US6533082B2 (en) * 2000-12-01 2003-03-18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ic parking brake
WO2003080415A1 (de) * 2002-03-21 2003-10-02 Lucas Automotive Gmbh Elektrisch betätigbare fahrzeugbremse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elektrisch betätigbaren fahrzeugbremse
US6969127B2 (en) * 2003-04-11 2005-11-29 Asmo Co., Ltd. Electric parking brake system
JP5273098B2 (ja) * 2010-06-15 2013-08-28 株式会社アドヴィックス 車両用制動制御装置
KR20130067170A (ko) 2011-12-13 2013-06-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제어 방법
JP6017162B2 (ja) * 2012-03-30 2016-10-2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ディスクブレーキ装置
DE102013210593B4 (de) * 2012-08-21 2023-04-1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Betriebsbremssystems in einem Fahrzeug
DE102013218401A1 (de) * 2013-09-13 2015-03-19 Robert Bosch Gmbh Fahrassistenzsystem mit gesteigerter Ausfallsicherheit und Verfügbarkeit
US9346449B1 (en) * 2014-12-25 2016-05-24 Automotive Research & Testing Center Fault warning method and system thereof of electric parking brake
US20170369047A1 (en) * 2014-12-27 2017-12-28 Mazda Motor Corporation Electric brake system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7137U (ko) * 1997-12-23 1999-07-15 양재신 자동차의 제동장치
KR20140026035A (ko) * 2012-08-24 2014-03-05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케이블 풀러형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장치 및 그 구동방법
KR20150145553A (ko) * 2014-06-20 2015-12-30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760660B (zh) 2021-04-16
KR101981479B1 (ko) 2019-05-23
US20190135259A1 (en) 2019-05-09
CN109760660A (zh) 2019-05-17
US10870422B2 (en) 2020-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1479B1 (ko)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의 고장 감지 방법 및 장치
US8177037B2 (en) Brake system
KR101701125B1 (ko) 유압 작동식 서비스 제동 시스템 및 전자기계 작동식 제동 시스템을 구비한 모터 차량 제동 시스템
US10259439B2 (en) Electric parking brake control and method
CN107249941B (zh) 制动装置
CN107336699B (zh) 机电制动装置及其控制方法
WO2013047599A1 (ja) 駐車ブレーキ制御装置
KR101670675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8215721B2 (en) Parking brake control device
KR102417542B1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esc 협조제어 제동 방법
JP7307058B2 (ja) 電動パーキング・ブレーキをパルス幅変調によって制御するためのシステム
CN110562231B (zh) 用于运行机动车辆的制动系统的方法以及控制装置和制动系统
KR102419313B1 (ko) 전동 브레이크 및 제어 장치
US20200369253A1 (en) Distributed electric park brake control
KR20130095621A (ko) 자동차의 시동 보조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CN112823109A (zh) 用于在紧急制动时减速机动车的方法和机动车
CN102689629A (zh) 用于降低由驻车制动器施加的夹紧力的方法
US11440524B2 (en) Brake control device
US20220242384A1 (en) Electromechanical brak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220032894A1 (en) Electronic parking brake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090119486A (ko) 전동 브레이크 장치의 패드 간격 조정 방법
CN109153379B (zh) 用于检查车辆中的制动力的方法
KR101822815B1 (ko) Epb 구동 제어 방법
US1155476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an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and electromechanical braking system
KR100456779B1 (ko) 자동차용 브레이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