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2111A - 검안 장치 - Google Patents

검안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2111A
KR20190052111A KR1020197011428A KR20197011428A KR20190052111A KR 20190052111 A KR20190052111 A KR 20190052111A KR 1020197011428 A KR1020197011428 A KR 1020197011428A KR 20197011428 A KR20197011428 A KR 20197011428A KR 20190052111 A KR20190052111 A KR 201900521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ividual
module
beam splitter
screen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1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3121B1 (ko
Inventor
미카엘 나우셰
스테판 보우티논
Original Assignee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filed Critical 에씰로 앙터나시오날
Publication of KR201900521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21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1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1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28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visual acuity; for determination of refraction, e.g. phoropters
    • A61B3/032Devices for presenting test symbols or characters, e.g. test chart projec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10Objective types, i.e.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independent of the patients' perceptions or reactions
    • A61B3/14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 A61B3/145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eye photography by video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08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illumin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16Operational features thereof
    • A61B3/0041Operational features thereof characterised by display arrangements
    • A61B3/005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pla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075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provided with adjusting devices, e.g. operated by control lev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3/00Apparatus for testing the eyes; Instruments for examining the eyes
    • A61B3/02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 A61B3/0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e.g. adaptat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 A61B3/066Subjective types, i.e. testing apparatus requiring the active assistance of the patient for testing light sensitivity, e.g. adaptat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for testing colour vis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10Beam splitting or combining syste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ultimedia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개인의 눈(E)을 테스트하기 위한 검안 장치는 개인의 눈(E)을 위해 가변 거리에서 제1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촬상 모듈(10), 개인의 눈(E)을 위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빔 스플리터(26), 및 빔 스플리터(26)에 대향하는 스크린(22)을 포함한다. 미러(24)가 스크린(22)과 결합하여 배치되어, 빔 스플리터(26)를 통해 개인의 눈에 보이도록 제2 이미지를 생성한다.

Description

검안 장치
본 발명은 검안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검안 장치에 관한 것이다.
검안 장치는 눈 관리 전문가, 특히 검안사 및 안과 의사에 의해 사용되어, 이들이 개인의 시력의 특성을 판단하도록 돕는다.
특히, 굴절 기기는, 가변 교정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며, 개인의 비정시를 보정하는 데에 필요한 교정을 판단하기 위해 "자각적 굴절(subjective refraction)"로 알려진 테스트 중에 사용되는 검안 장치이다.
문헌 US 5 793 469에는, 개인의 눈을 위해 가변 거리에서 제1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촬상 모듈, 개인의 눈을 위해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빔 스플리터, 및 빔 스플리터에 대향하는 스크린을 포함하는, 개인의 눈을 테스트하기 위한 검안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은, 스크린과 결합하여 배치되어, 빔 스플리터를 통해 개인의 눈에 보이도록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미러를 특징으로 하는, 상기에 언급한 바와 같은 검안 장치를 제공한다.
이는 제1 이미지가 중첩되는 (임의의 원하는 배경을 나타내는) 넓은 가상 이미지로서 스크린에 의해 발생되는 광빔을 투사하여, 사실적인 상황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게 한다.
검안 장치는 또한 (비제한적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하기 선택적 특징들 중 하나 또는 여러 개를 포함할 수 있다:
- 미러는 오목하다;
- 촬상 모듈은 제1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1 광빔이 빔 스플리터를 가로질러 개인의 눈을 향해 전달되도록 위치한다;
- 스크린 및 미러는 제2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2 광빔이 빔 스플리터를 통해 스크린에서 미러까지 전달되며, 미러 상에서 빔 스플리터를 향해 반사되고, 빔 스플리터 상에서 개인의 눈을 향해 반사되도록 위치한다;
- 스크린은 비디오 디스플레이이다;
- 검안 장치는 개인의 눈을 위해 제2 가변 거리에서 제2 이미지를 촬상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한다;
- 검안 장치는 빔 스플리터와 개인의 눈 사이에 개재되는 가변 굴절 모듈을 추가로 포함한다;
- 가변 굴절 모듈은 가변 구면 굴절력을 갖는 렌즈를 포함한다;
- 가변 굴절 모듈은 원주 굴절력을 갖는 한 쌍의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렌즈를 포함한다;
- 검안 장치는 빔 스플리터에 대해 개인의 눈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영역을 조명하도록 구성되는 광원을 추가로 포함한다;
- 검안 장치는 촬상 모듈을 수용하는 제1 하우징, 및 빔 스플리터, 미러, 및 스크린을 수용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한다;
- 제1 이미지는 시표에 대응한다;
- 검안 장치는 촬상 모듈, 빔 스플리터, 스크린, 및 미러를 수용하는 케이싱을 포함한다;
- 검안 장치는 케이싱 내에 가변 주변 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조명 기구를 포함한다.
하기 설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이루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인 검안 장치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검안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검안 장치 내에 포함될 수 있는 굴절 모듈을 도시한다.
도 4는 도 1의 검안 장치의 개인에게 보이는 예시적인 뷰를 도시한다.
도 5는 이와 같은 검안 장치 내에 제공되는 굴절 모듈들에 대한 있을 수 있는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1의 검안 장치는 검안 장치가 예를 들어 테이블 상에 배치될 수 있도록 스탠드(4) 상에 장착되는 케이싱(2)을 포함한다.
본 구현예에서, 케이싱(2)은 시력 모듈(10), 장면 모듈(20), 굴절 모듈(30), 및 센서 모듈(40)을 수용한다. 케이싱(2)은 또한 다른 모듈들의 일부 부품, 특히 (이하에 추가로 설명되는) 굴절 모듈(30)의 일부 부품 및/또는 센서 모듈(40)의 일부 부품을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구동 모듈(70)을 수용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싱(2)은, 시력 모듈(10)의 반대편에 위치하며 (투명 플라스틱과 같은 투명한 재료에 의해 폐쇄될 수 있는) 윈도우(8)를 구비한 벽(7)을 포함하는데, 이를 통해 개인이 케이싱(2)을 들여다 볼 수 있고, 이는 이하에 추가로 설명된다.
시력 모듈(10)은 스크린(12), 한 쌍의 미러(13, 14), 렌즈(16), 및 추가 미러(15)를 포함한다.
스크린(예를 들어, LCD 스크린; 12)은 (이 경우엔 수직인) 스크린축(S)을 따라 광빔을 발생시킨다. 이하에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광빔은 검안 장치를 사용하는 개인을 위해 시표와 같은 객체의 이미지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미러들(13, 14)은 서로 직각으로 배치된다; 또한, 미러(13)는 스크린축(S)에 대해 45°의 각도로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로 인해, 스크린(12)에 의해 발생되는 광빔은 미러(13)에 의해, 다음으로 미러(14)에 의해 연속적으로 굴절되고, 그에 따라 렌즈축(L)을 따라 렌즈(16)를 향해 안내된다(스크린축(S)과 렌즈축(L)은 서로 평행하다).
여기서, 렌즈(16)는 예를 들어 200 ㎜ 내지 300 ㎜의 초점 길이를 갖는 아크로매틱 렌즈이다.
추가 미러(15)는 렌즈(16)에 대해 미러(14)의 반대편에서 렌즈축(L) 상에 45°로 위치하고, 그에 따라 렌즈축(L)을 따라 미러(14)에 의해 반사되는 광빔은 렌즈(16)를 가로지른 후, 추가 미러(15) 상에서 반사되고, 거기서 검안 장치의 광축(O)을 따라 (윈도우(8)를 통해) 개인의 눈(E)까지 안내된다.
(전술한 광경로를 따른) 렌즈(16)와 스크린(12) 사이의 거리는 렌즈(16)의 초점 길이보다 적고, 그에 따라 스크린(12)은 렌즈 자체와 렌즈(16)의 객체 초점면 사이에 위치한다.
한편, 케이싱(2) 및 시력 모듈(10)은 (개인이 자신의 머리(H)를 케이싱(2)의 지정된 부분에 위치시킬 때) 개인의 눈(E)이 렌즈(16)의 이미지 초점면 내에 위치하도록 설계된다.
따라서, 시력 모듈(10)은 개인의 눈(E)을 위해 (시표와 같은 객체를 나타내는)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설계된다.
또한, 미러들(13, 14)은 시력 모듈(10)의 지지구(17)상에 미끄럼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저부(18) 상에 유지되고, 그에 따라 미러들(13, 14)은 (수직) 스크린축(S)을 따라 이동 가능하다. (스크린(12), 렌즈(16), 및 추가 미러(15)는 이 지지구(17)에 고정 부착된다.)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되지 않은 전기 모터(19) 및 관련 메커니즘으로 인해) 미러들(13, 14)을 운반하는 기저부(18)를 이동시킴으로써, 스크린(12)과 렌즈(16) 사이의 광경로의 길이를 수정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시력 모듈은 개인의 눈(E)을 위해 가변 거리에서 객체의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된다.
전술한 시력 모듈(10)의 다양한 요소는 도 1에 도시된 (그러나 명확함을 위해 도 2에는 나타내지 않은) 하우징(11) 내에 수용된다.
장면 모듈(20)은 스크린(22), 미러(여기서, 오목 미러; 24), 및 빔 스플리터(26)를 포함한다. 장면 모듈(20)은 또한 스크린(22), 미러(24), 및 빔 스플리터(26)를 수용하는 하우징(21)을 포함한다.
스크린(22)은 비디오 디스플레이, 예를 들어 LCD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하우징(21)은 제1 개구(27) 및 제2 개구(28)를 구비하는데, 이들 모두는 검안 장치의 광축(O) 상에 위치하며, 개인의 눈(E)까지 안내되는 광이 통과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1 개구(27)는 시력 모듈(10)에 대향하는 하우징(21)의 벽 내에 형성되는 반면, 제2 개구(28)는 개인의 눈(E)에 대향하는 하우징(21)의 벽 내에 형성된다.
빔 스플리터(26)는 광축(O) 상에 위치한다. 따라서, 시력 모듈(10)에 의해 발생되는(여기서, 시력 모듈(10)의 추가 미러(15)에 의해 반사되는) 광빔이 제1 개구, 빔 스플리터, 및 제2 개구를 가로질러 개인의 눈(E)을 향해 전달된다.
스크린(22), 빔 스플리터(26), 및 미러(24)는 광축(O)에 수직인 방향(여기서, 수직 방향)을 따라 정렬된다. 게다가, 스크린(22) 및 미러(24)는 그 자체가 광축에 대해 45°로 위치하는 빔 스플리터(26)의 양 측에 위치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해, 스크린(22)에 의해 발생되는 광빔이 (예를 들어, 도 2의 광선(R1)에 의해 나타낸 바와 같이) 빔 스플리터(26)를 가로질러 스크린(22)에서 미러(24)까지 전달되며, 미러(24) 상에서 빔 스플리터(26)를 향해 반사되고(광선(R2)), 빔 스플리터(26) 상에서 반사되어, 결국에는 광축(O)을 따라 개인의 눈(E)을 향해 안내된다(광선(R3)). 그러므로, 이 광빔은 또한 제2 개구(28)를 통해 장면 모듈(20)을 빠져나간다.
(여기서, 오목) 미러(24)는 검안 장치를 사용하는 개인이 5 m 초과(또는 6 m 초과)의 거리에서 스크린(22)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를 볼 수 있게 하는 초점 길이를 갖는다.
따라서, 빔 스플리터(26)는 시력 모듈(10)에 의해 발생되는 광빔을 전달할 뿐만 아니라, 장면 모듈(20)의 스크린(22)에 의해 초기에 발생되는 광빔을 동일한 방향(광축(O))으로 추가할 수 있게 한다. 즉, 시력 모듈(10)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와 장면 모듈(20)의 스크린에 의해 생성되는 다른 이미지를 결합시킬 수 있게 한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여기서, 광축(O)을 따라 측정되는) 장면 모듈(20)의 스크린(22)의 폭은, 실질적으로 빔 스플리터(26)의 전체 길이를 따라 연장되어 다소 넓은 각도(α), 일반적으로 10° 이상의 각도(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의 각도(α)에 걸쳐 개인의 눈(E)에서 보이는 광빔을 발생시킬 수 있게 한다.
비교하자면, (개인의 눈(E)에서 추가 미러(15) 상에 보이는) 시력 모듈(10)에 의해 생성되는 객체의 이미지는 5° 이하의 다소 좁은 각도(β)를 포괄한다.
이를 고려하여, 본 구현예에서는, 제1 개구(27)의 면적이 제2 개구(28)의 면적보다 분명히 더 작다.
본 구현예에서, 장면 모듈(20)의 요소들은 장면 모듈(20)의 스크린(22)에 의해 생성되는 (가상) 이미지가 개인의 눈(E)을 위한 거리 내에 있도록(즉, 개인을 위한 원거리 시력에 대응하도록) 위치한다.
있을 수 있는 실시예에 따르면, 스크린(22)은 도 2에 도시된 위치에서 (참조번호 22'에 의해 파선으로 나타낸) 다른 위치까지 (예를 들어, 리니어 가이드 상의 전동식 이동에 의해) 이동 가능하여, 개인의 눈(E)을 위해 가변 거리에서 스크린(22)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를 촬상할 수 있다.
상기에 제시된 검안 장치의 구성으로 인해, 이하에 설명되는 시력 모듈(10) 및 다른 모듈들(30, 40)의 작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으면서, 장면 모듈(20)은 (예를 들어, 케이싱(2) 내에 착탈식 수단에 의해 장착되는 경우) 제거될 수 있거나, 일부 제품에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검안 장치는 또한 여기서 시력 모듈(10)과 장면 모듈(20) 사이에 개재되는 조명 기구(60)를 포함할 수 있다. 조명 기구(60)는 예를 들어 시력 모듈의 하우징(11)에 장착될 수 있다.
조명 기구(60)는 적어도 하나의 광원(예를 들어, LED와 같은 복수의 광원), 및 광을 산란 및 분산시키도록 구성되는 투명 플라스틱 재료판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므로, 조명 기구(60)는 빔 스플리터(26)에 대해 개인의 눈(E)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영역을 조명하여, 개인을 위해 주변 광을 시뮬레이션하도록 구성된다. 이 주변 광의 밝기(즉, 시뮬레이션된 휘도)는 광원(들)의 세기를 변경함으로써 달라질 수 있다.
굴절 모듈(30)은 장면 모듈(20)과 개인의 눈(E) 사이에(그에 따라, 시력 모듈(10)과 개인의 눈(E) 사이에) 개재되도록 케이싱(2) 내에 장착된다.
본 구현예에서, 굴절 모듈(30)은 윈도우(8)를 제공하는 케이싱(2)의 벽(7)의 인근에 위치한다.
굴절 모듈(30)은 예를 들어 문헌 WO 2015/107 303에 기재된 바와 같은 시각적 보정 시스템이다.
이와 같은 굴절 모듈은 이를 통해 보는 개인의 눈(E)을 위해 가변 광학 교정을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정확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굴절 모듈(30)은 광축(O)을 따라 가변 구면 굴절력을 갖는 렌즈(32)를 포함한다.
상기 가변 구면 굴절력 렌즈(32)는 예를 들어 (변형 가능한 막과 같은) 변형 가능한 표면을 갖는다. 이 표면의 형상(특히, 이 표면의 곡률 반경, 및 그에 따라 렌즈에 의해 제공되는 구면 굴절력)은 굴절 모듈(30)의 제1 모터(33)에 의해 구동될 수 있는 (링과 같은) 기계 부품을 이동시킴으로써 제어될 수 있다.
굴절 모듈은 또한 각각 광축(O)을 따라 원주 굴절력을 갖는 한 쌍의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렌즈(34, 36)를 포함한다.
2개의 회전 가능한 렌즈(34, 36) 각각은 굴절 모듈(30)의 제2 모터 및 굴절 모듈(30)의 제3 모터의 작동에 의해 각각 회전될 수 있다.
굴절 모듈(30)은 각각 제1 모터(33), 제2 모터, 및 제3 모터에 대한 제어를 발생시키도록 설계되는 제어 유닛(38)을 포함하고, 그에 따라 가변 구면 굴절력 렌즈(32) 및 2개의 원주 굴절력 렌즈(34, 36)의 조합은 개인의 눈(E)에 원하는 구면 교정 및 원하는 원주 교정을 제공하는데, 이는 문헌 WO 2015/107 303에 설명된 바와 같다.
(가변 구면 굴절력 렌즈(32), 원주 렌즈들(34, 36), 제1 모터(33), 제2 모터, 제3 모터, 및 제어 유닛(38)과 같은) 굴절 모듈(30)의 다양한 요소는 하우징(31) 내에 수용된다.
본 구현예에서, 검안 장치는 상기에 언급되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2개의 시각적 보정 시스템을 포함하는데, 이와 같은 시스템 각각은 개인의 눈 중 하나의 전방에 위치한다.
구동 모듈(70)은 이 경우 광축(O)에 수직인 방향으로 각각의 시각적 보정 시스템을 이동시켜서 개인의 동공 거리(PD)에 맞게 조절하는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검안 장치가 2개의 굴절 모듈(30, 30')을 포함하고, 각각의 굴절 모듈(30, 30')이 셔터(39, 39')를 구비하는 있을 수 있는 구현예를 도시한다.
각각의 셔터(39, 39')는 (도 5에 도시된) 제1 (폐쇄) 위치와 제2 (개방) 위치 사이에 이동 가능하도록 (실질적으로 광축(O)에 평행한) 축(35, 35') 주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되, 제1 위치에서는 해당 셔터(39, 39')가 광축(O) 상에 놓이며(즉, 윈도우(8)에 대향하며) 해당 눈의 시력을 차단하고, 제2 위치에서는 해당 셔터(39, 39')가 광축(O) 밖에 있으며 해당 눈의 시력을 방해하지 않는다.
시력 모듈(10)의 스크린(12) 및/또는 장면 모듈(20)의 스크린(22)과 동기화된 상태로 독립적으로 셔터들(39, 39')의 위치를 제어함으로써, 좌안을 위해 생성되는 이미지와 별개의 이미지를 우안을 위해 생성할 수 있되, 이는 시력 모듈(10)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 및 장면 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에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력 모듈(10)의 스크린(12) 또는 장면 모듈(20)의 스크린(22) 상에 표시되는 일련의 이미지에 대해, 홀수의 이미지는 하나의 눈에만 보여질 수 있는 반면(셔터(39) 폐쇄, 셔터(39') 개방), 짝수의 이미지는 다른 눈에만 보여진다(셔터(39) 개방, 셔터(39') 폐쇄).
이는 예를 들어 입체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게 한다.
있을 수 있는 구현예에 따르면, 장면 모듈(20)의 스크린(22) 상에 이미지를 표시하는 것과 상이한 순간에 시력 모듈(10)의 스크린(12) 상에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주어진 눈에만 시력 모듈(10)에 의해 생성되는 (시표와 같은) 이미지를 보여주고, 양 눈을 위해 장면 모듈(20)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를 보여주는 것도 가능하다.
센서 모듈(40)은, 광축(O)에 대해 45° 경사지도록 광축(O) 상에 위치하여(이 경우, 광축(O) 위에 위치하는) 개인의 눈(E)에서 나오는 광을 센서(42)를 향해 반사시키는 빔 스플리터(45)를 포함한다. 센서(42)는 예를 들어 개인의 눈(E)의 이미지를 캡처하도록 설계되는 비디오 카메라와 같은 이미지 센서이다.
센서 모듈(40) 내에 또는 다른 곳에(예를 들어, 별개의 전자 장치 내에) 위치할 수 있는 처리 유닛이 센서(42)에 의해 캡처되는 이미지를 수신하며, 이 이미지를 분석하여, 이로부터 개인에 관한 생리적 또는 행동적 파라미터, 예를 들어 해당 개인의 눈(E)의 시선 방향을 추정한다.
본 구현예에서, 굴절 모듈(30) 및 센서 모듈(40)은 적어도 광학 소자(55)를 운반하는 카트리지(50)가 굴절 모듈(30)과 센서 모듈(40) 사이에 삽입될 수 있도록 케이싱(2) 내에 위치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50)는 여기서 케이싱(2)의 구멍(3)을 통해 위에서 삽입된다.
카트리지(50)가 굴절 모듈(30)과 센서 모듈(40) 사이에 위치할 때, 광학 소자(55)는 개인의 눈(E)이 광학 소자(55)를 통해 (각각 개인의 눈(E)을 위해 이미지를 생성하는) 장면 모듈의 빔 스플리터(26) 및 시력 모듈(10)의 추가 미러(15)를 관찰하도록 광축(O) 상에 위치한다.
광학 소자(55)는 예를 들어 유색 필터, 착색 필터, 편광 필터, 또는 프리즘 렌즈이다.
전술한 검안 장치는, 컴팩트함에도 불구하고, 넓은 시야를 갖는 장면 모듈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로 인해 실제 상황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시력 모듈(10)과 장면 모듈(20)의 동시 사용에 의해, 넓은 시야를 갖는 이미지의 중심에 고해상도 시표(OPT)를 표시할 수 있다.
장면 모듈(20)의 스크린(22)이 비디오 디스플레이일 때, 검안 장치를 사용하여 수행되는 테스트는 심지어 실제 상황에서와 같이 이동 환경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케이싱(2) 내에 다양한 요소를 수용함으로써, 개인의 눈(E)에 의해 인지되는 광의 밝기를 원하는 대로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조명 기구(60)를 사용하여) 반영에서 눈부심까지 모든 종류의 주변 광을 시뮬레이션할 수 있다.
그러므로, (굴절 모듈(30)을 사용할 수 있는) 자각적 굴절 테스트가 전문가에 의해 선택되는 광 밝기로, 예를 들어 명소시(photopic vision) 또는 박명시(mesopic vision)를 테스트하기 위해 수행될 수 있다.
테스트는 또한 특정 색상(예를 들어, 적색, 녹색, 또는 청색)에 대해, 시력 모듈(10)의 스크린(12) 및/또는 장면 모듈(20)의 스크린(22) 상에 해당 색상만을 갖는 이미지를 표시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광학 소자(55)는 예를 들어 (전술한 바와 같이 시뮬레이션되는) 주어진 상황에서 특정 추가 필터를 사용하는 이점을 입증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장면 모듈(20)의 빔 스플리터(26)를 사용하는) 2개의 이미지의 조합으로 인해, (시력 모듈(10)에 의해 생성되는 고해상도 이미지, 예를 들어 시표에 대응하는) 시력 테스트에 사용되는 객체(OPT)는 더 넓은 장면(SCN)의 중앙에서 (예를 들어, 풍경 내의 원거리 표지로) 개인에게 보이고, 이는 도 4에 도시된 예시적인 뷰에서와 같이 테스트를 보다 사실적으로 만든다.
예를 들어, 전용 자각적 굴절 테스트가 야간 운전을 시뮬레이션하는 맥락으로 수행될 수 있다.
센서 모듈(40)에 의한 개인의 눈(E)의 관찰 및 (예를 들어, 장면 모듈(20)의 스크린(22)에 의해 생성되는) 이동 이미지들의 조합은 해당 이미지(여기서, 장면 모듈(20)에 의해 생성되는 이미지)에 일어나는 이벤트에 응하여 행동적 특징을 추정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은 행동적 특징은 예를 들어 응답 시간 또는 장면 탐사 전략이다. 이벤트는 예를 들어 이미지의 측부에서 이미지의 중앙부를 향해 이동하는 장애물일 수 있다. 센서 모듈(40)의 사용에 의해 측정 가능한 행동적 특징은 이 경우 장애물이 개인에 의해 검출된 (광축(O)에 대한) 각도일 수 있다(센서 모듈(40)에 의해 판단되는 시선 방향이 장면 모듈(20)에 의해 표시되는 장애물의 위치에 대응할 때 검출을 가정한다).

Claims (13)

  1. - 개인의 눈(E)을 위해 가변 거리에서 제1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촬상 모듈(10);
    - 상기 개인의 눈(E)을 위해 상기 제1 이미지 및 제2 이미지를 결합하도록 배치되는 빔 스플리터(26);
    - 상기 빔 스플리터(26)에 대향하는 스크린(22)을 포함하는, 상기 개인의 눈(E)을 테스트하기 위한 검안 장치에 있어서,
    - 상기 스크린(22)과 결합하여 배치되어, 상기 빔 스플리터(26)를 통해 상기 개인의 눈에 보이도록 상기 제2 이미지를 생성하는 미러(24)를 특징으로 하는 검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러(24)는 오목한 것인, 검안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모듈은 상기 제1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1 광빔이 상기 빔 스플리터(26)를 가로질러 상기 개인의 눈(E)을 향해 전달되도록 위치하는, 검안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22) 및 상기 미러(24)는 상기 제2 이미지에 대응하는 제2 광빔이 상기 빔 스플리터(26)를 통해 상기 스크린(22)에서 상기 미러(24)까지 전달되며, 상기 미러(24) 상에서 상기 빔 스플리터(26)를 향해 반사되고, 상기 빔 스플리터(26) 상에서 상기 개인의 눈(E)을 향해 반사되도록 위치하는, 검안 장치.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22)은 비디오 디스플레이인, 검안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인의 눈을 위해 제2 가변 거리에서 상기 제2 이미지를 촬상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검안 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스플리터(26)와 상기 개인의 눈(E) 사이에 개재되는 가변 굴절 모듈(30)을 추가로 포함하는, 검안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굴절 모듈(30)은 가변 구면 굴절력을 갖는 렌즈(32)를 포함하는, 검안 장치.
  9. 제7항 또는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 굴절 모듈(30)은 원주 굴절력을 갖는 한 쌍의 독립적으로 회전 가능한 렌즈(34, 36)를 포함하는, 검안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빔 스플리터(26)에 대해 상기 개인의 눈(E)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영역을 조명하도록 구성되는 광원을 추가로 포함하는, 검안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모듈(10)을 수용하는 제1 하우징, 및 상기 빔 스플리터(26), 상기 미러(24), 및 상기 스크린(22)을 수용하는 제2 하우징(21)을 포함하는, 검안 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미지는 시표(OPT)에 대응하는, 검안 장치.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모듈(10), 상기 빔 스플리터(26), 상기 스크린(22), 및 상기 미러(24)를 수용하는 케이싱(2), 및 상기 케이싱(2) 내에 가변 주변 광을 발생시키도록 구성되는 조명 기구(60)를 포함하는, 검안 장치.
KR1020197011428A 2016-09-22 2017-09-20 검안 장치 KR1024031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6306224.3 2016-09-22
EP16306224.3A EP3298952B1 (en) 2016-09-22 2016-09-22 Optometry device
PCT/EP2017/073817 WO2018054997A1 (en) 2016-09-22 2017-09-20 Optometr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2111A true KR20190052111A (ko) 2019-05-15
KR102403121B1 KR102403121B1 (ko) 2022-05-27

Family

ID=571449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1428A KR102403121B1 (ko) 2016-09-22 2017-09-20 검안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382500B2 (ko)
EP (2) EP3298952B1 (ko)
JP (1) JP7044767B2 (ko)
KR (1) KR102403121B1 (ko)
CN (2) CN109788896B (ko)
AU (1) AU2017329869B2 (ko)
BR (1) BR112019005239A2 (ko)
CA (1) CA3037258A1 (ko)
WO (1) WO20180549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27782B (zh) * 2019-03-13 2023-07-28 株式会社拓普康 视标呈现装置和眼科装置
EP3711654A1 (en) 2019-03-20 2020-09-23 Essilor International Optometry device for testing an individual's eye and associated method
EP3744227A1 (en) 2019-05-31 2020-12-02 Essilor International Binocular refraction instrument, set of test images, binocular refraction method and computer program associated thereof
CN114051388A (zh) 2019-07-05 2022-02-15 依视路国际公司 用于诱发受试者的眼睛中的调节的受控变化的方法
WO2021020388A1 (ja) * 2019-07-31 2021-02-04 瑶一▲郎▼ 小林 眼球撮像装置および診断サポートシステム
EP3730032B1 (en) 2020-01-20 2022-03-16 Essilor International Method for quantifying ocular dominance of a subject and apparatus for implementing a method for quantifying ocular dominance of a subject
JP2023532876A (ja) * 2020-06-29 2023-08-01 エシロール アンテルナショナル 個人の眼を検査するためのフォロプタ及び視力測定デバイス
WO2022084710A1 (en) 2020-10-22 2022-04-28 Essilor International Optometry device for testing an individual's eye, set of pictures for said device and display unit of such set of pictures
EP4082422A1 (en) * 2021-04-28 2022-11-02 Essilor International Optometry device for binocular testing of the eyes of a subject
DE102021125274A1 (de) * 2021-09-29 2023-03-30 Carl Zeiss Meditec Ag Messvorrichtung und Messverfahren zur Vorbereitung einer Laserbehandlung, Planungseinrichtung zum Erzeugen von Steuerdaten für eine Behandlungsvorrichtung zur Laserbehandlung, Behandlungsvorrichtung zur Laserbehandlung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3469A (en) * 1995-01-19 1998-08-11 Oculus Optikgeraete Gmbh Variable distance, variable test object sight testing apparatus
US20020047997A1 (en) * 2000-10-20 2002-04-25 Nidek Co., Ltd. Visual function test apparatus
US20130027668A1 (en) * 2010-04-22 2013-01-31 Vitor Pamplona Near Eye Tool for Refractive Assessment
WO2015107303A1 (fr) * 2014-01-20 2015-07-23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Système de compensation visuelle et dispositif binoculaire d'optométrie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37818A1 (fr) * 1978-10-05 1980-04-30 Essilor Int Procede et dispositif pour la presentation de tests a un sujet a differentes distances
JPS55143127A (en) * 1979-04-27 1980-11-08 Tokyo Optical Ophthalmoscopy device which can inspect at near distance
US4403842A (en) 1981-11-04 1983-09-13 Oculus Optikgeraete Gmbh Apparatus for testing twilight vision and blinding sensitivity
US4856884A (en) * 1988-03-16 1989-08-15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Air Force Dynamically matched optical filtering in a multiple telescope imaging system
CA2086746A1 (en) * 1990-08-17 1992-02-18 Daniel R. Peters System and method for projecting an image onto the retina
JPH0564805A (ja) * 1991-09-06 1993-03-19 Toray Ind Inc 繊維補強セメント体の製造方法
JP3354964B2 (ja) 1992-08-11 2002-12-09 株式会社トプコン 視機能検査装置
JPH1147094A (ja) 1997-08-05 1999-02-23 Canon Inc 検眼装置
JPH11244239A (ja) * 1998-03-02 1999-09-14 Nikon Corp 視機能検査装置
CN1106821C (zh) 1998-12-02 2003-04-30 贺极苍 人眼象差测量仪及测量方法
JP3850254B2 (ja) * 2000-10-20 2006-11-29 株式会社ニデック 省スペース型視機能検査装置
JP3842975B2 (ja) * 2001-01-09 2006-11-08 株式会社ニデック 検眼装置
US7441900B2 (en) 2001-02-08 2008-10-28 Topcon Corporation Contrast chart device, contrast sensitivity measuring device and contrast sensitivity measuring method
JP3942429B2 (ja) 2001-12-28 2007-07-11 株式会社トプコン コントラスト感度測定装置
CA2390072C (en) * 2002-06-28 2018-02-27 Adrian Gh Podoleanu Optical mapping apparatus with adjustable depth resolution and multiple functionality
CN100502825C (zh) * 2003-01-16 2009-06-24 堀江秀典 视力改善装置
CN100463646C (zh) * 2003-11-14 2009-02-25 欧弗搜尼克斯股份有限公司 眼科双目波前测量系统
FR2862515B1 (fr) 2003-11-21 2006-10-27 Essilor Int Appareil de diagnostic ophtalmique pour differents types de tests
US20090153796A1 (en) 2005-09-02 2009-06-18 Arthur Rabner Multi-functional optometric-ophthalmic system for testing diagnosing, or treating, vision or eyes of a subject, and methodologies thereof
CN201058019Y (zh) 2007-04-30 2008-05-14 于志林 视力检测仪
US20090073386A1 (en) * 2007-09-14 2009-03-19 Petito G Timothy Enhanced head mounted display
US8419184B1 (en) * 2008-06-10 2013-04-16 M+S Technologies, Inc. Ophthalmic examination system interface device
US20110075257A1 (en) * 2009-09-14 2011-03-31 The Arizona Board Of Regents On Behalf Of The University Of Arizona 3-Dimensional electro-optical see-through displays
DE102011114251A1 (de) * 2011-09-23 2013-03-28 Vossamed Gmbh & Co. Kg Optikanordnung und Verfahren zum Ermitteln der Ausrichtung einer künstlichen Lin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93469A (en) * 1995-01-19 1998-08-11 Oculus Optikgeraete Gmbh Variable distance, variable test object sight testing apparatus
US20020047997A1 (en) * 2000-10-20 2002-04-25 Nidek Co., Ltd. Visual function test apparatus
US20130027668A1 (en) * 2010-04-22 2013-01-31 Vitor Pamplona Near Eye Tool for Refractive Assessment
WO2015107303A1 (fr) * 2014-01-20 2015-07-23 Essilor International (Compagnie Generale D'optique) Système de compensation visuelle et dispositif binoculaire d'optométri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528920A (ja) 2019-10-17
US20190274539A1 (en) 2019-09-12
EP3515285A1 (en) 2019-07-31
CN113367648A (zh) 2021-09-10
EP3298952A1 (en) 2018-03-28
AU2017329869B2 (en) 2022-11-10
WO2018054997A1 (en) 2018-03-29
US11382500B2 (en) 2022-07-12
BR112019005239A2 (pt) 2019-06-04
CN109788896A (zh) 2019-05-21
AU2017329869A1 (en) 2019-04-11
KR102403121B1 (ko) 2022-05-27
EP3298952B1 (en) 2019-07-17
JP7044767B2 (ja) 2022-03-30
CN109788896B (zh) 2022-04-05
CA3037258A1 (en) 2018-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03121B1 (ko) 검안 장치
JP3159477B2 (ja) 眼科装置
JP6117707B2 (ja) 視力の機能的問題の検査、診断又は診断補助及び治療のための装置及びその作動方法
JP2018089078A (ja) 自覚式検眼装置
US20170181618A1 (en) Vision Testing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The Eyes
US20170181619A1 (en) Vision Testing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The Eyes
JP3199801B2 (ja) 視力検査装置
JP3434902B2 (ja) 視機能検査装置
JP2019130192A (ja) 自覚式検眼装置
JPH11244239A (ja) 視機能検査装置
JP2018089080A (ja) 自覚式検眼装置
EP4082422A1 (en) Optometry device for binocular testing of the eyes of a subject
JP7318394B2 (ja) 自覚式検眼装置
CN109788897B (zh) 视力测定装置及使用这种视力测定装置进行测试的方法
JPH11197108A (ja) 視機能検査装置
US20220071483A1 (en) Virtual reality ocular examination system
JPH0356047B2 (ko)
JPH06276459A (ja) 眼幅調整可能な映像表示装置
KR20210142637A (ko) 개인의 눈을 테스트하기 위한 검안 장치 및 관련 방법
JP4628795B2 (ja) 検眼装置
JP7127333B2 (ja) 検眼装置
JPH0638929A (ja) 眼科装置
JP2021037041A (ja) 自覚式検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