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873A -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873A
KR20190051873A KR1020180135431A KR20180135431A KR20190051873A KR 20190051873 A KR20190051873 A KR 20190051873A KR 1020180135431 A KR1020180135431 A KR 1020180135431A KR 20180135431 A KR20180135431 A KR 20180135431A KR 20190051873 A KR20190051873 A KR 201900518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hotographing
super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4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57386B1 (ko
Inventor
김도형
박성진
박창준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ublication of KR201900518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8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7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73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 A61B1/05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combined with photographic or television appliances characterised by the image sensor, e.g. camera, being in the distal end po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43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output arrangements
    • A61B1/00045Display arrangement
    • A61B1/00048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displ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Biophys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개시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시청방향을 기준으로 오목한 형태의 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복수의 서브-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돔형 디스플레이부, 및 초광각 촬영장치에 의해 180°이상의 영역이 촬영되어 구성된 초광각 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초광각 영상의 촬영정보를 확인하는 촬영정보 확인부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 디스플레이 각도, 및 디스플레이 구성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촬영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초광각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맵핑부와, 상기 초광각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할 서브영상을 생성하는 서브영상 생성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DOM-TYP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E ON THE APPARATUS}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돔 형태의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를 위한 영상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종래의 내시경 시스템은 180° 미만의 각도에 대한 영상을 촬영하는 내시경 카메라와, 내시경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는 영상을 수신하여 평면형으로 이루어진 통상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비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내시경 시스템에 구비된 내시경 카메라는 카메라가 지향하고 있는 방향의 영역에 대한 영상 만을 획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장치는 내시경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영상을 평면형으로 이루어진 영상을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구비되었다.
이에 따라, 내시경 시스템을 운영하는 사용자(또는 운영자)는 내시경 카메라가 촬영하는 방향을 변경시키면서 원하는 영역의 영상을 확인할 수 있다. 내시경 카메라가 환자의 신체를 검진하기 위하여 사용될 경우, 내시경 카메라의 촬영 방향을 전환하는 것이 자유롭지 않으므로, 내시경 카메라가 촬영하는 방향을 변경시키면서 환자의 신체에 상처를 발생시킬 수 있는 문제 있다.
본 개시의 기술적 과제는 내시경 카메라가 촬영하는 방향을 변경하지 않더라도 넓은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내시경 촬영/디스플레이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초광각 영상에 구비된 피사체를 왜곡없이 정확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양상에 따르면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사용자의 시청방향을 기준으로 오목한 형태의 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복수의 서브-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돔형 디스플레이부, 및 초광각 촬영장치에 의해 180°이상의 영역이 촬영되어 구성된 초광각 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초광각 영상의 촬영정보를 확인하는 촬영정보 확인부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 디스플레이 각도, 및 디스플레이 구성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촬영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초광각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맵핑부와, 상기 초광각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할 서브영상을 생성하는 서브영상 생성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대하여 위에서 간략하게 요약된 특징들은 후술하는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의 예시적인 양상일 뿐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내시경 카메라가 촬영하는 방향을 변경하지 않더라도 넓은 영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는 내시경 촬영/디스플레이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초광각 영상에 구비된 피사체를 왜곡없이 정확하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는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초광각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2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를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개시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개시에 있어서, 음성 파라미터,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 내에서 일 실시 예에서의 음성 파라미터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일 실시 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 예에서 음성 파라미터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 예도 본 개시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가 적용되는 초광각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초광각 영상 디스플레이 시스템은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1) 및 상기 초광각 촬영장치(10)에 초광각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5)를 포함할 수 있다.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1)는 180°이상의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광학 구조를 구비하며, 상기 광학 구조를 통해 획득되는 영상을 조합하여 초광각 영상을 구성 및 생성할 수 있다.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1)는 광학 구조의 지름(11) 또는 반지름, 광학 구조의 곡률, 광학 구조를 통해 촬영할 수 있는 각도(13) 등을 포함하는 촬영각도정보, 촬영장치를 나타내는 정보, 예컨대, 장치 종류, 제조사, 모델명, 제조일자, 펌웨어 버전 등과 같은 촬영장치정보를 생성할 수 있으며, 촬영각도정보 또는 촬영장치정보를 촬영정보로서 생성할 수 있다. 이러한 촬영정보는 초광각 영상에 대응되어 생성 및 저장(또는 전송)될 수 있다.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1)는 그 직경이 초소형 카메라의 분류 기준이되는 크기 이하로 이루어진 카메라로서, 내시경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1)는 통상의 내시경 카메라에 구비되는 연결선을 구비할 수 있다. 예컨대, 연결선은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1)의 동작에 필요한 전력을 제공하는 전력선재와,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1)에 의해 촬영된 초광각 영상을 전송하는 데이터 선재를 포함할 수 있다.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5)는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1)의 촬영정보와,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5)의 디스플레이 환경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5)는 촬영정보와 디스플레이 정보를 고려하여, 초광각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맵핑하여 대응되는 위치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은 하기의 도 2, 도 3a, 도 3b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제어부의 구성을 상세히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우선,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구면 디스플레이부(20) 및 디스플레이 제어부(30)를 구비할 수 있다.
구면 디스플레이부(20)는 사용자가 영상을 시청하는 시청 위치를 기준으로 오목한 형태의 구면을 형성할 수 있다. 구면 디스플레이부(20)에 형성된 구면이 이루는 각도(21a)는 적어도 180°이상으로 이루어지며, 구면이 형성되는 지름(21b)은 적어도 사용자의 신체가 자유롭게 드나들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구면 디스플레이부(20)에 형성된 구면의 곡률은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1)에 구비되는 광학 구조에 대응되는 곡률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1)의 종류, 또는 장치의 제조 환경에 따라,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1)의 광학 구조의 곡률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으며, 구면 디스플레이부(20)는 다양하게 구성된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1)의 광학 구조의 곡률을 수용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면 디스플레이부(20)는 구면을 형성하기 위하여, 물리적으로 분리된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부(25)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서브 디스플레이부(25)는 각각에 할당된 서브영상을 출력하고, 이들 서브영상의 조합에 의해 단일의 초광각 영상을 표시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서브 디스플레이부(25)는 평면형 또는 소정의 곡률을 갖는 곡면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종류 또는 곡률 특성 등에 따라 다양한 크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서브 디스플레이부(25)는 구면의 형태 또는 마련되는 위치에 따라 크기나 형태(예, 삼각형, 직사각형, 사다리꼴형, 마름모형 등)가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비록,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서브 디스플레이부(25)가 다양한 크기나 형태로 이루어진 디스플레이 장치임을 예시하였으나, 본 개시가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서, 서브 디스플레이부(25)는 구면의 영역에 영상을 투사할 수 있는 프로젝터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서브 디스플레이부(25)는 각각 투사 영역이 고정되도록 마련되며, 지정된 영역에 할당된 서브영상을 투사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제어부(30)는 촬영정보 확인부(31), 디스플레이 맵핑부(33), 및 서브영상 생성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촬영정보 확인부(31)는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1)의 촬영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촬영정보는 광학 구조의 지름 또는 반지름, 광학 구조의 곡률, 광학 구조를 통해 촬영할 수 있는 각도 등을 포함하는 촬영각도정보, 촬영장치를 나타내는 정보, 예컨대, 장치 종류, 제조사, 모델명, 제조일자, 펌웨어 버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촬영정보는 초광각 영상과 함께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1)로부터 제공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촬영정보 확인부(31)는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를 식별하는 촬영장치 식별자와, 이에 대응되는 촬영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촬영정보 확인부(31)는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1)로부터 촬영 장치 식별자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미리 저장된 정보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촬영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시스템 내에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자와, 이에 대응되는 촬영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관리하는 별도의 장치(예컨대, 촬영장치정보 관리 서버)가 구비될 수 있으며, 촬영정보 확인부(31)는 촬영 장치 식별자를 사용하여 촬영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대응되는 촬영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 맵핑부(33)는 상기 촬영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초광각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촬영정보에 구비된 광학 구조의 지름 또는 반지름, 광학 구조의 곡률, 광학 구조를 통해 촬영할 수 있는 각도 등과, 디스플레이 정보에 구비된 구면 디스플레이부의 지름 또는 반지름, 곡률, 구면이 형성하는 내각 등에 기초하여, 상기 초광각 영상의 픽셀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과 매핑시킬 수 있다.
서브영상 생성부(35)는 디스플레이 맵핑부(33)를 통해 맵핑된 정보와, 복수의 서브-디스플레이가 마련된 위치를 고려하여, 각각의 서브-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할 서브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디스플레이 방법의 순서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디스플레이 방법은 전술한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우선, S401 단계에서,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초광각 영상을 입력받을 수 있다. 여기서, 초광각 영상은 180°이상의 영역을 촬영할 수 있는 광학 구조를 구비하는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에 의해 촬영된 영상일 수 있다.
다음으로, S402 단계에서,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초광각 영상에 대응되는 촬영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정보는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를 구성하는 광학 구조의 지름 또는 반지름, 광학 구조의 곡률, 광학 구조를 통해 촬영할 수 있는 각도 등을 포함하는 촬영각도정보, 촬영장치를 나타내는 정보, 예컨대, 장치 종류, 제조사, 모델명, 제조일자, 펌웨어 버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가 제공하는 촬영정보를 수신하고, 이를 바탕으로 촬영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촬영 장치 식별자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에 미리 저장된 정보로부터 이에 대응되는 촬영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시스템 내에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를 식별하는 식별자와, 이에 대응되는 촬영정보를 미리 저장하여 관리하는 별도의 장치(예컨대, 촬영장치정보 관리 서버)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초광각 영상 촬영장치로부터 촬영 장치 식별자를 제공받을 수 있으며, 촬영 장치 식별자를 사용하여 촬영정보 관리 서버로부터 대응되는 촬영정보를 확인할 수도 있다.
S403 단계에서,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촬영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초광각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예컨대, 촬영정보에 구비된 광학 구조의 지름 또는 반지름, 광학 구조의 곡률, 광학 구조를 통해 촬영할 수 있는 각도 등과, 디스플레이 정보에 구비된 구면 디스플레이부의 지름 또는 반지름, 곡률, 구면이 형성하는 내각 등에 기초하여, 상기 초광각 영상의 픽셀을 디스플레이 장치의 픽셀과 매핑시킬 수 있다.
다음으로, S404 단계에서,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는 S403 단계를 통해 맵핑된 정보와, 복수의 서브-디스플레이가 마련된 위치를 고려하여, 각각의 서브-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할 서브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돔형 디스플레이 방법 및 장치를 실행하는 컴퓨팅 시스템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컴퓨팅 시스템(1000)은 버스(1200)를 통해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100), 메모리(13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입력 장치(1400), 사용자 인터페이스 출력 장치(1500), 스토리지(1600),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17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00)는 중앙 처리 장치(CPU) 또는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저장된 명령어들에 대한 처리를 실행하는 반도체 장치일 수 있다. 메모리(1300) 및 스토리지(1600)는 다양한 종류의 휘발성 또는 불휘발성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300)는 ROM(Read Only Memory) 및 RAM(Random Access Memory)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 또는 알고리즘의 단계는 프로세서(1100)에 의해 실행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그 2 개의 결합으로 직접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 하드 디스크, 착탈형 디스크, CD-ROM과 같은 저장 매체(즉, 메모리(1300) 및/또는 스토리지(1600))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에 커플링되며, 그 프로세서(1100)는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할 수 있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다른 방법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1100)와 일체형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주문형 집적회로(ASIC)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다른 방법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기 내에 개별 컴포넌트로서 상주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예시적인 방법들은 설명의 명확성을 위해서 동작의 시리즈로 표현되어 있지만, 이는 단계가 수행되는 순서를 제한하기 위한 것은 아니며, 필요한 경우에는 각각의 단계가 동시에 또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서, 예시하는 단계에 추가적으로 다른 단계를 포함하거나,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나머지 단계를 포함하거나, 또는 일부의 단계를 제외하고 추가적인 다른 단계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모든 가능한 조합을 나열한 것이 아니고 본 개시의 대표적인 양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다양한 실시 예에서 설명하는 사항들은 독립적으로 적용되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으로 적용될 수도 있다.
또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는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범용 프로세서(general processor),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범위는 다양한 실시 예의 방법에 따른 동작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머신-실행가능한 명령들(예를 들어, 운영체제, 애플리케이션, 펌웨어(firmware), 프로그램 등), 및 이러한 소프트웨어 또는 명령 등이 저장되어 장치 또는 컴퓨터 상에서 실행 가능한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를 포함한다.

Claims (1)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의 시청방향을 기준으로 오목한 형태의 구면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면에 대응되는 위치에 마련된 복수의 서브-디스플레이를 구비하는 돔형 디스플레이부와,
    초광각 촬영장치에 의해 180°이상의 영역이 촬영되어 구성된 초광각 영상을 입력받고, 상기 초광각 영상의 촬영정보를 확인하는 촬영정보 확인부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영역, 디스플레이 각도, 및 디스플레이 구성을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정보를 확인하고, 상기 촬영정보와 상기 디스플레이 정보를 고려하여, 상기 초광각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설정하는 디스플레이 맵핑부와, 상기 초광각 영상이 디스플레이될 위치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의 서브-디스플레이에서 디스플레이할 서브영상을 생성하는 서브영상 생성부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80135431A 2017-11-06 2018-11-06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KR102657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46619 2017-11-06
KR1020170146619 2017-11-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873A true KR20190051873A (ko) 2019-05-15
KR102657386B1 KR102657386B1 (ko) 2024-04-15

Family

ID=665799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431A KR102657386B1 (ko) 2017-11-06 2018-11-06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5738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3636A (ko) 2012-10-02 2014-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초광각 투사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투사 장치
KR20140068983A (ko) * 2011-09-06 2014-06-09 스마트 엣지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초광각 영상 처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140313555A1 (en) 2013-04-22 2014-10-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igital hologram synthesis method and apparatus
WO2017176346A1 (en) * 2016-04-05 2017-10-12 Qualcomm Incorporated Dual fisheye image stitching for spherical image cont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68983A (ko) * 2011-09-06 2014-06-09 스마트 엣지 인베스트먼츠 리미티드 초광각 영상 처리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40043636A (ko) 2012-10-02 2014-04-10 삼성전자주식회사 초광각 투사 광학계 및 이를 구비한 화상 투사 장치
US20140313555A1 (en) 2013-04-22 2014-10-23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Digital hologram synthesis method and apparatus
WO2017176346A1 (en) * 2016-04-05 2017-10-12 Qualcomm Incorporated Dual fisheye image stitching for spherical image cont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57386B1 (ko) 2024-04-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68307B2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
JP6627935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US20160328824A1 (en) Method and system for generating multi-projection images
TWI493504B (zh) 結合影像之方法
JP2016149736A (ja) 画像処理システム、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撮像システム、画像生成装置、画像生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5846172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2008160381A (ja) ファイル生成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立体画像の表示制御方法および装置
TW202013956A (zh) 影像裝置的校正方法及其相關影像裝置和運算裝置
JP2009042082A (ja) 三次元座標系の設定方法および装置
CN111556255B (zh) 图像生成方法及装置
JP6222205B2 (ja) 画像処理装置
CN109785225B (zh) 一种用于图像矫正的方法和装置
JP6291748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51873A (ko) 돔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방법
JP2018157531A (ja) マルチレンズ光学装置
US10645282B2 (en) Electronic apparatus for providing panorama i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2019053758A (ja) 画像処理装置
CN104994295B (zh) 一种畸变校正的方法及移动终端
JP6439845B2 (ja) 画像処理装置
CN113347349B (zh) 一种全景成像系统及其控制方法
JP6732509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3054318A (ja) 画像表示装置
KR20180083245A (ko) 멀티 카메라의 정보 처리 장치 및 방법
JP2018174431A (ja) 画像処理装置、撮影装置、及び画像処理方法
KR20190059091A (ko) 플렌옵틱 영상 생성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