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1541A -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1541A
KR20190051541A KR1020170147337A KR20170147337A KR20190051541A KR 20190051541 A KR20190051541 A KR 20190051541A KR 1020170147337 A KR1020170147337 A KR 1020170147337A KR 20170147337 A KR20170147337 A KR 20170147337A KR 20190051541 A KR20190051541 A KR 201900515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panel
flexible display
display pan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3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96025B1 (ko
Inventor
권회용
김동윤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73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6025B1/ko
Priority to US16/158,592 priority patent/US10564676B2/en
Publication of KR201900515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15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60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60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64Constructional details of receivers, e.g. cabinets or dust co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04 - G06F1/32
    • G06F2200/16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1/16 - G06F1/18
    • G06F2200/161Indexing scheme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monitor
    • G06F2200/1612Flat panel monit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2Flexible digitiser, i.e. constructional details for allowing the whole digitising part of a device to be flexed or rolled like a sheet of pap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Abstract

본 출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 전체를 하우징 모듈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으로, 본 출원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패널 연장 시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하우징 모듈, 및 이중 롤러 구조를 가지도록 하우징 모듈에 설치되어 패널 연장 시트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을 개별적으로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시키는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ROLLABLE DISPLAY APPARATUS}
본 출원은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전기 영동 표시 장치 등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을 이용한 표시 장치는 노트북, 휴대용 전자 기기, 텔레비전, 또는 모니터 등에 주로 적용되고 있다.
기존의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은 유연성이 없는 유리 기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그 응용과 용도에 한계가 있다. 이에, 최근에는 유연성이 없는 유리 기판 대신에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플렉서블 기판을 사용하여 휘어질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새로운 디스플레이로 주목 받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단 비표시 영역의 폭이 협소하기 때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될 때 표시 영역의 하단부가 하우징 모듈에 가려질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패널 구동 회로부가 롤러에 와인딩됨에 따라 패널 구동 회로부에 실장된 회로 및 배선들이 손상됨에 따라 패널 구동 회로부의 신뢰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배경기술의 내용은 본 출원의 발명자가 본 출원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출원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출원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본 출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 전체를 하우징 모듈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패널 구동 회로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패널 연장 시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하우징 모듈, 및 이중 롤러 구조를 가지도록 하우징 모듈에 설치되어 패널 연장 시트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을 개별적으로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시키는 롤러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본 출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표시 영역 전체를 하우징 모듈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는 영상 전체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패널 구동 회로부의 손상을 방지하여 패널 구동 회로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본 출원의 효과 외에도, 본 출원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이 이하에서 기술되거나, 그러한 기술 및 설명으로부터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패널 연장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롤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와인딩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본 출원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일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출원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일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출원의 일 예들은 본 출원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출원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출원의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출원의 일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크기,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출원이 도시된 사항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출원의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출원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시간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후에', '~에 이어서', '~다음에', '~전에' 등으로 시간적 선후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연속적이지 않은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요소는 본 출원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각각 뿐만 아니라 제 1 항목, 제 2 항목 및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출원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바람직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에 도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패널 연장 시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 패널 구동 회로부(200), 패널 연장 시트(300), 하우징 모듈(400), 및 롤러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기판(110)을 이용한 평판 디스플레이 패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 플렉서블 발광 다이오드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플렉서블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기판(110), 화소 어레이(120), 패드부(PP), 및 커버 플레이트(1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110)은 박막 트랜지스터 어레이 기판으로서, 표시 영역(AA), 표시 영역(AA)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IA), 및 비표시 영역(IA)에 마련된 패드 영역(P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기판(110)은 플라스틱 기판 또는 플렉서블 유리 기판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 기판은 PI(polyimide), PET(polyethylene terephthalate), PC(polycarbonate), PEN(polyethylenapthanate), PNB(polynorborneen), PES(polyethersulfone), 및 COP(cyclic olefin polymer)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소 어레이(120)는 플렉서블 기판(110)의 일면 상에 정의된 표시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화소 각각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에 의해 교차되는 화소 영역마다 형성된다. 복수의 화소 각각은 영상 신호에 대응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소자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표시 소자는 유기 발광 소자, 발광 다이오드 소자, 또는 전기 영동 소자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패드부(PP)는 플렉서블 기판(110)의 일면에 정의된 패드 영역(PA)에 마련되고, 복수의 링크 라인 각각을 통해서 복수의 게이트 라인과 복수의 데이터 라인 각각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플렉서블 기판(110)은 비표시 영역(IA) 중 일측 비표시 영역 및/또는 타측 비표시 영역에 마련된 게이트 구동 내장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이트 구동 내장 회로는 각 게이트 라인에 접속되도록 각 화소의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공정과 함께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커버 플레이트(130)는 플렉서블 기판(111) 상에 마련된 패드부(PP)를 제외한 나머지 화소 어레이(120)과 비표시 영역(IA)을 덮도록 플렉서블 기판(110)의 일면 상에 마련된다.
일 예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130)는 각 화소에 마련된 표시 소자가 유기 발광 소자, 발광 다이오드 소자, 또는 전기 영동 소자일 경우, 일 예에 따른 커버 플레이트(130)는 플렉서블 봉지 기판 또는 봉지층(encapsulation layer)이 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전면 커버 부재(113)는 화소에 대응되는 컬러 필터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컬러필터 기판이 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광학 필름(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학 필름(140)은 플렉서블 기판(110)의 타면 중 패드부(PP)와 중첩되는 일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플렉서블 기판(110)의 타면에 부착된다.
일 예에 따른 광학 필름(140)은 편광 필름이 될 수 있다. 편광 필름은 화소 어레이(110)에 마련된 박막 트랜지스터 및/또는 화소 구동 라인들 등에 의해 반사된 외부 광을 원편광 상태로 변경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시인성과 명암비를 향상시키는 역할을 포함한다.
일 예에 따른 광학 필름(140)은 반사 방지 필름 및 투과도 제어 필름(transmittance controllable film) 중 적어도 하나의 필름을 포함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터치를 이용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위해 터치 스크린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 스크린은 플렉서블 기판(110)과 광학 필름(14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터치 스크린은 화소 어레이(120)와 커버 플레이트(130) 사이에 개재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터치 스크린은 인-셀 터치(in-cell touch) 방식에 따라 화소 어레이(120)에 내장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터치 스크린은 패터닝 공정을 통해 커버 플레이트(130)의 타면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널 구동 회로부(2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연결된다. 즉, 패널 구동 회로부(200)는 플렉서블 기판(110) 상에 마련된 패드부(PP)를 통하여 화소 어레이(120)에 연결된다. 이러한 패널 구동 회로부(200)는 패드부(PP)를 통해 화소 어레이(120)의 각 화소를 구동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영상을 표시한다. 일 예에 따른 패널 구동 회로부(200)는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10),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20), 인쇄 회로 기판(230), 및 타이밍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10) 각각은 필름 부착 공정에 의해 플렉서블 기판(110)의 패드부(PP)와 인쇄 회로 기판(230) 사이에 부착되는 것으로, TCP(Tape Carrier Package) 또는 COF(Chip On Flexible Board 또는 Chip On Fil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10) 중 일측 비표시 영역 및/또는 타측 비표시 영역에 마련된 패드부(PP)에 연결된 첫 번째 또는/마지막 연성 회로 필름은 인쇄 회로 기판(230)을 통하여 입력되는 게이트 제어 신호를 게이트 구동 내장 회로로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20)는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10) 각각에 실장되어 연성 회로 필름(210)을 통해 패드부(PP)에 연결된다. 이러한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20)는 인쇄 회로 기판(230)을 통하여 입력되는 화소별 화소 데이터와 데이터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데이터 제어 신호에 따라 화소별 화소 데이터를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신호로 변환하여 패드부(PP)를 통해 해당하는 데이터 라인에 공급한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230)은 복수의 연성 회로 필름(210) 각각과 연결된다. 인쇄 회로 기판(230)은 타이밍 제어부(240)를 지지하고, 패널 구동 회로부(200)의 구성들 간의 신호 및 전원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인쇄 회로 기판(230)에는 각종 전원 회로, 및 메모리 소자 등이 실장되어 있다.
상기 타이밍 제어부(240)는 인쇄 회로 기판(230)에 실장되고, 인쇄 회로 기판(230)에 마련된 유저 커넥터를 통해 디스플레이 구동 시스템으로부터 제공되는 영상 데이터와 타이밍 동기 신호를 수신한다. 타이밍 제어부(240)는 타이밍 동기 신호에 기초해 영상 데이터를 표시 영역(AA)의 화소 배치 구조에 알맞도록 정렬하여 화소별 화소 데이터를 생성하고, 생성된 화소별 화소 데이터를 해당하는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20)에 제공한다. 또한, 타이밍 제어부(240)는 타이밍 동기 신호에 기초해 데이터 제어 신호와 게이트 제어 신호 각각을 생성하고, 데이터 제어 신호를 통해 복수의 데이터 구동 집적 회로(220) 각각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하고, 게이트 제어 신호를 통해 게이트 구동 내장 회로의 구동 타이밍을 제어한다.
상기 패널 연장 시트(3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롤러부(500) 사이에 연결된다. 일 예에 따른 패널 연장 시트(300)는 플렉서블 기판(110)의 타면 중 패드부(PP)와 중첩되는 일측 가장자리에 부착되고, 롤러부(500)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인출 방향(Z)(이하, “승강 방향(Z)”이라 함)을 기준으로, 패널 연장 시트(300)의 상부 가장자리는 플렉서블 기판(110)의 타면 일측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패널 구동 회로부(200)를 덮는다. 패널 연장 시트(300)의 하부 가장자리는 하우징 모듈(400)을 관통하여 롤러부(5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일 예에 따른 패널 연장 시트(3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광학 필름(140)과 동일층에 배치되는데, 패널 연장 시트(300)과 광학 필름(140)의 단차로 인하여 디자인적인 미감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패널 연장 시트(300)는 광학 필름(140)과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에 따른 패널 연장 시트(300)는 플렉서블 재질, 예를 들어 플렉서블 기판(110)과 동일한 재질, 불투명 플라스틱 재질, 또는 플렉서블 박막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패널 연장 시트(3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측 비표시 영역을 덮기 때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다른 비표시 영역과의 색상적인 조화를 위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비표시 영역과 동일한 색상을 같은 코팅층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패널 연장 시트(300)는 블랙 색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패널 연장 시트(300)는 패널 연결부(301), 롤러 연결부(302), 시트 롤링부(303), 및 회로 커버부(304)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 연결부(301)는 패널 연장 시트(300)의 상부 가장자리로 정의될 수 있다. 패널 연결부(301)는 플렉서블 기판(110)의 타면 일측 가장자리에 부착되어 패드부(PP)를 덮는다.
상기 롤러 연결부(302)는 패널 연장 시트(300)의 하부 가장자리로 정의될 수 있다. 롤러 연결부(302)는 하우징 모듈(400)을 관통하여 롤러부(500)와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롤러 연결부(302)는 하우징 모듈(400)의 외부로 인출되지 않고, 하우징 모듈(400)의 내부에만 배치된다.
상기 시트 롤링부(303)는 패널 연결부(301)와 롤러 연결부(302)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시트 롤링부(303)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인출과 인입시 롤러부(500)에 와인딩(winding)되거나 롤러부(500)로부터 언와인딩(unwinding)될 수 있다.
상기 회로 커버부(304)는 패널 연결부(301)와 시트 롤링부(303) 사이의 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회로 커버부(303)는 패널 구동 회로부(200)를 덮는다. 이때, 회로 커버부(303)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인출과 인입시 롤러부(500)에 와인딩되지 않고, 승강 방향(Z)을 따라 승강된다. 이에 따라, 회로 커버부(304)는 패널 구동 회로부(200)를 덮으면서 패널 구동 회로부(200)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음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인출과 인입시 패널 구동 회로부(2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패널 구동 회로부(2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연결된 패널 연장 시트(300)의 일부, 또는 상기 회로 커버부(304)의 일부와 상기 패널 연결부(30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인출시 하우징 모듈의 외부로 노출됨으로써 패널 구동 회로부(200)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으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 영역(AA) 전체가 인출되도록 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 영역(AA) 하단부가 하우징 모듈(400)에 의해 가려지는 것을 방지한다. 즉,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롤러부(500)에 와인딩되거나 언와인딩되는데, 상기 패널 연장 시트(300)는 수직하게 세워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측과 롤러부(500) 사이를 연결함으로써 수직하게 세워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 영역(AA) 하단부가 하우징 모듈(400)의 내부에 삽입되지 않고 하우징 모듈(40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한다.
한편, 패널 연장 시트(300)는 광학 필름(140)으로부터 길게 연장된 연장부로 대체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조 공정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롤러부(500) 간의 조립성을 고려하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기 패널 연장 시트(300)를 통해 롤러부(50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패널 구동 회로부(200)는 광학 필름(140)의 부착 공정 이후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연결될 수 있는데, 이때 광학 필름(140)의 연장부는 패널 구동 회로부(200)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 간의 연결 공정시 패널 구동 회로부(200)과의 간섭 등의 공정 방해 요소로 작용할 수 있기 때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상기 패널 연장 시트(300)를 통해 롤러부(500)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 모듈(40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인입되거나 인출된다. 일 예에 따른 하우징 모듈(400)은 하우징 프레임(410), 및 하우징 커버(4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프레임(410)은 내부 공간을 가지는 상자 형태로 형성되고, 롤러부(500)를 지지한다. 일 예에 따른 하우징 프레임(410)는 롤러부(500)를 지지하는 바닥 프레임(411), 및 바닥 프레임(411)의 가장자리에 수직하게 연결되어 바닥 프레임(411) 상에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측벽 프레임(41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우징 커버(430)는 하우징 프레임(410)의 측면과 내부 공간을 덮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최외곽 케이스로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출입하는 패널 출입구(432)를 포함한다.
상기 롤러부(500)는 이중 롤러 구조를 가지도록 하우징 모듈(400)에 설치되어 패널 연장 시트(30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 각각을 개별적으로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킨다. 일 예에 따른 롤러부(500)는 제 1 롤러(510), 패널 연장 시트(300)가 출입하는 시트 출입구(523)를 갖는 제 2 롤러(520), 및 롤러 구동부(530)를 포함한다. 롤러부(5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와인딩시, 롤러 구동부(530)의 구동에 따른 제 1 롤러(510)만의 회전에 따라 제 2 롤러(520)의 시트 출입구(523)를 통해 인입되는 패널 연장 시트(300)를 제 1 롤러(510)의 외주면에 와인딩시킨 다음 롤러 구동부(530)의 구동에 따른 제 2 롤러(520)의 회전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제 2 롤러(520)의 외주면에 와인딩시킨다. 반대로, 일 예에 따른 롤러부(5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언와인딩시, 롤러 구동부(530)의 구동에 따른 제 2 롤러(520)의 회전에 따라 제 2 롤러(520)에 와인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언와인딩시킨 다음 롤러 구동부(530)의 구동에 따른 제 1 롤러(510)만의 회전에 따라 제 1 롤러(510)에 와인딩된 패널 연장 시트(300)를 제 2 롤러(520)의 시트 출입구(523)를 통해 언와인딩시킨다. 이러한 롤러부(500)는 제 1 롤러(510)와 제 2 롤러(520)의 이중 롤러 구조를 통해 패널 연장 시트(30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 각각을 개별적으로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 영역(AA) 전체를 하우징 모듈(400)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 연장 시트(300)에 의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가 하우징 모듈(400) 쪽으로 연장되고, 패널 연장 시트(30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 각각이 이중 롤러 구조를 갖는 롤러부(500)에 개별적으로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 영역(AA) 전체가 하우징 모듈(400)의 외부로 인출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패널 승강 모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승강 모듈(600)은 하우징 모듈(400)에 설치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철 유닛(retractable unit; 630)의 접힘 또는 펼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승강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킨다. 일 예에 따른 패널 승강 유닛(600)은 상부 프레임(610), 하부 프레임(620), 접철 유닛(630), 및 링크 승강 유닛(6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프레임(61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에 결합되고, 접철 유닛(630)의 상측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하부 프레임(620)은 하우징 모듈(400)에 설치되고, 링크 승강 유닛(340)을 지지하면서 접철 유닛(630)의 하측을 이동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접철 유닛(630)은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도록 상부 프레임(610)과 하부 프레임(620) 간에 설치된다. 접철 유닛(630)의 일측은 상부 프레임(610)의 하면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고, 접철 유닛(630)의 타측은 하부 프레임(620)에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다. 일 예에 따른 접철 유닛(630)은 길이가 가변될 수 있도록 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서로 교차하는 복수의 링크(631)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링크(631)는 힌지 부재들(633)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접철 유닛(630)은 상부 프레임(610)에 결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을 지지하고, 링크 승강 유닛(640)의 구동에 따른 접힘 또는 펼침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승강 방향(Z)을 따라 승강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킨다.
상기 링크 승강 유닛(640)은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접철 유닛(630)을 접거나 펼쳐 상부 프레임(610)을 승강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승강시킨다. 즉, 링크 승강 유닛(640)은 접철 유닛(630)의 최하위에 위치한 힌지 부재를 승강시켜 복수의 링크(631) 각각을 접거나 펼침으로써 접철 유닛(630)의 길이를 확장시키거나 축소시킨다. 예를 들어, 링크 승강 유닛(64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와인딩시, 최하위 힌지 부재(633)를 하강시켜 복수의 링크(631) 각각을 접음으로써 상부 프레임(610)을 하강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롤러부(500)에 와인딩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하우징 모듈(400)의 내부에 인입시킨다. 반대로, 링크 승강 유닛(64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언와인딩시, 최하위 힌지 부재(633)를 상승시켜 복수의 링크(631) 각각을 펼침으로써 상부 프레임(610)을 상승시켜 롤러부(500)에 와인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언와인딩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하우징 모듈(400)의 외부로 인출시킨다.
일 예에 따른 링크 승강 유닛(640)은 최하위 힌지 부재에 연결된 승강 축을 갖는 에어 실린더 또는 공압 실린더 등과 같은 실린더 부재로 이루어지거나 리니어 모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은 링크 승강 유닛(640)을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용이하게 승강시킬 수 있으며, 링크 승강 유닛(640)의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패널 승강 모듈(600)은 접철 유닛(630)을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롤러부(500)에 와인딩시키거나 언와인딩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와인딩시키거나 언와인딩시키기 위한 구성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플렉서블 후면 커버(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렉서블 후면 커버(7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과 접철 유닛(630)의 상측 각각에 결합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덮는다. 이러한 플렉서블 후면 커버(7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와인딩에 따라 롤러부(500)에 와인딩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언와인딩에 따라 롤러부(500)로부터 언와인딩된다. 일 예에 따른 플렉서블 후면 커버(700)는 패널 커버부(710), 및 한 쌍의 측면 커버부(7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 커버부(7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을 덮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벤딩 가능하게 지지한다. 일 예에 따른 패널 커버부(710)는 복수의 지지 바(71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지지 바(711) 각각은 서로 간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후면을 덮는다. 복수의 지지 바(711) 각각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보다 설정된 길이만큼 긴 길이를 가짐으로써 외부의 측면 충격으로부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측면을 보호한다. 이러한 복수의 지지 바(711) 각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벤딩 곡률에 대응되도록 개별적으로 회전됨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와인딩을 가이드하거나 수직하게 세워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언와인딩을 가이드한다.
상기 한 쌍의 측면 커버부(720)는 패널 지지부(141)의 양측 가장자리, 즉 복수의 지지 바(711) 각각의 양측 가장자리 부분의 전면과 측면 및 후면을 감쌈으로써 복수의 지지 바(711) 각각의 측면에 가해지는 외부의 충격을 완충한다. 이러한 한 쌍의 측면 커버부(720)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 예를 들어 실리콘 또는 우레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본 예에 따른 플렉서블 후면 커버(71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마주하는 패널 지지면에 부착된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완충 부재는 수축과 팽창이 우수한 쿠션 재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완충 부재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 완충 작용을 통해 플렉서블 후면 커버(14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 간의 슬립(slip) 현상을 방지한다.
이와 같은, 플렉서블 후면 커버(7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에 덮음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후면과 패널 승강 모듈(600) 간의 물리적인 접촉을 방지하고, 하우징 모듈(400)로부터 수직하게 인출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수직 평탄도를 일정하게 유지시킨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후면 커튼(8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면 커튼(800)은 패널 승강 모듈(600)의 상측 후면에 결합되어 패널 승강 모듈(600)의 후면을 덮는다. 이러한 후면 커튼(800)은 패널 승강 모듈(600)의 하강시 롤러부(500)에 와인딩되고, 패널 승강 모듈(600)의 상승시 롤러부(500)로부터 언와인되어 패널 승강 모듈(600)의 후면을 덮는다. 일 예에 따른 후면 커튼(800)은 색상을 갖는 플렉서블 재질, 예를 들어 섬유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열을 방열하기 위한 열 방출 시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후면 커튼(800)은 하우징 모듈(400)의 외부로 펼쳐진 패널 승강 모듈(600)의 후면을 덮음으로써 패널 승강 모듈(600)의 후면을 은폐시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미관을 향상시킨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부 커버(900), 및 측면 커튼부(9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커버(9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과 패널 승강 모듈(600)의 상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상부 커버(9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 가장자리 부분과 측면을 덮음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 가장자리 부분에 마련된 비표시 영역(IA)을 은폐시킨다. 일 예에 따른 상부 커버(900)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 전면 가장자리 부분을 덮는 전면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변과 이에 접한 양측변을 감싸는 측벽부, 및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 후면에 결합된 패널 승강 모듈(600)의 상측 후면을 덮는 후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부 커버(90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상측 가장자리 부분에 마련된 최외곽 보호 커버의 역할을 하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와인딩시, 하우징 모듈(400)에 마련된 패널 출입구(432)를 덮는다.
상기 측면 커튼부(950)는 상부 커버(900)에 설치되고 패널 승강 모듈(600)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 각각의 양측면을 덮는다. 일 예에 따른 측면 커튼부(950)는 제 1 측면 커튼 롤러(951), 제 2 측면 커튼 롤러(952), 제 1 측면 커튼(953), 및 제 2 측면 커튼(95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 커튼 롤러(951)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일측면에 인접하도록 상부 커버(900), 즉 상부 커버(900)의 후면부의 일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1 측면 커튼 롤러(951)는 나선형 스프링 부재의 압축 및 압축 복원력에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측면 커튼 롤러(951)에 내장된 나선형 스프링 부재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승시 제 1 측면 커튼 롤러(951)의 제 1 방향 회전에 따라 압축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강시 압축 복원력으로 제 1 측면 커튼 롤러(951)를 제 2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 2 측면 커튼 롤러(95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타측면에 인접하도록 상부 커버(900), 즉 상부 커버(900)의 후면부의 타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제 2 측면 커튼 롤러(952)는 나선형 스프링 부재의 압축 및 압축 복원력에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2 측면 커튼 롤러(952)에 내장된 나선형 스프링 부재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승시 제 2 측면 커튼 롤러(952)의 제 2 방향 회전에 따라 압축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강시 압축 복원력으로 제 2 측면 커튼 롤러(952)를 제 1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상기 제 1 측면 커튼(953)은 제 1 측면 커튼 롤러(951)와 하우징 모듈(400) 간에 설치된다. 제 1 측면 커튼(953)의 상단은 제 1 측면 커튼 롤러(951)에 결합되고, 제 1 측면 커튼(953)의 하단은 하우징 모듈(400)의 일측벽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 1 측면 커튼(95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강시 제 1 측면 커튼 롤러(951)의 제 2 방향 회전에 따라 제 1 측면 커튼 롤러(951)에 와인딩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승시 제 1 측면 커튼 롤러(951)의 제 1 방향 회전에 따라 제 1 측면 커튼 롤러(951)로부터 언와인딩된다. 이에 따라, 제 1 측면 커튼(953)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승시 제 1 측면 커튼 롤러(951)에서 언와인딩되어 패널 승강 모듈(600)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 각각의 일측면을 덮음으로써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일측면 미관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 2 측면 커튼(954)은 제 2 측면 커튼 롤러(952)와 하우징 모듈(400) 간에 설치된다. 제 2 측면 커튼(954)의 상단은 제 2 측면 커튼 롤러(952)에 결합되고, 제 2 측면 커튼(954)의 하단은 하우징 모듈(400)의 타측벽에 고정된다. 이러한 제 2 측면 커튼(954)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강시 제 2 측면 커튼 롤러(952)의 제 1 방향 회전에 따라 제 2 측면 커튼 롤러(952)에 와인딩되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승시 제 2 측면 커튼 롤러(952)의 제 2 방향 회전에 따라 제 2 측면 커튼 롤러(952)로부터 언와인딩된다. 이에 따라, 제 2 측면 커튼(954)은 제 1 측면 커튼(953)과 동일하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승시 제 2 측면 커튼 롤러(952)에서 언와인딩되어 패널 승강 모듈(600)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 각각의 타측면을 덮음으로써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타측면 미관을 향상시킨다.
일 예에 따른 측면 커튼부(900)는 제 1 측면 커튼 롤러(951)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제 1 측면 커튼(953)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 1 텐션 롤러, 및 제 2 측면 커튼 롤러(952)에 인접하게 설치되어 제 2 측면 커튼(954)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제 2 텐션 롤러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롤러부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선 I-I'의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와 도 2를 결부하면,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롤러부(500)는 제 1 롤러(510), 제 2 롤러(520), 및 롤러 구동부(5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롤러(510)는 제 1 방향(X)과 나란하도록 하우징 모듈(400)의 바닥 프레임(411) 상에 배치되어 패널 연장 시트(300)의 롤러 연결부와 물리적으로 연결된다. 여기서, 제 1 방향(X)은 하우징 모듈(400)의 가로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롤러(510)는 롤러 구동부(530)의 구동에 따라 패널 연장 시트(300)를 와인딩하거나 언와인딩한다.
일 예에 따른 제 1 롤러(510)는 패널 연장 시트(300)의 시트 롤링부가 와인딩되거나 언와인딩되는 제 1 롤러 바디, 및 제 1 롤러 바디의 양측면에 마련되어 롤러 구동부(530)와 연결된 한 쌍의 제 1 회전축(51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롤러 바디는 한 쌍의 제 1 회전축(513)과 동일한 직경을 가지거나 한 쌍의 제 1 회전축(513)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원형 봉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제 1 롤러(510)는 롤러 구동부(530)의 구동에 따른 한 쌍의 제 1 회전축(513)의 회전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패널 연장 시트(300)를 와인딩하거나 언와인딩한다.
상기 제 2 롤러(520)는 제 1 롤러(510)의 외주면을 둘러싸도록 하우징 모듈(400)의 바닥 프레임(411) 상에 배치된다. 즉, 제 1 롤러(510)는 제 1 방향(X)을 따라 제 2 롤러(520)를 관통하고, 그 외주면은 제 2 롤러(520)에 의해 감싸인다. 이러한 제 2 롤러(520)는 롤러 구동부(530)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와인딩하거나 언와인딩한다. 일 예에 따른 제 2 롤러(520)는 제 2 롤러 바디(521), 시트 출입구(522), 및 한 쌍의 제 2 회전축(5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롤러 바디(521)는 제 1 롤러(510)가 삽입되는 중공부(521a)를 포함하는 원통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 2 롤러 바디(521)의 중공부(521a)에는 제 1 롤러(510)가 삽입되어 배치된다.
상기 시트 출입구(522)는 패널 연장 시트(300)의 회로 커버부가 제 2 롤러(510)의 중공부(521a)로 출입할 수 있도록 제 2 롤러 바디(520)에 마련됨으로써 제 2 롤러(510)의 중공부(521a)의 일부를 외부로 노출시킨다. 일 예에 따른 시트 출입구(522)는 제 2 롤러 바디(520)의 일부가 절개되어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트 출입구(522)는 제 1 방향(X)과 나란하면서 패널 연장 시트(300)의 폭보다 넓은 길이를 갖는 슬릿일 수 있다.
상기 시트 출입구(522) 중 제 1 방향(X)과 나란한 장변들은 패널 연장 시트(300) 및/또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손상과 찢어짐을 방지하기 위하여 곡면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만약, 시트 출입구(522)의 장변이 곡면 형태가 아닌 뾰족한 모서리를 가질 경우, 시트 출입구(522)의 장변과 시트 출입구(522)를 출입하는 패널 연장 시트(300) 간의 물리적인 접촉에 의해 패널 연장 시트(300)가 손상되거나 찢어질 수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제 2 롤러(520)의 외주면으로 와인딩될 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이 손상되거나 찢어질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제 2 회전축(523)은 제 2 롤러 바디(521)의 양측면에 마련되어 롤러 구동부(530)에 연결된다. 한 쌍의 제 2 회전축(523)은 제 2 롤러 바디(521)와 동일한 직경을 가지거나 제 2 롤러 바디(521)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가지되, 한 쌍의 제 1 회전축(513)보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 2 롤러(520)의 중공부(521a)에 삽입 배치된 제 1 롤러(510)의 회전 중심축(CP1)은 제 2 롤러(520)의 회전 중심축(CP2)으로부터 일정 거리(D1)로 이격될 수 있다. 즉, 제 1 방향(X)을 기준으로, 제 1 롤러(510)의 회전 중심축(CP1)과 제 2 롤러(520)의 회전 중심축(CP2)은 하우징 모듈(400)의 바닥 프레임(411)으로부터 동일한 높이(H)를 갖는 동일한 수평 선상(H)에 위치하는 반면, 하우징 모듈(400)의 세로 길이 방향과 나란한 제 2 방향(Y)을 기준으로, 제 1 롤러(510)의 회전 중심축(CP1)은 제 2 롤러(520)의 회전 중심축(CP2)으로부터 일정 거리(D1)만큼 이격됨으로써 제 2 롤러(520)의 중공부(521a) 일측에 치우져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제 1 롤러(510)의 회전 중심축(CP1)과 제 2 롤러(520)의 회전 중심축(CP2) 간의 이격 거리(D1)는 제 1 롤러(510)에 와인딩되는 패널 연장 시트(300)의 두께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상기 롤러 구동부(530)는 제 1 롤러(510)와 제 2 롤러(520) 각각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킨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와인딩시, 롤러 구동부(530)는 제 1 롤러(510)만을 회전시켜 제 2 롤러(520)의 시트 출입구(522)를 통해 인입되는 패널 연장 시트(300)를 제 1 롤러(510)의 외주면에 와인딩시킨 후, 제 2 롤러(520)를 회전시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제 2 롤러(520)의 외주면에 와인딩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언와인딩시, 롤러 구동부(530)는 제 2 롤러(520)를 회전시켜 제 2 롤러(520)의 외주면에 와인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언와인딩시킨 후, 제 1 롤러(510)만을 회전시켜 제 1 롤러(510)의 외주면에 와인딩된 패널 연장 시트(300)를 제 2 롤러(520)의 시트 출입구(522)를 통해 언와인딩시킬 수 있다. 이러한 롤러 구동부(530)는 패널 연장 시트(30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 각각을 제 1 롤러(510)와 제 2 롤러(520)에 개별적으로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 영역(AA) 전체를 하우징 모듈(400)의 외부로 인출시킬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롤러 구동부(530)는 제 1 롤러 구동부(531), 제 2 롤러 구동부(532), 및 롤러 구동 제어부(5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롤러 구동부(531)는 롤러 구동 제어부(533)의 제어에 따라 제 1 롤러(510)를 회전시킨다. 일 예에 따른 제 1 롤러 구동부(531)는 제 1 구동 모터(531a), 한 쌍의 제 1 샤프트 브라켓(531b), 및 제 1 회전 전달부(531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구동 모터(531a)는 하우징 모듈(400)의 측벽 프레임(412)에 설치되어 제 1 회전 전달부(531c)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일 예에 따른 제 1 구동 모터(531a)는 스테핑 모터 또는 서보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한 쌍의 제 1 샤프트 브라켓(531b)은 하우징 모듈(400)의 바닥 프레임(411)에 설치되어 한 쌍의 제 1 회전축(51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 1 회전 전달부(531c)는 한 쌍의 제 1 회전축(513) 중 어느 하나의 제 1 회전축과 제 1 구동 모터(531a)의 회전축 간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 1 회전 전달부(531c)는 제 1 구동 모터(531a)의 회전력을 제 1 회전축(513)에 전달함으로써 제 1 구동 모터(531a)의 회전에 따라 제 1 롤러(510)가 회전되도록 한다. 제 1 회전 전달부(531c)는 벨트와 풀리를 이용한 회전 전달 방식 또는 기어와 체인을 이용한 회전 전달 방식을 통해 제 1 구동 모터(531a)의 회전력을 제 1 회전축(513)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회전 전달부(531c)는 제 1 구동 모터(531a)의 회전축과 제 1 회전축(513) 각각에 물리적으로 결합된 한 쌍의 제 1 풀리(531c1, 531c2), 및 한 쌍의 제 1 풀리(531c1, 531c2) 간에 걸쳐진 벨트(531c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1 롤러 구동부(531)에서, 한 쌍의 제 1 회전축(513)은 하우징 모듈(400)의 측벽 프레임(4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도 있는데, 이 경우, 한 쌍의 제 1 샤프트 브라켓(531b)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 모듈(400)의 측벽 프레임(412)은 제 1 축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제 1 축 지지부는 한 쌍의 제 1 회전축(513)이 삽입되는 한 쌍의 제 1 축 삽입홀, 및 한 쌍의 제 1 축 삽입홀과 한 쌍의 제 1 회전축(513) 사이에 개재된 한 쌍의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롤러 구동부(532)는 롤러 구동 제어부(533)의 제어에 따라 제 2 롤러(520)를 회전시킨다. 일 예에 따른 제 2 롤러 구동부(532)는 제 2 구동 모터(532a), 한 쌍의 제 2 샤프트 브라켓(532b), 및 제 2 회전 전달부(532c)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구동 모터(532a)는 하우징 모듈(400)의 측벽 프레임(412)에 설치되어 제 2 회전 전달부(532c)에 회전력을 제공한다. 일 예에 따른 제 1 구동 모터(531a)는 스테핑 모터 또는 서보 모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한 쌍의 제 2 샤프트 브라켓(532b)은 하우징 모듈(400)의 바닥 프레임(411)에 설치되어 한 쌍의 제 2 회전축(523)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제 2 회전 전달부(532c)는 한 쌍의 제 2 회전축(523) 중 어느 하나의 제 2 회전축과 제 2 구동 모터(532a)의 회전축 간에 연결된다. 이러한 제 2 회전 전달부(532c)는 제 2 구동 모터(532a)의 회전력을 제 2 회전축(523)에 전달함으로써 제 2 구동 모터(532a)의 회전에 따라 제 2 롤러(520)가 회전되도록 한다. 제 2 회전 전달부(532c)는 벨트와 풀리를 이용한 회전 전달 방식 또는 기어와 체인을 이용한 회전 전달 방식을 통해 제 2 구동 모터(532a)의 회전력을 제 2 회전축(523)에 전달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2 회전 전달부(532c)는 제 2 구동 모터(532a)의 회전축과 제 2 회전축(523) 각각에 물리적으로 결합된 한 쌍의 제 2 풀리(532c1, 532c2), 및 한 쌍의 제 2 풀리(532c1, 532c2) 간에 걸쳐진 벨트(532c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 구동 제어부(533)는 하우징 모듈(400)의 측벽 프레임(412)에 설치되어 제 1 롤러 구동부(531)와 제 2 롤러 구동부(532) 각각의 회전을 제어한다. 이때, 롤러 구동 제어부(533)는 패널 승강 모듈(600)에 포함된 링크 승강 유닛(640)의 승강과 동기되도록 제 1 롤러 구동부(531)와 제 2 롤러 구동부(532) 각각의 구동을 제어한다.
일 예에 따른 롤러 구동 제어부(533)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와인딩시, 제 1 롤러 구동부(531)를 구동하여 패널 연장 시트(300)를 제 1 롤러(510)의 외주면에 와인딩시킨 후, 제 2 롤러 구동부(532)를 구동하여 패널 연장 시트(300)를 제 1 롤러(510)의 외주면에 와인딩시킨 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제 2 롤러(520)의 외주면에 와인딩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일 예에 따른 롤러 구동 제어부(533)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언와인딩시, 제 2 롤러 구동부(532)를 구동하여 제 2 롤러(520)의 외주면에 와인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을 언와인딩시킨 후, 제 1 롤러 구동부(531)를 구동하여 제 1 롤러(510)의 외주면에 와인딩된 패널 연장 시트(300)를 제 2 롤러(520)의 시트 출입구(522)를 통해 언와인딩시킨다.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롤러부(500)는 제 3 롤러(540) 및 제 4 롤러(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롤러(540)는 하우징 모듈(400)에 설치되고 패널 승강 모듈(600)의 승강에 따라 플렉서블 후면 커버(700)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된다. 일 예에 따른 제 3 롤러(540)는 제 2 롤러(520)와 나란하면서 이격되도록 하우징 모듈(400)의 바닥 프레임(411)에 설치된다. 제 3 롤러(540)는 나선형 스프링 부재의 압축 및 압축 복원력에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3 롤러(540)는 하우징 모듈(400)의 바닥 프레임(411)에 설치된 한 쌍의 제 3 샤프트 브라켓(54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제 3 롤러(540)는 하우징 모듈(400)의 측벽 프레임(4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 경우, 하우징 모듈(400)의 측벽 프레임(412)은 제 2 축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제 2 축 지지부는 제 3 롤러(540)의 양측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한 쌍의 제 2 축 삽입홀, 및 한 쌍의 제 2 축 삽입홀과 제 3 롤러(540)의 양측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된 한 쌍의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4 롤러(550)는 하우징 모듈(400)에 설치되고 패널 승강 모듈(600)의 승강에 따라 후면 커튼(800)이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된다. 일 예에 따른 제 4 롤러(550)는 제 2 롤러(520)와 나란하면서 이격되도록 하우징 모듈(400)의 바닥 프레임(411)에 설치된다. 제 4 롤러(550)는 나선형 스프링 부재의 압축 및 압축 복원력에 따라 회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제 4 롤러(550)는 하우징 모듈(400)의 바닥 프레임(411)에 설치된 한 쌍의 제 4 샤프트 브라켓(552)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다른 예에 따른 제 4 롤러(550)는 하우징 모듈(400)의 측벽 프레임(412)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 모듈(400)의 측벽 프레임(412)은 제 3 축 지지부를 더 포함하며, 제 3 축 지지부는 제 4 롤러(550)의 양측 가장자리가 삽입되는 한 쌍의 제 3 축 삽입홀, 및 한 쌍의 제 3 축 삽입홀과 제 4 롤러(550)의 양측 가장자리 사이에 개재된 한 쌍의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와인딩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출원의 일 예에 따른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와인딩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언와인딩 동작에 따라 하우징 모듈(400)로부터 인출되어 수직하게 세워진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단부는 패널 연장 시트(300)를 통해 롤러부(500)의 제 1 롤러(510)에 연결되어 있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연결된 패널 연장 시트(300)의 일부는 하우징 모듈(400)의 외부로 인출된다. 그리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연결된 패널 구동 회로부(200)는 하우징 모듈(400)의 외부로 인출되지만, 하우징 모듈(400)의 외부로 인출된 패널 연장 시트(300)의 일부, 즉 패널 연장 시트(300)의 패널 연결부와 회로 커버부에 의해 가려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전방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수직하게 세워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 영역(AA) 전체는 패널 연장 시트(300)의 일부가 하우징 모듈(400)의 외부로 인출됨에 따라 하우징 모듈(400)의 내부에 삽입되지 않고 하우징 모듈(400)의 외부로 인출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1차 와인딩 동작(또는 시트 와인딩 동작)에 따라 제 1 거리(L1)만큼 하강하고, 이와 동기하여 패널 연장 시트(300)는 롤러부(500)의 제 1 롤러(510)에 와인딩된다. 여기서, 제 1 거리(L1)는 패널 연장 시트(300)에 정의된 시트 롤링부의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1차 와인딩 동작에서는, 패널 승강 모듈(600)에 포함된 링크 승강 유닛(640)의 구동에 따라 패널 승강 모듈(600)의 상부 프레임(610)이 제 1 거리(L1)만큼 1차적으로 하강되고, 이와 동기되는 롤러 구동부(530)의 1차 구동에 의해 제 1 롤러(510)만이 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직하게 세워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단부는 제 1 거리(L1)만큼 하강하여 하우징 모듈(400)의 패널 출입구(432)로 인입되고, 패널 연장 시트(300)의 하부, 즉 롤러 연결부와 시트 롤링부는 제 1 롤러(510)의 회전에 따라 제 2 롤러(520)의 시트 출입구(522)를 통해 제 2 롤러(520)의 중공부(521a)에 인입되어 제 1 롤러(510)의 외주면에 와인딩된다. 이때,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연결된 패널 구동 회로부(200)는 패널 연장 시트(300)와 함께 제 1 롤러(510)의 외주면에 와인딩되지 않고 제 2 롤러(520)의 시트 출입구(522)와 제 1 롤러(510) 사이의 중공부(521a) 내에 배치됨으로써 패널 연장 시트(300)의 와인딩시 제 1 롤러(510)와의 물리적인 접촉으로 인한 손상이 방지된다.
상기 1차 와인딩 동작에서, 플렉서블 후면 커버(700)의 하단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강에 따라 롤러부(500)의 제 3 롤러(540)에 와인딩되고, 후면 커튼(800)의 하단부 역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강에 따라 롤러부(500)의 제 4 롤러(550)에 와인딩된다.
다음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2차 와인딩 동작(또는 패널 와인딩 동작)에 따라 제 2 거리(L2)만큼 하강하여 롤러부(500)의 제 2 롤러(520)에 와인딩된다. 여기서, 제 2 거리(L2)는 제 2 방향(Y)과 나란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제 2 방향 길이(또는 세로 길이)와 대응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른 2차 와인딩 동작에서는, 패널 승강 모듈(600)에 포함된 링크 승강 유닛(640)의 구동에 따라 패널 승강 모듈(600)의 상부 프레임(610)이 제 2 거리(L2)만큼 2차적으로 하강되고, 이와 동기되는 롤러 구동부(530)의 2차 구동에 의해 제 2 롤러(520)가 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수직하게 세워진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나머지 부분은 제 2 거리(L2)만큼 하강하여 하우징 모듈(400)의 패널 출입구(432)로 인입되어 제 2 롤러(520)의 외주면에 와인딩되고, 하우징 모듈(400)의 패널 출입구(432)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상측에 결합된 상부 커버(900)에 의해 덮인다.
상기 2차 와인딩 동작에서, 수직하게 세워진 플렉서블 후면 커버(700)의 나머지 부분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강에 따라 롤러부(500)의 제 3 롤러(540)에 추가적으로 와인딩되고, 수직하게 세워진 후면 커튼(800)의 나머지 부분 역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강에 따라 롤러부(500)의 제 4 롤러(550)에 추가적으로 와인딩된다.
한편, 롤러부(500)에 와인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와인딩 동작과 반대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언와인딩 동작에 의해 하우징 모듈(400)로부터 인출되어 수직하게 세워질 수 있다.
먼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1차 언와인딩 동작(또는 패널 언와인딩 동작)에 따라 제 2 거리(L2)만큼 상승한다. 일 예에 따른 1차 언와인딩 동작에서는, 패널 승강 모듈(600)에 포함된 링크 승강 유닛(640)의 구동에 따라 패널 승강 모듈(600)의 상부 프레임(610)이 제 2 거리(L2)만큼 1차적으로 상승되고, 이와 동기되는 롤러 구동부(530)의 1차 구동에 의해 제 2 롤러(520)가 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2 롤러(520)의 외주면에 와인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제 2 롤러(520)로부터 언와인딩되면서 하우징 모듈(400)의 패널 출입구(432)로 인출되어 수직하게 세워진다.
상기 1차 언와인딩 동작에서, 제 3 롤러(540)에 와인딩된 플렉서블 후면 커버(700)의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1차 언와인딩에 따라 제 3 롤러(540)로부터 언와인딩되면서 하우징 모듈(400)의 패널 출입구(432)로 인출되어 수직하게 세워지고, 후면 커튼(800)의 하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역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1차 언와인딩에 따라 제 4 롤러(550)로부터 언와인딩되면서 하우징 모듈(400)의 패널 출입구(432)로 인출되어 수직하게 세워진다.
다음으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은 2차 언와인딩 동작(또는 시트 언와인딩 동작)에 따라 제 1 거리(L1)만큼 추가적으로 상승하고, 이와 동기하여 제 1 롤러(510)에 와인딩된 패널 연장 시트(300)는 제 1 롤러(510)로부터 언와인딩된다. 일 예에 따른 2차 언와인딩 동작에서는, 패널 승강 모듈(600)에 포함된 링크 승강 유닛(640)의 구동에 따라 패널 승강 모듈(600)의 상부 프레임(610)이 제 1 거리(L1)만큼 2차적으로 상승되고, 이와 동기되는 롤러 구동부(530)의 2차 구동에 의해 제 1 롤러(510)만이 설정된 회전수만큼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하단부는 제 1 거리(L1)만큼 상승하여 하우징 모듈(400)의 외부로 인출되어 수직하게 세워지고, 패널 연장 시트(300)의 일부, 즉 패널 연장 시트(300)의 패널 연결부와 회로 커버부는 제 1 롤러(510)의 회전에 의해 패널 연장 시트(300)의 시트 롤링부가 제 1 롤러(510)로부터 언와인딩됨에 따라 하우징 모듈(400)의 패널 출입구(432)로 인출되어 수직하게 세워진다.
상기 2차 언와인딩 동작에서, 제 3 롤러(540)에 와인딩된 플렉서블 후면 커버(700)의 하단부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2차 언와인딩에 따라 제 3 롤러(540)로부터 추가적으로 언와인딩되고, 후면 커튼(800)의 하단부 역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2차 언와인딩에 따라 제 4 롤러(550)로부터 추가적으로 언와인딩된다.
이상과 같은, 본 출원은 패널 연장 시트(300)를 통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길이를 하우징 모듈(400) 쪽으로 연장시키고, 패널 연장 시트(300)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 각각을 이중 롤러 구조를 갖는 롤러부(500)에 개별적으로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시킴으로써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표시 영역(AA) 전체를 하우징 모듈(400)의 외부로 인출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에 표시되는 영상 전체를 시청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하우징 모듈(400)의 외부로 인출된 패널 구동 회로부(200)를 패널 연장 시트(300)로 덮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100)의 인출과 인입시 패널 구동 회로부(200)를 롤러부(500)에 와인딩시키지 않음으로써 패널 구동 회로부(200)의 손상을 방지하고, 이를 통해 패널 구동 회로부(200)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술한 본 출원의 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의 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본 출원의 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출원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또한,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출원의 기술적 사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출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출원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출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110: 플렉서블 기판
200: 패널 구동 회로부 300: 패널 연장 시트
400: 하우징 모듈 500: 롤러부
510: 제 1 롤러 520: 제 2 롤러
530: 롤러 구동부 600: 패널 승강 모듈

Claims (15)

  1.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패널 연장 시트;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이 인입되거나 인출되는 하우징 모듈; 및
    이중 롤러 구조를 가지도록 상기 하우징 모듈에 설치되고 상기 패널 연장 시트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을 개별적으로 와인딩(winding) 또는 언와인딩(unwinding)시키는 롤러부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상기 패널 연장 시트의 일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인출시 상기 하우징 모듈의 외부로 노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부는,
    상기 패널 연장 시트와 연결되고 상기 패널 연장 시트를 와인딩하거나 언와인딩하는 제 1 롤러;
    상기 제 1 롤러의 외주면을 둘러싸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와인딩하거나 언와인딩하는 제 2 롤러; 및
    상기 제 1 롤러와 상기 제 2 롤러 각각을 개별적으로 회전시키는 롤러 구동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 2 롤러는 상기 패널 연장 시트가 출입하는 시트 출입구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롤러는 상기 제 1 롤러가 삽입되는 중공부를 갖는 롤러 바디를 포함하며,
    상기 시트 출입구는 상기 패널 연장 시트가 출입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 바디의 일부가 절개되어 마련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구동부는
    상기 제 1 롤러만을 회전시켜 상기 제 2 롤러의 시트 출입구를 통해 인입되는 상기 패널 연장 시트를 상기 제 1 롤러의 외주면에 와인딩시킨 후, 상기 제 2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상기 제 2 롤러의 외주면에 와인딩시키고,
    상기 제 2 롤러를 회전시켜 상기 제 2 롤러의 외주면에 와인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언와인딩시킨 후, 상기 제 1 롤러만을 회전시켜 상기 제 1 롤러의 외주면에 와인딩된 패널 연장 시트를 상기 제 2 롤러의 시트 출입구를 통해 언와인딩시키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구동부는,
    상기 제 1 롤러를 회전시키는 제 1 롤러 구동부;
    상기 제 2 롤러를 회전시키는 제 2 롤러 구동부; 및
    상기 제 1 롤러 구동부와 상기 제 2 롤러 구동부 각각의 회전을 제어하는 롤러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패널 구동 회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패널 연장 시트는 상기 패널 구동 회로부를 덮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연장 시트의 와인딩시, 상기 패널 구동 회로부는 상기 제 2 롤러의 중공부 내에 배치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연장 시트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연결된 패널 연결부;
    상기 시트 출입구를 관통하여 상기 제 1 롤러와 연결된 롤러 연결부;
    상기 패널 연결부와 상기 롤러 연결부 사이의 시트 롤링부; 및
    상기 패널 연결부와 상기 시트 롤링부 사이의 회로 커버부를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연장 시트의 회로 커버부는 상기 시트 출입구를 출입하며,
    상기 패널 연장 시트의 상기 패널 연결부와 상기 회로 커버부의 일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인출시 상기 하우징 모듈의 외부로 노출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을 둘러싸는 비표시 영역 및 상기 비표시 영역에 마련된 패드 영역을 갖는 플렉서블 기판;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정의된 상기 표시 영역에 마련된 화소 어레이;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일면에 정의된 상기 패드 영역에 마련되고 상기 화소 어레이에 연결된 패드부;
    상기 패드부를 제외한 나머지 화소 어레이와 비표시 영역을 덮는 커버 플레이트; 및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타면 중 상기 패드부와 중첩되는 일측 가장자리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에 부착된 광학 필름을 포함하며,
    상기 패널 연장 시트는 상기 플렉서블 기판의 일측 가장자리에 부착된,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모듈에 설치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접철 유닛의 접힘 또는 펼침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승강시키는 패널 승강 모듈을 더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측과 상기 접철 유닛의 상측 각각에 결합되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을 덮는 플렉서블 후면 커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는 상기 하우징 모듈에 설치되고 상기 패널 승강 모듈의 승강에 따라 상기 플렉서블 후면 커버가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는 제 3 롤러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 승강 모듈의 상측 후면에 결합되어 상기 패널 승강 모듈의 후면을 덮는 후면 커튼을 더 포함하며,
    상기 롤러부는 상기 하우징 모듈에 설치되고 상기 패널 승강 모듈의 승강에 따라 상기 후면 커튼이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되는 제 4 롤러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패널 승강 모듈의 상측에 결합된 상부 커버; 및
    상기 상부 커버에 설치되고 상기 패널 승강 모듈과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 각각의 양측면을 덮는 측면 커튼부를 더 포함하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147337A 2017-11-07 2017-11-07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960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337A KR102396025B1 (ko) 2017-11-07 2017-11-07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6/158,592 US10564676B2 (en) 2017-11-07 2018-10-12 Rollable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337A KR102396025B1 (ko) 2017-11-07 2017-11-07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1541A true KR20190051541A (ko) 2019-05-15
KR102396025B1 KR102396025B1 (ko) 2022-05-09

Family

ID=663271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337A KR102396025B1 (ko) 2017-11-07 2017-11-07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564676B2 (ko)
KR (1) KR102396025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9762A (ko) * 2019-02-15 2020-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045239A1 (ko) * 2019-09-03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WO2021172625A1 (ko) * 2020-02-27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2086083A1 (ko) * 2020-10-22 2022-04-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US20220244758A1 (en) * 2020-04-27 2022-08-04 Kunshan Go-Visionox Opto-Electronics Co., Ltd. Foldable display terminal
KR102455384B1 (ko) * 2022-04-05 2022-10-17 에스아이로직 주식회사 광고를 제공하는 블라인드형 전자 장치
WO2022255813A1 (ko) * 2021-06-03 2022-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27447A1 (ko) * 2021-08-23 2023-03-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91583A1 (ko) * 2022-03-31 2023-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열 시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83244S1 (en) * 2017-09-29 2020-05-05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EP3723070B1 (en) * 2017-12-07 2022-02-09 Sony Group Corporation Display device
TWM574253U (zh) * 2018-03-09 2019-02-11 信錦企業股份有限公司 可捲收型顯示器
USD912637S1 (en) * 2018-04-27 2021-03-09 Lg Electronics Inc. HiFi audio and television receiver
USD938951S1 (en) * 2018-06-20 2021-12-21 Sharp Kabushiki Kaisha Video display
KR102623425B1 (ko) * 2018-07-10 2024-01-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USD916041S1 (en) * 2018-07-19 2021-04-13 Shenzhen Skyworth-Rgb Electronic Co., Ltd. Television
KR102489222B1 (ko) * 2018-09-28 2023-01-1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표시장치
KR20200046336A (ko) * 2018-10-24 2020-05-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73255B1 (ko) * 2018-11-15 2023-08-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102597411B1 (ko) * 2018-11-28 2023-11-0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11489642B (zh) * 2019-01-29 2023-02-21 Lg电子株式会社 显示装置
KR20200115941A (ko) * 2019-03-29 2020-10-0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0209403A1 (ko) * 2019-04-10 2020-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0010009B (zh) * 2019-04-28 2021-04-20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
WO2020237620A1 (zh) * 2019-05-31 2020-12-03 深圳市柔宇科技有限公司 升降机构、柔性屏显示装置及电子装置
KR20200141773A (ko) * 2019-06-11 2020-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10033696A (ko) * 2019-09-19 2021-03-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10040503A (ko) * 2019-10-04 2021-04-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스마트 월
CN110599911B (zh) * 2019-10-10 2021-08-24 云谷(固安)科技有限公司 卷绕装置和柔性显示装置
CN110751907B (zh) * 2019-10-21 2022-03-08 深圳创维-Rgb电子有限公司 一种卷曲式显示装置
CN110782798B (zh) * 2019-11-19 2022-07-01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柔性显示装置
USD951217S1 (en) * 2019-11-20 2022-05-10 Lg Electronics Inc. Television receiver
US20230337378A1 (en) * 2019-12-27 2023-10-19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WO2021137456A1 (en) * 2019-12-30 2021-07-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Display apparatus
WO2021137327A1 (ko) * 2019-12-31 2021-07-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4086885A4 (en) * 2020-01-03 2023-09-27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CN114067673A (zh) * 2020-08-03 2022-02-1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KR20220032742A (ko) 2020-09-08 2022-03-1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220122872A (ko) * 2021-02-26 2022-09-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CN113808493B (zh) * 2021-10-26 2023-07-18 湖北长江新型显示产业创新中心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4708801B (zh) * 2022-04-29 2023-08-22 苏州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
KR20230155148A (ko) * 2022-05-03 2023-11-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947A (ko) * 2015-04-30 2016-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150253A (ko) * 2015-06-19 2016-1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869B1 (ko) * 2014-12-31 2015-11-2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29947A (ko) * 2015-04-30 2016-11-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KR20160150253A (ko) * 2015-06-19 2016-12-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9762A (ko) * 2019-02-15 2020-08-2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WO2021045239A1 (ko) * 2019-09-03 2021-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259426B2 (en) 2019-09-03 2022-02-22 Lg Electronics Inc. Rollable display device
US11839039B2 (en) 2019-09-03 2023-12-05 Lg Electronics Inc. Rollable display device
WO2021172625A1 (ko) * 2020-02-27 2021-09-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20220244758A1 (en) * 2020-04-27 2022-08-04 Kunshan Go-Visionox Opto-Electronics Co., Ltd. Foldable display terminal
WO2022086083A1 (ko) * 2020-10-22 2022-04-2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WO2022255813A1 (ko) * 2021-06-03 2022-12-08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027447A1 (ko) * 2021-08-23 2023-03-02 삼성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WO2023191583A1 (ko) * 2022-03-31 2023-10-05 삼성전자 주식회사 방열 시트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455384B1 (ko) * 2022-04-05 2022-10-17 에스아이로직 주식회사 광고를 제공하는 블라인드형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96025B1 (ko) 2022-05-09
US20190138058A1 (en) 2019-05-09
US10564676B2 (en) 2020-0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96025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985333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and rollable display apparatus comprising the same
TWI609833B (zh) 可撓性顯示裝置
KR102378758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TWI543129B (zh) 捲軸式顯示裝置
US7830333B2 (en) Slide-out information display
KR102446193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452199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검사 장치
KR102628935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JP7224425B2 (ja) ディスプレイ装置及びディスプレイ装置用駆動装置
TWI793923B (zh) 顯示裝置
US11395422B2 (en) Display device
US20220210934A1 (en) Display device
KR20230103562A (ko) 표시 장치
US11994913B2 (en) Display device
JP7411060B2 (ja) 表示装置
US20230189458A1 (en) Display module driving device,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nd display apparatus driving method using the same
US20240107692A1 (en) Display device
KR20220161827A (ko) 표시 장치
KR20230102975A (ko) 표시 장치
KR20230098968A (ko) 표시장치
KR20230098969A (ko) 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