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03562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03562A
KR20230103562A KR1020210194518A KR20210194518A KR20230103562A KR 20230103562 A KR20230103562 A KR 20230103562A KR 1020210194518 A KR1020210194518 A KR 1020210194518A KR 20210194518 A KR20210194518 A KR 20210194518A KR 20230103562 A KR20230103562 A KR 202301035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panel
belt
moving
unit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945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승희
이효성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1945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03562A/ko
Priority to US17/986,394 priority patent/US20230217611A1/en
Priority to CN202211423366.0A priority patent/CN116416862A/zh
Publication of KR202301035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0356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2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sliding enclosures, e.g. sliding keyboard or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의 일 단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승강부는 표시 패널의 타 단이 고정되는 고정부, 고정부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이동부와 연결되어 이동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모터 및 이동부에 고정되고, 표시 패널의 일 단이 고정되는 패널 연결 블록을 포함한다. 이에 따라, 표시 패널의 슬라이딩 동작을 용이하게 할 수 있고, 펼쳐진 표시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슬라이딩 되어도 화상 표시가 가능한 슬라이더블(Slidable)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모니터나 TV, 핸드폰 등에 사용되는 표시 장치에는 스스로 광을 발광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OLED) 등과 별도의 광원을 필요로 하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등이 있다.
표시 장치는 컴퓨터의 모니터 및 TV 뿐만 아니라 개인 휴대 기기까지 그 적용 범위가 다양해지고 있으며, 넓은 표시 면적을 가지면서도 감소된 부피 및 무게를 갖는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플렉서블(flexible) 소재인 플라스틱 등과 같이 유연성 있는 기판에 표시부, 배선 등을 형성하여, 돌돌 말아도 화상 표시가 가능하게 제조되는 롤러블 표시 장치, 패널을 인출 및 삽입할 수 있는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 등이 차세대 표시 장치로 주목받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표시 패널을 확장시켜 일정 방향으로의 표시 영역을 확장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안정적이면서도 효율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또 다른 과제는 표시 패널이 외부로 노출되는 가변 면적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의 일 단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승강부는 표시 패널의 타 단이 고정되는 고정부, 고정부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이동부와 연결되어 이동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모터 및 이동부에 고정되고, 표시 패널의 일 단이 고정되는 패널 연결 블록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모터, 벨트 및 슬라이딩 구조 등을 이용하여 표시 패널을 확장하여 표시 영역을 가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표시 패널이 외부로 노출되는 가변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고, 펼쳐진 플렉서블 표시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확장 또는 축소되는 플렉서블 표시 패널이 처짐없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면서 표시 영역의 면적을 가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발명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의 배면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승강부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승강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승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승강부의 고정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승강부의 이동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승강부의 패널 연결 블록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승강부의 직선 운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에 개시된 형상, 면적, 비율, 각도, 개수 등은 예시적인 것이므로 본 발명이 도시된 사항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 상에서 언급된 '포함한다', '갖는다', '이루어진다' 등이 사용되는 경우 '~만'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다른 부분이 추가될 수 있다. 구성 요소를 단수로 표현한 경우에 특별히 명시적인 기재 사항이 없는 한 복수를 포함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구성 요소를 해석함에 있어서, 별도의 명시적 기재가 없더라도 오차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한다.
위치 관계에 대한 설명일 경우, 예를 들어, '~상에', '~상부에', '~하부에', '~옆에' 등으로 두 부분의 위치 관계가 설명되는 경우, '바로' 또는 '직접'이 사용되지 않는 이상 두 부분 사이에 하나 이상의 다른 부분이 위치할 수도 있다.
소자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 "위 (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제 1, 제 2 등이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 1 구성 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 2 구성 요소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면적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도시된 구성의 면적 및 두께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들의 각각 특징들이 부분적으로 또는 전체적으로 서로 결합 또는 조합 가능하고, 기술적으로 다양한 연동 및 구동이 가능하며, 각 실시예들이 서로에 대하여 독립적으로 실시 가능할 수도 있고 연관 관계로 함께 실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표시 장치 -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는 슬라이딩 되어도 화상 표시가 가능한 표시 장치로 지칭될 수 있다.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는 종래의 일반적인 표시 장치와 비교하여 높은 플렉서빌리티를 가질 수 있다.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의 사용 유무에 따라,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는 형상이 자유롭게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때,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를 슬라이딩시켜 노출되는 패널의 면적을 감소시켜 보관할 수 있다. 반대로,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를 사용할 때, 슬라이딩된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를 다시 펼쳐 사용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먼저,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표시부(DP) 및 하우징부(HP)를 포함한다.
표시부(DP)는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구성으로, 예를 들어, 표시 소자와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 배선 및 부품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이므로, 표시부(DP)는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부(DP)는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플렉서빌리티(flexibility)를 갖는 표시 패널, 백커버 및 복수의 백바로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DP)에 대한 보다 상세한 설명은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하우징부(HP)는 표시부(DP)가 수납될 수 있는 케이스이다. 표시부(DP)는 슬라이딩되어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될 수 있고, 표시부(DP)는 슬라이딩되어 하우징부(HP)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부(HP)는 상부 프레임(F1), 하부 프레임, 전면 프레임(F2), 후면 프레임 및 측면 프레임(F3)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부(HP)의 측면 프레임(F3)은 승강부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레일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이에, 표시부(DP)의 상승 또는 하강 시에 흔들림이 방지될 수 있다. 표시부(DP)는 승강부 및 하우징부(HP)의 측면 프레임(F3)의 슬라이딩에 따라 외부에 표시되는 면적이 가변될 수 있다.
즉, 표시부(DP)는 후술할 승강부의 이동부가 최하에 위치하는 경우, 하우징부(HP)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표시 영역(AA1) 및 이동부의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이 가변되는 제2 표시 영역(AA2)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서는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최대로 축소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최대로 축소된 상태는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의 제1 표시 영역(AA1)만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 즉, 사용자가 와이드하게 영상을 시청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는 표시부(DP)의 전체 영역이 하우징부(HP)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것이 외관 측면에서 유리하므로, 표시부(DP)가 슬라이딩되어 하우징부(HP) 내부에 최대로 수납된 상태를 최대로 축소된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DP)가 최대로 축소된 상태인 경우, 표시 장치(100)의 필요한 최소의 표시 영역만을 노출하면서도 부피가 작고, 운반이 용이할 수 있다.
도 1b에서는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가 최대로 확장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며, 최대로 확장된 상태는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의 최소 영역이 하우징부(HP) 내부에 수납되고, 제1 표시 영역(AA1) 및 제2 표시 영역(AA2) 모두 외부로 노출된 상태이다. 즉, 사용자가 표시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기 위해, 표시부(DP)가 슬라이딩되어 하우징부(HP) 외부에 최대한 배치되고, 더 이상 슬라이딩할 수 없는 상태를 최대로 확장된 상태로 정의할 수 있다.
<표시부>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부의 배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100)의 표시부(DP)는 복수의 백바(110), 백커버(111), 표시 패널(120),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을 포함한다.
표시 패널(120)은 사용자에게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패널이다. 표시 패널(120)은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소자, 표시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소자, 및 표시 소자 및 구동 소자로 각종 신호를 전달하는 배선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표시 소자는 표시 패널(120)의 종류에 따라 상이하게 정의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 표시 소자는 애노드,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120)이 액정 표시 패널인 경우, 표시 소자는 액정 표시 소자일 수 있다. 또한, 표시 패널(120)이 LED를 포함하는 발광 표시 패널인 경우, 표시 소자는 LED일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표시 패널(12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인 것으로 가정하지만, 표시 패널(120)이 유기 발광 표시 패널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이므로, 표시 패널(120)은 슬라이딩되기 위해 플렉서블 표시 패널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20)은 표시 영역(AA) 및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한다.
표시 영역(AA)은 표시 패널(120)에서 영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AA)에는 복수의 화소를 구성하는 복수의 서브 화소 및 복수의 서브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회로가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서브 화소는 표시 영역(AA)을 구성하는 최소 단위로,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 표시 소자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서브 화소 각각에는 애노드, 유기 발광층 및 캐소드를 포함하는 유기 발광 소자가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복수의 서브 화소를 구동하기 위한 회로에는 구동 소자 및 배선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는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게이트 배선, 데이터 배선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리고 앞서 설명하였듯이, 표시 영역(AA)은 승강부의 이동부가 최하 위치하는 경우 하우징부(HP)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표시 영역(AA1) 및 이동부의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이 가변되는 제2 표시 영역(AA2)을 포함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영상이 표시되지 않는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AA)의 외곽을 둘러싸도록 된다. 비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의 유기 발광 소자를 구동하기 위한 다양한 배선 및 회로 등이 배치된다. 예를 들어, 비표시 영역(NA)에는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회로로 신호를 전달하기 위한 링크 배선 또는 게이트 드라이버 IC,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같은 구동 IC 등이 배치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플렉서블 필름(130)은 연성을 가진 베이스 필름에 각종 부품이 배치된 필름이다. 플렉서블 필름(130)의 연성을 가져 일부 영역이 연성 영역(MA)과 함께 롤러부에 와인딩 또는 언와인딩될 수 있다. 플렉서블 필름(130)은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회로로 신호를 공급하며, 표시 패널(12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플렉서블 필름(130)은 표시 패널(120)의 비표시 영역(NA)의 일단에 배치되어 전원 전압, 데이터 전압 등을 표시 영역(AA)의 복수의 서브 화소 및 회로로 공급한다. 도 2에 도시된 플렉서블 필름(130)의 개수는 예시적인 것이며, 플렉서블 필름(130)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플렉서블 필름(130)에도, 예를 들어, 게이트 드라이버 IC, 데이터 드라이버 IC와 같은 구동 IC가 배치될 수 있다. 구동 IC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데이터와 이를 처리하기 위한 구동 신호를 처리하는 부품이다. 구동 IC는 실장되는 방식에 따라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COG), 칩 온 필름(Chip On Film; COF), 테이프 캐리어 패키지(Tape Carrier Package; TCP) 등의 방식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동 IC가 플렉서블 필름(130) 상에 실장된 칩 온 필름 방식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인쇄 회로 기판(140)은 플렉서블 필름(130)의 일단에 배치되어 플렉서블 필름(130)과 연결된다. 인쇄 회로 기판(140)은 구동 IC에 신호를 공급하는 부품이다. 인쇄 회로 기판(140)은 구동 신호, 데이터 신호 등과 같은 다양한 신호를 구동 IC로 공급한다. 인쇄 회로 기판(140)에는 각종 부품이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140)에는 타이밍 컨트롤러, 전원부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도 2에서는 인쇄 회로 기판(140)이 1개인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인쇄 회로 기판(140)의 개수는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인쇄 회로 기판(140)과 연결되는 추가 인쇄 회로 기판이 더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쇄 회로 기판(140)은 데이터 구동부가 실장되는 소스 인쇄 회로 기판(Source PCB; S-PCB)으로 지칭될 수 있고, 인쇄 회로 기판(140)과 연결되는 추가 인쇄 회로 기판은 타이밍 컨트롤러 등이 실장되는 컨트롤 인쇄 회로 기판(Control PCB; C-PCB)으로 지칭될 수 있다. 추가 인쇄 회로 기판은 롤러부 내에 배치될 수도 있고, 롤러부 외부에서 하우징부(HP) 내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백커버(111)는 표시 패널(120)의 배면에 배치되어, 표시 패널(120), 적어도 하나의 플렉서블 필름(130) 및 인쇄 회로 기판(140)을 지지할 수 있다. 백커버(111)의 크기는 표시 패널(120)의 크기보다 클 수 있고, 외부로부터 표시부(DP)의 다른 구성을 보호할 수 있다.
백커버(111)는 강성을 가지는 물질로 형성되나, 백커버(111)의 적어도 일부분은 표시 패널(120)과 함께 슬라이딩되기 위해 플렉서빌리티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커버(111)는 SUS(Steel Use Stainless) 또는 인바(Invar) 등의 금속 재질 또는 플라스틱 등의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백커버(111)의 물질은 열 변형량, 곡률 반경, 강성 등의 물성 조건을 만족한다면, 설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백커버(111)는 복수의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고, 복수의 개구부는 슬라이딩되는 방향과 수직하는 "?향?* 폭이 슬라이딩되는 방향의 폭보다 클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백바(110)가 표시 패널(120) 및 백커버(111)의 배면에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백바(110)는 표시 패널(120) 및 백커버(111)를 지지할 수 있고, 표시 패널(120)이 슬라이딩될 때 백바(110)의 지지력으로 표시 패널(120)을 지지하며 표시 패널(120)의 스크래치와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복수의 백바(110)는 에이프런(apron)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복수의 백바(110)는 플라스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복수의 백바(110)는 별도의 접착층, 폼 테이프(foam tape)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서는 표시 패널(120)의 배면에 백커버(111) 및 복수의 백바(110)가 배치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표시 패널(120)의 배면에 복수의 백바(110)만이 배치될 수도 있고, 백커버(111)만이 배치될 수도 있다.
<승강부의 결합 구조>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승강부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승강부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패널(120)에 대한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4a, 도 5a 및 도 6a는 승강부(150)의 이동부(170)가 최하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대한 도면이고, 도 4b, 도 5b 및 도 6b는 승강부(150)의 이동부(170)가 최상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대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는 승강부(150), 가이드 드럼(GD) 및 고정 블록(B1, B2)을 더 포함한다.
승강부(150)는 표시 패널(120)의 일 단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켜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 고정부(160), 이동부(170), 패널 연결 블록(180) 및 모터(190)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60)는 표시 패널(120) 및 승강부(150)가 표시 장치(100)에 고정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즉, 고정부(160)는 표시 장치(100)의 하우징부(HP)의 하부 프레임(F4)에 고정될 수 있고, 바 형상의 제1 고정 블록(B1)이 중앙부에 체결되어 있어, 표시 패널(120)의 타 단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고정부(160)는 타 단이 하우징부(HP)의 하부 프레임(F4)에 고정되고, 일 단이 승강부(150)의 이동부(170)와 체결될 수 있어, 승강부(150)의 상하 운동시에도, 고정부(160)는 움직임 없이 고정되어 승강부(150)의 다른 구성요소들이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다. 고정부(160)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7 및 도 8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승강부(150)의 이동부(170)는 고정부(160)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직선 운동을 함으로써 표시 패널(120)의 끝단을 이동시킬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이동부(170)의 일 단은 고정부(160)에 연결되고, 타 단은 패널 연결 블록(18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이동부(170)에는 모터(190)가 연결되어 있어, 모터(190)의 회전에 따라 이동부(170)가 직선 운동을 하고 표시 패널(120)의 끝단이 상하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동부(170)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7,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승강부(150)의 패널 연결 블록(180)은 표시 패널(120)이 승강부(150)에 고정될 수 있는 기능을 한다. 즉, 패널 연결 블록(180)의 일 단은 승강부(150)의 이동부(170)에 연결되고, 패널 연결 블록(180)의 타 단은 표시 패널(120)의 끝 단에 배치되는 백커버(111)와 제2 고정 블록(B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부(150)의 직선 운동시 패널 연결 블록(180)도 함께 수직 방향으로 이동하여, 표시 패널(120)의 끝단을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패널 연결 블록(180)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도 7,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여 자세히 후술하기로 한다.
가이드 드럼(GD)은 승강부(150)의 이동부(170)의 끝 단에 배치되고, 이동부(170)의 직선 운동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표시 패널(120)을 지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표시 장치(100)와 같은 슬라이딩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20)이 플렉서빌리티를 가지고 있으므로, 슬라이딩 동작 과정에서 구겨짐 없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표시 패널(120)을 지지할 수 있는 장치가 필요하다. 가이드 드럼(GD)은 승강부(150)의 이동부(170)의 상부에서 승강부(150)의 상하 운동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가로로 길게 배치되고, 고정 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고정 롤러는 원통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고정 롤러의 단면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승강부(150)의 상하 운동시, 가이드 드럼(GD)도 승강부(150)와 함께 승하강할 수 있다. 이때, 가이드 드럼(GD)이 지지대의 기능을 함으로써 표시 패널(120)은 가이드 드럼(GD)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즉 표시 패널(120)은 가이드 드럼(GD)의 둘레를 따라 팽팽하게 슬라이딩될 수 있다.
고정 블록(B1, B2)는 제1 고정 블록(B1) 및 제2 고정 블록(B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 블록(B1)은 승강부(150)의 고정부(16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제2 고정 블록(B2)은 승강부(150)의 패널 연결 블록(180)의 최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 블록(B1, B2)은 표시 패널(120)의 양 끝단을 고정시키기 위해 배치된다. 이에 따라, 제1 고정 블록(B1)은 표시 패널(120)의 타 단을 승강부(150)의 고정부(160)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부(160)에 연결된 바(bar)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고정 블록(B2)은 표시 패널(120)의 일 단을 승강부(150)의 패널 연결 블록(180)에 고정하기 위해 패널 연결 블록(180)에 연결된 바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1 고정 블록(B1)은 표시 패널(120)의 인쇄 회로 기판(140) 또는 백커버(111)가 제1 고정 블록(B1)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표시 패널(120)의 타 단이 승강부(150)의 고정부(160)에 고정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다. 제2 고정 블록(B2)은 백커버(111)가 제2 고정 블록(B2)에 의해 고정됨에 따라 표시 패널(120)의 일 단이 승강부(150)의 패널 연결 블록(180)에 고정될 수 있는 기능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승강부(150)의 상하 방향의 직선 운동을 수행함으로써, 표시 패널(120)이 슬라이딩 될 수 있도록 유도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7 내지 도 9b를 참조하여 승강부(15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승강부의 구성>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승강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승강부의 고정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승강부의 이동부에 대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승강부의 패널 연결 블록에 대한 확대도이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승강부(150)는 고정부(160), 이동부(170), 패널 연결 블록(180) 및 모터(19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승강부(150)의 고정부(160)는 제1 베이스부(161), 제1 레일부(162) 및 제1 벨트 체결부(163)를 포함할 수 있다.
고정부(160)의 제1 베이스부(161)는 하우징부(HP)의 하부 프레임(F4)에 고정되는 지지체로서, 제1 레일부(162)를 배면에서 지지하고, 고정부(160)의 흔들림 및 비틀림 등을 제한하여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161)는 승강부(150)의 최대 높이의 절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고정부(160)의 제1 레일부(162)와 제1 벨트 체결부(163)가 연결되어 고정된다.
제1 레일부(162)는 제1 베이스부(161)의 일 면에 고정되어 일직선 상으로 설치된다. 승강부(150)의 이동부(170)는 제1 레일부(162)를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레일부(162)는 가이드 레일일 수 있고, 제1 레일부(162)는 제1 베이스부(161)의 일 면과 연결되어 고정된다. 제1 레일부(162)는 제1 베이스부(161)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두 개의 가이드 레일이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며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제1 레일부(162)는 제1 레일부(162)와 연동될 수 있는 제2 레일부(172)를 포함하는 이동부(170)의 이동 경로를 결정한다. 즉, 이동부(170)는 제1 레일부(162)의 궤적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제1 벨트 체결부(163)은 고정부(160)의 제1 베이스부(161)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이동부(170)에 포함되는 벨트(175)에 체결될 수 있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제1 벨트 체결부(163)에는 벨트(175)에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벨트 체결부(163)와 벨트(175)의 체결 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체결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벨트 체결부(163)가 고정부(160)에 고정된 상태로, 이동부(170)의 벨트(175)와 체결되어 있으므로, 제1 벨트 체결부(163)는 모터(190)의 회전력에 의한 벨트(175)의 운동에 동기화될 수 있다. 즉, 모터(190)의 회전으로 벨트(175)가 회전할 시, 제1 벨트 체결부(163)도 함께 이동되나 제1 벨트 체결부(163)와 연결되는 제1 베이스부(161)는 하부 프레임(F4)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상대적인 힘으로 벨트(175)를 포함하는 이동부(170)가 승강하게 된다.
다음으로, 모터(190)는 이동부(170)에 고정될 수 있다. 모터(190)는 별도의 외부 전원 또는 내장 배터리 등과 같은 전원 생성부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다. 모터(190)는 전기 에너지를 이용하여 회전 동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회전 동력을 연결축(173)에 전달하여 이동부(170)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모터(190)는 이동부(170)에 고정되므로, 이동부(170)의 상하 운동과 함께 승하강될 수 있다.
도 7, 도 9a 및 도 9b를 참조하면, 승강부(150)의 구성 요소 중 이동부(170)는 제2 베이스부(171), 제2 레일부(172), 연결축(173), 벨트 풀리(174a, 174b), 벨트(175), 이탈 방지 부재(177a, 177b), 유격 부재(178a, 178b), 모터 고정부(179) 및 제3 레일부(176)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70)의 제2 베이스부(171)는 모터(190)가 고정되는 이동부(170)의 지지체이다. 제2 베이스부(171)는 제2 레일부(172)와 제3 레일부(176) 사이에 배치되어, 제3 레일부(176)를 배면에서 지지하고, 이동부(170)의 흔들림 및 비틀림 등을 제한하여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171)는 승강부(150)의 최대 높이의 절반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이동부(170)의 제2 레일부(172), 제3 레일부(176) 및 연결축(173)이 연결되어 고정된다.
이동부(170)의 제2 레일부(172)는 제2 베이스부(171)의 배면 즉, 고정부(160)에 인접한 하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고정부(160)의 제1 레일부(162)와 연동된다. 제2 레일부(172)는 고정부(160)의 제1 레일부(162)와 레일 결합되어야 하므로, 이동부(170)가 고정부(160)에 대하여 수직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때 가이드 기능을 하는 레일 구조를 포함한다. 즉, 제2 레일부(172)는 제1 레일부(162)와 결합되는 다수의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레일부(162)가 도 7과 같이 두 개의 레일이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경우, 제2 레일부(172)는 제1 레일부(162)의 두 개의 레일이 결합될 수 있도록 두 개의 홈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제2 레일부(172)는 제1 레일부(162)와 연동되기만 하면 되므로, 제2 베이스부(171)보다 짧은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이동부(170)의 연결축(173)은 제2 베이스부(171)에 고정되어 모터(190)와 제1 벨트 풀리(174a)와 연결될 수 있다. 이동부(170)의 연결축(173), 벨트 풀리(174a, 174b) 및 벨트(175)는 모터(190)와 연결되어 모터(190)로부터의 회전 운동을 직선 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다. 연결축(173)은 모터(190)로부터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을 수행한다. 연결축(173)에 체결된 벨트 풀리(174a, 174b)도 모터(19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결축(173)을 기준으로 회전 운동을 수행하고, 이에 따라 벨트(175)가 연결축(173)의 회전 운동에 대응하여 벨트 풀리(174a, 174b)를 따라 회전할 수 있다.
연결축(173)은 제2 베이스부(171)를 관통하도록 고정되나, 회전 가능하게 체결된다. 따라서, 연결축(173)은 회전축을 기준으로 한 회전 운동 외의 움직임이 제한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모터(190) 및 연결축(173)의 회전 운동이 용이할 수 있도록 이동부(170)는 모터 고정부(17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모터 고정부(179)는 제2 베이스부(171) 및 연결축(173)과 모터(190)사이에 배치되어, 모터(190)가 승강부(150)의 이동부(170)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켜준다.
이동부(170)는 벨트(175)와 벨트(175)를 이동시키기 위해 회전하는 벨트 풀리(174a, 174b)를 포함한다. 벨트 풀리(174a, 174b)는 제2 베이스부(171)에 회전 가능하도록 고정되는데, 이러한 벨트 풀리(174a, 174b)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지며, 제2 베이스부(171)의 양 끝단에 배치되어 벨트(175)로 연결된다. 이때 한 쌍의 벨트 풀리(174a, 174b)는 각각 제1 벨트 풀리(174a), 제2 벨트 풀리(174b)로 지칭될 수 있다. 제1 벨트 풀리(174a)는 연결축(173)과 연결되고, 제2 벨트 풀리(174b)는 제1 벨트 풀리(174a)와 연동되어 회전한다. 예를 들어, 벨트 풀리(174a, 174b)의 외측면에는 톱니가 형성되고, 벨트(175)의 내측면에는 벨트 풀리(174a, 174b)의 톱니와 맞물리도록 홈이 형성될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벨트 풀리(174a, 174b)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연결축(173)으로부터 모터(190)의 회전력을 전달받고, 벨트(175)는 벨트 풀리(174a, 174b)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회전 운동을 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벨트 풀리(174a) 및 제2 벨트 풀리(174b)에는 벨트(175)가 감겨져, 모터(190)가 일 방향으로 회전하면 벨트 풀리(174a, 174b)에 의해 벨트(175)에 동력이 전달되고, 벨트(175)와 결합된 제1 벨트 체결부(163) 및 제2 벨트 체결부(183)로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1 벨트 체결부(163) 및 제2 벨트 체결부(183)가 이동하여 이동부(170) 및 패널 연결 블록(180)이 이동된다.
추가적으로, 벨트 풀리(174a, 174b) 및 벨트(175)의 회전 운동이 용이할 수 있도록 이동부(170)는 이탈 방지 부재(177a, 177b) 및 유격 부재(178a, 178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 방지 부재(177a, 177b)는 벨트(175)의 측면에서 제1 벨트 풀리(174a) 및 제2 벨트 풀리(174b) 제1 이탈 방지 부재(177a) 및 제2 이탈 방지 부재(177b)가 체결될 수 있다. 이탈 방지 부재(177a, 177b)가 벨트(175) 및 벨트 풀리(174a, 174b)의 측면에 배치됨으로써 벨트(175)의 이탈 없이 안정적으로 벨트(175)가 회전할 수 있다. 또한 유격 부재(178a, 178b)는 벨트 풀리(174a, 174b)와 제2 베이스부(171) 사이에 배치되어, 벨트(175)의 회전 운동 시 움직임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제2 베이스부(171)로부터 이격시켜주는 기능을 한다. 유격 부재(178a, 178b)는 제1 벨트 풀리(174a)와 접하는 제1 유격 부재(178a) 및 제2 벨트 풀리(174b)와 접하는 제2 유격 부재(178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부(170)의 제3 레일부(176)는 제2 베이스부(171)의 일 면에 고정되어 일직선 상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승강부(150)의 패널 연결 블록(180)이 제3 레일부(176)을 따라 슬라이딩하여 이동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레일부(176)는 가이드 레일일 수 있고, 제3 레일부(176)는 제2 베이스부(171)의 일 면과 연결되어 고정된다. 제3 레일부(176)는 제2 베이스부(171)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두 개의 레일이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며 배치된 형태일 수 있다. 제3 레일부(176)는 제3 레일부(176)와 연동될 수 있는 제4 레일부(182)를 포함하는 패널 연결 블록(180)의 이동 경로를 결정한다. 즉, 패널 연결 블록(180)은 제3 레일부(176)의 궤적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직선 운동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7, 도 10a 및 도 10b를 참조하면, 승강부(150)의 구성 요소 중 패널 연결 블록(180)은 제3 베이스부(181), 제4 레일부(182) 및 제2 벨트 체결부(183)를 포함할 수 있다.
패널 연결 블록(180)의 제3 베이스부(181)는 표시 패널(120)의 끝단이 연결되는 패널 연결 블록(180)의 지지체이다. 제3 베이스부(181)는 제4 레일부(182)를 지지하고, 패널 연결 블록(180)의 흔들림 및 비틀림 등을 제한하여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3 베이스부(181)는 제4 레일부(182)에 대응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며, 패널 연결 블록(180)의 제4 레일부(182) 및 제2 벨트 체결부(183)등이 연결되어 고정된다. 추가적으로, 패널 연결 블록(180)에는 백커버(111)가 고정되는 바 형상의 제2 고정 블록(B2)이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널 연결 블록(180)이 상하 방향으로 수직 운동하면서, 패널 연결 블록(180)에 연결된 제2 고정 블록(B2) 및 표시 패널(120)이 승강할 수 있다.
패널 연결 블록(180)의 제4 레일부(182)는 제3 베이스부(181)의 배면 즉, 이동부(170)에 인접한 하면에 고정되도록 배치되어, 이동부(170)의 제3 레일부(176)에 연동된다. 제4 레일부(182)는 이동부(170)의 제3 레일부(176)과 레일 결합되어야 하므로, 패널 연결 블록(180)이 이동부(170)에 대하여 슬라이딩 이동될 때 가이드 기능을 하는 레일 구조를 포함한다. 즉, 제4 레일부(182)는 제3 레일부(176)의 돌출부가 결합되는 다수의 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3 레일부(176)가 도 7과 같이 두 개의 레일이 평행한 방향으로 서로 대향하도록 배치된 경우, 제4 레일부(182)는 제3 레일부(176)의 두 개의 레일이 결합될 수 있도록 두 개의 홈을 구비할 수 있다. 다만, 제4 레일부(182)는 제3 레일부(17)와 연동되기 위해 배치되는 장치이므로, 제1 베이스부(161) 및 제2 베이스부(171)에 대응하는 길이만큼 길게 설치될 필요는 없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벨트 체결부(183)는 패널 연결 블록(180)의 제3 베이스부(181)의 일 측면에 배치되어, 이동부(170)에 포함되는 벨트(175)에 체결될 수 있다. 제2 벨트 체결부(183)에는 벨트(175)에 블록이 체결될 수 있도록 체결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2 벨트 체결부(183)와 벨트(175)의 체결 방식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제2 벨트 체결부(183)가 패널 연결 블록(180)에 고정된 상태로, 이동부(170)의 벨트(175)와 체결되어 있으므로, 제2 벨트 체결부(183)는 모터(190)의 회전력에 의한 벨트(175)의 운동에 동기화될 수 있다. 즉, 모터(190)의 회전으로 벨트(175)가 이동될 시, 제3 벨트 체결부(183)도 함께 이동되므로, 패널 연결 블록(180)이 승강하게 된다.
<승강부의 슬라이딩 작동>
도 11a 및 도 1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전면 사시도이다. 도 12a 및 도 12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11a 내지 도 12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표시 장치(100)의 다양한 구성 요소 중 표시 패널(120), 백커버(111), 플렉서블 필름(130), 인쇄 회로 기판(140), 가이드 드럼(GD) 및 승강부(150)만을 도시하였다. 도 11a 및 도 12a는 승강부(150)의 이동부(170)가 최하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대한 도면이고, 도 11b 및 도 12b는 승강부(150)의 이동부(170)가 최상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에 대한 도면이다.
도 11a 및 도 12a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20)의 끝단이 최하 위치에 있는 경우, 승강부(150)의 이동부(170)는 고정부(160)와 중첩되어 있고, 패널 연결 블록(180)은 고정부(160)의 끝단에 배치된다. 즉, 표시 패널(120)의 끝단이 최하 위치에 있는 경우, 승강부(150)의 이동부(170) 및 패널 연결 블록(180)은 가장 낮은 높이를 갖는다.
도 11b 및 도 12b를 참조하면, 표시 패널(120)의 끝단이 최상 위치에 있는 경우, 이동부(170)는 고정부(160)와 최대로 중첩하지 않도록 승강되어 있으며, 패널 연결 블록(180)은 이동부(170)의 끝단에 배치된다. 즉, 표시 패널(120)의 끝단이 최상 위치에 있는 경우, 승강부(150)의 이동부(170) 및 패널 연결 블록(180)은 가장 높은 높이를 갖는다.
도 11a 내지 도 12b를 참조하면, 모터(190)의 작동으로 승강부(150)의 승하강에 의해 표시 패널(120)이 슬라이딩된다.
먼저, 모터(190)의 회전 시, 연결축(173), 제1 벨트 풀리(174a), 제2 벨트 풀리(174b)에 의해 벨트(175)가 회전하여 이동부(170)의 제2 레일부(172)가 고정부(160)의 제1 레일부(162)를 따라 직선 운동한다. 즉, 모터(190)가 회전하면 연결축(173)이 회전하고, 연결축(173)이 회전하면 제1 벨트 풀리(174a) 및 제2 벨트 풀리(174b)가 회전하고, 제1 벨트 풀리(174a) 및 제2 벨트 풀리(174b)가 회전하면 벨트(175)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고정부(160)의 제1 벨트 체결부(163)가 벨트(175)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벨트(175)의 회전에 의해 이동부(170)의 제2 레일부(172)가 고정부(160)의 제1 레일부(162)를 따라 직선 운동하게 된다. 이에, 최종적으로 이동부(170)가 고정부(160)를 기준으로 상하 운동하게 된다.
동시에, 모터(190)의 회전 시, 패널 연결 블록(180)의 제4 레일부(182)가 이동부(170)의 제3 레일부(176)을 따라 직선 운동한다. 구체적으로, 모터(190)가 회전하면 연결축(173)이 회전하고, 연결축(173)이 회전하면 제1 벨트 풀리(174a) 및 제2 벨트 풀리(174b)가 회전하고, 제1 벨트 풀리(174a) 및 제2 벨트 풀리(174b)가 회전하면 벨트(175)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패널 연결 블록(180)의 제2 벨트 체결부(183)가 벨트(175)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벨트(175)의 회전에 의해 패널 연결 블록(180)의 제4 레일부(182)가 이동부(170)의 제3 레일부(176)를 따라 직선 운동하게 된다. 이에, 최종적으로 패널 연결 블록(180)이 이동부(170)를 기준으로 상하 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고정부(160)에 대해 이동부(170) 및 패널 연결 블록(180)이 동시에 상승 또는 하강하고, 패널 연결 블록(180)에 제2 고정 블록(B2)을 통해 연결되는 표시 패널(120)의 끝단 및 승강부(150) 상부에 배치되는 가이드 드럼(GD)이 상승 또는 하강하여, 결국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 패널(120)의 표시 영역(AA)의 면적이 가변된다.
이하에서는, 보다 구체적인 승강부(15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해 도 13을 함께 참조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승강부의 직선 운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승강부(150)의 다양한 구성 요소 중 고정부(160), 이동부(170) 및 패널 연결 블록(180)만을 간단히 도시하였다.
먼저, 이동부(170) 및 패널 연결 블록(180)의 상승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11a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의 좌측 상태와 같이 표시 패널(120)의 끝단부과 최하 위치에 있는 경우, 이동부(170) 및 패널 연결 블록(180) 둘 모두 최하 위치에 위치한다. 이동부(170) 및 패널 연결 블록(180)을 상승시키기 위해, 모터(190)를 회전시키는 경우, 모터(190)가 회전하면 연결축(173)이 회전하고, 연결축(173)이 회전하면 제1 벨트 풀리(174a) 및 제2 벨트 풀리(174b)가 회전하고, 제1 벨트 풀리(174a) 및 제2 벨트 풀리(174b)가 회전하면 벨트(175)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고정부(160)의 제1 벨트 체결부(163)가 벨트(175)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벨트(175)의 회전에 의해 이동부(170)의 제2 레일부(172)가 고정부(160)의 제1 레일부(162)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또한, 이동부(170)가 고정부(160)의 제1 레일부(162)를 따라 상승함과 동시에 모터(190)의 회전에 의해 패널 연결 블록(180)도 상승한다. 구체적으로, 모터(190)가 회전하면 연결축(173)이 회전하고, 연결축(173)이 회전하면 제1 벨트 풀리(174a) 및 제2 벨트 풀리(174b)가 회전하고, 제1 벨트 풀리(174a) 및 제2 벨트 풀리(174b)가 회전하면 벨트(175)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패널 연결 블록(180)의 제2 벨트 체결부(183)가 벨트(175)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벨트(175)의 회전에 의해 패널 연결 블록(180)의 제4 레일부(182)가 이동부(170)의 제3 레일부(176)를 따라 상승하게 된다.
이에, 모터(190)의 회전에 의해 이동부(170) 및 패널 연결 블록(180)가 각각 상승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부(160)의 위치 대비 이동부(170) 자체의 최대 상승 높이가 A라고 가정하면, 이동부(170)의 위치 대비 패널 연결 블록(180) 자체의 최대 상승 높이도 A일 수 있다. 이에, 모터(190)의 회전에 의해 이동부(170)가 고정부(160)의 위치 대비 A/2 만큼 상승하면, 동일하게 패널 연결 블록(180)도 이동부(170)의 위치 대비 A/2 만큼 상승하게 되어, 도 13의 가운데 상태와 같이 패널 연결 블록(180)은 고정부(160)의 위치 대비 A 만큼 상승하게 된다. 추가적인 모터(190)의 회전에 의해 이동부(170)가 고정부(160)의 위치 대비 A 만큼 상승하면, 동일하게 패널 연결 블록(180)도 이동부(170)의 위치 대비 A 만큼 상승하게 되어, 도 13의 우측 상태와 같이 패널 연결 블록(180)은 고정부(160)의 위치 대비 2A 만큼 상승하게 된다.
다음으로, 이동부(170) 및 패널 연결 블록(180)의 하강 과정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도 11a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의 우측 상태와 같이 표시 패널(120)의 끝단부과 최상 위치에 있는 경우, 이동부(170) 및 패널 연결 블록(180) 둘 모두 최상 위치에 위치한다. 이동부(170) 및 패널 연결 블록(180)을 하강시키기 위해, 모터(190)를 상승 과정과 반대로 회전시키는 경우, 모터(190)가 회전하면 연결축(173)이 회전하고, 연결축(173)이 회전하면 제1 벨트 풀리(174a) 및 제2 벨트 풀리(174b)가 회전하고, 제1 벨트 풀리(174a) 및 제2 벨트 풀리(174b)가 회전하면 벨트(175)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고정부(160)의 제1 벨트 체결부(163)가 벨트(175)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벨트(175)의 회전에 의해 이동부(170)의 제2 레일부(172)가 고정부(160)의 제1 레일부(162)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또한, 이동부(170)가 고정부(160)의 제1 레일부(162)를 따라 하강함과 동시에 모터(190)의 회전에 의해 패널 연결 블록(180)도 하강한다. 구체적으로, 모터(190)가 상승 과정과 반대로 회전하면 연결축(173)이 회전하고, 연결축(173)이 회전하면 제1 벨트 풀리(174a) 및 제2 벨트 풀리(174b)가 회전하고, 제1 벨트 풀리(174a) 및 제2 벨트 풀리(174b)가 회전하면 벨트(175)가 회전하게 된다. 이때, 패널 연결 블록(180)의 제2 벨트 체결부(183)가 벨트(175)의 특정 위치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벨트(175)의 회전에 의해 패널 연결 블록(180)의 제4 레일부(182)가 이동부(170)의 제3 레일부(176)를 따라 하강하게 된다.
이에, 모터(190)의 회전에 의해 이동부(170) 및 패널 연결 블록(180)가 각각 하강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고정부(160)의 위치 대비 이동부(170) 자체의 최대 상승 높이가 A라고 가정하면, 이동부(170)의 위치 대비 패널 연결 블록(180) 자체의 최대 상승 높이도 A일 수 있다. 이에, 모터(190)의 회전에 의해 이동부(170)가 고정부(160)의 위치 대비 A/2 만큼 하강하면, 동일하게 패널 연결 블록(180)도 이동부(170)의 위치 대비 A/2 만큼 하강하게 되어, 도 13의 가운데 상태와 같이 패널 연결 블록(180)은 고정부(160)의 위치 대비 A 만큼 하강하게 된다. 추가적인 모터(190)의 회전에 의해 이동부(170)가 고정부(160)의 위치 대비 A 만큼 하강하면, 동일하게 패널 연결 블록(180)도 이동부(170)의 위치 대비 A 만큼 하강하게 되어, 도 13의 좌측 상태와 같이 패널 연결 블록(180)은 고정부(160)의 위치 대비 2A 만큼 하강하게 된다.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에서는 표시 패널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를 작동시키기 위한 모터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일반적인 슬라이더블 표시 장치의 경우, 표시 패널의 이동 거리만큼 승강부를 이동시켜야 하였다. 따라서, 표시 패널의 표시 영역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동일하게 승강부를 이동시켜야 하므로, 표시 장치의 공간 활용이 어렵고 표시 장치 전체의 부피가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승강부(150)를 고정부(160), 이동부(170), 패널 연결 블록(180) 및 모터(190)로 구성하고, 이동부(170)의 벨트(175)에 고정부(160) 및 패널 연결 블록(180)이 체결되도록 함으로써, 표시 패널(120)이 표시 장치(10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면적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모터(190)의 회전에 의해 벨트(175)가 회전하면서, 이동부(170)가 고정부(160)에 대해 이동할 뿐만 아니라 표시 패널(120)의 끝단이 연결되는 패널 연결 블록(180) 또한 이동부(170)의 최하단에서 이동부(170)의 최상단으로 함께 이동한다. 이에 따라, 승강부(150)의 이동부(170)가 최하 위치에서 최상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표시 패널(120)의 끝단이 이동하는 거리는 이동부(170)의 이동 거리의 2 배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에서는 표시 패널(120)의 표시 영역(AA)의 가변 면적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다. 이동부(170)의 벨트(175)에 체결된 패널 연결 블록(180)에 표시 패널(120)의 끝단이 부착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0)의 경우, 종래의 표시 장치와 동일한 높이의 승강부(150)를 포함한다 하여도, 이동부(170)가 최하 위치에서 최상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표시 패널(120)의 끝단은 이동부(170)의 이동거리의 2배만큼 상승되므로, 표시 패널(120)이 외부로 노출되는 표시 영역(AA)의 가변 면적을 더 넓게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표시 장치는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및 표시 패널의 일 단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승강부는 표시 패널의 타 단이 고정되는 고정부, 고정부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이동부와 연결되어 이동부를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모터 및 이동부에 고정되고 표시 패널의 일 단이 고정되는 패널 연결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동부가 최하 위치에서 최상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패널 연결 블록의 이동거리는 이동부의 이동 거리의 2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고정부는 제1 베이스부, 제1 베이스부의 일 면에 배치되 제1 레일부 및 제1 베이스부에 고정된 제1 벨트 체결부를 포함하고, 이동부는 제2 베이스부, 제2 베이스부의 일 면에 배치되고, 제1 레일부와 연동된 제2 레일부, 모터와 연결되는 연결축, 연결축과 연결된 제1 벨트 풀리, 제1 벨트 풀리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2 벨트 풀리, 제1 벨트 풀리와 제2 벨트 풀리에서 회전하고, 제1 벨트 체결부에 일부가 연결된 벨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모터가 회전시, 연결축, 제1 벨트 풀리 및 제2 벨트 풀리에 의해 벨트가 회전하여 제2 레일부가 제1 레일부를 따라 직선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동부는 제2 베이스부의 타 면에 배치되는 제3 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패널 연결 블록은 제3 베이스부, 제3 베이스부의 일 면에 배치되고 제3 레일부와 연동된 제4 레일부 및 제3 베이스부에 고정된 제2 벨트 체결부를 포함하고, 벨트는 제2 벨트 체결부에 일부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모터가 회전시, 연결축, 제1 벨트 풀리 및 제2 벨트 풀리에 의해 벨트가 회전하여, 제4 레일부가 제3 레일부를 따라 직선 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이동부의 끝단에 배치되고, 이동부의 직선 운동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가이드 드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의 타 단을 고정부에 고정하기 위해 고정부에 연결된 바(bar) 형상의 제1 고정 블록 및 표시 패널의 일 단을 패널 연결 블록에 고정하기 위해 패널 연결 블록에 연결된 바 형상의 제2 고정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 배면에 배치된 백커버를 더 포함하고, 표시 패널은 표시 패널의 타 단에 연결된 플렉서블 필름 및 플렉서블 필름과 연결된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인쇄 회로 기판 또는 백커버가 제1 고정 블록에 의해 고정됨에 의해 표시 패널의 타 단이 고정부에 고정되고, 백커버가 제2 고정 블록에 의해 고정됨에 의해, 표시 패널의 일 단이 패널 연결 블록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 및 승강부를 수납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하우징부는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전면 프레임, 후면 프레임 및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측면 프레임은 승강부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표시 패널은 이동부가 최하 위치하는 경우 하우징부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표시 영역 및 이동부의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이 가변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제한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표시 장치
DP: 표시부
HP: 하우징부
AA: 표시 영역
NA: 비표시 영역
AA1: 제1 표시 영역
AA2: 제2 표시 영역
F1: 상부 프레임
F2: 전면 프레임
F3: 측면 프레임
F4: 하부 프레임
B1: 제1 고정 블록
B2: 제2 고정 블록
GD: 가이드 드럼
110: 복수의 백바
111: 백커버
120: 표시 패널
130: 플렉서블 필름
140: 인쇄 회로 기판
150: 승강부
160: 고정부
161: 제1 베이스부
162: 제1 레일부
163: 제1 벨트 체결부
170: 이동부
171: 제2 베이스부
172: 제2 레일부
173: 연결축
174a: 제1 벨트 풀리
174b: 제2 벨트 풀리
175: 벨트
176: 제3 레일부
177a: 제1 이탈 방지 부재
177b: 제2 이탈 방지 부재
178a: 제1 유격 부재
178b: 제2 유격 부재
179: 모터 고정부
180: 패널 연결 블록
181: 제3 베이스부
182: 제4 레일부
183: 제2 벨트 체결부
190: 모터

Claims (11)

  1.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단을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고,
    상기 승강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타 단이 고정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를 기준으로 상하 방향으로 이동하는 이동부, 상기 이동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동부를 상하 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 모터 및 상기 이동부에 고정되고,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단이 고정되는 패널 연결 블록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가 최하 위치에서 최상 위치로 이동하는 경우, 상기 패널 연결 블록의 이동 거리는 상기 이동부의 이동 거리의 2배인,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제1 베이스부, 상기 제1 베이스부의 일 면에 배치된 제1 레일부 및 상기 제1 베이스부에 고정된 제1 벨트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부는 제2 베이스부, 상기 제2 베이스부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레일부와 연동된 제2 레일부, 상기 모터와 연결되는 연결축, 상기 연결축과 연결된 제1 벨트 풀리, 상기 제1 벨트 풀리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제2 벨트 풀리, 상기 제1 벨트 풀리와 상기 제2 벨트 풀리에서 회전하고, 상기 제1 벨트 체결부에 일부가 연결된 벨트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회전 시, 상기 연결축, 상기 제1 벨트 풀리 및 상기 제2 벨트 풀리에 의해 상기 벨트가 회전하여, 상기 제2 레일부가 상기 제1 레일부를 따라 직선 운동하는, 표시 장치.
  5.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상기 제2 베이스부의 타 면에 배치되는 제3 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패널 연결 블록은 제3 베이스부, 상기 제3 베이스부의 일 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3 레일부와 연동된 제4 레일부 및 상기 제3 베이스부에 고정된 제2 벨트 체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벨트는 상기 제2 벨트 체결부에 일부가 연결된,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가 회전 시, 상기 연결축, 상기 제1 벨트 풀리 및 상기 제2 벨트 풀리에 의해 상기 벨트가 회전하여, 상기 제4 레일부가 상기 제3 레일부를 따라 직선 운동하는, 표시 장치.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의 끝단에 배치되고, 상기 이동부의 직선 운동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으로 배치되어 상기 표시 패널을 지지하는 가이드 드럼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타 단을 상기 고정부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고정부에 연결된 바(bar) 형상의 제1 고정 블록;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단을 상기 패널 연결 블록에 고정하기 위해 상기 패널 연결 블록에 연결된 바 형상의 제2 고정 블록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배면에 배치된 백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타 단에 연결된 플렉서블 필름 및 상기 플렉서블 필름과 연결된 인쇄 회로 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인쇄 회로 기판 또는 상기 백커버가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의해 고정됨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의 타 단이 상기 고정부에 고정되고,
    상기 백커버가 상기 제2 고정 블록에 의해 고정됨에 의해, 상기 표시 패널의 일 단이 상기 패널 연결 블록에 고정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승강부를 수납하는 하우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부는 상부 프레임, 하부 프레임, 전면 프레임 및 측면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측면 프레임은 상기 승강부의 이동에 따라 슬라이딩되는 가이드 레일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이동부가 최하 위치하는 경우 상기 하우징부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이동부의 상하 방향 이동에 의해 외부로 노출되는 영역이 가변되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210194518A 2021-12-31 2021-12-31 표시 장치 KR2023010356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518A KR20230103562A (ko) 2021-12-31 2021-12-31 표시 장치
US17/986,394 US20230217611A1 (en) 2021-12-31 2022-11-14 Display device
CN202211423366.0A CN116416862A (zh) 2021-12-31 2022-11-15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94518A KR20230103562A (ko) 2021-12-31 2021-12-31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03562A true KR20230103562A (ko) 2023-07-07

Family

ID=86991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94518A KR20230103562A (ko) 2021-12-31 2021-12-31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30217611A1 (ko)
KR (1) KR20230103562A (ko)
CN (1) CN116416862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95649A4 (en) * 2020-07-14 2023-09-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A DISPLAY SUPPORT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217611A1 (en) 2023-07-06
CN116416862A (zh) 2023-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68131A1 (en) Rollable display device
KR102396025B1 (ko)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84576B1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10642315B2 (en) Display device
CN107452282B (zh) 可卷绕显示器
CN106257569B (zh) 柔性显示设备
CN111510537A (zh) 显示装置
JP7288034B2 (ja) 表示装置
KR10225277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055939A (ko) 표시 장치
KR20210053100A (ko) 표시 장치
KR20230103562A (ko) 표시 장치
CN114155788A (zh) 显示装置
CN114495708A (zh) 显示装置
KR20220084698A (ko) 표시 장치
KR20220091857A (ko) 표시 장치
KR20220161827A (ko) 표시 장치
CN114694502B (zh) 显示装置
KR20230102975A (ko) 표시 장치
US20230164936A1 (en) Display device
KR20230102625A (ko) 표시 장치
KR20230098968A (ko) 표시장치
KR20220056098A (ko) 표시 장치
KR20220053178A (ko) 표시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