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963A - 타공 장치 - Google Patents

타공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963A
KR20190050963A KR1020190053180A KR20190053180A KR20190050963A KR 20190050963 A KR20190050963 A KR 20190050963A KR 1020190053180 A KR1020190053180 A KR 1020190053180A KR 20190053180 A KR20190053180 A KR 20190053180A KR 20190050963 A KR20190050963 A KR 201900509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material
suction
unit
adsorption
scr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531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33998B1 (ko
Inventor
김영일
Original Assignee
(주)엘노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노아 filed Critical (주)엘노아
Priority to KR10201900531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33998B1/ko
Publication of KR201900509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9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339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339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F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F1/00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Apparatus therefor
    • B26F1/38Cutting-out; Stamping-out
    • B26F1/384Cutting-out; Stamping-out using rotating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18Holding the work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18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 B26D7/1845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 B26D7/1863Means for removing cut-out material or waste by non mechanical means by s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0/00Advancing webs
    • B65H20/16Advancing webs by web-gripping means, e.g. grippers, 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35/00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 B65H35/02Delivering articles from cutting or line-perforating machines; Article or web delivery apparatus incorporating cutting or line-perforating devices, e.g. adhesive tape dispensers from or with longitudinal slitters or perfor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2Cutting partially, e.g.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2301/00Handling processes for sheets or webs
    • B65H2301/50Auxiliary process performed during handling process
    • B65H2301/51Modifying a characteristic of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Cutting handled material
    • B65H2301/5153Details of cutting means
    • B65H2301/51532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 B65H2301/515323Blade cutter, e.g. single blade cutter rotary

Abstract

타공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이 일례에 의한 타공 장치는 모재에 타공을 수행하기 위한 타공 장치로서,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모재를 일면에 밀착시키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에 밀착된 모재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모재에 타공을 수행하는 타공부; 및 상기 타공부와 함께 상기 흡착부 상에 배치되어 타공된 모재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모재로부터 스크랩을 제거하는 스크랩 제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타공 장치{BLANKING APPARATUS}
본 발명은 타공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모재에 타공을 수행하기 위한 타공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 또는 전자제품 등에는 일면에 전자회로가 인쇄된 연성회로기판(FPCB: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이 적용된다. 연성회로기판은 대략 0.1mm 정도의 두께를 갖는 필름소재로 형성되어 굴곡성 및 유연성이 뛰어나다.
이와 같은, 연성회로기판은 상, 하부금형을 구비한 프레스 장비를 이용한 타공 공정을 통하여 다양한 크기 및 형상으로 제작되고 있다. 즉, 종래에는 모재를 하부금형에 안착시킨 다음, 타공날을 구비한 상부금형을 하강시켜 모재에 타공을 수행함으로써, 모재에 미리 설정된 형상을 가진 연성회로기판을 형성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작업자가 미리 절단된 모재를 일일이 프레스 장비에 공급해야함은 물론, 타공이 완료된 후 컴프레셔 등을 이용하여 타공이 수행된 부위에 형성되는 스크랩을 제거해야함에 따라, 작업 시간이 장시간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제조단가가 상승할 뿐만 아니라, 타공시 발생되는 스크랩 및 미세 분진이 작업자의 기관지로 유입되는 등의 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모재를 하부금형에 배치시킨 상태에서 상부금형을 빠른 속도로 하향 이동시켜 타공날이 모재를 관통하는 방식으로 타공을 수행함에 따라, 타공 시 모재에 충격이 전달되고, 이로 인해 모재가 밀리거나, 모재에 휨 또는 비틀림 현상이 발생되어 정확한 위치에 타공이 수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수작업을 통해 스크랩을 제거함에 따라, 스크랩이 완벽히 제거되기 어렵고, 이로 인해 스크랩이 모재에 붙어있는 상태로 후속 공정이 진행되어 제품에 불량을 발생시키거나, 후속 공정 시 다시 스크랩을 제거해야 하므로 전체 공정을 지연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77568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모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롤러형태의 타공부를 통하여 모재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예방하고, 정확한 타공을 수행할 수 있는 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타공이 완료된 모재로부터 스크랩을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공 작업시 모재를 정확한 위치에서 벗어나지 않게끔 고정하고, 타공을 수행함으로써 타공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 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공과 스크랩 제거를 동시에 수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비교적 간단한 장치를 통하여 정확하고 빠른 타공을 하도록 함으로서, 경제성을 도모하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타공 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타공 장치를 제공하는데, 본 발명의 일례에 의한 타공 장치는 모재에 타공을 수행하기 위한 타공 장치로서,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모재를 일면에 밀착시키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에 밀착된 모재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모재에 타공을 수행하는 타공부; 및 상기 타공부와 함께 상기 흡착부 상에 배치되어 타공된 모재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모재로부터 스크랩을 제거하는 스크랩 제거부;를 포함한다.
상기 타공부는 외주면에 타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모재가 상기 흡착부에 밀착될 경우, 상기 타공수단이 상기 모재를 관통하도록 상기 모재에 접촉된 후, 회전 이동하여 상기 모재에 타공을 수행하는 타공롤러; 및 상기 타공롤러를 지지하고, 상기 타공롤러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타공롤러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랩 제거부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모재로부터 상기 스크랩을 제거하는 흡입부; 및 상기 흡입부를 지지하고, 상기 흡입부를 상기 모재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흡입부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일례에 의한 타공 장치는 모재에 타공을 수행하기 위한 타공 장치로서,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모재를 일면에 밀착시키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에 밀착된 모재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모재에 타공을 수행하는 타공부; 및 상기 타공부와 동시에 상기 모재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타공이 완료된 모재로부터 스크랩을 제거하는 스크랩 제거부;를 포함한다.
상기 타공부는 외주면에 타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모재가 상기 흡착부에 밀착될 경우, 상기 타공수단이 상기 모재를 관통하도록 상기 모재에 접촉된 후, 회전 이동하여 상기 모재에 타공을 수행하는 타공롤러; 및 상기 타공롤러 및 상기 스크랩 제거부를 지지하고, 상기 타공롤러 및 상기 스크랩 제거부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는 타공롤러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랩 제거부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모재로부터 상기 스크랩을 제거하는 흡입부; 및 상기 타공롤러 이송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부를 지지하고, 상기 흡입부를 상기 모재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흡입부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랩 제거부는 외주면에 상기 스크랩이 부착 가능한 점성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모재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모재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모재로부터 상기 스크랩을 제거하는 점성롤; 및 상기 타공롤러 이송수단에 설치되어 상기 점성롤을 지지하고, 상기 점성롤을 상기 모재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점성롤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크랩 제거부는 상기 점성롤의 외면에 접촉되어 상기 점성롤에 부착된 스크랩을 상기 점성롤로부터 분리시키는 스크래퍼; 및 상기 스크래퍼에 의해 상기 점성롤로부터 분리된 스크랩을 흡입하는 스크랩 흡입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흡착부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승하강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흡착부를 지지하고, 상기 흡착부를 이동시켜 상기 흡착부의 일면에 밀착된 상기 모재를 상기 타공부에 접촉시키거나, 상기 흡착부를 상기 타공부로부터 이격시키는 흡착부 이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부 이송부는 일면에 상기 흡착부가 안착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부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경사면에 안착된 상기 흡착부를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지그; 및 상기 이송지그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지그를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지그 이동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부 이송부는 상기 흡착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흡착부를 지지하고, 외면에 회전 시 상기 흡착부를 가압하여 상기 흡착부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타공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편심부를 구비한 편심롤러; 및 상기 편심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편심롤러를 회전시키는 편심롤러 회전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착부 이송부는 상기 흡착부를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을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시키는 지지판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착부는 상기 모재의 일면에 대향 배치되고, 다공성 소재로 형성되는 흡착판; 및 상기 흡착판에 음압을 제공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음압 발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재와 상기 흡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모재와 함께 일 방향으로 이송되고, 복수개의 미세 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흡착부에 흡입력이 발생될 경우, 상기 흡착부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미세 기공을 통해 상기 모재에 흡입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일면에 상기 모재가 밀착되는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재와 상기 흡착부 사이에 모재의 타공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서 모재의 타공 형상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흡입홀을 구비하는 보호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모재를 가압하여 상기 모재를 상기 흡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부는 일 측에 가압패드를 구비하여 상기 모재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압부를 상기 모재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타공부의 타공 피치에 맞추어 상기 모재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송부는 모재의 폭 방향을 따라 모재의 일 측 및 타 측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모재에 타공이 수행된 경우 상기 모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할 경우, 모재를 롤 형태로 구비하여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일 방향으로 이송중인 모재를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정지시킨 후, 타공을 수행함과 동시에 스크랩을 제거함으로써, 작업속도를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자동으로 모든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흡착부를 통하여 모재를 완전히 고정시킨 상태에서, 모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롤러형태의 타공부를 통하여 모재에 타공을 수행함으로써, 타공 시 모재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예방하여 불량 발생률을 낮추고, 정확한 타공을 수행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스크랩 제거부를 통해 타공된 모재로부터 스크랩을 제거함에 따라, 모재로부터 스크랩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고, 나아가 스크랩으로 인한 제품의 불량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또한, 타공과 스크랩 제거를 하나의 장치에서 동시에 수행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예 따른 타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B”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예 따른 타공 장치의 타공부의 변형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의 “C”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D”부분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1의 “D”부분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예 따른 타공 장치에 보호판이 적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도 10의 흡착부 및 보호판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E”부분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의 승하강수단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예 따른 타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도 16의 “F”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예 따른 타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G”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예 따른 타공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는 도 20의 “H”부분을 나타낸 확대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이도록 한다.
또한, 여러 실시예들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인 실시예에서만 설명하고, 그 외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대표적인 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된 것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 실시예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종이, 섬유, 수지필름, 연성회로기판 등과 같이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모재에 타공을 수행하기 위한 타공 장치로서, 흡착부(10)를 포함한다.
흡착부(10)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일 방향으로 이송되는 모재(1)를 일면에 밀착시킨다. 여기서, 모재(1)는 흡착부(10)의 일 측에 롤(roll) 형태로 구비되고, 후술할 이송부(60)를 통하여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일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즉, 모재(1)는 후술할 타공부(20)의 타공 피치(pitch)에 맞추어 일 방향으로 피치 이송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흡착부(10)는 모재(1)의 일면에 대향 배치되고, 다공성 소재로 형성되는 흡착판(11)을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흡착판(11)은 다공성 알루미늄 혹은 다공성 세라믹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착부(10)는 흡착판(11)에 연결되어 흡착판(11)에 음압(진공압)을 제공하고, 이를 통해 흡착판(11)에 흡입력을 발생시켜 흡착판(11)의 일면에 모재(1)를 밀착시키는 음압 발생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음압 발생부(12)는 진공 펌프로 구비되어 흡착판(11)에 직접 연결되거나, 별도의 연결관을 통해 흡착판(11)에 간접 연결될 수 있다. 이때, 흡착판(11)에는 음압 발생부(12)와 연통되는 연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착부(10)는 흡착판(11) 및 음압 발생부(12)를 수용할 수 있는 하우징(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3)은 내측에 수용공간을 구비하여 흡착판(11) 및 음압 발생부(12)를 수용하되, 하우징(13)의 내면에는 지지턱(13a)이 형성됨에 따라 흡착판(11)의 일면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흡착판(11)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타공부(2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타공부(20)는 흡착부(10)에 밀착된 모재(1)에 타공을 수행함으로써, 모재(1)에 스크랩(2) 및 가공물(3)을 형성한다.
타공부(20)는 타공롤러(21) 및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을 포함할 수 있다.
타공롤러(21)는 외주면에 타공수단(22)을 구비하고, 모재(1)가 흡착부(10)에 흡착될 경우, 타공수단(22)이 모재(1)를 관통하도록 모재(1)에 접촉된 후, 회전을 통하여 일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모재(1)에 타공을 수행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타공롤러(21)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양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된 축부를 구비한 본체(211), 축부에 회전력을 전달하여 본체(211)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213), 및 본체(211)의 외주면에 설치된 타공수단(2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공수단(22)은 본체(211)의 외주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본체(211)의 외주면으로부터 미리 설정된 길이로 돌출되고, 단부가 뾰족한 피너클(pinnacle) 구조로 형성되며, 타공될 모재(1)에 따라, 플라스틱, 금속, 세라믹 등 다양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한편, 타공수단(22)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11)의 일부분에만 설치될 수 있다. 즉, 본체(211)의 표면은 타공수단(22)이 구비된 영역과, 타공수단(22)이 구비되지 않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타공수단(22)이 구비되지 않은 영역은 타공이 완료될 경우 모재(1)에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재(1)와 본체(211) 사이에는 소정의 간격(clearance)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타공롤러(21)가 후술할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을 통해 원위치로 복귀될 경우, 승강될 필요 없이 이동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여 모재(1)에 손상을 가하지 않고 복귀될 수 있다. 참고로, 도 5에는 타공수단(22)이 구비된 영역이 본체(211)의 외주면의 대략 절반인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타공수단(22)이 구비된 영역의 비율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은 타공롤러(21)를 지지하고,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명령에 따라 타공롤러(21)를 미리 설정된 방향(예컨대, 모재(1)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은 모재(1)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배치되는 이송레일(231), 이송레일(23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플레이트(232), 이송플레이트(232)에 결합되는 서포트 유닛(233), 서포트 유닛(233)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서포트 유닛(233)을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시키는 볼 스크루(234), 볼 스크루(234)를 회전시키는 볼 스크루 회전모터(235), 및 이송플레이트(232)에 설치되어 타공롤러(21)의 양 단부를 지지하고,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타공롤러(2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장치(23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스크랩 제거부(40)를 포함한다.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 스크랩 제거부(40)는 타공부(20)와 함께 흡착부 (10)상에 배치되어 모재(1)의 이송방향을 따라 타공부(20)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된다. 그리고, 스크랩 제거부(40)는 타공부(20)에 의한 타공과 동시에 또는 타공이 완료된 후, 타공된 모재(1)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모재(1)로부터 스크랩(2)을 제거한다.
스크랩 제거부(40)는 흡입부(41) 및 흡입부 이송수단(42)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41)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모재(1)로부터 스크랩(2)을 제거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흡입부(41)는 모재(1)와 대향되는 위치에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내부에 흡입구와 연통되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스크랩(2)이 포집되는 포집공간(미도시)이 형성되는 흡입본체(411)와, 흡입본체(411)의 내측에 설치되어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장치(미도시), 그리고 흡입본체(411)와 연결되며, 포집공간과 연통되어 포집공간에 포집된 스크랩(2)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413)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 이송수단(42)은 흡입부(41)를 지지하고, 흡입부(41)를 모재(1)에 대하여 수직 또는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흡입부 이송수단(42)은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의 이송레일(23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송플레이트(422), 이송플레이트(422)에 결합되고,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의 볼 스크루(234)에 결합되어 볼 스크루(234)의 회전을 통해 볼 스크루(234)의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되는 서포트 유닛(423), 및 이송플레이트(422)에 설치되어 흡입부(41)를 지지하고,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흡입부(4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장치(42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승하강수단(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승하강수단(80)은 흡착부 이송부(81)를 구비하여 흡착부(10)를 지지하고, 흡착부(10)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킬 수 있다.
흡착부 이송부(81)는 흡착부(10)를 지지하고, 흡착부(10)를 이동시켜 흡착부(10)의 일면에 밀착된 모재(1)를 타공부(20)에 접촉시키거나, 흡착부(10)를 타공부(2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즉, 흡착부 이송부(81)를 통해 흡착부(10)의 위치 조절이 가능함에 따라, 모재(1)의 두께가 변경될 시에도 전체적인 라인의 높이 조절을 수행하여 안정적인 모재(1)의 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일례로, 흡착부 이송부(81)는 지그수단을 통하여 흡착부(10)를 상승 또는 하강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흡착부 이송부(81)는 이송지그(811a), 가이드레일(811b) 및 이송지그 이동수단(811c)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지그(811a)는 가이드레일(811b)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 이송지그(811a)의 일면에는 흡착부(10)의 모서리부분이 안착되는 경사면(811aa)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서로 대향 배치된 복수개의 이송지그(811a)는 흡착부(10)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경사면(811aa)에 안착된 흡착부(10)를 일 측(상승) 또는 타 측(하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복수개의 이송지그(811a)가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경우 흡착부(10)는 경사면(811aa)을 따라 상향 이동하여 상승되고, 반대로 복수개의 이송지그(811a)가 서로 멀어지도록 이동할 경우 흡착부(10)는 경사면(811aa)을 따라 하향 이동하여 하강될 수 있다. 가이드레일(811b)은 미리 설정된 길이로 형성되어 일면에 이송지그(811a)가 설치되고, 이송지그(811a)의 이동 시 이송지그(811a)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가이드레일(811b)의 내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이송지그(811a)에 대응되는 레일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레일홈에 설치된 이송지그(811a)는 이송지그 이동수단(811c)에 의해 이동될 경우, 레일홈을 따라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송지그 이동수단(811c)은 각 이송지그(811a)에 연결되고,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각 이송지그(811a)를 밀거나 당김으로써, 각 이송지그(811a)를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이송지그 이동수단(811c)은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이송지그(811a)를 이동시키는 실린더 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다른 예로, 흡착부 이송부(81)는 편심롤러(812a)를 통하여 흡착부(10)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킬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흡착부 이송부(81)는 편심롤러(812a) 및 편심롤러 회전수단(812b)을 포함할 수 있다. 편심롤러(812a)는 흡착부(10)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흡착부(10)를 지지할 수 있다. 그리고, 편심롤러(812a)의 외면에는 편심롤러(812a)의 회전 시 흡착부(10)를 가압하여 흡착부(10)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타공부(20) 측으로 이동시키는 편심부(812aa)가 형성될 수 있다. 즉, 편심롤러(812a)는 회전을 통해 편심부(812aa)를 미리 설정된 위치에 배치시킴으로써, 흡착부(10)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편심롤러(812a)는 복수개로 구비되어 흡착부(10)의 길이방향으로 서로 대향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편심부(812aa)의 돌출길이는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편심롤러 회전수단(812b)은 편심롤러(812a)에 연결되고,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편심롤러(812a)를 미리 설정된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예컨대, 편심롤러 회전수단(812b)은 편심롤러(812a)의 축부에 연결되어 편심롤러(812a)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모터로 적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흡착부 이송부(81)는 신장 또는 수축되는 실린더 장치를 통하여 흡착부(10)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킬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흡착부 이송부(81)는 지지판(813a) 및 지지판 이송수단(813b)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판(813a)은 흡착부(10)의 저면에 배치되어 흡착부(10)를 지지할 수 있다. 예컨대, 지지판(813a)에는 흡착부(10)의 외면에 대응되는 흡착부 안착홈(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지지판 이송수단(813b)은 지지판(813a)에 연결되고, 제어부의 제어명령에 따라 지지판(813a)을 밀거나 당김으로써 지지판(813a)을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모재(1)의 타공 시 타공수단(22)을 흡착판(11)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켜, 타공수단(22)으로부터 흡착판(11)을 보호하는 보호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모재(1)의 타공 시 모재(1)를 지지하고 흡착판(11)을 보호하는 보호수단으로서, 보호 필름(30) 또는 보호판(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필름(3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10)의 일 측에 롤 형태로 구비되고, 모재(1)와 흡착부(10) 사이에 배치되어 이송부(60)를 통하여 모재(1)와 함께 일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즉, 보호 필름(30)은 타공부(20)의 타공 피치에 맞추어 모재(1)와 함께 일 방향으로 피치 이송될 수 있다. 여기서, 롤 형태로 구비된 보호 필름(30)으로부터 모재(1)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타공부(20)를 통과한 후 모재(1)와 함께 일 방향으로 이송되는 보호 필름(30)을 권취하는 보호 필름 권취롤(31)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보호 필름 권취롤(31)의 일 측에는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명령에 따라 보호 필름 권취롤(3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30)에는 복수개의 미세 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착부(10)에 흡입력이 발생될 경우, 보호 필름(30)은 흡착부(10)에 밀착되고, 이와 동시에 복수개의 미세 기공을 통해 모재(1)에 흡입력이 전달되어 보호 필름(30)의 일면에는 모재(1)가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30)은 모재(1)의 타공 시 타공수단(22)과 흡착판(11)을 보호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호 필름(30)은 모재(1)의 타공 시 모재(1)를 관통한 타공수단(22)이 소정의 깊이로 삽입될 수 있는 두께 및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모재(1)에 타공이 수행될 경우, 타공롤러(21)는 타공수단(22)이 보호 필름(30)에 접촉된 상태로 모재(1)의 표면을 따라 회전하여 타공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보호 필름(30)은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지는 PET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보호 필름(30)의 소재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호판(70)은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1)와 흡착부(10) 사이에 배치되어 흡착부(10)의 상부에 핀(73)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호판(70)에는 복수개의 미세 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즉, 보호판(70)에는 보호판(70)을 관통하는 복수개의 미세 기공이 형성됨에 따라, 흡착부(10)에 흡입력이 발생될 경우, 복수개의 미세 기공을 통해 모재(1)에 흡입력이 전달되어 보호판(70)의 일면에 모재(1)가 밀착될 수 있다. 또한 보호판(70)에는 흡입홀(71)이 형성될 수 있다. 흡입홀(71)은 모재(1)의 타공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흡입홀(71)은 모재(1)의 타공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되, 모재(1)에 형성될 타공 형상보다 작은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흡입홀(71)을 통하여 흡착부(10)의 흡입력이 모재(1)로 전달되며, 또한 타공 작업시 타공수단(22)과 흡착판(11)의 직접적인 접촉을 방지하여 타공수단(22)과 흡착판(11)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고정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 고정부(50)는 모재(1)의 이송방향을 따라 타공부(20)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고, 모재(1)에 타공이 수행되기 전에 모재(1)를 가압하여 모재(1)를 흡착부(10)에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부(50)는 가압부(51) 및 가압부 이송수단(52)을 포함할 수 있다.
가압부(51)는 일 측에 가압패드(511)를 구비하고, 가압패드(511)를 통해 모재(1)를 가압할 수 있다. 예컨대, 가압패드(511)는 모재(1)에 접촉 시 모재(1)에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고무 또는 실리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가압부 이송수단(52)은 가압부(51)를 지지하고, 가압부(51)를 모재(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가압부 이송수단(52)은 모재(1)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배치되는 지지플레이트(521), 지지플레이트(521)에 설치되어 가압부(51)를 지지하고, 신장 또는 수축되어 가압부(5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장치(5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이송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이송부(60)는 타공부(20)로부터 모재(1)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타공부(20)의 타공 피치에 맞추어 모재(1)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송부(60)는 제1 이송부(61) 및 제2 이송부(6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제1 이송부(61)는 모재(1)의 작업영역(A1)에 타공이 완료되면, 모재(1)에서 타공이 수행되지 않은 비작업영역(A2)을 잡아 일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모재(1)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1 이송부(61)는 모재(1)의 폭 방향을 따라 모재(1)의 일 측 및 타 측에 대향 배치되고, 모재(1)에 타공이 수행된 경우 모재(1)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클립부(611)와, 클립부(611)를 이동시키는 클립부 이송부(6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클립부 이송부(613)는 신장 또는 수축되어 클립부(61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앞서 설명한 타공롤러 이송수단(23)과 유사한 구조로 이루어져 클립 이송부(163)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10을 참조하면, 제2 이송부(62)는 모재(1)의 이송방향을 따라 복수의 위치에 설치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모재(1)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제2 이송부(62)는 내측으로 모재(1)가 통과될 수 있도록 모재(1)를 사이에 두고 서로 대향 배치되는 복수개의 롤러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제2 이송부(62)를 통하여 모재(1)의 이송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2 이송부(62)를 통하여 모재(1)의 이송 경로를 직선 구조(도 1) 혹은 절곡된 구조(도 2)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이송부(62)를 통하여 각 구성장치들을 효율적으로 배치시킬 수 있다.
한편, 스크랩 제거부(40)를 거쳐 후단으로 이송되는 모재(1)에는 커팅 공정등의 후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일 방향으로 이송되는 모재(1)를 일면에 밀착시키는 흡착부(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타공부(20)를 포함한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타공부(20)는 흡착부(10)에 밀착된 모재(1)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모재(1)에 타공을 수행함으로써, 모재(1)에 스크랩(2) 및 가공물(3)을 형성한다.
타공부(20)는 타공롤러(21) 및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을 포함할 수 있다.
타공롤러(21)는 외주면에 타공수단(22)을 구비하고, 모재(1)가 흡착부(10)에 흡착될 경우, 타공수단(22)이 모재(1)를 관통하도록 모재(1)에 접촉된 후, 회전을 통하여 이동함으로써 모재(1)에 타공을 수행할 수 있다.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은 타공롤러(21) 및 후술할 스크랩 제거부(40)를 지지하고,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명령에 따라 타공롤러(21) 및 스크랩 제거부(40)를 미리 설정된 방향(예컨대, 모재(1)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은 모재(1)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배치되는 이송레일(231), 이송레일(23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타공롤러(21) 및 스크랩 제거부(40)를 지지하는 이송플레이트(232), 이송플레이트(232)에 결합되는 서포트 유닛(233), 서포트 유닛(233)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서포트 유닛(233)을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시키는 볼 스크루(234), 볼 스크루(234)를 회전시키는 볼 스크루 회전모터(235), 및 이송플레이트(232)에 설치되어 타공롤러(21)의 양 단부를 지지하고,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타공롤러(2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장치(23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스크랩 제거부(40)를 포함한다.
스크랩 제거부(40)는 타공롤러 이송수단(23)에 설치되어 타공부(20)와 동시에 모재(1)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타공이 완료된 모재(1)로부터 스크랩(2)을 제거한다. 더 자세하게는, 스크랩 제거부(40)는 이송플레이트(232)에 설치되어 타공롤러(21)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실린더 장치(236)와 함께,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의 이송플레이트(232)에 설치되어 타공롤러(21)와 동시에 모재(1)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랩 제거부(40)는 타공이 완료된 모재(1)로부터 스크랩(2)을 실시간 제거할 수 있다.
스크랩 제거부(40)는 흡입부(41) 및 흡입부 이송수단(42)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41)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모재(1)로부터 스크랩(2)을 제거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흡입부(41)는 모재(1)와 대향되는 위치에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내부에 흡입구와 연통되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스크랩(2)이 포집되는 포집공간(미도시)이 형성되는 흡입본체(411)와, 흡입본체(411)와 연결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장치(미도시), 그리고 흡입본체(411)의 외측에 설치되고, 포집공간과 연통되어 포집공간에 포집된 스크랩(2)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413)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 이송수단(42)은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의 이송플레이트(232)에 설치되어 흡입부(41)를 지지하고, 흡입부(41)를 모재(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흡입부 이송수단(42)은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흡입부(4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흡착부(10)를 지지하고, 흡착부(10)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승하강수단(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수단(80)은 흡착부 이송부(81)를 포함할 수 있다.
흡착부 이송부(81)는 흡착부(10)를 지지하고, 흡착부(10)를 이동시켜 흡착부(10)의 일면에 밀착된 모재(1)를 타공부(20)에 접촉시키거나, 흡착부(10)를 타공부(2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예컨대, 흡착부 이송부(81)는 도 13에 도시된 지그수단, 도 14에 도시된 편심롤러(812a), 도 15에 도시된 실린더 장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흡착부 이송부(8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모재(1)의 타공 시 타공수단(22)을 흡착판(11)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켜, 타공수단(22)으로부터 흡착판(11)을 보호하는 보호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모재(1)의 타공 시 모재(1)를 지지하고 흡착판(11)을 보호하는 보호수단으로서, 보호 필름(30) 또는 보호판(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필름(30)은 도 17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10)의 일 측에 롤 형태로 구비되고, 모재(1)와 흡착부(10) 사이에 배치되어 이송부(60)를 통하여 모재(1)와 함께 일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30)에는 복수개의 미세 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보호 필름(30)은 모재(1)의 타공 시 모재(1)를 관통한 타공수단(22)이 소정의 깊이로 삽입될 수 있는 두께 및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롤 형태로 구비된 보호 필름(30)으로부터 모재(1)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타공부(20)를 통과한 후 모재(1)와 함께 일 방향으로 이송되는 보호 필름(30)을 권취하는 보호 필름 권취롤(31)이 구비될 수 있다.
보호판(70)은 도 17의 (b)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1)와 흡착부(10) 사이에 배치되어 흡착부(10)의 상부에 핀(73)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호판(70)에는 복수개의 미세 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판(70)에는 흡입홀(7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모재(1)의 이송방향을 따라 타공부(20)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고, 모재(1)에 타공이 수행되기 전에 모재(1)를 가압하여 모재(1)를 흡착부(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타공부(20)로부터 모재(1)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타공부(20)의 타공 피치에 맞추어 모재(1)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일 방향으로 이송되는 모재(1)를 일면에 밀착시키는 흡착부(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타공부(20)를 포함한다.
도 18 및 도 19를 참조하면, 타공부(20)는 흡착부(10)에 밀착된 모재(1)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모재(1)에 타공을 수행함으로써, 모재(1)에 스크랩(2) 및 가공물(3)을 형성한다.
타공부(20)는 타공롤러(21) 및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을 포함할 수 있다.
타공롤러(21)는 외주면에 타공수단(22)을 구비하고, 모재(1)가 흡착부(10)에 흡착될 경우, 타공수단(22)이 모재(1)를 관통하도록 모재(1)에 접촉된 후, 회전을 통하여 일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모재(1)에 타공을 수행할 수 있다.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은 타공롤러(21) 및 후술할 스크랩 제거부(40)를 지지하고,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명령에 따라 타공롤러(21) 및 스크랩 제거부(40)를 미리 설정된 방향(예컨대, 모재(1)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은 모재(1)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배치되는 이송레일(231), 이송레일(23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타공롤러(21) 및 스크랩 제거부(40)를 지지하는 이송플레이트(232), 이송플레이트(232)에 결합되는 서포트 유닛(233), 서포트 유닛(233)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서포트 유닛(233)을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시키는 볼 스크루(234), 볼 스크루(234)를 회전시키는 볼 스크루 회전모터(235), 및 이송플레이트(232)에 설치되어 타공롤러(21)의 양 단부를 지지하고, 외부에서 공급되는 유체의 유·출입을 통하여 길이방향으로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타공롤러(2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장치(23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스크랩 제거부(40)를 포함한다.
스크랩 제거부(40)는 타공롤러 이송수단(23)에 설치되어 타공부(20)와 동시에 모재(1)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타공이 완료된 모재(1)로부터 스크랩(2)을 제거한다. 더 자세하게는, 스크랩 제거부(40)는 이송플레이트(232)에 설치되어 타공롤러(21)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실린더 장치(236)와 함께,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의 이송플레이트(232)에 설치되어 타공롤러(21)와 동시에 모재(1)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랩 제거부(40)는 타공이 완료된 모재(1)로부터 스크랩(2)을 실시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스크랩 제거부(40)는 점성롤(44) 및 점성롤 이송수단(45)을 포함할 수 있다.
점성롤(44)은 모재(1)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 이동하여 모재(1)에 형성된 스크랩(2)을 제거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점성롤(44)은 외주면에 스크랩(2)이 부착 가능한 점성수단을 구비하고, 타공롤러(21)와 함께 모재(1)에 접촉된 상태로 모재(1)의 표면을 따라 회전 이동함에 따라, 모재(1)로부터 스크랩(2)을 제거할 수 있다.
점성롤 이송수단(45)은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의 이송플레이트(232)에 설치되어 점성롤(44)을 지지하고, 점성롤(44)을 모재(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점성롤 이송수단(45)은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점성롤(44)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스크랩 제거부(40)는 점성롤(44)에 부착된 스크랩(2)을 제거할 수 있는 스크랩 제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스크랩 제거부(40)는 스크래퍼(46) 및 스크랩 흡입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래퍼(46)는 후술할 스크랩 흡입부(47)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단부가 점성롤(44)의 외면에 접촉되어 점성롤(44)의 회전 시 점성롤(44)에 부착된 스크랩(2)을 점성롤(44)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스크래퍼(46)는 단부를 향할수록 단면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블레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스크래퍼(46)가 점성롤(44)의 외면에 접촉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스크래퍼(46)는 반드시 점성롤(44)의 외면에 접촉되는 것은 아니고, 모재(1)의 두께에 따라 스크랩(2)이 스크래퍼(46)에 걸려 점성롤(44)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경우 점성롤(44)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스크랩 흡입부(47)는 점성롤 이송수단(45)에 설치되어 점성롤(44)과 함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고, 흡입력을 발생시켜 스크래퍼(46)에 의해 점성롤(44)로부터 분리된 스크랩(2)을 흡입할 수 있다. 예컨대, 스크래퍼(46)가 설치된 스크랩 흡입부(47)의 일 측에는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스크랩 흡입부(47)의 내측에는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스크랩(2)이 저장되는 저장공간(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랩 흡입부(47)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흡착부(10)를 지지하고, 흡착부(10)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승하강수단(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수단(80)은 흡착부 이송부(81)를 포함할 수 있다.
흡착부 이송부(81)는 흡착부(10)를 지지하고, 흡착부(10)를 이동시켜 흡착부(10)의 일면에 밀착된 모재(1)를 타공부(20)에 접촉시키거나, 흡착부(10)를 타공부(2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예컨대, 흡착부 이송부(81)는 도 13에 도시된 지그수단, 도 14에 도시된 편심롤러(812a), 도 15에 도시된 실린더 장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흡착부 이송부(8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모재(1)의 타공 시 타공수단(22)을 흡착판(11)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켜, 타공수단(22)으로부터 흡착판(11)을 보호하는 보호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모재(1)의 타공 시 모재(1)를 지지하고 흡착판(11)을 보호하는 보호수단으로서, 보호 필름(30) 또는 보호판(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필름(30)은 도 18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10)의 일 측에 롤 형태로 구비되고, 모재(1)와 흡착부(10) 사이에 배치되어 이송부(60)를 통하여 모재(1)와 함께 일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30)에는 복수개의 미세 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보호 필름(30)은 모재(1)의 타공 시 모재(1)를 관통한 타공수단(22)이 소정의 깊이로 삽입될 수 있는 두께 및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롤 형태로 구비된 보호 필름(30)으로부터 모재(1)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타공부(20)를 통과한 후 모재(1)와 함께 일 방향으로 이송되는 보호 필름(30)을 권취하는 보호 필름 권취롤(31)이 구비될 수 있다.
보호판(70)은 도 18의 (b)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1)와 흡착부(10) 사이에 배치되어 흡착부(10)의 상부에 핀(73)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호판(70)에는 복수개의 미세 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판(70)에는 흡입홀(7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모재(1)의 이송방향을 따라 타공부(20)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고, 모재(1)에 타공이 수행되기 전에 모재(1)를 가압하여 모재(1)를 흡착부(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타공부(20)로부터 모재(1)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타공부(20)의 타공 피치에 맞추어 모재(1)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4 실시예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각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를 설명하면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동일하게 사용하고, 동일하거나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일 방향으로 이송되는 모재(1)를 일면에 밀착시키는 흡착부(10)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타공부(20)를 포함한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타공부(20)는 흡착부(10)에 밀착된 모재(1)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모재(1)에 타공을 수행함으로써, 모재(1)에 스크랩(2) 및 가공물(3)을 형성한다.
타공부(20)는 타공롤러(21) 및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을 포함할 수 있다.
타공롤러(21)는 외주면에 타공수단(22)을 구비하고, 모재(1)가 흡착부(10)에 흡착될 경우, 타공수단(22)이 모재(1)를 관통하도록 모재(1)에 접촉된 후, 회전을 통하여 일 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모재(1)에 타공을 수행할 수 있다.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은 타공롤러(21) 및 후술할 스크랩 제거부(40)를 지지하고, 제어부(미도시)의 제어명령에 따라 타공롤러(21) 및 스크랩 제거부(40)를 미리 설정된 방향(예컨대, 모재(1)에 대하여 수평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은 모재(1)로부터 소정의 높이에 배치되는 이송레일(231), 이송레일(231)에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타공롤러(21) 및 스크랩 제거부(40)를 지지하는 이송플레이트(232), 이송플레이트(232)에 결합되는 서포트 유닛(233), 서포트 유닛(233)에 결합되고. 회전력을 발생시켜 서포트 유닛(233)을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시키는 볼 스크루(234), 볼 스크루(234)를 회전시키는 볼 스크루 회전모터(235), 및 이송플레이트(232)에 설치되어 타공롤러(21)의 양 단부를 지지하고,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타공롤러(2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장치(23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스크랩 제거부(40)를 포함한다.
스크랩 제거부(40)는 타공롤러 이송수단(23)에 설치되어 타공부(20)와 동시에 모재(1)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타공이 완료된 모재(1)로부터 스크랩(2)을 제거한다. 더 자세하게는, 스크랩 제거부(40)는 이송플레이트(232)에 설치되어 타공롤러(21)의 양 단부를 지지하는 실린더 장치(236)와 함께,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의 이송플레이트(232)에 설치되어 타공롤러(21)와 동시에 모재(1)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랩 제거부(40)는 타공이 완료된 모재(1)로부터 스크랩(2)을 실시간 제거할 수 있다.
스크랩 제거부(40)는 흡입부(41) 및 흡입부 이송수단(42)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41)는 흡입력을 발생시켜 모재(1)로부터 스크랩(2)을 제거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흡입부(41)는 모재(1)와 대향되는 위치에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내부에 흡입구와 연통되어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스크랩(2)이 포집되는 포집공간(미도시)이 형성되는 흡입본체(411)와, 흡입본체(411)와 연결되며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장치(미도시), 그리고 흡입본체(411)의 외측에 설치되고, 포집공간과 연통되어 포집공간에 포집된 스크랩(2)을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관(413)을 포함할 수 있다.
흡입부 이송수단(42)은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의 이송플레이트(232)에 설치되어 흡입부(41)를 지지하고, 흡입부(41)를 모재(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흡입부 이송수단(42)은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흡입부(41)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스크랩 제거부(40)는 점성롤(44) 및 점성롤 이송수단(45)을 포함할 수 있다.
점성롤(44)은 모재(1)에 접촉된 상태로 회전 이동하여 모재(1)에 형성된 스크랩(2)을 제거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점성롤(44)은 외주면에 스크랩(2)이 부착 가능한 점성수단을 구비하고, 타공롤러(21)와 함께 모재(1)에 접촉된 상태로 모재(1)의 표면을 따라 회전 이동함에 따라, 모재(1)로부터 스크랩(2)을 제거할 수 있다.
점성롤 이송수단(45)은 타공롤러 이송수단(23)의 이송플레이트(232)에 설치되어 점성롤(44)을 지지하고, 점성롤(44)을 모재(1)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컨대, 점성롤 이송수단(45)은 신장 또는 수축됨에 따라 점성롤(44)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실린더 장치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스크랩 제거부(40)는 점성롤(44)에 부착된 스크랩(2)을 제거할 수 있는 스크랩 제거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자세하게는, 스크랩 제거부(40)는 스크래퍼(46) 및 스크랩 흡입부(47)를 포함할 수 있다.
스크래퍼(46)는 후술할 스크랩 흡입부(47)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고, 단부가 점성롤(44)의 외면에 접촉되어 점성롤(44)의 회전 시 점성롤(44)에 부착된 스크랩(2)을 점성롤(44)로부터 분리시킬 수 있다. 예컨대, 스크래퍼(46)는 단부를 향할수록 단면의 폭이 점차 좁아지는 블레이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는 스크래퍼(46)가 점성롤(44)의 외면에 접촉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스크래퍼(46)는 반드시 점성롤(44)의 외면에 접촉되는 것은 아니고, 모재(1)의 두께에 따라 스크랩(2)이 블레이드부(461)에 걸려 점성롤(44)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경우 점성롤(44)의 외면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스크랩 흡입부(47)는 점성롤 이송수단(45)에 설치되어 점성롤(44)과 함께 수직 방향으로 이동되고, 흡입력을 발생시켜 스크래퍼(46)에 의해 점성롤(44)로부터 분리된 스크랩(2)을 흡입할 수 있다. 예컨대, 스크래퍼(46)가 설치된 스크랩 흡입부(47)의 일 측에는 흡입구(미도시)가 형성되고, 스크랩 흡입부(47)의 내측에는 흡입구를 통해 흡입된 스크랩(2)이 저장되는 저장공간(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크랩 흡입부(47)에는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흡입력 발생장치(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도 13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흡착부(10)를 지지하고, 흡착부(10)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승하강수단(8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승하강수단(80)은 흡착부 이송부(81)를 포함할 수 있다.
흡착부 이송부(81)는 흡착부(10)를 지지하고, 흡착부(10)를 이동시켜 흡착부(10)의 일면에 밀착된 모재(1)를 타공부(20)에 접촉시키거나, 흡착부(10)를 타공부(20)로부터 이격시킬 수 있다. 예컨대, 흡착부 이송부(81)는 도 13에 도시된 지그수단, 도 14에 도시된 편심롤러(812a), 도 15에 도시된 실린더 장치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흡착부 이송부(81)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모재(1)의 타공 시 타공수단(22)을 흡착판(11)으로부터 소정 간격 이격시켜, 타공수단(22)으로부터 흡착판(11)을 보호하는 보호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모재(1)의 타공 시 모재(1)를 지지하고 흡착판(11)을 보호하는 보호수단으로서, 보호 필름(30) 또는 보호판(7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호 필름(30)은 도 2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착부(10)의 일 측에 롤 형태로 구비되고, 모재(1)와 흡착부(10) 사이에 배치되어 이송부(60)를 통하여 모재(1)와 함께 일 방향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보호 필름(30)에는 복수개의 미세 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보호 필름(30)은 모재(1)의 타공 시 모재(1)를 관통한 타공수단(22)이 소정의 깊이로 삽입될 수 있는 두께 및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롤 형태로 구비된 보호 필름(30)으로부터 모재(1)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는 타공부(20)를 통과한 후 모재(1)와 함께 일 방향으로 이송되는 보호 필름(30)을 권취하는 보호 필름 권취롤(31)이 구비될 수 있다.
보호판(70)은 도 20의 (b)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재(1)와 흡착부(10) 사이에 배치되어 흡착부(10)의 상부에 핀(73)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호판(70)에는 복수개의 미세 기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호판(70)에는 흡입홀(7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모재(1)의 이송방향을 따라 타공부(20)의 일 측 및 타 측에 배치되고, 모재(1)에 타공이 수행되기 전에 모재(1)를 가압하여 모재(1)를 흡착부(10)에 고정시키는 고정부(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타공 장치는 타공부(20)로부터 모재(1)의 이송방향을 따라 소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타공부(20)의 타공 피치에 맞추어 모재(1)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의 효과
이처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모재(1)를 롤 형태로 구비하여 일 방향으로 이송시키고, 일 방향으로 이송중인 모재(1)를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정지시킨 후, 타공을 수행함과 동시에 스크랩(2)을 제거함으로써, 작업속도를 향상시켜 생산성을 증대시키고, 자동으로 모든 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다.
또한, 흡착부(10)를 통하여 모재(1)를 완전히 고정시킨 상태에서, 모재(1)의 길이방향을 따라 회전 이동하는 롤러형태의 타공부(20)를 통하여 모재(1)에 타공을 수행함으로써, 타공 시 모재(1)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예방하여 불량 발생률을 낮추고, 정확한 타공을 수행하여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복수개의 스크랩 제거부(40)를 통해 타공된 모재(1)로부터 스크랩(2)을 제거함에 따라, 모재(1)로부터 스크랩(2)을 완벽히 제거할 수 있고, 나아가 스크랩(2)으로 인한 제품의 불량 발생률을 낮출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당업자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기재된 각 구성을 서로 조합하는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서 명시적인 인용 관계가 있지 않은 청구항들을 결합하여 실시예를 구성하거나 출원 후의 보정에 의해 새로운 청구항으로 포함할 수 있다.
10. 흡착부
11. 흡착판
12. 음압 발생부
13. 하우징 13a. 지지턱
20. 타공부
21. 타공롤러
211. 본체 213. 구동모터
22. 타공수단
23. 타공롤러 이송수단
231. 이송레일 232. 이송플레이트
233. 서포트 유닛 234. 볼 스크루
235. 볼 스크루 회전모터 236. 실린더 장치
30. 보호 필름
31. 보호 필름 권취롤
40. 스크랩 제거부
41. 흡입부
411. 흡입본체 413. 배출관
42. 흡입부 이송수단
422. 이송플레이트 423. 서포트 유닛
426. 실린더 장치
44. 점성롤
45. 점성롤 이송수단
46. 스크래퍼
47. 스크랩 흡입부
50. 고정부
51. 가압부
511. 가압패드
52. 가압부 이송수단
521. 지지플레이트 523. 실린더 장치
60. 이송부
61. 제1 이송부
611. 클립부 613. 클립부 이송부
62. 제2 이송부
70. 보호판
71. 흡입홀
73. 핀
80. 승하강수단
81. 흡착부 이송부
811a. 이송지그 811aa. 경사면
811b. 가이드레일 811c. 이송지그 이동수단
812a. 편심롤러 812aa. 편심부
812b. 편심롤러 회전수단
813a. 지지판 813b. 지지판 이송수단
1. 모재
A1. 작업영역 A2. 비작업영역
2. 스크랩
3. 가공물

Claims (15)

  1. 모재에 타공을 수행하기 위한 타공 장치로서,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모재를 일면에 밀착시키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에 밀착된 모재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모재에 타공을 수행하는 타공부;
    상기 타공부와 함께 상기 흡착부 상에 배치되어 타공된 모재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모재로부터 스크랩을 제거하는 스크랩 제거부; 및
    상기 흡착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는,
    외주면에 타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모재가 상기 흡착부에 밀착될 경우, 상기 타공수단이 상기 모재를 관통하도록 상기 모재에 접촉된 후, 회전 이동하여 상기 모재에 타공을 수행하는 타공롤러; 및
    상기 타공롤러를 지지하고, 상기 타공롤러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타공롤러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3. 모재에 타공을 수행하기 위한 타공 장치로서,
    흡입력을 발생시켜 상기 모재를 일면에 밀착시키는 흡착부;
    상기 흡착부에 밀착된 모재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모재에 타공을 수행하는 타공부;
    상기 타공부와 동시에 상기 모재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여 타공이 완료된 모재로부터 스크랩을 제거하는 스크랩 제거부; 및
    상기 흡착부를 상승 또는 하강시키는 승하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는,
    외주면에 타공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모재가 상기 흡착부에 밀착될 경우, 상기 타공수단이 상기 모재를 관통하도록 상기 모재에 접촉된 후, 회전 이동하여 상기 모재에 타공을 수행하는 타공롤러; 및
    상기 타공롤러 및 상기 스크랩 제거부를 지지하고, 상기 타공롤러 및 상기 스크랩 제거부를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는 타공롤러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5.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은,
    상기 흡착부를 지지하고, 상기 흡착부를 이동시켜 상기 흡착부의 일면에 밀착된 상기 모재를 상기 타공부에 접촉시키거나, 상기 흡착부를 상기 타공부로부터 이격시키는 흡착부 이송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 이송부는,
    일면에 상기 흡착부가 안착되는 경사면을 구비하고, 상기 흡착부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경사면에 안착된 상기 흡착부를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지그; 및
    상기 이송지그에 연결되어 상기 이송지그를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지그 이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 이송부는,
    상기 흡착부의 하측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흡착부를 지지하고, 외면에 회전 시 상기 흡착부를 가압하여 상기 흡착부를 미리 설정된 길이만큼 상기 타공부 측으로 이동시키는 편심부를 구비한 편심롤러; 및
    상기 편심롤러에 연결되어 상기 편심롤러를 회전시키는 편심롤러 회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 이송부는,
    상기 흡착부를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지지판에 연결되고, 상기 지지판을 일 측 또는 타 측으로 이동시키는 지지판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9.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흡착부는,
    상기 모재의 일면에 대향 배치되고, 다공성 소재로 형성되는 흡착판; 및
    상기 흡착판에 음압을 제공하여 흡입력을 발생시키는 음압 발생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10.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와 상기 흡착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모재와 함께 일 방향으로 이송되고, 복수개의 미세 기공이 형성되어 상기 흡착부에 흡입력이 발생될 경우, 상기 흡착부에 밀착됨과 동시에 상기 복수개의 미세 기공을 통해 상기 모재에 흡입력이 전달되도록 하여 일면에 상기 모재가 밀착되는 보호 필름;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11.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와 상기 흡착부 사이에 모재의 타공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면서 모재의 타공 형상보다 작은 크기를 갖는 흡입홀을 구비하는 보호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12.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재를 가압하여 상기 모재를 상기 흡착부에 고정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일 측에 가압패드를 구비하여 상기 모재를 가압하는 가압부; 및
    상기 가압부를 지지하고, 상기 가압부를 상기 모재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가압부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14.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타공부의 타공 피치에 맞추어 상기 모재를 일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부는,
    모재의 폭 방향을 따라 모재의 일 측 및 타 측에 대향 배치되고, 상기 모재에 타공이 수행된 경우 상기 모재를 가압하여 고정시키는 클립부; 및
    상기 클립부를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송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 장치.
KR1020190053180A 2019-05-07 2019-05-07 타공 장치 KR1020339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180A KR102033998B1 (ko) 2019-05-07 2019-05-07 타공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53180A KR102033998B1 (ko) 2019-05-07 2019-05-07 타공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5630A Division KR102032726B1 (ko) 2017-10-19 2017-10-19 타공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963A true KR20190050963A (ko) 2019-05-14
KR102033998B1 KR102033998B1 (ko) 2019-10-18

Family

ID=66581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53180A KR102033998B1 (ko) 2019-05-07 2019-05-07 타공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339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3908A (zh) * 2020-11-06 2021-01-08 孙永林 一种布料加工用窗帘自裁剪开罗马孔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4191U (ko) * 1986-03-06 1987-09-11
JP2003200494A (ja) * 2001-12-28 2003-07-15 Sanee Giken Kk 基板にフィルムをラミネートする方法およびラミネータ
KR101377568B1 (ko) 2013-07-10 2014-03-24 이영태 Fpcb 타발장치
KR101649100B1 (ko) * 2014-10-29 2016-08-19 스템코 주식회사 흡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회전 커터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44191U (ko) * 1986-03-06 1987-09-11
JP2003200494A (ja) * 2001-12-28 2003-07-15 Sanee Giken Kk 基板にフィルムをラミネートする方法およびラミネータ
KR101377568B1 (ko) 2013-07-10 2014-03-24 이영태 Fpcb 타발장치
KR101649100B1 (ko) * 2014-10-29 2016-08-19 스템코 주식회사 흡착 매트 및 이를 이용한 회전 커터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193908A (zh) * 2020-11-06 2021-01-08 孙永林 一种布料加工用窗帘自裁剪开罗马孔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33998B1 (ko) 2019-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05190B1 (ko) 판형 금형과 가압롤러에 의한 소재 성형용 다이커팅장치
KR20190050962A (ko) 타공 장치
CN101752219B (zh) 半导体晶圆的保护带剥离方法及保护带剥离装置
WO2010146995A1 (ja) シート材の切断方法および装置
JP5112572B1 (ja) パンチング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パンチングシート部材の製造方法
KR102137134B1 (ko) 자동차 시트 원단의 펀칭 장치
TW201313638A (zh) 板玻璃割斷裝置
KR20190050963A (ko) 타공 장치
KR20190043716A (ko) 타공 장치
KR101841243B1 (ko) 부품 접착용 양면테이프 제조장치
CN108380726A (zh) 自动输料剪裁机
KR20190043715A (ko) 타공 장치
CN210083748U (zh) 一种平面板材撕膜机构及其自动撕膜机械设备
US20100006216A1 (en) Apparatus, device method for rubber-coating of cutting dies
JP2012200784A (ja) シート体加工装置およびシート体加工方法
CN210025469U (zh) 切膜装置
KR101530229B1 (ko) 상부 핀홀펀치를 구비한 절단금형장치
CN207840309U (zh) 一种吸能盒的切割模具
DE102022211012A1 (de) Bearbeitungsvorrichtung
KR101841242B1 (ko) 부품 접착용 양면테이프 제조방법
DE102022201551A1 (de) Bearbeitungsvorrichtung
DE102022201549A1 (de) Bearbeitungsvorrichtung
JP4699680B2 (ja) ゴムシート加工装置
CN210283305U (zh) 导布焊接机
JP3090214B2 (ja) 自動紙打抜機の屑取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