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50158A - 레이저 식각을 이용한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레이저 식각을 이용한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50158A
KR20190050158A KR1020170145401A KR20170145401A KR20190050158A KR 20190050158 A KR20190050158 A KR 20190050158A KR 1020170145401 A KR1020170145401 A KR 1020170145401A KR 20170145401 A KR20170145401 A KR 20170145401A KR 20190050158 A KR20190050158 A KR 201900501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pattern
coating layer
coating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54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준석
Original Assignee
오준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준석 filed Critical 오준석
Priority to KR10201701454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50158A/ko
Publication of KR20190050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501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58After-treatment
    • C23C14/5873Removal of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6Removing material
    • B23K26/362Laser etching
    • B23K26/364Laser etching for making a groove or trench, e.g. for scribing a break initiation groo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865Applying coatings; tinting; colou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8Oxides
    • C23C14/083Oxides of refractory metals or yttrium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08Oxides
    • C23C14/086Oxides of zinc, germanium, cadmium, indium, tin, thallium or bismuth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14/00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 C23C14/06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or by ion implantation of the coating forming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14/10Glass or 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103/00Materials to be soldered, welded or cut
    • B23K2103/50Inorganic material, e.g. metals, not provided for in B23K2103/02 – B23K2103/26
    • B23K2103/54Gla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Surface Treatment Of Optical Element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썬글라스의 렌즈 오목면에 멀티코팅층을 형성한 후 레이저 식각에 의하여 격자패턴으로 멀티코팅층의 일부 깊이를 식각하여, 렌즈 오목면 상에 깊이가 다른 격자패턴의 멀티코팅층을 형성하는,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b) 렌즈의 볼록 면에 멀티코팅을 수행하여 멀티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렌즈의 오목 면에 멀티코팅을 수행하여 멀티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렌즈의 오목 면의 멀티코팅층에 레이저 식각으로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 구성을 마련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하면, 렌즈 표면에 착색층을 형성하거나 렌즈 오목면에 멀티코팅층을 형성한 후 레이저 식각을 통해 깊이가 다른 착색층 또는 멀티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코팅 공정후 바로 식각 공정만을 수행하여 전체 공정을 매우 단순화하여 생산 효율성을 높알 수 있다.

Description

레이저 식각을 이용한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 { A method of manufacturing sunglasses with pattern by using laser etching }
본 발명은 썬글라스의 렌즈 오목면에 멀티코팅층을 형성한 후 레이저 식각에 의하여 격자패턴으로 멀티코팅층의 일부 깊이를 식각하여, 렌즈 오목면 상에 깊이가 다른 격자패턴의 멀티코팅층을 형성하는,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썬글라스의 렌즈 표면에 착색하여 착색층을 형성한 후 레이저 식각에 의하여 격자패턴으로 착색층을 식각하여, 렌즈 표면 상에 착색층이 형성되지 않은 격자패턴이나 깊이가 다른 격자패턴의 착색층을 형성하는,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광학렌즈, 즉, 안경, 현미경, 망원경, 카메라 등에 사용되는 렌즈는 유리 재질로 사용되어오던 것이 사용상의 편리성, 다량화, 경제성 등으로 인해 고분자 수지 재질(이하, "케미컬 렌즈"라 한다.)로 대체되고 있다. 이러한 케미컬 렌즈는 유리 재질에 비하여 여러 장점이 있으나, 투과도 등에서 열등하다. 이를 위해, 렌즈 표면에 산화실리콘(실리카), 산화지르코늄(지르코니아) 등의 무기 산화물을 증착하여 광의 투과율을 96~99% 범위로 높였다. 또한, 이러한 렌즈 코팅은 광의 산란, 반사, 난반사, 빛의 간섭을 감소시키고 있다. 또한, 렌즈 표면에 발수제로 코팅하거나, 정전기 방지를 위한 산화인듐주석을 코팅 등을 한다.
상기와 같은 렌즈 코팅 처리에도 불구하고, 렌즈의 난반사, 산란 등의 문제가 여전히 남아, 민감한 렌즈 착용자가 불편을 느끼고 있음을 토로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특수 합성수지재로 된 렌즈를 2중으로 형성하되 렌즈와 렌즈 사이에 극세한 횡선과 종선을 규칙적인 정사각형으로 형성시키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1]. 또한, 비철금속이나 특수플라스틱 재료로 1.5mm 간격의 가로 세로 정사각형의 그물 망을 안경 내부에 넣거나 덮어씌워서 직사광선을 앵글각도로 완전 차단하도록 한 것이 제안되었다[특허문헌 2].
그러나, 이러한 종래 기술들은 횡선과 종선이 불투명한 것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그러한 렌즈로 제조된 안경을 착용하였을 경우, 가로 및 세로줄이 확연하게 노출되어 미감을 해칠 뿐만 아니라, 안구로 입사되는 광량을 지나치게 많이 감소시키기 때문에 시력을 손상시킬 우려가 높고, 더욱이 야간에는 시인성이 저하되어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방해석, 탄산칼륨, 운모 등의 광흡수성 광물입자를 650nm 이하의 입자 크기로 제조한 다음, 이를 렌즈의 표면에 선 형상으로 도포함으로서, 광물입자가 산란광을 흡수하게 한 것이 제안되었다[특허문헌 3]. 이는 광물질 자체의 수급이 불안정한데다 매우 세밀하고, 균일한 입도로 분쇄하여 사용해야 하므로 그 제조공정이 복잡하고, 안정성이 있다 할 수 없고, 또한 손이나 안경 수건으로 렌즈를 닦는 등의 일상생활에서의 렌즈 표면 접촉 또는 마찰에 의해 광물질 입자가 렌즈로부터 박리, 경시적(經時的)으로 변형되기 쉬운 구조를 취하고 있으며, 이 경우 목적한 바의 흡광 기능이 저하될 수밖에 없으며, 또한 박리된 광물입자들은 렌즈 표면에 스크래치(scratch)를 발생시켜서 렌즈의 수명을 단축시킬 우려가 있다.
또한, 렌즈 표면 또는 오목면 상에 격자패턴의 잉크 프린트층을 형성한 후 렌즈표면 또는 오목면 상에 착색층 또는 멀티코팅층을 형성하고 잉크 프린트층을 제거하여, 착색층 또는 멀티코팅층이 형성되지 않은 격자패턴을 형성하는 기술이 제시되고 있다[특허문헌 4,5]. 그러나 이 선행기술은 잉크 프린트층을 형성하고 다시 제거하는 등 복잡한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공정이 복잡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89-0001226호(1989.3.17.공개)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1989-0004778호(1989.4.18.공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125112호(1997.10.02.공고)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86551호(2007.2.26.공고)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06895호(2013.09.04.공고) 일본특허공보 제4537148호(2010.09.01.공고) 일본특허공보 제4698506호(2011.06.08.공고)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874188호(2008.12.15.공고)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썬글라스의 렌즈 오목면에 멀티코팅층을 형성한 후 레이저 식각에 의하여 격자패턴으로 멀티코팅층의 일부 깊이를 식각하여, 렌즈 오목면 상에 깊이가 다른 격자패턴의 멀티코팅층을 형성하는,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썬글라스의 렌즈 표면에 착색하여 착색층을 형성한 후 레이저 식각에 의하여 격자패턴으로 착색층을 식각하여, 렌즈 표면 상에 착색층이 형성되지 않은 격자패턴이나 깊이가 다른 격자패턴의 착색층을 형성하는,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b) 렌즈의 볼록 면에 멀티코팅을 수행하여 멀티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렌즈의 오목 면에 멀티코팅을 수행하여 멀티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렌즈의 오목 면의 멀티코팅층에 레이저 식각으로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식각의 깊이는 상기 오목 면의 멀티코팅층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소정 패턴은 렌즈의 오목 면 또는 볼록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렌즈의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b) 상기 렌즈의 표면에 소정의 색상을 착색하여 착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렌즈의 착색층에 레이저 식각으로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은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패턴의 식각된 깊이는 착색층(30)의 전체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에 의하면, 렌즈 표면에 착색층을 형성하거나 렌즈 오목면에 멀티코팅층을 형성한 후 레이저 식각을 통해 깊이가 다른 착색층 또는 멀티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코팅 공정후 바로 식각 공정만을 수행하여 전체 공정을 매우 단순화하여 생산 효율성을 높알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썬글라스 렌즈 제조 공정별 렌즈의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썬글라스 렌즈의 패턴 모양을 나타낸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썬글라스 렌즈 제조 공정별 렌즈의 단면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하는데 있어서 동일 부분은 동일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제1 실시예에 따른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썬글라스 렌즈 제조 공정별 렌즈의 단면 구성도이다.
먼저, 렌즈(1)의 표면 전체에 하드코팅층(2)을 형성한다(S10).
즉, 세척액으로 렌즈(1)를 세척한 다음 열풍 또는 자연 건조하고, 렌즈(1)를 액상 하드코팅제 내에 침지(디핑)한다. 그리고 건조하여 렌즈의 표면 전체에 하드코팅층(2)을 형성한다. 하드코팅은 렌즈 표면을 강화시켜서 내마모성 내지 내마찰성을 강화시키기 위한 코팅으로서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하드 코팅액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렌즈(1)의 전체, 즉, 오목면과 볼록면 전체에 하드 코팅층을 형성한다.
도 2의 (a)는 렌즈 오목 면과 볼록 면 전체에 하드코팅층(2)을 형성한 결과를 보여준다.
다음으로, 렌즈(1)의 볼록 면에 멀티코팅층(3)을 형성한다(S20).
즉, 렌즈(1)의 볼록 면에 무기산화물을 복층으로 적층하여 멀티코팅층(3)을 형성한다. 이것은 렌즈의 광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멀티코팅층(3)은 밀폐 가능한 챔버를 가진 증착기 내에서 진공 환경 하에서 수행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멀티코팅층(3)은 실리카(SiO2), 지르코니아(ZrO2), 인듐주석산화물(ITO)이나 기타 멀티코팅에 사용되는 다른 물질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복층으로 적층하여 형성된다. 일례로서, 실리카(SiO2), 지르코니아(ZrO2), 실리카(SiO2), 인듐주석산화물(ITO), 지르코니아(ZrO2), 실리카(SiO2)를 순서대로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멀티코팅의 조건이나 방법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바람직하게는, 멀티코팅층(3)은 발수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발수코팅은 불소원자를 함유하는 유기규소화합물로 이루어진 막일 수 있으며, 발수 특성과 더불어 발유 또는 방오 특성을 갖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의 (b)는 렌즈(1)의 볼록 면에 멀티코팅층(3)이 형성된 결과를 보여준다.
다음으로, 렌즈(1)의 오목 면에 멀티코팅층(3')을 형성한다(S30).
즉, 렌즈(1)의 오목 면에 무기산화물을 복층으로 적층하여 멀티코팅층(3')을 형성한다. 이것은 렌즈의 광 투과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앞서 볼록 면에 멀티코팅층(3)을 형성하는 방법과 동일하게 수행된다. 즉, 오목 면의 멀티코팅층(3')은 밀폐 가능한 챔버를 가진 증착기 내에서 진공 환경 하에서 수행되며, 실리카(SiO2), 지르코니아(ZrO2), 인듐주석산화물(ITO) 등 멀티코팅에 사용되는 물질 중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을 복층으로 적층하여 형성된다.
또한 단계 'S2'와 단계 'S3'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그 순서를 부여하고 순차적으로 설명하였으나 그 순서가 바뀔 수도 있다. 또한, 양면 증착기를 통해 볼록 면과 오목 면의 각 멀티코팅층(3,3')을 동시에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바람직하게는, 렌즈(1)의 오목 면에 멀티코팅층(3')은 볼록 면의 멀티코팅층(3)에 비하여 그 두께가 더 두껍게 형성된다. 오목 면은 레이저 식각 처리를 하여 식각되기 때문에, 식각 깊이 보다 더 두껍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 즉, 식각된 패턴 부분에도 멀티코팅층이 남아 형성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일례로서, 앞서 볼록 면의 멀티코팅층(3)은 실리카(SiO2), 지르코니아(ZrO2), 실리카(SiO2), 인듐주석산화물(ITO), 지르코니아(ZrO2), 실리카(SiO2)의 순서로 형성되었다. 이 경우, 오목 면의 멀티코팅층(3')은 볼록 면의 코팅 순서대로 1차 코팅층을 형성하고, 2차로 다시 추가적인 코팅층을 재차 형성할 수 있다.
도 2의 (c)는 렌즈(1)의 오목 면에 멀티코팅층(3')이 형성된 결과를 보여준다.
레이저 식각 장치는 잘 알려진 레이저 조사장치 또는 레이저 마커를 이용한다[특허문헌 6,7,8].
다음으로, 렌즈(1)의 오목 면의 멀티코팅층(3')에 레이저 식각으로 소정의 패턴(4)을 형성한다(S40).
즉, 레이저 식각을 이용하여, 멀티코팅층(3')을 식각 처리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식각의 깊이는 멀티코팅층(3')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식각된 패턴 부분에도 멀티코팅층(3')이 남아 형성되도록 한다.
도 2의 (d)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각된 패턴(4)은 멀티코팅층(3')에서 식각된 부분이며, 패턴의 식각된 깊이는 멀티코팅층(3')의 전체 두께 보다 작다. 따라서 식각된 패턴(4) 부분에도 멀티코팅층(3')이 일부 남아 층을 형성한다.
이때, 식각된 패턴(4) 부분과 식각되지 않은 나머지 멀티코팅층(3')은 단층을 이루어, 소정의 패턴이 구획되어 형성된다. 식각되지 않은 멀티코팅층(3')은 식각된 패턴의 멀티코팅층(3')과 동종의 코팅층이나, 그 두께가 두꺼워진다.
따라서 멀티코팅층의 두께 차에 의해 소정 패턴의 무늬가 형성되므로 패턴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없음은 물론 평상시 패턴 무늬가 드러나지 않으면서도 핀홀 효과에 의해 빛의 산란을 방지할 수 있어 눈부심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패턴이 형성된 면에 입김을 불거나 온도 차에 의해 표면에 김이 서릴 경우 또는 형광등 불빛에 비추어 보면 패턴이 확연히 드러나며, 이를 통해 핀홀 효과를 위해 패턴이 형성된 렌즈임을 확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패턴이 렌즈(1)의 오목 면에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패턴은 필요에 따라 렌즈(1)의 볼록 면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멀티코팅층(3)이 하드코팅층(2) 상에 적층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하드코팅이 필요하지 않은 종류의 렌즈 표면에 멀티코팅층의 두께 차에 의해서 패턴을 형성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하드코팅 형성 단계(S10)를 생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썬글라스 렌즈의 패턴 모양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렌즈에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패턴은 레이저 식각에 의한 식각 패턴(무늬)(4)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 그 모양은 (a)와 같이 격자 패턴일 수도 있고, (b)와 같이 벌집 패턴일 수 있으며, 또한 (c)와 같이 원형의 모양이 복수 개 형성된 원형 패턴일 수도 있다. 또한, (d)와 같이 사각형의 모양이 복수 개 형성 된 사각 패턴일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소정 패턴은 예시된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멀티코팅층의 두께 차에 의해 핀홀 효과를 갖도록 한 모든 모양의 패턴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을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고, 도 5는 제2 실시예에 따른 썬글라스 렌즈 제조 공정별 렌즈의 단면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는 썬글라스 렌즈에 착색층을 형성하고 착색층 내에 레이저로 식각 처리를 하여 패턴을 형성하는 방법이다. 즉, 렌즈(10) 표면에 착색되지 아니한 격자패턴(40)이 형성되고 격자패턴(40)을 제외한 나머지 면에는 착색층(30)이 형성되어 있어서, 렌즈(10) 표면은 마치 바둑판 형태의 착색층(30)이 형성되어 있다. 또는, 패턴이 형성된 착색층(30)의 두께가 패턴이 형성되지 않은 착색층(30)의 두께 보다 작아 단층을 이룬다.
여기서, 착색층(30) 역시 일반적인 착색 렌즈와 같이 빛이 투과되는 영역이고, 격자패턴(40)은 가로 및 세로 줄의 폭이 0.1mm 내지 0.5mm의 세선으로서, 착색이 되지 아니한 순수한 렌즈(10)의 표면이거나, 격자패턴(40)의 착색층 보다 두께가 두꺼우며, 역시 빛의 투과가 가능한 영역이다.
도 4 및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먼저, 렌즈(10)의 표면을 세척한다(S110). 즉, 아세톤과 같은 세척액을 이용하여 렌즈(10)의 표면에 잔존하는 먼지나 이물질 등을 세척한다.
다음으로, 렌즈(10)의 표면에 소정의 색상을 착색하여 착색층(30)을 형성한다(S120).
즉, 고온의 착색용액에 렌즈(10)를 침지(Deeping)시키거나 착색용액을 렌즈(10) 표면에 도포한다. 그 외에도 렌즈 표면의 착색을 위한 공지된 방법 어느 것도 적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렌즈(10)에 형성된 착색층(30)의 두께가 균일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고온의 착색용액에 침지시키는 기법을 사용한다.
또한, 착색층(30)을 형성하는 착색용액은 빛을 완전히 차단하는 것이 아닌, 약간의 색상을 가미한 투명성 착색액으로서, 일반적으로 렌즈 착색을 위해 사용하는 것이면 제한이 없다. 렌즈(10) 표면에 착색액을 도포시킨 다음에, 이를 60℃ 내지 100℃의 열풍 하에서 1시간 내지 3시간 건조시켜서 착색층(30)을 경화시킨다.
고온의 착색용액이 렌즈(10)의 표면 영역에 침투하여, 도 5의 (a)와 같은 얇은 박막 상의 착색층(30)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렌즈(10)의 착색층(30)에 레이저 식각으로 소정의 패턴을 형성한다(S130).
즉, 레이저 식각을 이용하여, 착색층(30)을 식각 처리한다. 이때, 바람직하게는, 식각의 깊이는 착색층(30)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된다. 즉, 식각된 패턴 부분에도 착색층(30)이 남아 형성되도록 한다.
도 5의 (b)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식각된 패턴(40)은 착색층(30)에서 식각된 부분이며, 패턴의 식각된 깊이는 착색층(30)의 전체 두께 보다 작다. 따라서 식각된 패턴(40) 부분에도 착색층(30)이 일부 남아 층을 형성한다.
이때, 식각된 패턴(40) 부분과 식각되지 않은 나머지 착색층(30)은 단층을 이루어, 소정의 패턴이 구획되어 형성된다. 식각되지 않은 착색층(30)은 식각된 패턴의 착색층(30')과 동종의 코팅층이나, 그 두께가 두꺼워진다.
따라서 착색층의 두께 차에 의해 소정 패턴의 무늬가 형성되므로 패턴을 육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없음은 물론 평상시 패턴 무늬가 드러나지 않으면서도 핀홀 효과에 의해 빛의 산란을 방지할 수 있어 눈부심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패턴이 형성된 면에 입김을 불거나 온도 차에 의해 표면에 김이 서릴 경우 또는 형광등 불빛에 비추어 보면 패턴이 확연히 드러나며, 이를 통해 핀홀 효과를 위해 패턴이 형성된 렌즈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식각 패턴(40)은 가로 및 세로 줄의 폭은 각각 0.1mm 내지 0.5mm 범위의 세선(細線)으로 식각된다. 또한, 식각 패턴(40)은 바둑판 형태로 형성되거나, 도 3과 같은 여러가지 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렌즈(10) 표면에 하드코팅층을 형성하거나(S140), 멀티코팅층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렌즈(10)는 유리 재질일 수 있고, 또는 투명한 합성수지 재료일 수 있다. 특히, 합성수지인 경우 렌즈 표면의 내마모성 내지는 내마찰성을 강화시키기 위해 렌즈 하드코팅 단계(S140)를 수행할 수 있다.
렌즈 하드코팅 단계(S140)는, 렌즈(10) 표면에 고경도 실리콘 계열 수지의 막을 입히는 것으로, 통상 액상 고경도 실리콘 계열의 수지에 침지시킨 후 건조시켜서 제조되며, 이러한 코팅 과정에서도 소정의 색상이 더 가미될 수 있는 바, 이는 당해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바람직하게는, 렌즈 하드코팅 단계(S140)와 더불어 렌즈 멀티코팅 단계(S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렌즈 멀티코팅 단계(S150)는, 다층 반사억제 피막(Anti-reflective multi coated)이라고도 하며 렌즈 표면에 불화마그네슘, 산화알루미늄 등을 진공 상태에서 증착시켜 얇은 막을 입히는 공정이며, 이 역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이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 : 렌즈 2 : 하드코팅층
3 : 멀티코팅층 4 : 패턴
10 : 렌즈
30 : 착색층 40 : 식각 패턴

Claims (5)

  1.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에 있어서,
    (b) 렌즈의 볼록 면에 멀티코팅을 수행하여 멀티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렌즈의 오목 면에 멀티코팅을 수행하여 멀티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상기 렌즈의 오목 면의 멀티코팅층에 레이저 식각으로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d)단계에서, 식각의 깊이는 상기 오목 면의 멀티코팅층의 두께 보다 작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패턴은 렌즈의 오목 면 또는 볼록 면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
  4.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에 있어서,
    (a) 렌즈의 표면을 세척하는 단계;
    (b) 상기 렌즈의 표면에 소정의 색상을 착색하여 착색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c) 상기 렌즈의 착색층에 레이저 식각으로 소정의 패턴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에서, 패턴의 식각된 깊이는 착색층(30)의 전체 두께 보다 작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
KR1020170145401A 2017-11-02 2017-11-02 레이저 식각을 이용한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 KR201900501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401A KR20190050158A (ko) 2017-11-02 2017-11-02 레이저 식각을 이용한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5401A KR20190050158A (ko) 2017-11-02 2017-11-02 레이저 식각을 이용한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50158A true KR20190050158A (ko) 2019-05-10

Family

ID=665810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5401A KR20190050158A (ko) 2017-11-02 2017-11-02 레이저 식각을 이용한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50158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131B1 (ko) 2019-12-19 2020-07-08 정운식 레이저 용접장치를 이용한 틴케이스의 표면에 양각 패턴을 형성시키는 방법
CN114296160A (zh) * 2020-10-07 2022-04-08 崔俊锡 适用了视力矫正图案的镜片及其制造方法
CN117226281A (zh) * 2023-11-15 2023-12-15 宁波四维尔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前脸镭雕方法、系统、智能终端及存储介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1226B1 (ko) 1985-12-23 1989-04-27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공정제어장치
KR890004778B1 (ko) 1981-11-07 1989-11-27 헌터 더그라스(아시아)리미티드 판재 성형 방법 및 장치
KR0125112B1 (ko) 1994-01-17 1997-12-04 김선태 방현성 투광부재
KR100686551B1 (ko) 2006-11-07 2007-02-26 송연희 격자패턴 렌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렌즈
KR100874188B1 (ko) 2007-04-19 2008-12-15 (주)도 은 코팅층에 렌즈 정보가 표시된 광학렌즈 및 그 제조방법
JP4537148B2 (ja) 2004-08-10 2010-09-01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へのマーキング方法
JP4698506B2 (ja) 2005-06-30 2011-06-08 Hoya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眼鏡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マーキング方法及びマーキング装置
KR101306895B1 (ko) 2013-02-21 2013-09-10 송연희 패턴을 갖는 렌즈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4778B1 (ko) 1981-11-07 1989-11-27 헌터 더그라스(아시아)리미티드 판재 성형 방법 및 장치
KR890001226B1 (ko) 1985-12-23 1989-04-27 재단법인 한국화학연구소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이용한 공정제어장치
KR0125112B1 (ko) 1994-01-17 1997-12-04 김선태 방현성 투광부재
JP4537148B2 (ja) 2004-08-10 2010-09-01 Hoya株式会社 眼鏡レンズへのマーキング方法
JP4698506B2 (ja) 2005-06-30 2011-06-08 Hoya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眼鏡レンズ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マーキング方法及びマーキング装置
KR100686551B1 (ko) 2006-11-07 2007-02-26 송연희 격자패턴 렌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렌즈
KR100874188B1 (ko) 2007-04-19 2008-12-15 (주)도 은 코팅층에 렌즈 정보가 표시된 광학렌즈 및 그 제조방법
KR101306895B1 (ko) 2013-02-21 2013-09-10 송연희 패턴을 갖는 렌즈의 제조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2131B1 (ko) 2019-12-19 2020-07-08 정운식 레이저 용접장치를 이용한 틴케이스의 표면에 양각 패턴을 형성시키는 방법
CN114296160A (zh) * 2020-10-07 2022-04-08 崔俊锡 适用了视力矫正图案的镜片及其制造方法
CN117226281A (zh) * 2023-11-15 2023-12-15 宁波四维尔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前脸镭雕方法、系统、智能终端及存储介质
CN117226281B (zh) * 2023-11-15 2024-02-23 宁波四维尔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汽车前脸镭雕方法、系统、智能终端及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6222B2 (en) Glass substr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cover glas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personal digital assistant, and display device
CN215340409U (zh) 包含光学涂层的制品
JP5947379B2 (ja) 反射防止構造体、その製造方法及び表示装置
KR102482628B1 (ko) 디스플레이 영역을 포함하는 투명 층상 요소
US20130169591A1 (en) Strengthened glass block, touch-sensitive display device and oled display device
US5061874A (en) Glass article having low specular reflection
KR20170031715A (ko) 저 스파클 유리 시트
US11254095B2 (en) High hardness articles including an optical layer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KR20190050158A (ko) 레이저 식각을 이용한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
KR101229673B1 (ko) 저반사 및 고접촉각을 갖는 기판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5141170A1 (ja) レンズアッシー
EP3223042B1 (en) Optical membe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306895B1 (ko) 패턴을 갖는 렌즈의 제조방법
TW201938505A (zh) 防眩光玻璃片
KR20160004207A (ko) 자정식 얼룩 방지 구조체 및 관련 제조 방법
KR100686551B1 (ko) 격자패턴 렌즈의 제조방법 및 그 방법으로 제조된 렌즈
WO2016088982A1 (ko) 커버글라스 인쇄 방법
WO2015146016A1 (ja) 反射防止機能付きレンズの製造方法
KR20190049277A (ko) 광학용 반사방지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132704A (ko) 광학체 및 유리재
JP6164120B2 (ja) 反射防止膜付き基材および物品
US20150253467A1 (en) Optical element, optical system, and method of manufacturing optical element
RU2751800C2 (ru) Многослойное изделие, содержащее стойкий к истиранию слой, содержащее его устройство и способ его производства
CN104395783B (zh) 防反射结构体和显示装置
KR20220036913A (ko) 확산 반사를 갖는 투명 요소용 복합 라미네이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