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90004778B1 - 판재 성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판재 성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90004778B1
KR890004778B1 KR1019810004263A KR810004263A KR890004778B1 KR 890004778 B1 KR890004778 B1 KR 890004778B1 KR 1019810004263 A KR1019810004263 A KR 1019810004263A KR 810004263 A KR810004263 A KR 810004263A KR 890004778 B1 KR890004778 B1 KR 890004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die
die member
platen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4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163A (ko
Inventor
비.놀게이드 로버어트
Original Assignee
헌터 더그라스(아시아)리미티드
알란 에이치.씨.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헌터 더그라스(아시아)리미티드, 알란 에이치.씨.리 filed Critical 헌터 더그라스(아시아)리미티드
Priority to KR1019810004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890004778B1/ko
Publication of KR8300071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1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4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4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ress-Shaping Or Shaping Using Conveyers (AREA)
  • Devices For Post-Treatments, Processing, Supply, Discharge, And Other Process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판재 성형 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하여 가공된 판재를 보여주는 부분 사시도.
제2도는 판재를 가공하는 종래 공지의 금형을 보여주는 금형의 개략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의한 금형의 일면을 보여주는 개략도.
제4도는 제3돈의 IV-IV선에 의한 단면도.
제5도는 (i)-(iv)는 본 발명에 의한 판재 성형방법의 과정을 보여주는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체 장치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주기와 표면 영역 3 : 단계부(하강부)
5 : 주표면 영역 20,20A : 판재
25 : 로울(예비)성형장치 26 : 로울러
30 : 전진 및 공급장치 31,32 : 플래튼
40,41 : 다이부재 40A,41A : 주몸체부
40B,41B : 하강부 60 : 절단수단
본 발명은 판재(sheet material) 특히 편평한 금속판재로 루핑 재료(roofing material)나 외벽재료(cladding material)를 제조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루핑과 외벽재료가 최근에 광범위하게 사용되며, 루핑과 외벽의 여러 형태에 대해 경제성과실용성면에서 장접을 갖기 때문에 길게 연속적인 형태의 루핑이나 외벽이 사용된다. 이러한 길게 연속된 루핑 또는 외벽 재료의 한가지 중요한 장점은 이의 제조나 설치 비용이 다수의 단일 건물요소와 비교하여 사실상 경제적이라는 것이며 예를 들면 다수의 건물요소 또는 슁글과 비교하여 더 경제적이라는 것이다.
종래에도 길게 연속된 외벽 또는 루핑이 사용되었으나 미관상 만족스럽지 못하였고, 미관상 길게 연속되어 있으면서도 개개 기와 또는 슁글(shingle)과 같이 다수의개개요소의 형태의외관을 제공하는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그러나 좁은 면적에서 판재를 프레스하여 많은 굴곡을 주어서 다수의 기와나 슁글이 연속되어 있는 것과같이 만드는데는 여러가지 문제점이 있다. 예를 들어 종래의 프레스방식에 의하여 판재를 가공하면 스트레칭이나 응력이 일정 부분에 몰리게 되어 구조적으로 약한 재료가 생산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판재에 하나 이상의 기와각인을 형성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기위한 것이며, 이 방법은 지금까지 사용된 종래 방법에 수반된 문제점들을 극복하고 또 효과적이며 미관상으로 좋은 제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판재에 하나이상의 기와 각인을 성형하기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 장치는 지금까지 사용된 종래 장치에 수반된 문제점들들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음 설명으로부터 더 명백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이 판재에 형성되거나 각인되는 다수의 기와섹션으로 바람직한 형상에 관하여 설명되지만 어떤 상황에서 본 발명의 방법 및 장치차 판재로부터 단일기와의 형성에 적용된다는것을 알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양상에 따라 다음과 같이 판재에 하나이상의 단계로 된 기와섹션의 한 방법을 제공한다 :
1. 두개의 수직으로 길이 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플래튼 사이의 상기 판재를 죄고, 이 다음에 적어도 두개의 이격된 수직으로 다이부재사이에 상기 판재의 일부를 위치시키기 위해 플래튼과 판재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며, 여기서 적어도 다이부재의 하나가 다른 다이부재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1다이부재가 주몸체부와 단계부를 포함하며 제2다이부재의 주몸체부에 사실상 평행하며 대응하는 몸체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이면이 프로우필로된다.
2. 적어도 다른 다이부재에 상대적으로 한 다이부재를 이동시켜서 상기 판재에 단계를 형성하고 판재의 적어도 하나의 기와섹션에서 바람직하거나 초기설정된 형상 또는 프로우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양상에 따라 판재에 하나이상의 기와섹션을 형성하기위해 적어고 제 1 및 제2다이부재의 다이면들이 초기설정되거나 바람직한 형상 또는 프로우필을 구비하고 ; 상기 다이부재들 위치로 상시 판재를 진행시키도록 제공된 수단이 있으며 ; 상기 수단이 상기 판재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되어 수직으로 이격된 플래튼을 포함하고 판재를 붙잡도록 하기 위해 서로서로를 향하여 조작 가능하며 ; 상기 플래튼이 상기 다이부재들 사이를 향하여 상기 판재를 진행시키기 위하여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배열되고 ; 다이부재들 사이에 있는 판재를 가지고 다른 다이부재에 상대적인 다이부재의 이동이 판재에서 적어도 한 단계를 형성하며; 제1다이부재의 적어도 주몸체부의 프로우필로 된 다이면과 제2다이부재의 주표면영역이 적어도 한 기와섹션에서 바람직하거나 초기 설정된 형상 또는 프로우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한다.
본 발명은 도면은 참고하여 단지 예로써 이하에서 설명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해 형성된 오래 계속되거나 연속적인 형태의 루핑재료의 섹션을 도시한 것이며, 다수의 단계적인 기와 섹션을 포함한다. 기와섹션은 제조업자 또는 사용자의 임의에 따라 초기설정된 형상,
형태 또는 프로우필을 형성되는 주기와 표면 영역(2)과 단계부(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이들은 주름지거나 또는 이랑으로 될 수 있다.
제2도는 판재에 기와각인을 누르는 기술에서 알려지고 사용된 바와간이 전형적인 다이공구장치를 도시한다. 따라서 보충 다이공구(6A),(6B)에 사실상 보충장식이나 프로우필로 된 표면 또는 패턴을 구비한 대향면(7A),(7B)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들은 판재상에 바람직한 기와각인을 만들도록 되어 있다.
공지의 제조방법에서는 일반적으로 하부다이부재(6B)가 고정되며 상부 다이부재(6A)가 하부다이부재(6B)에 상대적으로 사실상 수직의 상하운동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다이부재의 구성이 제2도에서 8로 도시한 단계와 같이 한번 조작에 적어도 두 단계의 형성을 완료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부다이부재(6A)가 하부다이부재(6B)상에 있을 때 판재가 두 단계부로 형성되며 단계 8로 되고 이것은 평평 또는 주표면 영역(5)에 의해 분리된다.
사실상 동시에 이격된 방식으로 두 단계부의 형성은 실질적인 응력 집중을 보이며 단계 8에서 영역 9와 10에서 가장 중요하다.
본 발명은 이런 응력영역을 피하거나 또는 적어도 감소시키고록 하는 방법과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판형상으로 감긴 금속이나 또는오래 계속하는 금속판재와 같은 판재의 하나이상의 기와각인을 형성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한 형태(제 6 도 참조)에서 판재(20)는 예를 들명 골이 지거나 각이 진 프로우필과 같이 사실상 완성도거나 최종 표면 프로우필 또는 형상을 같도록 형성된다.
이런 이유 때문에 판재(20)는 예비성형 장치를 통하여 또는 예비성형로울러 사이로 지나서 부분적이지만 사실상 완성되거나 최종 프로우필 또는 형상을 각인하거나 형성한다.
예비성형 조작이 로울성형의 형태로 될 수 있고 다르게는 프로우필이 판재상에 각인될 수 있다. 예비성형의 다른 수단이 바람직하다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첨부도면의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판재(20)가 로울성형장치(25)를 통하여 지나고, 여기서 예를 들면 다수의 이격된 로울러(26)가 판재(20)상에 초기 설정되거나 바람직한 형상 또는 프로우필을 각인하도록 제공된다. 판재(20)상에 더 확실하고 효과적인 프로우필을 제공하기위하여 민둥 또는 피복되지 않은 금속로울러가 사용된다는 것을 알수 있다. 로울러와 판재사이에서 금속대 금속의 접촉은 지금까지 사용된 더 부드럽거나 고무의 로울러 또는 피복된 로울러에서 보다 더 크게 각인을 제공하고, 이에 따라 확실하고 효과적인 프로우필을 제공한다.
바람직하다면 보통으로 용인된 로울성형장치는 로울성형하는 데에 알려진 바와 같이 피복된 로울러 또는 고무나 우레탄을 사용하는 것과 같이 사용될 수 있다.
로울성형장치(25)는 로울성형 또는예비성형 장치내에서 판재의 측면이동을 방지하기위하여 부가적인 측면로울러 또는 가이드를 구비한다.
예비성형장치(25)의 조작은 판재(20)를 바람직한 형상 또는 프로우필로 초기에 또 부분적으로 형성하도록 되어 있고, 이하에 다이부재(40), (41)에 의해 부분적으로 형성(바람직하게 끝손질 또는 완성)되도록 되어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된 판재(20)는 공급 및 전진장치(30)에 의해 나아가게 되며 다이부재(40)과 (41)사이에 위치되어 다수의 단계부(3)의 판재에 형성될 수 있다.
판재(20)를 로울성형장치(25)로부터 다이부재(40),(41)를 향하여 보내기위해 제공된 공급 및 전진 메커니즘 또는 장치(30)는 적절한 기계적, 전자적 또는 유압적 제어에 의해 조작된다. 전진 및 공급장치는(상부 밑 하부플래튼(31),(32)의 형태에서와 같이) 판재의 및 하부를 전부 지나거나 또는 판재(20)의 각 측면을 따라 다수의 그립(도시하지 않음)의 형태이거나 간에 판재(20)와 결합한다. 플래튼 또는 해제 가능한 그립음 이하에서 "전진그립"으로써 청구범위에서 공동으로 언급된다.
전진그립은 바람직하게 플래튼(31),(32)의 형태이다.
플래튼(31),(32)은 서로를 향하여 조작가능하도록 또 판재(20)를 잡도록 장착되고, 서로간의 분리는기계적이나 유압적 램에 의해 또는 적절한 전자적 제어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판재(20)와 접하게 될 플래튼의 면 또는 표면(35)은 판재(20)의 바람직한 형상 또는 프로우필에 사실상 대응하는 바람직한 형상 또는 프로우필로 적절히 프로우필되거나 형성된다.
플래튼(31),(32)은 판재에 상대적으로 적절히 장착되어 판재(20)의 길이방향으로 전후방 이동할 수 있고, 판재가 다이부재(41),(42)의 사이를 향하여 나아감에 따라 판재(20)의 길이방향축에 사실상 평행하게 있다.
플래튼(31), (32)의 이런 길이방향이동은 예를들면 하나이상의 유압램 및/또는 적절한 기계적이나 전자적 제어에 의하여 제어된다.
상기언급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 다수의 해제가능한 그립은 판재의 각 측면을 따라 제공될 수 있고, 플래튼과 같은 방식으로 이동 및 조적가능하며, 판재를 잡아서 다이부재(40), (41)를 향하여 이동되게 한다.
그러나 판재(20)의 프로우필 또는 형상내에서 산뜻하게 결합하도록 인접한 면상에 프로우필되고 판재(20)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된 플래튼(31), (32)의 형태로 전진그립을 제공함으로써 확실하고 견고한 결합 및 그립은 판재(20)와 플래튼(31), (32)사이에 있게 된다. 이것은 판재(20)가 다이부재(40)와 (41)사이에 위치되도록 전방으로 이동될때 판재(20)의 적극적이며 효과적인 전방이동을 제공하고, 또한 이런 이동중에 판재의 측면이동으로부터 일어날 수 있는 것으로써 판재(20)에서 어떤 변형이나 구부러짐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킨다.
조작시에 공급 밑 전진 메커니즘(30)은 제1 및 제2다이부재와 기계적, 전자적 및/또는 유압적으로 동시에 움직이거나 동위로 되어서 판재(20)가 로울성형장치 또는 예비성형장치(25)로부터 배출될 때 판재가 플래튼(31), (32)으로 잡히고 다이부재(40), (41)사이의 위치로 전진된다.
다이부재(40), (41)가 그들 사이에서 판재(20)를 압착하도록 작동될 때 플래튼(31),(32)은 그 이상의 길이 또는 거리를 전진시키기위해 판재(20)를 다시 붙잡는위치로 복귀메커니즘 또는 복귀제어수단에 의해서 방출되거나 복귀된다. 그 메커니즘들은 제1 및 제2다이부재(40),(41)는 분리이동되고, 플래튼(31), (32)사이에 잡힌 판재(20)는 다이부재(40), (41)사이에서 전방으로 이동된다. 이 과정이 반복된다.
이렇게 하여 다이부재(40), (41) 또는 플래튼(31),(32)은 그들사이에서 판재(20)를 지지하고, 과정중에 계속하여 판재(20)의 이동 또는 측면변이를 초래할 수 있는것으로써 판재(20)의 변형과 이동을 피하거나 감소시킨다.
더우기 로울성형장치(25)는 판재(20)의 길이방향이동을 제어하고 판재(20)의 이동 또는 측면변이를 가능한한 방지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공급 및 전진 유닛은 적절한 측저유닛 또는제어 메커니즘이나 장치를 구비하거나 관련되며, 제어메커니즘이 판재(20)의 길이를 다이사이에 위치되도록 제어한다. 적절한 제어는 공급 밑 전진유닛(30)과 관련하여 제공되어서 다이사이에 위치될 판재의 길이가 필요에 따라 변경되거나 조절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다이부재(40), (41)사이에 공급된 판재(20)의 길이는 적어도 기와의 한단계로 된 하강부(3)의 길이(도는 깊이)에 기와의 한 주몸체 또는표면영역(2)의 길이를 더한 것이다.
다이장치는제1상부 다이부재(40)와 제2하부 다이부재(41)로 되는 두 다이부재(40),(41)사이에 공급된 판재(20)의 길이는 적어도 기와의 한단계로 된 하강부(3)의 길이(도는 깊이)에 가와의 한 주몸체 또는 표면영역(2)의 길이를 더한 것이다.
다이장치는 제1상부 다이부재(40)와 제2하부 다이부재(41)로 되는 두 다이부재(40), (41)를 포함한다.
제1상부다이부재(40)는 주몸체부(40A)와 단계로 된 하강부(40B)를 구비하고, 제1다이부재의 주몸체부(40A)와 단계로 된 하강부(40B)의 하측과 다이면이 기와의 바람직하거나 초기 설정된 형상 또는 프로우필에 대응하도록 프로우필된다.
바람직하다면 우레탄과 같이 적절한 피복재료에 피복된다. 제1다이부재(40)의 주몸체부(40A)의 길이는 적어도 기와의 한단계로된 하강부(3)의 길이(깊이)에 기와의 한 주표면부의 길이를 더한 것이다.
제2다이부재(41)는 제1다이부재(40)의 주몸체부(40A)에 사실상 평행하며 대응하는 주몸체부 또는 편면부재(41A)를 구비한다. 또한 제2다이부재(41)는 제1다이부재(40)의 단계로 된 하강부(40B)를 사실상 보충하는 단계로 된 하강부(41B)를 구비하염서 다이부재(40), (41)가 모아질 때 제1 및 제2다이부재의 단게로 된 하강부(40B), (41B)가 적절히 결합하거나 연동 접합한다. 첨부도면으로부터 특히 제4도 내지 제5도(iv)로부터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다이부재가 모아질때 한장의 판재(20)가 제1 및 제2 다이부재(40), (41)사이에 위치된다면 판재(20)는 적어도 한단계가 셩형된다.
다이부재(40), (41)는 적절한 방식으로 예를 들면 기계적, 유학적 및/또는 전자적으로 조작되어서 지나는 판재(20)에 하나이상의 단계로 된 각인을 형성하도록 함께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제2 또는 하부다이부재(41)는 고정되고 제1 또는 상부다이부재(40)는 제2 또는 하부 다이부재(41)에 상대적으로 이동한다. 그러나 바람직하다면 서로서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고, 또는 다르게 하부다이부재가 상부다이부재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본 발며의 바람직한 형태를 제2 또는 하부다이부재가 고정되며 제 1 또는 상부다이부재가 제2다이부재에 상대적으로 이동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제1 및 제2다이부재는 단일다이부재이다. 그러나 교체하기위하여 제1다이부재와 특히 제2다이부재가 여러 부품으로 구성될 수 있다는 것을 상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다이부재가 주다이부와 단계로 된 하강부로 구성될 수 있다. 제2다이부재가 주표면부와 단계로된 하강부로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각 다이부재의 부분들은 하나로써 조작되도록 또 단지 교체나 보수하기 위해 다른 부분으로부터 한 부분을 제거가능하도록 함께 안전하게되어야 한다.
제4도와 5(i)내지 5도(iv)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방법에서 조작단계들을 나타낸다.
먼저. 제5도(i)를 참조하여 판재(20)가 제1 및 제2다이부재(40), (41)의 대향표면들 사이로 공급된다. 판재(20)의 자유단이 제1 및 제2다이부재(40), (41)의 하강부(40B), (41B)에 인접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바로 앞에서 정지된다. 다음에 다이부재(40), (41)는 하부다이부재(41)에 상대적으로 하강되는 상부다이부재(40)에 의하여 바람직하게 함께 결속되고, 판재상에 다이부재의 작용은 판재에 프로우필을 형성하고/하거나 기와표면영역(2)의 프로우필을 완성하거나 끝손질하고, 이 프로우필은 적절한 예비성형장치(25)에 있는 예비성형로울러(26)에 의하여 예비성형되거나 적어도 초기에 성형된다.
다음에 다이부재(40), (41)가 분리이동(제 5 도(ii)되고 판재(20)가 전진되어서 다이부재(40)의 주몸체부(40A)와 하강부(40B)의 아래에 연장된다.
상부다이부재(40)가 하부다이부내(41)에 상대적으로 아래도 이동함으로써 다이부재(40), (41)는 바람직하게 다시 모아지고, 판재(20)상에 하강부(40B), (41B)의 작용은 판재(20)에 단계로 된 각인을 형성한다.
제5도(iii)에서 제1 및 제2다이부재(40B), (41B)가 분리이동되고, 판재(20)가 형성될 기와부의 적어도 한 단계부(3)의 길이(깊이)에 형성될 기와섹션의 하나의 주표면영역(2)의 길이를 더하는 거리를 전진한다.
제5도(iv)에서 제1 및 제2다이부재(40), (41)는 다시(바람직하게 하부다이부재(41)에 상대적으로 이동하는 상부다이부재(40)에 의해서)모아지고, 다른 단계가 판재(20)에 형성된다.
다이부재(40), (41)의 작용은 단계가 제2다이부재(41)의 사실상 대응하며 주몸체부(41A)과 제1다이부재(40)의주몸체부(40A)의 작용에 의하여 형상과 프로우필에 관하여 이미 마무리된 판재(20)에 형성되게 한다. 제5(iv)에 도시된 과정중에 이들 주몸체부(다이셋션)(40A), (41A)사이에 위치된 판재(20)의 형상과 프로우필이 적어도 더 마무리되고 완성될 것이다.
이 조작은 바람직한 갯수의 프로우필과 각 단계의 기와섹션이 판재(20)에 성형될 때까지 계속되고, 이 때에 판재의 섹션길이가 필요에 따라 절단되거나 재단된다.
바람직하다면 재단기는 다수의 단일기와를 절단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제6도에서 적절한 절단수단 또는 재단수단(60)은 다이부재(40), (41)의 출구에 바로 인접하여 이격되면서 제공되어서, 다이부재(40), (41)사이로부터 나오는 프로우필과 단계의 판재(20A0가 바람직하거나 초기설정된 길이의 기와를 절단될 수 있다.
선별테이블(65)과 포장장치가 이 배열과 관련될 수 있어서 기와들을 바람직하거나 초기설정된 길이로절단된다면 필요에 따라 선별되어 포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피복된 금속에 독점적인 작용을 하지 않으며, 여기서 성형방식는 지금까지 된바와 같이 판재가 굽힘 응력과 변형을 받지 않게 되는것이다. 특히 판재가 가해지는 단계의 고정에서 판재가 이미 적어도 실질적으로 프로우필되었고, 이것은 상기한 바와 같이 또 지금까지의 경우에서와 같이 결합 또는 굽힘에서 응력과 변형을 피하게 한다.
본 발명이 예비성형장치 또는성형장치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예비성형된 판재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판재가 제1 및 제 2 다이부재 사이에서 바람직한 형상이나 프로우필로 완전히 성형될 수 있다는 것을 알수 있다. 따라서 미성형된 판재는 상기한 바와같이 바람직한 프로우필로 판재의 성형이 제1 및 제 2 다이부재의 사이에서의 조작으로 되는 것과는 다를 방식으로 예비성형된 판재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판재가 제1및 제 2 다이부내 사이에서 바람직한 형상이나 프로우필로 완전히 성형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미성형된 판재는 상기한 바와같이 바람직한 표면형상과 프로우필 판재의 성형이 제1 및 제 2 다이부재의 사이에서의 조작으로 되는 것과는 다른 방식으로 다이부재사이로 공급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대부분이 형태에서 로울 성형 또는 예비성형 장치는 형상 또는 프로우필의 실질적이거나 초기 부품을 성형하도록 작용하는 반면에 제 1 및 제 2 다이부재의 작용은 판재에 하나이상의 단계를 성형할 뿐만 아니라 판재에 바람직한 형상 또는 프로우필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성형하고 완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에서 다이부재(40), (41)는 기와의 바람직하거나 초기 설정된 형상 또는 프로우필을 마무리하거나 완성하도록 조작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판재에 기와각인을 성형하기위한 개량된 방법과 장치는 제공한다.

Claims (10)

  1. 판재에 하나이상의 기와섹션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가 다른 하나에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제1 및 제 2의 수직으로 이격된 다이부재를 포함하고 ; 제1다이부재가 주몸체와 단계부를 포함하며 ; 제2다이부재가 상기 제 1 다이부재의 주몸체부에 평행한 주표면 영역을 포함하고 ; 상기 제1 및 제 2 다이부재의 다이면이 적절한 프로우필을 구비하며 ; 상기 판재를 상기 다이부재 사이의 위치로 전진시키기 위해 제공된 전진수단이 있고 ; 상기 전진수단이 판재를 붙잡도록 서로서로를 향하여 조작가능하고 판재의 상부 및 하부에 위치되어 수직으로 이격된 플래튼을 포함하며; 상기 플래튼이 상기 다이부재의 사이를 향하여 상기판재를 전진시키기 위해 판재의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배열되고 ; 상기 판재를 가지고 다른 다이부재에 상대적인 한 다이부재의 이동이 판재에 적어도 한 단계를 성형시키며 ; 적어도 제2다이부재의 두표면영역과 제 1 다이부재의 주몸체부의 프로우필로된 다이면이 적어도 한 기와섹션에 적절한 프로우필을 부분적으로 성형하는 것을 특징을 하는 판재성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판재가 상기 다이부재를 지나기 전에 예비성형수단이 상기 판재를 적절한 프로우필로 부분적으로 예비성형하도록 제공된 것을 특징을 하는 판재성형장치.
  3. 제 1 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다이부재의 주몸체부의 길이가 기와섹션의 단계부의 길이(깊이)에 기와섹션 주표면영역의 길이를 더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성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다이부내 사이의 위치로 상기 판재를 전진시키기 위한 상기 플래튼이 이격이동되는 다이부재상에서 또 판재에 성형된 단계상에서 상기 다이분재사이의 위치로 판재의 섹션을 전진시키기 위해 이동하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성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판재와 접촉하게 되는 상기 플래튼의 표면이 적절한 형상 또는 프로우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성형장치.
  6. 제 1 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다이부재와 상기 플래튼의 조작을 동의로 하도록 제공된 수단으로 장치의 조작중 항상판재가 상기 제1 및 제2 다이부내 또는 상기 플래튼에 의해 사이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성형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절단수단이 장치와 관련되어 제공되며, 상기 절단수단이 상기 다이부재에 인접하지만 이격되어 있고 초기 설정된 단계로 된 기와섹션들이 판재의 길이에 형성된다면 상기 길이가 뒤에 남아있는 판재로부터 전달될 수 있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성형장치.
  8. 제 1 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예비성형수단이 다수의 이격된 성형로울러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성형장치.
  9. 판재에 하나이상의 단계로된 기와섹션을 성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주몸체부와 단계부를 포함하는 제1 다이부재와 상기 제1 다이부재의 주몸체부에 평행하며 대응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제 2 다이부재인 상기 다이부재들의 다이면들이 프로우필되고,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하고 적어도 수직으로 이격된 두개의 다이부재들 사이에 상기 판재를 붙잡고 이후에 상기 플래튼과 이 플래튼사이의 판재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와 ; 상기 판재에 단을 형성시키기 위하여 또 판재의 적어도 하나의 기와섹션에적절한 형상 또는 프로우필을 부분적으로 형성시키기 위하여 다른 다이부재에 대해 적어도 한 다이부재를 상대 이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성형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적어도 다른 다이부재를 향하는 한 다이부재의 이동과 상기 다이부재들 사이에서 판재의 붙잡음에 이어서 상기 플래튼이 상기 다이부재로부터 길이방향으로 분리 이동되고 그후에 다른 다이부재로부터 상기 한 다이부재의 분리이동에 따라 사이에서 판재를 붙잡도록 서로서로를 향해서 이동되어서 상기 판재에 단을 형성하게되며, 방법의 진행중에 계속판재가 상기 플래튼에 의하여 또는 상기 제1 및 제2 다이부재에 의하여 사이에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재성형방법.
KR1019810004263A 1981-11-07 1981-11-07 판재 성형 방법 및 장치 KR890004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4263A KR890004778B1 (ko) 1981-11-07 1981-11-07 판재 성형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10004263A KR890004778B1 (ko) 1981-11-07 1981-11-07 판재 성형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163A KR830007163A (ko) 1983-10-14
KR890004778B1 true KR890004778B1 (ko) 1989-11-27

Family

ID=19222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4263A KR890004778B1 (ko) 1981-11-07 1981-11-07 판재 성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900047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158A (ko) 2017-11-02 2019-05-10 오준석 레이저 식각을 이용한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9351B1 (ko) * 2007-02-02 2007-10-24 주식회사 대동페루프 금속기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50158A (ko) 2017-11-02 2019-05-10 오준석 레이저 식각을 이용한 패턴을 갖는 썬글라스 렌즈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163A (ko) 1983-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930B1 (ko) 금속기와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금속기와
GB1603532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rming steps in profiled sheets of material
US4444037A (en) Manufacture of roofing or cladding tiles
CN106695331A (zh) 一种新型全自动辊压成型生产线
KR890004778B1 (ko) 판재 성형 방법 및 장치
JP2001001058A (ja) サイディング材用金属面板の製造方法及びプレス成形装置
KR100596007B1 (ko) 연속 프레스 성형 장치
KR100752690B1 (ko) 연속 프레스기
JPS6313816B2 (ko)
KR20180099300A (ko) 금속기와의 제조장치
KR100613613B1 (ko) 지붕판재의 가공방법 및 그 가공장치
RU2003130446A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перфорированных гнутых профилей лотков и крышек
JPS5893517A (ja) 浮出形成方法及び浮出形成型打具
JPH11138633A (ja) 合成樹脂成形品の表面加工方法と表面加工を施した合成樹脂成形品の製造装置
CN215786086U (zh) 一种防变形冲孔装置
JPH0233446B2 (ko)
CN2299889Y (zh) 纸浆模塑制品自动定形机
US852636A (en) Die.
KR920001580B1 (ko) 라이타용 발화석홀더의 제조방법 및 금형
KR100196544B1 (ko) 서랍용 안내레일의 연속 프레스성형 방법
KR101847416B1 (ko) 지붕판재 성형장치
JPS6341656B2 (ko)
RU1813638C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рессовани гнутых листовых изделий
JPH0153623B2 (ko)
US857387A (en) Machine for manufacturing celluloid comb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71105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