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955A -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955A
KR20190048955A KR1020170144285A KR20170144285A KR20190048955A KR 20190048955 A KR20190048955 A KR 20190048955A KR 1020170144285 A KR1020170144285 A KR 1020170144285A KR 20170144285 A KR20170144285 A KR 20170144285A KR 20190048955 A KR20190048955 A KR 201900489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composition
preparing
dough
oxid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4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현진우
최종민
Original Assignee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씨제이제일제당 (주) filed Critical 씨제이제일제당 (주)
Priority to KR10201701442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8955A/ko
Priority to PCT/KR2018/012928 priority patent/WO2019088626A2/ko
Priority to TW107138372A priority patent/TWI688347B/zh
Publication of KR201900489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95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5/00Food or foodstuff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23L5/00 – A23L33/00;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1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oi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57Farinaceous granules for dressing meat, fish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02Antioxidan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14Mouthfeel improving ag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akery Product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for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출원은 곡물가루, 베이킹파우더 및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조성물; 부침가루의 제조방법; 상기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부침가루 및 부침개; 상기 부침가루를 이용한 부침개 제조방법; 부침개의 바삭한 식감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흡유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은 자연 유래 감미 소재인 알룰로스를 첨가함으로서, 바삭한 식감의 증진되고, 기름 흡유율의 저감되어 느끼한 식감을 감소시키면서 열량을 줄이고, 먹음직스러운 색감을 구현하며, 부침개의 노화속도가 지연되는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Description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A korea-pancake powder composition comprising allulose and use thereof}
본 출원은 곡물가루, 베이킹파우더 및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조성물; 부침가루의 제조방법; 상기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부침가루 및 부침개; 상기 부침가루를 이용한 부침개 제조방법; 부침개의 바삭한 식감을 증가시키는 방법 및 흡유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흔히 비가 오는 날 먹는 음식, 또는 명절 때 먹을 수 있는 음식으로 많은 한국인들은 부침개를 떠올린다. 부침개는 기름에 튀겨먹는 요리법이 적은 한식 중에서도 유난히 기름이 많이 들어가는 음식중 하나로, 식용 기름이 귀했던 과거 상당히 사치스러운 음식중 하나였다. 부침이 명절이나 제사, 잔치에 주로 쓰인 것도 이러한 이유 때문이라고 한다.
거의 모든 음식이 그렇듯이, 부침개 또한 막 만들었을 때 먹으면 매우 맛있고 바삭한 식감을 나타내지만 식으면서 점점 맛은 떨어지고 바삭한 식감은 급속도로 감소하게 된다. 또한 식은 부침개를 다시 데워먹으면 흡수된 기름에 의해 비린내가 미묘하게 올라와 풍미가 저해되는 현상도 발견할 수 있다.
부침가루에 대한 종래 기술로써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5-0009854호에서 발효쌀 및 혼합미를 첨가하여 저열량의 부침개를 제공하고 있다. 상기 부침가루는 발효쌀가루 5-30%, 발효하지 않은 쌀가루 70-95%를 포함하는 쌀 부침가루 조성물을 제공하고 있으며, 이로 인하여 부침개가 시간 경과에 따라 딱딱해지는 현상을 방지하고, 흡유율을 낮추어 열량 부담이 적은 부침가루를 섭취 할 수 있도록 해주고 있다. 또 다른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1998-0008043호의, '부침가루 및 그 제조방법'에서는 감자섬유질분말 20%-50%와 감자전분 20%-40%와, 감자가루 30%-50%를 혼합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가루를 제공하여, 감자특유의 담백한 맛과 독특한 향을 충분히 즐길 수 있도록 하여 점차적으로 산성화되어 가는 현대인의 건강증진을 도모하는 할 수 있는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067638호의 '뽕잎 메밀 부침가루의 조성물'에서는 메밀가루 60-90%, 밀가루 8-20%, 옥수수 전분 1.5%, 밀전분 2%, 찹쌀가루 1-2%, 뽕잎 분말 0.01-3% 등으로 구성된 뽕잎, 메밀 부침가루의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고혈압, 당뇨병 등 성인병을 예방하고 전분과 찹쌀가루를 혼합하여 맛과 조직감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침가루에 대한 기술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여러 가지 부침가루 조성물에 대한 종래기술이 존재하지만, 상기 종래기술은 곡물가루를 대체하거나 다른 곡물가루를 추가하여 부침개를 제조하는 방법으로서, 곡물가루 외의 배합 조성을 변경하여 부침개를 제조하는 것은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밀가루 음식가운데 특히 부침개와 같이 기름으로 익히는 음식은 탄수화물과 지방을 동시에 함유하고 있는 음식이기에 시간 경과에 따른 식감 변화나 품질 열화 현상이 쉽게 일어난다. 또한 열량이 매우 높아 적은 양의 섭취로도 많은 열량을 섭취하게 되고 이는 각종 성인병의 원인이 될 수도 있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일정량의 설탕을 대신하여 알룰로스를 부침가루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바삭한 식감의 증진, 기름 흡유율의 저감, 저열량, 색상 개선 및 부침개의 노화속도가 지연되는 효과를 확인하여 본 출원을 완성하였다.
본 출원의 하나의 목적은 곡물가루, 베이킹파우더 및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부침가루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곡물가루, 베이킹파우더 및 알룰로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침가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상기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부침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a) 상기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b) 상기 반죽을 기름에 익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침개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a) 상기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b) 상기 반죽을 기름에 익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침개의 바삭한 식감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a) 상기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b) 상기 반죽을 기름에 익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침개의 흡유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a) 상기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b) 상기 반죽을 기름에 익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침개의 갈변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하나의 목적은 (a) 상기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b) 상기 반죽을 기름에 익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침개의 노화를 억제시키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출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의 하나의 양태는 곡물가루, 베이킹 파우더 및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 제조된 부침개는 설탕 대신 동량의 알룰로스가 조성물에 포함되어, 바삭한 식감이 증가되고, 흡유율이 감소하고, 갈변이 증진되고(먹음직스러운 색상), 노화가 억제되는 우수한 효과를 갖는다.
본 출원에서 '부침가루'는 물과 혼합하여 부침개를 만들기 위한 분말이다. 상기 부침개는 걸죽한 반죽을 기름에 얇고 넓적하게 부쳐 낸 음식으로서, 부침, 지짐, 지짐개, 지짐이, 전병으로도 불린다. 상기 부침개는 기름에 부쳐서 만드는 누름적, 빈대떡, 장떡, 전 등을 포함한다.
상기 부침개는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를 포함하는 부침개에 비해 바삭한 식감이 증대되고, 흡유율이 감소되며, 먹음직스러운 색상이 구현되고, 노화가 억제된 것일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알룰로스는 화학식 C6H12O6, 분자량 180.16을 갖는 당의 한 종류로, 무화과, 포도 등에 소량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사이코스(psicose)로도 불린다. 상기 알룰로스는 D-알룰로스 및 L-알룰로스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며, 시판 중인 알룰로스를 구입하여 사용하거나 천연물로부터 직접 추출된 것일 수 있고, 화학적 또는 미생물학적 방법으로 제조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알룰로스는 고상, 분말 형태 또는 액상으로 사용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액상 알룰로스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알룰로스는 순도 90% 이상(건조 고형분 기준 알룰로스 90 중량% 이상 함유), 순도 95% 이상, 순도 98% 이상, 또는 순도 98% 내지 99.5%의 알룰로스일 수 있다.
알룰로스 이외의 당류와의 혼합당 형태로 포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알룰로스는 알룰로스 이외에 단당류, 이당류, 올리고당류, 당알코올, 고감미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당류와의 혼합당 형태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최종적으로,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에 적절한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면, 상기 분말, 액상 형태, 또는 혼합당 형태의 알룰로스 이외에 다른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룰로스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에 적정량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0 중량부, 0.1 내지 20 중량부, 0.1 내지 10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 0.2 내지 30 중량부, 0.2 내지 20 중량부, 0.2 내지 10 중량부, 0.2 내지 5 중량부, 1 내지 30 중량부, 1 내지 20 중량부, 1 내지 10 중량부, 1 내지 5 중량부, 3 내지 7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곡물가루'는 곡물의 분말형태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곡물은 식용이 가능한 한 제한이 없으며, 구체적으로 쌀, 보리, 콩, 조, 기장, 수수, 밀, 메밀, 찹쌀, 현미, 흑미, 맵쌀, 보리, 호밀, 치아시드, 퀴노아, 귀리, 감자, 마, 고구마 또는 옥수수일 수 있다.
상기 곡물가루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에 적정량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60 내지 99 중량부, 70 내지 99 중량부, 80 내지 99 중량부, 60 내지 98 중량부, 70 내지 98 중량부, 80 내지 98 중량부, 60 내지 97 중량부, 70 내지 97 중량부, 80 내지 97 중량부, 80 내지 96 중량부, 87 내지 96 중량부, 92 내지 96 중량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에서 '베이킹파우더'는 탄산수소나트륨을 포함하는 화학적 팽창제의 한 종류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킹파우더는 탄산나트륨, 한 종류 이상의 산염 또는 산 생성물질과 전분 등을 혼합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킹파우더는 주석산염 베이킹파우더, 인산염 베이킹파우더, 피로인산염 베이킹파우더, 황산염 베이킹파우더 또는 황산염-인산염 베이킹파우더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베이킹 파우더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에 적정량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0.05 내지 5 중량부, 0.05 내지 4 중량부, 0.05 내지 3 중량부, 0.05 내지 2 중량부, 0.1 내지 5 중량부, 0.1 내지 4 중량부, 0.1 내지 3 중량부, 0.1 내지 2 중량부, 0.2 내지 5 중량부, 0.2 내지 4 중량부, 0.2 내지 3 중량부, 0.2 내지 2 중량부, 0.2 내지 1 중량부, 0.3 내지 0.7 중량부, 또는 0.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 제조된 부침개는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알룰로스 대신 동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에 비해 경도(Hardness), 검성(Gumminess) 또는 씹힘성(Chewiness)이 증가되어 쫄깃하고 탄력 있는 식감, 즉 바삭한 식감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경도는 씹을 때의 단단함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경도가 높을수록 부침개의 바삭하고 단단한 식감이 향상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부침가루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부침가루로 제조된 부침개의 경도는 10,000 내지 30,000g, 10,000 내지 25,000g, 15,000 내지 20,000g, 17,000 내지 20,000g 또는 18,000 내지 19,000g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의 경도는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알룰로스 대신 동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의 경도에 비해 0.5 내지 15%, 0.5 내지 12%, 0.5 내지 10%, 0.5 내지 9%, 0.8 내지 15%, 0.8 내지 12%, 0.8 내지 10%, 0.8 내지 9%, 1 내지 15%, 1 내지 12%, 1 내지 10%, 1 내지 9%, 2.5 내지 15%, 2.5 내지 12%, 2.5 내지 10%, 2.5 내지 9%, 5 내지 15%, 5 내지 12%, 5 내지 10% 또는 5 내지 9% 증가된 것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의 경도는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알룰로스 대신 동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의 경도에 비해 0.5% 이상, 0.8% 이상, 1% 이상, 2.5% 이상, 5% 이상 및/또는 9% 이하, 10% 이하, 12% 이하, 15% 이하 증가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검성은 삼킬 수 있는 상태까지 압출 파괴하는데 필요한 힘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수치가 높을수록 부침개의 씹는 감촉이 더 증진되었음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부침가루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부침가루로 제조된 부침개의 검성은 5,000 내지 25,000, 10,000 내지 20,000, 15,000 내지 20,000, 15,000 내지 17,000, 또는 16,000 내지 17,00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의 검성은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알룰로스 대신 동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의 검성에 비해 0.5 내지 20%, 0.5 내지 15%, 0.5 내지 12%, 0.5 내지 10%, 0.5 내지 9%, 0.8 내지 20%, 0.8 내지 15%, 0.8 내지 12%, 0.8 내지 10%, 0.8 내지 9%, 1 내지 20%, 1 내지 15%, 1 내지 12%, 1 내지 10%, 1 내지 9%, 1.5 내지 20%, 1.5 내지 15%, 1.5 내지 12%, 1.5 내지 10%, 1.5 내지 9%, 5 내지 20%, 5 내지 15%, 5 내지 12%, 5 내지 10% 또는 5 내지 9% 증가된 것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의 검성은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알룰로스 대신 동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의 검성에 비해 0.5% 이상, 0.8% 이상, 1% 이상, 1.5% 이상, 5% 이상 및/또는 9% 이하, 10% 이하, 12% 이하, 15%이하, 20% 이하 증가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씹힘성은 검성 및 탄성이 복합된 수치로서, 씹힘성이 높으면 부침개의 쫄깃하고 탄력 있는 식감을 가짐을 의미한다. 본 출원의 부침가루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부침가루로 제조된 부침개의 씹힘성은 5,000 내지 20,000, 10,000 내지 20,000, 10,000 내지 15,000, 11,000 내지 15,000, 또는 13,000 내지 14,000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의 씹힘성은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알룰로스 대신 동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의 씹힘성에 비해 0.5 내지 20%, 0.5 내지 18%, 0.5 내지 15%, 0.5 내지 13%, 1 내지 20%, 1 내지 18%, 1 내지 15%, 1 내지 13%, 3 내지 20%, 3 내지 18%, 3 내지 15%, 3 내지 13%, 5 내지 20%, 5 내지 18%, 5 내지 15%, 5 내지 13%, 6 내지 20%, 6 내지 18%, 6 내지 15%, 6 내지 13% 증가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의 씹힘성은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알룰로스 대신 동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의 씹힘성에 비해 0.5% 이상, 1% 이상, 3% 이상, 5% 이상, 6% 이상 및/또는 13% 이하, 15% 이하, 18% 이하, 20% 이하 증가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부침가루로 제조된 부침개는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알룰로스 대신 동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 제조된 부침개에 비해 흡유율이 감소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흡유율이란, 부침개가 조리되는 과정에서 조리에 사용된 기름을 부침개가 흡수하는 정도로서, 흡유율이 낮을수록 부침개가 함유하는 기름의 양이 적어 관능적으로 느끼함의 강도가 낮아지고, 저열량의 부침개를 섭취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출원의 본 출원의 부침가루 조성물 또는 이를 포함하는 부침가루로 제조된 부침개의 흡유율은 부침가루 100g을 사용했을 때의 최초 사용된 기름을 전체 100 부피부 기준으로 50 내지 99 부피부, 50 내지 95 부피부, 70 내지 95 부피부, 70 내지 90 부피부, 70 내지 87 부피부, 75 내지 90 부피부, 75 내지 87 부피부 또는 79 내지 87 부피부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의 상기 흡유율은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알룰로스 대신 동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의 흡유율에 비해 0.1 내지 10%, 0.1 내지 7%, 0.1 내지 5%, 0.2 내지 10%, 0.2 내지 7%, 0.2 내지 5%, 0.3 내지 10%, 0.3 내지 7%, 0.3 내지 5%, 1 내지 10%, 1 내지 7%, 1 내지 5%, 1.5 내지 10%, 1.5 내지 7% 또는 1.5 내지 5% 감소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의 상기 흡유율은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알룰로스 대신 동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의 흡유율에 비해 0.1% 이상, 0.2% 이상, 0.3% 이상, 1% 이상, 1.5% 이상 및/또는 5% 이하, 7% 이하, 10% 이하 감소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부침가루로 제조된 부침개는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알룰로스 대신 동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 제조된 부침개에 비해 갈변이 증가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갈변의 정도를 비교하기 위한 용어로서 명도란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명도가 높을수록 밝고 낮을수록 어두우며, 적색도란 붉은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적색도가 높을수록 붉은색을 띠고 낮을수록 녹색을 띤다. 또한 황색도란 노란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황색도가 높을수록 노란색을 띠고 낮을수록 청색을 띤다. 즉 부침개의 명도가 낮고, 적색도가 높고 또는 황색도가 높을수록, 부침개가 갈변된 것, 더 먹음직스러운 색상을 가짐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명도는 30 내지 80, 30 내지 70, 30 내지 65, 40 내지 80, 40 내지 70, 40 내지 65, 45 내지 65, 또는 45 내지 63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적색도는 0.5 내지 20, 0.5 내지 15, 1 내지 15, 1 내지 10 또는 6 내지 8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황색도는 20 내지 40, 20 내지 35, 24 내지 40, 24 내지 35, 또는 27 내지 33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와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알룰로스 대신 동량의 설탕을 포함한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 사이의 색차는 상기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로부터 계산되며, 이는 1 내지 25, 1 내지 23, 1 내지 20, 1 내지 18, 2 내지 25, 2 내지 23, 2 내지 20, 2 내지 18, 2.5 내지 25, 2.5 내지 23, 2.5 내지 20, 2.5 내지 18, 5 내지 25, 5 내지 23, 5 내지 20, 5 내지 18, 10 내지 25, 10 내지 23, 10 내지 20 또는 10 내지 18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와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알룰로스 대신 동량의 설탕을 포함한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부침개 사이의 색차는 상기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로부터 계산되며, 이는 1 이상, 2 이상, 2.5 이상, 4 이상, 5 이상, 10 이상, 15 이상 및/또는 18 이하, 20 이하, 23 이하, 25 이하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부침가루로 제조된 부침개는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알룰로스 대신 동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에 비해 노화가 억제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부침가루로부터 제조된 부침개는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알룰로스 대신 동량의 설탕을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에 비해 노화점도가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노화점도란 부침가루 및 물을 혼합하여 제조한 반죽을 가열 후 식히는 과정에서의 최저점도와 최종점도의 차이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노화점도가 낮을수록 동일 경과시간 중 식감의 변화가 적음을 나타내며, 따라서 부침개의 조리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쫄깃함 감소, 딱딱해짐, 질겨짐 등의 노화현상이 억제된다.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 제조된 반죽의 노화점도는 500cP 내지 1000cP, 600cP 내지 1,000cP, 600cP 내지 900cP, 650cP 내지 900cP 또는 700cP 내지 800cP 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은 전분, 소금, 검, 조미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전분은 감자전분, 고구마전분, 옥수수전분, 타피오카 전분 및 소맥 전분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소금은 천일염, 정제소금 및 맛소금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고, 검은 잔탄검, 구아검 및 카라기난검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조미분말은 후추, 고춧가루, 생강, 간장, 설탕, 대파, 양파, 마늘, 해산물 분말, 카레, 허브류, 효모추출물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부침가루를 제공한다.
상기 부침가루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곡물가루, 베이킹파우더 및 알룰로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또는 부침가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곡물가루, 베이킹파우더, 알룰로스 및 부침가루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상기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부침개를 제공한다.
상기 부침가루 및 부침개는 상기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a) 상기의 부침가루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b) 상기 반죽을 기름에 익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침개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을 물과 배합하거나 또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의 성분인 곡물가루, 베이킹파우더, 알룰로스 등을 물과 순차, 역순 또는 동시에 배합할 수 있다.
상기 반죽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물이 50 내지 400 중량부, 80 내지 300 중량부, 100 내지 20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a) 단계의 반죽을 만들기 위한 목적에 따라 물 이외에 다른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b) 단계는 (a) 단계의 반죽을 기름에 튀기거나, 부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a) 상기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b) 상기 반죽을 기름에 익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침개의 바삭한 식감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 및 (b)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a) 상기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b) 상기 반죽을 기름에 익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침개의 흡유율을 감소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 및 (b)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a)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b) 상기 반죽을 기름에 익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침개의 갈변을 증진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 및 (b)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출원의 또 다른 하나의 양태는 (a)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의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b) 상기 반죽을 기름에 익히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침개의 노화를 억제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a) 단계 및 (b) 단계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출원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은 자연 유래 감미 소재인 알룰로스를 첨가함으로서, 바삭한 식감의 증진되고, 기름 흡유율의 저감되어 느끼한 식감을 감소시키면서 열량을 줄이고, 먹음직스러운 색감을 구현하며, 부침개의 노화속도가 지연되는 등의, 우수한 특성을 가진다.
도 1은 CIE LAB 색공간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실시예 4에서의 동량의 설탕 또는 알룰로스가 첨가된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 제조된 부침개 표면의 색차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실시예 6에서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 제조된 반죽의 온도 변화에 따른 점도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알룰로스 및 설탕 함량에 따른 부침가루의 제조
하기의 표 1과 같이 설탕 및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원료를 중량대로 계량하여 부침가루를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상기 표 1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의 배합비에 관한 것이다.
설탕과 알룰로스를 제외한 원료는 모두 동일한 제품으로 동일한 양을 사용하였다. 설탕과 알룰로스의 함량 조절은 밀가루의 중량부에서 조정하였으며 설탕 및 알룰로스의 함량은 각각 1, 5, 10 중량부로 제조하였다.
관능 및 색상 변화, 식감 등을 보정하기 위해, 조미분말을 1.6 중량부를 사용하였으며, 점도 및 물성 보정을 위해, 잔탄검을 0.02 중량부를 사용하였다. 또한, 식감 및 TA 분석 결과를 확인하기 위해, 베이킹파우더는 0,5 중량부를 첨가하였으며 그 외 변수에 의한 차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별도 조성물의 추가는 하지 않았다.
실시예 2: 알룰로스의 함량에 따른 부침개의 물성 분석
알룰로스의 함량에 따른 부침개의 물성을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각 배합의 부침가루 200g에 물 340ml을 첨가하여 반죽을 만들고, 하기에 기술된 방법을 통해 부침개를 제조(직경 7cm, 두께 0.2~0.3cm, 반죽액 20g)하였고, 각 배합의 부침가구로 제조된 부침개에 대한 물성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① 직경 7cm의 위아래가 뚫린 평편한 스테인레스판을 준비한다.
② 기름을 각각 2ml씩 넣고 1분간 후라이팬을 예열한다.
③ 1분30초 - 1분30초 - 30초 - 30초 간격으로 부침개를 뒤집어준다.
부침개의 물성은 Texture Analyser(TA-XT.plus, Stable Micro Systems Co. LTD., England)를 사용하여 4회 compression test를 실시하였고 force-distance curve로부터 경도(hardness), 검성(gumminess) 및 씹힘성(chewiness) 등의 TPA 특성을 계산하였다.
경도는 씹을 때의 단단함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부침개의 바삭하고 단단한 식감을 나타내는 지표이고, 검성은 삼킬 수 있는 상태까지 압출 파괴하는데 필요한 힘을 보여주는 것으로서, 수치가 높을수록 씹는 감촉이 더 증진되는 것을 보여주는 지표이며, 씹힘성은 검성 및 탄성이 복합된 수치로서, 씹힘성이 높으면 쫄깃하고 탄력 있는 식감을 보여주는 지표이다.
알룰로스를 첨가한 부침가루를 이용하여 제조된 부침개의 경우, 동량의 설탕을 첨가한 부침가루를 이용하여 제조된 부침개에 비해 경도(0.98~5.02%), 검성(1.73~8.97%) 및 씹힘성(6.51~12.58%)이 증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당류의 함량이 증가된 부침가루는 경도, 검성 및 씹힘성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표 2).
Figure pat00002
상기 표 2는 알룰로스 함량에 따른 경도, 검성 및 씹힘성 측정값에 관한 것이다.
부침개에서는 경도, 검도 및 씹힘성이 높아야 쫄깃하고 탄력 있는 식감이 구현되는 바, 알룰로스를 첨가한 부침가루가 동량의 설탕을 첨가한 부침가루에 비해 우수한 식감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부침조리에 따른 흡유율 및 열량 확인 실험
알룰로스의 함량에 따른 부침가루의 흡유율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각 배합의 부침가루 200g에 물 340ml을 첨가하여 반죽을 만들고 하기에 기술된 방법을 통해 부침개를 제조(직경 15cm, 두께 0.2~0.3cm, 반죽액 100g)하였고, 각 배합의 부침가루로 제조된 부침개의 흡유 테스트를 실시하였다.
① 직경 15cm의 위아래가 뚫린 평편한 스테인레스판을 준비한다.
② 기름을 각각 10ml씩 넣고 1분간 후라이팬을 예열한다.
③ 3분 - 2분 - 1분 - 30초 간격으로 부침개를 뒤집어준다.
상기의 방법으로 부침개를 제조하는 과정에서 부침개에 흡수된 기름의 양을 확인하여 흡유율을 분석하였고, 각 시료마다 실험을 2회 반복 수행하여 그 평균값을 %로 나타내었다. 이 때 투입한 기름의 양, 남은 기름의 양 그리고 배터(반죽액) 투입량을 구한 다음 흡유율 계산에 사용하였다. 흡유율은 일정량의 반죽(100g 기준)이 부침개를 제조하는 동안 최초 투입한 기름의 양 중 흡수된 기름의 양으로 다음과 같은 식으로 계산하였다.
[식 1]
흡유율(%)= (투입한 기름의 양 - 남은 기름의 양) / (투입한 기름의 양) * 100
흡유 테스트를 수행한 결과, 당류의 함량이 높은 부침가루일수록 부침개 제조 시 흡유율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알룰로스를 첨가한 부침가루를 이용하여 부침개 제조 시, 알룰로스와 동량의 설탕을 첨가한 부침가루로 부침개를 제조하는 경우보다 흡유율이 낮음을 확인하였다(표 3). 흡유율이 낮아짐으로서 부침개로 흡유되는 기름의 양이 적어 관능적으로 느끼함의 강도가 낮아질 수 있다.
또한, 부침가루 100g 기준, 최종 조리 후 섭취하는 부침개의 열량은 알룰로스를 1~10% 넣었을 때 471~486kcal 수준으로 동량 설탕 대비 87.8~98.2% 수준으로서, 저열량의 부침개를 섭취할 수 있다(표 4).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은 알룰로스 함량에 따른 흡유율 측정값이다.
Figure pat00004
상기 표 4는 알룰로스 함량에 따른 부침개의 열량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4: 색도색차계를 통한 부침 표면의 색도 분석
알룰로스의 함량에 따른 부침가루로 제조된 부침개의 표면의 색도를 분석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각 배합 별로 부침개를 제조하였고, 10분 후 부침개 표면의 색도를 측정하였다. 부침개의 색도는 MINOLTA 색도 색차계(MINOLTA Chroma Meter CR-300, Konica Minolta, Inc., JAPAN)를 이용하여 명도(lightness)를 나타내는 L*값, 적색도(redness)를 나타내는 a* 값과 황색도(yellowness)를 나타내는 b* 값을 측정하였다(도 1, 표 4). 모든 시료는 반복적으로 4회 측정하여 평균값을 표시하였고, 이때 사용된 표준색은 L* 값은 94.09, a* 값은 -0.42, b* 값은 4.47인 백색 표준판을 사용하였다.
Figure pat00005
상기 표 5는 색차의 결과 표시에 관한 것이다.
설탕 또는 알룰로스가 첨가된 부침가루로 제조된 부침개의 표면 모두가 당류 무첨가 부침가루에 비해 명도는 감소하고, 적색도 및 황색도는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바, 이는 당류가 함유된 부침가루로 제조된 부침개의 표면이 당류 무첨가 부침가루에 비해 갈변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측정된 상기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를 이용하여 색차를 계산하였으며, 그 식은 아래와 같다.
[식 2]
색차 ( ΔE ; L*, a*, b*)={(ΔL*)2+(Δa*)2+(Δb*)2}1/2
그러나, 설탕 첨가 부침가루로 제조된 부침개는 당류 무첨가 부침가루로 제조된 부침개와의 색차(E) 값이 3.3 내지 5.4로 설탕의 함량 증가에 따른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나, 알룰로스 첨가 부침가루로 제조된 부침개는 당류 무첨가 부침가루로 제조된 부침개와 5.6 내지 21.6로 함량 증가에 따른 큰 변화를 보였다.
또한, 알룰로스 첨가 부침가루로 제조된 부침개의 경우, 동량의 설탕을 첨가한 부침가루를 이용하여 제조된 부침 표면과 색차를 비교했을 때, 2.5 내지 18.5의 색차를 보여주는 바(도 2), 알룰로스를 첨가한 부침가루로 제조된 부침개가 더 먹음직스러운 색감을 구현하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6). 구체적으로, 알룰로스 첨가 부침가루로 제조된 부침개의 경우 당류를 첨가하지 않은 부침가루로 제조된 부침개와 비교하여, L* 값이 68.45에서 49.69으로, a* 값이 0.05에서 10.08으로 변화하였으며, 이는 부침개에 있는 당에 의한 갈변이 더 이루어졌음을 의미한다.
부침개의 경우 명도가 높고 적색도와 황색도가 낮을 경우 마치 덜 익은듯한 느낌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알룰로스를 첨가하였을 개선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pat00006
상기 표 6은 알룰로스 함량에 따른 명도, 적색도 및 황색도 측정값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5: 조리된 부침개의 관능평가 테스트
20-30대 성인 20명을 대상으로 이들에게 실험목적 및 평가항목들에 대해 설명한 후 관능검사를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부침개를 제조하였고, 10분 후 일정한 크기로 잘라 흰색의 동일한 접시에 담아 동시에 제공하였으며 평가 사이에 입을 헹굴 수 있도록 정수한 물과 함께 제시하였다. 평가기준은 외관(apperance), 향(flavor), 맛(taste), 조직감(texture), 전반적 기호도(overall preperence)에 대하여 각각 9점 척도(9 아주좋음, 5 보통, 1 아주나쁨)로 평가하였다.
그 결과, 외관 기호도의 경우에는 설탕 또는 알룰로스의 함량이 높은 부침가루의 경우 외관색의 변화로 인해 기호도가 전체적으로 상승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다만 실험예 3의 경우 외관상의 갈변화가 많이 진행되어, 기호도가 떨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향 및 맛 기호도의 경우, 배합에 따른 큰 유의차를 보이지 않았으나, 외관 기호도 점수가 높은 실험예 2에서 다소 높은 기호도를 보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조직감 기호도의 경우, 당의 함량이 많아짐에 따라 설탕 및 알룰로스 모두 기호도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기호도를 종합한 전반적 기호도의 경우에는 5%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실험예 2의 부침가루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았고, 알룰로스를 첨가한 부침가루가 동량의 설탕을 첨가한 부침가루에 비해 전체적으로 기호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표 7).
Figure pat00007
상기 표 7은 알룰로스 함량에 따른 관능평가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 6: 부침가루의 호화 및 노화 특성 분석
실시예 1에서 제조된 각 배합의 부침가루의 호화 및 노화 과정에서의 점도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전분의 호화 및 노화 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각 배합의 부침가루 3g을 점도 측정용 용기에 넣은 후 증류수 25ml를 첨가하여 현탁액을 만들고 교반 속도 160rpm에서 RVA(Rapid Visco Analyzer, Model 3d, Newport Scentific)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점도의 분석 조건은 하기와 같은 단계를 거치면서 수행하였다.
1단계: 50℃에서 1분간 유지
2단계: 분당 +12℃로 3분 45초 동안 가열 후, 95℃에서 2분 30초간 유지
3단계: 분당 -12℃로 3분 45초 동안 냉각 후, 50℃에서 2분간 유지
그 결과, 알룰로스 첨가 부침가루가 설탕을 동량 첨가한 부침가루에 비해 최고점도가 낮아, 물반죽의 흐름성이 좋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알룰로스 첨가 부침가루가 설탕을 동량 첨가한 부침가루에 비해 노화점도가 낮아(1.65~2.43%), 조리된 부침개의 보관 중 경시변화 적은 것을 통해 노화의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으며, 이는 부침개 제품을 조리해놓고 시간의 경과에 따른 쫄깃함 감소, 딱딱해짐, 질겨짐 등의 현상이 억제된다는 것을 의미한다(표 8 및 표 9).
Figure pat00008
상기 표 8은 알룰로스 함량에 따른 점도 측정값에 관한 것이다.
Figure pat00009
상기 표 9는 동량의 설탕 또는 알룰로스에 따른 노화지연 효과의 차이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충분히 인식하고 유추할 수 있는 내용은 그 상세한 기재를 생략하였으며, 본 명세서에 기재된 구체적인 예시들 이외에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구성을 변경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보다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예시한 것과 다른 방식으로 실시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면 이해할 수 있는 사항이다.

Claims (19)

  1. 곡물가루, 베이킹파우더 및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룰로스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0.1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곡물가루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70 내지 99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킹파우더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전체 100 중량부 기준으로 0.05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는 것인,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은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에 비해 부침개의 경도, 검성 또는 씹힘성을 증가시키는 것인,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은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에 비해 부침개의 흡유율을 감소키시는 것인,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은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에 비해 부침개의 갈변을 증가시키는 것인,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 제조된 부침개는 명도(Lightness)가 30 내지 70인 것인,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 제조된 부침개는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로 제조된 부침개 사이의 색차가 4 이상인 것인,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은 알룰로스가 포함되지 않은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에 비해 부침개의 노화르 억제시키는 것인,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은 전분, 소금, 검, 조미분말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부침가루.
  13. 곡물가루, 베이킹파우더 및 알룰로스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침가루의 제조방법.
  14.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부침개.
  15. (a)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b) 상기 반죽을 기름에 익히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침개의 제조방법.
  16. (a)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b) 상기 반죽을 기름에 익히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침개의 바삭한 식감을 증가시키는 방법.
  17. (a)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b) 상기 반죽을 기름에 익히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침개의 흡유율을 감소시키는 방법.
  18. (a)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b) 상기 반죽을 기름에 익히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침개의 갈변을 증진시키는 방법.
  19. (a)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의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과 물을 혼합하여 반죽을 만드는 단계; 및
    (b) 상기 반죽을 기름에 익히는 단계;
    를 포함하는 부침개의 노화를 억제시키는 방법.
KR1020170144285A 2017-10-31 2017-10-31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KR20190048955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285A KR20190048955A (ko) 2017-10-31 2017-10-31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CT/KR2018/012928 WO2019088626A2 (ko) 2017-10-31 2018-10-29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TW107138372A TWI688347B (zh) 2017-10-31 2018-10-30 包括阿洛酮糖之用於製備韓式煎餅粉的組成物及其用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4285A KR20190048955A (ko) 2017-10-31 2017-10-31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955A true KR20190048955A (ko) 2019-05-09

Family

ID=663314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4285A KR20190048955A (ko) 2017-10-31 2017-10-31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190048955A (ko)
TW (1) TWI688347B (ko)
WO (1) WO2019088626A2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871A1 (en) * 2019-10-22 2021-04-29 Corn Products Development, Inc. Baked good compositions containing allulose
WO2021086145A3 (ko) * 2019-10-31 2021-07-08 주식회사 삼양사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65568A (ko) * 2021-06-08 2022-12-15 장나겸 유채 전복전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1722B1 (ko) * 2007-12-10 2009-06-08 씨제이제일제당 (주) 쌀가루를 이용한 부침가루 조성물
JP2014068620A (ja) * 2012-10-01 2014-04-21 Matsutani Chem Ind Ltd 不溶性食物繊維配合食品及びその製造法
KR101480157B1 (ko) * 2012-12-04 2015-01-14 대한민국 돼지감자 분말을 포함하는 부침가루 조성물
MX2016006684A (es) * 2013-11-22 2016-09-08 Tate & Lyle Ingredients Americas Llc Productos alimenticios y bebidas que contienen alulosa (psicosa).
FR3030191B1 (fr) * 2014-12-18 2018-03-23 Corbion Biotech, Inc. Composition pour produit frit allege en matiere grasse et procede de fabrica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80871A1 (en) * 2019-10-22 2021-04-29 Corn Products Development, Inc. Baked good compositions containing allulose
WO2021086145A3 (ko) * 2019-10-31 2021-07-08 주식회사 삼양사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떡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20165568A (ko) * 2021-06-08 2022-12-15 장나겸 유채 전복전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688347B (zh) 2020-03-21
TW201932022A (zh) 2019-08-16
WO2019088626A2 (ko) 2019-05-09
WO2019088626A3 (ko) 2019-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574634A (en) Low calorie foodstuffs
US10555537B2 (en) Composition for low-gluten and low-carbohydrate baked and pastry goods
CN104186617A (zh) 发芽糙米太阳饼及其制备方法
KR20190048955A (ko) 알룰로스를 포함하는 부침가루 제조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JP2008017836A (ja) 生胚芽粉末を含む焼き菓子用穀粉及びこれを使用した焼き菓子
KR102338287B1 (ko) 알룰로오스를 포함하는 코팅 파우더를 이용한 팝콘의 제조방법
AU2010272537A1 (en) Low glycaemic index baked product comprising high levels of fibre, proteins and inclusions
KR101221561B1 (ko) 무발효 호떡
CN105053107A (zh) 一种烘焙专用复配功能糖
JP4548672B2 (ja) 全粒穀粉の製造方法
KR101063169B1 (ko) 야채볶음밥 찐빵의 제조방법
JP2021073872A (ja) 米パンの製造方法
Boyacioglu Soy ingredients in baking
KR101439094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돼지감자 분말을 첨가한 쿠키의 제조방법
JP2021158975A (ja) 健康機能を付与したお好み焼き類又はたこ焼き、及び、その製造用澱粉含有原料粉ミックス
JP2006136257A (ja) 米粉パンの製造方法及び粉粒状米粉パンの製造方法
KR101155579B1 (ko) 수수 분말, 커피 분말 및 고구마 전분을 원료로 하는 기능성 고구마 식빵 제조방법
KR20160113946A (ko) 흑미 피자도우의 제조방법 및 이에 따라 제조된 흑미 피자도우
US20150010686A1 (en) Low-calorie pasta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thereof
KR20170021438A (ko) 잡곡누룽지를 함유한 붕어빵 외피용 반죽 조성물, 붕어빵 및 그 제조방법
KR101546454B1 (ko) 발효쌀을 포함하는 부침가루 조성물
KR20050067810A (ko) 팥이 포함된 호떡
KR20190010191A (ko) 글루텐 프리 분말 및 이를 이용한 글루텐 프리 제과제품 제조방법
Singh et al. Quality and shelf life evaluation of gluten‐free blends and cake premix
US20080199566A1 (en) Fermented food and its prepa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