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513A - 탄소발열체의 구조 및 탄소발열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탄소발열체의 구조 및 탄소발열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513A
KR20190048513A KR1020170143524A KR20170143524A KR20190048513A KR 20190048513 A KR20190048513 A KR 20190048513A KR 1020170143524 A KR1020170143524 A KR 1020170143524A KR 20170143524 A KR20170143524 A KR 20170143524A KR 20190048513 A KR20190048513 A KR 20190048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film layer
carbon heating
sheet
heating el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5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승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니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니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니에스
Priority to KR10201701435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8513A/ko
Publication of KR20190048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5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05B3/86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the heating conductors being embedded in the transparent or reflecting material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8Interference filters
    • G02B5/283Interference filters designed for the ultraviole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3Heaters using resistive films or coat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17Manufacturing methods or apparatus for hea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소발열체의 구조 및 탄소발열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하부시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자외선차단필름을 통해 피부노화 및 암발생 등의 원인이 되는 자외선을 보다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자외선차단필름이 흡수한 열이 실내로 방사될 수 있어 실내 난방과정 중 전력소비를 낮출 수 있고, 나아가, 상부시트의 탄소발열층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시온안료층으로 인해 외관의 미려함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탄소발열체의 구조 및 탄소발열체의 제조방법{(Structure of carbon heating elemen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rbon heating element}
본 발명은 하부시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자외선차단필름을 통해 피부노화 및 암발생 등의 원인이 되는 자외선을 보다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자외선차단필름이 흡수한 열이 실내로 방사될 수 있어 실내 난방과정 중 전력소비를 낮출 수 있고, 나아가, 상부시트의 탄소발열층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시온안료층으로 인해 외관의 미려함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탄소발열체의 구조 및 탄소발열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창호는 유리 등의 투명재료를 이용하여 외부로부터 입사되는 태양광을 실내로 통과시키고, 실내의 열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창호의 이러한 역할로 인하여, 태양광을 이용한 난방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최근에는 태양 고도에 따라 광투과도를 조절하여, 냉난방효율을 향상시키는 광 투과도 조절막, 광 투과도 조절 유리 및 창호용 유리가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17707호로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상기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17707호의 경우, 피부노화 및 암발생 등의 원인이 되는 자외선을 차단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겨울철 태양남중고도가 낮아 태양광선의 광투과율이 저하되어 실내난방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국내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제10-1117707호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하부시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자외선차단필름을 통해 피부노화 및 암발생 등의 원인이 되는 자외선을 보다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자외선차단필름이 흡수한 열이 실내로 방사될 수 있어 실내 난방과정 중 전력소비를 낮출 수 있고, 나아가, 상부시트의 탄소발열층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시온안료층으로 인해 외관의 미려함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는 탄소발열체의 구조 및 탄소발열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부필름층과, 상기 상부필름층의 상부에 상기 상부필름층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상부필름층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그라비아 인쇄형성되는 탄소발열층과, 상기 탄소발열층의 일측 및 타측과 각각 접한 상태로 상기 상부필름층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상기 상부필름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실버층으로 구성되는 상부시트와; 하부필름층과, 상기 하부필름층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하부필름층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동박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동박층이 상기 실버층과 접하도록 상기 상부시트와 접합되는 하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의 하부필름층의 하부에 구비되어 자외선을 차단 및 태양열을 흡수하는 자외선차단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체의 구조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필름층과 상기 탄소발열층 사이에 시온안료층이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a) 상부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탄소발열층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로 그라비아 인쇄성형된 상부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탄소발열층의 일측 및 타측과 접한 상태로 상기 상부필름층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상기 상부필름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동박층이 구비된 하부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와; d) 상기 하부필름층의 하부에 자외선을 차단 및 태양열을 흡수하는 자외선차단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와; e) 상기 하부필름층과 상기 동박층으로 구성되는 하부시트의 동박층이 상기 상부필름층, 상기 탄소발열층 및 상기 실버층으로 구성되는 상부시트의 실버층과 접하도록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상부필름층과 상기 탄소발열층 사이에 시온안료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하부시트의 하부에 구비되는 자외선차단필름을 통해 피부노화 및 암발생 등의 원인이 되는 자외선을 보다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자외선차단필름이 흡수한 열이 실내로 방사될 수 있어 실내 난방과정 중 전력소비를 낮출 수 있고, 나아가 상부시트의 탄소발열층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시온안료층을 통해 상기 탄소발열층의 발열여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시온안료층으로 꽃, 별, 하트, 글자, 숫자 등의 다양한 장식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탄소발열체의 외관의 미려함이 크게 향상될 수 있고, 아울러, 상기 탄소발열층에 위치한 시온안료층 및 상기 탄소발열층 주변의 시온안료층이 서로 다른 색상을 띌 수 있어 탄소발열체의 외관의 미려함이 더욱 크게 형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탄소발열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탄소발열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3은 상부시트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시온안료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하부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자외선차단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물론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하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탄소발열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탄소발열체의 제조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탄소발열체(1)의 구조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상부시트(10), 하부시트(20) 및 자외선차단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탄소발열체(1)의 제조방법은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크게, a) 상부필름층 준비단계(이하, 'a)단계'라 한다.), b) 실버층 형성단계(이하, 'b)단계'라 한다.), c) 하부필름층 준비단계(이하, 'c)단계'라 한다.), d) 자외선차단필름 형성단계(이하, 'd)단계'라 한다.) 및 e) 상부시트 및 하부시트 접합단계(이하, 'e)단계'라 한다.)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도 3은 상부시트의 제조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상기 a)단계는 도 3의 a)에서 보는 바와 같이 탄소발열층(120)이 미리 성형된 상부필름층(11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상부필름층(110)은 PET(polyethyleneterephthalate ) 재질 등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탄소발열층(120)은 상기 상부필름층(110)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된 상태로 상기 상부필름층(1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그라비아 인쇄형성된다.
상기 탄소발열층(120)은 일예로, 탄소나노튜브 잉크로 인쇄하고 건조한 층 등 다양한 종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시온안료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상부필름층(110)과 상기 탄소발열층(120) 사이에는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온안료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탄소발열층(120)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화하는 상기 시온안료층(140)을 통해 상기 탄소발열층(120)의 발열여부를 사용자가 육안으로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시온안료층(140)은 상기 상부필름층(110)과 상기 탄소발열층(120)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상부필름층(110)의 상부에 상기 탄소발열층(120)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부분도포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시온안료층(140)은 상기 상부필름층(110)의 상부 전체에 도포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시온안료층(140)은 상기 탄소발열층(120)을 경유한 상태로 상기 상부필름층(110)의 상부에 꽃, 별, 하트, 글자, 숫자 등의 다양한 형상의 장식무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부분도포형성될 수 있다.
상기 시온안료층(140)을 통해 꽃, 별, 하트, 글자, 숫자 등의 다양한 장식무늬를 형성할 수 있어 탄소발열체(1)의 외관의 미려함이 크게 향상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시온안료층(140)이 상기 상부필름층(110) 상부 전체에 도포형성되거나, 상기 탄소발열층(120)을 경유한 상태로 상기 상부필름층(110)의 상부에 다양한 형상의 장식무늬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부분도포형성될 경우, 상기 탄소발열층(120)에 위치한 상기 시온안료층(140) 및 상기 탄소발열층(120) 주변의 시온안료층(140)이 서로 다른 색상을 띌 수 있어 상기 탄소발열체(1)의 외관의 미려함이 더욱 크게 향상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b)단계는 도 3의 b) 및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탄소발열층(120)의 일측 및 타측과 접한 상태로 상기 상부필름층(11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상기 상부필름층(110)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실버층(130)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도 5는 하부시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c)단계는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동박층(220)이 미리 형성된 하부필름층(210)을 준비하는 단계이다.
상기 동박층(220)은 상기 하부필름층(210)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상기 하부필름층(210)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각각 연장된 상태로 접착구비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비될 수 있다.
도 6은 자외선차단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d)단계는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필름층(210)의 하부에 자외선을 차단 및 태양열을 흡수하는 자외선차단필름(30)을 접착구비 등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인 탄소발열체(1)가 실내에 위치하도록 상기 자외선차단필름(30)은 창문 유리 등의 유리에 접착구비 등 다양한 방식으로 부착구비된 상태에서 상기 탄소발열층(120)이 실내로 고온의 열을 발산할 수 있다.
상기 자외선차단필름(30)을 통해 피부노화 및 암발생 등의 원인이 되는 자외선을 보다 용이하게 차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자외선차단필름(30)이 흡수한 열이 실내로 방사될 수 있어 상기 탄소발열층(120)의 발열효율이 크게 향상될 수 있음은 물론 실내 난방과정 중 전력소비를 낮출 수 있게 된다.
도 7은 상부시트와 하부시트가 서로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리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결합단면도이다.
다음으로, 상기 e)단계는 도 7 및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하부필름층(210)과 상기 동박층(220)을 구성되는 상기 하부시트(20)의 동박층(220)이 상기 상부필름층(110), 상기 탄소발열층(120) 및 상기 실버층(130)으로 구성되는 상기 상부시트(10)의 실버층(130)과 접하도록 뒤집혀진 상기 상부시트(10)의 가장자리와 상기 하부시트(20)의 가장자리를 융착접합 또는 접착접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접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상부시트(10)의 실버층(130)과 상기 하부시트(20)의 동박층(220) 사이에는 전선 등의 연결라인(도 1의 3)이 구비될 수 있다.
10; 상부시트, 20; 하부시트,
30;자외선차단필름.

Claims (4)

  1. 상부필름층과, 상기 상부필름층의 상부에 상기 상부필름층의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상부필름층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그라비아 인쇄형성되는 탄소발열층과, 상기 탄소발열층의 일측 및 타측과 각각 접한 상태로 상기 상부필름층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상기 상부필름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실버층으로 구성되는 상부시트와;
    하부필름층과, 상기 하부필름층의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하부필름층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형성되는 동박층으로 구성되고, 상기 동박층이 상기 실버층과 접하도록 상기 상부시트와 접합되는 하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의 하부필름층의 하부에 구비되어 자외선을 차단 및 태양열을 흡수하는 자외선차단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체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필름층과 상기 탄소발열층 사이에 시온안료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체의 구조.
  3. a) 상부에 일측에서 타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좌우연장되는 탄소발열층이 전후방향으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상태로 그라비아 인쇄성형된 상부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와;
    b) 상기 탄소발열층의 일측 및 타측과 접한 상태로 상기 상부필름층의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각각 상기 상부필름층의 전후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형성되는 실버층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부 일측과 상부 타측에 전측에서 후측방향으로 일정길이로 연장되는 동박층이 구비된 하부필름층을 준비하는 단계와;
    d) 상기 하부필름층의 하부에 자외선을 차단 및 태양열을 흡수하는 자외선차단필름을 형성하는 단계와;
    e) 상기 하부필름층과 상기 동박층으로 구성되는 하부시트의 동박층이 상기 상부필름층, 상기 탄소발열층 및 상기 실버층으로 구성되는 상부시트의 실버층과 접하도록 상기 상부시트와 상기 하부시트를 접합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체의 제조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에서 상기 상부필름층과 상기 탄소발열층 사이에 시온안료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탄소발열체의 제조방법.
KR1020170143524A 2017-10-31 2017-10-31 탄소발열체의 구조 및 탄소발열체의 제조방법 KR2019004851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524A KR20190048513A (ko) 2017-10-31 2017-10-31 탄소발열체의 구조 및 탄소발열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524A KR20190048513A (ko) 2017-10-31 2017-10-31 탄소발열체의 구조 및 탄소발열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513A true KR20190048513A (ko) 2019-05-09

Family

ID=665460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524A KR20190048513A (ko) 2017-10-31 2017-10-31 탄소발열체의 구조 및 탄소발열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8513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707B1 (ko) 2010-10-12 2012-02-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 투과도 조절막, 광 투과도 조절 유리, 및 창호용 유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7707B1 (ko) 2010-10-12 2012-02-29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광 투과도 조절막, 광 투과도 조절 유리, 및 창호용 유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03122B2 (en) Glazing panel
US10139080B2 (en) Glazed roof comprising illuminating means and means for controlling light transmission
JP7283877B2 (ja) 太陽電池パネル
JP3143376U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
BR112014031560B1 (pt) teto para veículo automóvel em vidro laminado
CN207009458U (zh) 彩色太阳能模块
DK2427789T5 (en) GLASS UNIT WITH OPTICAL ELEMENT
KR102606452B1 (ko) 외부 발광 신호 차량 글레이징, 이를 통합한 차량 및 그 제조
KR100814917B1 (ko) 불투명 코팅을 구비한 창문
CN109070551A (zh) 包含无机电致发光二极管的车辆发光层压窗玻璃及其制备方法
ES2794551T3 (es) Señalización de vía de escape para aviones
CN109987147A (zh) 用于车辆的车顶构造以及其中的半透明光伏面板
KR20190048513A (ko) 탄소발열체의 구조 및 탄소발열체의 제조방법
KR101869710B1 (ko) Vlt와 irr 조절이 가능한 태양광 차단필름
JP6311224B2 (ja) 光制御部材
CN204834645U (zh) 有色太阳能玻璃
CN101922210B (zh) 一种多功能光伏组件及其制作方法
JP2009111122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63692Y1 (ko) 페어 글라스 창문
KR101428215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루프패널
CN205508866U (zh) 可发光的隐私镀膜玻璃
KR101465395B1 (ko) 방풍 및 차광이 가능한 단열재
KR101196195B1 (ko) 입체문자 발광간판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입체문자 발광간판
JP2021059460A (ja) 合わせガラス
JP2005129565A (ja) 太陽電池モジュー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