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481A -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481A
KR20190048481A KR1020170143462A KR20170143462A KR20190048481A KR 20190048481 A KR20190048481 A KR 20190048481A KR 1020170143462 A KR1020170143462 A KR 1020170143462A KR 20170143462 A KR20170143462 A KR 20170143462A KR 20190048481 A KR20190048481 A KR 201900484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woven structure
warp yarns
predetermined width
fi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4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77486B1 (ko
Inventor
이기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다운울슐레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다운울슐레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다운울슐레트
Priority to KR10201701434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77486B1/ko
Publication of KR201900484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4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774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7748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HMAKING TEXTILE FABRICS, e.g. FROM FIBRES OR FILAMENTARY MATERIAL; FABRICS MADE BY SUCH PROCESSES OR APPARATUS, e.g. FELTS, NON-WOVEN FABRICS; COTTON-WOOL; WADDING ; NON-WOVEN FABRICS FROM STAPLE FIBRES, FILAMENTS OR YARNS, BONDED WITH AT LEAST ONE WEB-LIKE MATERIAL DURING THEIR CONSOLIDATION
    • D04H13/00Other non-woven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Non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복수의 경사들과 교차(interalced)결합된 복수의 부직포 위사체(緯絲體)(11); 서로 평행하게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사(經絲)(12);를 포함하여, 상기 부직포 위사체(緯絲體)(11)는, 일정한 폭을 갖는 리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작방법으로, 부직포 위사체를 일정한 폭을 갖는 리본 형상으로 성형하는 부직포 위사체 성형 단계(S110); 상기 일정한 폭을 갖는 리본 형상으로 성형된 부직포 위사체를 직조기를 이용하여 서로 평행하게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사(經絲)(12)에 교차 결합시키는 직조단계(S12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Nonwoven fabric having a woven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특징적인 직물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부직포란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원료 섬유로는, 처음에는 솜·비스코스레이온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1950년대 중반부터는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도 사용되었다. 부직포의 가공법에는 침지식(浸漬式)과 건식(乾式)이 있다. 침지식은 초지식(抄紙式)이라고도하며, 섬유를 합성수지 접착제 통에 넣어 적셨다가 건조 ·열처리한 것으로, 종이와 비슷하다. 건식은 섬유를 얇은 솜 모양으로 만든것에 합성수지를 내뿜고 열을 가하여 건조시킨 것이다. 부직포의 생산기술은 1950년경부터 미국에서 급속도로 발전하였는데, 섬유가 얽혀 있어서 종횡의 방향성이 없으며, 자른 가장자리가 풀리는 일도 없기 때문에 여러 가지 용도의 공업용으로 널리 쓰이고 있다.
직물은 경사(經絲)와 위사(緯絲)를 직각으로 조합하여 일정한 폭과 길이와 두께를 지닌 일정한 길이로 연속된 평면상으로 만든 것이다. 원료로 섬유의 실을 사용하기 때문에 완성된 직물은 유연성이 있으며, 자유 자재로 움직일 수 있고 또 다수의 구멍이 있다. 이러한 직물의 성질은 원료 실(絲)의 종류 또는 그 조합 방법에 따라 다양하게 변화되어 독특한 특징을 만들어 낸다.
그러나, 부직포의 경우, 보온성등의 필요로 고중량의 부직포 즉, 두께가 두꺼운 부직포를 생산하는경우, 적층되는 다수의 웹 간의 접착을 위한 접착제의 처리 또는 저융점 파이버의 사용과 이에 따른 열처리 등으로 인하여, 채산성이 현저히 감소하고, 의류소재로서의 강연성 및 드레이프성이 열화되고, 신축성 및 통기성이 저하되어 결과적으로 내구성 및 착용감이 열화되는 문제를 갖는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052591호(볼화이버를 이용한 견면의 제조방법 및 그 견면, 공고일자 2011년07월29일)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525731호(양모 섬유와 합성섬유의 혼섬 섬유로 형성되는 볼 형 섬유 충전재의 제조방법, 이를 통해 제작되는 볼 형 섬유 충전재 및 이를 사용하는 방한용 의류, 공고일자 2015년06월03일)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보온성등의 필요로 고중량의 부직포의 생산시 채산성이 감소시키지 않으며, 의류소재로서의 강연성 및 드레이프성의 열화나 신축성 및 통기성이 저하되어 결과적으로 내구성 및 착용감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복수의 경사들과 교차(interalced)결합된 복수의 부직포 위사체(緯絲體)(11); 서로 평행하게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사(經絲)(12);를 포함하여, 상기 부직포 위사체(緯絲體)(11)는, 일정한 폭을 갖는 리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직포 위사체(緯絲體)는,부직포 외피의 내부에 충전재가 삽입된 형태이다.
여기서 상기 충전재는, 스테이플 파이버 또는 볼 파이버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부직포 외피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부직포가 접혀 상부 양단이 내측으로 말려들어간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부직포 위사체(緯絲體)의 양단을 각각 봉합하는 제1 솔기부(13)을 포함한다.
또한, 여기서 상기 복수의 경사(經絲)(12)의 양단을 각각 봉합하는 제2 솔기부(1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작방법으로, 부직포 위사체를 일정한 폭을 갖는 리본 형상으로 성형하는 부직포 위사체 성형 단계(S110); 상기 일정한 폭을 갖는 리본 형상으로 성형된 부직포 위사체를 직조기를 이용하여 서로 평행하게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사(經絲)(12)에 교차 결합시키는 직조단계(S12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부직포 위사체 성형 단계(S110)는, 부직포를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는 부직포 준비과정(610), 상기 일정한 폭으로 절단된 부직포의 중간을 접어 부직포 외피를 성형하는 부직포 성형단계(620), 및 상기 성형된 부직포 외피의 내부에 충전재를 투입하고 그 입구를 마감하는 충전재 투입/마감 단계(630)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여기서, 직조단계(S120)는, 상기 부직포 위사체의 일단을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사(經絲)(12)에 교차부에 삽입하는 부직포 위사체 삽입 단계(640), 및 부직포 위사체의 일단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사(經絲)(12)의 일측 최외각 경사를 통과하여 삽입이 완료하면, 부직포 위사체를 절단하여, 상기 복수의 경사(經絲)(12)의 타측 최외각 경사측으로 돌출한 부직포 위사체의 타단을 형성하는 절단 단계(650)을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여기서, 상기 복수의 부직포 위사체의 양단을 각각 봉합하는 제1 솔기를 형성하는 제1 솔기처리 단계(130)를 더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보온성등의 필요로 고중량의 부직포의 생산시 채산성이 감소시키지 않으며, 의류소재로서의 강연성 및 드레이프성의 열화나 신축성 및 통기성이 저하되어 결과적으로 내구성 및 착용감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해지는 효과를 가진다.
나아가, 본 발명의 새로운 구조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보온성등의 필요로 고중량의 부직포의 생산시 채산성이 감소시키지 않으며, 의류소재로서의 강연성 및 드레이프성의 열화나 신축성 및 통기성이 저하되어 결과적으로 내구성 및 착용감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새로운 구조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를 제공하는 효과와 더불어 기존의 설비를 그대로 전용하여 새로운 구조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작이 가능한 이점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작방법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부직포 위사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작장치의 모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조방법의 부직포 위사 성형단계 및 제직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명백히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은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작방법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는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복수의 경사들과 교차(interalced)결합된 복수의 부직포 위사체(緯絲體)(11), 서로 평행하게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사(經絲)(12)를 기본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부직포 위사체(緯絲體)(11)는, 일정한 폭의 리본 형상으로 성형되어, 도 2에서와 같이, 일반적인 직조기를 이용하여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사(經絲)(12)에 교차 결합되어, 직물과 같은 직조 구조를 형성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일정한 폭의 리본 형상으로 성형된 부직포 위사체(緯絲體)(11)는 부직포를 일정한 폭의 리본 형상의 부직포일 수 있으며,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부직포 위사체(緯絲體)는, 일정한 폭의 리본 형상으로 성형된 부직포 외피의 내부에 충전재가 삽입된 형태일 수 있다.
상기 경사(經絲)(12)는 직물의 직조에 사용되는 일반적인 실(yarn)로서, 실시예에 따라 적당한 굴곡성과 굵기의 방적사 또는 필라멘트사가 선택되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도 3의 실시예의 위사체와 같이 부직포를 꼬은 실(yarn)형태의 경사가 사용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는 상기 복수의 부직포 위사체(緯絲體)(11)의 양단을 각각 봉합하는 제1 솔기부(13)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경사(經絲)(12)의 양단을 각각 봉합하는 제2 솔기부(14)를 포함한다.
상기 제1 솔기부(13) 및 제2 솔기부(14))는 재봉 또는 접합등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부직포 위사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직포 위사체(緯絲體)(11)는 부직포를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a)의 실시예의 경우, 부직포 위사체(緯絲體)(11)는 일정한 폭의 리본 형상으로 성형된 형태로 구현된 실시예로 부직포 리본은 대략 5cm ~ 10cm의 일정한 폭으로 부직포를 절단하여 후술하는 직조단계에서 일정한 길이로 절단되어 직조 구조의 경사를 형성한다.
도 3(b)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직포 위사체(緯絲體)(11)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부직포가 접혀 상부 양단이 내측으로 말려들어간 형태를 가지며, 후술하는 부직포 성형단계에서 일정한 폭(w) 예컨대 10cm~20cm로 부직포를 절단하고, 부직포를 길이방향으로 접어 상부 양단이 내측으로 말려들어간 형태를 형성하여, 부직포 외피를 형성한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상기 부직포 외피의 형성과정에서 충전재를 투입하여, 도 3(b)와 같이, 일정한 폭(t≒1/2w)을 갖는 부직포 외피 내부에 충전재가 삽입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부직포 외피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부직포가 접혀 상부 양단이 내측으로 말려들어간 형태로, 충전재의 충전후 레진 스프레이의 도포 및 건조, 가열(저융점 폴리에스테르 파이버가 충전재로 사용된 경우 등)에 의하여 충전재 추입구사 밀봉 마감될 수 있다.
또한,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부직포 위사체(緯絲體)(11)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부직포를 꼬아 일정한 지름을 가지는 중공의 원형 단면을 가지는 형태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3(c)에서와 같이, 원형의 중공 내부에 충전재가 삽입된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충전재의 충전후 레진 스프레이의 도포 및 건조, 가열(저융점 폴리에스테르 파이버가 충전재로 사용된 경우 등)에 의하여 표면이 밀봉 마감될 수 있으며, 상기 부직포 위사체(緯絲體)(11)의 양단을 각각 봉합하는 제1 솔기부(13)에 의하여 양단이 마감될 수 있다.
상기 도 3(b) 및 도 3(c)의 충전재로는, 스테이플 파이버, 볼 파이버, 또는 스테이플 파이버와 볼 파이버의 혼합한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부직포 외피의 내부에 충전될 수 있다.
상기 충전재로 사용되는 볼 파이버는 혼섬 섬유를 일정 크기를 가지며 구형의 형상으로 엉키어 형성된 볼형 섬유로 형성시킨 볼 형 섬유 충전재로, 상기 혼섬 섬유는, 양모 섬유와 합성섬유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혼합하여 결속시켜 가공한 양모 섬유와 합성섬유의 혼합섬유, 양모 섬유와 합성섬유 및 식물성섬유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혼합하여 결속시켜 가공한 양모 섬유와 합성섬유 및 식물성섬유의 혼합섬유, 또는 하나 이상의 합성섬유를 미리 설정된 비율로 혼합하여 결속시켜 가공한 혼합 합성섬유 중 선택된 하나가 사용되어, 다양한 예컨대 양모 섬유와 합성섬유로 혼섬된 볼 형 섬유 충전재 형태, 양모 섬유와 합성섬유 및 식물성섬유가 혼섬된 볼 형 섬유 충전재 형태, 하나 이상의 합성섬유가 혼섬된 볼형 충전재 형태가 본 발명 충전재의 볼 파이버로 선택 사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류 등 소프트 한 쿠션감과 추가적인 보온성 및 경량성이 요구되는 제품 등 다양한 특성이 요구되는 제품에 적용이 가능한 완충 레이어를 포함하는 직조 구조 부직포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작장치의 모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작장치는 일반적인 직조기 및 설비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며, 도 4의 경우 상기 도 3(b)의 부직포 위사체(緯絲體)(11)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경우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작장치는 부직포를 일정한 폭을 가지는 리본 형상으로 사전 절단 성형된 부직포를 중간을 접어 부직포 외피를 성형하는 부직포 성형부(110), 상기 접혀진 부직포 외피의 개방부에 충전재를 투입하는 충전재 투입부(120), 충전제 투입부의 개방부를 밀봉하여 마감하는 마감부(130), 상기 부직포 위사체(緯絲體)를 직조기의 경사와 연관하여 일단을 삽입하고, 삽입 완료시 타단을 절단하는 삽입/절단부(140), 성형된 부직포 위사체를 직조기를 이용하여 서로 평행하게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사(經絲)(12)에 교차 결합시키는 직조기(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추가적으로, 상술한 제1 솔기 및 제2 솔기를 형성하는 솔기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조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조방법은, 부직포 위사체를 일정한 폭을 갖는 리본 형상으로 성형하는 부직포 위사체 성형 단계(S110), 및 상기 일정한 폭을 갖는 리본 형상으로 성형된 부직포 위사체를 직조기를 이용하여 서로 평행하게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사(經絲)(12)에 교차 결합시키는 직조단계(S120);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상기 도 3(b) 및 도 3(c)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충전재가 삽입되어 부직포 위사체가 성형되는 경우 이에 소요되는 충전재를 제작하여 준비하는 충전재 준비단계(S100)를 부직포 위사체 성형 단계(S110)의 이전에 포함하여 수행하며, 상기 직조단계(S120)를 수행하기 위한 직조기에 경사를 배치하여 직조 작업을 준비하는 직조기/경사 준비단계(S200)를 상기 직조단계(S120)전 포함하여 수행한다.
또한, 부직포 위사체를 직조기를 이용하여 서로 평행하게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사(經絲)(12)에 교차 결합하는 직조단계(S120)가 종료하면, 상기 복수의 부직포 위사체(緯絲體)의 양단을 각각 봉합하는 제1 솔기부(13)를 형성하는 제1 솔기 처리단계(S130)를 수행하고, 복수의 경사(經絲)(12)의 양단을 각각 봉합하는 제2 솔기부(14)를 형성하는 제2 솔기 처리단계(140)를 수행할 수 있다.
후가공 단계(S150)에서는 생성된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를 권취 또는 표면처리 등 후가공하여 소요되는 형태로 가공하는 과정으로 소요되는 후가공에 따라 권취기(미도시), 표면처리기(미도시)등에 의하여 수행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조방법의 부직포 위사 성형단계 및 제직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본 실시예의 부직포 위사 성형단계(S110)는, 도 6을 참조하면 상술한 도 3(c)의 부직포 위사체를 성형하는 실시예로, 부직포를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는 부직포 준비과정(610), 상기 일정한 폭으로 절단된 부직포의 중간을 접어 부직포 외피를 성형하는 부직포 성형단계(620), 및 상기 성형된 부직포 외피의 내부에 충전재를 투입하고 그 입구를 마감하는 충전재 투입/마감 단계(630)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직조단계(S120)는, 상기 부직포 위사체의 일단을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사(經絲)(12)에 교차부에 삽입하는 부직포 위사체 삽입 단계(640), 및 부직포 위사체의 일단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사(經絲)(12)의 일측 최외각 경사를 통과하여 삽입이 완료하면, 부직포 위사체를 절단하여, 상기 복수의 경사(經絲)(12)의 타측 최외각 경사측으로 돌출한 부직포 위사체의 타단을 형성하는 절단 단계(650)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다양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 및 용이한 실시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1 : 부직포 위사체(緯絲體) 12: 경사(經絲)
13 : 제1 솔기부 14 : 제2 솔기부
100 :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 제작장치
110 :부직포 성형부
120 : 충전재 투입부
130 : 마감부
140 : 삽입/절단부
150 : 직조기

Claims (10)

  1.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에 있어서,
    서로 평행하게 정렬되어 복수의 경사들과 교차(interalced)결합된 복수의 부직포 위사체(緯絲體)(11);
    서로 평행하게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사(經絲)(12);를 포함하여,
    상기 부직포 위사체(緯絲體)(11)는, 일정한 폭을 갖는 리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위사체(緯絲體)는,
    부직포 외피의 내부에 충전재가 삽입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충전재는, 스테이플 파이버 또는 볼 파이버의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 외피는, 일정한 폭을 가지는 부직포가 접혀 상부 양단이 내측으로 말려들어간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직포 위사체(緯絲體)의 양단을 각각 봉합하는 제1 솔기부(1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경사(經絲)(12)의 양단을 각각 봉합하는 제2 솔기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
  7.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작방법에 있어서,
    부직포 위사체를 일정한 폭을 갖는 리본 형상으로 성형하는 부직포 위사체 성형 단계(S110);
    상기 일정한 폭을 갖는 리본 형상으로 성형된 부직포 위사체를 직조기를 이용하여 서로 평행하게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사(經絲)(12)에 교차 결합시키는 직조단계(S1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작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부직포 위사체 성형 단계(S110)는,
    부직포를 일정한 폭으로 절단하는 부직포 준비과정(610),
    상기 일정한 폭으로 절단된 부직포의 중간을 접어 부직포 외피를 성형하는 부직포 성형단계(620), 및
    상기 성형된 부직포 외피의 내부에 충전재를 투입하고 그 입구를 마감하는 충전재 투입/마감 단계(6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작방법.
  9. 청구항 7 또는 청구항 8에 있어서,
    직조단계(S120)는,
    상기 부직포 위사체의 일단을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사(經絲)(12)에 교차부에 삽입하는 부직포 위사체 삽입 단계(640), 및
    부직포 위사체의 일단이 순차적으로 배열된 복수의 경사(經絲)(12)의 일측 최외각 경사를 통과하여 삽입이 완료하면, 부직포 위사체를 절단하여, 상기 복수의 경사(經絲)(12)의 타측 최외각 경사측으로 돌출한 부직포 위사체의 타단을 형성하는 절단 단계(65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작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직포 위사체의 양단을 각각 봉합하는 제1 솔기를 형성하는 제1 솔기처리 단계(130)를 더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의 제작방법.
KR1020170143462A 2017-10-31 2017-10-31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774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462A KR101977486B1 (ko) 2017-10-31 2017-10-31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462A KR101977486B1 (ko) 2017-10-31 2017-10-31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481A true KR20190048481A (ko) 2019-05-09
KR101977486B1 KR101977486B1 (ko) 2019-05-13

Family

ID=665463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462A KR101977486B1 (ko) 2017-10-31 2017-10-31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774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220B1 (ko) * 2019-07-31 2020-08-28 주식회사 페이브테크 현장제작 방수시트를 이용한 3중 복합식 방수 공법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91761A (ko) * 2002-12-31 2005-09-15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제지기 직물 및 산업 직물의 구조 요소를 서로 결합시키는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직물
US20060035551A1 (en) * 2002-12-06 2006-02-16 Vittorio Orlandi Fabric with a base of non-woven fabric strips
US20060213234A1 (en) * 2005-03-24 2006-09-28 Gladfelter Harry F Substrate incorporating non-woven elements
KR100951501B1 (ko) * 2006-07-25 2010-04-07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시트 형태 섬유 구조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1052591B1 (ko) 2010-04-23 2011-07-29 박태근 볼화이버를 이용한 견면의 제조방법 및 그 견면
KR101525731B1 (ko) 2014-02-05 2015-06-03 이기주 양모 섬유와 합성섬유의 혼섬 섬유로 형성되는 볼 형 섬유 충전재의 제조방법, 이를 통해 제작되는 볼 형 섬유 충전재 및 이를 사용하는 방한용 의류
KR20170027121A (ko) * 2015-09-01 2017-03-09 주식회사 다운울슐레트 볼 형 섬유 완충제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제조장치,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볼 형 섬유 완충제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035551A1 (en) * 2002-12-06 2006-02-16 Vittorio Orlandi Fabric with a base of non-woven fabric strips
KR20050091761A (ko) * 2002-12-31 2005-09-15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제지기 직물 및 산업 직물의 구조 요소를 서로 결합시키는방법 및 그에 의해 제조된 직물
US20060213234A1 (en) * 2005-03-24 2006-09-28 Gladfelter Harry F Substrate incorporating non-woven elements
KR20070113302A (ko) * 2005-03-24 2007-11-28 페더럴-모걸 코오포레이숀 부직 요소를 결합한 기판
KR100951501B1 (ko) * 2006-07-25 2010-04-07 칼 프로이덴베르크 카게 시트 형태 섬유 구조물,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KR101052591B1 (ko) 2010-04-23 2011-07-29 박태근 볼화이버를 이용한 견면의 제조방법 및 그 견면
KR101525731B1 (ko) 2014-02-05 2015-06-03 이기주 양모 섬유와 합성섬유의 혼섬 섬유로 형성되는 볼 형 섬유 충전재의 제조방법, 이를 통해 제작되는 볼 형 섬유 충전재 및 이를 사용하는 방한용 의류
KR20170027121A (ko) * 2015-09-01 2017-03-09 주식회사 다운울슐레트 볼 형 섬유 완충제를 포함하는 부직포의 제조장치, 이를 이용하여 제작되는 볼 형 섬유 완충제를 포함하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49220B1 (ko) * 2019-07-31 2020-08-28 주식회사 페이브테크 현장제작 방수시트를 이용한 3중 복합식 방수 공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77486B1 (ko) 2019-05-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78929B2 (ja) 3次元立体形状織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746097B2 (ja) 3層構造を有する3次元立体形状織物
JP2003301339A (ja) 弾性疎水性/親水性合成糸及びそれから作製される湿気管理弾性布
KR20120106126A (ko) 한지복합사의 제조방법과 이에 의해 제조한 한지복합사, 이를 이용한 원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한 자동차 내장재
RU2014139673A (ru) Ткань для применения в композитных материалах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кани и элемента из композитного материала
US20220316111A1 (en) Woven brushed elastic fabric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6716774B2 (en) Knitted fabric for insect screening
JP2003306844A (ja) 合成糸及びそれから作製される湿気管理布
KR101977486B1 (ko) 직조 구조를 갖는 부직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083603A (zh) 一种织物及其用途
US7117899B1 (en) Pile mesh fabric
KR101160937B1 (ko) 3차원 입체형상 직물 및 이의 제조방법
JP2009074186A (ja) 炭素繊維織物の製造方法
US10221505B1 (en) Textile products incorporating banana or raffia fiber and methods of fabricating the same
TWI693154B (zh) 含纖維之結構、其製造方法及其應用
WO2012063180A1 (en) A reinforcement strip for a tire
CN113584670A (zh) 一种纱布及其织造工艺
JPH05287635A (ja) 二重織物
CN207105797U (zh) 有机棉色纺纱面料
JP2017527702A (ja) ウォーターパンチングを用いた防刃生地の製造方法
JP5479711B2 (ja) 織編地成形加工方法及び立体形状加工用織編地
JP2004308075A (ja) 絡み織物
GB2103111A (en) Wind-passing sheet
KR102519926B1 (ko) 재생폴리에스텔 멀티필라멘트 합연사(合撚絲)를 경사와 위사로 하는 방충망 제조방법
CN212194489U (zh) 宽幅碳纤维布、立体纤维预制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