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8469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8469A
KR20190048469A KR1020170143445A KR20170143445A KR20190048469A KR 20190048469 A KR20190048469 A KR 20190048469A KR 1020170143445 A KR1020170143445 A KR 1020170143445A KR 20170143445 A KR20170143445 A KR 20170143445A KR 20190048469 A KR20190048469 A KR 201900484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housing
circumferential surface
bus bar
main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34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6612B1 (ko
Inventor
안일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434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6612B1/ko
Priority to PCT/KR2018/009499 priority patent/WO2019088424A1/ko
Priority to CN201880070705.7A priority patent/CN111295819B/zh
Priority to US16/760,161 priority patent/US11355989B2/en
Publication of KR201900484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84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66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66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3/00Washers or equivalent devices; Other devices for supporting bolt-heads or nu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0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 F16C19/0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 F16C19/0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ball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for radial load mainly with a single row or b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22Rot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27Rotor cores with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실시예는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파이프 형상의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플랜지;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이에 따라, 상기 모터의 하우징은 조립 공정의 능력을 확보하고, 복잡한 구조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실시예는 모터에 관한 것이다.
모터의 경우,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는 샤프트과, 샤프트에 결합되는 로터와, 하우징 내측에 고정되는 스테이터가 마련되는데, 로터의 둘레를 따라 간극을 두고 스테이터, 및 상기 로터와 스테이터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에는 회전 자계를 형성하는 코일이 권선되어 로터와의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하여 로터의 회전을 유도한다.
이때, 스테이터의 상단에는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버스바가 배치된다. 버스바는 대체적으로 링 형상의 버스바 하우징과, 버스바 하우징에 결합되어 코일이 연결되는 버스바 터미널이 포함된다.
한편, 하우징은 딥 드로잉 방식에 의해 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딥 드로잉 방식의 경우 사이즈가 작고 형상이 단순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기 때문에, 사이즈가 크고 형상이 복잡한 하우징을 제작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딥 드로잉 방식으로 제작된 하우징의 경우 반경 방향으로 인가되는 힘에 취약한 문제가 있다. 예컨데, 딥 드로잉 방식으로 제작된 하우징의 내부에 열간 압입 방식으로 스테이터를 배치하는 경우, 하우징이 수축함에 따라 하우징의 변형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실시예는 복잡한 형상을 구현하면서도 조립이 용이한 하우징을 포함하는 모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에 국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는 실시예에 따라,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파이프 형상의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플랜지;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모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플랜지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측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된 제1 외측벽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내측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된 제1 내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외측벽부의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는 로터 코어; 및 상기 로터 코어에 배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 코어의 하부에 형성된 홈에는 상기 제1 내측벽부의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내측벽부의 내주면에는 하부 베어링의 일측이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는 단부가 상기 하부 베어링의 하부와 접촉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셔는 파이프 형상의 와셔 본체; 및 상기 와셔 본체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플랜지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측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된 제2 외측벽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내측에서 하부측으로 돌출된 제2 내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외측벽부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외주면과 제2 외주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외주면과 제2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단차면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모터는 하우징을 파이프 형상의 하우징 본체, 제1 플랜지 및 제2 플랜지로 구현하여 조립 공정의 능력을 확보하고, 하우징의 복잡한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코킹 공정을 이용한 결합 방식과 비교할 때, 압입 방식으로 하우징 본체에 제1 플랜지와 제2 플랜지를 결합하기 때문에, 결합력을 일정하게 확보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다양하면서도 유익한 장점과 효과는 상술한 내용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실시예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보다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하우징 및 와셔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내지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하우징의 제1 플랜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저면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7 내지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하우징의 제2 플랜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저면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와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와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코어와 인슐레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를 나타내는 평면이고,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본체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본체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22는 도 11의 A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23은 도 11의 B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24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제1 상부 터미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5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제2 상부 터미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6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제3 상부 터미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7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제1 하부 터미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8은 도 11의 C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29는 도 11의 D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30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제2 하부 터미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델타 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코일의 단부와 버스바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3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와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2, 제1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모터(1)는 하우징(100), 커버 조립체(200), 스테이터(300), 로터(400), 샤프트(500), 버스바(600) 및 베어링(7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베어링(700)은 배치 위치에 따라 상부 베어링(710)과 하부 베어링(7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터(1)는 하부 베어링(720)을 지지하는 와셔(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00)의 내부 수용공간에는 스테이터(300), 로터(400), 샤프트(500), 버스바(600) 및 베어링(70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100)은 파이프 형상의 파이프 본체(110), 파이프 본체(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1 플랜지(120) 및 파이프 본체(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2 플랜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플랜지(120)와 제2 플랜지(130) 각각은 파이프 본체(110)에 압입 방식을 통해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하우징 및 와셔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하우징(100)은 파이프 형상의 하우징 본체(110),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플랜지(120) 및 하우징 본체(110)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플랜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 본체(110)에 제1 플랜지(120)와 제2 플랜지(130)가 결합됨에 따라,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테이터(300), 로터(400), 회전축(500) 및 버스바(60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하우징 본체(110)는 상부 및 하부 각각에 개구가 형성된 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하우징 본체(11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하우징 본체(110)는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하우징 본체(110)는 SPCC(steel plate cold commercial)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열팽창 계수는 15*106/℃ 일 수 있다.
제1 플랜지(120)는 하우징 본체(110)의 하부측 개구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플랜지(120)는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내지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하우징의 제1 플랜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저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제1 플랜지(120)는 제1 플레이트(121), 제1 외측벽부(122) 및 제1 내측벽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플레이트(121), 제1 외측벽부(122) 및 제1 내측벽부(12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플레이트(121)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며, 환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외측벽부(122)는 제1 플레이트(121)의 외측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외측벽부(122)의 외주면(122a)은 하우징 본체(110)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 외측벽부(122)는 하우징 본체(110)를 지지하여, 하우징 본체(110)에 반경 방향으로 인가되는 하중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내측벽부(123)는 제1 플레이트(121)의 내측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측벽부(123)의 내주면에는 하부 베어링(720)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측벽부(123)는 제1-1 내측벽부(124)와 제1-2 내측벽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제1 내측벽부(123)의 일부를 내측으로 절곡한 후 상부측으로 절곡하여 제1-1 내측벽부(124)와 제1-2 내측벽부(125)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1 내측벽부(124)는 제1 플레이트(121)의 내측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내측벽부(125)는 제1-1 내측벽부(124)의 단부에서 내측으로 절곡된 후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될 수 있다.
제1-1 내측벽부(124)의 제1 내주면(124a)과 제1-2 내측벽부(125)의 제2 내주면(125a)은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이격간격(d1)을 갖도록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1-1 내측벽부(124)와 제1-2 내측벽부(125) 사이에는 제1 단차면(12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1 내측벽부(124)의 제1 내주면(124a)에는 와셔(800)를 구성하는 플랜지부(820)의 외주면이 접촉될 수 있다.
제1-2 내측벽부(125)의 제2 내주면(125a)에는 하부 베어링(720)의 일측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제1-2 내측벽부(125)의 제2 내주면(125a)과 샤프트(500)의 외주면 사이에는 하부 베어링(720)이 배치된다. 그에 따라, 제1-2 내측벽부(125)의 제2 내주면(125a)은 하부 베어링(720)의 외륜을 반경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제1 단차면(126)에는 와셔(800)의 일 영역이 접촉될 수 있다. 예컨데, 하부측에서 와셔(800)가 제1 플랜지(120)에 결합됨에 따라, 제1 단차면(126)에는 와셔(800)를 구성하는 플랜지부(820)의 상면이 접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와셔(800)는 제1 단차면(126)에 의해 기 설정된 깊이만큼 하우징(100) 내부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제2 플랜지(130)는 하우징 본체(110)의 상부측 개구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플랜지(130)는 스틸과 같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하우징의 제2 플랜지를 나타내는 사시도, 저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제2 플랜지(130)는 제2 플레이트(131), 제2 외측벽부(132) 및 제2 내측벽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플레이트(131), 제2 외측벽부(132) 및 제2 내측벽부(133)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플레이트(131)는 소정의 두께로 형성되며, 평면상 환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외측벽부(132)는 제2 플레이트(131)의 외측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외측벽부(132)는 제2-1 외측벽부(134)와 제2-2 외측벽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데, 제2 내측벽부(133)의 일부를 외측으로 절곡한 후 상부측으로 절곡하여 제2-1 외측벽부(134)와 제2-2 외측벽부(135)를 형성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1 외측벽부(134)는 제2 플레이트(131)의 외측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2 외측벽부(135)는 제2-1 외측벽부(134)의 단부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후 상부측으로 돌출되게 절곡될 수 있다.
제2-1 외측벽부(134)의 제1 외주면(134a)은 하우징 본체(110)의 내주면에 접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외측벽부(132)는 하우징 본체(110)를 지지하여, 하우징 본체(110)에 반경 방향으로 인가되는 하중에 대응할 수 있다.
제2-2 외측벽부(135)의 제2 외주면(135a)은 제2-1 외측벽부(134)의 제1 외주면(134a)에서 반경 방향으로 소정의 이격간격(d2)을 갖도록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제1 외주면(134a)은 제2 외주면(135a)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1 외측벽부(134)와 제2-2 외측벽부(135) 사이에는 제2 단차면(13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차면(136)은 하우징 본체(110)의 상면(111)에 접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플랜지(130)가 하우징 본체(110)에 결합될 때, 제2 단차면(136)은 하우징 본체(110)의 상면(11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내측벽부(133)는 제2 플레이트(131)의 내측에서 하부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측벽부(133)의 내주면(133a)에는 하부 베어링(720)의 일측이 배치될 수 있다. 예컨데, 제2 내측벽부(133)의 내주면(133a)은 상부 베어링(710)을 반경 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제2 내측벽부(133)는 단부를 내측으로 절곡하여 형성된 안착면(137)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면(137)에는 상부 베어링(710)의 외륜이 안착됨에 따라, 안착면(137)은 상부 베어링(710)을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안착면(137)에 제1 상부 베어링(710)이 안착된 후, 제2 내측벽부(133)의 일 영역은 코킹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내측벽부(133)에는 내측으로 돌출된 지지돌기(138)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베어링(710)은 안착면(137)과 지지돌기(138)에 의해 축방향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200)는 하우징(1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커버 조립체(200)는 상부측으로 보스(211)가 형성된 커버 본체(210)와 커버 본체(210)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터미널(220)을 포함할 수 있다.
커버 본체(210)는 하우징(100)의 개구를 덮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본체(210)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커버 본체(210)는 몰드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보스(211)는 커버 본체(210)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보스(211)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외부 커넥터(미도시)는 보스(211)에 결합되어 상기 모터(1)에 전원을 인가할 수 있다.
터미널(220)은 커버 본체(210)에 인서트 사출 방식에 의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터미널(220)의 일측은 보스(211)의 내부에 배치되고, 타측은 버스바(600)의 제1 상부 터미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배치될 수 있다.
스테이터(300)는 하우징(100)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때, 스테이터(300)는 하우징(100)의 내주면에 지지될 수 있다. 그리고, 스테이터(300)는 로터(400)와 전기적 상호 작용을 유발한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와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와 스테이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스테이터의 스테이터 코어와 인슐레이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스테이터(300)는 스테이터 코어(310), 스테이터 코어(310)에 권선되는 코일(330) 및 스테이터 코어(310)와 코일(330) 사이에 배치되는 인슐레이터(3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코일(330)로는 전선의 외주면이 코팅된 와이어가 제공될 수도 있다.
스테이터 코어(310)에는 회전 자계를 형성하는 코일(330)이 권선될 수 있다. 여기서, 스테이터 코어(310)는 하나의 코어로 이루어지거나 복수 개의 분할 코어가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310)는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상호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스테이터 코어(310)는 하나의 단일품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스테이터 코어(310)는 원통 형상의 요크(311)와 복수 개의 투스(31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투스(312)는 원통 형상의 요크(311)에서 스테이터 코어(310)의 중심(C)을 향해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 개의 투스(312)는 요크(31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각각의 투스(312) 사이에는 슬롯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스(312)는 로터(400)의 마그넷을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투스(312)에는 코일(330)이 감긴다.
인슐레이터(320)는 스테이터 코어(310)와 코일(330)을 절연시킨다. 여기서, 인슐레이터(220)는 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인슐레이터(320)는 스테이터 코어(310)와 코일(3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0 및 도 12를 참조하면, 인슐레이터(320)는 스테이터 코어(310)의 상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1 인슐레이터(321) 및 스테이터 코어(310)의 하부에 배치되는 복수 개의 제2 인슐레이터(32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인슐레이터(321)와 제2 인슐레이터(322) 각각은 스테이터 코어(310)의 투스(312)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제1 인슐레이터(321)는 상호 이격되게 배치된다. 그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인슐레이터(321) 사이에는 이격에 따른 공간(S)이 형성된다.
실시예에 따른 인슐레이터(320)는 스테이터 코어(310)의 상부와 하부에서 결합하는 제1 인슐레이터(321)와 제2 인슐레이터(322)로 구성되는 것을 그 예로 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스테이터 코어(310)에 인서트 사출 방식을 통해 인슐레이터(320)를 스테이터 코어(310)에 배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코일(330)은 인슐레이터(320)가 배치된 스테이터 코어(310)에 권선될 수 있다. 그리고, 코일(330)은 전원 공급에 의해 회전 자계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인슐레이터(320)에 권선된 코일(330)의 단부는 상부측으로 노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코일(330)의 단부는 버스바(600)에 연결될 수 있다.
로터(400)는 스테이터(30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중심부에 샤프트(50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로터(400)는 스테이터(300)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로터(400)는 로터 코어(410)와 마그넷(420)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 코어(410)는 원형의 얇은 강판 형태의 복수 개의 플레이트가 적층된 형상으로 실시되거나 또는 하나의 통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로터 코어(410)의 중심에는 샤프트(500)가 결합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로터 코어(410)의 외주면에는 마그넷(420)의 배치를 가이드 하는 돌기가 돌출될 수 있다. 마그넷(420)은 로터 코어(410)의 외주면에 부착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마그넷(420)은 일정 간격으로 로터 코어(410)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로터(400)는 마그넷(420)이 로터 코어(410)의 포켓에 삽입되는 타입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코일(330)과 상기 마그넷의 전기적 상호 작용으로 로터(400)가 회전하고, 로터(400)가 회전하면 샤프트(500)가 회전하여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한편, 로터(400)는 상기 마그넷을 둘러싸게 배치되어 상기 마그넷이 상기 로터 코어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시키는 캔 부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캔 부재는 상기 마그넷이 외부에 노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로터 코어(410)는 하부의 내측에 형성된 홈(411)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411)에는 제1-2 내측벽부(125)의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2 내측벽부(125)의 내주면(125a)에는 하부 베어링(720)이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모터(1)의 공간 활용성은 향상될 수 있다.
샤프트(500)는 외주면에 배치되는 베어링(700)에 의해 하우징(100)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샤프트(500)는 로터(400)의 중심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버스바(600)는 스테이터(30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버스바(600)는 스테이터(300)의 코일(33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버스바(60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코일(300)에 전달한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4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15는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를 나타내는 평면이고,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를 나타내는 저면도이고,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버스바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버스바(600)는 버스바 본체(610), 버스바 본체(610)의 상면에 배치되는 상부 터미널(630) 및 버스바 본체(610)의 하면에 배치되는 하부 터미널(65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 터미널(630)은 제1 상부 터미널(630a), 제2 상부 터미널(630b) 및 제3 상부 터미널(630c)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터미널(650)은 제1 하부 터미널(650a)와 제2 하부 터미널(650b)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버스바(600)는 버스바 본체(610)를 기준으로 상면과 하면에 각각 상부 터미널(630) 및 하부 터미널(650)이 배치되는 2층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상기 모터(1)의 축방향에 대한 공간 활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축방향이라 함은 샤프트(500)의 길이 방향일 수 있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본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본체를 나타내는 저면사시도이고,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본체를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버스바의 본체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버스바 본체(610)는 절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데, 버스바 본체(610)는 몰드와 같은 합성수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버스바 본체(610)는 몸체(611), 제1 홀(612) 및 제2 홀(613)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버스바 본체(610)는 제3 홀(614), 제4 홀(615), 제1 돌출부(616), 제2 돌출부(617), 제3 돌출부(618), 제1 돌기(619) 및 제2 돌기(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몸체(611)는 소정의 두께를 갖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몸체(611)는 상면(611a), 하면(611b), 외주면(611c) 및 내주면(611d)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홀(612) 및 제2 홀(613)은 버스바 본체(610)의 몸체(61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제1 홀(612)은 제2 홀(613)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스바 본체(61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제1 홀(612)의 중심(C1)까지의 반지름을 R1이라 하고, 버스바 본체(610)의 중심(C)을 기준으로 제2 홀(613)의 중심(C2)까지의 반지름을 R2라 할 때, R2은 R1 보다 길다.
여기서, 제2 홀(613)은 몸체(611)의 내주면(611d)에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홀(614)에는 스테이터(300)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된 코일(330)의 단부가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제3 홀(614)은 코일(330) 단부의 배치 위치를 안내할 수 있다. 이때, 코일(330)의 단부는 제3 홀(614)을 관통할 수 있다.
제3 홀(614)은 버스바 본체(610)의 몸체(61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홀(614)은 몸체(611)의 외주면(611c)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3 홀(614)은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제1 홀(612) 보다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홀(614)은 원주방향을 따라 외주면(611c)에 복수 개가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제4 홀(615)에는 제2 하부 터미널(650b)의 일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즉, 제4 홀(615)의 내측에는 제2 하부 터미널(650b)의 퓨징부(652)가 배치될 수 있다.
제4 홀(615)은 버스바 본체(610)의 몸체(611)를 축방향으로 관통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8 내지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 홀(615)은 몸체(611)의 외주면(611c)에서 내측으로 오목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4 홀(615)은 코일(330)의 단부와 제2 하부 터미널(650b)의 전기적 연결을 고려하여 제3 홀(614)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돌출부(616)는 터미널(630, 650) 사이에 배치되어 각각의 터미널(630, 65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제1 돌출부(616)의 높이는 몸체부(631)의 높이보다 클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돌출부(616)의 높이는 몸체부(631)의 높이와 동일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출부(616)는 배치 위치에 따라 몸체(611)의 상면(611a)에 배치되는 제1 상부 돌출부(616a)와 몸체(611)의 하면(611b)에 제1 하부 돌출부(616b)로 구분될 수 있다.
제1 상부 돌출부(616a)는 몸체(611)의 상면(611a)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상부 돌출부(616a)는 상부 터미널(630)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상부터미널(63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부 돌출부(616b)는 몸체(611)의 하면(611b)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 하부 돌출부(616b)는 하부 터미널(650)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다른 하부터미널(65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돌출부(617)는 몸체(611)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2 돌출부(617)는 세 개로 제공되며, 중심(C)을 기준으로 120도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2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617)는 제1 인슐레이터(321) 사이에 형성된 공간(S)에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돌출부(617)는 버스바(600)가 회전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돌출부(617)는 아래서 볼 때 삼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인슐레이터(321)의 형상을 고려하여 다른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돌출부(617)는 제4 홀(615)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돌출부(618)는 몸체(611)에서 하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돌출부(618)의 단부는 요크(311)의 상면(311a)에 지지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3 돌출부(618)는 버스바(600)에 축방향으로 인가되는 하중에 대응할 수 있다.
제1 돌기(619)는 몸체(611)의 상면(611a)에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돌기(619)는 상부 터미널(630)과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복수 개의 제1 돌기(619) 각각은 상부 터미널(630)이 기 설정된 위치에 조립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제1 돌기(619)의 단부는 가열에 의해 상부 터미널(630)에 융착되어 상부 터미널(630)을 버스바 본체(610)에 고정시킨다.
제2 돌기(620)는 몸체(611)의 하면(611a)에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돌기(620)는 하부 터미널(650)과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복수 개의 제2 돌기(620) 각각은 하부 터미널(650)이 기 설정된 위치에 조립될 수 있도록 안내한다.
그리고, 제2 돌기(620)의 단부는 가열에 의해 하부 터미널(650)에 융착되어 하부 터미널(650)을 버스바 본체(610)에 고정시킨다.
상부 터미널(630)은 버스바 본체(6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부 터미널(630)은 버스바 본체(610)의 외주면(611c) 보다 평면상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부 터미널(630)은 버스바 본체(610)의 외주면을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모터(1)는 수평상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다.
상부 터미널(630)은 몸체부(631), 퓨징부(632) 및 관통홀(6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633)은 제5 홀이라 명명될 수 있다.
상부 터미널(630)의 몸체부(631)는 버스바 본체(610)의 상면(611a)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터미널(630)의 퓨징부(632)는 몸체부(631)에서 상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퓨징부(632)는 버스바 본체(610)의 외주면(611c)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그리고, 상부 터미널(630) 각각의 퓨징부(632)의 상면은 동일 평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부 터미널(630)의 관통홀(633)은 몸체부(631)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633)의 내측에는 제1 돌기(619)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돌기(619)의 단부가 융착됨에 따라, 상부 터미널(630)은 버스바 본체(610)에 고정된다.
한편, 상부 터미널(630)은 세 종류의 터미널이 세 개씩 사용될 수 있다. 예컨데, 제1 상부 터미널(630a), 제2 상부 터미널(630b) 및 제3 상부 터미널(630c) 각각은 세 개로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모터(1)는 터미널의 형상을 단일화하여 터미널의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원주방향을 기준으로 제1 터미널(630a) 사이에는 제2 터미널(630b)과 제3 터미널(630c)이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제3 터미널(630c)의 몸체부(631)는 제2 터미널(630b)의 몸체부(631) 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터미널(630b)의 몸체부(631)와 제3 터미널(630c)의 몸체부(631)는 이격되게 배치된다.
도 24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제1 상부 터미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상부 터미널(630a)은 몸체부(631), 퓨징부(632), 관통홀(633) 및 전원부(634)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631), 퓨징부(632) 및 전원부(634)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63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631)는 몸체(611)의 상면(611a)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퓨징부(632)는 몸체부(631)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퓨징부(632)는 몸체부(631)의 외측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퓨징부(63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징부(632)는 버스바 본체(610)의 외주면(611c)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퓨징부(632)는 제3 홀(614)에 의해 배치가 안내된 코일(330)의 단부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퓨징 공정을 통해 퓨징부(632)와 코일(330)의 결합력은 향상될 수 있다.
관통홀(633)은 몸체부(631)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633)의 내측에는 제1 돌기(619)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1 돌기(619)의 단부가 융착됨에 따라, 제1 상부 터미널(630a)은 버스바 본체(610)에 고정된다.
전원부(634)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터미널(220)의 일측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에 따라, 전원은 제1 상부 터미널(630a)을 통해 코일(330)로 공급될 수 있다.
전원부(634)는 몸체부(631)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2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634)는 퓨징부(632)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반경 방향을 기준으로 전원부(634)는 퓨징부(632)보다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도 25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제2 상부 터미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여 제2 상부 터미널(630b)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상부 터미널(630a)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기재되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 상부 터미널(630b)은 몸체부(631), 퓨징부(632) 및 관통홀(6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631)와 퓨징부(6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부 터미널(630b)의 퓨징부(632)는 몸체부(631)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퓨징부(632)는 몸체부(631)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는 점에서 제1 상부 터미널(630a)과 차이가 있다. 또한, 제2 상부 터미널(630b)은 제1 상부 터미널(630a)의 전원부(634)의 포함 여부에서 차이가 있다.
도 26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제3 상부 터미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을 참조하여 제3 상부 터미널(630c)을 설명함에 있어서, 제1 상부 터미널(630a)과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기재되는바,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3 상부 터미널(630c)은 몸체부(631), 퓨징부(632) 및 관통홀(63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몸체부(631)와 퓨징부(63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상부 터미널(630c)의 퓨징부(632)는 몸체부(631)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퓨징부(632)는 몸체부(631)의 양단에서 상측으로 연장된다는 점에서 제1 상부 터미널(630a)과 차이가 있다. 또한, 제3 상부 터미널(630c)은 제1 상부 터미널(630a)의 전원부(634)의 포함 여부에서 차이가 있다.
하부 터미널(650)은 버스바 본체(61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이때, 하부 터미널(650)은 버스바 본체(610)의 외주면(611c) 보다 평면상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즉, 하부 터미널(650)은 버스바 본체(610)의 외주면을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모터(1)는 수평상 공간 활용성이 향상된다.
제1 하부 터미널(650a)의 일단은 제1 홀(612)을 통해 제1 상부터미널(630a)와 연결되고, 타단은 제2 홀(613)을 통해 제1 상부터미널(630a)와 연결될 수 있다.
도 27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제1 하부 터미널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8은 도 11의 C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고, 도 29는 도 11의 D영역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27을 참조하면, 제1 하부 터미널(650a)은 몸체부(651), 관통홀(653), 제1 단부(654) 및 제2 단부(65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부 터미널(650a)의 몸체부(651)는 버스바 본체(610)의 하면(611b)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하부 터미널(650a)의 관통홀(653)은 몸체부(651)에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653)의 내측에는 제2 돌기(62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2 돌기(620)의 단부가 융착됨에 따라, 제1 하부 터미널(650a)은 버스바 본체(610)에 고정된다.
몸체부(651)의 일단인 제1 단부(654)는 제1 홀(612)을 통해 제1 상부터미널(630a)에 접촉될 수 있다.
도 2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부(654)는 제1 홀(612)을 통해 제1 상부 터미널(630a)의 몸체부(631)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1 단부(654)는 몸체부(651)의 일단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단부(654)와 제1 상부터미널(630a)의 몸체부(631)는 퓨징 공정을 통해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몸체부(651)의 타단인 제2 단부(655)는 제2 홀(613)을 통해 제2 상부터미널(630b)에 접촉될 수 있다.
도 2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단부(655)는 제2 홀(613)을 통해 제2 상부 터미널(630b)의 몸체부(631)의 하면에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2 단부(655)는 몸체부(651)의 타단을 절곡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단부(655)와 제2 상부터미널(630b)의 몸체부(631)는 퓨징 공정을 통해 결합력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0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제2 하부 터미널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2 하부 터미널(650b)은 몸체부(651), 퓨징부(652) 및 관통홀(653)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하부 터미널(650b)의 몸체부(651) 및 퓨징부(652)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몸체부(651)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651)는 몸체(611)의 하면(611b)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퓨징부(652)는 코일(330)의 단부와 접촉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퓨징 공정을 통해 퓨징부(652)와 코일(330)의 결합력은 향상될 수 있다.
퓨징부(652)는 몸체부(651)의 일측에서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상세하게, 퓨징부(652)는 몸체부(651)의 외측면에서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퓨징부(65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퓨징부(652)는 버스바 본체(610)의 외주면(611c)보다 내측에 배치된다.
퓨징부(652)는 제4 홀(615)을 관통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퓨징부(652)는 버스바 본체(610)의 상면(611a)보다 높게 돌출될 수 있다.
제2 하부 터미널(650b)의 퓨징부(652)의 돌출길이(H1)는 상부 터미널(630)의 퓨징부(632)의 돌출길이(H2)보다 클 수 있다.
관통홀(653)의 내측에는 제2 돌기(620)가 배치된다. 그리고, 제2 돌기(620)의 단부가 융착됨에 따라, 제2 하부 터미널(650b)은 버스바 본체(610)에 고정된다.
도 31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델타 결선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2는 실시예에 따른 모터에 배치되는 코일의 단부와 버스바의 배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터(1)는 버스바(600)를 이용하여 델타 결선을 구현할 수 있다.
도 3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일(330)의 단부는 상부 터미널(630)의 퓨징부(632) 및 제2 하부 터미널(650b)의 퓨징부(65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배치된다. 그리고, 제1 상부 터미널(630a) 각각을 통해 공급받은 전원에 의해 U상, W상, V상을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상부 터미널(630) 및 하부 터미널(650)은 전기 전도가 가능한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15를 참조하면, 상부 터미널(630)의 퓨징부(632)와 제2 하부 터미널(650b)의 퓨징부(652)는 중심(C)을 기준으로 가상의 동일 원주상에 배치될 수 있다.
베어링(700)은 샤프트(500)의 외주면에 배치되어 샤프트(5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상기 모터(1)의 베어링(700)은 배치 위치에 따라 상부 베어링(710)과 하부 베어링(720)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베어링(710)은 하우징(100)의 제2 플랜지(130)와 샤프트(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 베어링(720)은 하우징(100)의 제1 플랜지(120)와 샤프트(5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와셔(800)의 상부측 단부는 하부 베어링(720)을 지지할 수 있다. 예컨데, 와셔(800)의 단부는 하부 베어링(720)의 하면에 접촉되어 하부 베어링(720)을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와셔(800)는 하우징(100)의 제1 플랜지(120)에 결합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하부 베어링(720)은 와셔(800)에 의해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도 33은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와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3을 참조하면, 와셔(800)는 와셔 본체(810)와 플랜지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와셔 본체(81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와셔 본체(810)의 상면(811)은 하부 베어링(720)의 하부 일측을 지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상면(811)은 하부 베어링(720)에 배치된 외륜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플랜지부(820)는 와셔 본체(810)의 하부측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에 따라, 플랜지부(820)의 상면(821)은 제1 단차면(126)과 접촉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와셔(800)는 제1 단차면(126)에 의해 기 설정된 깊이만큼 하우징(100) 내부측으로 삽입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부(820)의 외주면(822)은 제1-1 내측벽부(124)와 접촉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모터
100: 하우징 200: 커버
300: 스테이터 400: 로터
500: 샤프트
600: 버스바 610: 버스바 본체
630: 상부 터미널 630a: 제1 상부 터미널
630b: 제2 상부 터미널 630c: 제3 상부 터미널
650: 하부 터미널 650a: 제1 하부 터미널
650b: 제2 하부 터미널
700: 베어링 800: 와셔

Claims (7)

  1. 샤프트;
    상기 샤프트가 관통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스테이터;
    상기 스테이터의 외측에 배치되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배치되는 커버 조립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파이프 형상의 하우징 본체;
    상기 하우징 본체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플랜지; 및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부에 배치되는 제2 플랜지를 포함하는 모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플랜지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된 제1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측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된 제1 외측벽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내측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된 제1 내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외측벽부의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모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는
    로터 코어; 및
    상기 로터 코어에 배치되는 마그넷을 포함하고,
    상기 로터 코어의 하부에 형성된 홈에는 상기 제1 내측벽부의 단부가 배치되는 모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내측벽부의 내주면에는 하부 베어링의 일측이 접촉되는 모터.
  5. 제4항에 있어서,
    단부가 상기 하부 베어링의 하부와 접촉되는 와셔를 더 포함하며,
    상기 와셔는
    파이프 형상의 와셔 본체; 및
    상기 와셔 본체의 외주면에서 반경 방향으로 돌출된 플랜지부를 포함하는 모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플랜지는
    환형 형상으로 형성된 제2 플레이트;
    상기 제1 플레이트의 외측에서 상부측으로 돌출된 제2 외측벽부; 및
    상기 제1 플레이트의 내측에서 하부측으로 돌출된 제2 내측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외측벽부는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1 외주면과 제2 외주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외주면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내주면에 접촉되는 모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외주면과 제2 외주면 사이에 배치되는 제2 단차면은 상기 하우징 본체의 상면에 접촉되는 모터.
KR1020170143445A 2017-10-31 2017-10-31 모터 KR1024666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445A KR102466612B1 (ko) 2017-10-31 2017-10-31 모터
PCT/KR2018/009499 WO2019088424A1 (ko) 2017-10-31 2018-08-20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CN201880070705.7A CN111295819B (zh) 2017-10-31 2018-08-20 汇流条及包括该汇流条的电机
US16/760,161 US11355989B2 (en) 2017-10-31 2018-08-20 Bus bar and motor compris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3445A KR102466612B1 (ko) 2017-10-31 2017-10-31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8469A true KR20190048469A (ko) 2019-05-09
KR102466612B1 KR102466612B1 (ko) 2022-11-14

Family

ID=66545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3445A KR102466612B1 (ko) 2017-10-31 2017-10-31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661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4656A (ja) * 2004-12-17 2006-06-29 Jidosha Denki Kogyo Co Ltd ポンプ用モータ及びポンプ用モータの組立方法
KR20080050676A (ko) * 2006-12-04 2008-06-1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전동기의 냉각구조
KR20170011142A (ko) * 2015-07-21 2017-0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의 하우징, 모터, 이를 포함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WO2017033917A1 (ja) * 2015-08-27 2017-03-02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74656A (ja) * 2004-12-17 2006-06-29 Jidosha Denki Kogyo Co Ltd ポンプ用モータ及びポンプ用モータの組立方法
KR20080050676A (ko) * 2006-12-04 2008-06-10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전동기의 냉각구조
KR20170011142A (ko) * 2015-07-21 2017-02-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모터의 하우징, 모터, 이를 포함하는 스태빌라이저 장치
WO2017033917A1 (ja) * 2015-08-27 2017-03-02 日本電産株式会社 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6612B1 (ko) 2022-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295819B (zh) 汇流条及包括该汇流条的电机
JP5109577B2 (ja) 回転電機および絶縁部材
CN104283391A (zh) 马达
US20150380992A1 (en) Axial Gap-Type Electric Rotating Machine
KR102437465B1 (ko)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JP2019516336A (ja) パワーターミナルおよびそれを含むモーター
CN109923765B (zh) 盖组件和包括该盖组件的马达
KR102547570B1 (ko) 모터
JP2017229111A (ja) ステータ及びモータ
CN112152365A (zh) 马达
KR20220040265A (ko) 모터
KR20170045663A (ko) 버스바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KR20190048469A (ko) 모터
US20230031486A1 (en) Motor
JP7405089B2 (ja) モータ
CN115428307A (zh) 马达
JPH0526917Y2 (ko)
US20230387745A1 (en) Cover and motor comprising same
US20230125238A1 (en) Motor
KR102625015B1 (ko) 모터
EP4089889A1 (en) Motor
KR20230083621A (ko) 모터
KR102634429B1 (ko) 모듈화된 터미널 유닛이 구비된 브러시리스 모터 장치
US20230378842A1 (en) Motor
KR20220090028A (ko) 모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