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639A - 단자 - Google Patents

단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639A
KR20190046639A KR1020180123377A KR20180123377A KR20190046639A KR 20190046639 A KR20190046639 A KR 20190046639A KR 1020180123377 A KR1020180123377 A KR 1020180123377A KR 20180123377 A KR20180123377 A KR 20180123377A KR 20190046639 A KR20190046639 A KR 20190046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ir
wall
portions
terminal
electric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37880B1 (ko
Inventor
야스유키 와다
Original Assignee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앗짜쿠단시세이소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6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78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78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Abstract

[과제] 전선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에 외력이 작용해 버리는 것을 억제하여, 전선과의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단자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단자(1)는, 한 쌍의 벽부(11, 12)와, 기판(101)에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16)와,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를 구비한다.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의 각각은, 한 쌍의 벽부(11, 12)의 각각으로부터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을 향해 굴곡됨과 아울러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에서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는 판스프링 모양의 부분으로서 마련된 편(片)지지 스프링부(25)와, 편(片)지지 스프링부(25)의 선단측의 부분으로서 마련된 접점부(26)를 가진다.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는, 한 쌍의 벽부(11, 12)의 사이에 삽입된 전선(100)의 도체(100b)의 단부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은 상태에서, 접점부(26)에서 도체(100b)에 대해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Description

단자{TERMINAL}
본 발명은, 기판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에 관한 것이다.
일본특허 제5881778호 공보에서는, 기판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5881778호 공보에 개시된 단자는, 단일의 도전성 요소(18)가 케이지(cage) 모양의 구조(20)의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마련된 단일 요소 전기 커넥터(10)로서 마련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5881778호 공보에 개시된 단자에서의 케이지 모양의 구조(20)에는, 벽 구조(30), 한 쌍의 접촉 첨차(尖叉, tine)(34), 접촉 표면(38)이 마련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5881778호 공보의 단자에서의 벽 구조(30)는, 전선(12)을 둘러싸는 통 모양으로 굴곡 형성된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벽 구조(30)는, 그 단부에서, 전선(12)이 삽입되기 위한 입구 개구(28)를 확정(確定)하는 전선 삽입 단부(22)를 구성하고 있다.
일본특허 제5881778호 공보의 단자에서의 한 쌍의 접촉 첨차(34)의 각각은, 벽 구조(30)의 하류에서, 단자로의 전선(12)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벽 구조(30)로부터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단자의 중심 길이 방향 축(26)을 향해 편의(偏倚)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접촉 첨차(34)의 각각에는, 전선(12)의 노출된 심선(14)에 대해서 접촉하기 위한 접촉 핀치점(pinch点)(36)이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한 쌍의 접촉 첨차(34)는,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는 단부에서, 전선(12)의 심선(14)이 접촉하는 전선 접촉 단부(24)를 구성하고 있다. 또, 한 쌍의 접촉 첨차(34)는, 케이지 모양의 구조(20)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외부에 노출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5881778호 공보의 단자에서의 접촉 표면(38)은, 단자가 기판에 대해서 실장될 때에 기판에 대해서 접촉하여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접촉 표면(38)은, 벽 구조(30)의 일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일본특허 제5881778호 공보의 단자는, 통 모양으로 굴곡 형성된 벽 구조(30)에 전선(12)이 삽입되고, 전선(12)의 심선(14)이, 전선 접촉 단부(24)를 포함하는 한 쌍의 접촉 첨차(34)에 접촉함으로써, 전선(1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접촉 첨차(34)는, 벽 구조(30)의 하류에서 전선(12)의 삽입 방향을 따라서 벽 구조(30)로부터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외부에 노출한 상태로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일본특허 제5881778호 공보의 단자는, 전선(12)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인 한 쌍의 접촉 첨차(34)가 외부에 노출하고 있어, 외력의 영향을 받기 쉽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 쌍의 접촉 첨차(34)에 외력이 작용하면, 한 쌍의 접촉 첨차(34)에 변형이 생겨 버릴 우려가 있다. 한 쌍의 접촉 첨차(34)에 변형이 생기면, 전선과의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확보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실정을 감안하는 것에 의해, 전선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에 외력이 작용해 버리는 것을 억제하고, 전선과의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단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어느 국면(局面)에 관한 단자는, 기판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어느 국면에 관한 단자는,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벽부(壁部)와, 상기 기판에 대해서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와, 한 쌍의 상기 벽부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를 구비하며, 한 쌍의 상기 접점 스프링부의 각각은, 한 쌍의 상기 벽부의 각각으로부터 한 쌍의 상기 벽부의 내측을 향해 굴곡됨과 아울러 한 쌍의 상기 벽부의 내측에서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는 판스프링 모양의 부분으로서 마련된 편(片)지지 스프링부와, 상기 편(片)지지 스프링부의 선단측의 부분으로서 마련된 접점부를 가지고, 한 쌍의 상기 접점 스프링부는, 한 쌍의 상기 벽부의 사이에 삽입된 상기 전선의 도체의 단부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은 상태에서, 상기 접점부에서 상기 도체에 대해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기판과 전선을 접속하는 단자는,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벽부와, 전선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는, 한 쌍의 벽부로부터 그들 내측으로 굴곡하여 그들 사이에서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벽부의 사이에 삽입된 전선의 도체의 단부가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에서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단자와 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상기의 구성의 단자에서는, 전선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는, 한 쌍의 벽부의 내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보호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상기의 구성의 단자에서는, 전선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인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에 외력이 작용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게다가, 한 쌍의 벽부의 사이에 삽입된 전선의 도체가, 한 쌍의 벽부의 내측에서 외부로부터 이격된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에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단자와 전선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단자와 전선과의 안정된 전기적 접속이 용이하게 확보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상기의 구성에 의하면, 전선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에 외력이 작용해 버리는 것을 억제하여, 전선과의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2) 한 쌍의 상기 접점 스프링부의 각각은, 상기 편(片)지지 스프링부에서 상기 벽부로부터 한 쌍의 상기 벽부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된 제1 굴곡부와,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는 상기 편(片)지지 스프링부의 도중에 마련되고, 상기 벽부에 접근한 후에 상기 벽부로부터 이간하도록 굴곡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된 제2 굴곡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괜찮다.
이 구성에 의하면, 벽부로부터 제1 굴곡부에서 한 쌍의 벽부의 내측으로 굴곡된 접점 스프링부의 편(片)지지 스프링부는, 한 쌍의 벽부의 내측에서, 벽부에 접근한 후에 제2 굴곡부에서 굴곡하여 벽부로부터 이간하도록 마련된다. 이 때문에, 한 쌍의 벽부의 내측에서, 휨 변형에 필요한 스프링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전선의 도체에 대해서 보다 급준(急峻)한 각도로 접촉하여 전선의 도체를 보다 강고하게 끼워 넣는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를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자와 전선과의 보다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3) 한 쌍의 상기 벽부는, 상기 기판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으로서 마련되고, 상기 기판 접속부는, 한 쌍의 상기 벽부의 각각과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기판에 대해서 납땜에 의해서 접속되는 한 쌍의 제1 납땜부를 가지며, 한 쌍의 상기 제1 납땜부의 각각은, 상기 벽부의 일부의 부분으로서, 상기 벽부로부터 한 쌍의 상기 벽부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어 연장되는 상기 편(片)지지 스프링부의 근원(根元) 부분이 일체로 마련된 부분에서, 상기 벽부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구성에 의하면, 제1 납땜부가, 단자의 벽부의 일부의 부분으로서, 벽부로부터 한 쌍의 벽부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어 연장되는 편(片)지지 스프링부의 근원 부분이 일체로 마련된 부분에서, 벽부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점 스프링부의 편(片)지지 스프링부의 근원 부분이, 기판에 납땜되는 제1 납땜부에 근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접점 스프링부가, 제1 납땜부를 매개로 하여 기판에 대해서 안정된 상태로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단자와 전선과의 보다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4) 상기 단자는, 상기 기판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으로서 마련된 한 쌍의 상기 벽부를 일체로 가교(架橋)하여 연결하는 천정벽과, 상기 천정벽의 단부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단자의 일단부를 구성하는 단부벽을 더 구비하며, 상기 단부벽에는, 한 쌍의 상기 벽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상기 전선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편(片)지지 스프링부에서 상기 벽부로부터 한 쌍의 상기 벽부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는 부분이, 상기 단부벽에 대해서 상기 단자에서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어도 괜찮다.
이 구성에 의하면, 한 쌍의 벽부를 일체로 가교하는 천정벽으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는 단부벽에 마련된 삽입 구멍으로부터 전선의 단부가 삽입되어 전선과 단자가 접속된다. 그리고, 접점 스프링부의 편(片)지지 스프링부에서 벽부로부터 한 쌍의 벽부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는 부분이, 단부벽에 대해서 단자에서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점 스프링부의 편(片)지지 스프링부에서 벽부로부터 한 쌍의 벽부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는 부분이, 단부벽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이것에 의해, 편(片)지지 스프링부에서 벽부로부터 한 쌍의 벽부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는 부분에 외력이 작용해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단자와 전선과의 더욱 안정된 전기적 접속이 용이하게 확보되게 된다.
(5) 상기 단자는, 상기 단부벽과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단부벽에서의 상기 천정벽측과 반대측에서 상기 단부벽으로부터 굴곡되어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천정벽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저벽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저벽은, 상기 기판 접속부의 일부로서 마련되고, 상기 기판에 대해서 납땜에 의해서 접속되는 제2 납땜부와, 상기 단부벽과 반대측에서 상기 제2 납땜부로부터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는 선단측의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한 쌍의 상기 벽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상기 전선의 단부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삽입 안내부를 포함하고 있어도 괜찮다.
이 구성에 의하면, 단부벽에서의 천정벽과 반대측의 부분을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하여 천정벽과 대향하여 배치함으로써, 단부벽의 연장 부분을 효율 좋게 활용하여 저벽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저벽에 제2 납땜부와 삽입 안내부가 마련된다. 이 때문에, 저벽을 더 효율 좋게 활용하여, 단자를 보다 강고하게 기판에 납땜하기 위한 제2 납땜부와, 전선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여 전선을 보다 접속하기 쉽게 하기 위한 삽입 안내부를 마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선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에 외력이 작용해 버리는 것을 억제하여, 전선과의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단자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단자의 사시도로서, 전선 및 기판과 함께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정면도이고, 도 3의 (B)는, 측면도이며, 도 3의 (C)은, 배면도이다.
도 4는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평면도이며, 도 4의 (B)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단자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의 (A)는, 평면도이고, 도 6의 (B)는, 도 6의 (A)의 X1-X1선 화살표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단자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의 (A)는, 측면도이고, 도 7의 (B)는, 도 7의 (A)의 X2-X2선 화살표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단자의 단면도로서, 전선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또, 본 발명은, 기판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에 관해서, 널리 적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관한 단자(1)의 사시도로서, 전선(100) 및 기판(101)과 함께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단자(1)의 사시도이다. 또, 도 1에서는, 전선(100) 및 기판(101)에 대해서는, 일부만이 노치(notch) 상태로 모식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단자(1)는, 기판(101)에 대해서 실장됨과 아울러, 전선(100)이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단자(1)는, 기판(101)과 전선(100)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로서 마련되어 있다. 단자(1)는,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단자(1)는, 예를 들면, 적절히 타발(打拔) 가공 및 절제(切除) 가공 등이 실시된 1매의 금속판이 절곡 가공됨으로써 형성된다.
단자(1)는, 기판(101)의 표면에 대해서 납땜에 의해 실장됨으로써, 기판(101)에 대해서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기판(101)의 표면에는, 도시가 생략된 도전(導電) 회로 패턴이 형성되어 있고, 납땜에 의해, 단자(1)와 기판(101)의 도전 회로 패턴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기판(101)에 대해서 실장되어 접속된 단자(1)에 대해서, 전선(100)의 선단부가 삽입되고, 단자(1)와 전선(100)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것에 의해, 기판(101)과 전선(100)이, 단자(1)를 매개로 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 단자(1)가 접속되는 전선(100)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선재(線材)로서 구성된 도체와, 절연성을 가지는 고무 재료 등으로 구성되어 도체의 둘레를 피복하는 피복부(100a)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선(100)의 선단부는, 도체가 외부에 노출되도록, 피복부(100a)의 일부가 제거되어 있다. 전선(100)의 선단부가 단자(1)에 삽입되어 단자(1)에 접속될 때에는, 전선(100)의 선단부의 도체가 단자(1)에 접촉함으로써, 전선(100)과 단자(1)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3은, 단자(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3의 (A)는, 정면도이고, 도 3의 (B)는, 측면도이며, 도 3의 (C)는, 배면도이다. 도 4는, 단자(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평면도이며, 도 4의 (B)는, 저면도이다. 도 5는, 단자(1)의 사시도로서, 도 2와는 다른 각도로부터 단자(1)를 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는 단자(1)는, 한 쌍의 벽부(11, 12), 천정벽(13), 단부벽(14), 저벽(15), 기판 접속부(16),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 등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한 쌍의 벽부(11, 12), 천정벽(13), 단부벽(14), 저벽(15), 기판 접속부(16),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는,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1매의 금속판에 대해서, 타발 가공 및 절제 가공 등이 실시됨과 아울러, 절곡 가공 등이 실시됨으로써, 한 쌍의 벽부(11, 12), 천정벽(13), 단부벽(14), 저벽(15), 기판 접속부(16),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를 구비한 단자(1)가 형성된다.
한 쌍의 벽부(11, 12)는, 단자(1)에서, 대향하여 배치된다. 벽부(11)와 벽부(12)는, 단자(1)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되도록 배치된다. 한 쌍의 벽부(11, 12)는, 기판(101)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따라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즉, 한 쌍의 벽부(11, 12)는, 단자(1)가 기판(101)에 대해서 실장에 의해 접속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기판(101)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따라서 면방향이 넓어지도록 배치됨과 아울러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또, 단자(1)에 삽입되어 단자(1)에 접속되는 전선(100)은, 단자(1)에서, 한 쌍의 벽부(11, 12)의 사이에 삽입된다.
천정벽(13)은, 단자(1)에서, 기판(101)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으로서 마련된 한 쌍의 벽부(11, 12)를 일체로 가교하여 연결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천정벽(13)은, 서로 평행한 면을 따라서 배치된 한 쌍의 벽부(11, 12)의 양쪽 모두에 대해서 수직인 면을 따라서 넓어지도록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천정벽(13)은, 단자(1)가 기판(101)에 대해서 실장에 의해 접속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기판(101)의 표면과 평행하게 넓어지는 평탄한 표면을 가지고 있다. 또, 천정벽(13)의 표면은, 단자(1)가 기판(101)에 대해서 실장될 때에 단자(1)의 반송용 흡착 장치에 의해서 흡착되는 흡착면이 된다.
한 쌍의 벽부(11, 12)의 각각과, 한 쌍의 벽부(11, 12)를 가교하는 천정벽(13)은, 대략 장방형 모양의 기본 외형을 가지며, 길이 방향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벽부(11)의 길이 방향과 벽부(12)의 길이 방향과 천정벽(13)의 길이 방향은, 모두 평행한 방향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 때문에, 단자(1)에서, 한 쌍의 벽부(11, 12) 및 천정벽(13)은, 직방체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배치된 직방체의 3개의 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벽부(11, 12) 및 천정벽(13)의 길이 방향이, 단자(1)의 길이 방향이 된다. 단자(1)의 길이 방향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의 (B)에서 양단 화살표 L로 나타내고 있다.
단부벽(14)은, 단자(1)에서, 천정벽(13)으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됨과 아울러 단자(1)의 길이 방향에서의 일단부를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단부벽(14)에는, 한 쌍의 벽부(11, 12)의 사이에 삽입되는 전선(100)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14a)이 마련되어 있다. 삽입 구멍(14a)은, 단부벽(14)에서, 대략 원형의 관통공으로서 구획되어 마련되어 있다. 삽입 구멍(14a)으로부터 단자(1)의 내부에 삽입된 전선(100)은, 단자(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단자(1)의 내부에 끼워 넣어져, 한 쌍의 벽부(11, 12)의 사이에 삽입된다. 또, 단부벽(14)은, 전선(100)의 삽입 구멍(14a)으로의 삽입 방향에 대한 수직인 방향에서의 전선(100)의 이동을 규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삽입 구멍(14a)에 삽입된 전선(100)은, 전선(100)의 삽입 구멍(14a)으로의 삽입 방향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의 이동이, 삽입 구멍(14a)의 원기둥 모양의 가장자리 부분에 의해서 규제된다.
도 6은, 단자(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6의 (A)는, 평면도이며, 도 6의 (B)는, 도 6의 (A)의 X1-X1선 화살표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저벽(15)은, 단자(11)에서, 단부벽(14)과 일체로 마련되고, 단부벽(14)에서의 천정벽(13)측과 반대측에서 단부벽(14)으로부터 굴곡되어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또, 저벽(15)은, 단자(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단부벽(14)의 가장자리부로부터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천정벽(13)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저벽(15)은, 후술하는 기판 접속부(16)의 일부로서 마련된 제2 납땜부(20)와 삽입 안내부(2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제2 납땜부(20)는, 기판(101)에 대해서 납땜에 의해서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고, 단부벽(14)으로부터 굴곡되어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는 평탄한 부분으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제2 납땜부(20)는, 천정벽(13)과 대략 평행한 면을 따라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삽입 안내부(23)는, 단부벽(14)과 반대측에서 제2 납땜부(20)로부터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는 선단측의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삽입 안내부(23)는, 단부벽(14)의 삽입 구멍(14a)으로부터 끼워 넣어져 한 쌍의 벽부(11, 12)의 사이에 삽입되는 전선(100)의 단부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삽입 안내부(23)는, 제2 납땜부(20)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서 경사진 방향을 따라서, 단자(1)의 내측의 중심측을 향해 경사지게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도 5 및 도 6을 참조). 이것에 의해, 한 쌍의 벽부(11, 12)의 사이에 삽입된 전선(100)의 단부는, 단자(1)의 길이 방향을 따라서 단자(1)의 내측의 중심측을 향하여, 삽입 방향이 안내된다.
기판 접속부(16)는, 단자(1)에서, 기판(101)에 대해서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 접속부(16)는, 기판(101)에 대해서 납땜에 의해서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의 단자(1)에서는, 기판 접속부(16)는, 기판(101)에 대해서 납땜에 의해서 접속되는 부분으로서의 납땜부를 복수 가지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기판 접속부(16)는, 한 쌍의 제1 납땜부(19, 19), 제2 납땜부(20), 한 쌍의 제3 납땜부(21, 21), 한 쌍의 제4 납땜부(22, 22) 등을 가지고 있다.
한 쌍의 제1 납땜부(19, 19)는, 기판 접속부(16)의 일부로서 마련되고, 한 쌍의 벽부(11, 12)의 각각과 일체로 마련되어 기판(101)에 대해서 납땜에 의해서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제1 납땜부(19, 19) 중 일방은, 벽부(11)에서의 저벽(15)측(즉, 천정벽(13)측과 반대측)의 부분과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1 납땜부(19, 19) 중 타방은, 벽부(12)에서의 저벽(15)측(즉, 천정벽(13)측과 반대측)의 부분과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제1 납땜부(19, 19)의 각각은, 벽부(11, 12)의 일부의 부분으로서, 벽부(11, 12)로부터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어 연장되는 후술의 편(片)지지 스프링부(17, 18)의 근원 부분이 일체로 마련된 부분에서, 벽부(11, 12)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제2 납땜부(20)는, 기판 접속부(16)의 일부로서 마련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저벽(15)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으며, 기판(101)에 대해서 납땜에 의해서 접속되는 평탄한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또, 제2 납땜부(20)는, 한 쌍의 제1 납땜부(19, 19)의 사이의 영역과 그 근방의 영역에 걸쳐서 배치되어 있다.
한 쌍의 제3 납땜부(21, 21)는, 기판 접속부(16)의 일부로서 마련되고, 한 쌍의 벽부(11, 12)의 각각과 일체로 마련되어 기판(101)에 대해서 납땜에 의해서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제3 납땜부(21, 21) 중 일방은, 벽부(11)에서의 천정벽(13)측과 반대측의 부분과 일체로 마련되고,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어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3 납땜부(21, 21) 중 타방은, 벽부(12)에서의 천정벽(13)측과 반대측의 부분과 일체로 마련되고,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어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한 쌍의 제4 납땜부(22, 22)는, 기판 접속부(16)의 일부로서 마련되고, 기판(101)에 대해서 납땜에 의해서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4 납땜부(22, 22)는, 한 쌍의 벽부(11, 12)와 각각 일체로 마련된 한 쌍의 위치 결정부(24, 24)에 대해서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제4 납땜부(22, 22) 중 일방은, 벽부(11)와 일체로 마련된 위치 결정부(24)에서의 천정벽(13)측과 반대측의 부분과 일체로 마련되고, 단자(1)의 외측을 향하여(즉, 단부벽(14)측과 반대측을 향하여), 굴곡되어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4 납땜부(22, 22) 중 타방은, 벽부(12)와 일체로 마련된 위치 결정부(24)에서의 천정벽(13)측과 반대측의 부분과 일체로 마련되고, 단자(1)의 외측을 향하여(즉, 단부벽(14)측과 반대측을 향하여), 굴곡되어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위치 결정부(24, 24)는, 한 쌍의 벽부(11, 12)의 각각으로부터 단부벽(14)측과 반대측에서 서로 접근하는 방향을 향해 굴곡되어 연장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단부벽(14)의 삽입 구멍(14a)으로부터 삽입된 전선(100)의 선단부는, 단자(1)의 내부에서 한 쌍의 위치 결정부(24, 24)에 맞닿는 위치까지 삽입된다. 단자(1)에 삽입된 전선(100)의 선단부가 한 쌍의 위치 결정부(24, 24)에 맞닿음으로써, 단자(1)에서의 전선(100)의 단부의 위치가 위치 결정된다. 또, 한 쌍의 제4 납땜부(22, 22) 중 일방이, 벽부(11)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는 위치 결정부(24)의 가장자리부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제4 납땜부(22, 22) 중 타방이, 벽부(12)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는 위치 결정부(24)의 가장자리부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도 7은, 단자(1)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도 7의 (A)는, 측면도이며, 도 7의 (B)는, 도 7의 (A)의 X2-X2선 화살표 위치에서의 단면도이다. 도 2, 도 4 내지 도 7에 잘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는, 한 쌍의 벽부(11, 12)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됨과 아울러,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에서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접점 스프링부(17)는, 벽부(11)로부터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접점 스프링부(18)는, 벽부(12)로부터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8은, 단자(1)의 단면도로서, 전선(100)이 접속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 도 8은, 도 7의 (A)의 X2-X2선 화살표에서 본 위치에 대응하는 단면에서의 단자(1) 및 전선(100)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또,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선(100)은, 도전성을 가지는 금속 선재로서 구성된 도체(100b)와, 절연성을 가지는 고무 재료 등으로 구성되어 도체(100b)의 둘레를 피복하는 피복부(100a)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전선(100)의 도체(100b)는, 예를 들면, 1개의 금속 선재로서 구성되어 있다. 또, 전선(100)의 선단부는, 도체(100b)가 외부에 노출하도록, 피복부(100a)의 일부가 제거되어 있다(도 8을 참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는, 단자(1)에서, 단자(1)에 삽입된 전선(100)의 도체(100b)의 단부에 접촉하여 전선(100)의 도체(100b)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도 4 내지 도 8에 자세히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의 각각은, 편(片)지지 스프링부(25), 접점부(26), 제1 굴곡부(27), 제2 굴곡부(2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편(片)지지 스프링부(25)는,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의 각각에서, 한 쌍의 벽부(11, 12)의 각각으로부터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을 향해 굴곡됨과 아울러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에서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는 판스프링 모양의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또, 접점 스프링부(17)의 편(片)지지 스프링부(25)는, 벽부(11)로부터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어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에서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접점 스프링부(18)의 편(片)지지 스프링부(25)는, 벽부(12)로부터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어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에서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어 있다.
접점부(26)는,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의 각각에서, 편(片)지지 스프링부(25)의 선단측의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접점부(26)는, 단자(1)에 삽입된 전선(100)의 도체(100b)에 접촉함으로써, 전선(100)의 도체(100b)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접점부(26)는, 편(片)지지 스프링부(25)의 선단측의 단부로서 마련되어 있다.
제1 굴곡부(27)는,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의 각각에서, 편(片)지지 스프링부(25)에서 벽부(11, 12)로부터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즉, 접점 스프링부(17)의 제1 굴곡부(27)는, 접점 스프링부(17)의 편(片)지지 스프링부(25)에서 벽부(11)로부터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으로 굴곡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접점 스프링부(18)의 제1 굴곡부(27)는, 접점 스프링부(18)의 편(片)지지 스프링부(25)에서 벽부(12)로부터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으로 굴곡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굴곡부(27)는, 벽부(11, 12)로부터 대략 180°이상에 걸쳐 원호 모양으로 굴곡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또, 제1 굴곡부(27)는, 벽부(11, 12)로부터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어 연장되는 편(片)지지 스프링(25)의 근원 부분을 구성하고 있다. 그리고, 기판 접속부(16)의 제1 납땜부(19)는, 벽부(11, 12)의 일부의 부분으로서, 제1 굴곡부가 일체로 마련된 부분에서, 벽부(11, 12)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또, 편(片)지지 스프링부(25)에서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는 부분인 제1 굴곡부(27)는, 단부벽(14)에 대해서 단자(1)에서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도 4, 도 5, 도 7, 도 8을 참조).
제2 굴곡부(28)는,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의 각각에서,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는 편(片)지지 스프링부(25)의 도중에 마련되고, 벽부(11, 12)에 접근한 후에 벽부(11, 12)로부터 이간하도록 굴곡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굴곡부(27)로부터 제2 굴곡부(28)에 걸쳐 편(片)지지 스프링부(25)가 벽부(11, 12)에 대해서 접근하도록 연장되는 방향과, 제2 굴곡부(28)로부터 접점부(26)에 걸쳐 편(片)지지 스프링부(25)가 벽부(11, 12)로부터 이간하도록 연장되는 방향이 이루는 각(角)은, 둔각으로 설정되어 있다.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는, 상술한 편(片)지지 스프링부(25) 및 접점부(26)를 가지고 있음으로써, 한 쌍의 벽부(11, 12)의 사이에 삽입된 전선(100)의 도체(100b)의 단부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은 상태에서, 접점부(26)에서 도체(100b)에 대해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술한 단자(1)에 의해서 기판(101)과 전선(100)이 접속될 때에는, 먼저, 단자(1)가 기판(101)에 대해서 납땜에 의해서 실장되어 접속된다. 이 때, 기판 접속부(16)의 제1 내지 제4 납땜부(19, 20, 21, 22)가 기판(101)의 표면에 납땜되는 것에 의해서, 단자(1)와 기판(101)이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다.
단자(1)가 기판(101)에 접속된 상태에서, 단자(1)와 전선(100)과의 접속이 행하여진다. 단자(1)와 전선(100)과의 접속시에는, 전선(100)의 단부가, 단자(1)의 단부벽(14)의 삽입 구멍(14a)으로부터 삽입된다. 삽입 구멍(14a)으로부터 삽입된 전선(100)의 단부에서의 도체(100b)가 노출된 부분은, 한 쌍의 벽부(11, 12)의 사이에서,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의 사이에 삽입된다. 이 때,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의 사이에 삽입된 전선(100)의 도체(100b)의 단부의 삽입 방향은, 저벽(15)의 삽입 안내부(23)에 의해서 안내된다.
전선(100)의 도체(100b)의 단부가,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의 사이에 삽입되면, 전선(100)의 도체(100b)의 단부는,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의 편(片)지지 스프링부(25)에 맞닿는다. 그리고, 전선(100)의 도체(100b)의 단부가 단자(1)의 안쪽측에 삽입됨과 아울러, 각 접점 스프링부(17, 18)의 편(片)지지 스프링부(25)가, 각 벽부(11, 12)측을 향해 휘도록 탄성 변형한다. 게다가, 전선(100)의 도체(100b)의 단부가 단자(1)의 안쪽까지 삽입되면, 편(片)지지 스프링부(25)의 선단부의 접점부(26)가, 전선(100)의 도체(100b)에 접촉한다. 이것에 의해, 단자(1)와 전선(100)의 도체(100b)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전선(100)의 단부는, 도체(100b)의 단부의 단면(端面)(100c)이 위치 결정부(24)에 맞닿는 위치까지, 단자(1)의 내부에 삽입된다. 전선(100)의 도체(100b)의 선단부가 위치 결정부(24, 24)에 맞닿음으로써, 단자(1)에서의 전선(100)의 단부의 위치가 위치 결정된다. 또, 이 상태에서는,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는, 그 스프링력에 의해, 전선(100)의 도체(100b)의 단부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은 상태에서, 접점부(26)에서 도체(100b)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단자(1)와 전선(100)이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게다가, 상기의 상태에서는, 편(片)지지 스프링부(25)의 선단부의 접점부(26)는, 전선(100)의 도체(100b)의 단부의 표면에 대해서, 파고들도록 걸린 상태에서, 접촉하고 있다. 이 때문에, 전선(100)에 대해서 단자(1)로부터 빠지는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 전선(100)의 단부에 대해서는, 전선(100)의 도체(100b)의 단부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은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의 선단부의 접점부(26)가, 전선(100)의 도체(100b)의 단부의 표면에 대해서, 보다 강고하게 파고들도록 걸리게 된다. 이것에 의해, 단자(1)에서는, 전선(100)에 대해서 단자(1)로부터 빠지는 방향의 외력이 작용한 경우라도, 단자(1)로부터 전선(100)이 빠져버리는 것이 방지되어, 단자(1)와 전선(100)과의 강고한 접속이 유지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기판(101)과 전선(100)을 접속하는 단자(1)는,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벽부(11, 12)와, 전선(100)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또,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는, 한 쌍의 벽부(11, 12)로부터 그들 내측으로 굴곡되어 그들 사이에서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도록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한 쌍의 벽부(11, 12)의 사이에 삽입된 전선(100)의 도체(100b)의 단부가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에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단자(1)와 전선(100)이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단자(1)에서는, 전선(10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는,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에 배치되고, 외부로부터 이격된 상태로 보호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단자(1)에서는, 전선(100)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인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에 외력이 작용해 버리는 것이 억제된다. 게다가, 한 쌍의 벽부(11, 12)의 사이에 삽입된 전선(100)의 도체(100b)가,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에서 외부로부터 이격된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에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어진 상태에서, 단자(1)와 전선(100)이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단자(1)와 전선(100)과의 안정된 전기적 접속이 용이하게 확보되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전선(100)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부분에 외력이 작용해 버리는 것을 억제하여, 전선(100)과의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는, 단자(1)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벽부(11, 12)로부터 제1 굴곡부(27)에서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으로 굴곡된 접점 스프링부(17, 18)의 편(片)지지 스프링부(25)는,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에서, 벽부(11, 12)에 접근한 후에 제2 굴곡부(28)에서 굴곡되어 벽부(11, 12)로부터 이간하도록 마련된다. 이 때문에,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에서, 휨 변형에 필요한 스프링 길이를 충분히 확보하면서 전선(100)의 도체(100b)에 대해서 보다 급준한 각도로 접촉하여 전선(100)의 도체(100b)를 보다 강고하게 끼워 넣는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17, 18)를 구성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단자(1)와 전선(100)과의 보다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1 납땜부(19)가, 단자(1)의 벽부(11, 12)의 일부의 부분으로서, 벽부(11, 12)로부터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어 연장되는 편(片)지지 스프링부(25)의 근원 부분이 일체로 마련된 부분에서, 벽부(11, 12)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점 스프링부(17, 18)의 편(片)지지 스프링부(25)의 근원 부분이, 기판(101)에 납땜되는 제1 납땜부(19)에 근접하여 배치되기 때문에, 접점 스프링부(17, 18)가, 제1 납땜부(19)를 매개로 하여 기판(101)에 대해서 안정된 상태로 지지된다. 이것에 의해, 단자(1)와 전선(100)과의 보다 안정된 전기적 접속을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한 쌍의 벽부(11, 12)를 일체로 가교하는 천정벽(13)으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는 단부벽(14)에 마련된 삽입 구멍(14a)으로부터 전선(100)의 단부가 삽입되고, 전선(100)과 단자(1)가 접속된다. 그리고, 접점 스프링부(17, 18)의 편(片)지지 스프링부(25)에서 벽부(11, 12)로부터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는 부분이, 단부벽(14)에 대해서 단자(1)에서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문에, 접점 스프링부(17, 18)의 편(片)지지 스프링부(25)에서 벽부(11, 12)로부터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는 부분이, 단부벽(14)에 의해서, 외부로부터 보호된다. 이것에 의해, 편(片)지지 스프링부(25)에서 벽부(11, 12)로부터 한 쌍의 벽부(11, 12)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는 부분에 외력이 작용해 버리는 것이 억제되어, 단자(1)와 전선(100)과의 더욱 안정된 전기적 접속이 용이하게 확보되게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단부벽(14)에서의 천정벽(13)과 반대측의 부분을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된 형상으로 형성하여 천정벽(13)과 대향하여 배치함으로써, 단부벽(14)의 연장 부분을 효율 좋게 활용하여 저벽(15)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게다가, 저벽(15)에 제2 납땜부(20)와 삽입 안내부(23)가 마련된다. 이 때문에, 저벽(15)을 더욱 효율 좋게 활용하여, 단자(1)를 보다 강고하게 기판(101)에 납땜하기 위한 제2 납땜부(20)와 전선(100)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여 전선(100)을 보다 접속하기 쉽게 하기 위한 삽입 안내부(23)를 마련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술의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한 한에서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한 것이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실시해도 괜찮다.
(1) 전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기판 접속부가, 기판에 대해서 납땜에 의해서 접속되는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 같이 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기판에 마련된 스루홀에 대해서 압입됨으로써 기판에 대해서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의 형태가 실시되어도 괜찮다.
(2) 전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벽부가, 기판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으로서 구성된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 같이 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기판에 대해서 평행한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천정벽 및 저벽으로서 구성된 한 쌍의 벽부의 형태가 실시되어도 괜찮다.
(3) 전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의 각각에서, 편(片)지지 스프링부의 도중에 제2 굴곡부가 마련된 형태를 예를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 같이 하지 않아도 좋다. 편(片)지지 스프링부의 도중에 제2 굴곡부가 마련되어 있지 않은 접점 스프링부의 형태가 실시되어도 괜찮다.
(4) 전술의 실시 형태에서는, 전선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마련된 단부벽이, 천정벽의 단부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는 형태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와 같이 하지 않아도 좋다. 예를 들면, 전선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마련된 단부벽이, 한 쌍의 측벽으로서 마련된 한 쌍의 벽부의 일방으로부터 굴곡되어 연장되도록 형성된 형태가, 실시되어도 괜찮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은, 기판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에 관하여, 널리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1 : 단자 11, 12 : 한 쌍의 벽부
13 : 천정벽 14 : 단부벽
15 : 저벽 16 : 기판 접속부
17, 18 :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
25 : 편(片)지지 스프링부 26 : 접점부
100 : 전선 100b : 도체
101 : 기판

Claims (5)

  1. 기판과 전선을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단자로서,
    대향하여 배치되는 한 쌍의 벽부(壁部)와, 상기 기판에 대해서 접속되는 기판 접속부와, 한 쌍의 상기 벽부의 각각으로부터 연장되는 한 쌍의 접점 스프링부를 구비하며,
    한 쌍의 상기 접점 스프링부의 각각은, 한 쌍의 상기 벽부의 각각으로부터 한 쌍의 상기 벽부의 내측을 향해 굴곡됨과 아울러 한 쌍의 상기 벽부의 내측에서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는 판스프링 모양의 부분으로서 마련된 편(片)지지 스프링부와, 상기 편(片)지지 스프링부의 선단측의 부분으로서 마련된 접점부를 가지고,
    한 쌍의 상기 접점 스프링부는, 한 쌍의 상기 벽부의 사이에 삽입된 상기 전선의 도체의 단부를 양측으로부터 끼워 넣은 상태에서, 상기 접점부에서 상기 도체에 대해서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접점 스프링부의 각각은,
    상기 편(片)지지 스프링부에서 상기 벽부로부터 한 쌍의 상기 벽부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된 제1 굴곡부와,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는 상기 편(片)지지 스프링부의 도중에 마련되고, 상기 벽부에 접근한 후에 상기 벽부로부터 이간하도록 굴곡되는 부분으로서 마련된 제2 굴곡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벽부는, 상기 기판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으로서 마련되고,
    상기 기판 접속부는, 한 쌍의 상기 벽부의 각각과 일체로 마련되어 상기 기판에 대해서 납땜에 의해서 접속되는 한 쌍의 제1 납땜부를 가지며,
    한 쌍의 상기 제1 납땜부의 각각은, 상기 벽부의 일부의 부분으로서, 상기 벽부로부터 한 쌍의 상기 벽부의 내측을 향해 굴곡하여 연장되는 상기 편(片)지지 스프링부의 근원(根元) 부분이 일체로 마련된 부분에서, 상기 벽부와 일체로 마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기판에 대해서 수직인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한 쌍의 측벽으로서 마련된 한 쌍의 상기 벽부를 일체로 가교(架橋)하여 연결하는 천정벽과,
    상기 천정벽의 단부로부터 굴곡하여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단자의 일단부를 구성하는 단부벽을 더 구비하며,
    상기 단부벽에는, 한 쌍의 상기 벽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상기 전선의 단부가 삽입되는 삽입 구멍이 마련되고,
    상기 편(片)지지 스프링부에서 상기 벽부로부터 한 쌍의 상기 벽부의 내측을 향해 굴곡되는 부분이, 상기 단부벽에 대해서 상기 단자에서의 내측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단부벽과 일체로 마련되고, 상기 단부벽에서의 상기 천정벽측과 반대 측에서 상기 단부벽으로부터 굴곡되어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됨과 아울러 상기 천정벽과 대향하여 배치되는 저벽을 더 구비하며,
    상기 저벽은,
    상기 기판 접속부의 일부로서 마련되고, 상기 기판에 대해서 납땜에 의해서 접속되는 제2 납땜부와,
    상기 단부벽과 반대측에서 상기 제2 납땜부로부터 편(片)지지 모양으로 연장되는 선단측의 부분으로서 마련되어, 한 쌍의 상기 벽부의 사이에 삽입되는 상기 전선의 단부의 삽입 방향을 안내하는 삽입 안내부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자.
KR1020180123377A 2017-10-25 2018-10-16 단자 KR1021378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206286A JP6908927B2 (ja) 2017-10-25 2017-10-25 端子
JPJP-P-2017-206286 2017-10-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639A true KR20190046639A (ko) 2019-05-07
KR102137880B1 KR102137880B1 (ko) 2020-07-24

Family

ID=666288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377A KR102137880B1 (ko) 2017-10-25 2018-10-16 단자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6908927B2 (ko)
KR (1) KR10213788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99211A1 (de) * 2019-09-26 2021-03-31 BJB GmbH & Co. KG Anschlussklemme mit einführtrichter
KR20230000305A (ko) * 2021-06-24 2023-01-02 한국전력공사 원터치 전기계기 안전 접속구조 및 이와 연결되는 전기계기 접속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6845A (ja) * 2015-06-30 2017-01-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7045974A1 (de) * 2015-09-18 2017-03-23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ontaktelemen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456925B1 (ja) * 2013-07-03 2014-04-02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電気接続用端子
WO2015037808A1 (ko) * 2013-09-12 2015-03-19 조인셋 주식회사 솔더링이 가능한 전기 커넥터
JP5604575B1 (ja) * 2013-09-25 2014-10-08 イリソ電子工業株式会社 線状導体接続用端子
US9306297B2 (en) * 2014-04-29 2016-04-05 Avx Corporation Interlocking poke home contac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16845A (ja) * 2015-06-30 2017-01-19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17045974A1 (de) * 2015-09-18 2017-03-23 Wago Verwaltungsgesellschaft Mbh Leiteranschlusskontaktelemen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799211A1 (de) * 2019-09-26 2021-03-31 BJB GmbH & Co. KG Anschlussklemme mit einführtrichter
US11217910B2 (en) 2019-09-26 2022-01-04 Bjb Gmbh & Co. Kg Terminal clamp with insertion funnel
KR20230000305A (ko) * 2021-06-24 2023-01-02 한국전력공사 원터치 전기계기 안전 접속구조 및 이와 연결되는 전기계기 접속부
KR20230127178A (ko) * 2021-06-24 2023-08-31 한국전력공사 원터치 전기계기의 안전 접속구조물 및 이와 연결되는 전기계기 접속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37880B1 (ko) 2020-07-24
JP2019079719A (ja) 2019-05-23
JP6908927B2 (ja) 2021-07-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22617B2 (ja) コネクタ
KR101738337B1 (ko) 커넥터
EP2572405B1 (en) Contact spring for plug connector socket
CN107809021B (zh) 电连接器
EP3407428B1 (en) Metal leaf spr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US9887481B2 (en) Termin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ion apparatus
US10587057B2 (en) Terminal, and electrical connector
CN107026337B (zh) 电连接器及其导电端子
US10312608B2 (en) Insulation displacement connector
JP2018092780A (ja) 抜け防止構造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KR20190046639A (ko) 단자
JP2005141930A (ja) ケーブルコネクタ
US7771243B2 (en) Multiple slot terminal
KR101521386B1 (ko) 케이블 접속 방법
JP2020071954A (ja)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子デバイス
JP2005251746A (ja) 超小型プラグ・ソケットコネクタ
US10069223B2 (en) Electrical cable connector
JP2015130266A (ja) 同軸コネクタ装置
US9859637B2 (en) Electrical connector
US10720717B2 (en) Conductive terminal and connector
US10446945B2 (en) Metal leaf spr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nnection terminal
JP6884164B2 (ja)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及びタブ端子
JP6681655B2 (ja) 同軸コネクタ
JP2020095898A (ja) ハーネス部品
US9634443B2 (en) Connector and contac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