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513A -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513A
KR20190046513A KR1020170140402A KR20170140402A KR20190046513A KR 20190046513 A KR20190046513 A KR 20190046513A KR 1020170140402 A KR1020170140402 A KR 1020170140402A KR 20170140402 A KR20170140402 A KR 20170140402A KR 20190046513 A KR20190046513 A KR 201900465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column
protruding
post
t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04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72043B1 (ko
Inventor
김강수
최승호
황진하
정광량
우운택
이창환
정장원
정기영
Original Assignee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동서 피, 씨, 씨 주식회사,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filed Critical 서울시립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404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2043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20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20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18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 E04B1/20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 E04B1/22Structures comprising elongated load-supporting parts, e.g. columns, girders, skeletons the supporting parts consisting of concrete, e.g. reinforced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with parts being prestress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8Members specially adapted to be used in prestressed constru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2Mounting of reinforcing inserts; Prestres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 Rod-Shaped Construction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중 무게와 시공성의 제약사항을 극복하고자 보를 단면의 세로방향으로 분절하여 생산하고 이를 현장에서 PC기둥과 조립하여 일체화시키도록 하는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는 PC기둥은 소정의 높이에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돌출 거치턱이 형성되고 돌출 거치턱의 상부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PC기둥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 관통공 및 하부 관통공이 형성되며, PC보는 길이방향 중앙부의 일정 구간에 상부가 개구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 단부의 하부는 돌출 거치턱에 대응하는 하부 거치턱이 형성되고, PC보의 양단부의 단면 상부에서 중공부로 관통하여 상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PC보의 단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하부 관통공이 형성되되, PC보의 폭방향 중앙부가 절개되어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이루어지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길이방향 양단부의 단면 상부와 길이방향 일정 구간마다 단면 하부를 관통하여 스틸바가 구성되고, 스틸바의 양단부에 각각 베어링 플레이트를 끼워 너트로 고정하여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부 관통공 및 하부 관통공과 상부 관통공 및 하부 관통공이 각각 일치되도록 PC보의 하부 거치턱이 PC기둥의 돌출 거치턱에 거치되어, PC기둥의 상부 관통공 및 하부 관통공과 PC보의 상부 관통공 및 하부 관통공을 각각 동시에 삽입하도록 긴장재를 삽입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하고, PC기둥의 하부 관통공과 양측의 PC보의 상부 관통공을 삽입하도록 긴장재를 삽입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Connection of compressed joint by post-tensioning between PC-column and PC beam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양중 무게와 시공성의 제약사항을 극복하고자 보를 단면의 세로방향으로 분절하여 생산하고 이를 현장에서 PC기둥과 조립하여 일체화시키도록 하는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장경간을 요구하는 대규모 건축구조물이 증가하고 있으며, 이러한 건축구조물 시공시에는 기존의 철근콘크리트(RC) 습식공법을 사용하였으나 이는 공기를 증가시키게 되고 경제성 확보 측면에서 불리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건축물의 주요 구성 요소인 보, 기둥을 미리 공장에서 제작하고 이를 현장에서 조립하여 작업을 완성하는 프리캐스트 콘크리트(PC)구조가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대형 구조물에 PC를 적용하는 것은 설계하중에 따른 경간길이 제약, 운용 장비의 양중무게 및 현장조건에 따른 제약 및 접합부 처리의 어려움 등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89934호 "PC기둥과 PC보의 포스트텐션 압착식 접합구조물 및 그 접합구조물의 시공방법"(특허문헌 1)이 있다. 상기 배경기술에서는 'PC기둥과 PC보의 접합구조물에 있어서, 기둥위치에 설치되며, 외측면 일측에 브라켓이 형성되고, 측면을 관통하는 기둥관통홀이 형성된 PC기둥; 상기 PC기둥의 브라켓 측에 거치되며, 중간부 일측에 중공부가 형성되며, 측단면에서 상기 중공부 일측면까지 관통하는 보관통홀이 형성되도록 제작된 PC보; 및 기둥관통홀과 상기 보 관통홀을 동시에 통과하도록 배치되며, 긴장 후 정착되는 포스트텐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기둥과 PC보의 압착식 접합구조물'을 제안한다.
그러나 상기 배경기술 역시 설계하중에 따른 경간길이 제약, 운용 장비의 양중무게 및 현장조건에 따른 제약 및 접합부 처리의 어려움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89934호 "PC기둥과 PC보의 포스트텐션 압착식 접합구조물 및 그 접합구조물의 시공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PC보를 단면의 세로방향으로 분절하여 현장에서 수용가능한 중량 이내로 생산하고 이를 현장에서 조립하도록 하여 양중 무게와 시공상의 제약사항을 극복하여 장견간을 구현할 수 있으며, PC보를 PC기둥에 거치한 후 볼트를 이용하여 분절된 PC보를 결합하고, 긴장재를 이용하여 PC보 및 PC기둥을 일체화시키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특히, PC보의 측면에 베어링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길이 직각방향으로 작은 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PC기둥과 PC보의 접합 시스템에 있어서, PC기둥은 소정의 높이에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돌출 거치턱이 형성되고 돌출 거치턱의 상부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PC기둥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 관통공 및 하부 관통공이 형성되며, PC보는 길이방향 중앙부의 일정 구간에 상부가 개구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 단부의 하부는 돌출 거치턱에 대응하는 하부 거치턱이 형성되고, PC보의 양단부의 단면 상부에서 중공부로 관통하여 상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PC보의 단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하부 관통공이 형성되되, PC보의 폭방향 중앙부가 절개되어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이루어지며, 제1 부재와 제2 부재는 길이방향 양단부의 단면 상부와 길이방향 일정 구간마다 단면 하부를 관통하여 스틸바가 구성되고, 스틸바의 양단부에 각각 베어링 플레이트를 끼워 너트로 고정하여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부 관통공 및 하부 관통공과 상부 관통공 및 하부 관통공이 각각 일치되도록 PC보의 하부 거치턱이 PC기둥의 돌출 거치턱에 거치되어, PC기둥의 상부 관통공 및 하부 관통공과 PC보의 상부 관통공 및 하부 관통공을 각각 동시에 삽입하도록 긴장재를 삽입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하고, PC기둥의 하부 관통공과 양측의 PC보의 상부 관통공을 삽입하도록 긴장재를 삽입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PC보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과 접하는 면에 돌출 및 요입된 형태의 복수개의 전단 키와 키홈이 형성되어, 접합시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PC기둥은 돌출 거치턱의 상부면의 폭방향 중앙부의 일정 범위가 상부로 돌출하여 상부 돌출키가 형성되고, PC보의 단부에도 이에 대응하는 요입홈이 형성되어, 상보 돌출키가 요입홈에 끼워지도록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PC보의 베어링 플레이트의 상부에는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관통하여 관통구가 형성되고, 베어링 플레이트의 상부에 내부에 작은 보가 거치되고, 긴장재를 폭방향 양측의 작은 보 및 PC보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단부에서 정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a) 소정의 높이에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돌출 거치턱이 형성되고 돌출 거치턱의 상부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 관통공 및 하부 관통공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PC기둥을 설치하는 단계; (b) 길이방향 중앙부의 일정 구간에 상부가 개구된 중공부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 단부의 하부는 돌출 거치턱에 대응하는 하부 거치턱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단부의 단면 상부에서 중공부로 관통하여 상부 관통공이 형성되고, 단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하부 관통공이 형성되되, PC보의 폭방향 중앙부가 절개되어 제1 부재와 제2 부재로 이루어지는 PC보를, 상부 관통공 및 하부 관통공과 상부 관통공 및 하부 관통공이 각각 일치되도록 PC보의 하부 거치턱이 PC기둥의 돌출 거치턱에 거치하고,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길이방향 양단부의 단면 상부와 길이방향 일정 구간마다 단면 하부를 관통하여 스틸바를 삽입하고, 스틸바의 양단부에 각각 베어링 플레이트를 끼워 너트로 고정하여 제1 부재와 제2 부재를 결합하는 단계; (c) PC기둥의 상부 관통공 및 하부 관통공과 PC보의 상부 관통공 및 하부 관통공을 각각 동시에 삽입하도록 긴장재를 삽입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하여 일체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b) 단계에서, PC보는 제1 부재와 제2 부재과 접하는 면에 돌출 및 요입된 형태의 복수개의 전단 키와 키홈이 형성되어, 접합시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a) 단계에서, PC기둥은 돌출 거치턱의 상부면의 폭방향 중앙부의 일정 범위가 상부로 돌출하여 상부 돌출키가 형성되고, (b)단계에서, PC보의 단부에도 이에 대응하는 요입홈이 형성되어, 상보 돌출키가 요입홈에 끼워지도록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의 시공방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b)단계에서, PC보의 베어링 플레이트(31)의 상부에는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관통하여 관통구가 형성되고, (c) 단계 이후에, 베어링 플레이트의 상부에 내부에 작은 보가 거치되고, 긴장재를 폭방향 양측의 작은 보 및 PC보의 관통구를 관통하여 단부에서 정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의 시공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은 PC보를 단면의 세로방향으로 분절하여 현장에서 수용가능한 중량 이내로 생산하고 이를 현장에서 조립하도록 하여 양중 무게와 시공상의 제약사항을 극복하여 장견간을 구현할 수 있으며, PC보를 PC기둥에 거치한 후 볼트를 이용하여 분절된 PC보를 결합하고, 긴장재를 이용하여 PC보 및 PC기둥을 일체화시키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특히, PC보의 측면에 베어링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길이 직각방향으로 작은 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의 측면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1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2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PC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PC기둥과 분절형 PC보의 접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이고, 도 2는 상기 도 1의 측면도이며, 도 3은 상기 도 1의 일부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은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돌출 거치턱(14)이 형성된 PC기둥(10)의 상부에 단면의 세로방향으로 분절하여 형성되는 PC보(20)를 거치하고 긴장재(40)로 긴장하여 PC기둥(10)과 PC보(20)를 일체화 시키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PC기둥(10)은 PC보(20)가 거치될 소정의 높이에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돌출 거치턱(14)이 형성되도록 한다.
돌출 거치턱(14)은 PC보가 거치될 부분으로 돌출되는 길이나 형상은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 거치턱(14)이 형성된 상부에는 상부와 하부에 각각 PC기둥(10)을 관통하도록 상부 관통공(12) 및 하부 관통공(13)이 각각 형성된다. 상부 관통공(12) 및 하부 관통공(13)은 긴장재(40)를 삽입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함으로써 PC기둥(10)과 PC보(20)를 일체화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PC보(20)는 도 3에서와 같이, 제1 부재(20a)와 제2 부재(20b)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며, 이와 같이, PC보(20)를 제1 부재(20a)와 제2 부재(20b)로 따로 생산하여 PC기둥(10)에 거치한 후 조립하여 PC보(20)를 형성하여 현장에서 수용가능한 중량 이내로 생산하고 이를 현장에서 조립하도록 하여 양중 무게와 시공상의 제약사항을 극복하여 장견간을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PC보(20)는 길이방향 중앙부의 일정 구간에 상부가 개구된 중공부(21)가 형성되도록 하여 PC보(20)의 무게를 줄일 수 있으며, 단면 상부에서의 PC기둥(10)과의 일체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결합면을 제공할 수 있다.
PC보(20)의 길이방향 양단부의 하부는 돌출 거치턱(14)에 대응하도록 블럭아웃시킨 형상의 하부 거치턱(24)이 형성되도록 하여, PC보(20)를 PC기둥(10)의 돌출 거치턱(14)에 거치가 용이하도록 한다.
특히, PC보(20)의 양단부의 단면 상부에서 중공부(21)로 관통하여 상부 관통공(22)이 형성되고, PC보(20)의 단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하부 관통공(23)이 형성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형태의 PC보(20)는 단면의 양측이 대칭이 되도록 제1 부재(20a)와 제2 부재(20b)로 나뉘어 형성되는데, 상부 관통공(22) 및 하부 관통공(23)도 대칭이 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관통공(22) 및 하부 관통공(23)은 긴장재(40)를 삽입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함으로써 PC기둥(10)과 PC보(20)를 일체화하는 데 사용된다.
PC보(20)를 형성하기 위하여 제1 부재(20a)와 제2 부재(20b)의 결합하는 방법은 길이방향 양단부의 단면 상부와 길이방향 일정 구간마다 단면 하부를 관통하여 스틸바(30)를 삽입하여 양단부가 일정길이 돌출되도록 구성하고, 스틸바(30)의 양단부에 각각 지압면적을 늘리기 위하여 일정크기 판 형상의 베어링 플레이트(31)를 끼운 후에, 너트(32)로 고정하여 PC보(20)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제1 부재(20a)와 제2 부재(20b)에는 스틸바(30) 삽입을 위한 별도의 결합공은 통공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PC보(20)는 도 3에서와 같이, 상부 관통공(12) 및 하부 관통공(13)과 상부 관통공(22) 및 하부 관통공(23)이 각각 일치되도록 PC보(20)의 하부 거치턱(24)이 PC기둥(10)의 돌출 거치턱(14)에 거치하고, PC보(20)의 단면 상부는 PC기둥(10)의 상부 관통공(12) 및 하부 관통공(13)과 PC보(20)의 상부 관통공(22) 및 하부 관통공(23)을 각각 동시에 삽입하도록 긴장재(40)를 삽입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하도록 한다.
PC보(20)의 단면 하부는 PC기둥(10)의 하부 관통공(13)과 양측의 PC보(20)의 상부 관통공(22)을 삽입하도록 긴장재(40)를 삽입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하도록 한다. 이때, 긴장재(40)가 정착되는 위치는 복수의 PC기둥 및 복수의 PC보(20)를 일괄하여 관통한 후에 최외측 단부에서 정착되도록 한다.
도 4는 상기 도 2의 A-A선을 따른 단면도이고, 도 5는 상기 도 2의 B-B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종래에는 포스트텐션을 이용한 압착 공법에서는 작은 보의 설치가 불가능하여 슬래브의 두께를 두껍게 하였으나 이는 공사비 증가 등의 원인이 되었다.
본 발명에서는 PC보(20)의 베어링 플레이트(31)의 상부에는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관통하여 관통구(28)가 형성되도록 하고, 베어링 플레이트(31)의 상부에 내부에 작은 보(50)가 거치되되도록 하여, 긴장재(60)를 폭방향 양측의 작은 보(50) 및 PC보(20)의 관통구(28)를 관통하여 단부에서 정착하도록 하여, 작은 보(50)를 거치하고 PC보(20)와 일체화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PC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및 평면도이다.
특히, 도 6a에서와 같이, PC보(20)는 제1 부재(20a)에는 돌출 및 요입된 형태의 복수개의 전단 키(27)와 키홈(27a)이 형성되고, 제2 부재(20b)에도 이에 대응하는 복수개의 전단 키(27)와 키홈(27a)이 형성되도록 하여, 도 6b에서와 같이, 제1 부재(20a)와 제2 부재(20b)의 결합시에 상호 맞물려 결합되도록 하여 전단 키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PC기둥과 분절형 PC보의 접합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이다.
도 7a에서와 같이, PC기둥(10)의 돌출 거치턱(14)은 상부면의 폭방향 중앙부의 일정 범위가 상부로 돌출하여 상부 돌출키(141)가 형성되도록 하여 ㅗ형상으로 형성되도록 하고, PC보(20)의 단부에도 이에 대응하는 요입홈(29)이 형성되어, 상보 돌출키(141)가 요입홈(29)에 끼워지도록 거치되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에서의 거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전단 키 역할을 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도 7b에서와 같이, 제1 부재(20a)와 제2 부재(20b)의 결합시에 스틸바(30)가 상부 돌출키(141)를 관통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의 시공방법을 순서대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PC기둥(10)을 설치한다(a).
PC기둥(10) 및 PC보(20)는 상술한 내용과 동일하기에 생략하기로 한다.
이후, PC기둥(10)의 상부에 PC보(20)를 거치하는데, 제1 부재(20a)와 제2 부재(20b)를 따로 양중하여 PC기둥(10)에 거치하고, 스틸바(30)를 제1 부재(20a)와 제2 부재(20b)의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각각 베어링 플레이트(31)를 끼워 너트(32)로 고정하여 결합함으로써 PC보(20)를 제작한다.
이후, PC기둥(10)의 상부 관통공(12) 및 하부 관통공(13)과 PC보(20)의 상부 관통공(22) 및 하부 관통공(23)을 각각 동시에 삽입하도록 긴장재(40)를 삽입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하여 일체화하도록 한다(c).
작은 보(50)를 시공하는 경우에는 (c) 단계 이후에, 베어링 플레이트(31)의 상부에 내부에 작은 보(50)를 거치하고, 긴장재(60)를 폭방향 양측의 작은 보(50) 및 PC보(20)의 관통구(28)를 관통하여 단부에서 정착하도록 하여 작은 보(50)를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은 PC보를 단면의 세로방향으로 분절하여 현장에서 수용가능한 중량 이내로 생산하고 이를 현장에서 조립하도록 하여 양중 무게와 시공상의 제약사항을 극복하여 장견간을 구현할 수 있으며, PC보를 PC기둥에 거치한 후 볼트를 이용하여 분절된 PC보를 결합하고, 긴장재를 이용하여 PC보 및 PC기둥을 일체화시키도록 함으로써 시공이 매우 용이하고, 특히, PC보의 측면에 베어링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길이 직각방향으로 작은 보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0 : PC기둥
12 : 상부 관통공
13 : 하부 관통공
14 : 돌출 거치턱
20 : PC보
20a : 제1 부재
20b : 제2 부재
21 : 중공부
22 : 상부 관통공
23 : 하부 관통공
24 : 하부 거치턱(24)이 형성되고,
30 : 스틸바
31 : 베어링 플레이트
32 : 너트
40, 60 : 긴장재
50 : 작은 보

Claims (8)

  1. PC기둥과 PC보의 접합 시스템에 있어서,
    PC기둥(10)은 소정의 높이에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돌출 거치턱(14)이 형성되고 돌출 거치턱(14)의 상부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PC기둥(10)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상부 관통공(12) 및 하부 관통공(13)이 형성되며,
    PC보(20)는 길이방향 중앙부의 일정 구간에 상부가 개구된 중공부(21)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 단부의 하부는 돌출 거치턱(14)에 대응하는 하부 거치턱(24)이 형성되고,
    PC보(20)의 양단부의 단면 상부에서 중공부(21)로 관통하여 상부 관통공(22)이 형성되고, PC보(20)의 단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하부 관통공(23)이 형성되되,
    PC보(20)의 폭방향 중앙부가 절개되어 제1 부재(20a)와 제2 부재(20b)로 이루어지며,
    제1 부재(20a)와 제2 부재(20b)는 길이방향 양단부의 단면 상부와 길이방향 일정 구간마다 단면 하부를 관통하여 스틸바(30)가 구성되고, 스틸바(30)의 양단부에 각각 베어링 플레이트(31)를 끼워 너트(32)로 고정하여 결합하여 형성되고,
    상부 관통공(12) 및 하부 관통공(13)과 상부 관통공(22) 및 하부 관통공(23)이 각각 일치되도록 PC보(20)의 하부 거치턱(24)이 PC기둥(10)의 돌출 거치턱(14)에 거치되어,
    PC기둥(10)의 상부 관통공(12) 및 하부 관통공(13)과 PC보(20)의 상부 관통공(22) 및 하부 관통공(23)을 각각 동시에 삽입하도록 긴장재(40)를 삽입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하고,
    PC기둥(10)의 하부 관통공(13)과 양측의 PC보(20)의 상부 관통공(22)을 삽입하도록 긴장재(40)를 삽입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PC보(20)는 제1 부재(20a)와 제2 부재(20b)과 접하는 면에 돌출 및 요입된 형태의 복수개의 전단 키(27)와 키홈(27a)이 형성되어, 접합시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PC기둥(10)은 돌출 거치턱(14)의 상부면의 폭방향 중앙부의 일정 범위가 상부로 돌출하여 상부 돌출키(141)가 형성되고,
    PC보(20)의 단부에도 이에 대응하는 요입홈(29)이 형성되어,
    상보 돌출키(141)가 요입홈(29)에 끼워지도록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
  4. 청구항 1에 있어서,
    PC보(20)의 베어링 플레이트(31)의 상부에는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관통하여 관통구(28)가 형성되고,
    베어링 플레이트(31)의 상부에 내부에 작은 보(50)가 거치되고,
    긴장재(60)를 폭방향 양측의 작은 보(50) 및 PC보(20)의 관통구(28)를 관통하여 단부에서 정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
  5. (a) 소정의 높이에 외측으로 돌출하도록 돌출 거치턱(14)이 형성되고 돌출 거치턱(14)의 상부에서 상부와 하부에 각각 상부 관통공(12) 및 하부 관통공(13)이 관통하여 형성되는 PC기둥(10)을 설치하는 단계;
    (b) 길이방향 중앙부의 일정 구간에 상부가 개구된 중공부(21)가 형성되며, 길이방향 양측 단부의 하부는 돌출 거치턱(14)에 대응하는 하부 거치턱(24)이 형성되고, 길이방향 양단부의 단면 상부에서 중공부(21)로 관통하여 상부 관통공(22)이 형성되고, 단면 하부에 길이방향으로 관통하여 하부 관통공(23)이 형성되되, PC보(20)의 폭방향 중앙부가 절개되어 제1 부재(20a)와 제2 부재(20b)로 이루어지는 PC보(20)를,
    상부 관통공(12) 및 하부 관통공(13)과 상부 관통공(22) 및 하부 관통공(23)이 각각 일치되도록 PC보(20)의 하부 거치턱(24)이 PC기둥(10)의 돌출 거치턱(14)에 거치하고, 제1 부재(20a)와 제2 부재(20b)를 길이방향 양단부의 단면 상부와 길이방향 일정 구간마다 단면 하부를 관통하여 스틸바(30)를 삽입하고, 스틸바(30)의 양단부에 각각 베어링 플레이트(31)를 끼워 너트(32)로 고정하여 제1 부재(20a)와 제2 부재(20b)를 결합하는 단계;
    (c) PC기둥(10)의 상부 관통공(12) 및 하부 관통공(13)과 PC보(20)의 상부 관통공(22) 및 하부 관통공(23)을 각각 동시에 삽입하도록 긴장재(40)를 삽입하여 포스트텐션을 도입하여 일체화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의 시공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b) 단계에서, PC보(20)는 제1 부재(20a)와 제2 부재(20b)과 접하는 면에 돌출 및 요입된 형태의 복수개의 전단 키(27)와 키홈(27a)이 형성되어, 접합시 상호 맞물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의 시공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a) 단계에서, PC기둥(10)은 돌출 거치턱(14)의 상부면의 폭방향 중앙부의 일정 범위가 상부로 돌출하여 상부 돌출키(141)가 형성되고,
    (b)단계에서, PC보(20)의 단부에도 이에 대응하는 요입홈(29)이 형성되어,
    상보 돌출키(141)가 요입홈(29)에 끼워지도록 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의 시공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b)단계에서, PC보(20)의 베어링 플레이트(31)의 상부에는 폭방향으로 관통하여 관통하여 관통구(28)가 형성되고,
    (c) 단계 이후에, 베어링 플레이트(31)의 상부에 내부에 작은 보(50)가 거치되고,
    긴장재(60)를 폭방향 양측의 작은 보(50) 및 PC보(20)의 관통구(28)를 관통하여 단부에서 정착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의 시공방법.
KR1020170140402A 2017-10-26 2017-10-26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구조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0720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402A KR102072043B1 (ko) 2017-10-26 2017-10-26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구조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0402A KR102072043B1 (ko) 2017-10-26 2017-10-26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구조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513A true KR20190046513A (ko) 2019-05-07
KR102072043B1 KR102072043B1 (ko) 2020-03-02

Family

ID=6665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0402A KR102072043B1 (ko) 2017-10-26 2017-10-26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구조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204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599A (ko) * 2020-09-18 2022-03-25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와플형 와이드 거더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220153332A (ko) *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포스트텐션이 도입된 pc 보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1762B1 (ko) 2020-07-27 2023-01-30 주식회사 덕암테크 반슬림 합성보용 보강재와 개량형 반슬림 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개량형 반슬림 합성보 구조
KR20230135866A (ko) 2022-03-17 2023-09-26 (주)센벡스 Phc 선조립 기둥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2733A (ja) * 1993-08-26 1995-03-07 Taisei Corp PCaコンクリート製柱梁の接合仕口構造
KR101289934B1 (ko) 2012-12-18 2013-07-25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Pc기둥과 pc보의 포스트텐션 압착식 접합구조물 및 그 접합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40100800A (ko) * 2013-02-07 2014-08-18 이석 분할 조립형 장스팬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제조방법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730569B1 (ko) * 2016-10-31 2017-04-26 씨제이건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보 및 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2733A (ja) * 1993-08-26 1995-03-07 Taisei Corp PCaコンクリート製柱梁の接合仕口構造
KR101289934B1 (ko) 2012-12-18 2013-07-25 (주) 동양구조안전기술 Pc기둥과 pc보의 포스트텐션 압착식 접합구조물 및 그 접합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40100800A (ko) * 2013-02-07 2014-08-18 이석 분할 조립형 장스팬 프리스트레스트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보의 제조방법 및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방법
KR101730569B1 (ko) * 2016-10-31 2017-04-26 씨제이건설 주식회사 하이브리드 보 및 그 시공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7599A (ko) * 2020-09-18 2022-03-25 에스케이에코플랜트(주) 와플형 와이드 거더 및 이의 시공 방법
KR20220153332A (ko) * 2021-05-11 2022-11-18 주식회사 후레씨네코리아 포스트텐션이 도입된 pc 보 시스템 및 이의 시공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2043B1 (ko) 2020-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90046513A (ko) Pc기둥과 분절형 pc보를 이용한 포스트텐션 압착공법 시스템 및 이의 시공방법
KR100436562B1 (ko) 건축물의 구조용 부재와 건축물의 구조의 형성방법
KR101533324B1 (ko) 베드없는 프리스트레스트 합성보 제작방법
JP4833591B2 (ja) 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製柱・梁部材の連結工法
JP4762406B2 (ja) 高層壁式建物
JP4423644B2 (ja) 中空プレキャスト柱
KR20180031258A (ko) 반도체공장 클린룸 건축물의 골조부 구조와 그의 시공 방법
KR101438030B1 (ko) 지지보강틀을 이용한 강합성보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463106B1 (ko) 건축용 pc 기둥과 보의 연결구조물
KR101926248B1 (ko) 제작 프레임 및 바인딩 프레임을 이용한 콘크리트 충전용 기둥 조립체의 제작방법 및 이에 의해 제작되는 기둥 조립체
KR200279918Y1 (ko) 장스팬 프리캐스트 시스템의 기둥-보 접합구조
KR101710571B1 (ko) 유닛 결합형 장경간 피씨 합성보 시스템
JP5024617B2 (ja) プレストレストコンクリート梁及びその構築方法
JP2005016076A (ja) 梁構造、構造物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100452968B1 (ko) 관통 연결부가 형성된 기성콘크리트기둥을 이용한 지하건축물의 시공방법
KR101457796B1 (ko) 철골 골조와 피씨 슬래브를 이용한 복합구조 건축물
KR101460454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조립식 박스의 횡방향 연결 구조
KR200400109Y1 (ko) 아치형슬래브설치를 위한 아치형프리캐스트판넬
KR101588161B1 (ko) 리브 피씨 슬래브 및 리브 피씨 슬래브의 폭방향 연결방법
KR20140013830A (ko) 파이(π)형 피씨 슬래브 및 이를 이용한 복합화 공법
JP6312130B2 (ja) 柱梁構造及び梁端部材
JP6162479B2 (ja) コンクリート梁
KR20190062806A (ko) 수평전단보강수단을 이용한 이중합성 pc벽체 구조
KR101859389B1 (ko) 프리캐스트 세그먼트와 상부합성플랜지를 이용한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시공방법
KR200393440Y1 (ko) 들보를 위한 측면 및 하부 거푸집패널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