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6288A -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 Google Patents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6288A
KR20190046288A KR1020170139900A KR20170139900A KR20190046288A KR 20190046288 A KR20190046288 A KR 20190046288A KR 1020170139900 A KR1020170139900 A KR 1020170139900A KR 20170139900 A KR20170139900 A KR 20170139900A KR 20190046288 A KR20190046288 A KR 201900462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ding door
door
hinge
automatic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99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141466B1 (ko
Inventor
강성자
Original Assignee
강성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성자 filed Critical 강성자
Priority to KR10201701399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41466B1/ko
Publication of KR201900462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2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414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414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05F15/657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enabling manual drive, e.g. in case of power failur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05F15/655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wings
    • E05F15/662Motor units therefor, e.g. geared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4Disengaging means
    • E05Y2201/216Clutch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5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vehicles
    • E05Y2900/53Type of wing
    • E05Y2900/531Door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은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개폐되도록 슬라이딩 시키며, 개폐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슬라이딩을 잠금시키는 도어구동유닛, 상기 자동차 내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구동유닛에 신호를 전달하는 자동개폐제어유닛, 상기 자동차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도어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시키는 동력전달유닛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Automatic sliding door module with hinged clutch}
본 발명은 슬라이딩도어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구동모터에 제공되는 구동력을 슬라이딩도어에 제공 또는 차단하도록 힌지방식의 클러치가 적용된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미닫이 슬라이딩도어가 장착된 승합차는 제조단계에서 슬라이딩이 적용이 가능하지만, 많은 사람이 탑승되는 차량에 슬라이딩도어가 장착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슬라이딩도어는 자동차 본체의 측면 및 하부에 마련된 레일에 결합되어 상기 레일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장착되며, 탑승자가 도어의 일측에 마련된 핸들을 조작하여 슬라이딩도어를 개폐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슬라이딩도어는 자동차 본체의 측면을 따라 자동차의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는 방식 즉, 미닫이 방식으로 개폐되므로 탑승자의 출입이 용이하고, 좁은 공간에서도 도어의 개폐가 주위로부터 간섭 받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도어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어린이들이나 학생들을 운송하는 차량에 여닫이도어가 장착되는 경우가 많으며, 여닫이도어가 장착된 차량은 이동 중에 어린이들이나 학생들의 돌발적인 행동으로 예기치 못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위험에 노출되게 된다.
이를 위해서 사용자는 소지하고 있는 차량이 있음에도 슬라이딩도어가 장착된 차량을 구매 해야하여 막대한 경제적 손해가 발생되기도 한다.
이런 슬라이딩도어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제조단계에서 장착되지 않으면 일반 사용자가 슬라이딩도어가 장착된 차량을 마련하기가 쉽지 않다.
따라서 소지하고 있는 차량에 간단한 설계변경으로 슬라이딩도어를 장착할 수 있는 슬라이딩도어 모듈이 필요하여 차량용 슬라이딩도어키트가 개발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이러한 슬라이딩도어를 자동화하는 모듈의 구조상 자동 또는 수동으로 개폐가 가능하게 설치되어야 하는데, 이 때 장착되는 것이 클러치이며, 이러한 클러치를 외부에서 구입하여 추가하는 형태로 모듈이 장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런 클러치를 별도로 구입하게 되면 클러치에 지출되는 비용이 발생하게 되어 경제적인 손해가 발생하는 경우도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간단한 구조의 모듈형태로 구비되어 준비된 차량에 쉽게 슬라이딩도어를 적용할 수 있는 슬라이딩도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차량 내부에 구동모터에 의해 슬라이딩도어를 자동으로 슬라이딩 시키는 구조를 적용함에 있어서, 클러치를 브라켓에 별도의 프레임의 힌지결합하여 단순한 구조로 클러치부가 적용되며 이를 통해 자동모드와 수동모드를 선택할 수 있으며, 자동모드에서는 운전자가 컨트롤러를 사용하여 슬라이딩도어의 전체적인 움직임을 제어할 뿐 아니라, 슬라이딩도어 선단에 충돌방지 센서가 장착되어 차량에 승하차 중에 발생되는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는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은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개폐되도록 슬라이딩 시키며, 개폐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슬라이딩을 잠금시키는 도어구동유닛, 상기 자동차 내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구동유닛에 신호를 전달하는 자동개폐제어유닛, 상기 자동차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도어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시키는 동력전달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슬라이딩도어와 인접한 상기 자동차 내부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감고 풀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도어연결부 및 일부가 상기 고정브라켓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도어연결부에 구동력을 제공 또는 차단하도록 연결되어있는 클러치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힌지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고정브라켓에서 탄성지지되는 스프링이 구비된 힌지판넬, 상기 스프링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힌지판넬의일측을 상기 고정브라켓을 향해 회동시켜서 고정하는 회동스위치, 상기 힌지판넬의 일부에 구동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랙앤피니언 방식으로 연결되며 일부에 상기 고정브라켓을 향해 돌기가 형성된 제1회전부재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연결부와 체인으로 연결되며, 일면에 상기 제1회전부재의 돌기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된 제2회전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회동스위치는, 상기 힌지판넬과 상기 고정브라켓을 관통하는 볼트에 너트를 결합하여 신축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동개폐제어유닛은, 상기 도어구동유닛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동력전달유닛에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제어하는 자동모드 및 상기 도어구동유닛의 구동여부와 별도로 상기 동력전달유닛에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도어구동유닛에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시키는 수동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모드는 상기 제1회전부재가 상기 제2회전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힌지판넬이 이동되며, 상기 수동모드는 상기 제1회전부재가 상기 제2회전부재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힌지판넬이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동개폐제어유닛은 상기 자동차 내부에 상기 자동모드 및 상기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개폐제어유닛은 상기 자동모드 및 상기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차량의 변속기가 주행모드인 경우,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개방을 차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도어연결부와 상기 클러치부 사이에서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수단은,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통과하도록 광을 조사하여 수광되는 빈도에 따라 속도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자동개폐제어유닛는,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개폐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개폐제어유닛은,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개폐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에 발생되는 부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도어구동유닛은,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수동을 조작할 수 있는 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폐쇄 방향 선단에 장착되는 충돌감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이전에 충돌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차단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락킹시킬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클러치가 힌지방식의 간단한 구조로 구비되어 저렴한 비용으로 자동화 슬라이딩모듈을 차량에 장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이러한 클러치가 구비됨으로 사용자가 자동모드 및 수동모드를 선택하여 슬라이딩도어를 조작하게 한다.
셋째, 슬라이딩도어 선단에 충돌방지부가 구비되어 차량에 승하차 중에 슬라이딩도어가 개폐되면서 발생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동력전달유닛에 감지수단이 적용되되, 감지수단을 통해 동력제어부가 슬라이딩도어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에서 자동차 내에서 도어구동유닛 및 자동개폐제어유닛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에서 자동개폐제어유닛에 의해 클러치부가 제어되면서 자동모드 및 수동모드 중 자동모드로 동작되도록 신호를 전달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에서 동력전달유닛의 일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에서 동력전달유닛에서 클러치부가 나타난 타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에서 클러치부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단면;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에서 제1회전부재와 제2회전부재가 이격되도록 회동스위치가 클러치부의 일측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6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에서 자동개폐제어유닛에 의해 슬라이딩도어의 속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충돌방지부를 통해 슬라이딩도어의 동력이 차단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은 자동차(10) 슬라이딩도어(20)를 제어하기 위한 슬라이딩도어모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자동차(10)의 도어를 개조하기 위한 키트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며, 자동차(10)의 종류에 관계없이 여닫이 슬라이딩도어(20)를 자동개페 가능하게 개조할 수 있는 슬라이딩도어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에서 자동차(10) 내에서 도어구동유닛(100) 및 자동개폐제어유닛(200)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에서 자동개폐제어유닛(200)에 의해 클러치부(340)가 제어되면서 자동모드 및 수동모드 중 자동모드로 동작되도록 신호를 전달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에서 동력전달유닛(300)의 일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에서 동력전달유닛(300)에서 클러치부(340)가 나타난 타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에서 클러치부(340)의 세부구성을 나타낸 단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에서 제1회전부재(344)와 제2회전부재(346)가 이격되도록 회동스위치(348)가 클러치부(340)의 일측에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7은 도 6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은 크게 도어구동유닛(100), 자동개폐유닛 및 동력전달유닛(300)을 포함한다.
도어구동유닛(100)은 자동차(10)의 슬라이딩도어(20) 내부에 구비되어 슬라이딩도어(20)가 개폐되도록 슬라이딩 시키며, 개폐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도어(20)의 이동을 잠금 시킨다.
그리고 자동개폐유닛은 자동차(10) 내부이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도어(20)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도어구동유닛(100)에 신호를 전달하며, 동력전달유닛(300)은 자동차(10) 내부에서 슬라이딩도어(20)에 기게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슬라이딩도어(20)를 개폐시킨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구동유닛(100)은 슬라이딩도어(20) 내부에 설치되어 슬라이딩도어(20)의 기계적인 동작이 실현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도어(20) 핸들(22)에 의해 슬라이딩도어(20)가 개폐되는 수동모드 및 자동개폐제어유닛(200)에 의해 컨트롤박스(210)에 의해 개폐되는 자동모드를 포함한다.
컨트롤박스(210)는 운전석 주변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용이한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컨트롤박스(210)에서는 수동모드 또는 자동모드 선택이 가능한 버튼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로 동작되는 것은 도어구동유닛(100)과 동력전달유닛(300)이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동력전달유닛(300)이 자동개폐제어유닛(200)에 의해 동력을 전달 또는 차단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자동모드 및 수동모드에 따라 동력은 전달 또는 차단하는 동력전달유닛(300)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면, 동력전달유닛(300)은 슬라이딩도어(20)와 인접한 자동차(10) 내부에 설치되 고정브라켓(322)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감고 풀면서 슬라이딩도어(20)를 슬라이딩 개페시키는 도어연결부(320) 및 일부가 고정브라켓(322)에 힌지(H) 결합되고 도어연결부(320)에 구동력을 제공 또는 차단하도록 연결되어있는 클러치부(340)를 포함한다.
도어연결부(320)는 슬라이딩도어(20)와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고, 자동차(10)의 일면에 설치된 레일 따라 슬라이딩도어(20)가 슬라이딩되도록 와이어를 통해 슬라이딩도어(20)가 이동되는 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여기서 도어연결부(320)는 자동차(10) 일면 내부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322)에 장착되되, 고정브라켓(322)의 일면에 풀리(PULLEY)형상으로 장착되어 슬라이딩도어(20)와 연결되고 고정브라켓(322)의 타면에는 기어형태로 형성되어 고정브라켓(322)을 중심으로 양면에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고정브라켓(322)은 클러치부(340)와 체인연결되어 있다.
클러치부(340)는 고정브라켓(322)에 힌지(H) 결합되고 일측에 고정브라켓(322)에서 탄성지지되는 스프링(S)이 구비된 힌지판넬(342)과, 스프링(S)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H)를 중심으로 힌지판넬(342)의 일측을 고정브라켓(322)을 향해 회동시켜서 고정하는 회동스위치(348)와, 힌지판넬(342)의 일부에 구동모터(M1)가 장착되고, 구동모터(M1)와 랙 앤 피니언(RACK AND PINION)방식으로 연결되며 일부에 고정브라켓(322)을 향해 돌기가 형성된 제1회전부재(344) 및 고정브라켓(322)에 결합되고 도어연결부(320)와 체인으로 연결되며, 일면에 제1회전부재(344)의 돌기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된 제2회전부재(346)를 포함한다.
즉, 슬라이딩도어(20)와 연결되어 있는 도어연결부(320)와 클러치부(340)가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구동모터(M1)의 동력을 클러치부(340)가 전달하거나 차단함에 따라 슬라이딩도어(20)를 자동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클러치부(34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힌지판넬(342)은 고정브라켓(322)에 힌지(H) 결합되어 있고, 일측에는 힌지판넬(342)을 고정브라켓(322)으로부터 지지하는 스프링(S)이 구비되어 힌지판넬(342)을 탄성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힌지판넬(342)은 고정브라켓(322)의 일부에 힌지(H)로 결합되어 있고, 단면이 'ㄷ' 자 형상으로 형성되며, 구동모터(M1)와 제1회전부재(344)가 장착된다.
제1회전부재(344)는 힌지판넬(342)을 관통하여 고정브라켓(322)을 향해 돌출되며 구동모터(M1)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이와 결합되는 제2회전부재(346)에 구동력을 전달한다.
따라서 힌지판넬(342)이 회동스위치(348)에 의해 힌지(H)를 중심으로 기울어지게 되면 제1회전부재(344)가 제2회전부재(346)와 이격되어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렇게 제1회전부재(344)와 제2회전부재(346)가 이격되면 수동모드가 되고 제1회전부재(344)와 제2회전부재(346)가 연결되어 구동모터(M1)의 구동력이 도어연결부(320)에 전달이 되면 자동모드가 되는 것이다.
계속해서 스프링(S)과 인접하여 회동스위치(348)가 형성되어 있는데, 회동스위치(348)는 힌지판넬(342)과 고정브라켓(322)을 관통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볼트와 너트의 형태로 구비된다.
따라서 힌지판넬(342)과 고정브라켓(322)을 관통하는 볼트의 나사산을 따라 너트가 길이를 단축하여 힌지판넬(342)의 일측이 고정브라켓(322)이 인접하도록 기울어지게 하는 것이며, 이때, 스프링(S)의 탄성력보다 회동스위치(348)의 결합력이 더 크게 된다.
반대로 회동스위치(348)의 결합력이 해제되면 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힌지판넬(342)은 고정브라켓(322)과 평행을 유지하는 최초 위치로 복귀하면서 제1회전부재(344)와 제2회전부재(346)가 결합된다.
좀 더 자세한 내용은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계속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력전달유닛(300)은 자동개폐제어유닛(200)과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자동개폐유닛이 동력전달유닛(300)에 신호를 전달하여 클러치부(340)가 도어구동유닛(100)에 동력을 전달하면서 슬라이딩도어(20)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클러치부(340)는 도어구동유닛(100)에 선택적으로 동력을 전달 할 수 있는 구성으로, 클러치부(340)에 전류를 인가하게 되면 클러치부(340)가 도어구동유닛(100)에 연결되어 구동모터(M1)에서 제공되는 구동력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다.
이렇게 자동개폐제어유닛(200)은 자동모드에서 클러치부(340)를 제어하여 구동력이 도어구동유닛(100)에 전달되도록 하며, 자동모드가 실행되면 동력전달유닛(300)의 구동에 의해 슬라이딩도어(20)의 개폐가 가능해지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슬라이딩도어(20)를 자동차(10) 내부에 구비된 컨트롤박스(210)를 통해 개폐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자동개폐제어유닛(200)은 도어구동유닛(100)에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동력전달유닛(300)에 신호를 제공하여 슬라이딩도어(20)를 제어하는 자동모드 및 도어구동유닛(100)의 구동여부와 별도로 동력전달유닛(300)에 신호를 제공하여 도어구동유닛(100)에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시키는 수동모드를 포함하며, 사용자는 이와 같은 자동모드 또는 수동모드를 컨트롤박스(210)를 통해 조작할 수 있다.
이때, 자동모드가 선택되면 자동개폐유닛은 동력클러치에 전류를 인가하여 도어구동부를 제어하게 되어 슬라이딩도어(20)의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또한 동력전달유닛(300)은 감지수단(347)을 포함하는데, 감지수단(347)은 자동모드에서 슬라이딩도어(20)가 슬라이딩되는 속도를 감지하도록 고정브라켓(322)에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본 실시예에서 감지수단(347)은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고 발광부와 수광부가 함께 구비되어 상기 홈을 통과한 광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는 빈도수에 따라 슬라이딩도어(20)의 속도정보를 저장하고 자동개폐제어유닛(200)이 상기 속도정보를 통해 슬라이딩도어(20)의 속도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감지수단(347)은 제2회전부재(346)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되도록 고정브라켓(322)을 중심으로 제2회전부재(346)와 반대되는 일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감지수단(347)은 도어연결부(320)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자동모드 및 수동모드 두개의 모드에서 모두 회전이 가능하게 구비되며, 이에 따라 자동모드 및 수동모드에서 슬라이딩도어(20)의 슬라이딩속도를 계측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동력전달유닛(3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동력전달유닛(300)의 구조적인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동력전달유닛(300)의 구조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고정브라켓(322)의 모서리에 A, B, C, D를 표시하였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브라켓(322)의 일면에 도어연결부(320)와 감지수단(347)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도어 도어연결부(320)와 감지수단(347)은 B-D방향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서로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제공되는 구동력이 전달되게 된다.
도 4를 통해 고정브라켓(322)의 타면을 살펴보면, 도어연결부(320)는 와이어가 감겨져 있고 상기 와이어는 슬라이딩도어(20)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연결부(320)와 인접한 양측에는 장력조절수단(360)이 형성되어 있다.
장력조절수단(360)은 슬라이딩도어(20)의 슬라이딩에 따라 상기 와이어가 감기고 풀리는 과정에서 동력의 전달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와이어를 팽창시키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가 감겨져 있는 풀리를 중심으로 B방향 또는 A방향으로 와이어가 이동되면서 슬라이딩도어(20)가 슬라이딩 되는데, 이때 B에서 A방향으로 와이어가 이동하면서 와이어가 늘어져서 동력이 신속하게 전달되지 않는 것을 방지한다.
즉, B방향에서 A방향, A방향에서 B방향 중 어느 한 방향으로 구동력이 전달되면서 상기 방향이 전환되는 과정에서 어느 하나의 방향에 와이어가 늘어지게 되어 구동력이 전달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장력조절수단(360)이 구비된 것이며, 이를 통해 자동개폐유닛이 동력전달유닛(300)을 제어하면서 슬라이딩도어(20)를 자동모드에서 슬라이딩 시키는 전달신호를 신속하게 전달 할 수 있게 된다.
계속해서 B-D방향을 따라 풀리의 하부에는 클러치부(340)가 구비되어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클러치부(340)는 고정브라켓(322)에 힌지판넬(342)이 힌지결합(H)되어 있고, 힌지판넬(342)에 구동모터(M1)에 의해 회전되는 제1회전부재(344)가 형성되어 있으며, 선택적으로 제1회전부재(344)의 돌기가 제2회전부재(346)의 홈에 결합되어 구동모터(M1)의 구동력을 제2회전부재(346)에 전달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회전부재(344)는 구동모터(M1)와 랙 엔 피니언 방식으로 결합되어 있으며, 힌지판넬(342)상에서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
그리고 제2회전부재(346)는 제1회전부재(344)의 회전축과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되도록 구비되며 고정브라켓(322)상에 결합된다.
도 5 내지 도 7을 통해 좀 더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5 내지 도 7은 고정브라켓(322)에서 D-C방향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회전부재(346)는 제1회전부재(344)와 동일한 회전축을 가지고 회전가능하게 고정브라켓(322)에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브라켓(322)을 중심으로 반대면에는 감지수단(347)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힌지판넬(342)은 고정브라켓(322)과 힌지(H)로 결합되어 있어서 힌지결합(H)을 중심으로 힌지판넬(342)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진다.
여기서 힌지판넬(342)의 힌지결합(H)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제1회전부재(344)가 형성되어 있고, 타측에는 고정브라켓(322)에서 회전판넬을 지지하는 스프링(S)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S)과 인접하게 회동스위치(348)가 힌지판넬(342)과 고정브라켓(322)을 관통하여 구비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라 회동스위치(348)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트와 너트의 결합으로 구비되며, 힌지결합(H)을 중심으로 힌지판넬(342)의 기울기에 대응하여 볼트가 결합되는 힌지판넬(342)의 일부에는 장공(미도시)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는 힌지판넬(342)이 C방향의 하부를 향해 기울어지도록 너트가 볼트와 중심부를 향해 삽입이 되면서 가능하게 되며, 이 때 회동스위치(348)의 결합력은 스프링(S)의 탄성력보다 크게 된다.
그리고 이때, 제1회전부재(344)는 제2회전부재(346)와 이격되게 되고 수동모드로 작동하게 된다.
자동모드로 전환시에는 힌지판넬(342)이 다시 상기 최초 위치로 복귀하면 된다.
즉, 힌지판넬(342)이 힌지결합(H)을 중심으로 D방향 하부를 향해 이동하게 되면서 제1회전부재(344)와 제2회전부재(346)가 결합하게 되고, 구동모터(M1)의 동력이 제2회전부재(346)에 전달되며, 제2회전부재(346)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있는 도어연결부(320)가 슬라이딩도어(20)에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회동스위치(348)에서 볼트는 너트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회전이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라 회동스위치(348)는 와이어(348a)로 형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판넬(342)의 일측에 와이어(348a)가 고정되어 있고, 와이어(348a)는 힌지판넬(342)과 고정브라켓(322)을 관통하여 하부로 길게 형성되어 자동차(10)에 고정되게 된다.
이를 통해 와이어를 이용한 회동스위치(348a)에 따라 힌지판넬(342)이 고정브라켓(322)과 일측이 맞닿으면서 제1회전부재(344)와 제2회전부재(346)가 이격되어 제1회전부재(344)의 동력이 차단되게 된다.
이때 회전스위치는 별도의 신축모터(M2)와 결합되어 힌지판넬(342)과 고정브라켓(322) 간의 간격을 조절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와이어(348a)의 단부에 신축모터(M2)가 결합되어 와이어를 하부를 향해 당기는 힘을 제공하여 힌지판넬(342)의 일측을 소정 각도 기울어지게 할 수있고, 또는 볼트와 너트 방식의 회동스위치(348)에서 볼트의 회전을 조절하도록 볼트의 단부에 신축모터(M2)가 결합(348b)되어 신축모터(M2)의 회전을 따라 볼트의 위치이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따른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의 구조적인 특징에 대해 살펴봤으며 이후 도 8 및 도 9를 통해 상술한 구조를 이용하여 자동개폐유닛이 슬라이딩도어(20)를 제어하는 기능에 대해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에서 자동개폐제어유닛(200)에 의해 슬라이딩도어(20)의 속도가 조절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충돌방지부(24)를 통해 슬라이딩도어(20)의 동력이 차단되는 모습을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개폐제어유닛(200)은 슬라이딩도어(20)의 속도를 제어한다.
기본적으로는 슬라이딩도어(20)가 등속도로 이동되는데, 이때 슬라이딩도어(20)가 자동차(10)의 일부와 접촉되면서 발생되는 충격으로 내부 구성에 고장을 발생시킬 수 있으므로 자동개폐제어유닛(200)이 슬라이딩도어(20)의 속도를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자동개폐제어유닛(200)은 슬라이딩도어(20)가 슬라이딩되는 속도를 구간 별로 제어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개폐제어유닛(200)는 슬라이딩도어(20)가 슬라이딩되는 범위 안에서 슬라이딩도어(20)가 슬라이딩되는 속도를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있다.
이를 통해 슬라이딩도어(20) 개방 및 폐쇄에 따른 충격을 제거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딩도어(20)가 개방되면서 슬라이딩도어(20)가 오른쪽으로 이동하게 되고, 슬라이딩도어(20)가 개방이 완료되기 전에 슬라이딩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와 반대방향으로 슬라이딩도어(20)가 폐쇄되는 왼쪽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폐쇄가 완료되기 전에 슬라이딩속도가 감소하게 된다.
이는 개방 및 폐쇄 중에 차량에 발생되는 충격을 방지하기 위함이고, 또한 충격이 구동모터(M1)에 전달되어 장비손상이 발생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8에 도시된 그림에서, 슬라이딩도어(20)의 개방 및 폐쇄에 따라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이동될 때, 완전히 개방 또는 완전히 폐쇄되는 시점에서 속도(VELOCITY)가 감소하게 된다.
이렇게 속도가 감소된 슬라이딩도어(20)는 도어구동유닛(100)에 의해 락킹이 실시되어 경사면에서도 슬라이딩도어(20)가 슬라이딩되지 않게 되는 장점이 있다.
구체적인 속도는 자동개폐제어유닛(200)에 사용자가 기 설정된 값을 입력하여 변경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도어(20)의 선단에는 도어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가 장착될 수도 있으며, 이는 광을 조사하고 반사되는 원리를 이용할 수 있다.
슬라이딩도어(20)가 슬라이딩되는 위치를 실시간으로 감지하는 장치라면 다양한 형태로 변경이 가능할 것이고 이로 인해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자동개폐제어유닛(200)은 슬라이딩도어(20)의 상태변경을 다음과 같은 방법을 확인할 수 있다.
우선 슬라이딩도어(20)가 폐쇄되는 경우에는 슬라이딩도어(20)의 일부에 도어핀(미도시)이 구비되어 상기 도어핀이 상기 자동차(10)의 본체에 삽입 또는 간섭되면서 슬라이딩도어(20)가 폐쇄되었다는 신호를 자동개폐제어유닛(200)에 전달 한다.
또한 구동모터(M1)에 부하가 발생되는 것에 대한 신호는 상기 도어핀이 자동차(10)의 본체에 삽입되는 신호보다 빠르게 전달되기 때문에 자동개폐제어유닛(200)이 보다 신속하게 슬라이딩도어(20)의 개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동개폐제어유닛(200)은 슬라이딩도어(20)의 개폐여부를 감지하여 슬라이딩도어(20)의 상태에 따른 다음 동작을 준비할 수 있다.
또한 구동모터(M1)에 부하가 발생되는 것에 대한 신호는 상기 도어핀이 자동차(10)의 본체에 삽입되는 신호보다 빠르게 전달되기 때문에 자동개폐제어유닛(200)이 보다 신속하게 슬라이딩도어(20)의 개방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동개폐제어유닛(200)이 슬라이딩도어(20)의 개폐 동작의 신호를 전달 받는 구조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개폐제어유닛(200)이 구비되어 상기 자동모드 및 상기 수동모드를 구현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한편 상기 수동모드에서는 사용자가 핸들(22)을 조작하여 슬라이딩도어(20)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자동개폐제어유닛(200)을 상기 수동모드로 전환하여야 하며, 동력전달유닛(300)은 동작하지 않게 된다.
이렇게 상기 자동모드 및 상기 수동모드로 전환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상기 자동모드만 있을 경우, 사용자가 핸들(22)을 이용하여 도어구동유닛(100)을 조작하려고 하면 구동모터(M1)에 연결되어 있어서 슬라이딩도어(20)의 조작이 쉽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클러치부(340)가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동모드에서는 클러치부(340)가 구동모터(M1)와 도어구동유닛(100)과의 연결이 차단하는 것이다.
또한 슬라이딩도어(20)는 충돌방지부(24)가 구비되어 차량 탑승 간에 사고가 발생되지 않게 한다.
충돌방지부(24)는 슬라이딩도어(20)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센서(미도시)가 및 슬라이딩도어(20)가 폐쇄되는 위치에 물체를 감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라이딩도어(20)에 충돌방지부(24)가 구비되고 자동개폐제어유닛(200)에 의해 슬라이딩도어(20)가 상기 폐쇄방향으로 이동되며 충돌방지부(24)를 통해 동력이 차단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충돌방지부(24)는 슬라이딩도어(20)가 폐쇄되는 방향의 선단에 구비되며 자동개폐제어유닛(200)과 연결되어 있다.
충돌방지부(24)는 슬라이딩도어(20)가 슬라이딩되는 과정에서 물체 또는 신체 일부와 일정수준 이하의 거리에 도달하게 되는 경우 더 이상 상기 폐쇄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고 정지하거나 상기 개방방향으로 움직이도록 충격정보를 통해 자동개폐제어유닛(200)이 슬라이딩도어(20)를 제어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슬라이딩도어(20)가 상기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되고 있다.
이때 충돌방지부(24)는 상기 폐쇄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전방으로 물체를 감지하도록 물체감지센서(미도시)가 포함 된다.
따라서 충돌방지부(24)는 폐쇄되는 중에 차량을 탑승하는 경우에도 순간적으로 인체를 감지하게 되고, 자동개폐제어유닛(200)이 슬라이딩도어(20)를 정지시키게 된다.
이러한 충돌방지부(24)는 슬라이딩도어(20)의 단부에 구비된 상기 도어핀과 연동되어 슬라이딩도어(20)의 움직임을 감지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딩도어(20)가 폐쇄되면서 자동차(10)와 접촉되는 부분에 상기 도어핀 및 충돌방지부(24)가 구비되어 상기 도어핀은 슬라이딩도어(20)가 개방 또는 폐쇄에 따른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도어핀과 함께 감지수단(374)이 내부적인 구조를 가지고 슬라이딩도어(20)가 슬라이딩되는 속도 및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동개폐제어유닛(200)은 슬라이딩도어(20)의 파악된 위치정보를 통해 슬라이딩도어(20)의 개방, 폐쇄 및 정지의 동작의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슬라이딩도어(20)의 개폐여부는 충돌방지부(24) 뿐만 아니라 감지수단(374)를 통해서도 감지가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도어핀 및 감지수단(374)는 자동개폐제어유닛(200)와 연결되어 있어서, 자동차(10)의 이동과 정차 간에 슬라이딩도어(20)의 개폐여부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위해 별도의 디스플레이(미도시)가 콘트롤박스(210)에 장착 될 수 있으며, 이와 연동하여 슬라이딩도어(20)의 개폐구 상부에 등(LIGHT) 및 스피커(SPEAKER)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등 및 스피커는 도어가 개폐됨을 불빛 및 소리를 발생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물체 또는 인체가 감지되면 자동개폐제어유닛(200)은 슬라이딩도어(20)를 상기 개방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는 충돌이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적용이 된다.
충동방지부는 슬라이딩도어(20)가 폐쇄되는 과정에서 물체나 신체 일부가 끼이는 것을 감지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압착센서(미도시)가 포함된다.
상기 압착센서는 외력이 인가되어 압착될 때 전기적인 신호를 외부로 전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충돌방지부(24)는 상기 폐쇄방향의 전방으로 물체 또는 인체의 일부를 감지하거나, 순간적으로 접촉하였을 경우 신호를 발생하여 자동개폐제어유닛(200)이 슬라이딩도어(20)의 이동을 정지시키거나 상기 개방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 상해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자동차(10) 내부에 슬라이딩도어(20)가 개폐되는 방향으로 별도의 카메라가 구비되어 운전석에 디스플레이 되는 방식이 적용되어 승하차 시 사용자는 운전석에서 승하차를 관찰 할 수도 있다.
따라서 카메라는 자동개폐제어유닛(200)에 의해 상하 좌우 이동이 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도어(20)가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상태에서만 구동할 수 있는 형태로 제어할 수 있다.
종합해보면, 본 발명은 간단한 설계변경으로 슬라이딩도어(20)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키트(KIT)로 구성되어 있어서, 허가를 받은 차량을 대상으로 간단하게 슬라이딩도어(20)를 장착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액추에이터(ACTUATOR)의 구조를 가지는 도어구동유닛(100)을 자동차(10) 본체의 상기 레일상에 배치시키고, 구동모터(M1) 및 클러치부(340)가 구비된 동력전달유닛(300)을 자동차(10) 본체 내부에 장착하여 사용자가 자동으로 슬라이딩도어(20)를 제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선택적으로 상기 자동모드를 해제하여 상기 수동모드로 슬라이딩도어(20) 에 구비된 핸들(22)을 통해 사용자가 수동으로 슬라이딩도어(20)를 개폐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이를 통해 어린이가 승하차 하는 자동차(10)에서 사용자는 승하차 하는 인원에게 발생될 수 있는 위험을 최소화 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자동차
20: 슬라이딩도어
22: 핸들
24: 충돌방지부
100: 도어구동유닛
200: 자동개폐제어유닛
210: 컨트롤박스
300: 동력전달유닛
320: 도어연결부
322: 고정브라켓
340: 클러치부
342: 힌지판넬
344: 제1회전부재
346: 제2회전부재
348: 회동스위치
M1: 구동모터
M2: 신축모터
H: 힌지
S: 스프링

Claims (14)

  1.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개폐되도록 슬라이딩 시키며, 개폐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슬라이딩을 잠금시키는 도어구동유닛;
    상기 자동차 내부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슬라이딩도어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상기 도어구동유닛에 신호를 전달하는 자동개폐제어유닛;
    상기 자동차 내부에서 상기 슬라이딩도어에 기계적으로 연결되게 설치되고 선택적으로 구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슬라이딩 도어를 개폐시키는 동력전달유닛;
    를 포함하는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슬라이딩도어와 인접한 상기 자동차 내부에 설치된 고정브라켓에 설치되어 와이어를 감고 풀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슬라이딩 개폐시키는 도어연결부; 및
    일부가 상기 고정브라켓에 힌지 결합되고 상기 도어연결부에 구동력을 제공 또는 차단하도록 연결되어있는 클러치부;
    를 포함하는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클러치부는,
    상기 고정브라켓에 힌지 결합되고 일측에 상기 고정브라켓에서 탄성지지되는 스프링이 구비된 힌지판넬;
    상기 스프링과 인접하게 형성되어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상기 힌지판넬의일측을 상기 고정브라켓을 향해 회동시켜서 고정하는 회동스위치;
    상기 힌지판넬의 일부에 구동모터가 장착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랙앤피니언 방식으로 연결되며 일부에 상기 고정브라켓을 향해 돌기가 형성된 제1회전부재; 및
    상기 고정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도어연결부와 체인으로 연결되며, 일면에 상기 제1회전부재의 돌기가 결합되는 홈이 형성된 제2회전부재;
    를 포함하는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스위치는,
    상기 힌지판넬과 상기 고정브라켓을 관통하는 볼트에 너트를 결합하여 신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폐제어유닛은,
    상기 도어구동유닛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상기 동력전달유닛에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제어하는 자동모드 및 상기 도어구동유닛의 구동여부와 별도로 상기 동력전달유닛에 신호를 제공하여 상기 도어구동유닛에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시키는 수동모드를 포함하는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모드는 상기 제1회전부재가 상기 제2회전부재에 결합되도록 상기 힌지판넬이 이동되며, 상기 수동모드는 상기 제1회전부재가 상기 제2회전부재에서 이격되도록 상기 힌지판넬이 이동되는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폐제어유닛은
    상기 자동차 내부에 상기 자동모드 및 상기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를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컨트롤러가 구비되는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폐제어유닛은
    상기 자동모드 및 상기 수동모드 중 어느 하나에서 차량의 변속기가 주행모드인 경우,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개방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유닛은,
    상기 도어연결부와 상기 클러치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슬라이딩 속도를 감지하는 감지수단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수단은,
    둘레를 따라 적어도 하나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을 통과하도록 광을 조사하여 수광되는 빈도에 따라 속도를 감지하는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폐제어유닛는,
    상기 감지수단을 통해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개폐 속도를 조절하는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개폐제어유닛은,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개폐되면서 상기 구동모터에 발생되는 부하를 감지하여 상기 구동모터를 정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구동유닛은,
    내부와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수동을 조작할 수 있는 핸들을 포함하는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도어의 폐쇄 방향 선단에 장착되는 충돌감지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딩도어가 완전히 닫히기 이전에 충돌이 감지되면, 상기 도어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을 차단하고 상기 슬라이딩도어를 락킹시키는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KR1020170139900A 2017-10-26 2017-10-26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KR1021414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900A KR102141466B1 (ko) 2017-10-26 2017-10-26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9900A KR102141466B1 (ko) 2017-10-26 2017-10-26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288A true KR20190046288A (ko) 2019-05-07
KR102141466B1 KR102141466B1 (ko) 2020-08-05

Family

ID=666560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9900A KR102141466B1 (ko) 2017-10-26 2017-10-26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4146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530A1 (ko) * 2019-12-03 2021-06-10 장영규 와이어 텐션이 유지되는 자동 슬라이딩 도어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36945A (ko) 2022-03-21 2023-10-04 주식회사 윙윙시스템 차량용 슬라이딩 도어의 자동수동 변환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2758Y1 (ko) * 2003-11-18 2004-02-18 석승선 차량용 슬라이딩도어 자동개폐장치
JP3602390B2 (ja) * 1999-11-29 2004-12-15 日産車体株式会社 オートスライドドア装置
KR101300129B1 (ko) * 2012-02-27 2013-08-26 안호경 도어록킹 콘트롤러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슬라이딩도어 자동 개폐장치
JP2016097940A (ja) * 2014-11-26 2016-05-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モジュール
JP2016113758A (ja) * 2014-12-11 2016-06-23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602390B2 (ja) * 1999-11-29 2004-12-15 日産車体株式会社 オートスライドドア装置
KR200342758Y1 (ko) * 2003-11-18 2004-02-18 석승선 차량용 슬라이딩도어 자동개폐장치
KR101300129B1 (ko) * 2012-02-27 2013-08-26 안호경 도어록킹 콘트롤러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슬라이딩도어 자동 개폐장치
JP2016097940A (ja) * 2014-11-26 2016-05-30 アイシン精機株式会社 スライドドアモジュール
JP2016113758A (ja) * 2014-12-11 2016-06-23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開閉制御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12530A1 (ko) * 2019-12-03 2021-06-10 장영규 와이어 텐션이 유지되는 자동 슬라이딩 도어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41466B1 (ko) 2020-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834384B2 (ja) 車両ドア制御方法および車両ドア制御システム
EP2335991B1 (en) Safety foothold for subway platform
JPH10131612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101406628B1 (ko) 차량용 지능형 사이드 스텝 장치
KR20190046288A (ko) 힌지방식 클러치가 적용된 자동 슬라이딩도어모듈
JP3857605B2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US20130067817A1 (en) Door control system
JP2009127301A (ja) 車両用の開閉体の開放防止方法及び開閉体の開放防止装置
JP2007315069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US5383304A (en) Sliding doors
US8167093B2 (en) Power ramp for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159556A1 (en) Method to control entertainment display device
CN113085743B (zh) 车载显示器件
KR101531701B1 (ko) 관절형 플랫폼 스크린도어
JP2007327240A (ja) 開閉体制御装置、パワーウィンドウ装置
JP2007023587A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JP2004230993A (ja) 開閉体の開閉制御装置
KR102129879B1 (ko) 자동차의 슬라이딩도어 제어모듈
JP3565317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JP4220399B2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US20230220719A1 (en) Door hinge device for vehicles
JP4262641B2 (ja) 車両用自動開閉装置
KR20040016736A (ko) 파워 슬라이딩 도어용 안전장치
US11577589B2 (en) Open roof assembly for use in a vehicle and a method for operating same
JP3754227B2 (ja) 車両用スライドドアの自動開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