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3017A -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3017A
KR20190043017A KR1020170134790A KR20170134790A KR20190043017A KR 20190043017 A KR20190043017 A KR 20190043017A KR 1020170134790 A KR1020170134790 A KR 1020170134790A KR 20170134790 A KR20170134790 A KR 20170134790A KR 20190043017 A KR20190043017 A KR 201900430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external electronic
access point
wireless communication
dis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7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5266B1 (ko
Inventor
민현기
이성희
임태훈
홍민화
이선기
강두석
최보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47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5266B1/ko
Priority to PCT/KR2018/012219 priority patent/WO2019078594A1/en
Priority to US16/163,291 priority patent/US11032859B2/en
Publication of KR20190043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30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5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5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10Flow control between communication endpoi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인터넷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0 GHz 내지 100 G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의 지향성(directional)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제2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들에 연관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신을 감지하고, 상기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그 밖의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통신 시스템{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THEREOF}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기술의 발전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가 향상되고 있다. 또한, 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한 다양한 전자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최근에는 밀리미터 웨이브를 사용하는 초고속 무선전송기술 표준이 개발되었다. 밀리미터 웨이브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30~300 GHz의 초고주파수를 사용하는 시스템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밀리미터 웨이브 시스템은 IEEE 802.11ad를 사용하는 시스템으로서 비면허 주파수 대역(예: 60GHz)에서 수 Gbps의 무선 전송 속도를 지원하는 표준 기술일 수 있다. 이 기술은 수 GHz에 달하는 넓은 대역을 이용해 초고화질 영상을 Gbps급으로 초고속 무선 전송을 가능케 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 방식이다.
밀리미터 웨이브 시스템은 30~300 GHz의 초고주파수를 사용함에 따라, 전파의 직진성이 강해지고, 전파 경로 손실이 심각하게 발생하므로, 전파 특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초고주파수를 사용하는 시스템은 빔포밍 기술을 기반으로, 전파의 에너지를 모아서 전송함으로써, 전송 거리를 확보할 수 있다.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이 배치되는 무선 통신 환경에서 전자 장치는 어떤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는지 또는 어떤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는지에 따라 데이터 전송 속도가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장치는 최적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 또는 주파수 대역을 알기 어렵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또는 '서버')는,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전자 장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간의 위치들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에 연결된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제어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 또는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에 따른 데이터 전송률 등을 고려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인터넷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0 GHz 내지 100 G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의 지향성(directional)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제2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들에 연관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신을 감지하고, 상기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은, 인터넷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0 GHz 내지 100 G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의 지향성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메모리들은, 실행 시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프로세서들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1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2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들에 연관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신을 감지하고, 상기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주파수 범위를 이용하여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인터넷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빠른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자 장치에 연결된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해서 다른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제2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 내의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들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들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와의 위치 관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직접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60G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가 다른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 및 주파수 대역에 따른 데이터 전송률 테이블의 예시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 및 서브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장애물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장애물을 고려하여 외부 전자 장치들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환경(100) 내의 전자 장치(101)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네트워크 환경(100)에서 전자 장치(101)는 제 1 네트워크(198) (예: 근거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전자 장치(102)와 통신하거나,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원거리 무선 통신)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서버(108)를 통하여 전자 장치(104)와 통신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력 장치(150), 음향 출력 장치(155), 표시 장치(160), 오디오 모듈(170), 센서 모듈(176), 인터페이스(177), 햅틱 모듈(179), 카메라 모듈(180), 전력 관리 모듈(188), 배터리(189), 통신 모듈(190), 가입자 식별 모듈(196), 및 안테나 모듈(197)을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101)에는, 이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예: 표시 장치(160) 또는 카메라 모듈(180))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 요소가 추가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표시 장치(160)(예: 디스플레이)에 임베디드된 센서 모듈(176)(예: 지문 센서, 홍채 센서, 또는 조도 센서)의 경우와 같이, 일부의 구성요소들이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를 구동하여 프로세서(120)에 연결된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예: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을 제어할 수 있고, 다양한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다른 구성요소(예: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휘발성 메모리(132)에 로드하여 처리하고, 결과 데이터를 비휘발성 메모리(134)에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20)는 메인 프로세서(121)(예: 중앙 처리 장치 또는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이와는 독립적으로 운영되고,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메인 프로세서(121)보다 저전력을 사용하거나, 또는 지정된 기능에 특화된 보조 프로세서(123)(예: 그래픽 처리 장치,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센서 허브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보조 프로세서(123)는 메인 프로세서(121)와 별개로 또는 임베디드되어 운영될 수 있다.
이런 경우, 보조 프로세서(123)는, 예를 들면, 메인 프로세서(121)가 인액티브(예: 슬립)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를 대신하여, 또는 메인 프로세서(121)가 액티브(예: 어플리케이션 수행) 상태에 있는 동안 메인 프로세서(121)와 함께,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표시 장치(160), 센서 모듈(176), 또는 통신 모듈(190))와 관련된 기능 또는 상태들의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보조 프로세서(123)(예: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는 기능적으로 관련 있는 다른 구성 요소(예: 카메라 모듈(180) 또는 통신 모듈(190))의 일부 구성 요소로서 구현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 또는 센서모듈(176))에 의해 사용되는 다양한 데이터,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예: 프로그램(140)) 및, 이와 관련된 명령에 대한 입력 데이터 또는 출력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휘발성 메모리(132)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13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140)은 메모리(130)에 저장되는 소프트웨어로서, 예를 들면, 운영 체제(142), 미들 웨어(144) 또는 어플리케이션(146)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실행 시에, 프로세서(120)가 인터넷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와 무선 통신 회로(192)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액세스 포인트는 외부 장치(미도시)와 제2 무선 통신 채널이 형성되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외부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 회로(192)를 이용하여 외부 장치에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무선 통신 회로는 60 GHz 주파수 대역의 방향성 통신을 지원하고, 프로세서(120)는, 60 GHz 주파수 대역에 따라 외부 장치에 직접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입력 장치(150)는, 전자 장치(101)의 구성요소(예: 프로세서(120))에 사용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예: 사용자)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마이크, 마우스, 또는 키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음향 출력 장치(155)는 음향 신호를 전자 장치(101)의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멀티미디어 재생 또는 녹음 재생과 같이 일반적인 용도로 사용되는 스피커와 전화 수신 전용으로 사용되는 리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리시버는 스피커와 일체 또는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 장치(160)는 전자 장치(101)의 사용자에게 정보를 시각적으로 제공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홀로그램 장치, 또는 프로젝터 및 해당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장치(160)는 터치 회로(touch circuitry) 또는 터치에 대한 압력의 세기를 측정할 수 있는 압력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오디오 모듈(170)은 소리와 전기 신호를 쌍방향으로 변환시킬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오디오 모듈(170)은, 입력 장치(150)를 통해 소리를 획득하거나, 음향 출력 장치(155), 또는 전자 장치(10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예: 스피커 또는 헤드폰))를 통해 소리를 출력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전자 장치(101)의 내부의 작동 상태(예: 전력 또는 온도), 또는 외부의 환경 상태에 대응하는 전기 신호 또는 데이터 값을 생성할 수 있다. 센서 모듈(176)은,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 센서, IR(infrared) 센서, 생체 센서, 온도 센서, 습도 센서, 또는 조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177)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할 수 있는 지정된 프로토콜을 지원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인터페이스(177)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SD카드 인터페이스, 또는 오디오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단자(178)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 예를 들면, HDMI 커넥터, USB 커넥터, SD 카드 커넥터, 또는 오디오 커넥터(예: 헤드폰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전기적 신호를 사용자가 촉각 또는 운동 감각을 통해서 인지할 수 있는 기계적인 자극(예: 진동 또는 움직임) 또는 전기적인 자극으로 변환할 수 있다. 햅틱 모듈(179)은, 예를 들면, 모터, 압전 소자, 또는 전기 자극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80)은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80)은 하나 이상의 렌즈, 이미지 센서, 이미지 시그널 프로세서, 또는 플래시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관리 모듈(188)은 전자 장치(101)에 공급되는 전력을 관리하기 위한 모듈로서, 예를 들면, PMIC(power management integrated circuit)의 적어도 일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배터리(189)는 전자 장치(101)의 적어도 하나의 구성 요소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로서, 예를 들면, 재충전 불가능한 1차 전지, 재충전 가능한 2차 전지 또는 연료 전지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1)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8))간의 유선 또는 무선 통신 채널의 수립, 및 수립된 통신 채널을 통한 통신 수행을 지원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프로세서(120)(예: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와 독립적으로 운영되는, 유선 통신 또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하나 이상의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모듈(192)(예: 셀룰러 통신 모듈, 근거리 무선 통신 모듈, 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통신 모듈) 또는 유선 통신 모듈(194)(예: LAN(local area network) 통신 모듈, 또는 전력선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그 중 해당하는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제 1 네트워크(198)(예: 블루투스, WiFi direct 또는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같은 근거리 통신 네트워크) 또는 제 2 네트워크(199)(예: 셀룰러 네트워크, 인터넷,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예: LAN 또는 WAN)와 같은 원거리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상술한 여러 종류의 통신 모듈(190)은 하나의 칩으로 구현되거나 또는 각각 별도의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모듈(192)은 가입자 식별 모듈(196)에 저장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 내에서 전자 장치(101)를 구별 및 인증할 수 있다.
안테나 모듈(197)은 신호 또는 전력을 외부로 송신하거나 외부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시예에 따르면, 통신 모듈(190)(예: 무선 통신 모듈(192))은 통신 방식에 적합한 안테나를 통하여 신호를 외부 전자 장치로 송신하거나,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상기 구성요소들 중 일부 구성요소들은 주변 기기들간 통신 방식(예: 버스, GPIO(general purpose input/output), SPI(serial peripheral interface), 또는 MIPI(mobile industry processor interface))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신호(예: 명령 또는 데이터)를 상호간에 교환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명령 또는 데이터는 제 2 네트워크(199)에 연결된 서버(108)를 통해서 전자 장치(101)와 외부의 전자 장치(104)간에 송신 또는 수신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2, 104) 각각은 전자 장치(101)와 동일한 또는 다른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에서 실행되는 동작들의 전부 또는 일부는 다른 하나 또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가 어떤 기능이나 서비스를 자동으로 또는 요청에 의하여 수행해야 할 경우에, 전자 장치(101)는 기능 또는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실행시키는 대신에 또는 추가적으로, 그와 연관된 적어도 일부 기능을 외부 전자 장치에게 요청할 수 있다. 상기 요청을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는 요청된 기능 또는 추가 기능을 실행하고, 그 결과를 전자 장치(101)로 전달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1)는 수신된 결과를 그대로 또는 추가적으로 처리하여 요청된 기능이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예를 들면, 클라우드 컴퓨팅, 분산 컴퓨팅, 또는 클라이언트-서버 컴퓨팅 기술이 이용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는 무선 통신 회로(예: 무선 통신 모듈(192)), 상기 무선 통신 회로(19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120), 및 상기 프로세서(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13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130)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120)가, 인터넷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무선 통신 회로(192)는 60 GHz 주파수 범위의 지향성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120)가, 상기 60 GHz 주파수 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예: 전자 장치(101))의 블럭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예: 인터페이스(177)), 무선 통신 회로(220)(예: 무선 통신 모듈(192)), 프로세서(230)(예: 프로세서(120)) 및 메모리(240)(예: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액세스 포인트(예: 도 3의 전자 장치(301, 302, 303)) 또는 서버(예: 도 1의 서버(108))로 구체화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는, 전자 장치(201)가 다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2) 또는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예: 서버(108))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인터넷에 연결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220)(예: 통신 모듈(190))는, 특정 주파수 범위에 대한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회로(220)는, 20 GHz 내지 100 G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의 지향성(directional)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무선 통신 회로(220)가 지원하는 주파수 범위는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회로(220)가 복수의 주파수 범위에 해당하는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 경우 무선 통신 회로(220)는 주파수 범위에 따라 각각의 무선 통신 회로 및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회로(220)는 2.5 GHz 또는 5 GHz의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제1 회로 및 제1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고, 이와 별도로 60 GHz의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한 제2 회로 및 제2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회로(220)는, 다양한 주파수 범위의 무선 통신을 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하나의 회로 및 안테나로 설계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무선 통신 회로(220)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1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무선 통신 회로(220)를 이용하여 제2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연관된 정보를 기반으로 상대적 위치들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를 기준으로 제1 외부 전자 장치까지의 거리 및 방향을 획득하고, 전자 장치(201)를 기준으로 제2 외부 전자 장치까지의 거리 및 방향을 획득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들에 연관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가 외부 전자 장치들의 위치들에 연관된 정보를 결정하는 다양한 실시예들은,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프로세서(230)는, 전자 장치(201)를 통한,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신을 감지할 수 있고,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들에 연관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가 상기 주파수 범위로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는, 60 GHz 주파수 범위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제2 외부 전자 장치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는, 60 GHz 주파수 대역 지원 여부에 따라 다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다른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제2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는, 60 GHz 주파수 대역을 통한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는 전자 장치(201)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제2 외부 전자 장치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지원하는 무선 통신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고,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60GHz 주파수 대역에 대하여 정해진 임계 값(threshold) 이내인지 확인하고,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직접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에 있어, 전자 장치(201)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의 데이터 전송률,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의 데이터 전송률, 또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의 데이터 전송률을 각각 추정하여, 가장 데이터 전송률이 높은 것을 선택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다양한 경우의 데이터 전송률을 비교하기 위해서,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전자 장치(201) 또는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액세스 포인트)간의 거리, 거리 및 주파수 대역에 따른 데이터 전송률(data rate), 또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채널 이용률(channel utilization) 등 데이터 전송 속도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변수를 고려할 수 있다.
60 GHz 주파수 대역의 무선 통신의 경우, 전파의 직진성 특징 때문에 직선 경로 상의 장애물이 있는 경우 데이터 통신 자체가 불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모두 60 GHz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고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가 충분히 가까운 경우에도 두 장치 사이의 직선 경로 상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프로세서(23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직접 데이터 통신하는 것 대신, 전자 장치(201)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장애물이 존재하는지 확인하고, 장애물이 존재하는 경우 장애물을 회피하여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직선 경로 상에 사람이 발견되는 경우, 60GHz 주파수 대역의 직접 무선 통신이 어려울 수 있기 때문에 전자 장치(201)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5GHz 주파수 대역에 따라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각각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여 두 장치 간의 직접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데이터 패킷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BTM(BSS(base station system) transition management) 프레임 또는 액션 프레임(action frame)을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제2 외부 전자 장치 또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거리 및 방향 정보를 전달함으로써 직접 데이터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는 수신한 상대방에 대한 거리 및 방향 정보에 기초하여 60 GHz 주파수 대역의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도 7을 참조하여 프로세서(230)가 외부 전자 장치들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일실시예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201)는 인터넷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 20 GHz 내지 100 G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의 지향성(directional)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회로(220),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10)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2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230),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24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240)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230)가,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2))와 상기 무선 통신 회로(220)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도 1의 전자 장치(104))와 상기 무선 통신 회로(220)를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의 위치들에 연관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전자 장치(201)를 통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 사이의 통신을 감지하고, 상기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가 상기 주파수 범위로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의 위치들에 연관된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201)를 기준으로 방향 및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03)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거리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파수 범위는 60GHz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03)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가 상기 전자 장치(201)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가 다른(another) 전자 장치(미도시)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03)는, 거리 및 대역폭에 따른 데이터 전송률(data rate)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03)는, 대역폭에 대한 채널 이용률(channel utilization)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03)는, 상기 전자 장치(201)에 대한 홉 카운트(hop count)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03)는, 상기 전자 장치(201)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에 대한 거리의 합보다 작은 거리의 합을 가지는 다른(another) 전자 장치(미도시)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가 상기 다른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03)는, 60GHz 주파수 대역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201)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에 대한 제1 거리 및 제1 각도를 획득하고, 상기 60GHz 주파수 대역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201)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에 대한 제2 거리 및 제2 각도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거리, 제2 거리, 제1 각도 및 상기 제2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 사이의 거리 및 각도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03)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 사이의 직선 경로 상에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 간의 직접 연결을 방해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을 고려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03)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203)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가 서로 직접 연결하는 동안,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102)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104) 사이의 직선 경로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이 발견되는지 여부를 정해진 주기에 따라 확인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외부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이다. 도 3은 IEEE 802.11ad 기반의 시스템 또는 802.11 WLAN 시스템과 802.11ad 60GHz 통신을 동시에 지원하는 시스템(300)에서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 역할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들(예: 제1 전자 장치(301), 제2 전자 장치(302), 제3 전자 장치(303))과 다수의 클라이언트 역할을 수행하는 외부 전자 장치들(예: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이 존재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예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네트워크 환경을 하나의 서비스 셋(SS, service set)라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셋 내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들(예: 제1 전자 장치(301), 제2 전자 장치(302), 제3 전자 장치(303))는 동일한 서비스 셋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들(예: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감지할 수 있고, 데이터 통신이 감지된 외부 전자 장치들(예: 310, 320) 사이에서 서로 직접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비스 셋에 포함된 서버(예: 도 2의 전자 장치(201))(도 3에서 미도시)는 서비스 셋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예: 301, 302, 303)를 이용하여 서비스 셋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예: 310, 320)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할 수 있고, 서비스 셋에 포함된 외부 전자 장치들(예: 310, 320) 간의 직접 데이터 연결을 제어할 수 있다.
도 3의 적어도 하나의 전자 장치(301, 302, 303)는 도 1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101 또는 201)(예: 프로세서(120) 또는 프로세서(230))의 구성 요소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내지 제3 전자 장치(301, 302, 303)는 제1 전자 장치 내지 제3 전자 장치(301, 302, 303)에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310, 320)에 대하여 거리 및 각도를 추정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내지 제3 전자 장치(301, 302, 303)는 추정된 거리 및 각도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시에 연결될 제1 전자 장치 내지 제3 전자 장치(301, 302, 303) 및 사용할 주파수 대역을 결정하고, 제1 전자 장치 내지 제3 전자 장치(301, 302, 303)에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310, 320) 간의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1 전자 장치 내지 제3 전자 장치(301, 302, 303)는,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이거나 서버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외부 전자 장치(310, 320)는 예를 들어, 휴대 장치, 노트북, 태블릿 또는 TV일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 내지 제3 전자 장치(301, 302, 303) 중 어느 하나는 백앤드(backend)(예: 인터넷(360))에 연결되는 액세스 포인트로써, 모뎀(modem) 또는 무선랜 컨트롤러(wireless LAN controller)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서는 제3 전자 장치(303)가 모뎀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 내지 제3 전자 장치(301, 302, 303)는 인터넷(360)과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301)에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연결되고, 제1 전자 장치(301)는 제1 전자 장치(301)를 통한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통신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대한 위치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2 전자 장치(302)에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연결되고, 제2 액세스 포인트(302)가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통신을 감지하고,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대한 위치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301)에 제1 외부 전자 장치(310)가 연결되고, 제2 전자 장치(302)에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연결되고, 제1 전자 장치(301) 또는 제2 전자 장치(30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통신을 감지할 수 있다. 제1 전자 장치(301) 또는 제2 전자 장치(302)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대한 위치에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서비스 셋 내에 위치한 복수의 전자 장치들(301, 302, 303) 각각은, 외부 전자 장치(310, 320)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기 전에, 즉 미리 복수의 전자 장치들(301, 302, 303)에 대한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전자 장치는 주변을 스캔하는 동작을 수행하거나, 모든 전자 장치의 정보를 알고 있는 장치(예: 모뎀 또는 무선랜 컨트롤러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 또는 서버)로부터 정보를 받을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비스 셋 내에 포함된 서버(미도시)는 복수의 전자 장치들(301, 302, 303)에 연결되는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들(310, 320)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복수의 전자 장치들(301, 302, 303) 중 어떤 전자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에 대한 데이터 전송률을 각 외부 전자 장치들(310, 320)과 전자 장치들(301, 302, 303)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추정할 수 있고, 추정된 데이터 전송률 중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지는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복수의 전자 장치들(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는 IEEE 802.11ad 기반의 통신 시스템에서 제1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제1 전자 장치(301))는, 제1 전자 장치에 연결된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휴대 장치, 노트북 등)에 대하여, 거리 및 각도를 추정하여,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이 필요한 경우, 통신이 필요한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 및 각도를 계산하고, 추정된 거리를 기반으로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통신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제1 전자 장치(301)에 연결된 하나의 외부 전자 장치(310)에 대하여 인터넷(360)을 통한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 제1 전자 장치(301)는 제1 전자 장치(301)와 서비스 셋 내의 다른 전자 장치들(302, 303)을 모두 고려하여, 가장 데이터 전송률이 높을 것으로 추정되는 데이터 경로를 선택하여, 외부 전자 장치(310)에 대한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도 있다. 다양한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전자 장치(301)에 제1 외부 전자 장치(310)가 연결되고, 서비스 셋 내의 제2 전자 장치(302)에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연결된 경우에도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간의 데이터 통신이 필요한 경우에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간의 최적의 데이터 전송 속도를 가지는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선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시스템(300)은,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예: 제1 전자 장치(301), 제2 전자 장치(302), 제3 전자 장치(303) 등)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301,302,303) 각각은, 인터넷(예: 인터넷(360))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0GHz 내지 100G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의 지향성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301,302,303)의 메모리들은, 실행 시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301,302,303)의 프로세서들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예: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1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2 외부 전자 장치(예: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와 제2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의 위치들에 연관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301,302,303)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통신을 감지하고, 상기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상기 주파수 범위를 이용하여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301,302,303)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에 대한 방향 및 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301,302,303)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대한 방향 및 거리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301,302,303)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거리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주파수 범위는 60GHz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301,302,303)의 프로세서들은,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301,302,303)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310)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301,302,303)의 각각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들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301,302,303)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320)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301,302,303)의 각각에 대한 제2 위치 정보들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들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들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와 가장 가까운 제1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고, 및 상기 선택된 제1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도 2의 전자 장치(201) 또는 프로세서(230), 도 3의 전자 장치(301, 302, 303))가 외부 전자 장치들(예를 들어, 도 3의 외부 전자 장치(310,320))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410 동작에서,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에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무선 통신 회로(220)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1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제2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할 수 있다.
420 동작에서, 프로세서(23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들에 연관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위치들에 연관된 정보는, 전자 장치(201)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까지 거리 및 방향을 포함할 수 있고, 전자 장치(201)에서 제2 외부 전자 장치까지의 거리 및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에 연관된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제1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LoS(line of sight)를 확인하여 60GHz 주파수 대역의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한 경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60GHz 주파수 대역에 따라 무선 통신 연결하고, 두 장치 간의 빔 포밍 각도 및 신호 강도를 기반으로 제1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LoS를 확인하여 60GHz 주파수 대역의 무선 통신 연결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다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전자 장치(302))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 패킷을 수신하고, 전자 장치(201), 다른 전자 장치 및 제1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하여 삼각측량법을 적용하여, 전자 장치(201)로부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는, 서비스 셋 내에 위치한 다른 전자 장치들에 대하여 미리 저장된 위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는, 두 개의 전자 장치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전자 장치(2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프로세서(230)는,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서,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동일하게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거리 및 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가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들에 연관된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은 이하 도 8에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430 동작에서, 프로세서(230)는, 전자 장치(201)를 통한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신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는 제2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데이터 패킷, 또는 명령 등을 전자 장치(201)에 전송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30)는, 수신한 데이터 패킷 또는 명령에 기초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신을 감지할 수 있다.
440 동작에서, 프로세서(230)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들에 연관된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20 GHz 내지 100 G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에 따라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들에 연관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 및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거리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로세서(23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 및 방향에 기초하여, 20 GHz 내지 100 GHz 사이의 주파수 범위 중 제1 주파수 범위에 따라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 범위는 60GHz 주파수 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전자 장치(201)를 이용하여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거나,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다른(another)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거나 또는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각 경우의 데이터 전송 경로에 따른 데이터 전송률, 즉 데이터 전송 속도를 추정하여 가장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른 경로를 선택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프로세서(23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 제2 외부 전자 장치, 전자 장치들 사이의 거리에 기초하여 무선 통신하는 두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데이터 전송 속도가 빠르고, 데이터 신호의 세기가 크다고 추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데이터 전송률에 영향을 주는 정해진 주파수 대역에 할당된 채널 이용률, 무선 통신하는 두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장애물 여부 등을 고려하여 데이터 전송률을 보다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전자 장치(201)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경우, 제1 무선 통신 채널 및 제2 무선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수신한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두 전자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직접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경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거리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한 데이터 패킷을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에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거리 및 방향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액션 프레임을 이용하거나, TDLS(tunneled direct link setup)을 통해 셋업 요청 프레임을 이용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230)는, 다른 전자 장치(예: 도 3의 제2 전자 장치(302))를 이용한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경우, BSS 트랜지션 매니지먼트(BSS transition management)를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에 다른 전자 장치(302)의 거리 및 방향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제1 액세스 포인트(301), 제2 액세스 포인트(302)또는 제3 액세스 포인트(303))가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들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제1 액세스 포인트(301))가 제1 외부 전자 장치(3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제2 외부 전자 장치(320)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상황을 예시한 일 예이다.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무선 통신 채널(501)을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통신 채널(502)을 통해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로부터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요청을 감지하면, 무선 통신 채널(501)을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31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무선 통신 채널(502)을 통해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수신한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제1 액세스 포인트(301))가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서로 직접 데이터를 전송 하도록 제어하는 상황을 예시한 일 예이다.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무선 통신 채널(501)을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통신 채널(502)을 통해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거리 및 방향을 확인하고,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320)의 직접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직접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한 경우,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로부터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위한 요청을 감지하면,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서로의 위치를 전송하고, 서로 직접 데이터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310)는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와 직접 무선 통신 채널(503)을 형성하고, 무선 통신 채널(503)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 및 수신할 수 있다.
도 5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엑세스 포인트(301))가 다른 액세스 포인트(예: 제2 엑세스 포인트(302))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이다.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무선 통신 채널(501)을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연결될 수 있고, 무선 통신 채널(502)을 통해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와 연결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2 액세스 포인트(302)에 대한 위치를 확인하고,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액세스 포인트(302)에 대한 거리 및 방향을 추정할 수 있고,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와 제2 액세스 포인트(302)에 대한 거리 및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도 5a의 경우 또는 도 5b의 경우와 비교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가 제2 액세스 포인트(302)을 통해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 데이터 전송 속도가 가장 빠르다고 판단한 경우, 제2 액세스 포인트(302)를 통해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데이터 통신 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제2 액세스 포인트(302)의 위치에 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고, 제1 외부 전자 장치(310)는 제2 액세스 포인트(302)의 위치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액세스 포인트(302)와 무선 통신 채널(504)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외부 전자 장치(320)는 제2 액세스 포인트(302)와 무선 통신 채널(505)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310)는, 무선 통신 채널(504)을 통해 제2 액세스 포인트(302)에 데이터를 전송하고, 제2 액세스 포인트(302)는 수신한 데이터를 무선 통신 채널(505)을 통해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전송할 수 있다.
도 5d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제1 액세스 포인트(301), 제2 액세스 포인트(302) 또는 도 2의 전자 장치(201))가 전자 장치(예: 제1 액세스 포인트(301)에 연결된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다른 전자 장치(예: 제2 액세스 포인트(302))에 연결된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감지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제어하는 상황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이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310)는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 제1 액세스 포인트(301)와 무선 통신 채널(501)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제2 외부 전자 장치(31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데이터 통신을 하기 위해 제2 액세스 포인트(302)와 무선 통신 채널(502)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도 2의 전자 장치(2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감지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310)는 제1 액세스 포인트(301)에 연결되고, 제2 외부 전자 장치(320)는 제2 액세스 포인트(302)에 연결되어, 제1 액세스 포인트(301) 및 제2 액세스 포인트(302)를 통한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데이터 통신을 감지할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의 위치들에 대한 정보를 결정하고,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거리 및 지원 가능한 주파수 대역 등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와 무선 통신 채널(503)을 통해 서로 직접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2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의 거리가 60 GHz 주파수 대역으로 통신이 가능한 거리에 해당하고,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60 GHz 주파수 대역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서로의 위치 정보를 포함하는 데이터 패킷을 전송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할 수 있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제1 액세스 포인트)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위치 관계를 판단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이다. 도 6a를 참조하면, 하나의 서비스 셋 내에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제1 액세스 포인트(301), 제2 액세스 포인트(302) 및 제3 액세스 포인트(303)) 및 복수의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포함될 수 있다. 도 6a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액세스 포인트(3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사이의 거리(d1), 제1 액세스 포인트(30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거리(d2) 및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각도(θ3)로부터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거리(d3)를 산출할 수 있다. 먼저,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위치를 알고 있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302)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에 대한 거리 및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면,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에 대한 거리 및 방향을 획득하기 위해서,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에 대하여 FTM(fine timing measurement) 및 AOA(angle of arrival)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2 액세스 포인트(302)에 대한 거리 및 방향을 미리 알고 있다고 가정한다. 예를 들어, 제1 액세스 포인트(301), 제2 액세스 포인트(302) 및 제3 액세스 포인트(303)는 이동성이 적으며 실내 위치 정보 또는 실내 측위 정보를 기반으로 서로의 위치를 알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3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간의 거리를 a, 제1 액세스 포인트(301)와 제2 액세스 포인트(302) 간의 거리를 b, 그리고 제2 액세스 포인트(302)와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간의 거리를 c로 둔다. 삼각형의 각 변 a, b, c에 대응되는 꼭지각을 각각 A, B, C로 두었을 때,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에 대한 FTM 및 AOA를 통해,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의 거리 (a) 및 각도 (θ1)와 제 2 액세스 포인트(302)와의 거리 (b) 및 각도 (θ2)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액세스 포인트(301)를 중심으로 한 좌표계(x 축 및 y축)를 기준으로 x 축으로부터 제2 액세스 포인트(302)까지의 방향에 대한 각도(θ1)를 획득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로부터 x축까지의 방향에 대한 각도(θ2)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값들을 이용하여 순서대로 꼭지각 C와 변 c를 구한 후, 꼭지각 B와 A를 구할 수 있다.
먼저, 꼭지각 C 는 수학식 1과 같이 θ1과 θ2의 각도의 차를 이용하여 구할 수 있다.
Figure pat00001
다음으로 코사인법칙을 이용하여, 변 c의 값을 수학식 2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2
또한, 사인법칙을 이용하여 A와 B의 각도를 하기의 수학식 3과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3
이와 같은 방법으로,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에 대한 거리 및 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 동일한 방법으로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대한 거리 및 방향도 획득할 수 있다.
다시 도 6a를 참조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에 대한 거리(d1) 및 방향과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대한 거리(d2) 및 방향에 기초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거리(d3) 및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상기 거리 및 방향들에 기초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직접 데이터 전송(예: WiFi direct)을 수행하도록 제어할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301)를 통해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도 5a의 경우).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에서 직접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다(도 5b의 경우).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2 액세스 포인트(302)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a의 산출된 거리 정보(d1, d2, d3)를 이용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301)가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320)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하는 일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거리 d3가 미리 정해진 거리 문턱값(threshold) 보다 클 경우에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간의 직접 데이터 전송은 적절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 문턱값은 실험을 통해 60GHz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에 부적합한 한계 거리로 결정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거리(d3)가 미리 정해진 거리 문턱값 이하인 경우,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거리(d3)를 기반으로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의 링크 속도(link speed) 또는 데이터 전송률(data rate)을 추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거리 및 주파수 대역에 따른 데이터 전송률에 대한 실험적인 데이터를 이용한 데이터 테이블을 이용할 수 있으며, 도 10에서 상세히 설명하겠다. 또는,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거리에 대한 링크 속도가 비례한다고 가정하고, 직접 연결 시의 링크 속도를 추정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3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의 링크 속도를 r1이라고 하고, 제1 액세스 포인트(30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와의 링크 속도를 r2라고 할 때,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 2 외부 전자 장치(320)의 링크 속도를 rdirect라 두고,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rdirect를 예를 들어 하기의 수학식 4와 같이 추정할 수 있다.
Figure pat00004
상기 수학식 4에서 i), ii)는 거리와 링크 속도가 선형 비례한다고 가정하고, rdirect를 추정하였으며, iii), iv)의 경우는 1차 선형 함수로 표현이 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d3에 대하여 d1과 d2 중 더 가까운 값 하나만을 선택하고, 거리와 링크 속도에 대한 비례식으로 유도한 결과이다.
제1 외부 전자 장치(310)가 제1 액세스 포인트(301)를 이용하여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의 링크 속도를 rAP 라고 할 때, 하기의 수학식 5와 같이 계산할 수 있다.
Figure pat00005
상기 수학식 5에서, 홉 카운트(hop count)는 인터넷에 연결되기 위해 거쳐야 하는 액세스 포인트 수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 A와 액세스 포인트 B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고, 액세스 포인트 A가 바로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고, 나머지 액세스 포인트 B가 다른 액세스 포인트(A)를 거쳐야만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 A의 홉 카운트는 1일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 B의 홉 카운트는 2일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수학식 4를 이용하여 rdirect 를 계산하고, 수학식 5를 이용하여 rAP 를 계산하여, rdirect 과 rAP 중 더 큰 값의 경로를 선택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대한 데이터 전송 경로로 결정할 수 있다. 만약, rdirect 값이 rAP 값보다 클 경우, 예를 들어, 도 5b와 같이,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의 직접 데이터 통신에 대한 셋업을 중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전자 장치(310)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TDLS (tunneled direct link setup) 셋업 요청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만약, rdirect 값이 rAP 값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예를 들어 도 5a와 같이, 제1 액세스 포인트(301)을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데이터 전송을 하도록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가 제2 액세스 포인트(302)를 이용하여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의 링크 속도를 rAP2라고 할 때, 제2 액세스 포인트(302)와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의 링크 속도를 r3, 제2 액세스 포인트(302)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와의 링크 속도를 r4라 두고, 수학식 5의 r1에 r3을 대입하고, r2에 r4를 대입하면 rAP 대신 rAP2를 산출할 수 있다. rAP2를 rdirect 및 rAP와 비교하여, rAP2가 가장 큰 값에 해당하는 경우,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예를 들어, 도 5c와 같이 제2 액세스 포인트(302)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데이터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제1 액세스 포인트(301))가 외부 전자 장치(310, 320) 간의 직접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에 대하여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와 직접 데이터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에서 제2 외부 전자 장치(320)로 데이터 전송 시에 이용할 수 있는 상대적인 각도(A)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310)로 데이터 전송 시에 이용할 수 있는 상대적인 각도(B)를 TDLS 셋업 요청 프레임(TDLS setup request frame)을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에 전송할 수 있다.
701 동작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TDLS 셋업 요청에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간의 상대적인 각도(B, A) 정보를 포함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액세스 포인트(301)가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에 전송하는 TDLS 셋업 요청에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에서 제2 외부 전자 장치(320)로 전송 시에 이용할 수 있는 상대적인 각도 B 값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310)로 전송 시에 이용할 수 있는 상대적인 각도 A 값을 B, A 순으로 제1 액세스 포인트(301)가 정보 필드(information field)에 실어 보낼 수 있다.
702 동작에서, TDLS 셋업 요청에 응답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가 TDLS 셋업 응답을 제1 액세스 포인트(301)에 전송할 수 있다. TDLS 셋업 응답 프레임에도 정보 필드에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간의 상대적인 각도(B, A)를 포함시킬 수 있다.
703 동작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로부터 수신한 TDLS 셋업 응답 신호에 대응하여, TDLS 응답 신호를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전송하는 TDLS 셋업 요청에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310)로 데이터 전송 시에 이용할 수 있는 상대적인 각도 A 값 및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에서 제2 외부 전자 장치(320)로 전송 시에 이용할 수 있는 상대적인 각도 B 값을 A, B 순으로 정보 필드(information field)에 실어 보낼 수 있다.
704 동작에서 제2 외부 전자 장치(320)는 TDLS 셋업 응답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TDLS 셋업 확인 신호를 제1 액세스 포인트(301)에 전송할 수 있다.
705 동작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의 TDLS 셋업 확인 신호를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에 전달함으로써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대한 직접 연결을 위한 셋업을 완료할 수 있다.
706 동작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310)는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직접 데이터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는 802.11ad에서 정의된 섹터 레벨 스윕 프로토콜(sector level sweep (SLS) protocol)을 이용하여 빔 트레이닝을 수행할 때, 제1 외부 전자 장치(310)가 제1 액세스 포인트(301)와 송수신에 사용한 빔 방향으로부터 B만큼 각도를 변경한 섹터 아이디(sector ID)를 기반으로 제한된 영역에 대하여 섹터 스윕 패킷(sector sweep (SSW) packet)을 전송함으로써 효율적인 SLS 빔 트레이닝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707 동작에서 제2 외부 전자 장치(320)는 A 각도 값을 이용하여 제한된 영역에 대하여 SSW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이 완료되면, 708 동작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는 제1 액세스 포인트에 TDLS 해제 요청(teardown request)를 전송함으로써, 일련의 동작(709 동작 내지 711 동작)을 수행하고, 제1 외부 전자 장치와의 직접 연결을 해제할 수 있다. 708 동작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310)가 제1 액세스 포인트(301)에 TDLS 해제 요청을 전송하면, 709 동작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TDLS 해제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710 동작에서, 제2 외부 전자 장치(320)는 TDLS 해제 확인 신호를 제1 액세스 포인트(301)에 전송하고, 711 동작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에 TDLS 해제 확인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의 데이터 통신(707 동작 및 708 동작)은 제1 액세스 포인트(301)를 통해 중계될 수 있고,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의 무선 통신 해제 역시 제1 액세스 포인트(301)를 통해 중계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60G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예를 들어, 802.11ad 60GHz 무선 통신은 2.4GHz/5GHz WLAN 시스템과 비교하여, 매우 정밀한 거리 추정 및 각도 추정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예: 액세스 포인트(301))는 802.11ad 60GHz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거리(d1, d2) 및 각도(θ3)를 정확하게 추정할 수 있다.
810 동작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301)에 외부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연결될 수 있다.
820 동작에서, 액세스 포인트(301)는 외부 전자 장치가 60GHz 주파수 대역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지 확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301)는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주파수 대역이 60GHz 인 경우, FTM(fine timing measurement) 및 AOA(angle of arrival)를 수행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거리 및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는 액세스 포인트(301)는, 외부 전자 장치가 연결된 주파수 대역을 확인하고 확인된 주파수 대역이 60GHz가 아닌 경우, 별도로 외부 전자 장치가 60GHz 무선 통신을 지원하는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는 IEEE 802.11 매니지먼트 프레임(management frame) (예를 들어 비콘(beacon),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 또는 연결 응답(association response) 등의 매체 접근 제어 프레임(MAC frame))에 포함된 정보 필드(information field)에서 다수 대역폭 요소 필드(multi band element filed)를 이용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는 외부 전자 장치의 다수 대역폭 요소 필드(multi band element field)를 확인하여,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의 60GHz 지원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301)는, 외부 전자 장치가 60 GHz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830 동작에서, 액세스 포인트(301)는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ion; 수신 전계 강도)가 제1 임계값 이상이고, LoS(light of sight) 환경에 해당하는지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301)에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가 60GHz를 지원할 경우, 액세스 포인트(301)는, 2.4GHz 또는 5GHz 통신을 통해 RSSI 정보 혹은 채널 상태 정보(channel state information)을 통해 LoS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301)는 외부 전자 장치가 60GHz 주파수 대역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환경인지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RSSI가 제1 임계값 이상이거나 LoS 환경으로 판단이 되면, 외부 전자 장치가 60GHz 주파수 대역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환경으로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제1 임계값은 2.4GHz/5GHz RSSI 값에 대하여, 60GHz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되는 RSSI 값으로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LoS 여부는 채널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할 수 있으며, 통계적 특성의 첨예도 혹은 비대칭도 등의 값을 실험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RSSI가 제1 임계값 이상이고, LoS 환경이 가능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301)는, 외부 전자 장치가 60 GHz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고 판단된 경우,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60GHz 무선 통신을 활성화(enable)시키고, 60GHz 무선 통신을 기반으로 FTM 및 AOA를 수행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외부 전자 장치와의 거리 및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840 동작에서, 액세스 포인트(301)는 60G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FTM을 수행하여 액세스 포인트(301)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301)는 IEEE 802.11 스펙에 정의된 FTM을 수행하여 액세스 포인트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왕복 시간(round trip time; RTT)를 측정함으로써 거리를 추정할 수 있다.
850 동작에서, 액세스 포인트(301)는 60G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AOA를 수행하여 액세스 포인트(301)와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방향(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301)는 60GHz 주파수 대역의 구간 배열 안테나(phased array antenna)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방향(각도)를 추정할 수 있다.
860 동작에서, 액세스 포인트(301)는, 상기 획득한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거리 및 방향에 기초하여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는 액세스 포인트(301)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상대적인 거리 및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301)는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가 60GHz 주파수 대역의 무선 통신이 가능하지 않은 경우 또는 RSSI가 제1 임계값 미만이거나 LoS 환경이 가능하지 않다고 판단된 경우, 870 동작에서, 액세스 포인트는, 60GHz 주파수 외의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Hz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위치를 알고 있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하고, 데이터 패킷 송수신에 소요되는 시간에 삼각 측량법을 적용하거나 통계적으로 산출된 시간에 대한 거리의 비례 관계를 적용함으로써 액세스 포인트(301)로부터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상대적인 거리 및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301)는 다른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해서도 동일한 방법으로 거리 및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301)는 클라이언트 역할을 하는 외부 전자 장치 외에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대해서도 60GHz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FTM 및 AOA를 수행함으로써 정확한 거리 및 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다른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거리 및 각도 정보는 제1 액세스 포인트에 다른 액세스 포인트가 연결된 경우가 아니라, 양자 간의 무선 연결이 수행되지 않은 경우에도 FTM 및 AOA를 수행하여 거리 및 각도 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가 다른 액세스 포인트의 위치 정보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또는, 액세스 포인트(301))는, 외부 전자 장치들(예: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기 위해 다른 액세스 포인트(예: 제2 액세스 포인트(302))를 이용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액세스 포인트(301)와 동일한 서비스 셋(SS, service set)을 공유하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예: 제2 액세스 포인트(302))에 대한 위치 정보,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 정보, 또는 주파수 채널 이용량 정보 등에 기초하여, 동일 서비스 셋 내의 다른 액세스 포인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910 동작에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또는,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액세스 포인트(301)가 포함되는 서비스 셋에 연결된 다른 액세스 포인트(예: 제2 액세스 포인트)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을 참조하면, 제2 액세스 포인트(302) 및 제3 액세스 포인트(303)는 제1 액세스 포인트(301)와 동일한 서비스 셋에 연결되어 있다. 910 동작에서, 제2 액세스 포인트는 도 3의 제2 액세스 포인트(302) 또는 제3 액세스 포인트(303)가 될 수 있다.
920 동작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다른 액세스 포인트(예: 제2 액세스 포인트)에 FTM을 수행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301)로부터 다른 액세스 포인트(예: 제2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거리를 획득할 수 있다.
930 동작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다른 액세스 포인트(예: 제2 액세스 포인트)에 AOA를 수행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301)로부터 다른 액세스 포인트(예: 제2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방향(각도)를 획득할 수 있다.
940 동작에서,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상기 920 동작 및 상기 930 동작에서 획득한 거리 및 방향에 기초하여 다른 액세스 포인트(예: 제2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910 동작 내지 940 동작은 제1 액세스 포인트가 포함된 서비스 셋 내의 다른 모든 액세스 포인트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결정하기 위해 반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3 액세스 포인트(303)에 대한 FTM 및 AOA를 수행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301)와 제3 액세스 포인트(303) 사이의 거리 및 방향을 획득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거리 및 주파수 대역에 따른 데이터 전송률 테이블의 예시이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기 위해서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간의 거리 및 데이터 전송률을 고려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301)는, 거리 및 대역폭에 따른 데이터 전송률에 기초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301)는 액세스 포인트(301)를 기준으로 거리 및 주파수 대역에 따른 데이터 전송률 테이블에 대한 통계적인 값을 미리 저장해둘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0에서, 가까운 거리에서는 60 GHz 대역을 사용할 경우의 rate 가 가장 높을 수 있고,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5GHz 대역을 사용할 경우의 rate가 60 GHz 대역을 사용할 경우의 rate 보다 높아질 수 있으며, 거리가 더더욱 멀어질 경우, 2.4 GHz 대역을 사용하는 것이 rate가 가장 높을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301)는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에 해당하는 도 10의 데이터 전송률 중에 최고 값을 가지는 주파수를 선택하여,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도 10에서, 대역폭에 따라 1-채널 이용률(channel utilization; CU)의 값은 대역폭이 클수록 더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채널 이용률을 고려한 rate, 즉 원래의 rate에 (1-CU) 값을 곱한 rate는 대역폭이 작을 수록 더 큰 값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301)가 채널 이용률의 값을 고려할 경우, 더 작은 대역폭을 선택할 수도 있다.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거리에 기초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을 하는 두 장치 간의 거리는 데이터 전송률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즉, 데이터 통신을 하는 두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가 멀수록 데이터 전송률은 낮을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예: 액세스 포인트(301)) 는, 외부 전자 장치들과 짧은 거리에 위치한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 간 데이터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거리가 가까울수록 데이터 전송 속도가 높고, 데이터 전송량이 많은 경우에도 비교적 빠른 시간 내에 데이터 전송을 완료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거리의 합 즉, 제1 액세스 포인트(301)와 제1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제1 거리 및 제1 액세스 포인트(301)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제2 거리의 합보다 작은 거리의 합을 가지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를 결정하고, 다른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데이터 통신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거리에 따른 2.4GHz, 5GHz, 및 60GHz 대역 및 대역폭 별 추정 데이터 전송률(data rate)를 실험적으로 표로 만들고 추정된 거리와 매칭되는 데이터 전송률을 기반으로 최적의 액세스 포인트와 최적의 주파수 대역을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액세스 포인트와의 거리,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의 거리, 외부 전자 장치 간의 거리 등 각각에 대하여 적용 가능한 주파수 대역 별 예상되는 데이터 전송률을 도 10의 데이터 전송률 테이블을 참고하여, 최적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결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액세스 포인트(301)는, 채널 이용률(channel utilization; CU)을 고려하여 실시간 데이터 전송률을 반영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301)는 대역폭에 대한 채널 이용률에 기초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에 기반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하는 것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 실시간으로 제1 액세스 포인트의 채널 이용률이 높아서 실질적으로 제1 액세스 포인트보다 거리는 멀지만 채널 이용률이 낮은 다른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외부 전자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일 수 있다. 이를 고려하기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301)는, 간단히 상기 도 10의 거리에 따른 데이터 전송률 표에서, 각각에 1-채널 이용률(CU) 값을 곱하여 이용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제1 액세스 포인트(1110)) 및 서브 액세스 포인트(예를 들어, 제2 액세스 포인트(1120))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액세스 포인트(1110)는 직접 인터넷(1160)에 연결될 수 있지만, 서브 액세스 포인트(1120)는 다른 액세스 포인트(예: 액세스 포인트(1110))를 통해서만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1101)가 제1 액세스 포인트(1110)를 이용하여 인터넷(1160)에 연결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률은 제2 액세스 포인트(1120)를 이용하여 인터넷(1160)에 연결하는 경우의 데이터 전송률보다 높을 수 있다. 왜냐하면 제2 액세스 포인트(1120)를 이용하는 경우, 제1 외부 전자 장치(1101)는 제1 액세스 포인트(1110)를 한번 더 거쳐서 인터넷(1160)에 연결되어야 하기 때문일 수 있다. 홉 카운트(hop count)는 액세스 포인트(예: 제1 액세스 포인트(1110) 또는 제2 액세스 포인트(1120))가 인터넷에 연결되기 위해 경유하는 단계를 카운트 한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예: 액세스 포인트(1110))는, 서브 액세스 포인트(예: 제2 액세스 포인트(1120))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최적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선택하기 위해서, 액세스 포인트(1110)에 대해서는 홉 카운트 수를 1로 두고, 서브 액세스 포인트(1120)에 대해서는 홉 카운트를 2로 두고, 도 10의 데이터 전송률 테이블의 각 값들에 홉 카운트의 역수를 곱하여 사용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예: 액세스 포인트(1110))는, 제1 외부 전자 장치(1101)에 대하여 제1 액세스 포인트(1110) 및 제2 액세스 포인트(1120)의 거리 및 주파수 대역에 따른 데이터 전송률을 고려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1101)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외부 전자 장치(1101)와 제2 액세스 포인트(1120)와의 거리가 제1 외부 전자 장치(1101)와 제1 액세스 포인트(1110)와의 거리보다 가까워도, 제1 액세스 포인트(1110) 및 제2 액세스 포인트(1120)의 홉 카운트 값을 고려하는 경우, 제1 외부 전자 장치(1101)가 제1 액세스 포인트(1110)와 데이터 통신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률이 더 높을 수 있다. 전자 장치(201)는, 도 11과 같은 경우, 제1 외부 전자 장치(1101)와 거리가 가까운 제2 액세스 포인트(1120)보다 제1 외부 전자 장치(1101)와 거리가 먼 제1 액세스 포인트(1110)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인터넷(1160)과 연결하여 데이터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장애물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에서, 외부 전자 장치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를 들어,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직선 경로 상에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간의 직접 연결을 방해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330)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330)을 고려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의 위치에 관련된 정보를 결정하고, 결정된 위치 정보로부터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직선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60GHz 주파수 대역의 무선 통신의 경우 직진성 특징 때문에 두 장치 간의 직선 경로 상에 장애물이 있는 경우, 무선 통신이 원활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직접 데이터 전송을 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320)의 직선 경로 상에 FTM을 수행하여, 장애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장애물이란, 무선 통신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다양한 전기적 대상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움직이는 사람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직선 경로가 제1 액세스 포인트(301)로부터 떨어진 거리에 기초하여 FTM 수행 결과, 정해진 시간 내에 되돌아오는 신호가 발견되는 경우 해당 직선 경로 상에 무선 통신을 방해하는 장애물(330)이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가 LoS 환경인지 판단 여부는 채널의 통계적 특성을 이용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의 통계적 특성은 2.4GHz 또는 5GHz 채널의 첨예도 또는 비대칭도 등의 값을 기반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예: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에 장애물(330)이 있다고 판단한 경우, 예를 들어 도 5a와 같이 제1 액세스 포인트(301)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 하거나, 도 5c와 같이 제2 액세스 포인트(302)를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액세스 포인트(301)는, 장애물(330)이 있는 경우, LoS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로 판단할 수 있고, LoS가 가능하지 않은 경우 60GHz 대역의 무선 통신이 가능한 경우라 할지라도 60GHz 대역 외의 다른 주파수 대역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201)(예: 제1 액세스 포인트(301))가 장애물을 고려하여 외부 전자 장치들 간의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1310 동작에서, 전자 장치(예: 액세스 포인트(301))에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연결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로부터 제1 무선 통신 채널이 형성되고, 제2 외부 전자 장치(320)로부터 제2 무선 통신 채널이 형성되면,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및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데이터 통신을 위해 전자 장치(예: 액세스 포인트(301))에 연결되었음을 감지할 수 있다.
1320 동작에서, 전자 장치(예: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의 위치에 연관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 이하의 실시예들에 따라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의 액세스 포인트(301)에 대한 상대적인 거리 및 방향을 추정할 수 있다.
1330 동작에서,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직선 경로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직선 경로는 전자 장치(예: 액세스 포인트(301))로부터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대한 각각의 거리 범위에 의해 떨어져 있고,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대한 방향 내에 위치할 수 있다.
1340 동작에서, 전자 장치(예: 액세스 포인트(301))는 상기 직선 경로 상에 장애물이 있는지 확인할 수 있다. 장애물을 확인하는 방법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FTM을 수행하여 예상되는 직선 경로까지의 거리로부터 되돌아오는 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도 있고, 두 장치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기술 등 다양한 방법으로 확인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에 장애물(330)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1350 동작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310)가 액세스 포인트(301)를 이용하여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거리 및 지원하는 주파수 대역을 고려할 때,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60GHz 무선 통신이 가장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가질 것으로 예상되는 경우에도 데이터 통신을 하는 두 장치 간의 장애물(330)이 있는 경우, 직접 연결하는 경우 데이터 전송이 불가능할 수 있으므로, 이를 반영하여 직접 연결하지 않고, 전자 장치(예: 액세스 포인트(301))에 이미 연결된 제1 무선 통신 채널 및 제2 무선 통신 채널을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데이터 통신하도록 데이터 전송 경로를 설정할 수 있다.
1340 동작에서,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에 장애물이 없다고 판단된 경우, 1360 동작에서, 전자 장치(예: 액세스 포인트(301))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가 서로 직접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직접 무선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동안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직선 경로 상에 장애물이 발견되는 경우,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사이의 데이터 전송 경로를 변경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는,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간의 데이터 통신이 연결된 동안 정해진 주기에 따라 1340 동작을 반복하여 두 장치 간의 직선 경로 상의 장애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장애물로 인해 제1 외부 전자 장치(310)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 간의 데이터 전송이 이루어지지 않는 경우 제1 외부 전자 장치(310) 또는 제2 외부 전자 장치(320)는 전자 장치(예: 액세스 포인트(301))에, 데이터 전송 경로 요청을 할 수 있다. 전자 장치(예: 액세스 포인트(301))는 이 경우, 전자 장치(예: 액세스 포인트(301))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310)가 제2 외부 전자 장치(320)에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또는 다른 엑세스 포인트(예: 제 2 액세스 포인트(302))를 통하여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게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개시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범위는,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인터넷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0 GHz 내지 100 G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의 지향성(directional)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제2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2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들에 연관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전자 장치를 통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신을 감지하고,
    상기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주파수 범위로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방향 및 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거리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60 GHz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거나,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다른(another)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거리 및 대역폭에 따른 데이터 전송률(data rate)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대역폭에 대한 채널 이용률(channel utilization)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에 대한 홉 카운트(hop count)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거리의 합보다 작은 거리의 합을 가지는 다른(another) 전자 장치를 결정하고,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다른 전자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제어하는 전자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60GHz 주파수 대역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제1 거리 및 제1 각도를 획득하고,
    상기 60GHz 주파수 대역에 따른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제2 거리 및 제2 각도를 획득하고,
    상기 제1 거리, 제2 거리, 제1 각도 및 상기 제2 각도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 및 각도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직선 경로 상에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간의 직접 연결을 방해하는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을 확인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을 고려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서로 직접 연결하는 동안,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직선 경로 상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장애물이 발견되는지 여부를 정해진 주기에 따라 확인하는 전자 장치.
  14. 시스템에 있어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은,
    인터넷에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20 GHz 내지 100 GHz 사이의 주파수 범위의 지향성 통신을 지원하는 무선 통신 회로;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및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메모리들은, 실행 시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프로세서들이,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제1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2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들에 연관된 정보를 결정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통신을 감지하고, 상기 정보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상기 주파수 범위를 이용하여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을 기준으로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방향 및 거리를 포함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을 기준으로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방향 및 거리를 포함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프로세서들이,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 사이의 거리를 결정하고,
    상기 거리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하는 시스템.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주파수 범위는 60 GHz를 포함하는 시스템.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액세스 포인트들의 프로세서들이,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각각에 대한 제1 위치 정보들을 확인하고,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 각각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를 기준으로 상기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의 각각에 대한 제2 위치 정보들을 확인하고,
    상기 제1 위치 정보들 및 상기 제2 위치 정보들에 적어도 일부 기초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 및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와 가장 가까운 제1 액세스 포인트를 선택하고, 및
    상기 선택된 제1 액세스 포인트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외부 전자 장치와 상기 제2 외부 전자 장치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하는 시스템.
  19. 전자 장치에 있어서,
    무선 통신 회로;
    상기 무선 통신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인터넷과 연결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액세스 포인트와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제1 무선 통신 채널을 형성하고, 상기 액세스 포인트는 외부 전자 장치와 제2 무선 통신 채널이 형성되며,
    상기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상기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및
    상기 수신한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무선 통신 회로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하는 인스트럭션들을 저장하는 전자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 회로는 60 GHz 주파수 범위의 지향성 통신을 지원하고,
    상기 인스트럭션들은, 실행 시에,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60 GHz 주파수 범위를 이용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서로 직접 연결하도록 하는 전자 장치.
KR1020170134790A 2017-10-17 2017-10-17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통신 시스템 KR102455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790A KR102455266B1 (ko) 2017-10-17 2017-10-17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통신 시스템
PCT/KR2018/012219 WO2019078594A1 (en) 2017-10-17 2018-10-17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OF AN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US16/163,291 US11032859B2 (en) 2017-10-17 2018-10-17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790A KR102455266B1 (ko) 2017-10-17 2017-10-17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통신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3017A true KR20190043017A (ko) 2019-04-25
KR102455266B1 KR102455266B1 (ko) 2022-10-18

Family

ID=660962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790A KR102455266B1 (ko) 2017-10-17 2017-10-17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032859B2 (ko)
KR (1) KR102455266B1 (ko)
WO (1) WO2019078594A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8742B2 (en) 2017-12-06 2021-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WO2023013839A1 (ko) * 2021-08-05 2023-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성능 정보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4029688A1 (ko) * 2022-08-04 2024-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환경 내에서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233937B (zh) * 2019-07-30 2021-06-25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数据传输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KR20210034270A (ko) * 2019-09-20 2021-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LoS 경로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0945231B1 (en) * 2020-03-05 2021-03-09 Cisco Technology, Inc. Regulation of airtime for fine timing measurement requests
US11265842B2 (en) * 2020-03-09 2022-03-01 Cisco Technology, Inc. Wireless station ranging using channel state
US20220166479A1 (en) * 2020-11-25 2022-05-26 Mediatek Inc. Channel state information measurement method and associated wireless communication chip and electronic device
US11974209B2 (en) 2020-11-27 2024-04-30 Arris Enterprises Llc Wi-Fi home network controller steering using FTM reques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1996A (ja) * 2008-03-20 2009-10-08 Denso Corp 車載通信装置及び車両間通信システム
US20170181154A1 (en) * 2014-09-01 2017-06-22 Huawei Technologies Duesseldorf Gmbh Method and base station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US20170196034A1 (en) * 2016-01-05 2017-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connection
KR20170094283A (ko) * 2015-01-13 2017-08-1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제어국 및 단말기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38481B2 (en) 2011-07-26 2014-09-16 Golba Llc Method and system for location based hands-free payment
US8737323B2 (en) * 2009-07-28 2014-05-27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ing direct wireless links and a central controller for dynamic resource allocation
KR101640507B1 (ko) 2009-11-06 2016-07-19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개의 주파수 대역을 지원하는 디바이스들이 통신에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을 변경하는 방법
US9241330B2 (en) * 2012-04-26 2016-01-19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Resource management method and apparatuses for device to device communications
JP6031610B2 (ja) * 2012-08-23 2016-11-24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バイスツーデバイス発見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EP2958397A4 (en) * 2013-02-12 2017-02-15 Kyocera Corporatio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apparatus, and d2d terminal
KR102008458B1 (ko) * 2013-08-30 2019-08-0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시스템의 무선 기기 탐색 장치 및 방법
JP2015082831A (ja) * 2013-10-24 2015-04-27 富士通株式会社 無線通信装置、無線通信方法、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CN105101046B (zh) * 2014-05-14 2020-11-03 索尼公司 无线通信系统中的电子设备和无线通信方法
KR102343568B1 (ko) 2014-10-13 2021-12-27 삼성전자 주식회사 다수의 외부 장치와 연결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전자 장치
US20160150459A1 (en) 2014-11-19 2016-05-26 Qualcomm Incorporated Techniques to support heterogeneous network data path discovery
CN107113761B (zh) * 2014-12-19 2021-04-09 索尼公司 用户设备、接入网络节点、通信系统和相对位置确定方法
KR20160112537A (ko) * 2015-03-19 2016-09-2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및 차량의 제어방법
US9980097B2 (en) * 2015-05-15 2018-05-22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door location estimation among peer-to-peer devices
KR101595698B1 (ko) * 2015-06-16 2016-02-23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셀룰러 네트워크에서 다중 d2d 그룹 통신을 위한 간섭탐지를 활용한 자원공유 방법 및 장치
WO2017051961A1 (ko) 2015-09-25 2017-03-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단말 장치 및 제어 방법
US10433184B2 (en) * 2015-12-31 2019-10-0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irecting an antenna beam based on a location of a communication device
CN109792278B (zh) * 2016-09-09 2022-05-31 索尼公司 用于基于rf的通信和位置确定的通信设备及方法
EP3513591B1 (en) * 2016-09-29 2022-11-30 Huawei Technologies Duesseldorf GmbH Sidelink-assisted handover in cellular networks
US20180116005A1 (en) * 2016-10-26 2018-04-26 Qualcomm Incorporated Data download handover from device to device
JP6840253B2 (ja) * 2017-02-10 2021-03-10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いて、d2d端末が通信装置と通信リンクを形成する方法及びそのための装置
US10616090B2 (en) * 2017-05-10 2020-04-07 Vivint, Inc. Load balancing in multiple-input multiple-output systems using a mesh network
WO2019010049A1 (en) * 2017-07-01 2019-01-10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VEHICLE RADIO COMMUNICATIONS
US10736166B2 (en) * 2017-08-04 2020-08-04 Qualcomm Incorporated Assisted node-to-node communication link operations in a wireless network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31996A (ja) * 2008-03-20 2009-10-08 Denso Corp 車載通信装置及び車両間通信システム
US20170181154A1 (en) * 2014-09-01 2017-06-22 Huawei Technologies Duesseldorf Gmbh Method and base station for managing radio resources of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KR20170094283A (ko) * 2015-01-13 2017-08-17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제어국 및 단말기
US20170196034A1 (en) * 2016-01-05 2017-07-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establishing communication connection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088742B2 (en) 2017-12-06 2021-08-1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for performing beamforming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for
WO2023013839A1 (ko) * 2021-08-05 2023-02-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외부 전자 장치의 성능 정보에 기반하여 인터페이스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WO2024029688A1 (ko) * 2022-08-04 2024-02-08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환경 내에서의 오디오 스트리밍을 위한 전자 장치, 방법, 및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5266B1 (ko) 2022-10-18
US20190116627A1 (en) 2019-04-18
WO2019078594A1 (en) 2019-04-25
US11032859B2 (en) 2021-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5266B1 (ko) 외부 전자 장치에 대한 데이터 통신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통신 시스템
KR102604991B1 (ko) 카메라가 수집한 데이터에 기반하여 빔을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US1144546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position determination using UWB signal
EP3681043A1 (en) Electronic device and antenna switching method thereof
KR20200111558A (ko) 무선 통신 채널을 통한 주기적인 측위 통신을 제공하는 전자 장치
KR102511292B1 (ko) 전자 장치의 객체 인증 장치 및 방법
KR20210034270A (ko) LoS 경로를 확인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450421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KR102518402B1 (ko) 통신을 위한 빔 선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00022266A (ko) 복수의 안테나들에 입력되는 신호의 위상을 조정하는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전자 장치
KR20210030785A (ko) 외부 전자 장치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KR2020002593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빔을 형성하는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210020616A (ko) 위치를 연산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20230221430A1 (en) Positioning method using multiple devices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CN110858781B (zh) 毫米波信号的测量方法及装置
US11716129B2 (en) Method and device for providing differentiated service for each region on basis of beam book information
KR20190071238A (ko) 전자 장치 간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이를 위한 전자 장치
US11656319B2 (en) Method for adjusting length of Golay sequence for object recognition and electronic device therefor
US20230336945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grouping external devices by space in electronic device
US20230269350A1 (en) Electronic device and image sharing method of electronic device
US20210345216A1 (en) Method for call processing and related products
US11265051B2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ans for controlling data communication
KR20210050221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빔포밍 제어 방법
US1115301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EP4373139A1 (en)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for searching for external device through positioning angle adjust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