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2961A - 좌변기용 비데 - Google Patents

좌변기용 비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2961A
KR20190042961A KR1020170134664A KR20170134664A KR20190042961A KR 20190042961 A KR20190042961 A KR 20190042961A KR 1020170134664 A KR1020170134664 A KR 1020170134664A KR 20170134664 A KR20170134664 A KR 20170134664A KR 20190042961 A KR20190042961 A KR 201900429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ilet seat
cleaning
bidet
area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4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요신
Original Assignee
김요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요신 filed Critical 김요신
Priority to KR1020170134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2961A/ko
Publication of KR201900429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296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08Devices in the bowl producing upwardly-directed sprays; Modifications of the bowl for use with such devices ; Bidets; Combinations of bowls with urinals or bidets; Hot-air or other devices mounted in or on the bowl, urinal or bidet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Bidet-Like Cleaning Device And Other Flush Toilet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좌변기용 비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는 중앙에 배변홀이 형성되어 좌변기의 상측에 안착되는 변기시트;와, 호형의 함몰부와, 세척수의 분사를 위해 상기 함몰부의 표면에 다수 형성되는 분사공을 포함하는 세척노즐; 및 상기 세척노즐을 상기 변기시트의 하부영역과 사용자의 세척부위 하부영역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좌변기용 비데{bidet for toilet bowl}
본 발명은 좌변기용 비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남성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부위의 청결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 세척부위를 마사지함으로써 근육을 이완하고 혈관의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건강 증진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좌변기용 비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데는, 인체의 항문과 국부를 세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는 용변을 본 후에 노즐을 통해 분사되는 세정수로 휴지 없이 항문을 세정하는 항문세정과, 상기의 세정수로 여성들의 국부를 자동으로 세정하는 국부세정과, 세정수가 분사되는 노즐을 연속 반복적으로 전.후진시켜 이의 운동으로 마사지 효과를 얻도록 하는 마사지세정 등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일반적인 비데의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서, 종래의 비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컨트롤러를 작동시키는 버튼(12)을 누르면, 내부의 온수가 노즐(13)을 통해 외부로 분사되어 세정부위를 세정한 후, 건조시키도록 형성되는 비데몸체(11)가 구비되고, 이 비데몸체(11)의 전방으로 사용자가 깔고 앉을 수 있는 비데시트(14)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비데몸체(11)의 상단부에 상기 비데시트(14)를 수용하는 시트커버(15)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비데는 분사노즐을 통해 세정수를 분사하여 항문 주변부위를 세정하는 일차적인 기능만을 갖고 있었기 때문에 사용자들에게 단조롭다는 느낌을 줄 뿐만 아니라 최근 비데 사용자들에게 요구되고 있는 항문 건강 기능이 미흡한 실정이었다. 이 때문에 최근에는 분사노즐 측으로 물공급을 간헐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별도의 밸브를 장착하고, 상기 밸브를 제어하여 분사되는 물의 흐름을 간헐적으로 단속함으로써, 분사노즐에서 분사되는 물줄기의 솟아오름과 멈춤을 반복하는 효과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항문 주변부위를 세척하는 동시에 마사지 효과를 얻도록 하는 비데 제품이 고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비데는 노즐을 통한 남성 또는 여성의 항문 세정 기능과 여성 생식기를 세정할 수 있는 세정 기능만이 구비되어 있었기 때문에 비데 제품의 주요 사용층이 남성보다는 여성에 집중될 수밖에 없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33777호(특허문헌 1)가 제안된바 있다.
특허문헌 1의 비데용 변좌에는 남성 사용자의 앞쪽에서 국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출하는 물 분사 장치가 구비되어 있으나, 변기시트의 앞쪽에서 남성의 국부를 향해 단순하게 물을 분사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원활한 세척이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한국 공개특허 제10-2009-0033777호 (2009.04.06)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남성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부위의 청결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 세척부위를 마사지함으로써 근육을 이완하고 혈관의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건강 증진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좌변기용 비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중앙에 배변홀이 형성되어 좌변기의 상측에 안착되는 변기시트;와, 호형의 함몰부와, 세척수의 분사를 위해 상기 함몰부의 표면에 다수 형성되는 분사공을 포함하는 세척노즐; 및 상기 세척노즐을 상기 변기시트의 하부영역과 사용자의 세척부위 하부영역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좌변기용 비데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함몰부의 중앙에는 세척수를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세척노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변기시트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암 및 상기 구동암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암은 변기시트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변기시트의 하부영역과 세척부위의 하부영역 사이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구동암은 변기시트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변기시트의 하부영역과 세척부위의 하부영역 사이를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세척노즐은 좌우로 분할되고, 상기 구동암은 변기시트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좌우로 분할된 세척노즐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남성 사용자의 국부를 향해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부위의 청결을 유지하는 것은 물론, 세척부위를 마사지함으로써 근육을 이완하고 혈관의 혈액순환을 촉진하여 건강 증진 효과를 도모할 수 있는 좌변기용 비데가 제공된다.
도 1은 종래 좌변기용 비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의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의 작용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의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의 작용도이다.
설명에 앞서, 여러 실시예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여 대표적으로 제1실시예에서 설명하고, 그 외의 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다른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의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는 변기시트(11)와, 세척노즐(110) 및 이동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변기시트(11)는 중앙에 배변홀이 형성되어 좌변기의 상측에 안착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인 좌변기용 변기시트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세척노즐(110)은 호형의 함몰부(111)와, 세척수의 분사를 위해 상기 함몰부(111)의 표면에 다수 형성되는 분사공(112) 및 상기 함몰부(111)에 수용되는 세척수를 배출하기 위해 함몰부(111)의 중앙에 배치되는 배수공(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의 도면에서는 세척노즐(110)이 원형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시하였으나, 다각형이나 타원형 등의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분사공(112)은 좌변기의 변기시트(11) 하부영역을 따라 배치되는 세척수 배관과 연결되어 세척수를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세척수는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소정의 온도로 가열 또는 냉각될 수 있다.
상기 함몰부(111)는 본 실시예에서 세척부위로 설정되는 남성의 국부 하부를 감쌀 수 있는 정도의 크기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분사공(112)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는 국부를 세척 및 마사지할 수 있는 정도의 압력으로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분사공(112)을 통해 분사되는 세척수의 분사 압력과 분사 패턴은 자동으로 조절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특징이나 취향에 따라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세척노즐(110)의 주변에는 세척부위의 건조를 위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는 송풍노즐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120)는 상기 세척노즐(110)을 변기시트(11)의 하부영역으로부터 사용자의 세척부위 하부영역으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일단부가 상기 세척노즐(11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변기시트(11)로부터 상대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막대 형태의 구동암(121) 및 상기 구동암(121)의 축방향 이동을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구동암(121)은 변기시트(11)의 전단부 하부에 배치되어 축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세척노즐(110)을 변기시트(11)의 하부영역으로부터 사용자의 세척부위의 하부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즉, 구동암(121)이 전진구동한 상태에서는 세척노즐(110)이 사용자의 세척부위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구동암(121)이 후진구동한 상태에서는 세척노즐(110)이 변기시트(11)의 하부영역에 배치된다.
한편, 상기 이동부(120)에는 구동암(121)의 동력을 구동암(121)에 전달하는 동력전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동력전달부는 구동암(121)의 일측에 축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래크와, 상기 래크와 맞물린 상태에서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피니언으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하는 것은 아니며, 벨트와 풀리 등 구동부(122)의 동력을 구동암(121)에 전달하여 구동암(121)을 축방향으로 전후진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동력전달수단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구동암(121)이 축방향으로 전후진하면서 세척노즐(110)을 변기시트(11)의 하부영역과 세척부위의 하부영역 사이에서 왕복이동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상기 구동암(121)이 소정각도의 범위 내에서 왕복 회동하면서 세척노즐(110)을 이동시키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지금부터는 상술한 좌변기용 비데의 제1실시예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의 단면도이고,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의 작용도이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노즐(110)은 이동부(120)에 의해 변기시트(11)의 하부영역으로부터 세척부위의 하부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세척부위의 하부영역으로 이동한 세척노즐(110)은 분사공(112)으로 세척수를 분사하여 남성의 국부와 같은 사용자의 세척부위에 세척수를 소정 압력으로 분사함으로써, 세척 및 마사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세척노즐(110)이 사용자의 세척부위 하부영역에 배치된 상태에서는, 사용자의 세척부위가 함몰부(111)의 호 중심점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호형의 함몰부(111) 표면에 다수 마련되는 분사공(112)으로부터 배출되는 세척수는 호 중심점에 위치하는 세척부위를 향하게 되므로, 세척수가 좌변기의 상측으로 튀거나, 직접 분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보다 효과적인 세척 및 마사지 효과를 얻기 위해 세척노즐(110)의 위치와 세척수의 분사 압력 또는 온도가 조절될 수 있을 것이다.
세척부위를 세척한 세척수는 세척부위의 하부에 위치한 함몰부(111)의 중앙 하부에 마련되는 배수공(113)을 통해 하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세척 후 함몰부(111)의 표면을 따라 흘러내리는 세척수가 분사공(112)을 막지 않도록, 상기 분사공(112)은 함몰부(111)의 표면으로부터 소정의 길이로 돌출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세척노즐(110)은 이동부(120)에 의해 변기시트(11)의 하부영역으로부터 세척부위의 하부영역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122)의 동력에 의해 구동암(121)이 전진구동한 상태에서는 세척노즐(110)이 사용자의 세척부위 하부영역에 배치되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암(121)이 후진구동한 상태에서는 세척노즐(110)이 변기시트(11)의 하부영역에 배치된다. 따라서, 세척노즐(110)을 사용하지 않는 때에는 세척노즐(110)이 변기시트(11)의 하부영역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에 대하여 설명한다.
첨부도면 중,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의 주요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의 작용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좌변기용 비데에 따르면, 세척노즐(110')은 좌우로 분할되어 제1노즐(110a)과 제2노즐(110b)로 구성되고, 이동부(120')는 복수 마련되어 분할된 제1노즐(110a)과 제2노즐(110b)을 각각 반대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점에서 제1실시예와 구성의 차이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세척노즐(110')은 좌우로 분할되어 제1노즐(110a)과 제2노즐(110b)로 구성되고,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함몰부(111)와 분사공(112) 및 배수공(1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배수공(113)은 좌우로 분할된 제1노즐(110a)과 제2노즐(110b)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거나, 제1노즐(110a)과 제2노즐(110b)의 서로 맞닿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120')는 구동암(121)과 구동부(122)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복수 마련되어 변기시트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상기 구동암(121)은 후단부가 변기시트(11)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선단부에 연결된 세척노즐(110')을 변기시트(11)의 하부영역과 세척부위의 하부영역 사이에서 이동시킨다. 한편, 상기 구동암(121)은 구동부(122)의 구동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동력전달부를 통해 구동부(122)의 동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변기시트(11)의 양측에 각각 회동가능하게 배치된 구동암(121)이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세척노즐(110')을 구성하는 제1노즐(110a)과 제2노즐(110b)이 서로 맞닿으면서 세척부위의 하부영역에 배치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세척부위에 세척수를 분사하여 세척 및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다.
반대로, 양측에 각각 배치된 구동암(121)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회동하면 제1노즐(110a)과 제2노즐(110b)이 각각 변기시트(11)의 하부영역으로 이동하게 되면서 세척노즐(110')을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세척노즐(110')이 은폐되도록 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르면 세척노즐(110')이 이동하는 과정에서 국부와 직접 접촉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세척노즐(110')을 이용한 세척부위의 세척과정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변형 가능한 다양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본다.
11:변기시트, 110,110':세척노즐, 110a:제1노즐,
110b:제2노즐, 111:함몰부, 112:분사공,
113:배수공, 120,120':이동부, 121:구동암,
122:구동부

Claims (6)

  1. 중앙에 배변홀이 형성되어 좌변기의 상측에 안착되는 변기시트;
    호형의 함몰부와, 세척수의 분사를 위해 상기 함몰부의 표면에 다수 형성되는 분사공을 포함하는 세척노즐; 및
    상기 세척노즐을 상기 변기시트의 하부영역과 사용자의 세척부위 하부영역 사이에서 이동시키는 이동부;를 포함하는 좌변기용 비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중앙에는 세척수를 하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수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부는 일단부가 상기 세척노즐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변기시트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는 구동암 및 상기 구동암을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은 변기시트에 축방향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변기시트의 하부영역과 세척부위의 하부영역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암은 변기시트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변기시트의 하부영역과 세척부위의 하부영역 사이를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노즐은 좌우로 분할되고,
    상기 구동암은 변기시트의 양측에 각각 배치되어 좌우로 분할된 세척노즐을 서로 반대방향으로 각각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좌변기용 비데.
KR1020170134664A 2017-10-17 2017-10-17 좌변기용 비데 KR2019004296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664A KR20190042961A (ko) 2017-10-17 2017-10-17 좌변기용 비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4664A KR20190042961A (ko) 2017-10-17 2017-10-17 좌변기용 비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2961A true KR20190042961A (ko) 2019-04-25

Family

ID=662836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4664A KR20190042961A (ko) 2017-10-17 2017-10-17 좌변기용 비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296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3777A (ko) 2007-11-30 2009-04-06 김명섭 남성의 국부를 세정하기 위한 물 분사 장치가 있는 비데용변좌.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33777A (ko) 2007-11-30 2009-04-06 김명섭 남성의 국부를 세정하기 위한 물 분사 장치가 있는 비데용변좌.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51068B2 (ja) 乾燥装置およびそれを備えた衛生洗浄装置
US4300556A (en) Facial beauty device
CN110022741A (zh) 具有内建清洁器组件的清洗系统及方法
JP4715292B2 (ja) 浴槽装置
KR102108093B1 (ko) 비데용 밸브장치
CN107034963A (zh) 一种具有振动清洗和药物护理功能的智能马桶
JP2011156140A (ja) ポータブルトイレ
KR101866983B1 (ko)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변좌와 비데
KR20190042961A (ko) 좌변기용 비데
JPH0960088A (ja) 人体局部洗浄装置
KR100805671B1 (ko) 비데를 이용한 세정 및 마사지 방법
KR102222070B1 (ko) 노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JP2000064393A (ja) 局部洗浄方法及び局部洗浄装置
KR20150145763A (ko) 캡슐 설치부를 구비하는 비데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비데 장치 어셈블리
KR200308733Y1 (ko) 비데 시트의 세정수 분사장치
JP4613561B2 (ja) 浴槽装置
JP4613697B2 (ja) 水流噴出装置付浴槽
JPH04222729A (ja) 衛生洗浄装置
KR20190032842A (ko) 입력 정보에 따라 서로 다른 세정 코스로 작동하는 비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세정 방법
JP2006125193A (ja) 乾燥機能付き洗浄便座
JP4482498B2 (ja) 水流噴出装置
KR200333407Y1 (ko) 자동 커버/변좌개폐기능을 갖춘 비데장치
JP2002180521A (ja) 衛生洗浄装置
JPS58222234A (ja) 衛生洗浄装置
JPH02282532A (ja) 洗浄便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