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041779A -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조성물 및 건강환 - Google Patents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조성물 및 건강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041779A
KR20190041779A KR1020170133436A KR20170133436A KR20190041779A KR 20190041779 A KR20190041779 A KR 20190041779A KR 1020170133436 A KR1020170133436 A KR 1020170133436A KR 20170133436 A KR20170133436 A KR 20170133436A KR 20190041779 A KR20190041779 A KR 201900417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mixture
ginseng
excip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4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주홍
Original Assignee
박주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홍 filed Critical 박주홍
Priority to KR10201701334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90041779A/ko
Publication of KR201900417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7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1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ducts
    • A23P10/20Agglomerating; Granulating; Tabletting
    • A23P10/28Tabletting; Making food bars by compression of a dry powdered mixtur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부형제, 백작약, 천초, 차전자, 천궁, 백자인, 우슬, 육종용, 생지황, 백복신, 녹각, 석창포, 원지, 강황, 백출, 생강 및 대조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조성물 및 건강환{HEALTH PILL COMPOSITION AND HEALTH PILL USING MEDICINAL HERBS}
본 발명은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조성물 및 건강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치매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건강환 조성물 및 건강환에 관한 것이다.
치매(dementia)는 일상생활에 손상을 주는 기억과 인지능력의 점차적인 약화 현상으로, 크게 혈관성 치매와 퇴행성 치매로 구분할 수 있다. 혈관성 치매는 주로 혈관 내에 형성된 혈전에 의해 뇌출혈 또는 뇌졸중 등이 발생하는 경우가 해당되며 발병 주변 뇌세포가 상해를 입어 기억력 상실 증상 등이 유발된다. 반면 퇴행성 치매는 소위 알츠하이머성 치매로도 일컬어지는 것으로 β-아밀로이드가 포함된 노인반과 신경섬유다발이 형성되어 콜린성 신경을 포함하는 광범위한 신경을 사멸시키는 퇴행성 병변을 야기한다. 상기 신경 사멸이 일어나는 기전에 대해서는 활성산소종의 연관이 유력시되고 있다.
활성산소종이 노화의 원인이라는 가설이 1956년경에 제시된 이후 이들의 생성, 역할 및 작용 경로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활성산소종을 제거하는 항산화작용 물질의 개발에 관심이 집중되어 왔다. 퇴행성 치매를 가진 환자 사체의 뇌조직에 전시냅스(presynapse) 콜린 신경의 퇴화와 손실을 확인하였으며, 실제 퇴행성 치매 환자의 중추 콜린 기능이 강화될 때 인지력 손상이 개선된 결과가 보고되었다.
퇴행성 치매의 약물 치료 목표는 인지 또는 행동 증상을 개선하고 질병의 진행을 지연시키거나 악화를 방지하는 것이다. 현재 퇴행성 치매의 치료제로 승인된 약물은 콜린에스터라제 저해제(cholinesterase inhibitor)로, 시냅스에서의 콜린 분해를 감소키시킴으로써 뇌에 작용하는 콜린을 증기시키는 기전을 갖는다. 대표적인 예로 타크린(tacrine, 상품명: Cognex), 리바스티그민(rivastigmine, 상품명: Exelon) 등과 같은 콜린에스터라제 저해제가 사용되고 있으나, 그 효과가 크지 않고 일시적으로 일부 증상을 호전시키는 정도의 효과를 나타내는 데 그치고 있다. 특히 타크린은 작용 시간이 짧고 투여량에 비례하여 간독성이 심하게 나타나며, 현훈, 위장관장애, 운동실조 등의 부작용도 나타내며, 리바스티그민은 주로 부교감 신경활성으로 인한 오심, 구토, 복통, 설사, 소화불량, 식욕부진, 어지로움, 초조, 우울, 두통, 불면, 혼동, 마비, 발한, 진전, 권태, 상호흡기와 생식기계 감염 등의 부작용이 있다. 최근 FDA에서 허가된 약품인 도네피질(donepezil, 상품명: Aricept)은 치매 초기 또는 중간 단계 환자에게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근육 경련, 피로감, 불면증, 운동장애, 현기증, 구토증, 설사 등의 부작용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현존 약물들은 퇴행성 치매 증상 치료 중 많은 부작용이 알려져 있어,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다른 원료의 치료제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한약재를 이용하여 부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으면서도 치매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는 건강환 조성물 및 건강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부형제, 백작약, 천초, 차전자, 천궁, 백자인, 우슬, 육종용, 생지황, 백복신, 녹각, 석창포, 원지, 강황, 백출, 생강 및 대조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부형제는 꿀, 물엿 및 식용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백작약, 상기 천초, 상기 차전자, 상기 천궁, 상기 백자인, 상기 우슬, 상기 육종용, 상기 생지황, 상기 백복신, 상기 녹각, 상기 석창포, 상기 원지, 상기 강황, 상기 백출, 상기 생강 및 상기 대조는 혼합 분쇄된 가루 형태일 수 있다.
상기 대조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부형제 200~300중량부, 상기 백작약 70~90중량부, 상기 천초 30~50중량부, 상기 차전자 50~70중량부, 상기 천궁 70~90중량부, 상기 백자인 150~170중량부, 상기 우슬 70~90중량부, 상기 육종용 150~170중량부, 상기 생지황 70~90중량부, 상기 백복신 230~250중량부, 상기 녹각 230~250중량부, 상기 석창포 150~170중량부, 상기 원지 70~90중량부, 상기 강황 150~170중량부, 상기 백출 70~90중량부 및 상기 생강 90~1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육계, 황기, 택사, 지골피, 복분자, 남성, 목향, 인삼, 두충, 오미자, 구기자, 백복령, 파극, 산수유, 산약, 맥문동, 숙지황, 토사자, 용안육, 천문동, 감초 및 당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대조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부형제 200~300중량부, 상기 백작약, 육계 및 황기 혼합물 70~90중량부, 상기 천초 및 택사 혼합물 30~50중량부, 상기 차전자, 지골피 및 복분자 혼합물 50~70중량부, 상기 천궁 및 남성 혼합물 70~90중량부, 상기 백자인 150~170중량부, 상기 우슬, 목향, 인삼, 두충, 오미자, 구기자, 백복령, 파극, 산수유, 산약, 맥문동 및 숙지황 혼합물 70~90중량부, 상기 육종용, 토사자 및 용안육 혼합물 150~170중량부, 상기 생지황 및 천문동 혼합물 70~90중량부, 상기 백복신 230~250중량부, 상기 녹각 230~250중량부, 상기 석창포 150~170중량부, 상기 원지 70~90중량부, 상기 강황 및 백자인 혼합물 150~170중량부, 상기 백출, 감초 및 당귀 혼합물 70~90중량부 및 상기 생강 90~1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건강환 조성물을 반죽하여 제조된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을 제공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조성물 및 건강환은 부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으면서 치매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환 섭취 시 치매 증상 개선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환 섭취 시 치매 증상 개선 정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및 과학적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숙련자에 의해 통상적으로 이해되는 바와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상충되는 경우, 정의를 포함하는 본 명세서가 우선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것과 유사하거나 동등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발명의 실시 또는 시험에 사용될 수 있지만, 적합한 방법 및 재료가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조성물 및 건강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환 조성물은 부형제, 백작약, 천초, 차전자, 천궁, 백자인, 우슬, 육종용, 생지황, 백복신, 녹각, 석창포, 원지, 강황, 백출, 생강 및 대조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부형제를 제외한 나머지 재료들은 분쇄된 가루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백작약(Paeoniae radix Alba)은 작약과의 뿌리로서 주피를 제거한 후 삶아서 말린 것이고, 천초(Zanthoxylum bungeanum)는 초피나무의 열매이고, 차전자(psylium)는 질경이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 식물인 질경이의 종자이고, 천궁(Cnidium officinale makino)은 미나리과의 여러해살이풀이고, 백자인(Thujae semen)은 측백나무의 씨로서 그 껍질을 제거한 것이고, 우슬(Achyranthes japonica)은 비름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초본 식물인 쇠무릎의 뿌리이고, 육종용(cistanche deserticola)은 열당과의 육종용 또는 기타 동속 근연 식물의 육질경을 사용하여 만든 약재이고, 생지황(Rehmanniae radix recens)은 현삼과 식물인 지황의 뿌리이고, 백복신(Poria cocos)은 복령의 뿌리이고, 녹각(Cervi cornu)은 사슴과에 속하는 마녹 또는 매화녹 등 각종 사슴의 각질화된 뿔이고, 석창포(Acorus gramineus)는 천남성과의 석창포의 뿌리 줄기를 말린 약재이고, 원지(Polygalae radix)는 쌍떡잎식물 무환자나무목 원지과의 여러해살이풀의 뿌리이고, 강황(Curcuma longa)은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한해살이풀이고, 백출(Atractylodes japonica)은 국화과의 삽주의 뿌리를 건조시킨 약재이고, 생강(Zingiber officinale)은 외떡잎식물 생강목 생강과의 여러해살이 풀이고, 대조(Zizyphus jujube var.inermis)는 갈매나무과 식물인 대추나무의 익은 열매를 말린 것이다.
또한, 부형제는 건강환 조성물이 서로 뭉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꿀, 물엿, 식용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건강환 조성물을 뭉칠 수 있는 식용 재료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환 조성물은 대조 100중량부에 대해 부형제 200~300중량부, 백작약 70~90중량부, 천초 30~50중량부, 차전자 50~70중량부, 천궁 70~90중량부, 백자인 150~170중량부, 우슬 70~90중량부, 육종용 150~170중량부, 생지황 70~90중량부, 백복신 230~250중량부, 녹각 230~250중량부, 석창포 150~170중량부, 원지 70~90중량부, 강황 150~170중량부, 백출 70~90중량부 및 생강 90~1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함량으로 건강환 조성물을 구성할 때, 치매 예방 및 치료 효과가 가장 우수하기 때문이다.
건강환 조성물은 부형제에 의해 조성물들이 뭉쳐진 고체 덩어리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편의에 따라 일정 크기로 잘라서 섭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환 조성물은 상기 열거된 구성 성분 외에 육계, 황기, 택사, 지골피, 복분자, 남성, 목향, 인삼, 두충, 오미자, 구기자, 백복령, 파극, 산수유, 산약, 맥문동, 숙지황, 토사자, 용안육, 천문동, 감초 및 당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부형제를 제외한 나머지 재료들은 분쇄된 가루 형태일 수 있다.
육계(Cercidiphyllum japonicum)는 녹나무과의 줄기 껍질로서 그대로 사용하거나 주피를 약간 제거한 것이고, 황기(Astragalus membranaceus)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이고, 택사(Alisma canaliculatum)는 늪이나 연못에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이고, 지골피(Lycium chinense)는 구기자나무 또는 기타 동속 식물의 뿌리 껍질을 말린 약재이고, 복분자(Rubus schizostylus)는 장미과의 갚잎떨기나무의 덜익은 열매이고, 남성(Arisaema amurense var. serratum)은 외떡잎식물 천남성목 천남성과의 여러해살이 풀이고, 목향(Inula helenium)은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이고, 인삼(Panax ginseng)은 다년생 초본의 뿌리 인삼이고, 두충(Eucommia ulmoides)은 쌍떡잎식물 장미목 두충과의 낙엽활엽 교목의 줄기 껍질로서 주피를 제거한 것이고, 오미자(Schisandra chinensis) 오미자 나무의 익은 열매이고, 구기자(Lycium chinense)는 구기자나무 또는 기타 동속식물의 열매이고, 백복령(Poria cocos)은 복령의 균핵으로 속에 소나무 뿌리가 박힌 것으로서 색이 흰 것이고, 파극(Morindae Radix) 파극천의 뿌리로서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납작하게 눌러서 말린 것이고, 산수유(Cornus officinalis)는 산수유나무의 잘 익은 열매로서 씨를 제거한 것이고, 산약(Dioscorea batatas)은 마과 식물로서 마와 참마의 뿌리를 의미하고, 맥문동(Liriope platyphylla)은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풀이고, 숙지황(Rehmannia glutinosa)은 현삼과 및 그 근연 식물의 뿌리를 그대로 또는 삶아 건조한 것이고, 토사자(Cuscuta japonica) 메꽃과에 속하는 한해살이 덩굴성 식물인 새삼의 씨앗이고, 용안육(Longan Arillus)은 용안의 헛씨껍질이고, 천문동(Asparagus cochinchinensis)은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이고, 감초(Glycyrrhiza uralensis)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의 뿌리와 줄기 일부를 껍질이 붙은 채로, 또는 껍질을 벗긴 것이고, 당귀(Angelica uchiyamana)는 산형과 참당귀의 건조시킨 뿌리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건강환 조성물은 대조 100중량부에 대해 부형제 200~300중량부, 백작약, 육계 및 황기 혼합물 70~90중량부, 천초 및 택사 혼합물 30~50중량부, 차전자, 지골피 및 복분자 혼합물 50~70중량부, 천궁 및 남성 혼합물 70~90중량부, 백자인 150~170중량부, 우슬, 목향, 인삼, 두충, 오미자, 구기자, 백복령, 파극, 산수유, 산약, 맥문동 및 숙지황 혼합물 70~90중량부, 육종용, 토사자 및 용안육 혼합물 150~170중량부, 생지황 및 천문동 혼합물 70~90중량부, 백복신 230~250중량부, 녹각 230~250중량부, 석창포 150~170중량부, 원지 70~90중량부, 강황 및 백자인 혼합물 150~170중량부, 백출, 감초 및 당귀 혼합물 70~90중량부 및 생강 90~110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함량으로 건강환 조성물을 구성할 때, 치매 예방 및 치료 효과가 가장 우수하기 때문이다.
건강환 조성물은 부형제에 의해 조성물들이 뭉쳐진 고체 덩어리로 제조될 수 있으며, 편의에 따라 일정 크기로 잘라서 섭취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백작약 80g, 천초 40g, 차전자 60g, 천궁 80g, 백자인 160g, 우슬 80g, 육종용 160g, 생지황 80g, 백복신 240g, 녹각 240g, 석창포 160g, 원지 80g, 강황 160g, 백출 80g, 생강 100g, 대조 100g을 혼합 분쇄하여 가루로 만든 다음 꿀 250g과 함께 반죽하여 건강환 원료를 제조한 다음, 2cm 지름을 갖는 원형 형태로 작게 빚어서 건강환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백작약, 육계 및 황기 혼합물 80g, 천초 및 택사 혼합물 40g, 차전자, 지골피 및 복분자 혼합물 60g, 천궁 및 남성 혼합물 80g, 백자인 160g, 우슬, 목향, 인삼, 두충, 오미자, 구기자, 백복령, 파극, 산수유, 산약, 맥문동 및 숙지황 혼합물 80g, 육종용, 토사자 및 용안육 혼합물 160g, 생지황 및 천문동 혼합물 80g, 백복신 240g, 녹각 240g, 석창포 160g, 원지 80g, 강황 및 백자인 혼합물 160g, 백출, 감초 및 당귀 혼합물 80g, 생강 100g 및 대조 100g를 혼합 분쇄하여 가루로 만든 다음 꿀 250g과 함께 반죽하여 건강환 원료를 제조한 다음, 2cm 지름을 갖는 원형 형태로 작게 빚어서 건강환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BMC-Geriatrics 실험
치매 관련 증상 치료를 받은 평균 연령 67세의 남자 11명 및 여자 19명을 대상으로 3개월간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른 건강환을 하루에 2개씩 복용시킨 후, 미국 배너 선 보건연구소(banner sun health research institute)에서 개발한 21가지 질문으로 구성되는 알츠하이머병 또는 치매의 전 단계인 기억상실성 경도인지장애를 확인하기 위한 설문지(BMC-Geriatrics)를 이용하여 인지 능력에 대한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설문지는 15점이 넘을 경우 알츠하이머 혹은 치매로 판단하며, 5~14점일 경우 경도인지장애, 4점 이하인 경우 기억력에 문제가 없는 것으로 판정된다.
이의 결과는 하기 표 1 및 도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이전 11.2±1.85 11.3±1.88
1개월 후 11.1±1.49 10.3±1.68
2개월 후 9.9±1.36 9.5±1.64
3개월 후 9.2±2.62 9.1±2.54
표 1 및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환을 복용한 경우 치매 증상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 한국 인지 장애 선별 설문지 실험
치매 관련 증상 치료를 받은 평균 연령 67세의 남자 11명 및 여자 19명을 대상으로 2개월간 본 발명의 실시예 1 및 2에 따른 건강환을 하루에 2개씩 복용시킨 후, KDSQ(한국 인지 장애 선별 설문지)를 이용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본 설문지는 6점 이상인 경우 잠재적 치매 그룹으로 분류된다.
이의 결과는 하기 표 2 및 도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이전 10.1±2.45 10.7±2.15
1개월 후 10.2±2.71 9.8±2.45
2개월 후 9.2±2.62 9.1±2.54
3개월 후 8.4±2.71 8.6±2.70
표 2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강환을 복용한 경우 치매 증상이 개선되는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조성물 및 건강환은 부작용이 최소화될 수 있으면서 치매 예방 및 치료에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6)

  1. 부형제, 백작약, 천초, 차전자, 천궁, 백자인, 우슬, 육종용, 생지황, 백복신, 녹각, 석창포, 원지, 강황, 백출, 생강 및 대조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조성물.
  2. 제1항에서,
    상기 부형제는 꿀, 물엿 및 식용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백작약, 상기 천초, 상기 차전자, 상기 천궁, 상기 백자인, 상기 우슬, 상기 육종용, 상기 생지황, 상기 백복신, 상기 녹각, 상기 석창포, 상기 원지, 상기 강황, 상기 백출, 상기 생강 및 상기 대조는 혼합 분쇄된 가루 형태인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조성물.
  3. 제1항에서,
    상기 대조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부형제 200~300중량부, 상기 백작약 70~90중량부, 상기 천초 30~50중량부, 상기 차전자 50~70중량부, 상기 천궁 70~90중량부, 상기 백자인 150~170중량부, 상기 우슬 70~90중량부, 상기 육종용 150~170중량부, 상기 생지황 70~90중량부, 상기 백복신 230~250중량부, 상기 녹각 230~250중량부, 상기 석창포 150~170중량부, 상기 원지 70~90중량부, 상기 강황 150~170중량부, 상기 백출 70~90중량부 및 상기 생강 90~110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조성물.
  4. 제2항에서,
    육계, 황기, 택사, 지골피, 복분자, 남성, 목향, 인삼, 두충, 오미자, 구기자, 백복령, 파극, 산수유, 산약, 맥문동, 숙지황, 토사자, 용안육, 천문동, 감초 및 당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더 포함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조성물.
  5. 제4항에서,
    상기 대조 100중량부에 대해 상기 부형제 200~300중량부, 상기 백작약, 육계 및 황기 혼합물 70~90중량부, 상기 천초 및 택사 혼합물 30~50중량부, 상기 차전자, 지골피 및 복분자 혼합물 50~70중량부, 상기 천궁 및 남성 혼합물 70~90중량부, 상기 백자인 150~170중량부, 상기 우슬, 목향, 인삼, 두충, 오미자, 구기자, 백복령, 파극, 산수유, 산약, 맥문동 및 숙지황 혼합물 70~90중량부, 상기 육종용, 토사자 및 용안육 혼합물 150~170중량부, 상기 생지황 및 천문동 혼합물 70~90중량부, 상기 백복신 230~250중량부, 상기 녹각 230~250중량부, 상기 석창포 150~170중량부, 상기 원지 70~90중량부, 상기 강황 및 백자인 혼합물 150~170중량부, 상기 백출, 감초 및 당귀 혼합물 70~90중량부 및 상기 생강 90~110중량부를 포함하는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건강환 조성물을 반죽하여 제조된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KR1020170133436A 2017-10-13 2017-10-13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조성물 및 건강환 KR201900417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436A KR20190041779A (ko) 2017-10-13 2017-10-13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조성물 및 건강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436A KR20190041779A (ko) 2017-10-13 2017-10-13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조성물 및 건강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779A true KR20190041779A (ko) 2019-04-23

Family

ID=662851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436A KR20190041779A (ko) 2017-10-13 2017-10-13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조성물 및 건강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900417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373A (ko) * 2020-10-29 2022-05-09 김기수 알레르기 반응을 방지하는 코마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57373A (ko) * 2020-10-29 2022-05-09 김기수 알레르기 반응을 방지하는 코마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Priya et al. Phyllanthus emblica Linn.(Amla)—a natural gift to humans: an overview
CN105250675B (zh) 一种用于制备治疗肿瘤的药物的中药组合物
KR20190014376A (ko) 철갑상어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CN104996646A (zh) 一种防治各种肿瘤的养生茶
US20100068306A1 (en) Compositions for accelerating the healing response
KR102243873B1 (ko) 조기치매 완화 및 예방용 발효안심침향단 및 그 제조방법
KR100879051B1 (ko) 무좀 치료용 약학 조성물
KR20160131130A (ko) 혼합 생약제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위장장애 및 소화불량 개선용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90041779A (ko)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환 조성물 및 건강환
CN106620616A (zh) 一种防脱发、生发的药物组合物及其制剂
CN100358567C (zh) 一种用于生发乌发的中西药复方制剂
KR101681890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CN105232958B (zh) 一种用于制备治疗重症肌无力的药物的中药组合物
KR20190041776A (ko)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차 조성물 및 건강차
CN1953760A (zh) 作为健脑药物的含有积雪草和芝麻的草药配方
CN105232959B (zh) 一种中药组合物
CN107926248A (zh) 提高布福娜果实抗衰老功效的施肥方法
CN107126535A (zh) 植物提取物在中医药领域治病、养生、保健新的应用方法
KR20190041777A (ko)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쥬스 조성물 및 건강쥬스
KR101167628B1 (ko) 흑삼을 함유하는 치매 예방 또는 치료 및 인지기능 개선 조성물
CN104857173A (zh) 治疗肿瘤的外用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1518642B (zh) 液体内服剂
WO2019142042A1 (en) Synergistic medicinal preparation for treating skin disorders like tinea versicolor
KR20190041778A (ko) 한약재를 이용한 건강탕 조성물 및 건강탕
CN109528984A (zh) 一种通过涂抹乳房治疗乳腺疾病的膏霜配方及制备方法